KR102230334B1 -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 - Google Patents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334B1
KR102230334B1 KR1020180150812A KR20180150812A KR102230334B1 KR 102230334 B1 KR102230334 B1 KR 102230334B1 KR 1020180150812 A KR1020180150812 A KR 1020180150812A KR 20180150812 A KR20180150812 A KR 20180150812A KR 102230334 B1 KR102230334 B1 KR 102230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power bank
user device
user
application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576A (ko
Inventor
이호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케이벤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케이벤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케이벤쳐스
Priority to KR1020180150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3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21Dynamic linking or loading; Link editing at or after load time, e.g. Java class loading
    • G06F9/44526Plug-ins; Add-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10Address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에 관한 것으로, 파워뱅크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와 스마트 기기 간의 링크를 통해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가 스마트 기기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에 설치되는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이 마치 상기 스마트 기기의 실제 로컬 메모리에 설치된 것처럼 인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상기 파워뱅크를 통한 스마트 기기의 전력 충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 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POWER BANK EMBEDDING MEMORY WITH DATA AND PROGRAM AREAS}
본 발명은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워뱅크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와 스마트 기기 간의 링크를 통해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가 스마트 기기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에 설치되는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이 마치 상기 스마트 기기의 실제 로컬 메모리에 설치된 것처럼 인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상기 파워뱅크를 통한 스마트 기기의 전력 충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넷북(netbook), 노트북 PC 등과 같은 다양한 스마트 기기가 보급되고 있다.
스마트 기기의 성능이 점점 고도화되고 멀티태스킹이 가능해짐에 따라, 스마트 기기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으며, 전자 우편, 인터넷 이용, 문서 작업 이외에 내비게이션이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과 같은 추가적인 응용프로그램(즉,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의 설치로 다양한 응용기기로서의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의 장점으로 인해, 스마트 기기에 대한 사용자들의 사용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면서 해당 스마트 기기에 자체적으로 탑재되는 배터리의 빠른 소모를 극복하기 위한 보조배터리 또한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고 있다.
특히 상기 스마트 기기는,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을 동시에 설치하여 이용하거나 사진, 이미지, 음악, 영화나 애니메이션과 같은 동영상,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기기 자체에 저장하여,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동영상이나 이미지는 대용량인 경우가 많으며, 게임이나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의 경우 점점 더 대용량화되고 있고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하여 추가적인 메모리 용량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는 스마트 기기에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대용량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동시에 저장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제공하는 메모리 용량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구비하고 있는 보조배터리에 별도의 메모리(예: USB 메모리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탑재하고, 상기 보조배터리와 스마트 기기의 연동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상기 보조배터리의 메모리가 해당 스마트 기기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보조배터리의 메모리가 해당 스마트 기기의 로컬 메모리와 동일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지 않는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보조배터리의 메모리에 설치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면 상기 스마트 기기의 메모리 부족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메모리를 구비한 스마트 기기 충전용 보조배터리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조배터리에 구비되는 메모리의 경우, 단순 케이블 연결을 통해 스마트 기기의 데이터를 백업하는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이는, 상기 보조배터리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 기기가 상기 보조배터리의 메모리를 단순 외장 메모리로 인식하기 때문에 상기 보조배터리의 메모리에 새로운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지 못하며, 설치하더라도 실행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를 이용하기 위한 스마트 기기에서,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에 대한 가상메모리를 생성하고, 상기 파워뱅크가 상기 스마트 기기에 플러그인 되는 경우, 상기 가상메모리와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를 링크하고, 상기 링크를 통해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가 스마트 기기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 자체에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파워뱅크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스마트 기기의 응용프로그램처럼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799487호(2017.11.14.)는 오티지 메모리가 내장된 보조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을 보조배터리의 메모리 또는 보조배터리의 배터리부와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과 상기 메모리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부를 통해 상기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오티지 메모리가 내장된 보조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USB 포트를 통해 상기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을 보조배터리와 연결함으로써, 상기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과 상기 보조배터리의 메모리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665088호(2016.10.05.)는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배터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배터리에 제1 단자 및 제2 단자 및 무선통신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단자 또는 제2 단자에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되거나, 상기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보조배터리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보조배터리에 결합된 메모리와 상기 연결된 휴대용 단말 간의 데이터를 유선 혹은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배터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휴대용 단말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보조배터리의 메모리와 상기 휴대용 단말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서 살펴본 선행기술들은 단순히 케이블링이나 무선통신을 통해 휴대용 단말과 보조배터리의 메모리 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만 기재하고 있다. 즉, 상기 선행기술들은 휴대용 단말이 보조배터리의 메모리를 해당 휴대용 단말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하여 로컬 메모리와 같은 기능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상기 휴대용 단말에 외장 메모리를 연결하는 것에 불과하다. 이는, 상기 휴대용 단말을 통해 직접적으로 상기 보조배터리의 메모리에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구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설치파일을 상기 보조배터리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으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의 메모리로부터 상기 저장된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설치파일을 휴대용 단말기로 다운로드하여 해당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파워뱅크가 스마트 기기에 플러그인 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미리 생성한 가상메모리와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를 상호 링크하고, 상기 링크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에 설치된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이 상기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처럼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자주 사용하지 않는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에 설치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의 메모리 부족을 해결하고 이와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선행기술들을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사용자 디바이스를 충전하기 위한 파워뱅크에 메모리를 내장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디바이스의 구동전력을 충전함과 동시에 상기 파워뱅크에 내장된 메모리에 사용자의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워뱅크가 사용자 디바이스에 플러그인 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미리 생성된 가상메모리와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를 상호 링크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링크를 통해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를 사용자 디바이스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에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설치 및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링크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자주 사용하지 않는 응용프로그램을 간편하게 설치하고 이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디바이스의 메모리 부족 현상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화, 게임, 음악, 서적,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상품을 광고하기 위한 광고용 콘텐츠를 응용프로그램 기반으로 제작하고, 이를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에 미리 설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파워뱅크를 특정 상품을 홍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써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응용프로그램,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응용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에 사전에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파워뱅크가 단순히 사용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것을 탈피하여 보다 다양한 응용기기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를 공유하여 사용할 때, 상기 각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를 개인화함으로서,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데이터 또는 응용프로그램을 타 사용자가 이용하지 못하도록 하여, 각 사용자의 사용자 데이터 또는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거나,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백업하기 위한 파워뱅크 메모리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간의 연동을 통해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 자체에 설치되며, 상기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파워뱅크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플러그인 되는 경우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은, 상기 파워뱅크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플러그인 될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에 대응되는 가상메모리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가상메모리에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를 링크하여,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되도록 함으로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는, 상기 생성한 가상메모리의 가상주소와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의 물리주소를 매핑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워뱅크는, 영화, 음악, 게임, 가전제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상품에 대한 광고콘텐츠를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에 미리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광고 콘텐츠는 동영상, 정지영상, 텍스트, 애니메이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응용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는, 상기 파워뱅크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플러그인 될 때,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 이용방법에 있어서, 파워뱅크에 내장되는 파워뱅크 메모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을 사전에 설치하는 단계,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파워뱅크를 이용하기 위한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파워뱅크가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에 플러그인 되는 경우, 상기 설치한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에 대응하는 가상메모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생성한 가상메모리에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를 링크함으로서,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를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하는 단계를 통해 파워뱅크 메모리를 사용자 디바이스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함으로서,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에 사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 디바이스의 실제 로컬 메모리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처럼 구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 이용방법은, 상기 인식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 자체에 설치하거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에 백업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는, 영화, 음악, 게임, 가전제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상품에 대한 광고콘텐츠가 사전에 저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광고 콘텐츠는 동영상, 정지영상, 텍스트, 애니메이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응용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에 따르면, 상기 파워뱅크가 사용자 디바이스에 플러그인 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미리 생성한 가상메모리와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 간의 링크를 수행하여, 상기 링크를 통해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를 사용자 디바이스의 로컬 메모리와 같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에 사용자 데이터를 백업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간편하게 설치하고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파워뱅크의 메모리와 사용자 디바이스를 단순 연결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를 사용자 디바이스의 로컬 메모리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비게이션, 홍보용 광고를 위한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 자체에 간편하게 설치하고 이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뱅크 메모리를 사용자 디바이스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가상메모리와 파워뱅크 메모리를 링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와 파워뱅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뱅크에 내장된 파워뱅크 메모리를 이용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이하, 파워뱅크라 칭함)(10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플러그인 되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전력을 충전하도록 함과 동시에, 메모리(이하 파워뱅크 메모리라 칭함)(110)를 자체적으로 내장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해당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설치 및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폰, 노트북 PC, 넷북 등과 같이 사용자가 구비한 스마트 기기를 의미한다.
파워뱅크(100)에 내장되는 파워뱅크 메모리(11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동작환경에 따라 구현되며, 상기 파워뱅크(100)는 파워뱅크 제공자에 의해 제조, 생상, 유통 및 판매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즉,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운영체제(예: 안드로이드 또는 iOS)에서 동작될 수 있도록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운영체제별로 구현되어 상기 파워뱅크(100)에 내장되며, 상기 사용자는 자신이 구비하고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동작환경에 적합한 파워뱅크(100)를 온/오프라인으로 구매함으로써, 상기 파워뱅크(10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파워뱅크 제공자는, 상기 파워뱅크(100)를 제공할 때 특정 상품(예: 영화, 게임, 가전제품, 음식류 등)을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자와의 연동을 통해 광고 콘텐츠, 또는 내비게이션 응용프로그램,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응용프로그램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미리 설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고 콘텐츠는, 동영상, 정지영상, 애니메이션,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응용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파워뱅크 제공자는, 파워뱅크 제공자 단말(300)을 통해 상기 파워뱅크를 이용하기 위한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을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 관리 서버(400)에 등록하여 사용자에게 배포하거나, 자체적인 관리 서버를 구축하여, 상기 구축한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파워뱅크 제공자는, 상기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한 경우,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 관리 서버(400)에 등록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이전에 설치된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한다.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파워뱅크(100)를 간편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포되는 것으로, 상기 파워뱅크 제공자가 제공한 파워뱅크(100)에 따라 제작되어 사용자에게 배포된다. 한편 상기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파워뱅크(100)를 구매한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통해 상기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상기 파워뱅크(100)에 해당하는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설치함으로서, 해당 파워뱅크(100)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설치되며, 상기 설치된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와 상기 파워뱅크(100)가 상호 연동된다.
한편 상기 연동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서 생성되는 가상메모리와 상기 파워뱅크(100)에 내장되는 파워뱅크 메모리(110) 간의 링크를 통해 수행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설치된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파워뱅크(100)를 이용하기 위한 파워뱅크용 디바이스가 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와 파워뱅크용 디바이스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와 파워뱅크용 디바이스는 상기 파워뱅크(100)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거나,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지칭하는 것으로, 동일한 의미로 혼용되어 사용되는 것임을 밝혀둔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가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플러그인 되는 경우, 상기 설치한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대한 가상메모리를 우선적으로 생성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생성한 가상메모리와 상기 파워뱅크(100)에 내장된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상호 링크하여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가상메모리와 링크되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처럼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링크를 통해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사용자 데이터를 백업하거나, 이전에 백업한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용하고자하는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설치하지 않고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직접적으로 설치하고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가상메모리에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링크한 상태에서, 상기 가상메모리에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특정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생성한 가상메모리에 설치하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링크에 따라 특정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실질적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서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것은, 상기 가상메모리에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링크한 상태에서, 상기 가상메모리를 통해 수행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 관리 서버(400)로부터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이 업데이트되어 이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 관리 서버(400)로부터 업데이트 데이터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상기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뱅크 메모리를 사용자 디바이스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함으로서,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연동하여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는 자신이 구비한 스마트 기기에 상기 파워뱅크(100)를 제조하여 제공하는 파워뱅크 제공자에 의해 배포되는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을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 관리 서버(4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구동함으로써, 상기 파워뱅크(100)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200) 혹은 파워뱅크용 디바이스가 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파워뱅크(10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운영체제에 따라 제작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즉, 상기 파워뱅크(100)에 내장되는 파워뱅크 메모리(110)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운영체제에 따라 올바르게 동작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는 상기 파워뱅크(100) 제공자는 응용프로그램 기반의 광고용 콘텐츠 또는 내비게이션 응용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미리 설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응용프로그램 기반의 광고용 콘텐츠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 응용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파워뱅크(100)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플러그인 될 때 구동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파워뱅크(100)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상기 파워뱅크(100)를 플러그인(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설치한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와의 링크를 위한 가상메모리를 생성한다(②).
한편 상기 가상메모리는, 상기 파워뱅크(100)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플러그인 되는 경우에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스마트 기기에 상기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최초 구동되는 경우에 미리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생성한 가상메모리와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상호 링크함으로서,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한다(③).
즉,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단순히 외장 메모리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링크를 통해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함으로써,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처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주 이용하지는 않지만 자신이 필요로 하는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설치하지 않고,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 자체에 설치하고 이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링크를 통해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가 로컬 메모리로 인식된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200) 및 파워뱅크 메모리(110) 간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직접 설치하고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한다(④).
한편 상기 파워뱅크(100) 제공자에 의해 미리 설치된 응용프로그램 기반의 광고용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미 소비된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삭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가상메모리는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파일 디렉터리 모양이나, 해당 파워뱅크(100)의 이미지 또는 아이콘(icon) 등으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이때,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와 링크된 가상메모리를 사용자가 선택(즉, 해당 가상메모리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과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거나,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가 작업 중이거나 작업 완료된 문서, 동영상, 사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상기 사용자가 다루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설치된 특정 응용프로그램을 선택하여 구동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해당 특정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프로세서를 곧 바로 생성하여 상기 특정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파워뱅크 메모리(110)는 상기 링크를 통해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을 곧 바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보조배터리의 메모리를 단순히 외장 메모리로 인식하는 종래기술의 경우, 상기 보조배터리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자 할 때, 해당 보조배터리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설치파일을 휴대용 단말로 로딩한 후 실행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휴대용 단말에 설치함으로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해당 휴대용 단말에 대한 로컬 메모리의 부족현상을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링크를 통해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하여,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직접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설치한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다시 설치하는 별도의 과정 없이 곧 바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가상메모리와 파워뱅크 메모리를 링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200)에서 파워뱅크의 메모리(110)를 링크하여, 해당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우선적으로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대한 가상메모리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 가상메모리는 미리 생성되거나, 상기 파워뱅크(100)가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플러그인 되는 경우에 생성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파워뱅크(100)가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플러그인 되는 경우,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체크하여 해당 파워뱅크 메모리(110)의 전체 크기를 인식한 후, 해당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대한 실제 물리주소를 파악한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생성한 가상메모리의 가상주소와 상기 파악한 파워뱅크 메모리(110)의 실제 물리주소를 상호 매핑함으로서, 상기 가상메모리에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링크한다.
이때, 상기 가상메모리는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의 전체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의 전체 크기이상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상주소와 상기 물리주소로 구별되는 가상메모리의 각 메모리 공간 및 파워뱅크 메모리(110)의 각 메모리 공간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가상메모리의 메모리 공간과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의 메모리 공간 또한 상호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또한 가상주소와 물리주소는 그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매핑(즉, 가상주소의 로우 주소를 상기 물리주소의 로우 주소와 매핑한 후, 상기 가상주소와 상기 물리주소를 상기 메모리 공간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카운팅하여 매핑)된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순차적으로 매핑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가상메모리의 가상주소에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의 물리주소를 랜덤하게 매핑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매핑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파워뱅크(10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플러그인 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구비되는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함과 동시에,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로써,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와 파워뱅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뱅크(10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와 연동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구비되는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되는 파워뱅크 메모리(110)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210)는 상기 파워뱅크(100)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플로그인 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서 생성되는 가상메모리와 링크되어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된다.
즉, 상기 파워뱅크(100)에 내장되는 파워뱅크 메모리(11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서 수행되는 가상메모리와 파워뱅크 메모리(110)간의 링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로써,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는 상기 파워뱅크(100) 제공자에 의해 영화, 제품, 음악, 서적 등과 같은 특정 상품을 광고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 기반의 광고용 콘텐츠 및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를 통해, 상기 파워뱅크(100)는 특정 상품을 광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확장될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기기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러그인은, 상기 파워뱅크(100)에 구비되는 전원/데이터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된다.
즉, 상기 파워뱅크(100)는 USB 커넥터, 8핀 또는 5핀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언/데이터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면서, 상기 전원/데이터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상기 파워뱅크(100)가 플러그인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120)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플러그인 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구비되는 배터리에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120)은 복수의 배터리 셀(미도시)로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해당 배터리 셀의 전력을 충전하며, 상기 파워뱅크(100)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플러그인 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 셀에 미리 충전된 전력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배터리로 공급함으로써,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이용하기 위한 가상메모리를 생성하는 가상메모리 생성부(210), 상기 파워뱅크(100)가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플러그인 되는 것을 감지하는 파워뱅크 플러그인 감지부(220), 상기 생성한 가상메모리와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상호 링크하는 링크부(230), 상기 가상메모리에 링크한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응용프로그램 처리부(240), 상기 가상메모리에 링크한 파워뱅크 메모리(110)와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 송수신부(2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상메모리 생성부(210)는, 상기 파워뱅크(100)에 내장된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대응하는 가상메모리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설치되는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이 최초 실행되거나, 또는 상기 파워뱅크(100)가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플로그인 되는 경우에 상기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가상메모리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 가상메모리의 전체 크기는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의 전체 크기 이상으로 생성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파워뱅크 플러그인 감지부(220)는, 상기 파워뱅크(100)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플로그인 되는 것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감지한 결과를 상기 가상메모리 생성부(21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가상메모리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감지는, 상기 파워뱅크(10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배터리가 상기 파워뱅크(100)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충전되는 것을 인식함으로서, 수행된다.
상기 링크부(230)는, 상기 플러그인 된 파워뱅크(100)에 내장된 파워뱅크 메모리(110)와 상기 생성한 가상메모리를 링크하여,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링크부(230)는 상기 파워뱅크(100)가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플로그인 되는 경우, 해당 파워뱅크(110)에 내장된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체크하여 상기 생성한 가상메모리와 해당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상호 링크하며, 상기 링크는, 상기 생성한 가상메모리의 가상주소와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의 물리주소를 상호 매핑함으로써 수행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상기 링크부(230)는, 상기 링크를 통해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처럼 사용하기 위한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다.
또한 응용프로그램 처리부(24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한 파워뱅크 메모리(110) 자체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미리 설치된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을 각각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응용프로그램 처리부(240)는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제공 서버(예: 응용프로그램 스토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실제 로컬 메모리에 다운로드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링크에 따라 상기 가상메모리를 통해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직접적으로 다운로드하여,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도록 구현된다. 다만, 상기 응용프로그램 처리부(2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실제 로컬 메모리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송수신부(25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된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사용자 데이터를 백업하거나, 백업된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사용자 데이터 송수신부(250)는 상기 생성한 가상메모리와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가 링크된 상태에서, 상기 가상메모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와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간의 사용자 데이터 송수신함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 데이터를 백업 혹은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응용프로그램 처리부(240) 및 사용자 데이터 송수신부(250)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 및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설치하거나 저장하고자 할 때,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와 링크된 상기 가상메모리를 사용자 데이터 영역과 응용프로그램 영역으로 나눔으로써, 상기 가상메모리에 링크된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논리적으로 사용자 데이터 영역과 응용프로그램 영역을 포함하는 저장영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나눈 저장영역에 따라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상기 응용프로그램 영역에 대한 메모리 공간이 부족하게 되거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대한 메모리 공간이 부족하게 되는 경우, 상기 저장영역을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로컬 메모리로 인식된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허가된 사용자만이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접근할 수 있도록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계정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해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계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계정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기 저장된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비교결과 동일한 경우에 해당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대한 접근을 허가함으로써, 정당한 사용자가 해당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저장되거나 설치된 사용자 데이터 혹은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데이터 및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계정정보와 매핑되어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각각 저장 및 설치된다.
즉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해당 파워뱅크(100)가 도난 혹은 대여된 경우, 상기 파워뱅크(100)의 충전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사용자가 아닌 타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데이터 및 응용프로그램을 열람하거나 이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보안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파워뱅크(100)를 공유함으로써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복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계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하여, 상기 각각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설치되거나 저장된 응용프로그램 및 사용자 데이터를 개인화한다.
즉,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특정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계정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이용하고자 할 때, 해당 사용자의 계정정보와 매핑된 응용프로그램 및 사용자 데이터만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서, 타 사용자의 응용프로그램 및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열람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설치 및 저장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 및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을 제공함으로써, 정당한 사용자만이 자신의 응용프로그램 및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는, 상기 생성한 가상메모리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가 가상메모리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가상메모리와 링크된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 및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는, 상기 파워뱅크(100)의 배터리 모듈(12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충전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충전게이지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충전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 관리 서버(400)와의 통신세션을 유지하고 있으면서, 상기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 관리 서버(400)로부터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 관리 서버(400)로부터 업데이트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함으로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러그인 된 파워뱅크(100)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언플러그 되는 경우, 상기 링크는 연결 해제되며,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의 응용프로그램과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 표시부분도 동시에 제거된다(즉, 언플러그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과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 표시부분도 사라짐).
이하에서는, 상기 파워뱅크(100)를 통해 해당 파워뱅크(100)에 내장된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이용하는 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뱅크에 내장된 파워뱅크 메모리를 이용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뱅크에 내장된 파워뱅크 메모리를 이용하기 위한 절차는 우선, 파워뱅크 제공자를 통해 상기 파워뱅크(100)에 내장되는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광고용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상기 파워뱅크 제공자는 해당 파워뱅크(100)를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10).
한편 상기 파워뱅크 제공자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동작환경에 따른 파워뱅크(100)를 제조, 생산, 유통 및 판매함으로써, 해당 파워뱅크(100)를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판매자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따른 파워뱅크(100)를 구매한 사용자는 자신이 구비한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상기 파워뱅크(100)를 이용하기 위한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을 설치(S120)하여, 상기 파워뱅크(100)에 내장된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은,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 관리 서버(400)를 통해 배포되며, 차후 상기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은 파워뱅크 제공자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파워뱅크(100)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파워뱅크(100)를 사용자 디바이스(130)에 플러그인 한 후(S130), 상기 설치한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대응하는 가상메모리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한 가상메모리가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와 링크될 수 있도록 한다(S140).
이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링크를 통해 상기 플러그인 된 파워뱅크(100)의 메모리(즉, 파워뱅크 메모리)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된다.
또한 상기 링크는 상기 생성한 가상메모리의 가상주소와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의 물리주소를 상호 매핑함으로써, 수행된다.
즉,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는 상기 S120 단계 및 S130 단계를 통해 해당 파워뱅크(100)가 플러그인 된 사용자 디바이스(200)에서 로컬 메모리로 인식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로컬 메모리에 설치된 것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통해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거나,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자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에 사용자 데이터를 백업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S150)함으로써,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110)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용프로그램 및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 계정정보와 매핑되어 설치 및 저장됨으로서, 해당 응용프로그램 및 사용자 데이터가 개인화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는,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파워뱅크에 내장되는 메모리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워뱅크에 내장되는 메모리 자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을 간편하게 설치하고, 상기 설치한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파워뱅크의 메모리로부터 직접 실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메모리 부족현상을 해결하고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
110: 파워뱅크 메모리 120: 배터리 모듈
200: 사용자 디바이스 210: 가상메모리 생성부
220: 파워뱅크 플러그인 감지부 230: 링크부
240: 응용프로그램 처리부 250: 사용자 데이터 송수신부
26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300: 파워뱅크 제공자 단말
400: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 관리 서버

Claims (9)

  1. 데이터 영역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거나,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된 문서, 동영상, 사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백업하기 위한 파워뱅크 메모리;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간의 연동을 통해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 자체에 설치되며, 상기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파워뱅크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플러그인 되는 경우에 구동되고,
    상기 설치된 응용프로그램과 상기 저장한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계정과 매핑됨으로써, 개인화되며,
    상기 연동은, 상기 파워뱅크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플러그인 될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에 대응되는 가상메모리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가상메모리에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를 링크하여,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뱅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생성한 가상메모리의 가상주소와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의 물리주소를 매핑함으로써, 상기 가상메모리와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뱅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워뱅크는,
    영화, 음악, 게임, 가전제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상품에 대한 광고콘텐츠를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에 미리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광고콘텐츠는 동영상, 정지영상, 텍스트, 애니메이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응용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뱅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는,
    상기 파워뱅크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플러그인 될 때,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에 설치된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뱅크.
  6. 데이터 영역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 이용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파워뱅크를 이용하기 위한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파워뱅크가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에 플러그인 되는 경우, 상기 설치한 파워뱅크용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파워뱅크 메모리에 대응하는 가상메모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생성한 가상메모리에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를 링크함으로서,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를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로컬 메모리로 인식한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 자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 설치하거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된 문서, 동영상, 사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에 백업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 상기 백업한 사용자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은,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계정과 매핑됨으로써, 개인화되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를 통해 파워뱅크 메모리를 사용자 디바이스의 로컬 메모리로 인식함으로써,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에 사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실제 로컬 메모리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처럼 구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뱅크 이용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생성한 가상메모리의 가상주소와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의 물리주소를 매핑함으로써, 상기 가상메모리와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뱅크 이용방법.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파워뱅크 메모리는,
    영화, 음악, 게임, 가전제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상품에 대한 광고콘텐츠가 사전에 저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광고콘텐츠는 동영상, 정지영상, 텍스트, 애니메이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응용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뱅크 이용방법.
KR1020180150812A 2018-11-29 2018-11-29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 KR102230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812A KR102230334B1 (ko) 2018-11-29 2018-11-29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812A KR102230334B1 (ko) 2018-11-29 2018-11-29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576A KR20200064576A (ko) 2020-06-08
KR102230334B1 true KR102230334B1 (ko) 2021-03-22

Family

ID=7108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812A KR102230334B1 (ko) 2018-11-29 2018-11-29 데이터 및 프로그램 영역의 메모리를 내장한 파워뱅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3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0772A (ja) * 2001-07-13 2003-02-21 Prolific Technology Inc Usb複合デバイス及びその実現方法
KR100654675B1 (ko) * 2004-12-04 2006-12-08 소프트온넷(주) 호스트 컴퓨터상에서 응용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휴대용디지털 저장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572050B1 (ko) 2009-06-18 2015-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장 메모리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6760A (ko) * 2011-05-12 2012-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외부 메모리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67910A (ko) * 2013-12-10 2015-06-19 김형기 광고 기능을 갖는 파워뱅크 시스템
KR20150142215A (ko) * 2014-06-11 2015-12-22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무선충전 송수신기와 이동식 디스크를 구비한 보조배터리 및 그의 전력과 데이터 전송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0772A (ja) * 2001-07-13 2003-02-21 Prolific Technology Inc Usb複合デバイス及びその実現方法
KR100654675B1 (ko) * 2004-12-04 2006-12-08 소프트온넷(주) 호스트 컴퓨터상에서 응용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휴대용디지털 저장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572050B1 (ko) 2009-06-18 2015-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장 메모리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576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6631B (zh) 用于提供与附件设备相对应的内容的方法及其电子设备
US8078223B2 (en) Mobile terminal having expansion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20170359701A1 (en) Sticker distribution system for messaging apps
CN105378661A (zh) 资源包索引
US8533741B2 (en) Methods for launching a program application
US20200326955A1 (en) All in one mobile computing device
CN107491296A (zh) 与一个或多个扩展应用程序对接的消息应用程序
US20080163201A1 (en) Apparatuses for launching a program application
KR2012000983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N105378662A (zh) 捆绑包生成
CN101960485A (zh) 多情境图形处理
US20130080221A1 (en) Digital signage system and interactive method performed thereby
TWI688866B (zh) 一種資料共用系統及方法
CN110097349B (zh) 资源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10167249A1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remotely restoring operating system
CN107220020A (zh) 一种显示方法和电子设备
CN105378740A (zh) 捆绑包签名
CN103856556A (zh) 基于云的应用程序账户管理
CN104508590A (zh) 用于移动计算设备的动态可变的装饰性防护附件
US20230359323A1 (en) Display method,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5197104B2 (ja) 充電器の利用により広告データを表示させる方法及び電子機器
CN104737188A (zh) 数字收据的管理
US9514306B2 (en) Restricting operation results from being transferred to coupled external device
US873871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20170168796A1 (en)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transferring application program from pc to mobil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