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231B1 -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 - Google Patents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231B1
KR102230231B1 KR1020200059509A KR20200059509A KR102230231B1 KR 102230231 B1 KR102230231 B1 KR 102230231B1 KR 1020200059509 A KR1020200059509 A KR 1020200059509A KR 20200059509 A KR20200059509 A KR 20200059509A KR 102230231 B1 KR102230231 B1 KR 102230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mask
incision line
ho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기도
Original Assignee
반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기도 filed Critical 반기도
Priority to KR1020200059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호흡기를 가릴 수 있도록 안면에 착용되는 본체, 본체 양측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스트랩연결부, 및 본체와 분리된 채 제공되어 양 단부가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스트랩연결부를 관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연결부는, 스트랩의 단부가 인입되어 관통되는 관통홀과, 관통홀에 접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관통홀을 개폐시키는 덮개와, 관통홀과 연통되고 "ㅡ"자로 스트랩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관통홀로 인입된 스트랩이 끼워지는 절개라인 및 절개라인의 둘레에 초음파 융착에 의해 가압되어 두께가 주변보다 얇아지면서 경질화되어 절개라인에 끼워진 스트랩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절개라인에 끼워진 채 안밖으로 이동 가능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STRAP ATTACHED 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의 본체와 스트랩이 분리된 상태로 제공되고, 이를 구입한 사용자가 마스크 사용시 스트랩을 본체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이 고도로 발달하고 도시의 인구가 늘어나면서 공기 중에 매연과 황사 및 분진 등의 오염물질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오염물질은 인체의 호흡기를 통해 흡입되어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며, 독감, 신종플루, 코로나 등과 같은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도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나 바이러스를 차단하기 위한 가장 쉬운 방법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다. 마스크는 환절기나 겨울에는 보온 및 방한 기능은 물론,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황사, 미세먼지 등의 각종 오염물질을 차단하고, 각종 바이러스가 코와 입을 통해 전염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코와 입 및 턱을 포함한 안면을 감쌀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본체와, 본체에 연결되어 귀에 걸칠 수 있도록 구비된 스트랩으로 구성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에는 마스크의 귀걸이용 2개의 분리끈에서 한 개의 분리끈 양 단에 형성된 2개의 찍찍이와 탈착할 수 있도록 마스크의 단부에 2개의 찍찍이가 형성되어 마스크를 접고 분리끈을 접힌 마스크의 둘레로 감은 후, 분리끈의 찍찍이와 마스크의 찍찍이와 부착되고, 분리끈의 찍찍이와 마스크의 찍찍이가 부착되어 접은 마스크를 고정시킬 수 있는 탈착끈을 이용한 위생마스크가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분리끈의 결합력이 떨어져 마스크 사용 중 분리끈이 쉽게 분리될 수 있고, 길이 조절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마스크본체의 좌우 양단에 각각 일측으로 경사지면서 일정한 공간을 갖도록 경사개구부를 형성하고, 경사개구부에 끼움될 수 있도록 경사돌기체가 구비되어 절첩되어지는 결합체를 구비하며, 결합체는 경사개구부에 끼움될 수 있는 경사돌기체와 맞물림되는 경사절개홈을 포함하고, 마스크본체의 양단에 결합체가 조립된 상태에서 가압력이 작용되게 하기 위하여 결합체가 마스크본체의 양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력을 보완하기 위해 경사돌기체의 사이로 고정돌기를 복수 개로 형성하도록 한 걸이끈과 마스크의 연결을 위한 결합체가 조립되는 마스크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끈 연결을 위한 결합체가 결합되므로, 비용이 증가하고, 공정이 복잡해지며,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9480호(2006.06.21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3251호(2018.08.29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마스크의 본체와 스트랩이 분리된 상태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마스크 사용시 스트랩을 본체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스트랩의 본체 연결이 용이하며, 고정부의 스트랩에 대한 마찰 및 가압 효과로 고정력이 우수하여 스트랩이 느슨해 지는 것을 방지하고, 스트랩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귀가 아프지 않고 편안한 착용감 갖고, 본체에 스트랩을 연결하기 위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별도의 새로운 공정이 부가되지 않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는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용자의 호흡기를 가릴 수 있도록 안면에 착용되는 본체, 본체 양측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스트랩연결부, 및 본체와 분리된 채 제공되어 양 단부가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스트랩연결부를 관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연결부는, 스트랩의 단부가 인입되어 관통되는 관통홀과, 관통홀에 접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관통홀을 개폐시키는 덮개와, 관통홀과 연통되고 "ㅡ"자로 스트랩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관통홀로 인입된 스트랩이 끼워지는 절개라인 및 절개라인의 둘레에 초음파 융착에 의해 가압되어 두께가 주변보다 얇아지면서 경질화되어 절개라인에 끼워진 스트랩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절개라인에 끼워진 채 안밖으로 이동 가능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호흡기를 가릴 수 있도록 안면에 착용되는 본체, 본체 양측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스트랩연결부, 및 본체와 분리된 채 제공되어 양 단부가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스트랩연결부를 관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연결부는, "Y"자로 이루어지고 스트랩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스트랩의 단부가 인입되어 끼워지는 절개라인 및 절개라인의 둘레에 초음파 융착에 의해 가압되어 두께가 주변보다 얇아지면서 경질화되어 절개라인에 끼워진 스트랩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절개라인에 삽입되어 가압된 채 안밖으로 이동 가능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의 본체와 스트랩이 분리된 상태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마스크 사용시 스트랩을 본체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스트랩의 본체 연결이 용이하며, 고정부의 스트랩에 대한 마찰 및 가압 효과로 고정력이 우수하여 스트랩이 느슨해 지는 것을 방지하고, 스트랩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귀가 아프지 않고 편안한 착용감 갖고, 본체에 스트랩을 연결하기 위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별도의 새로운 공정이 부가되지 않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본체와 스트랩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연결부의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연결부의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1)는 마스크의 본체(100)와 스트랩(300)이 분리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이를 구입한 사용자가 마스크 사용시 스트랩(300)을 본체(100)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본체(100), 스트랩연결부(200) 및 스트랩(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본체(100)는 전면이 전방으로 다소 볼록하게 돌출되어 후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에 착용자의 코와 입 등 호흡기를 가릴 수 있도록 안면에 착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100)는 사용자의 안면의 전면에 가리도록 착용되는 전면부(110)와, 전면부(110)의 상·하측에 각각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안면의 콧등과 턱부에 각각 밀착되는 상부(120) 및 하부(130)로 구성되며, 이들은 모두 동일한 재질로, 여러 장의 부직포 원단이 합지되어 이루어져 황사, 먼지, 바이러스 등의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더불어, 상부(120)에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가요성의 클립(121)이 형성되어 마스크 착용후 클립(121)를 눌러 콧등에 밀착시켜 착용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트랩연결부(200)는, 상기 본체(100) 양측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좌우 스트랩(300)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관통홀(210)이 형성되어 스트랩(300)의 단부가 인입되어 관통되고, 관통홀(210)에는 덮개(220)가 접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관통홀(210)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덮개(220)는 외면에 스트랩(300)이 끼워지는 방향을 안내하는 화살표가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본체(100)와 분리 제공된 스트랩(300)을 본체(100)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상기 관통홀(210)과 덮개(220)는 사용자가 스트랩(300)을 용이하게 통과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스트랩(300)의 단면과 일치하게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 2a를 참고하면 원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덮개(220)는 반원 형태의 절반은 본체(100)에 연결되고, 반원 형태의 나머지 절반은 접이되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스트랩(300)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고, 이와 함께 마스크 사용 중 덮개(220)의 반복 개폐에 따라 덮개(220)가 손상되거나 본체(10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아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랩연결부(200)는 관통홀(210) 일측에 관통홀(210)과 연통되는 절개라인(230)이 형성되되, 상기 절개라인(230)은 "ㅡ"자의 수평라인의 틈새로 이루어진 수평선부(231)를 포함하고 스트랩(300)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사용자가 관통홀(210)을 통과한 스트랩(300)을 절개라인(230) 쪽으로 이동시켜 끼워지게 하면 스트랩(300)이 절개라인(230)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고, 이후 관통홀(210)을 덮개(220)로 폐쇄함으로써 마스크 사용 중 절개라인(230)에서 고정된 스트랩(300)의 분리를 방지하여 본체(10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연통된 관통홀(210)과 절개라인(230)을 합치면 대략 열쇠 형상의 구멍이 되며, 사용자는 원형의 관통홀(210)을 통해 스트랩(300)을 쉽게 연결할 수 있고, 스트랩(300)을 폭이 좁은 절개라인(230)에 끼워서 가압시킴으로써 별도의 부재를 마련하여 마스크에 더 결합하거나 부가하지 않고도 스트랩의 고정이 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개라인(230)의 둘레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가압되어 두께가 주변보다 얇아지면서 딱딱하게 경질화된 고정부(240)가 형성되고, 합성섬유 재질의 스트랩(300)의 표면은 매끄럽지 않고 미세한 굴곡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240)는 절개라인(230)에 끼워진 스트랩(300)에 대한 마찰 및 가압 효과가 함께 작용되어 고정력이 우수하여 스트랩이 느슨해 지는 것을 방지하고, 스트랩(300)은 탄성과 신축성을 갖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트랩(300)을 당겨서 귀에 걸어 마스크 착용시 스트랩(300)이 고정부(240)에 의해 절개라인(230)에 끼움 고정되어 팽팽히 당겨지더라도 스트랩(300)이 손상되지 않는다. 더불어, 딱닥하게 경질화된 고정부(240)는 절개라인(230)에 끼워진 스트랩(300)에 장력이 작용하더라도 마스크가 찢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복수 개의 부직포 원단이 공급롤러를 통해 함께 공급되어 성형롤러를 통과하면서 합지되는데, 이때 성형롤러에 문양을 형성하고, 문양이 형성된 성형롤러에 초음파를 가하여 고정부(240)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240)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압축되어 주변의 합지된 부드러운 부직포 원단보다 딱딱하게 경질화되기 때문에, 절개라인(230)에 끼워진 스트랩(300)을 가압하고 사용자가 마스크 착용하여 사용 중에 스트랩(300)이 유동되고자 하면 마찰력을 제공하여 더욱 효과적인 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절개라인(230)은 일단부에 상측 사선 방향으로 이루어진 사선단부(232)가 형성될 수 있고, 사선단부(232)는 마스크와 연결시킨 스트랩(300)을 귀에 걸어 착용시 스트랩(300)이 당겨지는 방향인 상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스트랩(300)을 귀에 걸어서 마스크 사용시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귀가 아프지 않고 보다 편하게 착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스트랩(300)은 절개라인(230)에 끼워져 고정부(240)에 의해 가압된 상태이긴 하지만, 스트랩(300)을 손으로 잡고 소정의 힘을 가하여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당겼다가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스트랩(300)이 가압된 상태로 이동 후 재고정되므로, 마스크 착용시 사용자에게 알맞게 스트랩(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스트랩(300)을 본체(100)와 분리시켜 보관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마스크에 새로운 구성을 결합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고정력과 길이 조절 기능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트랩연결부(200)는 중앙의 중앙부(233)로부터 3개의 라인이 방사상으로 분기된 "Y"자로 이루어진 절개라인(230)을 구비하고, 상기 절개라인(230)은 스트랩(300)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3개의 라인이 만나는 중앙부(233)를 통해 스트랩(300)의 단부가 인입되어 통과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절개라인(230)의 중앙부(233)의 일측에 "ㅡ"자로 형성되어 중앙부(233)로 인입된 스트랩(300)이 끼워지는 수평선부(231) 및 중앙부(233)의 타측에 각각 상·하부로 사선 방향으로 분기 형성되어 스트랩(300)의 인입시 벌어지면서 스트랩(300)의 단부가 용이하게 통과되도록 하는 분기선부(2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평선부(231)는 일단부에 상측 사선 방향으로 이루어진 사선단부(232)가 형성되어 스트랩(300)을 귀에 걸어서 마스크 사용시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귀가 아프지 않고 보다 편하게 착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트랩연결부(200)는 상기 절개라인(230)의 둘레에 초음파 융착에 의해 가압되어 두께가 주변보다 얇아지면서 경질화되어 절개라인(230)에 끼워진 스트랩(300)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부(2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부(240)의 구성 및 효과는 이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거의 동일하다.
또한, 상기 스트랩(300)은 절개라인(230)에 삽입되어 가압된 채 안밖으로 이동 가능하여 길이를 조절하거나 본체와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스트랩(300)은 본체(100)와 분리된 채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사용자는 마스크 착용시 스트랩(300)을 마스크 양 단부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스트랩연결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는 스트랩을 마스크 본체에 접착제나 초음파로 연결하거나, 마스크에 연결된 스트랩의 길이 조절을 위한 별도의 부재를 추가하여 제조함으로써, 제조비용과 시간이 상당히 소모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마스크 제조시 본체(100)와 스트랩(300)을 연결하지 않고 각각 분리된 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마스크 착용시 사용자가 스트랩(300)을 본체(100)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본체(100)에 스트랩(300)을 연결하기 위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마스크 연결 또는 길이 조절을 위한 별도의 새로운 공정이 부가되지 않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생산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으며, 더불어 스트랩(300)의 본체(100) 연결도 용이하고, 고정부(240)의 스트랩(300)에 대한 마찰 및 가압 효과로 고정력이 우수한 것이다.
상기 스트랩(300)은, 신축 가능한 탄성을 갖기 때문에 귀에 걸어 편하게 착용할 수 있고, 양단부에는 이탈방지용 돌기가 형성되거나, 플라스틱링과 같은 이탈방지용 부재가 더 부착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1)는 마스크의 본체와 스트랩이 분리된 상태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마스크 사용시 스트랩을 본체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스트랩의 본체 연결이 용이하며, 고정부의 스트랩에 대한 마찰 및 가압 효과로 고정력이 우수하여 스트랩이 느슨해 지는 것을 방지하고, 스트랩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귀가 아프지 않고 편안한 착용감 갖고, 본체에 스트랩을 연결하기 위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별도의 새로운 공정이 부가되지 않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마스크 100. 본체
110. 전면부 120. 상부
121. 클립 130. 하부
200. 스트랩연결부 210. 관통홀
220. 덮개 230. 절개라인
231. 수평선부 232. 사선단부
233. 중앙부 234. 분기선부
240. 고정부 300. 스트랩

Claims (7)

  1. 착용자의 호흡기를 가릴 수 있도록 안면에 착용되는 본체, 본체 양측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스트랩연결부, 및 본체와 분리된 채 제공되어 양 단부가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스트랩연결부를 관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신축 가능한 탄성을 갖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연결부는, 스트랩의 단부가 인입되어 관통되는 관통홀과, 관통홀에 접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관통홀을 개폐시키되 스트랩이 절개라인에 끼워진 후 관통홀을 폐쇄시켜 스트랩이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와, 관통홀과 연통되고 "ㅡ"자로 스트랩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관통홀로 인입된 스트랩이 이동되어 끼워지는 절개라인 및 절개라인의 둘레에 초음파 융착에 의해 가압되어 두께가 주변보다 얇아지면서 경질화되어 절개라인에 끼워진 스트랩에 대한 마찰 및 가압 효과로 스트랩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라인은 일단부에 상측 사선 방향으로 이루어진 사선단부가 형성되어 스트랩을 귀에 걸어 마스크 착용시 스트랩이 당겨지는 방향인 상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마스크를 편하게 착용할 수 있고,
    상기 스트랩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외력을 가하여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당겼다가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스트랩이 절개라인에 끼워져 가압된 상태로 이동 후 재고정되므로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본체와 분리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고정력과 편안한 착용감을 갖는 길이 조절 가능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
  2. 착용자의 호흡기를 가릴 수 있도록 안면에 착용되는 본체, 본체 양측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스트랩연결부, 및 본체와 분리된 채 제공되어 양 단부가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스트랩연결부를 관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신축 가능한 탄성을 갖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연결부는, 중앙의 중앙부로부터 3개의 라인이 방사상으로 분기된 "Y"자로 이루어지고 스트랩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스트랩의 단부가 인입되어 끼워지는 절개라인 및 절개라인의 둘레에 초음파 융착에 의해 가압되어 두께가 주변보다 얇아지면서 경질화되어 절개라인에 끼워진 스트랩에 대한 마찰 및 가압 효과로 스트랩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라인은 절개라인의 중앙에 형성되어 스트랩의 단부가 인입되어 통과되는 중앙부와, 중앙부의 일측에 "ㅡ"자로 형성되어 중앙부로 인입된 스트랩이 이동되어 끼워지는 수평선부 및 중앙부의 타측에 각각 상·하부로 사선 방향으로 분기 형성되어 스트랩이 중앙부로 인입시 벌어지면서 스트랩의 단부가 용이하게 인입되어 통과되도록 하는 분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선부는 일단부에 상측 사선 방향으로 이루어진 사선단부가 형성되어 스트랩을 귀에 걸어서 마스크 착용시 스트랩이 당겨지는 방향인 상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마스크를 편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상기 스트랩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외력을 가하여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당겼다가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스트랩이 절개라인에 끼워져 가압된 상태로 이동 후 재고정되므로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본체와 분리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고정력과 편안한 착용감을 갖는 길이 조절 가능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과 덮개는 스트랩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관통홀과 절개라인을 합치면 열쇠 형상으로 이루어져 관통홀을 통과한 스트랩을 절개라인에 끼워서 고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는 외면에 스트랩이 끼워지는 방향을 안내하는 화살표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고정력과 편안한 착용감을 갖는 길이 조절 가능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양단부에 이탈방지용 돌기가 형성되거나 이탈방지용 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고정력과 편안한 착용감을 갖는 길이 조절 가능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
KR1020200059509A 2020-05-19 2020-05-19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 KR102230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509A KR102230231B1 (ko) 2020-05-19 2020-05-19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509A KR102230231B1 (ko) 2020-05-19 2020-05-19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231B1 true KR102230231B1 (ko) 2021-03-18

Family

ID=7523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509A KR102230231B1 (ko) 2020-05-19 2020-05-19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2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938A (ko) * 2020-07-20 2022-01-27 (주)그로빅 탄성이어밴드 탈부착형 일회용 마스크
KR20220017210A (ko) * 2020-08-04 2022-02-11 이찬봉 분리형 걸이끈이 구비된 마스크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480Y1 (ko) 2006-04-06 2006-06-21 홍 종 노 탈착끈을 이용한 위생마스크
KR20070071962A (ko) * 2005-12-30 2007-07-04 손세화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
KR101893251B1 (ko) 2016-04-20 2018-08-29 박정호 걸이끈과 마스크의 연결을 위한 결합체가 조립되는 마스크
KR101925406B1 (ko) * 2018-04-23 2018-12-06 배수호 가드 마스크
KR200488541Y1 (ko) * 2018-06-14 2019-02-19 (주)아텍스 끈 조절 마스크
KR102060979B1 (ko) * 2019-05-16 2019-12-31 김회철 끈 조절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102095695B1 (ko) * 2019-10-23 2020-04-01 (주)피앤티디 끈 조절 마스크
KR102097152B1 (ko) * 2019-03-22 2020-04-03 주식회사 그린동화 끈 길이 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마스크
KR102099034B1 (ko) * 2019-01-17 2020-04-08 이진화 밴드 길이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KR102107161B1 (ko) * 2020-02-19 2020-05-07 이상국 마스크의 걸이끈 연결기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1962A (ko) * 2005-12-30 2007-07-04 손세화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
KR200419480Y1 (ko) 2006-04-06 2006-06-21 홍 종 노 탈착끈을 이용한 위생마스크
KR101893251B1 (ko) 2016-04-20 2018-08-29 박정호 걸이끈과 마스크의 연결을 위한 결합체가 조립되는 마스크
KR101925406B1 (ko) * 2018-04-23 2018-12-06 배수호 가드 마스크
KR200488541Y1 (ko) * 2018-06-14 2019-02-19 (주)아텍스 끈 조절 마스크
KR102099034B1 (ko) * 2019-01-17 2020-04-08 이진화 밴드 길이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KR102097152B1 (ko) * 2019-03-22 2020-04-03 주식회사 그린동화 끈 길이 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마스크
KR102060979B1 (ko) * 2019-05-16 2019-12-31 김회철 끈 조절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102095695B1 (ko) * 2019-10-23 2020-04-01 (주)피앤티디 끈 조절 마스크
KR102107161B1 (ko) * 2020-02-19 2020-05-07 이상국 마스크의 걸이끈 연결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938A (ko) * 2020-07-20 2022-01-27 (주)그로빅 탄성이어밴드 탈부착형 일회용 마스크
KR102400721B1 (ko) 2020-07-20 2022-05-24 (주)그로빅 탄성이어밴드 탈부착형 일회용 마스크
KR20220017210A (ko) * 2020-08-04 2022-02-11 이찬봉 분리형 걸이끈이 구비된 마스크
KR102510088B1 (ko) 2020-08-04 2023-03-15 이찬봉 분리형 걸이끈이 구비된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363Y1 (ko) 걸이 밴드 길이 조절구가 구비된 호흡기용 보건 마스크
KR102230231B1 (ko)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
US2735432A (en) hudson
JP2020193426A (ja) 長さ調節部付き機能性マスク
KR102218859B1 (ko) 안경 착용자용 마스크
RU2010109070A (ru) Клапан и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ремешка для одноразового респиратора
KR200493411Y1 (ko) 마스크 착용밴드
KR102259991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귀걸이부를 구비한 접이식 안면 마스크
KR20100010454U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귀걸이부를 가지는 안면 마스크
KR102287338B1 (ko) 다기능성 마스크
KR102232316B1 (ko) 마스크용 걸이밴드 결속부재
KR20210115572A (ko) 길이 조절 마스크
KR102400721B1 (ko) 탄성이어밴드 탈부착형 일회용 마스크
WO2021235568A1 (ko) 스트랩 부착형 마스크
KR102317939B1 (ko) 마스크 착용밴드
KR102322682B1 (ko) 마스크 착용장치
JP2001104501A (ja) マスク保持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マスク
KR102312311B1 (ko) 안면 마스크
TWM471893U (zh) 具造型圖案之口罩
KR102390089B1 (ko) 마스크
KR102654950B1 (ko) 마스크 가드 탈부착식 마스크
KR102529557B1 (ko) 착탈과 단계별 당김조절 기능을 구비한 안면 밀착 마스크
KR200347005Y1 (ko) 마스크
KR20220038891A (ko) 탈부착형 귀걸이끈을 갖는 안면 마스크
KR20220060111A (ko) 안면 부착형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