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094B1 -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2D and 3D - Google Patents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2D and 3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094B1
KR102229094B1 KR1020180146649A KR20180146649A KR102229094B1 KR 102229094 B1 KR102229094 B1 KR 102229094B1 KR 1020180146649 A KR1020180146649 A KR 1020180146649A KR 20180146649 A KR20180146649 A KR 20180146649A KR 102229094 B1 KR102229094 B1 KR 102229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image
unit
recepto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6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1185A (en
Inventor
허영
이영국
Original Assignee
(주)쌈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쌈디 filed Critical (주)쌈디
Priority to KR1020180146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094B1/en
Publication of KR20200061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1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0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된 제1수용체와 하부가 개구된 제2수용체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제1수용체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입력된 영상을 확대 투영하는 프로젝터와, 상기 제1수용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회동되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위치되는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유닛의 끝단에서 회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로젝터에 의해 투영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형성되는 스크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image output device for both 2D and 3D, in which a housing consisting of a first receptor with an open upper portion and a second receptor with an open lower portion, and a housing form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first receptor to enlarge an input image Projecting projector, a support unit formed inside the first receptor and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housing when it is rotated, and a screen formed to rotate at the end of the support unit and formed to display an image projected by the project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nit.

Description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2D and 3D}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2D and 3D}

본 발명은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젝터 및 주변기기를 쉽게 휴대할 수 있으며 설치가 간단하여 실내 및 야외에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both 2D and 3D, and more particularly, a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both 2D and 3D that can easily carry a projector and peripheral devices and output images indoors and outdoors because installation is simpl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프로젝터는 TV, VCR, DVD player, PC, 캠코더 등의 각종 영상기기들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렌즈를 통해 확대한 영상을 스크린 상에 나타내는 장비이다.In general, a projector is a device that receives signals from various video devices such as TVs, VCRs, DVD players, PCs, and camcorders and displays an enlarged image through a lens on a screen.

프로젝터는 빛을 이용하여 영상을 투사시키기 때문에 상이 맺히는 스크린이 반드시 필요하며, 스크린의 크기에 맞춰 영상이 출력되도록 스크린의 전면에서 이격된 위치에 프로젝터가 위치되게 된다.Since the projector uses light to project an image, a screen with an image is indispensable, and the projector is positioned in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front of the screen so that the image is outpu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creen.

이러한 프로젝터와 스크린은 실내 공간에서 위치가 고정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휴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최근 프로젝터가 점차 소형화, 경량화 됨에 따라 프로젝터를 휴대하여 캠핑, 야유회 등 실외에서 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니즈(Needs)가 증가하고 있다.Since these projectors and screens are used in a fixed position in an indoor space, their portability is poor.However, as projectors are gradually becoming smaller and lighter in recent years, the needs of consumers who want to watch videos outdoors such as camping and outings by carrying a projector. (Needs) is increasing.

그러나 프로젝터가 소형화, 경량화 되어 휴대성이 높아져 야외에서 프로젝터를 설치하여 손쉽게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되었으나, 상이 맺히도록 하는 스크린은 휴대성이 떨어지고 야외에서 설치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projector has been miniaturized and lightened, it is possible to easily output an image by installing the projector outdoors,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creen for forming an image is poor in portability and is inconvenient to install outdoor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등록 실용신안 제20-0479383호는 휴대용 롤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제1 및 하부 제2 스크롤바(2, 3)와, 상기 제1 및 제2스크롤바(2, 3)에 상하단이 연결된 스크린시트로 구성된 바디(1), 상기 제1스크롤바(2)에 결합되는 제1그랩(10), 및 상기 제1그랩(10)과 연결되고 상기 제2스크롤바(3)와 결합되는 제2그랩(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또는 제2그랩(10, 20)의 각 몸체에는 걸이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또는 제2그랩(10, 20)은 상하에 구비된 힌지핀(53)에 의하여 연결된 반구형 분체(51)로 구성되고, 이 반구형 분체(51)는 힌지핀(53)을 축으로 하여 선회하는 형태에 따라 제1 또는 제2 스크롤바(2, 3)를 감싸는 원형 클램핑부 또는 반구형 클램핑부를 구성하고, 반구형 클램핑부로 변형되는 경우, 상부 힌지핀(53) 아래에는 두 반구형 분체(51) 각각의 요입홈(57)이 합쳐져 걸이부(30)를 포함하는 것이다.Korean Utility Model No. 20-0479383 for solving this problem relates to a portable roll screen, and includes upper first and lower second scroll bars (2, 3), and the first and second scroll bars (2, 3). The body (1) consisting of a screen sheet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the first grab (10) coupled to the first scroll bar (2), and the first grab (10) and coupled to the second scroll bar (3) Consisting of including a second grab (20), each body of the first or second grab (10, 20) has a hook portion (30) is formed, the first or second grab (10, 20) The silver is composed of a hemispherical powder 51 connected by a hinge pin 53 provided at the top and bottom, and the hemispherical powder 51 is a first or second scroll bar ( 2, 3) is composed of a circular clamping portion or a hemispherical clamping portion surrounding the, and in the case of being transformed into a hemispherical clamping portion, under the upper hinge pin 53, the concave grooves 57 of each of the two hemispherical powders 51 are combined and the hook portion 30 ).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이용하면 보관 또는 운반시 간편하면서 안정적으로 위치를 고정시켜, 스크린의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The use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being easy to install and release the screen by simply and stably fixing the position during storage or transporta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프로젝터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젝터와 스크린을 여전히 별도로 휴대해야 하고, 설치시 프로젝터와 스크린의 거리를 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are separated from the project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must be separately carri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must be adjusted during installation.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프로젝터의 영상이 스크린에 잘 투사되도록 스크린에 맞춰 프로젝터의 초점, 각도, 수평, 높이를 일일이 맞춰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ocus, angle, horizontal, and height of the projector must be individu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creen so that the image of the projector is well projected on the screen.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스크린을 말아 스크린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으나 스크린의 폭은 고정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screen can be reduced by rolling the screen, but since the width of the screen is fix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size is increased.

한국등록 실용신안 제20-0479383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938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젝터와 스크린을 함께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으며, 야외에서도 설치가 간편한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portable image output device for both 2D and 3D that can be carried by storing a projector and a screen together, and easy to install even outdoor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젝터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여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조정할 필요가 없는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2D and 3D image output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adjustment of an image output from the projector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is consta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린을 고정하는 프레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휴대할 때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2D and 3D video output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overall size when carrying the screen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frame fixing the scree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는 상부가 개구된 제1수용체와 하부가 개구된 제2수용체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제1수용체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입력된 영상을 확대 투영하는 프로젝터와, 상기 제1수용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회동되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위치되는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유닛의 끝단에서 회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로젝터에 의해 투영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형성되는 스크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2D and 3D portable image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a housing consisting of a first receptor with an open top and a second receptor with an open bottom, and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receptor and input. A projector that enlarges and projects an image, a support unit positioned in the front of the housing when it is rotated and formed inside the first receptor, and a support unit that is formed to rotate at the end of the support unit so that the image projected by the projector is display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creen unit to be formed.

본 발명의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는 상기 프로젝터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로젝터를 상기 제1수용체의 상부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스크린 유닛에 맞춰 상기 프로젝터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2D and 3D portable image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n elevating unit formed under the projector to move the projector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first recepto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rojector according to the screen unit. It is characterized by that.

본 발명의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는 상기 제1수용체 내부에서 상기 프로젝터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프로젝터의 하부를 지지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하부에 형성되며 다수의 링크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면서 상기 승강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2D and 3D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lifting unit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projector inside the first receptor, wherein the lifting unit includes a lifting platform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projector, and formed under the lifting platform.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eight adjustment rod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elevator platform while a plurality of links are folded or unfolded.

본 발명의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의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제1수용체의 상부에서 회동되도록 형성되며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1수용체의 전면 방향에 위치되는 제1회동대와, 상기 제1회동대의 일단에서 회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유닛의 각도를 조정하는 제2회동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unit of the portable 2D and 3D image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rotate above the first receptor and is position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first receptor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firs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rotate at one end of the rotation table, and is connected to the screen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cond rotation stage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screen unit.

본 발명의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는 상기 제2수용체의 내부에서 회동되도록 형성되며 길이가 연장되어 상기 스크린 유닛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2D and 3D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fixing unit that is formed to rotate inside the second receptor and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creen unit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en unit to fix the screen unit. do.

본 발명의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의 상기 스크린유닛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중공으로 이루어진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조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및 상기 조정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영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creen unit of the portable 2D and 3D video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has a hollow fixing frame, and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frame and is formed to exten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 frame, and a screen formed on outer surfaces of the fixed frame and the adjustment frame to display an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본 발명의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는 상기 프로젝터의 렌즈 전면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DLP_Link 방식의 3차원 영상의 싱크(Sync)에 맞춰 전압이 On, Off 되면서 우원편광과 좌원편광을 반복하여 DLP_Link 방식의 3차원 영상을 편광안경방식의 3차원 영상으로 변환시키는 영상변환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2D and 3D portable image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rotate toward the front of the lens of the projector, and the voltage is turned on and off in accordance with the synchronization of the DLP_Link method 3D image output from the project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mage conversion filter for converting the 3D image of the DLP_Link method into a 3D image of the polarized glasses method by repeating polarization.

본 발명의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의 상기 스크린유닛과 상기 프로젝터 사이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빛이 투입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암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lackout member formed so as to surround between the screen unit and the projector of the combined 2D and 3D portable image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light does not enter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의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스크린유닛의 후면에 영상을 투사하고, 상기 스크린유닛의 전면에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jector of the portable 2D and 3D image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is projected on the rear side of the screen unit, and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front side of the screen unit.

본 발명의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의 상기 제1수용체와 상기 제2수용체는 힌지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체와 상기 제2수용체가 열리거나 닫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각종 유닛 및 부재를 수용하여 휴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receptor and the second receptor of the portable 2D and 3D video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hinged and formed to be rotatable, and the first receptor and the second receptor are opened or closed to provide various types in the hous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accommodate and carry the unit and memb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에 의하면 프로젝터와 스크린을 함께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으며, 야외에서도 설치가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rtable 2D and 3D video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can be stored and carried together, and installation is easy even outdoor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에 의하면 프로젝터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여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조정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rtable 2D and 3D imag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re is no need to adjust the image output from the projector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is consta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에 의하면 스크린을 고정하는 프레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휴대할 때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2D and 3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frame fixing the screen can be adjusted, so that the overall size can be reduced when carrying.

도 1은 종래 기술인 휴대용 롤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의 영상이 투사되도록 스크린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의 스크린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의 고정유닛과 스크린유닛이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의 프로젝터가 영상을 투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이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ortable roll scree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een installed to project an image of a portable 2D and 3D imag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creen is removed of the portable image output device for both 2D and 3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unit and the screen unit of the combined 2D and 3D portable imag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jector of a portable image output device for both 2D and 3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jects an imag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2D and 3D video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a housing.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pecific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젝터 및 주변기기를 쉽게 휴대할 수 있으며 설치가 간단하여 실내 및 야외에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both 2D and 3D, and more particularly, a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both 2D and 3D that can easily carry a projector and peripheral devices and output images indoors and outdoors because installation is simple. It is abou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의 영상이 투사되도록 스크린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een installed to project an image of a portable 2D and 3D imag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는 상부가 개구된 제1수용체(110)와 하부가 개구된 제2수용체(120)로 이루어진 하우징(100)과, 제1수용체(11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입력된 영상을 확대 투영하는 프로젝터(200)와, 제1수용체(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회동되면 하우징(100)의 전면에 위치되는 지지유닛(400)과, 지지유닛(400)의 끝단에서 회동되도록 형성되며 프로젝터(200)에 의해 투영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형성되는 스크린유닛(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ure 2, the 2D and 3D combined portable imag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100 made of a first receptor 110 with an open top and a second receptor 120 with an open bottom, The projector 200 is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first receptor 110 to enlarge and project the input image, and the support unit located in the front of the housing 100 when it is formed inside the first receptor 110 and rotates ( 400), and a screen unit 600 formed to rotate at an end of the support unit 400 and formed to display an image projected by the projector 200.

또한 프로젝터(2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프로젝터(200)를 제1수용체(110)의 상부 방향으로 이송시켜 스크린(610) 유닛에 맞춰 프로젝터(2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유닛(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lifting unit 300 formed under the projector 200 to move the projector 200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first receptor 11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rojector 200 according to the screen 610 unit is further provid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또한 제2수용체(120)의 내부에서 회동되도록 형성되며 길이가 연장되어 스크린(610) 유닛의 상부와 연결되어 스크린유닛(600)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unit 500 that is formed to rotate in the inside of the second receptor 120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en 610 unit to be extended in length to fix the screen unit 600.

하우징(100)은 상부가 개구된 제1수용체(110)와 하부가 개구된 제2수용체(1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수용체(110)의 후면과 제2수용체(120)의 후면에는 경첩(130)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housing 100 is composed of a first receptor 110 with an open upper portion and a second receptor 120 with an open lower portion, and a hinge ( 130) is hinged and formed to be rotated.

이때 제2수용체(120)는 경첩(130)에 의해 개구된 하부면이 제1수용체(110)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회동되거나, 개구된 하부면이 제1수용체(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receptor 120 is rotated so that the lower surface opened by the hinge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ceptor 110, or the opened low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ceptor 110 If possible, it will be possible to meet.

즉, 제1수용체(110)와 제2수용체(120)는 회동 방향에 따라 내부에 형성된 프로젝터(200), 승강유닛(300), 지지유닛(400), 고정유닛(500), 스크린유닛(600)을 내부에 보관하거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first receptor 110 and the second receptor 120 are formed in the projector 200, the lifting unit 300, the support unit 400, the fixing unit 500, the screen unit 600 formed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 Can be stored inside or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제1수용체(110)와 제2수용체(120) 외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100)을 손으로 잡아 휴대할 수 있으며, 바퀴가 추가로 구비되는 경우 바퀴를 이용하여 하우징(100)을 끌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handl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ceptors 110 and 120, so that the housing 100 can be held and carried. You can move while dragging.

지지유닛(400)은 제1수용체(110)의 전면 상부에서 제1수용체(110)에 의해 지지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회동방향에 따라 제1수용체(110)의 개구된 상부에 위치되거나 하우징(100)의 전면에 위치되게 되게 된다.The support unit 400 is supported by the first receptor 110 at the top of the front of the first receptor 110 and is formed to be rotatable, and is located in the open upper part of the first receptor 110 or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It will be located in front of 100.

스크린유닛(600)은 지지유닛(400)의 끝단에 형성된 후 지지유닛(400)으로부터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외면에는 스크린(610)이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프로젝터(200)에서 투사되는 영상이 스크린(610)에 비춰져 상이 맺혀질 수 있게 된다.After the screen unit 60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ort unit 400, it can be rotated in the front or rear direction from the support unit 400, and the screen 610 is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ojector 200. The image projected from is projected on the screen 610 so that an image can be formed.

승강유닛(300)은 제1수용체(110)의 내부 중앙에 위치되어 프로젝터(200)를 제1수용체(110) 상부로 상승시키거나 제1수용체(110) 내부로 하강시켜 프로젝터(20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며, 프로젝터(200)를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켜 스크린(610)의 정중앙에서 프로젝터(200)의 영상이 투사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The elevating unit 300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first receptor 110 to raise the projector 200 to the top of the first receptor 110 or lower the first receptor 110 to the height of the projector 200. Is adjusted, and by raising the projector 200 to a set height, the image of the projector 200 can be projected from the center of the screen 610.

고정유닛(500)은 제2수용체(120) 내측에서 회동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스크린유닛(6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스크린유닛(600)의 상부가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fixing unit 500 is formed to rotate inside the second receptor 120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en unit 600 to fix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en unit 600 so as not to rotate.

이때 하우징(100)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스크린(610)의 각도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하는데, 스크린유닛(600)이 회동된 각도에 맞춰 고정유닛(50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스크린유닛(600)이 회동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유닛(500)이 결합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angle of the screen 610 needs to be changed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housing 100 is installed, but the length of the fixing unit 50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screen unit 600 is rotated. The fixing unit 500 may be coupled so that the screen unit 600 is maintained in a rotated state.

또한 프로젝터(200)는 스크린유닛(600)의 후면에 영상을 투사하고, 스크린유닛(600)의 전면에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jector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is projected on the rear of the screen unit 600, and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screen unit 600.

프로젝터(200)는 제1수용체(110)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전원 및 영상신호를 공급받아 제1수용체(110)의 전면에 위치된 스크린유닛(600)에 영상을 투사하게 된다.The projector 200 is formed inside the first receptor 110 and receives power and an image signal from the outside to project an image onto the screen unit 600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receptor 110.

이때 스크린(610) 유닛에 형성된 스크린(610)은 반투명하게 형성되어 후면을 통해 화면이 투사되고, 투과된 영상을 전면에서 볼 수 있도록 형성된 리어스크린(610)으로 형성되어 있어 스크린(610) 전면에서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screen 610 formed on the screen 610 unit is formed to be translucent, so that the screen is projected through the rear side, and is formed of a rear screen 610 formed so that the transmitted image can be viewed from the front side. You can see the video.

또한 프로젝터(200)의 렌즈 전면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되며 프로젝터(200)에서 출력되는 DLP_Link 방식의 3차원 영상의 싱크(Sync)에 맞춰 전압이 On, Off 되면서 우원편광과 좌원편광을 반복하여 DLP_Link 방식의 3차원 영상을 편광안경방식의 3차원 영상으로 변환시키는 영상변환필터(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formed to rotate toward the front of the lens of the projector 200, and the voltage is turned on and off in accordance with the synchronization of the DLP_Link method 3D image output from the projector 200, and the right circular polarization and the left circular polarization are repeat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mage conversion filter 210 for convert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polarized glasses method.

영상변환필터(210)는 프로젝터(200)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2D인 경우 프로젝터(200)의 상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위치되며, 프로젝터(200)의 출력 영상이 3D인 경우 렌즈 전면에 위치되도록 회동되게 된다.When the image output from the projector 200 is 2D, the image conversion filter 210 is positioned to be rot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projector 200, and when the image output from the projector 200 is 3D, the image conversion filter 21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lens. Will meet.

이때 영상변환필터(210)는 프로젝터(200)에서 DLP_Link 방식의 3차원 영상이 출력되면 전압에 의해 On, Off 되고, 전압이 On 일 경우 스크린(610)에 우원편광 영상만 출력되도록 하고, 반대로 전압이 off 될 경우 좌원편광 영상만 출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image conversion filter 210 is turned on and off by voltage when the 3D image of the DLP_Link method is output from the projector 200, and when the voltage is On, only the right-circularly polarized image is output to the screen 610, and vice versa. When is off, only the left circularly polarized image is output.

즉, 영상변환필터(210)의 전압을 On, Off 함으로써 DLP_Link 방식의 3차원 영상을 우원편광과 좌원편광 영상으로 분리하여 스크린(610)에 출력되고, 편광안경을 착용하면 스크린(610)에 투영된 영상 중 좌원편광은 편광안경의 왼쪽 렌즈만 볼 수 있게 되며, 우원편광은 편광안경의 오른쪽 렌즈로 볼 수 있게 되어 양안시차에 의해 입체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That is, by turning on and off the voltage of the image conversion filter 210, the 3D image of the DLP_Link method is divided into right and left circularly polarized images, and is output to the screen 610, and is projected on the screen 610 when wearing polarized glasses. Among the images, the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can be viewed only with the left lens of the polarized glasses, and the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can be viewed with the right lens of the polarized glasses, so that the stereoscopic image can be viewed by binocular parallax.

따라서 영상변환필터(210)를 통해 고가의 셔터글라스를 이용하여 3D 영상을 볼 수 있던 영상을 저가의 편광안경으로도 볼 수 있게 되며, 영상변환필터(2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프로젝터(200)와 연결되어 영상신호에 맞춰 편광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rough the image conversion filter 210, an image that was able to view a 3D image using an expensive shutter glass can be viewed with low-cost polarized glasses, and the image conversion filter 210 is a wired or wireless projector 200 It is connected to and can output a polarized image according to the image signal.

또한 스크린유닛(600)과 프로젝터(200) 사이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빛이 투입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암막부재(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lackout member (not shown) formed to surround the screen unit 600 and the projector 200 so as not to input light from the outside.

암막부재(도시되지 않음)는 프로젝터(200)에서 스크린(610)에 영상을 투사할 때 프로젝터(200)와 스크린유닛(600) 사이에 빛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스크린(610) 전면에서 영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blackout member (not shown) prevents light from entering between the projector 200 and the screen unit 600 when projecting an image from the projector 200 to the screen 610, so that the image is displayed from the front of the screen 610. This is to make it appear clearly.

이때 암막부재(도시되지 않음)는 고정유닛(500), 제2수용체(120), 스크린유닛(600)의 상부와 양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게 되며, 고정유닛(500), 제2수용체(120), 스크린유닛(600)의 상부에 걸쳐져 지지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blackout member (not shown) is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and both sides of the fixing unit 500, the second receptor 120, and the screen unit 600, and the fixing unit 500, the second receptor 120 , It is possible to be supported 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en unit 60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의 스크린(610)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creen 610 of the portable image output device for both 2D and 3D is remo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의 승강유닛(300)은 프로젝터(2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승강대(310)와, 승강대(310)의 하부에 형성되며 다수의 링크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면서 승강대(3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대(3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3, the lifting unit 300 of the portable 2D and 3D imag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under the lifting platform 310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projector 200 and the lifting platform 310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height adjuster 32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ifting platform 310 while a plurality of links are folded or unfolded.

승강유닛(300)의 승강대(310)는 프로젝터(2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에는 프로젝터(200)가 측면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가장자리가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fting platform 310 of the lifting unit 3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so that the projector 200 can be mounted, and it is preferable that an edge protrudes upward so that the projector 200 does not fall to the side.

또한 하우징(100)을 휴대하여 이동될 때 프로젝터(200)를 승강판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어 프로젝터(20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fixing means (not shown) is formed to fix the projector 200 to the elevator plate when it is moved by carrying the housing 10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rojector 200 can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It is desirable.

높이조절대(320)는 X자 형태로 중앙이 축 결합된 링크가 다수 개 형성되어 있으며, 각 링크는 끝단은 서로 축 결합에 의해 연결되고 상부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height adjuster 320 has a plurality of links whose center is axially coupled in an X-shape, and the ends of each link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xial coupling and stacked in an upper direction.

이때 각 링크 중 최상단에 위치한 링크는 승강대(310)의 하부면과 연결되고, 최하단에 위치한 링크는 제1수용체(110)의 내측면과 연결되어 있어 승강대(310)의 높낮이 위치에 맞춰 높이조절대(320)가 승강대(31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link located at the top of each link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or platform 310, and the link located at the bottom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ceptor 110. (320) is able to support the lifting platform 310.

또한 높이조절대(320)는 X자로 형성된 각 링크가 가로 방향으로 회동되면 승강대(31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각 링크가 세로 방향으로 회동되면 승강대(31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In addition, in the height adjustment platform 320, when each link formed in an X-shape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eight of the elevator platform 310 decreases, and when each link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eight of the elevator platform 310 increases.

이때 높이조절대(320)가 승강대(310)를 원하는 높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정된 하중보다 높은 하중이 발생한 경우에만 높이조절대(320)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거나, 모터에 의해 전동으로 높이가 조절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height adjuster 320 may move only when a load higher than the set load occurs so that the height adjuster 320 can fix the lifting platform 310 to a desired height, or the height may be adjusted electrically by a motor. It can also be formed.

지지유닛(400)은 제1수용체(110)의 상부에서 회동되도록 형성되며 회동 방향에 따라 제1수용체(110)의 전면 방향에 위치되는 제1회동대(410)와, 제1회동대(410)의 일단에서 회동되도록 형성되며 스크린유닛(600)과 연결되어 스크린유닛(600)의 각도를 조정하는 제2회동대(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unit 400 is formed to rotate from the top of the first receptor 110 and is position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first receptor 110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first rotation table 410 and the first rotation table 410 ) Is formed to rotate at one end of the screen unit 600 and is connected to the screen unit 600 to adjust the angle of the screen unit 600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cond rotation table 420.

지지유닛(400)은 스크린유닛(600)을 제1수용체(110)의 전면 외측에 위치시키고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회동대(410)와 제2회동대(420)로 이루어져 있다.The support unit 400 is for positioning and supporting the screen unit 600 on the out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receiver 110, and is composed of a first rotating table 410 and a second rotating table 420.

제1회동대(410)의 일단은 제1수용체(110)의 전면 내측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지름 또는 크기가 서로 다른 파이프가 다단으로 삽입되어 있어 삽입된 파이프를 빼내어 길이를 연장하거나 내부로 삽입하여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One end of the first rotating table 410 is rotatably formed on the front inner upper part of the first receptor 110, and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sizes are inserted in multiple stages, so that the inserted pipe is removed to extend the length or It can be inserted inside to shorten the length.

즉, 제1회동대(410)를 이용하여 스크린유닛(600)이 프로젝터(200)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1회동대(410)가 최대로 연장되었을 때 스크린유닛(600)이 프로젝터(200)로부터 최적화된 거리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by using the first rotating table 410, the distance the screen unit 600 is separated from the projector 200 can be adjusted, and when the first rotating table 410 is extended to the maximum, the screen unit 600 is It is desirable to have an optimized distance from the projector 200.

또한 제1회동대(410)는 외부로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파이프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otating table 410 is provided with a pressing means (not shown) to fix the position of the pipe protruding or inserted to the outside.

제2회동대(420)는 제1회동대(410)의 타단에는 제2회동대(420)가 회동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2회동대(420)는 스크린유닛(600)과 제1회동대(410)를 연결시키고 스크린유닛(600)이 회동되었을 때 제1회동대(41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스크린유닛(600)을 제1회동대(410)로부터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rotating table 420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rotating table 420 is rotat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ng table 410, and the second rotating table 420 includes the screen unit 600 and the first rotating table. The role of separating the screen unit 600 from the first rotating table 410 so that the screen unit 60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table 410 when the screen unit 600 is rotated. Do it.

즉, 제2회동대(420)는 스크린유닛(600)과 축 결합되어 있어 스크린유닛(600)이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하며, 스크린유닛(600)이 제1수용체(110) 내부에 적재될 때 제1회동대(410)로부터 이격된 스크린유닛(600)이 제1회동대(410)의 상부에 평행하게 포개어 질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second rotation table 420 is axially coupled to the screen unit 600 so that the screen unit 600 can freely rotate, and when the screen unit 600 is loaded inside the first receptor 110 The screen unit 60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otating table 410 may be superimposed on the top of the first rotating table 410 in parallel.

스크린유닛(600)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중공으로 이루어진 고정프레임(620)과, 고정프레임(620)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조정프레임(621)과, 고정프레임(620) 및 조정프레임(621)의 외면에 형성되어 프로젝터(200)에서 투영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스크린(61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creen unit 600 includes a fixed frame 620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formed of a hollow, and an adjustment frame 621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fixed frame 620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 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620 and the adjustment frame 621,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creen 610 to display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200.

스크린유닛(600)의 고정프레임(620)은 조정프레임(621)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형성된 고정프레임(620)은 하부면에 지지유닛(400)의 제2회동대(420)와 축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fixing frame 620 of the screen unit 600 i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frame 621, and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and the fixing frame 620 formed at the lower surface is the support unit 400 ) Is formed to be axially coupled with the second rotation table 420.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고정프레임(620)은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조정프레임(6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고정프레임(620)의 크기는 양측에 삽입되는 조정프레임(621)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frames 620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formed in a hollow shape so that the adjustment frames 621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can be inserted, and the size of the fixing frame 620 is the adjustment frames 621 inserted on both sides. It is preferable that the) should be formed in a size that can be inserted.

조정프레임(621)은 스크린유닛(600)의 가로와 세로 길이를 스크린(610)의 크기에 맞춰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고정프레임(620)의 양측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adjustment frame 621 is for adjust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 of the screen unit 60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creen 610, and has a U shape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fixing frame 620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s formed.

또한 ㄷ자로 형성된 조정프레임(621)은 중단의 세로축을 기준으로 상단과 하단의 지름 또는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 형성된 파이프가 하단에 형성된 파이프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세로 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frame 621 formed in a U shape has different diameters or size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based on the vertical axis of the middle, and is formed so that the pipe formed at the top can be inserted into the pipe formed at the lower end. It become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조정프레임(621)의 중단에는 하단 파이프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상단 파이프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가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어 가압력에 의해 상단 파이프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At the middle of the adjustment frame 621, a pressing means (not shown) is form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upper pi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wer pipe, so that the upper pipe can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by the pressing force. do.

또한 조정프레임(621)은 고정프레임(620) 내부로 삽입되거나 고정프레임(620) 외부로 돌출되어 가로 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고정프레임(620)에는 가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어 조정프레임(62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frame 621 is inserted into the fixed frame 620 or protruded out of the fixed frame 620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pressing means (not shown) is formed in the fixed frame 620 It is possible to fix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frame 621.

따라서 스크린유닛(600)은 고정프레임(620)과 조정프레임(621)에 의해 스크린(610)의 크기에 따라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screen unit 600 can be changed in size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creen 610 by the fixed frame 620 and the adjustment frame 621.

고정유닛(500)은 스크린유닛(600)의 상부를 고정시켜 스크린유닛(600)이 중력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크린유닛(600)이 회동된 각도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지름 또는 크기로 형성된 파이프가 다단으로 삽입 및 돌출되는 고정대(510)로 이루어져 있다.The fixing unit 500 is for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en unit 600 to prevent the screen unit 600 from being rotated by gravity, and to fix the angle at which the screen unit 600 is rotated. The formed pipe is composed of a fixing stand 510 that is inserted and protruded in multiple stages.

고정대(510)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유닛(600)이 위치한 거리까지 길이가 연장될 수 있게 되며 반대로 제2수용체(120) 내부로 보관될 때는 제2수용체(12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가 짧아질 수 있게 된다.Since the fixing table 510 is formed in multiple stages, the length can be extended to the distance where the screen unit 600 is located. Conversely, when stored inside the second receptor 120, it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ptor 120. The length can be shortened so that it is possible.

또한 고정대(510)는 연장되거나 돌출되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가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member 510 is provided with a pressing means (not shown) so that the extended or protruding position can be fix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의 고정유닛(500)과 스크린유닛(600)이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unit 500 and the screen unit 600 of the portable 2D and 3D video output device are coup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의 고정유닛(500)은 스크린유닛(60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홈(622)에 삽입되어 스크린유닛(6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the fixing unit 500 of the portable 2D and 3D video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622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en unit 6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s fixed.

스크린유닛(600)의 조정프레임(621)에는 고정유닛(50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T자 형태로 파여진 고정홈(622)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유닛(500)의 고정대(510) 끝단은 T자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단(520)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단(520)이 고정홈(622)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The adjustment frame 621 of the screen unit 600 is formed with a fixing groove 622 dug in a T-shape so that the fixing unit 500 can be inserted and fixed, and the fixing base 510 of the fixing unit 500 ) The end is formed with a fixing end 520 formed in a T-shape so that the fixing end 520 can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622.

고정단(520)에 고정홈(622)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대(510)의 길이가 가변되지 않도록 고정대(510)에 형성된 가압수단(도시되지 않음)으로 고정대(510)의 길이를 고정시키면 스크린유닛(600)이 전면 또는 후면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length of the fixing base 510 is fixed with a pressing means (not shown) formed on the fixing base 510 so that the length of the fixing base 510 does not chang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622 in the fixing end 520, the scree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it 600 from moving to the front or rear any mor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의 프로젝터(200)가 영상을 투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jector 200 of the portable 2D and 3D imag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jects an imag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의 프로젝터(200)는 스크린유닛(600)의 후면에 영상을 투사하고, 스크린유닛(600)의 전면에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5, the projector 200 of the portable 2D and 3D imag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jects an image on the rear of the screen unit 600, and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screen unit 600.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스크린유닛(600)에 형성된 스크린(610)은 리어스크린(610)으로 형성되어 있어 후면에서 프로젝터(200)가 영상을 투사하면 스크린(610)의 전면에서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되므로 야외에서 프로젝터(200)를 사용할 때 프로젝터(200)와 스크린(610) 사이의 간격이 넓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프로젝터(200)를 이용하여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The screen 610 formed on the screen unit 600 is formed of a rear screen 610, so when the projector 200 projects an image from the rear, the image can be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screen 610, so that the projector ( When using 200),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projector 200 and the screen 610 does not need to be wide, it is convenient to use and can enjoy an image using the projector 200 even in a narrow space.

또한 스크린(610)은 자석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린유닛(600)과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screen 610 is formed with a magnet, it is preferable to make it easy to attach and detach from the screen unit 600.

승강유닛(300)은 수직으로 이동되어 프로젝터(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스크린(610)의 중앙을 향해 영상을 투사할 수 있게 된다.The lifting unit 300 can be moved verticall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projector 200 so that an image can be proj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screen 610.

지지유닛(4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스크린유닛(600)과 프로젝터(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고, 회동에 의해 스크린유닛(600)을 하우징(100)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 distance between the screen unit 600 and the projector 200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upport unit 400, and the screen unit 600 may be moved into the housing 100 by rotation.

스크린유닛(600)은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될 때는 크기를 줄이고, 외부에 위치될 때는 스크린(610)의 크기에 맞춰 크기를 늘릴 수 있게 된다.Since the screen unit 600 can be adjusted in length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size of the screen unit 600 can be reduced when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can be increased in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creen 610 when positioned outside. .

고정유닛(500)은 스크린유닛(600)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스크린유닛(600)까지 길이가 연장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 내부에 수납될 때는 길이를 줄여 회동에 의해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The fixing unit 500 may be extended to the screen unit 600 so as to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en unit 600, and when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0, the length is reduced and the housing 100 is rotated. It can be inserted insid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이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mbined 2D and 3D portable imag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의 제1수용체(110)와 제2수용체(120)는 힌지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1수용체(110)와 제2수용체(120)가 열리거나 닫혀 하우징(100) 내부에 각종 유닛 및 부재를 수용하여 휴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6, the first receptor 110 and the second receptor 120 of the portable 2D and 3D video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hinge-coupled to be rotatable, and the first receptor 110 ) And the second receptor 120 are opened or closed to accommodate and carry various units and members in the housing 100.

제1수용체(110)에는 승강유닛(300), 프로젝터(200), 지지유닛(400), 스크린유닛(600)이 수납되게 되며, 제2수용체(120)에는 내부 양측에 고정유닛(500)이 수납되게 된다.The lifting unit 300, the projector 200, the support unit 400, and the screen unit 600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ptor 110, and the fixing units 50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receptor 120. Will be housed.

이때 지지유닛(400)은 제1수용체(110)의 상부로 회동되게 되고 지지유닛(400)의 회동방향에 따라 스크린유닛(600)이 이동하게 된 후 지지유닛(400)과 평행하게 포개어지도록 스크린유닛(600)이 회동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support unit 400 is rotated to the top of the first receptor 110, and the screen unit 600 is mov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upport unit 400, and then the screen is overlapped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unit 400. The unit 600 is rotated.

스크린유닛(600)의 스크린(610)은 별도로 분리되어 제1수용체(110)의 내측 후면에 보관되게 되며, 크기를 최소한으로 축소시킨 스크린유닛(600)은 프로젝터(20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가 된다.The screen 610 of the screen unit 600 is separated and stored on the inner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receptor 110, and the screen unit 600 with its size reduced to the minimum has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rojector 200. do.

프로젝터(200)는 승강유닛(300)에 의해 제1수용체(110)의 내측 바닥면을 향해 하강되게 되며, 프로젝터(200)의 렌즈 전면에 형성된 영상변환필터(210)는 회동되어 프로젝트의 상부에 위치되게 된다.The projector 200 is lowered towar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receptor 110 by the lifting unit 300, and the image conversion filter 210 formed on the front of the lens of the projector 200 is rotated to the top of the project. Will be located.

외부 빛을 막아주는 암막부재(도시되지 않음)는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접어서 프로젝터(200)의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A blackout member (not shown) that blocks external light can be folded to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and placed on the top of the projector 200.

이후 제2수용체(120)가 제1수용체(110)의 상부에 포개어지도록 회동시키게 되면 제1수용체(110)와 제2수용체(120)에 위치된 프로젝터(200), 승강유닛(300), 지지유닛(400), 고정유닛(500), 스크린유닛(600), 암막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second receptor 120 is rotated so that it is superimposed on the top of the first receptor 110, the projector 200, the elevating unit 300, and the support located on the first and second receptors 110 and 120 The unit 400, the fixing unit 500, the screen unit 600, and a blackout member (not shown) can be safely stored from the outside.

또한 제1수용체(110)와 제2수용체(120)의 개구된 면 가장자리를 지퍼로 형성하거나 전면에 잠금장치를 형성하여 제2수용체(120)가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receptor 120 from being arbitrarily opened by forming the edge of the opened surface of the first receptor 110 and the second receptor 120 with a zipper or by forming a locking device on the front surface.

또한 하우징(100)의 외면에는 손잡이와 바퀴가 형성되어 있어 휴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handle and a wheel to increase portabilit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에 의하면 프로젝터와 스크린을 함께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으며, 야외에서도 설치가 간편하고, 프로젝터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여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조정할 필요가 없으며, 스크린을 고정하는 프레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휴대할 때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rtable image output device for 2D and 3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can be stored and carried together, the installation is easy even outdoor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is constant, so that the projector outputs it. There is no need to adjust the image to be used, and since the size of the frame fixing the screen can be adjusted, the overall size can be reduced when carry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a focus on preferred embodiments, but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modified or modified accordingly.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set forth to include examples of such many variations.

100 : 하우징 110 : 제1수용체
120 : 제2수용체 130 : 경첩
200 : 프로젝터 210 : 영상변환필터
300 : 승강유닛 310 : 승강대
320 : 높이조절대 400 : 지지유닛
410 : 제1회동대 420 : 제2회동대
500 : 고정유닛 510 : 고정대
520 : 고정단 600 : 스크린유닛
610 : 스크린 620 : 고정프레임
621 : 조정프레임 622 : 고정홈
100: housing 110: first receptor
120: second receptor 130: hinge
200: projector 210: image conversion filter
300: lifting unit 310: lifting platform
320: height adjuster 400: support unit
410: 1st Dongdaemun 420: 2nd Dongdaemun
500: fixing unit 510: fixing table
520: fixed end 600: screen unit
610: screen 620: fixed frame
621: adjustment frame 622: fixing groove

Claims (10)

상부가 개구된 제1수용체와 하부가 개구된 제2수용체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제1수용체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입력된 영상을 확대 투영하는 프로젝터와;
상기 제1수용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회동되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위치되는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유닛의 끝단에서 회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로젝터에 의해 투영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형성되는 스크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터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로젝터를 상기 제1수용체의 상부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스크린 유닛에 맞춰 상기 프로젝터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유닛과;
상기 제2수용체의 내부에서 회동되도록 형성되며 길이가 연장되어 상기 스크린 유닛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과;
상기 프로젝터의 렌즈 전면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2D인 경우 상기 프로젝터의 상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위치되고 상기 프로젝터의 출력 영상이 3D인 경우 렌즈 전면에 위치되도록 회동되는 영상변환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유닛의 상부에 형성되며 T자 형태로 파여진 고정홈과;
상기 고정유닛의 끝단에 형성되어 T자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단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스크린유닛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
A housing comprising a first receptor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nd a second receptor having an open lower portion;
A projector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first receptor to enlarge and project an input image;
A support unit formed inside the first receptor and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when it is rotated;
Includes; a screen unit formed to rotate at the end of the support unit and formed to display an image projected by the projector,
An elevating unit formed under the projector to move the projector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first recepto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rojector in accordance with the screen unit;
A fixing unit formed so as to rotate inside the second receptor and extending in length to b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creen unit to fix the screen unit;
Image conversion that is formed to be rotated toward the front of the lens of the projector so that when the image output from the projector is 2D, it is located in a state that is rotated toward the top of the projector, and when the image output from the projector is 3D, it is rotated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lens. It further includes a filter;
A fixing groove formed on the top of the screen unit and dug in a T-shape;
It further includes; a fixing end formed at the end of the fixing unit and made in a T-shaped
Wherein the fixing e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so that the fixing unit fixes the position of the screen unit.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both 2D and 3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프로젝터의 하부를 지지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하부에 형성되며 다수의 링크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면서 상기 승강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vating unit
A lifting platform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project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eight adjustment platform formed under the elevator platform and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elevator platform while a plurality of links are folded or unfolded.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both 2D and 3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제1수용체의 상부에서 회동되도록 형성되며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1수용체의 전면 방향에 위치되는 제1회동대와;
상기 제1회동대의 일단에서 회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유닛의 각도를 조정하는 제2회동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unit
A first rotating table formed to rotate above the first receptor and positioned in a front direction of the first receptor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cond pivoting table formed to rotate at one end of the first pivoting table and connected to the screen unit to adjust the angle of the screen unit.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both 2D and 3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유닛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중공으로 이루어진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조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및 상기 조정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영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creen unit
A fixed fram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made of a hollow;
An adjustment fram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fixed frame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nd a scree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and the adjustment frame to display an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both 2D and 3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변환필터는 상기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DLP_Link 방식의 3차원 영상의 싱크(Sync)에 맞춰 전압이 On, Off 되면서 우원편광과 좌원편광을 반복하여 DLP_Link 방식의 3차원 영상을 편광안경방식의 3차원 영상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mage conversion filter repeats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and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as the voltage is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synchronization of the DLP_Link type 3D image output from the projector to convert the DLP_Link type 3D image into a polarized glasses type 3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verts into an image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both 2D and 3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유닛과 상기 프로젝터 사이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빛이 투입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암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blackout member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screen unit and the projector so that light does not enter from the outsid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both 2D and 3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스크린유닛의 후면에 영상을 투사하고, 상기 스크린유닛의 전면에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j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is projected on the rear of the screen unit,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screen unit.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both 2D and 3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체와 상기 제2수용체는 힌지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체와 상기 제2수용체가 열리거나 닫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각종 유닛 및 부재를 수용하여 휴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 휴대용 영상 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receptors are hinge-coupled to be rotatable, and the first and second receptors are opened or closed to accommodate and carry various units and members inside the housing. With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both 2D and 3D.
KR1020180146649A 2018-11-23 2018-11-23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2D and 3D KR1022290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649A KR102229094B1 (en) 2018-11-23 2018-11-23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2D and 3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649A KR102229094B1 (en) 2018-11-23 2018-11-23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2D and 3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185A KR20200061185A (en) 2020-06-02
KR102229094B1 true KR102229094B1 (en) 2021-03-18

Family

ID=7109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649A KR102229094B1 (en) 2018-11-23 2018-11-23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2D and 3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09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7050A (en) * 2015-11-19 2017-06-01 眞啓 尾崎 Proje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588A (en) * 2005-03-28 2006-10-04 김종호 Image projecting screen apparatus with vertically foldable structure
KR101651294B1 (en) * 2009-12-30 2016-09-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dimensional image system
KR200479383Y1 (en) 2014-10-13 2016-01-21 최정민 Roll screen
KR102487905B1 (en) * 2016-03-31 2023-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Projector app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7050A (en) * 2015-11-19 2017-06-01 眞啓 尾崎 Proj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185A (en)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86859B (en) Image-generating unit and erecting device
JP6517717B2 (en) Portable folding virtual reality equipment
US9323134B2 (en) Portable document camera and assembly for enabling same
JP3199555U (en) Portable imaging device
US7706066B2 (en) Portable front projection screen assemblies with flexible screens
US20100124039A1 (en) Outdoor AV display Arrangement for outdoor shading device
JP2009104093A (en) Portable front projection screen assembly with flexible screen
KR102089862B1 (en) Camera supporter including horizontal centering control assembled with lighting equipment
KR20160000408U (en) Structure of compatible stick for self camera shooting having pod
KR101696023B1 (en) Portable Screen
CN104216205B (en) The projecting method of projection arrangement, supporting plate and projection arrangement
KR102229094B1 (en) Portable video output device for 2D and 3D
CN103293657A (en) Mobile phone movie mirror
US10225535B2 (en) Self-adjusting portable modular 360-degree projection and recording computer system
KR101792412B1 (en) 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
US20200387053A1 (en) Foldable camera stand
KR20180085569A (en) Supporter for mobile device
CN106556962A (en) A kind of shooting frame and photographic attachment of camera lens quick change
US3696856A (en) Swivel standard for portable projection screen
JP2010177718A (en) Document presentation device
KR200475511Y1 (en) Portable projector for child
CN103293687B (en) The huge curtain 3D movie mirror of panel computer
JP6239798B1 (en) Crane equipment for photography
US9052060B1 (en) Tripod with storage structure
CN112859493B (en) Household multifunctional proj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