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739B1 - Elevator management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Elevator management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739B1
KR102228739B1 KR1020200110885A KR20200110885A KR102228739B1 KR 102228739 B1 KR102228739 B1 KR 102228739B1 KR 1020200110885 A KR1020200110885 A KR 1020200110885A KR 20200110885 A KR20200110885 A KR 20200110885A KR 102228739 B1 KR102228739 B1 KR 102228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locking
elevator
control unit
exter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8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강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강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강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10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7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7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66B7/1207Checking means
    • B66B7/1215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management control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vertical movement of a safety device, and preventing time delay due to safety accidents and inspections by regularly monitoring a belt status of an elevator. The elevator management control system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terminal; a switch control unit operating a switch for a safety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and a movement control unit raising and lowering a car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Description

원격으로 안전장치의 작동과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승강기 관리 제어 시스템{ELEVATOR MANAGEMENT CONTROL SYSTEM}Elevator management control system that remotely controls the operation of safety devices and the vertical movement {ELEVATOR MANAGEMENT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원격으로 안전장치의 작동(안전장치의 해제)과 상하이동을 제어하고, 승강기의 벨트 상태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안전사고 및 점검에 따른 시간지연을 방지하는 승강기 관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management control system that remote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release of the safety device) and the vertical movement, and regularly monitors the belt condition of the elevato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time delays due to inspection.

승강기 사고로 인한 119 구조 건수는 2013년 13,623건에서 2015년 15,987건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전국의 승강기 노후화로 인하여 유지보수업체에서 A/S를 수행하는 데에 따르는 시간 및 비용이 적지 않게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The number of 119 rescue cases due to elevator accidents is increasing from 13,623 cases in 2013 to 15,987 cases in 2015, and due to the aging of elevators nationwide,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cost to perform A/S at maintenance companies. to be.

승강기 유지업체를 통하여 승강기의 주기적인 점검 및 유지보수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안전사고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작업자는 점검을 위하여 승강기 카의 상부 외측에 구비된 안전스위치를 조작하여 승강기 안전장치를 작동시킨 후에 후속 작업을 처리해야 하는데, 안전장치의 작동까지의 휴지시간인 약 3초 이내에 다른 층에서 승강기 작동 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승강기가 순간적으로 작동하여 추락, 끼임, 협착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Various safety accidents have occurred despite periodic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elevators through elevator maintenance companies. In particular, the operator operates the elevator safety device by operating the safety switch provided on the upper and outer sides of the elevator car for inspection. Follow-up work needs to be processed, but if the elevator operation button is operated on another floor within about 3 seconds, which is the pause time until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the elevator operates instantaneously, causing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 jamming, and constriction. there was.

아울러 2018년에 발생된 목동 행복한백화점의 승강기 사고의 경우,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로 인해 승객이 내리는 순간 승강기 카가 2m 가량 내려앉아서 카와 벽 사이에 승객이 끼어 사망하기도 하였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levator accident at Mokdong Happy Department Store in 2018, the elevator car fell about 2m at the moment the passengers got off due to the wear of the brake lining, and the passenger was caught between the car and the wall and died.

이러한 실정에 따라 승강기의 점검 시에 승강기 카를 원격으로 비상 멈춤시키거나 승강시킬 수 있는 기술, 승강기 구동의 핵심인 벨트의 마모나 이탈, 걸림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들의 필요성이 재고되는 바이다.According to this situation, the necessity of technologies that can remotely emergency stop or lift the elevator car during the inspection of the elevator, and the technology that can monitor the wear, separation, and jamming of the belt, which is the core of driving the elevator, is being reconsidered.

한편, 승강기의 원격 관리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266761호(2013년05월15일) 등이 있는데, 이 종래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기술들은 승강기의 관리를 원격으로 수행하여 승객의 안전을 보장하는 기술들로, 유지 보수를 맡고 있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과는 거리가 멀다.On the other hand, as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remote management of an elevator, there is Patent No. 10-1266761 (May 15, 2013), etc., and conventional technologies including this prior art remotely manage the elevator. These are technologies that ensure the safety of passengers, and are far from technologies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of workers in charge of maintenanc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승강기의 고장에 대한 점검을 위하여 작업자가 안전장치를 수동으로 작동하는 것을 자동화하고, 점검 및 수리를 위해 승강 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원격으로 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휴지시간(약 3 ~ 5초) 동안 다른 층에서 승강기를 작동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추락, 끼임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utomating the operator's manual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for inspection of the failure of the elevator, and remotely moving the elevator car up and down for inspection and repair. The purpose of this i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s and jamming caused by operating the elevator on another floor during the rest period (about 3 to 5 seconds) through this.

또한 승강기 카에 작용할 수 있는 최대 인장과 최소 인장에 대한 스펙트럼을 기초로 하여 벨트 내부의 철심의 마모 상태를 감시하고, 벨트의 마모 한계치에 도달했을 때 관리자에 경고 메시지나 경보를 발송함으로써 수리 및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lso, based on the spectrum of the maximum and minimum tens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elevator car, the wear condition of the iron core inside the belt is monitored, and when the belt wear limit is reached, a warning message or alarm is sent to the manager for repair and inspection. It aims to be able to perform.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외부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그리고 상기 외부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승강기의 안전장치용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스위치 제어부, 그리고 상기 외부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기의 카(Car)를 승강시키는 이동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s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terminal, and a switch control unit that operates a switch for a safety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and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Accordingly, it includes a movement control unit for lifting the car (Car) of the elevator.

또한 상기 승강기의 벨트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벨트 감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 감시부는, 벨트의 마모 상태를 계산하여 마모 한계치의 도달 여부를 판단하는 수명감시파트 및 벨트의 이탈이나 걸림을 감지하는 상태감시파트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belt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belt condition of the elevator, wherein the belt monitoring unit calculates the wear condition of the belt to determine whether the wear limit is reached or not, and a condition monitoring unit that detects deviation or jamming of the bel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include parts.

아울러 상기 벨트 감시부는 상기 벨트에서 발생하는 진동 값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명감시파트는 상기 진동 값을 기준으로 상기 벨트의 최대 인장과 최소 인장에 대한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상기 마모 한계치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elt monitoring unit includes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 vibration value generated in the belt, and the life monitoring part analyzes the spectrum of the maximum tension and the minimum tension of the belt based on the vibration value, and the wear limit valu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nfigured to calculate.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스위치 제어부와 이동 제어부의 구성을 통해, 승강기의 고장에 대한 점검을 위하여 작업자가 안전장치를 수동으로 작동하는 것을 자동화하고, 점검 및 수리를 위해 승강 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원격으로 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휴지시간(약 3 ~ 5초) 동안 다른 층에서 승강기를 작동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추락, 끼임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features automates the manual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by the operator to check the failure of the elevator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switch control unit and the movement control unit, and moves the elevator car up and down for inspection and repair. It enables remote operation to be performed,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s and jamming caused by operating the elevator from another floor during the pause time (approximately 3 to 5 seconds).

또한 벨트 감시부를 도입하여, 승강기 카에 작용할 수 있는 최대 인장과 최소 인장에 대한 스펙트럼을 기초로 하여 벨트 내부의 철심의 마모 상태를 감시하고, 벨트의 마모 한계치에 도달했을 때 관리자에 경고 메시지나 경보를 발송함으로써 수리 및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introducing a belt monitoring unit, it monitors the wear condition of the iron core inside the belt based on the spectrum of the maximum and minimum tension that can act on the elevator car, and a warning message or alarm to the manager when the belt wear limit is reached. So that repairs and inspections can be carried out by sending them.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구성을 그림으로 설명한 도면.
도 3은 스위치 제어부에 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층간 높이와 승강기 카 간의 높이 차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 구성을 블록화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구성을 그림으로 설명한 도면.
도 7은 이탈감지센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Figure 1;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switch control unit.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height and the elevator car.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FIG. 5 by way of illustration.
7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departure detection sensor.
Figure 8 shows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of the bar, implementation (態樣, aspect) (or embodiment) that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sun, 態樣, aspect) (or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consist~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The ~1~, ~2~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referred to to distinguish different constituent elem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of manufacture, and their name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It may not match.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관리 제어 시스템(이하 본 시스템(S))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levator management control system (hereinafter, the present system 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시스템(S)은 원격으로 안전장치의 작동과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승강기 관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단말기(E)와 통신하는 통신부(1), 그리고 외부단말기(E)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승강기의 안전장치용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스위치 제어부(2), 그리고 외부단말기(E)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기의 카(Car)를 승강시키는 이동 제어부(3)를 포함한다.This system (S) relates to an elevator management control system that remote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and the vertical movement, as shown in Figs. 1 and 2, a communication unit (1) that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terminal (E), And the switch control unit (2) to operate the switch for the safety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E), and the car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E). It includes a movement control unit (3) to let.

이러한 본 시스템(S)은 승강기의 고장에 대한 점검을 위하여 작업자가 안전장치를 수동으로 작동하는 것을 자동화하고, 특히 점검 및 수리를 위해 승강 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원격으로 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휴지시간(약 3 ~ 5초) 동안 다른 층에서 승강기를 작동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추락, 끼임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is system (S) automates the manual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for the operator to check the failure of the elevator, and in particular, allows the operation of moving the elevator car up and down for inspection and repair remotely.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s and jamming caused by operating the elevator on another floor during the rest period (about 3 to 5 seconds).

각 구성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는 외부단말기(E)와 통신하는 구성으로, 그 역할은 크게 외부단말기(E)의 입력이나 명령을 수신하거나 또는 본 시스템(S)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외부단말기(E)로 전송한다.Specifically for each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mmunication unit 1 is a configuration that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terminal E, and its role is largely to receive inputs or commands from the external terminal E. Or, the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system (S)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E).

상기에서, 외부단말기(E)는 서버, 컴퓨터, 스마트폰, 기타 휴대용 단말기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관리자 또는 점검자의 개인 단말기인 스마트폰이 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external terminal E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such as a server, a computer, a smart phone, and other portable terminals, but the most common form may be a smart phone, which is a personal terminal of an administrator or inspector.

통신부(1)는 기본적으로는 무선통신방식은 특별히 어느 한 형태로 한정될 필요 없이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를 들면 이동통신,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등 다양한 종류가 활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한 실시는 이동통신망을 활용한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이다.As for the communication unit 1,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ay be used without being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type, and for specific examples, various type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Wi-Fi, Bluetooth, NFC, etc. may be used, and the most preferable implementation is It is to use the Interne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한 통신부(1)는 본 시스템(S)은 다른 구성인 스위치 제어부(2), 이동 제어부(3) 등과 함께 구비될 수도 있고, 별도의 모듈화를 통해 분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분체로 구비되는 경우, 통신부(1)와 기타 제어부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별도의 전송수단이 구비되어야 함은 자명한 것이다.The communication unit 1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with the switch control unit 2 and the movement control unit 3, which are different configurations of the system S, or may be provided as a powder through separate modularization. When provided in powder, it is obvious that a separate transmission means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1 and other control units must be provided.

다음으로, 스위치 제어부(2)는 외부단말기(E)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승강기의 안전장치용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통신부(1)에 안전장치의 구동에 관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부(1)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승강기의 안전장치를 작동시키며, 안전장치는 온/오프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Next, the switch control unit 2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switch for the safety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E. When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safety device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 the communication unit The safety device of the elevator is operated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1), and the safety device can be driven in an on/off manner.

이러한 스위치 제어부(2)는 임베디드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보드 상에 구비될 수 있고,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안전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중앙처리장치(CPU, MCU 등)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는 후술하는 이동 제어부(3)와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switch control unit 2 may be provided on a board in the form of an embedded interface, and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MCU, etc.) to operate the safety device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The central process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shared with the movement control unit 3 to be described later.

도 3을 참고하면, 상기한 스위치 제어부(2)에 의해 작업자(승강기 점검자)는 승강기의 안전장치를 수동으로 작동하지 않고 외부단말기(E)를 통해 승강기의 안전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어서, 안전장치의 수동 작동 과정에서 휴지시간 동안에 다른 층에서 승강기를 작동시킴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추락이나 끼임 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by the switch control unit 2, the operator (the elevator inspector) does not manually operate the safety device of the elevator, but can operate the safety device of the elevator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E).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s or jamming accidents that may occur due to operating the elevator from another floor during the idle time during the manual operation of the vehicle.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제어부(3)는 외부단말기(E)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승강기의 카(Car)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통신부(1)에 카의 승강에 관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부(1)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카를 승강시키며, 이를 위해 이동 제어부(3)는 카를 제어하는 승강카 제어모듈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한다.Nex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ovement control unit 3 is configured to elevate the car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E). When a control signal for elevating the vehicle is received,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 to elevate the car, and for this purpose, the moving control unit 3 must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elevating car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car.

이러한 이동 제어부(3)는 상기한 스위치에 제어부와 마찬가지로, 임베디드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보드 상에 구비될 수 있고,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안전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중앙처리장치(CPU, MCU 등)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는 스위치 제어부(2)와 공유할 수도 있다.The movement control unit 3 may be provided on the board in the form of an embedded interface in the form of an embedded interface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trol unit in the above-described switch,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MCU, etc.) is provided to operate the safety device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may be shared with the switch control unit 2.

도 4를 참고하면, 상기한 이동 제어부(3)는 승강기 시뮬레이터의 수동 작동을 통한 승강기 카의 이동에 따르는 지연시간 및 안전문제를 해결하는데, 최근의 건물 구조는 심미적 사항을 고려하고 있는데 반해 승강기 카는 규격화되어 있는 탓에 승강기 카 높이와 층간 높이 간에 상당한 높이 차가 있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다. 이러한 이유로 승강기의 비상 정지가 발생하면 승강기의 상부에 투입되어 점검 및 수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각 층과 승강기 상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승강기 시뮬레이터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승강카를 이동시켜야 하는데, 승강기 카의 이동을 수동 제어하는 과정에서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수동 조작 시에 승강기 카의 예기치 않은 작동이나 추락에 의해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시스템(S)의 이동 제어부(3)는 외부 단말기를 통해 승강기 카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다.Referring to FIG. 4, the movement control unit 3 solves the delay time and safety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car through the manual operation of the elevator simulator. Because of the standardization,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height of the elevator car and the height between floors. For this reason, when an emergency stop of the elevator occurs, it is often put i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to be inspected and repaired, and access is difficult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each floor and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the task, the elevator simulator must be manually operated to move the elevator car, but there is a time delay in the process of manuall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ca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accident may occur. The movement control unit 3 of the system S solves the above problem by allowing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car to be controlled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한편, 상기한 스위치 제어부(2)와 이동 제어부(3)의 공통 구성으로서, 각 제어부(2)(3)는 안전장치 및 승강카 제어모듈의 제어를 위한 시뮬레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승강카 제어모듈은 이동 제어부(3)에 연동되는 작동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as a common configuration between the switch control unit 2 and the movement control unit 3, each control unit 2 and 3 may include a safety device and a simulator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car control module. In addition, the elevator car control module may include an operation motor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control unit 3.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S)은 승강기의 벨트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벨트 감시부(4)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Next,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system 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ay further include a belt monitoring unit 4 for monitoring the belt condition of the elevator.

그리고 도 5 및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벨트 감시부(4)는 벨트의 수명을 감시하는 수명감시파트(41), 그리고 벨트의 이탈이나 걸림과 같은 현재 상태를 감시하는 상태감시파트(42)를 포함할 수 있다.And, as can be seen in Figures 5 and 6, the belt monitoring unit 4 is a life monitoring part 41 that monitors the life of the belt, and a state monitoring part 42 that monitors the current state, such as the detachment or jamming of the belt. ) Can be included.

구체적으로, 수명감시파트(41)는 벨트의 마모 상태를 계산하여 마모 한계치의 도달 여부를 판단한다. 승강기 카는 벨트 장력의 기준에 의해 풀리 및 무게추를 구비하고 있는데, 벨트의 파손에 의해서 승강기가 비상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급격한 승강이 발생하거나 추락에 의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fe monitoring part 4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wear limit value is reached by calculating the wear state of the belt. The elevator car is provided with a pulley and a weight according to the belt tension. If the elevator does not perform emergency braking due to the damage of the belt, a sudden rise or fall may occur or an accident may occur due to a fall.

상기 수명감시파트(41)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승강기 카에 작용할 수 있는 최대 인장과 최소 인장에 대한 스펙트럼을 기초로 하여 벨트 내부의 철심의 마모 상태를 감시하고, 벨트의 마모 한계치에 도달했을 때 관리자에 경고 메시지나 경보를 발송함으로써 수리 및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life monitoring part 41 solves this problem, and monitors the wear condition of the iron core inside the belt based on the spectrum of the maximum and minimum tension that can act on the elevator car, and reaches the wear limit of the belt. When it is done, a warning message or an alarm is sent to the manager so that repair and inspection can be performed.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도 7을 참고하면, 벨트 감시부(4)는 벨트에서 발생하는 진동 값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명감시파트(41)는 진동 값을 기준으로 벨트의 최대 인장과 최소 인장에 대한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마모 한계치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 specific embodiment, referring to FIG. 7, the belt monitoring unit 4 may include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 vibration value generated from the belt. In addition, the life monitoring part 41 may be configured to calculate a wear limit value by analyzing the spectrum of the maximum tension and the minimum tension of the belt based on the vibration value.

상기에서, 진동감지센서는 벨트의 마모에 의해 변하는 진동 값을 감지하며, 수명감시파트(41)는 정상 상태의 진동 값을 기준으로 진동감지센서에서 수집된 진동 값이 차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변화가 감지되면 이상으로 판단하고, 특히 이 변화량이 설정 값 이상이 되면 마모 한계치에 다다른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다.In the above,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vibration value that changes due to the wear of the belt, and the life monitoring part 41 compar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bration value collected by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based on the vibration value in the normal state, and a preset threshold value When an abnormal change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as an abnormality, and in particular, when the amount of change exceeds the 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 limit value has been reached.

또한 상기에서, 벨트의 최대 인장과 최소 인장에 대한 스펙트럼은 반복 실험을 통해 도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분석알고리즘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the spectrum for the maximum tension and the minimum tension of the belt may be implemented by a program composed of a database and an analysis algorithm based on data derived through repeated experiments.

도 7을 참고하면, 벨트 감시부(4)의 또 다른 구성인 상태감시파트(42)는 벨트의 이탈이나 걸림을 감지한다. 벨트가 갖는 문제점은 풀리에서 이탈하거나 턱에 걸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도가 없다는 것인데, 이에 벨트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수단을 필요로 한다.Referring to FIG. 7, the condition monitoring part 42, which i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belt monitoring unit 4, detects the detachment or jamming of the belt. The problem with the belt is that there is no way to prevent it from falling off the pulley or being damaged by being caught in the jaw, and thus, a means to monitor the condition of the belt is required.

상태감시파트(42)는 이러한 벨트의 이탈이나 걸림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풀리에 장착되는 이탈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된 감지 알고리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dition monitoring part 42 is configured to detect separation or jamming of such a belt, and includes a departure detection sensor mounted on a pulley, and may further include a detection algorithm designed through simulation.

한편, 벨트 감시부(4)는 벨트의 수명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분석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석유닛은 알고리즘의 형태로 프로그래밍 되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분석유닛은 승강기를 관리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관리시스템과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belt monitoring unit 4 may further include an analysis unit for determining the life level of the belt. The analysis unit can be programmed and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lgorithm. In addition, the analysis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a network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the elevator.

또한 벨트 감시부(4)는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을 위한 인터페이스, 통합 응용프로그램, 송수신 프로토콜, 연동 프로그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lt monitoring unit 4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n integrated application program, a transmission/reception protocol, an interlocking program, and the like.

한편, 본 발명은 스위치 제어부(2) 및 이동 제어부(3)(통신부(1) 및 벨트 감시부(4)를 포함할 수 있음)를 내장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종래 하우징 구조는 일 측만이 개방되는 구조여서 내장된 구성들에 대하여 유지 보수할 때, 개방된 폭만큼의 작업공간이 확보되는 탓에 불편함이 있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including a switch control unit 2 and a movement control unit 3 (which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 and a belt monitoring unit 4). Since only one side is open, there is inconvenience because the work space of the open width is secured when maintenance is performed on the built-in components.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시스템(S)은 최소 2개 이상의 면이 개방될 수 있고, 그 개폐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하우징 구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ystem (S) provides a housing structure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surfaces can be open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thereof is easily performed.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 측(또는 일단)은 우측(또는 우측 단부)으로, 타 측(또는 타단)은 좌측(또는 좌측 단부)으로 정의하여 서술하기로 하고, 도 9의 a 및 b의 각각의 좌측 확대도는 측단면 시점의 개략적인 설명도에 해당하며, 우측 확대도는 위에서 바라본 시점의 개략적인 설명도에 해당한다.Meanwhil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e side (or one end) is defined as the right (or right end) and the other side (or the other end) is defined as the left (or left end). Each enlarged view on the left side of b corresponds to a schematic explanatory view of a view from the side sectional view, and the enlarged view on the right corresponds to a schematic explanatory view of the view from abov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은 일단에 결착공을 구비한 상부 덮개(L10b)와, 상기 상부 덮개(L10b)의 타단에서 하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에 로킹부를 포함하는 측부 덮개(L10a)를 포함하는 제1하우징(L1)과, 하부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연결된 측벽(L20a)을 포함하는 제2하우징(L2)을 포함한다.9, the housing has an upper cover (L10b) having a fastening hole at one end, and a side cover that is rotatably connected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upper cover (L10b) and includes a locking part at the lower end ( It includes a first housing L1 including L10a, and a second housing L2 including a lower base and a sidewall L20a connected upwardly from one end of the base.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하우징(L2)부터 설명하면, 제2하우징(L2)은 제1하우징(L1)과의 결합/해제를 위해 잠금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제2하우징(L2)에 내장되고, 상기 측벽(L20a)의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결착공에 삽입되는 버튼블록(L21)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버튼블록(L21)은 버튼블록(L21)의 하단에 구비되고, 일 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를 갖는 액추에이터(L21b)가 후술할 해제블록(L22)과 접촉되어 있어, 버튼블록(L21)의 버튼부(L21a)를 사용자가 누르면 버튼블록(L21)이 해제블록(L22)의 경사면을 따라 내려가면서 해제블록(L22)이 일 측으로 밀릴 수 있게 되고, 버튼부(L21a)를 떼면 해제블록(L22)이 타 측으로 밀리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 과정을 실현하기 위해서 해제블록(L22)은 액추에이터(L21b)의 형상에 상응하는 경사를 갖고 상단이 상기 액추에이터(L21b)의 하단에 접하는 슬로프를 구비하게 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tarting from the second housing (L2), the second housing (L2) includes a locking means for engaging / disengaging with the first housing (L1), the locking means is the second housing ( It is built in L2), and includes a button block (L21) that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wall (L20a) and inserted into the binding hole. And such a button block (L21)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utton block (L21), the actuator (L21b) having an upward inclination toward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release block (L22) to be described later, the button of the button block (L21) When the user presses the part (L21a), the button block (L21) descends along the slope of the release block (L22) and the release block (L22) can be pushed to one side, and when the button part (L21a) is released, the release block (L22) It is pushed to the other side. In addition, in order to realize such an operation process, the release block L22 has a slo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ctuator L21b and has a slope with an upper end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actuator L21b.

그 다음으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버튼블록(L21)의 누름에 의해 로킹부와 잠금부의 결합을 해제하는 해제부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해제부는 전술한 액추에이터(L21b)와 해제블록(L22)을 포함하며, 후술하겠지만 버튼블록(L21)의 하강에 의해 해제블록(L22)이 일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결합 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Next, the locking means includes a release part for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locking part and the locking part by pressing the button block L21, and this release part includes the above-described actuator L21b and a release block L22, As will be described later, as the release block L22 moves to one side by the lowering of the button block L21, the combined state may be released.

그리고 잠금수단의 해제부는 상기 해제블록(L22)이 이동하는 가동면의 상부로 일부 노출되게 구비된 푸시블록(L25)을 포함하는데, 여기서의 가동면은 베이스 상단(L20c)과 베이스 하단(L20b)의 경계면을 의미한다. 그리고 푸시블록(L25)은 버튼블록(L21)의 하강에 의해 해제블록(L22)이 일 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가동면의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버튼블록(L21)의 상승에 의해 해제블록(L22)이 다시 타 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가동면의 내부에 내장된다. 그리고 이러한 해제블록(L22)이 가동면 상에서 푸시블록(L25)에 의해 이동되기 위해서는 일단의 외측에 결합되는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구비되어야 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블록(L22)의 일단 외면에 구비되는 복귀수단으로써 제1스프링(L24)이 구비된다.And the unlocking portion of the locking means includes a push block (L25) provided to be partially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surface on which the release block (L22) moves, wherein the movable surface is the upper end of the base (L20c) and the lower end of the base (L20b) Means the interface of. And the push block (L25) is exposed to the top of the movable surface when the release block (L22) moves to one side by the lowering of the button block (L21), and the release block (L22) by the rise of the button block (L21). When it moves to the other side again, it is built into the inside of the movable surface. And in order for the release block (L22) to be moved by the push block (L25) on the movable surface, a return means including a spring coupled to the outside of one end should be provided, and as shown in FIG. 9, the release block ( A first spring (L24) is provided as a return mean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L22).

그 다음으로 잠금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타단에 구비되고, 후술할 로킹부와, 결합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잠금부는 일단 측의 상단이 상기 푸시블록(L25)의 하단에 접촉하고, 상기 푸시블록(L25)의 하강에 의해 타단 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잠금핀(L26)을 포함한다. 이러한 잠금핀(L26)의 일단은 일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고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블록(L25)의 하강에 의해 타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데, 이렇게 타 측으로 이동하여 후술할 진입홈(L11)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물론 이 경우에는 버튼블록(L21)은 상부로 상승하고, 이에 해제블록(L22)이 타 측으로 이동하는 결합과정의 상황이다.) 그리고 이러한 잠금핀(L26)의 타 측에 내장되어 상기 잠금핀(L26)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로킹핀(L261)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로킹핀(L261)은 후술할 로킹홈(L111)에 삽입됨으로써 로킹부와 잠금부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의 측면이란 도 9를 뚫고 나오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술할 타 측면은 도 9를 뚫고 들어가는 방향을 의미한다.Next, the locking means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ase, and includes a locking part to be described later, and a locking part that is coupled,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part contacts the lower end of the push block L25, and the push It includes a locking pin (L26) that can be moved to the other end side by the lowering of the block (L25). One end of the locking pin (L26) has a downward slope toward one side, so that it can be moved to the other side by the lowering of the push block (L25) as described above. ). (Of course, in this case, the button block L21 rises upward, and this is a situation in which the release block L22 moves to the other side.) And the locking pin L26 It includes a locking pin (L261) that is built in the other side and protrudes to the side of the locking pin (L26), such a locking pin (L261) by being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L111) to be described later, the locking part and the locking part can be combined. There will be. In addition, the side surface here refers to a direction through which FIG. 9 comes out, and the other side to be described later refers to a direction through which FIG. 9 is entered.

그리고 이러한 잠금핀(L26)의 일단 외면에는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푸시블록(L25)이 다시 상승하게 되었을 때,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결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해제 과정에서 제일 먼저 상기한 로킹핀(L261)이 로킹홈(L111)으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잠금핀(L26)의 일 측 외면에 결합된 스프링의 탄성력이 상기 로킹핀(L261)의 타 측면의 외면에 결합된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강하게 구비됨으로써 실현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핀(L26)의 일단 외면에 구비되는 복귀수단으로써 제2스프링(L262)이 구비되고, 상기 로킹핀(L261)의 타 측면 내면에 구비되는 복귀수단으로써 제3스프링(L263)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return means including a spring or the like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locking pin L26, so that when the push block L25 is raised again, the coupling state can be released by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in this release process, first, the locking pin (L261) must be able to escape from the locking groove (L111), which i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locking pin (L26) is the locking pin (L261) It is realized by being provided strong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side. And, as shown in Figure 9, the second spring (L262) is provided as a return mean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locking pin (L26), as a return mean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pin (L261). A third spring L263 is provided.

따라서 결합 상태를 해제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자가 버튼부(L21a)를 누르고 있으면 버튼블록(L21)이 하강하면서 해제블록(L22)이 일 측으로 이동하고, 해제블록(L22)이 일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베이스 하단(L20b)에 내장되어 있던 푸시블록(L25)이 상승하면서 로킹핀(L26)이 로킹홈(L111)을 빠져나옴과 동시에 잠금핀(L26)이 진입홉(L11)을 빠져나오게 되면서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결합 상태를 만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버튼부(L21a)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측부 덮개(L10a)를 베이스에 접촉시킨 후 누르고 있던 버튼부(L21a)를 떼면 되는데, 물론 이 경우에는 해제되는 경우와 각 구성들이 반대로 이동되면서 실현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part (L21a) when the user wants to release the combined state, the button block (L21) descends, the release block (L22) moves to one side, and the release block (L22) moves to one side. As the push block (L25) built in the lower part (L20b) rises, the locking pin (L26) exits the locking groove (L111) and the locking pin (L26) exits the entry hop (L11), and the coupling is released. It can be.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the combined state, the user can press the side cover (L10a) to the base while pressing the button (L21a) and then release the pressed button (L21a). It is realized by moving the configurations in reverse.

그 다음으로 제1하우징(L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에 결착공을 구비한 상부 덮개(L10b)를 포함하는데, 상기 결착공에 상기한 버튼블록(L21)이 삽입될 수 있게 된다.Nex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housing L1 includes an upper cover L10b having a binding hole at one end, and the button block L21 can be inserted into the binding hole.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L1)은 상기 상부 덮개(L10b)의 타단에서 하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측부 덮개(L10a)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측부 덮개(L10a)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해서는 자명하게도, 상부 덮개(L10b)의 타단에 구비되는 회동수단과 회동 결합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회동수단에 대해서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회동 결합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And the first housing (L1) includes a side cover (L10a) that is rotatably connected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upper cover (L10b), obviously, in order for the side cover (L10a) to be rotatably connected, It should be rotationally coupled with a rotation mean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upper cover (L10b). And, for such a rotation means, it is not necessary to be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any configuration capable of providing a rotational coupling may be used.

그 다음으로 상기 측부 덮개(L10a)는 하단에 로킹부를 포함하는데, 전술하였듯이 상기 로킹부는 잠금부의 잠금핀(L26)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타 측으로 개구된 진입홈(L11) 및 상기한 로킹핀(L26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진입홈(L11)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로킹홈(L111)을 포함한다. 그리고 자명하게도 이러한 진입홈(L11)과 로킹홈(L111)은 각각 상기 잠금핀(L26)과 로킹핀(L261)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져 전술한 바와 같이, 로킹부와 잠금부가 결합/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Next, the side cover (L10a) includes a locking portion at the lower end, and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portion has an entry groove (L11) opened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locking pin (L26) of the locking portion can be inserted, and the locking pin (L261). ) Includes a locking groove (L111)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entry groove (L11) to be inserted. And obviously, these entry grooves (L11) and locking grooves (L111) each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cking pin (L26) and the locking pin (L261),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part and the locking part are engaged/disengaged. It can be.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청구범위를 통해 한정되지 않은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that are not limited through the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 본 시스템(승강기 제어 시스템)
1: 통신부
2: 스위치 제어부
3: 이동 제어부
4; 벨트 감시부
41: 수명감시파트 42: 상태감시파트
E: 외부단말기
S: This system (lift control system)
1: Communication Department
2: switch control section
3: movement control
4; Belt watchdog
41: life monitoring part 42: condition monitoring part
E: External terminal

Claims (4)

외부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외부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승강기의 안전장치용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스위치 제어부; 및
상기 외부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기의 카(Car)를 승강시키는 이동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의 벨트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벨트 감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 감시부는, 벨트의 마모 상태를 계산하여 마모 한계치의 도달 여부를 판단하는 수명감시파트 및 벨트의 이탈이나 걸림을 감지하는 상태감시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 감시부는 상기 벨트에서 발생하는 진동 값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명감시파트는 상기 진동 값을 기준으로 상기 벨트의 최대 인장과 최소 인장에 대한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상기 마모 한계치를 계산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부 및 상기 이동 제어부를 내장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일단에 결착공을 구비한 상부 덮개와, 상기 상부 덮개의 타단에서 하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에 로킹부를 포함하는 측부 덮개를 포함하는 제1하우징,
하부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연결된 측벽을 포함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측벽의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결착공에 삽입되는 버튼블록과, 상기 베이스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로킹부와 결합되는 잠금부와, 상기 버튼블록의 누름에 의해 상기 로킹부와 상기 잠금부의 결합을 해제하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부는 일 측으로 개구된 진입홈 및 상기 진입홈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로킹홈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해제부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진입홈에 삽입되는 잠금핀 및 상기 잠금핀에 내장되어 상기 잠금핀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킹홈에 삽입되는 로킹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제어 시스템.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terminal;
A switch control unit for operating a switch for a safety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And
A movement control unit for lifting a car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Including,
Further comprising a belt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state of the belt of the elevator,
The belt monitoring unit includes a life monitoring part that calculates a wear state of the bel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wear limit value is reached, and a state monitoring part that detects separation or jamming of the belt,
The belt monitoring unit includes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 vibration value generated in the belt,
The life monitoring part calculates the wear limit value by analyzing the spectrum of the maximum tension and the minimum tension of the belt based on the vibration value,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including the switch control unit and the movement control unit,
The housing,
A first housing including an upper cover having a binding hole at one end, and a side cover that is rotatably connected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upper cover and includes a locking part at the lower end,
A second housing including a lower base and sidewalls connected upwardly from one end of the base,
A button block embedded in the second housing and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wall and inserted into the binding hole; a lock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ase and coupled to the locking portion; and the button block Including a locking means comprising a locking portion and a release portion for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locking portion,
The locking portion includes an entry groove opened to one side and a lock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entry groove,
The locking unit comprises a locking pin that is moved by the release unit and inserted into the entry groove, and a locking pin that is embedded in the locking pin and protrudes toward the side of the locking pin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10885A 2020-09-01 2020-09-01 Elevator management control system KR1022287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885A KR102228739B1 (en) 2020-09-01 2020-09-01 Elevator management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885A KR102228739B1 (en) 2020-09-01 2020-09-01 Elevator management contro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739B1 true KR102228739B1 (en) 2021-03-17

Family

ID=7524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885A KR102228739B1 (en) 2020-09-01 2020-09-01 Elevator management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73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6006A (en) * 2010-06-08 2011-12-22 Toshiba Elevator Co Ltd Cage operation system by remote control and cage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70057317A (en) * 2014-09-11 2017-05-2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Vibration-based elevator tension member wear and life monitoring system
KR101998392B1 (en) * 2018-10-19 2019-09-27 주식회사 금강엔지니어링 Safety apparatus for elev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6006A (en) * 2010-06-08 2011-12-22 Toshiba Elevator Co Ltd Cage operation system by remote control and cage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70057317A (en) * 2014-09-11 2017-05-2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Vibration-based elevator tension member wear and life monitoring system
KR101998392B1 (en) * 2018-10-19 2019-09-27 주식회사 금강엔지니어링 Safety apparatus for elev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225B1 (en) Method of automated testing for an elevator safety brake system and elevator brake testing system
CN101243000B (en) Elevator system
MX2010009979A (en) Liftgate controller.
CN107848742B (en) Elevator control system and elevator system comprising same
US10001861B2 (en) Elevator with maintenance opening in the car floor
US20140262629A1 (en) Elevator system with messaging for automated maintenance
CN101531307B (en) Forced reduction gear for elevator terminal layer
RU2717604C2 (en) Elevator control device
CN110626917A (en) Elevator system
CN112135787B (en) Safety switching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an elevator installation between a normal operating mode and an inspection operating mode
EP2497738B1 (en) Notification device of elevator
KR102289455B1 (en) System for elevator emergency communication and device for elevator safety management
KR102228739B1 (en) Elevator management control system
JP201200128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elevator door
US20220363513A1 (en) Mobile control unit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n elevator installation
KR100616332B1 (en) A lift having safety function
US11884512B2 (en) Car and entity safety supervising unit for an elevator
CN110217674A (en) The elevator of elevator enters system
KR20170047183A (en) Service alarm device for elevator system
JP2016150823A (en) Elevator inspection device
CN110626898B (en) Elevator system
KR20150142887A (en) Intergrated safet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elevators
CN110775765A (en) Elevator safety dete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KR20170116748A (en) Alarm device for parts replacement time of Elevator
KR101802495B1 (en) Control system for checking and repairing a elevator by one pers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