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227B1 - 우사용 위생 급수조 - Google Patents

우사용 위생 급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227B1
KR102228227B1 KR1020200064329A KR20200064329A KR102228227B1 KR 102228227 B1 KR102228227 B1 KR 102228227B1 KR 1020200064329 A KR1020200064329 A KR 1020200064329A KR 20200064329 A KR20200064329 A KR 20200064329A KR 102228227 B1 KR102228227 B1 KR 102228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locking frame
base body
blocking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석
Original Assignee
이안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안스(주) filed Critical 이안스(주)
Priority to KR1020200064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05Drinking bowls with anti-splash or anti-spill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7Drinking equipment with water heaters, coolers or means for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사에서 사용되는 급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축사에 사용되는 종래의 급수장치 중 우사에서 사용되는 급수조에 소가 혀를 이용하여 물을 튀기는 장난을 하거나 물을 걷어내는 음용습관에 의해 급수조의 외측으로 물이 비산되는 것을 차단부를 설치하여 방지함으로써, 음용수의 소실, 우사의 바닥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급수조의 위생 및 관리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사용 위생 급수조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우사용 위생 급수조 {Sanitary water tank for livestock use}
본 발명은 우사에서 사용되는 급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축사에 사용되는 종래의 급수장치 중 우사에서 사용되는 급수조에 소가 혀를 이용하여 물을 튀기는 장난을 하거나 물을 걷어내는 음용습관에 의해 급수조의 외측으로 물이 비산되는 것을 차단부를 설치하여 방지함으로써, 음용수의 소실, 우사의 바닥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급수조의 위생 및 관리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사용 위생 급수조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축사용 급수장치는 실외 또는 축사 내부에 배치되어 가축의 식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동절기와 같이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 급수관의 동파를 방지하고 찬물에 의한 가축의 배탈 등을 방지하기 위한 급수장치이다.
이러한 가축용 보온 급수장치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7-0007772호(고안의 명칭: 가축용 급수통),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30406호(고안의 명칭: 축산용 자동 보온급수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603호(고안의 명칭: 축산용 보온 급수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급수장치는 우사에 설치되는 경우, 소가 혀를 이용하여 물을 튀기는 장난을 하거나 물을 걷어내는 음용습관에 의해 급수장치의 전방으로 물이 비산됨으로써, 음용수가 소실되거나 비산된 물에 의해 바닥이 오염되고, 동절기에는 물이 얼게되어 통행 및 작업에 지장을 초래함은 물론 급수장치의 동파방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악취 발생 및 미관상으로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도세 전기세 등 각종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우사의 운영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0553호에는 상부가 개구된 급수통이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급수통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집수통을 포함하는 축산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 또는 급수통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급수통의 상부 가장자리를 커버하도록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가장자리로 커버부가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부의 선단부 상면 또는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그 부분의 인접부분이 굴곡져 형성된 마감띠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의 저면에는 상기 급수통의 내측면 선단에 끼워지도록 하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끼움편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편의 외면에는 상기 급수통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결합되도록 밀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급수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0553호는 가축에게 음용수를 제공하는 급수통을 청결하게 유지함은 물론 급수장치 주위의 세균번식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고, 마감띠를 가축의 혀에 의해 퍼 올려지는 물을 주변으로 튀거나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고 있으나, 가축이 물을 음용하기 위한 개구부가 작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실질적으로 물이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7-000777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3040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260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055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우사 급수장치는 급수조에 소가 혀를 이용하여 물을 튀기는 장난을 하거나 물을 걷어내는 음용습관에 의해 급수조의 외측으로 물이 비산됨으로써, 음용수가 소실되거나 비산된 물에 의해 바닥이 오염되고, 동절기에는 물이 얼게되어 통행 및 각종 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급수장치의 동파방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악취 발생 및 미관상으로 좋지 않으며, 이에 따라 수도세, 전기세 등 각종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비산되는 물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부를 구비하는 우사용 위생 급수조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상부면에 물이 담기는 적어도 하나의 음용홈이 형성된 베이스몸체와 음용방향을 제외한 상기 베이스몸체의 상부면에 하부가 결합되되, 상기 음용홈의 둘레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위생 급수조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단부는 상부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몸체의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차단부는 상기 베이스몸체의 상부면 전방에 하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몸체의 외측방향으로 접철되는 전방차단프레임과 상기 베이스몸체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하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몸체의 외측방향으로 접철되는 측면차단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차단프레임과 측면차단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몸체의 상부방향으로 펼쳤을 때, 상기 전방차단프레임의 일측 또는 타측에 상기 측면차단프레임의 전방이 결합되어 차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몸체는 상부면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기 음용방향으로 말단이 구부러지며, 상기 말단에 염부재가 구비되는 염분섭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우사용 위생 급수조는 우사에서 사용되는 급수조에 소가 혀를 이용하여 물을 튀기는 장난을 하거나 물을 걷어내는 음용습관에 의해 급수조의 외측으로 물이 비산되는 것을 차단부를 설치하여 방지함으로써, 음용수의 소실, 우사의 바닥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동절기에 동파를 방지할 수 있어 급수조의 위생 및 관리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급수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급수조를 나타낸 평면도.(자석 표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급수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단부가 접힌 급수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단부의 접철을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급수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급수조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축사 특히, 우사에서 사용되는 급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축사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급수장치 중 우사에서 사용되는 급수조에 소가 혀를 이용하여 물을 튀기는 장난을 하거나 물을 걷어내는 음용습관에 의해 급수조의 외측으로 물이 비산되는 문제점을 베이스몸체(100)의 상부면에 차단부(200)를 설치하여 방지함으로써, 이에 따라 음용수의 소실, 우사의 바닥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동절기에 동파를 방지할 수 있으며, 히팅부(미도시) 등 전자기기의 잦은 고장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 확보 및 유지보수, 그리고 관리가 용이한 우사용 위생 급수조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상부면에 물이 담기는 적어도 하나의 음용홈(110)이 형성된 베이스몸체(100);와 음용방향을 제외한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상부면에 하부가 결합되되, 상기 음용홈(110)의 둘레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차단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단부(200)는 상부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차단부(200)는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상부면 전방에 하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접철되는 전방차단프레임(210);과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하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접철되는 측면차단프레임(2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차단프레임(210)과 측면차단프레임(220)은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상부방향으로 펼쳤을 때, 상기 전방차단프레임(2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상기 측면차단프레임(220)의 전방이 결합되어 차단부(20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몸체(100)는 상부면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기 음용방향으로 말단이 구부러지며, 상기 말단에 염부재(122)가 구비되는 염분섭취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베이스몸체(100)는,
상부면에 물이 담기는 적어도 하나의 음용홈(110)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음용홈(110)의 물을 소가 음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음용홈(110)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음용홈(110)에 위생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음용홈(110)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음용수분배부(미표시)와, 상기 음용홈(110)에 담긴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음용홈(1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히팅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베이스몸체(100)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축사에 사용되는 음용수 가열 시스템을 갖는 급수조의 본체에 포함되어 있는 어떠한 구성들이 포함되어도 무방함은 자명할 것이고, 종래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들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 가능하게 포함됨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차단부(200)는,
소가 물을 음용하는 음용방향 즉, 축사방향을 제외한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상부면에 하부가 결합되되, 상기 음용홈(110)의 둘레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소가 물을 튀기는 장난을 하거나 물을 걷어내는 음용습관 발생시 물이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외부로 비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시 물이 상기 음용홈(110)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차단부(200)는 상부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소가 물을 음용할 때, 답답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소의 장난 또는 음용습관에 의해 비산되는 물이 다시 자연스럽게 음용홈(110)으로 회수되도록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차단부(200)가 수직으로 형성되는 경우 소가 물을 음용할 때, 전방과 측방이 폐쇄된 느낌을 받아 답답함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음용하는 소의 움직임을 제약하여 차단부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급수조의 파손 및 소가 다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차단부(200)는 상부로 갈수록 상부 개방구가 확장될 수 있도록 하여 소의 움직임 제약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물의 비산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부(200)는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상부면 전방에 하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접철되는 전방차단프레임(210)과,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하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접철되는 측면차단프레임(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작업자 즉, 사육자는 우사에 복수 개의 급수조를 설치하거나 유지보수 또는 이동 설치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200)를 접어 상기 베이스몸체(100)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전방차단프레임(210)과 상기 측면차단프레임(220)이 상기 베이스몸체(100)와 힌지결합되는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경첩(미표시)에 의해 상기 전방차단프레임(210)과 측면차단프레임(220)이 상기 베이스몸체(100)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전방차단프레임(210)과 측면차단프레임(220)은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상부방향으로 펼쳤을 때, 즉, 소가 물을 음용하도록 설치할 때, 상기 전방차단프레임(2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상기 측면차단프레임(220)의 전방이 결합되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20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전방차단프레임(210)과 측면차단프레임(220)은 매미고리 등과 같은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결합되어도 무방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자석을 이용한 결합방법을 채택하여 보다 쉬운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전방차단프레임(210)은 일측과 타측 내부에 내입되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자석(21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면차단프레임(220)은 전방 내부에 내입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212)과 대응되는 제2자석(222)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전방차단프레임(210)과 측면차단프레임(220)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전방차단프레임(210)과 측면차단프레임(220) 각각은 상측 내부에 내입되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자석(216)(22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상부차단프레임(230) 또는 메쉬망(240)이 본 발명의 차단부(200)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의 차단부(200)는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차단프레임(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상부차단프레임(230)은 차단부(200)의 상부를 폐쇄하여 빗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용홈(110)에 담겨 있는 물의 오염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단부(200)는 상부에 결합되는 메쉬망(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메쉬망(240)은 차단부(200)의 상부로 메쉬의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용홈(110)에 담겨 있는 물의 오염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상부차단프레임(230)과 메쉬망(240)은 테두리에 내입되어 설치되되, 앞서 설명된 전방차단프레임(210)과 측면차단프레임(220)의 제3자석(216)226)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4자석(232)(24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4자석(232)(242)에 의해 상기 차단부(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물질이 음용홈(11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차단프레임(230)과 메쉬망(240)은 작업자 즉, 사육자가 날씨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 또는 설치 해제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부(200)의 상부를 완전히 밀폐할 것인지 아니면 부분적으로 밀폐를 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택일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급수조의 위생성을 더욱더 향상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베이스몸체(100)는 상부면에 하부가 결합되고, 음용방향 즉, 축사방향으로 말단이 구부러지며, 상기 말단에 염부재(122)가 구비되는 염분섭취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염분섭취부(120)는 소의 사육시 사료에도 염분이 포함되어 있지만 소가 염분을 추가적으로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말단에 염부재(122)가 구비되어 소가 물을 섭취할 때 함께 염분을 섭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염부재(122)는 상기 염분섭취부(120)의 말단에 설치되되, 표면에 소금이 붙어 있는 결합부재(미표시)로 이루어지거나, 소금덩어리로 이루어져 상기 염분섭취부(120)의 말단에 설치될 수 있다.
부가하여, 상기 염부재(122)는 소금덩어리는 과도한 염분의 섭취를 조장할 수 있고, 쉽게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말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결합부재는 꿀 또는 식용접착제를 이용하여 표면에 소금을 부착시켜 소가 물을 음용할 때 함께 염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우사용 위생 급수조는 물이 외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판(200)을 이용하여 위생성을 향상키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차단판(200)을 접철식으로 베이스몸체(100)에 결합시켜 운반 또는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차단판(200)의 상부를 밀폐 또는 부분 밀폐할 수 있도록 상부차단프레임(230) 도는 메쉬망(240)을 이용함으로써, 더욱더 위생 및 관리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베이스몸체 110 : 음용홈
120 : 염분섭취부 122 : 염부재
200 : 차단부 210 : 전방차단프레임
212 : 제1자석 222 : 제2자석
216,226 : 제3자석 220 : 측면차단프레임
230 : 상부차단프레임 232,242 : 제4자석
240 : 메쉬망

Claims (4)

  1. 상부면에 물이 담기는 적어도 하나의 음용홈(110)이 형성된 베이스몸체(100);와
    음용방향을 제외한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상부면에 하부가 결합되되, 상기 음용홈(110)의 둘레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차단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단부(200)는
    상부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200)는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상부면 전방에 하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접철되는 전방차단프레임(210);과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하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접철되는 측면차단프레임(2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차단프레임(210)과 측면차단프레임(220)은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상부방향으로 펼쳤을 때, 상기 전방차단프레임(2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상기 측면차단프레임(220)의 전방이 결합되어 차단부(20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방차단프레임(210)은
    일측과 타측 내부에 내입되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자석(21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면차단프레임(220)은
    전방 내부에 내입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212)과 대응되는 제2자석(2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전방차단프레임(210)과 측면차단프레임(220)은
    상측 내부에 내입되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자석(216)(22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단부(200)는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차단프레임(230); 또는 상부에 결합되는 메쉬망(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차단프레임(230)과 메쉬망(240)은
    상기 전방차단프레임(210)과 측면차단프레임(220)의 제3자석(216)(226)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4자석(232)(24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몸체(100)는
    상부면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기 음용방향으로 말단이 구부러지며, 상기 말단에 염부재(122)가 구비되는 염분섭취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사용 위생 급수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64329A 2020-05-28 2020-05-28 우사용 위생 급수조 KR102228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329A KR102228227B1 (ko) 2020-05-28 2020-05-28 우사용 위생 급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329A KR102228227B1 (ko) 2020-05-28 2020-05-28 우사용 위생 급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227B1 true KR102228227B1 (ko) 2021-03-18

Family

ID=75232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329A KR102228227B1 (ko) 2020-05-28 2020-05-28 우사용 위생 급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22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772U (ko) 1995-08-04 1997-03-27 석무환 가축용 급수통
KR0130406Y1 (ko) 1996-03-09 1998-11-02 탁동수 축산용 자동 보온 급수기
KR200202603Y1 (ko) 2000-06-27 2000-11-15 탁동수 축산용 보온 급수장치
KR20010025216A (ko) * 1999-12-17 2001-04-06 금재호 축사용 물통
KR20070113919A (ko) * 2006-05-26 2007-11-29 주식회사 이레 가축용 보온 급수장치
KR20100124689A (ko) * 2010-10-28 2010-11-29 서희동 간수를 첨가한 음용수를 가축에 급여하는 방법
KR101180553B1 (ko) 2011-09-05 2012-09-06 임석환 축산용 급수장치
KR20150013418A (ko) * 2014-12-30 2015-02-05 서희동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772U (ko) 1995-08-04 1997-03-27 석무환 가축용 급수통
KR0130406Y1 (ko) 1996-03-09 1998-11-02 탁동수 축산용 자동 보온 급수기
KR20010025216A (ko) * 1999-12-17 2001-04-06 금재호 축사용 물통
KR200202603Y1 (ko) 2000-06-27 2000-11-15 탁동수 축산용 보온 급수장치
KR20070113919A (ko) * 2006-05-26 2007-11-29 주식회사 이레 가축용 보온 급수장치
KR20100124689A (ko) * 2010-10-28 2010-11-29 서희동 간수를 첨가한 음용수를 가축에 급여하는 방법
KR101180553B1 (ko) 2011-09-05 2012-09-06 임석환 축산용 급수장치
KR20150013418A (ko) * 2014-12-30 2015-02-05 서희동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57738A (en) Animal commode
US6769382B2 (en) Flush toilet for a dog
KR102228227B1 (ko) 우사용 위생 급수조
CN205623812U (zh) 蛋鸡散养集成系统
KR101180553B1 (ko) 축산용 급수장치
CN207574257U (zh) 一种多用途小型智能宠物屋
CN202565947U (zh) 山羊运动场结构
US4366773A (en) Ventilation and feeding system for animal shelter
CN206932936U (zh) 一种组合式猫窝
CN203290038U (zh) 宠物饲养房
CN107173246A (zh) 一种组合式猫窝
CN109329108A (zh) 一种分割式土种鸡饲养农舍
CN209609497U (zh) 一种宠物笼
CN204561838U (zh) 设有防鼠板的饮水机
JP2001346472A (ja) 金網及び尿貯め容器付きペット用トイレ
CN109566591B (zh) 一种基于城市街道流浪猫的防盗诱捕装置
CN208354302U (zh) 一种外置悬挂产箱
CN213523395U (zh) 一种流浪猫的安置猫窝
CN105454052A (zh) 充分利用雨水的奶牛圈
CN205390001U (zh) 一种秦岭细鳞鲑驯化自动索饵装置
CN105454051A (zh) 带降温功能的奶牛圈
CN104921647A (zh) 一种免冲洗自洁式蹲便器
CN216931347U (zh) 一种基于宠物养护的智能加暖宠物窝
KR102627042B1 (ko) 가축용 자동 보온급수장치
CN219781179U (zh) 一种便于清理粪便的猪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