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756B1 - 구조물 손상판단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구조물 손상판단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756B1
KR102227756B1 KR1020200169873A KR20200169873A KR102227756B1 KR 102227756 B1 KR102227756 B1 KR 102227756B1 KR 1020200169873 A KR1020200169873 A KR 1020200169873A KR 20200169873 A KR20200169873 A KR 20200169873A KR 102227756 B1 KR102227756 B1 KR 102227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mage
user terminal
candidate
candidat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진
Original Assignee
박봉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진 filed Critical 박봉진
Priority to KR1020200169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06N20/20Ensembl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5Combinations of networks
    • G06N3/045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단계별 이미지 처리 및 서비스 제공을 통한 효율적인 구조물 손상판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판단 시스템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구조물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구조물 영상을 기초로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제1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는 단계, 제1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이상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후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복수의 제1 후보 이미지를 기초로 제2 후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조물 손상판단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Structure damage judgment service system and service provision method}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손상판단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시스템 및 그 응용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인공 지능 시스템이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인공 지능 시스템은 기존의 룰(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과 달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똑똑해지는 시스템이다. 인공 지능 시스템은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기존 룰 기반 스마트 시스템은 점차 딥러닝 기반 인공 지능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인공 지능 시스템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서비스에 접목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선행문헌 1(공개특허 10-2020-0013148)을 보면, 결함 분석 서비스는 인공지능 모델에 기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결함 영역을 검출한다. 이후, 검출된 결함 영역에 포함된 결함 부분을 픽셀 단위로 식별하여 결함 정보를 생성한다.
다만,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영상은 드론 등과 같은 촬영장비를 통해 획득된 수천장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즉, 선행문헌 1과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결함 분석 서비스에 입력할 이미지를 선별하기 위한 최적의 이미지를 선별하기 위해서 실제로 많은 시간이 투여된다는 단점을 극복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단계별 이미지 처리 및 서비스 제공을 통한 효율적인 구조물 손상판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판단 시스템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구조물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조물 영상을 기초로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제1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이상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후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후보 이미지를 기초로 제2 후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이용 권한 등급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서비스 이용 권한이 제1 등급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2 후보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서비스 이용 권한이 제2 등급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2 후보 이미지를 제2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제2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출력된 바운딩 박스가 표시된 손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손상 이미지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초로 손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손상 이미지 및 상기 손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손상 정보는 상기 손상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구조물의 결함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길이, 두께, 면적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서비스 이용 권한이 제3 등급으로 식별되면, 상기 손상 정보를 기초로 손상 분석 평가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손상 이미지, 상기 손상 정보 및 상기 손상 분석 평가 보고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구조물 영상은 콘크리트 댐의 외관에 대한 동영상인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제1 시간간격마다 상기 구조물 영상을 캡쳐하여 상기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제2 후보 이미지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재생성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시간간격보다 짧은 제2 시간간격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상영역은 상기 구조물에 포함된 결함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추정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후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상영역의 형태 및 상기 제1 후보 이미지 경계선 중 상기 이상영역을 포함하는 경계선에 인접한 패턴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형태 및 상기 패턴을 기초로 상기 제1 후보 이미지를 클러스터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러스터링된 제1 후보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이상영역이 상기 제2 후보 이미지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후보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구조물 손상판단 시스템에 따르면, 종래에 구조물 손상 분석하는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최적 이미지)를 선정하는 데에 있어서 소모되는 시간과 인적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의 이용 가격이 획기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낮은 등급(서비스 이용료를 낮게 지불한 제1 등급)의 사용자에게는 경량 알고리즘을 통한 신경망으로 획득되는 최적 이미지만을 제공하고, 높은 등급의 사용자에게는 더 높은 시간이 산출되는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을 위해 소모되는 시간 및 데이터량을 고려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시간 및 비용면에서 절약된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고가의 서비스를 저가로 제공받을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에 대하여 선별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판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클라우드 서버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가 제1 후보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가 제2 후보 이미지(최적 이미지)를 생성한 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200)가 손상 이미지를 획득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으며,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인공적인 지능 또는 이를 만들 수 있는 방법론을 연구하는 분야를 의미할 수 있고,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은 인공지능 기술의 한 분야로서 컴퓨팅 장치가 데이터를 통해 학습하여 특정 대상 혹은 조건을 이해할 수 있게 하거나 데이터의 패턴을 찾아내 분류하는 기술적 방식으로써 컴퓨터가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게 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기계 학습은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하기 위한 동작 방법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판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 및 클라우드 서버(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은 구조물 손상판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복수의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콘크리트 댐 등 구조물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손상판단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구조물의 손상은 크랙, 박리/박락, 누수, 백태, 철근노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100)은 구조물에 대한 영상을 직접 촬영할 수도 있고, 드론과 같은 별도의 장치가 촬영한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획득한 구조물 영상을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200)는 구조물 손상판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는 구조물 영상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기 위한 웹 서비스를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이용 권한을 식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이용 권한에 따라, 상이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1)의 서비스 계정이 제1 등급 이용 권한인 것으로 식별하면, 제1 사용자 단말(100-1)에 제1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서비스는 제1 사용자 단말(100-1)로부터 수신한 구조물 영상으로부터 최적 이미지(이하, 후보 이미지)를 생성하고, 제1 사용자 단말(100-1)로 후보 이미지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후보 이미지는 구조물 영상에 포함된 이미지 중 손상된 것으로 의심되는 이상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200)는 제2 사용자 단말(100-2)의 서비스 계정이 제2 등급 이용 권한인 것으로 식별하면, 제2 사용자 단말(100-2)에 제2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 서비스는 제2 사용자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구조물 영상으로부터 후보 이미지를 생성하고, 후보 이미지를 기초로 손상 이미지를 생성한 후, 후보 이미지 및 손상 이미지를 제2 사용자 단말(100-2)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손상 이미지는 후보 이미지에 포함된 이상영역에 대한 손상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한편, 선택적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서비스 이용료 결재여부를 기초로 서비스 이용 권한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1)이 무료 이용 중인 경우에 제1 등급으로 식별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100-2)의 서비스 계정이 특정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이용료를 지불한 경우에 제2 등급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는 일예에 불과하고, 클라우드 서버(200)는 다양한 기준으로 이용 권한을 분류할 수 있고, 다양한 분류에 각각 대응하는 손상 판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에서는 클라우드 서버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200)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서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구분은 물리적인 구분인 하드웨어로 구분되거나, 추상적인 구분인 소프트웨어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200)는 하나의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 별도의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서버들이 하나의 서버군으로 운영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200)는 통신부(210), 권한식별부(220), 후보 이미지 생성부(230) 및 손상 이미지 분석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단말(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제1 사용자 단말(100-1)로부터 콘크리트 구조물 영상을 수신하고, 결함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100-2)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은 동일한 단말일 수도 있으나, 서로 상이한 단말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통신부(210)는 데이터 송수신 프로토콜 및 통신 방식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구조물 영상은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동영상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을 촬영한 단일 또는 복수의 2차원/3차원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구조물 영상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부 또는 전체를 촬영한 것일 수 있다.
구조물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구조물 영상은 후보 이미지 생성부(230)로 전송되고, 후보 이미지 생성부(230)는 구조물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보 이미지 생성부(230)는 기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상기 구조물 영상을 캡쳐하여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는 손상 판단 대상인 콘크리트 구조물(예로, 댐)에 대한 이미지이다.
후보 이미지 생성부(230)는 획득한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의 이상영역을 추출할 수 있고, 해당 이상영역을 기초로 후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후보 이미지는 구조물의 손상부를 포함하는 이미지이며, 구조물의 손상부를 분석하기 위한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기 위한 최적 이미지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추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손상 이미지 분석부(240)는 상기 후보 이미지를 분석하여 손상 이미지, 손상 정보 및 평가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상 이미지 분석부(240)는 후보 이미지에 포함된 이상영역을 분석하여 손상부로 판단할 수 있고, 해당 손상부에 대응하는 손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한식별부(220)는 사용자 단말(100)에 대응하는 계정의 클라우드 서버(200)가 제공하는 손상판단 서비스의 이용 권한을 식별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권한식별부(220)는 사용자 단말(100)의 계정이 클라우드 서버(200)가 운영하는 구조물 손상판단 서비스의 이용 권한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계정은 손상판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가입절차를 통해 생성된 계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권한식별부(220)는 상기 계정을 제1 등급 내지 제n 등급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정이 제1 등급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신부(210)는 후보 이미지 생성부(230)에서 생성된 후보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정이 제2 등급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신부(210)는 손상 이미지 분석부(240)에서 생성된 손상 이미지 및 손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란 자세한 설명은 추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보 이미지 생성부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후보 이미지 생성부(230)는 이미지 획득부(231), 이상영역 추출부(232), 이미지 분석부(233) 및 이미지 처리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 획득부(231)는 기설정된 시간간격마다 구조물 영상을 캡쳐하여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물 영상이 드론으로 촬영된 댐에 대한 동영상으로써, 러닝타임이 40분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기설정된 제1 시간간격이 2초인 경우, 이상영역 추출부(231)는 1200개의 구조물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시간간격은 손상판단 서비스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해 설정되는 것일 수도 있고, 서비스 출고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구조물 영상을 상기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구조물 영상을 캡쳐하기 위한 시간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이미지 획득부(231)는 동영상의 용량, 화질, 러닝타임을 고려하여 시간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이미지 획득부(231)는 제1 용량(150MB) 이하 또는 제1 러닝타임(15분) 이내의 경우, 제1 시간간격을 3초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획득부(231)는 제1 용량(150MB) 또는 제1 러닝타임(15분) 초과하고 제2 용량(2GB) 이하 또는 제2 러닝타임(30분) 이내인 경우, 제1 시간간격을 4초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획득부(231)는 제2 용량(2GB) 또는 제2 러닝타임(30분)을 초과하고, 제3 용량(4GB) 또는 제3 러닝타임(1시간) 이내인 경우 제1 시간 간격을 5초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예시는 일예에 불과하고, 이미지 획득부(231)는 다양한 기준으로 시간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설정된 시간간격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재생성 신호에 응답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간격으로 캡쳐한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들은 제1 시간간격이 과도하게 길어서, 손상부에 대한 충분한 이미지를 포함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시간간격으로 캡쳐된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기초로 생성된 제2 후보 이미지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이상영역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의 계정을 통해 로그인된 서비스 상에서 재생성에 대응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은 재생성에 대응하는 명령 신호(재생성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부(231)가 제1 시간간격으로 추출한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기초로 생성된 최적 이미지(또는 제2 후보 이미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재생성 신호'를 수신하면, 이미지 획득부(231)는 재생성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시간간격보다 짧은 제2 시간간격으로 상기 구조물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재추출할 수 있다. 이후, 제2 시간간격으로 획득된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기초로 제2 후보 이미지를 재생성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200)는 재생성된 제2 후보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200)는 수신한 구조물 영상 전체에 대하여 분석할 필요 없이, 시간과 메모리 수요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상영역 추출부(231)는 상기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또는 재추출된 구조물 이미지)에 포함된 이상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이상영역은 구조물의 결함부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추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상영역 추출부(231)는 제1 인공지능 모델에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입력하고, 상기 제1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이상영역이 포함된 제1 후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1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가 입력되면, 이상영역을 포함하는 제1 후보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학습된 모델일 수 있다. 이때, 제1 인공지능 모델은 CNN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경량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 경량화를 이용한 신경망을 이용하여 학습된 모델의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보다 크기가 작고, 연산을 간소화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 편집부(233)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후보 이미지를 기초로 제2 후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제1 후보 이미지는 1개 이상의 결함에 대한 이상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영역 추출부(232)는 결함의 종류를 구분하지 않고, 결함으로 판단되는 이상영역을 추출한다.
다만, 적어도 하나의 제1 후보 이미지들은 실제로 복수의 결함에 대응하는 이상영역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후보 이미지가 100개라고 가정할때, 20개는 제1 결함에 대응하는 이상영역을 포함하고, 30개는 제2 결함에 대응하는 이상영역을 포함하고, 50개는 제3 결함에 대응하는 이상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 편집부(233)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후보 이미지를 클러스터링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이미지 편집부(233)는 100개의 제1 후보 이미지에 대하여, 20개, 30개, 50개로 각각 클러스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편집부(233)는 상기 이상영역의 형태 및 제1 후보 이미지 경계선 중 상기 이상영역을 포함하는 경계선에 인접한 패턴을 식별하고, 상기 형태 및 패턴을 기초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후보 이미지에는 이상영역이 일부만 잘려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 후보 이미지 경계면 중 이상영역을 포함하는 경계선은, 제1 후보 이미지를 사격형으로 구성하는 제1 경계 내지 제4 경계 중 이상영역을 자르는 경계선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편집부(233)는 상기 이상영역의 형태 및 상기 패턴을 기초로 상기 제1 후보 이미지를 클러스터링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편집부(233)는 이상영역이 제1 후보 이미지 중 이상영역이 잘리지 않고 온전히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이상영역의 형태 유사도를 기초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편집부(233)는 제1 후보 이미지 중 잘려진 이상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상영역을 자르는 경계선에 인접한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이미지 편집부(233)는 식별된 패턴과 유사한 패턴을 포함하는 제1 후보 이미지를 클러스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 편집부(233)는 클러스터링된 제1 후보 이미지에 대하여, 이상영역이 이미지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편집 및 결합하여 제2 후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이미지 편집부(233)는 복수의 제1 후보 이미지가 이상영역을 온전히 포함하고 있는 경우, 이상영역 형태를 기준으로 복수의 제1 후보 이미지를 회전, 확대/축소를 수행하여, 제2 후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이미지 편집부(233)는 제1 후보 이미지가 이상영역을 일부 자르며 걸쳐서 포함하는 경우, 경계선에 인접한 패턴이 유사한 제1 후보 이미지들을 회전, 확대/축소를 수행하여, 제2 후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 처리부(234)는 제2 후보 이미지에서 노이즈를 제거한다. 노이즈 제거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객체의 길이 및/또는 면적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이면 이를 노이즈로 인식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이미지 처리부(234)는 간단한 신경망을 이용하여 노이즈를 분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후보 이미지 생성부(230)는 방대한 양의 구조물 영상에 대하여, 이미지 획득을 통한 샘플링 및 경량화된 제1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최적 이미지(제2 후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2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기 위한 최적 이미지를 적은 시간과 메모리용량으로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결함 분류 모델에 입력하기 위한 이미지를 선택해야되는 시간과 인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 이미지 분석부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손상 이미지 분석부(240)는 손상이미지 생성부(241), 손상정보 생성부(242) 및 보고서 생성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이미지 생성부(241)는 제2 후보 이미지를 기초로 손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손상이미지 생성부(241)는 이미지를 입력하면, 구조물 결함에 대한 바운딩 박스가 포함된 손상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학습된 제2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인공지능 모델은 제2 후보 이미지 내의 특징들에 대한 특징 맵(feature map)을 만들어내는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특징 맵에서 제안 영역을 추출하는 영역 제안망(Region Proposal Network), 및 특징 맵에서 제안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특징을 추출하는 관심 영역 통합층(RoI Pool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인공지능 모델은, 결함 영역 추출부(미도시)는 특징 추출부 (미도시) 및 영역 제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징 추출부에서, 제2 후보 이미지는 제2 인공지능 모델의 합성곱 신경망(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에 입력되며, 합성곱 신경망은 입력된 제2 후보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여 제2 후보 이미지 내의 특징들에 대한 특징 맵을 만들어낼 수 있다. 특징 맵(또는 특징 지도)은 합성곱 신경망에서 각 객체(균열 또는 결함)의 클래스를 분류하기 직전의 형태로, 클래스 분류를 위한 특징이 표현된 단계를 의미한다.
합성곱 신경망은 여러개의 합성곱 계층(Convolution layer), 여러 개의 서브 샘플링 계층(Subsampl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합성곱 계층은 입력 영상에 대해 합성곱(convolution)을 수행하는 계층이며, 서브 샘플링 계층은 입력 영상에 대해 지역적으로 최대값을 추출하여 2차원 영상에 매핑하는 계층으로, 국소적인 영역을 더 크게하고 서브샘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특징 추출부에서 만들어진 특징 맵은 영역 제안부의 영역 제안망(Region Proposal Network)으로 입력된다. 영역 제안망은 특징 맵에서 제안 영역을 추출하는 네트워크로, 합성곱 신경망의 마지막 계층(layer)에서 m x m 슬라이딩 윈도우가 특징 맵을 가로질러 이동하여 이를 더 낮은 차원으로 매핑하는데, 슬라이딩 윈도우 위치마다 k개의 고정 비율 앵커(anchor)를 기반으로 여러 개의 가능한 영역을 생성한다(이를 '바운딩 박스'라 한다).
영역 제안망은 각 바운딩 박스에 객체(균열 또는 결함)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와, 해당 바운딩 박스의 좌표가 무엇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영역 제안망은 특징 맵 내에서 결함(객체)의 존재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제안하며, 바운딩 박스의 "객체성"점수가 특정 임계값보다 높으면 해당 바운딩 박스의 좌표가 이상영역(객체 후보 영역)으로 제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인공지능 모델은 관심 영역 통합층(RoI Pooling layer)을 이용하여, 특징 맵에서 각 객체 후보 영역 대응되는 특징을 추출한다.
관심 영역 통합층이 추출하는 특징은 객체를 판별하기 위하여 정규화된 특징으로, 관심 영역 통합층은 영역제안망을 통해 제안된 다양한 크기의 이상영역(객체 후보 영역)을 일정한 크기의 완전 연결 계층(Fully-Connected layer)에 입력하기 위해 다운 샘플링(down sampling)한다.
관심 영역 통합층에서 추출된 객체 후보 영역의 특징은 완전 연결 계층에서 균열/비균열, 결함(누수, 부식 등)/비결함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콘크리트 표면 이미지, 콘크리트 표면 이미지 내에 균열 또는 결함이 발생된 부분을 포함하는 바운딩 박스, 및 바운딩 박스의 특성을 나타내는 레이블(균열, 비균열, 결함, 비결함, 누수, 부식 등)을 이용한 종단간 학습(end-to-end training)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손상정보 생성부(242)는 상기 결함에 대한 손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손상정보는 결함의 종류(크랙, 박리, 박락, 백태, 누수, 철근노출 등)에 대한 정보, 결함의 특성 정보, 결함에 대한 통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균열 결함의 경우, 손상정보에는 균열이 종방향인지, 횡방향인지, 사방향인지, 격자형인지에 따른 결함 등급 별 균열 개수가 표시될 수 있으며, 누수 결함의 경우, 천장 누수인지, 벽체 누수인지, 바닥 누수인지 시공이음누수인지 등과 같은 누수의 종류가 표시될 수 있다. 결함 등급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두께, 길이, 면적 등이 기준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고서 생성부(243)는 외관조사망도 및/또는 안전진단 보고서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외관 조사망도는 점검 또는 진단시 조사된 결함의 종류 및 위치를 설계도면 및/또는 약식 도면에 알기 쉽게 표기한 것이다. 외관 조사망도에는 건축물의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 등을 통해 표준화된 기호, 문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구조물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S510).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200)는 상기 구조물 영상을 기초로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520).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200)는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제1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할 수 있다(S530).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200)는 제1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이상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후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540).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200)는 상기 복수의 제1 후보 이미지를 기초로 제2 후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S550).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200)가 제1 후보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구조물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610 내지 660)를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610 내지 660)는 구조물 결함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200)는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610 내지 660)에 포함된 이상영역(A1 내지 A4) 및 경계에 인접한 패턴(B1 내지 B8)을 추출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200)는 이상영역(A1 내지 A4)의 형태 및 경계에 인접한 패턴(B1 내지 B8)를 기초로 이상영역이 이미지의 중앙으로 오도록 편집할 수 있다.
도 6d는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구조물 영상으로부터 획득한 제2 후보 이미지(최적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6d의 제2 후보 이미지는 결함이 이미지의 중앙에 오도록 생성된 것으로, 제2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되기 위한 최적의 이미지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가 제2 후보 이미지(최적 이미지)를 생성한 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200)는 제2 후보 이미지를 획득한 후, 사용자 단말(100)에 대응하는 계정의 서비스 이용 권한을 식별할 수 있다(S710). 이용 권한이 제1 등급인 경우, 클라우드 서버(200)는 제2 후보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S760). 이때, 제2 후보 이미지는 구조물 영상에 포함된 구조물 흠결을 분석하기 위해서,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기 위한 최적의 이미지일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이용 권한이 제2 등급인 것으로 식별하면, 제2 후보 이미지를 제2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할 수 있다(S720). 클라우드 서버(200)는 이미지가 입력되면 손상부에 대한 바운딩 박스가 포함된 손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730). 이때, 손상 이미지는 최적 이미지에 포함된 구조물 손상에 대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되고, 해당 손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200)는 손상 이미지를 획득한 후, 사용자 단말(100) 계정의 권한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740). 이때, 여전히 제2 등급인 것으로 식별되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손상 이미지룰 전송할 수 있다(S750). 반면, 사용자 단말(100)의 계정 권한이 제3 등급으로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손상 분석을 위한 평가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고(S770), 사용자 단말(100)로 손상 이미지 및 평가 보고서를 전송할 수 있다(S780).
선택적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계정이 서비스 이용료를 지불하지 않은 단순 회원 또는 제1 금액을 지불한 경우, 상기 계정을 제1 등급으로 식별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서버(200)는 제1 등급의 사용자에게는 구조물 영상 중에서 구조물의 손상부를 분석하는 제2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기 위한 최적의 이미지(제2 후보 이미지)만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제2 후보 이미지를 제공하면서, 추가 서비스(손상 분석)를 받기 위한 안내문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최적 이미지를 수신 후, 해당 이미지에 대한 손상 분석을 원하는 경우, 추가 서비스 이용료를 지불한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상기 계정이 클라우스 기반 서비스 내에서 제1 금액보다 큰 제2 금액을 지불한 것으로 판단하면, 사용자 단말(100)의 계정을 제2 등급으로 식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추가 서비스(평가보고서 수신 등)을 제공 받고 싶으면, 서비스 이용료를 지불하고, 이 경우 클라우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계정을 더 높은 등급의 이용 권한을 가진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사용자가 필요한 서비스만을 제공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200)의 부하 및 시간 소요를 감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200)가 손상 이미지를 획득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각각의 손상 이미지는 손상 부분(크랙, 박리/박락, 백태, 누수)에 대하여 바운딩 박스로 표시되어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바운딩 박스 외에도, 손상부에 대한 다양한 분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200)는 손상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에 대한 데이터필드 마다 등급 별로 공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손상 이미지 및 바운딩 박스를 획득하면서 복수의 손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200)는 상기 바운딩 박스를 포함하는 손상 이미지의 일 부분에 상기 손상 정보를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손상 정보는 해당 손상부로 인한 위험도, 손상부의 종류, 전체 손상 종류 대비 해당 손상부의 비율에 대한 통계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손상 정보에 대한 데이터 필드(예로, 위험도 데이터 필드, 손상 종류 데이터 필드, 통계 정보 데이터 필드 등)에 대하여 각각 이용 권한 별로 제공여부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200)는 손상 종류 데이터 필드, 통계 정보 데이터 필드에 대하여 제2 등급 이상의 사용자 계정에게 접근 허용하고, 위험도 데이터 필드에 대하여 제3 등급 이상의 사용자 계정에게 접근 허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 계정 등급이 제2 등급인 것으로 식별된 경우, 위험도 데이터 필드에 대응하는 정보는 블러링 처리 또는 해쉬 값으로 은폐하여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계정 등급의 변경이 있는 경우, 상기 블러링 처리 또는 해쉬값으로 은혜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클라우드 서버(200)는 제3 등급으로 식별되면(사용자 단말(100)의 계정이 추가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이용료를 지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블러링 처리 또는 해쉬값으로 은폐된 위험도 데이터 필드에 대응하는 정보에 대하여 공개 표시할 수 있고, 공개표시된 손상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장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비일시적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이때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구조물 손상판단 시스템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구조물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조물 영상을 기초로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제1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이상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후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후보 이미지를 기초로 제2 후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이용 권한 등급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서비스 이용 권한이 제2 등급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2 후보 이미지를 제2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제2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출력된 바운딩 박스가 표시된 손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손상 이미지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초로 손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손상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필드(field)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필드를 해시 값으로 변환하여 은폐하는 단계; 및
    상기 손상 이미지 및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필드가 은폐된 손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서비스 이용 권한이 제1 등급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2 후보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 정보는 상기 손상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구조물의 결함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길이, 두께, 면적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서비스 이용 권한이 제3 등급으로 식별되면, 상기 손상 정보를 기초로 손상 분석 평가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손상 이미지, 상기 손상 정보 및 상기 손상 분석 평가 보고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영상은 콘크리트 댐의 외관에 대한 동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제1 시간간격마다 상기 구조물 영상을 캡쳐하여 상기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제2 후보 이미지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재생성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시간간격보다 짧은 제2 시간간격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구조물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영역은 상기 구조물에 포함된 결함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추정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상영역의 형태 및 상기 제1 후보 이미지 경계선 중 상기 이상영역을 포함하는 경계선에 인접한 패턴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형태 및 상기 패턴을 기초로 상기 제1 후보 이미지를 클러스터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러스터링된 제1 후보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이상영역이 상기 제2 후보 이미지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후보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00169873A 2020-12-07 2020-12-07 구조물 손상판단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KR102227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873A KR102227756B1 (ko) 2020-12-07 2020-12-07 구조물 손상판단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873A KR102227756B1 (ko) 2020-12-07 2020-12-07 구조물 손상판단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756B1 true KR102227756B1 (ko) 2021-03-15

Family

ID=75134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873A KR102227756B1 (ko) 2020-12-07 2020-12-07 구조물 손상판단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7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825B1 (ko) * 2022-08-08 2023-04-14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포인트 클라우드 기반 구조물 손상판단을 위한 이상영역 자동 판단 시스템
KR102525491B1 (ko) * 2022-08-11 2023-04-25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구조물 손상검출 보고서 제공 방법
KR20230116665A (ko) * 2022-01-27 2023-08-0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설명가능한 인공지능 기반 건축물 외관 상태 평가 방법 및 장치
KR20230133606A (ko) * 2022-03-11 2023-09-19 주식회사 워터인포랩스 인공지능 기반 구조물 손상 판단 학습 데이터 확충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277A (ko) * 2017-12-21 2019-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검색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013148A (ko) * 2018-07-18 2020-02-06 주식회사 케이엠티엘 콘크리트 구조물 결함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68724B1 (ko) * 2020-04-06 2020-10-22 이교혁 이미지 검사를 이용한 이상 판별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277A (ko) * 2017-12-21 2019-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검색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013148A (ko) * 2018-07-18 2020-02-06 주식회사 케이엠티엘 콘크리트 구조물 결함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68724B1 (ko) * 2020-04-06 2020-10-22 이교혁 이미지 검사를 이용한 이상 판별 방법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665A (ko) * 2022-01-27 2023-08-0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설명가능한 인공지능 기반 건축물 외관 상태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2638306B1 (ko) * 2022-01-27 2024-02-2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설명가능한 인공지능 기반 건축물 외관 상태 평가 방법 및 장치
KR20230133606A (ko) * 2022-03-11 2023-09-19 주식회사 워터인포랩스 인공지능 기반 구조물 손상 판단 학습 데이터 확충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619578B1 (ko) 2022-03-11 2023-12-29 주식회사 워터인포랩스 인공지능 기반 구조물 손상 판단 학습 데이터 확충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21825B1 (ko) * 2022-08-08 2023-04-14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포인트 클라우드 기반 구조물 손상판단을 위한 이상영역 자동 판단 시스템
KR102525491B1 (ko) * 2022-08-11 2023-04-25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구조물 손상검출 보고서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7756B1 (ko) 구조물 손상판단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CN110956094B (zh) 一种基于非对称双流网络的rgb-d多模态融合人员检测方法
CN108921159B (zh) 用于检测安全帽的佩戴情况的方法和装置
CN109977921B (zh) 一种输电线路隐患检测方法
CN103136533B (zh) 基于动态阈值的人脸识别方法及装置
CN103065134B (zh) 一种具有提示信息的指纹识别装置和方法
CN111784685A (zh) 一种基于云边协同检测的输电线路缺陷图像识别方法
CN107862677A (zh) 一种基于梯度类间阈值算法的隧道衬砌裂缝识别方法及系统
CN110533950A (zh) 车位使用状况的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2915432B (zh) 一种车载微机图像视频数据提取方法及装置
CN109815960A (zh) 基于深度学习的翻拍图像识别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1950424A (zh) 一种视频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及可读存储介质
CN105590099A (zh) 一种基于改进卷积神经网络的多人行为识别方法
CN114842524B (zh) 一种基于不规则显著性像素簇的人脸鉴伪方法
CN112232133A (zh) 基于深度卷积神经网络的输电线路图像识别方法及装置
US20150178544A1 (en) System for estimating gender from fingerprints
CN114627526A (zh) 基于多摄像头抓拍图像的融合去重方法、装置及可读介质
CN117152443A (zh) 一种基于语义前导指引的图像实例分割方法及系统
KR102525491B1 (ko) 구조물 손상검출 보고서 제공 방법
CN114519819A (zh) 一种基于全局上下文感知的遥感图像目标检测方法
KR102230559B1 (ko) 데이터 프로그래밍에 기반한 레이블링 모델 생성 방법 및 장치
CN110956115A (zh) 场景识别方法及装置
KR102521825B1 (ko) 포인트 클라우드 기반 구조물 손상판단을 위한 이상영역 자동 판단 시스템
KR102342495B1 (ko) 데이터 프로그래밍에 기반한 레이블링 모델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435035B1 (ko) 가짜 뉴스 동영상 탐지 시스템 및 그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