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676B1 - A pneumatic tire - Google Patents

A pneumatic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676B1
KR102226676B1 KR1020190116145A KR20190116145A KR102226676B1 KR 102226676 B1 KR102226676 B1 KR 102226676B1 KR 1020190116145 A KR1020190116145 A KR 1020190116145A KR 20190116145 A KR20190116145 A KR 20190116145A KR 102226676 B1 KR102226676 B1 KR 102226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present
main sheet
bead filler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1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우행
정기종
김광태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6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6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6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15/0628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omprising a bead reinforcing layer
    • B60C15/0653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omprising a bead reinforcing layer with particular configuration of the cords in the respective bead reinforc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15/0628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omprising a bead reinforcing layer
    • B60C2015/0678Physical properties of the bead reinforcing layer, e.g. modulus of the 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15/0628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omprising a bead reinforcing layer
    • B60C2015/0685Physical properties or dimensions of the cords, e.g. modulus of the 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neumatic tire having an improved bead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pneumatic tire comprising a tread (100), a side wall (200), and a bead portion (300). In the pneumatic tir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a bead core (400) of the bead portion (300) is an H shape including the central cross section (410) and side wall portions (420, 43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ross section (410).

Description

공기입타이어{A PNEUMATIC TIRE}Pneumatic tire {A PNEUMATIC TIRE}

본 발명은 공기입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드부를 개선한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neumatic tire with improved bead portion.

공기압타이어에서 비드코어(Bead Core)는 타이어 내부의 내압에 의해 발생하는 장력을 지탱하고 타이어 하중을 지지하는 기반이 되는 동시에 타이어를 림에 고정시켜 차량으로부터 구동, 제동 조향력을 림(Rim), 비드(Bead), 사이드월(Sidewall), 트레드(Tread), 노면 순으로 전달하고 차량의 구동, 제동, 조정 안정성 등을 확보하는 기능을 한다. 비드부가 림(Rim)으로부터 이탈할 경우 치명적인 사고로 연계되며, 주행시 큰 하중에 따른 피로가 누적되기 때문에 비드부는 높은 강성이 요구된다. In pneumatic tires, the bead core supports the tension generated by the internal pressure inside the tire and serves as the basis for supporting the tire load, and at the same time, the tire is fixed to the rim to drive from the vehicle and the braking and steering force from the rim and bead. (Bead), sidewall (Sidewall), tread (Tread), the road surface is delivered in order, and it functions to secure the driving, braking, and adjustment stability of the vehicle. If the bead part deviates from the rim, it leads to a fatal accident, and because fatigue due to a large load accumulates during driving, the bead part is required to have high rigidity.

타이어는 일반적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부(100)와 사이드월부(200) 및 비드부(300)로 구성되며, 비드부(300)는 비드 코어(310)와 비드 코어(310)에 결합되는 비드 필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tire is generally composed of a tread part 100, a sidewall part 200, and a bead part 300, as shown in FIG. 1, and the bead part 300 is attached to the bead core 310 and the bead core 3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ead filler 320 to be combined.

타이어 반제품 중 비드필러(Bead Filler)의 재료는 고분자 중 고무 복합체로써 점탄성이 매우 크며 압출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다. 압출은 일정한 단면을 가진 제품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데 활용도가 매우 높은 가공 방법중의 하나인데 점탄성을 가진 비드필러(Bead Filler)는 압출시 다이 스웰(Die swell)이 매우 크게 발생하여 프로파일(Profile) 예측이 어렵고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다이의 형상, 토출량, 이완시간, 온도, 다이의 길이 및 지름 등의 최적화가 필요하나 현실적으로 정확한 인자 도출이 어려움에 따라 제조성을 주로 고려하여 도2와 같은 삼각형 형태의 비드필러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삼각형 형태의 비드필러는 다이 스웰로(Die swell)로 비드부 끝단이 뭉툭 하게 압출 될 수 밖에 없으며, 타이어 성형시 상기의 뭉툭한 비드필러의 적용은 카카스 라인의 꺽임에 매우 불리하며 이는 내구 성능 저하에 취약한 요소가 된다. 비드부 내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카카스 꺽임 방지를 위하여 가능한 비드필러 에지의 부 두께를 얇게 제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Among semi-finished tires, the bead filler material is a rubber composite among polymers and has very high viscoelasticity and is manufactured through an extrusion process. Extrusion is one of the highly versatile processing methods to continuously produce products with a certain cross section.Bead fillers with viscoelasticity generate very large die swells during extrusion, so the profile is predicted. This is difficult and in order to improve this point, optimization of the die shape, discharge amount, relaxation time, temperature, die length and diameter, etc. is required. The bead filler is manufactured and used. However, this triangular shape bead filler has to be extruded bluntly with a die swell. It becomes a vulnerable factor in performance degrad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durability performance of the bead part, it is very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capable of manufacturing the thickness of the bead filler edge as thin as possible to prevent carcass bending.

이하, 관련된 선행기술들을 살펴본다. 하기 선행기술 문헌들의 식별부호는 본원발명과는 무관하다. Hereinafter, related prior art will be described. The identification codes of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are irrelevant to the present invention.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5217호 ' 타이어의 비드필러' 는 타이어의 비드필러(Bead filler)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 비드필러 생산시 필러 끝단이 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비드필러의 압축길이를 원주상으로 차등 적용하여 다단계로 압출 성형시킨 타이어의 비드필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20-0455217호는 비드코아(1) 둘레에 부착되어 비드(3)를 완성시키는 타이어의 비드필러에 있어서, 상기 비드필러(2)는 4단의 다른 압출 길이를 갖으면서 각각의 부분 비드필러(2a,2b,2c,2d)의 높이는 서로 균등한 높이(H/4)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0455217'Bead filler for tires' relates to a bead filler for tires, and more specifically, compression of the bead filler to prevent the tip of the filler from bending when producing high bead fillers. It relates to a bead filler of a tire extruded in multiple stages by applying differential lengths in a columnar shape. For this purpose, No. 20-0455217 is a bead filler of a tire that is attached around a bead core (1) to complete a bead (3). The heights of the bead pillars 2a, 2b, 2c, and 2d are of equal heights (H/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8579호 '필러가 부착된 비드의 인출장치'는 타이어 제조시 비드(Bead)공정에 적용된 완성비드의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완성된 비드를 저장대로 인출할 때 자동화 작업이 이루어져 설비의 가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필러가 부착된 비드의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필러 부착기(3)의 구동롤(15)들에 안착된 나비드(1a)에 압착롤(4)을 이용하여 필러(1b)를 부착하여 완성된 비드(1)를 인출기(5)로 인출하여 저장대(2)로 운반시키는 비드 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러 부착기(3)와 연결 프레임(6)을 매개로 설치되는 인출기(5)는 제 1, 2단 실린더(6,7)들이 고정판들(8a,8b)을 매개로 선형 가이드(9)를 따라 전후진 이동하는 이동 브라켓트(10)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 브라켓트(10)의 끝단에는 비드홀더(11)를 회동시키는 회전 실린더(12)를 승, 하강시키기 위해 제 3 실린더(13)가 장착되되, 상기 비드홀더(11)는 완성된 비드(1)를 삽입 및 낙하시키기 위해 한쪽이 개방된 홀더홈(14)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588579'Bead withdrawal device with fillers' relates to a bead withdrawal device applied to the bead process during tire manufacturing, and in more detail, the finished bead can be withdrawn to a storage unit. It relates to a bead withdrawal device attached with a filler that can increase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facility by performing an automated operation.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a filler (1b) using a pressing roll (4) to the butterfly (1a) seated on the driving rolls (15) of the filler attaching device (3) to transfer the completed bead (1) to the withdrawal ( 5) in the bead take-out device that is taken out to the storage stand (2), and the take-out device (5) installed via the filler attaching device (3) and the connecting frame (6) includes first and second-stage cylinders (6, 7) are connected to a moving bracket 10 that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linear guide 9 via the fixing plates 8a, 8b, and rotates the bead holder 11 at the end of the moving bracket 10. A third cylinder 13 is mounted to raise and lower the rotating cylinder 12, and the bead holder 11 has one open holder groove 14 to insert and drop the finished bead 1 It is equipped with a structur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0011호 '각도조절이 용이한 비드필러 절단장치' 는 타이어의 일부 구성품인 비드(Bead) 제조시 이 비드의 나비드에 부착되는 필러를 절단하는 비드필러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터의 각도조절이 용이하면서 자동화가 이루어지는 각도 조절이 용이한 비드필러 절단장치에 관한것이다. 제10-0710011호는 나비드에 부착되는 필러를 절단하기 위해 본체 프레임(1)에 부착된 커터판(2)과 커터(3) 사이에 위치하는 필러(103)를 절단하는 비드필러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터(3)는 연결 브라켓트(4)에 설치된 커터용 에어 실린더(5)에 의해 전후진 작동하며, 상기 연결 브라켓트(4)는 본체 프레임(1)과 2개의 베어링 블록 지지대(6)를 매개로 보유 지지된 회전축(7)에 보울트(8)로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 블록 지지대(6)들 사이에 위치한 회전축(7)은 회전축용 에어 실린더(9)에 연결된 링크(10)와 결합되되, 이 링크(10)의 경사 연결편(10a)은 본체 프레임(1)의 상단에 설치되어 스크류 너트(11)에 의해 조정되는 스톱퍼(12)에 의해 규제되고, 상기 회전축용 에어 실린더(9)는 이의 하단에서 실린더 고정판(13)과 연결되며, 이실린더 고정판(13)은 스크류 핸들(14)에 의해 본체 프레임(1)의 측면에 설치된 슬라이딩 판(15)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10011'Bead filler cutting device with easy angle adjustment' relates to a bead filler cutting device that cuts the filler attached to the bead of the bead when manufacturing a bead, which is a part of a tire. In particular, it relates to a bead filler cutting device that is easy to adjust the angle of the cutter and to which the angle is easily adjusted to be automated. No. 10-0710011 is a bead filler cutting device that cuts the filler 103 located between the cutter plate 2 attached to the main frame 1 and the cutter 3 in order to cut the filler attached to the butterfly. In this case, the cutter (3) is operat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cutter air cylinder (5) installed on the connection bracket (4), the connection bracket (4) is a body frame (1) and two bearing block supports (6) Fixed with a bolt (8) to the rotating shaft (7) held by the medium, and the rotating shaft (7) located between the bearing block supports (6) is coupled with a link (10) connected to the air cylinder (9) for the rotating shaft. However, the inclined connecting piece (10a) of this link (10) is regulated by a stopper (12)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frame (1) and adjusted by a screw nut (11), and the air cylinder (9) for the rotating shaft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fixing plate 13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the cylinder fixing plate 13 is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sliding plate 15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ody frame 1 by a screw handle 14 to be fixed. It is made into.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5217호 ' 타이어의 비드필러' ( 공고일자 2011년08월25일)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5217'Bead filler for tires' (announced on Aug 25, 201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8579호 '필러가 부착된 비드의 인출장치' (공고일자 2006년06월14일)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588579'Bead withdrawal device with filler' (announcement date June 14, 200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0011호 '각도조절이 용이한 비드필러 절단장치' (공고일자 2007년04월20일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10011'Bead filler cutting device with easy angle adjustment' (announced on April 20, 20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카스 꺽임 방지를 위하여 가능한 비드필러 에지의 부 두께를 얇게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manufacturing the minor thickness of the bead filler edge as thin as possible to prevent carcass bending.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체 및 적재물에 의해 큰 하중에 의한 여러 방향의 외력을 지탱해야 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많은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제조 가능한 비드코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ad core capable of improving durability to support external forces in various directions due to a large load by a vehicle body and a load, and manufacturing without going through many process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트레드(100)와, 사이드월(200) 및 비드부(300)를 포함하는 공기입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300)의 비드코어(400)는 단면의 형상이 중앙의 횡단부(410)와, 상기 횡단부(410)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벽부(420, 430)를 포함하는 'H' 형상인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neumatic tire including the tread 100, the sidewall 200, and the bead part 300, the bead core 400 of the bead part 300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 by providing a pneumatic tire having a'H' shape includ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a central cross-section 410 and sidewall portions 420 and 43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ross-section 410. I ca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6 및 도7에서 나타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뭉툭한 에지를 갖는 비드필러를 적용할 경우 카카스가 꺾임을 확인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비드필러를 적용한 실시예에서는 카카스가 꺾이지 아니한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6 and 7,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arcass is bent when the conventional bead filler having a blunt edge is applied, but in the embodiment to which the bead fi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tructure in which the carcass was not broken.

이에 따라, 도8의 스트레스 시뮬레이션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비드필러의 실시예에서 카카스가 꺾인 부분에 집중된 높은 스트레스가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비드필러를 적용한 실시예에서는 스트레스가 집중되지 아니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Accordingly, as shown in the stress simulation of FIG. 8, in the embodiment of the conventional bead filler, high stress concentrated on the bent portion of the carcass appeared, whereas in the example to which the bead fi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pplied, the stress was not concentrated. Was able to confirm.

도9는 실내 내구평가 시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9에서 종래의 비드필러를 적용한 실시예에서는 세파레이션이 발생하였으나, 본원발명의 비드필러를 적용한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조건에서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9 is a table showing the results of an indoor durability evaluation test. In FIG. 9, separation occurred in the embodiment to which the conventional bead filler was applied,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abnormality under the same conditions in the example to which the bead fi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pplied.

따라서, 본 발명의 비드필러는 카카스를 꺾이지 아니하게 하여 스트레스의 집중을 예방함으로써 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bead fi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tire by preventing the concentration of stress by preventing the carcass from being broken.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종래의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2는 종래의 비드필러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비드필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비드필러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비드필러의 단면도이다.
도6 및 도7은 비드필러 에지부의 두께에 따른 카카스꺾임 현상을 보여주는 표이다.
도8은 스트레스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9는 실내 내구평가 시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tire.
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ead filler.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ead fi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ad fi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d fi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tables showing the carcass bending phenomeno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edge portion of the bead filler.
8 is a table showing the results of stress simulation.
9 is a table showing the results of an indoor durability evaluation test.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bond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the middle. "Including the cas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본 발명은 공기압 타이어 구조에서 림과 취부될 수 있도록 뼈대 역할을 하는 비드부에 관한 기술이다. 타이어 구조에서 비드부는 주행 중의 대부분의 하중을 지탱해야 할 뿐만 아니라 타이어 구조 내부에서는 많은 반제품들이 집중되어 있는 비드부의 중심축 역할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외부의 종력, 횡력, 비틀림 등의 힘을 견딜수 있는 내구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비드필러 반제품이 카카스와 이루는 비드필러 에지부에서의 마찰은 세파레이션 발생 등을 야기하여 타이어의 내구성에 직결되는 문제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d portion serving as a skeleton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a rim in a pneumatic tire structure. In the tire structure, the bead part must support most of the load during driving, and because it is based on the role of the central axis of the bead part, where many semi-finished products are concentrated inside the tire structure, it is durable to withstand external forces such as vertical force, lateral force, and torsion. Is required.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friction at the edge of the bead filler formed by the semi-finished bead filler with the carcass causes separation, etc., which is a problem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urability of the tire.

이에, 본 발명은 트레드(100)와, 사이드월(200) 및 비드부(300)를 포함하는 공기입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300)는 비드코어(310)와 비드필러(320)를 포함하며, 상기 비드필러(320)는 중심부를 구성하는 메인시트(3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neumatic tire including the tread 100, the sidewall 200, and the bead part 300, the bead part 300 includes the bead core 310 and the bead filler 320. It includes, and the bead filler 320 provides a pneumatic tire configured including a main sheet 321 constituting a central portion.

상기 중심부를 구성하는 메인시트(321)를 비드필러(320)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비드필러(320)의 에지부를 얇게 구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By inserting the main sheet 321 constituting the center portion into the bead pillar 320, the edge portion of the bead pillar 320 can be implemented to be thin.

상기 메인시트(321)의 양측에 경사면을 갖는 보강시트(322, 323)들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시트(322, 323)들은 단면이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직각삼각형의 빗변에 해당하는 부분은 카카스 등의 인접한 타이어의 반제품에 따라 변형을 줄 수 있다. 도 3 내지 도5에서는 기울기가 한 번 변하는 빗면형상이 도시되어있다. It is preferable that reinforcing sheets 322 and 323 having inclined surface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sheet 321. The reinforcing sheets 322 and 323 may have a right triangle in cross section, bu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ypotenuse of the right triangle may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semi-finished products of adjacent tires such as carcasses. In FIGS. 3 to 5, an inclined shape in which the inclination changes once is shown.

상기 메인시트(321)의 두께는 0.5~0.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드필러(320)의 에지부를 얇게 구현하고자 함에 있기 때문에 상기 메인시트(321)의 두께의 한정은 유의미하다. 종래의 비드필러의 에지부는 얇게 형성시키기 곤란한 형상이었으나, 본원발명의 비드필러(320)의 에지부에 해당하는 메인시트(321)는 판상의 시트이어서 상기와 같은 두께의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메인시트(321)의 높이(h1)는 10~45mm이고, 상기 양측에 경사면을 갖는 보강시트(322, 323)가 적용되지 아니하여 노출되는 메인시트(321)의 높이(h2)는 3~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main sheet 321 is preferably 0.5 ~ 0.8mm. Sinc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thin edge portion of the bead filler 320, the limit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main sheet 321 is significant. Although the edge portion of the conventional bead filler has a shape that is difficult to form thin, the main sheet 321 corresponding to the edge portion of the bead filler 3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e-shaped sheet, so it is easy to adjust the thickness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height h1 of the main sheet 321 is 10 to 45 mm, and the height h2 of the main sheet 321 exposed because the reinforcing sheets 322 and 323 having inclined surfaces on both sides are not applied is It is preferably 3 to 5 mm.

상기 메인시트(321)의 총 높이(h1)와 보강시트(322, 323)가 적용되지 아니하여 노출되는 메인시트(321)의 높이(h2)의 비율은 타이어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6.7~5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atio of the total height h1 of the main sheet 321 and the height h2 of the main sheet 321 exposed because the reinforcing sheets 322 and 323 are not applied may vary depending on the tire, and the As such, it is preferably set to 6.7 to 50%.

상기의 메인시트(321)의 총 높이(h1)와 보강시트(322, 323)가 적용되지 아니하여 노출되는 메인시트(321)의 높이(h2)의 비율에서 메인시트(321) 및 경사면을 갖는 보강시트(322, 323)들의 모듈러스(modulus)는 70~140이고, 70~110의 경도(hardness)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모듈러스와 경도를 가짐으로써 비드부를 지지하는 비드필러의 적절한 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Having the main sheet 321 and the inclined surface at the ratio of the total height h1 of the main sheet 321 and the height h2 of the main sheet 321 exposed because the reinforcing sheets 322 and 323 are not applied The modulus of the reinforcing sheets 322 and 323 is 70 to 140, and it is preferable to have a hardness of 70 to 110. By having the above modulus and hardnes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appropriate strength of the bead filler supporting the bead.

상기와 같은 얇은 두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드필러에지부에서의 응력집중을 해소하여 타이어 내구성을 크게 상승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uch a thin thickness can greatly increase tire durability by eliminating stress concentration in the bead pillar edge portion.

도6내지 도9는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표들이다. 6 to 9 are tables showing experimental results for confirming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 및 도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뭉툭한 에지를 갖는 비드필러를 적용할 경우 카카스가 꺾임을 확인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비드필러를 적용한 실시예에서는 카카스가 꺾이지 아니한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상술한 바와 본 발명은 같이 비드필러 에지부를 얇게 구현함에 따라 응력집중을 해소하고 비드에지부의 연속성을 확보함으로써 해당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거나 카카스가 꺾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As shown in Figs. 6 and 7,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carcass is bent when the conventional bead filler having a blunt edge is applied, but in the embodiment to which the bead fi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structure in which the carcass is not bent can be confirmed. there was.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stress concentration and secures continuity of the bead edge portion by implementing a thin bead filler edge portion as described above, thereby preventing a phenomenon in which stress is concentrated or the carcass is bent.

이에 따라, 도8의 스트레스 시뮬레이션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비드필러의 실시예에서 카카스가 꺾인 부분에 집중된 높은 스트레스가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비드필러를 적용한 실시예에서는 스트레스가 집중되지 아니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Accordingly, as shown in the stress simulation of FIG. 8, in the embodiment of the conventional bead filler, high stress concentrated on the bent portion of the carcass appeared, whereas in the example to which the bead fi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pplied, the stress was not concentrated. Was able to confirm.

도9는 실내 내구평가 시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9에서 종래의 비드필러를 적용한 실시예에서는 세파레이션이 발생하였으나, 본원발명의 비드필러를 적용한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조건에서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9 is a table showing the results of an indoor durability evaluation test. In FIG. 9, separation occurred in the embodiment to which the conventional bead filler was applied,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abnormality under the same conditions in the example to which the bead fi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pplied.

따라서, 상기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비드필러는 카카스를 꺾이지 아니하게 하여 스트레스의 집중을 예방함으로써 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the above results, the bead fi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tire by preventing the concentration of stress by preventing the carcass from being bent.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other specific forms can be easily modified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트레드
200. 사이드월
300. 비드부
310. 비드코어
320. 비드필러
100. Tread
200. Sidewall
300. Bead part
310. Bead Core
320. Bead filler

Claims (6)

트레드(100)와, 사이드월(200) 및 비드부(300)를 포함하는 공기입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300)는 비드코어(310)와 외측면이 2회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비드필러(320)를 포함하며,
상기 비드필러(320)는 중심부를 구성하는 메인시트(321), 상기 메인시트(321)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시트(321)의 양측에 경사면을 갖는 제1 보강시트(322) 및 제2 보강시트(3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보강시트(322, 323)의 경사면은 1회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메인시트(321)의 높이(h1)는 10~45mm 이고,
상기 양측에 경사면을 갖는 제1, 2 보강시트(322, 323)가 적용되지 아니하여 노출되는 메인시트(321)의 높이(h2)는 3~5mm이며,
상기 메인시트(321) 및 상기 제1, 2 보강시트(322, 323)는 70~140의 모듈러스(modulus) 및 70~110의 경도(hardness)를 갖고,
상기 비드필러(320)는 상기 메인시트(321)의 높이(h1, h2), 상기 메인시트(321), 상기 제1, 2 보강시트(322, 323)의 모듈러스(modulus) 및 경도(hardness)에 따라 상기 비드부(300)를 지지하는 강도를 구현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응력집중 현상 및 카카스가 꺾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In the pneumatic tire including the tread 100, the side wall 200 and the bead portion 300,
The bead part 300 includes a bead core 310 and a bead filler 320 formed such that the outer surface is bent twice,
The bead filler 320 comprises a main sheet 321 constituting a central portion, a first reinforcing sheet 322 and a second reinforcing sheet 322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main sheet 321 and having inclined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main sheet 321 Including a reinforcing sheet 323,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sheets 322 and 323 are formed to be bent once,
The height h1 of the main sheet 321 is 10 to 45 mm,
The height (h2) of the main sheet 321 exposed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sheets 322 and 323 having inclined surfaces on both sides are not applied is 3 to 5 mm,
The main sheet 321 and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sheets 322 and 323 have a modulus of 70 to 140 and a hardness of 70 to 110,
The bead filler 320 has a height (h1, h2) of the main sheet 321, a modulus and hardness of the main sheet 321, and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sheets 322 and 323 According to a pneumatic t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ength to support the bead part 300 is implemented to improve durability as well as prevent stress concentration and carcass bend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시트(321)의 두께는 0.5~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Pneumatic t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main sheet 321 is 0.5 ~ 0.8m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16145A 2019-09-20 2019-09-20 A pneumatic tire KR1022266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145A KR102226676B1 (en) 2019-09-20 2019-09-20 A pneumatic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145A KR102226676B1 (en) 2019-09-20 2019-09-20 A pneumatic t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676B1 true KR102226676B1 (en) 2021-03-11

Family

ID=7514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145A KR102226676B1 (en) 2019-09-20 2019-09-20 A pneumatic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67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7862A (en) * 2002-06-18 2004-01-22 Sumitomo Rubber Ind Ltd Pneumatic tire
JP2005125947A (en) * 2003-10-24 2005-05-19 Yokohama Rubber Co Ltd:The Pneumatic tire
KR100588579B1 (en) 2004-11-30 2006-06-1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Apparatus for withdrawing filler-attached beads
KR100710011B1 (en) 2006-04-10 2007-04-2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Bead filler cutting machine for angle control
KR200455217Y1 (en) 2009-12-28 2011-08-2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Tire Bead Fill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7862A (en) * 2002-06-18 2004-01-22 Sumitomo Rubber Ind Ltd Pneumatic tire
JP2005125947A (en) * 2003-10-24 2005-05-19 Yokohama Rubber Co Ltd:The Pneumatic tire
KR100588579B1 (en) 2004-11-30 2006-06-1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Apparatus for withdrawing filler-attached beads
KR100710011B1 (en) 2006-04-10 2007-04-2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Bead filler cutting machine for angle control
KR200455217Y1 (en) 2009-12-28 2011-08-2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Tire Bead Fil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Qureshi Automobile leaf springs from composite materials
KR101477111B1 (en) Bending press system
US20090256296A1 (en) Segmented fiber composite leaf spr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130174396A1 (en) Installation for manufacturing fibre stringers for aerospace structures
US20060249977A1 (en) Trailer roof bow with clinched end pieces
CN114694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cord reinforced elastomeric laminate
CN101890453B (en) Method and die for molding skins front edges of rotary wings of aircraft by stretching and compressing
KR102226676B1 (en) A pneumatic tire
EP2918426A1 (en) Heavy-duty pneumatic tire
WO2011096418A1 (en) Cutting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for tire constituting member
CN101503047B (en) All-steel radial tire with zero degree undertread structure
CN102555235B (en) Device for compacting and snipping resin-based composite prepreg spread layer
CN109203141B (en) Flattening wheel set for flattening bamboo and bamboo flattening equipment
TWI709471B (en) Apparatus for producing microporous plastic film
EP3915694A1 (en) Press molding method and press machine
US9724887B2 (en) Method for producing a tire carcass ply
US20240009906A1 (en) Automatic forming method and device for a rubber sealing ring blank
CN110561157A (en) Fixed jig for die steel milling equipment
CN206382845U (en) A kind of shape synchronous forming system
JP5059462B2 (en) Long shape bending apparatus and long shape bending method
KR102062244B1 (en) Apparatus for forming torsion beam of vehicle
CN219855604U (en) Large-scale stainless steel bridge support manufacturing tool
CN202138152U (en) Special-shaped steel profile for rims
US10625483B2 (en) Creasing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CN201249540Y (en) Molding device for magnesium alloy honeycomb c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