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198B1 -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198B1
KR102226198B1 KR1020190105395A KR20190105395A KR102226198B1 KR 102226198 B1 KR102226198 B1 KR 102226198B1 KR 1020190105395 A KR1020190105395 A KR 1020190105395A KR 20190105395 A KR20190105395 A KR 20190105395A KR 102226198 B1 KR102226198 B1 KR 102226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ocular
flow
image
view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5391A (ko
Inventor
강지영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05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198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거리 및 이를 기초로 한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를 제작한 후 이를 영상에 적용하여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제작하는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기기, 상기 제작된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재생하고, 이를 시청하는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및 정보 표시기기, 상기 제작된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이를 분석하는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가정에서도 쉽게 예비 진단을 하여 초기에 시력 장애를 예방하고, 시력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 및 방법{Visual diagnosis system and method using two eyes flow}
본 발명은 시력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안의 흐름 추적을 이용하여 시력을 진단하는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력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서서히 발달하기 시작하여 8~9세에 완성된다. 이에 이 시기에 시력 문제가 발생했다면, 최대한 빠른 시일 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아의 시력 장애는 사시, 약시, 근시 등이 있는데, 이 중 사시는 시력뿐만 아니라 외관에도 문제가 생겨 아이의 정서 발달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다만, 유아의 안과 검진은 이미 시력 악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어 이루어질 때가 많다. 또한, 직접 안과를 방문하여 정밀 검사를 한다 하더라도, 해당 검사는 한 곳에 집중하기 힘든 유아들에게 한 곳을 집중하여 보는 검사와 약물을 투여하는 검사 등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검진 방법은 초기에 장애를 발견하기에는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
이에, 유아의 안과 진단 기술에 있어서 가정에서도 쉽게 예비 진단을 하여 초기에 시력 장애를 예방하고, 시력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12586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3069호 일본등록특허공보 제10-5609973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 가정에서도 쉽게 예비 진단을 하여 초기에 시력 장애를 예방하고, 시력 악화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줄거리를 기초로 한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유아를 포함한 시청자의 자연스러운 양안흐름을 유도하여 시력을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상 시력을 가진 시청자의 양안 평균값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객관적인 시력 진단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청자의 양안 이미지를 기 설정된 구간 및 시간별로 캡쳐함으로써, 연령, 집중도 등 시청자 특성을 고려하여 시청자의 양안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은 줄거리 및 이를 기초로 한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를 제작한 후 이를 영상에 적용하여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제작하는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기기, 상기 제작된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재생하고, 이를 시청하는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및 정보 표시기기, 상기 제작된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이를 분석하는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기기는 줄거리 및 이를 기초로 양안흐름을 유도하는 시각정보를 반영하여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를 제작하는 콘텐츠 제작부, 상기 제작된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를 영상에 적용하여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제작하는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및 정보 표시기기는 상기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기기에 의해 제작된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영상 재생부, 상기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기기에 의해 분석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수신하는 양안흐름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그래픽 형태로 재구성하는 재구성부, 상기 재구성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기기는 상기 양안흐름 유도 영상의 재생 중에 검출되는 시청자의 양안 이미지를 캡처하는 캡처부, 상기 캡처된 양안이미지로부터 시청자의 각 눈의 3차원 상의 위치, 움직임,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값을 생성하는 결과값 생성부, 상기 생성된 결과값을 기 저장된 정상 시력의 양안 평균값과 비교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처부는 상기 양안흐름 유도 영상의 기 설정된 구간 및 시간별로 양안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상기 결과값은 상기 시청자의 각 눈의 이동속도값, 눈깜박임의 횟수 및 빈도 값, 시선의 기울기값, 시선의 정면 응시 유지시간값, 눈이 몰리는 정도값, 눈동자의 크기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방법은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기기에서 줄거리 및 이를 기초로 한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를 제작한 후 이를 영상에 적용하여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제작하는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단계, 영상 및 정보 표시기기에서 상기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가 적용된 영상을 재생하는 양안흐름 유도 영상 재생단계,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기기에서 상기 재생된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이를 분석하는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단계, 영상 및 정보 표시기기에서 상기 분석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표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단계는 콘텐츠 제작부에서 줄거리 및 이를 기초로 양안흐름을 유도하는 시각정보를 반영하여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를 제작하는 콘텐츠 제작단계,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부에서 상기 제작된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를 영상에 적용하여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제작하는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단계는 캡처부에서 상기 양안흐름 유도 영상의 재생 중에 검출되는 시청자의 양안 이미지를 캡처하는 캡처단계, 결과값 생성부에서 상기 캡처된 양안이미지로부터 시청자의 각 눈의 3차원 상의 위치, 움직임,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값을 생성하는 결과값 생성단계, 분석부에서 상기 생성된 결과값을 기 저장된 정상 시력의 양안 평균값과 비교분석하는 분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표시단계는 양안흐름 정보 수신부에서 상기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기기에 의해 분석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수신하는 양안흐름 정보 수신단계, 재구성부에서 상기 수신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그래픽 형태로 재구성하는 재구성단계, 정보 표시부에서 상기 재구성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쳐단계는 상기 양안흐름 유도 영상의 기 설정된 구간 및 시간별로 양안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상기 결과값은 상기 시청자의 각 눈의 이동속도값, 눈깜박임의 횟수 및 빈도 값, 시선의 기울기값, 시선의 정면 응시 유지시간값, 눈이 몰리는 정도값, 눈동자의 크기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첫째, 가정에서도 쉽게 예비 진단을 하여 초기에 시력 장애를 예방하고, 시력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줄거리를 기초로 한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유아를 포함한 시청자의 자연스러운 양안흐름을 유도하여 시력을 진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넷째, 정상 시력을 가진 시청자의 양안 평균값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객관적인 시력 진단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다섯째, 시청자의 양안 이미지를 기 설정된 구간 및 시간별로 캡쳐함으로써, 연령, 집중도 등 시청자 특성을 고려하여 시청자의 양안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단계(S100)의 순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단계(S300)의 순서도.
도 5는 도 2에 따른 정보 표시단계(S400)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의 양안 이미지를 캡처한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의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은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기기(100), 영상 및 정보 표시기기(200),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기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기기(100)는 줄거리 및 이를 기초로 한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를 제작한 후 이를 영상에 적용하여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기기(100)는 콘텐츠 제작부(110) 및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부(110)는 줄거리 및 이를 기초로 양안흐름을 유도하는 시각정보를 반영하여 양안 흐름 유도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이는 유아를 포함한 시청자의 자연스러운 양안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양안흐름을 유도하는 시각정보를 콘텐츠에 반영하여 양안 흐름 유도 콘텐츠를 제작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 때 시각정보는 양안 흐름 유도 영상에서 메인이 되는 정보로서, 인물 또는 캐릭터와 같은 주인공, 사물 등 양안 흐름이 끊기지 않는 메인요소들이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아를 대상으로 한 양안 흐름 유도 영상을 제작할 경우 유아가 좋아하는 친근한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시각 정보로 반영할 수 있다. 이는 유아가 캐릭터에 집중하도록 함으로써, 약시 등과 같은 시력을 진단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은 약 10분 정도의 길이로 제한하여 유아가 짧은 시간 동안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시선을 분산시킬 수 있는 별도의 배경화면은 삭제하며, 캐릭터만을 등장시켜 유아의 두 눈이 캐릭터에만 집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캐릭터는 유아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친근한 캐릭터로 하며, 해당 캐릭터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또는 오른쪽에서 왼쪽 또는 위에서 아래 또는 아래에서 위 등 직선 방향의 운동을 하거나 일정한 운동성을 가진 움직임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즉, 해당 캐릭터는 유아의 두 눈 움직임 측정과의 일치도를 관찰하기 쉽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는 유아의 두 눈이 캐릭터를 따라 움직이는 것을 전방 카메라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추적 및 분석하여 두 눈의 눈동자가 동일하게 이동하는지 또는 한쪽 눈동자가 동일하게 이동하지 못하고 안쪽으로 쏠리는 사시 증상이 보이는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가 움직임을 멈추고 한곳에 정지하여 있을 때 두 눈동자에 흔들림이 있는지, 눈의 정렬이 바르지 못하거나 초점을 잘 맞추지 못하는 증상이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약시 증상을 보이는지도 감지할 수 있다.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부(130)는 상기 제작된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를 영상에 적용하여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양안흐름 유도 영상은 유아 시청자를 대상으로 제작될 경우, 재생길이를 10분 내지 20분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이는 시청자의 연령, 집중도 등 다양한 특성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다.
영상 및 정보 표시기기(200)는 상기 제작된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재생하고, 이를 시청하는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영상 및 정보 표시기기(200)는 영상 재생부(210), 양안흐름 정보 수신부(230), 재구성부(250) 및 정보 표시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재생부(210)는 상기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기기(100)에 의해 제작된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양안흐름 정보 수신부(230)는 상기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기기(300)에 의해 분석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재구성부(250)는 상기 수신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그래픽 형태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 때 그래픽 형태는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 가능하도록 그림, 그래프 등 다양한 형태의 그래픽이 포함될 수 있다.
정보 표시부(270)는 상기 재구성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및 정보 표시기기(200)는 가정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시력 진단을 위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종류/형태의 표시기기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기기(300)는 상기 제작된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기기(300)는 캡처부(310), 결과값 생성부(330) 및 분석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캡처부(310)는 상기 영상 재생부(210)에 의해 재생되는 양안흐름 유도 영상, 즉 양안흐름 유도 영상의 재생 중에 검출되는 시청자의 양안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이는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기 위해, 양안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한편, 캡처부(310)는 양안흐름 유도 영상의 재생 중에 검출되는 시청자의 양안 이미지 외에 영상을 바라보는 시청자 머리의 움직임 등 다양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획득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및 정보 표시기기(200)의 전면부에 위치한 카메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캡처부(310)는 상기 양안흐름 유도 영상의 기 설정된 구간 및 시간별로 양안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이는 시청자의 양안 이미지를 기 설정된 구간 및 시간별로 캡쳐함으로써, 연령, 집중도 등 시청자 특성을 고려하기 위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결과값 생성부(330)는 상기 캡처된 양안이미지로부터 시청자의 각 눈의 3차원 상의 위치, 움직임,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시청자의 양안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관련 분석요소들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과값은 상기 시청자의 각 눈의 이동속도값, 눈깜박임의 횟수 및 빈도 값, 시선의 기울기값, 시선의 정면 응시 유지시간값, 눈이 몰리는 정도값, 눈동자의 크기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350)는 상기 생성된 결과값을 기 저장된 정상 시력의 양안 평균값과 비교분석할 수 있다. 이 때 기 저장된 정상 시력의 양안 평균값은, 여러 명의 정상 시력을 가진 시청자들이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시청하였을 때 검출한 양안흐름 정보라 할 수 있다. 이는 나이, 성별 등 시청자의 다양한 정보를 기준으로 수치가 조정되어 평균값으로 저장된 것으로서, 해당 평균값(양안 평균값)은 정상 시력을 가진 시청자들의 양안흐름 정보가 추가될 때마다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결과값 생성부(330)로부터 생성된 결과값은 기 저장된 정상 시력의 양안 평균값과의 편차를 통해 시력 문제 여부를 판단하여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아를 대상으로 한 양안흐름 정보 분석과정은 유아가 애니메이션을 시청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움직임과, 유아 양안의 눈동자 움직임의 일치도를 파악하여 왼쪽눈과 오른쪽눈 각각의 눈동자가 동일하게 이동하는 이동성, 눈 속에서 눈동자가 위치하는 방향성, 사시각의 정상범위 등을 기 저장된 정상 시력의 양안 평균값과 비교분석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석부(350)에 의해 분석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는 상기 양안흐름 정보 수신부(230)로 수신되어, 상기 재구성부(250)에 의해 재구성되고, 상기 정보 표시부(270)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방법은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단계(S100), 양안흐름 유도 영상 재생단계(S200),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단계(S300) 및 정보 표시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단계는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기기(100)에서 줄거리 및 이를 기초로 한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를 제작한 후 이를 영상에 적용하여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S100).
보다 상세하게, S100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단계(S100)의 순서도로, 콘텐츠 제작단계(S110) 및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제작단계는 콘텐츠 제작부(110)에서 줄거리 및 이를 기초로 양안흐름을 유도하는 시각정보를 반영하여 양안 흐름 유도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S110). 이는 유아를 포함한 시청자의 자연스러운 양안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양안흐름을 유도하는 시각정보를 콘텐츠에 반영하여 양안 흐름 유도 콘텐츠를 제작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이 때 시각정보는 양안 흐름 유도 영상에서 메인이 되는 정보로서, 인물 또는 캐릭터와 같은 주인공, 사물 등 양안 흐름이 끊기지 않는 메인요소들이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아를 대상으로 한 양안 흐름 유도 영상을 제작할 경우 유아가 좋아하는 친근한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시각 정보로 반영할 수 있다. 이는 유아가 캐릭터에 집중하도록 함으로써, 약시 등과 같은 시력을 진단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은 약 10분 정도의 길이로 제한하여 유아가 짧은 시간 동안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시선을 분산시킬 수 있는 별도의 배경화면은 삭제하며, 캐릭터만을 등장시켜 유아의 두 눈이 캐릭터에만 집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캐릭터는 유아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친근한 캐릭터로 하며, 해당 캐릭터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또는 오른쪽에서 왼쪽 또는 위에서 아래 또는 아래에서 위 등 직선 방향의 운동을 하거나 일정한 운동성을 가진 움직임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즉, 해당 캐릭터는 유아의 두 눈 움직임 측정과의 일치도를 관찰하기 쉽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는 유아의 두 눈이 캐릭터를 따라 움직이는 것을 전방 카메라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추적 및 분석하여 두 눈의 눈동자가 동일하게 이동하는지 또는 한쪽 눈동자가 동일하게 이동하지 못하고 안쪽으로 쏠리는 사시 증상이 보이는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가 움직임을 멈추고 한곳에 정지하여 있을 때 두 눈동자에 흔들림이 있는지, 눈의 정렬이 바르지 못하거나 초점을 잘 맞추지 못하는 증상이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약시 증상을 보이는지도 감지할 수 있다.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단계는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부(130)에서 S110으로부터 제작된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를 영상에 적용하여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S130). 이 때 양안흐름 유도 영상은 유아 시청자를 대상으로 제작될 경우, 재생길이를 10분 내지 20분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이는 시청자의 연령, 집중도 등 다양한 특성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다.
양안흐름 유도 영상 재생단계는 영상 및 정보 표시기기(200)에서 상기 S100으로부터 제작된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가 적용된 영상인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S200).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단계는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기기(300)에서 상기 S200으로부터 재생된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다(S300).
보다 상세하게, S30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단계(S300)의 순서도로, 캡처단계(S310), 결과값 생성단계(S330) 및 분석단계(S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처단계는 캡처부(310)에서 상기 양안흐름 유도 영상의 재생 중에 검출되는 시청자의 양안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S310). 이는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기 위해, 양안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단계라 할 수 있다.
한편, 캡처단계에서는 양안흐름 유도 영상의 재생 중에 검출되는 시청자의 양안 이미지 외에 영상을 바라보는 시청자 머리의 움직임 등 다양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획득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및 정보 표시기기(200)의 전면부에 위치한 카메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S310은 상기 양안흐름 유도 영상의 기 설정된 구간 및 시간별로 양안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이는 시청자의 양안 이미지를 기 설정된 구간 및 시간별로 캡쳐함으로써, 연령, 집중도 등 시청자 특성을 고려하기 위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결과값 생성단계는 결과값 생성부(330)에서 S310으로부터 캡처된 양안이미지로부터 시청자의 각 눈의 3차원 상의 위치, 움직임,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값을 생성할 수 있다(S330). 이는 시청자의 양안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관련 분석요소들을 생성하기 위한 단계라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과값은 상기 시청자의 각 눈의 이동속도값, 눈깜박임의 횟수 및 빈도 값, 시선의 기울기값, 시선의 정면 응시 유지시간값, 눈이 몰리는 정도값, 눈동자의 크기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분석단계는 분석부(350)에서 S330으로부터 생성된 결과값을 기 저장된 정상 시력의 양안 평균값과 비교분석할 수 있다(S350). 이 때 기 저장된 정상 시력의 양안 평균값은, 여러 명의 정상 시력을 가진 시청자들이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시청하였을 때 검출한 양안흐름 정보라 할 수 있다. 이는 나이, 성별 등 시청자의 다양한 정보를 기준으로 수치가 조정되어 평균값으로 저장된 것으로서, 해당 평균값(양안 평균값)은 정상 시력을 가진 시청자들의 양안흐름 정보가 추가될 때마다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결과값 생성단계(S330)로부터 생성된 결과값은 기 저장된 정상 시력의 양안 평균값과의 편차를 통해 시력 문제 여부를 판단하여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아를 대상으로 한 양안흐름 정보 분석과정은 유아가 애니메이션을 시청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움직임과, 유아 양안의 눈동자 움직임의 일치도를 파악하여 왼쪽눈과 오른쪽눈 각각의 눈동자가 동일하게 이동하는 이동성, 눈 속에서 눈동자가 위치하는 방향성, 사시각의 정상범위 등을 기 저장된 정상 시력의 양안 평균값과 비교분석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정보 표시단계는 영상 및 정보 표시기기(200)에서 상기 S300으로부터 분석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00).
보다 상세하게, S400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정보 표시단계(S400)의 순서도로, 양안흐름 정보 수신단계(S410), 재구성단계(S430) 및 디스플레이단계(S4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안흐름 정보 수신단계는 양안흐름 정보 수신부(230)에서 상기 S300에 의해 분석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10).
재구성단계는 재구성부(250)에서 상기 S410에 의해 수신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그래픽 형태로 재구성할 수 있다(S430). 이 때 이 때 그래픽 형태는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 가능하도록 그림, 그래프 등 다양한 형태의 그래픽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단계는 정보 표시부(270)에서 상기 S430에 의해 재구성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50).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할 것이다.
100 :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기기
110 : 콘텐츠 제작부 130 : 영상흐름 유도영상 제작부
200 : 영상 및 정보 표시기기
210 : 영상 재생부 230 : 양안흐름 정보 수신부
250 : 재구성부 270 : 정보 표시부
300 :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기기
310 : 캡처부 330 : 결과값 생성부
350 : 분석부

Claims (12)

  1. 줄거리 및 이를 기초로 한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를 제작한 후 이를 영상에 적용하여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제작하는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기기;
    상기 제작된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재생하고, 이를 시청하는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및 정보 표시기기; 및
    상기 제작된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이를 분석하는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기기는,
    줄거리 및 이를 기초로 양안흐름을 유도하는 시각정보를 반영하여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를 제작하는 콘텐츠 제작부; 및
    상기 제작된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를 영상에 적용하여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제작하는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안흐름을 유도하는 시각정보는,
    상기 시청자의 두 눈 움직임 측정과의 일치도를 관찰할 수 있도록 제작되며,
    상기 시각정보의 움직임과 상기 시청자의 눈동자가 동일하게 움직이는 지의 여부에 따른 사시 증상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각정보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시청자의 눈동자에 흔들림 혹은 눈의 정렬 및 초점을 맞추지 못하는 증상에 따라 약시 증상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양안흐름 유도 영상은 기 설정된 구간 및 시간별로 양안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및 정보 표시기기는,
    상기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기기에 의해 제작된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영상 재생부;
    상기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기기에 의해 분석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수신하는 양안흐름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그래픽 형태로 재구성하는 재구성부; 및
    상기 재구성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기기는,
    상기 양안흐름 유도 영상의 재생 중에 검출되는 시청자의 양안 이미지를 캡처하는 캡처부;
    상기 캡처된 양안이미지로부터 시청자의 각 눈의 3차원 상의 위치, 움직임,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값을 생성하는 결과값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결과값을 기 저장된 정상 시력의 양안 평균값과 비교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처부는,
    상기 양안흐름 유도 영상의 기 설정된 구간 및 시간별로 양안 이미지를 캡처하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값은,
    상기 시청자의 각 눈의 이동속도값, 눈깜박임의 횟수 및 빈도 값, 시선의 기울기값, 시선의 정면 응시 유지시간값, 눈이 몰리는 정도값, 눈동자의 크기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
  7.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기기에서 줄거리 및 이를 기초로 한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를 제작한 후 이를 영상에 적용하여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제작하는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단계;
    영상 및 정보 표시기기에서 상기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가 적용된 영상을 재생하는 양안흐름 유도 영상 재생단계;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기기에서 상기 재생된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이를 분석하는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단계; 및
    영상 및 정보 표시기기에서 상기 분석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표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단계는,
    콘텐츠 제작부에서 줄거리 및 이를 기초로 양안흐름을 유도하는 시각정보를 반영하여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를 제작하는 콘텐츠 제작단계; 및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부에서 상기 제작된 양안흐름 유도 콘텐츠를 영상에 적용하여 양안흐름 유도 영상을 제작하는 양안흐름 유도 영상 제작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양안흐름을 유도하는 시각정보는,
    상기 시청자의 두 눈 움직임 측정과의 일치도를 관찰할 수 있도록 제작되며,
    상기 시각정보의 움직임과 상기 시청자의 눈동자가 동일하게 움직이는 지의 여부에 따른 사시 증상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정보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시청자의 눈동자에 흔들림 혹은 눈의 정렬 및 초점을 맞추지 못하는 증상에 따라 약시 증상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양안흐름 유도 영상은 기 설정된 구간 및 시간별로 양안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력 진단 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단계는,
    캡처부에서 상기 양안흐름 유도 영상의 재생 중에 검출되는 시청자의 양안 이미지를 캡처하는 캡처단계;
    결과값 생성부에서 상기 캡처된 양안이미지로부터 시청자의 각 눈의 3차원 상의 위치, 움직임,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값을 생성하는 결과값 생성단계; 및
    분석부에서 상기 생성된 결과값을 기 저장된 정상 시력의 양안 평균값과 비교분석하는 분석단계;를 포함하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력 진단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단계는,
    양안흐름 정보 수신부에서 상기 양안흐름 정보 검출 및 분석기기에 의해 분석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수신하는 양안흐름 정보 수신단계;
    재구성부에서 상기 수신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그래픽 형태로 재구성하는 재구성단계; 및
    정보 표시부에서 상기 재구성된 시청자의 양안흐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하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력 진단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캡처단계는,
    상기 양안흐름 유도 영상의 기 설정된 구간 및 시간별로 양안 이미지를 캡처하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력 진단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값은,
    상기 시청자의 각 눈의 이동속도값, 눈깜박임의 횟수 및 빈도 값, 시선의 기울기값, 시선의 정면 응시 유지시간값, 눈이 몰리는 정도값, 눈동자의 크기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력 진단 방법.
KR1020190105395A 2019-08-27 2019-08-27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226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395A KR102226198B1 (ko) 2019-08-27 2019-08-27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395A KR102226198B1 (ko) 2019-08-27 2019-08-27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391A KR20210025391A (ko) 2021-03-09
KR102226198B1 true KR102226198B1 (ko) 2021-03-10

Family

ID=7514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395A KR102226198B1 (ko) 2019-08-27 2019-08-27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1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797B1 (ko) * 2013-01-29 2014-04-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입체 시력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94455B1 (ko) * 2017-04-05 2018-09-04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
KR101922343B1 (ko) * 2017-07-13 2018-11-2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체 시력 검사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586B1 (ko) 1998-07-21 200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의사시테스트장치
CN105609973A (zh) 2016-01-15 2016-05-25 胡小青 一种改进型楔形线夹
KR101966164B1 (ko) 2017-01-12 2019-04-05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과 검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797B1 (ko) * 2013-01-29 2014-04-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입체 시력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94455B1 (ko) * 2017-04-05 2018-09-04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
KR101922343B1 (ko) * 2017-07-13 2018-11-2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체 시력 검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391A (ko)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9221B1 (en) Asperger's diagnosis assistance device
JP5089940B2 (ja) 眼球運動測定装置、眼球運動測定方法及び眼球運動測定プログラム
Bott et al. Web camera based eye tracking to assess visual memory on a visual paired comparison task
US20070265507A1 (en) Visual attention and emotional response detection and display system
Park et al. Overview of measurement methods for factors affecting the human visual system in 3D displays
JP7057186B2 (ja) 眼科装置、及び眼科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3648366A (zh) 用于远程测量光学焦点的系统和方法
CN111248851B (zh) 一种视功能自测方法
CN110772218A (zh) 视力筛查设备及方法
US9572486B2 (en)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human vision
JP2017522104A (ja) 目状態決定システム
Ivanchenko et al. A low-cost, high-performance video-based binocular eye tracker for psychophysical research
KR102041460B1 (ko) 두부의 움직임이 필요없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어지럼증 진단 장치
TW202020625A (zh) 一種眼動凝視之即時辨識方法及採用該方法之眼動凝視即時辨識系統
KR102226198B1 (ko)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WO2023090023A1 (ja) 眼科装置、眼科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2307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hthalmic digital diagnostics via telemedicine
US10779726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eye movements by tactile interface
JP2020018704A (ja) 眼振解析システム
Fademrecht et al. Action recognition is viewpoint-dependent in the visual periphery
Barbieri et al. Realter: An Immersive Simulator to Support Low-Vision Rehabilitation
Wu et al. Perceiving blurry scenes with translational optic flow, rotational optic flow or combined optic flow
JPWO2019203308A1 (ja) 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及び眼科システム
JPH04279143A (ja) 眼球運動検査装置
CN115996664B (zh) 用于确定屈光不正的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