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865B1 - Multi-stage Power Distribution Cable Tray - Google Patents

Multi-stage Power Distribution Cable T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865B1
KR102225865B1 KR1020200045059A KR20200045059A KR102225865B1 KR 102225865 B1 KR102225865 B1 KR 102225865B1 KR 1020200045059 A KR1020200045059 A KR 1020200045059A KR 20200045059 A KR20200045059 A KR 20200045059A KR 102225865 B1 KR102225865 B1 KR 102225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e
holes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0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승준
Original Assignee
(주)이음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음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이음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45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8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8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tage power distribution cable tray which is installed on a lower end of a ceiling of a building so as to facilitate the wiring of multiple cables. The multi-stage power distribution cable tray comprises: a plate-shaped upper fixed plate attached to a ceiling wall body of a building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nd fastening hole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pair of fixed frames including a plate-shaped fasten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tt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and a support bar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ertion grooves formed in a lower end portion, such that the pair of fixed frames are separately installed o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fixed plate; a plurality of connectors including connection holes formed in an inner central part to correspond to the through-holes, a plurality of connection bars formed in an area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to surround the support bar, and a connection hook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connection bar and having a bolt hole formed in an inner side thereof, such that the plurality of connectors are installed on an inner side of the fixed frame; a plurality of supporters including a support hole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bolt hole, a fixing hook formed in the other end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hole, and a plurality of vertical hole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the supporters are connected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nectors via a bolt fastened to the support hole; and a cable support plate formed in a rod shape to connect the supporters,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formed on a lower end thereof to be fastened to the vertical holes,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disposed in an upper surface thereof such that a cable is seated in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and a plurality of guide hole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Description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Multi-stage Power Distribution Cable Tray}Multi-stage Power Distribution Cable Tray {Multi-stage Power Distribution Cable Tray}

본 발명은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천정 하단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케이블 배선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tage distribution cable tr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stage distribution cable tray that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a ceiling of a building to facilitate wiring of a plurality of cables.

케이블 트레이간, 건축물의 벽체나 천정 하단에 설치되어 건축물에 배선되는 각종 케이블의 배선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기구를 말하는 것이다.It refers to a device that is installed between cable trays and at the bottom of the wall or ceiling of a building to facilitate wiring of various cables that are wired to the building.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대개, 천정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케이블이 천정 하단과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에 위치되며 배선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Such a cable tray is usually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ceiling, so that the cable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eiling and the cable tray, and is configured to be wired.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천정 하단에 설치되어 배선을 이루고자 하는 케이블이 케이블 트레이를 통하여 배선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For example, conventionally, as in Document (1), a cable tray structure has been proposed that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eiling of a building so that a cable intended for wiring can be routed through a cable tray.

그러나 문헌(1)과 같은 구조를 이루는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 구조들은 천정의 하단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로 놓이는 케이블의 배선은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나, 케이블의 갯 수가 증가 되는 경우에는 케이블 트레이를 별도로 추가 설치하여야만 케이블의 배선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the conventional cable tray structures forming the structure as in Document (1) are installed and used at the bottom of the ceiling, the wiring of cables placed on the top of the cable tray can be easily achieved, but when the number of cables is increas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able wiring process was easily made only when the cable tray was additionally installed.

또한, 설치가 이루어진 후에는 케이블의 배선 위치를 변경하기 어렵고, 배선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설치가 이루어진 케이블 트레이를 분리한 후 별도의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거나, 케이블 트레이 구조를 추가로 설치해야 함으로써, 불필요한 작업비용이나 설치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after installation,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wiring location of the cable, and if you want to change the wiring location, you need to install a separate cable tray after separating the installed cable tray, or additionally install a cable tray structure. However, there was a problem that unnecessary work costs or installation costs were increased.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08288(2007.04.10)(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08288 (2007.04.1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건축물의 천정 하단에 설치하여 케이블 트레이 본연의 기능을 이루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First, it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eiling of the building so that it can be used while fulfilling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cable tray.

둘째,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거나, 추가 설치를 이루지 않고도 배선을 이루고자 하는 케이블의 양이나 설치 위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Second, without chang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installed cable tray or performing additional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flexibly respond to changes in the amount or installation location of cables to be wired and achieve use.

셋째,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도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이 분리되어 지상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안전한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Third, even during installation and use, the combination of the cable tray can be separated to prevent dropping to the ground, thus preventing various safety accidents and ensuring safe use.

넷째, 다단 구조로 이루어진 케이블 트레이 구조를 통하여 많은 양의 케이블 트레이를 배선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Fourth, even when a large amount of cable trays are to be wired through a multi-stage cable tray structure, it can be easily applied and used.

다섯째, 케이블 트레이의 재설치나 추가 설치 없이도 케이블 배선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작업비용이나 설치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Fifth, it is possible to easily achieve cable wiring without re-installing or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cable tray, thereby preventing an increase in unnecessary operation cost or installation cos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정벽체에 밀착되는 판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결합공 및 체결공이 형성된 상부고정판과,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판 형상의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이격 형성되고 하측 단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지지바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고정판의 하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연결공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와 밀착되는 부위에는 지지바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결바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바와 대향되는 타면에는 내측에 볼트공을 갖는 연결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구와, 상기 볼트공과 대응되는 부위에 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과 대응되는 타단에는 고정고리가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수직공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공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하여 연결구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를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 상기 수직공에 체결되는 삽입돌기가 하단에 복수개 구비되고, 상면에는 케이블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배열 배치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안내공이 형성된 케이블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ate shape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wall of a building, in whic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nd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ate-shaped plate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A pair of fixing bars that are formed to exten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fastening plate and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art of the upper fixing plate. A frame and a connec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are formed in the inner center, a plurality of connection bars formed to surround the support bar are provided at a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and a connection having a bolt hole inside the other surface facing the connection bar A plurality of connectors are provided with a ring to be installed inside the fixing frame, a support hole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lt hole, a fixing ring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hole, and a plurality of vertical holes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support tools that are formed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or through a bolt fastened to the support hole, and a rod shape connecting the support tool, a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fastened to the vertical hole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and the upper surface is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in which the cables are seated are arranged,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able support having a plurality of guide 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때, 상기 관통공에는 이격 위치된 지지바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보조프레임이 더 설치되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수평공이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되고, 상면에는 케이블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배열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frame for connecting the spaced support bar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auxiliary frame has horizontal holes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ats on which cables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he grooves may be arranged and arranged.

또한, 상기 상부고정판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구와 연결되어 지지구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는 고정장치가 더 설치되며,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상부고정판의 하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내공을 관통하여 고정고리에 연결되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에 구비되어 연결줄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모터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device is further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to prevent sagging of the support by being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the fixing device has a plurality of motor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motor. The other e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on line through the guide hole and connected to the fixing ring, and a position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connection line to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to the motor according to a position change of the connection line.

또한, 상기 상부고정판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프레임, 연결구, 지지구, 케이블지지대를 감싸도록 보호덮개가 더 결합되고, 상기 보호덮개는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고정공이 상면에 형성된 한 쌍의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삽입홈과 대응되는 하단공이 내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단공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하여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지지바를 고정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ective cover is furthe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so as to surround the fixing frame, the connector, the support, and the cable support, the protective cover has a pair of close contact portion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In the shape of a plate connecting a pair of extension portions exte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ends of the extension portions,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having a bottom hol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side are formed in the bottom hol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for fixing the support bar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through a bolt to be fasten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건축물의 천정 하단에 설치하여 케이블 트레이 본연의 기능을 이루며 사용할 수 있다.First, it can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eiling of a building to achieve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cable tray.

둘째,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거나, 추가 설치를 이루지 않고도 배선을 이루고자 하는 케이블의 양이나 설치 위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다.Second, without chang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installed cable tray or performing additional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flexibly respond to changes in the amount or installation location of cables to be wired and achieve use.

셋째,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도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이 분리되어 지상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안전한 사용을 이룰 수 있다.Third, even during installation and use, the combination of the cable tray can be separated to prevent dropping to the ground, thus preventing various safety accidents and achieving safe use.

넷째, 다단 구조로 이루어진 케이블 트레이 구조를 통하여 많은 양의 케이블 트레이를 배선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을 이룰 수 있다.Fourth, even when a large amount of cable trays are to be wired through a multi-stage cable tray structure, it can be easily applied and used.

다섯째, 케이블 트레이의 재설치나 추가 설치 없이도 케이블 배선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작업비용이나 설치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fth, it is possible to easily achieve cable wiring without reinstallation or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cable tray, so that unnecessary work costs or installation costs can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도 1은 본 발명인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의 다른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1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multi-stage distribution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multi-stage distribution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multi-stage distribution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multi-stage distribution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installation state of the multi-stage distribution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but'inventors should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can be'.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y will be substituted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that can be ma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정벽체(1)에 밀착되는 판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결합공(11) 및 체결공(12)이 형성된 상부고정판(10)과, 상기 체결공(12)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삽입공(21a)이 형성된 판 형상의 체결판(21)과, 상기 체결판(21)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관통공(22a)이 이격 형성되고 하측 단부에는 삽입홈(22b)이 형성된 지지바(22)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고정판(10)의 하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20)과, 상기 관통공(22a)과 대응되는 연결공(31)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22)와 밀착되는 부위에는 지지바(22)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결바(32)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바(32)와 대향되는 타면에는 내측에 볼트공(33a)을 갖는 연결고리(33)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프레임(20)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구(30)와, 상기 볼트공(33a)과 대응되는 부위에 지지공(4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41)과 대응되는 타단에는 고정고리(42)가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수직공(43)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공(41)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연결구(3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구(40)와, 상기 지지구(40)를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 상기 수직공(43)에 체결되는 삽입돌기(51)가 하단에 복수개 구비되고, 상면에는 케이블(3)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52)이 배열 배치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안내공(53)이 형성된 케이블지지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hape of a pl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wall (1) of a build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1) and fastening holes (12)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pper fixing plate (10), and the fastening hole (12) A plate-shaped fastening plate 21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21a corresponding to it is formed extending in a lower direction of the fastening plate 21,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a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wer end is composed of a support bar 22 having an insertion groove 22b formed therein, a pair of fixing frames 20 that ar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and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22a. A connection hole 31 is formed in the inner center,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bars 32 formed to surround the support bar 22 are provided at a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22, and the connection bar 32 A connection ring 33 having a bolt hole 33a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plurality of connector 30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fixing frame 20, and corresponding to the bolt hole 33a. A support hole 41 is formed in the portion, a fixing ring 42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hole 41, and a plurality of vertical holes 43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support hole 41 ) Through a bolt (P) fastened to a plurality of support tools 4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or 30 and a rod shape connecting the support tool 40, and fastened to the vertical hole 43 A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51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52 in which the cable 3 is seated ar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cable support having a plurality of guide holes 5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50).

상기 상부고정판(10)은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천정벽체(1)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The upper fixing plate 10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wall 1 of a building in which a cable tray is to be installed,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as shown in FIGS. 1 to 5.

또한, 상기 상부고정판(10)은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상기 결합공(11)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건축물의 천정벽체(1)에 고정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upper fixing plate 10 is preferably formed of a solid metal material, and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ceiling wall (1) of the building through a bolt (P)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 (11).

이때, 상기 상부고정판(10)에 형성되는 결합공(11) 및 체결공(12)은 천정벽체(1)의 하단으로 상부고정판(10)을 용이하게 결합하고, 결합이 이루어진 상부고정판(10)의 하부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고정프레임(20)과 보호덮개(80)의 결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 갯 수와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upling hole 11 and the fastening hole 12 formed in the upper fixing plate 10 easily couple the upper fixing plate 10 to the lower end of the ceiling wall 1, and the upper fixing plate 10 formed therein The number and shape of the fixing frame 20 and the protective cover 8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can be easily combin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the number and shape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applied.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2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고정판(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고정판(10)의 체결공(12)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삽입공(21a)이 형성된 체결판(21)과, 상기 체결판(21)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바(22)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xing frame 20 is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as shown in Figs. 1 to 4, for this purpos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12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It consists of a fastening plate 21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21a formed therein, and a support bar 22 extending downward of the fastening plate 21.

상기 체결판(21)은 상기 삽입공(21a)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부고정판(10)의 하단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바(22)는 상기 체결판(21)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공(22a)으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연결구(30)와 보조프레임(60)이 결합되게 구성된다.The fastening plate 21 is firm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through a bolt P fastened to the insertion hole 21a, and the support bar 22 is The connector 30 and the auxiliary frame 6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22a extending downward and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2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고정판(10)의 하부에 이격 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한 쌍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상부고정판(10)에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fixing frame 20 is configured by installing a pair to form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as in FIGS. 1 to 4, an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upper fixing plate 10 ), it may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지지바(22)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지지바(22)에 형성된 관통공(22a)과 볼트(P)로 체결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nector 3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bar 22, preferably configured to be fastened with a through hole 22a formed in the support bar 22 and a bolt P do.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구(3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바(22)의 관통공(22a)과 대응되는 연결공(31)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22)와 밀착되는 부위에는 상기 지지바(22)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결바(32)가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연결바(32)와 대향되는 타측면으로는 내측에 볼트공(33a)을 갖는 연결고리(33)가 구비되어 구성된다.To this end, the connector 30 is configured by having a connection hole 31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22a of the support bar 22 formed in the inner center, as shown in FIG. 1, and the support bar 22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bars 32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support bar 22 are provided and configured at a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and the other side facing the connection bar 32 has a bolt hole 33a on the inside thereof. The connecting ring 33 is provided and configured.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바(22)의 일측으로 연결구(30)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지지바(22)의 관통공(22a)과 연결공(31)이 대응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한 후, 상기 연결공(31)에 체결되는 볼트(P)가 관통공(22a)에 체결되도록 하여 지지바(22)와 연결구(3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위와 같은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도 지지바(22)의 외측부를 연결바(32)가 감싸도록 결합시켜 지지바(22)와 연결구(3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 되는 것이다.If this configuration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case of connecting the connector 30 to one side of the support bar 22, the through hole 22a and the connection hole 31 of the support bar 22 may form a corresponding position. After that, the bolt (P) fastened to the connection hole (31) is fastened to the through hole (22a)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pport bar (22) and the connector (30) is made firmly. Even when it is achieved, the out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22 is coupled so that the connection bar 32 surrounds the connection bar 32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bar 22 and the connector 30 is made more robust.

또한, 상기 연결구(30)의 연결고리(33)에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구(4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to 5, the connecting ring 33 of the connector 30 is configured with a support member 40 installed.

상기 지지구(40)는 상기 볼트공(33a)과 대응되는 부위에 지지공(41)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공(41)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연결고리(33)의 일측에 지지구(40)가 결합 되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구(40)의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수직공(43)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구(40)의 상부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케이블지지대(5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The support hole 40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ring 33 through a bolt P, which is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lt hole 33a, and is fastened to the support hole 41. The earth 4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and by forming a plurality of vertical holes 4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40, a cable support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o the top of the support member 40 ( 50) is configured to be easily combined.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구(30)의 일측으로 지지구(4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구(30)와 지지구(40)의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지지구(40)가 회동되게 결합을 이루도록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연결구(30)의 일측에 결합을 이룬 지지구(40)의 회동이 억제되도록 결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결합 구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tool 40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nector 30 so that the support tool 40 is rotated arou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nnector 30 and the support tool 40.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o achieve a user's selection, it can be combined so that the rotation of the support member 40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nector 30 is suppressed, and this coupling structure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re is.

그러나 도 2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30)의 일측에 결합되는 지지구(40)가 연결구(30)와의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상기 연결구(30)와 지지구(40)의 결합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구성인 것이다.However, as shown in FIGS. 2 to 4, the support 40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nector 3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upled around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connector 30 due to external impact. It is the most preferable configuration to be configured to prevent damage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onnector 30 and the support 40.

또한, 상기 케이블지지대(5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20)과 연결구(30)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상부고정판(10)의 하단에 마주보게 위치되는 지지구(40)를 상호 연결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하단에 구비된 삽입돌기(51)가 지지구(40)의 수직공(43)에 체결되도록 결합하여 마주보게 위치되는 지지구(40)가 연결을 이루도록 결합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able support 50, as shown in Figs. 1 to 5,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frame 20 and the connector 30, the support is positioned to face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 4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51 provided at the bottom is coupled to be fastened to the vertical hole 43 of the support unit 40, and the support unit 40 positioned facing each other is coupled to form a connection. It is composed.

또한, 상기 케이블지지대(50)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안내공(53)이 형성되어 후술할 고정장치(70)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지지구(40)를 연결하는 경우에도 견고하게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able support 5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uide holes 5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irmly maintain its position even when the support tool 40 is connect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device 7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structured to be able to.

그리고 상기 케이블지지대(50)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안착홈(52)으로는 배선을 이루고자 하는 케이블(3)을 안착시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천정 하단으로 복수개의 케이블(3) 배선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And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52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able support 50, the cables 3 to be wired are seated, and as shown in FIGS. 3 and 4, a plurality of cables ( 3) Wiring can be easily accomplish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고정프레임(20)에 복수개의 연결구(30), 지지구(40)를 연결 설치하여 케이블(3)을 배선하기 위한 복수개의 케이블지지대(5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nd installs a plurality of connector 30 and support 40 to the fixing frame 20 to install and use a plurality of cable supports 50 for wiring the cables 3. It will be possible.

더하여, 상기 관통공(22a)에는 이격 위치된 지지바(22)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보조프레임(60)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an auxiliary frame 60 for connecting the spaced support bars 2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urther installed and configured in the through hole 22a.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60)은 상기 관통공(22a)과 대응되는 수평공(61)이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면에는 케이블(3)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62)이 배열 배치되어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frame 60 is configured by forming horizontal holes 61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22a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62 in which the cables 3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Arranged and configured.

상기 보조프레임(60)은 상기 수평공(61)에 체결되는 볼트(P)가 이격되게 위치된 지지바(22)의 관통공(22a)에 체결되게 구성하여,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이격 위치된 지지바(22)를 상호 연결하게 구성되는 것이다.The auxiliary frame 6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olt P fastened to the horizontal hole 61 is fastened to the through hole 22a of the support bar 22 positioned spaced apart, as shown in FIGS. 2 to 4. , It is configured to interconnect the support bars 22 positioned spaced apart.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부고정판(10)의 하단에 위치된 지지바(22)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support bar 22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is prevented from shaking and stable use can be achieved.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60)은 상기 상부고정판(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20)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거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uxiliary frame 60 may be remov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s shown in FIG. 5, when it is desired to adjust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fixing frame 2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There is.

그리고 건축물의 천정 하단으로 복수개의 케이블(3)을 배선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보조프레임(60)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62)으로 케이블(3)을 배선하여 복수개의 케이블(3) 배선을 더욱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even when a plurality of cables (3) are to be wired to the lower part of the ceiling of the building, the cables (3) are wired through the mounting groove (6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60) to further wire the plurality of cables (3). It can be achieved easily.

또한, 상기 상부고정판(10)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구(40)와 연결되어 지지구(4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는 고정장치(7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a fixing device 70 connected to the support tool 40 to prevent sagging of the support tool 40 is further installed and configur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상기 고정장치(70)는 상기 상부고정판(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구(40)와 케이블지지대(50)의 결합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장치(70)는, 상기 상부고정판(10)의 하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모터(72)와, 상기 모터(7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내공(53)을 관통하여 고정고리(42)에 연결되는 연결줄(73)과, 상기 연결줄(73)에 구비되어 연결줄(73)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모터(72)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위치감지센서(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xing device 7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to firmly maintain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support tool 40 and the cable support 50, for this purpose, the fixing device 70 Is, a plurality of motors 72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otor 72,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ring 42 through the guide hole 53 And a position sensor 74 provided on the connecting line 73 and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motor 72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line 73.

상기 모터(72)는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고정판(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줄(73)에 구비된 위치감지센서(74)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줄(73)은 상기 모터(7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블지지대(50)의 안내공(53)을 관통하여 지지구(40)의 고정고리(42)에 연결되게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motor 72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and is configured to operate according to a signal from a position sensor 74 provided in the connection line 73, The connection line 73 is configured to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motor 72, and the other end to be connected to the fixing ring 42 of the support tool 40 through the guide hole 53 of the cable support 50. .

이러한 구성은 즉,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20)을 통하여 상부고정판(10)의 하단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지지구(40)와 케이블지지대(50)가 상기 연결줄(73)을 통하여 연결되게 구성됨으로써, 지지구(40)가 유동되어 케이블지지대(50)의 수평이 흔들리는 경우에는 지지구(40)와 연결된 연결줄(73)이 이동되어 연결줄(73)에 구비된 위치감지센서(74)를 작동시키게 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74)의 작동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72)가 회전되어 연결줄(73)의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연결줄(73)과 연결된 지지구(40)와 케이블지지대(5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configuration, that is, as shown in Figs. 3 and 4, a plurality of support tools 40 and cable support 5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through the fixing frame 20 are provided with the connection line 73 ), so that when the support unit 40 flows and the horizontal of the cable support 50 is shaken, the connection line 73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40 is moved to detect the position provided on the connection line 73 The sensor 74 is operated, and the motor 72 is rota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position sensor 74 to adjust the state of the connection line 73, and thus a support tool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73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agging phenomenon of 40) and the cable support 50.

이때, 상기 모터(72)와 위치감지센서(74)의 연결되는 구성은, 위치감지센서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종래의 모터와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tor 72 and the position sensing sensor 74 are connected is the same as a conventional motor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osition sensing senso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모터(72)에는 별도의 제어기(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위치감지센서(74)의 신호에 따라 회전되는 모터(72)의 회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모터(72)의 회전에 의하여 상, 하 이동되는 연결줄(73)이 과다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72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ontroller (not shown),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72 rotated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position sensor 74 As a result,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72, the connecting line 73, which is moved up and down,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moved and is configured to be used stably.

또한, 상기 상부고정판(10)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프레임(20), 연결구(30), 지지구(40), 케이블지지대(50)를 감싸도록 보호덮개(8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보호덮개(80)는 상기 결합공(11)과 대응되는 고정공(81a)이 상면에 형성된 한 쌍의 밀착부(81)와, 상기 밀착부(81)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부(82)와, 상기 연장부(82)의 단부를 연결하는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삽입홈(22b)과 대응되는 하단공(83a-1)이 내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83a)이 형성되어 상기 하단공(83a-1)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고정홈(83a)에 삽입된 지지바(22)를 고정시키는 연결부(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a protective cover 80 is furthe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to surround the fixing frame 20, the connector 30, the support 40, and the cable support 50, and the The protective cover 80 includes a pair of contact portions 8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hole 81a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11, and a pair of extensions exte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81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83a) in the shape of a plate connecting the ends of the portion (82) and the extension portion (82), the upper surface has a bottom hole (83a-1)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22b) formed inside It is formed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83 for fixing the support bar 22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83a) through a bolt (P) fastened to the lower hole (83a-1).

이러한 구성은, 상기 상부고정판(10)의 하단으로 보호덮개(80)를 결합하여, 상부고정판(10)의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20), 연결구(30), 지지구(40), 케이블지지대(50)의 결합이 외부 환경이나 외부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this configuration, by combining the protective cover 80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the fixing frame 2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the connector 30, the support part 40, the cable It is to prevent the coupling of the support 50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environment or an external shock.

그리고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83)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홈(83a)으로 지지바(22)의 하단이 삽입되게 하고, 상기 하단공(83a-1)에 체결되는 볼트(P)가 지지바(22)의 삽입홈(22b)에 체결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상부고정판(10)의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20)의 설치 위치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And,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ar 22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83a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83, and the bolt is fastened to the lower hole 83a-1. By configuring (P) to be fastened to the insertion groove (22b) of the support bar (22),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xing frame (2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is more firmly maintained and stable use is achieved.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understoo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improv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gis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1: 천정벽체 3: 케이블
10: 상부고정판 11: 결합공
12: 체결공 20: 고정프레임
21: 체결판 21a: 삽입공
22: 지지바 22a: 관통공
22b: 삽입홈 30: 연결구
31: 연결공 32: 연결바
33: 연결고리 33a: 볼트공
40: 지지구 41: 지지공
42: 고정고리 43: 수직공
50: 케이블지지대 51: 삽입돌기
52,62: 안착홈 53: 안내공
60: 보조프레임 61: 수평공
70: 고정장치 72: 모터
73: 연결줄 74: 위치감지센서
80: 보호덮개 81: 밀착부
81a: 고정공 82: 연장부
83: 연결부 83a-1: 하단공
83a: 고정홈 P: 볼트
1: ceiling wall 3: cable
10: upper fixing plate 11: coupling hole
12: fastening hole 20: fixed frame
21: fastening plate 21a: insertion hole
22: support bar 22a: through hole
22b: insertion groove 30: connector
31: connecting hole 32: connecting bar
33: connection ring 33a: bolt hole
40: support hole 41: support hole
42: fixing ring 43: vertical hole
50: cable support 51: insertion protrusion
52,62: seating groove 53: guide
60: auxiliary frame 61: horizontal hole
70: fixture 72: motor
73: connection line 74: position sensor
80: protective cover 81: contact portion
81a: fixing hole 82: extension
83: connection part 83a-1: bottom hole
83a: fixing groove P: bolt

Claims (4)

건축물의 천정벽체(1)에 밀착되는 판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결합공(11) 및 체결공(12)이 형성된 상부고정판(10)과,
상기 체결공(12)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삽입공(21a)이 형성된 판 형상의 체결판(21)과, 상기 체결판(21)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관통공(22a)이 이격 형성되고 하측 단부에는 삽입홈(22b)이 형성된 지지바(22)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고정판(10)의 하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20)과,
상기 관통공(22a)과 대응되는 연결공(31)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22)와 밀착되는 부위에는 지지바(22)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결바(32)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바(32)와 대향되는 타면에는 내측에 볼트공(33a)을 갖는 연결고리(33)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프레임(20)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구(30)와,
상기 볼트공(33a)과 대응되는 부위에 지지공(4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41)과 대응되는 타단에는 고정고리(42)가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수직공(43)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공(41)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연결구(3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구(40)와,
상기 지지구(40)를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 상기 수직공(43)에 체결되는 삽입돌기(51)가 하단에 복수개 구비되고, 상면에는 케이블(3)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52)이 배열 배치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안내공(53)이 형성된 케이블지지대(5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고정판(10)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구(40)와 연결되어 지지구(4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는 고정장치(70)가 더 설치되며,
상기 고정장치(70)는
상기 상부고정판(10)의 하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모터(72)와,
상기 모터(7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내공(53)을 관통하여 고정고리(42)에 연결되는 연결줄(73)과,
상기 연결줄(73)에 구비되어 연결줄(73)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모터(72)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위치감지센서(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
An upper fixing plate 10 in whic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1 and fastening holes 12 are formed in a plate shape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wall 1 of a building, and
A plate-shaped fastening plate 21 in whic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21a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12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extending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fastening plate 21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 A pair of fixing frames 20 which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configured with a support bar 22 having an insertion groove 22b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A connection hole 31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22a is formed in the inner center,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bars 32 formed to surround the support bar 22 are formed in a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22 And a connection ring 33 having a bolt hole 33a on the other surface facing the connection bar 32,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30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fixing frame 20,
A support hole 41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lt hole 33a, a fixing ring 42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hole 41, and a plurality of vertical holes 43 ) Is formed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or 30 through a bolt P fastened to the support hole 41, and a plurality of support tools 40,
In the shape of a rod connecting the support (40), a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51) fastened to the vertical hole (43)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and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52) in which the cable (3)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It is arranged in this arrangement, including a cable support 50 in which a plurality of guide holes 53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A fixing device 70 connected to the support 40 to prevent sagging of the support 40 is further installed,
The fixing device 70 is
A plurality of motors 72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A connection line 73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motor 72 and the other end passing through the guide hole 53 and connected to the fixing ring 42,
A multistage distribution cable tray comprising a position sensor (74) provided on the connection line (73) and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motor (72) according to a position change of the connection line (7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22a)에는 이격 위치된 지지바(22)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보조프레임(60)이 더 설치되고,
상기 보조프레임(60)은
상기 관통공(22a)과 대응되는 수평공(61)이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되고, 상면에는 케이블(3)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62)이 배열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An auxiliary frame 60 connecting the spaced support bars 2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urther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22a,
The auxiliary frame 60 is
Multistage distribution, characterized in that horizontal holes 61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22a are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62 in which the cables 3 are seated are arranged and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cable tra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판(10)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프레임(20), 연결구(30), 지지구(40), 케이블지지대(50)를 감싸도록 보호덮개(80)가 더 결합되고,
상기 보호덮개(80)는
상기 결합공(11)과 대응되는 고정공(81a)이 상면에 형성된 한 쌍의 밀착부(81)와,
상기 밀착부(81)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부(82)와,
상기 연장부(82)의 단부를 연결하는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삽입홈(22b)과 대응되는 하단공(83a-1)이 내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83a)이 형성되어 상기 하단공(83a-1)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고정홈(83a)에 삽입된 지지바(22)를 고정시키는 연결부(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At the bottom of the upper fixing plate 10
The fixing frame 20, the connector 30, the support 40, the protective cover 80 is further coupled to surround the cable support 50,
The protective cover 80 is
A pair of close contact portions 8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hole 81a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11,
A pair of extension portions 82 exte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81,
In the shape of a plate connecting the ends of the extension part 82,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83a having a lower end hole 83a-1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22b formed inside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Multistage distribution cable tra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portion (83) for fixing the support bar (22)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83a) through a bolt (P) fastened to (83a-1).
KR1020200045059A 2020-04-14 2020-04-14 Multi-stage Power Distribution Cable Tray KR1022258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059A KR102225865B1 (en) 2020-04-14 2020-04-14 Multi-stage Power Distribution Cable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059A KR102225865B1 (en) 2020-04-14 2020-04-14 Multi-stage Power Distribution Cable Tr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865B1 true KR102225865B1 (en) 2021-03-11

Family

ID=7514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059A KR102225865B1 (en) 2020-04-14 2020-04-14 Multi-stage Power Distribution Cable T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865B1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288B1 (en) 2006-12-29 2007-04-16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A rail for apartment houses-type electric cable tray
KR100985220B1 (en) * 2010-06-03 2010-10-05 주식회사 동명산전 Cable tray
KR101985204B1 (en) * 2019-01-07 2019-06-03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Cable tray of apartment building
KR101987085B1 (en) * 2019-02-01 2019-06-10 (주)선경엔지니어링 Cable tray of apartment building
KR101993607B1 (en) * 2019-02-01 2019-06-27 (주)선경엔지니어링 Cable tray protection equipment of apartment building
KR102015855B1 (en) * 2019-02-19 2019-08-29 (주)하나종합테크 Cable tray of apartment building
KR102020266B1 (en) * 2019-06-21 2019-09-10 이경미 Cable tray of apartment building
KR102058682B1 (en) * 2019-10-18 2019-12-23 (주)럭키기술단 An electric cable tray for structure
KR102083195B1 (en) * 2019-09-11 2020-05-26 (주)한길엔지니어링 Cable tray of apartment building
KR102159105B1 (en) * 2020-03-25 2020-09-23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cable tray for apartment building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288B1 (en) 2006-12-29 2007-04-16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A rail for apartment houses-type electric cable tray
KR100985220B1 (en) * 2010-06-03 2010-10-05 주식회사 동명산전 Cable tray
KR101985204B1 (en) * 2019-01-07 2019-06-03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Cable tray of apartment building
KR101987085B1 (en) * 2019-02-01 2019-06-10 (주)선경엔지니어링 Cable tray of apartment building
KR101993607B1 (en) * 2019-02-01 2019-06-27 (주)선경엔지니어링 Cable tray protection equipment of apartment building
KR102015855B1 (en) * 2019-02-19 2019-08-29 (주)하나종합테크 Cable tray of apartment building
KR102020266B1 (en) * 2019-06-21 2019-09-10 이경미 Cable tray of apartment building
KR102083195B1 (en) * 2019-09-11 2020-05-26 (주)한길엔지니어링 Cable tray of apartment building
KR102058682B1 (en) * 2019-10-18 2019-12-23 (주)럭키기술단 An electric cable tray for structure
KR102159105B1 (en) * 2020-03-25 2020-09-23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cable tray for apartment buil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195B1 (en) Cable tray of apartment building
KR102133703B1 (en) holding apparatus of cable tray for apartment building
KR102159105B1 (en) cable tray for apartment building
KR102020266B1 (en) Cable tray of apartment building
KR101993607B1 (en) Cable tray protection equipment of apartment building
KR102156232B1 (en) holding apparatus of cable tray for apartment building
KR101985204B1 (en) Cable tray of apartment building
KR102101822B1 (en) Underground Power Cable Support Device
KR102104832B1 (en) holding apparatus of cable tray
KR101119556B1 (en) Cable hanger
KR101193367B1 (en) Suspension device
KR102225868B1 (en) Spacer for cable tray
KR102225865B1 (en) Multi-stage Power Distribution Cable Tray
KR101752381B1 (en) Junction Box of One Bolt Type
KR102526420B1 (en) holding apparatus of cable tray for apartment building
KR102225871B1 (en) holding apparatus of cable tray for apartment building
EP1571744A1 (en) Electric user modular box including a segregated and separated passage for the user electric and signal cables
KR102201489B1 (en) holding apparatus of cable tray for apartment building
KR102180546B1 (en) holding apparatus of cable tray for apartment building
CN210167746U (en) Aviation plug wire harness fixing mechanism and aviation plug fixing assembly
KR102624440B1 (en) Cable tray of apartment building
KR102526408B1 (en) Cable duct of apartment building
KR102404307B1 (en) Cable tray of apartment building
KR200480808Y1 (en) Lamp fitting apparatus for mesh tray
JP2017124103A (en) F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