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842B1 -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842B1
KR102225842B1 KR1020190026915A KR20190026915A KR102225842B1 KR 102225842 B1 KR102225842 B1 KR 102225842B1 KR 1020190026915 A KR1020190026915 A KR 1020190026915A KR 20190026915 A KR20190026915 A KR 20190026915A KR 102225842 B1 KR102225842 B1 KR 102225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auze
counting
inpu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579A (ko
Inventor
문성혁
강병권
황서현
백승식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6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84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6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 A61B50/37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for absorbent articles, e.g. bandages, garments, swabs or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A61B90/98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using electromagnetic means, e.g. transpon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6Surgical swabs, e.g. for absorbency or packing body cavities during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radio-opaque material or signalling means for residu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2050/314Flexible bags or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4Counting number of instruments used; Instrument detectors

Abstract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의하면, 수술에 사용된 수술용 거즈를 계수하며 회수하는 장치로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서 사용된 상기 거즈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부를 통과한 상기 거즈를 수납 처리하는 수납부; 상기 투입부로 상기 거즈가 투입되면 이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계수부; 상기 투입부의 전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계수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거즈의 회수 개수를 표시하여 알려주는 제1 표시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상기 거즈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하면 이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계수부; 상기 수납부의 전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계수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거즈의 회수 개수를 표시하여 알려주는 제2 표시부; 를 포함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된 수술용 거즈의 회수 시 회수된 거즈의 개수를 계수하여 알려줄 수 있고, 수술에 사용된 수술용 거즈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회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Medical gauze counting and rece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 사용하는 거즈의 회수 개수를 계수하고, 회수된 거즈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술과정에서 환자의 신체에서는 혈액 및 기타 체액이 체외로 배출되므로, 용이한 수술 진행을 위하여 배출되는 혈액 및 체액은 수시로 제거되어야 한다. 그리고, 환자의 신체에서 배출된 혈액 및 기타 체액은 거즈에 의해 제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수술에 사용된 거즈는 모두 인체로부터 반드시 제거되어야 한다. 그러나, 의료진의 실수에 의해 사용된 거즈가 인체에 잔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거즈의 잔류가 발생하는 경우, 환자에게는 불필요한 복부 절개 수술을 다시 받아야 하는 고통이 따르고 병원도 의료과실에 따른 소송에 휘말리게 되는 바, 의료업계는 잔류거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해 왔다.
또한, 수술에 사용된 거즈에는 환자의 혈액, 체액 또는 인체 조직 등이 묻어있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쉽게 부폐하여 악취를 유발시키거나, 감염성이 강하여 분리처리 해야 하지만, 폐기되는 거즈에는 혈액, 체액 또는 인체 조직 등이 묻어 있어 이를 수거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2011-0095181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된 수술용 거즈의 회수 시 회수된 거즈의 개수를 계수하여 알려줄 수 있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에 사용된 수술용 거즈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후 회수되지 못하고, 환자의 신체에 거즈의 잔류를 검사하여 회수하도록 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의하면, 수술에 사용된 수술용 거즈를 계수하며 회수하는 장치로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서 사용된 상기 거즈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부를 통과한 상기 거즈를 수납 처리하는 수납부; 상기 투입부로 상기 거즈가 투입되면 이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계수부; 상기 투입부의 전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계수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거즈의 회수 개수를 표시하여 알려주는 제1 표시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상기 거즈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하면 이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계수부; 상기 수납부의 전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계수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거즈의 회수 개수를 표시하여 알려주는 제2 표시부; 를 포함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의하면, 수술에 사용된 수술용 거즈를 계수하며 회수하는 장치로서, 상기 거즈에 부착되어 상기 거즈에 대한 고유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RFID 태그;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서 사용된 상기 거즈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부를 통과한 상기 거즈를 수납 처리하는 수납부; 상기 투입부로 상기 거즈가 투입되면 상기 RFID 태그의 출력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계수부; 상기 투입부의 전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계수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거즈의 회수 개수를 표시하여 알려주는 제1 표시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상기 거즈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하면 상기 RFID 태그의 출력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계수부; 상기 수납부의 전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계수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거즈의 회수 개수를 표시하여 알려주는 제2 표시부; 를 포함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의하면, 수술에 사용된 수술용 거즈를 계수하며 회수하는 장치로서, 상기 거즈에 부착되어 상기 거즈에 대한 고유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RFID 태그;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서 사용된 상기 거즈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부를 통과한 상기 거즈를 수납 처리하는 수납부; 상기 투입부로 상기 거즈가 투입되면 상기 RFID 태그의 출력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계수부; 상기 투입부의 전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계수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거즈의 회수 개수를 표시하여 알려주는 제1 표시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상기 거즈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하면 상기 RFID 태그의 출력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계수부; 상기 수납부의 전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계수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거즈의 회수 개수를 표시하여 알려주는 제2 표시부; 수술이 이루어지는 수술실 출입구에 배치되고, RFID 태그의 출력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의 신호 출력 시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수술용 거즈 회수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계수부는, 상기 투입부 내부 일측에 복수로 배치되는 제1 레이저 송신기와, 상기 투입부 내부 일측에 상기 제1 레이저 송신기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레이저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레이저를 수신하고, 상기 레이저의 수신이 단락되면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제1 레이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계수부는, 상기 수납부 내부 일측에 복수로 배치되는 제2 레이저 송신기와, 상기 수납부 내부 일측에 상기 제2 레이저 송신기에 대하여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레이저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레이저를 수신하고, 상기 레이저의 수신이 단락되면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로 제2 레이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계수부의 배치 간격은, 상기 거즈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계수부는, 상기 투입부 내부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태그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인식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계수부는, 상기 제1 계수부가 배치되는 상기 투입부의 내부 일측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지향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계수부는, 상기 수납부 내부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태그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인식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계수부는, 상기 제2 계수부가 배치되는 상기 수납부 내부 일측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지향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투입부로의 상기 거즈의 투입 감지 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알람부와, 상기 수납부로의 상기 거즈의 투입 감지 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제1 표시부로 표시되는 상기 거즈 회수 개수를 가감하는 제1 보조 계수부와, 상기 제2 표시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제2 표시부로 표시되는 상기 거즈 회수 개수를 가감하는 제2 보조 계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계수부와 상기 제2 보조 계수부는, 1회 조작 시 표시되는 개수가 1 증가하도록 하는 플러스 스위치와, 1회 조작 시 표시되는 개수가 1 감소되도록 하는 마이너스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일측으로는 조임끈 고정홀이 형성되는 수납부 본체와, 상기 수납부 본체의 전면으로 배치되는 개방 도어와, 상기 수납부 본체의 내주 상단에 복수로 배치되는 제1 고리와, 상기 수납부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를 통해 투입된 상기 거즈를 회수하여 배출하는 수납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팩은, 내측으로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 주머니와, 상기 수납 주머니의 입구 부위 외주면 상에 배치되고 중간부에 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리에 걸리는 제2 고리와, 상기 수납 주머니의 입구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단부는 상기 조임끈 고정홀을 통해 상기 수납부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조임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리의 개수는 상기 제1 고리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전자태그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인식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3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의 배치 높이는, 수술 침대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출입구의 도어 프레임 일측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출부의 배치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지향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된 수술용 거즈의 회수 시 회수된 거즈의 개수를 계수하여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에 사용된 수술용 거즈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후 회수되지 못하고, 환자의 신체에 거즈의 잔류를 검사하여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의 구성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투입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계수부, 제1 표시부, 제1 보조 계수부 및 제1 알람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2 계수부, 제2 표시부, 제2 보조 계수부 및 제2 알람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납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납 주머니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납 주머니에 회수된 거즈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RFID 태그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투입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사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의 구성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투입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계수부, 제1 표시부, 제1 보조 계수부 및 제1 알람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2 계수부, 제2 표시부, 제2 보조 계수부 및 제2 알람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100)는 투입부(110A), 제1 및 제2 계수부(120A, 120B), 제1 및 제2 표시부(130A, 130B) 및 수납부(110B)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100)는 제1 및 제2 알람부(150A, 150B)와 제1 및 제2 보조 계수부(160A, 16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투입부(110A)는 소정의 크기를 갖고 상부와 하부는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투입부(110A)는 후술하는 수납부(110B)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측으로는 후술하는 제1 계수부(120A)가 배치된다. 또한, 투입부(110A)의 전면으로는 후술하는 제1 표시부(130A)와 제1 보조 계수부(160A)가 배치된다.
투입부(110A)는 사용 후 회수된 수술용 거즈가 투입되고, 투입된 거즈는 투입부(110A)의 내측 공간을 통해 수납부(110B)에 모여진다.
수납부(110B)는 투입부(110A)의 하부에 배치되어, 투입부(110A)로 투입된 거즈가 계수된 후, 이를 수집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수납부(110B)는 투입부(110A)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특히, 사용되는 의료 소모품과 거즈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수납부(110B)를 준비하고, 필요에 따라 투입부(110A)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납부(110B)는 수납부 본체(111)와 수납팩(115)을 포함한다.
수납부 본체(111)는 소정의 크기를 갖고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투입부(110A) 하부에 배치된다.
수납부 본체(111)의 내측으로는 후술하는 수납팩(115)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수납부 본체(111)의 일측으로는 소정 직경의 조임끈 고정홀(112)이 형성된다. 조임끈 고정홀(112)을 통해서는 후술하는 조임끈(119)의 단부가 걸리며 수납부 본체(111)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수납부 본체(111)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크기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수납부 본체(111)의 내주면 상단을 따라 제1 고리(114)가 배치된다. 제1 고리(114)에는 후술하는 제2 고리(117)가 걸린다.
또한, 수납부 본체(111)는 후술하는 수납팩(115)의 분리 처리를 위해 전면으로는 개방 도어(113)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납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납 주머니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수납팩(115)은 수납부 본체(111) 내측으로 배치되고, 투입부(110A)로 투입된 거즈가 투입부(110A)를 통과하면 이를 수집한다. 또한, 수납팩(115)은 입구 부위를 밀봉하여 수집된 거즈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분리 처리할 수 있다.
수납팩(115)은 수납 주머니(116), 제2 고리(117), 조임끈(119)을 포함한다.
수납 주머니(116)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진다. 수납 주머니(116)는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제2 고리(117)는 수납 주머니(116)의 상단 외주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배치된다. 제2 고리(117)는 제1 고리(114)에 걸리어 수납 주머니(116)의 입구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제2 고리(117)의 개수는 제1 고리(114)의 개수에 대응한다.
제2 고리(117)의 중간부에는 소정의 절취선(118)이 형성되어 있어, 제2 고리(117)에 외력이 인가되면 절취선(118)을 기준으로 제2 고리(117)는 양분될 수 있다.
조임끈(119)은 수납 주머니(116)의 상부 둘레 즉, 수납 주머니(116)의 입구 부위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조임끈(119)의 조임 조작에 의해 수납 주머니(116)의 입구가 조여질 수 있다.
조임끈(119) 배치 부위는 제2 고리(117) 배치 부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조임끈(119)의 단부는 조임끈 고정홀(112)을 통해 수납부 본체(111)의 외부로 노출된다. 조임끈(119)은 조임끈 고정홀(112)에 걸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출된 조임끈(119)의 단부를 당겨, 수납 주머니(116)의 입구가 좁혀지도록 할 수 있다.
조임끈(119)에 의해 수납 주머니(116)의 입구가 조여진 상태에서, 조임끈(119)을 당기면 제2 고리(117)가 분리되며 수납 주머니(116)가 이탈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수납 주머니(116)를 폐기 처리한다.
제1 계수부(120A)는 투입부(110A)로 투입되는 거즈의 개수를 계수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한다.
제1 계수부(120A)는 투입부(110A)의 내측에 배치되어, 투입부(110A)로 투입되는 거즈의 투입을 감지하고,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제1 계수부(120A)는 제1 레이저 송신기(122A)와 제1 레이저 수신기(124A)를 포함한다.
제1 레이저 송신기(122A)는 투입부(110A)의 내부 일측면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투입부(110A)의 내측을 향하여 소정 출력의 레이저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레이저 송신기(122A)는 제1 내지 제3 단위 레이저 송신기(122A1, 122A2, 122A3)를 포함하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개수는 증감할 수 있다.
제1 레이저 수신기(124A)는 투입부(110A)의 내부 일측면에 제1 레이저 송신기(122A)에 대향하여 복수로 배치된다. 제1 레이저 수신기(124A)의 배치 개수는 제1 레이저 송신기(122A)의 배치 개수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레이저 수신기(124A)는 제1 내지 제3 단위 레이저 수신기(124A1, 124A2, 124A3)를 포함하고, 1 내지 제3 단위 레이저 수신기(124A1, 124A2, 124A3) 각각은 제1 내지 제3 단위 레이저 송신기(122A1, 122A2, 122A3) 각각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1 레이저 수신기(124A)는 제1 레이저 송신기(122A)에서 송신된 레이저를 수신한다.
제1 레이저 수신기(124A)는 투입부(110A)로 투입되는 거즈에 의해 레이저의 수신이 단락되면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제2 계수부(120B)는 수납부 본체(111)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어, 투입부(110)를 통해 수납부 본체(111)로 수납되는 거즈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제2 계수부(120B)는 제2 레이저 송신기(122B)와 제2 레이저 수신기(124B)를 포함한다.
제2 레이저 송신기(122B)는 수납부 본체(111)의 내측 상부 일측에 복수로 배치되고, 수납부 본체(111)의 내측을 향하여 소정 출력의 레이저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레이저 송신기(122B)는 제4 내지 제7 단위 레이저 송신기(122B1, 122B2, 122B3, 122B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레이저 수신기(124B)는 수납부 본체(111)의 상부 내측에 제2 레이저 송신기(122B)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2 레이저 수신기(124B)는 제2 레이저 송신기(122B)에서 송신된 레이저를 수신한다. 제2 레이저 수신기(124B)는 투입부(110A)을 통해 수납부 본체(111)로 투입되는 거즈에 의해 레이저의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레이저 수신기(124B)의 배치 개수는 제2 레이저 송신기(122B)의 배치 개수에 대응한다. 레이저 수신기(124B)는 제4 내지 제7 단위 레이저 수신기(124B1, 124B2, 124B3, 124B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계수부(120A)와 제2 계수부(120B)를 함께 사용하여 거즈 회수 개수의 오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거즈 회수 개수의 오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계수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제1 계수부(120A)와 제2 계수부(120B)에서 사용되는 레이저는 직진하므로, 투입되는 거즈가 레이저 조사 경로를 벗어나 거즈의 계수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계수부(120A)와 제2 계수부(120B)는 각각 복수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1 계수부(120A)와 제2 계수부(120B)는 동일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개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계수부(120A)와 제2 계수부(120B)의 배치 간격은 거즈의 폭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하여, 투입되는 거즈가 레이저의 조사 경로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입부(110)의 상부, 즉 사용된 거즈의 투입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 레이저 송신기(122B)의 레이저 조사 경로는 제1 레이저 송신기(122A)의 레이저 조사 경로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거즈의 계수가 이루어지지 않음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사용된 거즈의 회수 시 거즈의 미계수를 방지할 수 있다면, 제1 및 제2 레이저 송신기(122A, 122B)의 레이저 조사 경로는 다양한 배치 형태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표시부(130A)는 투입부(110)로 투입된 거즈의 개수를 계수하고,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제1 표시부(130A)는 투입부(110)의 전면으로 배치되어, 제1 계수부(120A)에서 신호가 출력되면 신호 출력 개수를 카운트하고, 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회수 장치(100)의 동작이 개시된 후, 제1 계수부(120A)에서 최초의 신호가 출력되면, 제1 표시부(130A)는 1부터 표시하고, 이후 제1 계수부(120A)에서 신호가 출력될 때마다 1씩 더한 숫자를 표시하여 거즈의 회수 개수를 알려준다.
제2 표시부(130B)는 수납부 본체(111)의 전면에 배치되어, 제2 계수부(120B)에서 신호가 출력되면 신호 출력 개수를 카운트하고, 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회수 장치(100)의 동작이 개시된 후, 제2 계수부(120B)에서 최초의 신호가 출력되면, 제2 표시부(130B)는 1부터 표시하고, 이후 제2 계수부(120B)에서 신호가 출력될 때마다 1씩 더한 숫자를 표시하여 거즈의 회수 개수를 알려준다.
한편, 제1 및 제2 표시부(130A, 130B)에는 제1 및 제2 알람부(150A, 150B)가 각각 연결된다.
제1 알람부(150A)는 제1 표시부(130A)에서 거즈 회수 개수를 카운트하며 표시함과 동시에 소정의 알람(alarm) 신호를 출력하여 거즈의 회수를 알려준다.
제2 알람부(150B)는 제2 표시부(130B)에서 거즈 회수 개수를 카운트하며 표시함과 동시에 소정의 알람(alarm) 신호를 출력하여 거즈의 회수를 알려준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표시부(130A, 130B) 그리고 제1 및 제2 알람부(150A, 150B)와 같이 표시부와 알람부를 복수로 구비하여 거즈의 회수 개수 확인이 복수 회수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1 보조 계수부(160A)는 제1 표시부(130A)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 보조 계수부(160A)는 사용자 즉, 거즈 회수를 관리하는 의료진에 의해 조작되어, 제1 표시부(130A)로 표시되는 거즈 회수 개수를 가감한다.
제1 보조 계수부(160A)는 제1 플러스 스위치(162A)와 제1 마이너스 스위치(164A)를 포함한다.
제1 플러스 스위치(162A)는 사용자의 1회 조작 시, 제1 표시부(130A)로 표시되는 개수가 1 증가하도록 한다.
제1 마이너스 스위치(164A)는 사용자의 1회 조작 시, 제1 표시부(130A)로 표시되는 개수가 1 감소하도록 한다.
제2 보조 계수부(160B)는 사용자 즉, 거즈 회수를 관리하는 의료진에 의해 조작되어, 제2 표시부(130B)로 표시되는 거즈 회수 개수를 가감한다.
제2 보조 계수부(160B)는 제2 플러스 스위치(162B)와 제2 마이너스 스위치(164B)를 포함한다.
제2 플러스 스위치(162B)는 사용자의 1회 조작 시, 제2 표시부(130B)로 표시되는 개수가 1 증가하도록 한다.
제2 마이너스 스위치(164B)는 사용자의 1회 조작 시, 제2 표시부(130B)로 표시되는 개수가 1 감소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환자에 대하여 소정의 수술을 행하는 의료진은 수술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소정의 거즈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거즈는 사용자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회수 장치(100)로 투입된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기로 한다.
사용 후 회수된 거즈(1)는 투입부(110A)로 투입된다.
투입된 거즈(1)는 투입부(110A) 내측을 통과하며 제1 계수부(120A)에 의해 투입이 감지된다. 이후, 투입이 감지된 거즈(1)는 제1 표시부(130A)를 통해 회수 개수가 표시되고, 동시에 제1 알람부(150A)를 통해 투입이 알려진다.
도 9를 참조하기로 한다.
또한, 투입부(110A)를 통과한 거즈(1)는 투입부(110A) 하부의 수납부(110B)로 이동한다.
거즈(1)는 제2 계수부(120B)에 의해 투입이 감지된다. 이후, 투입이 감지된 거즈(1)는 제2 표시부(130B)를 통해 회수 개수가 표시되고, 동시에 제2 알람부(150B)를 통해 투입이 알려진다.
이때, 제1 또는 제2 알람부(150A, 150B)에서 알람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거즈 회수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의료진은 회수된 거즈의 개수를 확인하도록 한다.
제1 및 제2 표시부(130A, 130B)를 통해 표시되는 회수된 거즈 개수가 서로 차이가 있는 경우, 거즈 회수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의료진은 회수된 거즈의 개수를 확인하도록 한다.
거즈의 회수 개수를 확인한 후, 사용자는 제1 또는 제2 표시부(130A, 130B)의 개수를 보정하여 제1 및 제2 표시부(130A, 130B)의 표시 개수가 서로 일치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제1 및 제2 플러스 스위치(162A, 162B)와 제1 및 제2 마이너스 스위치(164A, 164B)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제1 및 제2 표시부(130A, 130B)의 표시 개수가 서로 일치되도록 하고, 계속적으로 수술을 진행하며 사용된 거즈의 회수를 수행한다.
수술 완료 후, 회수된 거즈는 다음과 같이 처리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납 주머니에 회수된 거즈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서 도면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수납부 본체(111)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수납 주머니(116)에 일정 이상으로 거즈가 수납되면 사용자는 조임끈 고정홀(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조임끈(119)을 당겨 수납 주머니(116)의 입구가 좁혀지도록 한다.
조임끈(119)을 당김으로써 수납 주머니(116)의 입구가 좁혀져 회수된 거즈가 수납 주머니(116)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조임끈(119)을 계속적으로 당기면 수납 주머니(116)의 입구가 좁혀지면서 수납 주머니(116)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2 고리(117)가 절취선(118)을 기준으로 분리된다. 이에 따라 수납 주머니(116)가 수납부 본체(111)에서 이탈된다. 이후, 사용자는 개방 도어(113)를 개방한 후, 수납 주머니(116)를 수납부 본체(11)에서 꺼낸 후, 폐기 처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납부 본체(111)의 외부에서 조임끈(119)을 조작하여 수납 주머니(116)의 입구가 좁혀지도록 하므로, 사용자가 수납 주머니(116)를 직접 조작할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자의 손에 거즈에 묻어 있는 오물에 의해 오염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된 수술용 거즈의 회수 시 회수된 거즈의 개수를 계수하여 알려줄 수 있고, 수술에 사용된 수술용 거즈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회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200)는 RFID 태그(205), 투입부(210A), 수납부(210B), 제1 계수부(220A), 제1 표시부(230A), 제2 계수부(220B), 제2 표시부(230B)를 포함한다.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관련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RFID 태그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RFID 태그(205)는 수술용 거즈(1)의 일측으로 배치됨을 알 수 있다.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RFID tag)(205)는 라디오 주파수 인식(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기술을 이용하여 거즈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거즈 관련 정보는 거즈의 사용을 위해 거즈 수납부(미도시)에서 배출되는 일련번호일 수 있다.
RFID 기술은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RFID 태그(205)는 거즈의 생산 단계에서 각각의 거즈에 부착될 수 있지만, 수술실에서 거즈의 사용을 위해 거즈 수납부(미도시)에서 배출되며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RFID 태그(205)의 일측에 안테나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RFID 태그(205)에서 소정의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실제로 안테나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RFID 태그(205)에 내장된다. 이는 이후의 설명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투입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계수부(220A)는 투입부(210A)의 내부 일측으로 배치되어, RFID 태그(205)에서 출력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신호가 수신되면 투입되는 거즈의 개수를 계수하여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제1 계수부(220A)는 RFID 태그(205)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리더기를 포함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계수부(220B)는 수납부 본체(211) 내부 일측으로 배치되어, 투입부(210A)를 통해 수납부(210B)로 이동하는 거즈(1)에 배치된 RFID 태그(205)에서 출력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신호가 수신되면 투입되는 거즈의 개수를 계수하여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제2 계수부(220B)는 RFID 태그(205)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리더기를 포함한다.
한편, 계수의 정확성을 위해 제1 및 제2 계수부(220A, 220B)는 다음과 같은 지향성을 갖는다. 즉, 거즈(1)가 투입부(210A)로 투입된 상태에서 투입된 거즈(1)의 RFID 태그(205)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수납부(210B)의 제2 계수부(220B)에 수신되어 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투입부(210A)에서 수납부(210B)로 거즈(1)가 투입된 상태에서 RFID 태그(205)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의해 투입부(210A)의 제1 계수부(220A)에 다시 계수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계수부(220A)는 제1 계수부(220A)가 배치된 투입부(210A)의 일면에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지향성을 갖고, 제2 계수부(220B)는 제2 계수부(220B)가 배치된 수납부 본체(211)의 일면에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지향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5를 참조하기로 한다.
사용 후 회수된 거즈(1)는 투입부(210A)로 투입된다.
투입된 거즈(1)는 투입부(210A) 내측을 통과하고, RFID 태그(205)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1 계수부(220A)에 의해 수신되어 거즈(1)의 투입이 감지된다. 이후, 투입이 감지된 거즈(1)는 제1 표시부(230A)를 통해 회수 개수가 표시되고, 동시에 제1 알람부(250A)를 통해 투입이 알려진다.
도 16을 참조하기로 한다.
또한, 투입부(210A)를 통과한 거즈(1)는 투입부(210A) 하부의 수납부(210B)로 이동한다.
RFID 태그(205)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2 계수부(220B)에 의해 수신되어 거즈(1)의 투입이 감지된다. 이후, 투입이 감지된 거즈(1)는 제2 표시부(230B)를 통해 회수 개수가 표시되고, 동시에 제2 알람부(250B)를 통해 투입이 알려진다.
이때, 제1 또는 제2 알람부(250A, 250B)에서 알람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거즈 회수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의료진은 회수된 거즈의 개수를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계수부를 통해 거즈의 회수 계수를 확인할 수 있어, 수술에 사용된 거즈의 미회수로 인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회수된 거즈의 처리는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거즈 회수 검사 장치(300)는 RFID 태그, 투입부(310A), 수납부(310B), 제1 계수부, 제1 표시부, 제2 계수부, 제2 표시부, 검출부(370), 경고부(380)를 포함한다.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관련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검출부(370)는 수술실의 출입문의 도어 프레임(302) 일측에서 도어 프레임(302) 타측의 대향하는 부분을 향하여 배치된다. 도면에서, 검출부(370)는 단일개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검출부(370)는 RFID 태그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즉, 검출부(370)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310)의 오류에 의해 거즈의 투입을 정확히 계수하지 못하여 환자의 신체에 거즈가 잔류하는 상태에서 수술실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검출부(370)는 RFID 태그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3 리더기를 포함한다.
검출부(370)는 검출부(370)가 배치된 도어 프레임(302)의 일측면에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지향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술 진행 중 거즈를 사용하여도 거즈에 배치된 RFID 태그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검출부(370)에 수신되지 않는다.
여기서, 검출부(370)의 신호 수신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검출부(370)의 배치 높이는 수술 베드(301)의 높이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검출부(370)의 배치 높이가 수술 베드(301)의 높이에 대응하면 수술 환자의 신체에 거즈가 잔류한 상태에서 RFID 태그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수신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경고부(380)는 검출부(370)가 RFID 태그(205)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음향 신호 또는 발광 신호를 이용하여 거즈의 잔류를 경고하여 알려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수술 중, 소정량의 거즈가 사용될 수 있고, 사용된 거즈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310)에 의해 계수되며 회수될 수 있다.
여기서,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310)의 오류에 의해 소정의 거즈가 회수되지 않고, 환자의 신체에 잔류할 수 있다.
환자가 수술 베드(301)에 누워 있는 상태에서 수술실을 나올 때, 환자의 신체에 잔류한 거즈는 검출부(37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검출부(370)에 의해 거즈가 검출되면, 의료 담당자는 환자의 신체에 잔류하는 거즈를 회수하는 시술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된 수술용 거즈의 회수 시 회수된 거즈의 개수를 계수하여 알려줄 수 있고, 수술에 사용된 수술용 거즈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후 회수되지 못하고, 환자의 신체에 거즈의 잔류를 검사하여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10: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110A, 210A, 310A: 투입부 110B, 210B, 310B: 수납부
120A, 220A: 제1 계수부 120B, 220B: 제2 계수부  
130A, 230A: 제1 표시부 130B, 230B: 제2 표시부
150A, 250A: 제1 알람부    150B, 250B: 제2 알람부    
160A, 260A: 제1 보조 계수부 160B, 260B: 제2 보조 계수부
114: 제1 고리 115: 수납팩
116: 수납 주머니 117: 제2 고리
119: 조임끈 370: 검출부
380: 알람부

Claims (20)

  1. 수술에 사용한 거즈의 개수를 계수하며 회수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로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서 사용된 상기 거즈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부를 통과한 상기 거즈를 수납 처리하는 수납부;
    상기 투입부로 상기 거즈가 투입되면 이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계수부;
    상기 투입부의 전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계수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거즈의 회수 개수를 표시하여 알려주는 제1 표시부;
    상기 제1 계수부와는 상기 거즈의 폭보다 작은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상기 거즈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하면 이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계수부;
    상기 수납부의 전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계수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거즈의 회수 개수를 표시하여 알려주는 제2 표시부;
    를 포함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2. 수술에 사용한 거즈의 개수를 계수하며 회수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로서,
    상기 거즈에 부착되어 상기 거즈에 대한 고유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서 사용된 상기 거즈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부를 통과한 상기 거즈를 수납 처리하는 수납부;
    상기 투입부로 상기 거즈가 투입되면 상기 RFID 태그의 출력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계수부;
    상기 투입부의 전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계수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거즈의 회수 개수를 표시하여 알려주는 제1 표시부;
    상기 제1 계수부와는 상기 거즈의 폭보다 작은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상기 거즈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하면 상기 RFID 태그의 출력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계수부;
    상기 수납부의 전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계수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거즈의 회수 개수를 표시하여 알려주는 제2 표시부;
    상기 투입부로의 상기 거즈의 투입 감지 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알람부; 및
    상기 수납부로의 상기 거즈의 투입 감지 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알람부;
    를 포함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3. 수술에 사용한 거즈의 개수를 계수하며 회수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로서,
    상기 거즈에 부착되어 상기 거즈에 대한 고유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서 사용된 상기 거즈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부를 통과한 상기 거즈를 수납 처리하는 수납부;
    상기 투입부로 상기 거즈가 투입되면 상기 RFID 태그의 출력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계수부;
    상기 투입부의 전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계수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거즈의 회수 개수를 표시하여 알려주는 제1 표시부;
    상기 제1 계수부와는 상기 거즈의 폭보다 작은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상기 거즈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하면 상기 RFID 태그의 출력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계수부;
    상기 수납부의 전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계수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거즈의 회수 개수를 표시하여 알려주는 제2 표시부;
    상기 투입부로의 상기 거즈의 투입 감지 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알람부;
    상기 수납부로의 상기 거즈의 투입 감지 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알람부;
    수술이 이루어지는 수술실 출입구에 배치되고, RFID 태그의 출력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의 신호 출력 시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수부는,
    상기 투입부 내부 일측에 복수로 배치되는 제1 레이저 송신기와, 상기 투입부 내부 일측에 상기 제1 레이저 송신기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레이저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레이저를 수신하고, 상기 레이저의 수신이 단락되면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제1 레이저 수신기를 포함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수부는,
    상기 수납부 내부 일측에 복수로 배치되는 제2 레이저 송신기와,
    상기 수납부 내부 일측에 상기 제2 레이저 송신기에 대하여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레이저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레이저를 수신하고, 상기 레이저의 수신이 단락되면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로 제2 레이저 수신기를 포함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6. 삭제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수부는,
    상기 투입부 내부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RFID 태그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인식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리더기를 포함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수부는,
    상기 제1 계수부가 배치되는 상기 투입부의 내부 일측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수부는,
    상기 수납부 내부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RFID 태그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인식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리더기를 포함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수부는,
    상기 제2 계수부가 배치되는 상기 수납부 내부 일측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로의 상기 거즈의 투입 감지 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알람부와,
    상기 수납부로의 상기 거즈의 투입 감지 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제1 표시부로 표시되는 상기 거즈 회수 개수를 가감하는 제1 보조 계수부와,
    상기 제2 표시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제2 표시부로 표시되는 상기 거즈 회수 개수를 가감하는 제2 보조 계수부를 더 포함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계수부와 상기 제2 보조 계수부는,
    1회 조작 시 표시되는 개수가 1 증가하도록 하는 플러스 스위치와,
    1회 조작 시 표시되는 개수가 1 감소되도록 하는 마이너스 스위치를 포함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일측으로는 조임끈 고정홀이 형성되는 수납부 본체와,
    상기 수납부 본체의 전면으로 배치되는 개방 도어와,
    상기 수납부 본체의 내주 상단에 복수로 배치되는 제1 고리와,
    상기 수납부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를 통해 투입된 상기 거즈를 수하여 배출하는 수납팩을 포함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팩은,
    내측으로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 주머니와,
    상기 수납 주머니의 입구 부위 외주면 상에 배치되고 중간부에 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리에 걸리는 제2 고리와,
    상기 수납 주머니의 입구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단부는 상기 조임끈 고정홀을 통해 상기 수납부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조임끈을 포함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리의 개수는 상기 제1 고리의 개수에 대응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RFID 태그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인식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3 리더기를 포함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18. 제3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의 배치 높이는,
    수술 침대의 높이에 대응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출입구의 도어 프레임 일측면으로 배치되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출부의 배치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KR1020190026915A 2019-03-08 2019-03-08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KR102225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915A KR102225842B1 (ko) 2019-03-08 2019-03-08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915A KR102225842B1 (ko) 2019-03-08 2019-03-08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579A KR20200107579A (ko) 2020-09-16
KR102225842B1 true KR102225842B1 (ko) 2021-03-10

Family

ID=72669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915A KR102225842B1 (ko) 2019-03-08 2019-03-08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8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68373B (zh) * 2020-09-21 2022-03-08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肝胆胰患者术后伤口止血装置
KR20220126875A (ko) 2021-03-10 2022-09-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의료 폐기물 관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95422A1 (en) * 1994-08-05 2012-04-19 Clearcount Medical Solutions, Inc. Automatic Surgical Sponge Counter and Blood Loss Determination System
US20170224437A1 (en) * 2006-09-13 2017-08-10 Stryker Combo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Monitoring Objects in a Surgical Field
US20180303570A1 (en) 2014-11-11 2018-10-25 Infinisurge S.R.L. Machine for counting medical items and correspond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5807B2 (ja) * 1994-10-21 2002-02-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Tcp実装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95422A1 (en) * 1994-08-05 2012-04-19 Clearcount Medical Solutions, Inc. Automatic Surgical Sponge Counter and Blood Loss Determination System
US20170224437A1 (en) * 2006-09-13 2017-08-10 Stryker Combo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Monitoring Objects in a Surgical Field
US20180303570A1 (en) 2014-11-11 2018-10-25 Infinisurge S.R.L. Machine for counting medical items and correspond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579A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842B1 (ko) 수술용 거즈 계수 및 회수 장치
EP3187201B2 (en) Portable medical device
US3978856A (en) Heart beat waveform monitoring apparatus
US5664582A (en) Method for detecting, distinguishing and counting objects
KR101378751B1 (ko) Ph 값 무선 모니터링을 위한 포지셔닝 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8529485B2 (en) Medical apparatus for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US9155490B2 (en) Integrated stethoscope-metal detector device
US5650596A (en) Automatic surgical sponge counter and blood loss determination system
US7489128B2 (en) MRI protector
EP1626360A2 (en) Patient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wrong site of a surgical procedure
US5227765A (en) Counting and measuring apparatus for medical cloths
CN101194271A (zh) 用于在患者生理信息中区分临床重要变化和伪像的方法和设备
JPH08506250A (ja) 生理的パラメータのリモートモニタリング装置及び方法
WO2005053507A3 (en) Miniature magnetomechanical tag for detecting surgical sponges and implements
WO2017023835A1 (en) Waste receptacle
JP2013507203A5 (ko)
EP1629812B1 (en) A surgical dressing with identification counterfoil
CA2260703A1 (en) Disposal container for detecting, distinguishing and counting objects
KR101863440B1 (ko) 환부 위치 파악을 위한 감지 장치 및 방법
WO2016145155A1 (en) Segmented sensor
US20090145446A1 (en) Method for detecting at least partial medical device disengagement from a patient
EP3178527A1 (en) Fall protection harness with damage indicator
US20120221064A1 (en) Protective barriers for medical devices
CN113425278B (zh) 一种通过穿戴设备采集数据监测胎心的方法
US11478324B2 (en) Contactless loading unit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