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813B1 - Welfare facility demand forecas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 Google Patents

Welfare facility demand forecas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813B1
KR102225813B1 KR1020190174830A KR20190174830A KR102225813B1 KR 102225813 B1 KR102225813 B1 KR 102225813B1 KR 1020190174830 A KR1020190174830 A KR 1020190174830A KR 20190174830 A KR20190174830 A KR 20190174830A KR 102225813 B1 KR102225813 B1 KR 102225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and
facility
supply
analysis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8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혜정
김형근
윤한철
강장화
이관도
이강현
Original Assignee
한국국토정보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국토정보공사 filed Critical 한국국토정보공사
Priority to KR1020190174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8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8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fare facility demand forecast management device and a method thereof. The device includes: a data set construction unit which collects analysis data including facility data and population data for a specific area and builds a data set for predicting a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for deriving the current status of a facility supply and demand for the specific area from the data set; a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for predicting the future population of the specific area based on the analysis data and updating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status to calculate supply and demand adequacy for each facility; and a density analysis performing unit which performs density analysis on areas with insufficient facilities and areas with oversupply based on the adequacy of supply and demand for th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a s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acil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supply and demand of the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population changes.

Description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 및 방법{WELFARE FACILITY DEMAND FORECAS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Welfare facility demand forecas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WELFARE FACILITY DEMAND FORECAS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구 변화에 따른 복지시설의 수급 분석을 통해 시설 유무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지원할 수 있는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fare facility demand prediction management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lfare facility demand predic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supporting a s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acili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pply and demand of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opulation change.

우리 사회가 고령화 되어가면서 전국적으로 노인인구가 매우 빠르게 늘고 있다. 단순히 노인인구로 분류되는 인구의 수도 늘고 있지만, 노인 복지시설을 이용하는 주 연령층인 80세 이상의 노인 수 또한 급격히 늘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노인 복지시설에 대한 수요가 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As our society is aging,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nationwide is increasing very rapidly. Although the number of people simply classified as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aged 80 and over, the main age group using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s also increasing rapidly. Accordingly, it is predicted that the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ill increase.

이와 반대로, 출산율은 날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속되는 저 출산으로 인하여 영유아 수 자체가 줄고, 이로 인해 정원을 유지하지 못하는 많은 어린이집들이 매년 폐원하고 있는 추세이다. On the contrary, the fertility rate is falling day by day. The number of infants and toddlers is decreasing due to the continuing low birth rate, and for this reason, many daycare centers that cannot maintain a garden are closing every year.

이렇듯 모든 복지시설은 수혜 대상 인구의 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출산율과 지역여건 등을 고려하여 지역별 적정 수준의 복지시설 수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As such, all welfare facilitie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number of beneficiaries,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n appropriate number of welfare facilities for each region in consideration of fertility rates and regional conditions.

여러 복지시설 중 특히 경로당과 어린이집 등은 수혜자의 삶에 밀접하게 위치하여서, 쉽고 보편적이게 이용되어야 하는 시설들이다. 따라서, 지역별 특성과 급격히 변하고 있는 인구구조를 반영하여, 대상 시설들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mong the various welfare facilities, senior citizens' halls and daycare centers, in particular, are closely located in the lives of beneficiaries and should be easily and universally use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at can support appropriate demand and supply for target facilitie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rapidly changing demographic structures.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56461(2014.05.1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56461 (2014.05.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구 변화에 따른 복지시설의 수급 분석을 통해 시설 유무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지원할 수 있는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and managing a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that can support a s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acility through the analysis of supply and demand of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a change in popul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물 단위로 시설 총면적과 총 실수요를 도출하고 시설별 수급비율에 관한 시설 수급 적정성을 산출할 수 있는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and managing a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capable of deriving the total area of a facility and a total real demand in units of buildings, and calculating the adequacy of supply and demand for facilities with respect to the supply and demand ratio for each fac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설 수급 적정성을 기초로 시설 부족 지역 및 공급 과잉 지역에 관한 밀도 분석을 수행하여 시설 신설을 위한 입지를 추천할 수 있는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and managing a demand for a welfare facility that can recommend a location for a new facility by performing a density analysis on a facility shortage area and an excess supply area based on adequacy of facility supply and demand.

실시예들 중에서,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는 특정 지역에 관한 시설데이터와 인구데이터를 포함하는 분석데이터를 수집하여 복지시설 수요 예측을 위한 데이터 셋(data set)을 구축하는 데이터 셋 구축부, 상기 데이터 셋으로부터 상기 특정 지역에 관한 시설 수급 현황을 도출하는 수급 현황 도출부, 상기 분석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지역의 향후 인구를 예측하고 상기 시설 수급 현황을 갱신하여 시설별 수급 적정성을 산출하는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 및 상기 시설 수급 적정성을 기초로 시설 부족 지역 및 공급 과잉 지역에 관한 밀도 분석을 수행하는 밀도 분석 수행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apparatus for predict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includes a data set construction unit configured to construct a data set for predict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by collecting analysis data including facility data and population data about a specific area,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that derives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of facilities in the specific area from the data set, and the supply and demand adequacy of facilities that predicts the future population of the specific area based on the analysis data and updates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of the facilities to calculate the supply and demand adequacy for each facility It includes a calculation unit and a density analysis performing unit that performs density analysis on areas with insufficient facilities and areas with excess supply based on the appropriateness of supply and demand for the facilities.

상기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는 상기 밀도 분석의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특정 지역 내의 복지시설 배치를 위한 신설 위치를 결정하는 시설 할당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predicting and managing a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may further include a facility allocation analysis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new location for distributing welfare facilities in the specific area by performing a network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ensity analysis.

상기 데이터 셋 구축부는 시설 수급 분석을 위한 데이터 정제를 통해 상기 분석데이터로부터 (a) 시설별 위치, 면적 및 정원에 관한 시설 정보와 (b) 집계구별 연령별 인구수에 관한 인구 정보와 (c) 공시지가에 따른 소득수준에 관한 소득 정보 및 (d) 도로 연결성에 관한 도로 정보를 도출하고, 입지 분석을 위한 데이터 정제를 통해 (e) 출생률, 이동인구 및 사망률에 관한 인구통계 정보 및 (f) 교통사고 다발 지점 및 유해시설에 관한 위험지역 정보를 도출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셋을 구축할 수 있다.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refines data for facility supply and demand analysis, and from the analysis data (a) facility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rea, and capacity of each facility, (b) population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opulation by age and (c) according to the published land price. By deriving income information on income level and (d) road information on road connectivity, and refining data for location analysis, (e) demographic information on birth rate, moving population and mortality rate, and (f) traffic accident points And it is possible to build the data set by deriving the hazardous area information on the hazardous facilities.

상기 수급 현황 도출부는 집계구 별로 연령별 인구를 각 주거용 건물에 연면적에 비례하도록 할당하는 제1 단계, 상기 할당 결과에 연령별 시설 이용률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건물별 제1 실수요를 산출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1 실수요에 소득별 시설 이용률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건물별 제2 실수요를 산출하는 제3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복지시설에 관한 건물별 실수요를 도출할 수 있다.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is a first step of allocating the population by age to each residential building in proportion to the gross floor area for each count, a second step of calculating the first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by applying a weight according to the facility utilization rate by age to the allocation result; and By performing the third step of calculating the second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by applying a weight according to the facility utilization rate for each income to the first real demand,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for welfare facilities.

상기 수급 현황 도출부는 상기 건물별 실수요와 시설별 서비스 영역을 통합하여 건물별 이용 가능한 시설 총면적과 해당 시설들의 총 실수요를 도출할 수 있다.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may derive the total area of facilities available for each building and total real demands of the facilities by integrating the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and a service area for each facility.

상기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는 상기 분석데이터의 통계를 기반으로 특정 나이 구간 단위의 출산율, 사망률 및 인구이동에 관한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향후 인구를 예측할 수 있다.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may predict the future population by performing a time series analysis on the fertility rate, mortality rate, and population movement in a specific age section based on statistics of the analysis data.

상기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는 시설면적과 시설 총 실수요를 기초로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되는 시설별 수급비율을 상기 시설 수급 적정성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may determine, as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a supply/demand ratio for each facility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based on the facility area and total real demand of the facility.

[수학식][Equation]

Figure 112019133966585-pat00001
Figure 112019133966585-pat00001

실시예들 중에서,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방법은 특정 지역에 관한 시설데이터와 인구데이터를 포함하는 분석데이터를 수집하여 복지시설 수요 예측을 위한 데이터 셋(data set)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셋으로부터 상기 특정 지역에 관한 시설 수급 현황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분석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지역의 향후 인구를 예측하고 상기 시설 수급 현황을 갱신하여 시설별 수급 적정성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시설 수급 적정성을 기초로 시설 부족 지역 및 공급 과잉 지역에 관한 밀도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밀도 분석의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특정 지역 내의 복지시설 배치를 위한 신설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method for predicting and managing welfare facilities demand comprises the steps of constructing a data set for forecasting welfare facilities demand by collecting analysis data including facility data and population data related to a specific area, from the data set. Deriving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of facilities for the specific area, predicting the future population of the specific area based on the analysis data and updating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of the facilities to calculate the supply and demand adequacy for each facility, based on the supply and demand adequacy of the facilities And performing a density analysis on a facility shortage area and an excess supply area, and performing a network analysis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nsity analysis to determine a new location for distributing welfare facilities in the specific area.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지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 및 방법은 건물 단위로 시설 총면적과 총 실수요를 도출하고 시설별 수급비율에 관한 시설 수급 적정성을 산출할 수 있다.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and managing the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rive a total area of a facility and a total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and calculate a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with respect to a supply and demand ratio for each fac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지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 및 방법은 시설 수급 적정성을 기초로 시설 부족 지역 및 공급 과잉 지역에 관한 밀도 분석을 수행하여 시설 신설을 위한 입지를 추천할 수 있다.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and managing the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ommend a location for a new facility by performing density analysis on a facility shortage area and an excess supply area based on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에서 인구 예측을 위한 시계열 분석 중 인구이동, 생잔율 및 출산율에 관한 데이터 유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에서 인구 예측을 위한 코호트-요인법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7은 도 1에 있는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에서 수행된 인구 예측 결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에서 시설별 서비스 영역 분석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에서 건물 단위의 인구 배분과 실수요 계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에서 시설별 실수요자 합산과 총 실수요자 계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에서 시설별 수급 적정성 계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에서 밀도 분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에서 밀도 분석 결과로 도출되는 수요 증가 지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에서 밀도 분석 결과로 도출되는 공급 과잉 지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edicting and managing a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edicting and managing a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using data analysis performed by the apparatus for predicting and managing a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of FIG. 1.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data types related to population movement, survival rate, and fertility rate among time series analysis for population prediction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manag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hort-factor method for predicting population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manag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opulation prediction result performed by the apparatus for predicting and managing a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in FIG. 1.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nalyzing a service area for each facility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managing a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allocation of population by building and calculation of real demand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manag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ummation of end users for each facility and calculation of total end users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managing the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alculation of supply and demand adequacy for each facility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managing the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nsity analysis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managing a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mand increase area derived as a result of density analysis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managing a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versupply area derived as a result of density analysis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managing a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to.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that is, "between" and "just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implement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has a specific sequence clearly in the context.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of the steps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s, floppy disks,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Further,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cannot be constru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100)는 인구 변화에 따른 복지시설의 수급 분석을 통해 시설 유무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지원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복지지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100)는 다양한 사용자 단말들과 블루투스, WiFi, 통신망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The apparatus 100 for predict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orresponding to a computer or program capable of supporting a s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acility through the analysis of supply and demand of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a change in population. The apparatus 100 for predict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various user terminals through Bluetooth, WiFi,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and may exchange data with user terminals through a network.

일 실시예에서,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10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an embodiment, the apparatus 100 for predict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may store data necessary for predicting and manag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in connection with a database. The apparatus 100 for predict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database therein. In addition, the apparatus 100 for predict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processor, a memory, a user input/output unit,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데이터베이스는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는 수집된 시설데이터 및 인구데이터를 포함하는 분석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수집된 데이터들의 통계 정보와 분석을 통해 도출되는 시설 수급 현황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각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하여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데이터베이스 모듈들은 네트워크로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The database may correspond to a storage device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managing the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For example, the database may store analysis data including collected facility data and population data, and store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data and facility supply and demand status information derived through analysis. In addition, the database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database modules to store and manage each information, and each database module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to form one database grou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edicting and managing a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100)는 데이터 셋 구축부(110), 수급 현황 도출부(120),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130), 밀도 분석 수행부(140), 시설 할당 분석부(150) 및 제어부(16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pparatus 100 for predict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100 includes a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a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a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30, a density analysis execution unit 140, and a facility. The allocation analysis unit 150 and the control unit 160 may be included.

데이터 셋 구축부(110)는 특정 지역에 관한 시설데이터와 인구데이터를 포함하는 분석데이터를 수집하여 복지시설 수요 예측을 위한 데이터 셋(data set)을 구축할 수 있다. 시설데이터는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복지시설에 관한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고, 인구데이터는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에 관한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설데이터는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어린이집, 경로당 등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인구데이터는 특정 지역의 집계구 단위의 인구 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may collect analysis data including facility data and population data on a specific area to build a data set for predict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Facility data may correspond to data on welfare facilities existing in a specific area, and population data may correspond to data on population living in a specific area. For example, the facility data may include data on daycare centers, per route, etc. existing in a specific area, and the population data may include the number of populations per counting ward in a specific area.

한편, 분석데이터는 복지시설 수요 예측을 위해 필요한 정보에 해당할 수 있고, 시설데이터와 인구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득수준 추정을 위한 개별공시지가,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보행도로, 위험지역 판별을 위한 교통사고 및 건축물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셋 구축부(110)는 외부 시스템이나 공공 데이터로부터 복지시설 수요 예측을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수요 예측 및 분석 과정에서 쉽게 활용될 수 있도록 데이터에 대한 정제와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data may correspond to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predict the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nd may include facility data and population data. It may include traffic accident and building data. That is, 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may collect data for welfare facility demand prediction from external systems or public data and store it in a database, and refine and process the data so that it can be easily used in the process of demand forecasting and analysis. You can do it.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셋 구축부(110)는 시설 수급 분석을 위한 데이터 정제를 통해 분석데이터로부터 (a) 시설별 위치, 면적 및 정원에 관한 시설 정보와 (b) 집계구별 연령별 인구수에 관한 인구 정보와 (c) 공시지가에 따른 소득수준에 관한 소득 정보 및 (d) 도로 연결성에 관한 도로 정보를 도출하고, 입지 분석을 위한 데이터 정제를 통해 (e) 출생률, 이동인구 및 사망률에 관한 인구통계 정보 및 (f) 교통사고 다발 지점 및 유해시설에 관한 위험지역 정보를 도출함으로써 데이터 셋을 구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purifies data for facility supply and demand analysis, and (a) facility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rea, and capacity of each facility and (b) population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opulations by age per aggregate section. And (c) income information on income level according to the published land price and (d) road information on road connectivity, and through data refining for location analysis, (e) demographic information on birth rate, moving population and mortality rate, and (f) A data set can be constructed by deriving information on hazardous areas on frequent traffic accident points and hazardous facilities.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셋 구축부(110)는 데이터 정제를 통해 (a) 시설별 위치, 면적 및 정원에 관한 시설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집된 복지시설 정보 중 경로당과 어린이집 위치는 주소가 지번 또는 도로명 주소 등으로 표현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셋 구축부(110)는 텍스트 형태의 주소를 원하는 좌표계의 좌표로 변환하는 지오코딩(geo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지오코딩(geocoding)은 고유명칭(주소, 산, 호수 등)을 가지고 위도와 경도의 좌표 값을 획득하는 기법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 셋 구축부(110)는 지오코딩을 통해 복지시설에 대한 좌표 데이터를 획득한 후 공간 좌표계 상에서 포인터 데이터화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may derive (a) facility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area, and capacity of each facility through data purification. For example, among the collected welfare facility information, since the address is expressed as a lot number or street name address, 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converts the text address into the coordinates of the desired coordinate system. ) Can be performed. Geocoding may correspond to a technique of obtaining coordinate values of latitude and longitude with a unique name (address, mountain, lake, etc.). 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may obtain coordinate data for a welfare facility through geocoding, convert it into pointer data on a spatial coordinate system, and store it in a database.

한편, 데이터 셋 구축부(110)는 복지시설의 주소가 변경되었거나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인근좌표나 도로중심좌표 등으로 대체된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may calculate a coordinate value replaced with a neighboring coordinate or a road center coordinate when the address of the welfare facility is changed or not registered.

또한, 데이터 셋 구축부(110)는 데이터 정제를 통해 (b) 집계구별 연령별 인구수에 관한 인구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데이터 셋 구축부(110)는 수집된 인구데이터를 기초로 각 집계구 별로 5세 연령 단위의 인구 수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집계구는 집계구코드로 식별될 수 있고, 각 집계구에 대응되는 연령별 인구 수는 각 연령 구간 별로 산출된 인구 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may derive (b) population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opulations by age for each aggregated section through data purification. 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may derive population number data in units of 5 years of age for each aggregated section based on the collected population data. In this case, each counting section may be identified by a counting section code, and the number of age-specific populations corresponding to each counting section may include the number of populations calculated for each age section.

한편, 데이터 셋 구축부(110)는 5세 연령 단위의 인구 수 데이터에서 각 집계구별 5-9세의 데이터와 0-4세의 데이터를 기초로 5세 인구를 추정하여 배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5-9세 인구가 32000여명이고, 이를 5로 나누면 6400여명 정도가 5세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후 6400명을 배분하기 위하여 각 집계구에 있는 0-4세 인구를 전체 지역 0-4세 인구로 나누어 얻은 비율을 곱하여 5세 추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may estimate and distribute the 5-year-old population based on the 5-year-old data and the 0-4-year-old data for each counting section from the population number data in the 5-year-old age unit. For example, it can be assumed that the total population of 5-9 years old is about 32,000 people, and if this is divided by 5, about 6400 people are about 5 years old. Then, to allocate 6,400 people, a 5-year-old estimate can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ratio obtained by dividing the 0-4 year old population in each counting area by the total local 0-4 year old population.

Figure 112019133966585-pat00002
Figure 112019133966585-pat00002

이를 통해 획득한 집계구별 5세 인구 추정치에, 0-4세 인구를 더하여 최종 영유아(0-5세) 인구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final infant (0-5 years old) population can be calculated by adding the 0-4 year old population to the 5 year old population estimate obtained through this.

또한, 데이터 셋 구축부(110)는 데이터 정제를 통해 (c) 공시지가에 따른 소득수준에 관한 소득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데이터 셋 구축부(110)는 개별 공시지가 데이터를 복수 등급들 중 어느 하나로 등급화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셋 구축부(110)는 데이터 정제를 통해 (d) 도로 연결성에 관한 도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데이터 셋 구축부(110)는 보행도로의 경우 도로명도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횡단보도와 아파트 주택단지 내의 연결선들을 추가하여 도로 정보를 재구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셋 구축부(110)는 데이터 정제를 통해 (e) 출생률, 이동인구 및 사망률에 관한 인구통계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may derive (c) income information about the income level according to the published land price through data purification. 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may classify the individual publicly announced price data into any one of a plurality of grades. In addition, 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may derive (d) road information regarding road connectivity through data refinement. In the case of a pedestrian road, 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may reconstruct road information by adding a crosswalk and connecting lines in an apartment housing complex based on the road name road data. In addition, 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may derive demographic information about (e) the birth rate, the moving population, and the mortality rate through data purification.

또한, 데이터 셋 구축부(110)는 데이터 정제를 통해 (f) 교통사고 다발 지점 및 유해시설에 관한 위험지역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데이터 셋 구축부(110)는 전체 건물 정보에서 위험시설로 분류되는 데이터만을 추출할 수 있고, 이 때 위험시설은 복지시설에 근접해서 지을 수 없는 시설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 셋 구축부(110)는 건물용도코드를 기초로 '위험물', '공장', '위락', '유흥' 등이 포함된 건물만 추출할 수 있고, 해당 건물의 위치를 중심으로 50m 버퍼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셋 구축부(110)는 교통사고 데이터 중에서 차 대 사람의 사고 유형만을 추출하고 데이터화 하여 교통사고 다발 지점을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may derive (f) dangerous area information about traffic accident points and hazardous facilities through data purification. 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may extract only data classified as dangerous facilities from the entire building information, and in this case, the dangerous facilities may correspond to facilities that cannot be built close to welfare facilities. 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can extract only buildings that include'dangerous goods','factory','entertainment', and'entertainment' based on the building usage code, and create a 50m buffer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building. Can be generated. 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may extract only vehicle-to-person accident types from traffic accident data and convert them into data to generate traffic accident frequent points.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데이터 셋으로부터 특정 지역에 관한 시설 수급 현황을 도출할 수 있다. 시설 수급 현황은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한 복지시설에 관한 수요와 공급 현황에 해당할 수 있다.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복지시설에 대한 수요와 공급 현황을 도출할 수 있다.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may derive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of facilities for a specific region from the data set.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of facilities may correspond to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of welfare facilities located within a specific area.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may derive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of welfare facilities based on the current time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도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시설별 서비스 영역을 도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에서 시설별 서비스 영역 분석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복시시설(예를 들어, 경로당 또는 어린이집)을 기준으로 어느 지역까지 서비스가 가능한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도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may derive a service area for each facility through road network analysis.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nalyzing a service area for each facility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managing a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may derive through a network analysis to which area a service is available based on a diplopia facility (eg, a route or a daycare center).

예를 들어, 경로당은 65세 이상 인구의 평균 보행속도인 2.16km/h 기준으로 10분 동안 걸었을 때, 갈수 있는 거리는 약 360m이다. 어린이집은 성인 어른이 걷는 평균 속도 4km/h에 유모차를 끌며 걷게 되었을 때 느려지는 속도를 감안해 약 2.67km/h로 계산했을 때, 5분간 약 222m를 갈 수 있다.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각 건물 기준으로 10분 내에 경로당이, 5분 내에 어린이집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서 각 시설 기준 서비스 영역을 도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you walk for 10 minutes based on the average walking speed of 2.16km/h of people over 65 years old, the distance you can go is about 360m. The daycare center can go about 222m in 5 minutes, taking into account the slowing speed when walking with a stroller at the average walking speed of 4km/h for adults, calculated at 2.67km/h.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may derive a service area based on each facility in order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senior citizen within 10 minutes and a daycare center within 5 minutes based on each building.

도 8의 그림 (a)에서, 도로와 가까이 있지 않은 시설의 경우 가장 가까운 도로를 기준으로 분석이 진행된 결과 가까이 있는 건물에는 서비스 영역이 표시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시설 주변으로 100m의 버퍼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너무 큰 범위의 버퍼를 생성하면 네트워크 분석의 의미가 없어질 수 있다.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100m 버퍼와 네트워크 분석 결과로 나온 경계 노드를 병합한 후, 각 시설별 서비스 영역의 경계를 넓힐 수 있다.In Fig. 8 (a), in the case of a facility that is not close to a road,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the nearest road, there may be a problem that a service area is not displayed in a nearby building. Accordingly,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may generate a 100m buffer around the facility. In this case, creating a buffer of too large a range may make network analysis meaningless.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may widen the boundary of the service area for each facility after merging the 100m buffer and the boundary node resulting from the network analysis.

한편,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서비스 영역에 대한 최소 경계 도형(도 8 그림(a)의 맨 오른쪽 그림) 구축을 완료한 뒤, 각 시설 서비스 영역에 시설 관련 속성(예를 들어, 시설 면적, 정원 등)을 조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completes the construction of the minimum boundary figure for the service area (the rightmost picture in Fig. 8 (a)), and then the facility-related properties (for example, facility area) in each facility service area. , Garden, etc.).

도 8의 그림 (b)에서,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시설별 수요 합계를 계산할 때 시설 서비스 영역이 중복되는 지역에서는 건물별 수요가 중복 카운팅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중복되는 부분을 중복된 횟수만큼(시설 서비스 영역이 여러 번 겹치는 경우) 빼주기 위해서 시설 서비스 영역 중복 지역을 도출할 수 있다. 이 때, 폴리곤이 3번 중복되었으면 중복부분에 폴리곤이 3개가 만들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figure (b) of FIG. 8,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calculates the total demand for each facility. In order to subtract the number of times (if the facility service area overlaps several times), an overlapping area of the facility service area can be derived. At this time, if the polygon is overlapped 3 times, it can be confirmed that 3 polygons are created in the overlapping part.

도 8의 그림 (c)에서,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만약 3번 중복된 지역이 있다면 그 지역의 수요는 2번만 빼주어야 하므로, 모든 중복 지역에 한번만 교차하는 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중복되는 폴리곤들은 하나만 남게 된다.In the figure (c) of FIG. 8,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if there is an overlapped area 3 times, the demand of the area needs to be subtracted only 2 times, so that it is possible to create a layer that intersects all overlapping areas only once. As a result, only one overlapping polygon remains.

일 실시예에서,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집계구 별로 연령별 인구를 각 주거용 건물에 연면적에 비례하도록 할당하는 제1 단계, 상기 할당 결과에 연령별 시설 이용률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건물별 제1 실수요를 산출하는 제2 단계 및 제1 실수요에 소득별 시설 이용률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건물별 제2 실수요를 산출하는 제3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복지시설에 관한 건물별 실수요를 도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is a first step of allocating the population by age to each residential building in proportion to the total floor area for each count, and applying a weight according to the facility utilization rate by age to the allocation result, By performing the second step of calculating the real demand and the third step of calculating the second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by applying a weight according to the facility utilization rate by income to the first real demand, the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for welfare facilities can be derived.

보다 구체적으로,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집계구 별로 연령별 인구를 각 주거용 건물에 연면적에 비례하도록 할당할 수 있다.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집계구 단위로의 산출된 인구 정보를 기초로 보다 작은 단위로 인구를 배분할 수 있다. 즉,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각 건물의 연면적에 비례하도록 인구를 배분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각 건물의 연면적을 해당 건물이 위치한 집계구에 있는 모든 건물의 총 연면적으로 나누어서 건물별 인구 배분 가중치를 계산할 수 있다.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건물별 인구 배분 가중치에 해당 건물이 위치한 집계구 전체 인구를 곱하면 건물 연면적에 비례한 인구 값을 계산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may allocate the population by age for each counting zone to each residential building in proportion to the total floor area.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may allocate the population in smaller units based on the population information calculated in units of counting wards. That is,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can allocate the population in proportion to the total floor area of each building, and more specifically, the total floor area of each building is divided by the total gross area of all buildings in the county area where the building is located, and the population for each building is Distribution weights can be calculated.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may calculate a population value proportional to the total floor area of the building by multiplying the total population of the aggregated area in which the corresponding building is located by the population distribution weight for each building.

예를 들어, 도 9 및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에서 건물 단위의 인구 배분과 실수요 계산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9의 그림 (a)는 건물별 연면적(floor * area)과 집계구 내 건물 총 연면적(t_area)을 기초로 수급 현황 도출부(120)에 의해 도출된 건물별 인구 가중치(area_weight)에 해당할 수 있다.For example, FIGS. 9 and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opulation distribution and real demand calculation for each building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managing the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a) is a total floor area for each building (floor * area). It may correspond to the population weight (area_weight) for each building derived by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based on the total gross floor area (t_area) of the building in the county area.

또한,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할당 결과에 연령별 시설 이용률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건물별 제1 실수요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그림 (b)는 연령별 경로당 이용률에 해당할 수 있고,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건물 별로 할당된 건물별 이용예정자 수에 연령별 경로당 이용률을 적용하여 건물별 제1 실수요를 산출할 수 있다. 즉, 건물별 제1 실수요는 특정 지역 내의 건물 단위로 연령별 시설 이용률을 고려한 수요 현황에 해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may calculate the first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by applying a weight according to the facility utilization rate for each age to the allocation result. For example, the figure (b) of FIG. 9 may correspond to the utilization rate per route by age, and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applies the utilization rate per route by age to the number of prospective users per building allocated for each building. Can be calculated. That is, the first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may correspond to the current demand in consideration of the facility utilization rate for each age in a building unit within a specific area.

또한,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제1 실수요에 소득별 시설 이용률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건물별 제2 실수요를 산출할 수 있다. 즉, 건물별 제2 실수요는 특정 지역 내의 건물 단위로 연령별 시설 이용률 및 소득별 시설 이용률을 모두 고려한 수요 현황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그림 (c)는 소득별 경로당 이용률에 해당할 수 있다. 이 때, 소득분위는 각 건물의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고, 각 소득분위별 배정되는 노인인구가 같아지도록 구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may calculate the second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by applying a weight according to the facility utilization rate for each income to the first real demand. That is, the second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may correspond to a demand situation that considers both the facility use rate by age and the facility use rate by income in a building unit within a specific area. Meanwhile, the figure (c) of FIG. 9 may correspond to the utilization rate per channel for each income. In this case, the income quintil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publicly announced land price of each building, and can be classified so that the elderly population allocated for each income quintile is the same.

예를 들어, 건물에 할당된 노인 전체 인구가 총 약 80432명인 경우, 이를 5로 나누어 계산하면 16086에 해당할 수 있다. 각 분위에 약 16086명의 노인인구가 배정되도록 공시지가 값을 나누면 공시지가가 646750 이상은 5분위, 646750 미만 510000 이상은 4분위, 510000 미만 410100 이상은 3분위, 410100 미만 307150 이상은 2분위, 307150 미만은 1분위로 계산될 수 있다. 이후 각 분위에 해당되는 가중치 값을 계산하기 위하여 경로당 평균 이용률인 23%와 다른 분위 이용률과의 비율을 계산하면, 1분위와의 비율은 1.33, 2분위와의 비율은 1.26, 3분위와의 비율은 0.95, 4분위와의 비율은 0.79, 5분위와의 비율은 0.67 로 산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total population of elderly people allocated to a building is about 80432 people, it can be calculated as 16086 by dividing this by 5. Dividing the value of the publicly announced land price so that approximately 16086 elderly people are allocated to each quintile, the publicly announced land price is in the 5th quintile, those less than 646750 and more than 510000 are in the quartile, those less than 510000 and more than 410100 are in the third quintile, and those less than 410100 and more than 307150 are in the 2nd and less than 307150. It can be calculated in the first quartile. After that, in order to calculate the weight value for each quintile, the ratio of the average utilization rate per route, 23%, and the utilization rate of other quartiles, is calculated. It can be calculated as 0.95 for silver, 0.79 for the quartile, and 0.67 for the quintile.

결과적으로,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제1 실수요에 소득별 시설 이용률에 따른 가중치를 곱하여 건물별 제2 실수요를 산출할 수 있으며, 도 10은 특정 지역 내의 건물별 최종 실수요(제2 실수요)에 대한 계산 결과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0은 특정 시점에서의 건물별 최종 실수요(왼쪽)와 5년 후의 건물별 최종 실수요(오른쪽)에 해당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can calculate the second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by multiplying the first real demand by the weight according to the facility utilization rate for each income, and FIG. 10 shows the final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in a specific area (the second real demand). It may correspond to the result of the calculation for. 10 may correspond to the final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at a specific time point (left) and the final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5 years later (right).

일 실시예에서,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건물별 실수요와 시설별 서비스 영역을 통합하여 건물별 이용 가능한 시설 총면적과 해당 시설들의 총 실수요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에서 시설별 실수요자 합산과 총 실수요자 계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In one embodiment,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may derive the total area of facilities available for each building and the total real demands of the corresponding facilities by integrating the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and the service area for each facility. 11 and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ummation of end users for each facility and calculation of total end users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managing the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시설별 수요-공급을 비교하기 위해서, 시설에 도달할 수 있는 영역 내에 몇 명의 실수요자가 거주하는지 계산할 수 있다.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최종 계산을 건물 단위로 진행하여 각 건물에서 이용 가능한 시설면적의 총합과 해당 시설 이용이 가능한 실수요자 총합을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이후에 시설 공급량에 비해 더 많은 실수요가 있는지, 혹은 주변 수요에 비해 공급이 과다한지 등의 분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 and 12,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may calculate how many end users reside within an area that can reach the facility in order to compare the supply and demand for each facility.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may perform the final calculation on a per building basis to calculate the total amount of the facility area available in each building and the total number of end users who can use the facility. Through this,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may provide information for analysis, such as whether there is more real demand compared to the supply amount of the facility, or whether the supply is excessive compared to the surrounding demand.

도 11의 그림 (a)에서,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시설 서비스 영역과 건물별 실수요를 공간 조인할 수 있다.In the figure (a) of FIG. 11,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may spatially join the facility service area and the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도 11의 그림 (b)에서,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시설 서비스 영역이 중복되는 지역에서 건물별 실수요가 중복 카운팅 되는 경우 중복되는 부분을 중복된 횟수만큼 빼주기 위해서 시설 서비스 영역 중복 지역(인터섹트)에 같은 건물별 실수요를 공간 조인할 수 있다.In the figure (b) of FIG. 11,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is a facility service area overlapping area ( Intersect) can be space-joined with the same building-specific real demand.

도 12의 그림 (c)에서,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3번 중복된 지역이 있는 경우 해당 지역의 수요는 2번만 빼주어야 하므로, 시설 서비스 영역 중복 지역에 한번만 교차하는 레이어(디졸브)에 건물별 실수요를 공간 조인할 수 있다.In the figure (c) of FIG. 12,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needs to subtract only two times when there is an overlapped area three times, so that the layer (dissolve) intersects the overlapped area of the facility service area only once. Space-joined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도 12의 그림 (d)에서, 수급 현황 도출부(120)는 그림 (a) 내지 (c)의 결과를 통합하여 각 건물에서 이용 가능한 시설면적의 총합과 해당 시설 이용이 가능한 실수요자 총합을 계산할 수 있다.In Fig. 12 (d),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can calculate the total amount of facility area available in each building and the total number of end users who can use the facility by integrating the results of Figs. (a) to (c). have.

총 실수요 계산결과[result_b] = 서비스 영역[total_b] - 서비스 영역 중복지역(인터섹트)[minus_b] + 중복지역(디졸브)[plus_b]Total real demand calculation result[result_b] = service area[total_b]-service area overlapping area (intersect)[minus_b] + overlapping area(dissolve)[plus_b]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130)는 분석데이터를 기초로 특정 지역의 향후 인구를 예측하고 시설 수급 현황을 갱신하여 시설별 수급 적정성을 산출할 수 있다.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130)는 특정 지역에 관한 인구 예측을 통해 해당 지역 내의 복지시설에 관한 수요와 공급 수준이 적정한 비율로 유지될 수 있는지를 수치화한 결과로서 시설별 수급 적정성을 도출할 수 있다.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30 may predict the future population of a specific region based on the analysis data and update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of the facility to calculate the supply and demand adequacy for each facility.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30 may derive the supply and demand adequacy for each facility as a result of quantifying whether the level of supply and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in the corresponding area can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ratio through population prediction for a specific area.

일 실시예에서,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130)는 분석데이터의 통계를 기반으로 특정 나이 구간 단위의 출산율, 사망률 및 인구이동에 관한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여 향후 인구를 예측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7을 기초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In an embodiment, the facility supply/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30 may predict a future population by performing a time series analysis on the fertility rate, mortality rate, and population movement in a specific age section based on statistics of the analysis data.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FIGS. 3 to 7.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에서 인구 예측을 위한 시계열 분석 중 인구이동, 생잔율 및 출산율에 관한 데이터 유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에서 인구 예측을 위한 코호트-요인법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7은 도 1에 있는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에서 수행된 인구 예측 결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data types related to population movement, survival rate, and fertility rate among time series analysis for population prediction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manag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hort-factor method for predicting population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manag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opulation prediction result performed by the apparatus for predicting and managing a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in FIG. 1.

시계열이란 한 사건 또는 여러 사건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들을 관찰하여 기록한 자료에 해당할 수 있고, 시계열 모형에 의한 예측은 예측될 변수 자체의 과거의 자료에서 어떠한 패턴을 발견하여 미래에도 그러한 패턴이 특성을 잃지 않고 반복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서 모형을 확립하여 예측하는 방법에 해당할 수 있다.Time series can correspond to data recorded by observing and recording one event or several events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It may correspond to a method of predicting by establishing a model under the assumption that such a pattern will repeat without losing its characteristics.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130)는 출산율, 사망률, 인구이동과 같은 인구변동 과정을 외삽하는 시계열 모형에 기초한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인구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시계열 모형은 ARIMA 모형을 포함할 수 있다. ARIMA 모형은 AR(자기회귀: 유한개의 과거 값으로 현 시점 값을 설명)과 MA(이동평균: 과거와 현재의 오차들의 선형 결합 형태를 갖으며, 오차 값으로 현 시점 값을 설명) 모형이 결합된 형태로, 이에 차분(서로 다른 시점의 관측 값의 차이, 추세 제거)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30 may perform population prediction using an approach based on a time series model that extrapolates a process of population change such as fertility rate, mortality rate, and population movement. In this case, the time series model used may include an ARIMA model. The ARIMA model combines AR (autoregression: a finite number of past values to describe the current value) and MA (moving average: a linear combination of past and present errors, and an error value to describe the current value) models are combined. In this form, the concept of difference (difference between observed values at different points in time, trend removal) may be included therein.

도 3의 그림 (a)에서,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130)는 수집된 인구데이터를 기초로 특정 지역에 대한 5세 연령 단위의 인구이동 수를 구축할 수 있다. 도 3의 그림 (b)에서,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130)는 수집된 인구데이터를 기초로 특정 지역에 대한 5세 연령 단위의 생잔율(1 - 사망률)을 구축할 수 있다. 이 때, 사망률 및 사망자는 십만 명 단위로 도출될 수 있다. 도 3의 그림 (c)에서,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130)는 특정 지역에 대한 5세 연령 단위의 출산율을 구축할 수 있다. 이 때, 출산율은 백 명 당 출산율에 해당할 수 있다.In the figure (a) of FIG. 3,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30 may build the number of population movements in a 5-year-old age unit for a specific area based on the collected population data. In the figure (b) of FIG. 3,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30 may build a 5-year-old age unit for a specific area based on the collected population data. In this case, the mortality rate and the number of deaths can be derived in units of 100,000. In the figure (c) of FIG. 3,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30 may establish a birth rate in a 5-year-old age unit for a specific area. In this case, the fertility rate may correspond to the fertility rate per hundred.

도 4에서,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130)는 코호트-요인법을 이용하여 인구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코호트-요인법은 수학식 P(t + n) = P(t) + B - D + IM - OM 을 통해 인구를 추계하는 방식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P(t + n)는 t + n 기의 인구, P(t)는 t 기의 인구, B는 t 기부터 t + n 기까지의 출생인구, D는 t 기부터 t + n 기까지의 사망인구, IM은 t 기부터 t + n 기까지의 유입인구 및 OM은 t 기부터 t + n 기까지의 유출인구에 해당할 수 있다.In FIG. 4, the facility supply/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30 may perform population prediction using a cohort-factor method. The cohort-factor method may correspond to a method of estimating the population through the equation P(t + n) = P(t) + B-D + IM-OM. Here, P(t + n) is the population of t + n, P(t) is the population of t, B is the birth population from t to t + n, and D is from t to t + n The mortality population up to, IM may correspond to the influent population from t to t + n, and OM may correspond to the outflow population from t to t + n.

또한,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130)는 기준년도 기준으로 다음연도 계산을 5번 진행하여 결과 값을 도출하지 않고, 5년 동안의 총 사망자와 출생아, 인구이동량 등을 각각 합하여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30 may calculate the total number of deaths, births, and population movements for five years without deriving a result value by calculating the next year five times based on the base year.

도 5의 그림 (a)에서,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130)는 5년간 인구이동량을 합산한 후, 2023년 인구 예측에 반영할 수 있다. 이때, 2018년 기준 0-4세 연령 인구가 2023년 5-9세 연령 인구를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2018년 기준 60-64세 인구는 2023년도의 65-69세 인구를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In the figure (a) of FIG. 5,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30 may add up the amount of population movement for 5 years and then reflect it in the 2023 population forecast. At this time, the population aged 0-4 in 2018 can be used to predict the population aged 5-9 in 2023. Similarly, the population aged 60-64 as of 2018 can be used to predict the population aged 65-69 in 2023.

도 5의 그림 (b)에서,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130)는 순이동인구를 반영한 뒤, 생잔율(1-사망률)을 반영할 수 있다. 2018년의 0-4세 인구에 인구이동량과 생잔율을 반영하여 2023년의 5-9세 인구가 산출될 수 있다. 80세 이상인구의 경우 기존에 이미 80세 이상으로 분류되었던 인구에 생잔율을 곱한 값과, 새로 80대에 진입한 인구를 더한 값이 최종 80대 인구로 분류될 수 있다.In the figure (b) of FIG. 5,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30 may reflect the net moving population, and then reflect the survival rate (1-mortality rate). The 5-9 year old population in 2023 can be calculated by reflecting the amount of population migration and the survival rate to the population aged 0-4 in 2018. In the case of a population aged 80 or older,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survival rate by the population that was previously classified as 80 or older and the population newly entering the 80s can be classified as the final population in the 80s.

도 6의 그림 (c)에서,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130)는 여성에 대한 예측 인구를 토대로 출산율을 반영하여 5년간의 출생아 수를 추정할 수 있다. 각 연령대의 5년간 출생아 수의 합계에 5년간 0-4세 순이동인구를 더하게 되면 2023년의 0-4세 인구수가 계산될 수 있다.In the figure (c) of FIG. 6,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30 may estimate the number of births for five years by reflecting the fertility rate based on the predicted population for women. If the total number of births for each age group for five years plus the net moving population aged 0-4 over five years, the population aged 0-4 in 2023 can be calculated.

도 6의 그림 (d)에서,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130)는 데이터 정제 및 가공 과정에서 구축된 집계구 단위 연령별 인구 데이터에 미래 인구 예측 결과를 반영할 수 있다. 각 집계구의 연령대별 추정 인구 값은 집계구 단위 연령별 인구 데이터에 인구 예측 결과로 도출되는 추정값을 곱해 계산될 수 있다. In the figure (d) of FIG. 6,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30 may reflect the future population prediction result in the population data for each age unit of a counting unit 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refining and processing the data. The estimated population value for each age group of each count may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population data by age group per count by the estimated value derived from the population prediction result.

보다 구체적으로,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130)는 현재의 인구와 사망률, 생존율 및 출산율을 반영하여 추정되는 인구 간의 비율로서 인구 증감율을 도출할 수 있고, 현재의 인구에서 인구 증감율을 적용하면 향후 인구를 예측할 수 있다. 도 7의 그림 (a)는 기준연도와 5년 뒤의 0-5세 인구를 비교한 것이고, 도 7의 그림 (b)는 기준연도와 5년 뒤의 80세 이상 인구를 비교한 것에 해당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30 can derive a population increase or decrease rate as a ratio between the current population and the estimated population by reflecting the mortality rate, survival rate, and fertility rate. Can be predicted. Figure 7 (a) is a comparison of the population aged 0-5 years after the base year and 5 years, and Figure (b) of Figure 7 corresponds to the comparison of the population aged 80 or older after the base year and 5 years. I can.

일 실시예에서,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130)는 시설면적과 시설 총 실수요를 기초로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되는 시설별 수급비율을 시설 수급 적정성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acility supply/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30 may determine a supply/demand ratio for each facility,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based on the facility area and the total actual demand for the facility, as the facility supply/demand adequacy.

[수학식][Equation]

Figure 112019133966585-pat00003
Figure 112019133966585-pat00003

이 때, 정원이 있는 경우 시설면적 대신 정원을 대입하고, 1인당 기준면적은 고려하지 않는다. 경로당의 1인당 기준면적은 2 m2로, 어린이집은 시설면적 대신 정원을 대입하여 계산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re is a capacity, the capacity is substituted instead of the facility area, and the standard area per person is not considered. The standard area per person per senior is 2 m 2 , and daycare centers can be calculated by substituting the capacity for the facility area.

또한,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130)는 '시설 총 실수요' 값이 0인 건물(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없기 때문에 시설 총 실수요 값이 없음)은 상기 수학식에 의하여 계산이 불가능하므로 해당 건물을 제외하고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130)는 '시설 총 실수요' 값이 0인 건물에 대해서는 '-건물별 실수요'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용가능한 시설이 있는 건물은 +값이, 시설이 없지만 수요가 있는 건물은 -값이 입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30 excludes the building in which the'total real facility demand' value is 0 (there is no facility to use, so there is no total real demand value of the facility) by the above equation. And can be calculated. Meanwhile,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30 may input a value of'-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for a building in which the'total real demand for facilities' value is 0. Through this, a positive value can be entered for buildings with available facilities, and a -value can be entered for buildings that do not have facilities but are in demand.

따라서, 계산된 비율 값이 1보다 크면 해당 건물이 받는 시설 공급이 그 지역 수요에 비해 과다하고, 0보다 크고 1보다 작으면 시설 공급을 받고 있으며 비율에 따라 정도의 차이 있으며, 0보다 작으면 해당 건물에 수요가 있으나 시설 공급이 이뤄지고 있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에서 시설별 수급 적정성 계산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3의 그림 (a)는 경로당에 대한 수급 적정성에 해당하고, 도 13의 그림 (b)는 어린이집에 대한 수급 적정성에 해당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calculated ratio value is greater than 1, the facility supply received by the building is excessive compared to the local demand, and if it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 it is receiving the facility supply, and there is a degree of difference depending on the ratio, and if it is less than 0, it is the corresponding This could mean that the building is in demand but the facility is not being supplied. 13 may show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supply and demand adequacy for each facility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managing the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a) corresponds to the appropriateness of supply and demand for senior citizens, and Figure 13 (b) corresponds to the appropriateness of supply and demand for daycare centers.

밀도 분석 수행부(140)는 시설 수급 적정성을 기초로 시설 부족 지역 및 공급 과잉 지역에 관한 밀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밀도 분석 수행부(140)는 지역별 시설 공급량 및 수요 등에 대한 상대적인 평가를 내리고자 할 때 유용한 분석으로서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밀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The density analysis performing unit 140 may perform density analysis on a facility shortage area and an excess supply area based on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The density analysis performing unit 140 may perform density analysis for a specific region as a useful analysis when trying to make a relative evaluation of the supply amount and demand of facilities by region.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에서 밀도 분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nsity analysis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managing a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의 그림 (a)에서, 밀도 분석 수행부(140)는 시설이 없는 건물을 대상으로 수요자 밀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밀도 분석 방법으로는 커널 분석(Kernel Density)이 사용될 수 있다. 밀도 분석 수행부(140)는 이용 가능한 시설이 없는 건물들만 포인트로 변환할 수 있고, 기준연도와 5년뒤의 데이터를 기초로 밀도 분석을 수행하여 지역별 변화를 도출할 수 있다.In the figure (a) of FIG. 14, the density analysis performing unit 140 may perform consumer density analysis for a building without facilities. In this case, as a density analysis method, kernel density may be used. The density analysis performing unit 140 may convert only buildings without available facilities into points, and may derive regional changes by performing density analysis based on data from the base year and 5 years later.

도 14의 그림 (b)에서, 밀도 분석 수행부(140)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많은 건물들을 대상으로 밀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밀도 분석 방법으로는 커널 분석(Kernel Density)이 사용될 수 있다. 밀도 분석 수행부(140)는 기준연도와 5년뒤의 데이터를 기초로 밀도 분석을 수행하여 지역별 변화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경로당의 경우 밀도 분석 과정에서 주변 반경 500미터가 추가 반영될 수 있으며, 어린이집의 경우 주변 반경 300미터가 추가 반영할 수 있다.In the figure (b) of FIG. 14, the density analysis performing unit 140 may perform density analysis on buildings with a greater supply than demand. In this case, as a density analysis method, kernel density may be used. The density analysis performing unit 140 may derive regional changes by performing density analysis based on data from the base year and 5 years late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path, a radius of 500 meters may be additionally reflected in the density analysis process, and in the case of a daycare center, a radius of 300 meters may be additionally reflected.

시설 할당 분석부(150)는 밀도 분석의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특정 지역 내의 복지시설 배치를 위한 신설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시설 할당 분석부(150)는 시설 위치를 변경해 가며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수혜자 수, 시설면적 등을 고려하여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시설 할당 분석부(150)는 시설이 없는 지역을 대상으로 수행한 밀도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분석 대상지를 선정할 수 있다. 즉, 시설 할당 분석부(150)는 향후 수요가 많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을 골라 시설 할당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The facility allocation analysis unit 150 may perform a network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ensity analysis to determine a new location for distributing welfare facilities in a specific area. The facility allocation analysis unit 150 may perform network analysis while changing the facility location to select a lo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beneficiaries and facility area. The facility allocation analysis unit 150 may select an analysis target site by referring to a density analysis result performed for an area without facilities. That is, the facility allocation analysis unit 150 may perform a facility allocation network analysis by selecting a region where demand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예를 들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에서 밀도 분석 결과로 도출되는 수요 증가 지역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5의 그림 (a)는 밀도 분석 결과 수요 증가 지역에 해당할 수 있고, 도 15의 그림 (b)는 수요 증가 지역에 관한 할당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해당할 수 있다. For example,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mand increase area derived as a result of density analysis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a) is a result of the density analysis. In addition, the figure (b) of FIG. 15 may correspond to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allocation network for the region of increasing demand.

즉, 시설 할당 분석부(150)는 폴리곤 형식으로 되어 있는 건물별 수요를 포인트로 변환한 뒤, 네트워크 분석 중 할당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시설 규모와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시설 할당 분석부(150)는 해당 지역이 위험시설로부터의 거리가 50m 이내인지 혹은 교통사고 다발 지역이 아닌지 확인 후 입지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That is, the facility allocation analysis unit 150 may convert the demand for each building in a polygonal format into points, and then perform an allocation network analysis during network analysis to select a facility size and location. The facility allocation analysis unit 150 may finally determine whether a location is located after confirm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area is within 50m of a dangerous facility or is not a traffic accident-prone area.

또한,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에서 밀도 분석 결과로 도출되는 공급 과잉 지역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6의 그림 (a)는 밀도 분석 결과 미래에는 수급 적정성을 이루는 지역에 해당할 수 있고, 도 16의 그림 (b)는 밀도 분석 결과 미래에는 공급 과잉인 지역에 해당할 수 있다.In addition, 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versupply area derived from a density analysis result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managing a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a) is a result of the density analysis. It may correspond to, and Figure (b) of FIG. 16 may correspond to an area that is oversupply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density analysis.

도 16의 그림 (a)에서, 현재는 시설 공급 과잉 지역이지만 미래에는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의 시설은 공급 과잉 지역에 해당되지 않을 수 있다. 전반적으로 도심지는 경로당에 대한 미래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로, 이와 같은 상황에 속하는 지역이 다수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주로 외곽 지역의 공급 과잉 지역은 시간이 지난다고 해서 공급 과잉이 크게 달라지지 않을 수 있다.In the figure (a) of FIG. 16, facilities in an area that is currently in an oversupply area but is expected to increase in demand in the future may not correspond to an oversupply area. Overall, urban areas are in the trend of increasing future demand for Senior Citizens, and there may be a number of areas that fall under such a situation. In addition, the oversupply area, mainly in the outlying area, may not change significantly over time.

도 16의 그림 (b)에서, 현재는 시설 공급 과잉 지역이 아니지만 미래에는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의 시설은 공급 과잉 지역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어린이집의 경우 수요 감소로 인하여 공급 과잉 지역이 늘어가는 추세를 나타낼 수 있다.In the figure (b) of FIG. 16, facilities in an area that is not currently an oversupply area but is expected to decrease in demand in the future may correspond to an oversupply area. In addition, in the case of daycare centers, due to a decrease in demand, there may be a trend of an increase in oversupply areas.

제어부(160)는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셋 구축부(110), 수급 현황 도출부(120),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130), 밀도 분석 수행부(140) 및 시설 할당 분석부(1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elfare facility demand predi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and a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a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a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30, a density analysis execution unit The control flow or data flow between the 140 and the facility allocation analysis unit 150 may be managed.

도 2는 도 1에 있는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edicting and managing a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using data analysis performed by the apparatus for predicting and manag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100)는 데이터 셋 구축부(110)를 통해 특정 지역에 관한 시설데이터와 인구데이터를 포함하는 분석데이터를 수집하여 복지시설 수요 예측을 위한 데이터 셋(data set)을 구축할 수 있다(단계 S210).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100)는 수급 현황 도출부(120)를 통해 데이터 셋으로부터 특정 지역에 관한 시설 수급 현황을 도출할 수 있다(단계 S230).Referring to FIG. 2, the apparatus 100 for predict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collects analysis data including facility data and population data for a specific area through 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to predict the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Data set) can be built (step S210). The welfare facility demand predi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derive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of facilities for a specific region from the data set through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20 (step S230).

또한,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100)는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130)를 통해 분석데이터를 기초로 특정 지역의 향후 인구를 예측하고 시설 수급 현황을 갱신하여 시설별 수급 적정성을 산출할 수 있다(단계 S250).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100)는 밀도 분석 수행부(140)를 통해 시설 수급 적정성을 기초로 시설 부족 지역 및 공급 과잉 지역에 관한 밀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270).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100)는 시설 할당 분석부(150)를 통해 밀도 분석의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특정 지역 내의 복지시설 배치를 위한 신설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290).In addition, the welfare facility demand predi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predict the future population of a specific area based on the analysis data through the facility supply/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30 and update the facility supply/demand status to calculate the supply and demand adequacy for each facility ( Step S250). The apparatus 100 for predict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may perform a density analysis on a facility shortage area and an excess supply area based on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through the density analysis performing unit 140 (step S270). The apparatus 100 for predict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may perform a network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ensity analysis through the facility allocation analysis unit 150 to determine a new location for distributing welfare facilities in a specific area (step S290).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100)는 기존보다 작은 공간단위의 인구 예측을 통하여 5년 후의 인구를 예측할 수 있고, 미래 인구구조의 추세를 반영하여 현재와 미래 두 번의 분석을 각각 시설별로 수행할 수 있다.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100)는 공간 분석에 시계열적인 접근 방식을 도입하여 시간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에 영향을 크게 받는 복지시설에 관한 수급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The welfare facility demand prediction management device 100 can predict the population in five years through population prediction in a space unit smaller than the existing one, and can perform two analyzes for each facility, each of the present and the future by reflecting the trend of the future demographic structure. have. The apparatus 100 for predict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may introduce a time-series approach to spatial analysis to perform supply and demand analysis on welfare facilities that are greatly affected by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over time.

또한,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100)는 건물이라는 작은 공간단위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생기는 중복 추계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고, 집계구 단위의 인구데이터를 주거용 건물 단위로 배분함에 따라, 각 서비스 영역에 건물이 중복 집계가 되어 현실과 다소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한편,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100)는 복지 시설 이외의 생활SOC 수급 분석으로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lfare facility demand predi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minimize the problem of redundant estimation caused by performing analysis in a small space unit called a building, and by distributing the population data of the counting ward to the residential building unit, each service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problem of slightly different from the reality as buildings are counted over and over in the area. Meanwhile, the apparatus 100 for predict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can be extended and applied to analysis of supply and demand for living SOCs other than welfare facilitie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100: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
110: 데이터 셋 구축부 120: 수급 현황 도출부
130: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 140: 밀도 분석 수행부
150: 시설 할당 분석부 160: 제어부
100: welfare facility demand forecast management device
110: data set construction unit 120: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130: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140: density analysis execution unit
150: facility allocation analysis unit 160: control unit

Claims (8)

특정 지역에 관한 시설데이터와 인구데이터를 포함하는 분석데이터를 수집하여 복지시설 수요 예측을 위한 데이터 셋(data set)을 구축하는 데이터 셋 구축부;
상기 데이터 셋으로부터 상기 특정 지역에 관한 시설 수급 현황을 도출하는 수급 현황 도출부;
상기 분석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지역의 향후 인구를 예측하고 상기 시설 수급 현황을 갱신하여 시설별 수급 적정성을 산출하는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 및
상기 시설 수급 적정성을 기초로 시설 부족 지역 및 공급 과잉 지역에 관한 밀도 분석을 수행하는 밀도 분석 수행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는 시설면적과 시설 총 실수요를 기초로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되는 시설별 수급비율을 상기 시설 수급 적정성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
[수학식]
Figure 112021007523048-pat00021

(여기에서, 시설의 정원이 있는 경우 시설면적 대신 정원을 대입하고, 1인당 기준면적은 고려하지 않는다.)
A data set construction unit for constructing a data set for predict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by collecting analysis data including facility data and population data on a specific area;
A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for deriving a supply and demand status of facilities for the specific area from the data set;
A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that predicts a future population of the specific region based on the analysis data and updates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of the facility to calculate a supply and demand adequacy for each facility; And
Including a density analysis performing unit that performs density analysis on the facility shortage area and the supply excess area on the basis of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determines a supply and demand ratio for each facility, which is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based on the facility area and the total real demand of the facility, as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Equation]
Figure 112021007523048-pat00021

(Here, if there is a capacity of the facility, the capacity is substituted instead of the facility area, and the standard area per person is not conside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도 분석의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특정 지역 내의 복지시설 배치를 위한 신설 위치를 결정하는 시설 할당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acility allocation analysis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network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ensity analysis to determine a new location for distributing welfare facilities in the specific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셋 구축부는
시설 수급 분석을 위한 데이터 정제를 통해 상기 분석데이터로부터 (a) 시설별 위치, 면적 및 정원에 관한 시설 정보와 (b) 집계구별 연령별 인구수에 관한 인구 정보와 (c) 공시지가에 따른 소득수준에 관한 소득 정보 및 (d) 도로 연결성에 관한 도로 정보를 도출하고, 입지 분석을 위한 데이터 정제를 통해 (e) 출생률, 이동인구 및 사망률에 관한 인구통계 정보 및 (f) 교통사고 다발 지점 및 유해시설에 관한 위험지역 정보를 도출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셋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 set construction unit
From the above analysis data through data purification for facility supply and demand analysis, (a) facility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rea, and capacity of each facility, (b) population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opulations by age by counting section, and (c) income on income level according to the published land price Information and (d) derivation of road information on road connectivity, and through data refining for location analysis, (e) demographic information on birth rate, moving population and mortality rate, and (f) traffic accident points and hazardous facilities. Welfare facility demand prediction manage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by constructing the data set by deriving dangerous area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급 현황 도출부는
집계구 별로 연령별 인구를 각 주거용 건물에 연면적에 비례하도록 할당하는 제1 단계, 상기 할당 결과에 연령별 시설 이용률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건물별 제1 실수요를 산출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1 실수요에 소득별 시설 이용률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건물별 제2 실수요를 산출하는 제3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복지시설에 관한 건물별 실수요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The first step of allocating the population by age to each residential building in proportion to the total floor area for each count, the second step of calculating the first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by applying a weight according to the facility utilization rate for each age to the allocation result, and the first real demand. A welfare facility demand prediction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performing the third step of calculating the second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by applying a weight according to the facility utilization rate for each income, the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for welfare facilities is deriv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급 현황 도출부는
상기 건물별 실수요와 시설별 서비스 영역을 통합하여 건물별 이용 가능한 시설 총면적과 해당 시설들의 총 실수요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derivation unit
The apparatus for predicting and managing welfare facilities demand, characterized in that by integrating the real demand for each building and the service area for each facility to derive the total area of facilities available for each building and the total real demands of the corresponding facilit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수급 적정성 산출부는
상기 분석데이터의 통계를 기반으로 특정 나이 구간 단위의 출산율, 사망률 및 인구이동에 관한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향후 인구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acility supply and demand adequacy calculation unit
The apparatus for predicting and managing welfare facilities demand, characterized in that for predicting the future population by performing a time series analysis on the fertility rate, mortality rate, and population movement in a specific age section based on statistics of the analysis data.
삭제delete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지역에 관한 시설데이터와 인구데이터를 포함하는 분석데이터를 수집하여 복지시설 수요 예측을 위한 데이터 셋(data set)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셋으로부터 상기 특정 지역에 관한 시설 수급 현황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분석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지역의 향후 인구를 예측하고 상기 시설 수급 현황을 갱신하여 시설별 수급 적정성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시설별 수급 적정성을 기초로 시설 부족 지역 및 공급 과잉 지역에 관한 밀도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밀도 분석의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특정 지역 내의 복지시설 배치를 위한 신설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설별 수급 적정성을 산출하는 단계는 시설면적과 시설 총 실수요를 기초로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되는 시설별 수급비율을 상기 시설별 수급 적정성으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시설 수요 예측관리 방법.
[수학식]
Figure 112021500644635-pat00022

(여기에서, 시설의 정원이 있는 경우 시설면적 대신 정원을 대입하고, 1인당 기준면적은 고려하지 않는다.)
In the method performed in the welfare facility demand forecasting management device,
Collecting analysis data including facility data and population data on a specific area to establish a data set for predicting demand for welfare facilities;
Deriving a supply and demand status of facilities for the specific area from the data set;
Predicting a future population of the specific area based on the analysis data and updating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of the facilities to calculate a supply and demand adequacy for each facility;
Performing a density analysis on areas with insufficient facilities and areas with excess supply based on the appropriateness of supply and demand for each facility; And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a new location for the placement of welfare facilities in the specific area by performing a network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ensity analysis,
The step of calculating the supply and demand adequacy for each facility comprises determining a supply and demand ratio for each facility, which is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based on the facility area and total real demand of the facility, as the supply and demand adequacy for each facility. Way.
[Equation]
Figure 112021500644635-pat00022

(Here, if there is a capacity of the facility, the capacity is substituted instead of the facility area, and the standard area per person is not considered.)
KR1020190174830A 2019-12-26 2019-12-26 Welfare facility demand forecas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KR1022258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830A KR102225813B1 (en) 2019-12-26 2019-12-26 Welfare facility demand forecas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830A KR102225813B1 (en) 2019-12-26 2019-12-26 Welfare facility demand forecas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813B1 true KR102225813B1 (en) 2021-03-11

Family

ID=7514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830A KR102225813B1 (en) 2019-12-26 2019-12-26 Welfare facility demand forecas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81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2152A (en) * 2021-07-07 2021-11-02 国网上海市电力公司 Residential community multi-type charging facility configuration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6763A (en) * 2004-11-24 2006-06-08 Shimizu Corp Care-need certificated person number prediction system
KR20140056461A (en) 2012-10-25 2014-05-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upporting method for forecasting population density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same
KR20150121437A (en) * 2014-04-21 2015-10-29 (주) 대한에이앤씨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Real-Time Circulation population
KR101701954B1 (en) * 2015-07-24 2017-02-13 울산과학기술원 Population statistic simulation method
JP2018197929A (en) * 2017-05-23 2018-12-13 株式会社東芝 Community-based integrated care business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6763A (en) * 2004-11-24 2006-06-08 Shimizu Corp Care-need certificated person number prediction system
KR20140056461A (en) 2012-10-25 2014-05-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upporting method for forecasting population density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same
KR20150121437A (en) * 2014-04-21 2015-10-29 (주) 대한에이앤씨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Real-Time Circulation population
KR101701954B1 (en) * 2015-07-24 2017-02-13 울산과학기술원 Population statistic simulation method
JP2018197929A (en) * 2017-05-23 2018-12-13 株式会社東芝 Community-based integrated care business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2152A (en) * 2021-07-07 2021-11-02 国网上海市电力公司 Residential community multi-type charging facility configuration method
CN113592152B (en) * 2021-07-07 2023-08-22 国网上海市电力公司 Configuration method for multi-type charging facilities of residential are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ba et al. A new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pulation with walking access to transit
Ortigosa et al. Study on the number and location of measurement points for an MFD perimeter control scheme: a case study of Zurich
Zhen et al. A simulation optimization framework for ambulance deployment and relocation problems
Gutiérrez et al. Transit ridership forecasting at station level: an approach based on distance-decay weighted regression
Lee et al. Utilizing mobile phone-based floating population data to measure the spatial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it
Novak et al. A link-focused methodology for evaluating accessibility to emergency services
Anderson et al. Accessibility futures
CN103247177A (en) Large-scale road network traffic flow real-time dynamic prediction system
Akbarzadeh et al. Time-dependent route choice in hurricane evacuation
JP6922132B2 (en) Generation device, generation method and generation program
WO2014203391A1 (en) Traffic action estimation system and traffic system
JP2016076084A (en) Living area designation assist system, program, and storage medium
Jensen et al. Location intelligence application in digital data activity dimensioning in smart cities
Gaboardi et al. Connecting points to spatial networks: effects on discrete optimization models
KR102225813B1 (en) Welfare facility demand forecas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Lee et al. Identifying spatiotemporal transit deserts in Seoul, South Korea
Kuehnel et al. The end of travel time matrices: Individual travel times in integrated land use/transport models
Pfiester et al. Spatiotemporal exploration of Melbourne pedestrian demand
Zhong et al. Multi-objective optimization approach of shelter location with maximum equity: an empirical study in Xin Jiekou district of Nanjing, China
Zamanifar et al. Recovery planning model for roadways network after natural hazards
Ji et al. Non-linear effects of street patterns and land use on the bike-share usage
Chen et al. Ambulance service area considering disaster-induced disturbance on th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Krstikj et al. Volunteers in lockdowns: decision support tool for allocation of volunteers during a lockdown
Kaziyeva et al. Large-scale agent-based simulation model of pedestrian traffic flows
Yan et al. MobiAmbulance: Optimal scheduling of emergency vehicles in catastrophic situ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