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648B1 - 블록체인을 이용한 청정 활동 가치 보상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청정 활동 가치 보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648B1
KR102225648B1 KR1020190089921A KR20190089921A KR102225648B1 KR 102225648 B1 KR102225648 B1 KR 102225648B1 KR 1020190089921 A KR1020190089921 A KR 1020190089921A KR 20190089921 A KR20190089921 A KR 20190089921A KR 102225648 B1 KR102225648 B1 KR 102225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
air
information
activit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1311A (ko
Inventor
이동윤
김성기
이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네트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네트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네트워크
Priority to KR1020190089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6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11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공기 청정 활동을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저장하고 이를 통한 거래내역을 기반으로 하여 공기 청정기 구매자의 사용 실적을 산출 저장하며 이에 따른 충성도를 가상 화폐로 보상 지급하며 일반 수요자에게 공기 청정 지수 및 공기 청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블록체인을 이용한 청정 활동 가치 보상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청정 활동 가치 보상 방법{Clean Activity Value Compensation Methods Using Block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청정활동 가치 보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공기 청정 활동을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저장하고 이를 통한 거래내역을 기반으로 하여 공기 청정기 구매자의 사용 실적을 산출 저장하며 이에 따른 충성도를 가상 화폐로 보상 지급하며 일반 수요자에게 공기 청정 지수 및 공기 청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블록체인을 이용한 청정 활동 가치 보상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부르며 가상 화폐로 거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막는 기술이다. 기존 금융 회사의 경우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는 반면, 블록체인은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를 막는 방식을 사용하는 탈 중앙화적 특징을 갖는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은 대표적인 온라인 가상 화폐인 비트코인에 적용되어 있다. 비트코인은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며, 비트코인을 사용하는 여러 컴퓨터가 10분에 한 번씩 이 기록을 검증하여 해킹을 막는다. 최근에는 비트코인이 가진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코인들이 개발 및 제공되고 있으며, 플랫폼적 기능을 갖는 코인의 등장으로 다양한 토큰들이 가상화폐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가상화폐 플랫폼을 이용한 다양한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들이 개발 및 이용되고 있어, 블록체인의 활용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 미세먼지등으로 인하여 공기청정기에 대한 사용이 급등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필터로 걸러내어 흡입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이 정화된 공기가 공기 청정기의 외부, 즉 실내로 다시 토출 된다.
이를 위해, 공기정청기는 주위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걸러내는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현대사회에 이르러, 사람들은 실외보다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실내 공기오염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최근의 생활환경이 도시지역, 시내 중심지역과 같이 사람과 자동차들이 집중되는 지역에 한정되고 있기 때문에 실내와 외부를 격리하여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하는 것은 더욱 중요하게 생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필터의 수명이 다한 상태로 공기청정기가 사용된다면 오히려 공기청정기에 의해 각종 유해물질들이 공기 중으로 토출될 수 있으므로, 필터의 수명에 따른 필터의 교체는 공기청정기의 정화 성능과 직결된다.
따라서, 측정된 공기질에 관한 정보를 공기 청정기 사용자와 공유하고 공기 청정기 사용에 대한 가치를 보상하기 위한 방법등도 없는 실정인바 서버로부터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블록체인 저장하며 실내 공기질에 대한 정보 및 사용에 대한 보상등을 사용자 제공하기 위한 마이닝 시스템 및 그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980310호 (2019.05.20)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7-0041460호 (2017.04.17)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인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청정 활동 가치 보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공기 청정 활동을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관리되는 거래내역에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사용 실적을 산출 저장하며 이에 따른 충성도를 가상화폐로 보상 지급하며 일반 대중에게 공기 청정 지수를 제공하여 대중에게 공기 청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청정 활동 가치 보상 방법에 관한 것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 구동에 따른 청정활동을 수행하는 1단계; 상기 청정활동에 의한 청정 정보 수집 및 공기 청정기 제어를 수행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 따른 정보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거래내역 기반으로 저장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에 따른 저장된 내용의 청정 활동을 평가하고 청정 정보를 청정기 구매자 및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4단계; 및 상기 4단계에 평가를 통한 보상으로 가상 화폐를 지급하는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청정 활동은 미세먼지, 공기의 질 또는 산소의 농도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기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값을 이용하여 청정 지도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청정 지도는 앱(APP)을 통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청정 정보 수집은 외부 기상서버에 의한 값 또는 공기 청정기의 주변 값중 어느하나의 값을 기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정 활동 데이터 및 가상 화폐의 거래정보를 인증 및 기록하는 블록체인이 탑재된 서버 및 공기 청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기 청정기의 구동에 따른 청정활동을 수행하여 상기 블록체인이 탑재된 서버에 상기 공기 청정활동을 기록하는 1단계; 상기 공기 청정활동에 의해 공기 청정 정보 수집과 상기 공기 청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 따른 정보를 거래내역 기반으로 상기 블록체인이 탑재된 서버에 저장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에 따른 상기 블록체인이 탑재된 서버에 저장된 내용의 공기 청정 활동을 평가하고 공기 청정 정보를 공기 청정기 구매자 및 일반 사용자에게 상기 공기 청정 정보를 제공하는 4단계; 및 상기 4단계에 상기 평가를 통한 보상으로 가상 화폐를 지급하는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청정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이로부터 거래 청정기 구매자들의 실적을 평가하여 실적에 따른 보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장점이 있다.
2. 기존의 작업증명, 지분증명 등의 전통적인 방식이 아닌 실적증명 모델에 기초하여 청정활동에 따른 가치 보상을 가상 화폐로 발행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가상화폐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
3. 공기 청정 활동에 따른 공기 청정 지수를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그 값의 활용을 도모 할 수 있다.
4. 나아가 안정적인 ICO(Initial Coin Offering)를 진행할 수 있는 기반을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 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화폐 지급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럭도.
도 4. 일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보유서버들(100), 관리서버(200) 및 공기 청정기 구매자(이하 구매자라 함.) 및 일반 사용자(이하 사용자라 함.) 단말들(300)이 도시되어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구매자 또는 사용자 단말들(300) 각각은 기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거래내역을 기록하며, 기록된 거래내역은 각각의 블록에 기록되어 블록체인 보유 서버들(100)에 전파되고, 각각의 서버에 저장 및 관리된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블록체인 보유서버들(100)은 청정 활동 데이터 및 가상화폐의 거래정보를 인증 및 기록하는 블록체인이 탑재된 서버들을 의미한다.
구매자 또는 사용자 단말들(300) 각각은 수집된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이에 따른 보상을 지급받는다. 예를들어, 구매자 또는 사용자 단말들(300) 각각은 거래내역에 따라 가상화폐를 지급받게 됨을 의미한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화폐는 전자화폐, 암호화폐 등 블록 체인을 통하여 그 거래내역이 관리되는 모든 종류의 비 실물 화폐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의미한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화폐는 별도의 메인넷이 구축되고, 이에 따라 관리되는 코인 형태의 가상화폐일 수도 있고, 이더리움 네트워크 등 다른 코인의 인프라를 활용하는 토큰 형태의 가상화폐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구매자 및 사용자 단말들(300) 각각에 지급되는 가상화폐는 이미 생성 또는 발행된 상태로서 관리서버(200)에 의하여 관리되며, 구매자 또는 사용자 단말들(300) 각각의 거래내역에 따라 지급되게 된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200)는 구매자 또는 사용자 단말들(300)간에 발생하는 거래내역을 저장하는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고, 작업증명(Proof Of Work)을 통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관리서버(200)는 그 대가로 생성된 소정의 가상화폐를 지급받고, 이를 구매자 또는 사용자 단말들(300)의 거래내역에 따라 구매자 또는 사용자 단말들(300)에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200)는 구매자 또는 사용자 단말들(300) 간의 거래내역에 따른 청정활동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조건을 만족한 구매자 또는 사용자 단말에 가상화폐를 지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관리서버(200)는 이미 발행된 가상화폐를 관리하고, 경우에 따라 가상화폐를 추가로 발행할 수도 있다. 관리서버(200)는 블록체인 보유서버들(100)에 저장되는 거래내역을 검증하여 그 무결성을 판단하고, 이에 기반하여 구매자 및 사용자 단말들(300)에게 거래내역에 따라 가상화폐를 지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서버(200)는 직접 거래내역을 검증할 수도 있고, 외부 검증서버를 통하여 거래내역을 검증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구매자 또는 사용자 단말들(300) 각각에 의하여 거래내역이 기록됨에 따라,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가상화폐가 생성되어 구매자 또는 사용자 단말들(300)에 지급될 수 있으며, 이를 가상화폐의 채굴 또는 마이닝이라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가상화폐의 채굴은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 지분증명(POS: Proof Of Stake) 및 중요도증명 (POI: Proof Of Importance) 중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한 방법들은 분산 시스템의 신뢰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분산합의 알고리즘의 하나이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는, 구매자 또는 사용자 단말들(300)을 각각 하나의 노드로 보았을 때, 각 노드가 연관된 거래내역에 기초하여, 각 노드에 대응하는 구매자 및 사용자등의 청정 활동이 소정의 기준을 달성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그 댓가로서 소정의 가상화폐를 지급하는, 이른바 실적증명(POP: Proof Of Performance) 기반 블록체인 관리 및 가상화폐 채굴(또는 지급)방법이 제공된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실적은 공기 청정 활동을 기반으로 산정된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실적증명 기반 가상화폐 채굴방법은 청정 활동 증명(POP: Proof Of Clean Activity Value) 기반 가상화폐 채굴방법이라고도 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들(300)간의 거래와 이에 따른 가상화폐 지급방법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에 의하여 수행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화폐 지급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관리서버(200)에 의하여 블록체인 보유서버들(100)과 구매자 또는 사용자 단말(300)이 중개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로서 제공된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610에서, 관리서버(200)는 구매자 또는 사용자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공기 청정홀동에 대응하는 청정 데이터를 구매자 및 사용자의 청정활동 데이터용 전자지갑에 지급한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200)는 구매자 또는 사용자의 청정 활동을 관리되는 서버로서, 구매자 또는 사용자의 청정활동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청정 활동데이터를 구매자 및 사용자의 청정활동 데이터용 전자지갑에 지급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관리서버(200)는 청정 활동 데이터를 구매자에게 지급한 정보를 블록체인 보유 서버들(100)에게 전파되도록 제어한다.
단계 S630에서, 구매자 또는 사용자 단말(310)은 청정 활동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청정활동 데이터를 구매자 또는 사용자의 청정활동 데이터용 전자지갑에 지급하도록 요청하는 거래요청 신호를 관리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40에서, 관리서버(200)는 청정 활동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지급한 정보를 블록체인 보유서버들(100)에게 전파되도록 제어한다.
단계 S650에서, 관리서버(200)는 구매자 또는 사용자의 청정 활동을 평가한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200)는 구매자 또는 사용자의 청정 활동을 저장하고, 구매자 및 사용자의 청정 활동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660에서, 관리서버(200)는 구매자 및 사용자의 가상화폐 전자지갑에 가상화폐를 지급한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 (200)는 구매자 및 사용자의 실적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에 따라 생성된 가상화폐를 지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서버(200)는 블록체인 보유서버들(100)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여 단계 S630의 거래요청 정보를 검증하고, 검증에 성공하는 경우 거래요청정보에 따라 청정활동 데이터를 폐기하거나 이전하고, 이에 따라 구매자 및 사용자의 실적을 평가한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청정 활동 데이터에는 유효기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유효기간 내로 청정 활동 데이터가 구매자 또는 사용자의 청정 활동 데이터용 전자지갑으로부터 이전되거나 폐기되지 않으면, 관리서버 (200)는 구매자 또는 사용자에게 지급된 공기 청정 활동 데이터를 자동으로 폐기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도 3는 일 실시 예에 블록체인을 이용한 청정 활동 가치 보상 방법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서버(400)은 외부 기상정보(410)로부터 청정 정보를 수집하고 구매자의 공기 청정기(420)의 동작으로 인한 주변 공기 청정 정보를 센서(421)를 통하여 수집하고 상기 외부 기상 정보(410)과 상기 공기 청정기(420)의 값으로부터 ???연산을 통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420)의 공기질 제어 정보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청정기(420)는 제어되게 된다.
또한, 공기 청정기 구매자(430)에게 공기 청정 정보 제공에 따른 청정 활동에 따른 가치를 보상하고 실시간의 공기 청정의 값을 제공한다.
또한, 서버(400)은 청정 커뮤니티(450)을 운영 및 관리하며 상기 청정 커뮤니티(450)에 서버(400)의 수집된 공기 청정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청정 커뮤니티(450)은 스마트 폰을 이용한 앱(APP) 또는 SNS(Social Netwok Service)등 다양한 형태의 툴(Tool)이 될수 있다.
또한, 서버(400)은 일반 사용자(440)에게 주변 공기 청정의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근간으로 상기 일반 사용자의 주변 위치의 편의 시설 이용 및 선택에 도움을 주게된다. 또한, 서버 (400)으로 상기 일반 사용자(440)의 공기 청정 정보 활용에 따른 보상을 받게된다.
또한, 청정기 구매자(430) 및 일반 사용자(440)는 서버(440)로부터 공기 청정 활동에 대한 보상 받은 가상화폐등을 거래소(460)를 이용하여 중개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일예시로서 제공된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블록체인을 이용한 청정 활동 가치 보상 방법의 흐름도(500)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청정기 구매자는 공기 청정 활동을 위해 공기 청정기를 구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공기 청정 활동을 수행하게 되는 1단계(510)를 수행하고 상기 공기 청정기를 통한 청정 정보 수집의 2단계(520)를 수행 하게 된다. 3단계(530)로는 수집된 청정 정보를 이용하여 일반 사용자를 위한 청정 지도등을 제공하고 블록체인으로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저장된 정보를 통하여 청정 활동을 평가 또는 일반 수요자에게 청정 정보를 제공하는 4단계(550)를 수행하게 되고 청정기 구매자 및 일반 수요자에게 공기 청정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 가상화폐를 지급하게 5단계(560)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100: 블록체인 보유 서버 200: 관리 서버
300: 구매자 또는 사용자 단말 400: 서버
410: 외부 기상 서버 420: 공기 청정기
421: 센서 430: 청정기 구매자
440: 일반 수요자 450: 청정 커뮤니티
460: 거래소 500: 흐름도

Claims (5)

  1. 청정 활동 데이터 및 가상 화폐의 거래정보를 인증 및 기록하는 블록체인이 탑재된 서버 및 공기 청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기 청정기의 구동에 따른 청정활동을 수행하여 상기 블록체인이 탑재된 서버에 상기 공기 청정활동을 기록하는 1단계;
    상기 공기 청정활동에 의해 공기 청정 정보 수집과 상기 공기 청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 따른 정보를 거래내역 기반으로 상기 블록체인이 탑재된 서버에 저장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에 따른 상기 블록체인이 탑재된 서버에 저장된 내용의 공기 청정 활동을 평가하고 공기 청정 정보를 공기 청정기 구매자 및 일반 사용자에게 상기 공기 청정 정보를 제공하는 4단계; 및
    상기 4단계에 상기 평가를 통한 보상으로 가상 화폐를 지급하는 5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청정 활동은 미세먼지, 공기의 질 또는 산소의 농도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기반으로 구성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값을 이용하여 공기 청정 지도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청정 활동 가치 보상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 지도는 앱(APP)을 통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청정 활동 가치 보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 정보 수집은 외부 기상서버에 의한 값 또는 공기 청정기의 주변 값중 어느하나의 값을 기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청정 활동 가치 보상 방법.
KR1020190089921A 2019-07-22 2019-07-22 블록체인을 이용한 청정 활동 가치 보상 방법 KR102225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921A KR102225648B1 (ko) 2019-07-22 2019-07-22 블록체인을 이용한 청정 활동 가치 보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921A KR102225648B1 (ko) 2019-07-22 2019-07-22 블록체인을 이용한 청정 활동 가치 보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311A KR20210011311A (ko) 2021-02-01
KR102225648B1 true KR102225648B1 (ko) 2021-03-12

Family

ID=74571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921A KR102225648B1 (ko) 2019-07-22 2019-07-22 블록체인을 이용한 청정 활동 가치 보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6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665B1 (ko) * 2022-01-25 2022-11-25 네오에스티지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유저가 온실가스 감축 청정기의 사용에 의한 탄소감축 실적을 가상화폐와 탄소배출권으로 거래하기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750B1 (ko) * 2022-05-27 2023-11-15 카본엑스북(주)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량 적립 시스템
KR102523188B1 (ko) * 2022-09-07 2023-04-19 한국환경기계분석연구원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집진시설관리 모니터링 및 보상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092B1 (ko) * 2018-05-11 2019-05-13 김정우 실적증명 기반 가상화폐 지급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1460A (ko) 2015-10-07 2017-04-17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관리시스템, 관리서버 및 관리방법
KR20170140012A (ko) * 2016-06-10 2017-12-20 (주) 나인원 생활환경 공기질 통합 정보 안내 시스템
KR101980310B1 (ko) 2018-07-13 2019-05-20 김시온 물품 평가 및 암호화폐 거래 지원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092B1 (ko) * 2018-05-11 2019-05-13 김정우 실적증명 기반 가상화폐 지급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665B1 (ko) * 2022-01-25 2022-11-25 네오에스티지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유저가 온실가스 감축 청정기의 사용에 의한 탄소감축 실적을 가상화폐와 탄소배출권으로 거래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311A (ko) 202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648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청정 활동 가치 보상 방법
US10956878B2 (en) Minting and use of digital money
KR101570038B1 (ko) 같은 발급자 계좌의 다른 지불 장치의 상거래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매체
US20190287100A1 (en) Method for managing token based on heterogeneous blockchain networks, and token management server using the same
US8851366B2 (en) Money transfer service with authentication
US20130041810A1 (en) Payroll system to facilitate employee budget control and methods thereof
US20110238577A1 (en) Conditional balance management for non-issuer debit instruments
KR20210154618A (ko)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 배출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1898283B1 (ko) 가상화폐의 현금 호환 서버 및 시스템
US201202706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onymously servicing lottery players
CN108711090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无中心叫车协议方法及系统
JP2017021668A (ja) 動的決済処理システムおよび動的決済処理方法
CN110245814A (zh) 风险监管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LoPucki et al. Rise of the financial advisors: an empirical study of the division of professional fees in large bankruptcies
Hamilton Off‐board trading of NYSE‐listed stocks: The effects of deregulation and the national market system
KR20190123179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거래 방법
Yang Analysis and assessment of credit rating model in P2P lending: an instrument to solv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lenders and borrowers
KR102587936B1 (ko) 공용암호화를 이용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
KR100777605B1 (ko)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마일리지 포인트 운영 시스템 및그 방법
KR102646362B1 (ko) 탄소 저감 이벤트에 따른 탄소 배출권 기반의 증권형 토큰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2400707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warding for Carbon Dioxide Emission Reduction Based on Blockchain
KR20190123181A (ko)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이용한 비신용자의 신용정보 거래 방법
KR20230137553A (ko) 60일 후 결제 시스템
WO2004107234A1 (ja) バリュー還元システム及びバリュー還元方法
JP2005130931A (ja) 特殊景品処理システム、並びにそのような特殊景品処理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預託金管理装置、及び特殊景品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