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425B1 -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425B1
KR102225425B1 KR1020180020941A KR20180020941A KR102225425B1 KR 102225425 B1 KR102225425 B1 KR 102225425B1 KR 1020180020941 A KR1020180020941 A KR 1020180020941A KR 20180020941 A KR20180020941 A KR 20180020941A KR 102225425 B1 KR102225425 B1 KR 102225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wireless charging
substrate
suppor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7625A (ko
Inventor
임성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0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425B1/ko
Publication of KR20190017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085Cooling by ambient 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8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02J7/025
    • H04B5/003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 H01F2027/406Temperature sensor or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는 무선 통신 코일이 배치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하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충전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코일 모듈; 상기 무선 충전 코일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는 차폐재; 상기 차폐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고 전자부품을 구비한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부품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차폐부를 포함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WIRELESS CHARGER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COIL}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단말은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말의 배터리가 충전되려면, 외부의 충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장치와 배터리 간의 전기적 연결방식의 일 예로,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에 대응하는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여 해당 배터리의 단자를 통해 배터리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단자공급방식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단자공급방식은 물리적인 케이블(cable) 또는 전선의 사용이 동반된다. 따라서 단자공급방식의 장비들을 많이 취급하는 경우, 많은 케이블들이 상당한 작업 공간을 차지하고 정리가 곤란하며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 또한 단자공급방식은 단자들간의 서로 다른 전위차로 인한 순간방전현상, 이물질에 의한 소손 및 화재 발생, 자연방전, 배터리의 수명 및 성능 저하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최근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을 이용한 충전시스템(이하 "무선 충전 시스템"이라 칭함.)과 제어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시스템이 과거에는 일부 휴대용 단말에 기본 장착되지 않고 소비자가 별도 무선 충전 수신기 액세서리를 별도로 구매해야 했기에 무선 충전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낮았으나 무선 충전 사용자가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단말 제조사에서도 무선충전 기능을 기본 탑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와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로 구성된다.
또한, 휴대용 단말은 이동 통신 및 정보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화상 통화뿐만 아니라, 컨텐츠 서비스와 같은 다양 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은 전술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NFC 기술은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서,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 있는 단말기들 사이에서 쌍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아울러, 최근의 휴대용 단말은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NFC 기능을 무선 통신 코일에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진 무선 충전 코일을 동시에 제공하는 형태로 무선충전장치의 설계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과 무선 충전이 가능한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화된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 효과가 우수한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확산을 효율적으로 하는 복수의 브라켓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EMI 차단이 우수한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EMI로부터 전자부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한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이 간소화된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이 작은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무선 통신 코일이 배치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하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충전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코일 모듈; 상기 무선 충전 코일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는 차폐재; 상기 차폐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고 전자부품을 구비한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부품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차폐부를 포함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제2 브라켓의 차폐부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2 브라켓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2 브라켓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은 일단에서 상측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제1 브라켓은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하나 이상의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홀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고정부는 지지돌출부 및 고리부를 포함하고, 지지돌출부는 제1 브라켓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기판을 이격시키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지지돌출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의 연장부는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고, 상기 고리부의 차폐부는 상기 제2 기판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고리부의 차폐부는 상기 제2 기판의 전자부품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브라켓의 제1 지지부는 제1 및 제2 접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의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브라켓의 제2 지지부는 제3 및 제4 접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제1 접지부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제1 지지부의 일측과 상기 제2 브라켓의 제1 지지부의 일측이 제1 체결부재에 의해 접지되고, 상기 제2 접지부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제1 지지부의 타측과 상기 제2 브라켓의 제1 지지부의 타측이 제2 체결부재에 의해 접지되고, 상기 제3 접지부는 상기 제1 바라켓의 제2 지지부의 일측과 상기 제2 브라켓의 제2 지지부의 일측이 제3 체결부재에 의해 접지되고, 상기 제4 접지부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제2 지지부의 타측과 상기 제2 브라켓의 제2 지지부의 타측이 제2 체결부재에 의해 접지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제2 브라켓을 수납하는 바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하나 이상의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커버는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나 이상의 받침부 각각을 지지하고 접지하는 하나 이상의 내측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는, 무선 통신 코일이 배치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하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충전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코일 모듈; 상기 무선 충전 코일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는 차폐재; 상기 차폐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고 전자부품을 구비한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2 기판의 하나 이상의 고정홀에 각각 대응하여 삽입되며 지지돌출부 및 고리부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고정부는 지지돌출부 및 고리부를 포함하고, 지지돌출부는 제1 브라켓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기판을 이격시키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지지돌출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의 연장부는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고, 상기 고리부의 차폐부는 상기 제2 기판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고리부의 차폐부는 상기 제2 기판의 전자부품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무선 통신 코일이 배치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하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충전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코일 모듈; 상기 무선 충전 코일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는 차폐재; 상기 차폐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고 전자부품을 구비한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의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브라켓의 제1 지지부는 제1 및 제2 접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의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브라켓의 제2 지지부는 제3 및 제4 접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제1 접지부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제1 지지부의 일측과 상기 제2 브라켓의 제1 지지부의 일측이 제1 체결부재에 의해 접지되고, 상기 제2 접지부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제1 지지부의 타측과 상기 제2 브라켓의 제1 지지부의 타측이 제2 체결부재에 의해 접지되고, 상기 제3 접지부는 상기 제1 바라켓의 제2 지지부의 일측과 상기 제2 브라켓의 제2 지지부의 일측이 제3 체결부재에 의해 접지되고, 상기 제4 접지부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제2 지지부의 타측과 상기 제2 브라켓의 제2 지지부의 타측이 제2 체결부재에 의해 접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화된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 효과가 우수한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확산을 효율적으로 하는 복수의 브라켓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EMI 차단이 우수한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EMI로부터 전자부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한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이 간소화된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이 작은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와 연동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의 제1 측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의 제2 측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의 제3 측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 "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 "전(앞) 또는 후(뒤) "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상에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장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송신기, 송신단, 송신기, 송신 장치, 송신측,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무선 전력 전송기, 무선충전장치 등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에 대한 표현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기, 수신 단말기, 수신측, 수신 장치, 수신기 단말 등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패드 형태, 거치대 형태, AP(Access Point) 형태, 소형 기지국 형태, 스텐드 형태, 천장 매립 형태, 벽걸이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송신기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통상적으로 책상이나 탁자 위 등에서 놓여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용으로도 개발되어 적용되어 차량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및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player, 전동 칫솔, 전자 태그, 조명 장치, 리모콘, 낚시찌 등의 소형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하며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이 장착되어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 기기(이하, "디바이스"라 칭함.)라면 족하고, 단말 또는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차량, 무인 항공기, 에어 드론 등에도 탑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이 구비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동시에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상기 전자기 유도 방식, 전자기 공진 방식, RF 무선 전력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전자기 유도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은 무선 충전 기술 표준 기구인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및 Air Fuel Alliance(구 PMA, Power Matters Alliance)에서 정의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 공진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은 무선 충전 기술 표준 기구인 Air Fuel Alliance(구 A4WP, Alliance for Wireless Power) 표준 기구에서 정의된 공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와 무선 전력 수신기는 인밴드 통신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인밴드 통신, BLE 통신은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식, 주파수 변조 방식, 위상 변조 방식, 진폭 변조 방식, 진폭 및 위상 변조 방식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수신기는 수신 코일을 통해 유도된 전류를 소정 패턴으로 ON/OFF 스위칭하여 궤환 신호(feedback signal)를 생성함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기에 각종 제어 신호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는 수신 전력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는 수신 전력 세기 정보에 기반하여 충전 효율 또는 전력 전송 효율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시스템은 크게 무선으로 전력을 송출하는 무선 전력 송신단(10), 상기 송출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단(20) 및 수신된 전력을 공급 받는 전자기기(30)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단(10)과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작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인밴드(In-ban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무선 전력 송신단(10)과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작 주파수와 상이한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대역외(Out-of-band)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단(10)과 무선 전력 수신단(20) 사이에 교환되는 정보는 서로의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제어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단 사이에 교환되는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는 후술할 실시예들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 인밴드 통신 및 대역외 통신은 양방향 통신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방향 통신 또는 반이중 방식의 통신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단방향 통신은 무선 전력 수신단(20)이 무선 전력 송신단(10)으로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전력 송신단(10)이 무선 전력 수신단(20)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도 있다.
반이중 통신 방식은 무선 전력 수신단(20)과 무선 전력 송신단(1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은 가능하나, 어느 한 시점에 어느 하나의 장치에 의해서만 정보 전송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전자 기기(30)의 각종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전자 기기(30)의 상태 정보는 현재 전력 사용량 정보, 실행중인 응용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CPU 사용량 정보,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 배터리 출력 전압/전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자 기기(30)로부터 획득 가능하고, 무선 전력 제어에 활용 가능한 정보이면 족하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크게, 전력 변환부(210), 전력 전송부(220), 무선 충전 통신부(230), 제어부(240), 전류센서(250), 온도 센서(260), 저장부(270), 팬(280), 타이머(290), 근거리 통신부(201), 무선 통신 코일(20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구성은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100)는 공급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원부(100)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에 내장된 배터리에 해당할 수 있고 외부 전원일 수도 있다. 실시예는 전원부(100)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력 변환부(210)는 전원부(1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이를 소정 세기의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변환부(210)는 DC/DC 변환부(211), 증폭기(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C/DC 변환부(211)는 전원부(100)로부터 공급된 DC 전력을 제어부(2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 세기의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증폭기(212)는 DC/DC 변환된 전력의 세기를 제어부(2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40)는 무선 충전 통신부(230)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 수신 상태 정보 또는(및) 전력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전력 수신 상태 정보 또는(및) 전력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증폭기(212)의 증폭률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 수신 상태 정보는 정류기 출력 전압의 세기 정보, 수신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력 제어 신호는 전력 증가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 전력 감소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류센서(250)는 구동부(221)에 입력되는 입력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전류센서(250)는 측정된 입력 전류 값을 제어부(24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40)는 전류센서(250)에 의해 측정된 입력 전류 값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전원부(100)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증폭기(212)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온도센서(260)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제어부(24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온도센서(260)는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는 전력 전송부(220)의 송신 코일(223)에 대응하여 배치하여 송신 코일(223)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40)는 온도센서(260)에 의해 측정된 온도 값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전원부(100)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증폭기(212)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변환부(210)의 일측에는 전원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증폭기(212)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소정 전력 차단 회로가 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40)는 온도센서(260)에 의해 측정된 온도 값에 기반하여 전력 전송부(220)에 제공되는 전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과열로 인해 내부 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력 전송부(220)는 전력 변환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전력 전송부(220)는 구동부(221), 선택부(222) 및 하나 이상의 송신 코일(223)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21)는 전력 변환부(210)로부터 출력되는 DC 전력 신호에 특정 주파수를 갖는 교류(AC) 성분이 삽입된 AC 전력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 코일(22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송신 코일(223)에 포함된 복수의 송신 코일에 전달되는 AC 전력 신호의 주파수는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선택부(222)는 특정 주파수를 갖는 AC 전력 신호를 구동부(221)로부터 받아서 복수의 송신 코일 중에서 선택된 송신 코일로 AC 전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코일 선택부(222)는 제어부(240)의 소정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부(240)에 의해 선택된 송신 코일로 AC 전력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택부(222)는 복수의 송신 코일(223)에 대응하여 LC 공진회로를 연결하는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선택부(222)는 송신 코일(223)이 하나의 송신 코일로 구성될 경우 전력 전송부(220)에서 제외될 수 있다.
송신 코일(223)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부(222)로부터 수신된 AC 전력 신호를 해당 송신 코일을 통해 수신기로 송출할 수 있다. 송신 코일이 복수인 경우, 송신 코일(223)은 제1 내지 제n 송신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송신 코일 중에서 '해당하는 송신 코일'을 선택하기 위해, 선택부(222)는 도 4와 같이 스위치로 구현되거나 멀리플렉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송신 코일(223)은 LC 공진회로를 구현하기 위하여 복수의 송신 코일과 직렬로 연결되는 하나의 커패시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패시터(미도시)는 일단이 송신 코일(223)과 연결되고 타단이 구동부(221)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해당하는 송신 코일'이란, 무선으로 전력을 받을 수 있도록 자격이 부여된 무선 전력 수신기의 수신 코일과 전자기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상태를 갖는 송신 코일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어부(240)는 송신 코일 별 전송한 디지털 핑 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된 시그널 세기 지시자(Signal Strength Indicator)에 기반하여 구비된 복수의 송신 코일 중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할 송신 코일을 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제1 내지 제n 송신 코일(223)을 통해 감지 신호가 순차적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선택부(222) 또는 다중화기(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감지 신호가 전송될 시점을 타이머(290)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으며, 감지 신호 전송 시점이 도래하면, 선택부(222) 또는 다중화기(미도시)를 제어하여 해당 송신 코일을 통해 감지 신호가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타이머(290)는 핑 전송 단계 동안 소정 주기로 특정 이벤트 신호를 제어부(240)에 송출할 수 있으며, 제어부(240)는 해당 이벤트 신호가 감지되면, 선택부(222) 또는 다중화기(미도시)를 제어하여 해당 송신 코일을 통해 디지털 핑이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변조부(231)는 제어부(240)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를 변조하여 구동부(221)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 방식은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 방식, 맨체스터 코딩(Manchester Coding) 변조 방식, PSK(Phase Shift Keying) 변조 방식,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식, 차등 2단계(Differential bi-phase) 변조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복조부(232)는 송신 코일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2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복조된 신호에는 신호 세기 지시자, 무선 전력 전송 중 전력 제어를 위한 오류 정정(EC: Error Correction) 지시자, 충전 완료(EOC: End Of Charge) 지시자, 과전압/과전류/과열 지시자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각종 상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조부(232)는 복조된 신호가 어느 송신 코일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를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송신 코일에 상응하는 소정 송신 코일 식별자를 제어부(24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인밴드(In-Band) 통신을 통해 상기 신호 세기 지시자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송신 코일(223)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송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신 코일(223)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와 각종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송신 코일(223)-즉, 제1 내지 제n 송신 코일)에 각각 대응되는 별도의 코일을 추가로 구비하고, 구비된 별도의 코일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와 인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저장부(270)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충전 상태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입력 전류 값, 충전 전력 세기, 충전 중단 여부, 충전 재시작을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온도, 충전 재시작을 위한 충전 중단 후 시간, 팬 동작 여부, 팬 RPM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팬(280)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과열된 무선 전력 송신기(200)를 냉각 시킬 수 있다. 팬(280)은 과열 정도가 심한 구성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280)은 전력 전송부(220)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팬(280)은 전력 전송부(220)의 송신 코일(223)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 팬(280)을 동작 시킬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201)는 무선 전력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근거리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양방향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일 수 있다. NFC는 전파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기술 중의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통신 기술이다.
무선 통신 코일(280)은 무선 전력 수신기와 근거리 양방향 통신할 경우 이용하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와 연동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300)는 무선 충전 코일 모듈(310), 정류기(320),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 330), 부하(340), 센싱부(350), 무선 충전 통신부(360), 주제어부(370), 근거리 통신부(380), 무선 통신 코일(3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통신부(360)는 복조부(361) 및 변조부(36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300)는 근거리 통신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380)는 무선 전력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근거리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양방향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일 수 있다. NFC는 전파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기술 중의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통신 기술이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300)는 무선 전력 송신기와 근거리 양방향 통신할 경우 이용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코일(29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코일 모듈(310)을 통해 수신되는 AC 전력은 정류부(320)에 전달할 수 있다. 정류기(320)는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여 직류/직류 변환기(330)에 전송할 수 있다. 직류/직류 변환기(330)는 정류기 출력 DC 전력의 세기를 부하(340)에 의해 요구되는 특정 세기로 변환한 후 부하(34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코일 모듈(310)은 복수의 수신 코일(미도시)-즉, 제1 내지 제n 수신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수신 코일(미도시)에 전달되는 AC 전력의 주파수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고, 다른 일 실시예는 LC 공진 특성을 수신 코일마다 상이하게 조절하는 기능이 구비된 소정 주파수 제어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수신 코일 별 공진주파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센싱부(350)는 정류기(320) 출력 DC 전력의 세기를 측정하고, 이를 주제어부(37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350)는 무선 전력 수신에 따라 수신 코일(31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주제어부(37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주제어부(370)는 측정된 정류기 출력 DC 전력의 세기가 소정 기준치와 비교하여 과전압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과전압이 발생된 경우, 과전압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소정 패킷을 생성하여 변조부(362)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362)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수신 코일(310) 또는 별도의 코일(미도시)을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주제어부(370)는 정류기 출력 DC 전력의 세기가 소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감지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감지 신호 수신 시, 해당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신호 세기 지시자가 변조부(362)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복조부(361)는 수신 코일(310)과 정류기(320) 사이의 AC 전력 신호 또는 정류기(320) 출력 DC 전력 신호를 복조하여 감지 신호의 수신 여부를 식별한 후 식별 결과를 주제어부(37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주제어부(370)는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신호 세기 지시자가 변조부(362)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350)는 무선 전력 수신기(3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값을 주제어부(37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싱부(350)는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는 충전 코일 모듈(310)의 수신 코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주제어부(370)는 측정된 내부 온도가 소정의 기준치와 비교하여 과열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과열이 발생된 경우, 과열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소정 패킷을 생성하여 변조부(362)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362)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수신 코일(310) 또는 별도의 코일(미도시)을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의 제1 측면도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의 제2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제1 기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400)은 무선 충전 코일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400)은 리지드할 수 있다. 리지드한 제1 기판(400)은 상면에 배치되는 무선 통신 코일(500)을 지지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코일(500)은 제1 기판(400)에 패턴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400)은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지지부(410)와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지지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400)의 제1 지지부(410)는 제1 브라켓(800)의 제1 지지부(810)의 제1 면(810a)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기판(400)의 제2 지지부(410)는 제1 브라켓(800)의 제2 지지부(820)의 제2 면(820a)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400)의 제1 지지부(410)는 제1 브라켓(800)의 제1 지지부(8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기판(400)의 제2 지지부(420)는 제1 브라켓(800)의 제2 지지부(820)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기판(400)의 제1 지지부(410)는 제1 홀 내지 제2 홀(h1 내지 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800)의 제1 지지부(810)의 제1 면(810a)은 제5 홀(h5)과 제1 고정홈(8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1 기판(400)의 제1 지지부(410)는 제1-1 체결부재(1311)가 제1 홀(h2) 및 제5 홀(h5)에 삽입되어 제1 브라켓(800)의 제1 지지부(810)의 제1 면(810a)과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400)의 제1 지지부(410)는 제1 홀(h1)에 제1 고정홈(811)이 삽입되어 제1 브라켓(800)의 제1 지지부(810)의 제1 면(810a)과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기판(400)의 제2 지지부(420)는 제3 홀 내지 제4 홀(h3 내지 h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800)의 제2 지지부(820)의 제1 면(820a)은 제9 홀(h9)과 제2 고정홈(8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1 기판(400)의 제2 지지부(420)는 제1-2 체결부재(1312)가 제3 홀(h3) 및 제9 홀(h9)에 삽입되어 제1 브라켓(800)의 제2 지지부의 제1 면(820a)과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400)의 제2 지지부(420)는 제4 홀(h4)에 제2 고정홈(821)이 삽입되어 제1 브라켓(800)의 제2 지지부(820)의 제1 면(820a)과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400)은 하면에 단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미도시)는 하나 이상의 연결 패턴, 하나 이상의 외측 패드, 하나 이상의 비아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400)은 제1 커넥터(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430)는 제1 기판(4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커넥터(430)는 제1 기판(400)의 제1 지지부(410)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430)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핀(P)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400) 상면에 배치된 무선 통신 코일(500)은 하나 이상의 비아홀, 하나 이상의 연결 패턴, 하나 이상의 외측 패드를 통하여 제1 커넥터(430)의 하나 이상의 제1 연결핀(P)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넥터(430)은 핀서포트(PS)를 포함할 수 있다. 핀서포트(PS)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핀(P)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핀서포트(PS)는 제1 기판(400)의 제1 지지부(410) 하측에 고정되고, 하나 이상의 제1 연결핀(P)이 핀서포트(PS)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400)의 면적은 상부에 배치되는 무선 통신 코일(500), 하부에 배치되는 무선 충전 코일 모듈(610 내지 630), 차폐재(700)의 면적 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무선 통신 코일(50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코일(500)은 기판(4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코일(500)은 배치된 무선 통신 코일 패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코일(500)은 기판(400)의 상면에 배치되는 무선 통신 코일 패턴과 기판(400)의 하면에 배치되는 무선 통신 코일 연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코일 패턴과 무선 통신 코일 연결 패턴이 하나로 연결되어 무선 통신 코일(500)이 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코일(500)은 무선 통신 코일 패턴과 무선 통신 코일 연결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단에서 타단까지 1회 이상 턴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무선 충전 코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코일 모듈은 제1 기판(4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코일 모듈은 하나 이상의 무선 충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무선 충전 코일은 무선 전력 송신기의 하나 이상의 송신 코일이거나 무선 전력 수신기의 하나 이상의 수신 코일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코일이 복수일 경우, 각각의 무선 충전 코일은 동일한 턴 수로 감겨있을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다른 턴 수로 감겨 있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무선 충전 코일은 동일한 인덕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다른 인덕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무선 충전 코일은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무선 충전 코일은 제1 무선 충전 코일 내지 제3 무선 충전 코일(610 내지 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선 충전 코일(620)과 제3 무선 충전 코일(630)은 동일한 층에 배치된 제1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무선 충전 코일(610)은 제2 무선 충전 코일(620)과 제3 무선 충전 코일(6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무선 충전 코일을 서로 다른 층에 배치하여 무선 전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충전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차폐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재(700)는 무선 충전 코일 모듈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코일이 복수일 경우, 차폐재(700)는 제2 무선 충전 코일(620)과 제3 무선 충전 코일(63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재(700)의 상면과 제2 무선 충전 코일(620)과 제3 무선 충전 코일(630)의 하면 사이에는 접착제 또는 접착부재(미도시)가 배치되어 차폐재(미도시)와 제2 및 제3 무선 충전 코일(620, 630)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차폐재(700)는 제1 브라켓(8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재(700)는 상부에 배치된 무선 충전 코일 모듈에서 발생된 무선 전력을 충전 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고, 하부에 배치되는 각종 회로들을 전자기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제1 브라켓(8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800)은 차폐재(700)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800)은 도전성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800)은 열전도도가 우수한 재질일 수 있다. 이에, 제1 브라켓(800)은 무선 충전 코일 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브라켓(800)은 일측에 제1 지지부(810)를 포함하고, 타측에 제2 지지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800)의 제1 지지부(810)는 제1 면 내지 제6 면(810a 내지 810f)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810)의 제6 면(810f)은 제1 브라켓(800)의 일측에서 상측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지지부(810)의 제1 면(810a)은 제1 지지부(810)의 제6 면(810f)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지지부(810)의 제1 면(810a)은 제5 홀(h5), 제1 고정홈(811) 및 제1 커넥터홀(8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홀(812)은 제1 기판(400)의 제1 커넥터(430)의 제1 연결핀(P)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810)의 제1 면(810a)은 제1-1 체결부재(1311)가 제5 홀(h5)을 관통하여 제1 기판(400)의 제1 지지부(410)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810)의 제1 면(810a)는 제1 고정홈(811)이 제1 기판(400)의 제1 지지부(410)의 제1 홀(h1)에 삽입되어 1 기판(400)의 제1 지지부(410)와 고정될 수 있다. 제1 지지부(810)의 제2 면(810b)는 제1 면(810a)의 일측에서 하측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지지부(810)의 제3 면(810c)는 제1 지지부(810)의 제2 면(810b)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지지부(810)의 제3 면(810c)은 제6 홀(h6)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홀(h6)은 제1 브라켓(800), 제3 기판(1000), 제2 브라켓(1100)을 고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6 홀(h6)은 제1 브라켓(800)을 제2 브라켓(1100)과 접지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1 지지부(810)의 제3 면(810c)은 제6 홀(h6), 제3 기판(1000)의 제12 홀(h12) 및 제2 브라켓(1100)의 제18 홀(h18)을 제2-1 체결부재(1321)가 관통하여 제3 기판(1000)과 제2 브라켓(1100)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810)의 제3 면(810c)은 제2-1 체결부재(1321)를 통해 제2 브라켓(1100)과 접지될 수 있다. 즉, 제2-1 체결부재(1321)에 의해 제1 브라켓(800)과 제2 브라켓(1100)이 접지되는 제1 접지부(a)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에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제1 접지부(a)를 통하여 제1 브라켓(800)이 무선 충전 코일 모듈에서 흡수한 열을 제2 브라켓(1100)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브라켓(800)은 제1 지지부(810)의 제4 면(810d)은 제1 면(810a)의 타측에서 하측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지지부(810)의 제5 면(810e)는 제1 지지부(810)의 제4 면(810d)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지지부(810)의 제5 면(810e)은 제7 홀(h7) 또는 제8 홀(h8)을 포함할 수 있다. 제8 홀(h8)은 제1 브라켓(800), 제3 기판(1000), 제2 브라켓(1100)을 고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8 홀(h8)은 제1 브라켓(800)을 제2 브라켓(1100)과 접지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1 지지부(810)의 제5 면(810e)은 제8 홀(h8), 제3 기판(1000)의 제14 홀(h14) 및 제2 브라켓(1100)의 제20 홀(h20)을 제2-2 체결부재(1322)가 관통하여 제3 기판(1000)과 제2 브라켓(1100)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810)의 제5 면(810e)은 제2-2 체결부재(1322)를 통해 제2 브라켓(1100)과 접지될 수 있다. 즉, 제2-2 체결부재(3122)에 의해 제1 브라켓(800)과 제2 브라켓(1100)이 접지되는 제2 접지부(b)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에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제2 접지부(b)를 통하여 제1 브라켓(800)이 무선 충전 코일 모듈에서 흡수한 열을 제2 브라켓(1100)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브라켓(800)의 제2 지지부(820)는 제1 면 내지 제6 면(820a 내지 820f)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820)의 제6 면(820f)은 제1 브라켓(800)의 타측에서 상측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 지지부(820)의 제1 면(820a)은 제2 지지부(820)의 제6 면(820f)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 지지부(820)의 제1 면(820a)은 제9 홀(h9), 제2 고정홈(821) 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820)의 제1 면(820a)은 제1-2 체결부재(1312)가 제9 홀(h9)을 관통하여 제1 기판(400)의 제2 지지부(420)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820)의 제1 면(820a)는 제2 고정홈(821)이 제1 기판(400)의 제2 지지부(420)의 제4 홀(h4)에 삽입되어 제1 기판(400)의 제2 지지부(420)와 고정될 수 있다. 제2 지지부(820)의 제2 면(820b)는 제1 면(820a)의 일측에서 하측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 지지부(820)의 제3 면(820c)는 제2 지지부(820)의 제2 면(820b)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 지지부(820)의 제3 면(820c)은 제10 홀(h10) 및 제11 홀(h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0 홀(h10)은 제1 브라켓(800), 제3 기판(1000), 제2 브라켓(1100)을 고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10 홀(h10)은 제1 브라켓(800)을 제2 브라켓(1100)과 접지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2 지지부(820)의 제3 면(820c)은 제10 홀(h10), 제3 기판(1000)의 제16 홀(h16) 및 제2 브라켓(1100)의 제22 홀(h22)을 제2-3 체결부재(1323)가 관통하여 제3 기판(1000)과 제2 브라켓(1100)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820)의 제3 면(820c)은 제2-3 체결부재(1323)를 통해 제2 브라켓(1100)과 접지될 수 있다. 즉, 제2-3 체결부재(1323)에 의해 제1 브라켓(800)과 제2 브라켓(1100)이 접지되는 제3 접지부(c)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에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제3 접지부(c)를 통하여 제1 브라켓(800)이 무선 충전 코일 모듈에서 흡수한 열을 제2 브라켓(1100)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지지부(820)의 제4 면(820d)은 제1 면(820a)의 타측에서 하측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 지지부(820)의 제5 면(820e)는 제2 지지부(820)의 제4 면(820d)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 지지부(820)의 제5 면(820e)은 제12 홀(h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홀(h12)은 제1 브라켓(800), 제3 기판(1000), 제2 브라켓(1100)을 고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12 홀(h12)은 제1 브라켓(800)을 제2 브라켓(1100)과 접지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2 지지부(820)의 제5 면(810e)은 제12 홀(h12), 제3 기판(1000)의 제18 홀(h18) 및 제2 브라켓(1100)의 제24 홀(h24)을 제2-4 체결부재(1324)가 관통하여 제3 기판(1000)과 제2 브라켓(1100)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820)의 제5 면(820e)은 제2-4 체결부재(1324)를 통해 제2 브라켓(1100)과 접지될 수 있다. 즉, 제2-4 체결부재(1324)에 의해 제1 브라켓(800)과 제2 브라켓(1100)이 접지되는 제4 접지부(d)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에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제4 접지부(d)를 통하여 제1 브라켓(800)이 무선 충전 코일 모듈에서 흡수한 열을 제2 브라켓(1100)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800)은 일측과 타측 사이에 제2 커넥터부(86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넥터부(860)에는 제2 커넥터(9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넥터부(860)는 제2 커넥터(900)의 제2 기판(910)과 대응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넥터부(860)는 제2 커넥터(900)를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800)은 복수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는 제1 브라켓(800)과 제3 기판(10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부는 제3 기판(1000)에서 발생하는 EMI를 차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고정부는 제1 내지 제3 고정부(830 내지 8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고정부(830 내지 850)은 제3 기판(1000)의 구성에서 EMI가 발생하는 전자 부품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무선충전장치는 내부에서 발생된 EMI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고정부(830)는 제1 브라켓(800)의 제1 지지부(810)의 일측과 제2 지지부(820)의 일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830)는 지지돌출부(831)와 고리부(8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830)의 지지돌출부(831)는 제1 브라켓(800)의 하측으로 절곡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1 고정부(830)의 지지돌출부(831)는 제3 기판(1000)과 제1 브라켓(800)이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지지돌출부(831)의 높이는 0.3mm이상일 수 있다. 이에, 제3 기판(1000)의 상면에 배치된 전자부품을 배치할 수 있다. 제1 고정부(830)의 고리부(832)는 제3 기판(1000)의 제1 고정홀(1020)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제3 기판(1000)의 하면에 EMI를 차폐할 수 있는 차폐부(832b)를 배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830)의 고리부(832)는 연장부(832a)와 차폐부(832b)를 포함한다. 연장부(832a)는 제1 고정부(830)의 지지돌출부(83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차폐부(832b)는 연장부(832a)의 일측에서 제1 지지부(810)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고정부(840)는 제1 브라켓(800)의 제1 지지부(810)의 타측에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부(840)는 지지돌출부(841)와 고리부(8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840)의 지지돌출부(841)는 제1 브라켓(800)의 하측으로 절곡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2 고정부(840)의 지지돌출부(841)는 제3 기판(1000)과 제1 브라켓(800)이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제3 기판(1000)의 상면에 배치된 전자부품을 배치할 수 있다. 제2 고정부(840)의 고리부(842)는 제3 기판(1000)의 제2 고정홀(1030)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제3 기판(1000)의 하면에 EMI를 차폐할 수 있는 차폐부(842b)를 배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840)의 고리부(842)는 연장부(미도시)와 차폐부(842b)를 포함한다. 연장부(미도시)는 제2 고정부(840)의 지지돌출부(84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차폐부(842b)는 연장부(미도시)의 일측에서 제1 지지부(810)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고정부(850)는 제1 브라켓(800)의 제2 지지부(820)의 타측에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3 고정부(850)는 지지돌출부(851)와 고리부(8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고정부(850)의 지지돌출부(851)는 제1 브라켓(800)의 하측으로 절곡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3 고정부(850)의 지지돌출부(851)는 제3 기판(1000)과 제1 브라켓(800)이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제3 기판(1000)의 상면에 배치된 전자부품을 배치할 수 있다. 제3 고정부(850)의 고리부(852)는 제3 기판(1000)의 제3 고정홀(1040)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제3 기판(1000)의 하면에 EMI를 차폐할 수 있는 차폐부(852b)를 배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고정부(850)의 고리부(852)는 연장부(미도시)와 차폐부(852b)를 포함한다. 연장부(미도시)는 제3 고정부(850)의 지지돌출부(85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차폐부(852b)는 연장부(미도시)의 일측에서 제2 지지부(820)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제2 커넥터(9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900)는 제2 기판(910)과 제2 연결핀(9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920)은 차폐재(700) 하단에 배치되고, 제1 브라켓(800)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910)은 리지드할 수 있다. 리지드한 기판(910)은 제2 연결핀(920)을 외부장치와 연결할 때 제2 연결핀(920)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연결핀(920)은 복수일 수 있다. 제2 연결핀(920)은 각각이 제2 기판(910)을 통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핀(920)은 무선 충전 코일 모듈의 무선 충전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핀(920)은 온도 센서(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제3 기판(10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판(1000)은 제2 브라켓(1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1000)은 상면 및 하면에 무선 충전 또는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전자부품(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기판(1000)은 리지드할 수 있다. 리지드한 제3 기판(1000)은 제2 브라켓(1100)의 제1 지지부(1110)의 제3 면(1110c) 및 제5 면(1110e)와 제2 지지부(1120)의 제3 면(1120c) 및 제5 면(1120e)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3 기판(1000)은 제2 브라켓(1100)의 제1 지지부(1110)의 제3 면(1110c) 및 제5 면(1110e)와 제2 지지부(1120)의 제3 면(1120c) 및 제5 면(1120e)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기판(1000)은 제13 홀 내지 제18 홀(h13 내지 h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판(1000)은 제13 홀(h13)에 제2-1 체결부재(1321)가 삽입되고 제15 홀(h15)에 제2-2 체결부재(1322)가 삽입되고 제16 홀(h16)에 제2-3 체결부재(1323)가 삽입되고 제18 홀(h18)에 제2-4 체결부재(1324)가 삽입되어 제1 브라켓(800) 및 제2 브라켓(1100)과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3 기판(1000)은 제1 고정홀 내지 제3 고정홀(1020 내지 10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홀 내지 제3 고정홀(1020 내지 1040)은 각각 제1 고정부 내지 제3 고정부(830 내지 85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3 기판(1000)은 하나 이상의 제1 연결핀홀(PH)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핀홀(PH)은 제1 커넥터(430)의 제1 연결핀(P)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연결핀홀(PH)은 하나 이상의 제1 연결핀(P) 각각이 대응하여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제2 브라켓(1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라켓(1100)은 도전성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제2 브라켓(1000)은 열전도도가 우수한 재질일 수 있다. 제2 브라켓(1100)은 바닥면(1100a), 바닥면(1100a)의 일측에 제1 지지부(1110)를 포함하고, 바닥면(1100a)의 타측에 제2 지지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라켓(1100)의 제1 지지부(1110)은 제1 면 내지 제6 면(1110a 내지 1110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110)의 제1 면(1110a)은 제2 브라켓(1100)의 바닥면(1100a)의 일측일 수 있다. 제1 지지부(1110)의 제2 면(1110b)은 제1 지지부(1110)의 제1 면(1110a)의 일측에서 상측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110)의 제3 면(1110c)은 제1 지지부(1110)의 제2 면(1110b)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110)의 제3 면(1110c)은 제19 홀(h1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110)의 제3 면(1110c)은 제2-1 체결부재(1321)가 제 19홀(h19)을 관통하여 제3 기판(1000) 및 제1 브라켓(800)의 제1 지지부(810)의 제3 면(810c)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1110)의 제3 면(1110c)은 제2-1 체결부재(1321)를 통해 제1 브라켓(800)의 제1 지지부(810)의 제3 면(810c)과 접지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110)의 제4 면(1110d)은 제1 지지부(1110)의 제1 면(1110a)의 타측에서 상측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110)의 제5 면(1110e)은 제1 지지부(1110)의 제4 면(1110d)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110)의 제5 면(1110e)은 제20 홀 및 제21 홀(h20 내지 h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110)의 제5 면(1110e)은 제2-2 체결부재(1322)가 제 21홀(h21)을 관통하여 제3 기판(1000) 및 제1 브라켓(800)의 제1 지지부(810)의 제5 면(810e)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1110)의 제5 면(1110e)은 제2-2 체결부재(1322)를 통해 제1 브라켓(800)의 제1 지지부(810)의 제5 면(810e)과 접지될 수 있다. 이에,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제2 브라켓(1100)이 제1 브라켓(80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제2 브라켓(1100)의 제2 지지부(1120)은 제1 면 내지 제6 면(1120a 내지 1120e)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120)의 제1 면(1120a)은 제2 브라켓(1100)의 바닥면(1100a)의 타측 일 수 있다. 제2 지지부(1120)의 제1 면(1120a)은 바닥면(1100a)의 내측으로 들어간 리세스 형상의 제5 받침부(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120)의 제2 면(1120b)은 제2 지지부(1120)의 제1 면(1120a)의 일측에서 상측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120)의 제3 면(1120c)은 제2 지지부(1120)의 제2 면(1120b)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120)의 제3 면(1120c)은 제22 홀(h22) 및 제23 홀(h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120)의 제3 면(1120c)은 제2-3 체결부재(1323)가 제22 홀(h22)을 관통하여 제3 기판(1000) 및 제1 브라켓(800)의 제2 지지부(820)의 제3 면(820c)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1120)의 제3 면(1120c)은 제2-3 체결부재(1323)를 통해 제1 브라켓(800)의 제2 지지부(820)의 제3 면(820c)과 접지될 수 있다. 이에,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제2 브라켓(1100)이 제1 브라켓(80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120)의 제4 면(1120d)은 제2 지지부(1120)의 제1 면(1120a)의 타측에서 상측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120)의 제5 면(1120e)은 제2 지지부(1120)의 제4 면(1120d)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120)의 제5 면(1120e)은 제24 홀(h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120)의 제5 면(1120e)은 제2-4 체결부재(1324)가 제24 홀(h24)을 관통하여 제3 기판(1000) 및 제1 브라켓(800)의 제2 지지부(820)의 제5 면(820e)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1120)의 제5 면(1120e)은 제2-4 체결부재(1324)를 통해 제1 브라켓(800)의 제2 지지부(820)의 제5 면(820e)과 접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브라켓(1100)은 제1 차폐부(1130)과 제2 차폐부(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폐부(1130)와 제2 차폐부(1140)는 제3 기판(1000)에 배치된 전자부품에서 발생되는 EMI를 외부로 방출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차폐부(1130)는 제1 면(1130a)과 제2 면(1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폐부(1130)의 제1 면(1130a)은 제1 지지부(1110)의 제1 면(1110a)의 일측과 제2 지지부(1120)의 제1 면(1120a)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는 바닥면일 수 있다. 제1 차폐부(1130)의 제1 면(1130a)는 제1 지지부(1110)의 제1 면(1110a)의 일측과 제2 지지부(1120)의 제1 면(1120a)의 타측 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폐부(1130)의 제2 면(1130b)은 제1 차폐부(1130)의 제1 면(1130a)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차폐부(1130)의 제2 면(1130b)은 제3 기판(1000)의 전자부품(미도시)에서 발생되는 EMI를 차폐할 수 있다. 제1 차폐부(1130)의 제2 면(1130b)의 높이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3 기판(1000)의 하측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차폐부(1130)의 제2 면(1130b)의 높이는 제3 기판(1000)의 배치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차폐부(1140)는 제1 면(1140a)과 제2 면(1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차폐부(1140)의 제1 면(1140a)은 제1 지지부(1110)의 제1 면(1110a)의 타측과 제2 지지부(1120)의 제1 면(1120a)의 타측 사이에 배치되는 바닥면일 수 있다. 제2 차폐부(1140)의 제1 면(1140a)는 제1 지지부(1110)의 제1 면(1110a)의 타측과 제2 지지부(1120)의 제1 면(1120a)의 타측 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차폐부(1140)의 제2 면(1140b)은 제2 차폐부(1140)의 제1 면(1140a)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 차폐부(1140)의 제2 면(1140b)은 제3 기판(1000)의 전자부품(미도시)에서 발생되는 EMI를 차폐할 수 있다. 제2 차폐부(1140)의 제2 면(1140b)의 높이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3 기판(1000)의 하측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차폐부(1140)의 제2 면(1140b)의 높이는 제3 기판(1000)의 배치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차폐부(1130)와 제2 차폐부(1140)의 폭은 제3 기판(1000)에 배치된 전자부품(미도시)에 대응하여 설정된 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제1 차폐부(1130)의 폭이 제2 차폐부(1140)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차폐부(1130)의 폭이 제2 차폐부(1140)의 폭과 같거나 보다 클 수 있다. 제2 브라켓(1100)은 받침부(1150)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150)은 바텀커버와 결합될 때 바텀커버와 접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받침부(1150)는 제1 내지 제5 받침부(1151 내지 1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받침부(1151)는 제1 차폐부(1130)의 일측과 제1 지지부(1110)의 일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받침부(1152)은 제1 지지부(1110)의 타측과 제2 차폐부(1140)의 일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받침부(1153)는 제1 차폐부(1130)의 타측과 제2 지지부(1120)의 일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받침부(1154)는 제2 지지부(1120)의 타측과 제2 차폐부(1140)의 타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바침부(1155)는 제2 지지부(1120)의 제1 면(1120a)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받침부(1151 내지 1154)는 바닥면(1110a)에서 제2 브라켓(1100)의 외측으로 돌출 또는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제5 받침부(1155)는 제2 브라켓(1100)의 내측으로 들어간 리세스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코일과 무선 충전 코일 모듈이 일체화 되어 소형화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는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고, 제조 비용이 작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는 무선 충전 코일 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확산시키며 방열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일 실시예는 복수의 EMI 차폐부를 이용하여 EMI 차단이 우수하며, EMI로부터 전자부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의 제3 측면도이다.
도 8과 도 9는 도 4 내지 도 7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에서 바텀커버(1200)를 제외한 구성을 동일하다. 이하 일 실시예에 다른 무선충전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제외하고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바텀커버(1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커버(1200)는 제2 브라켓(1100)을 수납할 수 있다. 이에, 바텀 커버(1200)는 제2 브라켓(1100)을 보호할 수 있다. 바텀 커버(1200)은 열 전도열이 높고 강도가 높고 부식에 강하고 무게가 가벼운 금속 재질 일 수 있다. 일 예로, 바텀 커버(1200)는 스틸 또는 합금 일 수 있다. 또한, 바텀 커버(1200)는 내측 지지부(121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지지부(1210)는 제2 브라켓(1100)과 접촉하여 제2 브라켓(11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지지부(1210)는 제2 브라켓(1100)의 열을 전달 받아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측 지지부(1210)는 제1 내지 제5 내측 지지부(1211 내지 1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 지지부(1211)는 제2 브라켓(1100)의 제1 받침부(1151)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측 지지부(1211)는 바텀 커버(1200)의 외벽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형상일 수 있다. 제1 내측 지지부(1211)은 내면이 제2 브라켓(1100)의 제1 받침부(1151)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제1 내측 지지부(1211)는 제2 브라켓(1100)의 제1 받침부(1151)을 지지할 수 있고 열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내측 지지부(1211)은 제2 브라켓(1100)의 제1 받침부(1151)와 접지될 수 있다. 이에, 무선충전장치에서 발생된 EMI는 바텀 커버(120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제2 내측 지지부(1212)는 제2 브라켓(1100)의 제2 받침부(1152)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내측 지지부(1212)는 바텀 커버(1200)의 외벽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형상일 수 있다. 제2 내측 지지부(1212)은 내면이 제2 브라켓(1100)의 제2 받침부(1152)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제2 내측 지지부(1212)는 제2 브라켓(1100)의 제2 받침부(1152)을 지지할 수 있고 열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내측 지지부(1212)은 제2 브라켓(1100)의 제2 받침부(1152)와 접지될 수 있다. 이에, 무선충전장치에서 발생된 EMI는 바텀 커버(120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제3 내측 지지부(1213)는 제2 브라켓(1100)의 제3 받침부(1153)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내측 지지부(1213)는 바텀 커버(1200)의 외벽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형상일 수 있다. 제3 내측 지지부(1213)은 내면이 제2 브라켓(1100)의 제3 받침부(1153)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제3 내측 지지부(1213)는 제2 브라켓(1100)의 제3 받침부(1153)를 지지할 수 있고 제2 브라켓(1100)의 열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또한, 제3 내측 지지부(1213)는 제2 브라켓(1100)의 제3 받침부(1153)와 접지될 수 있다. 즉, 도 9와 같이, 제3 내측 지지부(1213)와 제2 브라켓(1100)의 제3 받침부(1153)는 제4 접지부(A)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무선충전장치에서 발생된 EMI는 바텀 커버(120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제4 내측 지지부(1214)는 제2 브라켓(1100)의 제4 받침부(1154)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4 내측 지지부(1214)는 바텀 커버(1200)의 외벽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형상일 수 있다. 제4 내측 지지부(1214)은 내면이 제2 브라켓(1100)의 제4 받침부(1154)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제4 내측 지지부(1214)는 제2 브라켓(1100)의 제4 받침부(1154)를 지지할 수 있고 제2 브라켓(1100)의 열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또한, 제4 내측 지지부(1214)는 제2 브라켓(1100)의 제4 받침부(1154)와 접지될 수 있다. 즉, 도 9와 같이, 제4 내측 지지부(1214)와 제2 브라켓(1100)의 제4 받침부(1154)는 제5 접지부(B)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무선충전장치에서 발생된 EMI는 바텀 커버(120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제5 내측 지지부(1215)는 제2 브라켓(1100)의 제5 받침부(1155)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5 내측 지지부(1215)는 바텀 커버(1200)의 외벽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형상일 수 있다. 제5 내측 지지부(1215)은 내면이 제2 브라켓(1100)의 제5 받침부(1155)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제5 내측 지지부(1215)는 제2 브라켓(1100)의 제5 받침부(1155)를 지지할 수 있고 제2 브라켓(1100)의 열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또한, 제5 내측 지지부(1215)는 제2 브라켓(1100)의 제5 받침부(1155)와 접지될 수 있다. 즉, 도 9와 같이, 제5 내측 지지부(1215)와 제2 브라켓(1100)의 제5 받침부(1155)는 제5 접지부(C)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무선충전장치에서 발생된 EMI는 바텀 커버(120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바텀 커버(1200)는 하나 이상의 방열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열홀은 제1 내지 제5 방열홀(1221 내지 1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방열홀(1221 내지 1225)는 각각 제1 내지 제5 내측 지지부(1211 내지 1215)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방열홀(1221)은 제1 내측 지지부(1211)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열홀(1222)은 제2 내측 지지부(1212)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방열홀(1223)은 제3 내측 지지부(1213)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방열홀(1224)은 제4 내측 지지부(1214)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방열홀(1225)은 제5 내측 지지부(1215)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1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무선충전코일;
    상기 복수의 무선충전코일과 상기 제1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차폐재;
    상기 제1 브라켓 하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전자부품이 설치된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부품의 일측면과 중첩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의 높이는 상기 제2 기판보다 낮게 형성되는 무선충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의 높이는 상기 제2 기판보다 높게 형성되는 무선충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제1 폭을 가지는 제1 차폐부 및 제2 폭을 가지는 제2 차폐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부품에서 발생되는 EMI를 외부로 방출하지 않도록 차폐하는 무선충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부품의 일측면과 중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기판을 관통하는 무선충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고정부가 통과하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무선충전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복수 개 형성되는 무선충전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부품에서 발생되는 EMI를 외부로 방출하지 않도록 차폐하는 무선충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2 기판과 연결되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하면에 단자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충전코일을 상기 제2기판과 연결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기판을 관통하는 제2 연결핀을 포함하는 무선충전장치.
  15. 삭제
KR1020180020941A 2018-02-22 2018-02-22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102225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941A KR102225425B1 (ko) 2018-02-22 2018-02-22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941A KR102225425B1 (ko) 2018-02-22 2018-02-22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588A Division KR102420942B1 (ko) 2017-08-11 2017-08-11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625A KR20190017625A (ko) 2019-02-20
KR102225425B1 true KR102225425B1 (ko) 2021-03-09

Family

ID=6556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941A KR102225425B1 (ko) 2018-02-22 2018-02-22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4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197A (ko) 2021-06-15 2022-12-23 주식회사 메디트 무선 스캐너 및 그 충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450A (ko)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전력 전송장치
KR102292033B1 (ko) 2020-11-26 2021-08-20 (주)플렉스파워 패드 일체형 무선 충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2825A (ja) 2015-12-17 2017-06-22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無線電力送信機のための送信コイル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599A (ko) * 2014-01-14 201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충전기
KR102389704B1 (ko) * 2015-08-12 2022-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수신 도전성 패턴을 구비한 전자 장치
KR20170035186A (ko) *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대창 무선 충전 모듈
KR20170053237A (ko) * 2015-11-06 2017-05-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멀티 코일 무선 충전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939653B1 (ko) * 2015-11-27 2019-01-17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장 차폐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모듈
KR20170092238A (ko) * 2016-02-03 2017-08-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충전을 위한 자성 차폐재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1791176B1 (ko) * 2017-07-13 2017-11-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를 위한 송신 코일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2825A (ja) 2015-12-17 2017-06-22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無線電力送信機のための送信コイルモジュ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197A (ko) 2021-06-15 2022-12-23 주식회사 메디트 무선 스캐너 및 그 충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625A (ko)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724B1 (ko) 코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장치
KR102225425B1 (ko)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20180114721A (ko) 무선 전력 모듈
KR20190115573A (ko) 무선충전장치
KR20200118993A (ko) 무선충전코일 및 무선충전장치
KR20190007321A (ko)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102420942B1 (ko)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20190017145A (ko) 무선충전장치 케이스
KR20190048600A (ko) 무선충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118000A (ko)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102454875B1 (ko)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충전장치
KR20190114090A (ko)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20190118297A (ko)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20190074767A (ko) 무선통신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20190001161A (ko)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102338933B1 (ko)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KR20190061617A (ko) 무선통신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20190017483A (ko)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102357766B1 (ko)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KR20200125130A (ko) 무선충전장치
KR20180099233A (ko) 무선 충전 장치
KR20190015777A (ko) 무선충전장치 케이스
KR20190076462A (ko) 무선충전장치
KR20190113347A (ko)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US11532423B2 (en) Coi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