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035B1 - Mask - Google Patents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035B1
KR102225035B1 KR1020200056751A KR20200056751A KR102225035B1 KR 102225035 B1 KR102225035 B1 KR 102225035B1 KR 1020200056751 A KR1020200056751 A KR 1020200056751A KR 20200056751 A KR20200056751 A KR 20200056751A KR 102225035 B1 KR102225035 B1 KR 102225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tube
outer sheet
mask
nostril insertion
inser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7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부식
Original Assignee
강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부식 filed Critical 강부식
Priority to KR1020200056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0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0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A mask comprises: an outer sheet; an inner sheet disposed to overlap the outer sheet, connected to the outer sheet along an edge of the outer sheet to form a space between the inner sheet and the outer sheet, and having a first opening; a nose tube hub attached to an edge of the first opening of the inner sheet and having a second opening smaller than the first opening; and a nose tube coupled to the nose tube hub and including a body part, and a first nostril insertion part and a second nostril insertion part extending from the body part, wherein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art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art extend in a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plane in which the nose tube hub is located.

Description

마스크{MASK}Mask {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꽃가루나 먼지, PM2.5 등의 초미세먼지, 바이러스의 흡입 등을 방지하기 위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pollen or dust, ultrafine dust such as PM2.5, and viruses.

마스크는 기본적으로 호흡이 양호해야 함과 동시에 먼지와 세균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링 효과를 가져야 하는 것으로, 통상 순면사의 면직물 또는 부직포 등의 필터에 귀에 걸 수 있도록 귀걸이 스트랩을 부착하여 세균 증식으로 감염우려가 있거나 남을 감염시킬 우려가 있는 환자나 먼지가 많이 발생되는 작업장의 인부들은 물론 외출 시 미세먼지를 우려하는 일반인들도 많이 이용하고 있다. The mask should basically have good breathing and have a filtering effect to prevent the invasion of dust and bacteria. Usually, an earring strap is attached to a filter such as cotton or nonwoven fabric of pure cotton yarn so that it can be hung on the ear to prevent bacteria growth. Patients who are concerned about infection or who are concerned about infecting others, workers in workplaces where a lot of dust is generated, as well as general people who are concerned about fine dust when they go out are also using it.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중인 마스크의 경우 상기 마스크의 상기 필터를 통해서 완전한 호흡이 이루어 지지 않는데, 그 주된 원인은 다음과 같다. 상기 마스크의 상기 필터는 평면인데 비해 사용자의 얼굴은 코와 입술 등이 돌출되어 광대뼈와 코 및 입술 사이로 공기가 드나들기 때문에 호흡 시 마스크와 얼굴의 굴곡면 사이를 통해 호흡 시 들숨과 날숨이 통과되어 완전한 필터링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In the case of a currently generally used mask, complete breathing is not performed through the filter of the mask. The main causes are as follows. The filter of the mask is flat, but the user's face protrudes from the nose and lips, so air enters and exits between the cheekbones and the nose and lips. This is because complete filtering is not possible.

또한 상기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한 경우, 날숨 시 콧등 양쪽으로 온기가 배출되어 상기 안경에 김이 서리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wears glasses, when exhaling, warmth is discharged to both sides of the nos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lasses are fogged.

한편, 콧구멍에 삽입할 수 있는 마스크용 노즈 어댑터를 포함하는 마스크가 개발되었으나, 상기 노즈 어댑터의 부피 및 무게에 의한 이물감,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와 상기 노즈 어댑터가 콧구멍 내에 삽입되는 정도가 균일하지 않거나, 콧구멍으부터 쉽게 이탈하여 노즈 어댑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었다. On the other hand, a mask including a nose adapter for a mask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nostril has been develop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 foreign body feeling and a feeling of wearing are deteriorated due to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nose adapter, and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nose adapter into the nostril is not uniform. Or, it was not able to solve the problem of not showing the function of the nose adapter because it easily deviated from the nostril.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4-111193호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4-111193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9362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9362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감이 향상되고, 탈착 가능한 노즈 튜브를 포함하여 필터링 기능이 우수한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in this respec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having an improved fit and excellent filtering function, including a detachable nose tub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외측 시트, 상기 외측 시트와 중첩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측 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내측 시트와 연결되어, 상기 외측 시트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제1 개구가 형성된 내측 시트, 상기 내측 시트의 상기 제1 개구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며 상기 제1 개구 보다 작은 제2 개구가 형성된 노즈 튜브 허브, 및 상기 노즈 튜브 허브에 결합되고,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콧구멍 삽입부 및 제2 콧구멍 삽입부를 포함하는 노즈 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와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는 상기 노즈 튜브 허브가 위치하는 평면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disposed to overlap the outer sheet and the outer sheet,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sheet along the edge of the outer sheet, and between the outer sheet and the outer sheet. An inner sheet having a first opening, a nose tube hub attached to an edge of the first opening of the inner sheet and having a second opening smaller than the first opening, and coupled to the nose tube hub, And a nose tube including a body portion, a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and a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extend in a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plane in which the nose tube hub is positio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 및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는 각각은 상기 몸체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body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It can be bent to extend along the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즈 튜브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즈 튜브는 상기 노즈 튜브 허브의 상기 제2 개구에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걸림부에 의해 삽입 정도가 제한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se tube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ortion formed on the body portion. The nose tube is coupled by inserting the body portion into the second opening of the nose tube hub, and the insertion degree may be limited by the lock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즈 튜브 허브의 상기 제2 개구는 좌우 방향으로 긴 형태의 타원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제1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노즈 튜브의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2 개구에 대응하는 형성되되, 상기 제1 폭 보다 큰 제2 폭을 가져, 상기 노즈 튜브가 상기 노즈 튜브 허브에 억지 끼워 맞춤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opening of the nose tube hub may have a first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orm of an ellipse that is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body portion of the nose tube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pening, and has a second width greater than the first width, so that the nose tube may be forcibly fitted to the nose tube hub.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즈 튜브는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외측 시트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시트와 상기 외측 시트 사이의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통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se tub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toward the outer sheet. A passage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heet and the outer she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걸림부가 위치하는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 및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는 상기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protru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plane in which the locking part is located, and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art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art ar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It can be extended in a direction inclined to a predetermined ang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즈 튜브는 연질의 고무, 실리콘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se tube may be formed of a soft rubber, silicone or resin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즈 튜브의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에는 제1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에는 제2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공과 상기 제2 통공은 상기 몸체부에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 및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의 높이는 8mm(밀리미터)이하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of the nose tube. A second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may be connected in the body part.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may have a height of 8 mm (millimeter) or l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측시트는 중간부, 상기 중간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 덮개, 상기 중간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부에는 귀걸이 스트랩이 연결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heet may include an intermediate portion, an upper cover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a lower cove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An earring strap may be connected to the middle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 시트는 상기 상부 덮개의 상단, 상기 중간부의 양 측단 및 상기 하부 덮개의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외측 시트와 상기 내측 시트 사이에 상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heet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upper cover, both side ends of the middle part, and a lower end of the lower cover to form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heet and the inner sheet. .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외측 시트, 상기 외측 시트와 중첩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측 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내측 시트와 연결되어, 상기 외측 시트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제1 개구가 형성된 내측 시트, 및 상기 내측 시트의 상기 제1 개구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며 상기 제1 개구 보다 작은 제2 개구가 형성된 노즈 튜브 허브를 포함한다. 상기 노즈 튜브 허브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다. The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disposed to overlap the outer sheet and the outer sheet,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sheet along the edge of the outer sheet, and between the outer sheet and the outer sheet. And a nose tube hub that defines a space and has an inner sheet having a first opening, and a nose tube hub that is attached to an edge of the first opening of the inner sheet and has a second opening smaller than the first opening. The nose tube hub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상기 노즈 튜브 허브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즈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즈 튜브 허브에 결합되고,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콧구멍 삽입부 및 제2 콧구멍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 및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는 각각은 상기 몸체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노즈 튜브의 상기 몸체부는 상기 노즈 튜브 허브의 상기 제2 개구에 억지 끼워 맞춤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k may further include a nose tube detachably coupled to the nose tube hub. The nose tube hub may include a body portion, a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and a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Each of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body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may be bent to extend along a second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 The body portion of the nose tube may be forcibly fitted into the second opening of the nose tube hub.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스크는 외측 시트, 상기 외측 시트와 중첩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측 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내측 시트와 연결되어, 상기 외측 시트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제1 개구가 형성된 내측 시트, 상기 내측 시트의 상기 제1 개구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며 상기 제1 개구 보다 작은 제2 개구가 형성된 노즈 튜브 허브, 및 상기 노즈 튜브 허브에 결합되고,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콧구멍 삽입부 및 제2 콧구멍 삽입부를 포함하는 노즈 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와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는 상기 노즈 튜브 허브가 위치하는 평면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과 마스크 사이로 필터링 되지 않은 공기의 유입이 최소화되어 필터링 성능이 개선되고, 사용자의 인중 부위에 불쾌한 압력을 주지 않은 상태로 상기 마스크의 착용이 가능하다. 즉, 마스크와 얼굴의 굴곡면 사이를 통해 호흡 시 들숨과 날숨이 통과되어 완전한 필터링을 하지 못하는 문제를 탈착 가능한 노즈 튜브를 추가하는 것으로 마스크의 기밀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한 경우, 날숨 시 콧등 양쪽으로 온기가 배출되어 상기 안경에 김이 서리는 문제는, 노즈 튜브로만 온기가 배출되고 콧등 양쪽으로는 온기가 배출되지 않아 안경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k is disposed to overlap the outer sheet and the outer sheet,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sheet along the edge of the outer sheet to form a space between the outer sheet, and 1 An inner sheet having an opening, a nose tube hub attached to an edge of the first opening of the inner sheet and having a second opening smaller than the first opening, and coupled to the nose tube hub, a body part, and the body part And a nose tube including a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and a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extending therefrom.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extend in a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plane in which the nose tube hub is positioned. Accordingly, the inflow of unfiltered air between the user's face and the mask is minimized to improve filtering performance, and the mask can be worn without applying unpleasant pressure to the user's gravitational region. In other words, the airtightness of the mask was secured by adding a detachable nose tube to prevent complete filtering due to the inhalation and exhalation passing through the mask and the curved surface of the face when breathing. In addition, when the user wears glasses, the problem that the warmth is discharged to both sides of the nose when exhaling and the glasses are fogged is, the warmth is discharged only through the nose tube and the warmth is not discharged to both sides of the nose, thereby preventing fogging of the glasses. I can.

또한,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와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는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와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의 길이를 제한함으로써, 삽입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have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by limiting the length of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the degree of insertion is reduced. It can be limited.

또한, 상기 노즈 튜브는 상기 노즈 튜브 허브와 억지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고, 상기 노즈 튜브와 상기 노즈 튜브 허브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노즈 튜브를 손쉽게 분리하여 세척한 후, 재사용 하거나, 새로운 마스크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ose tube is coupled with the nose tube hub by force fitting, and as the nose tube and the nose tube hub are formed of a soft material, the nose tube is easily separated and washed, and then reused or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 mask.

또한,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 및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의 형상을 커스터마이징 하거나,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작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얼굴 형상에 적합한 노즈 튜브 및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may be customized or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to provide a nose tube and a mask suitable for various facial shapes of users.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may be variously exten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스크의 외피의 내측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3은 도 1의 마스크의 내피의 내측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마스크의 노즈 튜브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5은 도 1의 마스크를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ner side of the outer skin of the mask of FIG. 1.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ner side of the inner skin of the mask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in detail the nose tube of the mask of FIG. 1.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n a user wears the mask of FIG. 1.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forms may be appli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스크의 외피의 내측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3은 도 1의 마스크의 내피의 내측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마스크의 노즈 튜브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ner side of the outer skin of the mask of FIG. 1.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ner side of the inner skin of the mask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in detail the nose tube of the mask of FIG. 1.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는 외측 시트(100), 귀걸이 스트랩(150), 내측 시트(200) 및 노즈 튜브(3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4, the mask may include an outer sheet 100, an earring strap 150, an inner sheet 200, and a nose tube 300.

상기 외측 시트(100)는 중간부(110), 상부 덮개(120), 하부 덮개(1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er sheet 100 may include an intermediate portion 110, an upper cover 120, and a lower cover 130.

상기 상부 덮개(120) 및 상기 하부 덮개(130)는 상기 중간부(110)의 상부 미 하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덮개(120) 및 상기 하부 덮개(130)는 상기 중간부(110)에 융착되어 접착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덮개(120), 상기 하부 덮개(130) 및 상기 중간부(110)는 일체로 형성된 구조일 수도 있을 것이다. The upper cover 120 and the lower cover 130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termediate portion 110. For example, the upper cover 120 and the lower cover 130 may be fused to and bonded to the middle portion 110. Although not show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upper cover 120, the lower cover 130,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110 may have a structure formed integrally.

상기 상부 덮개(120) 및 상기 하부 덮개(130)는 상기 마스크의 안쪽으로 접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내측 시트(200)가 상기 상부 및 하부 덮개(120, 130)와 상기 중간부(11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마스크가 접혀진 상태로 용이하게 보관될 수 있다.The upper cover 120 and the lower cover 130 may be folded inward of the mask, and accordingly, the inner sheet 200 is provided with the upper and lower covers 120 and 130 and the middle part 110 It is located between, and the mask can be easily stored in a folded state.

상기 외측 시트(100)는 필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측 시트(100)는 전형적으로 요구되는 여과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섬유 소재의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측 시트(100)는 부직포, 직물, 나노 섬유 등을 포함하는 필터 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 시트(100)는 접착제 또는 임의의 결합 수단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다수의 섬유 소재의 필터가 적층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outer sheet 100 may have a filter function. For example, the outer sheet 100 may be a filter made of a fibrous material capable of achieving a typically required filtration effect. For example, the outer sheet 100 may be a filter including nonwoven fabric, fabric, nanofiber, or the lik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outer sheet 10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filters made of fibrous materials that are bonded together by an adhesive or any bonding means are stacked.

상기 귀걸이 스트랩(150)은 상기 마스크의 상기 외측 시트(1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귀걸이 스트랩(150)은 상기 외측 시트(100)의 가장자리에 접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귀걸이 스트랩(150)은 길이 조절 가능하게 상기 마스크와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earring strap 150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sheet 100 of the mask. For example, the earring strap 150 may be bonded to and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outer sheet 100. Although not show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arring strap 150 may be connected to the mask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상기 내측 시트(200)는 상기 외측 시트(100)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외측 시트(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내측 시트(200)와 상기 외측 시트(1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측 시트(200)의 가장자리는 상기 외측 시트(100)의 상기 상부 덮개(120)의 상측 가장자리, 상기 외측 시트(100)의 상기 중간부(110)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 상기 외측 시트(100)의 상기 하부 덮개(130)의 하측 가장자리와 접착될 수 있다. The inner sheet 200 is located inside the outer sheet 100, and the inner sheet 200 and the outer sheet 1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an edge of the outer sheet 100. For example, the edge of the inner sheet 200 is the upper edge of the upper cover 120 of the outer sheet 100,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middle portion 110 of the outer sheet 100, the It may be adhered to the lower edge of the lower cover 130 of the outer sheet 100.

상기 내측 시트(200)는 필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측 시트(200)는 전형적으로 요구되는 여과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섬유 소재의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측 시트(200)는 부직포, 직물, 나노 섬유 등을 포함하는 필터 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 시트(200)는 접착제 또는 임의의 결합 수단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다수의 섬유 소재의 필터가 적층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inner sheet 200 may have a filter function. For example, the inner sheet 200 may be a filter made of a fibrous material capable of achieving a typically required filtration effect. For example, the inner sheet 200 may be a filter including nonwoven fabric, fabric, nanofiber, or the lik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inner sheet 20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filters made of fibrous materials that are bonded together by an adhesive or any bonding means are stacked.

상기 내측 시트(200)에는 노즈 튜브 허브(25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노즈 튜브 허브(250)는 상기 내측 시트(200)에 형성된 제1 개구(OP1)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며, 상기 제1 개구(OP1) 보다 작은 제2 개구(OP2)를 형성한다. 상기 노즈 튜브 허브(250)는 상기 내측 시트(200)의 안쪽, 즉, 상기 내측 시트(200)와 상기 외측 시트(100) 사이에 상기 노즈 튜브 허브(250)가 위치하도록, 상기 내측 시트(200)에 부착될 수 있다. A nose tube hub 250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heet 200. The nose tube hub 250 is attached to an edge of the first opening OP1 formed in the inner sheet 200 and forms a second opening OP2 smaller than the first opening OP1. The nose tube hub 250 is the inner sheet 200 so that the nose tube hub 250 is positioned inside the inner sheet 200, that is, between the inner sheet 200 and the outer sheet 100. ) Can be attached.

상기 노즈 튜브 허브(250)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노즈 튜브 허브(250)는 연질의 고무, 실리콘, 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노즈 튜브 허브(250)는 2mm 두께의 투명한 연질고무 재질일 수 있다. The nose tube hub 250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For example, the nose tube hub 25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oft rubber, silicone, or resin. For example, the nose tube hub 25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soft rubber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2 mm.

상기 노즈 튜브 허브(250)의 상기 제2 개구(OP2)는 타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개구(OP2)는 좌우 방향으로 긴 형태의 타원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제1 폭(w1)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폭(w1)은 13mm이고, 상기 제2 개구(OP)를 통해, 외경이 14mm인 노즈 튜브(300)가 삽입되어, 억지 끼워 맞춤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즈 튜브 허브(250)와 상기 노즈 튜브(300) 사이에는 간극 없이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The second opening OP2 of the nose tube hub 250 may have an oval shape. For example, the second opening OP2 may have a first width w1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orm of an ellipse that is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or example, the first width w1 is 13 mm, and the nose tube 300 having an outer diameter of 14 mm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OP, and may be forcefully fitted and coupled. Accordingly, airtightness can be maintained without a gap between the nose tube hub 250 and the nose tube 300.

상기 내측 시트(200)와 상기 외측 시트(100)는 사이에 공간(도 7의 S 참조)을 형성하고, 그 공간을 통하여 호흡하는 공기는 상기 외측 시트(100) 또는 상기 내측 시트(200)를 통과하면서 정화 기능이 발현될 수 있다. (도 6 참조)The inner sheet 200 and the outer sheet 100 form a space (see S in Fig. 7) between the space, and the air breathing through the space is the outer sheet 100 or the inner sheet 200 As it passes, the purification function can be expressed. (See Fig. 6)

상기 노즈 튜브(300)는 제1 콧구멍 삽입부(310a), 제2 콧구멍 삽입부(310b), 몸체부(320), 걸림부(330), 돌출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즈 튜브(300)는 상기 노즈 튜브 허브(25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nose tube 300 may include a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a, a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b, a body portion 320, a locking portion 330, and a protrusion 340. The nose tube 3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nose tube hub 250.

상기 몸체부(320)로부터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310a), 및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310b)가 각각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a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b may each extend from the body portion 320.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310a)와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310b)는 상기 노즈 튜브 허브(250)가 위치하는 평면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310a) 및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310b)는 각각은 상기 몸체부(32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D1)에 대해 소정각도(θ) 경사진 제4 방향(D3)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방향(D1)에 수직한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이 이루는 평면 상에 상기 걸림부(320)가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a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b may extend in a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plane in which the nose tube hub 250 is positioned. That is, each of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a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b extends from the body portion 320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first direction D1 It may be bent to extend along the fourth direction D3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of. In this case, the locking part 320 may be positioned on a plane formed by a second direction D2 and a third direction D3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1.

상기 노즈 튜브의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310a)에는 제1 통공(TH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310b)에는 제2 통공(TH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공(THa)과 상기 제2 통공(THb)은 상기 몸체부(320)에서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320)를 관통하는 하나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A first through hole THa may be formed in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a of the nose tube, and a second through hole THb may be formed in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b. The first through hole THa and the second through hole THb may be connected by the body part 320 to form one space penetrating the body part 320.

이때,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310a) 및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310b)의 높이는 8mm(밀리미터)이하로 제한될 수 있으며(도 4의 d3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310a) 및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310b)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여, 과도한 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a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b may be limited to 8 mm (millimeter) or less (see d3 in FIG. 4), and accordingly,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b By limi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hole insertion portion 310a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b, excessive insertion may be prevented.

상기 노즈 튜브(300)의 상기 몸체부(320)는 상기 노즈 튜브 허브(250)의 상기 제2 개구(OP2)에 대응하는 형성되되, 상기 제1 폭(w1) 보다 큰 제2 폭을 가져, 상기 노즈 튜브(300)가 상기 노즈 튜브 허브(250)에 억지 끼워 맞춤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즈 튜브 허브(250) 및/또는 상기 노즈 튜브(300)는 연질의 고무, 실리콘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힘을 가하여 상기 노즈 튜브(300)를 상기 노즈 튜브 허브(250)로부터 다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320)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도 4의 d2 참조), 타원형의 튜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310a) 및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310b)는 상기 몸체부(320)로부터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므로, 사용자의 안면의 인중 부분과 접촉되는 부분, 즉, 상기 노즈 튜브(300)의 하면에는 곡면(R11, R13)이 형성되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body portion 320 of the nose tube 300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pening OP2 of the nose tube hub 250, and has a second width greater than the first width w1, The nose tube 300 may be forcibly fitted and fixed to the nose tube hub 250. Meanwhile, since the nose tube hub 250 and/or the nose tube 300 may be formed of a soft rubber, silicone or resin material, an appropriate force is applied to the nose tube 300 to the nose tube hub 250 ) Can be separated again. The body part 320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D1 (see d2 of FIG. 4 ), and may have an oval tube shape. At this time,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a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b exten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body portion 320, so that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avitational portion of the user's face, that is, Curved surfaces R11 and R13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nose tube 300 to improve fit.

상기 걸림부(330)는 상기 몸체부(3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즈 튜브(300)는 상기 노즈 튜브 허브(250)의 상기 제2 개구(OP2)에 상기 몸체부(320)가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걸림부(330)에 의해 삽입 정도가 제한될 수 있다. The locking part 330 may be formed on the body part 320. The nose tube 300 is coupled by inserting the body part 320 into the second opening OP2 of the nose tube hub 250, but the degree of insertion may be limited by the locking part 330. .

상기 돌출부(340)는 상기 몸체부(320)에서 상기 외측 시트(10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340)는 상기 걸림부(330)가 위치하는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 만큼 돌출될 수 있다. (도 4의 d1 참조) 상기 돌출부(340)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 시트(200)와 상기 외측 시트(100) 사이의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돌출부들(340) 사이에 통로 공간(SP)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간(SP)을 확보하면서도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돌출부(340)의 길이(d1)는 약 10mm 내외 일 수 있다. The protrusion 340 may protrude from the body 320 toward the outer sheet 100. That is, the protrusion 340 may protrude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plane in which the locking part 330 is positioned. (See d1 of FIG. 4) A plurality of protrusions 340 may be formed, and a passage space between the protrusions 340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heet 200 and the outer sheet 100 (SP) can be formed. For example, in order to improve the fit while securing the space SP, the length d1 of the protrusion 340 may be about 10 mm or less.

상기 노즈 튜브(300)는 상기 노즈 튜브 허브(250)와 마찬가지로, 연질의 고무, 실리콘 또는 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Like the nose tube hub 250, the nose tube 300 may be formed of a soft rubber, silicone, or resin material.

이에 따라, 상기 노즈 튜브(300)를 상기 마스크로부터 분리하여 손쉽게 세척한 후, 재사용 하거나, 새로운 마스크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310a) 및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310b)의 형상을 커스터마이징 하거나,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작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얼굴 형상에 적합한 노즈 튜브 및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nose tube 300 may be separated from the mask and cleaned easily, then reused, or combined with a new mask to be used. In addition, by customizing the shapes of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a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b, or manufacturing them in various sizes and shapes, a nose tube and mask suitable for various face shapes of users are provided. can do.

상기 외측 시트(100)에는 귀걸이 스트랩(15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귀걸이 스트랩(150)은 상기 외측 시트(100)의 상기 중간부(110)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융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귀걸이 스트랩(150)은 고무밴드 또는 섬유 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An earring strap 150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sheet 100. The earring strap 150 may be attached to or fused to the surface of the middle portion 110 of the outer sheet 100 to be combined. The earring strap 150 may be formed of a rubber band or a fiber string.

도 5은 도 1의 마스크를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n a user wears the mask of FIG. 1.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사용자(UR)의 얼굴에 마스크를 착용하면, 중간부(110), 상부 덮개(120), 하부 덮개(130)를 포함하는 외측 시트(100)가 내측시트(20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UR)의 얼굴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내측 시트(200)가 상기 사용자(UR)의 얼굴에 밀착되며, 노즈 튜브(300)의 제1 콧구멍 삽입부(310a) 및 제2 콧구멍 삽입부(310b)가 콧구멍(NS) 내에 삽입되게 된다. 1 to 5, when a user (UR) wears a mask on the face, the outer sheet 100 including the middle portion 110, the upper cover 120, and the lower cover 130 is formed of the inner sheet 200. )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ace of the user UR in order to form a space therebetween, the inner sheet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user UR, and the first nostril of the nose tube 300 The insertion portion 310a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b are inserted into the nostril NS.

이때,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310a)와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310b)가 노즈 튜브 허브(250)가 위치하는 평면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사용자(UR)의 인중 부위에 불쾌한 압력을 주지 않은 상태로 상기 마스크의 착용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a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310b extend in a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plane where the nose tube hub 250 is located, the user UR It is possible to wear the mask without applying unpleasant pressure to the gravitational part of the body.

또한, 상기 사용자(UR)의 날숨 시에는, 공기가 상기 노즈 튜브(300)를 통해, 상기 내측 시트(200)와 상기 외측 시트(100) 사이의 공간으로 제공되고, 상기 날숨은 이어서 상기 마스크의 상기 외측 시트(100) 또는 일부는 상기 내측시트(2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UR) exhales, air is provided through the nose tube 300 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heet 200 and the outer sheet 100, and the exhalation is followed by the exhalation of the mask. The outer sheet 100 or part of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ner sheet 200.

상기 사용자(UR)의 들숨 시에는, 외부 공기가 상기 마스크의 상기 외측 시트(100)를 통해, 또는 일부는 상기 내측 시트(200)를 통해 상기 공간 내로 유입되고, 상기 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사용자(UR)의 콧구멍(NS) 내로 유입되므로, 이에 따라, 외부 공기가 곧바로 상기 사용자(UR)의 콧구멍(NS) 내로 유입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과 마스크 사이로 공기가 직접 유입되어 필터링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When the user UR inhales,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through the outer sheet 100 of the mask, or partially through the inner sheet 200, and the air in the space is introduced into the user ( Since it is introduced into the nostril NS of the UR, it can be minimized that external air directly flows into the nostril NS of the user UR. Accordingly, a problem in which the filtering effect is deteriorated because air is directly introduced between the user's face and the mask can be improv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측단면도이다.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는 금속 지지부재(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5의 마스크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mask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asks of FIGS. 1 to 5 except that the mask further includes a metal support member 160. Therefore,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금속 지지부재(160)는 상기 마스크의 외측 시트(100)의 상부 덮개(1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덮개(110)의 끝부분이 접혀 덮개부(122)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부와 상기 상부 덮개(110) 사이에 상기 금속 지지부재(16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지지부재(160)는 연질의 금속재질, 알루미늄, 철심, 와이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지지부재(160)를 구부려, 사용자의 콧등에 상기 마스크를 밀착시킬 수 있다. The metal support member 160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cover 110 of the outer sheet 100 of the mask. For example, an end portion of the upper cover 110 may be folded to form a cover portion 122, and the metal support member 16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over portion and the upper cover 110. The metal support member 16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soft metal material, aluminum, iron core, wire, or the like, and the metal support member 160 may be bent so that the mask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nose.

이때 상기 금속 지지부재(160)는 상기 외측 시트(100) 상에 위치하고, 상기 외측 시트(100)와 사용자의 콧등 사이에 상기 내측 시트(200)의 끝부분이 위치하므로, 상기 금속 지지부재(160)가 상기 외측 시트(100), 상기 내측 시트(200)를 모두 눌러주어, 상기 마스크가 상기 사용자의 콧등에 밀착할 수 있도록 모양을 유지해 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etal support member 160 is positioned on the outer sheet 100, and the end portion of the inner sheet 200 is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sheet 100 and the user's nose, so the metal support member 160 ) Presses both the outer sheet 100 and the inner sheet 200 to maintain the shape so that the mask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nos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얼굴과 마스크 사이로 필터링 되지 않은 공기의 유입이 최소화되어 필터링 성능이 개선되고, 사용자의 인중 부위에 불쾌한 압력을 주지 않은 상태로 착용이 가능한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한 경우, 날숨 시 콧등 양쪽으로 온기가 배출되어 상기 안경에 김이 서리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low of unfiltered air between the user's face and the mask is minimized, so that filtering performance is improved, and a mask that can be worn without applying unpleasant pressure to the user's gravitational area can be provided. have. In addition, when the user wears glasses, when exhaling, warmth is discharged to both sides of the nose, so that the problem of fogging on the glasses may be solved.

또한, 제1 콧구멍 삽입부와 제2 콧구멍 삽입부는 몸체부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와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의 길이를 제한함으로써, 삽입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have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by limiting the length of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the degree of insertion can be limited. have.

또한, 노즈 튜브는 노즈 튜브 허브와 억지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고, 상기 노즈 튜브와 상기 노즈 튜브 허브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노즈 튜브를 손쉽게 분리하여 세척한 후, 재사용 하거나, 새로운 마스크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ose tube is coupled with the nose tube hub by force fitting, and as the nose tube and the nose tube hub are formed of a soft material, the nose tube is easily separated and washed, and then reused or used in a new mask. Can be used in combination.

또한,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 및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의 형상을 커스터마이징 하거나,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작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얼굴 형상에 적합한 노즈 튜브 및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may be customized or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to provide a nose tube and a mask suitable for various facial shapes of user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는 일회용 또는 반복적 사용형 마스크 등 모든 목적의 마스크에 적용이 가능하다. The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ask for all purposes, such as a disposable or repetitive mask.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I will be able to.

100: 외측 시트 110: 중간부
120: 상부 덮개 130: 하부 덮개
150: 귀걸이 스트랩 200: 내측 시트
250: 노즈 튜브 허브 300: 노즈 튜브
100: outer sheet 110: middle portion
120: upper cover 130: lower cover
150: earring strap 200: inner sheet
250: nose tube hub 300: nose tube

Claims (12)

외측 시트;
상기 외측 시트와 중첩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측 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외측 시트와 연결되어, 상기 외측 시트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제1 개구가 형성된 내측 시트;
상기 내측 시트의 상기 제1 개구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며 상기 제1 개구 보다 작은 제2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시트와 다른 재질인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 노즈 튜브 허브; 및
상기 노즈 튜브 허브에 결합되고,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콧구멍 삽입부 및 제2 콧구멍 삽입부를 포함하는 노즈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와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는 상기 노즈 튜브 허브가 위치하는 평면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 및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는 각각은 상기 몸체부에 인접한 부분은 상기 평면에 대해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에서 먼 부분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콧구멍 삽입부 각각은 중간에 구부러진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콧구멍 삽입부 각각의 하면의 일부는 상기 제1 및 제2 콧구멍 삽입부 각각의 연장 방향을 따라 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노즈 튜브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즈 튜브는 상기 노즈 튜브 허브의 상기 제2 개구에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걸림부에 의해 삽입 정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Outer sheet;
An inner sheet disposed to overlap the outer sheet, connected to the outer sheet along an edge of the outer sheet, to form a space between the outer sheet, and having a first opening;
A nose tube hub attached to an edge of the first opening of the inner sheet, having a second opening smaller than the first opening, and formed of a soft material different from the inner sheet; And
A nose tube coupled to the nose tube hub and including a body portion, a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and a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are extended in a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plane where the nose tube hub is located, and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respectively Is the first and second nose so that a portion adjacent to the body portion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and a portion far from the body portion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Each of the hole insertion portions has a curved shape in the middle, and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s is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s,
The nose tube further includes a locking portion formed on the body portion,
The nose tube is coupled by inserting the body portion into the second opening of the nose tube hub, wherein the insertion degree is limited by the lock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즈 튜브 허브의 상기 제2 개구는 좌우 방향으로 긴 형태의 타원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제1 폭을 갖고,
상기 노즈 튜브의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2 개구에 대응하는 형성되되, 상기 제1 폭 보다 큰 제2 폭을 가져, 상기 노즈 튜브가 상기 노즈 튜브 허브에 억지 끼워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opening of the nose tube hub has a first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orm of an ellipse that is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body portion of the nose tube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pening, and has a second width greater than the first width, wherein the nose tube is forcibly fitted to the nose tube hu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즈 튜브는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외측 시트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 시트와 상기 외측 시트 사이의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통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nose tube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toward the outer sheet, and a passag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heet and the outer sheet. Mask.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걸림부가 위치하는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5,
The protruding portion is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is loc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즈 튜브는 연질의 고무, 실리콘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nose tube is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soft rubber, silicone or resin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즈 튜브의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에는 제1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에는 제2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통공과 상기 제2 통공은 상기 몸체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제1 콧구멍 삽입부 및 상기 제2 콧구멍 삽입부의 높이는 8mm(밀리미터)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of the nose tube,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re connected in the body part,
The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first nostril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nostril insertion portion is 8 mm (millimeter)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시트는 중간부, 상기 중간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 덮개, 상기 중간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에는 귀걸이 스트랩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sheet includes an intermediate portion, an upper cover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a lower cove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The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earring strap is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시트는 상기 상부 덮개의 상단, 상기 중간부의 양 측단 및 상기 하부 덮개의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외측 시트와 상기 내측 시트 사이에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9,
The inner sheet is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upper cover, both side ends of the middle portion, and a lower end of the lower cover to form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heet and the inner shee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56751A 2020-05-12 2020-05-12 Mask KR1022250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751A KR102225035B1 (en) 2020-05-12 2020-05-12 Ma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751A KR102225035B1 (en) 2020-05-12 2020-05-12 Ma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035B1 true KR102225035B1 (en) 2021-03-08

Family

ID=7518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751A KR102225035B1 (en) 2020-05-12 2020-05-12 Ma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03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362Y1 (en) 2005-04-04 2005-07-14 이건 Facial mask for preventing moisture
JP2014111193A (en) 2014-02-20 2014-06-19 Mitsuya Kitada Mask, nose adapter for mask, and mask set
KR101471224B1 (en) * 2007-05-03 2014-12-0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Maintenance-free anti-fog respir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362Y1 (en) 2005-04-04 2005-07-14 이건 Facial mask for preventing moisture
KR101471224B1 (en) * 2007-05-03 2014-12-0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Maintenance-free anti-fog respirator
JP2014111193A (en) 2014-02-20 2014-06-19 Mitsuya Kitada Mask, nose adapter for mask, and mask s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200B1 (en) Mask with adjustable earring strap
KR20170104196A (en) Mask for fine dust removal
CN111227383A (en) Transparent mask
KR102286176B1 (en) Nose mask for fine dust
KR102436835B1 (en) Mask
KR102225035B1 (en) Mask
KR20180129228A (en) Eye protection Integral type Protective mask
KR102328657B1 (en) Mask of Contact Type
CN212754370U (en) Mask combined structure with simple goggles
KR102476836B1 (en) Transparent mask
KR20210133018A (en) Guard for mask and filter replaceable type mask having the same
KR102212607B1 (en) Filter changeable mask
KR20170060464A (en) Mask comprising in nose filter
KR102444262B1 (en) Mask
KR102445480B1 (en) Nose mask
KR102540576B1 (en) Sanitary mask with porous intake and exhaust tube straps
KR102565804B1 (en) Mask with large filtering surface and side open encapsulation type filter for the same
KR102518522B1 (en) A Lineless Mask
KR102328660B1 (en) Contact Filter for Mask
KR102574967B1 (en) Anti-fogging apparatus for mask
KR102671800B1 (en) Mask having lower ventilation structure
KR102586380B1 (en) Mask and silicone structure used thereto
CN212233200U (en) Transparent mask
KR102421391B1 (en) Anti-fog mask
US20230371624A1 (en) Protective face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