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014B1 -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partment housing information system - Google Patents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partment housing inform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014B1
KR102225014B1 KR1020200076620A KR20200076620A KR102225014B1 KR 102225014 B1 KR102225014 B1 KR 102225014B1 KR 1020200076620 A KR1020200076620 A KR 1020200076620A KR 20200076620 A KR20200076620 A KR 20200076620A KR 102225014 B1 KR102225014 B1 KR 102225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input tool
signal
virtual realit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6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우성
Original Assignee
(주)씨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아이 filed Critical (주)씨앤아이
Priority to KR1020200076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0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0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R) and virtual reality (VR)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an apartment house within a service provision area, which is one of a model house and an experience space for viewing an apart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comprises: a plurality of beacons provided in a service provision area to transmit a Bluetooth signal; a first database storing first 3D graphic data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apartment house; a second database storing second 3D graphic data according to a construction type, an input material type, a finishing material type, and the like for an area where additional construction is possible within the apartment house; a VR device worn by a user within the service provision area and displaying AR and VR to the user by using the 3D graphic data stored in the first database and the second database; and a ring-type input tool receiving an input from the user, who is wearing the VR and transmitting a signal of a constant intensity to the plurality of beacons. The VR device includes a location measuring unit for calculating a location within the service provision area by measuring the strength of a fir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the beacons. The ring-type input tool transmits an input device identification number for identifying ring-type input tools as a second signal,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eacons transmits the input tool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second signal and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second signal as the first signal.

Description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반 공동주택 구조정보 안내시스템{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partment housing information system}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partment housing information system}

본 발명은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내부 구조를 안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guid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n apartment house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아파트 등의 건설현장에는 안전을 위하여 담, 가림막, 등이 설치되거나 장애물이 쌓여 있으므로 현장을 보고 싶어하는 일반인이 볼 수 없고, 현장 확인을 못 하는 일반인은 아파트의 실제 공사 현장을 확인하지 못하므로 인한 정보 부재로 계약을 쉽게 진행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아파트 건설현장의 다양한 정보를 고객이 확인하거나 진행현황을 직접 확인한 경우 아파트의 구매계약이 쉽게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모델 하우스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최대한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에 더하여 증강현실이나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더 많은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었다.In construction sites such as apartments, fences, screens, etc. are installed for safety, or obstacles are piled up, so the public who wants to see the site cannot see it, and the public who cannot check the site cannot check the actual construction site of the apartment. The absence of the contract may make it difficult to proceed with the contract. That is, if the customer checks various information on the apartment construction site or directly checks the progress status, the apartment purchase contract can be easily processed. For this purpose, a model house is used to provide maximum information to users, and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attempts to provide more information to customers using augmented reality or virtual reality.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로써 사용자가 스마트폰 등의 내장 카메라(캠)로 특정 사물을 비추면 정보가 단말기에 임시 기록된다.Augmented Reality (AR) is a technology that superimposes a 3D virtual image on a real image or background and displays it as a single image.When a user projects a specific object with a built-in camera (cam) such as a smartphone, information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erminal. Is recorded.

그런 다음 인터넷을 통해 특정 정보 시스템에 전송하고 사용자로부터 사물의 상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그 결과를 다시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기는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 정보와 매칭 시킨 후 실시간 화면으로 보여주는 것이다.Then, it transmits to a specific information system through the Internet, searches the database for detailed information of the object from the user, and transmits the result back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receiving this data matches the current information through a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and then displays it on a real-time screen.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은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머리에 장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인 HMD를 활용해 체험할 수 있다.In a similar concept, Virtual Reality (VR) allows humans to experience real life in a virtual world created with a computer, and can be experienced using an HMD, a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head.

이러한 VR, AR 기술은 부동산 거래에도 적용되어 최근에는 각종 부동산 매물 또는 임대물 정보를 자체적으로 수집한 다음 인터넷을 통해 소정 형식으로 구매자들에게 제공하여 인터넷상에서 부동산의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업이 여러 업체에서 추진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단순한 기존의 지어진 건축물에 대한 부동산 거래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These VR and AR technologies have also been applied to real estate transactions, and recently, various companies have conducted a business that allows real estate transactions to be made on the Internet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various real estate sales or rentals by themselves and then providing them to buyers in a predetermined format through the Internet. Attempts to be promoted are being made, but the situation is merely real estate transactions for existing built buildings.

이와 같은 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4652호를 들 수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 technolog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14652 may be cited.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내부 구조의 안내를 위하여 증강현실 및/또는 가상현실 단말기를 이용하여 쉽게 관련 정보를 습득하고 고객의 반응과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capable of easily acquiring related information and inputting a customer's response and selection by using an augmented reality and/or virtual reality terminal to guide the internal structure of an apartment house.

공동주택 구조 관람을 위한 모델 하우스 또는 체험공간 중 어느 하나인 서비스 제공영역 내에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공동주택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구조정보 안내시스템은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 내에 복수개 구비되어 블루투스 신호를 발신하는 복수의 비콘; 상기 공동주택의 내부에 대응하는 제1 3D 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공동주택 중 추가 공사 가능 영역에 대한 공사종류, 투입재 종류, 마감재 종류 등에 의한 제2 3D 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 데이터베이스;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 내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착용되며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3D 그래픽 데이터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가상현실 기기; 및 상기 가상현실 기기를 착용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고 상기 복수의 비콘에 일정한 세기의 신호를 전달하는 링형 입력도구;를 포함하고,In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apartment hous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within a service providing area that is either a model house for viewing the structure of an apartment house or an experience space, the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apartment hous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beacons provided 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to transmit a Bluetooth signal; A first database in which first 3D graphic data corresponding to the interior of the apartment house is stored; A second database for storing second 3D graphic data based on a type of construction, a type of input material, a type of finishing material, etc. of the area where additional construction is possible among the apartment houses; A virtual reality device worn by a user with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and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o the user using 3D graphic data stored in the first database and the second database; And a ring-type input tool that receives an input from a user wearing the virtual reality device and transmits a signal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to the plurality of beacons.

상기 가상현실 기기는, 복수의 상기 비콘으로부터 전달되는 제1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여 서비스 제공 구역내에서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형 입력도구는 타 링형 입력도구와 식별하기 위한 입력도구 식별번호를 제2 신호로 발신하고, 상기 복수의 비콘들 각각은 상기 제2 신호에 포함된 입력도구 식별번호와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세기를 상기 제1 신호로 하여 발신한다. The virtual reality device includes a location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magnitude of the fir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beacons and calculates a location within a service provision area, and the ring-type input tool is used to identify the other ring-type input tools. An input tool identification number is transmitted as a second signal,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eacons transmits an input tool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second signal and a reception strength of the second signal as the first signal.

또한 상기 위치 측정부는 복수의 비콘으로부터 발신되는 상기 제1 신호 중 포함된 입력도구 식별번호를 참조하여 자신과 페어링된 입력도구와 관련된 복수의 제1 신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복수의 제1 신호에 포함된 제2 신호의 수신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링형 입력도구의 위치와 상기 가상현실 기기를 기준으로 상기 링형 입력도구의 상대적인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measuring unit identifies a plurality of first signals related to an input tool paired with the first signal by referring to an input tool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among the first signal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beacons, and the identified plurality of first signals The relative direction of the ring-type input tool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ring-type input tool and the virtual reality device by comparing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second signal included in the.

또한 상기 위치 측정부에 의하여 산출된 위치가 상기 서비스 제공 지역 중 미리 지정된 특정 구역 내에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 3D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및 선택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가상현실/증강현실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calculated by the location measurement unit enters a predetermined specific area among the service providing areas, the first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nd selecting second 3D graphic data stored in the second database is provided. I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virtual reality/augmented reality.

또한 상기 링형 입력도구는, 사용자의 손가락 및 손목 중 어느 하나의 둘레에 착용되는 내측링; 및 상기 내측링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내측링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외측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ing-type input tool may include an inner ring worn around any one of a user's finger and wrist; And an outer ring provid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ring and provided to rotate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ner ring.

또한 상기 외측링은, 외측면에 오목한 제1 공간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 호형의 제1 홈이 형성되며, 링 형상의 절연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1 홈을 관통하여 전도성 물질로 채워지는 비아홀이 형성되는 외측링 몸체부; 상기 외측링 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공간부 측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는 측면단자; 상기 제1 홈의 상기 비아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하부단자; 상기 제1 공간부의 측면 및 저면에 프린팅되고, 상기 측면단자와 상기 비아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성 패턴; 및 상기 제1 공간부에 구비되고,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클릭부;을 포함하고,In addition, the outer ring has a first concave space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 arc-shaped first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is formed of a ring-shaped insulating material, and penetrates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first groove. An outer ring body portion in which a via hole fill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is formed; A side terminal provided to penetrate from a side surface of the outer ring body portion toward the first space portion; A lower terminal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ia hole in the first groove; A conductive pattern printed on a s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ide terminal and the via hole; And a click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and formed of a soft material,

상기 내측링은, 상기 내측링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측면단자와 상시 접촉하는 측면 접촉부; 상기 클릭부의 가압시 상기 제1 홈과 함께 중심축 방향으로 압박되는 하부 단자와 접촉하는 저면 접촉부; 및 상기 하부 단자와 상기 저면 접촉부가 접촉되는 경우 폐회로가 형성되어 전기가 흐르는 것을 감지하는 클릭 감지부;를 포함한다.The inner ring may include a side contact part that always contacts the side terminal when the inner ring rotates; A bottom contact portion contacting a lower terminal pressed in a direction of a central axis together with the first groove when the click portion is pressed; And a click sens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the flow of electricity by forming a closed circuit when the lower terminal and the bottom contact unit are in contact.

또한 상기 링형 입력도구는 복수의 측면단자 및 하부단자 쌍을 구비하고, 상기 가상현실 기기는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화면 상에 상기 링형 입력도구의 이미지 상에 가상의 숫자, 텍스트 및 도형 중 어느 하나의 표시를 하여 상기 링형 입력도구의 복수의 측면단자 및 하부단자 쌍의 구분 표시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ing-type input tool includes a plurality of pairs of side terminals and lower terminals, and the virtual reality device displays any one of virtual numbers, texts, and figures on the image of the ring-type input tool on a screen displayed to the user.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and display a plurality of pairs of side terminals and lower terminals of the ring-type input tool.

또한 상기 가상현실 기기에 의하여 상기 링형 입력도구에 의하여 선택된 사항 및 관람 히스트로리가 저장되는 고객 이력 저장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customer history storage server in which the item selected by the ring-type input tool by the virtual reality device and the viewing history are stored.

본 발명은 건축물 건설프로젝트 모델하우스에서 건설사에 구비된 증강현실/가상현실 서버에 자동 접속하여 실제 모델하우스를 기반으로 가상의 그래픽 정보를 체험하고 쉽게 고객의 반응과 선택 사항을 입력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홍보의 효과를 높이고 건설에 관련된 대량의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moted because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virtual graphic information based on an actual model house by automatically connecting to an augmented reality/virtual reality server provided in a construction company in a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model house, and to easily receive customer reactions and choices.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building and provid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related to construction quick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반 공동주택 구조정보 안내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의 운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링형 입력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링형 입력도구 중 외측링의 내부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링 및 외측링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n apartment structure information guide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ing-type input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ner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n outer ring among the ring-type input tools of FIG. 3.
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inner ring and an outer 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Unless there is a specific definition or reference, terms indicating directions used in this description are based on the states indicated in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members throughout each embodiment. On the other hand,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in thickness or dimension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es not mean that it should be configured in a ratio between the corresponding dimensions or components.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반 공동주택 구조정보 안내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반 공동주택 구조정보 안내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A network configuration of an apartment structure information guide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n apartment structure information guide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반 공동주택 구조정보 안내시스템은 공동주택의 내부 구조 관람을 위하여 모델 하우스 또는 체험공간 등의 서비스 제공영역 내에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공동주택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 때 체험공간이라 함은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이며, 실제 모델 하우스의 경우에는 증강현실을 이용하고, 단순힌 체험공간인 경우에는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system for information on the structure of apartment houses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within a service providing area such as a model house or an experience space for vie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partment. It refers to a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a house At this time, the term “experience space” means a space that provides experience services using virtual reality, and in the case of an actual model house, augmented reality is used, and in the case of a simple experience space, the service is provided using virtual reality. can do.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구조정보 안내시스템은 네트워크(10) 상에 비콘(20), 제1 데이터베이스(310), 제2 데이터베이스(320) 및 중앙서버(330)를 포함한다.The apartment structure information guid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beacon 20, a first database 310, a second database 320, and a central server 330 on the network 10.

비콘(20)은 서비스 제공영역 내에 복수개 구비되어 제1 신호인 블루투스 신호를 발신하며, 복수의 비콘(20)들 각각은 제2 신호에 포함된 입력도구 식별번호와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세기를 제1 신호에 포함하여 발신한다. 이 때 제2 신호는 후술할 링형 입력도구(100)가 타 링형 입력도구와 식별하기 위한 입력도구 식별번호를 의미한다.A plurality of beacons 20 are provided 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to transmit a Bluetooth signal, which is a first signal,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eacons 20 determines an input tool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second signal and a reception strength of the second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and transmitted. In this case, the second signal means an input tool identification number for identifying the ring-type input tool 100 to be described later from other ring-type input tools.

제1 데이터베이스(310)는 공동주택의 내부 구조에 대응하는 제1 3D 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1 3D 그래픽 데이터는 가상현실 방식인 경우 공동주택의 내부 구조물 각각에 대한 3D 그래픽 데이터가 모두 구비되어 저장되었다가 이를 호출하여 각 구조물의 위치에 표시되는 방식으로 이용된다.The first database 310 stores first 3D graphic data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partment house. In the case of the virtual reality method, the first 3D graphic data is used in a manner in which all 3D graphic data for each internal structure of an apartment house are provided and stored, and then called and displayed at the location of each structure.

제2 데이터베이스(320)는 공동주택 중 추가 공사 가능 영역에 대한 공사종류, 투입재 종류, 마감재 종류 등에 의한 제2 3D 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 때 제2 3D 그래픽 데이터는 현실의 모델 하우스에 덧씌워지는 방식의 변경가능한 구조에 대한 입체 데이터나 가상현실 3D 데이터를 대체하여 구조의 변경, 대체 및 최종 상태를 나타내는 추가 입체 데이터를 의미한다.The second database 320 stores second 3D graphic data according to the type of construction, the type of input material, the type of finishing material, etc. for an area where additional construction is possible among apartment houses. In this case, the second 3D graphic data refers to 3D data for a changeable structure in a way that is superimposed on a model house in reality or additional 3D data indicating a change, replacement, and final state of the structure by replacing 3D data in virtual reality.

중앙서버(330)는 제1 데이터베이스(310) 및 제2 데이터베이스(320)의 데이터 전송 및 가상현실 기기(200) 및 링형 입력도구(100)로부터 전송되거나 수신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진행 프로세스를 관장한다. 또한 중앙서버(330)는 가상현실 기기(200)를 통하여 링형 입력도구(100)에 의해 선택된 사항 및 사용자가 관람한 히스트로리가 저장되는 고객 이력 저장서버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The central server 330 transmits data from the first database 310 and the second database 320 and monitors the data transmitted or received from the virtual reality device 200 and the ring-type input tool 100 to process the entire system. Oversees. 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330 may function as a customer history storage server in which items selected by the ring-type input tool 100 through the virtual reality device 200 and histories viewed by the user are stored.

가상현실 기기(200)는 서비스 제공영역 내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착용되며 제1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3D 그래픽 데이터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가상현실 기기(200)는 중앙서버(330)에 위치 정보와 방향정보를 전달하여 해당 위치 및 방향에 따른 3D 그래픽 데이터를 제1데이터베이스(310) 및 제2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전달받고, 이를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The virtual reality device 200 is worn by a user within a service providing area and displays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o the user using 3D graphic data stored in the first database and the second database. The virtual reality device 200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central server 330 to receive 3D graphic data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direction from the first database 310 and the second database 320, and has the same. It is display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ed display.

링형 입력도구(100)는 가상현실 기기(200)를 착용하는 사용자가 구비하여 해당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입력 방법을 통하여 각종 입력을 받는다. 링형 입력도구(100)는 이러한 입력 방법을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제2 신호에 포함하여 발신하고, 발신된 제2 신호는 복수의 비콘(20)에서 수신한다. 이 때 링형 입력도구(100)는 일정한 세기로 제2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ing-type input tool 100 is provided by a user wearing the virtual reality device 200 and receives various inputs from the user through a predetermined input method. The ring-shaped input tool 100 transmits the data input through this input method by including it in the second signal, and the transmitted second signal is received by the plurality of beacons 2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ing-type input tool 100 transmits the second signal with a constant intensity.

이하에서는 이러한 각 구성부들의 구성 및 작동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each of thes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에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의 운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상현실 기기(200)는 링형 입력도구(100)와 페어를 이루어 서비스 제공영역(A1)에서 운용된다. 가상현실 기기(200)는 자이로 센서(210), 지자기 센서(220), 통신부(230), 디스플레이(240), 촬영부(250), 위치 측정부(260) 및 화면 구성부(270)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virtual reality device 200 forms a pair with the ring-type input tool 100 and is operated 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A1. The virtual reality device 200 includes a gyro sensor 210, a geomagnetic sensor 220, a communication unit 230, a display 240, a photographing unit 250, a position measurement unit 260, and a screen configuration unit 270. do.

자이로 센서(210)와 지자기 센서(220)는 가상현실 기기(200)에 구비되어 가상현실 기기(200)가 향하는 방향과 기울어진 정도 등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240)에 표시될 공동주택의 영상 또는 3D 이미지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gyro sensor 210 and the geomagnetic sensor 220 are provided in the virtual reality device 200 to calculate the direction and inclination of the virtual reality device 200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240 or the image of the apartment house. Allows you to select 3D images.

통신부(230)는 비콘 및 중앙서버 등과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디스플레이(240)는 가상현실 기기(200)가 향하거나 기울어진 방향에 대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촬영부(250)는 디스플레이(240)가 향하는 방향의 영상을 촬영하여 디스플레이(240)에 표시될 기본 영상으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촬영부(250)가 없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240)를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240) 자체를 통하여 보이는 모델 하우스 등의 광경을 기본 영상으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mmunication unit 230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a beacon and a central server, and the display 240 serves to display an image of a direction in which the virtual reality device 200 is facing or inclined to a user. The photographing unit 250 may take an image in the direction the display 240 is facing and use it as a basic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240, and if there is no photographing unit 250, the display 240 is used as a transparent display. Thus,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cene such as a model house seen through the display 240 itself as a basic image.

위치 측정부(260)는 복수의 비콘으로부터 전달되는 제1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여 서비스 제공 구역내에서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측정부를 포함한다. 위치 측정부(260)는 가장 신호의 세기가 큰 비콘으로부터 전송되는 3개의 신호를 이용하여 삼각측정법에 의하여 거리를 측정한다. 이에 더하여 위치 측정부(260)는 앞서 설명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특정 위치와 해당 위치에서의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The location measurement unit 260 includes a location measurement unit that measures the magnitude of a first signal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beacons and calculates a location within a service provision area. The position measuring unit 260 measures a distance by triangulation using three signals transmitted from a beacon having the highest signal strength. In addition,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260 may receive data from the gyro sensor and the geomagnetic sensor described above and calculate a specific position and a direction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화면 구성부(270)는 디스플레이(240)를 통하여 표시될 화면을 구성한다. 화면 구성부(270)는 촬영부(260)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이나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3D 그래픽 데이터를 기본으로 하여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 3D 그래픽 데이터를 덫씌우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240)에 표시될 내용을 구성한다. 이 때 화면 구성부(270)는 위치 측정부(260)에 의하여 산출된 위치가 서비스 제공 지역(A1) 중 미리 지정된 특정 구역(A2) 내에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 3D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및 선택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가상현실/증강현실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creen configuration unit 270 configures a screen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240. The screen configuration unit 270 is based on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260 or the first 3D graphic data stored in the first database, and the second 3D graphic data stored in the second database is trapped on the display 240. Configure the content to be displayed in ). At this time, the screen configuration unit 270 determines that the location calculated by the location measurement unit 260 enters a predetermined specific area A2 among the service provision area A1, the second 3D stored in the second database. A first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nd selecting graphic data may be provided to a user through the virtual reality/augmented reality.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링형 입력도구를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링형 입력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링형 입력도구 중 외측링의 내부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링 및 외측링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A ring-type input too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ing-type input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ner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n outer ring among the ring-type input tools of FIG. 3, and FIG. 6 is an inner ring and an outer 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of.

본 실시예에 따른 링형 입력도구(100)는 상술한 가상현실 기기와 페어링 되어 제1 인터페이스에서 표시되는 선택사항이나 리스트의 스크롤, 선택 취소 등의 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 도구로서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형 입력도구(100)는 팔찌형 또는 반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ring-type input too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aired with the above-described virtual reality device and is used as an input tool for executing an event such as scrolling of a selection, list, or canceling a selection displayed in the first interface. The ring-shaped input too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bracelet shape or a ring shape.

링형 입력도구는 타 링형 입력도구와 식별하기 위한 입력도구 식별번호를 제2 신호로 발신한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복수의 비콘들 각각은 제2 신호에 포함된 입력도구 식별번호와 제2 신호의 수신 세기를 상기 제1 신호로 하여 발신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가상현실 기기(200)는 제1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산출할 뿐 아니라 링형 입력도구의 상대적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The ring-type input tool transmits an input tool identification number for identification with other ring-type input tools as a second signal. 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beacons described above transmits the input device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second signal and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second signal as the first signal. Through this process, the virtual reality device 200 receives the first signal and calculates its own position as well a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ring-type input tool.

즉, 가상현실 기기의 위치 측정부는 복수의 비콘으로부터 발신되는 상기 제1 신호 중 포함된 링형 입력도구 식별번호를 참조하여 자신과 페어링된 입력도구와 관련된 복수의 제1 신호를 식별하고, 식별된 복수의 제1 신호에 포함된 제2 신호의 수신 세기를 비교하여 링형 입력도구의 위치와 가상현실 기기를 기준으로한 링형 입력도구의 상대적인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That is, the position measuring unit of the virtual reality device identifies a plurality of first signals related to the input tool paired with the first signal by referring to the ring-shaped input tool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among the first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beacons, and The position of the ring-type input tool and the relative direction of the ring-type input tool based on the virtual reality device may be calculated by comparing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second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of.

한편, 링형 입력도구(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링(120)과 외측링(110)을 포함한다. 내측링(120)은 사용자의 손가락 및 손목 중 어느 하나의 둘레에 착용될 수 있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외측링(120)은 내측링(110)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고, 내측링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된다.Meanwhile, the ring-type input tool 100 includes an inner ring 120 and an outer ring 110 as shown in FIG. 4. The inner ring 120 is formed in a ring shape so that it can be worn around any one of a user's finger and wrist. The outer ring 120 is provid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ring 110 and is provided to rotat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ring.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측링 몸체부(111)는 외측면에 클릭부(113)가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한 제1 공간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호형의 제1 홈(112)이 형성된다. 외측링(110)은 링 형상의 절연재질로 형성되고, 제1 공간부와 제1 홈(112)의 사이에 관통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도성 물질로 채워지는 비아홀(118)이 형성될 수 있다. 측면단자(115)는 외측링 몸체부(111)의 측면으로부터 제1 공간부 측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며, 하부단자(117)는 제1 홈(112)의 비아홀(118)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전도성 패턴(1160은 제1 공간부의 측면 및 저면에 전도성 재질로 프린팅되어 형성되며, 측면단자(115)와 비아홀(118)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클릭부(113)은 제1 공간부 내에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며, 클리부(113)를 클릭하는 경우 제1 홈(112)이 압박됨으로써 하부 단자(117)가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하부 단자(117)가 내측링과 접촉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the outer ring body 111 has a first concave space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o accommodate the click portion 113, and an arc-shaped first groove 11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do. The outer ring 110 is formed of a ring-shaped insulating material, is formed in a groove shape that penetrates between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first groove 112 to form a via hole 118 fill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 The side terminal 115 is provided to penetrate from the side of the outer ring body 111 toward the first space, and the lower terminal 117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ia hole 118 of the first groove 112 . The conductive pattern 1160 is formed by prin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side and bottom of the first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side terminal 115 and the via hole 118. The click part 113 is soft in the first space. It is formed of a material, and when the click part 113 is clicked, the lower terminal 117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by pressing the first groove 112. Through this process, the lower terminal 117 is moved to the inner ring and the inner ring. Come into contact.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내측링(120)은 외측링(110)이 회전하는 경우 측면단자(115)와 접촉하는 측면 접촉부(125)와, 클릭부의 가압시 하부 단자(117)와 접촉하는 저면 접촉부(127)를 포함한다. 이 때 하부 단자(117)와 저면 접촉부(127)가 접촉되는 경우 폐회로가 형성되어 전기가 흐르는 것을 감지하는 클릭 감지부를 포함하여 클릭이 되었는지와 클릭이 유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inner ring 120 includes a side contact portion 125 that contacts the side terminal 115 when the outer ring 110 rotates, and the lower terminal 117 when the click portion is pressed. It includes a bottom contact portion 127. In this case, when the lower terminal 117 and the bottom contacting portion 127 contact each other, a closed circuit is formed to determine whether a click has been performed and whether the click is maintained by including a click detector that senses the flow of electricity.

이와 같은 링형 입력도구는 일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측면단자 및 하부단자 쌍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가상현실 기기(200)는 객체 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화면 상에 링형 입력도구를 인식하고, 해당 이미지 상에 가상의 숫자, 텍스트 및 도형 중 어느 하나의 표시를 하여 링형 입력도구의 복수의 측면단자 및 하부단자 쌍의 구분 표시를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필요한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uch a ring-type input tool may include a plurality of side terminals and a pair of lower terminal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virtual reality device 200 recognizes a ring-type input tool on the screen displayed to the user using object recognition technology, and displays any one of a virtual number, text, and figure on the image to be a ring-type input tool. By distinguishing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pairs of side terminals and lower terminals of, a user can use them to input necessary inputs.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ed in the claims. have.

100: 링형 입력도구
110: 외측링
120: 내측링
200: 가상현실 장치
260: 위치 측정부
100: Ring type input tool
110: outer ring
120: inner ring
200: virtual reality device
260: position measuring unit

Claims (7)

공동주택 구조 관람을 위한 모델 하우스 또는 체험공간 중 어느 하나인 서비스 제공영역 내에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공동주택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 내에 복수개 구비되어 블루투스 신호를 발신하는 복수의 비콘;
상기 공동주택의 내부에 대응하는 제1 3D 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공동주택 중 추가 공사 가능 영역에 대한 공사종류, 투입재 종류, 마감재 종류 등에 의한 제2 3D 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 데이터베이스;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 내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착용되며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3D 그래픽 데이터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가상현실 기기; 및
상기 가상현실 기기를 착용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고 상기 복수의 비콘에 일정한 세기의 신호를 전달하는 링형 입력도구;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현실 기기는, 복수의 상기 비콘으로부터 전달되는 제1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여 서비스 제공 구역내에서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형 입력도구는 타 링형 입력도구와 식별하기 위한 입력도구 식별번호를 제2 신호로 발신하고,
상기 복수의 비콘들 각각은 상기 제2 신호에 포함된 입력도구 식별번호와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세기를 상기 제1 신호로 하여 발신하고,
상기 위치 측정부에 의하여 산출된 위치가 상기 서비스 제공 지역 중 미리 지정된 특정 구역 내에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 3D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및 선택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링형 입력도구는,
사용자의 손가락 및 손목 중 어느 하나의 둘레에 착용되는 내측링; 및
상기 내측링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내측링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외측링;을 포함하는 공동주택 구조정보 안내시스템.
In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apartment hous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within a service providing area that is either a model house for viewing the structure of an apartment house or an experience space,
A plurality of beacons provided 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to transmit a Bluetooth signal;
A first database in which first 3D graphic data corresponding to the interior of the apartment house is stored;
A second database for storing second 3D graphic data based on a type of construction, a type of input material, a type of finishing material, etc. of the area where additional construction is possible among the apartment houses;
A virtual reality device worn by a user with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and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o the user using 3D graphic data stored in the first database and the second database; And
Including; a ring-type input tool for receiving an input from a user wearing the virtual reality device and transmitt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to the plurality of beacons,
The virtual reality device includes a location measuring unit for calculating a location within a service provision area by measuring the magnitude of the fir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beacons,
The ring-type input tool transmits an input tool identification number for identification with another ring-type input tool as a second signal,
Each of the plurality of beacons transmits an input tool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second signal and a reception strength of the second signal as the first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calculated by the location measurement unit enters a predetermined specific area among the service provision areas, a first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nd selecting the second 3D graphic data stored in the second database is provided with the virtual Provided to the user by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The ring-shaped input tool,
An inner ring worn around any one of a user's finger and wrist; And
An outer ring provid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ring and provided to rotate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ner 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부는 복수의 비콘으로부터 발신되는 상기 제1 신호 중 포함된 입력도구 식별번호를 참조하여 자신과 페어링된 입력도구와 관련된 복수의 제1 신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복수의 제1 신호에 포함된 제2 신호의 수신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링형 입력도구의 위치와 상기 가상현실 기기를 기준으로 상기 링형 입력도구의 상대적인 방향을 산출하는 공동주택 구조정보 안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ation measuring unit identifies a plurality of first signals related to an input tool paired with the first signal by referring to an input tool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among the first signal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beacons, and to the identified plurality of first signals. An apartment structure information guidance system for calculating a relative direction of the ring-type input tool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ring-type input tool and the virtual reality device by comparing the received intensity of the included second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링은,
외측면에 오목한 제1 공간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 호형의 제1 홈이 형성되며, 링 형상의 절연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1 홈을 관통하여 전도성 물질로 채워지는 비아홀이 형성되는 외측링 몸체부;
상기 외측링 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공간부 측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는 측면단자;
상기 제1 홈의 상기 비아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하부단자;
상기 제1 공간부의 측면 및 저면에 프린팅되고, 상기 측면단자와 상기 비아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성 패턴; 및
상기 제1 공간부에 구비되고,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클릭부;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링은,
상기 내측링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측면단자와 상시 접촉하는 측면 접촉부;
상기 클릭부의 가압시 상기 제1 홈과 함께 중심축 방향으로 압박되는 하부 단자와 접촉하는 저면 접촉부; 및
상기 하부 단자와 상기 저면 접촉부가 접촉되는 경우 폐회로가 형성되어 전기가 흐르는 것을 감지하는 클릭 감지부;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구조정보 안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ring,
A concave first spa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 arc-shaped first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is formed of a ring-shaped insulating material, and is fill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through the first space and the first groove. An outer ring body in which a via hole is formed;
A side terminal provided to penetrate from a side surface of the outer ring body portion toward the first space portion;
A lower terminal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ia hole in the first groove;
A conductive pattern printed on a s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ide terminal and the via hole; And
Includes; a click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and formed of a soft material,
The inner ring,
A side contact portion that is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side terminal when the inner ring rotates;
A bottom contact portion contacting a lower terminal pressed in a direction of a central axis together with the first groove when the click portion is pressed; And
Apartment structure information guidance system comprising; a click sensing unit for sensing that electricity flows by forming a closed circuit when the lower terminal and the bottom contact portion are in contac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입력도구는 복수의 측면단자 및 하부단자 쌍을 구비하고,
상기 가상현실 기기는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화면 상에 상기 링형 입력도구의 이미지 상에 가상의 숫자, 텍스트 및 도형 중 어느 하나의 표시를 하여 상기 링형 입력도구의 복수의 측면단자 및 하부단자 쌍의 구분 표시를 하는 공동주택 구조정보 안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ring-type input tool has a plurality of side terminals and a pair of lower terminals,
The virtual reality device displays any one of virtual numbers, texts, and figures on the image of the ring-type input tool on the screen displayed to the user, and displays a plurality of side terminals and lower terminal pairs of the ring-type input tool. Information system for the structure of the apartment complex.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기기에 의하여 상기 링형 입력도구에 의하여 선택된 사항 및 관람 히스트로리가 저장되는 고객 이력 저장서버;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구조정보 안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Apartment structure information information system comprising a; customer history storage server in which the items selected by the ring-type input tool and the viewing histories are stored by the virtual reality device.
KR1020200076620A 2020-06-23 2020-06-23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partment housing information system KR1022250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620A KR102225014B1 (en) 2020-06-23 2020-06-23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partment housing inform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620A KR102225014B1 (en) 2020-06-23 2020-06-23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partment housing inform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014B1 true KR102225014B1 (en) 2021-03-12

Family

ID=7517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620A KR102225014B1 (en) 2020-06-23 2020-06-23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partment housing inform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01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612A (en) * 2018-01-02 2019-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model hou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612A (en) * 2018-01-02 2019-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model ho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17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ield based augmented reality using digital twin
CN110209952B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3827728B (en) Use optical block identification destination object
US11816707B2 (en) Augmented reality systems for facilitating real-time charity donations
KR101501032B1 (en) A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beacon and sevice providing methods using the system
US201402258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esenting and interacting with geo-located markers
US20230353976A1 (en) Social media systems and methods and mobile devices therefor
US20170359456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head wearable devices
JP6800820B2 (en) People flow analysis method, people flow analyzer, and people flow analysis system
US20190320061A1 (en) Proximity-based event networking system and wearable augmented reality clothing
KR102014761B1 (en) Method and system for sorting a search result with space objects,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device
US11532227B2 (en) Discovery of and connection to remote devices
KR102009223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anagement of location-based space object
WO2015155841A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US20140067624A1 (en) Accessing a shopping service through a game console
US20150262269A1 (en) Customer selection determination system
KR20190133909A (en)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based on location
EP3388958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iewability of location-based spatial object
KR102225014B1 (e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partment housing information system
CN105654619A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N111754272A (en) Advertisement recommendation method, recommended advertisement display method, device and equipment
JP2021039784A (en) Purchase product estimation device
CN110619558B (en) Search sorting method, system and equipment for online lodging products
KR101663931B1 (en) Printing service system using mobile phone
US20180129378A1 (en) Enhanced tools to present and collect user information from computing device scre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