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808B1 - Vehicle rear floor structure - Google Patents

Vehicle rear floor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808B1
KR102224808B1 KR1020190113675A KR20190113675A KR102224808B1 KR 102224808 B1 KR102224808 B1 KR 102224808B1 KR 1020190113675 A KR1020190113675 A KR 1020190113675A KR 20190113675 A KR20190113675 A KR 20190113675A KR 102224808 B1 KR102224808 B1 KR 102224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wall
mounting portion
coupled
rea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식
이병천
정희석
홍덕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8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8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r floor structure for a vehicle capable of preventing breakage or separation by a strong imp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r floor structure for a vehicle comprises: a rear floor panel having a mounting portion on which passenger safety parts are mounted; a pair of rear side members mount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floor panel; a rear transverse member connecting the pair of rear side members; and a mounting bracket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rear floor panel.

Description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VEHICLE REAR FLOOR STRUCTURE}Vehicle rear floor structure {VEHICLE REAR FLOOR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안전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고강도로 구성함으로써 장착부가 강한 충격에 의해 파단되거나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floor structur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r floor structure for a vehicle capable of preventing the mounting portion from being broken or separated by a strong impact by configuring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passenger safety component with high strength.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body) 및 샤시(chassis)로 구성된다. 샤시는 엔진, 동력전달장치(power train), 조향장치(steering system), 제동장치(brake system),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 등이 프레임(frame)에 장착된 것을 의미한다. 차체는 메인 차체, 차체 외장, 차체 내장 등으로 이루어진다. In general, automobiles are composed of a body and a chassis. Chassis means that an engine, a power train, a steering system, a brake system, a suspension system, etc. are mounted on a frame. The body is composed of the main body, the exterior of the body, and the interior of the body.

차량의 차체는 그 하부에 배치된 센터플로어패널 및 리어플로어패널을 포함하고, 리어플로어패널에는 리어시트, 시트벨트 앵커 등과 같은 승객안전부품이 장착된다. The vehicle body includes a center floor panel and a rear floor panel disposed under the vehicle body, and passenger safety components such as a rear seat and a seat belt anchor are mounted on the rear floor panel.

종래기술에 따르면, 리어플로어패널은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어횡방향멤버를 가지고, 리어횡방향멤버는 리어플로어패널에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된다. 특히 리어횡방향멤버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속된 일정한 단면을 가질 수 있고, 리어횡방향멤버는 리어 시트, 시트벨트 앵커 등과 같은 승객안전부품이 장착되는 복수의 장착부를 가진다. 각 장착부는 리어횡방향멤버에 결합되는 장착브라켓로 구성되고, 상술한 승객안전부품이 장착브라켓에 장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rear floor panel has a rear transverse member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rear transverse member is coupled to the rear floor panel through welding or fasteners. In particular, the rear transverse member may have a constant cross section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rear transverse member has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on which passenger safety components such as a rear seat and a seat belt anchor are mounted. Each mounting portion is composed of a mounting bracket coupled to the rear transverse member, the above-described passenger safety parts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bracket.

리어횡방향멤버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을 동일하게 유지하므로 승객안전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부만을 고강도로 구성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장착부에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장착브라켓과 리어횡방향멤버의 결합부에 집중하중이 인가됨으로써 장착브라켓이 파단되거나 장착브라켓이 리어횡방향멤버로부터 이탈되는 단점이 있었다. Since the rear transverse member maintains the same constant cross section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difficult to configure only the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passenger safety component is mounted with high strength. For this reason, when a relatively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mounting portion, a concentrated load is appli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rear lateral member, thereby causing the mounting bracket to break or the mounting bracket to be separated from the rear lateral member.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tters described in this background are prepared to enhance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other than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승객안전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고강도로 구성함으로써 장착부가 강한 충격에 의해 파단되거나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nd provides a rear floor structure for a vehicle capable of preventing the mounting portion from being broken or separated by a strong impact by configuring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passenger safety component with high strength. There is a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는, A vehicle rear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승객안전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진 리어플로어패널;A rear floor panel having a mounting portion on which passenger safety parts are mounted;

상기 리어플로어패널의 좌우 양측에 장착된 한 쌍의 리어사이드멤버;A pair of rear side members moun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floor panel;

상기 한 쌍의 리어사이드멤버를 연결하는 리어횡방향멤버; 및A rear transverse member connecting the pair of rear side members; And

상기 리어플로어패널의 장착부에 결합되는 장착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 mounting bracket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rear floor panel.

상기 장착부는 상기 리어플로어패널의 후방단에서 상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리어플로어패널의 후방단 및 상기 장착부의 후방단이 상기 리어횡방향멤버에 결합될 수 있다. The mounting portion protrudes upward from a rear end of the rear floor panel, and a rear end of the rear floor panel and a rea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rear transverse member.

상기 리어횡방향멤버는 상기 장착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연속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The rear transverse member may have a continuous cross section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rtion.

상기 장착브라켓의 적어도 일부면은 상기 장착부의 일부면에 중첩 및 결합되고, 상기 장착브라켓의 다른 일부면은 상기 리어횡방향멤버의 일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mounting bracket may overlap and be coupled to a partial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other partial surface of the mounting bracket may be coupled to a partial surface of the rear transverse member.

상기 장착브라켓 및 상기 장착부는 2 이상의 로드패스를 한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mount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limit two or more road passes.

상기 장착부는 승객안전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벽과, 상기 장착벽의 아래에 위치한 하측 가장자리와, 상기 장착벽의 후방단으로부터 연장된 제1후방측 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후방측 플랜지는 상기 리어횡방향멤버에 결합될 수 있다. The mounting portion may have a mounting wall on which the passenger safety component is mounted, a lower edge located under the mounting wall, and a first rear flange extending from a rear end of the mounting wall. The first rear flange may be coupled to the rear transverse member.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장착벽에 결합되는 결합벽과, 상기 장착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하측 플랜지과, 상기 결합벽의 후방단으로부터 연장된 후방벽과, 상기 후방벽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후방측 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후방벽은 상기 장착벽의 후방단 및 상기 제1후방측 플랜지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2후방측 플랜지는 상기 리어횡방향멤버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mounting bracket includes a coupling wall coupled to the mounting wall, a lower flange coupled to a lower edge of the mounting portion, a rear wall extending from a rear end of the coupling wall, and a second rear side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rear wall. It can have a flange. The rear wall may extend to cross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wall and the first rear flange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second rear flange may be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rear transverse member.

상기 장착부 및 상기 장착브라켓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mounting bracket.

상기 보강재는 상기 장착브라켓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material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bracket.

상기 보강재는 상기 장착부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material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상기 보강재는 상기 장착부 및 상기 장착브라켓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material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mounting bracket.

상기 보강재는 상기 리어횡방향멤버를 향해 연장된 연장벽과, 상기 연장벽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리어횡방향멤버에 결합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wall extending toward the rear transverse member and a flange form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wall. The flange may be coupled to the rear transverse member.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객안전부품인 리어시트, 시트벨트 앵커 등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리어플로어패널의 후방단으로부터 돌출하고, 리어플로어패널의 후방단이 리어횡방향멤버에 결합되며, 장착브라켓이 장착부 및 리어횡방향멤버에 결합되고, 장착브라켓 및 장착부는 2이상의 로드패스를 한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강한 충격이 장착부에 가해지더라도 장착부가 파단되거나 이탈됨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unting portion on which a passenger safety component, such as a rear seat and a seat belt anchor, is mounted, protrudes from the rear end of the rear floor panel, the rear end of the rear floor panel is coupled to the rear transverse member, and the mounting bracket is mounted. And the rear transverse member, and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mounting portion are configured to limit two or more road passes, so that even if a strong impact is applied to the mounting portion, the mounting porti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broken or separated.

특히, 본 발명은 연속단면으로 구성된 리어횡방향멤버를 구비한 리어플로어구조에서도 승객안전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부에 대한 강도 내지 강성을 강화할 수 있으므로 설계 자유도를 상승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a rear floor structure having a rear transverse member configured in a continuous section, the strength or rigidity of the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passenger safety component is mounted can be enhanced, thereby increasing the degree of design freedom.

그리고, 본 발명은 승객안전부품인 리어시트, 시트벨트 앵커 등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2 이상의 로드패스에 의해 하중이 분산될 수 있으므로 품질불량, 내구열화 등이 발생하더라도 장착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upport the mounting portion even if quality defects and durability deterioration occur, since the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passenger safety components such as the rear seat and seat belt anchors are mounted can be distributed by two or more road passes.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장착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floor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floor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bracket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ar floor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ar floor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ar floor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and the like may be used. These terms are for distinguishing the constituent element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10)는 하나 이상의 장착부(20)를 가진 리어플로어패널(11)과, 리어플로어패널(11)의 좌우 양측에 장착된 한 쌍의 리어사이드멤버(12)와, 한 쌍의 리어사이드멤버(12)를 연결하는 리어횡방향멤버(13)과, 리어플로어패널(11)의 장착부(20)에 결합되는 장착브라켓(30)을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rear floor structure 10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floor panel 11 having one or more mounting portions 20, and a pair moun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floor panel 11 The rear side member 12 of, a rear transverse member 13 connecting the pair of rear side members 12, and a mounting bracket 30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20 of the rear floor panel 11 Can include.

리어플로어패널(11)은 차체의 바닥을 구성하도록 차체의 하부 후방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플로어패널(11)은 그 좌우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11a)를 가질 수 있다. 리어플로어패널(11)의 전방에는 센터플로어패널(15, 또는 프론트플로어패널이라 지칭됨)이 연결될 수 있다. 리어플로어패널(11)과 센터플로어패널(15) 사이에는 수직으로 직립한 킥업플레이트(16, kick-up plate)가 배치될 수 있고, 킥업플레이트(16)는 리어플로어패널(11)의 전방단 및 센터플로어패널(15)의 후방단 사이에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터플로어패널(15) 및 리어플로어패널(11)은 킥업플레이트(16)에 의해 계단식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The rear floor panel 11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vehicle body to constitute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The rear floor panel 11 may have a pair of flanges 11a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 center floor panel 15 (also referred to as a front floor panel)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rear floor panel 11. A vertically upright kick-up plate 1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ear floor panel 11 and the center floor panel 15, and the kick-up plate 16 is the front end of the rear floor panel 11 And it may be coupl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center floor panel 15 through welding, fasteners, or the like. Thereby, the center floor panel 15 and the rear floor panel 11 can be arranged in a stepwise structure by the kick-up plate 16.

리어플로어패널(11)은 리어시트, 시트벨트 앵커 등과 같은 승객안전부품이 장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장착부(20)를 가질 수 있고, 장착부(20)는 리어플로어패널(11)의 후방단에서 상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The rear floor panel 11 may have one or more mounting portions 20 to which passenger safety components such as a rear seat and a seat belt anchor can be mounted, and the mounting portion 20 is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rear floor panel 11. Can protrud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20)는 프레스공법, 주조공법 등을 통해 리어플로어패널(11)의 후방단에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장착부(20) 및 리어플로어패널(11)은 단일체(unitary one-piece structure)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unting portion 20 may be formed as a single body at the rear end of the rear floor panel 11 through a press method, a casting method, or the like. That is, the mounting portion 20 and the rear floor panel 11 may be configured as a unitary one-piece structure.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장착부(20)는 리어시트, 시트벨트 앵커 등과 같은 승객안전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벽(21)과, 장착벽(21)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제1측벽(22)과, 장착벽(21)의 전방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 제1전방벽(23)과, 장착벽(21)의 아래에 위치한 하측 가장자리(24)와, 장착벽(21)의 후방단(26)으로부터 연장된 제1후방측 플랜지(27)를 가질 수 있다. 2 and 4, the mounting portion 20 includes a mounting wall 21 on which passenger safety components such as a rear seat, a seat belt anchor, etc. are mounted, and a pair of first The side wall 22, the first front wall 23 obliquely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wall 21, the lower edge 24 located under the mounting wall 21, and the rear of the mounting wall 21 It may have a first rear flange 27 extending from the end 26.

장착벽(21)은 수평방향을 따라 평탄하거나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고, 리어시트, 시트벨트 앵커 등과 같은 승객안전부품이 장착벽(21)에 장착부재(28)를 통해 장착될 수 있다. The mounting wall 21 may extend flat or inclin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passenger safety components such as a rear seat and a seat belt anchor may be mounted to the mounting wall 21 through a mounting member 28.

제1전방벽(23)이 리어플로어패널(11)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front wall 23 may extend obliquely from the rear floor panel 11 at a predetermined angle.

하측 가장자리(24)는 제1전방벽(23)의 하단 및 제1측벽(22)들의 하단으로부터 평탄하게 연장될 수 있다. 특히, 하측 가장자리(24)는 리어플로어패널(11)로부터 단일체로서 연속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장착부(20) 및 리어플로어패널(11)는 단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ower edge 24 may extend flat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ont wall 23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side walls 22. In particular, the lower edge 24 may be continuous from the rear floor panel 11 as a single body, and through this, the mounting portion 20 and the rear floor panel 11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body.

제1후방측 플랜지(27)는 리어횡방향멤버(13)의 하부 전방면(13a)과 부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제1후방측 플랜지(27)는 리어횡방향멤버(13)의 하부 전방면(13a)에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와 같이 리어횡방향멤버(13)의 하부 전방면(13a)이 경사질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제1후방측 플랜지(27)는 장착벽(21)의 후방단(26)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후방측 플랜지(27)는 리어횡방향멤버(13)의 하부 전방면(13a)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rear side flange 27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front surface 13a of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and thus the first rear side flange 27 is It may be hermetically coupled to the lower front surface 13a through welding or fastener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lower front surface 13a of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may be inclined, and correspondingly, the first rear flange 27 is from the rear end 26 of the mounting wall 21. It can be extended obliquely. That is, the first rear-side flange 27 may extend obliquely along the lower front surface 13a of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장착부(20)가 리어플로어패널(11)의 후방단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함으로써 장착부(20)는 리어플로어패널(11)의 저면으로부터 함몰된 제1함몰공간(25)을 가질 수 있다. 제1함몰공간(25)은 장착벽(21), 한 쌍의 제1측벽(22), 제1전방벽(23)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장착부(20)의 제1함몰공간(25)에는 장착브라켓(30)이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As the mounting portion 20 protrudes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rear floor panel 11, the mounting portion 20 may have a first recessed space 25 recess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loor panel 11. The first recessed space 25 may be defined by a mounting wall 21, a pair of first side walls 22, and a first front wall 23, and the first recessed space 25 of the mounting portion 20 In the mounting bracket 30 may be coupled through welding, fasteners, or the like.

한 쌍의 리어사이드멤버(12)가 리어플로어패널(11)의 양측에 장착될 수 있다 리어플로어패널(11)의 각 플랜지(11a)가 해당하는 각 리어사이드멤버(12)에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리어사이드멤버(12)가 리어플로어패널(11)의 양측에 장착될 수 있다. A pair of rear side members 12 can b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floor panel 11. Each flange 11a of the rear floor panel 11 is welded to the corresponding rear side member 12, and a fastener The pair of rear side members 12 may b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floor panel 11 by being coupled through the back.

리어플로어패널(11)의 후방단이 용접 등을 통해 리어횡방향멤버(13)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장착부(20)의 후방단이 용접 등을 통해 리어횡방향멤버(13)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횡방향멤버(13)는 차체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리어횡방향멤버(13)는 일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도 4와 같이 리어횡방향멤버(13)는 밀폐된 캐비티를 한정하는 폐쇄형단면을 가질 수 있다. 리어횡방향 멤버(13)는 용접 등을 통해 리어플로어패널(11)의 후방단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횡방향멤버(13)의 각 단부가 각 리어사이드멤버(12)에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직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리어횡방향멤버(13)는 차체의 폭방향을 따라 한 쌍의 리어사이드멤버(12)를 연결할 수 있다. The rear end of the rear floor panel 11 may be coupled to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through welding or the like, and correspondingly,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20 is attached to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through welding or the like. Can be combined.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may exten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may have a certain cross s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is a closed cavity. It may have a closed cross-section defining a.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may be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rear floor panel 11 through welding or the like. Since each end of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is directly coupled to each rear side member 12 through welding, fasteners, etc.,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is a pair of rear side member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12) can be connec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어횡방향멤버(13)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 동일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리어횡방향멤버(13)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 동일 단면을 가진 압출재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may have the same cross-section continuously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ly,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may be composed of an extruded material having the same cross-section continuously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어횡방향멤버(13)는 리어플로어패널(11)의 장착부(20)가 결합되는 부분에서만 연속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즉, 리어횡방향멤버(13)는 장착부(20)의 폭방향을 따라 연속된 동일 단면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may have a continuous cross section only at a portion to which the mounting portion 20 of the rear floor panel 11 is coupled. That is,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may have the same cross-section continuously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20.

장착브라켓(30) 및 장착부(20)는 2 이상의 로드패스(L1, L2)를 한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착브라켓(30)은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장착부(20) 및 리어횡방향멤버(13)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장착브라켓(30)은 장착부(20)의 제1함몰공간(25) 아래에서 상향으로 로딩되어 장착부(20)의 저면에 조립될 수 있다. 장착브라켓(30)이 장착부(20)의 제1함몰공간(25)를 통해 장착부(20)의 저면에 결합됨으로써 장착브라켓(30)은 장착부(20)의 강도 내지 강성을 구조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The mounting bracket 30 and the mounting portion 20 may be configured to limit two or more load paths L1 and L2. The mounting bracket 30 may be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20 and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through welding, fasteners, or the like. In particular, the mounting bracket 30 may be load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recessed space 25 of the mounting portion 20 and assemb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20. Since the mounting bracket 3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mounting portion 20 through the first recessed space 25 of the mounting portion 20, the mounting bracket 30 can structurally reinforce the strength or rigidity of the mounting portion 2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장착브라켓(30)의 적어도 일부면은 장착부(20)의 적어도 일부면에 중첩 및 결합(면착)될 수 있고, 장착브라켓(30)의 다른 일부면은 리어횡방향멤버(13)의 일부면에 중첩 및 결합(면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some surfaces of the mounting bracket 30 may be overlapped and combined (face-attached) on at least some surfaces of the mounting portion 20, and the other partial surfaces of the mounting bracket 30 are rear transverse directions. It may be overlapped and bonded (surface-attached) on some surfaces of the member 13.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브라켓(30)은 장착부(20)의 장착벽(21)에 부합하는 결합벽(31)과, 결합벽(31)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제2측벽(32)과, 결합벽(31)의 전방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 제2전방벽(33)과, 제2전방벽(33)의 하단 및 측벽(32)들의 하단에 연결된 하측 플랜지(34)과, 결합벽(31)의 후방단으로부터 연장된 후방벽(36)과, 후방벽(36)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후방측 플랜지(37)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unting bracket 30 includes a coupling wall 31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wall 21 of the mounting portion 20, and a pair of second side walls 32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wall 31. ), the second front wall 33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wall 31, the lower flange 34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ront wall 33 and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s 32, and the coupling It may have a rear wall 36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wall 31 and a second rear side flange 37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rear wall 36.

결합벽(31)은 수평방향을 따라 평탄하거나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결합면(31)은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장착벽(21)의 저면에 중첩 및 결합(면착)될 수 있다. 장착부재(28)가 결합면(31)의 저면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리어시트, 시트벨트 앵커 등과 같은 승객안전부품이 장착벽(21) 및 결합벽(31)에 장착부재(28)를 통해 장착될 수 있다. The coupling wall 31 may extend flat or inclin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oupling surface 31 may be superimposed and coupled (face conta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wall 21 through welding or fasteners. Mounting member 28 can b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oupling surface 31 by welding, etc., and thus, passenger safety components such as rear seats and seat belt anchors are mounted on the mounting wall 21 and the coupling wall 31 Can be mounted through (28).

제2전방벽(33)이 장착부(20)의 제1전방벽(23)에 대응하는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The second front wall 33 may extend obliquely at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ont wall 23 of the mounting part 20.

하측 플랜지(34)는 제2전방벽(33)의 하단 및 제2측벽(32)들의 하단으로부터 평탄하게 연장될 수 있다. 특히, 하측 플랜지(34)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장착부(20)의 하측 가장자리(24)에 중첩 및 결합(면착)될 수 있다. The lower flange 34 may extend flat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ront wall 33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walls 32. In particular, the lower flange 34 may be superimposed and coupled (face contacted) to the lower edge 24 of the mounting portion 20 through welding, fasteners, or the like.

후방벽(36)은 제2전방벽(33)의 후방단으로부터 리어횡방향멤버(13)의 저면(13b)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후방벽(36)은 장착벽(21)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교차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특히, 후방벽(36)은 장착벽(21)의 후방단(26) 및 리어횡방향멤버(13)의 하부 전방면(13a)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후방벽(36)은 결합벽(31)의 후방단으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연장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후방벽(36)은 리어횡방향멤버(13)의 하부 전방면(13a)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후방벽(36), 리어횡방향멤버(13)의 하부 전방면(13a), 및 장착벽(21)의 후방단(26)은 삼각형 형상의 폐단면공간(40)을 한정한다.The rear wall 36 may extend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front wall 33 toward the bottom surface 13b of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The rear wall 36 may extend from the mounting wall 21 to cross at a predetermined angle. In particular, the rear wall 36 may extend to cross the rear end 26 of the mounting wall 21 and the lower front surface 13a of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at a predetermined angle. 4, the rear wall 36 may exten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wall 31, through which the rear wall 36 is a lower front surface 13a of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 and the rear wall 36, the lower front surface 13a of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and the rear end 26 of the mounting wall 21 are triangular-shaped closed sectional space 40 Qualify.

도 4를 참조하면, 장착벽(21)의 후방단(26) 및 후방벽(36)은 장착벽(21)에 대해 2개로 분기된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하중(화살표 F 참조)이 장착부(20) 및/또는 장착부재(28)에 작용하는 경우에는 후방벽(36)을 따라 제1로드패스(화살표 L1 참조)가 한정될 수 있고, 장착벽(21)의 후방단(26)을 따라 제2로드패스(화살표 L2 참조)가 한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중이 2개의 로드패스(L1, L2)를 통해 분산됨으로써 장착부(20) 및 장착부재(28)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rear end 26 and the rear wall 36 of the mounting wall 21 are divided into two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wall 21, so that a relatively large load (refer to the arrow F) is applied to the mounting part. (20) and/or when acting on the mounting member 28, a first road path (see arrow L1) may be defined along the rear wall 36, and the rear end 26 of the mounting wall 21 Accordingly, the second road path (refer to arrow L2) may be limited. Through this, the load is distributed through the two load paths L1 and L2,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20 and the mounting member 28 can be firmly maintained.

제2후방측 플랜지(37)는 후방벽(36)의 하단으로부터 리어횡방향멤버(13)의 저면(13b)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제2후방측 플랜지(37)는 리어횡방향멤버(13)의 저면(13b)과 부합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2후방측 플랜지(37)는 후방벽(36)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에 제2후방측 플랜지(37)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리어횡방향멤버(13)의 저면(13b)에 중첩 및 결합(면착)될 수 있다. The second rear flange 37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rear wall 36 along the bottom surface 13b of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so that the second rear flange 37 is In particular, the second rear flange 37 may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rear wall 36, and thus the second rear flange 37 may be welded, It may be superimposed and combined (surface contacted) on the bottom surface 13b of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through fasteners or the like.

장착브라켓(30)은 결합벽(31), 제2전방벽(33), 후방벽(36)이 하측 가장자리(34) 및 제2후방측 플랜지(37)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함으로써 장착브라켓(30)은 제2함몰공간(35)을 가질 수 있다. 제2함몰공간(35)은 결합벽(31), 한 쌍의 측벽(32), 제2전방벽(33)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장착브라켓(30)의 제2함몰공간(35)에는 장착부재(28)가 위치할 수 있다. 나사, 볼트 등과 같은 장착부재(28)가 장착부(20)의 장착벽(21) 및 장착브라켓(30)의 결합면(31)을 관통하여 나사결합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리어시트, 시트벨트 앵커 등과 같은 승객안전부품이 장착부재(28)에 직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승객안전부품이 장착벽(21)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mounting bracket 30 is a mounting bracket 30 by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upling wall 31, the second front wall 33, and the rear wall 36 from the lower edge 34 and the second rear flange 37. May have a second recessed space 35. The second recessed space 35 may be defined by the coupling wall 31, a pair of side walls 32, and the second front wall 33, and the second recessed space 35 of the mounting bracket 30 Mounting member 28 may be located. Mounting members 28 such as screws and bolts may pass through the mounting wall 21 of the mounting portion 20 and the coupling surface 31 of the mounting bracket 30 and may be coupled through screwing or welding. A passenger safety component such as a rear seat, a seat belt anchor, etc.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28 so that the passenger safety component may be coupled to the mounting wall 21.

도 5를 참조하면, 장착부(20)를 추가적으로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50)가 장착부(20) 및 장착브라켓(3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보강재(50)는 장착브라켓(30)의 결합벽(31)의 저면에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보강재(50)는 장착부(20)의 장착벽(21)의 상면에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보강재(50)는 결합벽(31) 및 장착벽(2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 reinforcing material 50 for additionally reinforcing the mounting part 20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mounting part 20 and the mounting bracket 30. According to an example, the reinforcing material 50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wall 31 of the mounting bracket 30 through welding or fasteners.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reinforcing material 5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wall 21 of the mounting portion 20 through welding or fasteners.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reinforcing material 5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upling wall 31 and the mounting wall 21.

도 6을 참조하면, 장착부(20)를 추가적으로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60)가 결합벽(31) 및 장착벽(21)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보강재(60)는 리어횡방향멤버(13)를 향해 연장된 연장벽(61) 및 연장벽(61)의 단부으로부터 리어횡방향멤버(13)의 하부 전방면(13a)을 따라 연장된 플랜지(62)를 가질 수 있다. 보강재(60)의 플랜지(62)가 리어횡방향멤버(13)의 하부 전방면(13a)에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장착부(20)의 강도 내지 강성이 구조적으로 보다 강화될 뿐만 아니라 하중을 보다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장착벽(21)의 후방단(26), 후방벽(36), 및 연장벽(62)은 장착벽(21)에 대해 3개로 분기된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하중(화살표 F 참조)이 장착부(20) 및/또는 장착부재(28)에 작용하는 경우에는 후방벽(36)을 따라 제1로드패스(화살표 L1 참조)가 형성될 수 있고, 장착벽(21)의 후방단(26)을 따라 제2로드패스(화살표 L2 참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벽(62)을 따라 제3로드패스(화살표 L3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중이 3개의 로드패스를 통해 분산됨으로써 장착부(20) 및 장착부재(28)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6, a reinforcing material 60 for additionally reinforcing the mounting portion 2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upling wall 31 and the mounting wall 21,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60 is a rear transverse member 13 It may have an extension wall 61 extending toward and a flange 62 extending along the lower front surface 13a of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from the end of the extension wall 61. The flange 62 of the reinforcing member 60 is coupled to the lower front surface 13a of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through welding, fasteners, etc., so that the strength or rigidity of the mounting portion 20 is structurally more reinforced. The load can be distributed more evenly. Thereby, the rear end 26, the rear wall 36, and the extension wall 62 of the mounting wall 21 constitute a structure divided into three relative to the mounting wall 21, thereby forming a relatively large load (arrow F When the reference) acts on the mounting portion 20 and/or the mounting member 28, a first road path (refer to the arrow L1) may be formed along the rear wall 36, and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wall 21 A second road path (refer to the arrow L2) may be formed along 26, and a third road path (refer to the arrow L3) may be formed along the extension wall 62. Through this, the load is distributed through the three load paths,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20 and the mounting member 28 can be firmly maintained.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객안전부품인 리어시트, 시트벨트 앵커 등이 장착되는 장착부(20)가 리어플로어패널(11)의 후방단으로부터 돌출하고, 리어플로어패널(11)의 후방단이 리어횡방향멤버(13)에 결합되며, 장착브라켓(30)이 장착부(20) 및 리어횡방향멤버(13)에 결합되고, 장착브라켓(30) 및 장착부(20)는 2이상의 로드패스를 한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강한 충격이 장착부에 가해지더라도 장착부가 파단되거나 이탈됨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20 on which the passenger safety components, such as a rear seat and a seat belt anchor, are mounted, protrudes from the rear end of the rear floor panel 11, and the rear end of the rear floor panel 11 is in the rear transverse direction. It is coupled to the member 13, the mounting bracket 30 is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20 and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and the mounting bracket 30 and the mounting portion 20 are configured to limit two or more road passes. Even if a strong impact is applied to the mounting portion, i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that the mounting portion is broken or separated.

특히, 본 발명은 연속단면으로 구성된 리어횡방향멤버(13)를 구비한 리어플로어구조에서도 승객안전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부에 대한 강도 내지 강성을 강화할 수 있으므로 설계 자유도를 상승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rear floor structure including the rear transverse member 13 configured in a continuous section, the strength or rigidity of the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passenger safety component is mounted can be enhanced, so that the degree of design freedom can be increased.

그리고, 본 발명은 승객안전부품인 리어시트, 시트벨트 앵커 등이 장착되는 장착부(20)가 2 이상의 로드패스에 의해 하중이 분산될 수 있으므로 품질불량, 내구열화 등이 발생하더라도 장착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ad may be distributed by two or more road passes in the mounting portion 20 on which the passenger safety components, such as a rear seat and a seat belt anchor, are mounted, even if quality defects and durability deterioration occur, the mounting portion 20 is Can support stabl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 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 11: 리어플로어패널
12: 리어사이드멤버 13: 리어횡방향멤버
20: 장착부 21: 장착벽
22: 제1측벽 23: 제1전방벽
24: 하측가장자리 25: 제1함몰공간
26: 후방측 플랜지 30: 장착브라켓
31: 결합벽 32: 제2측벽
33: 제2전방벽 34: 하측 플랜지
35: 제2함몰공간 37: 제2후방측 플랜지
36: 후방벽 50, 60: 보강재
10: vehicle rear floor structure 11: rear floor panel
12: rear side member 13: rear transverse member
20: mounting portion 21: mounting wall
22: first side wall 23: first front wall
24: lower edge 25: first recessed space
26: rear flange 30: mounting bracket
31: coupling wall 32: second side wall
33: second front wall 34: lower flange
35: second recessed space 37: second rear side flange
36: rear wall 50, 60: reinforcement

Claims (12)

승객안전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진 리어플로어패널;
상기 리어플로어패널의 좌우 양측에 장착된 한 쌍의 리어사이드멤버;
상기 한 쌍의 리어사이드멤버를 연결하는 리어횡방향멤버; 및
상기 리어플로어패널의 장착부에 결합되는 장착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브라켓의 적어도 일부면은 상기 장착부의 일부면에 중첩 및 결합되고, 상기 장착브라켓의 다른 일부면은 상기 리어횡방향멤버의 일부면에 결합되는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
A rear floor panel having a mounting portion on which passenger safety parts are mounted;
A pair of rear side members moun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floor panel;
A rear transverse member connecting the pair of rear side members; And
Including a mounting bracket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rear floor panel,
A rear floor structure for a vehicle in which at least some surfaces of the mounting bracket overlap and are coupled to a partial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other partial surface of the mounting bracket is coupled to a partial surface of the rear transverse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리어플로어패널의 후방단에서 상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리어플로어패널의 후방단 및 상기 장착부의 후방단이 상기 리어횡방향멤버에 결합되는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protrudes upward from a rear end of the rear floor panel, and a rear end of the rear floor panel and a rea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are coupled to the rear transverse memb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어횡방향멤버는 상기 장착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연속된 동일 단면을 가지는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rear floor structure for a vehicle in which the rear transverse member has the same cross section continuously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r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 및 상기 장착부는 2 이상의 로드패스를 한정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floor structure for a vehicle, wherein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mounting portion are configured to define two or more road pas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승객안전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벽과, 상기 장착벽의 아래에 위치한 하측 가장자리와, 상기 장착벽의 후방단으로부터 연장된 제1후방측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제1후방측 플랜지는 상기 리어횡방향멤버에 결합되는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has a mounting wall on which a passenger safety component is mounted, a lower edge located under the mounting wall, and a first rear flange extending from a rear end of the mounting wall,
The first rear flange is a rear floor structure for a vehicle coupled to the rear transverse memb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장착벽에 결합되는 결합벽과, 상기 장착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하측 플랜지과, 상기 결합벽의 후방단으로부터 연장된 후방벽과, 상기 후방벽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후방측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후방벽은 상기 장착벽의 후방단 및 상기 제1후방측 플랜지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2후방측 플랜지는 상기 리어횡방향멤버의 저면에 결합되는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
The method of claim 6,
The mounting bracket includes a coupling wall coupled to the mounting wall, a lower flange coupled to a lower edge of the mounting portion, a rear wall extending from a rear end of the coupling wall, and a second rear side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rear wall. Has a flange,
The rear wall extends to cross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wall and the first rear flange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econd rear flange is a rear floor structure for a vehicle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rear transverse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 및 상기 장착브라켓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ar floor structure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member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mounting bracke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장착브라켓의 저면에 결합되는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
The method of claim 8,
The reinforcing material is a rear floor structure for a vehicle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bracke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장착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
The method of claim 8,
The reinforcing material is a rear floor structure for a vehicl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장착부 및 상기 장착브라켓 사이에 개재되는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
The method of claim 8,
The reinforcing material is a rear floor structure for a vehicle interpos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mounting bracke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리어횡방향멤버를 향해 연장된 연장벽과, 상기 연장벽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리어횡방향멤버에 결합되는 차량용 리어플로어구조.
The method of claim 8,
The reinforcing material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wall extending toward the rear transverse member, and a flange form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wall,
The flange is a rear floor structure for a vehicle coupled to the rear transverse member.
KR1020190113675A 2019-09-16 2019-09-16 Vehicle rear floor structure KR1022248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675A KR102224808B1 (en) 2019-09-16 2019-09-16 Vehicle rear floo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675A KR102224808B1 (en) 2019-09-16 2019-09-16 Vehicle rear floor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808B1 true KR102224808B1 (en) 2021-03-09

Family

ID=75179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675A KR102224808B1 (en) 2019-09-16 2019-09-16 Vehicle rear floor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80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968A (en) * 2007-11-29 2009-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nchor mounting structure of rear floor
JP2017077776A (en) * 2015-10-20 2017-04-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ehicle body rear part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968A (en) * 2007-11-29 2009-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nchor mounting structure of rear floor
JP2017077776A (en) * 2015-10-20 2017-04-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ehicle body rear part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5582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CN108058745B (en) Vehicle lower structure
US9902431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7163259B2 (en) Vehicle body floor structure
US9010847B2 (en) Vehicle body rear structure
US6568747B2 (en) Automotive floor structure
US10850597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US10000239B2 (en) Automobile vehicle body structure
JPH11171045A (en) Impact absorbing body structure in vehicle
US11661115B2 (en)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vehicle
WO2019198753A1 (en) Body structure for automobiles
JP2013060087A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of vehicle
JP2004237920A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KR102552505B1 (en) Load distrbuting structure for vehicle
JP6181099B2 (en) Rear structure of the car body
US11912344B2 (en) Vehicle lower part structure
US10745056B2 (en) Front pillar for a vehicle body
KR102224808B1 (en) Vehicle rear floor structure
KR20220055768A (en) Fender apron vehicle body provided with the same, and me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JP4069748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JP2002308151A (en) Cab floor structure for cab-over type vehicle
JP4384334B2 (en) Automobile frame structure
JP2003146251A (en) Vehicle lower body structure
JP7428063B2 (en) Vehicle rear body structure
KR20230020287A (en) Partition wall structur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