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671B1 - 수준점 측량을 위한 다용도 레벨장치 - Google Patents

수준점 측량을 위한 다용도 레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671B1
KR102224671B1 KR1020200132688A KR20200132688A KR102224671B1 KR 102224671 B1 KR102224671 B1 KR 102224671B1 KR 1020200132688 A KR1020200132688 A KR 1020200132688A KR 20200132688 A KR20200132688 A KR 20200132688A KR 102224671 B1 KR102224671 B1 KR 102224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steep slope
support
digital protractor
leve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성
김기용
김광채
Original Assignee
(주)대한지적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지적기술단 filed Critical (주)대한지적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132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준점 측량을 위한 다용도 레벨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벨기(10)와;
레벨기(10)에 구비되는 GPS센서(20)와;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가이드홀(31a)을 구비하여 레벨기(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31); 지지브라켓(31)의 가이드홀(31a)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후측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삽입볼트(32a1), 삽입볼트(32a1)의 전측에 구비되어 지지브라켓(31)의 전면에 위치하는 걸림판(32a2), 걸림판(32a2)의 전측에 구비되는 연결바(32a3)를 가진 좌우위치조절부(32a)와, 지지브라켓(31)의 후방에 위치하여 좌우위치조절부(32a)의 삽입볼트(32a1)에 나사산 체결되되 지지브라켓(31)의 후면에 밀착되는 고정너트(32b)를 구비한 좌우위치조절체(32); 좌우위치조절체(32)의 연결바(32a3)에 회전가능하면서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동용회전체(33); 좌우이동용회전체(33)의 전측에 구비되는 지지체(34a)와, 하측이 지지체(34a)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34b1), 삽입부(34b1)의 하측에 구비되어 지지체(34a)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볼트부(34b2)를 가진 상하이동용회전체(34b) 및, 좌우이동용회전체(33)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는 가이드바(34c)를 구비한 상하위치조절체(34); 일측이 상하이동용회전체(34b)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타측이 가이드바(34c)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체(35a)와, 상방으로 개구된 결합홈(35b1)을 구비하여 연결체(35a)의 후측에 마련되는 안착체(35b) 및, 안착체(35b)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안착체(35b)에 나사산 체결되는 고정볼트(35c)를 갖춘 클램프(35)로 구성된 디지털각도기위치조절기구(30)와;
디지털각도기위치조절기구(30)의 지지브라켓(31) 표면에 구비되는 반사체(40) 및;
디지털각도기위치조절기구(30)의 지지체(34a)에 설치되는 조명등(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준점 측량을 위한 다용도 레벨장치{Level Equipment For Surveying}
본 발명은 수준점 측량을 위한 다용도 레벨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준(level) 측량은 특정 점의 고저 차를 관측하는 것을 말하며 고저측량 또는 레벨측량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수준측량을 통해서는 수준점이 측량된다.
상기와 같은 수준측량 중에는 표척(스타프)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두 지점간의 높이 차를 구하는 직접고저측량이 있다.
이러한 수준측량은 일반적으로 기준점으로부터 목표점까지 하나의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경로 상에 N개의 중간점을 설정한 후, 표척(스태프)와 레벨측정기를 이동하며 각각의 지점을 측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에는 수준 측량 작업 시 조류, 벌레 등이 레벨기에 접근할 시 수준 측량 작업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수준 측량 수행 중, 수준 측량 경로 상에서 급경사지를 발견할 시 급경사지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없어, 수준 측량에 더해 다양한 지형정보를 수집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9485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준점 측량 시 조류 및 벌레로부터의 방해를 차단하고, 수준 측량과 더불어, 수준 측량 수행 중 수준 측량 경로 상에서 급경사지를 발견할 시 급경사지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수준점 측량을 위한 다용도 레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벨기(10)와;
레벨기(10)에 구비되는 GPS센서(20)와;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가이드홀(31a)을 구비하여 레벨기(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31); 지지브라켓(31)의 가이드홀(31a)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후측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삽입볼트(32a1), 삽입볼트(32a1)의 전측에 구비되어 지지브라켓(31)의 전면에 위치하는 걸림판(32a2), 걸림판(32a2)의 전측에 구비되는 연결바(32a3)를 가진 좌우위치조절부(32a)와, 지지브라켓(31)의 후방에 위치하여 좌우위치조절부(32a)의 삽입볼트(32a1)에 나사산 체결되되 지지브라켓(31)의 후면에 밀착되는 고정너트(32b)를 구비한 좌우위치조절체(32); 좌우위치조절체(32)의 연결바(32a3)에 회전가능하면서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동용회전체(33); 좌우이동용회전체(33)의 전측에 구비되는 지지체(34a)와, 하측이 지지체(34a)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34b1), 삽입부(34b1)의 하측에 구비되어 지지체(34a)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볼트부(34b2)를 가진 상하이동용회전체(34b) 및, 좌우이동용회전체(33)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는 가이드바(34c)를 구비한 상하위치조절체(34); 일측이 상하이동용회전체(34b)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타측이 가이드바(34c)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체(35a)와, 상방으로 개구된 결합홈(35b1)을 구비하여 연결체(35a)의 후측에 마련되는 안착체(35b) 및, 안착체(35b)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안착체(35b)에 나사산 체결되는 고정볼트(35c)를 갖춘 클램프(35)로 구성된 디지털각도기위치조절기구(30)와;
디지털각도기위치조절기구(30)의 지지브라켓(31) 표면에 구비되는 반사체(40) 및;
디지털각도기위치조절기구(30)의 지지체(34a)에 설치되는 조명등(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레벨기(10) 및 표척을 이용하여 수준점 및 표고를 측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량 작업 시 레벨기(10)로 조류가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여 조류에 의해 측량 작업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준점 측량을 위해 측량 경로 상에 표척을 세운 후 표척을 시준할 시, 표척 주변에 급경사지가 발견될 경우, 급경사지의 끝점에 또 다른 표척을 세운 후, 레벨기(10)의 시준 센터점(I)과 디지털각도기(60)의 센터점(J)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디지털각도기(60)를 통해 급경사지의 경사각을 쉽고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급경사지의 시작점의 표고를 구하고, 급경사지의 끝점의 표고를 구한 후, 급경사지 시작점의 표고와 급경사지 끝점의 표고 간의 차이 값과, 측정된 급경사지 경사각을 매개로, 급경사지의 경사길이를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급경사지의 경사길이, 경사각을 구함으로서, 측량 정보와 함께 급경사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위치조절부(32a) 및 고정너트(32b)를 갖춘 좌우위치조절체(32)가, 지지브라켓(31)에 용이하게 착탈가능하여, 지지브라켓(31)을 제외한 디지털각도기위치조절기구(30)의 구성을 수리하기 용이하고, 상기 구성을 또 다른 레벨기(10)의 지지브라켓(31)에 설치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각도기(60)가 레벨기(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좌우이동용회전체(33)의 회전을 통해 디지털각도기(60)가 레벨기(10)의 시야각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어, 측량 작업 중 디지털각도기(60)의 사용 및 미사용을 쉽게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등(50)을 통해 디지털각도기(60)의 디스플레이부(61a)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급경사지 확인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A,B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각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상하위치조절체 및 클램프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지지브라켓 및 좌우위치조절체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좌우위치조절체와 회전체의 연결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A,B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각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상하위치조절체 및 클램프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지지브라켓 및 좌우위치조절체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좌우위치조절체와 회전체의 연결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 상에서의 X축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도 2 상에서의 Y축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며, 도 1 상에서의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방향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준점 측량을 위한 다용도 레벨장치는 레벨기(10)와, GPS센서(20)와, 디지털각도기위치조절기구(30)와, 반사체(40) 및, 조명등(5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각도기(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기(10)는 수준점 측량에 사용되는 통상의 레벨기이다. 본 실시예에서 레벨기(10)는 삼각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레벨기(10)는 전면에 렌즈(11)가 구비된다.
상기 GPS센서(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기(10)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디지털각도기위치조절기구(30)는 도 1 내지 도 3과,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31)과, 좌우위치조절체(32)와, 좌우이동용회전체(33)와, 상하위치조절체(34) 및, 클램프(35)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디지털각도기위치조절기구(30)를 이루는 구성은, 충분한 강도를 갖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31)은,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가이드홀(31a)을 구비하여, 레벨기(10)의 상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브라켓(31)은 판 형상을 이루며, 가이드홀(31a)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지지브라켓(31)은 레벨기(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위치조절체(32)는, 지지브라켓(31)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고정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좌우위치조절체(32)는 좌우위치조절부(32a)와, 고정너트(32b)를 갖춘다.
상기 좌우위치조절부(32a)는, 지지브라켓(31)의 가이드홀(31a)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후측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삽입볼트(32a1)와, 삽입볼트(32a1)의 전측에 구비되어 지지브라켓(31)의 전면에 위치하는 걸림판(32a2) 및, 걸림판(32a2)의 전측에 구비되는 연결바(32a3)를 갖춘다.
상기 고정너트(32b)는, 지지브라켓(31)의 후방에 위치하여 좌우위치조절부(32a)의 삽입볼트(32a1)에 나사산 체결되되 지지브라켓(31)의 후면에 밀착된다.
상기 좌우이동용회전체(33)는, 좌우위치조절체(32)의 연결바(32a3)에 회전가능하면서 고정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좌우이동용회전체(33)는 좌우위치조절체(32)의 연결바(32a3)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좌우이동용회전체(33)는 90도 회전되게 좌우위치조절체(32)의 연결바(32a3)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도 7 참조). 또한 본 실시예에서 좌우이동용회전체(33)는, 좌우위치조절체(32)의 연결바(32a3)의 상측을 관통하면서 연결바(32a3)의 상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하단이 좌우이동용회전체(33)에 맞닿는 체결볼트(FB)에 의해 위치고정된다(도 2 참조).
상기 상하위치조절체(34)는, 좌우이동용회전체(33)의 전측에 구비되는 지지체(34a)와, 하측이 지지체(34a)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34b1), 삽입부(34b1)의 하측에 구비되어 지지체(34a)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볼트부(34b2)를 가진 상하이동용회전체(34b) 및, 좌우이동용회전체(33)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는 가이드바(34c)를 갖춘다.
상기 클램프(35)는, 일측이 상하이동용회전체(34b)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타측이 가이드바(34c)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체(35a)와, 상방으로 개구된 결합홈(35b1)을 구비하여 연결체(35a)의 후측에 마련되는 안착체(35b) 및, 안착체(35b)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안착체(35b)에 나사산 체결되는 고정볼트(35c)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체(35b)는 'ㄷ'자 형상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클램프(35)는 상하위치조절체(34)를 통해 볼스크류 방식으로 상하 이동하지만, 상하 이동이 가능하면 그 이동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반사체(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각도기위치조절기구(30)의 지지브라켓(31) 표면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반사체(40)는 반사지일 수 있다.
상기 조명등(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각도기위치조절기구(30)의 지지체(34a)에 설치된다.
상기 디지털각도기(6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각도판(61,62)을 구비하여, 제1각도판(61) 또는 제2각도판(62)에 제1,2각도판(61,62) 간에 벌어진 각을 표시하되, 제1각도판(61) 또는 제2각도판(62)이 클램프(35)의 결합홈(35b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클램프(35)의 고정볼트(35c)에 의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지털각도기(60)는 각도 측정을 위한 통상의 것이 적용되되, 제1각도판(61) 또는 제2각도판(62)의 표면(전면 또는 후면)에 각도 값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각도판(61)의 후면에 디스플레이부(61a)가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디지털각도기(60)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다.
도 8은 직접고저측량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서 측량 시 조류 퇴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표고가 점점 높아지는 지형에서 급경사지 발생 시의 측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4는 급경사지에서 급경사지의 경사길이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0과, 도 11, 도 14에서 급경사지는 서로 매칭되는 지형이 아니지만, 작용의 설명 편의성을 위해 서로 대응하는 지점에 대해 동일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서 디지털각도기의 위치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서 급경사지의 경사길이를 구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저 측량 시 레벨기를 이용한 직접고저측량 방식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 8의 E점의 표고를 구할 시, D점에서 E점까지 이동하면서 레벨기(10) 및 표척을 활용하여 직접고저측량을 함으로써, E점의 표고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E점은 수준점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량 작업을 수행할 시, 도 9와 같이 반사체(40)에 의해 레벨기(10)의 상방으로 빛 반사가 이루어져, 조류가 레벨기(10)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0과 같이 측량 경로(파란색 선 참조)를 이동하면서 측량 작업을 수행 중 측량 경로 상에 도 11과 같이 급경사지가 발견할 경우, 제1작업자는 급경사지의 경사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F지점에 레벨기(10)를 위치시킨 후 G지점을 시준하여 측량 작업을 할 시, G점에 급경사지의 시작점이 있을 경우, 제2작업자가 G지점에 제1표척(도 11 참조, 도 11 상에서 파란색 막대기)을 세운 상태에서, 제3작업자는 급경사지의 끝점(H 지점)으로 이동하여, 제2표척(도 11 참조, 도 11 상에서 노란색 막대기)을 세운다. 이때 레벨기(10)의 시야각에는 제1,2표척이 들어온다. 여기서 제1작업자는 급경사지의 시작점(G)을 시준하여 급경사지의 시작점(G)에 대한 표고를 구할 수 있다.
이후, 제1작업자는 제1,2표척이 이어지는 가상선에 디지털각도기(60)의 제2각도판(62)을 위치시키면서 레벨기(10)의 시준 센터점(I)에 디지턱각도기(60)의 센터점(J)이 위치하게 한다(도 12, 도 13 참조).
그러면, 제1작업자는 표척 시준과 함께 급경사지의 경사각 값을 얻을 수 있다.
계속해서, 제2작업자는 급경사지를 피하여, 급경사지의 끝점(H)까지 이동하기 용이한 지점(K,K')을 측량하면서 이동한 후, 급경사지의 끝점(H)의 표고를 구한다.
이와 같이, 급경사지의 시작점(G)의 표고, 급경사지의 끝점(H)의 표고, 급경사지의 경사각을 구하면, 삼각함수를 이용하여(도 15 참조, 도 15에서 a = G점과 H점의 표고 차, θ = 측정한 급경사지의 경사각), 급경사지의 경사길이(도 11, 도 15 상에서 b값)을 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급경사지의 경사길이를 구할 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표척(파란색 막대기, 노란색 막대기)을 세운 후, 레벨기(10)를 통해 제1,2표척을 바라 본 후, 도 15과 같은 방식으로 또 다른 급경사지의 경사길이(b')를 구할 수도 있다.
이후, 작업자는 급경사지를 피하여, 원래 측량 경로로 이동하기 용이한 지점(L,L')을 측량하면서, 원래 측량 경로 상의 지점(M)을 경유하여, 원래 목적지까지 측량 작업을 수행한다.
급경사지에 대한 경사길이가 구해지면, 작업자는 GPS센서(20)를 통해 급경사지에 대한 위치를 확인한 후, 급경사지의 길이를 기록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디지털각도기(6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디지털각도기위치조절기구(30)의 좌우이동용회전체(33)를 회전시켜 디지털각도기(60)의 위치를 레벨기(10)의 시야각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서, 디지털각도기(60)를 디지털각도기위치조절기구(30)에 설치한 상태에서 레벨기(10)를 이용한 측량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각도기(60)를 사용할 시 주변이 갑자기 어두워질 경우, 조명등(50)을 작동시켜 밝은 상태에서 디지털각도기(60)의 각도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레벨기(10) 및 표척을 이용하여 수준점 및 표고를 측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량 작업 시 레벨기(10)로 조류가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여 조류에 의해 측량 작업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준점 측량을 위해 측량 경로 상에 표척을 세운 후 표척을 시준할 시, 표척 주변에 급경사지가 발견될 경우, 급경사지의 끝점에 또 다른 표척을 세운 후, 레벨기(10)의 시준 센터점(I)과 디지털각도기(60)의 센터점(J)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디지털각도기(60)를 통해 급경사지의 경사각을 쉽고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급경사지의 시작점의 표고를 구하고, 급경사지의 끝점의 표고를 구한 후, 급경사지 시작점의 표고와 급경사지 끝점의 표고 간의 차이 값과, 측정된 급경사지 경사각을 매개로, 급경사지의 경사길이를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급경사지의 경사길이, 경사각을 구함으로서, 측량 정보와 함께 급경사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위치조절부(32a) 및 고정너트(32b)를 갖춘 좌우위치조절체(32)가, 지지브라켓(31)에 용이하게 착탈가능하여, 지지브라켓(31)을 제외한 디지털각도기위치조절기구(30)의 구성을 수리하기 용이하고, 상기 구성을 또 다른 레벨기(10)의 지지브라켓(31)에 설치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각도기(60)가 레벨기(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좌우이동용회전체(33)의 회전을 통해 디지털각도기(60)가 레벨기(10)의 시야각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어, 측량 작업 중 디지털각도기(60)의 사용 및 미사용을 쉽게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등(50)을 통해 디지털각도기(60)의 디스플레이부(61a)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급경사지 확인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10; 레벨기 20; GPS센서
30; 디지털각도기위치조절기구 31; 지지브라켓
32; 좌우위치조절체 33; 좌우이동용회전체
34; 상하위치조절체 35; 클램프
40; 반사체 50; 조명등
60; 디지털각도기

Claims (1)

  1. 레벨기(10)와;
    레벨기(10)에 구비되는 GPS센서(20)와;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가이드홀(31a)을 구비하여 레벨기(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31); 지지브라켓(31)의 가이드홀(31a)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후측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삽입볼트(32a1), 삽입볼트(32a1)의 전측에 구비되어 지지브라켓(31)의 전면에 위치하는 걸림판(32a2), 걸림판(32a2)의 전측에 구비되는 연결바(32a3)를 가진 좌우위치조절부(32a)와, 지지브라켓(31)의 후방에 위치하여 좌우위치조절부(32a)의 삽입볼트(32a1)에 나사산 체결되되 지지브라켓(31)의 후면에 밀착되는 고정너트(32b)를 구비한 좌우위치조절체(32); 좌우위치조절체(32)의 연결바(32a3)에 회전가능하면서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동용회전체(33); 좌우이동용회전체(33)의 전측에 구비되는 지지체(34a)와, 하측이 지지체(34a)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34b1), 삽입부(34b1)의 하측에 구비되어 지지체(34a)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볼트부(34b2)를 가진 상하이동용회전체(34b) 및, 좌우이동용회전체(33)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는 가이드바(34c)를 구비한 상하위치조절체(34); 일측이 상하이동용회전체(34b)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타측이 가이드바(34c)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체(35a)와, 상방으로 개구된 결합홈(35b1)을 구비하여 연결체(35a)의 후측에 마련되는 안착체(35b) 및, 안착체(35b)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안착체(35b)에 나사산 체결되는 고정볼트(35c)를 갖춘 클램프(35)로 구성된 디지털각도기위치조절기구(30)와;
    디지털각도기위치조절기구(30)의 지지브라켓(31) 표면에 구비되는 반사체(40) 및;
    디지털각도기위치조절기구(30)의 지지체(34a)에 설치되는 조명등(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점 측량을 위한 다용도 레벨장치.
KR1020200132688A 2020-10-14 2020-10-14 수준점 측량을 위한 다용도 레벨장치 KR102224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688A KR102224671B1 (ko) 2020-10-14 2020-10-14 수준점 측량을 위한 다용도 레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688A KR102224671B1 (ko) 2020-10-14 2020-10-14 수준점 측량을 위한 다용도 레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671B1 true KR102224671B1 (ko) 2021-03-09

Family

ID=7517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688A KR102224671B1 (ko) 2020-10-14 2020-10-14 수준점 측량을 위한 다용도 레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6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125B1 (ko) * 2012-09-24 2013-01-17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정밀 수준측량에 따른 표고정보 업데이트시스템
KR101235312B1 (ko) * 2012-10-22 2013-02-20 중앙항업(주) 지피에스 정보를 기준으로 한 지형의 수위정보와 변위정보 변동여부 확인용 측지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1494857B1 (ko) 2014-11-04 2015-02-23 김은경 수준측량이 용이한 수준점 측량시스템
KR101709679B1 (ko) * 2016-12-07 2017-02-23 (주)해양정보기술 측량 데이터의 오차 보정을 위한 수준측량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125B1 (ko) * 2012-09-24 2013-01-17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정밀 수준측량에 따른 표고정보 업데이트시스템
KR101235312B1 (ko) * 2012-10-22 2013-02-20 중앙항업(주) 지피에스 정보를 기준으로 한 지형의 수위정보와 변위정보 변동여부 확인용 측지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1494857B1 (ko) 2014-11-04 2015-02-23 김은경 수준측량이 용이한 수준점 측량시스템
KR101709679B1 (ko) * 2016-12-07 2017-02-23 (주)해양정보기술 측량 데이터의 오차 보정을 위한 수준측량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6704B2 (en) Intelligent positioning module
DE10321749B4 (de) Verfahren und Anordnung zur Bestimmung der räumlichen Lage und Position eines Reflektorstabes in Bezug zu einem Aufhaltepunkt
US7196302B2 (en) Laser measuring method and laser measuring system having fan-shaped tilted laser beams and three known points of photodetection system
US7987605B2 (en) Reflector target tripod for survey system with light emitter and pivoting bracket for enhanced ground marking accuracy
US7081606B2 (en) Position measuring system
EP2885608B1 (de) Handhaltbares entfernungsmessgerät mit winkelbestimmungseinheit
EP0797073B1 (en) Guide beam direction setting apparatus
DE112005001760T5 (de) Positionsverfolgungs- und Steuersystem mit einem Kombinations-Laserdetektor- und Globalnavigationssatellitenempfänger-System
WO2019024731A1 (zh) 测量角度、距离的方法、绘制轨迹图方法及激光测距系统
JPH04220514A (ja) 所定の地面測点に対して測地器具を求心するための装置
EP2810019A1 (de) Vermessungssystem mit einem vermessungsgerät und einem scanmodul
US11719537B2 (en) Leveling base, surveying instrument and surveying system
US3116557A (en) Method and means for laying sewer pipe
US6966387B2 (en) Universal optical adapter for a three dimensional earthgrading system
KR100928662B1 (ko) 다용도 측량기
KR102224678B1 (ko) 활용도가 높은 수준측량용 측량기구
US6067152A (en) Alignment range for multidirectional construction laser
KR102224671B1 (ko) 수준점 측량을 위한 다용도 레벨장치
KR102224675B1 (ko) 수준측량이 용이한 측지측량장치
JPH044529B2 (ko)
KR101550403B1 (ko) 개량형 포터블 프리즘 수신장치와 개량형 포터블 gps 수신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측량방법
KR101984507B1 (ko) 개량형 포터블 프리즘 수신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량방법
KR20180069546A (ko) 면구성 지질정보의 좌표기반 모델구성방법
KR101358983B1 (ko) 수준측량에서 수준노선 형성을 위한 수준점 정밀 측량시스템
KR102215176B1 (ko) 측량 및 급경사지 확인이 가능한 재난 재해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