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369B1 - Car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 - Google Patents

Car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369B1
KR102224369B1 KR1020180131142A KR20180131142A KR102224369B1 KR 102224369 B1 KR102224369 B1 KR 102224369B1 KR 1020180131142 A KR1020180131142 A KR 1020180131142A KR 20180131142 A KR20180131142 A KR 20180131142A KR 102224369 B1 KR102224369 B1 KR 102224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space
terminal
inser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1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8730A (en
Inventor
박세만
Original Assignee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1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369B1/en
Publication of KR20200048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7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3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가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삽입공간에 위치하는 경우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삽입부; 및 상기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차량의 작동을 허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일측면을 마감하는 덮개부와,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감지부와, 링크방식으로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본체부의 내외부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이 운행중인 경우 동작하여 상기 덮개부의 동작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일단은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저지부는, 하우징부와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설치되되 닫힌 상태의 상기 덮개부를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며, 저면이 개구된 인출공간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인출공간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인출공간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덮개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접촉됨으로써 상기 덮개부의 동작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시 스마트폰의 사용이 물리적으로 차단된다. 이에 따르면, 운전자가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comprising: an insertion unit that forms an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into which a terminal is inserted, and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when the terminal is located in the insertion space; And a control unit that permits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wherein the insertion unit includes a main body, a frame unit installed in the main unit and forming the insertion space, and installed at an end of the main unit, A cover part that closes one side of the insertion space, a sensing part that generates the sensing signal and transmits the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a driving part that moves the frame part in and out of the main body in a link manner, and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It is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includes a blocking unit that operates when the vehicle is running to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cover unit, and the driving unit, one e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unit, The blocking part includes a housing part and a contact part, and the housing part is provided in a pair and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i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over part in a closed state, respectively, and a draw-out space with an open bottom surface Each of the contact portions is provided in a pair,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lead-out space of the housing portion, and is drawn downward from the lead-out space to contac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over portion, respectively, thereby preventing the operation of the cover portion. d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the smartphone is physically block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ccording to this, the driver can concentrate only on driving, so that an accident of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CAR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Vehicle control system using smartphone {CAR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으로 차량의 작동을 허여하되, 차량의 운행시 스마트폰을 운전자가 사용할 수 없게 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nd more specifically, a smartphone that allows the operation of a vehicle with a smartphone, but enables safe driving by preventing the driver from using the smartphone when the vehicle is running. It relates to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최근 대부분의 사람들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은 다양한 앱을 이용하여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외부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외부장치를 제어하는데 활용된다. 근래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차량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널리 연구, 개발되고 있다.Smartphones that most people have recently perform various functions using various apps, and are used to control external devices by being connected to external devices by wire or wirelessly. Recently, a technology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vehicle using a smartphone has been widely researched and develop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57214호는 신뢰된 실행 환경 기반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하며,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7-110338호는 차량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57214 discloses a vehicle control method and system using a user terminal based on a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and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7-110338 discloses a vehicle control system.

상기 공보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종래에 이동되던 스마트키를 대체하면서도 소프트웨어적인 보완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publica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in which software complementar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while replacing a smart key that has been conventionally moved to a vehicle.

그러나 상기 공보에 따른 발명에 의하더라도,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한 스마트폰의 사용이 원천적으로 방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발명에 따르면, 차량 운행도중, 사용자에 의해 스마트폰이 사용될 여지가 있고, 이에 따르면, 운전자의 운전 부주의로 인해 대형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even 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publication, the use of the smartphone by the driver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is not fundamentally prevented. Accordingly, according to such a conventional inven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martphone may be used by the user while the vehicle is being operated,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accident may occur due to the driver's negligence in driving.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으로 차량의 작동을 허여하되, 차량의 운행시 스마트폰을 운전자가 사용할 수 없게 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 but allows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with a smartphone, using a smartphone that can promote safe driving by preventing the driver from using the smartphone when driving the vehicle. It is to provide a vehicle control system.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가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삽입공간에 위치하는 경우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삽입부; 및 상기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차량의 작동을 허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일측면을 마감하는 덮개부와,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감지부와, 링크방식으로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본체부의 내외부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이 운행중인 경우 동작하여 상기 덮개부의 동작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일단은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저지부는, 하우징부와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설치되되 닫힌 상태의 상기 덮개부를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며, 저면이 개구된 인출공간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인출공간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인출공간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덮개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접촉됨으로써 상기 덮개부의 동작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운행중인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삽입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n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into which a terminal is inserted, and an insertion unit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when the terminal is located in the insertion space; And a control unit that permits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wherein the insertion unit includes a main body, a frame unit installed in the main unit and forming the insertion space, and installed at an end of the main unit, A cover part that closes one side of the insertion space, a sensing part that generates the sensing signal and transmits the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a driving part that moves the frame part in and out of the main body in a link manner, and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It is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includes a blocking unit that operates when the vehicle is running to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cover unit, and the driving unit, one e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unit, The blocking part includes a housing part and a contact part, and the housing part is provided in a pair and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i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over part in a closed state, respectively, and a draw-out space with an open bottom surface Each of the contact portions is provided in a pair,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lead-out space of the housing portion, and is drawn downward from the lead-out space to contac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over portion, respectively, thereby preventing the operation of the cover portion. This is achieved by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s running,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insertion unit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space.
In addition, the frame unit may be provided to wirelessly charge the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시 스마트폰의 사용이 물리적으로 차단된다. 이에 따르면, 운전자가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the smartphone is physically block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ccording to this, the driver can concentrate only on driving, so that an accident of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삽입부와 제어부의 전기적인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간 전기적인 연결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삽입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삽입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삽입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n overall view of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n insertion unit and a control unit of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illustra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n insertion part of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nsertion unit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the operation of the insertion unit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urther,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for distinguishing the constituent element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지금부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삽입부와 제어부의 전기적인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간 전기적인 연결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삽입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삽입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general illustration of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of an insertion unit and a control unit of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Figure 4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the insertion unit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Figure 5 shows the operation of the insertion unit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100)은 삽입부(110)와 제어부(120)를 포함한다.1 to 5,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0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ertion unit 110 and a control unit 120.

삽입부(110)는 단말기(t)가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인터페시아 부분에 설치되며, 단말기(t)가 삽입공간에 위치하는 경우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삽입부(110)에 의해 생성된 감지신호는 후술하는 제어부(120)에 전달된다.The insertion unit 110 forms an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into which the terminal t is inserted, is installed in the interfacial part of the vehicle, and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when the terminal t is located in the insertion space. The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insertion unit 11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삽입부(110)는 보다 상세하게, 본체부(111)와, 프레임부(112)와, 덮개부(113)와, 감지부(114)와, 구동부(115)와 저지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sertion unit 110 is, in more detail, the body portion 111, the frame portion 112, the cover portion 113, the sensing portion 114, the driving portion 115 and the stopping portion 116 It may include.

본체부(111)는 후술하는 프레임부(112)와 덮개부(113)와 감지부(114)와 구동부(115)와 저지부(116)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인터페시아 부분에 설치된다.The body part 111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frame part 112, the cover part 113, the sensing part 114, the driving part 115, and the stopping part 11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installed. It is installed on.

프레임부(112)는 상술한 본체부(1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삽입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삽입공간에는 단말기(t)가 수용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112)는 단말기(t)를 무선으로 충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프레임부(112)의 상면에는 무선충전을 위한 코일(C)이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코일은 후술하는 제어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말기(t)의 무선충전을 실시한다.The frame part 112 is installed in the body part 111 described above, and forms an insertion space. The terminal t may be accommodated in this insertion space. Meanwhile, the frame unit 112 may be provided to wirelessly charge the terminal t. For example, a coil C for wireless charging may be embed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unit 112. These coi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20 to be described later to perform wireless charging of the terminal t.

덮개부(113)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일측면을 마감하는 것으로서, 프레임부(112)가 외부로 이동됨에 따라 프레임부(112)에 접촉하여 회동된다.The cover part 113 is to close one side of the insertion space, and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frame part 112 as the frame part 112 is moved to the outside.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12)가 본체부(11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 덮개부(113)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일측면을 마감하다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12)가 외부로 이동되는 경우, 프레임부(112)의 일측면으로 부터 접촉, 가압되는 것에 의해 회동되어 프레임부(112)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회동된다. As shown in (a) of FIG. 5, when the frame part 112 is accommodated in the body part 111, the cover part 113 closes one side that forms the insertion space, and then, as shown in FIG. As shown in (b), when the frame part 112 is moved to the outside, it is rotated by contacting and pressing from one side of the frame part 112 so that the frame part 112 protrudes to the outside. do.

감지부(114)는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어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detection unit 114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2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감지신호란, 삽입공간에 단말기(t)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통해 삽입공간에 단말기(t)가 위치하는 경우 생성되는 신호이다.Here, the detection signal is a signal generated when the terminal t is located in the insertion space by detecting whether the terminal t is located in the insertion space.

감지부(114)의 단말기(t) 감지방법은, 예를 들면, 초음파, 적외선을 이용한 물리적인 감지, 압력감지 센서를 통한 물리적인 감지, 단말기(t)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 검출을 통한 전자기적 감지, 단말기(t)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또는 NFC를 통한 통신적인 감지 등 여러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 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t)가 삽입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The detection method of the terminal (t) of the detection unit 114 is, for example, physical detection using ultrasonic waves and infrared rays, physical detection through a pressure sensor, electromagnetic detection through detection of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terminal (t). , Bluetooth pairing with the terminal (t) or communication detection through NFC, etc. may be appli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f it is a method that can confirm that the terminal (t) is located in the insertion space, in what method Even if it is prepared, it is okay.

구동부(115)는 프레임부(112)를 본체부(111)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본체부(111)에 설치되며 프레임부(112)에 구동력을 전달한다.The driving unit 115 moves the frame unit 112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1 and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1 and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the frame unit 112.

이러한 구동부(115)는 링크방식으로 프레임부(112)를 본체부(111)의 내외부로 이동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구동부(115)는, 일단은 본체부(1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프레임부(1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구동부(115)의 일단과 타단, 즉, 회동되는 축 부분에는 모터가 설치되어 구동부(115)가 회동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부(115)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구동부(115)는 후술하는 제어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된다. 구동부(115)의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부(115)는 차량의 시동이 정지한 상태 및 삽입공간에 단말기(t)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되어 프레임부(112)를 이동시켜 프레임부(112)가 외부로 돌출되게 한다. 한편, 구동부(115)는 삽입공간에 단말기(t)가 존재하고, 프레임부(112)가 삽입공간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차량이 시동이 실시된 경우에는 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되어 작동되지 않는다.The driving unit 115 moves the frame unit 112 into and out of the body unit 111 in a link manner. In more detail, the driving unit 115 has one e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1 and the other e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unit 112. For example, a motor may be install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unit 115, that is, at a rotating shaft portion, so that the driving unit 115 may be rot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power may be provided to the driving unit 115. If there is a method, it can be prepared in any way.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115 is controlled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1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The driving unit 115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20 to move the frame unit 112 when the driver boards the vehicle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stopped and the terminal t does not exist in the insertion space. The part 112 protrudes to the outside. 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unit 115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20 and is not operated when the vehicle is started while the terminal t is present in the insertion space and the frame unit 11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Does not.

저지부(116)는 덮개부(113)의 동작, 즉, 회동을 저지하는 것으로서, 본체부(111)에 설치된다.The stopping part 116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1 as preventing the operation of the cover part 113, that is, rotation.

이러한 저지부(116)는 본체부(111)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차량이 운행중인 경우 동작하여 덮개부(113)의 동작을 저지한다. 이 때, 저지부(116)는 하우징부와 접촉부를 포함하는데, 하우징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본체부(111)의 상단부에 설치되되 마감 상태, 즉, 닫힌 상태의 덮개부(113)를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며, 저면이 개구된 인출공간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접촉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하우징부의 인출공간에 각각 설치되며 인출공간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출되어 덮개부(113)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접촉됨으로써 덮개부(113)의 동작을 저지한다. 예를 들면, 접촉부는 스프링 방식으로 인입, 인출될 수 있고, 모터(랙피니언 기어를 이용하는 등)를 통해 하우징부로부터 인입, 인출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접촉부가 하우징부로부터 인입, 인출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저지부(116)는 후술하는 제어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된다. 저지부(116)의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지부(116)는 삽입공간에 단말기(t)가 존재하고, 프레임부(112)가 삽입공간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차량이 시동이 실시된 경우에는 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되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13)의 전면 및 후면에 접촉하도록 이동된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저지부(116)는 삽입공간에 단말기(t)가 존재하고, 프레임부(112)가 삽입공간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차량이 시동이 정지하는 경우, 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되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1) 내부로 이동하여 회동부가 회동되게 한다.The stopping part 116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art 111 and operates when the vehicle is running to block the operation of the cover part 113. At this time, the stopping part 116 includes a housing part and a contact part, and the housing part is provided in a pair and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art 111, but is in a closed state, that is,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part 113 in a closed state. It is installed on each of the and rear surfaces, and a draw-out space with an open bottom surface is formed. Further, the contact portions are provided in a pair and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lead-out space of the housing portion, are drawn downward from the lead-out space, and contac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over portion 113, respectively, thereby preventing the operation of the cover portion 113. For example, the contact portion may be drawn in and withdrawn by a spring method, and may be drawn in and withdrawn from the housing portion through a motor (such as using a rack and pinion gea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act portion is drawn in from the housing portion, If it is a method that provides power so that it can be withdrawn, it may be provided in any way. In addition, the blocking unit 11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The operation of the stopping part 11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The stopping part 116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20 when the terminal t exists in the insertion space and the vehicle is started while the frame part 11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s shown in (a), it is fixed in a moved state to contac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over unit 113. On the other hand, the stopping part 116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20 when the terminal (t) is present in the insertion space and the vehicle is stopped while the frame part 11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s shown in (b) of 5, it moves into the body part 111 so that the rotation part rotates.

이러한 저지부(116)에 따르면, 삽입공간에 단말기(t)가 존재하고, 프레임부(112)가 삽입공간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차량이 운행 중인 경우, 운전자가 회동부를 강제로 회동시켜 단말기(t)를 확인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이에 따르면, 운전자가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such a stopping part 116, when the terminal t exists in the insertion space and the vehicle is running while the frame part 112 is retracted into the insertion space, the driver forcibly rotates the rotating part and the terminal Checking (t) is inherently prevented. According to this, the driver can concentrate only on driving, so that an accident of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제어부(120)는 상술한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차량의 작동을 허가하는 것으로써, 차량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차량에 기설치된 MCU와 일체적으로 기능할 수 있게 마련될 수 도 있고, 별도로 설치될 수 도 있다.The controller 120 permits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when the above-described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and is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120 may be provided to function integrally with the MCU installed in the vehicle, or may be installed separately.

이러한 제어부(120)의 구체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다.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20 is as follows.

먼저, 차량의 시동이 정지한 상태 및 삽입공간에 단말기(t)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상술한 저지부(116)가 본체부(111) 내부로 이동되게 저지부(116)를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20)는 상술한 구동부(115)를 동작시켜 프레임부(112)를 이동시켜 프레임부(112)가 외부로 돌출되게 한다. 이때, 덮개부(113)는 프레임부(112)에 의해서 가압되어 회동되며, 이에 따라 삽입공간의 일측면이 개구되어 프레임부(112)가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First, when the driver boards the vehicle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stopped and the terminal t is not present in the insertion space,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above-described blocking part 116 inside the main body part 111. Control the stopping part 116 to be moved to.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20 operates the above-described driving unit 115 to move the frame unit 112 so that the frame unit 112 protrudes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cover part 113 is pressed and rotated by the frame part 112, so that one side of the insertion space is opened so that the frame part 112 protrudes to the outside.

상술한 제어부(120)의 제어동작에 따르면, 운전자는 프레임부(112)의 상면에 단말기(t)를 안착시킬 수 있게된다. 이후, 운전자가 프레임부(112)의 상면에 단말기(t)를 안착시키게되면, 제어부(120)는 구동부(115)를 역방향으로 동작시켜 프레임부(112)가 다시 본체부(111) 내부로 인입되게 한다. 상술한 인입 과정에 따르면, 인입 이후에는 덮개부(113)가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삽입공간의 일측면이 다시 마감된다. 이후, 제어부(120)는 저지부(116)가 본체부(111) 외부로 다시 이동되게 저지부(116)를 제어함으로써 저지부(116)가 덮개부(113)의 전면 및 후면에 접촉되게 한다.According to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20 described above, the driver can place the terminal 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unit 112. Thereafter, when the driver seats the terminal 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unit 112, the control unit 120 operates the driving unit 115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frame unit 112 is brought back into the body unit 111. Let it b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ull-in process, after the pull-in, the cover portion 113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o close one side of the insertion space again.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blocking unit 116 to move the blocking unit 116 to the outside of the body unit 111 again, so that the blocking unit 11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over unit 113. .

다음으로, 삽입공간에 단말기(t)가 존재하고, 프레임부(112)가 삽입공간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차량이 시동이 실시된 경우, 즉, 차량이 운행중인 경우, 제어부(120)는 저지부(116)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13)의 정면 및 후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저지부(116)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르면, 운전자가 회동부를 강제로 회동시켜 단말기(t)를 확인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이에 따르면, 운전자가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Next, when the terminal (t) is present in the insertion space and the vehicle is started while the frame unit 11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that is, when the vehicle is running,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stopping part 116 so that the branch part 116 is fixed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over part 113 as shown in FIG. 5 (a).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it is fundamentally prevented that the driver checks the terminal t by forcibly rotating the rotating unit. According to this, the driver can concentrate only on driving, so that an accident of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다음으로, 삽입공간에 단말기(t)가 존재하고, 프레임부(112)가 삽입공간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차량이 시동이 정지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지부(116)가 본체부(111) 내부로 이동하도록 저지부(116)를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20)는 상술한 구동부(115)를 제어하여 프레임부(112)가 외부로 돌출되게 한다. 이러한 제어부(120)의 과정에 따르면,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정지시키는 경우 운전자가 단말기(t)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Next, when the terminal (t) is present in the insertion space and the vehicle is stopped while the frame unit 11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the control unit 120 is shown in (b) of FIG. As described above, the stopping part 116 is controlled so that the stopping part 116 moves into the body part 111.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above-described driving unit 115 so that the frame unit 112 protrudes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e control unit 120, when the driver stops starting the vehic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river can easily retrieve the terminal t.

상술한 바와 같은 삽입부(110)와 제어부(12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100)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시 스마트폰의 사용이 물리적으로 차단된다. 이에 따르면, 운전자가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0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insertion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20 as described above, the use of the smartphone is physically Blocked. According to this, the driver can concentrate only on driving, so that an accident of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200)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vehicle control system 200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200)은 삽입부(220)와 제어부(120)를 포함한다.The vehicle control system 200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ertion unit 220 and a control unit 120.

여기서, 제어부(120)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100)에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Here, since the control unit 12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0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삽입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6 shows the operation of the insertion unit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삽입부(210)는 단말기(t)가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인터페시아 부분에 설치되며, 단말기(t)가 삽입공간에 위치하는 경우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삽입부(210)에 의해 생성된 감지신호는 후술하는 제어부(120)에 전달된다.The insertion unit 210 forms an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into which the terminal t is inserted, is installed in the interfacial portion of the vehicle, and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when the terminal t is located in the insertion space. The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insertion unit 21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삽입부(210)는 보다 상세하게, 이동모듈(211)과 감지센서(212)를 포함한다.The insertion unit 210 includes a moving module 211 and a detection sensor 212 in more detail.

이동모듈(211)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감지센서(212)가 상면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제어부(120)에 의해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되게 마련된다.The moving module 211 is provided in plural and arranged side by side, and the detection sensor 212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and is provided to be mov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by the control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감지센서(212)는 이동모듈(211)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단말기(t)가 삽입공간에 위치하는 경우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한다.The detection sensors 212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module 211, and when the terminal t is located in the insertion space, a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0.

여기서, 감지신호란, 삽입공간에 단말기(t)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통해 삽입공간에 단말기(t)가 위치하는 경우 생성되는 신호이다.Here, the detection signal is a signal generated when the terminal t is located in the insertion space by detecting whether the terminal t is located in the insertion space.

감지센서(212)의 단말기(t) 감지방법은, 예를 들면, 초음파, 적외선을 이용한 물리적인 감지, 압력감지 센서를 통한 물리적인 감지, 단말기(t)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 검출을 통한 전자기적 감지, 단말기(t)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또는 NFC를 통한 통신적인 감지 등 여러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 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t)가 삽입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The terminal (t) detection method of the detection sensor 212 includes, for example, physical detection using ultrasonic waves and infrared rays, physical detection through a pressure sensor, electromagnetic detection through detection of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terminal (t). , Bluetooth pairing with the terminal (t) or communication detection through NFC, etc. may be appli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f it is a method that can confirm that the terminal (t) is located in the insertion space, in what method Even if it is prepared, it is okay.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t)가 감지센서(212)에 접촉하게되면, 감지센서(212)는 감지신호를 제어부(120)로 전달하고, 이후,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20)는 이동모듈(212)을 작동시킨다. 여기서, 제어부(120)는 단말기(t)가 접촉된 감지센서(212)가 설치되는 이동모듈(211)을 하강시키며, 하강되는 이동모듈(211)의 양 측면에 위치한 이동모듈(221)은 단말기(t)의 양측면을 향하도록 이동(압박)시켜 단말기(t)를 고정시킨다.As shown in (b) of FIG. 6, when the terminal 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etection sensor 212, the detection sensor 212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20, and then,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he received control unit 120 operates the moving module 212. Here, the control unit 120 lowers the moving module 211 on which the sensing sensor 212 contacted with the terminal t is installed, and the moving module 221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ed moving module 211 is a terminal The terminal (t) is fixed by moving (pressing) it toward both sides of (t).

이러한 삽입부(210)의 동작에 따르면, 단말기(t)의 크기에 관계 없이 단말기(t)가 삽입부(210)에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sertion unit 210, the terminal t can be effectively fixed to the insertion unit 210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terminal t.

한편, 삽입공간에 단말기(t)가 존재하고, 이동모듈(211)이 작동되어 단말기(t)가 고정된 상태에서 차량이 시동이 정지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단말기(t)의 양측면을 압박하던 이동모듈을 다시 원위치로 제어하고, 하강되었던 이동모듈(211)을 다시 상승 시킨다. 이러한 제어부(120)의 과정에 따르면,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정지시키는 경우 운전자가 단말기(t)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rminal (t) is present in the insertion space and the vehicle is stopped while the mobile module (211) is operated and the terminal (t) is fixed,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both sides of the terminal (t). The moving module which was pressed is controlled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moving module 211 that has been lowered is raised again.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e control unit 120, when the driver stops starting the vehicle, the driver can easily retrieve the terminal t.

상술한 바와 같은 삽입부(210)와 제어부(12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200)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시 스마트폰의 사용이 물리적으로 차단된다. 이에 따르면, 운전자가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control system 200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insertion unit 210 and the control unit 120 as described above, the use of the smartphone is physically Blocked. According to this, the driver can concentrate only on driving, so that an accident of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ven if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into one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in one or mor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nsist of"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are not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110 : 삽입부
111 : 본체부
112 : 프레임부
113 : 덮개부
114 : 감지부
115 : 구동부
116 : 저지부
120 : 제어부
t : 단말기
200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210 : 삽입부
211 : 이동모듈
212 : 감지센서
100: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insertion part
111: main body
112: frame part
113: cover
114: detection unit
115: drive unit
116: lowland
120: control unit
t: terminal
200: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0: insertion part
211: moving module
212: detection sensor

Claims (4)

단말기가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삽입공간에 위치하는 경우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삽입부; 및
상기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차량의 작동을 허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일측면을 마감하는 덮개부와,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감지부와, 링크방식으로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본체부의 내외부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이 운행중인 경우 동작하여 상기 덮개부의 동작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일단은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저지부는,
하우징부와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설치되되 닫힌 상태의 상기 덮개부를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며, 저면이 개구된 인출공간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인출공간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인출공간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덮개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접촉됨으로써 상기 덮개부의 동작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An insertion unit that forms an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into which a terminal is inserted, and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when the terminal is located in the insertion space;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permits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he insertion part,
The body part, the frame part installed in the body part and forming the insertion space, a cover part installed at an end of the body part and closing one side of the body part forming the insertion space, and the control part by generating the detection signal A sensing unit for transmitting to,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frame unit in and out of the main unit in a link manner, and a blocking unit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unit and operating when the vehicle is running to block the operation of the cover unit,
The driving unit,
One e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The blocking portion,
It includes a housing part and a contact part,
The housing part,
It is provided in a pair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is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over part in a closed state, respectively, and a draw-out space with an open bottom is formed, respectively,
The contact portion,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a pair and is installed in the withdrawal space of the housing unit, is drawn downward from the withdrawal space, and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of the cover, respectively, to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cover.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운행중인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삽입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vehicle is running, 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ing the insertion unit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space.
삭제dele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rame part,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charge the terminal wirelessly.
KR1020180131142A 2018-10-30 2018-10-30 Car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 KR1022243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142A KR102224369B1 (en) 2018-10-30 2018-10-30 Car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142A KR102224369B1 (en) 2018-10-30 2018-10-30 Car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730A KR20200048730A (en) 2020-05-08
KR102224369B1 true KR102224369B1 (en) 2021-03-08

Family

ID=70677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142A KR102224369B1 (en) 2018-10-30 2018-10-30 Car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36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786B1 (en) * 2015-07-03 2016-08-29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Cluster system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798A (en) * 2015-03-13 2016-09-21 주식회사 대창 User authentication modules and vehicle with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786B1 (en) * 2015-07-03 2016-08-29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Cluster system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730A (en)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3700B1 (en) Vehicle door control device and vehicle door control method
US9522590B2 (en)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US9026314B2 (en) Opening/closing body control device
US6089649A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slide door
US20180300965A1 (en)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CN102029879B (en) The vehicle anti-pinch with variable thresholding controls and method
CN105303653A (en) Phone sleeve vehicle fob
CN108791123B (en)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n external service
CN105484608A (en) Car window control method, car window control device and mobile terminal
CN107901906A (en) A kind of remote driving control method, device, controller and electric automobile
US20180297536A1 (en) Roof box
JP2021501842A (en) Emergency actuation device for moving parts of the vehicle
CN105178760A (en) Method And System For Positioning A Vehicle Door
US10940831B2 (en) Portable terminal, remote operation method for vehicle, and program
US20180030772A1 (en) Drive arrangement for a closure element of a motor vehicle
CN104832010A (en) Door lock system
KR20190095389A (en) Method for driving a motor-driven closed element assembly of a motor vehicle
KR102224369B1 (en) Car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
KR102070357B1 (en) Motor vehicle
KR101679191B1 (en) method for door opening force of vehicle
EP2685588A1 (en) In-vehicle charger, and program therefor
CN110999026A (en) Wireless charger enablement
JP2008057237A (en) Opening/closing device for vehicle door
CN106382070B (en) Switch for vehicle body control device
JP2009121054A (en) Slide door opening/clo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