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787B1 - Retaining wall type rainfall storage tank - Google Patents

Retaining wall type rainfall storage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787B1
KR102223787B1 KR1020200104357A KR20200104357A KR102223787B1 KR 102223787 B1 KR102223787 B1 KR 102223787B1 KR 1020200104357 A KR1020200104357 A KR 1020200104357A KR 20200104357 A KR20200104357 A KR 20200104357A KR 102223787 B1 KR102223787 B1 KR 102223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rainwater storage
storage tank
wall type
type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3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도
김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안종합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안종합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안종합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04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7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7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1/00Cess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8Off-grid powered water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Abstract

Provided is a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capable of performing a retaining function a landslide or collapse of a piled ground slope while storing or draining rainwater in case of rainfall.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is applied to be installed in a stepped area.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is formed as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s consecutively come in contact with each other. Each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s includes: a body part i) in which a storage tank opened upwards is formed, having its height greater than its width; and an upper part ii) covering an upper side to be located above the body part, and applied such that trees can be planted thereon.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s include: a first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i), and a second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ii) com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Description

옹벽형 빗물 저류조 {RETAINING WALL TYPE RAINFALL STORAGE TANK}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RETAINING WALL TYPE RAINFALL STORAGE TANK}

본 발명은 옹벽형 빗물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강우시 빗물을 저장 또는 배수하면서 성토 비탈면의 붕괴 또는 산사태를 방지하는 옹벽 기능을 할 수 있는 옹벽형 빗물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that can function as a retaining wall to prevent collapse or landslides of embankment slopes while storing or draining rainwater during rainfall.

여름 등 강우량이 상당한 경우 성토 비탈면의 붕괴 또는 산사태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성토 비탈면의 붕괴 또는 산사태 방지를 위해 경사면에는 반드시 옹벽을 설치해야 한다. 옹벽은 경사면 등에 설치되어 토사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re is significant rainfall, such as in summer, the collapse of the embankment slope or landslide occurs a lot. Therefore, a retaining wall must be installed on the slope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embankment slope or a landslide. Retaining walls can be installed on slopes, etc. to prevent the flow of soil.

그러나 기후 변화로 인해 장마가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산 아래 또는 산비탈 등의 경사면에 옹벽을 설치하더라도 토질이 연약해져서 대규모 성토 비탈면의 붕괴 또는 산사태를 피할 수 없다. 즉, 옹벽 설치만으로는 점차 피해 규모가 커지는 성토 비탈면의 붕괴 또는 산사태 예방에 역부족이다.However, if the rainy season lasts for a long time due to climate change, even if a retaining wall is installed under a mountain or on a slope such as a hillside, the soil quality becomes soft, and a collapse or landslide of a large-scale embankment slope cannot be avoided. In other words, the installation of retaining walls is not enough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embankment slope or landslide, which gradually increases the size of the damage.

한국공개특허 제2015-013877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5-0138771

빗물을 저장 또는 배수하면서 성토 비탈면의 붕괴 또는 산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옹벽형 빗물 저류조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that can prevent collapse or landslides of the embankment slope while storing or draining rainw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형 빗물 저류조는 단차가 형성된 영역에 설치되도록 적용된다. 옹벽형 빗물 저류조는 i) 상측으로 개구된 저류조가 그 내부에 형성되며, 그 높이가 그 너비보다 큰 본체부, 및 ii) 상측을 덮어서 본체부 위에 위치하고, 그 위에 수목이 식재되도록 적용된 상판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들이 상호 연속으로 접하여 형성된다. 복수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들은, i) 제1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 및 ii) 제1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과 접하는 제2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을 포함한다. 제1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 및 제2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의 각 본체부는, i) 높이 방향으로 길게 뻗은 제1 볼록부 및 제1 볼록부와 인접하며 제1 볼록부와의 공유면을 기준으로 180도 대칭인 제1 오목부가 형성된 제1 외측면, 및 ii) 제1 외측면이 향하는 제1 방향과 멀어지는 제2 방향을 향하고, 제1 볼록부에 대응하는 제2 오목부 및 제1 볼록부와 인접하며 제1 오목부에 대응하는 제2 볼록부가 형성된 제2 외측면을 포함한다. 제1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의 제1 볼록부는 제2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의 제2 오목부에 삽입 결합되고, 제2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의 제2 볼록부는 제1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의 제1 오목부 삽입 결합된다.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be installed in a stepped area. In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i) a storage tank opened to the upper side is formed inside the body part, whose height is greater than its width, and ii) the upper plate part is placed on the body part by covering the upper side and applied to plant trees thereon, respectively.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s are formed in continuous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s include i) a first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and ii) a second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in contact with the first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Each main body portion of the first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and the second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is i) adjacent to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the first convex portion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based on the shared surface with the first convex portion. A first outer surface in which a first concave portion that is 180 degrees symmetrical is formed, and ii) a second concave portion and a first convex portion that faces a second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direction toward which the first outer surface faces, and corresponds to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a second outer surface adjacent to and formed with a second convex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The first convex portion of the first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econd concave portion of the second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is the first convex portion of the first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 The recess is inserted and combined.

제1 볼록부는, i) 제1 방향으로 돌출하여 제1 외측면과 둔각을 형성하는 사면, 및 ii) 제1 사면과 연결되고, 제1 외측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볼록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볼록면은 공유면과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면서 연결될 수 있다. 제1 오목부는, i) 사면과 평행하고, 제2 방향으로 패여서 제1 외측면과 둔각을 형성하는 또다른 사면, 및 ii) 또다른 사면과 연결되고, 볼록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오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오목면은 공유면과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면서 연결될 수 있다. 각 본체부는 저류조를 형성하고 제2 방향을 향하며 제1 외측면에 대응하는 제1 내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면에는 제2 방향으로 더 돌출하고 제1 오목부에 대응하는 제1 보강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각 본체부는 저류조를 형성하고 제1 방향을 향하며 제2 외측면에 대응하는 제2 내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측면에는 제1 방향으로 더 돌출하고 제1 보강부와 마주하는 제2 보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강부의 제1 내측면으로부터의 돌출 두께는 제1 오목부의 제1 외측면으로부터의 함몰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first convex portion may include i) a slope protrud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the first outer surface, and ii) a convex surface connected to the first slope a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outer surface. . The convex surface may be connected whil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hared surface. The first concave portion includes: i) another slope that is parallel to the slope and is recessed in a second direction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the first outer surface, and ii) a concave surface that is connected to the other slope and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onvex surface. It may include. The concave surface may be connected whil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hared surface. Each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inner surface that forms a storage tank and faces the second direction and corresponds to the first outer surface. A first reinforcement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first inner surface and further protrud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Each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nner surface that forms a storage tank and faces the first direction and corresponds to the second outer surface. A second reinforcement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second inner surface and further protrude in the first direction and face the first reinforcement portion. The protruding thickness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recessed thickness from the first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각 본체부는, i) 저류조와 분리되어 저류조 아래에 형성된 배수로, 및 ii) 제1 외측면 및 제2 외측면에 함께 연결된 제3 외측면에 설치되고, 영역을 형성하는 하단 부지와 접하며, 제3 외측면을 관통하여 배수로와 연통된 배수구와 연결된 집수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로는 제1 외측면과 제2 외측면을 관통하면서 형성되며, 제1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의 배수로와 제2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의 배수로가 상호 연통될 수 있다.Each of the main bodies includes i) a drainage passage separated from the storage tank and formed under the storage tank, and ii) installed on a third outer surface connected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outer surfaces, and in contact with the lower site forming a region, and a third It may further include a catchment port connected to the drain port through the outer surface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age channel. The drainage passage is formed while penetrating the first outer surface and the second outer surface, and the drainage passage of the first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and the drainage passage of the second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집수구는, i)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측벽들, ii) 한 쌍의 제1 측벽들을 상호 연결하고 하단 부지에 접하는 제2 측벽, 및 iii) 한 쌍의 제1 측벽들과 제2 측벽에 둘러싸이고, 배수구의 하면과 접하며, 하단 부지보다 낮게 위치하면서 하단 부지와 평행하도록 적용되고, 한 쌍의 제1 측벽들의 각 하단보다 높게 위치하는 그레이팅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tchment may include i) a pair of first side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acing each other, ii) a second sidewall connecting the pair of first sidewalls to each other and contacting the lower site, and iii) a pair of first sidewalls and a second sidewall. 2 It is enclosed by the sidewalls,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rain hole,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lower site and applied to be parallel to the lower site, and may include a grating positioned higher than each lower end of the pair of first sidewalls.

상판부는, i) 그 위에 영역을 형성하는 상단 부지가 형성되어 수목이 식재되도록 적용된 식재용 판부, ii) 그 상단이 식재용 판부보다 위에 위치하고, 상측으로 개구되며, 저류조와 연통되고, 너비 방향으로 길게 뻗은 취수부, 및 iii) 취수부와 접하고, 상측으로 개구되어 저류조와 연통된 유지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식재용 판부에는 상호 이격된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되고, 통공들에 상단 부지를 받치면서 상단 부지를 통과한 물만 저류조로 낙하시키도록 적용된 투수망이 설치될 수 있다.The top plate includes: i) a planting plate portion, which is applied to plant trees by forming an upper site forming an area thereon, ii) the upper portion of which is located above the planting plate portion and opens upward, communicates with the storage tank, and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It may include an elongated water intake part, and iii) a maintenance part in contact with the water intake part and open upward to communicate with the storage tank.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formed in the planting plate, and a permeable net applied so as to drop only water passing through the upper site into the reservoir while supporting the upper site in the through holes may be installed.

옹벽형 빗물 저류조를 이용해 성토 비탈면의 붕괴 또는 산사태 등의 사면 붕괴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장마시의 빗물을 저류조에 저장하여 조경관수 또는 도로청소로 재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수 또는 수몰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옹벽형 빗물 저류조를 이루는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은 직육면체의 단순 구조로 형성되어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을 모두 줄일 수 있다. 옹벽형 빗물 저류조가 옹벽, 식재, 저류조 및 배수로의 기능을 한번에 모두 수행하여 부지 활용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옹벽형 빗물 저류조를 통해 열섬화를 예방하고 물순환 시스템을 복원할 수 있다.By using a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collapse of the embankment slope or the collapse of the slope such as a landslide. In addition, rainwater during the rainy season can be stored in a storage tank and recycled for landscaping irrigation or road cleaning, as well as preventing flooding or submersion damage.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forming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is formed in a simple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so that both manufacturing time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can maximize site utilization by performing the functions of retaining wall, planting, storage tank and drainage channel at once. Ultimately, it is possible to prevent heat flash and restore the water circulation system through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옹벽형 빗물 저류조에 포함된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옹벽형 빗물 저류조에 포함된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 영역의 개략적인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 영역의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집수구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VI-VI선을 따라 자른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옹벽형 빗물 저류조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라 제조한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의 사진이다.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included in a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included in a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enlarged plan view of area III of FIG. 1.
4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area IV of FIG. 1.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water collecting port of FIG. 4.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1.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tate of use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of FIG. 1.
8 is a photograph of a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part, it may be directly on top of another part, or other parts may be involved in between. In contrast,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above" another part, no other part is involved in between.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part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or section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par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from another par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Accordingly, a first par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described below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par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for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a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ac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the presence of anothe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action, element and/or component, or It does not exclude additions.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Terms indicating a relative space such as "below" and "above" may be used to more easily describe the relationship of one part to another part shown in the drawings. These terms are intended to include other meanings or operations of the device in use together with their intended meaning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the device in the drawing is turned over, certain parts described as being "below" other parts are described as being "above" other parts. Thus, the exemplary term “down” includes both up and down directions. The device can be rotated by 90 degrees or other angles, and terms that refer to relative space are interpreted accordingly.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though not defined differently,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additionally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ated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ly disclosed conten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very formal meaning unless defined.

단면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 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ross-sectional view specifically represent an ide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illustration are expected, for example variations in manufacturing methods and/or specifications. Accordingly,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of the illustrated area, and includes, for example, a modification of the shape by manufacturing. For example, an area shown or described as being flat may have characteristics that are generally rough, rough, and non-linear. Also, portions shown as having a sharp angle can be rounded. Accordingly, the areas shown in the drawings are originally only approximate, and their shapes are not intended to show the exact shape of the area, and are not intended to narro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도 7에 도시, 이하 동일)에 포함된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1 schematically shows a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included in a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0 (shown in FIG. 7, the same hereina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of FIG. 1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may be modified in other form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은 본체부(10)와 상판부(20)를 포함한다. 이외에,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는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includes a body portion 10 and an upper plate portion 20. 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0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s necessary.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저류조(101)가 형성된다. 저류조(101)는 그 상측, 즉 +z축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부(10)의 상측으로부터 빗물이 유입되어 저류조(101)에 저장된다. 따라서 다량의 빗물을 보관했다가 조경관수 또는 도로청소 등이 필요한 경우 이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장마시에는 저류조(101)가 다량의 빗물을 보관하므로, 하류부 우수관로의 부담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단순한 구조의 저류조(101)로 인해 별도의 집수정이나 관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A storage tank 101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storage tank 101 is opened above it, that is, in the +z-axis direction. Accordingly, rainwater flows in from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tank 101. Therefore, it can be used for this purpose when a large amount of rainwater is stored and landscape irrigation or road cleaning is required. During the rainy season, since the storage tank 101 stores a large amount of rainwater,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burden on the downstream rainwater pipe. In addition, due to the simple structure of the storage tank 101,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collection well or pipeline.

본체부(10)는 제1 외측면(103), 제2 외측면(105), 제3 외측면(107) 및 제4 외측면(109)을 포함한다. 제1 외측면(103), 제2 외측면(105), 제3 외측면(107) 및 제4 외측면(109)은 상호 연결된다. 제1 외측면(103)은 +y축 방향을 향하고, 제2 외측면(105)은 -y축 방향을 향한다. 또한, 제3 외측면(107)은 +x축 방향을 향하고, 제4 외측면(109)은 -x축 방향을 향한다.The body portion 10 includes a first outer surface 103, a second outer surface 105, a third outer surface 107 and a fourth outer surface 109. The first outer surface 103, the second outer surface 105, the third outer surface 107 and the fourth outer surface 109 are interconnected. The first outer surface 103 faces the +y-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outer surface 105 faces the -y-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third outer surface 107 faces the +x-axis direction, and the fourth outer surface 109 faces the -x-axis direction.

제1 볼록부(104)와 제1 오목부(106)는 제1 외측면(103)에 형성되어 z축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다. 제1 볼록부(104)는 제1 외측면(103)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제1 볼록부(104)는 제1 외측면(103)이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1 오목부(106)는 제1 볼록부(104)와 인접한다. 제1 오목부(106)는 제1 외측면(103)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움푹 패여 있다. 즉, 제1 오목부(106)는 제1 외측면(103)이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The first convex portion 104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are formed on the first outer surface 103 and extend long in the z-axis direction. The first convex portion 104 protrudes from the first outer surface 103 in the +y-axis direction. That is, the first convex portion 104 protrud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outer surface 103.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is adjacent to the first convex portion 104.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is recessed from the first outer surface 103 in the -y-axis direction. That is,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outer surface 103 faces.

한편, 제2 외측면(105)은 +y축 방향과 멀어지는 -y축 방향을 향한다. 제2 외측면(105)에도 제1 외측면(103)과 유사하게 제2 볼록부(104')와 제2 오목부(106')가 형성된다. 제2 볼록부(104')와 제2 오목부(106')는 상호 인접해 있다. 제2 볼록부(104')는 제1 오목부(106)에 대응하고, 제2 오목부(106')는 제1 볼록부(104)에 대응한다. 이들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그 결과, 복수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이 상호 결합하는 경우, 제1 볼록부(104)와 제2 오목부(106'), 제1 오목부(106)와 제2 볼록부(104')가 상호 결합하여 일체화된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를 형성한다.Meanwhile, the second outer surface 105 faces the -y-axis direction away from the +y-axis direction. Similar to the first outer surface 103, a second convex portion 104 ′ and a second concave portion 106 ′ are formed on the second outer surface 105 as well. The second convex portion 104'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106'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second convex portion 104 ′ corresponds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106 ′ corresponds to the first convex portion 104. They have the same shape as each other. As a result, when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rainwater storage units 100 are mutually coupled, the first convex portion 104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106 ′,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104 ') are combined to form an integrated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0.

제1 외측면(103)에는 유지관리구(108)가 형성되어 관리자가 이를 통해 저류조(101)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지관리구(108)의 아래의 저류조(101)에는 사다리가 설치되어 필요시 관리자가 저류조(101) 바닥까지 쉽게 접근할 수 있다.A maintenance tool 108 is formed on the first outer surface 103 so that an administrator can check the inside of the storage tank 101 through this. Although not shown in FIG. 1, a ladder is installed in the storage tank 101 under the maintenance unit 108 so that the manager can easily access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 101 if necessary.

제3 외측면(107)은 하단 부지를 향해 있고 하단 부지와 접한다. 따라서 저류조(101)의 아래 부분은 하단 부지에 매립된다. 이 경우, 하단 부지로 흐르는 빗물은 제3 외측면(107)에 설치된 집수구(111)를 통해 모인다. 또한, 제3 외측면(107)에는 다수의 홈들이 형성되어 빗물이 이를 타고 집수구(111)로 모인다. 모인 빗물은 배수구(1110)를 통해 배수로(110)에 모여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 결과, 장마나 홍수가 발생하는 경우, 하단 부지에 물이 고이지 않는다.The third outer surface 107 faces the lower site and contacts the lower site. Therefore,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tank 101 is buried in the lower site. In this case, rainwater flowing to the lower site is collected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port 111 installed on the third outer surface 107. In addition,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on the third outer surface 107 so that rainwater rides on it and collects into the catchment hole 111. The collected rainwater is collected in the drainage passage 110 through the drain hole 111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a result, in the event of a rainy season or flood, water does not accumulate on the lower site.

제4 외측면(109)은 상단 부지와 접한다. 제4 외측면(109)은 상단 부지와 접하여 성토 비탈면의 붕괴 또는 산사태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토사를 지지한다. 그 결과,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가 비탈면 등에 설치되는 경우, 성토 비탈면의 붕괴 또는 산사태 등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fourth outer surface 109 contacts the upper site. The fourth outer surface 109 contacts the upper site and supports the soil so that the embankment slope does not collapse or a landslide occurs. As a result, when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0 is installed on a slope or the like, collapse of the embankment slope or a landslide can be efficiently prevented.

본체부(10)는 앞서 설명한 배수로(110)와 집수구(111)를 더 포함한다. 배수로(110)는 저류조(101)와 분리되어 그 바로 아래에 형성된다. 배수로(110)는 제1 외측면(103)과 제2 외측면(105)을 관통한다. 그 결과, 다수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을 y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하는 경우, 배수로(110)가 상호 연통된다. 따라서 집수구(111)를 통해 수집되는 물을 배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수로(110)의 바닥면은 +y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을 향해 경사져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을 나란히 배열해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를 구축하는 경우, 각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배열 순서를 정하고 그 순서에 따라 바닥면의 높이를 차례로 설정한다. 그 결과, 모든 바닥면들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일체화된 경사면을 형성한다. 즉, 제2 외측면(105)에서의 배수로(110)의 바닥면의 높이를 제2 외측면(105)과 접하는 또다른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제1 외측면에서의 배수로(110)의 바닥면의 높이와 동일하게 만든다. 그 결과, 배수로(110)에 유입된 물이 일방향으로 원활하게 흐르므로, 장마나 홍수시에도 물을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 further includes a drainage passage 110 and a water collecting port 111 described above. The drainage passage 110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tank 101 and formed immediately below it. The drainage passage 110 passes through the first outer surface 103 and the second outer surface 105. As a result, when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s 100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y-axis direction, the drainage passages 11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refore, water collected through the water catch 111 can be drained. To this e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age passage 11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y-axis direction or the -y-axis direction. In the case of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rainwater storage tank 1000 by arranging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rainwater storage units 100 side by side, the arrangement order of each retaining wall rainwater storage unit 100 is determined, and the height of the floor is sequenti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order. Set. As a result, all floor surfaces are naturally connected to form an integrated inclined surface. That is,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age passage 110 in the second outer surface 105 is the drainage passage 110 in the first outer surface of the other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in contact with the second outer surface 105. ) And make it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floor. As a result, since the water flowing into the drainage passage 110 smoothly flows in one direction, water can be drained smoothly even during a rainy season or a flood.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부(20)는 본체부(10)의 상측을 덮어서 본체부(10) 위에 위치한다. 상판부(20)는 식재용 판부(201), 유지관리부(203), 취수부(205) 및 다리부(207)를 포함한다. 이외에, 상판부(20)는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upper plate part 20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10 and is positioned on the main body part 10. The upper plate part 20 includes a planting plate part 201, a maintenance part 203, a water intake part 205, and a leg part 207. In addition, the upper plate 20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s necessary.

식재용 판부(201)에는 단차가 형성된 영역, 즉 비탈면을 이루는 상단 부지가 형성된다. 즉, 토사로 식재용 판부(201)를 덮을 수 있고, 그 위에 수목이 식재된다. 식재용 판부(201)에 의해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는 토사와 일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단 부지측에서는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가 외부에 잘 드러나지 않아 외관상 바람직하다.In the planting plate portion 201, an area in which a step is formed, that is, an upper site forming a slope is formed. That is, it is possible to cover the planting plate part 201 with soil, and trees are planted thereon.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0 may be integrated with soil and sand by the planting plate part 201. Therefore,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0 is not well exposed to the outside on the upper site side, which is preferable in appearance.

취수부(205)의 상단은 식재용 판부(201)보다 더 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취수부(205)는 상단 부지에 의해 매립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다. 취수부(205)는 식재용 판부(201)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가진다. 따라서 식재용 판부(201) 위에 상단 부지가 위치하도록 토사가 쌓이는 경우, 취수부(205)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접근하기가 용이해진다. 취수부(205)는 저류조(101)와 연통된다. 취수부(205)는 그 상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취수부(205)를 통해 저류조(101)에 저장된 빗물을 빼내어 필요시 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취수부(205)가 본체부(10)의 너비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상을 가지므로, 다수의 송수관들을 취수부(205)를 통해 저류조(101)에 넣어 빗물을 밖으로 순식간에 빼낼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water intake part 205 is located above the planting plate part 201. Therefore, the water intake part 205 is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buried by the upper site. The water intake part 205 has a certain height from the planting plate part 201. Therefore, when soil is piled up so that the top site is located on the planting plate part 201, the height of the water intake part 205 is lowered, making it easier to access. The water intake part 205 communicates with the storage tank 101. The water intake part 205 is open to the upper side. Therefore,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101 can be removed through the water intake unit 205 and used as water if necessary. In particular, since the water intake part 205 has a shape that extends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part 10, that is, in the y-axis direction, a plurality of water pipes are put into the storage tank 101 through the water intake part 205 to allow rainwater to flow out. You can get it out in an instant.

유지관리부(203)는 취수부(205)와 접한다. 유지관리부(203)는 상측으로 개구되어 저류조(101)와 연통되어 있다.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지관리부(203) 내에는 사다리가 설치되어 관리자가 필요시 유지관리부(203)를 통해 저류조(101)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저류조(101)에 오물이 떠 있는 경우, 유지관리부(203)를 통해 뜰채를 넣어 오물을 빼낼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추락사 등을 방지하기 위해 평상시에는 유지관리부(203)는 커버 등으로 덮여 자물쇠로 잠겨져 있다. 시설물 관리자는 열쇠를 가지고 있어서 필요시 커버를 열고 유지관리부(203)를 이용할 수 있다.The maintenance unit 203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intake unit 205. The maintenance unit 203 is opened upward and communicates with the storage tank 101. Although not shown in FIG. 1, a ladder is installed in the maintenance unit 203 so that an administrator can enter the storage tank 101 through the maintenance unit 203 if necessary. In addition, when dirt is floating in the storage tank 101, it is also possible to remove the dirt by putting a landing net through the maintenance unit 203.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1, in order to prevent a fall or the like, the maintenance unit 203 is normally covered with a cover or the like and locked with a lock. The facility manager has the key and can open the cover and use the maintenance unit 203 if necessary.

장착부(207)는 유지관리부(203)와 취수부(205)의 하단에 형성된다. 장착부(207)를 본체부(10) 위에 얹어서 상판부(20)를 본체부(10) 위에 점선을 따라 견고히 고정한다. 그 결과, 상판부(20)는 본체부(10)에서 잘 이탈되지 않으므로,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을 견고하게 제조할 수 있다.The mounting part 207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tenance part 203 and the water intake part 205. The mounting portion 207 is placed on the body portion 10 and the upper plate portion 20 is firmly fixed on the body portion 10 along the dotted line. As a result, since the upper plate part 20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part 10,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can be manufactured firmly.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옹벽형 빗물 저류조에 포함된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2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200)은 도 1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과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2 schematically shows a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200 included in a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200 of FIG. 2 is similar to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of FIG. 1,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part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재용 판부(221)에는 통공들(2211)이 형성된다. 즉, 통공들(2211)은 식재용 판부(22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식재용 판부(221) 위에 쌓인 토사에 흡수된 물은 통공들(2211)을 통해 그 아래로 배수될 수 있다. 이 경우, 토사가 저류조(101)로 유입되면 안되므로, 통공들(2211)에 투수망(2211a)을 설치하여 토사가 저류조(101)로 유입되지 않게 막는다. 투수망(2211a)은 상단 부지를 받치면서도 상단 부지를 통과한 물만 저류조(101)로 낙하시킨다. 따라서 상단 부지의 배수가 원활하게 잘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rough holes 2211 are formed in the plate portion 221 for planting. That is, the through holes 2211 are formed through the planting plate portion 221. Accordingly, water absorbed by the soil accumulated on the planting plate portion 221 may be drained down through the through holes 2211. In this case, since the soil should not flow into the storage tank 101, a permeable network 2211a i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s 2211 to prevent soil from entering the storage tank 101. The permeable net (2211a), while supporting the upper site, only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upper site falls into the storage tank (101). Therefore, drainage of the upper site is done smoothly and well.

한편, 배수로(110)의 높이(H110)에 대한 저류조(101)의 높이(H101)의 비는 2.5 내지 4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수로(110)의 높이(H110)가 1.5m인 경우, 저류조(101)의 높이(H101)는 4.3m일 수 있다. 전술한 비가 너무 작은 경우, 저류조(101)의 우수 저장 능력이 너무 낮다. 또한, 전술한 비가 너무 큰 경우, 저류조(101)가 너무 커져서 상대적으로 저류조(101)의 활용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 ratio of the height H101 of the storage tank 101 to the height H110 of the drainage passage 110 may be 2.5 to 4. For example, when the height H110 of the drainage passage 110 is 1.5m, the height H101 of the storage tank 101 may be 4.3m. When the above-described ratio is too small,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tank 101 is too low. In addition, when the above-described ratio is too large, the storage tank 101 may become too large, so that the utilization of the storage tank 101 may be relatively low.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maintain the above ratio.

도 3은 도 1의 III 영역의 볼록부(104, 104') 및 오목부(106, 106')를 확대하여 그 평면 구조, 즉 z축 방향에서 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의 볼록부(104, 104') 및 오목부(106, 106')의 평면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그 평면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3에는 편의상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들(100, 100')의 상호간 결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 1과 그 배치를 반대로 하여 제1 볼록부(104) 및 제1 오목부(106)를 제2 볼록부(104') 및 제2 오목부(106') 위에 도시한다.FIG. 3 schematically shows a planar structure thereof, that is, a state viewed from the z-axis direction, by expanding the convex portions 104 and 104' and the concave portions 106 and 106' in the area III of FIG. 1. The planar structures of the convex portions 104 and 104 ′ and the concave portions 106 and 106 ′ of FIG. 3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planar structure can be transformed into other shapes as well. In FIG. 3, for convenience, the first convex portion 104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are shown as the second convex portion 104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by reversing the arrangement of FIG. It is shown above the convex portion 104'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106'.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제1 볼록부(104)는 아래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제2 오목부(106')에 삽입 결합된다. 또한, 아래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제2 볼록부(104')는 위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제1 오목부(106)에 삽입 결합된다. 이를 위해 볼록부(104, 104') 및 오목부(106, 106')는 상호 대칭 구조를 가진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convex portion 104 of the upper retaining wall rainwater storage unit 10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econd concave portion 106' of the retaining wall rainwater storage unit 100' below. do. In addition, the second convex portion 104 ′ of the lower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of the upper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To this end, the convex portions 104 and 104 ′ and the concave portions 106 and 106 ′ have a mutually symmetric structure.

먼저, 제1 볼록부(104)는 볼록면(1041), 공유면(1045) 및 사면(1047)을 포함한다. 이외에, 제1 볼록부(104)는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first convex portion 104 includes a convex surface 1041, a shared surface 1045, and an inclined surface 1047. In addition, the first convex portion 104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s necessary.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면(1041)은 +y축 방향을 향해 제1 외측면(103)으로부터 돌출된다. 볼록면(1041)과 제1 외측면(103)은 모두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볼록면(1041)과 제1 외측면(103)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사면(1047)도 +y축 방향으로 돌출하고, 제1 외측면(103)과 둔각을 형성한다. 볼록면(1041)은 사면(1047)과 연결된다. 공유면(1045)은 제1 오목부(106)와 제1 볼록부(104)에 의해 공유된다. 공유면(1045)은 y축 방향과 평행하다. 그 결과, 볼록면(1041)은 공유면(1045)과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면서 연결된다.As shown in FIG. 3, the convex surface 1041 protrudes from the first outer surface 103 in the +y-axis direction. Both the convex surface 1041 and the first outer surface 103 are formed along the x-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convex surface 1041 and the first outer surface 103 are substantially parallel. The slope 1047 also protrudes in the +y-axis direction, and forms an obtuse angle with the first outer surface 103. The convex surface 1041 is connected to the slope 1047. The shared surface 1045 is shared by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and the first convex portion 104. The shared surface 1045 is parallel to the y-axis direction. As a result, the convex surface 1041 is connected whil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hared surface 1045.

제1 오목부(106)는 오목면(1061), 공유면(1045) 및 사면(1067)을 포함한다. 이외에, 제1 오목부(106)는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includes a concave surface 1061, a shared surface 1045, and an inclined surface 1067. In addition,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s necessary.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면(1061)은 제1 외측면(103)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패여 있다. 오목면(1061)과 제1 외측면(103)은 모두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오목면(1061)과 제1 외측면(103)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사면(1067)은 사면(1047)과 평행하다. 사면(1067)은 -y축 방향으로 패여서 제1 외측면(103)과 둔각을 형성한다. 오목면(1061)은 사면(1067)과 연결된다. 오목면(1061)은 볼록면(1041)과 실질적으로 평행을 이룬다. 오목면(1061)은 공유면(1045)과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면서 연결된다.3, the concave surface 1061 is recessed from the first outer surface 103 in the -y-axis direction. Both the concave surface 1061 and the first outer surface 103 are formed along the x-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concave surface 1061 and the first outer surface 103 are substantially parallel. The slope 1067 is parallel to the slope 1047. The slope 1067 is recessed in the -y-axis direction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the first outer surface 103. The concave surface 1061 is connected to the slope 1067. The concave surface 1061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onvex surface 1041. The concave surface 1061 is connected whil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hared surface 1045.

제1 볼록부(104)는 공유면(1045)을 기준으로 제1 오목부(106)와 180도 대칭을 이룬다. 즉, 공유면(1045)을 기준으로 제1 외측면(103)을 180도 돌리면 제1 외측면(103)의 형상이 동일하다. 즉, 제1 볼록부(104)와 제1 오목부(106)가 공유면(1045)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인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이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제2 오목부(106')와 제2 볼록부(104')가 각각 이들에 결합시 서로 맞닿는 제1 외측면(103)과 제2 외측면(105) 사이가 벌어지지 않고 이들이 잘 결합된다. 따라서 하나의 주형을 이용하여 동일한 형상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을 대량으로 제조해 합체할 수 있다.The first convex portion 104 is symmetrical 180 degrees with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with respect to the shared surface 1045. That is, when the first outer surface 103 is rotated 180 degrees based on the shared surface 1045, the shape of the first outer surface 103 is the same. That is, the first convex portion 104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have a shape that is mutually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shared surface 1045. Therefore, when the second concave portion 106 ′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104 ′ having a corresponding shap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gap between the first outer surface 103 and the second outer surface 105 abutting to each other is widened. They don't lose and they combine wel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d incorporate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of the same shape in large quantities using one mold.

한편, 본체부(10)(도 1에 도시, 이하 동일)는 저류조(101)(도 1에 도시)를 형성하는 제1 내측면(103')을 포함한다. 제1 내측면(103')은 -y축 방향을 향하며 제1 외측면(103)에 대응한다. 한편, 제1 오목부(106)로 인해 본체부(10)의 벽이 얇아지므로, 강도 보강을 위해 제1 오목부(106)의 패인 깊이만큼 제1 내측면(103')을 돌출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 내측면(103')에는 -y축 방향으로 더 돌출하고 제1 오목부(106)에 대응하는 제1 보강부(1011)를 형성한다. 제1 보강부(1011)는 제1 볼록부(104)에도 대응하므로, 제1 보강부(1011)와 제1 볼록부(104)의 간격은 그 주위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는 제1 볼록부(104)에 대응시켜 제1 내측면(103')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경우, 본체부(10)의 벽에 굴곡이 형성되어 외부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파단 개시점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보강부(1011)는 제1 볼록부(104)와 제1 오목부(106)에 모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portion 10 (shown in Fig. 1, the same hereinafter) includes a first inner surface 103' forming the storage tank 101 (shown in Fig. 1). The first inner surface 103 ′ faces the -y-axis direction and corresponds to the first outer surface 103. On the other hand, since the wall of the body portion 10 becomes thin due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it is necessary to protrude the first inner surface 103 ′ by the depth of the depression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for reinforcing strength. have. Accordingly, a first reinforcing portion 1011 is formed on the first inner surface 103 ′ to further protrude in the -y-axis direc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Since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011 corresponds to the first convex portion 104 as well,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011 and the first convex portion 104 is formed larger than that around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011. This corresponds to the first convex portion 104 to form a concave portion in the first inner surface 103 ′, and whe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wall of the body portion 10 due to the formation of a concave portion, it may act as a fracture starting point. Because there is. Accordingly,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011 is formed to correspond to both the first convex portion 104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제1 보강부(1011)의 제1 내측면(103')으로부터의 돌출 두께(t1011)는 제1 오목부(106)의 제1 외측면(103)으로부터의 함몰 두께(t106)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제1 오목부(106)의 패인 깊이로 제1 보강부(1011)의 두께를 설정하여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강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볼록부(104)와 제1 오목부(106)가 상호 대칭 형태로 형성되므로, 제1 볼록부(104)의 두께(t104)와 제1 오목부(106)의 두께(t106)도 상호 실질적으로 동일하다.The protruding thickness t1011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103'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011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epression thickness t106 from the first outer surface 103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 106 Do. That is, the strength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can be properly maintained by setting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011 to the depth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st convex portion 104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are formed in a mutually symmetrical shape, the thickness t104 of the first convex portion 104 and the thickness t106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Are also substantially the same as each other.

그리고 사면(1067)의 폭(W1067)에 대한 제1 오목면(1061)의 폭(W1061)의 비는 1.5 내지 2일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비는 1.5일 수 있다. 여기서의 폭은 모두 x축 방향에 평행한 길이로 정의된다. 비가 너무 작은 경우, 사면(1067)이 너무 커지면서 제1 오목부(106)의 두께(t106)가 감소하여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들(100, 100')의 결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반대로, 비가 너무 큰 경우, 사면(1067)은 거의 직각으로 꺾인 형태로 된다.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들(100, 100')은 사면(1067)을 통한 자연스러운 슬라이딩으로 상호 결합이 가능하지만 사면(1067)이 거의 직각에 가깝게 된 경우, 자연스러운 슬라이딩이 어렵다. 이러한 점을 고려시, 전술한 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면(1047)의 폭(W1047)에 대한 제1 볼록면(1041)의 폭(W1041)의 비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In addition, a ratio of the width W1061 of the first concave surface 1061 to the width W1067 of the slope 1067 may be 1.5 to 2. More preferably, the ratio may be 1.5. The widths here are all defined as lengths parallel to the x-axis direction. When the rain is too small, the thickness t106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decreases as the slope 1067 becomes too large, so that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combine the retaining wall rainwater storage units 100 and 100'. Conversely, when the rain is too large, the slope 1067 is bent at an almost right angle.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s 100 and 100' can be mutually coupled by natural sliding through the slope 1067, but when the slope 1067 is almost at a right angle, natural sliding is difficult. In view of this point, it is desirable to maintain the above-described ratio. The same applies to the ratio of the width W1041 of the first convex surface 1041 to the width W1047 of the slope 1047.

그리고 제1 오목부(106)의 두께(t106)에 대한 제1 오목면(1061)의 폭(W1061)의 비는 1.2 내지 2일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비는 1.4 내지 1.5일 수 있다. 이 비가 너무 작은 경우, 제1 오목부(106)의 두께(t106)가 너무 커서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이 비가 너무 큰 경우, 제1 오목부(106)의 두께(t106)가 너무 작아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들(100, 100') 상호간의 체결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비를 전술한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ratio of the width W1061 of the first concave surface 1061 to the thickness t106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may be 1.2 to 2. More preferably, the ratio may be 1.4 to 1.5. When this ratio is too small, the thickness t106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is too large to affect the rigidity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In addition, when this ratio is too large, the thickness t106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106 is too small to be suitable for fastening of the retaining wall rainwater storage units 100 and 100' to each other.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keep the ratio within the aforementioned range.

또다른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본체부도 저류조를 형성하고 제2 외측면(105)에 대응하는 제2 내측면(105')을 포함한다. 제2 보강부(1011')는 제2 내측면(105')에 형성된다. 제2 보강부(1011')는 +y축 방향으로 제2 내측면(105')보다 더 돌출하고 제1 보강부(1011)와 마주한다. 제2 보강부(1011')는 제1 보강부(1011)와 기능면에서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main body of another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 also forms a storage tank and includes a second inner surface 105 ′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uter surface 105.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1011 ′ is formed on the second inner surface 105 ′. The second reinforcement part 1011 ′ protrudes more than the second inner surface 105 ′ in the +y-axis direction and faces the first reinforcement part 1011. Since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1011 ′ is functionally the same as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011,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도 1의 IV 영역의 집수구(111)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의 집수구(111)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집수구(111)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4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of the water collecting port 111 in the area IV of FIG. 1. The structure of the catchment 111 of FIG. 4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structure of the catchment 111 can be modified in other forms.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구(111)는 제3 외측면(107)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3 외측면(107)을 타고 흐르는 빗물을 집수구(111)에서 포집하여 배수할 수 있다. 집수구(111)는 한 쌍의 제1 측벽들(1111), 제2 측벽(1113) 및 저면(1115)을 포함한다. 이외에, 집수구(111)는 필요에 따라 다른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water collecting port 111 is installed on the third outer surface 107. Accordingly, rainwater flowing along the third outer surface 107 may be collected and drained from the catchment 111. The catchment 111 includes a pair of first sidewalls 1111, a second sidewall 1113, and a bottom surface 1115. In addition, the catchment 111 may further include other parts as necessary.

한 쌍의 제1 측벽들(1111)은 y축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대향한다. 한 쌍의 제1 측벽들(1111)은 기설정된 두께, 예를 들면 150mm 내지 200mm의 두께를 가지므로 내구성이 있어서 폭우 등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낮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이물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The pair of first sidewalls 11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y-axis direction and face each other. Since the pair of first sidewalls 1111 have a preset thickness, for example, 150mm to 200mm, they are durable and are less likely to be damaged by heavy rain or the lik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from the outside.

제2 측벽(1113)은 y축 방향을 따라 길게 뻗어서 한 쌍의 제1 측벽들(1111)을 상호 연결한다. 제2 측벽(1113)도 내구성 강화 및 이물 유입 방지를 위해 기설정된 두께로 제조된다.The second sidewall 1113 extends long along the y-axis direction to interconnect the pair of first sidewalls 1111. The second sidewall 1113 is also manufactured with a preset thickness to enhance durability and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저면(1115)은 한 쌍의 제1 측벽들(1111)과 제2 측벽(1113)에 둘러싸인다. 그리고 저면(1115)은 배수구(1110)의 하면과 접한다. 따라서 집수구(111)로 유입된 빗물은 배수구(1110)를 통하여 원활하게 처리된다.The bottom surface 1115 is surrounded by the pair of first sidewalls 1111 and the second sidewall 1113.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1115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 hole 1110. Therefore, rainwater flowing into the water collecting port 111 is smoothly treated through the drain hole 1110.

저면(1115)은 한 쌍의 제1 측벽들(1111)의 각 하단(1111a)보다 z축 방향으로 높게 위치한다. 따라서 한 쌍의 제1 측벽들(1111) 사이의 하측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 결과, 하단 부지가 이 공간에 채워져 집수구(111)가 하단 부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 결과,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1115 is positioned higher in the z-axis direction than each lower end 1111a of the pair of first sidewalls 1111. Accordingly, a space is formed below the pair of first sidewalls 1111. As a result, the lower site is filled in this space, and the catchment 111 is firmly fixed to the lower site. As a result,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can be stably installed.

도 5는 도 4의 집수구(111)의 변형예로서 또다른 집수구(21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의 확대원에는 IV-IV 선을 따라 자른 집수구(211)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FIG. 5 schematically shows another water catchment 211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catchment 111 of FIG. 4. The enlarged circle of FIG. 5 schematically shows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atchment 211 cut along the line IV-IV.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구(211)는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제3 외측면(107)에서 +x축 방향으로 튀어나온 돌출 고정부(1073) 위에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집수구(211)를 얹어서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집수구(211)의 아래에 형성된 하측 함몰부(2111)를 돌출 고정부(1073) 위에 얹어서 집수구(211)를 제3 외측면(107)에 고정한다. 돌출 고정부(1073)는 배수구(1110) 바로 아래에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water collecting port 211 may be detachably coupled. That is, the water collecting port 211 may be mounted and fixed in the direction of the dotted arrow on the protruding fixing part 1073 protruding from the third outer surface 107 in the +x-axis direction. That is, the lower recessed portion 2111 formed under the water collecting hole 211 is mounted on the protruding fixing part 1073 to fix the water collecting hole 211 to the third outer surface 107. The protruding fixing part 1073 is formed immediately below the drain hole 1110.

따라서 도 5의 확대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구(211)의 상부에 설치된 그레이팅(2113)을 통해 그 아래로 유입되는 빗물이 배수구(1110)를 통해 저류조(101)에 원활하게 유입된다. 돌출 고정부(1073)는 제3 외측면(107)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 고정부(1073)가 그 위에서 누르는 집수구(211)의 하중을 받으나, 그 아래의 토양에 의해 지지되므로 파손없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그레이팅(2113)은 물이 배수구(1110)로 유입시 이물질을 차단한다. 그레이팅(2113)은 제3 외측면(107)에 접하여 위치하므로, 그레이팅(2113)과 제3 외측면(107)의 사이 공간을 통하여 이물질이 집수구(211)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낮다.Therefore, as shown in the enlarged circle of FIG. 5, rainwater flowing below the grating 2113 installed on the top of the water collecting port 211 smoothly flows into the storage tank 101 through the drain 1110. The protruding fixing part 107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hird outer surface 107. The protruding fixing part 1073 receives the load of the catchment 211 pressed on it, but is supported by the soil under it, so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damage. Meanwhile, the grating 2113 blocks foreign substances when water flows into the drain 1110. Since the grating 2113 is located in contact with the third outer surface 107, there is a low possibility that foreign substances will flow into the water collecting port 211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grating 2113 and the third outer surface 107.

도 6은 도 1의 VI-VI선을 따라 자른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단면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단면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6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1.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of FIG. 6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may be modified into other shapes.

도 6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에는 철근이 내재된다. 즉,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기본 골조로서 철근을 사용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로 제조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사용하므로, 규격화가 가능해 그 품질 확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이 적절한 하중을 가져서 토사의 압력에 견딜 수 있으므로, 성토 비탈면의 붕괴 또는 산사태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사전 제조되어 필요한 곳에 설치되므로, 시공이 간편하다.Although not shown in FIG. 6, reinforcing bars are embedded in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That is, it is manufactured from precast concrete (PC) using reinforcing bars as the basic frame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Since it is used as precast concrete, it is possible to standardize it, so it is not only easy to secure its quality, but also construction management is easy. In addition, since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has an appropriate load and can withstand the pressure of the soi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embankment slope or a landslide. Since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is pre-fabricated with precast concrete and installed where necessary, construction is simple.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우측은 상단 부지(HG)과 접하고, 그 좌측은 하단 부지(LG)과 접한다.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을 이렇게 단차가 형성된 영역에 고정 설치하기 위해 그 우측에 x축 방향으로 뻗은 고정대(113)를 형성한다. 고정대(113)가 상단 부지(HG)의 아래에 위치한 토사에 단단하게 박혀서 고정되므로,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설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6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우측에 골재층을 설치한 후 골재층의 노출된 측면을 부직포로 덮어 예비 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비 시공 후에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을 설치한다.As shown in Fig. 6, the right side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te HG, and the left side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ite LG. In order to fix and install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in such a stepped area, a fixing table 113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is formed on the right side thereof. Since the fixing table 113 is firmly mounted and fixed in the soil located under the upper site HG, the installation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can be improved. Although not shown in FIG. 6, after installing the aggregate layer on the right side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the exposed side of the aggregate layer may be covered with a nonwoven fabric for preliminary construction. After such preliminary construction, a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is installed.

한편,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좌측에 형성된 집수구(111)는 하단 부지(LG)에 고정된다. 하단 부지(LG)은 집수구(111)의 높이로 위치한다. 제1 측벽들(1111)의 하단들(1111a)은 하단 부지(LG) 아래의 토사에 중력에 의해 박힌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저면(1115)이 하단 부지(LG)과 평행하면서 하단 부지(LG)보다 낮게 위치하므로, 하단 부지(LG) 위를 흐르는 빗물을 쉽게 유입시켜 배수구(1110)를 통해 배수로(110)로 배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홍수를 예방할 수 있다. 저면(1115)은 제1 측벽들(1111)의 하단들(1111a)보다는 높게 위치한다. 그 결과, 저면(1115)을 그 아래의 토사가 지지하여 집수구(111)를 하단 부지(LG)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tchment 111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is fixed to the lower site LG. The lower site LG is located at the height of the catchment 111. The lower ends 1111a of the first sidewalls 1111 maintain a state embedded in the soil under the lower site LG by gravity. And since the bottom surface 1115 is parallel to the lower site LG and is located lower than the lower site LG, rainwater flowing above the lower site LG can be easily introduced and drained into the drainage passage 110 through the drain 1110. I can. As a result, floods can be prevented. The bottom surface 1115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 ends 1111a of the first sidewalls 1111. As a result, the bottom surface 1115 is supported by the soil below it, so that the catchment 111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lower site LG.

다리부(207)는 지지부(1071) 등에 고정되어 상판부(20)를 본체부(10) 위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즉, 지지부(1071)가 단차져서 형성되므로, 여기에 다리부(207)를 넣고 저류조(101)의 제1 내측면(103')에도 다리부(207)를 인접시켜 상판부(20)를 본체부(10) 위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리부(207)가 지지부(1071)와 두 개의 면들에서 접하므로, 상판부(20)를 본체부(10)에서 분리하기도 편리하다.The leg portion 207 is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1071 and the like to stably fix the upper plate portion 20 on the body portion 10. That is, since the support portion 1071 is formed stepped, the leg portion 207 is put here, and the leg portion 207 is also adjacent to the first inner surface 103' of the storage tank 101 so that the upper plate portion 20 is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10) It can be firmly fixed on top. Since the leg portion 207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ortion 1071 on two surfaces, it is convenient to separate the upper plate portion 20 from the body portion 10.

도 7은 도 1의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의 확대원에는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들(100, 100')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의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의 사용 상태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의 단면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7 schematically shows the state of use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0 of FIG. 1. The enlarged circle of FIG. 7 schematically shows a combined state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s 100 and 100'. The state of use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0 of FIG. 7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0 may be modified into other shapes.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는 다수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들(100, 100')을 y축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여 형성한다. 즉, 상단 부지(HG)과 하단 부지(LG)의 단차가 형성된 곳에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를 설치하여 상단 부지(HG)의 토사가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차단한다.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들(100, 100')은 그 자체 무게뿐만 아니라 그 내부의 저류조(101)(도 1에 도시)에 저장된 빗물에 의해 상당한 중량을 가진다. 따라서 상단 부지(HG)의 토압이 크더라도 이를 막아서 성토 비탈면의 붕괴 또는 산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retaining wall rainwater storage tank 1000 is formed by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rainwater storage units 100 and 100' in the y-axis direction. That is, a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0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site HG and the lower site LG is formed to block the soil from the upper site HG from flowing downward.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s 100 and 100' have a significant weight not only by their own weight, but also by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101 (shown in Fig. 1) therein. Therefore, even if the soil pressure of the upper site (HG) is large, it can be prevented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embankment slope or a landslide.

이를 위해 본체부(10)의 높이(H10)는 본체부(10)의 너비(W10)보다 크다. 여기서, 높이(H10)는 z축 방향으로의 본체부(10)의 길이를 의미하고, 너비(W10)는 y축 방향으로의 본체부(10)의 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단차가 크게 형성된 영역에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를 설치하기 바람직하다. 너비(W10)에 대한 높이(H10)의 비는 2 내지 5일 수 있다. 이 비가 너무 작은 경우, 단차가 큰 영역에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를 설치하기 어렵다. 또한, 이 비가 너무 큰 경우, 다수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을 설치해야 되어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전술한 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비는 2.5 내지 3일 수 있다.To this end, the height H10 of the main body 10 is larger than the width W10 of the main body 10. Here, the height H10 means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10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 width W10 means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10 in the y-axis direc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0 in the area where the step difference is large. The ratio of the height H10 to the width W10 may be 2 to 5. When this ratio is too small,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0 in an area with a large step difference. In addition, when this ratio is too large, a large number of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s 100 must be installed, resulting in high cost.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maintain the above ratio. Preferably, the ratio may be 2.5 to 3.

한편, 높이(H10)는 3m 내지 8m로 할 수 있으며,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가 설치되는 단차 형성 영역에 따라 가변된다. 높이(H10)가 클수록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저류량도 증가한다. 예를 들면, 높이(H10)가 1m 커질수록 저류량은 2톤 내지 4톤씩 증가한다.On the other hand, the height H10 may be 3m to 8m, and it varies according to the stepped area in which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0 is installed. As the height H10 increases, the storage amount of the retaining wall rainwater storage unit 100 also increases. For example, as the height H10 increases by 1m, the storage amount increases by 2 to 4 tons.

다수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들(100, 100')은 y축 방향을 따라 상호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상단 부지(HG)으로부터의 토사 흘러내림을 막는다. 특히, 본체부(10)와 상판부(20)는 사전에 프리캐스트 콘크리로 제조하여 단차 영역으로 이송하고 이들을 크레인으로 옮겨서 조립해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를 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간단한 시공으로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를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가 직육면체 형상을 가져서 그 형상이 단순하므로 제조가 쉬운 이점이 있다. 즉, 직육면체 형태의 거푸집을 사용하여 제조하면 되므로, 그 제조 시간과 제조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s 100 and 100' are stably coupled to each other along the y-axis direction to prevent soil from flowing down from the upper site HG. In particular, the body portion 10 and the upper plate portion 20 may be manufactured from precast concrete in advance, transferred to a stepped area, transferred to a stepped area, and assembled by moving them by a crane to construct a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0 with simple construction. In particular, since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ts shape is simple, so it is easy to manufacture. That is, since it can be manufactured us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m, the manufacturing time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greatly reduced.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는 단차가 형성된 영역의 폭에 따라 그 개수를 정하여 설치하면 되어 시공이 간편하다. 또한, 터파기를 많이 하지 않고 단차가 형성된 영역에 바로 설치할 수 있다.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0 is easy to install as the number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0 can be determined and install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area where the step is formed. In addition, it can be installed directly in a stepped area without much digging.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부(20) 위에는 토사를 일정 높이로 쌓고 수목, 예를 들면 나무를 식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인공적으로 제조한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 뿐만 아니라 수목을 이용해 성토 비탈면의 붕괴 또는 산사태 등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soil may be stacked on the top plate 20 to a certain height, and trees, for example, trees may be plan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event the collapse of the embankment slope or landslides using trees as well as the artificially manufactured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0.

도 7의 확대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제2 외측면(105)과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100')의 제1 외측면(103)을 상호 결합한다. 그 결과,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들(100, 100')이 상호 연속으로 접하여 옹벽형 빗물 저류조(1000)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enlarged circle of FIG. 7, the second outer surface 105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and the first outer surface 103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0' are mutually conn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ombine. As a result,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s 100 and 100 ′ may be in continuous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00.

배수로(110)는 y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들(100, 100')을 상호 연통한다. 따라서 화살표 방향으로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들(100, 100')에 유입되는 빗물들을 효율적으로 배수할 수 있다.The drainage passage 110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s 100 and 100'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y-axis direction. Accordingly, rainwater flowing into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s 100 and 10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an be efficiently drained.

이하에서는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험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perimental examples. These experimental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라 제조한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8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은 도 1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형을 가진다. 도 8의 높이를 약 6.5m, 너비를 약 2.5m로 한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을 설치하는 경우에 필요한 부지 면적과 설치 비용을 계산했다. 이 경우, 배수로 상단으로부터 상단 부지까지의 높이는 약 5m이었고, 배수로의 높이는 1.5m 이었다.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은 하단 부지로부터 1.5m 정도 지면에 매립되었다.8 shows a photograph of a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of FIG. 8 has substantially the same appearance as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of FIG. 1. In the case of installing a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having a height of about 6.5 m and a width of about 2.5 m in FIG. 8, the required site area and installation cost were calculated. In this case,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drainage channel to the top site was about 5m, and the height of the drainage channel was 1.5m.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was buried in the ground about 1.5m from the lower sit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5m 높이로 L형 옹벽을 설치하였다. L형 옹벽의 하부를 하단 부지 아래에 매립하였다. 그리고 L형 옹벽 내에 수로박스와 저류조를 별도로 설치하여 상단 부지 아래에 매립했다.An L-shaped retaining wall was installed at a height of 5m. The lower part of the L-shaped retaining wall was buried under the lower site. In addition, a channel box and a storage tank were separately installed in the L-shaped retaining wall and buried under the upper site.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5m 높이로 보강토 옹벽을 설치하였다. 즉, 다수의 그리드들을 수평으로 경사면에 박고 이를 골재층으로 된 옹벽을 하단 부지에 매립해 세워 지지시켰다. 그리고 그리드들과 이격시켜 수로박스와 저류조를 별도로 설치하여 상단 부지 아래에 매립했다.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s were installed at a height of 5m. In other words, a number of grids were horizontally mounted on a slope, and a retaining wall made of an aggregate layer was buried in the lower site for support. In addition, a waterway box and a storage tank wer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grids and buried under the upper site.

실험 결과Experiment result

실험예의 경우, 그 설치 면적을 약 19.6m2로 최소화할 수 있었으며, 130만원/m2의 시공 비용이 소요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비교예 1의 경우 145만원/m2의 비용이 소요되었으며, 현장 타설에 따라 안전 시설물도 필요하고 사면의 뒤를 채우기 위해 터파기를 과다하게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의 경우, 90만원/m2의 비용이 소요되어 저가 시공이 가능하였으나 수로를 위한 별도의 부지가 필요하여 실제로는 부지 매입으로 인한 비용이 더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리드가 설치된 부지는 활용이 불가능하였다.In the case of the experimental example, the installation area could be minimized to about 19.6m2, and it was estimated that a construction cost of 1.3 million won/m2 was required. In contrast,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a cost of 1.45 million won/m2 was required, and safety facilities were also required according to the on-site casting, an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excavation had to be excessive to fill the back of the slope.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a cost of 900,000 won/m2 was required, so that low-cost construction was possible, bu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cost due to the purchase of the site actually increased because a separate site for the waterway was required. In addition, it was not possible to use the site where the grid was installed.

한편, 실험예에서는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이 직육면체의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저가로 제조가 가능하였다. 만약,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이 직육면체가 아니라 그 하부 면적이 더 넓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 위 설치 면적이 더 넓어져서 부지 확보가 더 필요하다. 그리고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고 터파기 등으로 인해 시공 비용도 증가한다. 한편, 실험예와는 달리 저류조에 비해 배수로가 좁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장마시에 다량의 물을 배수할 수 없어서 역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기후 변화로 인해 단시간내에 많은 양의 강우가 집중되고 있으므로, 되도록 배수량을 최대화하도록 배수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최근 들어 게릴라성 호우 예방을 위해 도시 지하에 설치되고 있는 도심 심도 터널과 유사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큰 용량의 배수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마시에는 토사의 지지력이 약해지므로, 배수로가 저류조에 비해 그 부피면에서 작은 경우, 설치물이 전복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xperimental example, since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has a simple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it was possible to manufacture it at low cost. I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is not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u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area is wider, the installation area above becomes wider, so it is necessary to secure more sit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install, and construction costs increase due to excavation.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experimental example, when the drainage passage is formed narrower than that of the storage tank,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amount of water cannot be drained during the rainy season, resulting in backflow. Moreover, since a large amount of rainfall is concentrated within a short time due to climate change, it is desirable to form a drainage channel to maximize the amount of drainage possible. That is,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drainage passage with a relatively large capacity in order to function similar to an urban deep tunnel installed underground in an urban area to prevent guerrilla heavy rain. In addition, since the holding power of the soil is weakened during the rainy season, if the drainage passage is smaller in volume than the storage tank, the installation may be overturned.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who are engag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 본체부
20, 22. 상판부
100, 100', 200.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
101. 저류조
103, 105, 107, 109. 외측면
103', 105'. 내측면
104, 104'. 볼록부
106, 106'. 오목부
108, 203. 유지관리구
111, 211. 집수구
113. 고정대
201, 221. 식재용 판부
205. 취수부
207. 장착부
1000. 옹벽형 빗물 저류조
1011, 1011'. 보강부
1017, 1047, 1067. 사면
1041. 볼록면
1045. 공유면
1061. 오목면
1071. 지지부
1073. 돌출 고정부
1110. 배수구
1111, 1113. 측벽
1111a. 하단
1115. 저면
2111. 하측 함몰부
2113. 그레이팅
2211. 통공
2211a. 투수망
HG, LG. 부지
10. Main body
20, 22. Top plate
100, 100', 200.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101. Reservoir
103, 105, 107, 109. Outer side
103', 105'. Inner side
104, 104'. Convex
106, 106'. Concave
108, 203. Maintenance area
111, 211. Water catch
113. Fixture
201, 221. Planting plate
205. Water intake
207. Mounting part
1000.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1011, 1011'. Reinforcement
1017, 1047, 1067. Amnesty
1041. Convex surface
1045. Shared side
1061. Concave surface
1071. Support
1073. Protruding fixing part
1110. Drain
1111, 1113. Side walls
1111a. lower
1115. Base
2111. Lower depression
2113. Grating
2211. Tong Gong
2211a. Pitching net
HG, LG. Site

Claims (10)

단차가 형성된 영역에 설치되도록 적용되고, 상측으로 개구된 저류조가 그 내부에 형성되며, 그 높이가 그 너비보다 큰 본체부, 및
상기 상측을 덮어서 상기 본체부 위에 위치하고, 그 위에 수목이 식재되도록 적용된 상판부
를 각각 포함하는 직육면체 구조의 복수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들이 상호 연속으로 접하여 형성된 조립식 옹벽형 빗물 저류조로서,
상기 복수의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들은,
제1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 및
상기 제1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과 접하는 제2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 및 상기 제2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의 상기 각 본체부는,
상기 저류조와 분리되어 상기 저류조 아래에 형성된 배수로,
상기 높이 방향으로 길게 뻗은 제1 볼록부 및 상기 제1 볼록부와 인접하며 상기 제1 볼록부와의 공유면을 기준으로 180도 대칭인 제1 오목부가 형성된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1 외측면이 향하는 제1 방향과 멀어지는 제2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1 볼록부에 대응하는 제2 오목부 및 상기 제1 볼록부와 인접하며 상기 제1 오목부에 대응하는 제2 볼록부가 형성된 제2 외측면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의 상기 제1 볼록부는 상기 제2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의 상기 제2 오목부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2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의 상기 제2 볼록부는 상기 제1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의 상기 제1 오목부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의 너비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높이의 비는 2 내지 5이고,
상기 배수로의 높이에 대한 상기 저류조의 높이의 비는 2.5 내지 4이며,
상기 배수로의 바닥면은 상기 제1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과 상기 제2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의 배열 방향을 따라 경사져서 형성된 조립식 옹벽형 빗물 저류조.
It is applied to be installed in the area where the step is formed, and a storage tank opened upward is formed therein, and the body portion having a height greater than its width, and
A top plate part that covers the upper side and is located on the body part, and is applied so that trees are planted thereon
As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rainwater storage tank formed by successively contacting each other with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type rainwater storage units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each comprising,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s,
A first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and
A second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in contact with the first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Including,
Each of the main body portions of the first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and the second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A drainage passage separated from the storage tank and formed under the storage tank,
A first convex portion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first outer surface adjacent to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formed with a first concave portion that is 180 degree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shared surface with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A second concav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a second convex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a second convex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vex portion facing a second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direction facing the first outer surface The second outer surface formed with the addition
Including,
The first convex portion of the first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econd concave portion of the second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is the first I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unit,
The ratio of the height of the body portion to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is 2 to 5,
The ratio of the height of the storage tank to the height of the drainage channel is 2.5 to 4,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age passage is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rainwater storage tank formed by inclining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retaining wall rainwater storage unit and the second retaining wall rainwater storage unit.
제1항에서,
상기 제1 볼록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1 외측면과 둔각을 형성하는 사면, 및
상기 사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외측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볼록면
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면은 상기 공유면과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면서 연결된 조립식 옹벽형 빗물 저류조.
In claim 1,
The first convex portion,
A slope protrud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the first outer surface, and
A convex surface connected to the slope a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outer surface
Including,
The convex surface is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rainwater storage tank connected whil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hared surface.
제2항에서,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사면과 평행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패여서 상기 제1 외측면과 둔각을 형성하는 또다른 사면, 및
상기 또다른 사면과 연결되고, 상기 볼록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오목면
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면은 상기 공유면과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면서 연결된 조립식 옹벽형 빗물 저류조.
In paragraph 2,
The first concave portion,
Another slope parallel to the slope and recessed in the second direction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the first outer surface, and
A concave surface connected to the other slope a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onvex surface
Including,
The concave surface is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connected while forming a substantially right angle with the shared surface.
제2항에서,
상기 각 본체부는 상기 저류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을 향하며 상기 제1 외측면에 대응하는 제1 내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측면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더 돌출하고 상기 제1 오목부에 대응하는 제1 보강부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형 빗물 저류조.
In paragraph 2,
Each of the body portions further includes a first inner surface that forms the storage tank and faces the second direction and corresponds to the first outer surface,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further protruding in the second direction on the first inner surface and having a first reinforc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제4항에서,
상기 각 본체부는 상기 저류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며 상기 제2 외측면에 대응하는 제2 내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돌출하고 상기 제1 보강부와 마주하는 제2 보강부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형 빗물 저류조.
In claim 4,
Each of the main body portions further includes a second inner surface that forms the storage tank and faces the first direction and corresponds to the second outer surface,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further protruding in the first direction on the second inner surface and having a second reinforcing portion facing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제4항에서,
상기 제1 보강부의 상기 제1 내측면으로부터의 돌출 두께는 상기 제1 오목부의 상기 제1 외측면으로부터의 함몰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립식 옹벽형 빗물 저류조.
In claim 4,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rainwater storage tank having a thickness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a thickness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outer surface.
제1항에서,
상기 각 본체부는 상기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2 외측면에 함께 연결된 제3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영역을 형성하는 하단 부지와 접하며, 상기 제3 외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배수로와 연통된 배수구와 연결된 집수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로는 상기 제1 외측면과 상기 제2 외측면을 관통하면서 형성되며,
상기 제1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의 배수로와 상기 제2 옹벽형 빗물 저류 유닛의 배수로가 상호 연통된 조립식 옹벽형 빗물 저류조.
In claim 1,
Each of the body parts is installed on a third outer surface connected to the first outer surface and the second outer surface, contacts the lower site forming the region, and passes through the third outer surface to communicate with the drainage passage Further comprising a catchment connected to,
The drainage passage is formed while penetrating the first outer surface and the second outer surface,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in which a drainage passage of the first retaining wall rainwater storage unit and a drainage passage of the second retaining wall rainwater storage uni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7항에서,
상기 집수구는,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측벽들,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들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하단 부지에 접하는 제2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들과 상기 제2 측벽에 둘러싸이고, 상기 배수구의 하면과 접하며, 상기 하단 부지보다 낮게 위치하면서 상기 하단 부지와 평행하도록 적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들의 각 하단보다 높게 위치하는 그레이팅
을 포함하는 조립식 옹벽형 빗물 저류조.
In clause 7,
The catchment,
A pair of first sidewalls that are spaced apart and opposed to each other,
A second sidewall that interconnects the pair of first sidewalls and contacts the lower site, and
It is surrounded by the pair of first sidewalls and the second sidewall,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 hole,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bottom site and is applied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site, and each bottom of the pair of first sidewalls Grating located higher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comprising a.
제1항에서,
상기 상판부는,
그 위에 상기 영역을 형성하는 상단 부지가 형성되어 상기 수목이 식재되도록 적용된 식재용 판부,
그 상단이 상기 식재용 판부보다 위에 위치하고, 상측으로 개구되며, 상기 저류조와 연통되고, 상기 너비 방향으로 길게 뻗은 취수부, 및
상기 취수부와 접하고, 상기 상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저류조와 연통된 유지관리부
를 포함하는 조립식 옹벽형 빗물 저류조.
In claim 1,
The upper plate part,
A planting plate portion applied so that the trees are planted by forming an upper site forming the region thereon,
Its upper end is located above the planting plate part, is opened upward, communicates with the storage tank, and a water intake part extending lo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maintenance unit in contact with the water intake unit and open to the upper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storage tank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comprising a.
제9항에서,
상기 식재용 판부에는 상호 이격된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들에 상기 상단 부지를 받치면서 상기 상단 부지를 통과한 물만 상기 저류조로 낙하시키도록 적용된 투수망이 설치된 조립식 옹벽형 빗물 저류조.
In claim 9,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type rainwater storage tank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planting plate part, and a permeable net applied so that only water passing through the upper site falls into the storage tank while supporting the upper site in the through holes.
KR1020200104357A 2020-08-20 2020-08-20 Retaining wall type rainfall storage tank KR1022237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357A KR102223787B1 (en) 2020-08-20 2020-08-20 Retaining wall type rainfall storage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357A KR102223787B1 (en) 2020-08-20 2020-08-20 Retaining wall type rainfall storage ta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787B1 true KR102223787B1 (en) 2021-03-05

Family

ID=75164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357A KR102223787B1 (en) 2020-08-20 2020-08-20 Retaining wall type rainfall storage t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787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890A (en) * 1999-08-26 1999-12-06 유성용 Caisson with the sheared key
KR200183206Y1 (en) * 1999-02-06 2000-05-15 신긍우 Block for breastwall
JP2000336676A (en) * 1999-06-01 2000-12-05 Marutaka Concrete Kogyo Kk Large block for retaining wall
KR200222408Y1 (en) * 2000-11-23 2001-05-02 주식회사두산콘크리트 Revetment wall with integrated waterway
KR200298530Y1 (en) * 2002-10-01 2002-12-31 제일산업 주식회사 Fish breeding ground block
KR100519910B1 (en) * 2005-02-22 2005-10-10 (주)삼원종합건축사사무소 A slope protection equipment for construction development
KR20150138771A (en) 2014-06-02 2015-12-10 정창현 Water storage type retaining wall with double wall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206Y1 (en) * 1999-02-06 2000-05-15 신긍우 Block for breastwall
JP2000336676A (en) * 1999-06-01 2000-12-05 Marutaka Concrete Kogyo Kk Large block for retaining wall
KR19990083890A (en) * 1999-08-26 1999-12-06 유성용 Caisson with the sheared key
KR200222408Y1 (en) * 2000-11-23 2001-05-02 주식회사두산콘크리트 Revetment wall with integrated waterway
KR200298530Y1 (en) * 2002-10-01 2002-12-31 제일산업 주식회사 Fish breeding ground block
KR100519910B1 (en) * 2005-02-22 2005-10-10 (주)삼원종합건축사사무소 A slope protection equipment for construction development
KR20150138771A (en) 2014-06-02 2015-12-10 정창현 Water storage type retaining wall with double wall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3411Y1 (en) A structured body for drainage treatment for the preparation for tree-planting ground, and its impounding and flushing system
CN114319401A (en) Foundation pit slope drainage system
KR100902308B1 (en) Breast Wall Structure Possessing Drai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1678127B1 (en) Block for engineering works
KR20150065477A (en) Side gutter for mountain 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2223787B1 (en) Retaining wall type rainfall storage tank
KR100734812B1 (en) Stairtype concrete retaining wall having functions of drainage and vegeta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N112064756A (en) Detachable three-dimensional ecological drainage ditch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2095581B1 (en) Rainwater storage block, rainwater storage structure using the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187682B1 (en) Rainwater storage tank
KR20080099937A (en) Subsurface water distribution system for terraced flower bed retaining wall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388870B1 (en)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KR100523965B1 (en) Landscape block
JPH05214760A (en) Composite function type side gutter
JP3974214B2 (en) Box arrangement type storage penetration tank
JP7343188B2 (en) Drainage structures and culvert blocks for valley terrain
CN213173766U (en) Side slope drainage system
KR100635927B1 (en) Reinforcement method of slope for building
CN112695774A (en) Steep slope surface reinforcing and greening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593186B1 (en) Eco-friendly retaining wall
KR100697637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pleasant environment
CN219298239U (en) Anti-slip slope protection structure
KR20060081270A (en) Environmentally friendly sloped block structure for landscaping
JP2006274797A (en) Drain ditch block for bank foot water channel construction, bank reinforcing drain structure and method
JP2001123431A (en) Water channel provided with overflow prevent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