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926B1 - 인공치아 탈부착이 가능한 하회탈 - Google Patents

인공치아 탈부착이 가능한 하회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926B1
KR102222926B1 KR1020180104466A KR20180104466A KR102222926B1 KR 102222926 B1 KR102222926 B1 KR 102222926B1 KR 1020180104466 A KR1020180104466 A KR 1020180104466A KR 20180104466 A KR20180104466 A KR 20180104466A KR 102222926 B1 KR102222926 B1 KR 102222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mask
connector
coupling
maxill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6483A (ko
Inventor
위진권
위승현
Original Assignee
위진권
위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진권, 위승현 filed Critical 위진권
Priority to KR1020180104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926B1/ko
Publication of KR20200026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7/00Masks or dominoes for concealing identity, e.g. for theatrical use
    • A41G7/02Masks or dominoes for concealing identity, e.g. for theatrical use with parts for producing a special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회탈을 구성함에 있어서,
양반탈(2)이 갖는 입술의 크기에 맞춘 인공치아를 아랫니(10)와 윗니(20)로 구분하여 구비하되,
상기 아랫니(10)를 구성하는 다수 이들은 서로 붙어진 상태의 하악연결체(10U)를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고, 마찬가지로 윗니(20)를 구성하는 다수의 이들도 서로 붙어진 상태의 상악연결체(20U)로 구성하며,
하악연결체(10U)의 하면부과, 상악연결체(20U)의 상부면에는 각각 결합핀(12)(22)을 하나 이상 매립고정되게 구성하고, 상기 결합핀(12)(22)에 위치에 대응하여 하회탈의 아랫입술 부분과 윗입술 부분에는 결합공(14)(24)을 형성하여,
하악연결체(10U)와 상악연결체(20U)는 각각 결합핀(12)(22)을 결합공(14)(24)에 끼움되게 함으로써 하회탈에 인공치아의 탈부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치아 탈부착이 가능한 하회탈{HAHOETAL FOR REMOVABLE TEETH}
본 발명은 하회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공치아 탈부착이 가능토록 구현되는 하회탈에 관한 것이다.
하회탈은 국보 121호로 지정된 민속공예류의 장신구 문화유산이다. 경상북도 안동시 하회마을에서 현존하여 이어지고 있어 지어진 이름이다. 가장 원류에 해당하는 하회탈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보존되어 있으며 그 종류는 현재 남아 있는 각시, 양반, 부네, 중, 초랭이, 선비, 이매, 백정, 할미 아홉 가지와 떡달이, 별채, 총각 세 가지가 더 있었는데 일제강점기에 일본에 의해 유실되었다고 전해진다.
하회탈은 해마다 정월대보름 때 하던 별신굿놀이의 상연에 이용된다. 상연을 통하여 평상시에는 입에 담지 못하던 신랄한 비판과 풍자를 탈을 쓴 채 마음껏 하는 것이며 이는 양반들에게 고통받고 살던 민중의 한을 대신 풀어준 한풀이를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하회탈은 초랭이를 제외하고는 치아가 없다. 일반적으로 하회탈이라 하면 대표적으로 양반탈을 떠올리게 되는데 웃음을 짓고 있는 양반탈 역시 역시 이가 없다. 이러한 하회탈(양반탈)은 이가 없어 활짝 웃고 있는 할아버지 이미지로 부각되는데, 사람들은 이가 없는 하회탈 만을 보아 왔기에 이상하게 생각을 하지 않고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있으며 하회탈은 왜 이가 없는지에 대하여 깊이 생각해 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본원 출원인은 하회탈에 치아가 없는 것을 당연시 여기지 않고 치아를 탈부착 가능토록 구현하면 어떨까 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탈은 공연을 하거나 혹은 잠시 착용을 할때 되도록이면 사람들을 더 재밌게 해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있었다.
따라서 하회탈을 구성함에 있어서 인공치아 탈부착이 가능토록 구현한다면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높일 수 있어 많은 호응이 예상될 것이며, 하회탈 공연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고 부분적으로 이가 빠진 모습도 쉽게 가능하게 되어 전보다 더 많은 웃음을 선사해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하회탈 기념품을 구매할 때도 소비자들의 선택 폭이 넓어질 수 있다.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1995-0027416호“하회탈 포장상자”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연출이 가능토록 치아 탈부착이 가능토록 구현되는 하회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회탈을 구성함에 있어서,
양반탈(2)이 갖는 입술의 크기에 맞춘 인공치아를 아랫니(10)와 윗니(20)로 구분하여 구비하되,
상기 아랫니(10)를 구성하는 다수 이들은 서로 붙어진 상태의 하악연결체(10U)를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고, 마찬가지로 윗니(20)를 구성하는 다수의 이들도 서로 붙어진 상태의 상악연결체(20U)로 구성하며,
하악연결체(10U)의 하면부과, 상악연결체(20U)의 상부면에는 각각 결합핀(12)(22)을 하나 이상 매립고정되게 구성하고, 상기 결합핀(12)(22)에 위치에 대응하여 하회탈의 아랫입술 부분과 윗입술 부분에는 결합공(14)(24)을 형성하여,
하악연결체(10U)와 상악연결체(20U)는 각각 결합핀(12)(22)을 결합공(14)(24)에 끼움되게 함으로써 하회탈에 인공치아의 탈부착이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회탈을 구성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치아 탈부착이 가능토록 하여 지금까지 당연히 치아가 없었기에 당연시 여겼던 생각에서 새로운 하회탈 연출이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결합된 치아를 바탕으로 이가 빠진 모습의 연출도 쉽게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공치아가 결합된 하회탈의 모습을 찍은 사진도면,
도 2는 인공치아가 없는 상태의 하회탈에 대하여 아랫니와 윗니를 차례로 결합한 상태를 찍은 사진도면,
도 3은 인공치아를 구성하는 상·하악 연결체를 하회탈의 입술 근방에 탈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인공치아가 결합된 하회탈에 대하여 윗니 2개가 빠진 상황을 연출해 놓은 상태를 찍은 사진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회탈에 대하여 인공치아(이하 간단히 ‘치아’라고도 함)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현한다. 본 발명에서 하회탈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겠으나 대표적으로 양반탈에 적용이 가능하며, 양반탈을 비롯하여 선비탈, 백정탈, 중탈에 적용은 가능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반탈(2)은 턱부(6)가 얼굴본체부(4)로부터 따로 분리되어 얼굴본체부(4)에 끈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놀이할 때 턱부(6)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생동감을 주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입술을 크게 벌리고 있는 형상에 따라 입술 개구부(8)가 마련되어 인공치아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현하는데 다소 용이하다. 이러한 구성적 특징은 양반탈을 비롯하여 하회탈 중에서도 선비탈, 백정탈, 중탈도 동일한 구성적 특징으로 가지는 것으로서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하회탈의 재료는 일반적으로 오리나무이며 그 위에 옻칠을 두겹 세겹으로 칠해 정교한 색을 내고 있다.
도 1은 하회탈 중에서도 양반탈(2)의 사진도면으로서 입술 개구부(8)에 인공치아를 결합한 상태의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도 2의 (a)는 입술 개구부(8)에 치아가 없는 양반탈이고 이를 시작으로 (b)는 입술 개구부(8)에 아랫니를 결합한 양반탈이며 (c)는 입술 개구부(8)에 윗니까지 결합한 양반탈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 2를 참고하면 치아가 결합된 양반탈(2)은 치아가 전혀 없는 양반탈에 비하여 보다 젊어 보인다. 더 나아가 아랫니만 결합된 양반탈은 치아가 전혀 없는 양반탈에 비하여 조금 젊어 보이는 효과가 있고, 아랫니와 윗니가 모두 결합된 양반탈은 아랫니만 결합된 양반탈에 비하여 보다 젊어 보인다는 것에는 큰 무리가 없어 보인다.
도 3은 치아 탈부착이 가능한 양반탈을 구현하기 위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반탈(2)의 크기에 따라 입술의 크기도 다를 것이기에 입술의 크기에 맞추어 인공치아의 크기를 결정하고, 실제 치아와 비슷하게 인공치아를 만든다. 인공치아는 사람의 정상적인 이와 비슷한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덧니가 형성된 이, 삐뚤어진 이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인공치아를 형성하는 재질은 사람의 실제 치아에 사용되는 레진(resin)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재료로 인공치아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공치아는 아랫니(10)와 윗니(20)로 구분하여 형성한다.
이때 아랫니(10)를 구성하는 다수 이들은 서로 붙어진 하나의 하악연결체(10U)로 구성하고, 마찬가지로 윗니(20)를 구성하는 다수의 이들도 서로 붙어진 하나의 상악연결체(20U)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인공치아 형성시 하나 이상의 하악연결체(10U) 및 하나 이상의 상악연결체(20U)로 분리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하악연결체(10U) 및 상악연결체(20U)를 형성함에 있어서, 아랫니(10) 및 윗니(20)에 해당하는 인공치아는 사람의 실제 치아를 외부에서 볼 때 잇몸 밖으로 보이는 부분인 머리(치관, 齒冠)만 형성하면 된다.
사람의 실제 치아 기준으로 치조골(齒槽骨)에 의해 쌓여 있는 이뿌리(치근, 齒根)는 보이지 않는 부분으로서 인공치아 형성시에도 치조골에 해당하는 부분을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아랫니(10)들이 결합된 하악연결체(10U)의 하부면은 양반탈의 아랫입술의 근방 상부면에 밀착 면접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윗니(20)들이 결합된 상악연결체(20U)의 상부면은 양반탈의 윗입술의 근방 하부면에 밀착 면접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악연결체(10U)의 하면부과, 상악연결체(20U)의 상부면에는 각각 결합핀(12)(22)을 하나 이상 매립고정되게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결합핀(12)(22)은 중앙에 1개, 양측부에 1개씩(합이 2개) 형성하여 총 3개의 결합핀(12)(22)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핀(12)(22)에 위치에 대응시켜 양반탈의 아랫입술과 윗입술근방의 적당한 부분에는 결합공(14)(24)을 형성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하악연결체(10U)와 상악연결체(20U)는 각각 결합핀(12)(22)을 결합공(14)(24)에 끼움되게 함으로써 치아의 탈부착이 가능해진다.
결합공(14)(24)의 직경은 결합핀(12)(22)이 끼워진 후 쉽게 빠지지 않을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하여야 하며, 하악연결체(10U)와 상악연결체(20U)를 제거한 상태에서도 결합공(14)(24)이 뚫려 있는지의 식별이 어려울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를 만족하기 위해서 결합공(14)(24)의 직경은 2~4㎜ 정도로 형성하면 적당하다. 그리고 결합핀(12)(22)의 돌출길이 및 결합핀(12)(22)에 대응하는 결합공(14)(24)의 깊이는 3∼7㎜ 정도로 형성하면 적당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양반탈(2)에 인공치아를 쉽게 탈부착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치아가 결합된 양반탈(2)에 대하여 웃음을 더하기 위해서 다수개의 윗니(20) 중 2개가 빠진 상황을 연출해 놓은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윗니(20) 2가 빠진 모습을 연출하였으며 이를 위해 해당하는 이에 대하여 검은색 테이프를 붙임으로써 쉽게 구현이 쉽게 가능하다. 검은색 테이프는 일 예로서 절연테이프(전기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절연테이프를 사용하면 빠진 이를 표현하기 위해 해당하는 이에 쉽게 붙였다가 제거할 수 있어 원하는대로 쉽게 연출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빠진 이를 쉽게 연출할 수 있는 바탕에는 본원 발명의 핵심인 기존의 양반탈(2)에 인공치아를 탈착가능토록 구현한 구성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으로서 그 의미가 크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탈부착이 가능한 양반탈(2)은 필요에 따라 치아 탈부착이 가능함에 따라 지금까지 느끼지 못했던 양반탈을 포함하는 하회탈에 새로운 이미지 연출이 가능하고 아울러 결합된 치아를 바탕으로 이가 빠진 모습의 연출도 쉽게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양반탈 (4)--얼굴본체부
(6)--턱부 (8)--입술 개구부
(10)--아랫니 (10U)--하악연결체
(20)--윗니 (20U)--상악연결체
(12)(22)--결합핀 (14)(24)--결합공

Claims (2)

  1. 하회탈의 턱부(6)가 얼굴본체부(4)와 끈에 의해 분리 가능케 연결되며 입술 개구부(8)가 형성된 형태의 양반탈, 선비탈, 백정탈, 중탈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 가능한 하회탈에 있어서,
    입술 개구부(8)에 장착될 인공치아를 아랫니(10)와 윗니(20)로 구분하되,
    상기 아랫니(10)를 구성하는 다수 이들은 서로 붙어진 상태의 하악연결체(10U)를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고, 마찬가지로 윗니(20)를 구성하는 다수의 이들도 서로 붙어진 상태의 상악연결체(20U)로 구성하며,
    하악연결체(10U)의 하면부과, 상악연결체(20U)의 상부면에는 각각 결합핀(12)(22)을 하나 이상 매립고정되게 구성하고, 상기 결합핀(12)(22)의 위치에 대응하여 하회탈의 아랫입술과 윗입술의 근방에 결합공(14)(24)을 형성하여, 하악연결체(10U)와 상악연결체(20U)는 각각 결합핀(12)(22)을 결합공(14)(24)에 끼움되게 하여 인공치아의 결합으로 인하여 새로운 탈의 이미지의 연출이 가능토록 함과 아울러 하나 이상의 이가 빠진 상황을 연출하기 위한 구성적 바탕을 제공하며,
    상기 결합공(14)(24)의 직경은 2~4㎜으로 형성하고, 결합핀(12)(22)의 돌출길이 및 결합핀(12)(22)에 대응하는 결합공(14)(24)의 깊이는 3∼7㎜로 형성하여 결합공(14)(24)에 결합핀(12)(22)이 끼워진 후 쉽게 빠짐을 방지하면서도 하악연결체(10U)와 상악연결체(20U)를 제거한 상태에서도 하회탈 본체에 결합공(14)(24)이 뚫려 있는지의 식별이 어렵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의 탈부착이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회탈.
  2. 삭제
KR1020180104466A 2018-09-03 2018-09-03 인공치아 탈부착이 가능한 하회탈 KR102222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466A KR102222926B1 (ko) 2018-09-03 2018-09-03 인공치아 탈부착이 가능한 하회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466A KR102222926B1 (ko) 2018-09-03 2018-09-03 인공치아 탈부착이 가능한 하회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483A KR20200026483A (ko) 2020-03-11
KR102222926B1 true KR102222926B1 (ko) 2021-03-04

Family

ID=69809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466A KR102222926B1 (ko) 2018-09-03 2018-09-03 인공치아 탈부착이 가능한 하회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926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616Y1 (ko) 1994-03-22 1997-03-28 박청재 하회탈 포장상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지구촌 얼굴 가면, 교보 북로그, [Online], 2015년 3월, 인터넷[http://booklog.kyobobook.co.kr/em132/1439585/#0]*
한국의 박물관: 탈, 네이버 지식백과, [Online], 1999년 5월, 인터넷[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82979&cid=42962&categoryId=4433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483A (ko)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ker et al. The osteology of infants and children
Wible On the cranial osteology of the Hispaniolan solenodon, Solenodon paradoxus Brandt, 1833 (Mammalia, Lipotyphla, Solenodontidae)
Krajicek Natural appearance for the individual denture patient
Hurwit The Kritios Boy: discovery, reconstruction, and date
Cushing Manual concepts: A study of the influence of hand-usage on culture-growth
KR102222926B1 (ko) 인공치아 탈부착이 가능한 하회탈
US20170189147A1 (en) Partial den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Schwartz THE COMMEDIA DELL'ARTE AND ITS INFLUENCE ON FRENCH COMEDY IN THE SEVENTEENTH-CENTURY.
JPS6198253A (ja) 補綴上部構造の保持用歯科支柱
West The development of the gums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deciduous teeth in the human fetus
US20060035198A1 (en) Visually simulated tooth braces
Bolla et al. Review of History in the Development of Esthetics in Dentistry
Gregory et al. Palaeontology of the human dentition
CN101866573A (zh) 拔牙模型
US20220284831A1 (en) Model for teaching in dental disciplines
CN203897608U (zh) 装饰牙套
JP2006297038A (ja) スティック・アイラッシュライナー
CN205181502U (zh) 一种义齿支架
TWI607740B (zh) 齒槽膜
JP3109478U (ja) 掲示物用吸盤
CN214549661U (zh) 一种牙周夹板
JP2009095524A (ja) 死化粧用義歯とその製造方法
JP3134753U (ja) 脱着の便利さを図るための義歯位置指定装置
CN208525084U (zh) 一种种植牙
Günther V.—On new species of snakes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11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114

Effective date: 20210125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