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906B1 -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그의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그의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906B1
KR102222906B1 KR1020200106439A KR20200106439A KR102222906B1 KR 102222906 B1 KR102222906 B1 KR 102222906B1 KR 1020200106439 A KR1020200106439 A KR 1020200106439A KR 20200106439 A KR20200106439 A KR 20200106439A KR 102222906 B1 KR102222906 B1 KR 102222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protection
browser
conten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이러닝개발원
최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이러닝개발원, 최지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이러닝개발원
Priority to KR1020200106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3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put devices, e.g. keyboards, mice or controller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에 따른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은,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가 설치되고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 대한 보호정책을 설정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어 상기 보호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관리 서버의 필수적 개입 없이 자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컨텐츠 보호를 수행하며, 상기 컨텐츠 보호로서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을 제한하고, 해당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생성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용 브라우저를 통하여 적은 리소스로도 디지털 컨텐츠를 보호하고 위협행위를 사전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그의 제공 방법 {CONTENT PROTECTION SYSTEM USING CONTENT SECURE BROWSER AND CONTENT PRO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그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온라인 디지털 컨텐츠를 통한 다양한 기회들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COVID 19와 같은 감염병이 만연한 환경이 도래함에 따라, 온라인 디지털 컨텐츠 기반으로 하는 교육 환경이나 업무 환경 등이 더욱 더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디지털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손쉽게 복제와 유통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보호 및 관리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이후 DRM 이라 함), 즉 유통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적 사용을 방지하고, 보호된 컨텐츠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관련 저작권자 및 라이센스 소유자들의 권리와 이익을 지속적으로 보호, 관리해 주는 기술과 서비스 분야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이런 디지털 권리 관리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467929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특정한 형태의 암호화키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개인 고유 시스템의 특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와 비교하여, 비교 정보의 일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며, 이때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는 사용자의 시스템 정보에 따라 암호화된 상태로 제공되고,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은 디지털 컨텐츠의 복호화키를 추출하여 디지털 컨텐츠 중의 특정 자료를 복호화하여 재생하는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종래의 디지털 권리 관리 기술은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암호화키를 기반으로 수행되므로, 암호화 및 복호화를 위하여 높은 리소스가 필요하고 재생의 지연 등이 발생하며, 그러한 경우라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동영상 캡쳐 등을 수행하는 것을 사전적으로 방비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7929호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사전에 설정된 행위 외의 부정적 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각 사용자 단말에 대한 위협행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대응함으로써, 전용 브라우저를 통하여 적은 리소스로도 디지털 컨텐츠를 보호하고 위협행위를 사전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그의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사용자 단말에 설치하여 적은 리소스로도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발생하는 컨텐츠 위협 행위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그에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통합적인 위협행위 탐지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리소스의 효율화를 확보하면서도 높은 보안성을 달성할 수 있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그의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서 사용자의 위협행위를 분석 및 탐지하고, 관리서버에서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위협행위에 따른 위협도를 차등적으로 설정하여 사용자 별로 보호 정책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위협행위에 맞춰 보안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그의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은,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가 설치되고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 대한 보호정책을 설정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어 상기 보호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관리 서버의 필수적 개입 없이 자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컨텐츠 보호를 수행하며, 상기 컨텐츠 보호로서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을 제한하고, 해당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생성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는, 상기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허락된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를 확인하는 서비스 인증부, 상기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받고, 상기 서비스 인증부에 의하여 인증된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 및 상기 보호정책을 기반으로 동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감시하여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을 제한하고,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생성하는 컨텐츠 보호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필수 구성요소의 고유식별자를 이용하여 범용고유식별자 형태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할당하는 식별자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식별자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인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텐츠 보호부는, 상기 사용자가 인증되지 않은 캡쳐 도구를 이용하여 캡쳐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감지하는 캡쳐 제어모듈, 상기 사용자가 클립보드를 이용하여 카피 및 붙여넣기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감지하는 클립보드 제어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다중 모니터 환경인지 확인하고, 다중 모니터 환경인 경우 상기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가 실행되는 모니터 외의 나머지 모니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다중 모니터 제어모듈을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텐츠 보호부는,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가 동작 중인 경우, 마우스 오른쪽 클릭 기능을 제한하는 마우스 제어모듈 및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가 동작 중인 경우 상기 마우스가 동작 가능한 포커스를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 내의 범위로 제한하고, 기타 프로그램 윈도우의 포커스를 불활성화 시키는 포커스 제어모듈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식별자 생성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와 연관하여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 및 그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사용자 인증부에서 제공된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에 대한 인증 기록을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접속기록 및 상기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관리하는 접속기록 관리부,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보호정책을 설정하고,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게 각각의 사용자에 해당하는 보호정책을 제공하는 보호정책 관리부 및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어 사용자에게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 및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 대한 보호정책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컨텐츠 보호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컨텐츠 보호 방법으로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인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 대한 보호정책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어, 상기 보호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관리 서버의 필수적 개입 없이 자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컨텐츠 보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컨텐츠 보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허락된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받고,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 의하여 인증된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를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정책을 기반으로 동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감시하여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을 제한하고,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인증되지 않은 캡쳐 도구를 이용하여 캡쳐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감지하는 캡쳐 제어단계, 상기 사용자가 클립보드를 이용하여 카피 및 붙여넣기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감지하는 클립보드 제어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다중 모니터 환경인지 확인하고, 다중 모니터 환경인 경우 상기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가 실행되는 모니터 외의 나머지 모니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다중 모니터 제어단계,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가 동작 중인 경우, 마우스 오른쪽 클릭 기능을 제한하는 마우스 제어단계 및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가 동작 중인 경우 상기 마우스가 동작 가능한 포커스를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 내의 범위로 제한하고, 기타 프로그램 윈도우의 포커스를 불활성화 시키는 포커스 제어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서버가 인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 대한 보호정책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서 제공된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에 대한 인증 기록을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접속기록 및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보호정책을 설정하고,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게 각각의 사용자에 해당하는 보호정책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사전에 설정된 행위 외의 부정적 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각 사용자 단말에 대한 위협행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대응함으로써, 전용 브라우저를 통하여 적은 리소스로도 디지털 컨텐츠를 보호하고 위협행위를 사전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사용자 단말에 설치하여 적은 리소스로도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발생하는 컨텐츠 위협 행위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그에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통합적인 위협행위 탐지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리소스의 효율화를 확보하면서도 높은 보안성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서 사용자의 위협행위를 분석 및 탐지하고, 관리서버에서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위협행위에 따른 위협도를 차등적으로 설정하여 사용자 별로 보호 정책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위협행위에 맞춰 보안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의 일 적용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예시적인 컴퓨팅 운영 환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의 일 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 포함된 컨텐츠 보호부의 일 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의 다른 일 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일 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다른 일 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관리 서버에 포함된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의 일 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방법에 따른,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와 관리 서버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단계 S1050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단계 S1040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즉,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요소 및 그의 하부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 및 그의 하부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 등 다양한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요소들은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적 구성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전자적 시스템에서 구동 가능한 소프트웨어 자체이거나 그러한 소프트웨어의 일 기능적인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전자적 구성과 그에 대응되는 구동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순서도가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각 단계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반드시 순서도의 순서에 따라 각 단계가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즉, 순서도에서의 각 단계는, 서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순서도에 따른 순서대로 수행되거나, 또는 순서도에서의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도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그의 제공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의 일 적용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은, 각 사용자(1 내지 n)이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10 내지 1n)과, 개별 사용자(1 내지 n) 별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10 내지 1n)에 설치되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 도 2에 도시됨)와,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10 내지 1n)에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가 설치되고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디지털 컨텐츠(1 내지 n)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컨텐츠란 디지털화 된 모든 컨텐츠를 망라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진, 동영상, 시험문제, 도면, 계약서와 같이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 다양한 형태를 디지털 데이터로 구현한 컨텐츠를 모두 포괄한다.
사용자 단말(100)로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거치형PC, 노트북과 같은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와 연동하여 각각의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 대한 보호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는, 사용자 단말(10 내지 1n)에서 실행되어 보호정책을 기반으로 관리 서버(300)의 필수적 개입 없이 자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컨텐츠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는, 컨텐츠 보호로서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을 제한하고, 해당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이러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예시적인 컴퓨팅 운영 환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적합한 컴퓨팅 환경의 일반적이고 단순화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의 일 예로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예시적인 컴퓨팅 운영 환경의 블록도인 컴퓨팅 장치가 도시된다.
컴퓨팅 장치는 실시예들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 내의 로직 시나리오에 대한 미리 구축된 컨트롤의 갤러리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고, 적어도 프로세싱 유닛(203)과 시스템 메모리(201)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협조하는 복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의 정확한 구성 및 유형에 의존하여, 시스템 메모리(201)는 휘발성(예컨대, 램(RAM)), 비휘발성(예컨대, 롬(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201)는 플랫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합한 운영 체제(202)를 포함하는데, 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사로부터의 WINDOWS 운영체제와 같은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201)는 프로그램 모듈, 애플리케이션 등의 같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는 운영체제(202)에서 구동되는 독자적은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일 예로,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는 운영체제(202)로부터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권한을 부여받아 컴퓨팅 장치의 입력장치(205), 출력장치(206) 및 통신장치(207) 등에 대한 열람 및 제어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추가적 특징 또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는 자기 디스크, 광학적 디스크, 또는 테이프와 같은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장치(2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 저장소는 이동식 저장소 및/또는 고정식 저장소 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인스트럭션,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저장정보를 위한 임의의 방법이나 기법으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이동식 및 고정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201), 저장소(204)는 모두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예시일 뿐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램(RAM), 롬(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법, CD-ROM, DVD 또는 다른 광학적 저장소,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적 저장 장치,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컴퓨팅 장치(20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장치의 입력 장치(205),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장치, 터치 입력 장치, 및 비교가능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장치(206)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및 다른 유형의 출력 장치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들 장치는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컴퓨팅 장치는 예컨대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의 네트워크(20), 예컨대, 유무선 네트워크, 위성 링크, 셀룰러 링크, 근거리 네트워크, 및 비교가능한 메커니즘을 통해 장치가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도록 허용하는 통신 장치(207)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장치(207)는 통신 매체의 한가지 예시이며, 통신 매체는 그 안에 컴퓨터 판독 가능 인스트럭션,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나 직접 유션 접속과 같은 유선 매체, 및 음향, RF, 적외선 및 다른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의 일 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는 식별자 생성부(110), 서비스 인증부(120), 데이터베이스(130), 컨텐츠 재생부(140) 및 컨텐츠 보호부(150)를 포함 할 수 있다.
식별자 생성부(110)는 사용자 단말(10)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필수 구성요소의 고유식별자를 이용하여 범용고유식별자 형태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10)에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식별자 생성부(110)는 그래픽카드, 중앙처리장치, 마더보드 등 사용자 단말(10)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필수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의 식별정보(예컨대, 모델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별로 사용자 식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식별정보는 범용고유식별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범용고유식별자로서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적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면, UUID는 4자리-4자리-4자리-4자리-4자리-4자리-4자리-4자리 로 구성되는 총 32자리의 문자(숫자 및 영문자를 포함)로 설정된다. 식별자 생성부(110)는 사용자 단말의 필수 구성요소(예컨대, 중앙처리장치, 바이오스ID, 디스크ID 등)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16 바이트의 식별자 생성부(110)를 생성한다. 이러한, UUID는 기존에 설정된 표준 버전과 상이하므로, 식별자 생성부(110)는 기존에 설정된 표준과 다른 버전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및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인증 할 수 있다.
서비스 인증부(120)는 관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서비스 인증부(120)는 관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허락된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부(140)는 관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받을수 있다. 이를 위해, 컨텐츠 재생부(140)는 서비스 인증부(120)에 의하여 인증된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를 확인하고, 확인된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에 해당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재행하도록 할 수 있다.
컨텐츠 보호부(150)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보호정책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보호정책을 기반으로 동작하여 사용자 단말(10)을 감시할 수 있다. 컨텐츠 보호부(150)는 보호정책을 위반하는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을 제한하고,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보호부(150)는, 관리 서버(300)와의 실시간 연동 없이 컨텐츠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컨텐츠 보호부(150)는 사전에 관리 서버(300)로부터 보호정책을 제공받으면, 해당 보호정책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에서 독자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보호를 위하여 관리 서버(300)와의 연동이 필요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을 즉각적으로 감지하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가 설치될 때 기본 보호정책이 함께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컨텐츠 보호부(150)는 기본 보호정책에 따라 컨텐츠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별 감지를 기반으로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별 보호정책을 수립할 수 있고, 컨텐츠 보호부(150)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별 보호정책을 제공받으면 그를 기초로 컨텐츠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컨대, 사용자에 대한 보호정책, 식별자 생성부(110)에서 생성한 사용자 식별정보,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등에 대한 저장 및 삭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 포함된 컨텐츠 보호부의 일 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텐츠 보호부(150)는, 캡쳐 제어모듈(151), 클립보드 제어모듈(152), 다중 모니터 제어모듈(153), 마우스 제어모듈(154) 및 포커스 제어모듈(15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캡쳐 제어모듈(151)은 사용자가 인증되지 않은 캡쳐 도구를 이용하여 캡쳐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클립보드 제어모듈(152)은 사용자가 클립보드를 이용하여 카피 및 붙여넣기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다중 모니터 제어모듈(153)는 사용자 단말이 다중 모니터 환경인지 확인하고, 다중 모니터 환경인 경우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가 실행되는 모니터 외의 나머지 모니터에 대한 제어(예컨대, 단색화면 송출 등)를 수행할 수 있다.
마우스 제어모듈(154)은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가 동작 중인 경우, 마우스 오른쪽 클릭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포커스 제어모듈(155)은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가 동작 중인 경우 마우스가 동작 가능한 포커스를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 내의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포커스 제어모듈(155)은 기타 프로그램 윈도우의 포커스를 불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사용자의 사용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불법적인 사용을 차단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의 제어를 위한 다른 다양한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의 다른 일 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1)는 위협행위 분석 기능을 더 포함한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1)는 식별자 생성부(110), 서비스 인증부(120), 데이터베이스(130), 컨텐츠 재생부(140), 컨텐츠 보호부(150) 및 위협행위 분석부(160)를 포함 할 수 있다.
식별자 생성부(110) 내지 컨텐츠 보호부(150)는 도 3 내지 도 4를 기초로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 가능하므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위협행위 분석부(160)는 보호정책을 위반한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컨텐츠 보호부(150)가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생성하면, 위협행위 분석부(160)는 사용자의 위협행위를 구분하고 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위협행위는 사용자 이벤트 및 위협도구를 기준으로 차등적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관리 서버(300)는 이러한 기준을 위협행위 분석부(16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위협행위 분석부(160)는 제공된 기준을 기초로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위협행위를 분석하고 그에 대하여 관리 서버(300)에 리포트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일 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인증부(310), 데이터베이스(320), 보호정책 관리부(330), 컨텐츠 제공부(340) 및 접속기록 관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310)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의 식별자 생성부(110)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310)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를 사용자 식별정보와 연관하여 설정하고,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 및 그의 사용자를 인증 할 수 있다.
접속기록 관리부(350)는 사용자 인증부(310)에서 제공된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에 대한 인증 기록을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접속기록 및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관리할 수 있다.
보호정책 관리부(330)는 각 사용자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보호정책을 설정하고,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에게 각각의 사용자에 해당하는 보호정책을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부(340)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컨텐츠를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20)는 관리 서버(300)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컨대, 각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 각 사용자에 대한 보호정책,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등에 대한 저장 및 삭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다른 일 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관리 서버(301)는 위협행위 분석 기능을 더 포함한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301)는 사용자 인증부(310), 데이터베이스(320), 보호정책 관리부(330), 컨텐츠 제공부(340), 접속기록 관리부(350) 및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310) 내지 접속기록 관리부(350)에 대해서는 도 6을 기초로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 가능하므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360)는 사용자 이벤트 및 위협도구를 기준으로 용자의 위협레벨을 차등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360)는 사용자가 수행한 위협행위를 기준으로 용자의 위협레벨을 차등적으로 설정하고, 이를 보호정책 관리부(33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정책 관리부(330)는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360)에서 제공된 용자의 위협레벨에 따라 사용자의 보호정책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관리 서버에 포함된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의 일 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면으로서, 도 8 및 도9를 참조하여,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36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360)는 위협 이벤트 감지모듈(361) 및 위협도구 감지모듈(362)을 포함할 수 있다.
위협 이벤트 감지모듈(361)은 각 사용자의 접속기록 및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기초로, 사용자에 의하여 위협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위협도구 감지모듈(362)은 각 사용자의 접속기록 및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기초로, 사용자가 위협 도구를 이용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360)는 감지된 위협 이벤트 및 위협도구를 기초로 사용자의 위협행위를 위협레벨에 따라 구분하고, 해당 위협행위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위협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이러한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360)는 위협 이벤트를 사전에 정의하고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위협 이벤트 중 경미한 일부 이벤트-예컨대, 마우스 우클릭을 통한 HTML 소스 보기 등-는 위협레벨 1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360)는 위협 도구를 사전에 정의하고, 이러한 위협 도구를 실행하는 것을 위협레벨 2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위협도구로는 화면 녹화 프로그램이나 해킹 도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360)는 사용자가 이전에 위협 행위를 수행한 히스토리, 위협 이벤트 발생 및 위협 도구의 사용을 기초로 위협레벨 3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이전에 위협 이벤트를 실행한 히스토리가 존재하며, 설정된 횟수 이상 위협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경우에 해당하면, 위협레벨 3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전에 위협 도구를 실행한 히스토리가 존재하며, 이전의 위협 도구와 다른 새로운 위협 도구를 실행한 경우에 해당하면, 위협레벨 3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360)는 사용자의 위협행위를 기초로 사용자의 위협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360)는 사용자가 수행한 위협행위의 레벨을 사용자의 위협레벨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위협행위에 따라 사용자의 위협레벨을 다르게 설정하고, 사용자에 대한 보호정책을 달리 설정함으로써 사전적이고 예방적인 컨텐츠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위협 레벨이 높은 경우에는 제공되는 컨텐츠의 종류를 한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보호정책을 보다 높은 정책으로 설정하여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서 차단되는 이벤트나 위협도구를 보다 강도높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는, 관리서버(300)의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360)에서 직접 사용자 위협도를 설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360)는 사용자의 위협레벨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의 위협행위 분석부(160)에 제공하고, 위협행위 분석부(160)가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360)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360)가 위협 이벤트 감지 기능 및/또는 위협 도구 감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컨텐츠 보호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방법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기 설명한 소스코드 자동 생성 시스템을 기초로 수행되므로,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방법에 따른,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와 관리 서버(300)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를 제공받아(S1011) 사용자 단말에 설치한다(S1010).
관리 서버(300)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와 연동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에컨대,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는 범용고유식별자 형태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관리 서버(300)에 제공하고(S1020), 관리 서버(300)는 해당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S1030).
관리 서버(300)는 인증된 정보를 기초로 각 사용자 별로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에 대한 보호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S1040). 관리 서버(300)는 설정된 보호정책을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에 제공한다.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어, 보호정책을 기반으로 자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컨텐츠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가 사용자 단말에 대한 컨텐츠 보호를 수행할 때, 관리 서버(300)의 필수적 개입이 필요하지 않다. 즉,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 자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컨텐츠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에 의한 컨텐츠 보호 단계(S105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는 관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사용자에게 허락된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다(S1110).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는 관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받고,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에 의하여 인증된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를 재생할 수 있다(S1120).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는 보호정책을 기반으로 동작하고, 사용자 단말을 감시하여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을 제한하고,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생성 할 수 있다(S1130).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생성하는 단계 S1130에 대한 일 실시예로서,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는 사용자가 인증되지 않은 캡쳐 도구를 이용하여 캡쳐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감지하는 캡쳐 제어단계, 사용자가 클립보드를 이용하여 카피 및 붙여넣기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감지하는 클립보드 제어단계, 사용자 단말이 다중 모니터 환경인지 확인하고, 다중 모니터 환경인 경우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가 실행되는 모니터 외의 나머지 모니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다중 모니터 제어단계,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가 동작 중인 경우, 마우스 오른쪽 클릭 기능을 제한하는 마우스 제어단계 및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가 동작 중인 경우 마우스가 동작 가능한 포커스를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 내의 범위로 제한하고, 기타 프로그램 윈도우의 포커스를 불활성화 시키는 포커스 제어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관리 서버(300)에 의한 사용자 보호정책을 설정하는 단계(S104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300)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에서 제공된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에 대한 인증 기록을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접속기록 및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각 사용자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보호정책을 설정하고,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100)에게 각각의 사용자에 해당하는 보호정책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 : 사용자 10 : 사용자 단말
100 :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 300 : 관리 서버
201 : 시스템 메모리 202 : 운영체제
203 : 프로세싱 유닛 204 : 저장소
205 : 입력장치 206 : 출력장치
207 : 통신장치
110 : 식별자 생성부 120 : 서비스 인증부
130 : 데이터베이스 140 : 컨텐츠 재생부
150 : 컨텐츠 보호부 160 : 위협행위 분석부
151 : 캡쳐 제어모듈 152 : 클립보드 제어모듈
153 : 다중 모니터 제어모듈 154 : 마우스 제어모듈
155 : 포커스 제어모듈
310 : 사용자 인증부 320 : 데이터베이스
330 : 보호정책 관리부 340 : 컨텐츠 제공부
350 : 접속기록 관리부 360 :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
361 : 위협 이벤트 감지모듈 362 : 위협 도구 감지모듈

Claims (10)

  1.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가 설치되고,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 대한 보호정책을 설정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어 상기 보호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관리 서버의 필수적 개입 없이 자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컨텐츠 보호를 수행하며,
    상기 컨텐츠 보호로서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을 제한하고, 해당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필수 구성요소-그래픽카드, 중앙처리장치 및 마더보드를 포함함-의 고유식별자를 이용하여 범용고유식별자 형태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할당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인증하며,
    상기 범용고유식별자는
    8자리-4자리-4자리-4자리-12자리로 구성되는 총 32자리의 문자-숫자 및 영문자를 포함함-로 설정되고,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는,
    상기 상기 범용고유식별자를 생성할 때, 상기 필수 구성요소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최초의 '8자리' 문자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할당된 ID 정보를 이용하여 이후의 '4자리'-'4자리'문자를 생성하며, 마지막의 '12자리'문자는 랜덤으로 생성하고, 세번째 '4자리'문자는 상기 범용고유식별자의 검증 정보로 생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는,
    각 사용자의 접속기록 및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기초로, 사용자에 의하여 위협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위협 이벤트 감지모듈; 및
    각 사용자의 접속기록 및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기초로, 사용자가 위협 도구를 이용하였는지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위협행위를 기초로 사용자의 위협레벨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위협레벨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보호정책을 달리 설정하는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는
    상기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허락된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를 확인하는 서비스 인증부;
    상기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받고, 상기 서비스 인증부에 의하여 인증된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 및
    상기 보호정책을 기반으로 동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감시하여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을 제한하고,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생성하는 컨텐츠 보호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필수 구성요소의 고유식별자를 이용하여 범용고유식별자 형태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할당하는 식별자 생성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식별자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보호부는
    상기 사용자가 인증되지 않은 캡쳐 도구를 이용하여 캡쳐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감지하는 캡쳐 제어모듈;
    상기 사용자가 클립보드를 이용하여 카피 및 붙여넣기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감지하는 클립보드 제어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다중 모니터 환경인지 확인하고, 다중 모니터 환경인 경우 상기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가 실행되는 모니터 외의 나머지 모니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다중 모니터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보호부는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가 동작 중인 경우, 마우스 오른쪽 클릭 기능을 제한하는 마우스 제어모듈; 및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가 동작 중인 경우 상기 마우스가 동작 가능한 포커스를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 내의 범위로 제한하고, 기타 프로그램 윈도우의 포커스를 불활성화 시키는 포커스 제어모듈;
    을 더 포함하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식별자 생성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와 연관하여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 및 그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사용자 인증부에서 제공된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에 대한 인증 기록을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접속기록 및 상기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관리하는 접속기록 관리부;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보호정책을 설정하고,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게 각각의 사용자에 해당하는 보호정책을 제공하는 보호정책 관리부; 및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을 포함하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
  7.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어 사용자에게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 및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 대한 보호정책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컨텐츠 보호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컨텐츠 보호 방법으로서,
    상기 관리 서버가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인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 대한 보호정책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어, 상기 보호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관리 서버의 필수적 개입 없이 자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컨텐츠 보호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필수 구성요소-그래픽카드, 중앙처리장치 및 마더보드를 포함함-의 고유식별자를 이용하여 범용고유식별자 형태의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할당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인증하며,
    상기 범용고유식별자는
    8자리-4자리-4자리-4자리-12자리로 구성되는 총 32자리의 문자-숫자 및 영문자를 포함함-로 설정되고,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는,
    상기 상기 범용고유식별자를 생성할 때, 상기 필수 구성요소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최초의 '8자리' 문자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할당된 ID 정보를 이용하여 이후의 '4자리'-'4자리'문자를 생성하며, 마지막의 '12자리'문자는 랜덤으로 생성하고, 세번째 '4자리'문자는 상기 범용고유식별자의 검증 정보로 생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는,
    각 사용자의 접속기록 및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기초로, 사용자에 의하여 위협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고,
    각 사용자의 접속기록 및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기초로, 사용자가 위협 도구를 이용하였는지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위협행위를 기초로 사용자의 위협레벨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위협레벨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보호정책을 달리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컨텐츠 보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허락된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받고,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 의하여 인증된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를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정책을 기반으로 동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감시하여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을 제한하고,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인증되지 않은 캡쳐 도구를 이용하여 캡쳐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감지하는 캡쳐 제어단계;
    상기 사용자가 클립보드를 이용하여 카피 및 붙여넣기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감지하는 클립보드 제어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다중 모니터 환경인지 확인하고, 다중 모니터 환경인 경우 상기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가 실행되는 모니터 외의 나머지 모니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다중 모니터 제어단계;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가 동작 중인 경우, 마우스 오른쪽 클릭 기능을 제한하는 마우스 제어단계; 및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가 동작 중인 경우 상기 마우스가 동작 가능한 포커스를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 내의 범위로 제한하고, 기타 프로그램 윈도우의 포커스를 불활성화 시키는 포커스 제어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인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 대한 보호정책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서 제공된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에 대한 인증 기록을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접속기록 및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보호정책을 설정하고, 상기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에게 각각의 사용자에 해당하는 보호정책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방법.
KR1020200106439A 2020-08-24 2020-08-24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그의 제공 방법 KR102222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439A KR102222906B1 (ko) 2020-08-24 2020-08-24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그의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439A KR102222906B1 (ko) 2020-08-24 2020-08-24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그의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906B1 true KR102222906B1 (ko) 2021-03-04

Family

ID=75174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439A KR102222906B1 (ko) 2020-08-24 2020-08-24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그의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9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468B1 (ko) * 2021-02-25 2021-08-18 주식회사 한국이러닝개발원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
KR102303074B1 (ko) * 2021-02-25 2021-09-17 주식회사 한국이러닝개발원 타임 마그넷 이러닝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929B1 (ko) 2002-02-28 2005-01-24 주식회사 마크애니 디지털 컨텐츠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시스템
KR20100051035A (ko)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파수닷컴 위젯을 이용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방법
US8769636B1 (en) * 2006-12-22 2014-07-01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web displays with a user-recognizable indicia
US20170366967A1 (en) * 2013-03-07 2017-12-21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nd browser for browsing web page, and storage medium
US10592683B1 (en) * 2015-10-12 2020-03-17 Nextlabs, Inc. Applying an authorization policy across multiple application programs with requests submitted through an HTTP-based API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929B1 (ko) 2002-02-28 2005-01-24 주식회사 마크애니 디지털 컨텐츠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시스템
US8769636B1 (en) * 2006-12-22 2014-07-01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web displays with a user-recognizable indicia
KR20100051035A (ko)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파수닷컴 위젯을 이용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방법
US20170366967A1 (en) * 2013-03-07 2017-12-21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nd browser for browsing web page, and storage medium
US10592683B1 (en) * 2015-10-12 2020-03-17 Nextlabs, Inc. Applying an authorization policy across multiple application programs with requests submitted through an HTTP-based API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468B1 (ko) * 2021-02-25 2021-08-18 주식회사 한국이러닝개발원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
KR102303074B1 (ko) * 2021-02-25 2021-09-17 주식회사 한국이러닝개발원 타임 마그넷 이러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60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biometric protocol standards
US93489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confidential information
US8141138B2 (en) Auditing correlated events using a secure web single sign-on login
Furfaro et al. Towards security as a service (secaas): On the modeling of security services for cloud computing
Khansa et al. Assessing innovations in cloud security
US10965686B1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privilege escalation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s
US115319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generated training and imitation learning
US118419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enforc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via embedded browser
EP4229532B1 (en) Behavior detection and verification
KR102222906B1 (ko) 컨텐츠 보호 브라우저를 이용한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그의 제공 방법
US10992713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authorizing user to execute action in electronic service
Borja et al. Risk analysis and Android application penetration testing based on OWASP 2016
Gupta et al. A risk-driven model to minimize the effects of human factors on smart devices
Raisian et al. Security issues model on cloud computing: A case of Malaysia
US20230135186A1 (en) Abnormal cross authorization detection systems
US10503929B2 (en) Visually configurable privacy enforcement
Lee et al. Privacy preserving collaboration in bring-your-own-apps
US10116438B1 (en) Managing use of security keys
Boja et al. Impact of the security requirements on mobile applications usability
US20230283633A1 (en) Credential input detection and threat analysis
Saini et al. Vulnerabilities in Android OS and Security of Android Devices
US20220366039A1 (en) Abnormally permissive role definition detection systems
Fgee et al. My Security for Dynamic Websites in Educational Institution
Mishra et al. How to Enhance Data Privacy on Android: A Proposal
Pande Cyber Attacks and Counter Measures: 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