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685B1 - 무선전력 송신장치를 검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전력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력 송신장치를 검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전력 수신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2685B1 KR102222685B1 KR1020180167861A KR20180167861A KR102222685B1 KR 102222685 B1 KR102222685 B1 KR 102222685B1 KR 1020180167861 A KR1020180167861 A KR 1020180167861A KR 20180167861 A KR20180167861 A KR 20180167861A KR 102222685 B1 KR102222685 B1 KR 1022226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wireless power
- unit
- value
- energy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저장된 에너지를 미리 결정된 제1시정수에 의해 방출하도록 되어 있는 에너지저장부 및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에 연결되어, 전자기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장치가 공개된다. 이 검출장치는, 전자기 신호로부터 제공된 에너지를 에너지저장부에 저장하는 제1회로부, 및 에너지저장부의 제1노드의 제1전압을 검출하여, 제1전압이 속한 전압 범위에 따라 서로 다른 검출값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제2회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노드는 상기 에너지저장부에 저장된 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변동하는 전압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회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전력 수신을 위해 이용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전력 송신장치는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자기파를 방출하고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전자기파를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전자기파의 에너지를 전기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전자기파는 전자기 신호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이에 관련된 기술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의 Qi 표준에도 공개되어 있다.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를 제어하는 1차측 컨트롤러는 물체가 충전 패드에 놓였는지 여부, 즉 물체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근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물체가 상기 충전 패드에 놓이면 1차측 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송신 안테나의 유효 임피던스가 변하며, 상기 유효 임피던스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에 기초하여 상기 1차측 컨트롤러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 하여금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소위 아날로그 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아날로그 핑은 짧은 시간 동안 지속되는 전자기 펄스들이 반복되는 전자기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1차측 컨트롤러는 상기 유효 임피던스의 변화를 기초로 물체의 감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1차측 컨트롤러는 상기 물체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호환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1차측 컨트롤러는 상기 아날로그 핑을 중지하고 소위 디지털 핑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핑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공급하는 전자기 신호로서, 이로 인하여 상기 물체에게 소정의 정보가 담긴 패킷이 전송된다.
만일 상기 물체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호환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라면,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디지털 핑에 응답하는 신호 강도 인디케이터 패킷을 회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유효한 신호 강도 인디케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는 상기 물체, 즉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게 무선전력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송신하는 전자기 신호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전자기 신호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원 모양의 아이콘들은 전자기 신호, 또는 전자기 펄스를 상징한다.
도 1에서 제1시구간(T1)은 상기 아날로그 핑이 전송되는 구간이며, 제2시구간(T2)은 상기 디지털 핑이 전송되는 구간이며, 제3시구간(T3)은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무선전력전송신호가 전송되는 구간을 나타낸 것이다. 제1시구간(T1)을 살펴보면, 아날로그 핑은 짧은 지속시간을 갖고 일정한 휴지기 간격을 갖고 반복되는 전자기 펄스들을 포함한다.
아날로그 핑 상태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는 전자기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출하지 않고,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도의 낮은 전력을 갖는 전자기 신호를 간헐적으로 송출한다. 이때의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전력 전송 방법은 송신 전력의 세기를 낮출 뿐만이 아니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전송기간 대비 전력전송의 휴지기간이 더 길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프로토콜에 따르면,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디지털 핑을 전송해야만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아날로그 핑만이 전송되는 상황에서는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근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즉,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무선전력 수신장치 간에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디지털 핑을 이용한 통신 프로토콜이 성립되지 않는다면,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근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포함된 전자장치의 충전이 완료되었음(100% 충전 완료)이 확인되면,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는 다시 아날로그 핑을 송신하는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100% 충전 완료 시점의 전후 간에 무선전력 수신장치와 무선전력 송신장치 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면 상기 송신 안테나의 유효 임피던스가 변하지 않으므로,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는 상기 디지털 핑을 다시 제공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근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아날로그 핑 및 전력송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무선전력 수신장치 간에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이 성립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근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포함된 전자장치의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떨어졌는지 또는 여전히 가까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로써, 상기 전자장치의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떨어진 경우에 상기 전자장치가 저전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인접해 있는지를 감지하는 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무선전력송신 기능을 제공하는 패드(pad) 위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 내에 무선전력수신을 위한 정류기 이외에 다른 브리지 정류기를 제공함으로써, 저전력이 전달되는 아날로그 핑 단계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의 전력수신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저전력 시스템의 구현을 위하여, 상기 전력수신여부를 기초로 처리장치(ex: AP)가 전력제어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저장된 에너지를 미리 결정된 제1시정수에 의해 방출하도록 되어 있는 에너지저장부(5) 및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에 연결되어, 전자기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검출장치는, 상기 전자기 신호로부터 제공된 에너지를 상기 에너지저장부에 저장하는 제1회로부(121); 및 상기 에너지저장부의 제1노드(PDET_RC)의 제1전압(V1)을 검출하여, 상기 제1전압이 속한 전압 범위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갖는 제2전압(V2)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제2회로부(12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노드는 상기 에너지저장부에 저장된 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변동하는 전압을 갖는다.
이때, 상기 제1회로부(121)는, ①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1211) 및 ② 상기 정류부부터 정류된 전류가 출력될 때에, 상기 제1전압의 최대값을 미리 결정된 전압으로 제한하는 전압제한부(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류부는 반파 정류회로, 양파 정류회로, 및 브리지 정류회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회로부(123)는, ① 상기 제1전압을 입력받는 비교기 또는 슈미트 트리거(1231), 및 ② 상기 비교기 또는 상기 슈미트 트리거의 출력값에 따라 제어되는 풀업스위치(1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풀업스위치의 일 단자는 미리 결정된 제1전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풀업스위치의 타 단자는 풀업 저항(4)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전압이 출력되는 제2노드(PDETB)는 상기 풀업스위치의 타 단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에 연결된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11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시정수는, 상기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평활 커패시터(114)의 값에 의해 결정되는 제2시정수보다 짧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에너지저장부는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제1커패시터(51) 및 제1저항(52)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로부는 상기 전자기 신호로부터 제공된 에너지를 상기 제1커패시터에 제공하는 정류부(1211)를 포함하며, 상기 제1노드는 상기 제1커패시터의 일 단자이고, 그리고 상기 제1시정수는 상기 제1커패시터의 값과 상기 제1저항의 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회로부는, 상기 제1전압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 값에서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값으로 변하면 상기 제2전압을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기 신호는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전자기 펄스들로 이루어지는 아날로그 핑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압이 상기 제1전압의 최대값으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까지 감쇠하는 시간이 상기 아날로그 핑의 인접한 전자기 펄스들 간의 시간 간격보다 길게 되도록 상기 제1시정수가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회로부는 비교기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기는 상기 제1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1전압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서로 다른 값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회로부는 슈미트 트리거(1231)를 포함하며, 상기 슈미트 트리거는 상기 제1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1전압이 미리 결정된 제1임계값 이상인 경우와 상기 제1전압이 미리 결정된 제2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있어서 서로 다른 값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단, 상기 제1임계값은 상기 제2임계값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에너지저장부; ① 전자기 신호로부터 제공된 에너지를 상기 에너지저장부에 저장하는 제1회로부, ② 상기 에너지저장부의 제1노드의 제1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제1전압이 속한 전압 범위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제2회로부, 및 ③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를 포함하는 검출장치; 상기 제1회로부 및 상기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에 연결된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및 처리장치(7)를 포함하는 전자장치(10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너지저장부는, 상기 검출장치로부터 에너지가 제공되지 않는 동안, 저장된 에너지를 미리 결정된 제1시정수에 의해 방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저장하거나 상기 전력에 의해 동작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제2회로부에서 출력하는 제2전압을 기초로 상기 전자기 신호를 제공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가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근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회로부는, ①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 및 ② 상기 정류부부터 정류된 전류가 출력될 때에, 상기 제1전압의 최대값을 미리 결정된 전압으로 제한하는 전압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받기 위하여,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전자기 신호인 디지털 핑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및 상기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를 이용하여 응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아날로그 핑 및 전력송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무선전력 수신장치 간에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이 성립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근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포함된 전자장치의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떨어졌는지 또는 여전히 가까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자장치의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떨어진 경우 상기 전자장치를 저전력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송신하는 전자기 신호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 평활 커패시터, 2차측 커패시터, 및 제2코일을 따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회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전력수신 감지부, 전력수신 감지부의 제1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에너지저장부, 및 전력수신 감지부의 제2출력단자에 연결되는 풀업저항이 부가된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전력수신 감지부의 구성을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감지부의 주요 노드에서의 시간에 따른 전압들의 변화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7은 아날로그 핑이 수신 안테나에 결합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감지부의 주요 노드에서의 시간에 따른 전압들,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의 출력노드에서의 수신전력 평활전압, 및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제1코일을 통해 흐르는 1차측 전류)의 시간에 따른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 평활 커패시터, 2차측 커패시터, 및 제2코일을 따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회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전력수신 감지부, 전력수신 감지부의 제1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에너지저장부, 및 전력수신 감지부의 제2출력단자에 연결되는 풀업저항이 부가된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전력수신 감지부의 구성을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감지부의 주요 노드에서의 시간에 따른 전압들의 변화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7은 아날로그 핑이 수신 안테나에 결합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감지부의 주요 노드에서의 시간에 따른 전압들,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의 출력노드에서의 수신전력 평활전압, 및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제1코일을 통해 흐르는 1차측 전류)의 시간에 따른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2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는 전원(26), 1차측 컨트롤러(Tx 컨트롤러)(21), 제1송신측 스위치(22), 제2송신측 스위치(23), 및 감지저항(25)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는 송신 안테나를 통해 도 1에 예시한 아날로그 핑, 디지털 핑, 및 무선전력전송신호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송신 안테나는 제1코일(24) 및 제1코일(24)에 직렬로 연결된 1차측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1)는 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1코일(24)로부터 제공된 전자기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수신 안테나는 제2코일(13) 및 제2코일(13)에 직렬로 연결된 2차측 커패시터(C1)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1)는 2차측 커패시터(C1), 제2커패시터(C2), 제3커패시터(C3), 및 수신측 제어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측 제어부(11)는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111), 평활 커패시터(114), 전압 레귤레이터(112), 수신측 통신 및 제어부(113), 제1수신부 스위치(115), 및 제2수신부 스위치(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111)는 예컨대 반파 정류회로, 양파 정류회로, 및 브리지 정류회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압 레귤레이터(112)는 전압 선형 제어부(1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선형 제어부(1121)는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111)가 출력한 수신전력 평활전압(VRECT)을 변환하여 부하(3)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부하(3)에 제공되는 출력전압은 VOUT으로 표시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부하(3)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1)가 하나의 독립적인 전자장치(100)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부하(3)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1)와는 별도로 제공되는 장치일 수도 있다.
부하(3)는 예컨대 CPU 또는 AP와 같은 연산용 칩을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또는 사용자 기기일 수 있다. 또는 부하(3)는 예컨대 배터리 셀 및 배터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배터리 장치일 수도 있다. 부하(3)의 종류 및 구성은 상술한 내용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111), 평활 커패시터(114), 2차측 커패시터(C1), 및 제2코일(13)을 따로 도시한 것이다.
제2코일(13)에 결합되는 전자기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2차측 전류(ISEC)가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111)의 두 입력단자(AC1, AC2)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111)는 능동형 브리지 정류회로로서, 4개의 게이트 제어신호들(HG1, HG2, LG1, LG2)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는 4개의 FET들(PM1, PM2, NM1, NM2)에 의해 형성되는 H-브릿지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111)는 다른 형태의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이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111)의 구성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111)의 출력단자를 통해 제공되는 전류(IRECT)는 평활 커패시터(114)에 의해 평활(smoothing)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평활 커패시터(114)의 일 단자에 형성되는 전압은 수신전력 평활전압(VRECT)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회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전력수신 감지부(12), 전력수신 감지부(12)의 제1출력단자(PDET_RC)에 연결되는 에너지저장부(5), 및 전력수신 감지부(12)의 제2출력단자(PDETB)에 연결되는 풀업저항(4)이 부가된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제1출력단자(PDET_RC)의 전압을 이하 제1전압(V1)이라고 지칭하고, 제2출력단자(PDETB)의 전압을 이하 제2전압(V2)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제2출력단자(PDETB)는 처리장치(7)에 연결되며, 이로써 제2전압(V2)은 처리장치(7)에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처리장치(7)는 CPU 또는 AP일 수 있다.
에너지저장부(5)는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제1커패시터(51) 및 제1저항(52)을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핑이 전송되는 제1시구간(T1)에서 전력수신 감지부(12)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로부터 제공되는 아날로그 핑에 존재하는 작은 입력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DC 전압으로 평활하여 제1출력단자(PDET_RC)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핑이 전송되는 제2시구간(T2) 및 무선전력전송신호가 전송되는 제3시구간(T3)에서 전력수신 감지부(12)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로부터 제공되는 전자기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2차측 전류(ISEC)이 적어도 일부를 평활하여 제1출력단자(PDET_RC)에 제공할 수 있다.
제2코일(13)을 통해 입력되는 전력의 일부는 전력수신 감지부(12)에 의해 에너지저장부(5)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2코일(13)을 통해 입력되는 전력의 다른 일부 또는 나머지는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111)에 의해 변환되어 상기 부하(3)에 제공될 수 있다.
제2코일(13)에 전자기 신호가 결합되는 동안에는 제1커패시터(51)에 에너지가 저장되어 상기 제1전압(V1)이 미리 결정된 값으로 상승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코일(13)에 전자기 펄스가 제공되지 않는 동안에는 제1커패시터(51)에 저장되었던 에너지가 제1저항(52)을 통해 방전되면서 상기 제1전압(V1)이 하강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전력수신 감지부의 구성을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전력수신 감지부(12)는, 제1회로부(121) 및 제2회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로부(121)는 제2코일(13)로부터 제공된 에너지를 에너지저장부(5)에 저장할 수 있다.
제1회로부(121)는, 정류부(1211) 및 전압제한부(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부(1211)는, 제2코일(13)로부터 제공되는 전류를 정류하고, 상기 정류된 에너지를 제1커패시터(51)에 제공할 수 있다.
전압제한부(1212)는, 정류부(1211)로부터 에너지가 출력될 때에, 에너지저장부(5)에 연결되는 제1노드, 즉 제1출력단자(PDET_RC)의 전압의 크기를 미리 결정된 전압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압제한부(1212)는, 제1클램프 회로(1221) 및 제1FET(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FET(1222)의 드레인은 정류부(1211)의 전류출력단자(NRECT)에 연결되고 제1FET(1222)의 소스는 제1출력단자(PDET_RC)에 연결될 수 있다. 제1클램프 회로(1221)는 미리 결정된 고정된 전압인 제한전압(VLIMIT)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한전압(VLIMIT)은 제1FET(1222)의 게이트에 제공될 수 있다. 제1출력단자(PDET_RC)의 전압인 제1전압(V1)의 최대값은 제한전압(VLIMIT) 및 제1FET(1222)의 VGS,TH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전압(V1)의 최대값이 약 4V가 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제2회로부(123)는 제1전압(V1)을 검출하여, 제1전압(V1)이 속한 전압 범위에 따라 제2출력단자(PDETB)를 통해 서로 다른 검출값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회로부(123)는 제1전압(V1)을 입력받는 슈미트 트리거(1231), 슈미트 트리거(1231)의 출력값을 반전하는 NOT 게이트(1232), 및 NOT 게이트(1232)의 출력값에 따라 제어되는 풀업스위치(1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업스위치는 본 명세서에서 제5스위치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술한 풀업저항(4)의 일단자는 제2출력단자(PDETB)에 연결되고, 타단자는 특정 상태를 나타내는 전위(VDD)를 제공하는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슈미트 트리거(1231)는 비교기(comparator)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제2전압(V2)은 제1전압(V1)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VTH)보다 높은지 또는 낮은지에 따라 변화하는 값으로서, 제2전압(V2)은 처리장치(7)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아날로그 핑이 검출되는 경우 제2전압(V2)은 낮은 값을 갖고, 아날로그 핑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2전압(V2)은 높은 값을 갖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정류부(1211)는 예컨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 안테나의 양단자(AC1, AC2)에 연결되는 두 개의 입력단자(AC3, AC4)를 갖는 브리지 회로일 수 있는데, 다른 종류의 정류회로일 수도 있으며, 정류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두 개의 입력단자들(AC3, AC4) 사이의 전압은 VAC로 나타낼 수 있다.
전력수신 감지부(12)는 스위치부(125) 및 제2클램프 회로(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125)는, 정류부(1211)의 상기 두 개의 입력단자(AC3, AC4)들과 상기 수신 안테나의 양단자(AC1, AC2) 사이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스위치부(125), 제1스위치(1251), 제2스위치(1252), 제3스위치(1253), 및 제4스위치(125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수신 감지부(12)는 제1모드(검출동작모드) 또는 제2모드(검출중지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모드에서 스위치부(125)는 정류부(1211)의 상기 두 개의 입력단자들(AC3, AC4)을 상기 수신 안테나의 양단자(AC1, AC2)에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모드에서 스위치부(125)는 정류부(1211)의 상기 두 개의 입력단자들(AC3, AC4)을 상기 수신 안테나의 양단자(AC1, AC2)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두 개의 입력단자들(AC3, AC4)을 기준전위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는 모드선택신호(PDET_OFF)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모드선택신호(PDET_OFF)의 값은 무선전력 수신장치(1)를 포함하는 전자장치(1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모드선택신호(PDET_OFF)가 제1로직값(ex: high)을 가지면 제2클램프 회로(124)는 미리 결정된 값(VCLAMP)(예컨대 약 5V)을 갖는 게이트 신호를 제1스위치(1251) 및 제2스위치(1252)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스위치(1253) 및 제4스위치(1254)의 게이트에는 상기 제1로직값을 갖는 모드선택신호(PDET_OFF)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스위치(1251) 및 제2스위치(1252)는 입력단자들(AC3, AC4)을 양단자(AC1, AC2)에 각각 연결할 수 있고, 제3스위치(1253) 및 제4스위치(1254)는 입력단자들(AC3, AC4)을 기준전위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반대로, 모드선택신호(PDET_OFF)가 제2로직값(ex: low)을 가지면 제2클램프 회로(124)는 예컨대 로지컬 로우 값(예컨대 GND)을 갖는 게이트 신호를 제1스위치(1251) 및 제2스위치(1252)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스위치(1253) 및 제4스위치(1254)의 게이트에는 상기 제2로직값을 갖는 모드선택신호(PDET_OFF)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스위치(1251) 및 제2스위치(1252)는 입력단자들(AC3, AC4)을 양단자(AC1, AC2)로부터 각각 분리할 수 있고, 제3스위치(1253) 및 제4스위치(1254)는 입력단자들(AC3, AC4)을 기준전위에 연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다양한 전자장치에 사용되고 있는데, 전자장치에 따라서는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근접 여부를 검출하는 기능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모드선택신호(PDET_OFF)는 이와 같이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검출을 요구하지 않는 전자장치를 위해 추가될 수 있는 사용자 설정 신호로서, 모드선택신호(PDET_OFF)가 "H"로 설정되면, 전력수신 감지부(12)의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드선택신호(PDET_OFF)는 디폴트로 "0"의 값을 갖고 그 결과 무선전력 송신장치(2)의 검출기능이 활성화된다(즉, 전력수신 감지부(12)의 기능의 활성화). 만약 무선전력 송신장치(2)의 검출기능이 불필요하다면 모드선택신호(PDET_OFF)를 "H"로 설정함으로써 전력수신 감지부(12)의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감지부의 주요 노드에서의 시간에 따른 전압들(VAC, V1, V2)의 변화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6에서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가 아날로그 핑을 송출하고 있는 도중에, 무선전력 수신장치(1)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에 인접해 있다가 분리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전압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6의 제4시구간(T4)은 무선전력 수신장치(1)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 근처에 배치된 시구간을 나타내며, 제5시구간(T5)은 무선전력 수신장치(1)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로부터 멀리 떨어진 시구간을 나타낸다. 즉, 제4시구간(T4)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가 송출하는 전자기 신호가 무선전력 수신장치(1)에 유효하게 도달하는 시구간을 나타내며, 제5시구간(T5)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가 송출하는 전자기 신호가 무선전력 수신장치(1)에 실질적으로 도달하지 않는 시구간을 나타낸다.
도 6의 제6시간격(T6)은 아날로그 핑의 인접한 두 전자기 신호 펄스들 간의 간격을 나타낸다. 즉, 상술한 한 개의 휴지기의 길이를 나타낸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2전압(V2)은 제1상태를 나타내는 값 및 제2상태를 나타내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전압(V1)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VTH)보다 큰 상태에서 작은 상태로 변화하는 시점에, 상기 제2전압(V2)은 상기 제1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부터 상기 제2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상태를 나타내는 값은 GND 값이며, 상기 제2상태를 나타내는 값은 VDD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상태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근처에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것이고, 상기 제2상태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근처에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정류부 입력전압(VAC)은 정류부(1211)의 두 개의 입력단자들(AC3, AC4) 간의 전압을 나타낸 것이다. 정류부 입력전압(VAC)의 모양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가 송출하는 아날로그 핑에 따른 전자기 펄스의 모양에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정류부 입력전압(VAC)에 포함된 3개의 펄스들(AP1, AP2, AP3)은 제2코일(13)을 통해 검출되는 아날로그 핑에 의해 형성된 것들이다. 펄스(AP3)이 발생한 이후에도 무선전력 송신장치(2)는 여전히 아날로그 핑을 송출할 수 있지만, 무선전력 송신장치(2)와 무선전력 수신장치(1)가 서로 멀리 떨어진 경우에는 제2코일(13)에 상기 아날로그 핑이 결합되지 않으므로 정류부 입력전압(VAC)에는 더 이상 펄스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에서 3개의 펄스들(AP1, AP2, AP3) 각각은 각각 매우 얇은 형상으로 제시되었지만, 실제로는 일정한 폭을 가지며 특정 파형을 갖는 펄스로 이해할 수 있다.
아날로그 핑에 의한 전자기 신호 펄스가 수신 안테나에 결합되는 동안 제1전압(V1)은 제한전압(VLIMIT) 및 제1FET(1222)의 VGS,TH에 의해 결정되는 특정 전압, 예컨대 4V로 될 수 있다. 아날로그 핑의 전자기 신호 펄스들 간의 휴지기 동안에는 제2코일(13)로부터 전력수신 감지부(12)에게 실질적으로 에너지가 전달되지 않으며, 따라서 전력수신 감지부(12)로부터 제1커패시터(51)에게도 에너지가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휴지기 동안 제1커패시터(51)의 양단의 전압은 제1커패시터(51)와 제1저항(52)에 의해 결정되는 제1시정수에 따라 감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전압(V1)이 그 최대값(ex: 4V)으로부터 상기 임계값(VTH)까지 감쇠하는 시구간(T7)의 길이가 제6시간격(T6)보다 작게 되도록, 제1커패시터(51)와 제1저항(52)의 값을 설계할 수 있다.
도 7은 아날로그 핑이 수신 안테나에 결합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감지부의 주요 노드에서의 시간에 따른 전압들(V1, V2),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111)의 출력노드에서의 수신전력 평활전압(VRECT), 및 무선전력 송신장치(2)의 제1코일(24)을 통해 흐르는 1차측 전류(IPRI)의 시간에 따른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제4시구간(T4)은 무선전력 수신장치(1)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 근처에 배치된 시구간을 나타내며, 제5시구간(T5)은 무선전력 수신장치(1)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로부터 멀리 떨어진 시구간을 나타낸다. 즉, 제4시구간(T4)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가 송출하는 전자기 신호가 무선전력 수신장치(1)에 유효하게 도달하는 시구간을 나타내며, 제5시구간(T5)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가 송출하는 전자기 신호가 무선전력 수신장치(1)에 실질적으로 도달하지 않는 시구간을 나타낸다.
제4시구간(T4) 및 제5시구간(T5) 동안 1차측 전류(IPRI)에는 주기적인 펄스들이 포함되어 있지만, 제5시구간(T5)에는 무선전력 수신장치(1)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로부터 멀리 떨어지기 때문에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111)와 정류부(1211)에는 아날로그 핑에 의한 에너지가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5시구간(T5)에는 더 이상 제1전압(V1)이 제한전압(VLIMIT)에 의해 결정되는 최대값까지 상승하지 않으며, 수신전력 평활전압(VRECT) 역시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다.
아날로그 핑이 수신되는 제4시구간(T4) 동안 수신전력 평활전압(VRECT)은 최대값(VMAX)까지 상승할 수 있는데, 무선전력 수신장치(1)와 무선전력 송신장치(2) 간의 거리에 따라 최대값(VMAX)의 값이 예컨대 5V~15V 사이에서 변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전력 평활전압(VRECT)의 최대값(VMAX)을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수신전력 평활전압(VRECT)의 감쇠특성을 기초로 아날로그 핑의 수신 여부를 신뢰성 있게 결정할 수 없다.
이에 비하여, 아날로그 핑이 수신되는 제4시구간(T4) 동안 제1전압(V1)은 제한전압(VLIMIT)에 의해 결정되는 최대값(VMAX)까지, 예컨대 4V까지 상승하게 되므로, 제1전압(V1)의 감쇠특성을 기초로 아날로그 핑의 수신 여부를 신뢰성 있게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전압(V1)의 최대값(VMAX)이 미리 알 수 있는 값으로 결정될 수 있는 것은 상술한 전압제한부(1212) 덕분이다.
수신 안테나로부터 전력수신 감지부(12)에게 전자기 신호의 에너지가 전달되면 제1커패시터(51)가 충전되며, 수신 안테나로부터 전력수신 감지부(12)에게 전자기 신호의 에너지가 전달되지 않으면, 제1커패시터(51)에 저장된 에너지는 제1저항(52)을 통해 방전될 수 있다. 아날로그 핑의 전자기 신호 펄스 간 인터벌에 따라 제1커패시터(51)와 제1저항(52)의 값이 조절될 필요가 있다. 수신 안테나로부터 전력수신 감지부(12)에게 전자기 신호의 에너지가 제1커패시터(51)에게 전달되는 동안, 그 에너지의 크기와 무관하게 제1전압(V1)의 최대값이 예컨대 4V를 유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기 신호의 에너지가 제1커패시터(51)에게 전달되지 않는 동안, 제1전압(V1)의 레벨을 감지하여 제2전압(V2)의 값을 변화시키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T7)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였듯이, 아날로그 핑이 송출되는 시구간에 무선전력 수신장치(1)가 무선전력 수신장치(1)에 붙어 있다면, 제1전압(V1)은 지속적으로 미리 결정된 임계값(VTH)보다 높은 값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전력 수신장치(1)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로부터 멀어져서 상기 제1시정수 보다 긴 시간 동안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다면 결국, 제1전압(V1)은 미리 결정된 임계값(VTH)보다 낮은값으로 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검출장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1)를 포함하는 IC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수신 안테나와 별개의 독립적인 IC일 수 있다. 또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수신 안테나와 일체로 결합된 모듈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수신 안테나, 상기 에너지저장부, 및 상기 풀업저항과 일체로 결합된 모듈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3: 부하
5: 에너지저장부
51: 제1커패시터
52: 제1저항
100: 전자장치
111: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
114: 평활 커패시터
121: 제1회로부
123: 제2회로부
1211: 정류부
1212: 전압제한부
1231: 슈미트 트리거
1234: 풀업스위치
PDET_RC: 제1노드, 제1출력단자
PDETB: 제2노드, 제2출력단자
V1: 제1전압
V2: 제2전압
5: 에너지저장부
51: 제1커패시터
52: 제1저항
100: 전자장치
111: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
114: 평활 커패시터
121: 제1회로부
123: 제2회로부
1211: 정류부
1212: 전압제한부
1231: 슈미트 트리거
1234: 풀업스위치
PDET_RC: 제1노드, 제1출력단자
PDETB: 제2노드, 제2출력단자
V1: 제1전압
V2: 제2전압
Claims (14)
- 저장된 에너지를 미리 결정된 제1시정수에 의해 방출하도록 되어 있는 에너지저장부 및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에 연결되어, 전자기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장치로서,
상기 전자기 신호로부터 제공된 에너지를 상기 에너지저장부에 저장하는 제1회로부; 및
상기 에너지저장부의 제1노드의 제1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제1전압이 속한 전압 범위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갖는 제2전압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제2회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노드는 상기 에너지저장부에 저장된 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변동하는 전압을 가지며,
상기 에너지저장부는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제1커패시터 및 제1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로부는 상기 전자기 신호로부터 제공된 에너지를 상기 제1커패시터에 제공하는 정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노드는 상기 제1커패시터의 일 단자이고, 그리고
상기 제1시정수는 상기 제1커패시터의 값과 상기 제1저항의 값에 의해 결정되는,
검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부는, 상기 정류부로부터 정류된 전류가 출력될 때에, 상기 제1전압의 최대값을 미리 결정된 전압으로 제한하는 전압제한부를 포함하는,
검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반파 정류회로, 양파 정류회로, 및 브리지 정류회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검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로부는, ① 상기 제1전압을 입력받는 비교기 또는 슈미트 트리거, 및 ② 상기 비교기 또는 상기 슈미트 트리거의 출력값에 따라 제어되는 풀업스위치를 포함하는,
검출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풀업스위치의 일 단자는 미리 결정된 제1전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풀업스위치의 타 단자는 풀업 저항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전압이 출력되는 제2노드는 상기 풀업스위치의 타 단자인,
검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에 연결된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시정수는, 상기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평활 커패시터의 값에 의해 결정되는 제2시정수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로부는, 상기 제1전압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 값에서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값으로 변하면 상기 제2전압을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는, 검출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신호는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전자기 펄스들로 이루어지는 아날로그 핑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압이 상기 제1전압의 최대값으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까지 감쇠하는 시간이 상기 아날로그 핑의 인접한 전자기 펄스들 간의 시간 간격보다 길게 되도록 상기 제1시정수가 설계되어 있는,
검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로부는 비교기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기는 상기 제1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1전압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서로 다른 값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검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로부는 슈미트 트리거를 포함하며,
상기 슈미트 트리거는 상기 제1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1전압이 미리 결정된 제1임계값 이상인 경우와 상기 제1전압이 미리 결정된 제2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있어서 서로 다른 값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단, 상기 제1임계값은 상기 제2임계값보다 큼),
검출장치. - 에너지저장부;
① 전자기 신호로부터 제공된 에너지를 상기 에너지저장부에 저장하는 제1회로부, ② 상기 에너지저장부의 제1노드의 제1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제1전압이 속한 전압 범위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제2회로부, 및 ③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111)를 포함하는 검출장치;
상기 제1회로부 및 상기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111)에 연결된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및
처리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저장부는, 상기 검출장치로부터 에너지가 제공되지 않는 동안, 저장된 에너지를 미리 결정된 제1시정수에 의해 방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111)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저장하거나 상기 전력에 의해 동작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제2회로부에서 출력하는 제2전압을 기초로 상기 전자기 신호를 제공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근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에너지저장부는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제1커패시터 및 제1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로부는 상기 전자기 신호로부터 제공된 에너지를 상기 제1커패시터에 제공하는 정류부(1211)를 포함하며,
상기 제1노드는 상기 제1커패시터의 일 단자이고, 그리고
상기 제1시정수는 상기 제1커패시터의 값과 상기 제1저항의 값에 의해 결정되는,
전자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부는, 상기 정류부(1211)부터 정류된 전류가 출력될 때에, 상기 제1전압의 최대값을 미리 결정된 전압으로 제한하는 전압제한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받기 위하여,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전자기 신호인 디지털 핑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및 상기 무선전력수신용 정류부(111)를 이용하여 응답하도록 되어 있는, 전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7861A KR102222685B1 (ko) | 2018-12-21 | 2018-12-21 | 무선전력 송신장치를 검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전력 수신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7861A KR102222685B1 (ko) | 2018-12-21 | 2018-12-21 | 무선전력 송신장치를 검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전력 수신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8197A KR20200078197A (ko) | 2020-07-01 |
KR102222685B1 true KR102222685B1 (ko) | 2021-03-04 |
Family
ID=7160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7861A KR102222685B1 (ko) | 2018-12-21 | 2018-12-21 | 무선전력 송신장치를 검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전력 수신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2685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196225A (ja) | 2017-05-16 | 2018-12-06 |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 無線受電装置、無線給電装置、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無線受電装置の過大磁界保護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21200A (ko) * | 2013-04-05 | 2014-10-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장치 |
KR102152691B1 (ko) * | 2013-09-13 | 2020-09-0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충전 제어 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수신장치 |
KR20180112743A (ko) * | 2018-09-24 | 2018-10-12 | 박성훈 | 초음파 근거리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
-
2018
- 2018-12-21 KR KR1020180167861A patent/KR1022226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196225A (ja) | 2017-05-16 | 2018-12-06 |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 無線受電装置、無線給電装置、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無線受電装置の過大磁界保護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8197A (ko) | 2020-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98171B2 (en) | Wireless power receiver voltage control enabling simultaneous communications to transmitter in over-voltage state | |
KR101708312B1 (ko) | 무선 전력 수신 및 전송 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 |
KR102051682B1 (ko)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감지 장치 및 방법 | |
US9998180B2 (en) |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for modulating power of a wireless power receiver | |
US9791888B2 (en) | Power reception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system | |
EP2372863B1 (en) | Controlling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 |
US20190312459A1 (en) | Wireless Power System With Low Power Mode Switching | |
WO2014188744A1 (ja) | 通信装置及び電子機器 | |
KR20170041891A (ko) | 전력 전달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US20150303704A1 (en) | Charging system automatically switching between wired charging mode and wireless charging mode, and related charging control method and wireless power receiver circuit | |
JP2009504117A (ja) | 充電電力供給装置、バッテリー装置、無接点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方法 | |
KR20180136513A (ko) | 대역내 통신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들 | |
WO2015118139A1 (en) | Transformer communication system | |
US11101698B2 (en) |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
KR102340996B1 (ko)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 |
GB2414121A (en) | Controlling an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 |
US20190067992A1 (en) | Wireless Power System With Coupling-Coefficient-Based Coil Selection | |
WO2011121876A1 (ja) | 送電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波形モニタ回路 | |
US10411762B2 (en) | Electronic apparatus | |
US20210135495A1 (en) | Non-contact power supply device | |
US11368055B2 (en) | Wireless power system with debounced charging indicator | |
KR102222685B1 (ko) | 무선전력 송신장치를 검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전력 수신장치 | |
KR101332163B1 (ko) | 무선 충전 시스템 | |
KR102266079B1 (ko)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 |
US20190334366A1 (en) | Analog ping detection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