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046B1 - 컬러 본드 샴프와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컬러 본드 샴프와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046B1
KR102221046B1 KR1020200119414A KR20200119414A KR102221046B1 KR 102221046 B1 KR102221046 B1 KR 102221046B1 KR 1020200119414 A KR1020200119414 A KR 1020200119414A KR 20200119414 A KR20200119414 A KR 20200119414A KR 102221046 B1 KR102221046 B1 KR 102221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extract
protocol
port
wireless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웅
Original Assignee
김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웅 filed Critical 김진웅
Priority to KR1020200119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수정추출물, 가지열매추출물, 로우스위츠블루베리추출물, 뽕나무열매추출물, 자두추출물, 포도 추출물, 누에고치추출물, 피마자씨오일백미꽃추출물, 왕벚나무꽃추출물, 국화추출물, 서양유체꽃추출물, 삼색제비꽃추출물, 서양민들에뿌리추출물, 인동덩굴꽃추출물, 진흙버섯추출물, 황기뿌리추출물, 침당귀뿌리 추출물, 감초뿌리추출물, 및 남가새열매추출물 중에서 적어도 5개 이상의 추출물, 염기성청색 99호, 및 염기성적색 51호를 포함하는 컬러 본드 샴프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컬러 본드 샴프와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COLOR BOND SHAMPOO AND CLOUD-BASED SMART FACTORY SYSTEM FOR COLOR BOND SHAMPOO}
본 발명은 컬러 본드 샴프 및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색을 하고 소정의 기간이 지나면 노란 색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는 종종 보기 흉한 모습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염색을 한 사람들은 재염색을 해야 하는데 이는 매우 귀찮고도 비용이 소요되는 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탈색된 머리카락의 색을 호감있는 색깔로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컬러 본드 샴프와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컬러 본드 샴프에 있어서,
자수정추출물, 가지열매추출물, 로우스위츠블루베리추출물, 뽕나무열매추출물, 자두추출물, 포도 추출물, 누에고치추출물, 피마자씨오일백미꽃추출물, 왕벚나무꽃추출물, 국화추출물, 서양유체꽃추출물, 삼색제비꽃추출물, 서양민들에뿌리추출물, 인동덩굴꽃추출물, 진흙버슷추출물, 황기뿌리추출물, 침당귀뿌리 추출물, 감초뿌리추출물, 및 남가새열매추출물 중에서 적어도 5개 이상의 추출물; 염기성청색 99호; 및 염기성적색 51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본드 샴프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무선 망으로 구성되는 스마트 팩토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어장치(3);
상기 스마트 팩토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조부(5); 컬러 본드 샴프의 발주량을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 - 기초 데이터 - 에 기초하여 발주량을 결정하는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 및 상기 기초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정보 수집부로서, 수집한 기초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에게 제공하는 상기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상기 컬러 본드 샴프의 발주량을 상기 제어장치(3)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어장치(3)는 상기 발주량에 맞도록 상기 컬러 본드 샴프를 제조하도록 상기 제조부(5)를 제어하며, 상기 정보 수집부는 머리의 염색이 이루어지는 매장의 관리 컴퓨터로부터 기초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상기 매장의 관리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초 데이터는 염색을 한 사람 - 염색자 - 들의 숫자, 상기 염색자들의 염색 날짜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상기 염색자들 각각에 대하여 염색 날짜로부터 미리 정한 기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한 기간을 경과한 염색자가 있을 때마다 상기 컬러 본드 샴프의 발주량을 +1 증가시켜서, 상기 컬러 본드 샴프 발주량을 결정하는 것인,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술한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팩토리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무선보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보안부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동작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으로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공격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타입 추정 동작은, 포트 스캐닝 동작과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이고, 상기 포트 스캐닝 동작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오픈 포트를 찾는 동작이고, 상기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상기 포트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알아낸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찾는 동작이다.
상기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과, 오픈 포트의 종류에 따른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여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응답은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배너 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 정보가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입 추정 동작은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찾은 프로토콜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제1추정동작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제2추정동작과,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를 비교하는 동작과, 비교 결과 양자가 다를 경우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염색한 이후라도 아름다운 머리색을 유지할 수 있게되고, 염색자들의 실제 현황을 반영하여 컬러 본드 샴프의 발주량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안적으로 안전한 스마트 팩토리에 의해 컬러 본드 샴프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예시적 실시예들이다.
용어의 정의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에서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기술을 의미하고, 용어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유형의 장치나 기기(CPU, 메모리,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주변 장치 등)를 의미하고, 용어 '단계'는 소정의 목을 달성하기 위해 시계열으로 연결된 일련의 처리 또는 조작을 의미하고, 용어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처리하기에 합한 명령의 집합을 의미하고, 용어 '기록매체'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하거나 유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관리'는 데이터의 '수신', '송신', '저장', '수정', 및 '삭제'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유무선망'은 유선으로 연결된 통신망('유선망'), 무선으로 연결된 통신망('무선망'), 또는 유선망과 무선망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통신망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 및/또는 구성요소 B'는 '구성요소 A', '구성요소 B' 또는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를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무선 단말기', '디바이스', '시스템', 또는 '장치'는 컴퓨터로 구성된다.
본원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컴퓨터 프로세서와 기억 장치, 운영체제, 펌웨어, 응용 프로그램, 통신부, 및 기타 리소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은 다른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응용프로그램(예를 들면, 관리 프로그램)을 동작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통신부는 외부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로 이루어진 모듈을 의미한다. 또한, 컴퓨터 프로세서와 기억 장치,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펌웨어, 통신부, 주변기기, 및 기타 리소스(하드웨어적 자원과 소프트웨어적 자원을 포함)는 서로 동작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어 있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이나 도면은 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한 한도에서 기재 또는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에게 정보, 내역, 및/ 또는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함은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에게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구성요소 'A'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서 구성요소 'B'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페이크 디바이스'(fake device)는 불법적이거나 정당한 허락없이 다른 무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읽거나 변조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은 컬러 본드 샴프를 생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컬러 본드 샴프는 자수정추출물, 가지열매추출물, 로우스위츠블루베리추출물, 뽕나무열매추출물, 자두추출물, 포도 추출물, 누에고치추출물, 피마자씨오일백미꽃추출물, 왕벚나무꽃추출물, 국화추출물, 서양유체꽃추출물, 삼색제비꽃추출물, 서양민들레뿌리추출물, 인동덩굴꽃추출물, 진흙버섯추출물, 황기뿌리추출물, 침당귀뿌리 추출물, 감초뿌리추출물, 및 남가새열매추출물 중에서 적어도 5개 이상의 추출물과, 염기성청색 99호와 염기성적색 51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컬러 본드 샴프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탈색에 의해 노란색으로 변화된 머리를 그레이나 잿빛과 같이 미용상 무난하거나 아름다운 색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컬러 본드 샴프는, 위의 추출물 외에서, 일반적으로 삼프에 포함되는 다양한 성분들(예를 들면, 정제수, 다이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코카미도르로필베타인, 라우라마이드디이에이 등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컬러 본드 샴프에서, 상술한 추출물들은 원재료들(자수정, 가지열매, 로우스위치블루베리, 뽕나무열매, 자두, 포도, 누에고치, 피마자씨오일백미꽃, 왕벚나무꽃, 국화, 서양유체꽃, 삼색제비꽃, 서양민들레, 인동덩굴꽃, 진흙버섯, 황기뿌리, 침당귀뿌리, 감초뿌리, 남가새열매)로부터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이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이라고 함)은, 스마트 팩토리,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 및 정보 수집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마트 팩토리는 제어장치(3), 제조부(5), 센서(7), 및 무선보안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 팩토리,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 및 정보 수집부는 인터넷과 같은 광역망을 통해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고, 제어장치(3), 제조부(5), 센서(7), 및 무선보안부는 근거리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N)(이하, '유무선망')에 의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정보 수집부(#1, #2, #3)는 컬러 본드 샴프의 발주량을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 - 기초 데이터 -를 수집하여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에게 제공한다.
복수의 정보 수집부는, 머리의 염색이 이루어지는 매장(예를 들면, 미용실과 같은 매장)에 설치된 관리 컴퓨터(이하, '매장 관리 컴퓨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매장 관리 컴퓨터에는, 컬러 본드 샴프의 발주량을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기초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기초 데이터는 염색을 한 사람 - 염색자 - 들의 숫자, 염색자들이 각각 염색한 염색 날짜를 포함한다.
복수의 정보 수집부는 각각 인터넷과 같은 광역망(N1)을 통해서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로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정보 수집부는 매장 관리 컴퓨터와 별도의 컴퓨터로 구성이 될 수 있다. 다르게는, 복수의 정보 수집부는 매장 관리 컴퓨터들에 각각 프로그램으로 설치되어, 매장 관리 컴퓨터에 저장된 기초 데이터가 변경되면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복수의 정보 수집부들로부터 수집된 기초 데이터에 기초하여 컬러 본드 샴프의 발주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염색자들 각각에 대하여 염색 날짜로부터 미리 정한 기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컬러 본드 샴프의 발주량을 결정한다. 미리 정한 기간은 통상 염색을 한날로부터 탈색이 시작되는 날까지의 기간으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염색을 한날로부터 탈색이 시작되는 날까지가 통상적으로 2개월이라고 하면, 상기 '미리 정한 기간'은 3개월로 정할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염색자가 미리 정한 기간동안 재염색을 하지 않을 경우, 재염색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컬러 본드 샴프의 발주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판단한다.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예를 들면, 1인의 염색자가 미리 정한 기간동안 재염색을 하지 않을 경우, 컬러 본드 샴프의 발주량이 +1 증가되도록 컬러 본드 샴프의 발주량을 결정한다. 다른 예를 들면,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예를 들면, 1인의 염색자가 미리 정한 기간동안 재염색을 하지 않을 경우, 컬러 본드 샴프의 발주량이 +0.5 증가되도록 컬러 본드 샴프의 발주량을 결정한다. 여기서, +1과 +0.5는 예시적인 수치로서, 이와 다른 수치가 사용될수도 있다.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또 다르게는, 염색자의 수가 늘어나면 늘어난 염색자의 수에 비례하도록 컬러 본드 샴프의 발주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예를 들면, 상기 기초 데이터와 경기 상황, 경쟁업체의 시장 점유율 등을 모두 고려하여 컬러 본드 샴프의 발주량을 결정할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에 의해 결정된 컬러 본드 샴프의 발주량은,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1), 구체적으로, 제어장치(3)에게 제공된다.
제어장치(3)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고,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발주량에 따라서 제조부(5)가 컬러 본드 샴프를 제조할 수 있도록 제조부(5)를 제어한다.
제조부(5)는 컬러 본드 샴프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들로 구성되며, 기계적, 전기적, 및 전자적인 구성부품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조부(5)는 컬러 본드 샴프를 제조할 수 있는 재료들을 제공받아서 제어장치(3)의 제어하에 컬러 본드 샴프를 제조할 수 있다.
센서(7)는 제조부(5)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들의 동작 상태나 결과를 감지하여 제어장치(3)에게 제공한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라우터(미 도시)가 유무선망(N)에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라우터는 외부 망(예를 들면, N1)과의 연결을 지원한다.
무선보안부는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무선보안부의 감지 대상이 되는 무선 디바이스는 유무선망(N)에 연결되는 임의의 모든 유무선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면, 적법한 권한을 가진 구성요소들(예를 들면, 제어장치(3), 제조부(5), 센서(7))이나 권한을 가지지 못한 기기(예를 들면, 도 1에서 '15'로 표시된 기기들)가 무선보안부의 감지 대상이 되는 무선 디바이스이다.
무선보안부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동작과,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으로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공격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타입 추정 동작은, 포트 스캐닝 동작과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결과에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이고, 포트 스캐닝 동작은 무선 디바이스의 오픈 포트를 찾는 동작이고,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포트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알아낸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찾는 동작이다.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오픈 포트(Open Port)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과, 오픈 포트의 종류에 따른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여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동작과,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이다.
여기서, 응답은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배너 정보 또는 서비스 정보가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타입 추정 동작은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찾은 프로토콜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제1추정동작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제2추정동작과,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를 비교하는 동작과, 비교 결과 양자가 다를 경우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무선보안부는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으로부터 소정 거리(예를 들면, 1킬로미터) 이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거리는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거리이다. 바람직하게는, 무선보안부는 댁내에 위치되어 홈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무선보안부는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무선보안부는, 구체적으로,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동작과,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으로 무선 디바이스를 공격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타입 추정 동작은, 포트 스캐닝 동작과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결과에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이다.
포트 스캐닝 동작은 무선 디바이스의 오픈 포트를 찾는 동작이고,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포트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알아낸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찾는 동작이다.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오픈 포트(Open Port)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과, 오픈 포트의 종류에 따른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여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동작과,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이다. 여기서, 응답은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배너 정보 또는 서비스 정보가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타입 추정 동작은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찾은 프로토콜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제1추정동작과,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제2추정동작과,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를 비교하는 동작과, 비교 결과 양자가 다를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1에는, 본 시스템의 설명을 위해서, 무선장치(15: 15a, 15b, 15c, 15d)를 추가적으로 도시하였다.
무선보안부는 도1를 참조하여 설명한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과의 통신을 해킹할 수 있는 위험한 디바이스(이하, '페이크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통신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보안부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보안부는 무선 디바이스(15)의 통신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근거리 무선 통신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15)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표준에 따른 통신을 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5)는 시스템(200)에 권한 없는 디바이스이거나 또는 권한이 있는 적법한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무선보안부는 무선 디바이스(15)에서 권한 없는 디바이스('페이크 디바이스')를 선별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5)는 스마트폰이나 무선통신이 가능한 노트북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보안부는 타입 추정동작 및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 및 차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무선보안부는 무선 디바이스(15)가 출력하는 무선 신호들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을 위해 출력되는 신호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위해 출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무선보안부는 감지된 디바이스들 중에서 소정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타겟 디바이스로서 선별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기준은 신호의 세기일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무선보안부에 포함된 진단모듈(미 도시)은,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15)의 타입을 추정할 수 있고, 또한 타겟 디바이스(15)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15)의 갯수는 각각 4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갯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보다 적거나 또는 많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디바이스(15)가 타겟 디바이스라고 가정하고, 타입 추정동작,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동작, 및 차단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타입 추정 동작은 타겟 디바이스(15)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이다.
본 실시예에서, 진단모듈은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과, 프로토콜 스캐닝(Protocol Scanning) 동작과,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을 수행할 수 있다.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은 타겟 디바이스(15)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것이다. 즉,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은 타겟 디바이스(15a), 타겟 디바이스(15b), 타겟 디바이스(15c), 및 타겟 디바이스(15d) 각각에 대하여 어떤 포트가 오픈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이다.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은 예를 들면, 풀 스캐닝(FULL SCNNING) 또는 스텔스 스캐닝(STEALTH SCANNING) 이라 불리우는 기술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풀 스캐닝은 완벽한 TCP 세션(Session)을 맺어서 열려있는 포트를 확인하는 기술이다. 스텔스 스캐닝은 하프 스캔(half scan) 기술의 일종이며, 포트 확인용 패킷을 전송하고 그러한 포트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response)이 오면 응답한 포트가 열려있는 것이고, 응답이 오지 않으면 포트가 닫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스텔스 스캐닝은 예를 들면, FIN, NULL, 또는 XMASH 일 수 있다.
포트(Port)는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이며,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토콜(Protocol)은 예를 들면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다. 전송 계층 프로토콜의 예를 들면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과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T)와 같은 것일 수 있다. 포트들은 번호로 구별되며, 이러한 번호를 포트 번호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포트 번호는 IP 주소와 함께 사용된다.
포트 번호는 예를 들면 3가지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포트 번호가 0번 ~ 1023번에 속하면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이고, 포트 번호가 1024번 ~ 49151번에 속하면 등록된 포트(registered port)이고, 포트 번호가 49152번 ~ 65535번에 속하면 동적 포트(dynamic port)이다. 한편, 잘 알려진 포트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20번: FTP(data), 21번: FTP(제어), 22번: SSH, 23번: 텔넷, 53번: DNS, 80번: 월드 와이드 웹 HTTP, 119번: NNTP, 443번: TLS/SSL 방식의 HTTP 이다. 이러한 포트 번호들과 포트 종류는 예시적인 것임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이하, '당업자'라고 함)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타겟 디바이스(15a)의 오픈 포트는 80번 포트이고, 타겟 디바이스(15b)의 오프 포트는 23번 포트이고, 타겟 디바이스(15c)의 오픈 포트는 5555번 포트이고, 타겟 디바이스(15d)의 오픈 포트는 5559번 포트라고 가정한다.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은 타겟 디바이스(15)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동작이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은 포트 스캐닝 동작을 통해서, 타겟 디바이스(15a)의 오픈 포트는 80번 포트가, 타겟 디바이스(15b)의 오프 포트는 23번 포트이고, 타겟 디바이스(15c)의 오픈 포트는 5555번 포트이고, 타겟 디바이스(15d)의 오픈 포트는 5559번 포트라는 것을 알아낸다.
프로토콜 스캐닝(Protocol Scanning) 동작은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기 위한 동작이다. 여기서, 오픈 포트는 포트 스캐닝 동작에 의해 알아낸 것이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a)의 오픈 포트인 80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를 찾는다.
또한,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b)의 23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타겟 디바이스(15c)의 5555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타겟 디바이스(15d)의 5559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를 각각 찾는다.
진단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 오픈 포트의 종류에 따라서 오픈 포트에 보낼 패킷(이하,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를 작성하는 동작,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상기 오픈 포트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동작, 및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전송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은 예를 들면 스크립트(Script)일 수 있다.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은, 포트 스캐닝 동작에 의해 알아낸 오픈 포트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동작이다. 예를 들면,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오픈 포트가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 등록된 포트(registered port), 또는 동적 포트(dynamic port)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이다.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의 수행을 위해서, 포트 번호에 따라서 포트의 종류가 분류된 데이터(예를 들면, <표1>)(이하, '포트 종류 데이터')가 미리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포트 종류 데이터'는 무선보안부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모듈은, '포트 종류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서, 상기 오픈 포트의 종류를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a)의 80번 포트와 타겟 디바이스(15b)의 23번 포트는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이고, 타겟 디바이스(15c)의 5555번 포트와 타겟 디바이스(15d)의 5559번 포트는 동적 포트(dynamic port)임을 알 수 있다.
진단모듈은, 오픈 포트의 종류에 맞는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15a)의 80번 포트는 월드 와이드 웹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이므로, 웹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여 타겟 디바이스(15a)에게 전송한다. 타겟 디바이스(15a)로부터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작성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a)의 80번 포트가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한다고 결정한다.
한편, 타겟 디바이스(15a)로부터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작성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a)의 80번 포트가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 진단모듈은 월드 와이드 웹 HTTP 프로토콜이 아닌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한 후 타겟 디바이스(15a)에게 전송한다.
타겟 디바이스(15a)로부터 웹 HTTP 프로토콜이 아닌 다른 프로토콜로 작성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a)의 80번 포트가 상기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한다고 결정한다. 만약, 타겟 디바이스(15a)로부터 웹 HTTP 프로토콜이 아닌 상기 다른 프로토콜로 작성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a)의 80번 포트가 상기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이후, 타겟 디바이스(15a)는 타겟 디바이스(15a)로부터 응답이 올때까지 또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여 전송한다. 진단모듈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타겟 디바이스(15)의 각각의 오픈 포트에서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아 낸다.
진단모듈은, 상술한 포트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Protocol Scanning) 동작의 수행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하여, 타겟 디바이스(15)의 각각의 타입(type)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은, 프로토콜 스캔 동작의 수행결과로 알아낸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동작과, 그렇게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동작은, 통상적으로 서비스마다 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정해져 있다는 경험에 기초한 것이다. 예를 들면, RTSP, RTP, 또는 RTCP 프로토콜은, 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한다. 즉, 프로토콜마다 주로 지원되는 서비스들을 정의한 데이터(이하, '프로토콜-서비스 매핑(mapping) 데이터'가 준비되면, 진단모듈은 '프로토콜-서비스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할 수 있다. '프로토콜-서비스 매핑 데이터'는 무선보안부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15)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도, 통상적으로 무선 디바이스들의 타입별로 주로 사용되는 서비스가 정해져 있다는 경험에 기초한 것이다. 예를 들면, RTSP, RTP, 또는 RTCP 프로토콜은 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고, 이러한 스트리밍 서비스는 예를 들면 IP TV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다. 즉, 서비스마다 주로 제공되는 무선 디바이스들의 타입을 정의한 데이터(이하, '서비스-타입 매핑(mapping) 데이터'가 준비되면, 진단모듈은 '서비스-타입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할 수 있다. '서비스-타입 매핑 데이터'는 무선보안부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한편,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에는 타겟 디바이스(15)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에 포함된 배너(Banner) 정보에는 통상적으로, 타겟 디바이스(15)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가 어떤 종류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진단모듈은, 운영체제의 종류를 알면 서비스의 종류를 알거나 또는 타겟 디바이스(15)의 타입을 추정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15)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예를 들면, 타이젠(Tizen), 브릴로(Brillo), 푸크시아(Fuchsia), 또는 라이트오에스(LiteOS)와 같은 것들이다. 여기서, 타이젠(Tizen)은 휴대전화와 같은 휴대용 장치, TV, 냉장고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오픈 소스 모바일 운영체제이고, 브릴로(Brillo)는 구글에서 발표된 안드로이드 기반의 임베디스 운영체제이고, 푸크시아(Fuchsia)는 구글에서 개발중인 운영체제로서 임베디드 시스템, PC, 스마트폰, 무선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운영체제이고, 라이트오에스(LiteOS)는 화웨이가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개발한 것으로서 스마트 홈,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 카 등과 같이 다양한 무선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운영체제이다.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에 포함된 서비스(Service) 정보에는 통상적으로 타겟 디바이스가 어떠한 타입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Service) 정보에는 '나의 아이폰'(My iPhone)과 같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정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은, 타겟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술한 포트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Protocol Scanning) 동작의 수행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결과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은, 제1추정동작, 제2추정동작, 비교동작, 및 타입결정동작을 포함한다.
제1추정동작은,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에 의해 획득된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동작이다. 제1추정동작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은 RTSP, RTP, 또는 RTCP 프로토콜을 언급한 설명 부분을 참조하기 바란다.
제2추정동작은, 타겟 디바이스(15)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동작이다. 제2추정동작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은 타이젠(Tizen), 브릴로(Brillo), 푸크시아(Fuchsia), 또는 라이트오에스(LiteOS)를 언급한 설명 부분과 나의 아이폰(My iPhone)을 언급한 설명 부분을 참조하기 바란다.
비교동작은,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를 비교하는 동작이다.
타입결정동작은,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가 서로 다를 경우에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15)의 타입을 결정하고,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가 서로 같을 경우에 제1추정동작 또는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들(15)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이다.
한편, 타겟 디바이스(15)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가 없거나, 그러한 배너 정보와 서비스 정보에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할 수 있는 데이터가 없을 경우,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은, 제1추정동작과 타입결정동작을 포함한다. 즉, 제2추정동작과 비교동작의 수행이 없이, 제1추정동작과 타입결정동작만으로 타입 추정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 동작은, 타겟 디바이스(15) 중에서 페이크 디바이스를 선별하는 동작이다.
본 실시예에서,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의 각각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 중에서 타겟 디바이스(15a)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타겟 디바이스(15b)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타겟 디바이스(15c)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 타겟 디바이스(15d)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순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이하,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때 상황에 맞도록 순서를 정할 수 있을 것이다.
진단모듈은 페이크(fake)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이 되는 대상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공격하고,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디바이스의 취약점(vulnerability)은 공격자가 디바이스의 정보 보증을 낮추는데 사용되는 약점을 의미한다. 위키피디아(https://en.wikipedia.org/wiki/Vulnerability)에서도, 취약점에 대하여 “Vulnerability refers to the inability (of a system or a unit) to withstand the effects of a hostile environment”라고 정의되어 있고, 본원 명세서에서는 그러한 위키피디아에서 정의한데로 사용하기로 한다.
타겟 디바이스(15a)가 '타겟 디바이스' 인 경우를 예로 들면,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a)가 가진 취약점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타겟 디바이스(15a)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a)가 가진 취약점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면 타겟 디바이스(15a)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타겟 디바이스(15a)가 가진 취약점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지 못하면 타겟 디바이스(15a)가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한다.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의 각각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고, 선택한 취약점을 이용해서 타겟 디바이스(15)의 각각을 공격하고, 그러한 공격 결과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15) 중에서 페이크 디바이스를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의 각각의 타입을 추정하고, 추정한 각각에 타입에 대응된 취약점을 공격하고, 그러한 공격결과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15) 중에서 페이크 디바이스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진단모듈은 타입별로 취약점이 대응된 데이터('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15)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는 무선보안부에 구비된 기억 장치(후술하기로 함)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르게는, 무선보안부가 접근가능하도록 통신적으로 연결된 외부의 기억 장치(미 도시)에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타겟 디바이스(15)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동작은,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되는 취약점을 찾는 동작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진단모듈은 타입별로 취약점이 대응된 데이터('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15)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는 무선보안부에 구비된 기억 장치(후술하기로 함)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르게는, 무선보안부가 접근가능하도록 통신적으로 연결된 외부의 기억 장치(미 도시)에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타겟 디바이스(15)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동작은,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되는 취약점을 찾는 동작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타겟 디바이스(15)의 취약점을 공격하는 동작은 예를 들면 진단모듈이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타겟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동작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가 취약점 공격에 대한 응답을 할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판단을 하고, 타겟 디바이스가 취약점 공격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디바이스들이 가지는 취약점과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라우터(router)일 수 있다.
. 취약점: 권한 없는 공격자가 HTTP GET 메소드로 "/category_view.php" URL에 접근할 수 있음
.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GET/category_view.php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라우터(router)일 수 있다.
ㆍ취약점: 권한 없는 공격자가 HTTP GET 메소드로 "/mydlink/get_TriggedEventHistory.asp" URL에 접근할 수 있음
.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GET/mydlink/get_TriggedEventHistory.asp
또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라우터(router)일 수 있다.
. 취약점: 권한 없는 공격자가 HTTP GET 메소드로 "/router_info.xml?section=wps" URL에 접근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PIN 과 MAC 주소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음.
.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GET/router_info.xml?section=wps
또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라우터(router)일 수 있다.
. 취약점: 권한 없는 공격자가 HTTP POST 메소드로 "/wpsacts.php" URL에 접근할 시 데이터에 스크립트 구문을 넣을 수 있는 있음.
.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GET//wpsacts.php
또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DVR일 수 있다.
. 취약점: default / tluafed 계정의 백도어가 존재하는 취약점
.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POST/Login. htm
또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DVR 일 수 있다.
. 취약점: 권한 없는 사용자가 HTTP GET 메소드로 "/device.rsp?opt=user&cmd=list" URL에 접근하게 되면 관리자 계정이 평문(Plain text)으로 노출되는 취약점
ㆍ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GET/device.rsp?opt=user&cmd=lis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겟 디바이스는 같은 종류의 기능을 가진 것이라도 취약점이 다르다면 서로 다른 타입으로 취급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라우터들은 취약점이 서로 달라서, 따라서 서로 다른 타입의 타겟 디바이스로 구별된다. 또한, 상술한 DVR(Digital Video Recoder) 역시 취약점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서로 다른 타입의 타겟 디바이스로 구별된다.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의 제조사가 같고, 같은 종류의 디바이스라고 하더라도 펌 웨어(firm ware)가 서로 다르다면 다른 타입으로 취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별로 취약점이 각각 대응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가 저장되어 관리될 경우, 진단모듈은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해서 타겟 디바이스의 취약점을 공격한다.
다르게는(alternatively),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별로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가 대응된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가 미리 준비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된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직접 생성할 수 있다(예를 들면, 취약점 공격부가 타입별로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직접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
차단동작은 페이크 디바이스의 통신을 차단하는 동작이다.
차단동작은 페이크 디바이스에 대하여 디도스(DDos) 공격을 함으로써 페이크 디바이스의 통신을 차단시키는 동작이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은 페이크 디바이스에게 대량의 메시지를 전송하며, 대량의 메시지를 전송받은 페이크 디바이스는 그러한 메시지에 대응하느라 다른 기기와의 통신이 불능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처럼, 진단모듈은 취약점이 있는 타겟 디바이스의 통신을 차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15a)가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가정하면, 진단모듈은 페이크 디바이스(15a)에 대하여 디도스(DDos) 공격을 함으로써 블루투스 기기의 통신을 차단시킨다. 즉, 진단모듈은 페이크 디바이스(15a)에게 대량의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대량의 메시지를 전송받은 페이크 디바이스(15a)는 그러한 메시지에 대응하느라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통신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처럼, 진단모듈은 페이크 디바이스(15a)만 통신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보안부의 예시적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보안부는, 포트 스캐닝부, 프로토콜 스캐닝부, 타입 추정부, 판단부, 운영체제, 통신부, 취약점 공격부, 컴퓨터 프로세서, 주변 기기, 기억 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하며, 이들 구성요소는 서로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포트 스캐닝부, 프로토콜 스캐닝부, 타입 추정부, 판단부, 및 취약점 공격부를 진단모듈로 통칭하기로 하고, 이러한 진단모듈은 상기 컴퓨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운영체제나 진단모듈과 같은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메모리에 로딩되어 실행되며, 다른 프로그램이나 하드웨어와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진단모듈은 상술한 타입 추정동작,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동작 및 차단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트 스캐닝부가 포트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고, 프로토콜 스캐닝부는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고, 타입 추정부는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고, 판단부는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동작 및 차단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동작은 상술한 부분을 참조하기 바란다.
포트 스캐닝부는 상술한 포트 스캐닝 동작을 수행한다. 포트 스캐닝부는 포트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고 통신부를 통해서 포트 확인용 패킷을 무선 디바이스(15)에게 전송하고, 포트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무선 디바이스(15)에서 오픈된 포트를 결정한다.
프로토콜 스캐닝부는 상술한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토콜 스캐닝부는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고, 통신부를 통해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무선 디바이스(15)에게 전송하고,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고, 오픈된 포트에서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결정한다.
취약점 공격부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통신부를 통해서 대상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판단부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응답이 있으면 대상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고, 응답이 없으면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한다.
운영체제는 하드웨어를 관리할 뿐 아니라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추상화 플랫폼과 공통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고, 기억 장치와 메모리는 각각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실행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CPU)이며, 이러한 중앙처리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을 통제하고 프로그램의 연산을 실행하는 컴퓨터의 제어 장치, 또는 그 기능을 내장한 칩이다.
메모리 및/또는 기억 장치에는 프로그램이 저장 또는 실행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또한 프로토콜-서비스 매핑(mapping) 데이터 또는 서비스-타입 매핑(mapping) 데이터와 같이 본원 발명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및/또는 기억 장치는, 또한, 각종 데이터를 임시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 및/또는 기억 장치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타입 추정부는 상술한 타입 추정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 추정부는 무선 디바이스(15)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포트 스캐닝부의 동작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부의 동작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결과를 이용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트 스캐닝부의 동작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부의 동작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한다.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가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억 장치 및/또는 메모리에는 타입 추정부의 타입 추정 결과가 저장된다. 타입 추정 결과는 무선 디바이스(15) 별로 타입이 대응된 데이터이다. 한편, 기억 장치 및/또는 메모리에는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도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타입별로 취약점이 대응된 데이터임)는 대상 디바이스의 타입이 가지는 취약점을 찾기 위해서 사용된다.
취약점 공격부는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대상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되는 취약점을 찾아서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생성할수 있다. 이후,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는 통신부를 통해서 대상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판단부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응답이 있으면 대상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고, 응답이 없으면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한다.
포트 스캐닝부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부분은 메모리에 로딩되어 컴퓨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포트 스캐닝 동작을 수행한다. 다른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프로토콜 스캐닝부, 타입 추정부도 포트 스캐닝부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자신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포트 스캐닝 동작,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 및 타입 추정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은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에 근접한 타겟 디바이스('타겟 디바이스'라고도 함)들 중에서 페이크 디바이스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무선보안부를 사용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복수의 IoT 기기들(#1, #2, #3), 월패드, 스위치, 및/또는 서버(300)에 권한 없는 무선 기기가 접근하는 것을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은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S100);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S300); S300단계에서 선택한 상기 취약점을 공격하는 단계(S400);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은,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별로 취약점을 대응시킨 무선 디바이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S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S300)는, 무선 디바이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되는 취약점을 찾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술한 타겟 디바이스를 공격하는 단계(S400)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S300)에서 선택된 취약점을 공격하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생성하여 타겟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술한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는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할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판단을 하고,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보안부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한다.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S100)는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기 바란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 저장 및 관리 단계(S200)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S100)의 결과를 무선보안부가 기록매체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이다.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S300)는 무선보안부가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취약점 공격부는 타입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기억 장치에는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저장되어 있으며, 취약점 공격부는 그러한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된 취약점을 선택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를 공격하는 단계(S400)는, 무선보안부가 타겟 디바이스의 취약점을 공격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취약점 공격부가 타겟 디바이스에게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전송한다.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라 선택된 취약점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이다. 취약점 공격부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직접 생성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는, 예를 들면, 무선보안부의 판단부는 타겟 디바이스가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할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판단을 하고,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페이크(fake)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이 되는 타겟 디바이스의 취약점을 공격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취약점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케어방법을 무선보안부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S100); 페이크(fake)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이 되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S300); S300단계에서 선택한 상기 취약점을 공격하는 단계(S400);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무선케어방법을 무선보안부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은 타겟 디바이스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포트 스캐닝 단계(Port Scanning step)(S110), 포트 스캐닝 단계(Port Scanning step)(S110)의 수행결과로 찾아낸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찾는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Protocol Scanning step)(S120), 상술한 스캔 단계들(S110, S120)의 결과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단계(Type Assumption step)(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보안부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포트 스캐닝 단계(S110)는 무선 디바이스(15)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것이다. 즉, 포트 스캐닝 단계(S11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무선 디바이스(15a)의 오픈 포트는 80번 포트가, 무선 디바이스(15b)의 오프 포트는 23번 포트이고, 무선 디바이스(15c)의 오픈 포트는 5555번 포트이고, 무선 디바이스(15d)의 오픈 포트는 5559번 포트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포트 스캐닝 단계(S110)는 무선 디바이스(15)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것이다. 예를 들면, 포트 스캐닝 단계(S110)의 수행결과, 무선 디바이스(15a)의 오픈 포트는 80번 포트가, 무선 디바이스(15b)의 오프 포트는 23번 포트이고, 무선 디바이스(15c)의 오픈 포트는 5555번 포트이고, 무선 디바이스(15d)의 오픈 포트는 5559번 포트라는 것을 알게된다.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기 위한 단계이다. 즉,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도2_삭제를 참조하여 설명한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한편, 오픈 포트는 포트 스캐닝 단계(S110)의 수행결과로 획득된 것이다.
예를 들면,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무선 디바이스(15a)의 오픈 포트인 80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아내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무선 디바이스(15b)의 23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무선 디바이스(15c)의 5555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무선 디바이스(5d)의 5559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를 찾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처럼,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무선 디바이스(15)의 모든 오픈 포트에 대하여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아내는 단계이다.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상기 오픈 포트를 가진 타겟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전송한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술한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고,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는 상술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고,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술한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들 단계들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는, 포트 스캐닝 동작에 의해 획득된 오픈 포트가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 등록된 포트(registered port), 또는 동적 포트(dynamic port)에 해당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는. 포트 종류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포트 스캐닝 동작에 의해 획득된 오픈 포트의 종류를 알아내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는, 오픈 포트의 종류에 따라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15a)의 80번 포트는 월드 와이드 웹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이므로, 웹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15a)로부터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작성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무선 디바이스(15a)의 80번 포트가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결정하고, 월드 와이드 웹 HTTP 프로토콜이 아닌 다른 프로코롤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15)의 오픈 포트들에서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아내기 위해서, 상술한 동작들과 같이 응답이 올때까지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한다.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무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타겟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이다.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타겟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올때 까지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전송한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오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응답이 오면 그러한 응답에 사용된 프로토콜을 해당 오픈 포트에서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라고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타입 추정 단계(S130)는 상술한 포토 스캐닝 단계(S110)의 수행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의 수행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하여, 타겟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타입(type)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즉, 타입 추정 단계(S130)는 상술한 타입 추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 추정 단계(S130)는,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알아낸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단계와,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술한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고,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술한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들 단계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1_삭제_삭제과 도2_삭제_삭제의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에는 타겟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 추정 단계(Type Assumption step)(S130)는, 타겟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술한 포토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Protocol Scanning) 동작의 수행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타입 추정 단계(S130)는, 제1추정동작, 제2추정동작, 비교동작, 및 타입결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추정동작, 제2추정동작, 비교동작, 및 타입결정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다른 예를 들면, 타입 추정 단계(S130)는, 포트 스캐닝 동작,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 및 타입 추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추정동작, 제2추정동작, 비교동작, 및 타입결정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상과 같이,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무선 디바이스 케어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기록 매체에 저장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무선보안부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메모리에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디바이스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포트 스캐닝 단계(Port Scanning step)(S110), 포트 스캐닝 단계(Port Scanning step)(S110)의 수행결과로 찾아낸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찾는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Protocol Scanning step)(S120), 상술한 스캔 단계들(S110, S120)의 결과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단계(Type Assumption step)(S130)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무선보안부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이들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위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상과 같이,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무선 디바이스 케어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기록 매체에 저장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무선보안부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메모리에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디바이스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포트 스캐닝 단계(Port Scanning step)(S110), 포트 스캐닝 단계(Port Scanning step)(S110)의 수행결과로 찾아낸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찾는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Protocol Scanning step)(S120), 상술한 스캔 단계들(S110, S120)의 결과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단계(Type Assumption step)(S130)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무선보안부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이들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위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3: 제어장치
5: 제조부
7: 센서
15, 15a, 15b, 15c, 15d : 무선 디바이스
100: 무선보안부
200: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

Claims (7)

  1. 삭제
  2. 유무선 망으로 구성되는 스마트 팩토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어장치(3);
    상기 스마트 팩토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조부(5);
    컬러 본드 샴프의 발주량을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 - 기초 데이터 - 에 기초하여 발주량을 결정하는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
    상기 기초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정보 수집부로서, 수집한 기초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에게 제공하는 상기 정보 수집부; 및
    무선 보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컬러 본드 샴프는, 자수정추출물, 가지열매추출물, 로우스위츠블루베리추출물, 뽕나무열매추출물, 자두추출물, 포도 추출물, 누에고치추출물, 피마자씨오일백미꽃추출물, 왕벚나무꽃추출물, 국화추출물, 서양유체꽃추출물, 삼색제비꽃추출물, 서양민들에뿌리추출물, 인동덩굴꽃추출물, 진흙버섯추출물, 황기뿌리추출물, 침당귀뿌리 추출물, 감초뿌리추출물, 및 남가새열매추출물 중에서 적어도 5개 이상의 추출물, 염기성청색 99호; 및 염기성적색 51호;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상기 컬러 본드 샴프의 발주량을 상기 제어장치(3)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어장치(3)는 상기 발주량에 맞도록 상기 컬러 본드 샴프를 제조하도록 상기 제조부(5)를 제어하며,
    상기 정보 수집부는 머리의 염색이 이루어지는 매장의 관리 컴퓨터로부터 기초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상기 매장의 관리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초 데이터는 염색을 한 사람 - 염색자 - 들의 숫자, 상기 염색자들의 염색 날짜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상기 염색자들 각각에 대하여 염색 날짜로부터 미리 정한 기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한 기간을 경과한 염색자가 있을 때마다 상기 컬러 본드 샴프의 발주량을 +1 증가시켜서, 상기 컬러 본드 샴프 발주량을 결정하며,
    상기 무선 보안부는, 상기 스마트 팩토리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고,
    상기 무선 보안부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동작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으로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공격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타입 추정 동작은, 포트 스캐닝 동작과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이고,
    상기 포트 스캐닝 동작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오픈 포트를 찾는 동작이고,
    상기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상기 포트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알아낸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찾는 동작이며,
    상기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과, 오픈 포트의 종류에 따른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여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이고,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오픈 포트가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 등록된 포트(registered port), 또는 동적 포트(dynamic port) 중 어디에 해당되는 지를 확인하는 동작이고,
    상기 응답은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배너 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 정보가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타입 추정 동작은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찾은 프로토콜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제1추정동작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제2추정동작과,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를 비교하는 동작과, 비교 결과 양자가 다를 경우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Protocol Scanning step)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한 결과 응답이 없을 경우, 상기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사용되지 않은 다른 프로토콜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여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19414A 2020-09-16 2020-09-16 컬러 본드 샴프와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KR102221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414A KR102221046B1 (ko) 2020-09-16 2020-09-16 컬러 본드 샴프와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414A KR102221046B1 (ko) 2020-09-16 2020-09-16 컬러 본드 샴프와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046B1 true KR102221046B1 (ko) 2021-02-26

Family

ID=7468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414A KR102221046B1 (ko) 2020-09-16 2020-09-16 컬러 본드 샴프와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0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8585A (ko) * 2010-10-14 2012-04-24 배정빈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용품 조성물
KR20140027952A (ko) * 2011-03-21 2014-03-07 콜로라이트 리미티드 맞춤 염색용 시스템
KR20170087584A (ko) * 2016-01-20 2017-07-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객 맞춤 제품 생산을 위한 스마트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3522A (ko) * 2017-01-13 2018-07-23 (주)노르마 IoT 무선 보안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157319B1 (ko) * 2019-04-15 2020-09-17 심정선 염색과 퍼머넌트 웨이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퍼머넌트 웨이브 용제, 및 그 퍼머넌트 웨이브 용제를 이용하여 염색과 퍼머넌트 웨이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퍼머넌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8585A (ko) * 2010-10-14 2012-04-24 배정빈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용품 조성물
KR20140027952A (ko) * 2011-03-21 2014-03-07 콜로라이트 리미티드 맞춤 염색용 시스템
KR20170087584A (ko) * 2016-01-20 2017-07-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객 맞춤 제품 생산을 위한 스마트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3522A (ko) * 2017-01-13 2018-07-23 (주)노르마 IoT 무선 보안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157319B1 (ko) * 2019-04-15 2020-09-17 심정선 염색과 퍼머넌트 웨이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퍼머넌트 웨이브 용제, 및 그 퍼머넌트 웨이브 용제를 이용하여 염색과 퍼머넌트 웨이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퍼머넌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bun et al. A survey on IoT platforms: Communication, security, and privacy perspectives
Ling et al. Security vulnerabilities of internet of things: A case study of the smart plug system
Ling et al. An end-to-end view of IoT security and privacy
ES2898099T3 (es) Sistemas y métodos para asegurar puntos extremos de red
KR102178305B1 (ko) IoT 네트워크 접근을 제어하는 보안 시스템
JP2018525935A (ja) インターネットに接続可能なデバイスを用いた安全な通信
Ul Rehman et al. A study of smart home environment and its security threats
Ullrich et al. The role and security of firewalls in cyber-physical cloud computing
US11539731B2 (en) Dynamic hyper context-driven microsegmentation
Wang et al. XLF: A cross-layer framework to secure the internet of things (iot)
Lastdrager et al. Protecting home networks from insecure IoT devices
KR102221046B1 (ko) 컬러 본드 샴프와 클라우드 기반의 컬러 본드 샴프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EP3910978B1 (en) Method for detecting fake device and wireless device care apparatus
KR102389936B1 (ko) 취약점 분석 및 이와 연계된 IoT 케어 시스템
KR102197846B1 (ko) 해외 역직구 이커머스 구현을 위한 자동화 플랫폼 시스템
KR102250345B1 (ko) 항균성 바디 및 헤어 클렌저와 클라우드 기반의 항균성 바디 및 헤어 클렌저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KR102321689B1 (ko) 자율주행차량에서의 근접 디바이스 확인 방법 및 시스템
EP3206423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devices to a network
KR102197843B1 (ko) 오투오 옴니채널 구현을 위한 연계 시스템
KR102389938B1 (ko) IoT 타입 분석 및 이를 이용한 불법 IoT 디바이스 탐지 시스템
KR102655602B1 (ko) IoT 케어 센서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TWI573038B (zh) Method of Security Control for IPv6 Terminal Devices in Enterprise Network
Mahadewa Security analysis of smart home implementations
KR102296664B1 (ko) 원격 출입 관리가 가능한 서버 랙 시스템
KR102296665B1 (ko) 복수의 서버들에 대한 출입관리를 위한 잠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