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569B1 - 수액라인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수액라인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569B1
KR102220569B1 KR1020200123651A KR20200123651A KR102220569B1 KR 102220569 B1 KR102220569 B1 KR 102220569B1 KR 1020200123651 A KR1020200123651 A KR 1020200123651A KR 20200123651 A KR20200123651 A KR 20200123651A KR 102220569 B1 KR102220569 B1 KR 102220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roove
vertical
shap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양렬
정하민
강세이
강진
김민정
김수연
김윤정
김현정
박이지
양수지
윤민주
이동초
이민영
이선화
이선희
이제인
장성환
정소영
최은아
Original Assignee
류양렬
정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양렬, 정하민 filed Critical 류양렬
Priority to KR1020200123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62Containers with provisions for hanging, e.g. integral adaptations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6Combination of a vial and a syringe for transferring or mixing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2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with means for metering the amount of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on derivatives thereof,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01/00 - C09D107/00 or C09D189/00 - C09D197/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라인에 코팅층을 형성시켜 수액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빛에 의한 변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수액라인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액이 이동하는 수액라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액라인 연결 장치{INFUSION LINE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수액라인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액라인에 코팅층을 형성시켜 수액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빛에 의한 변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수액라인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액 라인은 예컨대, 수술실이나 집중 치료실에서 동맥 측정용 압 라인이 압 모니터를 위해 사용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채혈 라인으로서도 사용되는 예를 비롯해 다양한 것이 사용된다. 그와 같은 수액 라인은 병원, 의사, 기사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방법이 다르고, 다수의 수단의 수액 라인이 현실에 채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특정의 수액 라인은 소위 특별 주문 타입인 것뿐으로, 범용성이 없고, 다른 수단사이에서 부품이 융통성이 없다. 따라서, 임상 현장의 다양한 다른 요구에 따라 수액 튜브, 기능 요소 및 접속기구 등은 각각 다수의 다른 형상/치수/기능을 가지는 것이 제작되고, 각각 다른 조합에 따라 수액 라인이 제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일부 수액 라인은 특별 주문 생산이므로,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수단마다 각 부품을 개별로 설계하는 것을 요하므로, 수주로부터 제조하여 납품할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추가하여, 가장 중요한 문제는 수액 라인의 구성 및 사용의 노하우가 의사, 기사 등의 담당자 개개의 경험의 범위에 한정되고, 체계화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담당자 개개의 주관으로 수액 라인의 구성을 바꾸거나, 또한 수액 라인과 각 기기와의 접속, 혹은 사용법을 정하는 것이 행하여져, 인체에 직접 사용되는 제품인 성질상, 안전성이라는 면에서도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68222호 한국등록특허 제10-047203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수액라인에 코팅층을 형성시켜 수액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빛에 의한 변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수액라인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라인 연결 장치는, 수액이 이동하는 수액라인;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라인 연결 장치는, 수액백에 저장되어 있는 수액을 인출해 내어 상기 수액라인으로 공급하는 인출챔버; 상기 수액라인의 단부에 연결된 주사기; 상기 수액라인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 유량조절 클램프; 및 Y자형 분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액라인은, 수액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빛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외선 차단에 효과가 있으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천연 물질로 구성되는 코팅층이 외측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라인 연결 장치는, 상기 수액라인을 권취하여 정리하기 위한 라인 권취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라인 권취 유닛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상부 절곡 플레이트; 일측 및 다른 일측이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 절곡 플레이트와 상하 대칭 구조로 형성되는 하부 절곡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절곡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절곡 플레이트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절곡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절곡 플레이트의 간격을 지지하는 간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지지부는, "+"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절곡 플레이트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및 상기 하부 절곡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지지하며,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상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제1 받침대, 제2 받침대, 제3 받침대 및 제4 받침대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중심으로부터 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 형태로 형성되는 수평 지지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1 수직 지지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2 수직 지지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3 수직 지지대;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4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4 수직 지지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수평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여 "+" 형태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메인 안착홈; 상기 제1 수직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 메인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서브 안착홈; 상기 제2 수직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 메인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서브 안착홈; 상기 제3 수직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 메인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3 수직 지지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3 서브 안착홈; 및 상기 제4 수직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 메인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4 수직 지지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4 서브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는,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서브 안착홈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전단 지지부; 및 상기 전단 지지부와 대칭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서브 안착홈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후단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단 지지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 프레임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 경사 플레이트; 상기 상부 경사 플레이트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상부 경사 플레이트의 하측과 대향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하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하부 경사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경사 플레이트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과 상기 하부 경사 플레이트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하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 거치 바아와 상기 상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 거치 바아에 의해 거치되는 밀착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 바퀴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원판; 상기 지지 원판의 외측에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지지 원판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바퀴; 상기 제1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원판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지지 원판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지지 원판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경사홈; 상기 제1 경사홈에 안착된 상기 제1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경사홈에서 상기 제1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1 지지 탄성체; 상기 제2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원판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제1 경사홈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원판의 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지지 원판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2 경사홈; 및 상기 제2 경사홈에 안착된 상기 제2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경사홈에서 상기 제2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서브 안착홈은, 상기 지지 프레임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홈; 상기 전단 지지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홈의 전단에 형성되되,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기 수직홈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밀착 바퀴가 벽면을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아치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아치홈; 및 상기 제1 아치홈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수직홈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아치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수액라인에 코팅층을 형성시켜 수액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자외선 등의 빛에 의한 변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라인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액라인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액라인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라인 권취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형 지지대와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지지 프레임과 제1 지지홈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전단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지지 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라인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라인 연결 장치(10)는, 수액라인(100)을 포함한다.
수액라인(100)은, 수액백(B) 등에 수용되어 있는 수액이 이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액라인(100)은, 수액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자외선 등의 빛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외선 차단에 효과가 있으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천연 물질로 구성되는 코팅층이 외측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원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물질은, 유상부 20 내지 80 중량% 및 수상부 2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유상부와 수상부의 굴절률의 차가 0.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 형태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상부와 수상부의 굴절률은, 각각 1.35 내지 1.50일 수 있다.
상기 유상부는, 오일, 계면활성제 및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라인 연결 장치(10)는, 수액라인(100)에 코팅층을 형성시켜 수액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자외선 등의 빛에 의한 변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액라인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액라인 연결 장치(20)는, 수액라인(100), 인출챔버(200), 주사기(300), 유량조절 클램프(400) 및 Y자형 분기관(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액라인(100)은,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인출챔버(200)는, 수액백(B)에 저장되어 있는 수액을 인출해 내어 수액라인(100)으로 공급한다.
주사기(300)는, 수액라인(100)의 단부에 연결되어 수액라인(100)을 통하여 공급되는 수액의 환자의 신체로 주입시킨다.
유량조절 클램프(400)는, 수액라인(100)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인출챔버(200)로부터 Y자형 분기관(500)으로 전달되는 수액의 양을 조절한다.
Y자형 분기관(500)은, 수액라인(100)을 통해 흐르는 수액에 다른 약물을 혼합하기 위해서 다른 약물이 수용되어 있는 주사기를 삽입하는 인젝션 포트(510)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액라인 연결 장치(20)는, 수액라인(100)에 코팅층을 형성시켜 수액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자외선 등의 빛에 의한 변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액라인 연결 장치(20)는, 수액세트를 통해 공급되는 수액의 유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기능과, 쓰리-웨이(3-way) 구조나 포-웨이(4-way) 구조를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멀티웨이(multiway) 접속기능이 하나로 결합되어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이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액라인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액라인 연결 장치(30)는, 수액라인(100), 인출챔버(200), 주사기(300), 유량조절 클램프(400), Y자형 분기관(500) 및 라인 권취 유닛(6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액라인(100), 인출챔버(200), 주사기(300), 유량조절 클램프(400) 및 Y자형 분기관(500)은, 도 1 또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라인 권취 유닛(600)은, 수액라인(100)이 필요 이상의 길게 제작되어 시설의 바닥면에 끌리거나 깔끔한 정리가 힘든 경우 수액라인(100)을 권취하여 정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라인 권취 유닛(600)은, 상부 절곡 플레이트(610), 하부 절곡 플레이트(6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부(630-1, 63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절곡 플레이트(6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을 따라 수액라인(1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 절곡 플레이트(620)와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하부 절곡 플레이트(6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면을 따라 수액라인(1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일측 및 다른 일측이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 절곡 플레이트(610)와 상하 대칭 구조로 형성된다.
간격 지지부(630-1, 630-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철 등의 탄성체로 형성(다만, 용수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력을 형성하는 구조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함)되며, 상부 절곡 플레이트(610)와 하부 절곡 플레이트(620)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절곡 플레이트(610)와 하부 절곡 플레이트(620)의 간격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액라인 연결 장치(30)는, 도 4 이하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은 구조를 형성하는 라인 권취 유닛(600)을 이용하여 다양한 길이로 제작되는 수액라인(100)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권취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액라인(100)이 시설의 바닥면에 끌려 파손되거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액라인(100)의 깔끔한 정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라인 권취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인 권취 유닛(600a)은, 상부 절곡 플레이트(610), 하부 절곡 플레이트(6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지지부(700-1, 70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절곡 플레이트(610)는, 하부 절곡 플레이트(620)와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일측(612) 및 다른 일측(613)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경사면을 형성된다.
하부 절곡 플레이트(620)는, 일측(622) 및 다른 일측(623)이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 절곡 플레이트(610)와 상하 대칭 구조의 경사면을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지지부(700-1, 700-2)는, 상부 절곡 플레이트(610)와 하부 절곡 플레이트(620)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절곡 플레이트(610)와 하부 절곡 플레이트(620)의 간격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인 권취 유닛(600a)은, 상하 대칭구조를 형성하는 상부 절곡 플레이트(610)와 하부 절곡 플레이트(620)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권취되는 수액라인(10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아니하고 안정적인 권취가 유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절곡 플레이트(610)와 하부 절곡 플레이트(620) 사이에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지지부(700-1, 700-2)에 의해 수액라인(100)이 상부 절곡 플레이트(610)와 하부 절곡 플레이트(620)를 따라 권취됨에 따라 발생되는 장력이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수액라인(100)이 찢어지는 등으로 이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지지부(700)는, 상부 지지대(710) 및 하부 지지대(72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7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절곡 플레이트(610)의 하측면을 지지하며, 하부 지지대(72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된다.
하부 지지대(720)는, 하부 절곡 플레이트(620)의 상측면을 지지하며,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 지지대(710)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다른 간격 지지부(700)는, 상부 절곡 플레이트(610)와 하부 절곡 플레이트(620) 사이에 설치되어 수액라인(100)이 상부 절곡 플레이트(610)와 하부 절곡 플레이트(620)를 따라 권취됨에 따라 발생되는 장력이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수액라인(100)이 찢어지는 등으로 이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형 지지대와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부 지지대(710)는, 수평 지지대(711), 제1 수직 지지대(712), 제2 수직 지지대(713), 제3 수직 지지대(714) 및 제4 수직 지지대(715)을 포함한다.
수평 지지대(711)는, 상부 메인 안착홈(722)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받침대(7111), 제2 받침대(7112), 제3 받침대(7113) 및 제4 받침대(7114)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중심으로부터 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 형태로 형성되며, 각 받침대의 선단부에 제1 수직 지지대(712), 제2 수직 지지대(713), 제3 수직 지지대(714) 및 제4 수직 지지대(715)의 각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수직 지지대(712)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1 받침대(7111)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서브 안착홈(723)에 안착되어 제1 받침대(7111)를 지지한다.
즉, 제1 수직 지지대(712)는, 후술하는 제1 서브 안착홈(723)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되어 제1 받침대(711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제1 받침대(7111)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1 받침대(7111)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킬 수 있다.
제2 수직 지지대(713)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2 받침대(7112)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서브 안착홈에 안착되어 제2 받침대(7112)를 지지한다.
제3 수직 지지대(714)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3 받침대(7113)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3 서브 안착홈에 안착되어 제3 받침대(7113)를 지지한다.
제4 수직 지지대(715)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4 받침대(7114)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4 서브 안착홈에 안착되어 제4 받침대(7114)를 지지한다.
여기서, 제2 수직 지지대(713), 제3 수직 지지대(714) 및 제4 수직 지지대(715)는, 제1 수직 지지대(712)와 설치되는 위치만 다른 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하부 지지대(720)는, 베이스 플레이트(721), 상부 메인 안착홈(722), 제1 서브 안착홈(723), 제2 서브 안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제3 서브 안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제4 서브 안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721)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상부 메인 안착홈(722)이 형성된다.
상부 메인 안착홈(722)은, 수평 지지대(711)의 형태에 대응하여 "+" 형태로 베이스 플레이트(721)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1 서브 안착홈(723)은, 제1 수직 지지대(7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받침대(7111)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부 메인 안착홈(722)의 일 단부로부터 제1 수직 지지대(712)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브 안착홈(72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홈(7231), 제1 아치홈(7232) 및 제2 아치홈(7233)을 포함한다.
수직홈(7231)은, 지지 프레임(712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7121)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단에 제1 아치홈(7232)이 형성되고, 후단에 제2 아치홈(7233)이 형성된다.
제1 아치홈(7232)은, 전단 지지부(712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수직홈(7231)의 전단에 형성되되, 외력에 의해 지지 프레임(7121)이 수직홈(7231)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후술하는 밀착 바퀴(830)가 벽면을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아치 형태로 형성된다.
제2 아치홈(7233)은, 제1 아치홈(7232)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수직홈(7231)의 후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수직 지지대(712)는, 지지 프레임(7121), 전단 지지부(7122) 및 후단 지지부(712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7121)은,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1 받침대(7111)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단에 전단 지지부(7122)가 연결 설치되고, 후단에 후단 지지부(7123)가 연결 설치된다.
전단 지지부(7122)는, 지지 프레임(7121)의 전단에 설치되며, 제1 아치홈(7232)의 벽면에 밀착되어 제1 서브 안착홈(723)에서 지지 프레임(7121)를 지지한다.
후단 지지부(7123)는, 전단 지지부(7122)와 대칭되도록 지지 프레임(7121)의 후단에 설치되며, 제2 아치홈(7233)의 벽면에 밀착되어 제1 서브 안착홈(723)에서 지지 프레임(7121)를 지지한다.
제2 서브 안착홈은, 제2 수직 지지대(7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받침대(7112)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부 메인 안착홈(722)의 일 단부로부터 제2 수직 지지대(713)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제3 서브 안착홈은, 제3 수직 지지대(7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3 받침대(7113)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부 메인 안착홈(722)의 일 단부로부터 제3 수직 지지대(714)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제4 서브 안착홈은, 제4 수직 지지대(7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4 받침대(7114)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부 메인 안착홈(722)의 일 단부로부터 제4 수직 지지대(715)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서브 안착홈, 제3 서브 안착홈, 및 제4 서브 안착홈은, 제1 서브 안착홈(723)과 방향만을 달리하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 프레임(7121)은, 제1 서브 안착홈(723)의 바닥면까지 하강되지 아니하고 전단 지지부(7122)와 후단 지지부(7123)에 의해 제1 서브 안착홈(723)에서 부양된 상태로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전단 지지부(7122)와 후단 지지부(7123)가 제1 아치홈(7232) 및 제2 아치홈(7233)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됨에 따라 전달되는 외력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전단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 지지부(800)는, 상부 경사 플레이트(810), 하부 경사 플레이트(820) 및 밀착 바퀴(830)를 포함한다.
상부 경사 플레이트(810)는, 하부 경사 플레이트(820)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하측으로 갈수록 지지 프레임(7121)으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부가 지지 프레임(7121)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에 밀착 바퀴(8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하부 경사 플레이트(820)는, 상부 경사 플레이트(810)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상부 경사 플레이트(810)의 하측과 대향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지지 프레임(7121)으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하부가 지지 프레임(7121)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에 밀착 바퀴(8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밀착 바퀴(830)는, 상부 경사 플레이트(810)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811)과 하부 경사 플레이트(820)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821)에 각각 안착되며, 하부 안착홈(81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 거치 바아(812)와 상부 안착홈(82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 거치 바아(822)에 의해 거치되며, 제1 아치홈(7232)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됨에 따라 전달되는 외력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 지지부(800)는, 밀착 바퀴(830)가 제1 아치홈(7232)의 벽면을 따라 안착된 뒤, 지지 프레임(7121)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이 전달되면 밀착 바퀴(830)가 제1 아치홈(7232)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지지 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밀착 바퀴(830)는, 지지 원판(831), 베어링(832), 바퀴(833), 제1 경사홈(834), 제1 지지 탄성체(835-1, 835-2), 제2 경사홈(836) 및 제2 지지 탄성체(837-1, 837-2)를 포함한다.
지지 원판(831)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에 베어링(832)이 연결 설치된다.
베어링(832)은, 지지 원판(831)의 외측에 설치되고, 외측에 바퀴(833)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바퀴(833)는, 베어링(832)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지지 원판(83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경사홈(834)은, 제1 거치 바아(812)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원판(831)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지지 원판(831)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지지 원판(831)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제1 지지 탄성체(835-1, 835-2)는, 제1 경사홈(834)에 안착된 제1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제1 경사홈(834)에서 제1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제2 경사홈(836)은, 제2 거치 바아(822)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원판(831)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제1 경사홈(834)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지지 원판(831)의 후단 하측으로부터 지지 원판(831)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제2 지지 탄성체(837-1, 837-2)는, 제2 경사홈(836)에 안착된 제2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제2 경사홈(836)에서 제2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밀착 바퀴(830)는, 제1 거치 바아(812)와 제2 거치 바아(822)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아치홈(7232)의 중심 부위에 안착되어 있다가, 지지 프레임(7121)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 등이 전달되면 제1 거치 바아(812) 또는 제2 거치 바아(822)를 지지하고 있는 제1 지지 탄성체(835-1, 835-2) 또는 제2 지지 탄성체(837-1, 837-2)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제1 아치홈(7232)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지지 프레임(7121)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30: 수액 라인 연결 장치
100: 수액라인
200: 인출챔버
300: 주사기
400: 유량조절 클램프
500: Y자형 분기관
600: 라인 권취 유닛

Claims (2)

  1. 수액이 이동하는 수액라인; 및
    수액백에 저장되어 있는 수액을 인출해 내어 상기 수액라인으로 공급하는 인출챔버; 상기 수액라인의 단부에 연결된 주사기; 상기 수액라인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 유량조절 클램프; 및 Y자형 분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수액라인은, 수액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빛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외선 차단에 효과가 있으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천연 물질로 구성되는 코팅층이 외측면에 도포되며,
    상기 수액라인을 권취하여 정리하기 위한 라인 권취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라인 권취 유닛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상부 절곡 플레이트; 일측 및 다른 일측이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 절곡 플레이트와 상하 대칭 구조로 형성되는 하부 절곡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절곡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절곡 플레이트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절곡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절곡 플레이트의 간격을 지지하는 간격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 지지부는, "+"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절곡 플레이트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및 상기 하부 절곡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지지하며,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상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대는, 제1 받침대, 제2 받침대, 제3 받침대 및 제4 받침대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중심으로부터 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 형태로 형성되는 수평 지지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1 수직 지지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2 수직 지지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3 수직 지지대;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4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4 수직 지지대;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지지대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수평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여 "+" 형태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메인 안착홈; 상기 제1 수직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 메인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서브 안착홈; 상기 제2 수직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 메인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서브 안착홈; 상기 제3 수직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 메인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3 수직 지지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3 서브 안착홈; 및 상기 제4 수직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 메인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4 수직 지지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4 서브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는,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서브 안착홈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전단 지지부; 및 상기 전단 지지부와 대칭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서브 안착홈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후단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단 지지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 프레임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 경사 플레이트; 상기 상부 경사 플레이트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상부 경사 플레이트의 하측과 대향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하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하부 경사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경사 플레이트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과 상기 하부 경사 플레이트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하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 거치 바아와 상기 상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 거치 바아에 의해 거치되는 밀착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 바퀴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원판; 상기 지지 원판의 외측에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지지 원판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바퀴; 상기 제1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원판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지지 원판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지지 원판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경사홈; 상기 제1 경사홈에 안착된 상기 제1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경사홈에서 상기 제1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1 지지 탄성체; 상기 제2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원판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제1 경사홈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원판의 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지지 원판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2 경사홈; 및 상기 제2 경사홈에 안착된 상기 제2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경사홈에서 상기 제2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 안착홈은, 상기 지지 프레임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홈; 상기 전단 지지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홈의 전단에 형성되되,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기 수직홈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밀착 바퀴가 벽면을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아치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아치홈; 및 상기 제1 아치홈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수직홈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아치홈;을 포함하는, 수액 라인 연결 장치.
  2. 삭제
KR1020200123651A 2020-09-24 2020-09-24 수액라인 연결 장치 KR102220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651A KR102220569B1 (ko) 2020-09-24 2020-09-24 수액라인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651A KR102220569B1 (ko) 2020-09-24 2020-09-24 수액라인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569B1 true KR102220569B1 (ko) 2021-02-26

Family

ID=7468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651A KR102220569B1 (ko) 2020-09-24 2020-09-24 수액라인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56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066Y1 (ko) * 1999-04-03 2001-07-19 김성한 승강기용 버튼
KR100468222B1 (ko) 2004-07-16 2005-01-26 메인텍 주식회사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KR100472033B1 (ko) 2002-12-20 2005-03-10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JP2012515613A (ja) * 2009-01-21 2012-07-12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輸液セット
JP2017079824A (ja) * 2015-10-22 2017-05-18 カナエ工業株式会社 輸液チューブの巻取装置及び輸液装置
KR101742089B1 (ko) * 2016-01-06 2017-06-01 이상운 수액세트용 일체형 수액라인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066Y1 (ko) * 1999-04-03 2001-07-19 김성한 승강기용 버튼
KR100472033B1 (ko) 2002-12-20 2005-03-10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68222B1 (ko) 2004-07-16 2005-01-26 메인텍 주식회사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JP2012515613A (ja) * 2009-01-21 2012-07-12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輸液セット
JP2017079824A (ja) * 2015-10-22 2017-05-18 カナエ工業株式会社 輸液チューブの巻取装置及び輸液装置
KR101742089B1 (ko) * 2016-01-06 2017-06-01 이상운 수액세트용 일체형 수액라인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66607T1 (de) Ambulante infusionsmembranpumpe
KR102220569B1 (ko) 수액라인 연결 장치
PE58898A1 (es) Laminado de tela no tejida completamente elastico
CN109414326A (zh) 用于管控流体流动的人工瓣膜
CN108578059A (zh) 一种可控药物缓释的角膜接触镜
D'Arcy Drug interactions with medical plastics
JP5406412B2 (ja) 転覆防止システムを備えた移動用リフト装置
CN202777423U (zh) 扩张器及其输送机构
US20040026448A1 (en) Self-contained perfusion device
CN210078458U (zh) 一种急诊护理过道输液椅
JP2012065846A (ja) 輸液用スタンドおよび電源供給用支柱
CN108785790B (zh) 手术室及重症监护用多路输液管
CN209332859U (zh) 一种用于悬挂膀胱冲洗液的支架
CN208893032U (zh) 一种外科用麻醉吊装架
CN208552703U (zh) 一种移动式升降输液架
FI80999C (fi) Behandlingsbaenk foer anvaendning vid fysikalisk rehabilitering och vaord.
CN202777275U (zh) 多功能儿科静脉穿刺操作台
CN211214727U (zh) 一种护理用输液架升降装置
CN219662168U (zh) 一种产科护理用遮挡装置
CN206183742U (zh) 一种可移动式输液支架
CN205964348U (zh) 一种移动式排便私密空间
CN205322902U (zh) 一种多功能输液架
CN211884762U (zh) 一种手部支撑的触发显示式输液架
CN219332767U (zh) 一种输液架
CN213284847U (zh) 一种注射泵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