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494B1 - Inner part of container bag, container bag therewi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nner part of container bag, container bag therewi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494B1
KR102220494B1 KR1020200130145A KR20200130145A KR102220494B1 KR 102220494 B1 KR102220494 B1 KR 102220494B1 KR 1020200130145 A KR1020200130145 A KR 1020200130145A KR 20200130145 A KR20200130145 A KR 20200130145A KR 102220494 B1 KR102220494 B1 KR 102220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thelium
points
width
shell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1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주학
엄기호
안중석
Original Assignee
(주)티피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473118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2049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티피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티피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3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4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4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6Flexible liners, e.g. loosely positioned i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2Wall construction
    • B65D2590/04Linings
    • B65D2590/043Flexible 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ner member of a container bag, a double container bag,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inner member of the container bag is made by joining an outer shell made of a waterproof material to an inner shell formed by weaving synthetic resin yarns. The inner member includes: the inner shell of which a horizontal cross section forms a closed curved surface; and the outer shell provided as a plurality of outer shells. Some of the outer shells are joi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hell, and the others are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hell. The outer shell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hell and the outer shell joi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hell are joined to each other so that at least portions of the outer shells overlap each other inside and outside the inner sh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uble container bag can automate most of the processes for manufacturing the inner member,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time and price.

Description

컨테이너 백 내부부재, 이중 컨테이너 백 및 이의 제조 방법{INNER PART OF CONTAINER BAG, CONTAINER BAG THEREWI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Container bag inner member, double container 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NNER PART OF CONTAINER BAG, CONTAINER BAG THEREWI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백 내부부재, 이중 컨테이너 백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부분의 공정을 자동화로 생산할 수 있는 컨테이너 백 내부부재, 이중 컨테이너 백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bag inner member, a double container ba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bag inner member, a double container ba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automate most of the processes.

종래에는 개별 포장되지 않은 물품을 벌크화물(bulk goods) 형태로 운반하거나 저장하기 위해서 단일 포대 형식의 벌크화물 운반용 컨테이너 백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런데 단일 포대 형식의 경우, 컨테이너 백에 담긴 내용물이 포대 하부 및 측부에 집중적으로 하중을 가하여, 컨테이너 백이 외부로 심하게 팽창 돌출되는 배불림 현상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컨테이너 백이 쉽게 파손되거나, 컨테이너 백 형상이 일관되지 않아서 컨테이너 백 상호간 적층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transport or store individual unpacked goods in the form of bulk goods, a single bag type bulk cargo transport container bag has been mainly used. However, in the case of a single bag type,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ag intensively applied a load to the lower and side portions of the bag, causing the container bag to expand and protrude severely to the outsid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tainer bag is easily damaged or the shape of the container bag is not consistent, making it difficult to stack the container bags.

이러한 단일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이 제시되었다. 이중 포대 컨테이너 백의 일 례가 한국특허등록 제10-018880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중 포대 컨테이너 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부재(100, 외부포대) 내에 내부부재(100, 내부포대)가 들어있는 2중 포대 구조를 갖는다. 배불림 방지를 위해 내부부재는 내부부재 외피(210, 이하 '외피'라 함) 및 내부부재 내피(220, 이하 '내피'라 함)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외부부재 및 내피는 경량화에 유리하도록 합성수지사를 직조하여 사용하며, 외피는 내용물을 외부 습기로 보호하도록 방수재질로 형성된다. 컨테이너 백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부에 투입구를 가지고 하부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uch a single bag type container bag, a double bag type container bag has been proposed. An example of a double bag container bag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188806. The double bag container bag has a double bag structure in which an inner member 100 (inner bag) is contained in an outer member 100 (outer bag) as shown in FIGS. 1 and 2. In order to prevent stomach bloating, the inner member is composed of an inner member outer skin (210, hereinafter referred to as'skin') and an inner member inner skin (220, hereinafter referred to as'endothelium'). Typically, the outer member and the inner skin are woven with synthetic resin yarn to benefit weight reduction, and the outer shell is formed of a waterproof material to protect the contents from external moisture. The container bag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has an inlet at the top and an outlet at the bottom.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는 내부부재는 수작업으로 제작되므로 제작 단가가 비싸서 시장에서 널리 유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 및 도 4는 종래 이중 컨테이너 백에서 내부부재를 이루는 외피의 수평단면도 및 내피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내부부재를 제작하는 전통적인 방식을 설명하면 작업자가 하나의 부재(절개선 없이 통짜)로 형성된 외피(210) 내부에 하나의 부재로 형성된 내피(220)를 삽입한 후 'X'로 표시된 부분을 순차적으로 접합하면서 제작한다. 이러한 외피(210)와 내피(220)의 접합 부위는 도 1에서도 확인 가능하며, 참조기호 'X'로 표시된 다수 개 지점에서 외피(210)와 내피(220)는 서로 하단부터 상단(또는 반대 방향순으로)까지 접합된다.Since the inner member made of the outer skin and the inner skin is manufactured by h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widely distributed in the market. 3 and 4 are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an outer shell and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an inner shell forming an inner member in a conventional double container bag. When explaining the tradi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nner member using FIGS. 3 and 4, after the operator inserts the inner skin 220 formed of one member into the outer shell 210 formed of one member (whole body without incision line) It is manufactured by sequentially joining the parts marked with'X'. The bonding site of the outer skin 210 and the endothelium 220 can also be identified in FIG. 1, and the outer skin 210 and the endothelium 220 at a plurality of points indicated by the reference symbol'X' are from the bottom to the top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order).

내부부재는 도 1을 기준으로 가로 100~110cm, 세로 100~110cm 및 높이가 대략 125cm에 달한다. 작업시에는 평편한 작업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제작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크기를 기준으로 폭이 220cm, 높이가 125cm인 외피(210)를 두고 그 내부에 유사한 크기를 갖는 내피(220)를 삽입한 상태에서 접합 부위를 일일히 수작업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수작업이 쉽지 않다.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내부부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 형성부와 배출구 형성부가 부가되어 가로는 약 220cm 크기를 가지고 세로는 대략 230cm ~ 320cm 크기의 외피와 내피를 대상으로 수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제작이 어렵고 숙련된 작업자가 작업해야 하므로 제작 단가가 비싸서 현장에 많이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The inner member reaches 100 to 110 cm in width, 100 to 110 cm in height, and approximately 125 cm in height based on FIG. 1. At the time of work, since it is manufactured in a state placed on a flat work floor, as shown in FIG. 5, an outer skin 210 having a width of 220 cm and a height of 125 cm is placed based on the maximum size, and an inner skin 220 having a similar size therein. It is not easy to do manual work because the joints are manually manufactured in the state of inserting. In order to manufacture an inner member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as shown in Fig. 5, an inlet and outlet forming portion is added to have a size of about 220 cm in width and a length of about 230 cm to 320 cm in the outer skin and inner skin.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because it has to be done, and because it has to be done by a skilled worker, the production cost is high, so it is not applicable to the field.

위와 같은 공정을 거쳐 완성된 내부부재(200)를 별도 공정을 거쳐 완성한 외부부재(100)와 네 모서리의 상단 및 하단에서 모서리 봉재부(115a, 115b, 115c, 115d)를 이용하여 서로 봉제하면 이중 컨테이너 백 제작이 완료된다. 모서리 봉재부(115a, 115b, 115c, 115d)는 합성수지사를 직조하여 제조되며 폭이 대략 10cm 이하의 띠 형태로 형성된다. 모서리 봉재부(115a, 115b, 115c, 115d)의 양 끝단부를 각각 외부부재(100) 및 내부부재(200)와 봉제한다.If the inner member 200 comple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sewn to each other using the outer member 100 completed through a separate process and the corner rods 115a, 115b, 115c, 115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four corners, the double Container bag production is completed. The corner bar portions 115a, 115b, 115c, and 115d are manufactured by weaving synthetic resin yarn, and are formed in the form of a band having a width of approximately 10 cm or less. Both ends of the corner bar portions 115a, 115b, 115c, and 115d are sewn with the outer member 100 and the inner member 200, respectively.

한편, 종래 이중 컨테이너 백은 내부에 저장해 둔 내용물을 하부 배출구로 배출할 때 사이공간에 끼어있던 이물질이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도 6은 종래 컨테이너 백에서 외부부재와 내부부재 사이에 사이공간이 형성됨을 보여주는 수직 방향 개략 단면도이다. 외부부재(100)와 내부부재(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및 하단 네 모서리에서만 봉제되므로 서로 밀착 결합되지 않고 사이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구조상의 문제로 인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을 하부로 배출할 때 외부부재(100)와 내부부재(200) 사이에 형성된 사이공간(150)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내용물과 함께 배출되므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작업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double container bag has a problem in that when the contents stored therein are discharged to the lower outlet, foreign matters stuck in the interspace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ogether.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n a vertical direction showing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an outer member and an inner member in a conventional container bag. Since the outer member 100 and the inner member 200 are sewn only at the upper and lower four corners as shown in FIGS. 1 and 2, they are not closely coupled to each other, and a space between them is created. Due to this structural problem,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interspace 150 formed between the outer member 100 and the inner member 200 when discharging the contents to the bottom as shown in FIG. 5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content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work process for filtering is added.

내부부재(200)를 형성하는 외피(210)와 내피(220) 사이에 생기는 공간도 이물질이 쌓여 내용물 배출시 함께 배출되는 원인이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210)와 내피(220)는 a~h로 X 표시된 부분에서 외피(210)와 내피(220)는 하단부터 상단까지 서로 접합된다. 그런데 외피(210)와 내피(220)의 a~b, c~d, e~f 및 g~h 사이의 변은 서로 접합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외피(210)와 내피(220)의 사이 공간에 이물질이 끼어있다 내용물 배출시 함께 배출되는 것이다.The space created between the outer skin 210 and the inner skin 220 forming the inner member 200 also causes foreign matter to accumulate and are discharged together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outer skin 210 and the endothelium 220 are bonded to each oth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outer skin 210 and the endothelial 220 at a portion marked X by a to h. However, the sides between the outer skin 210 and the endothelium 220 a to b, c to d, e to f, and g to h are not joined to each other. A foreign substance is trapp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kin 210 and the inner skin 220 and is discharged together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아래 특허문헌 2에서는 사이 공간에 쌓여있던 이물질이 내용물과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부재와 내부부재의 사이 공간을 차단시키는 별도의 차단리브를 설치하는 컨테이너 백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컨테이너 백 하부에 별도 차단리브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제작 비용이 상승하고 관리가 어렵고 차단리브로 인해 백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In Patent Document 2 below,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interspace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contents, a container bag in which a separate blocking rib is installed to block the space between the outer member and the inner member is proposed. However, since a separate blocking rib must be installed under the container bag,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management is difficult, and the bag is damaged due to the blocking rib.

또 다른 문제점은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외피의 어느 한 곳에 구멍이 날 경우 외부 습기가 전체 내용물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외피의 'P' 지점에 구멍(실제 도 1의 사시도에서 외부부재만 노출되므로 보이지 않음)이 날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의 이중 백 컨터이너 제작 방식에 따라 투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된 상태로 제작하면 도 7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도 7은 통상적인 제작 방식으로 제작된 내부부재의 사시도이며, 내용물이 저장되는 본체부, 내용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되는 투입부 및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배출부로 구분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지점 c"-c-c'-c"'-d"-d-d'-d"'으로 이루어지는 면체는 c"-c-c'-c"' 및 d"-d-d'-d"'로 표시된 변을 따라서만 접합되므로 외피의 'P'지점에 천공이 생길 경우 청공부위로 침투된 습기는 꼭지점 c"-c-c'-c"'-d"-d-d'-d"'으로 이루어지는 면과 접하는 내용물에 영향을 주게 된다. 특히, c"-c-d-d"으로 이루어진 면을 통해 침투된 습기는 본체부 상부에 쌓여있는 내용물에 영향을 주고, 유사하게 c'-c"'-d"'-d'으로 이루어진 면을 통해 침투되는 습기는 본체부 하부에 쌓여있는 내용물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Another problem is that when a hole is made in any one of the outer shell formed of a waterproof material, external moisture affects the entire contents.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a hole (not visible because only the external member is exposed in the perspective view of FIG. 1) is formed at the point'P' of the outer shell shown in FIG. 1. When manufactured in a state provided with an inlet port and an outlet por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double bag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it has a shape as shown in FIG. 7.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member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and can be divided into a main body in which contents are stored, an input part provided with an inlet into which the contents are inserted, and a discharge part having an outlet through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As shown in FIG. 7, the icosahedron consisting of vertices c"-c-c'-c"'-d"-d-d'-d"' is c"-c-c'-c"' and d"- Since it is joined only along the side marked d-d'-d"', if there is a perforation at the point'P' of the outer shell, the moisture that has penetrated into the hole area will be at the vertex c"-c-c'-c"'-d"- It affects the contents that come in contact with the side consisting of d-d'-d"'. In particular, moisture penetrating through the side made of c"-cdd" affects the contents accumul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similarly, the moisture penetrated through the side made of c'-c"'-d"'-d' Moisture has a problem that affects the contents accumulated under the body part.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4432호 (2012.05.02. 등록)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44432 (registered on May 02, 2012)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82354호 (2017.07.14. 공개)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82354 (published on July 14, 2017)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외피와 합성수지사를 직조한 내피를 자동화 기기로 접합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내부부재 제조 방법과 이러한 자동화 방법으로 제조된 내부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ner member that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 by bonding an outer skin formed of a waterproof material and an inner skin woven synthetic resin yarn with an automated device, and an inner member manufactured by such an automated method. It aims to provide a member.

본 발명은 상기에 제시된 또 다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부재와 내부부재의 사이공간에 별도 구조물을 설치함이 없이도 이물질이 쌓이지 않는 구조를 가지며, 일부 내부부재 외피에 천공이 발생하더라도 본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상면 및 하면에 영향을 주지 않는 내부부재 제조 방법과 이러한 자동화 방법으로 제조된 내부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foreign matters do not accumulate even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structure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member and the inner member as to solve another problem present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ner member that does not affec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tored contents, and an inner member manufactured by such an automated method.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방수재질 외피와 합성수지사를 직조한 내피를 상호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백의 내부부재 제조 방법으로서, 제1너비를 갖는 제1내피 및 제2내피로 구성되는 내피와, 상기 제1너비보다 작은 제2너비를 갖는 제1외피 및 제2외피와 제2너비보다 작은 제3너비를 갖는 제3외피 및 제4외피로 구성되는 외피를 준비하는 제1단계와, 제1내피 상부에 제1외피를 중앙에 위치시키고, 제1내피 하부 좌우측에 각각 제3외피 및 제4외피를 위치시킨 후, 제1내피와 제1외피를 복수 개 지점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접합하고, 제3외피의 일 단변부를 a지점에서 제1내피와 높이 방향을 따라 접합시키고, 제4외피의 일 단변부를 d지점에서 제1내피와 높이 방향을 따라 접합시키는 제2단계와, 제2내피 하부에 제2외피를 중앙에 위치시키고, 제2내피 상부 좌우측에 각각 제3외피 및 제4외피를 위치시킨 후, 제2내피와 제2외피를 복수 개 지점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접합하고, 제3외피의 타 단변부를 h지점에서 제2내피와 높이 방향을 따라 접합시키고, 제4외피의 타 단변부를 e지점에서 제2내피와 높이 방향을 따라 접합시키는 제3단계와, 제1내피의 일 단변부를 제2내피의 일 단변부와 결합하여 제1결합부를 형성하고, 제1내피의 타 단변부를 제2내피의 타 단변부와 결합하여 제2결합부를 형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내부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ner member of a container bag formed by mutually bonding a waterproof outer skin and an inner skin woven synthetic resin yarn, comprising an inner skin consisting of a first inner skin and a second inner skin having a first width, and the first A first step of preparing a skin consisting of a first and second skins having a second width less than the width, and a third and fourth skins having a third width less than the second width, and on the top of the first endothelium After placing the first skin in the center and placing the third and fourth ski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under the first endothelium respectively, the first and the first skins are join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t a plurality of points, and the third skin A second step of joining one short side of the first endothelium along the height direction at point a, and joining one short side of the fourth outer layer along the height direction with the first endothelium at point d, and a second step under the second endothelium. After placing the outer skin in the center and placing the third and fourth outer skins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endothelium, respectively, the second inner skin and the second outer skin were join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t a plurality of points. A third step of joining the short side part along the height direction to the second endothelium at point h, and joining the other short side part of the fourth outer sheath along the height direction to the second endothelium at point e, and a second part of one short side of the first endothelium A container bag comprising a fourth step of forming a first coupling portion by combining with one short side portion of the endothelium, and forming a second coupling portion by combining the other short side portion of the first endothelium with the other short side portion of the second endothelium. It can be achieved by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nner member.

상기에서, 제2단계에서 제1내피 하부에 놓여지는 제3외피의 일 단변부는 제1내피 상부에 놓여지는 제1외피의 좌측 단변보다 중앙측으로 놓여져서 제1외피와 제3외피는 제1내피를 기준으로 상하에서 중첩되는 영역을 갖도록 접합되고, 제1내피 하부에 놓여지는 제4외피의 일 단변부는 제1내피 상부에 놓여지는 제1외피의 우측 단변보다 중앙측으로 놓여져서 제1외피와 제4외피는 제1내피를 기준으로 상하에서 중첩되는 영역을 갖도록 접합된다.In the above, in the second step, one short side of the third sheath placed under the first endothelium is placed toward the center of the left short side of the first sheath placed on the first endothelium, so that the first and third sheaths are the first endothelium. It is joined to have an overlapping area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endothelium, and one short side of the fourth outer sheath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endothelium is placed toward the center rather than the right short side of the first sheath placed on the first endothelium. 4 The outer skin is bonded to have a region overlapping from the top and bottom based on the first endothelium.

또한, 제3단계에서 제2내피 상부에 놓여지는 제3외피의 타 단변부는 제2내피 하부에 놓여지는 제2외피의 좌측 단변보다 중앙측으로 놓여져서 제2외피와 제3외피는 제2내피를 기준으로 상하에서 중첩되는 영역을 갖도록 접합되고, 제3단계에서 제2내피 상부에 놓여지는 제4외피의 타 단변부는 제2내피 하부에 놓여지는 제2외피의 우측 단변보다 중앙측으로 놓여져서 제2외피와 제4외피는 제2내피를 기준으로 상하에서 중첩되는 영역을 갖도록 접합된다.In addition, in the third step, the other short side of the third sheath placed on the top of the second endothelium is placed toward the center of the left short side of the second sheath placed under the second endothelium, so that the second and third sheaths form the second endothelium. As a reference, the other short side of the fourth sheath, which is joined to have an overlapping area from the top and bottom, and placed on the second endothelium in the third step, is placed toward the center of the second sheath from the right short side of the second sheath placed under the second endothelium. The outer skin and the fourth outer skin are joined to have a region overlapping from the top and the bottom based on the second endotheliu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수재질 외피와 합성수지사를 직조한 내피를 상호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백의 내부부재에 있어서, 수평 단면이 폐곡면을 이루는 상기 내피와, 외피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 외피 중 일부는 내피의 외면에 접합되고, 나머지 상기 외피는 내피의 내면에 접합되며, 내피 내면에 접합되는 외피와 내피 외면에 접합되는 외피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내피를 기준으로 내외에서 중첩되도록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의 내부부재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ner member of a container bag made by mutually bonding a waterproof outer skin and an inner skin woven synthetic resin yarn, the inner skin having a horizontal cross section forming a closed curved surface, and a plurality of outer skins. Some of the outer skin is joi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kin, the rest of the outer skin is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ndothelium, and the outer skin that is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ndothelium and the outer skin that is joi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ndothelium are joined so that at least some areas overlap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inner skin. It can be achieved by the inner member of the container bag, characterized in that the.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컨테이너 백은 내부부재의 제조 공정의 대부분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되어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제작 단가를 저렴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The double container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automate mos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inner member, so that the manufacturing time can be shortened,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maintained at low cost.

또한, 외부부재, 내부부재의 외피 및 내피가 내부부재 본체의 상부 테두리부 및 하부 테두리부 전체 둘레를 따라서 상호 접합되므로 내부부재를 이루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사이공간 및 내부부재와 외부부재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사이공간이 밀봉되도록 형성되므로 이 사이공간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since the outer member, the outer skin and the inner skin of the inner member are joined to each other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upper and lower rim portions of the inner member body, the space between the inner member and the outer shell that may occur between the inner member and the outer skin Since the interspace that may occur between the members is formed so as to be sea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being caught in the interspace.

그리고,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외피의 어느 한 부분에 천공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천공에 의해 침투되는 습기는 천공이 발생한 면과 직접적으로 접하는 내용물에만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천공에 의한 내용물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even if a perforation occurs in any part of the outer shell formed of a waterproof material, moisture penetrating by the perforation affects only the contents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surface where the perforation occurs, so that contamination of the contents due to the perforation can be minimized. Became.

도 1은 내부부재 본체부를 갖는 종래 이중 컨테이너 백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평 단면도.
도 3은 종래 이중 컨테이너 백에서 내부부재를 이루는 외피의 수평단면도.
도 4는 종래 이중 컨테이너 백에서 내부부재를 이루는 내피의 수평단면도.
도 5는 종래 이중 컨테이너 백 제작에 사용되는 원단의 크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종래 컨테이너 백에서 외부부재와 내부부재 사이에 사이공간이 형성됨을 보여주는 수직 방향 개략 단면도.
도 7은 통상적인 제작 방식으로 제작된 내부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내부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A-A' 방향 수평 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내부부재 제작 공정도.
도 11은 투입부 및 배출부가 접합되기 전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내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투입부 및 배출부 접합이 완료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내부부재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B-B' 방향 일부 절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이중 컨테이너 백의 수직 절단면도.
도 16은 내피를 하나의 부재로 형성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내부부재의 최종 제작 도면.
도 17은 도 16과 같은 방식으로 제작된 내부부재의 사시도.
도 18은 도 16과 같은 방식으로 제작된 내부부재의 수평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ouble container bag having an inner member body portion.
Figure 2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er shell constituting the inner member in the conventional double container bag.
Figure 4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skin constituting the inner member in the conventional double container bag.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ize of the fabric used to manufacture a conventional double container ba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n a vertical direction showing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an outer member and an inner member in a conventional container ba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member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in FIG. 8.
Figures 10A to 10C are an embodiment of the inner member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before the input unit and the discharge unit are joined.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input part and the discharge part are joined.
13 is a partial 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BB′ of FIG. 12.
14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a double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inal manufacturing view of an inner member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endothelium is formed as one member.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member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16;
18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an inner member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16;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on or above" means to be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target portion,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o be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direction of gravity. In addition, when a part such as a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or on" another part, it is not only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other part "directly on or on", as well as another part in the middle. This includes cases where there i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on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speci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s long as there is no opposing substrate, it may be connected or may be connected via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내부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A-A' 방향 수평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외부부재를 생략하고 내부부재만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부재(200)는 외피(210)와 내피(220)로 형성되며, 내피(220)는 서로 같은 너비와 높이를 갖는 제1내피(220a) 및 제2내피(220b)로 형성된다. 제1내피(220a) 및 제2내피(220b)는 일 단변부 및 타 단변부가 상호 봉재 또는 접합(열융착) 등의 방식으로 접합된다. 제1내피(220a) 및 제2내피(220b)가 접합된 부위을 각각 제1결합부(i) 및 제2결합부(j)라 부르기로 한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제1내피(220a) 및 제2내피(220b)가 동일한 너비 및 높이를 갖는 구성이나 약간의 차이가 나게 구성하여도 무방하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A-A′ in FIG. 8. In FIGS. 8 and 9,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outer member is omitted and only the inner member is illustrated. The inner mem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n outer skin 210 and an endothelium 220, and the inner skin 220 is formed of a first endothelium 220a and a second endothelium 220b having the same width and height. do. In the first endothelium 220a and the second endothelium 220b, one short side portion and the other short side portion are bonded to each other by means of rods or bonding (heat fusion). The portions to which the first endothelium 220a and the second endothelium 220b are joined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coupling portion (i)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j), respectively. In FIGS. 8 and 9, the first endothelium 220a and the second endothelium 220b have the same width and height, bu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light difference.

외피(210)는 제1외피(210a), 제2외피(210b), 제3외피(210c) 및 제4외피(210d)로 형성된다. 제1외피(210a)는 a, b, c, d 지점에서 제1내피(220a)의 외면과 높이방향을 따라 접합된다. a지점 및 d지점은 각각 제1결합부(i) 및 제2결합부(j)와 가장 인접한 지점이다. 유사하게 제2외피(210b)는 e, f, g, h 지점에서 제2내피(220b)의 외면과 높이방향을 따라 접합된다. e지점 및 h지점은 각각 제2결합부(j) 및 제1결합부(i)와 가장 인접한 지점이다. The outer shell 210 is formed of a first outer shell 210a, a second outer shell 210b, a third outer shell 210c, and a fourth outer shell 210d. The first outer skin 210a is join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endothelium 220a at points a, b, c, and d. Points a and d are points closest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i)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j), respectively. Similarly, the second sheath 210b is join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ndothelium 220b at points e, f, g, and h. Points e and h are points closest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j)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i), respectively.

제3외피(210c)는 제1결합부(i)를 중앙에 두고 제1내피(220a)와는 a지점에서 내부에서 접합되고 제2내피(220b)와는 h지점에서 내부에서 접합된다. 제3외피(210c)는 반드시 a지점에서 제1내피(220a)와 접합될 필요는 없으며, a지점보다 제1결합부(i)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제1내피(220a)와 접합하여도 무방하다. 유사하게 제3외피(210c)는 반드시 h지점에서 제2내피(220b)와 접합될 필요는 없으며, h지점보다 제1결합부(i)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제2내피(220b)와 접합하여도 무방하다. 그런데 접합지점을 a, h외 다른 지점으로 변경하면 열융착을 수행하는 작업 수가 증가되므로 가능한 a, h지점에서 각각 제1내피(220a) 및 제2내피(220b)와 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rd sheath 210c has the first coupling portion (i) in the center, and is bonded to the first endothelium 220a at point a, and is bonded to the second endothelium 220b at point h. The third sheath 210c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bonded to the first endothelium 220a at point a, and may be bonded to the first endothelium 220a at a location farther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i than point a. Do. Similarly, the third sheath 210c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bonded to the second endothelium 220b at point h, and it is bonded to the second endothelium 220b at a location farther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i) than point h. It is also okay. However, if the bonding point is changed to a point other than a and h, the number of tasks for performing thermal fusion increases, so it is preferable to bond with the first endothelium 220a and the second endothelium 220b, respectively, at possible points a and h.

유사하게 제4외피(210d)는 제2결합부(j)를 중앙에 두고 제1내피(220a)와는 d지점에서 내부에서 접합되고 제2내피(220b)와는 e지점에서 내부에서 접합된다. 접합지점은 제3외피(210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사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제3외피(210c) 및 제4외피(210d)를 접합시키면 각각 제1외피(210a) 및 제2외피(210b)와 제내피를 사이에 두고 중첩되는 영역이 존재하게 되어 외부 습기가 내용물에 침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Similarly, the fourth sheath 210d ha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j in the center, and the first endothelium 220a is bonded to the inside at point d, and the second endothelium 220b is bonded to the inside at point 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bonding point may be similarly changed as described in the third outer shell 210c. When the third and fourth outer shells 210c and 210d are joined in the same way as above, regions overlapp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outer shells 210a and 210b and the inner skin respectively exist. Can prevent penetration of the contents.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 지점 사이의 제1외피(210a)의 너비 및 c~d 지점 사이의 제1외피(210a)의 너비는 각각 a~b 지점 사이의 제1내피(220a)의 너비 및 c~d 지점 사이의 제1내피(220a)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하고, e~f 지점 사이의 제2외피(210b)의 너비 및 g~h 지점 사이의 제2외피(210b)의 너비는 각각 e~f 지점 사이의 제2내피(220b)의 너비 및 g~h 지점 사이의 제2내피(220b)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하였다. 이런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a~b 지점에서 제1내피(220a)와 제1외피(210a)에 의해 둘러쌓여 형성되는 제1모서리 공간부(160a)가 생성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쌓였을 때 사각 형상을 유지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유사하게 c~d 지점에서 제1내피(220a)와 제1외피(210a)에 의해 둘러쌓여 형성되는 제2모서리 공간부(160b), e~f 지점에서 제2내피(220b)와 제2외피(210b)에 의해 둘러쌓여 형성되는 제3모서리 공간부(160c) 및 g~h 지점에서 제2내피(220b)와 제2외피(210b)에 의해 둘러쌓여 형성되는 제4모서리 공간부(160d)가 형성된다. 8 and 9, the width of the first outer skin 210a between points a to b and the width of the first outer skin 210a between points c to d are the first endothelium between points a to b, respectively.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220a and the width of the first endothelium 220a between points c to d, and the width of the second outer skin 210b between points e to f and the second outer skin between points g to h ( The width of 210b) wa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endothelium 220b between points e to f and the width of the second endothelium 220b between points g to h, respectively. By forming in this way, a first edge space 160a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the first endothelium 220a and the first outer cover 210a at points a to b is created, and when the contents are accumulated inside, a square shape is formed. Contributes to maintaining. Similarly, the second edge space 160b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the first endothelium 220a and the first outer covering 210a at points c~d, and the second endothelium 220b and the second outer covering at points e~f The third edge space portion 160c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210b) and the fourth edge space portion 160d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the second endothelium 220b and the second shell 210b at points g~h Is formed.

a~b 지점에 형성되는 제1내피(220a), c~d 지점에 형성되는 제1내피(220a), e~f 지점에 형성되는 제2내피(220b) 및 g~h 지점에 형성되는 제2내피(220b)를 격벽이라고도 부르며, 각 격벽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관통홀(120)이 형성된다. 관통홀(120)을 통해서 내용물이 모서리 공간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The first endothelium 220a formed at points a to b, the first endothelium 220a formed at points c to d, the second endothelium 220b formed at points e to f, and the second endothelium 220b formed at points g to h 2 The endothelium 220b is also called a partition wall,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0 are formed in each partition wall along the height direction. The contents are moved to the corner space through the through hole 120.

이하, 도 10A 내지 도 10C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내부부재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내피(220a), 제2내피(220b), 제1외피(210a), 제2외피(210b), 제3외피(210c) 및 제4외피(210d)를 준비한다. 제1내피(220a)와 제2내피(220b)는 합성수지사를 직조하여 동일한 너비 및 높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제1내피(220a)와 제2내피(220b)는 서로 다른 너비를 갖도록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내피는 합성수지사를 직조하여 형성하므로 방수기능은 제공할 수 없다.Hereinafter, a process of manufacturing an internal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A to 10C. First, the first inner skin 220a, the second inner skin 220b, the first outer skin 210a, the second outer skin 210b, the third outer skin 210c, and the fourth outer skin 210d are prepared. The first endothelium 220a and the second endothelium 220b ar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nd height by weaving synthetic resin yarn. The first endothelium 220a and the second endothelium 220b may be manufactured to have different widths. Since the inner skin is formed by weaving synthetic resin yarn, it cannot provide a waterproof function.

제1외피(210a)와 제2외피(210b)는 방수 재질로 동일한 너비 및 높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제1외피(210a)와 제2외피(210b)는 서로 다른 너비를 갖도록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유사하게 제3외피(210c)와 제4외피(210d)는 방수 재질로 동일한 너비 및 높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제3외피(210c)와 제4외피(210d)는 서로 다른 너비를 갖도록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내피와 외피는 서로 접합되어야 하므로 가능한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내피는 PE(Poly Ethylense) 재질로 형성된 실을 직조하여 형성하고, 외피는 PE 재질 비닐로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hells 210a and 210b are formed of a waterproof material to have the same width and height. The first sheath 210a and the second sheath 210b may be manufactured to have different widths. Similarly, the third and fourth shells 210c and 210d are formed of a waterproof material to have the same width and height. The third sheath 210c and the fourth sheath 210d may be manufactured to have different widths. Since the inner skin and the outer skin must be bonded to each other, it is better to form the same material as possible. For example, the inner skin may be formed by weaving a thread formed of a PE (Poly Ethylense) material, and the outer skin may be formed of a PE material vinyl.

제1내피(220a) 및 제2내피(220b)의 너비가 가장 크며, 다음으로 제1외피(210a) 및 제2외피(210b)의 너비가 크며, 제3외피(210c) 및 제4외피(210d)의 너비가 가장 작게 형성하였으며, 높이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b 지점 사이 및 c~d 지점 사이의 제1내벽(220a), e~f 지점 사이 및 g~h 지점 사이의 제2내벽(220b)에는 각각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관통홀을 형성하였다.The width of the first endothelium 220a and the second endothelium 220b is the largest, and next, the widths of the first and second skins 210a and 210b are large, and the third and fourth skins 210c and 4 210d) was formed to have the smallest width, and it is preferable to form all the same height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were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in the first inner wall 220a between points a to b and between points c to d, and the second inner wall 220b between points e to f and between points g to h. .

다음으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피(220a) 상부에 제1외피(210a)를 너비를 기준으로 중앙에 위치시키고, 제1내피(220a) 하부 좌우측에 각각 제3외피(210c) 및 제4외피(210d)의 일 단변부를 위치시킨다. 제1내피(220a)와 제1외피(210a)를 a, b, c, d 지점에서 각각 높이 방향을 따라 열융착으로 접합하고, 제3외피(210c)의 일 단변부를 a지점에서 제1내피(220a)와 높이 방향을 따라 접합시키고, 제4외피(210d)의 일 단변부를 d지점에서 제1내피(220a)와 높이 방향을 따라 접합시킨다.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a~b 지점 사이의 제1외피(210a)의 너비 및 c~d 지점 사이의 제1외피(210a)의 너비는 각각 a~b 지점 사이의 제1내피(220a)의 너비 및 c~d 지점 사이의 제1내피(220a)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하도록 접합시킨다.Next, as shown in Fig. 10A, the first outer skin 210a is located in the center based on the width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endothelium 220a, and the third outer skin 210c is respectively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under the first endothelium 220a. And one short side of the fourth sheath 210d. The first endothelium 220a and the first outer sheath 210a are joined by thermal fusion at points a, b, c, and d along the height direction, respectively, and one short side of the third sheath 210c is connected to the first endothelium at point a. It is join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with (220a), and one short side of the fourth outer shell (210d) is join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with the first endothelium (220a) at point d. As shown in Fig. 10A, the width of the first sheath 210a between points a to b and the width of the first sheath 210a between points c to d are the first endothelium 220a between points a to b, respectively. Bonding to form a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endothelium (220a) between the width and c ~ d point.

a지점에서 제1내피(220a)와 상부에 제1외피(210a)를 위치시킨 후 접합시킬 때 제3외피(210c)도 제1내피(220a) 하부에 위치시킨 후 한꺼번에 접합하면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다. 유사하게 제1외피(210a)를 d지점에서 제1내피(220a)와 상부에서 접합시킬 때 제4외피(210d)를 제1내피(220a) 하부에서 동시에 접합시킨다.When connecting the first endothelium 220a and the first outer layer 210a on the upper side at point a, place the third outer layer 210c under the first endothelium 220a and join them together to reduce the work man-hour. I can. Similarly, when the first outer skin 210a is joined to the first endothelium 220a from the top at point d, the fourth outer shell 210d is simultaneously joi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endothelium 220a.

본 발명에서 단변이라는 표현 대신 단변부라는 표현을 사용한 이유는 내피 또는 외피를 이루는 단변(끝단변)에서 접합하지 않고 단변에서 내측으로 들어온 지점에서 접합되기 때문이다. 특히, 도 10A의 원 내부 확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외피(210a) 및 제3외피(210c)의 단변부는 각각 제1내피(220a) 방향으로 말은 상태로 두 겹으로 접은 상태에서 제1내피(220a)와 접합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reason why the expression of the short side is used instead of the expression of the short sid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not joined at the short side (end side) constituting the inner skin or the outer skin, but is joined at the point entering the inner side from the short side. In particular,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the inside of the circle of FIG. 10A, the short side portions of the first outer shell 210a and the third outer shell 210c are roll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ndothelium 220a and folded in two layers. 1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can be bonded to the endothelium 220a.

그런 후,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내피(220b) 하부에 제2외피(210b)를 너비를 기준으로 중앙에 위치시키고, 제2내피(220b) 하부 좌우측에 각각 제3외피(210c) 및 제4외피(210d)의 타 단변부를 위치시킨다. 제2내피(220b)와 제2외피(210b)를 e, f, g, h 지점에서 각각 높이 방향을 따라 열융착으로 접합하고, 제3외피(210c)의 타 단변부를 h지점에서 제1내피(220a)와 높이 방향을 따라 접합시키고, 제4외피(210d)의 타 단변부를 e지점에서 제1내피(220a)와 높이 방향을 따라 접합시킨다.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e~f 지점 사이의 제2외피(210b)의 너비 및 g~h 지점 사이의 제2외피(210b)의 너비는 각각 e~f 지점 사이의 제2내피(220b)의 너비 및 g~h 지점 사이의 제2내피(220b)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하도록 접합시킨다.Then, as shown in FIG. 10B, the second outer skin 210b is located at the center based on the width under the second endothelium 220b, and the third outer skin 210c is respectively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econd endothelium 220b. And the other short side of the fourth sheath 210d. The second inner skin 220b and the second outer skin 210b are joined by heat fusion at points e, f, g, and h along the height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other short side of the third outer shell 210c is connected to the first endothelium at point h. Bonding 220a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bonding the other short side of the fourth outer sheath 210d along the height direction with the first endothelium 220a at point e. As shown in Fig. 10A, the width of the second sheath 210b between the points e to f and the width of the second sheath 210b between points g to h are the second endothelium 220b between points e to f, respectively. Bonding to form a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endothelium (220b) between the g ~ h point.

제2외피(210b)를 h지점에서 제2내피(220b)와 하부에서 접합시킬 때 제3외피(210c)를 제2내피(220b) 상부에서 동시에 접합시킨다. 유사하게 제2외피(210b)를 e지점에서 제2내피(220b)와 하부에서 접합시킬 때 제4외피(210d)를 제2내피(220b) 상부에서 동시에 접합시킨다.When the second outer skin 210b is joined to the second endothelium 220b at the point h, the third outer skin 210c is simultaneously joi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endothelium 220b. Similarly, when the second shell 210b is bonded to the second endothelium 220b at the point e, the fourth sheath 210d is simultaneously bonded on the second endothelium 220b.

다음으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피(220a)의 일 단변부를 제2내피(220b)의 일 단변부와 높이방향을 따라 봉재 또는 열융착으로 접합하여 제1결합부(i)를 형성하고, 유사하게 제1내피(220a)의 타 단변부를 제2내피(220b)의 타 단변부와 높이방향을 따라 봉재 또는 열융착으로 접합하여 제2결합부(j)를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10C, one short side of the first endothelium 220a is bonded to one short side of the second endothelium 220b along the height direction by means of a bar or thermal fusion to form a first coupling part (i). And, similarly, the other short side of the first endothelium 220a and the other short side of the second endothelium 220b are bon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by means of a bar or thermal fusion to form a second coupling portion j.

투입부와 배출부가 구비된 컨테이너 백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 10C와 같이 제작한 이후 상부면 테두리(S)를 전체적으로 따라서 별도 공정을 통해 제작된 투입부(250)의 하부 테두리(T)를 상호 열융착으로 접합시키고, 하부면 테두리(S')를 전체적으로 따라서 별도 제작된 배출부(260)의 상부 테두리(T')를 열융착으로 접합시키면 투입부(250)와 배출부(260)가 구비된 내부부재 제작이 완료된다. 도 11은 투입부 및 배출부가 접합되기 전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내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투입부 및 배출부 접합이 완료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내부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B-B' 방향 일부 절단면도이다.In order to manufacture a container bag equipped with an input part and a discharge part, after the container bag is manufactured as shown in FIG. 10C, the lower rim T of the input part 250 manufactured through a separate process is thermally fused to each other along the upper rim S as a whole. And the upper rim (T') of the separately manufactured discharge part 260 along the entire lower surface rim (S') is bonded by thermal fusion, the inside where the input part 250 and the discharge part 260 are provided. The fabrication of the member is complete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member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before the input portion and the discharge portion are joined, and FIG. 12 is a view of the inner member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input portion and the discharge portion are joined.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13 is a partial 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BB' of FIG. 12.

본 발명에 따른 내부부재는 일부 영역이 천공되더라도 내용물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의 P지점에서 천공이 발생되면, 본 발명에 따른 내부부재는 해당 천공(P)에 의해서 「d-d'-e'-e」로 구성되는 면과 직접적으로 접하는 내용물에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부재의 상부 테두리와 하부 테두리는 투입부 및 배출부의 상부 및 하부 테두리를 따라서 전체적으로 각각 접합되므로 「d-d'-e'-e」로 구성되는 면을 구성하는 외피의 어느 한 곳에 천공이 발생되더라도 이로 인한 영향은 「d-d'-e'-e」로 구성되는 면과 접하는 내용물에만 미치기 때문이다.The inn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contamination of contents even if some areas are perforated. As shown in FIG. 12, when a perforation occurs at point P of the outer skin, the inn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contacts the surface consisting of ``d-d'-e'-e'' by the perforation (P). Only the contents will be affect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rims of the inner member are entirely joined along the upper and lower rims of the inlet and discharge parts, so any one of the outer shells constituting the surface consisting of ``d-d'-e'-e'' This is because even if a perforation occurs in the place, the effect of this affects only the content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composed of “d-d'-e'-e”.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부재 본체는 상부 테두리를 따라서 D(약 5cm)정도 여유폭을 남겨둔 채로 외피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투입부(250-1)의 하부 테두리와 접합된다. 유사하게 내부부재 본체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서 D(약 5cm)정도 여유폭을 남겨둔 채로 외피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배출부(260-1)의 상부 테두리와 접합시키면 투입부 및 배출부가 부착된 내부부재가 완성된다. 내피는 내용물을 축적시킬 때 사각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투입부(250-1) 및 배출부(260-1)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투입부(250-1) 및 배출부(260-1)는 외피로만 형성한다.As shown in Fig. 13, the inner memb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joined with the lower rim of the input unit 250-1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outer shell while leaving a margin width of about D (about 5 cm) along the upper rim. . Similarly, if the inner member is joined with the upper rim of the discharge part 260-1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outer shell while leaving a margin width of about D (about 5 cm) along the lower rim of the inner member, the inner member with the input part and the discharge part attached. Is completed. Since the endothelium is used only for maintaining a square shape when accumulating contents, it is not necessary to extend to the input unit 250-1 and the discharge unit 260-1, so the input unit 250-1 and discharge The part 260-1 is formed only with the outer shell.

도 11 내지 도 13에 제시된 내부부재는 외부부재와 결합되어 이중 컨테이너 백을 형성한다. 외부부재까지 결합된 이중 컨테이너 백의 사시도는 도 11 및 도 12와 차이가 없으므로 별도 도시하지 않는다. 외부부재까지 결합된 이중 컨테이너 백을 도 12에 제시된 바와 같이 B-B' 방향으로 절단할 경우 해당 수직 절단면도는 도 14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절단할 경우 해당 수평 절단면도는 도 15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inner member shown in FIGS. 11 to 13 is combined with the outer member to form a double container bag. The perspective view of the double container bag coupled to the outer member is not shown separately because there is no difference from FIGS. 11 and 12. When the double container bag coupled to the outer member is cut in the BB' direction as shown in FIG. 12, the vertical cutaway view may have a shape as shown in FIG. 14, and when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orresponding horizontal cutaway view is shown in FIG. 15 It can have the same shape as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컨테이너 백은 내부부재 외피(210a, 210b) 외측 둘레를 따라 외부부재(100)가 위치하고, 외부부재(100)의 상단 테두리 및 하단 테두리는 각각 내부부재의 상단 테두리 및 하단 테두리를 따라서 함께 열융착으로 접합된다. 또한, 내부부재 상단 테두리에는 외피로 형성되는 투입부(250-1)의 외측으로 외부부재 투입부(250-2)가 접합되며, 유사한 방식으로 내부부재 하단 테두리에는 외피로 형성되는 투입부(250-1)의 외측에 외부부재 배출부(260-2)가 접합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부재 외측에 약간의 사이공간을 두고 외부부재(100)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4, in the double container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member 100 is loca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member outer shells 210a and 210b, and the upper and lower rims of the outer member 100 are each inner member. It is joined together by heat fusion along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In addition, the outer member input unit 250-2 is bonded to the outside of the input unit 250-1 formed as an outer shell on the upper edge of the inner member, and in a similar manner, the input unit 250 formed as an outer skin at the lower edge of the inner member The external member discharge part 260-2 is joined to the outside of -1).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5, the outer member 100 is formed with a slight interspace outside the inner member.

도 10A 내지 도 10C에 제시된 내부부재는 내피를 두 개의 부재(제1내부부재 및 제2내부부재)로 형성하고 이를 결합하여 형성하는 경우다. 필요에 따라서는 내피를 하나의 부재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내피를 하나의 부재로 형성할 경우 제작 과정에 다소 번거러움이 있기는 하나 여전히 전통적인 제작 방식에 비해 대부분의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도 16은 내피를 하나의 부재로 형성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내부부재의 최종 제작 도면이며, 도 10C와 대응되는 도면이다. 도 16에 제시된 실시예의 내피(220)는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구비되지 않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하였다.The inner member shown in FIGS. 10A to 10C is a case in which the endothelium is formed of two members (a first inner member and a second inner member) and is formed by combining them.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endothelium can be formed as a single member if necessary. In the case of forming the endothelium as a single member,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omewhat cumbersome, but it is still possible to automate most of the proces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manufacturing method. 16 is a drawing of the final fabrication of the inner member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nner skin is formed as one member, and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10C. The endothelium 22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6 is formed of a single member without a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도 17은 도 16과 같은 방식으로 제작된 내부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8은 수평 단면도이다. 내피(220)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된 구성 외에는 도 8 및 도 9에 제시된 실시예의 사시도 및 평면도와 동일하다.1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member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16, and FIG. 18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It is the same as the perspective view and plan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8 and 9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endothelium 220 is formed as a single member.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using specific terms, but such terms are only for clarif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nd described terms of the present invention depart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t is obvious that various change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the fact. These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외부부재
115a, 115b, 115c, 115d, 116a, 116c: 모서리 봉재부
150: 사이공간
160a: 제1모서리 공간부 160b: 제2모서리 공간부
160c: 제3모서리 공간부 160d: 제4모서리 공간부
200: 내부부재 210: 내부부재 외피
210a: 제1외피 210b: 제2외피
210c: 제3외피 210d: 제4외피
220: 내부부재 내피 220a: 제1내피
220b: 제2내피 250: 투입부
250-1: 외피로 형성되는 투입부
250-2: 외부부재로 형성되는 투입부
260: 배출부
260-1: 외피로 형성되는 배출부
260-2: 외부부재로 형성되는 배출부
P: 천공 부위 X: 접합 부위
100: external member
115a, 115b, 115c, 115d, 116a, 116c: corner bar
150: interspace
160a: first edge space 160b: second edge space
160c: third edge space 160d: fourth edge space
200: inner member 210: inner member outer shell
210a: first sheath 210b: second sheath
210c: third sheath 210d: fourth sheath
220: inner member endothelium 220a: first endothelium
220b: second endothelium 250: input portion
250-1: input part formed by the outer skin
250-2: input part formed of an external member
260: discharge unit
260-1: discharge part formed by the outer skin
260-2: discharge part formed by an external member
P: perforation site X: joint site

Claims (9)

방수재질 외피와 합성수지사를 직조한 내피를 상호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백의 내부부재 제조 방법으로서,
제1너비를 갖는 제1내피 및 제2내피로 구성되는 내피와, 상기 제1너비보다 작은 제2너비를 갖는 제1외피 및 제2외피와 제2너비보다 작은 제3너비를 갖는 제3외피 및 제4외피로 구성되는 외피를 준비하는 제1단계와,
제1내피 상부에 제1외피를 중앙에 위치시키고, 제1내피 하부 좌우측에 각각 제3외피 및 제4외피를 위치시킨 후, 제1내피와 제1외피를 복수 개 지점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접합하고, 제3외피의 일 단변부를 a지점에서 제1내피와 높이 방향을 따라 접합시키고, 제4외피의 일 단변부를 d지점에서 제1내피와 높이 방향을 따라 접합시키는 제2단계와,
- 제2단계에서 제1내피 하부에 놓여지는 제3외피의 일 단변부는 제1내피 상부에 놓여지는 제1외피의 좌측 단변보다 중앙측으로 놓여져서 제1외피와 제3외피는 제1내피를 기준으로 상하에서 중첩되는 영역을 갖도록 접합됨. -
- 제2단계에서 제1내피 하부에 놓여지는 제4외피의 일 단변부는 제1내피 상부에 놓여지는 제1외피의 우측 단변보다 중앙측으로 놓여져서 제1외피와 제4외피는 제1내피를 기준으로 상하에서 중첩되는 영역을 갖도록 접합됨. -
제2내피 하부에 제2외피를 중앙에 위치시키고, 제2내피 상부 좌우측에 각각 제3외피 및 제4외피를 위치시킨 후, 제2내피와 제2외피를 복수 개 지점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접합하고, 제3외피의 타 단변부를 h지점에서 제2내피와 높이 방향을 따라 접합시키고, 제4외피의 타 단변부를 e지점에서 제2내피와 높이 방향을 따라 접합시키는 제3단계와,
- 제3단계에서 제2내피 상부에 놓여지는 제3외피의 타 단변부는 제2내피 하부에 놓여지는 제2외피의 좌측 단변보다 중앙측으로 놓여져서 제2외피와 제3외피는 제2내피를 기준으로 상하에서 중첩되는 영역을 갖도록 접합됨. -
- 제3단계에서 제2내피 상부에 놓여지는 제4외피의 타 단변부는 제2내피 하부에 놓여지는 제2외피의 우측 단변보다 중앙측으로 놓여져서 제2외피와 제4외피는 제2내피를 기준으로 상하에서 중첩되는 영역을 갖도록 접합됨. -
제1내피의 일 단변부를 제2내피의 일 단변부와 결합하여 제1결합부를 형성하고, 제1내피의 타 단변부를 제2내피의 타 단변부와 결합하여 제2결합부를 형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내부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ner member of a container bag formed by mutually bonding a waterproof outer skin and an inner skin woven with synthetic resin yarn,
An endothelium consisting of a first endothelium and a second endothelium having a first width, a first skin having a second width less than the first width, and a third skin having a third width less than the second width and the second skin And a first step of preparing an outer shell composed of a fourth outer shell,
After placing the first outer skin in the center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endothelium, and placing the third and fourth ski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first endothelium, respectively, the first endothelium and the first outer skin are join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t a plurality of points. And a second step of joining one short side of the third shell along the height direction with the first endothelium at point a, and joining the one short side of the fourth shell along the height direction with the first endothelium at point d,
-In the second step, one short side of the third sheath placed under the first endothelium is placed toward the center rather than the left short side of the first sheath placed above the first endothelium, so that the first and third skins are based on the first endothelium. It is joined to have an overlapping area at the top and bottom. -
-In the second step, one short side of the fourth sheath placed under the first endothelium is placed toward the center rather than the right short side of the first sheath placed above the first endothelium, so that the first and fourth skins are based on the first endothelium. It is joined to have an overlapping area at the top and bottom. -
After placing the second skin in the center under the second endothelium, and placing the third and fourth skins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endothelium, respectively, the second and second skins are join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t a plurality of points. And a third step of joining the other short side of the third shell along the height direction with the second endothelium at point h, and the other short side of the fourth shell joining the second endothelium at the point e along the height direction,
-In the third step, the other short side of the third outer sheath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endothelium is placed toward the center of the left short side of the second outer sheath placed under the second endothelium, so that the second and third outer skins are based on the second endothelium. It is joined to have an overlapping area at the top and bottom. -
-In the third step, the other short side of the fourth sheath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endothelium is placed toward the center of the second sheath placed under the second endothelium, so that the second and fourth skins are based on the second endothelium. It is joined to have an overlapping area at the top and bottom. -
The fourth step of combining one short side of the first endothelium with one short side of the second endothelium to form a first coupling part, and combining the other short side of the first endothelium with the other short side of the second endothelium to form a second coupling part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bag inner memb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피와 상기 제1내피는 상기 a지점, b지점, c지점 및 상기 d지점에서 각각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접합되며,
상기 제2외피와 상기 제2내피는 상기 e지점, f지점, g지점 및 상기 h지점에서 각각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접합되며,
상기 a~b 지점 사이의 제1외피의 너비 및 상기 c~d 지점 사이의 제1외피의 너비는 각각 상기 a~b 지점 사이의 제1내피의 너비 및 상기 c~d 지점 사이의 제1내피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e~f 지점 사이의 제2외피의 너비 및 상기 g~h 지점 사이의 제2외피의 너비는 각각 상기 e~f 지점 사이의 제2내피의 너비 및 상기 g~h 지점 사이의 제2내피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내부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outer skin and the first endothelium are mutually joined along a height direction at the points a, b, c, and d, respectively,
The second outer skin and the second endothelium are mutually bon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t the e point, f point, g point and the h point, respectively,
The width of the first envelope between points a to b and the width of the first envelope between points c to d are respectively the width of the first endothelium between points a to b and the first endothelium between points c to d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width of the second envelope between the e-f points and the width of the second envelope between the g-h points are respectively the width of the second endothelium between the e-f points and the second endothelium between the g-h points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bag inner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b 지점 사이 및 상기 c~d 지점 사이의 제1내벽, 상기 e~f 지점 사이 및 상기 g~h 지점 사이의 제2내벽에는 각각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 관통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내부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inner wall between the points a to b and the points c to d, and the second inner wall between the points e to f and between the points g to h are each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bag inner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방수재질 외피와 합성수지사를 직조한 내피를 상호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백의 내부부재에 있어서,
수평 단면이 폐곡면을 이루는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 외피 중 일부는 상기 내피의 외면에 접합되고, 나머지 상기 외피는 상기 내피의 내면에 접합되며,
상기 내피 내면에 접합되는 외피와 상기 내피 외면에 접합되는 외피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내피를 기준으로 내외에서 중첩되도록 접합되고,
상기 내피는 일정한 너비와 높이를 가지며 양 단변부가 상호 결합되는 제1내피 및 제2내피와,
- 상기 제1내피 및 상기 제2내피의 상호 결합부위는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로 형성됨 -
상기 외피는 제1외피, 제2외피, 제3외피 및 제4외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외피는 상기 제1내피의 외면의 네 군데 지점(a, b, c, d지점)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접합되며,
- a, b, c, d지점은 제1외피의 일 단변부로부터 상호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타 단면부까지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지점이며, a지점이 상기 제1결합부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지점임 -
상기 제2외피는 상기 제2내피의 외면의 네 군데 지점(e, f, g, h지점)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접합되며,
- e, f, g, h지점은 제2외피의 타 단변부로부터 상호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일 단면부까지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지점이며, e 지점이 상기 제2결합부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지점임 -
상기 제3외피는 상기 제1결합부와 이웃하는 상기 제1내피 및 상기 제2내피의 일부 내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접합되며,
상기 제4외피는 상기 제2결합부와 이웃하는 상기 제1내피 및 상기 제2내피의 일부 내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의 내부부재.
In the inner member of a container bag formed by mutually bonding a waterproof outer skin and an inner skin woven synthetic resin yarn,
The endothelium in which a horizontal cross section forms a closed curved surface,
The outer skin is composed of a plurality, some of the plurality of outer skins are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ndothelium, and the rest of the outer skin is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ndothelium,
The outer skin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ndothelium and the outer skin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ndothelium are bonded so that at least some regions overlap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inner skin,
The endothelium has a constant width and height and the first endothelium and the second endothelium to which both short sides are mutually coupled,
-The first endothelium and the second endothelium mutually bonded portion is formed of a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The shell is composed of a first shell, a second shell, a third shell and a fourth shell,
The first shell is join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t four points (points a, b, c, 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endothelium,
-Points a, b, c, and d are points that are sequentially located from one short side of the first shell to the other cross-section while maintaining a mutually separated distance, and point a is the point closest to the first coupling part. -
The second shell is join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t four points (points e, f, g, h)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ndothelium,
-Points e, f, g, and h are points that are sequentially located to one end face while maintaining a mutually spaced distance from the other short side of the second shell, and point e is the point closest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
The third shell is joined along a height direction to som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ndothelium adjacent to the first coupling part,
The fourth outer skin is an inner member of a container bag,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inner skin and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inner skin adjacent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re joined along a height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외피는 상기 a지점 및 상기 h지점에서 상기 제1내피 및 상기 제2내피의 일부 내면에 접합되며,
상기 제4외피는 상기 d지점 및 상기 e지점에서 상기 제1내피 및 상기 제2내피의 일부 내면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의 내부부재.
The method of claim 5,
The third shell is bonded to a partial inner surface of the first endothelium and the second endothelium at the points a and h,
The fourth outer shell is an inner member of a container ba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onded to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ndothelium at the points d and 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b 지점 사이의 제1외피의 너비 및 상기 c~d 지점 사이의 제1외피의 너비는 각각 상기 a~b 지점 사이의 제1내피의 너비 및 상기 c~d 지점 사이의 제1내피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e~f 지점 사이의 제2외피의 너비 및 상기 g~h 지점 사이의 제2외피의 너비는 각각 상기 e~f 지점 사이의 제2내피의 너비 및 상기 g~h 지점 사이의 제2내피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의 내부부재.
The method of claim 5,
The width of the first envelope between points a to b and the width of the first envelope between points c to d are respectively the width of the first endothelium between points a to b and the first endothelium between points c to d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width of the second envelope between the e-f points and the width of the second envelope between the g-h points are respectively the width of the second endothelium between the e-f points and the second endothelium between the g-h points The inner member of the container ba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b 지점 사이 및 상기 c~d 지점 사이의 제1내벽 및 상기 e~f 지점 사이 및 상기 g~h 지점 사이의 제2내벽에는 각각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 관통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의 내부부재.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inner wall between the points a to b and the points c to d and the second inner wall between the points e to f and between the points g to h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respectively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The inner member of the container bag, characterized in that.
제5항 내지 제8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컨테이너 백의 내부부재 및
상기 내부부재 외부에 결합되는 외부부재를 포함하는 이중 컨테이너 백.
The inner member of the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and
Double container bag comprising an external member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member.
KR1020200130145A 2020-10-08 2020-10-08 Inner part of container bag, container bag therewi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204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145A KR102220494B1 (en) 2020-10-08 2020-10-08 Inner part of container bag, container bag therewi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145A KR102220494B1 (en) 2020-10-08 2020-10-08 Inner part of container bag, container bag therewi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494B1 true KR102220494B1 (en) 2021-02-25

Family

ID=7473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145A KR102220494B1 (en) 2020-10-08 2020-10-08 Inner part of container bag, container bag therewi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494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432B1 (en) 2011-06-07 2012-05-10 안병선 Multiple bag type container bag for transporting and storing bulk goods
KR101556495B1 (en) * 2015-03-09 2015-10-01 안병선 Container bag of multi structure having corner space member
KR20160088714A (en) * 2015-01-16 2016-07-26 박혜진 Container bag
KR20170082354A (en) 2016-01-06 2017-07-14 신림산업 주식회사 A container bag
KR101900312B1 (en) * 2017-11-30 2018-09-19 (주)성림산업 Sack for transporting
KR20190104918A (en) * 2019-07-01 2019-09-11 최방림 Container bag having units including corner space portion
KR20190140562A (en) * 2018-06-12 2019-12-20 최방림 Container bag having pair uni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432B1 (en) 2011-06-07 2012-05-10 안병선 Multiple bag type container bag for transporting and storing bulk goods
KR20160088714A (en) * 2015-01-16 2016-07-26 박혜진 Container bag
KR101556495B1 (en) * 2015-03-09 2015-10-01 안병선 Container bag of multi structure having corner space member
KR20170082354A (en) 2016-01-06 2017-07-14 신림산업 주식회사 A container bag
KR101900312B1 (en) * 2017-11-30 2018-09-19 (주)성림산업 Sack for transporting
KR20190140562A (en) * 2018-06-12 2019-12-20 최방림 Container bag having pair unit
KR20190104918A (en) * 2019-07-01 2019-09-11 최방림 Container bag having units including corner space por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96949B1 (en) Flexible bulk container and method of assembling
AU679805B2 (en) A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EP0246777B1 (en) Cargo bag
US4850629A (en) Multiple path sling construction
KR101922377B1 (en) Baffle type container bag
US4307764A (en) Bulk material transport bag
NO772353L (en) PLATFORM FOR LIFTING AND HANDLING GOODS
US4636233A (en) Filter assembly
KR102220494B1 (en) Inner part of container bag, container bag therewi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80094549A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US5924796A (en) One piece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US10266338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overlap-structured container bag
US4715635A (en) Flexible container for transporting and storing bulk goods
KR200469015Y1 (en) Pallet for transportation
ES2654435T3 (en) Large flexible container with useful space without sewing holes
US4944604A (en) Flexible container comprising several lifting means
KR102115118B1 (en) Container bag having units including corner space portion
KR101457817B1 (en) An Airing container bag
KR102106207B1 (en) Container bag having pair unit
EP3091109A2 (en) Integrated open box-like woven fabric
KR102052041B1 (en) Container bag having units including corner space portion
GB2103576A (en) Method of manufacture of a bulk material transport bag
EP2966009A1 (en) Film insert for a flexible bulk container and flexible bulk container
DE19720353A1 (en) Flexible packaging container for liquids
EA004667B1 (en) Large package of insulation products, in particular rock wool products, in the form of panels or ro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