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426B1 - Construction method of interlayer sound insulation of building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of interlayer sound insulation of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426B1
KR102220426B1 KR1020190008917A KR20190008917A KR102220426B1 KR 102220426 B1 KR102220426 B1 KR 102220426B1 KR 1020190008917 A KR1020190008917 A KR 1020190008917A KR 20190008917 A KR20190008917 A KR 20190008917A KR 102220426 B1 KR102220426 B1 KR 102220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ound insulation
insulation layer
insulating layer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9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1747A (en
Inventor
송재형
나정현
홍재원
김현우
채유경
이장엽
이우엽
Original Assignee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화건설
이피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화건설, 이피에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8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426B1/en
Publication of KR20200091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7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4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8Edge insulation strips, e.g. for floor screed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층에서 가해진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에 대한 흡수, 소진 성능이 향상되어 다층건물의 층간소음을 차단하면서, 층간 차음재의 시공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ound insul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between floors of a building for facilitating the construction work of inter-floor sound insulation materials while blocking inter-floor noise of a multi-storey building by improving absorption and exhaustion performance for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by the impact applied from the upper floor. It is about.

Description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interlayer sound insulation of building}Construction method of interlayer sound insulation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층에서 가해진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층간소음과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building for efficiently absorbing interlayer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by an impact applied from an upper floor.

최근 급격한 산업화에 따라 다세대 주택이나 아파트 등 다층건물이 많이 건설되고 있으나, 생활수준의 향상 및 건축물의 조밀화 등으로 인하여 발생 되는 층간소음을 원인으로 한 분쟁이 증대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ccording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many multi-storey buildings such as multi-family houses and apartments are being built, but disputes due to inter-floor noise caused by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and densification of buildings are increasing.

이와 관련하여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 보건상의 문제로 인하여 다층 건물 특히,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측정 및 평가방법, 바닥충격음 성능등급의 기준과 소음기준치가 법으로 규제되고 있는 실정이다.In this regard, due to environmental and health problems caused by noise and vibration, the method of measuring and evaluating the floor impact sound blocking performance of multi-storey buildings, especially apartment houses, and the standards and noise standard values of the floor impact sound performance class are regulated by law.

일반적인 다층 건물의 구축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general multi-story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is as follows.

먼저 토공이나 지반 다짐 등의 기초공사를 하고, 지반 위에 H형 빔, I형 빔 등의 철골 프레임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골격구조를 형성시킨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철골 프레임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설치한 다음, 철골 프레임 상호 간을 용접 또는 브라켓 등으로 체결하여 건축물의 골격구조를 형성한다.First, foundation works such as earthwork or ground compaction are performed, and the skeleton structure of the building is formed using steel frames such as H-beam and I-beam on the ground. Specifically, a plurality of steel frames are install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then the steel fram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elding or brackets to form the skeleton structure of the building.

다음으로, 수직으로 설치된 철골프레임의 사이에는 벽돌을 조직하거나 또는 거푸집을 설치하여 내부에 철근을 결선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벽체를 구축한다. 그리고 수평으로 설치된 철골 프레임에는 거푸집을 깔고 그 위에 철근을 결선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슬래브(slab)를 구축한다.Next, between the vertically installed steel frames, a brick is organized or a formwork is installed to connect reinforcing bars inside, and then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to build a wall. In addition, a formwork is laid on the horizontally installed steel frame, reinforcing bars are connected on it, and then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to construct a slab.

이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일정기간이 지난 후 거푸집을 해체하면 한 층이 구축된다. 그리고 계속적으로 거푸집의 설치 및 콘크리트 타설, 양생 작업을 수회 반복함으로써 여러 층을 구축한다. 이와 같이 구축된 건축물은, 여러 세대가 거주할 수 있도록 벽체와 슬래브에 의해 구획되어 다층을 가짐과 동시에 하나의 층에는 여러개의 거주 공간으로 구획된다.In this way, if the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and the formwork is dismantl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one floor is built. In addition, several floors are constructed by continuously repeating the installation of formwork, pouring concrete, and curing several times. A building constructed in this way has multiple floors divided by walls and slabs so that several generations can live, and at the same time, one floor is divided into several living spaces.

소음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데시벨(dB)로 표시되는데 환경에 따라 지켜져야 하는 소음의 수준이 정해져 있다. 이를 초과하는 소음일 경우에는 흡음재나 차음재를 사용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하며 법규에 제시된 기준을 준수하여야만 한다.The noise level is generally expressed in decibels (dB), and the level of noise that must be observ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the case of noise exceeding this, sound-absorbing materials or sound-insulating materials should be used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and standards suggested in laws and regulations should be observed.

층간 차음재의 법적 기준 중 경량 충격음은 비교적 가볍고 딱딱한 충격에 의한 바닥 충격음을 의미하고 법적 기준은 58dB 이하로 규정되어 있고, 중량충격음은 무겁고 부드러운 충격에 의한 바닥 충격음을 의미하고 법적 기준은 50dB 이하로 규정되어 있다.Among the legal standards for interlayer sound insulation, lightweight impact sound means floor impact sound caused by a relatively light and hard impact, and the legal standard is 58 dB or less, while weight impact sound means floor impact sound caused by heavy and soft impact, and legal standard is 50 dB or less. Has been.

다층건물의 경우 다수의 사람들이 함께 생활을 하고 있으므로, 슬래브 바닥을 시공함에 있어서 충간(상층과 하층)의 소음과 진동을 차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In the case of a multi-story building, since many people live together, it is very important to block the noise and vibration of the floor space (upper and lower floors) when constructing the slab floor.

상층에서 가해지는 충격 등 구체적으로 사람의 보행, 물건의 낙하, 특히 어린이들의 심한 요동으로 인한 충격 등이 하층에 가해지면 바닥 슬래브, 천장 또는 벽체 등의 바닥구조가 진동함으로써 바닥 충격음이 발생 되고, 이렇게 발생된 음은 여러 위치로 전달되어 구조체의 표면을 진동시킴으로서 직접 방사되는 공기음처럼 아래층 거주자에게 심한 피해를 주게 된다. When a shock from the upper floor is specifically applied to the lower floor, such as a person's walking, falling objects, and particularly a shock due to severe vibration of children, the floor structure such as the floor slab, ceiling, or wall vibrates, generating a floor impact sound. The generated sound is transmitted to various locations and vibrates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causing severe damage to the occupants of the lower floors like the air sound directly radiated.

따라서 충격흡수를 위한 완충재, 그리고 소음을 소진하기 위한 차음구조의 시공은 건축물의 바닥 시공공사에 있어 필수적이다.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a cushioning material for shock absorption and a sound insulation structure to exhaust noise is essential in the construction of the floor of a building.

그러나 종래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는 층간 발생 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하는 효과가 미비하여 위층에서 가해지는 소음과 진동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하층에 거주하는 입주자는 소음과 진동으로 심한 피해를 입고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ound insulation structure between floors of a conventional building has insufficient effect of absorbing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between floors, and thus does not effectively block noise and vibration applied from an upper floor. Accordingly, tenants living in the lower floors are severely damaged by noise and vibration.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5-005199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5199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과 진동에 대한 흡수, 소진 성능이 향상되어 다층건물의 층간소음을 차단하면서 차음구조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bsorption and exhaustion performance against noise and vibration, thereby blocking the inter-floor noise of a multi-storey building, and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a sound insulation structure It is to provide a sound insul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는 구획층; 상기 구획층과 접촉하도록 상기 구획층의 상부에 밀착 설치되는 하부차음층과 상기 하부차음층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차음층을 수용하면서 상기 하부차음층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차음층을 구비하고, 상기 구획층의 상부에 설치되는 차음층; 상기 차음층의 상부에 설치되는 기포층; 상기 기포층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르타르층; 상기 차음층과 상기 기포층과 상기 모르타르층이 상기 벽체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층; 및 상기 이격층에 설치되는 측면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tition layer; And a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tition layer so as to contact the partition layer, and an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disposed on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while receiving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above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the A sound insulation layer installed on the partition layer; A foam layer disposed on the sound insulation layer; A mortar layer disposed on the foam layer; A separating layer in which the sound insulation layer, the foam layer, and the mortar layer are spaced apart from the wall to form a space; And a side layer installed on the separation layer.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구획층을 시공하는 구획층 시공단계; 상기 구획층의 상부에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가 구비된 차음층을 설치하는 차음층 시공단계; 및 상기 차음층의 상부에 건축물의 난방파이프가 설치되는 모르타르층을 시공하는 모르타르층 시공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rtition layer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a partition layer by pouring and curing concrete; A sound insulation layer construction step of installing a sound insulation layer having a first space portion and a second space portion on the partition layer; And a mortar layer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a mortar layer on which a heating pipe of a building is installed on the sound insulation laye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구획층 시공단계 이후에 상기 구획층의 상부에 돌출된 부분이나 함몰된 부분을 점검하며, 상기 구획층 상부에 배관상태를 확인하는 준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partition layer construction step, a protruding portion or a recessed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layer is check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layer It may further include a; preparation step of checking the piping condi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준비단계 이후에, 배관상태를 확인한 결과 확인된 배관의 방향과 개수에 따라 상기 차음층의 시공방향을 결정하는 시공방향 결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ound insulation structure between floors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preparation step, the construction direction of the sound insulation lay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number of pipes confirme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pipe condition. Construction direction determination step; may further includ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시공방향 결정단계 이후에, 건축물의 벽체부위인 이격층이 형성되는 부분에 측면층을 설치하는 측면층 시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nstruction direction determining step, a side layer construction step of installing a side layer in a portion where a separation layer, which is a wall part of the building, is formed.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차음층 시공단계에서 상기 차음층은, 상기 구획층과 접촉하도록 상기 구획층의 상부에 밀착 설치되는 하부차음층과 상기 하부차음층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차음층을 수용하면서 상기 하부차음층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차음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ound insulation layer construction step, the sound insulation layer is a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that is close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layer so as to contact the partition layer. And an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while receiving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above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층 시공단계 이후에 상기 상부차음층에 상기 하부차음층의 상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상부차음층에 상기 하부차음층을 삽입하여 상기 상부차음층과 상기 하부차음층을 결합하는 결합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is provided with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so that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after the side layer construction step. A bonding step of combining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and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by inserting a layer; may further includ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차음층 시공단계 이후에 결합된 상기 상부차음층과 상기 하부차음층 사이에 이격된 틈새를 테이프로 밀봉하는 테이핑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aping to seal the gap spaced apart between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joined after the sound insulation layer construction step with tape Step; may further includ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테이핑 단계 이후에 상기 기포층을 타설하거나 상기 기포층을 타설하지 않고 상기 기포층을 타설하는 경우에 상기 기포층을 양생하는 기포층 시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pouring the foam layer after the taping step or the foam layer without pouring the foam layer, the foam layer It may further include a; bubble layer construction step to cur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차음층 시공단계에서, 상기 상부차음층은 발포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차음층은 발포폴리스틸렌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ound insulation layer construction step,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is formed of expanded polypropylene, and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is formed of expanded polystyrene. I ca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발포폴리프로필렌의 발포 배율은 15배 이상 내지 80배 이하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ansion ratio of the expanded polypropylene may be formed to be 15 times or more to 80 times or less.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는 상부차음층과 하부차음층의 이중층로 형성된 차음층를 구비하고, 상부차음층에는 제1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차음층에는 제2 공간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과 진동이 제1 공간부에서 1차적으로 소진되고, 남은 소음과 진동 또한 제2 공간부에서 2차적으로 소진되어 다층건물의 층간소음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ound insulation layer formed of a double layer of an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a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a first space part is formed in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a second space part is formed in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The generated noise and vibration are primarily exhausted in the first space, and the remaining noise and vibration are also secondarily exhausted in the second space, thereby effectively blocking inter-floor noise of the multi-story build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은 상부차음층과 하부차음층의 이중층으로 형성되고, 상부차음층 및/또는 하부차음층의 소재를 발포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발포폴리스틸렌을 조합하여 사용함에 따라 차음효과를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차음구조의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double layer of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the material of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and/or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is combined with expanded polypropylene and/or expanded polystyrene. As a result, the sound insulation effect can be improved and the cost of the sound insulation structure can be reduced.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은 차음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부차음층과 하부차음층으로 형성하면서도 하부차음층이 상부차음층에 삽입설치되는 결합단계를 구비함에 따라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과정에서는 차음층을 일회 시공하면 되도록 하여 차음구조의 시공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Moreove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n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a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in order to increase the sound insulation effect, and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is inserted into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thus the combination step is provided.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ound insulation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sound insulation layer once, so that the ease of construction work of the sound insulation structur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차음층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하부차음층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상부차음층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차음층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5의 A-A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5의 C-C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은 차음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차음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차음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차음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차음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의 절차도를 나타낸다.
1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nd insulation structure between floors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nd insulation structure between floors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nd insulation layer of an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of an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of an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 insulation layer of a sound insulation structure between floors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FIG. 5.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C portion of FIG. 5.
9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sound insulation test.
10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sound insulation test.
1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sound insulation test.
1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sound insulation test.
1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sound insulation test.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nd insulation structure between floors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nd insulation structure between floors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shows a procedure diagram of a construction method of a sound insulation structure between floors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및 시공방법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as examples in ord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indicate the same element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drawings,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therefore,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and/or elem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does not exclude add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nd insulation structure between floors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nd insulation structure between floors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차음층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하부차음층의 사시도를 나타낸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nd insulation layer of an inter-floo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of the interstory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상부차음층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차음층의 사시도를 나타낸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of an inter-floo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 insulation layer of an inter-floo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5의 A-A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8은 도 5의 C-C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A of FIG. 5,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C-C of FIG. 5.

도 9은 차음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차음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9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sound insulation test, and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sound insulation test.

도 11은 차음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2은 차음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1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sound insulation test, and FIG. 1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sound insulation test.

도 13은 차음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13 is a graph showing a result of a sound insulation test, and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nd insulation structure between floors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의 절차도를 나타낸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nd insulation structure between floors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sound insulation structure between floors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수평방향"이란 가로방향, 즉 도 4 내지 도 6에서 X축 방향을 의미하고, "수직방향"이란 수평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높이방향, 즉 도 4 내지 도 6에서 Z축 방향을 의미하며, "폭방향"이란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세로방향, 즉 도 4 내지 도 6에서 Y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부(상방)이란 "수직방향"에서 위쪽 방향, 즉 도 4 내지 도 6에서 Z축의 위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하방)이란 "수직방향"에서 아래쪽 방향, 즉 도 4 내지 도 6에서 Z축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The definitions of terms used below are as follows. "Horizontal direction" means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X-axis direction in Figs. 4 to 6, and the "vertical direction" refers to the height direction while being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Z-axis direction in Figs. 4 to 6, The "width direction" means a vertical direction while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Y-axis direction in FIGS. 4 to 6. In addition, the upper (upward) refers to an upward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a direction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Z axis in FIGS. 4 to 6, and the lower (downward) refers to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FIGS. 4 to 6 It means the direction from 6 to the bottom of the Z axis.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1)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1)는 구획층(40), 차음층(30), 기포층(20). 모르타르층(10)을 포함한다.An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1 of a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1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tition layer 40, a sound insulation layer 30, and a foam layer 20. It includes a mortar layer (10).

구획층(40)은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구획층(40)은 구획층(40)의 상부에 차음층(30), 기포층(20) 및 모르타르층(10)가 배열되거나 설치될 수 있는 면(surface)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The partition layer 40 serves to divide the upper and lower floors of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partition layer 40 serves to provide a surface on which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the foam layer 20, and the mortar layer 10 can be arranged or installed on the partition layer 40. .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획층(40)은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슬래이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partition layer 40 may be specifically made of a concrete slab.

기포층(20)은 차음층의 상부에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포층(20)은 경량기포 콘크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사용하게 되면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불에 타지 않아 건축물의 안전성을 높이면서도 강도가 우수하면서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차음층의 두께가 상향하는 비율에 따라 기포층(20)이 축소 또는 삭제 할 수 있다.The foam layer 20 is installed on the sound insulation layer.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foam layer 20 may be made of lightweight foam concrete. I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is used, it will not burn in the event of a fire in the building, thus enhancing the safety of the building, while improving the strength and reducing the weight. In addition, the foam layer 20 may be reduced or eliminated according to a ratio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sound insulation layer is increased.

모르타르층(10)은 건축물의 난방파이프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기포층(20)의 상부에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모르타르층(10)은 시멘트 모르타르(시멘트와 물을 섞은 것)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시켄트, 모래,물을 섞은 것)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rtar layer 10 serves to provide a space in which a heating pipe of a building can be installed, and is formed on the foam layer 20.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mortar layer 10 may be made of a cement mortar (a mixture of cement and water) or a concrete mortar (a mixture of sekent, sand, and water).

차음층(30)은 건축물의 상층의 소음이 하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차음층(30)은 구획층(40)의 상부에 설치된다.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serves to block noise from the upper floors of the building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s. In addition,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is installed on the partition layer 40.

차음층(30)은 상부차음층(31)와 하부차음층(32)를 포함한다.The sound insulating layer 30 includes an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and a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하부차음층(32)은 차음층(30)의 하부를 구성하고, 구획층(40)의 상부에 설치된다.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32 constitutes the lower part of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and is installed on the partition layer 40.

상부차음층(31)은 차음층(30)의 상부를 구성하고, 하부차음층(32)의 상부에서 하부차음층(32)를 수용하도록 설치된다.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constitutes an upper portion of the sound insulating layer 30 and is installed to accommodate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above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차음층(30)은 상부차음층(31)과 하부차음층(32)으로 형성되는 이중구조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이중구조에 의해 건축물의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이 하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has a double structure formed of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31 and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32. This double structure effectively prevents the transmission of noise generated from the upper floors of the building to the lower floors. Can be block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재(1)의 차음층(30)의상부차음층(31)은 발포폴리스틸렌(expanded polystyrene,EPS)으로 형성되고, 하부차음층(32)은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of the sound insulating layer 30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ng material 1 of a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expanded polystyrene (EPS), and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is foamed polystyrene. It may be formed of propylene (expanded polypropylene. EPP).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재(1)의 차음층(30)의 상부차음층(31)은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으로 형성되고, 하부차음층(32)는은발포폴리스틸렌(expanded polystyrene,EPS)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of the sound insulating layer 30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ng material 1 of a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expanded polypropylene (EPP), and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is formed. Silver may be formed of expanded polystyrene (EPS).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 이란 자동차 부품이나 포장재, 건축재, 단열재 등에 사용되는 첨단 소재로 깨짐성, 유연성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여 제품 포장의 안정성을 높이고 부피를 소형화하는데 적합한 소재이다.Expanded polypropylene (EPP) is a high-tech material used for automobile parts, packaging materials, construction materials, insulation materials, etc. It is suitable for enhancing the stability of product packaging and miniaturizing the volume due to its excellent breakability, flexi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발포폴리스틸렌(expanded polystyrene,EPS)은 완충재, 보온, 흡음등의 건축재료에 사용되는 소재이다.Expanded polystyrene (EPS) is a material used for building materials such as cushioning, heat insulation, and sound absorp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재(1)는 이격층(50)와 측면층(6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ng material 1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paration layer 50 and a side layer 60.

이격층(50)은 건축물의 벽체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차음층(30)과 기포층(20)과 모르타르층(10)이 벽체(70)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됨에 따라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The separation layer 50 refers to a space formed as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the foam layer 20, and the mortar layer 10 installed adjacent to the wall of the building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ll 70.

상층에서 가해진 충격에 의해 발생된 소음과 진동은 1차적으로 차음층(30)에 의해 소진되고, 다음으로 이격층(50)에 의해 2차적으로 소진된다. 또한, 이격층(50)을 통과한 소음과 진동은 상층으로 다시 전달되게 되므로 효과적으로 소진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소음과 진동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우수한 방음성과 방진성을 구비하게 된다.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by the impact applied from the upper layer are primarily exhausted by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and then secondaryly exhausted by the spacing layer 50. In addition, since noise and vibration passing through the separation layer 50 are transmitted back to the upper layer, they can be effectively exhausted.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ise and vibration ar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thereby providing excellent sound insulation and vibration insulation.

측면층(60)은 차음층(30)와 기포층(20)과 모르타르층(10)이 벽체(70)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됨에 따라 형성되는 공간인 이격층(50)에 삽입 설치된다The side layer 60 is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layer 50, which is a space formed as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the foam layer 20, and the mortar layer 10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ll 70.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측면층(60)은 발포폴리에틸렌(expanded polyethlene)로 이루어 질 수 있다,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side layer 60 may be made of expanded polyethlene.

또한, 측면층(60)은 상술한 상부차음층(31) 및 하부차음층(32)과 같이 2중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면층(60)의 벽체(70)와 근접한 부분인 외측부와 측면층(60)의 차음층(30)과 근접한 부분인 내측부의 2중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layer 60 may be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like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and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described above. That is, it is possible to form a double structure of an outer portion of the side layer 60 that is a portion close to the wall 70 and an inner portion of the side layer 60 that is a portion close to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그리고, 이중구조로 형성된 측면층(60)의 외측부는 발포폴리스틸렌(expanded polystyrene,EPS)으로 형성되고, 내측부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ortion of the side layer 60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may be formed of expanded polystyrene (EPS), and the inner portion may be formed of expanded polypropylene (EPS).

또한, 이중구조로 형성된 측면층(60)의 외측부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으로 형성되고, 내측부는 발포폴리스틸렌(expanded polystyrene,EPS)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ortion of the side layer 60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may be formed of expanded polypropylene (EPS), and the inner portion may be formed of expanded polystyrene (EPS).

상부차음층(31) 또는 상기 하부차음층(32)를 형성하는 발포폴리스틸렌과 발포폴리프로필렌은 발포 배율은 15배 이상 내지 80배 이하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amed polystyrene and expanded polypropylene forming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or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may be formed such that the expansion ratio is 15 to 80 times.

발포배율이란 발포되기 이전에 비해 몇배나 발포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척도이다. 일 예로 발포 배율이 40배란 의미는 발포전에 비해 40배로 발포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Foaming magnification is a measure to check how many times the foaming has occurred compared to before foaming. For example, a foaming ratio of 40 times means that it has been foamed at 40 times compared to before foaming.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재(1)의 적층 순서를 살펴본다.Referring to Figure 1 looks at the stacking sequence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material 1 of a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을 구획하는 구획층(40)와 건축물의 벽체를 이루 벽체(70)에 의해 건축물의 층이 형성된다.First, the layer of the building is formed by the partition layer 40 that divides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building and the wall of the building by the wall 70.

벽체(70)에 형성되는 이격층(50)이 위치하는 부분에 측면층(60)을 설치한다. The side layer 60 is installed in the portion where the separation layer 50 formed on the wall 70 is located.

구획층(40)의 상부에는 하부차음층(32)과 상부차음층(31)가 결합된 차음층(30)가 적층 설치되어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이나 진동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A sound insulating layer 30 in which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and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are combined is stacked on the partition layer 40 to block noise or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upper layer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차음층(30)의 상부에는 기포층(20)가 적층 설치되어 건축물 자체의 하중을 경감시키고, 건축물의 화재예방도 가능하며, 기포층을 통한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이나 진동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어느정도 방지할 수 있다.A foam layer 20 is laminated on the top of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to reduce the load of the building itself, prevent fire of the building, and prevent noise or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upper floor through the foam layer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It can be prevented to some extent.

기포층(20)의 상부에는 모르타르층(10)이 적층 설치되고, 모르타르층(10)에는 건축물의 난방파이프가 설치될 수 있다.A mortar layer 10 may be stacked on the foam layer 20 and a heating pipe for a building may be installed on the mortar layer 10.

도 1을 참조하면, 구획층(40)의 높이(H1), 하부차음층(32)의 높이(H2), 상부차음층(31)의 높이(H3), 기포층(20)의 높이(H4) 및 모르타르층(10)의 높이(H5)의 비율은 4:3:2:2:2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height of the partition layer 40 (H1), the height of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32 (H2), the height of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31 (H3), the height of the foam layer 20 (H4) ) And the height H5 of the mortar layer 10 may be formed to be 4:3:2:2:2.

상술한 5개의 층의 높이 비율을 4:3:2:2:2가 되도록 형성하면 상층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이 하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음효과가 높으면서도, 건축물의 하중을 감소시켜 건축물의 하중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설비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동시에 건축물의 강성을 유지하여 건축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If the height ratio of the above five floors is formed to be 4:3:2:2:2, the sound insulation effect that blocks noise or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upper floor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is high, while reducing the load of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required for reinforcement facilities to reinforce the load of the building,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building by maintaining the rigidity of the building.

도 5를 참조하면, 상부차음층(31)은 바디부(311), 격벽부(317) 및 삽입공간(318)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includes a body part 311, a partition wall part 317, and an insertion space 318.

바디부(311)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구비하고 상부차음층(31)의 외형을 형성한다.The body part 311 has a certain width and length and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격벽부(317)는 상기 바디부(311)의 둘레를 따라 하부로 연장 형성된다.The partition wall portion 317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portion 311.

삽입공간(318)은 상기 바디부(311)와 상기 격벽부(317)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즉, 바디부(311)의 하부에 격벽부(311)에 의해 둘러쌓이는 공간이 형성되어 하부차음층(32)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insertion space 318 refers to a space formed by the body part 311 and the partition wall part 317. That is, a space enclosed by the partition wall part 311 is formed under the body part 311 to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32.

도 4를 참조하면 하부차음층(32)은 베이스부(321)를 구비하고 베이스부(321)에는 리브부(322)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32 includes a base portion 321 and a rib portion 322 is formed in the base portion 321.

베이스부(321)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구비하고 하부차음층(32)의 외형을 형성한다. 또한, 베이스부(321)는 상부차음층(31)의 삽입공간(318)에 삽입 설치된다.The base part 321 has a certain width and length and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32. In addition, the base portion 321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insertion space 318 of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31.

즉, 상부차음층(31)의 삽입공간(318)에 하부차음층(32)의 베이스부(321)사 삽입 설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중구조로 형성하여 차음층(30)의 차음효능을 높이면서고 상부차음층에 하부차음층를 삽입함으로서 마치 1개의 차음층를 설치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시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시공자의 시공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고, 시공시간을 절감하여 인건비를 포함한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at is, the base portion 321 of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32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insertion space 318 of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31. Accordingly, it is formed in a dual structure to increase the sound insulation effect of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and by inserting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into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the construction work can be performed as if installing one sound insulation layer, so that the construction work is convenient. It can increase and reduce construction time to reduce construction costs including labor costs.

리브부(322)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리브부(322)는 수평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직렬로 형성된다.The rib portion 322 may be formed in plural, and each rib portion 322 is formed in serie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각각의 리브부(322)는 베이스부(321)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리브부(322)는 폭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하부차음층(32)의 폭방향의 길이와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each rib portion 32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321, and each rib portion 322 formed to protrude extends along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32 It is formed to almost match the length of.

도 5를 참조하면, 상부차음층(31)의 바디부(311)는 세로그루브부(312), 가로그루브부(313), 교차그루브부(314) 및 격자부(31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body part 311 of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includes a vertical groove part 312, a garrog groove part 313, a cross groove part 314, and a grid part 315.

세로그루브부(312)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세로그루브부(312)는바디부(311)의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vertical groove portion 312 may be formed in plural, and each vertical groove portion 312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311.

또한, 각각의 세로그루브부(312)는 바디부(311)의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하게 형성된 각각의 세로그루브부(312)는 바디부(311)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부차음층의 폭방향의 길이와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each vertical groove portion 312 is formed to be concave below the body portion 311, and each of the vertical groove portions 312 formed to be concave is formed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311 It is formed to substantially match the length of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in the width direction.

가로그루브부(313)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가로그루브부(313)는바디부(311)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garrog groove part 313 may be formed in plural, and each garrog groove part 313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art 311.

또한, 각각의 가로그루브부(313)는 바디부(311)의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하게 형성된 각각의 가로그루브부(313)는 바디부(311)의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부차음층의 수평방향의 길이와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each of the gargorous grooves 313 is formed to be concave below the body portion 311, and each of the gargosed grooves 313 are formed to exten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311 It is formed to substantially match the length of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교차그루브부(314)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교차그루브부(314)는The cross groove portion 314 may be formed in plural, and each cross groove portion 314 is

각각의 세로그루브부(312)와 각각의 가로그루브부(313)가 직교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각각의 교차그루브부(314)는 바디부(311)의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된다.Each vertical groove portion 312 and each garrog groove portion 313 are formed at orthogonal portions, and each cross groove portion 314 is formed to be concave under the body portion 311.

격자부(315)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격자부(31)는 상기 세로그루브부(312), 상기 가로그루브부(313) 및 상기 교차그루브부(314)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서 상기 바디부(311)의 하부에 볼록하게 형성된다.A plurality of lattice portions 315 may be formed, and the lattice portion 31 includes the vertical groove portion 312, the garroga groove portion 313, and the cross groove portion 314,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cross groove portion 314 is formed. It is formed to be convex under the body portion 311.

도 4 및 도6을 참조하면, 상부차음층(31)은 제1 공간부(316)을 더 포함하고, 하부차음층(32)은 제2 공간부(323)를 더 포함한다.4 and 6,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31 further includes a first space part 316, and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32 further includes a second space part 323.

제1 공간부(316)와 제2 공간부(323)는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상층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이 하층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먼저 상부차음층(31)에 형성되는 제1 공간부에 형성된 공기층을 통해 소음이나 진동을 차단한 뒤 남은 소음이나 진동은 하부차음층(32)에 형성되는 제2 공간부에 형성된 공기층을 통해 다시 소진되도록 2중으로 차단함으로서 차음층(30)의 차음효과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first space part 316 and the second space part 323 provide a space for forming an air layer to prevent noise or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upper layer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and first,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31 Noise or vibration remaining after blocking noise or vibration through the air layer formed in the first space formed in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32 is double-blocked to be exhausted again through the air layer formed in the second space formed in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32 It plays a role of improving the sound insulation effect of the layer 30.

제1 공간부(316)는 바디부(311)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이고, 상기 세로그루브부(312), 상기 가로그루브부(313) 및 상기 교차그루브부(3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한다.The first space part 316 is a space formed under the body part 311, and defines a space formed by the vertical groove part 312, the garrog groove part 313, and the cross groove part 314. it means.

제2 공간부(323)는 베이스부(321)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이고, 베이스부(321)의 하부에 돌출된 복수의 리브부의 사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한다.The second space part 323 is a space formed under the base part 321 and refers to a space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rib parts protruding under the base part 32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부차음층(31)은 세로그루브부(312)의 수평방향 길이(D1)와 상기 세로그루브부(312)의 수직방향 길이(D2)의 비율은 10:1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그루브부(313)의 폭방향 길이(D4)와 상기 가로그루브부(313)의 수직방향 길이(D5)의 비율은 10:1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7 and 8, the ratio of the horizontal length D1 of the vertical groove portion 312 and the vertical length D2 of the vertical groove portion 312 in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31 is 10:1. It can be formed to be.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length D4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arrove portion 313 and the length D5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arrove portion 313 may be 10:1.

그리고 상기 세로그루브부(312)의 수평방향 길이(D1)와 상기 격자부(315)의 수평방향 길이(D3)의 비율이 1:10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그루브부(313)의 폭방향 길이(D4)와 상기 격자부(315)의 폭방향 길이(D6)의 비율은 1:10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ratio of the horizontal length D1 of the vertical groove portion 312 and the horizontal length D3 of the grid portion 315 may be 1:10.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length D4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arroga groove portion 313 and the length D6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id portion 315 may be 1:10.

이와 같이 상술한 비율로 구성되면 바디부(311)의 하부에는 격자부(315)와 제1 공간부(316)가 일정한 패턴을 이루면서 형성되게 된다.When the ratio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grid portion 315 and the first space portion 316 are formed under the body portion 311 while forming a constant pattern.

또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지만, 상부차음층(31)의 바디부(311)는 세로그루브부(312), 가로그루브부(313) 및 교차그루브부(314)가 바디부(311)의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골을 형성하는 높이가 모두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body part 311 of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includes a vertical groove part 312, a garrog groove part 313, and a cross groove part 314 under the body part 311 It is formed concave in the height to form a valley can be formed to match all.

이를 통해 바디부(311)의 하부에 돌출되는 격자부(315)의 돌출된 높이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세로그루브부(312), 가로그루브부(313) 및 교차그루브부(314)가 형성하는 제1 공간부(316)가 일정한 비율의 공간으로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부(311)의 하부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균일하게 제1 공간부(316)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grid portion 315 that protrud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11 can be made uniform, and the vertical groove portion 312, the garg groove portion 313 and the cross groove portion 314 are formed. The first space portion 316 may be uniformly formed in a predetermined ratio of space. Accordingly, the first space part 316 may be formed evenly and uniformly under the body part 311.

도 3 을 참조하면, 하부차음층(32)은 제2 공간부(323)의 수평방향 길이(L1)와 상기 제2 공간부(323)의 수직방향 길이(L2)의 비율은 1:10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공간부(323)의 수평방향 길이(L1)와 리브부(322)의 수평방향 길이(L3)의 비율은 1:2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ratio of the horizontal length L1 of the second space part 323 and the vertical length L2 of the second space part 323 in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32 is 1:10. It can be formed to be.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horizontal length L1 of the second space portion 323 and the horizontal length L3 of the rib portion 322 may be 1:2.,

이와 같이 상술한 비율로 구성되면 베이스부(321)의 하부에는 리브부(322)와 제2 공간부(323)가 일정한 패턴을 이루면서 형성되게 된다,When the ratio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ib portion 322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323 are formed in a certain pattern under the base portion 321.

또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지만, 히부차음층(32)의 베이스부(321)는 복수의 리브부(322)가 베이스부(321)의 하부에 볼록하게 형성되어 돌출 형성되는 돌출된 높이가 모두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base portion 321 of the hibu sound insulation layer 32 has a plurality of rib portions 322 convexly formed under the base portion 321 so that the protruding heights formed to protrude are all It can be formed to match.

이를 통해 베이스부(321)의 하부에 돌출되는 리브부(322)의 돌출된 높이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복수의 리브부(322)가 형성하는 제2 공간부(323)가 일정한 비율의 공간으로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321)의 하부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균일하게 제2 공간부(323)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rib portion 322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321 can be uniform,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323 formed by the plurality of rib portions 322 is a space of a certain ratio It can be formed uniformly. Accordingly, the second space portion 323 may be formed evenly and uniformly under the base portion 321 as a whole.

즉, 상술한 비율로 형성되면, 상부차음층(31)은 바디부(311)의 하부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제1 공간부를 형성하게 되고, 하부차음층(32)은 베이스부(321)의 하부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제2 공간부(323)를 형성하게 된다.That is, when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ratio,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forms a first space part uniformly distributed overall under the body part 311, and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is the base part 321 A second space portion 323 that is uniformly distributed throughout is formed under the.

이에 따라 공기층을 형성하여 상층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을 소진시키는 제1 공간부(316)가 상부차음층(31)의 전체에 각각 골고루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1 공간부(316)에 의해 차음되는 소음이나 진동의 차음의 정도를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고, 제1 공간부(316)의 상부에 적재된 기포층나 모르타르층 등에 의해 제1 공간부(316)에 전달되는 하중이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하중에 의해 제1 공간부(316)가 파손되어 제1 공간부(316)에 형성되는 공기층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 공간부(323)가 하부차음층(32)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균일하게 형성되어 상술한 제1 공간부가 상부차음층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균일하게 형성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Accordingly, the first space part 316 that forms an air layer to exhaust noise or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upper layer can be formed evenly and uniformly over the entir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31, so that the first space part 316 It is possible to consistently maintain the degree of sound insulation of noise or vibration that is sound-insulated, and to uniformly transmit the load transmitted to the first space 316 by a bubble layer or mortar layer loaded on the top of the first space 316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space 316 from being damaged by the load and the air layer formed in the first space 316 from being destroyed. In the same manner, the second space 323 is uniformly formed overall on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32, thereby exerting the same effect as the effect of the first space being uniformly formed throughout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또한, 상술한 비율로 형성됨에 따라 상부차음층(31)과 하부차음층(32)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세로그루브부, 복수의 가로그루브부, 복수의 교차그루브부, 복수의 격자부, 및 복수의 리브부의 갯수를 최소화하여 상부차음층와 하부차음층의 강성을 유지하여 설치후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차음층의 이송이나 설치시에 차음층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비용을 절감하며, 균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금형을 통해 대량으로 생산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as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ratio, a plurality of vertical groove portions, a plurality of garrog groove portions, a plurality of cross groove portions, a plurality of grid portions, and a plurality of vertical groove portions respectively formed in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and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and By minimizing the number of ribs, it prevents damage after installation by maintaining the rigidity of the upper and lower sound insulation layers, as well as preventing damage or damage to the sound insulation layer during transport or installation of the sound insulation layer, thereby reducing costs. As it is formed evenly,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by mass production through a mold.

더욱이, 상술한 비율로 균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다양한 그루브부에 의해 상층에서 발생된 음파의 진폭을 감소하고, 중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음파의 증폭을 방지하여 차음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uniformly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ratio, the amplitude of sound waves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by various grooves is reduced, and the amplification of sound waves that may be generated by overlapping is prevented, thereby further improving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1)의 재료와 발포배율 및 이에 따른 차음효과(차음성능)를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s. 9 to 13, the material and foaming ratio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1 of a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ound insulation effe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is will be described.

도 9 내지 도 13에서 X축은 주파수 음역(헤르츠, Hz)를 내고, Y축은 차음률(%)을 나타낸다. 차음률이란 제로베이스(Zero base, 차음재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음파가 통과할 때와 차음재가 설치된 상태에서 음파의 차감률을 의미한다. 즉, 도 9 내지 도 11에서 Y축의 차음률이 높을 수록 차음효과(차음성능)가 높을 것을 의미한다.In FIGS. 9 to 13, the X-axis represents the frequency range (hertz, Hz),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sound insulation rate (%). The sound insulation rate refers to the subtraction rate of sound waves when sound waves pass through a zero base (a sound insulation material is not installed) and when a sound insulation material is installed. That is, in FIGS. 9 to 11, the higher the sound insulation rate of the Y-axis is, the higher the sound insulation effe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s.

또한, 도 9 내지 도 13에서 차음성능이란 해당 주파수(X축)에서 차음률을 갖는 상태의 차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9 내지 도 13의 그래프에 도시된 각 좌표의 하부의 넓이를 사다리꼴법으로 측정하여 산정한 면적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n FIGS. 9 to 13 represents the sound insulation effect in a state having a sound insulation coefficient at a corresponding frequency (X-axis), and the area of the lower part of each coordinate shown in the graphs of FIGS. 9 to 13 is measured by the trapezoidal method. It means the calculated area.

즉, 도 9 내지 도 13의 그래프에서 각 그래프의 하부의 넓이가 넓을수록 차음성능이 우수한 것을 의마한다. 또한, 125~500Hz는 저음역을 500~2000Hz는 고음역 구간을 의미한다.That is, in the graphs of Figs. 9 to 13, the wider the width of the lower part of each graph is, the better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s. In addition, 125~500Hz means a low range and 500~2000Hz means a high frequency range.

도 9에서 속이 흰색으로 비어있는 점으로 연결된 선은 본 발명의 차음층(30)이 상부차음층(31)과 하부차음층(32)로 구성되지 않고 단일층의 차음층로 형성되고, 발포폴리스틸렌(EPS)으로 형성되며, 발포배율은 40배로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 9에서 속이 검은색으로 채워져 있는 점으로 연결된 선은 본 발명의 차음층(30)이 상부차음층(31)과 하부차음층(32)로 구성되고, 상부차음층(31)은 발포폴리프로필렌(EPP)으로 형성되고, 하부차음층(32)은 발포폴리스틸렌(EPS)으로 형성되며, 상부차음층과 하부차음층의 발포배율은 모두 40배로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결과를 나타낸다.In Figure 9, the line connected by a hollow point in white is formed of a single-layer sound insulation layer,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mposed of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31 and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32, expanded polystyrene. It is formed by (EPS), and the foaming ratio is 40 times, indicating the measurement result. In addition, the line connected by dots filled in black in FIG. 9 is that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31 and a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32, and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31 is foamed. It is formed of polypropylene (EPP),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is formed of expanded polystyrene (EPS), and both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and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have a foaming magnification of 40 times, and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종류 및 배율Type and magnification 125~500 Hz에서 차음성능Sound insulation performance from 125 to 500 Hz 500~2000Hz에서 차음성능Sound insulation performance at 500~2000Hz EPS40배EPS 40 times 8,9218,921 35,27135,271 EPP40배+EPS40배EPP 40 times + EPS 40 times 13,25913,259 61,52461,524

도 9 및 표 1에 도시된 것처럼, 저음역 구간이나, 고음역 구간 모두에서 40배의 발포배율을 갖는 EPS로 단일층으로 차음층을 형성하는 것보다, 40배의 발포배율을 갖는 EPP로 상부차음층을 형성하고, 40배의 발포배율을 갖는 EPS로 하부차음층을 형성하는 것이 차음성능이 더욱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and Table 1,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is made of EPP having a foaming ratio of 40 times than that of forming a sound insulation layer with a single layer of EPS having a foaming ratio of 40 times in both the low and high frequency ranges. It can be seen that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s higher when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is formed with EPS having a foaming ratio of 40 times.

도 10에서 속이 흰색으로 비어있는 점으로 연결된 선은 본 발명의 차음층(30)이 상부차음층와 하부차음층로 구성되고, 상부차음층은 발포폴리프로필렌(EPP)으로 형성되고, 하부차음층은 발포폴리스틸렌(EPS)으로 형성되며, 상부차음층과 하부차음층의 발포배율은 모두 40배로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 10에서 속이 검은색으로 채워져 있는 점으로 연결된 선은 본 발명의 차음층(30)이 상부차음층과 하부차음층으로 구성되고, 상부차음층은 발포폴리스틸렌(EPS)으로 형성되고, 하부차음층은 발포폴리프로필렌(EPP)로 형성되며, 상부차음층과 하부차음층의 발포배율은 모두 40배로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결과를 의미한다.In FIG. 10, a line connected by a hollow point in white indicates that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a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is formed of expanded polypropylene (EPP), and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is It is formed of expanded polystyrene (EPS), and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is shown in a state in which both the upper and lower sound insulation layers have a foaming ratio of 40 times. In addition, the line connected by dots filled in black in FIG. 10 is that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a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is formed of expanded polystyrene (EPS), and the lower The sound insulation layer is formed of expanded polypropylene (EPP), and the foaming ratios of the upper and lower sound insulation layers are both formed at 40 times the measurement result.

종류 및 배율Type and magnification 125~500 Hz에서 차음성능Sound insulation performance from 125 to 500 Hz 500~2000Hz에서 차음성능Sound insulation performance at 500~2000Hz EPP40배+EPS40배EPP 40 times + EPS 40 times 13,55913,559 61,45961,459 EPS40배+EPP40배EPS40x+EPP40x 11,40511,405 50,67150,671

도 10 및 표 2에 도시된 것처럼, 저음역 구간이나, 고음역 구간 모두에서 상부차음층가 상부차음층은 40배의 발포배율을 갖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으로 형성되고, 하부차음층은 40배의 발포배율을 갖는 발포폴리스틸렌(EPS)으로 형성되는 것이 차음성능이 더욱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and Table 2,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is formed of expanded polypropylene (EPP) having a foaming magnification of 40 times, and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is formed of 40 times the foaming ratio in both the low and high frequency ranges. It can be seen that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s higher when formed of expanded polystyrene (EPS) having a magnification.

도 11에서 속이 흰색으로 비어있는 점으로 연결된 선은 본 발명의 차음층(30)이 상부차음층와 하부차음층로 구성되지 않고 단일층의 차음층로 형성되고, 발포폴리프리필렌(EPP)으로 형성되며, 발포배율은 40배로 측정결과를 의미한다. 또한, 도 11에서 속이 검은색으로 채워져 있는 점으로 연결된 선은 본 발명의 차음층(30)이 상부차음층과 하부차음층으로 구성되지 않고 단일층의 차음층으로 형성되고, 발포폴리프리필렌(EPP)으로 형성되며, 발포배율은 60배로 측정된 상태의 결과를 의미한다. In FIG. 11, the line connected by a hollow point in white is that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mposed of an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a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but is formed as a single-lay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is formed of expanded polypropylene (EPP). The expansion ratio is 40 times, which means the measurement result. In addition, the line connected by dots filled in black in FIG. 11 is that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s a single sound insulation layer, not consisting of an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a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foamed polyprefillene ( EPP), and the foaming magnification refers to the result of measuring 60 times.

종류 및 배율Type and magnification 125~500 Hz에서 차음성능Sound insulation performance from 125 to 500 Hz 500~2000Hz에서 차음성능Sound insulation performance at 500~2000Hz EPP40배EPP 40 times 10,96010,960 48,66148,661 EPP60배EPP60 times 9,2549,254 45,68245,682

도 11 및 표 3에 도시된 것처럼, 저음역 구간이나, 고음역 구간 모두에서 40배의 발포배율을 갖는 EPP로 단일층으로 차음층을 형성하는 것이 60배의 발포배율을 갖는 EPP로 단일층의 차음층을 형성하는 것보다 차음성능이 더욱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 and Table 3, forming a sound insulation layer as a single layer with EPP having a foaming magnification of 40 times in both the low and high frequency ranges is a single-layered sound insulation layer with EPP having a foaming magnification of 60 times. It can be seen that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s higher than that of forming.

도 12에서 각각의 선은 본 발명의 차음부가 상부차음부와 하부차음부로 구성되지 않고 단일층의 차음부로 형성되고, 발포폴리프로필렌(EPP)과 발포폴리스틸렌(EPS) 및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의 발포배율이 각각 다른 경우이다.In FIG. 12, each line is formed of a single-layer sound-insulating part, not composed of an upper sound-insulating part and a lower sound-insula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panded polypropylene (EPP), expanded polystyrene (EPS), and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 has different expansion ratios.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의 발포배율은 각각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의 발포배율이 10배,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의 발포배율이 20배,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의 발포배율이 40배,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의 발포배율이 60배,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의 발포배율이 80배인 경우의 측정결과를 나타내고, 발포폴리스틸렌(EPS)은 발포배율이 60배인 경우 측정결과를 나타낸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2, the expansion ratio of expanded polypropylene (EPP) is 10 times that of expanded polypropylene (EPP), 20 times that of expanded polypropylene (EPP), and expanded polypropylene.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when the expansion ratio of (EPP) is 40 times, that of expanded polypropylene (EPP) is 60 times, and that of expanded polypropylene (EPP) is 80 times, and expanded polystyrene (EPS) is the expansion rate. If this is 60 times, the measurement result is shown.

종류 및 배율Type and magnification 125~500 Hz에서
차음성능
125~500 Hz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500~2000 Hz에서
차음성능
500~2000 Hz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125~2000 Hz에서
차음성능
125~2000 Hz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EPP 10배EPP 10 times 9,6439,643 30,18130,181 38,82438,824 EPP 20배EPP 20 times 9.4809.480 36,98936,989 42,46942,469 EPP 40배EPP 40 times 9,3759,375 40.74640.746 49,86749,867 EPP 60배EPP 60 times 8,0058,005 40.99840.998 47,20347,203 EPP 80배80 times EPP 6,3046,304 41,37841,378 46,68146,681 EPS 60배EPS 60x 7,7647,764 38,42738,427 40.19140.191 EVAEVA 4,3504,350 36,56536,565 40,91540,915

도 12 및 표 4에 도시된 것처럼,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의 배율이 클수록 고음역대에서 차음성능이 높고,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의 배율이 작을 수록 저음역대에서의 차음성능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2 and Table 4,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magnification of expanded polypropylene (EPP), the higher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n the high-pitched range, and the smaller the magnification of the expanded polypropylene (EPP), the higher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n the low-frequency range appears. have.

저음역 구간과, 고음역 구간을 모두 포함하는 전체음역(125~2000 Hz)의 차음성능 중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의 배율이 10배인 경우에는 저음역의 차음성능은 높지만 상대적으로 고음역에서의 차음성능이 매우 낮아 전체적인 차음성능은 발포폴리스틸렌(EPS)의 발포배율을 60배로 한 경우보다도 낮은 것을 알 수 있다.If the magnification of expanded polypropylene (EPP) is 10 times among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entire range (125~2000 Hz) including both the low and high range ranges,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low range is high, but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n the high range is relatively very high. It can be seen that the overall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s lower than that of 60 times the expansion ratio of expanded polystyrene (EPS).

그 외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의 배율이 10배인 경우를 제외 하고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의 배율이 각각 20배, 40배, 60배, 80배인 경우에는 저음역 구간과, 고음역 구간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전체음역(125~2000 Hz) 차음성능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magnification of expanded polypropylene (EPP) is 20, 40, 60, and 80, respectively, except for the case where the magnification of expanded polypropylene (EPP) is 10 tim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w and high frequency ranges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n the entire range (125~2000 Hz) is high.

즉, 표 4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의 배율이 15배 미만인 경우에는 저음역 구간(125~500 Hz)에서의 차음성능은 높은 편이나 고음역 구간 (500~2000 Hz)에서의 차음성능이 매우 낮아 고음역 구간의 진동이나 소음이 하층에 상당부분이 전달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전체음역(125~2000 Hz)에서의 차음성능이 감소함에 따라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이나 진동을 차단하는 차음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at is, as can be seen from Table 4, when the magnification of expanded polypropylene (EPP) is less than 15 times,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n the low range (125 ~ 500 Hz) is higher, but in the high range (500 ~ 2000 Hz)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s very low, so vibration or noise in the high-frequency range can be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and as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n the entire range (125-2000 Hz) decreases, it blocks noise or vibration generated in the upper flo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und insulation function cannot be exercised.

또한, 표 4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의 배율이 80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경우와 반대로 저음역 구간(125~500 Hz)에서의 차음성능이 현저히 낮아 상층에서 발생하는 저음역 구간의 소음이나 진동이 하층에 상당부분이 전달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전체음역(125~2000 Hz)에서의 차음성능이 감소함에 따라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이나 진동을 차단하는 차음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as can be seen from Table 4, when the magnification of expanded polypropylene (EPP) exceeds 80 times,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n the low-pitched range (125 to 500 Hz)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above case. A significant part of the noise or vibration in the low range can be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and finally, as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n the entire range (125~2000 Hz) decreases, the sound insulation function to block the noise or vibration generated in the upper floor is properly demonstrated. A problem that cannot be done occu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1)를 설명한다.An inter-floor sound insulation structure 1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1)는 구획층(40), 차음층(30). 모르타르층(1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1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tition layer 40 and a sound insulation layer 30. It includes a mortar layer (10).

구획층(40)은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을 구획하는 역할을 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획층(40)과 동일하다.The partition layer 40 serves to partition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a building, and is the same as the partition layer 40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모르타르층(10)은 건축물의 난방파이프가 설치되도록 상기 구획층(40)와 서로 마주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모르타르층(10)과 동일하다. The mortar layer 10 is install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facing the partition layer 40 so that the heating pipe of the building is installed, and is the same as the mortar lay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차음층(30)은 상기 건축물의 상층의 소음이 하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구획층(40)과 상기 모르타르층(10) 사이에 설치된다.,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is installed between the partition layer 40 and the mortar layer 10 to block the transmission of noise from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to the lower layer.,

차음층(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하부차음층(32)과 상부차음층(31)룰 포함하고, 하부차음층(32)은 상기 구획층(4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차음층(31)은 상기 하부차음층(32)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차음층(32)를 수용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부차음층과 상기 하부차음층으로 형성되는 이중구조에 의해 건축물의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이 하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sound insulating layer 30 includes a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and an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a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is installed on the partition layer 40 ,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is installed above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to accommodate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In addition, the double structure formed of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and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blocks the transmission of noise generated from the upper floors of the building to the lower floor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달리 기포층을 포함하고 있지 않고 대신에 상부차음층과 하부차음층의 높이를 높게 하여 형성하는 차이점이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it does not include a bubble layer, but is formed by increasing the heights of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and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도 14를 참조하면, 구획층(40)의 높이(H6), 하부차음층(32)의 높이(H7), 상부차음층(31)의 높이(H8) 및 모르타르층(10)의 높이(H9)의 비율은 4:3:3:2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14, the height H6 of the partition layer 40, the height H7 of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32, the height H8 of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31, and the height H9 of the mortar layer 10 ) Can be formed to be 4:3:3:2.

상술한 4개의 층의 높이 비율을 4:3:3:2:가 되도록 형성하면 상층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잔동이 하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음효과를 기포층이 없어도 높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건축물의 하중을 감소시켜 건축물의 하중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설비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동시에 건축물의 강성을 유지하여 건축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When the height ratio of the above four layers is formed to be 4:3:3:2:, the sound insulation effect of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noise or residual dust generated from the upper layer to the lower layer can be formed to be high even without a bubble layer, By reducing the load of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required for the reinforcement equipment to reinforce the load of the building,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building by maintaining the rigidity of the building.

도 15를 참조하면, 차음층(30)은 상기 구획층(40)과 상기 모르타르층(10) 사이에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획층(40)의 상부에 하부차음층(32)가 적층되고 하부차음층(32)의 상부에 상부차음층(31)이 적층되며, 다시 상부차음층(31)의 상부에 또 다른 하부차음층(32)가 적층되고, 다른 하부차음층(32)의 상부에 다른 상부차음층(31)가 다시 적층되는 순서로 반복하여 복수의 차음층(30)이 적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layers between the partition layer 40 and the mortar layer 10. Specifically,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is stacked on the partition layer 40,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is stacked on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and another sound insulating layer 31 is stacked on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A plurality of sound insulating layers 30 may be stacked by repeating the order in which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is stacked and the other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is stacked again on top of the other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이에 따라 차음층(30)이 구비하는 제1공간부와 제2 공간부가 복수로 형성되면서 상층에서 가해진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이 하층에 전달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 할 수 있는 차음성능이 향상된 차음재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paces provided in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are formed, so that noise or vibration generated by the impact applied from the upper layer is more efficiently block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It is possible to form an improved sound insulation material.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구조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축물의 층간구조의 시공방법은 구획층 시공단계(S1), 차음층 시공단계(S6) 및 모르타르층 시공단계 (S9)을 포함한다.A method of constructing an interlayer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6. As shown in Fig. 16,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structure of the preaxial materi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tition layer construction step (S1), a sound insulation layer construction step (S6), and a mortar layer construction step (S9).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을 구획하는 구획층을 시공한다.Concrete is poured and cured to construct a partition layer that divides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building.

구획층 시공단계(S1) 이후에, 상부차음층에 형성되는 제1 공간부와 하부차음부에 형성되는 제2 공간부가 구비되어 상층에서 발생된 진동이나 소음이 하층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차음층을 상기 구획층의 상부에 설치하는 시공을 한다.After the partition layer construction step (S1), a first space part formed in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a second space part formed in the lower sound insulation part are provided to effectively block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 or noise generated in the upper floor to the lower floor. A sound insulation layer is installed above the partition layer.

차음층 시공단계(S6) 이후에, 상기 차음층의 상부에 건축물의 난방파이프가 설치되는 모르타르층을 시공하는 모르타르층을 시공한다. 모르타르층은 한국산업규격 KS LL 5220에서 규정한 압축강도의 기준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돌바닥 모르타르 바르기의 미장마감회수는 2회 이상으로 할 수 있다.After the sound insulation layer construction step (S6), a mortar layer for constructing a mortar layer on which the heating pipe of the building is installed is constructed on the top of the sound insulation layer. It is desirable that the mortar layer meets the standard of compressive strength specified in Korean Industrial Standard KS LL 5220. In addition, the number of plastering finishes for applying mortar on the ondol floor can be made more than two times.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은 상부차음층과 하부차음층의 이중층로 형성된 차음층을 구비하고, 상부차음층에는 제1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차음층에는 제2 공간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과 진동이 제1 공간부에서 1차적으로 소진되고, 남은 소음과 진동 또한 제2 공간부에서 2차적으로 소진되어 다층건물의 층간소음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insulation layer formed of a double layer of an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a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a first space part is formed in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a second space part is in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As it is formed, the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in the upper floors are primarily exhausted in the first space, and the remaining noise and vibrations are also secondarily exhausted in the second space, thus effectively blocking the inter-floor noise of the multi-storey building. have.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구조의 시공방법은 준비단계(S2), 시공방향 결정단계(S3), 측면층 시공단계(S4), 결합단계(S5), 테이핑 단계(S7), 기포층 시공단계(S8)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6,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paration step (S2), a construction direction determination step (S3), a side layer construction step (S4), a bonding step (S5), It may further include a taping step (S7), a foam layer construction step (S8).

준비단계(S2)는 구획층 시공단계(S1) 이후에 상기 구획층의 상부에 돌출된 부분이나 함몰된 부분을 점검하며, 상기 구획층 상부에 배관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구획층의 상부에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시공에 방해가 될 수 있는 폐기물이나 이물질이 없는지 구획층의 상부에 청소된 상태를 점검하고, 건축물의 층간 차음재를 시공하게 될 부분인 구획층의 상부면에 철근등과 같은 돌출된 부분이 있는지 또는 함몰된 부분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는 내부 공근형상을 배제하기 위한 것으로 5mm 이상의 자갈이나 콘크리트 덩어리가 없어야 한다. 상기 구획층 상부에 배관된 배관의 상태를 미리 확인하는 단계이다.The preparation step (S2) is a step of checking a protruding portion or a recessed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layer after the partition layer construction step (S1), and checking the piping condi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layer. Specifically,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on the upper part of the division, check the cleaned condi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division to see if there are any wastes or foreign substances that may interfere with the construction, and the part where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material of the building will be installed. This is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 protruding part such as a reinforcing bar or a recessed par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hosphorus partition layer. This is to exclude the internal cavity shape, and there should be no gravel or concrete lumps of 5mm or more. This is a step of checking in advance the condition of the pipe piped on the partition layer.

시공방향 결정단계(S3)는 상기 준비단계(S2) 이후에 배관상태를 확인한 결과 확인된 배관의 방향과 개수에 따라 상기 차음층의 시공방향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배관의 방향과 갯수, 벽면에 돌출된 부분의 형상에 따라 시공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또한, 차음층의 시공방향은 차음층을 재단하는 횟수가 적게나올 수 있도록 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일방과 격자 방식중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데 효율적인 방식으로 결정하게 된다. The construction direction determination step (S3) is a step of determining the construction direction of the sound insulation layer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number of pipes confirme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pipe condition after the preparation step (S2). Specifically, the construction direc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number of pipes and the shape of the protruding part on the wall.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direction of the sound insulation layer is determined in an efficient way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by reducing the number of times the sound insulation layer is cut, and to reduce the noise between floors among the one-way and grid methods.

측면층 시공단계(S4)는 상기 시공방향 결정단계(S3) 이후에 건축물의 벽체부위인 이격층이 형성되는 부분에 측면층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먼저 건축물의 용도, 건축물의 구조를 고려하여 측면층의 재료의 사양을 결정한다. 그 다음 선택된 측면층을 구획층에 진동충격음이 발생하였을 때 하층으로 진동충격음이 전달될 수 있는 모든 내부벽체에 부착한다. 또한, 측면층은 모르타르층이 마감 시공 될 높이선에 맞추어 이격층이 형성되는 부분인 내부벽체에 설치한다. The side layer construction step (S4) is a step of installing the side layer in the part where the separation layer, which is the wall part of the building, is formed after the construction direction determining step (S3). Specifically, first, the specification of the material of the side layer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building and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Then, the selected side layer is attached to all inner walls that can transmit the vibration shock sound to the lower layer when the vibration shock sound occurs in the partition layer. In addition, the side layer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where the separation layer is formed according to the height line where the mortar layer will be finished.

차음층 시공단계(S6)에서 차음층(30)은 구획층(40)과 접촉하도록 구획층(40)의 상부에 밀착 설치되는 하부차음층(32)과 하부차음층(32)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차음층(32)을 수용하면서 하부차음층(32)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차음층(31)으로 형성된다. In the sound insulation layer construction step (S6),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is form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32 and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32 which ar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tition layer 40 so as to contact the partition layer 40. It is formed of an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installed on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while accommodating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은 상부차음층과 하부차음층의 이중층로 형성된 차음층를 구비하고, 상부차음층에는 제1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차음층에는 제2 공간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과 진동이 제1 공간부에서 1차적으로 소진되고, 남은 소음과 진동 또한 제2 공간부에서 2차적으로 소진되어 다층건물의 층간소음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insulation layer formed of a double layer of an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a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a first space part is formed in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a second space part is in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As it is formed,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in the upper floor are primarily exhausted in the first space, and the remaining noise and vibration are also secondarily exhausted in the second space, so that inter-floor noise of the multi-story building can be effectively blocked.

결합단계(S5)는 측면층 시공단계(S4) 이후에 상부차음부에 하부차음부의 상부가 수용되도록 상부차음부에 하부차음부를 삽입하여 상기 상부차음부와 상기 하부차음부를 결합하는 단계이다.The combining step (S5) is a step of combining the upper sound insulating part and the lower sound insulating part by inserting the lower sound insulating part into the upper sound insulating part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ound insulating part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sound insulating part after the side layer construction step (S4).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은 차음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부차음층과 하부차음층으로 형성하면서도 하부차음층이 상부차음층에 삽입설치되는 결합단계를 구비함에 따라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과정에서는 차음층을 일회 시공하면 되도록 하여 차음구조의 시공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step in which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while forming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in order to increase the sound insulation effect.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ound insulation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ase of construction work of the sound insulation structure by allowing the sound insulation layer to be constructed once.

테이핑 단계(S7)는 차음층 시공단계(S6) 이후에 결합된 상부차음층(31)과 하부차음층(32) 사이에 이격된 틈새를 테이프로 밀봉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차음층(30)은 결합단계(S5)에 의해 하부차음부(32)가 상부차음부(31)에 삽입결합되는데 이처럼 차음층(30)이 상부차음층(31)과 하부차음층(32)의 이중구조로 형성되면 상부차음층(31)과 하부차음층(32)의 결합된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게 된다. 이 틈새부위에 테이프를 이용하여 틈새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틈새를 밀봉하는 과정이 테이핑 단계(S7)이다. 이를 통해 후에 차음층(30)의 상부에 기포층 타설시 차음층(30)의 하부로 기포층(20)을 형성하는 기포 콘크리트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음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aping step (S7) is a step of sealing the gap spaced apart between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and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joined after the sound insulating layer construction step (S6) with a tape. Specifically, in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the lower sound insulation part 32 is inserted into the upper sound insulation part 31 by the coupling step (S5). As such,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comprises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31 and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When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of 32),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and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32 combined. The taping step (S7) is a process of preventing the gap from opening and sealing the gap by using a tape on the gap. Through this, when the foam layer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the foam concrete forming the foam layer 20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lower part of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thereby preventing the sound insulation effect from deteriorating. .

기포층 시공단계(S8)는 테이핑 단계(S7) 이후에 차음층(30)의 상부에 기포층(20)을 타설 한 뒤, 기포층(20)을 양생하는 단계이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포층은 경량기포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타설 높이는 최소한 두께가 30mm이상으로 타설하고 측면층(60)에 표시되니 기포층의 마감선 높이에 맞게 타설한다. 타설한 이후 경량기포콘크리트는 시공 후 최소 3일에서 7일간 실내온도를 5°C 이상으로 유지하여 양생과정을 거치게 된다.The bubble layer construction step (S8) is a step of placing the bubble layer 20 on the top of the sound insulation layer 30 after the taping step (S7), and then curing the bubble layer 20.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The foam layer may be formed of lightweight foam concrete, and in this case, the pour height is poured with a thickness of at least 30 mm and is displayed on the side layer 60 so that it is poured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finish line of the foam layer. After pouring, lightweight aerated concrete undergoes a curing process by maintaining the indoor temperature above 5°C for at least 3 to 7 days after construction.

차음층 시공단계(S6)에서, 상부차음층(31)은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차음층은 발포폴리스틸렌(expanded polystyrene,EPS)으로 형성된다.In the sound insulating layer construction step (S6),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31 is formed of expanded polypropylene (EPS), and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is formed of expanded polystyrene (EPS).

이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은 상부차음층과 하부차음층의 이중층으로 형성되고, 상부차음층은 발포 폴리프로필렌으로 하부차음층의 소재는 발포폴리스틸렌으로 조합하여 사용함에 따라 2가지 소재의 장점을 차용함으로서 차음층의 차음효과를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차음구조의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double layer of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and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is foamed polypropylene, and the material of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is foamed polystyrene. By borrowing the advantages of the two material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ound insulation effect of the sound insulation layer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cost and cost of the sound insulation structur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 :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10 : 모르타르층,
20 : 기포층, 30 : 차음층,
31 : 상부차음층, 32 : 하부차음층.
40 : 구획층, 50 : 이격층,
60 : 측면층, 70 : 벽체,
316 : 제1 공간부, 323 : 제2 공간부,
S1 : 구획층 시공단계, S2 : 준비단계,
S3 : 시공방향 결정단계, S4 : 측면층 시공단계,
S5 : 결합단계, S6 : 차음층 시공단계,
S7 : 테이핑 단계, S8 : 기포층 시공단계,
S9 : 모르타르층 시공단계,
1: sound insulation structure between floors of a building, 10: mortar layer,
20: foam layer, 30: sound insulation layer,
31: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32: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40: partition layer, 50: separation layer,
60: side layer, 70: wall,
316: first space part, 323: second space part,
S1: partition layer construction stage, S2: preparation stage,
S3: construction direction determination step, S4: side layer construction step,
S5: bonding step, S6: sound insulation layer construction step,
S7: taping step, S8: foam layer construction step,
S9: mortar layer construction stage,

Claims (12)

삭제delete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구획층을 시공하는 구획층 시공단계;
상기 구획층의 상부에 돌출된 부분이나 함몰된 부분을 점검하며, 상기 구획층 상부에 배관상태를 확인하는 준비단계;
배관상태를 확인한 결과 확인된 배관의 방향과 개수에 따라 차음층의 시공방향을 결정하는 시공방향 결정단계;
건축물의 벽체부위인 이격층이 형성되는 부분에 측면층을 설치하는 측면층 시공단계;
상부차음층에 하부차음층의 상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상부차음층에 상기 하부차음층을 삽입하여 상기 상부차음층과 상기 하부차음층을 결합하는 결합단계;
상기 구획층의 상부에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가 구비된 차음층을 설치하는 차음층 시공단계;
결합된 상기 상부차음층과 상기 하부차음층 사이에 이격된 틈새를 테이프로 밀봉하는 테이핑 단계;
기포층을 타설하거나 상기 기포층을 타설하지 않고 상기 기포층을 타설하는 경우에 상기 기포층을 양생하는 기포층 시공단계;
상기 차음층의 상부에 건축물의 난방파이프가 설치되는 모르타르층을 시공하는 모르타르층 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음층 시공단계에서 상기 차음층은,
상기 구획층과 접촉하도록 상기 구획층의 상부에 밀착 설치되는 하부차음층과 상기 하부차음층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차음층을 수용하면서 상기 하부차음층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차음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음층 시공단계에서,
상기 상부차음층은 발포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차음층은 발포폴리스틸렌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포폴리프로필렌의 발포 배율은 15배 이상 내지 80배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방법.
A partition layer construction step of pouring and curing concrete to construct a partition layer;
A preparatory step of checking a protruding portion or a recessed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layer and checking a pipe condi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layer;
A construction direction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construction direction of the sound insulation layer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number of pipes confirme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pipe condition;
A side layer construction step of installing a side layer in a portion where a separation layer, which is a wall portion of a building, is formed;
A combining step of inserting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into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so that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to combine the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and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A sound insulation layer construction step of installing a sound insulation layer having a first space portion and a second space portion on the partition layer;
A taping step of sealing a gap spaced apart between the combined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and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with a tape;
A foam layer construction step of curing the foam layer when the foam layer is poured or the foam layer is placed without pouring the foam layer;
Including; a mortar layer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a mortar layer on which the heating pipe of the building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ound insulation layer,
In the sound insulation layer construction step, the sound insulation layer,
It is formed of a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tition layer so as to contact the partition layer, and an upper sound insulating layer installed on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while receiving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above the lower sound insulating layer,
In the sound insulation layer construction step,
The upper sound insulation layer is formed of expanded polypropylene,
The lower sound insulation layer is formed of expanded polystyren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expansion ratio of the expanded polypropylene is formed to be 15 to 80 times or les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08917A 2019-01-23 2019-01-23 Construction method of interlayer sound insulation of building KR1022204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917A KR102220426B1 (en) 2019-01-23 2019-01-23 Construction method of interlayer sound insulation of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917A KR102220426B1 (en) 2019-01-23 2019-01-23 Construction method of interlayer sound insulation of bui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747A KR20200091747A (en) 2020-07-31
KR102220426B1 true KR102220426B1 (en) 2021-02-24

Family

ID=7183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917A KR102220426B1 (en) 2019-01-23 2019-01-23 Construction method of interlayer sound insulation of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42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445Y1 (en) * 2003-07-07 2003-09-29 주식회사 영창산업 insulator of sound of architecture slab
KR200438163Y1 (en) * 2007-04-02 2008-01-23 김동일 Soundproof board
KR100860061B1 (en) * 2005-07-18 2008-09-29 세왕이엠씨 주식회사 A noise supress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1998A (en) 2003-11-28 2005-06-02 (주)지케이엠 Rubber block with rubber chip for blocking noise off
KR20100046842A (en) * 2008-10-28 2010-05-07 주식회사 삼양수지 Plate for sound insul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445Y1 (en) * 2003-07-07 2003-09-29 주식회사 영창산업 insulator of sound of architecture slab
KR100860061B1 (en) * 2005-07-18 2008-09-29 세왕이엠씨 주식회사 A noise supresser
KR200438163Y1 (en) * 2007-04-02 2008-01-23 김동일 Soundproof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747A (en)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085B1 (en) Spacer and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thereof
KR102221119B1 (en) interlayer noise abatement system
KR101530822B1 (en) Vibration and noise reduction material for buildings
KR100718701B1 (en) Plate for sound insulation
KR102231260B1 (en) Floor and partition structure for insulation and soundproof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324261B1 (en) Floors structure of an apartment house using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KR102220426B1 (en) Construction method of interlayer sound insulation of building
KR101828708B1 (en) Construction structures and methods for their construction interlayer noise reduction
KR102220440B1 (en) Interlayer sound insulation of buildings
KR20210058593A (en) Soundproofing material and of his construction method to prevent interlayer noise
KR101819793B1 (en) A Sturcture for Preventing Interalyer Noise Having Sound Insulation Material and Constructing Method
KR100827841B1 (en) anel for protecting Noise between stories and Bottom Structure for Noise-Proof using the Same
KR100948255B1 (en) Constructure method of green house using expanded block, expanded block of green house and expanded roof block of green house
KR100750890B1 (en)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and floors structure of an apartment house using the same
KR101428590B1 (en) a soundproof mat and establishment method thereof
JPH08105192A (en) Vibration insulation and sound insulation device for floor part
KR100546445B1 (en) Floor structure of building
KR102573824B1 (en) Brick
KR20090119359A (en) Building bottom floor for noise prevention panel structure
KR100519081B1 (en) Insulation panel of sound
KR100729871B1 (en) Board for noise reduction used in building it manufacture method
KR102564307B1 (en) Construction method of on-dol floor to reduce interlayer noise that is easy to secure high ceiling
KR102528587B1 (en) A construction method that forms an air layer between the wall and the finishing mortar to block the finishing mortar and structure thereof
KR101854227B1 (en) Noise Suppression Structure between Buildings
KR100686195B1 (en) Floor space noise prevention structure for apart an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