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369B1 -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369B1
KR102220369B1 KR1020200164962A KR20200164962A KR102220369B1 KR 102220369 B1 KR102220369 B1 KR 102220369B1 KR 1020200164962 A KR1020200164962 A KR 1020200164962A KR 20200164962 A KR20200164962 A KR 20200164962A KR 102220369 B1 KR102220369 B1 KR 102220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sion
bronze mirror
title
outputting
bron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훈
김지교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4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46Hist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방법은, 채광 미션, 제련 미션, 합금 미션, 주조 미션 및 연마 미션을 포함하는 청동거울 제작에 관한 제1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 매장 미션, 부식 미션 및 발굴 미션을 포함하는 청동거울 부식에 관한 제2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 기록 미션, 관찰 미션, 분석 미션, 진단 미션 및 문서 미션을 포함하는 청동거울 보존에 관한 제3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 및 세척 미션, 강화 미션, 접합 미션 및 복원 미션을 포함하는 청동거울 복원에 관한 제4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ronze mirror content}
본 발명은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적지나 관광지의 방문객은 돌아다니면서 각 구역마다 해당되는 역사적 상황, 사건 또는 인물에 대한 설명이 쓰여진 안내판을 읽어가면서 둘러보게 된다. 그러나, 단순히 글자로 쓰여 있는 설명만으로는 그 당시의 역사적 상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방문객들이 실제로 체감하기도 어려워 방문객들의 흥미를 이끌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박물관에서 방문객들이 전시된 여러 유물을 관람할 때에도 전술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종래 기술들은 방문객의 단말기로 해당 유적지나 유물에 대한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기술들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는, 체험학습을 박물관이나 유적지 관람에 접목한 시스템이 있다. 이 시스템은 3D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으로 구현되는 과학관, 박물관 등의 공간에서 사용자의 영상을 투영한 후, 사용자의 실제 동작에 따라 3D 콘텐츠 화면에 투영된 사용자의 영상 객체가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면서 3D콘텐츠 화면과 연동하여 박물관 견학이나 상호작용 학습 등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시 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역사 교육을 위한 시스템화된 솔루션이 부재하여 역사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고대 유물을 바탕으로 우리 문화를 재조명하고 보완하여 현대에 맞도록 재창조하고 보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879586호(2018.07.12)
본 발명은 청동거울의 전통제작기술과 현대보존과학기술을 관람자에게 직관적으로 이해시킬 수 있는 청동거울 콘텐츠를 제공하는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가 수행하는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방법은, 채광 미션, 제련 미션, 합금 미션, 주조 미션 및 연마 미션을 포함하는 청동거울 제작에 관한 제1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 매장 미션, 부식 미션 및 발굴 미션을 포함하는 청동거울 부식에 관한 제2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 기록 미션, 관찰 미션, 분석 미션, 진단 미션 및 문서 미션을 포함하는 청동거울 보존에 관한 제3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 및 세척 미션, 강화 미션, 접합 미션 및 복원 미션을 포함하는 청동거울 복원에 관한 제4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채광 미션, 제련 미션, 합금 미션, 주조 미션 및 연마 미션을 포함하는 청동거울 제작에 관한 제1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 매장 미션, 부식 미션 및 발굴 미션을 포함하는 청동거울 부식에 관한 제2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 기록 미션, 관찰 미션, 분석 미션, 진단 미션 및 문서 미션을 포함하는 청동거울 보존에 관한 제3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 및 세척 미션, 강화 미션, 접합 미션 및 복원 미션을 포함하는 청동거울 복원에 관한 제4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청동거울의 전통제작기술과 현대보존과학기술을 관람자에게 직관적으로 이해시킬 수 있는 청동거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가 수행하는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가 수행하는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가 출력하는 영상, 소리 등과 같은 정보는 별도의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장치는 빔 프로젝터, 대형 모니터 등이 될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는, 청동거울 제작에 관한 미션을 출력한다.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는 청동거울 제작에 관한 미션에 대하여, 미션 영상과 함께, 미션 제목, 미션 요약 내용 및 상세 설명 내용을 포함하는 미션 정보를 출력한다. 미션 정보는 텍스트 또는 소리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청동거울 제작에 관한 미션은 채광 미션, 제련 미션, 합금 미션, 주조 미션 및 연마 미션을 포함한다.
우선, 채광 미션의 미션 제목은, "청동거울 원료 구하기"이고, 채광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광산에서 금속이 포함된 돌을 캐내어 청동거울의 원료를 구하는 작업임"일 수 있다.
또한, 채광 미션의 상세 설명 내용은, "선사시대에는 주로 석기나 골각기를 사용하고 이후에는 다양한 금속 도구를 사용하여 광석을 캤으며, 고려시대 초 까지만 해도 땅에 드러난 광석을 캐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고려시대 중기부터는 굴을 파서 광석을 캐는 광산을 개발하였음"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채광 미션 정보와 함께,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채광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련 미션의 미션 제목은, "광석 속의 금속만 뽑기"이고, 제련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광석 안에 있는 금속을 뽑아 따로 모으는 과정임"일 수 있다.
또한, 제련 미션의 상세 설명 내용은, "광산에서 캐낸 원광석은 불필요한 성분이 많으므로, 우리 선조들은 불순물이 적은 광석을 고른 후, 화로 바닥에 흙으로 항아리같이 생긴 제련로를 만들어 숯을 채우고 광석을 넣어 불을 붙였으며, 숯이 광석을 환원시키면 순수한 구리나 주석 금속을 뽑아낼 수 있었음"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련 미션 정보와 함께,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련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합금 미션의 미션 제목은, "선사시대의 신소재 개발 기술"이고, 합금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합금은 기본 금속에 다른 금속을 섞어 새로운 금속을 만드는 것임"일 수 있다.
또한, 합금 미션의 상세 설명 내용은, "국보 제141호 잔무늬거울(다뉴정문경)은 구리와 주석의 비율이 66:34인 청동으로, 햇빛을 잘 반사하려고 주석의 비율을 높였으며, 처음에는 은백색의 거울이었지만 지금은 녹이 슬어 어두운 색이 되었음"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합금 미션 정보와 함께,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합금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주조 미션의 미션 제목은, "선사시대의 초정밀 세공기술"이고, 주조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주조는 금속을 녹여 액체로 만든 후 거푸집에 부어 굳히는 것임"일 수 있다.
또한, 주조 미션의 상세 설명 내용은, "구리와 주석을 섞어 녹인 쇳물을 거푸집에 부어 청동기를 만들고, 국보 제141호 잔무늬거울은 지름 약 21㎝의 원형인데, 이 안에 약 13,000개의 정교한 선을 새겼으며, 이는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초정밀 거푸집 세공기술이 있었기 때문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주조 미션 정보와 함께,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조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연마 미션의 미션 제목은, "반짝반짝 거울 효과 내기"이고, 연마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연마는 거울 면을 반짝반짝하게 만들어 잘 반사하도록 하는 것임"일 수 있다.
또한, 연마 미션의 상세 설명 내용은, "주조한 직후의 청동거울은 표면이 거칠고, 단단한 숫돌로 갈고 나서 다양한 크기의 모래를 사용하면 거울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이후 재를 묻힌 삼베나 가죽으로 닦으면 거울면이 반짝반짝해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마 미션 정보와 함께, 도 2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마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는, 청동거울 부식에 관한 미션을 출력한다.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는 청동거울 부식에 관한 미션에 대하여, 미션 영상과 함께, 미션 제목, 미션 요약 내용 및 상세 설명 내용을 포함하는 미션 정보를 출력한다. 미션 정보는 텍스트 또는 소리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청동거울 부식에 관한 미션은 매장 미션, 부식 미션 및 발굴 미션을 포함한다.
우선, 매장 미션의 미션 제목은, "땅에 묻힌 역사"이고, 매장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오랜 역사를 갖는 청동거울은 어느 시점에 땅속에 묻히게 됨"일 수 있다.
또한, 매장 미션의 상세 설명 내용은, "청동거울은 어떤 사건이나 행위에 의해 땅속에 묻히게 되는데, 이로 인해 과거의 흔적과 역사는 오랜 시간 동안 잠들게 되나, 매장된 청동거울이 사라지지 않고 잘 견디면 언젠가는 우리에게 역사적 실마리가 될 수 있음"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매장 미션 정보와 함께,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매장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부식 미션의 미션 제목은, "다시 자연으로"이고, 부식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청동거울이 원래 상태인 금속산화물로 돌아가는 것을 부식이라고 함"일 수 있다.
또한, 부식 미션의 상세 설명 내용은, "안정된 상태로 자연에 존재하는 원광석을 제련 및 합금하여 만든 것이 청동거울이고, 이 청동거울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따라서, 청동거울은 원래의 안정된 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특성을 갖는데, 이러한 과정을 부식이라 하며, 이 과정에서 발생된 생성물을 녹이라고 함"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식 미션 정보와 함께,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식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발굴 미션의 미션 제목은, "세상 밖으로 드러난 역사"이고, 발굴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발굴은 땅속이나 흙더미, 돌더미 등에서 유물을 찾는 과정임"일 수 있다.
또한, 발굴 미션의 상세 설명 내용은, "고고학자는 조심스럽게 땅을 파헤치고, 유물이나 유적이 조금이라도 보이면 호미나 붓 같은 작은 도구들로 섬세히 발굴하며, 발굴을 통해 청동거울의 체계적인 연구와 분석이 가능해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발굴 미션 정보와 함께,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굴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는, 청동거울 보존에 관한 미션을 출력한다.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는 청동거울 보존에 관한 미션에 대하여, 미션 영상과 함께, 미션 제목, 미션 요약 내용 및 상세 설명 내용을 포함하는 미션 정보를 출력한다. 미션 정보는 텍스트 또는 소리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청동거울 보존에 관한 미션은 기록 미션, 관찰 미션, 분석 미션, 진단 미션 및 문서 미션을 포함한다.
우선, 기록 미션의 미션 제목은, "과학의 시작은 기록"이고, 기록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기록은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넘어 과거와 미래의 연결고리임"일 수 있다.
또한, 기록 미션의 상세 설명 내용은, "기록은 특정 활동을 매체에 담는 것으로, 즉 행위와 매체의 결합으로, 기록에 있어 매체는 빠질 수 없는 요소이며, 과거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기록했지만 최근에는 첨단기술의 발전과 함께 3차원 스캐닝과 같은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기록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록 미션 정보와 함께,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록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관찰 미션의 미션 제목은, "미시적 세계에서 찾는 비밀 단서"이고, 관찰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관찰은 현상을 조사하고 기록하는 것임"일 수 있다.
또한, 관찰 미션의 상세 설명 내용은, "청동거울의 미세조직과 부식물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관찰이 필요하고, 이러한 관찰에는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등이 활용되며, 이를 통해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단위의 미시 세계까지 관찰할 수 있음"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찰 미션 정보와 함께,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관찰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분석 미션의 미션 제목은, "정밀하고 정확한 분석과학의 힘"이고, 분석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분석은 과학의 힘으로 눈으로 알 수 없는 문화재 비밀을 찾는 과정임"일 수 있다.
또한, 분석 미션의 상세 설명 내용은, "과학적 분석은 첨단기술을 이용하여 청동거울의 성분과 부식물을 파악하는 과정이이며, 이를 통해 청동거울과 관련된 고고ㅇ역사학적 정보가 규명되고, 향후 보존처리 및 복원 등의 기초자료를 마련할 수 있음"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 미션 정보와 함께,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석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진단 미션의 미션 제목은, "치료의 시작은 진단부터"이고, 진단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진단은 첨단기술을 통해 문화재의 보존상태를 이해하는 과정임"일 수 있다.
또한, 진단 미션의 상세 설명 내용은, "병원에서 환자의 건강 상태를 밝히기 위해 내시경, 초음파 검사, X-선 촬영 등을 이용하듯이 청동거울의 진단에도 다양한 첨단기술이 활용되고 있으며, 청동거울의 손상부를 정확히 진단하는 것은 보존처리(치료)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음"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진단 미션 정보와 함께,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진단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문서 미션의 미션 제목은, "과학적 조사 결과의 공유"이고, 문서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기록하고 공유하는 것을 문서라고 함"일 수 있다.
또한, 문서 미션의 상세 설명 내용은, "과학적 조사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 사진, 영상, 그래프 등은 다양한 매체(종이, 아날로그, 디지털)를 통해 문서화되어야 하며, 이렇게 문서화된 과학 자료는 공유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다른 과학자들에게 검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함"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서 미션 정보와 함께,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는, 청동거울 복원에 관한 미션을 출력한다.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는 청동거울 복원에 관한 미션에 대하여, 미션 영상과 함께, 미션 제목, 미션 요약 내용 및 상세 설명 내용을 포함하는 미션 정보를 출력한다. 미션 정보는 텍스트 또는 소리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청동거울 복원에 관한 미션은 세척 미션, 강화 미션, 접합 미션 및 복원 미션을 포함한다.
우선, 세척 미션의 미션 제목은, "수천 년의 묵은 때부터 제거"이고, 세척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세척은 문화재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과정임"일 수 있다.
또한, 세척 미션의 상세 설명 내용은, "세척은 표면에 고착되어 있는 흙, 이물질 및 부식물 등을 제거하여 청동거울의 원래 모습을 되찾아주는 과정으로, 이를 통해 오염물에 가려져 있던 역사적 흔적과 제작기법 등을 확인할 수 있음"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세척 미션 정보와 함께,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척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강화 미션의 미션 제목은, "좀 더 튼튼하고 강하게"이고, 강화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강화처리는 오랜 세월 속에 약해진 문화재를 단단하게 만드는 과정임"일 수 있다.
또한, 강화 미션의 상세 설명 내용은, "청동거울은 수천 년 동안의 세월 때문에 강도가 약해져 있으므로, 이렇게 약해진 청동거울에 약제(합성수지)를 침투시키고 표면을 코팅하여 좀 더 단단하게 만드는 과정이 강화 처리이며, 이를 통해 공기 중의 습기 및 다양한 오염가스 등에 의한 부식도 어느 정도 차단됨"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강화 미션 정보와 함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강화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접합 미션의 미션 제목은, "분리된 파편 붙이기"이고, 접합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접합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문화재 파편을 붙이는 과정임"일 수 있다.
또한, 접합 미션의 상세 설명 내용은, "약제(접착제)를 이용하여 청동거울 파편을 원형에 맞게 붙이는 과정을 접합이라고 하는데, 이 단계에서는 접합 우선순위를 미리 정하고, 유물의 상태에 적합한 접착제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함"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접합 미션 정보와 함께,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합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원 미션의 미션 제목은, "역사를 되살리는 수술"이고, 복원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복원은 역사적 고증을 통해 문화재를 원래 모습으로 되찾는 과정임"일 수 있다.
또한, 복원 미션의 상세 설명 내용은, "원형이 소실된 문화재를 역사적으로 고증하여 원래 또는 특정 시기의 모습으로 되찾는 과정을 복원이라고 하는데, 복원을 통해 청동거울의 역사적 특징을 규명할 수 있어 매우 중요한 단계이지만 무분별한 복원은 삼가야 함"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원 미션 정보와 함께,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원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는 프로세서(10), 메모리(20), 통신부(30) 및 인터페이스부(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는 메모리(20)에 저장된 처리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CPU 또는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메모리(20)는 다양한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0)는 ROM, 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3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인터페이스부(4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청동거울 콘텐츠를 영상, 소리 등의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하거나, 별도의 출력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 또는 출력장치는, 청동거울 모형의 전면 또는 후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청동거울 콘텐츠를 출력하여 관람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프로세서
20: 메모리
30: 통신부
40: 인터페이스부

Claims (7)

  1.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가 수행하는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채광 미션, 제련 미션, 합금 미션, 주조 미션 및 연마 미션을 포함하는 청동거울 제작에 관한 제1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
    매장 미션, 부식 미션 및 발굴 미션을 포함하는 청동거울 부식에 관한 제2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
    기록 미션, 관찰 미션, 분석 미션, 진단 미션 및 문서 미션을 포함하는 청동거울 보존에 관한 제3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 및
    세척 미션, 강화 미션, 접합 미션 및 복원 미션을 포함하는 청동거울 복원에 관한 제4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 내지 상기 제4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는,
    미션 영상과 함께, 미션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미션 정보는 미션 제목, 미션 요약 내용 및 상세 설명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채광 미션의 미션 제목은, "청동거울 원료 구하기"이고,
    상기 채광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광산에서 금속이 포함된 돌을 캐내어 청동거울의 원료를 구하는 작업임"이고,
    상기 제련 미션의 미션 제목은, "광석 속의 금속만 뽑기"이고,
    상기 제련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광석 안에 있는 금속을 뽑아 따로 모으는 과정임"이고,
    상기 합금 미션의 미션 제목은, "선사시대의 신소재 개발 기술"이고,
    상기 합금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합금은 기본 금속에 다른 금속을 섞어 새로운 금속을 만드는 것임"이고,
    상기 주조 미션의 미션 제목은, "선사시대의 초정밀 세공기술"이고,
    상기 주조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주조는 금속을 녹여 액체로 만든 후 거푸집에 부어 굳히는 것임"이고,
    상기 연마 미션의 미션 제목은, "반짝반짝 거울 효과 내기"이고,
    상기 연마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연마는 거울 면을 반짝반짝하게 만들어 잘 반사하도록 하는 것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매장 미션의 미션 제목은, "땅에 묻힌 역사"이고,
    상기 매장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오랜 역사를 갖는 청동거울은 어느 시점에 땅속에 묻히게 됨"이고,
    상기 부식 미션의 미션 제목은, "다시 자연으로"이고,
    상기 부식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청동거울이 원래 상태인 금속산화물로 돌아가는 것을 부식이라고 함"이고,
    상기 발굴 미션의 미션 제목은, "세상 밖으로 드러난 역사"이고,
    상기 발굴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발굴은 땅속이나 흙더미, 돌더미 등에서 유물을 찾는 과정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록 미션의 미션 제목은, "과학의 시작은 기록"이고,
    상기 기록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기록은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넘어 과거와 미래의 연결고리임"이고,
    상기 관찰 미션의 미션 제목은, "미시적 세계에서 찾는 비밀 단서"이고,
    상기 관찰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관찰은 현상을 조사하고 기록하는 것임"이고,
    상기 분석 미션의 미션 제목은, "정밀하고 정확한 분석과학의 힘"이고,
    상기 분석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분석은 과학의 힘으로 눈으로 알 수 없는 문화재 비밀을 찾는 과정임"이고,
    상기 진단 미션의 미션 제목은, "치료의 시작은 진단부터"이고,
    상기 진단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진단은 첨단기술을 통해 문화재의 보존상태를 이해하는 과정임"이고,
    상기 문서 미션의 미션 제목은, "과학적 조사 결과의 공유"이고,
    상기 문서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기록하고 공유하는 것을 문서라고 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세척 미션의 미션 제목은, "수천 년의 묵은 때부터 제거"이고,
    상기 세척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세척은 문화재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과정임"이고,
    상기 강화 미션의 미션 제목은, "좀 더 튼튼하고 강하게"이고,
    상기 강화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강화처리는 오랜 세월 속에 약해진 문화재를 단단하게 만드는 과정임"이고,
    상기 접합 미션의 미션 제목은, "분리된 파편 붙이기"이고,
    상기 접합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접합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문화재 파편을 붙이는 과정임"이고,
    상기 복원 미션의 미션 제목은, "역사를 되살리는 수술"이고,
    상기 복원 미션의 미션 요약 내용은, "복원은 역사적 고증을 통해 문화재를 원래 모습으로 되찾는 과정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방법.
  7.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채광 미션, 제련 미션, 합금 미션, 주조 미션 및 연마 미션을 포함하는 청동거울 제작에 관한 제1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
    매장 미션, 부식 미션 및 발굴 미션을 포함하는 청동거울 부식에 관한 제2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
    기록 미션, 관찰 미션, 분석 미션, 진단 미션 및 문서 미션을 포함하는 청동거울 보존에 관한 제3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 및
    세척 미션, 강화 미션, 접합 미션 및 복원 미션을 포함하는 청동거울 복원에 관한 제4 미션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
KR1020200164962A 2020-11-30 2020-11-30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20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962A KR102220369B1 (ko) 2020-11-30 2020-11-30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962A KR102220369B1 (ko) 2020-11-30 2020-11-30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369B1 true KR102220369B1 (ko) 2021-02-25

Family

ID=74731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962A KR102220369B1 (ko) 2020-11-30 2020-11-30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3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427A (ko) * 2013-02-20 2015-10-27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거울 메타포를 사용한 원격 몰입 경험 제공
KR101879586B1 (ko) 2016-12-16 2018-07-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 구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427A (ko) * 2013-02-20 2015-10-27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거울 메타포를 사용한 원격 몰입 경험 제공
KR101879586B1 (ko) 2016-12-16 2018-07-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 구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rggren et al. Revisiting reflexive archaeology at Çatalhöyük: integrating digital and 3D technologies at the trowel's edge
Zuk et al. Visualizing Temporal Uncertainty in 3D Virtual Reconstructions.
Häkkilä et al. Visiting a virtual graveyard: designing virtual reality cultural heritage experiences
EP0843271A3 (en)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flexible representations of work
EP0950988A3 (en) Three-Dimensional image generating apparatus
KR102220369B1 (ko) 청동거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Bassier et al. An overview of innovative heritage deliverables based on remote sensing techniques
Lepouras et al. Building a VR-Museum in a Museum
JP2000076488A (ja) 3次元仮想空間表示装置及びテクスチャオブジェクト設定情報作成装置
Trapp et al. Colonia 3D communication of virtual 3D reconstructions in public spaces
Jensen Evaluating authenticity: the authenticity of 3D models in archaeological field documentation
Miles et al. Photogrammetry and RTI Survey of Hoa Hakananai’a Easter Island Statue
Jusseret Earthquake archaeology
Whitelaw The development of an island centre: urbanization at Phylakopi on Melos
Büster et al. Between worlds: Bridging the divide between method and theory in understanding the ritual use of caves in later prehistory
Boggus et al. Prismfields: A framework for interactive modeling of three dimensional caves
Terras A Virtual Tomb for Kelvingrove: Virtual reality, archaeology and education
Anderson et al. Preserving and presenting Cultural Heritage using off-the-shelf software
Lussu Ultra close-range digital photogrammetry as a tool to preserve, study, and share skeletal remains
Caine Granular Realism
Bernardes et al. Image-based 3D modelling in archaeology: application and evaluation
Westerteiger Virtual Reality Methods for Research in the Geosciences
Serrano Ramos Crania Canaria 2.0: constructing a virtual skull collection
Babcock Contemporary Archeological Visualization: Ancient Paliké in the Digital Age
Sieck et al. Kultur und Informati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