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297B1 -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297B1
KR102220297B1 KR1020200138048A KR20200138048A KR102220297B1 KR 102220297 B1 KR102220297 B1 KR 102220297B1 KR 1020200138048 A KR1020200138048 A KR 1020200138048A KR 20200138048 A KR20200138048 A KR 20200138048A KR 102220297 B1 KR102220297 B1 KR 102220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network
user terminal
server
loc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경하
박주옥
Original Assignee
염경하
박주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경하, 박주옥 filed Critical 염경하
Priority to KR1020200138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28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5Conversion or adaptation of application format or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04L67/32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일 실시예는 열차, 버스, 비행기와 같은 운송수단에서 안정적으로 고품질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컨텐츠를 열차 내의 서버에 저장하여 객실 내의 승객들이 로컬 네트워크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텐츠로의 접근과 일반 인터넷 서비스 접속을 별개의 네트워크로 분리하여 각각의 트래픽을 낮출 수 있어 일반 인터넷 서비스와 컨텐츠 제공 모두를 보다 빠른 속도로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MOBILE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고객에게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발명들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랩탑과 같은 개인 단말기의 발달 및 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해, 많은 사용자들이 자신의 개인 단말기를 통해 동영상 등의 미디어 자료들을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개인 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해 보다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OTT(Over The Top) 등의 서비스들도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장소, 기간에 구애 받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에 개인의 단말기를 통해 쉽게 접근하고 소비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임대매장, 다중이용시설, 철도, 버스, 비행기, 선박 등과 같이 사람들이 모이는 공간에서는 WiFi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하여 사용자 개인의 데이터 사용없이도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하다.
한편, 네트워크의 발전 및 사용자들의 요구에 따라 제공되는 컨텐츠들의 품질들도 크게 향상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의 서비스 추세는 컨텐츠를 사용자의 개인 매체에 저장하기 보다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끊김 없는 영상의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의 안정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철도, 버스, 비행기 등과 같은 여객수단 또는 운송수단에서 컨텐츠를 소비하는 경우, 빠른 이동 속도로 인해 안정적인 컨텐츠 송출이 저해되기도 한다. 이러한 일시적인 네트워크 장애는 일반적인 웹 서핑이나 이메일 확인 등에 있어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고품질의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경우에는 잦은 버퍼링을 초래하여 시청에 큰 지장을 주기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동 환경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품질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이 요구된다.
고품질의 컨텐츠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일반 인터넷 접속과는 별도의 무선 네트워크가 필요하며 사용자가 이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 개인의 데이터를 소모하지 않고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어야 하며, 컨텐츠 제공자와 사용자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수익구조의 모델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를 관리하는 미디어 서버; 제 1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한 제 1 모뎀; 상기 제 1 네트워크와 구별되는 제 2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한 제 2 모뎀; 사용자 단말기에 WiFi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AP(Access Point);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로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AP에 연결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컬 서버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AP에 연결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를 관리하는 미디어 서버; 제 1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한 제 1 모뎀; 상기 제 1 네트워크와 구별되는 제 2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한 제 2 모뎀; 사용자 단말기에 WiFi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AP(Access Point);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로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AP에 연결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컬 서버에 연결되는,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네트워크와 상기 제 2 네트워크는 동일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통해 접속되는,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는, 상기 컨텐츠 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는, 상기 컨텐츠 제공을 위한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서버는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광고 데이터를 상기 로컬 서버에 전송하는,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광고 데이터에 기초한 광고를 전송하고, 상기 광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결정된 광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광고 데이터에 기초한 광고를 전송하고, 상기 광고는 상기 로컬 서버의 현재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광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상기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광고 저장부, 및 상기 컨텐츠와 상기 광고 데이터를 매칭시키는 매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컨텐츠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분석부는 상기 로컬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로컬 서버의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스트리밍으로 제공하는,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미디어 서버는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모뎀, 상기 제 2 모뎀, 상기 AP 및 상기 로컬 서버는 이동가능한 운송수단 내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운송수단에 탑승한 승객의 단말기인,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미디어 서버 및 로컬 서버를 이용하여 열차 내 승객에게 모바일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미디어 서버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열차에 배치된 상기 로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로컬 서버가 수신한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승객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상기 로컬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승객의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로컬 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상기 제 1 네트워크와 구분되는 제 2 네트워크인, 열차 내 모바일 컨텐츠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네트워크와 상기 제 2 네트워크는 동일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통해 접속되는, 열차 내 모바일 컨텐츠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광고를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되는 광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스트리밍되는 상기 컨텐츠, 상기 승객의 과거 컨텐츠 시청 이력, 성별, 연령, 거주지, 행선지 정보, 현재 열차의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열차 내 모바일 컨텐츠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는 열차, 버스, 비행기와 같은 운송수단에서 안정적으로 고품질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컨텐츠를 열차 내의 서버에 저장하여 객실 내의 승객들이 로컬 네트워크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텐츠로의 접근과 일반 인터넷 서비스 접속을 별개의 네트워크로 분리하여 각각의 트래픽을 낮출 수 있어 일반 인터넷 서비스와 컨텐츠 제공 모두를 보다 빠른 속도로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가 직접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열차 내에 배치된 로컬 서버에 WiFi를 통하여 접속하기 때문에 사용자 개인의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가 로컬 서버에 컨텐츠를 제공하기 때문에 빠른 이동 중에도 끊김 없는 컨텐츠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번거로운 네트워크의 설정 및 변경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또는 웹사이트의 접속 등과 같은 사용자 조작만으로도 네트워크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시스템 측면에서는 고품질 컨텐츠, 즉, 대용량의 트래픽을 요구하는 서비스는 별도 서버로 집중시켜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 개시하는 실시예는 사용자가 철도의 객실에 탑승한 환경에서 컨텐츠를 제공받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와 같은 철도의 객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버스, 비행기, 선박 등과 같이 사용자가 이동 중인 경우에 제공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의 위치가 고정 상태인 경우, 예를 들어, 카페 등과 같은 매장, 도서관 등과 같은 공공시설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고품질 컨텐츠와 일반 인터넷 접속에 대하여 상이한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기술적 사상 자체는 본 실시예들이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구체적인 적용환경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다.
컨텐츠 제공 서버(11)는 열차 내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미디어 서버(13)에 각종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11)가 제공하는 컨텐츠는 드라마, 영화, 음악, 웹툰, 웹소설, 뉴스, 게임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컨텐츠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텐츠 제공 서버(11)는 스트리밍, 웹 서버 다운로드, 이동디스크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미디어 서버(13)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제공 서버(12)는 미디어 서버(13)에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이는 컨텐츠 제공 서버(11)와 동일한 서버일 수도 있으며 또는 분리된 별개의 서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체가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또는 컨텐츠 제공 주체와는 별개의 주체가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다. 광고를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이와 함께 광고를 제공하여 컨텐츠 제공에 대한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텐츠 제공업체가 컨텐츠의 제공에 대한 대가로 직접 광고를 삽입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광고 업체의 광고 수익 중 일부를 컨텐츠 제공 업체에게 분배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광고 제공 서버(12)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광고 제공 서버(12)는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제공 서버(12)는 열차의 경로 상에 있는 지역들에 대한 광고들을 제공할 수 있고, 미디어 서버(13)는 이를 열차 내에 배치되는 로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로컬 서버는 GPS 등을 통해 열차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광고들을 사용자 단말기에 표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 특산물, 관광상품, 지역 식당 정보, 연계교통 광고(차량 렌탈, 택시 등), 지역 관광 정보, 지역 숙박 업소 정보, 등을 광고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현재 위치가 아닌 사용자의 목적지에 대한 광고를 표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할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은 열차 티켓 구매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현재 컨텐츠 사용자의 행선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행선 일정에 적합한 컨텐츠 및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다.
미디어 서버(13)는 컨텐츠 제공 서버(11)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광고 제공 서버(12)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서버(13)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시스템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11)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VOD 컨텐츠로 등록하고, 이를 VOD 컨텐츠로 변환하여 VOD 아카이브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수신한 광고 데이터를 관리하고 광고 효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미디어 서버(13)는 수신한 컨텐츠 및 광고 데이터를 열차의 객실 내에 배치된 로컬 서버(14)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열차의 각 차량마다 로컬 서버가 배치되어 제 1 로컬 서버, 제 2 로컬 서버, 제 3 로컬 서버 등으로 표시하였으나, 로컬 서버의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각 열차의 차량 수마다 로컬 서버의 수가 달라질 수도 있으며, 또는 하나의 로컬 서버가 복수의 차량을 관리할 수도 있다. 미디어 서버(13)는 저장된 컨텐츠 및 광고를 열차 내에 설치된 로컬 서버(14)로 송출하는데, 이 때 송신방식은 LTE, 5G, WiFi, 이동디스크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서버(13)는 컨텐츠 저장부, 광고 저장부, 매칭부, 광고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저장부는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고, 광고 저장부는 수신한 광고를 저장할 수 있다. 매칭부는 컨텐츠와 광고를 매칭시켜 컨텐츠와 관련성 있는 광고가 컨텐츠 시청 시에 출력될 수 있도록 매칭할 수 있다. 또는, 매칭부는 사용자의 과거 컨텐츠 시청 이력이나, 사용자의 성별, 연령, 거주지, 행선지 정보 등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를 매칭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컨텐츠에만 연관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특성에 맞춰 타켓팅된 광고를 표출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분석부는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형태, 실행 패턴 등의 분석을 통해 시간별, 승객 유형별, 위치별 마케팅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컨텐츠 제공 서버에 피드백해 줄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광고 분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광고 분석부는 노출된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수집하여 광고 효과에 대한 데이터를 산출할 수도 있다.
열차 내에 배치된 로컬 서버(14)는 사용자 단말기(15)에 컨텐츠 및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15)는 예를 들어, 열차에 탑승한 승객의 개인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 단말기를 통해 로컬 서버(14)에 WiFi를 통해 접속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로컬 서버(14)는 미디어 서버(13)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5)가 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로컬 서버(14)의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5)에 스트리밍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로컬 서버(14)를 통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5)에 컨텐츠를 제공하므로 사용자 개인의 데이터 사용량을 소모하지 않고 컨텐츠를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가 직접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열차 내에 배치된 로컬 서버에 WiFi를 통하여 접속하기 때문에 사용자 개인의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로컬 서버(14)가 사용자 단말기(15)에 직접 컨텐츠를 제공하기 때문에 빠른 이동 중에도 끊김 없는 컨텐츠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컨텐츠 서비스에 대한 개인 아이디가 없는 경우라도 미디어 서버(13)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단순히, WiFi에 접속하여 컨텐츠 서비스에 개별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 서버(13)를 통해 제공되는 플랫폼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게 되므로, 별도의 컨텐츠 서비스 가입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객실 내의 사용자 단말기(25)는 복수의 네트워크, 예를 들어, 두 개의 네트워크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는 복수의 구별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네트워크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는 제 1 네트워크(21) 및 이와는 구별되는 제 2 네트워크(2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5)가 객실 내의 AP(Access Point)(24)에 접속하면 라우터(23)를 통해 로컬 서버(26)로 접속하거나 제 1 네트워크(21)로 접속할 수 있다. 로컬 서버(26)는 제 2 네트워크(22)를 통해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컬 서버(26)는 제 2 네트워크(22)를 통해 미디어 서버(13)에 연결되어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로컬 서버(26)에 접속하는 경우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 개인의 데이터 사용없이 컨텐츠를 빠르고 끊김없이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네트워크(21)는 예를 들어 5G 네트워크일 수 있고, 제 2 네트워크(22)는 LTE 네트워크 일 수 있다. 즉, 제 1 네트워크(21)는 5G 모뎀을 통해 제공될 수 있고, 제 2 네트워크(22)는 LTE 모뎀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 1 네트워크(21)는 보안을 위한 방화벽을 포함하여 로드밸런싱 및 NAT DHCP 가 가능하고, DMZ 를 구성하여 라우터와 웹서버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보안장비 기능을 통해 웹서버 보안을 강화할 수도 있다. 제 1 네트워크(21)는 열차 내 WiF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로컬 서버(26)를 통한 컨텐츠 접속 이외의 다른 인터넷 사용을 하고자 하는 경우, 제 1 네트워크(21)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망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 2 네트워크(22)는 로컬 서버(26)의 컨텐츠 업데이트를 위한 전용 서버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WiFi를 통한 외부 네트워크망으로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제 1 네트워크(21)와 컨텐츠 전용의 제 2 네트워크(22)를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트래픽을 줄일 수 있다. 즉, 외부 네트워크망을 이용하는 일반 인터넷 접속과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컨텐츠 소비 모두를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5)를 통해 AP(24)에 접속하는 경우, 하나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통해 WiFi에 접속하고, 그 후 목적에 따라 제 1 네트워크(21)와 로컬 서버(26)(또는, 제 2 네트워크(22))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구분하여 각각의 SSID로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구별되는 두 개의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하나의 SSID를 통해 연결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 목적에 맞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객실의 AP(Access Point)에 접속할 수 있다(S31 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WiFi를 이용하여 AP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가 AP에 접속하면 컨텐츠 접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 단계).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AP에 접속하면 컨텐츠 접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서버, 즉 로컬 서버에 접근하기 위한 확인을 요청하는 페이지를 출력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 단말기가 WiFi에 접속한 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판단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로컬 서버 접근을 요청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33 단계) 이에 따라 네트워크를 구분하여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로컬 서버 접근을 수락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제 1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S34 단계). 제 1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 예를 들어, 5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망에 접속할 수 있다(S35 단계). 따라서, 사용자는 WiFi를 통해 외부망과 접속할 수 있어, 개인의 데이터 사용 없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1 네트워크에 접속한 이후라도 컨텐츠 접근 여부 판단 단계(S32 단계)로 다시 진입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로컬 서버 접근을 수락하는 경우, 제 2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S36 단계). 제 2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 로컬 서버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S37 단계). 또는, 사용자가 로컬 서버 접근을 수락하는 경우, 로컬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로컬 서버와 직접 접속하여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고, 로컬 서버는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로컬 서버 접근을 수락한 이후라도 컨텐츠 접근 여부 판단 단계(S32 단계)로 다시 진입하여 제 1 네트워크로 접속할 수도 있다.
컨텐츠 접근 여부 판단 단계(S32 단계)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통상 사용자가 상이한 네트워크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SSID를 통해 접속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AP에 접속할 때 원하는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AP를 연결한다. 즉, 하나의 네트워크를 이용하다가 다른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WiFi 설정 단계에 다시 진입하여 다른 네트워크의 SSID로 접속해야만 한다. 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일단 하나의 AP에 접속한 후 상이한 네트워크를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에 접속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로컬 서버 접근 여부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가 출력되고, 사용자가 로컬 서버에 접근을 요청하면 S36단계로 진행하여 로컬 서버가 제공하는 페이지가 바로 출력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로컬 서버 접근을 거부하는 경우 S34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또는, AP 접속을 완료한 후, 사용자가 특정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로컬 서버의 컨텐츠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또는 이미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경우, 또는 로컬 서버가 제공하는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 이를 로컬 서버 접근 요청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로컬 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컨텐츠 제공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 S36 단계로 진입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컨텐츠들을 검색하고 소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일반 웹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이나 기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S34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의 선택은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형태에 따라 시스템이 직접 판단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최초 선택에 따라 S35 단계 또는 S37 단계에 진입한 이후라도, 사용자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이나 컨텐츠 제공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와 같이 컨텐츠 접근 여부 판단에 대한 이벤트를 실행하는 경우 S32 단계로 다시 진입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번거로운 네트워크의 설정 및 변경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또는 웹사이트의 접속 등과 같은 사용자 조작만으로도 네트워크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시스템 측면에서는 고품질 컨텐츠, 즉, 대용량의 트래픽을 요구하는 서비스는 별도 서버로 집중시켜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객실 AP에 접속할 수 있다(S41 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WiFi를 이용하여 AP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가 AP에 접속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우선 제 1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다(S42 단계). 이를 통해 사용자는 외부망에 접속할 수 있다(S43 단계).
이 후, 사용자가 로컬 서버에 접근을 요청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4 단계). 만일 사용자가 로컬 서버에 접근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는 제 1 네트워크 접속을 그대로 유지하고, 사용자가 로컬 서버에 접근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제 2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S45 단계). 이 때, 사용자가 로컬 서버에 접근을 요청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다양한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소정의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이를 로컬 서버에 대한 접근 요청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 이를 로컬 서버에 대한 접근 요청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 때, 소정의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정의 웹페이지는 후술할 단계 S46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컨텐츠를 사용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제 1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네트워크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네트워크 설정, 예를 들어, 제 1 네트워크와는 상이한 SSID로의 재접속 없이도 동일한 SSID를 유지한 채 제 2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로컬 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로컬 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단계 S46). 로컬 서버는 예를 들어, 스트리밍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데이터 사용량을 소모하지 않고도 컨텐츠를 끊김없이 소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한 후 로컬 서버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 예를 들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거나 또는 해당 웹페이지를 닫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제 1 네트워크로 접속을 변경할 수 있다(S47 단계). 즉, 사용자가 컨텐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 2 네트워크로 접속하고, 컨텐츠 사용이 종료된 후 일반 인터넷 사용을 하는 경우에는 다시 제 1 네트워크로 복귀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집합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자체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를 통해 또는 저장매체를 통해 다운로드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설치할 수 있는 프로그램 그 자체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호 배타적인 것은 아니며, 일 실시예의 구성이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도출될 수 있는 여러가지 형태 중 일부를 예시로서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자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1 : 컨텐츠 제공 서버 12 : 광고 제공 서버
13 : 미디어 서버 14 : 로컬 서버
15 : 사용자 단말기
21 : 제 1 네트워크 22 : 제 2 네트워크
23 : 라우터 24 : AP
25 : 사용자 단말기 26 : 로컬 서버

Claims (15)

  1.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를 관리하는 미디어 서버;
    제 1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한 제 1 모뎀;
    상기 제 1 네트워크와 구별되는 제 2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한 제 2 모뎀;
    사용자 단말기에 WiFi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AP(Access Point);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로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AP에 연결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컬 서버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AP에 연결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2.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를 관리하는 미디어 서버;
    제 1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한 제 1 모뎀;
    상기 제 1 네트워크와 구별되는 제 2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한 제 2 모뎀;
    사용자 단말기에 WiFi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AP(Access Point);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로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AP에 연결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컬 서버에 연결되는,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와 상기 제 2 네트워크는 동일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통해 접속되는,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는, 상기 컨텐츠 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경우를 포함하는,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는, 상기 컨텐츠 제공을 위한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는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광고 데이터를 상기 로컬 서버에 전송하는,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광고 데이터에 기초한 광고를 전송하고, 상기 광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결정된 광고인,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광고 데이터에 기초한 광고를 전송하고, 상기 광고는 상기 로컬 서버의 현재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광고인,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상기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광고 저장부, 및 상기 컨텐츠와 상기 광고 데이터를 매칭시키는 매칭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컨텐츠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분석부는 상기 로컬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로컬 서버의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스트리밍으로 제공하는,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는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모뎀, 상기 제 2 모뎀, 상기 AP 및 상기 로컬 서버는 이동가능한 운송수단 내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운송수단에 탑승한 승객의 단말기인,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13. 미디어 서버 및 로컬 서버를 이용하여 열차 내 승객에게 모바일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미디어 서버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열차에 배치된 상기 로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로컬 서버가 수신한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승객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상기 로컬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승객의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로컬 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상기 제 1 네트워크와 구분되는 제 2 네트워크인, 열차 내 모바일 컨텐츠 제공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와 상기 제 2 네트워크는 동일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통해 접속되는, 열차 내 모바일 컨텐츠 제공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광고를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되는 광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스트리밍되는 상기 컨텐츠, 상기 승객의 과거 컨텐츠 시청 이력, 성별, 연령, 거주지, 행선지 정보, 현재 열차의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열차 내 모바일 컨텐츠 제공방법.
KR1020200138048A 2020-10-23 2020-10-23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2220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048A KR102220297B1 (ko) 2020-10-23 2020-10-23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048A KR102220297B1 (ko) 2020-10-23 2020-10-23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297B1 true KR102220297B1 (ko) 2021-02-24

Family

ID=74688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048A KR102220297B1 (ko) 2020-10-23 2020-10-23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2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049B1 (ko) * 2021-06-17 2022-02-08 임기채 열악한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 처리방법, 그 시스템 처리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712A (ko) * 2008-05-20 2009-11-25 주식회사 지팡이 콘텐츠 링크된 광고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10121405A (ko) * 2010-04-30 2011-11-07 주식회사 인큐브테크 컨텐츠 통합관리 시스템
KR101283297B1 (ko) * 2012-02-01 2013-07-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텐츠 중계 서버 및 컨텐츠 중계 서버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50067325A (ko) * 2012-10-08 2015-06-17 패트릭 순-시옹 분산 저장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9195A (ko) * 2015-07-16 2017-01-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동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712A (ko) * 2008-05-20 2009-11-25 주식회사 지팡이 콘텐츠 링크된 광고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10121405A (ko) * 2010-04-30 2011-11-07 주식회사 인큐브테크 컨텐츠 통합관리 시스템
KR101283297B1 (ko) * 2012-02-01 2013-07-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텐츠 중계 서버 및 컨텐츠 중계 서버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50067325A (ko) * 2012-10-08 2015-06-17 패트릭 순-시옹 분산 저장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9195A (ko) * 2015-07-16 2017-01-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동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049B1 (ko) * 2021-06-17 2022-02-08 임기채 열악한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 처리방법, 그 시스템 처리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WO2022265398A1 (ko) * 2021-06-17 2022-12-22 임기채 열악한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 처리방법, 그 시스템 처리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2501B2 (en) In-vehicle services for user-provided devices
US8239286B2 (en) Medium and system for location-based E-commerc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9032396B2 (en) Server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application control system
US20010037360A1 (en) Data service at a transit terminal
US11972472B2 (en) Pre-transit and post-transit facilitation of in-vehicle services
US10523634B2 (en) System for dynamically implementing firewall exceptions
JP2013232204A (ja) コンテンツを挿入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280277B1 (ja) 有償運送車両配車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20297B1 (ko)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EP3220599B1 (en) System for demand -based regulation of dynamically implemented firewall exceptions
JP2023549679A (ja) Maas輸送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装置を跨いだ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再生制御
JP5660992B2 (ja) 他社契約の端末を接続可能とする無線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方法、中継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JP2005092732A (ja) 旅客移動体内における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20210097389A (ko) 실시간 사용자 환경을 반영한 여행 일정 추천 시스템 및 방법
US8548974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graphically oriented internet search results to mobile users
US201902082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vehicle services to commuters
JP5796864B2 (ja) 他社契約の端末を接続可能とする無線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方法、中継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20200140157A (ko) 렌트카 사업자 기반 자동차 운행 공유 서비스 방법
Kanellopoulos et al. Multimedia applications in Tourism: The case of travel plans
US20220324476A1 (en) Autonomous self-driving vehicles user profiles
JP7146704B2 (ja) サービス提供サーバ、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サービス提供方法
US20230140057A1 (en) Conversational user experience for multimodal travel system
GB2522323A (en) Wireless access point framework
Chen et al. Trends in Toronto’s Subway Ridership Recovery: An Exploratory Analysis of Wi-Fi Records
Dallimore et al. Free Wi-Fi on public transport–will it make a difference to urban trav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