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233B1 - 셀제어장치 및 공존망 셀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셀제어장치 및 공존망 셀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233B1
KR102220233B1 KR1020150101521A KR20150101521A KR102220233B1 KR 102220233 B1 KR102220233 B1 KR 102220233B1 KR 1020150101521 A KR1020150101521 A KR 1020150101521A KR 20150101521 A KR20150101521 A KR 20150101521A KR 102220233 B1 KR102220233 B1 KR 102220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tdd
fdd
simultaneous access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9448A (ko
Inventor
나민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1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233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의 특이한 환경적 요소를 고려하여, TDD 셀의 상/하향링크 비율을 최적으로 조절(설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FDD 셀 및 TDD 셀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최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셀제어장치 및 공존망 셀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셀제어장치 및 공존망 셀 제어방법{CELL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ELL IN COEXISTENCE NETWORK}
본 발명은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의 특이한 환경적 요소를 고려하여, TDD 셀의 상/하향링크 비율을 최적으로 조절(설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FDD 셀 및 TDD 셀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최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셀제어장치 및 공존망 셀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LTE 통신시스템에서 통신서비스의 종류 및 전송 요구 속도 등이 다양해짐에 따라, LTE 주파수 증설 및 5G 통신시스템으로의 진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통신시스템은, 상향링크(UL) 및 하향링크(DL)를 서비스하기 위하여 듀플렉스(Duplex) 기술을 사용한다. 듀플렉스 기술은, 크게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와 TDD(Time Division Duplex)로 구분할 수 있다.
FDD의 경우, UL용의 주파수대역 및 DL용의 주파수대역을 고정적으로 할당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주파수대역의 용도를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DL 트래픽이 증가하더라도 특별한 대응을 하기 어렵다.
반면, TDD의 경우, 동일한 주파수대역을 시간에 따라 UL 또는 DL로 가변 할당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프레임 내 서브프레임 단위로 UL 및 DL를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TDD의 경우는, 시간에 따라 동일한 주파수대역의 용도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순시적으로 DL 트래픽량이 증가하게 되면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DL 서브프레임의 수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만큼 UL 서브프레임을 줄이는 등과 같이, 상/하향링크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UL/DL 트래픽에 적응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한 방식(이하, Dynamic TDD, D-TDD)으로 진화하고 있어, 데이터 서비스에 유리하다.
이에, 통신시스템에서 LTE 주파수 증설 및 5G 통신시스템으로의 진화 시, 신규 주파수대역에서는 TDD의 이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에 FDD를 이용하는 FDD 셀 및 TDD를 이용하는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 환경으로 발전될 것이다.
이와 같이,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 환경에서는,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특이한 환경적 요소를 고려하여, TDD 셀의 상/하향링크 비율을 최적으로 조절(설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한편, 여러 개의 셀(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환경에서는, 주파수묶음(Carrier Aggregation) 기술, 이중접속(Dual Connectivity) 기술 등과 같은 복수 주파수 동시접속 기술을 기반으로 여러 개의 셀(FDD 셀 및 TDD 셀)에 동시에 접속하는 단말(이하, 동시접속 단말)이 존재하게 되는데, 동시접속 단말은 여러 개의 셀(FDD 셀 및 TDD 셀) 중 하나의 셀(예 : PCell)을 통해서만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할당 받는다.
이에,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의 특이한 환경적 요소를 고려하여,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최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의 특이한 환경적 요소를 고려하여, TDD 셀의 상/하향링크 비율을 최적으로 조절(설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FDD 셀 및 TDD 셀에 동시에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최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의 특이한 환경적 요소를 고려하여, TDD 셀의 상/하향링크 비율을 최적으로 조절(설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FDD 셀 및 TDD 셀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최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셀제어장치 및 공존망 셀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셀제어장치는, FDD를 이용하는 FDD 셀 및 TDD를 이용하는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에서, 상기 TDD 셀에 대한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하는 무선자원측정부; 상기 TDD 셀에 대한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측정하는 커버리지측정부; 및 상기 측정한 무선자원 사용률 및 상기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TDD 셀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설정하여, 상기 TDD 셀에서 무선자원 기반의 용량 및 커버리지 기반의 품질이 균형 있게 개선되도록 하는 비율설정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리지측정부는, 상기 FDD 셀 및 상기 TDD 셀에 동시 접속을 지원하는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동시접속 지원단말 커버리지 관련정보와, 상기 FDD 셀 및 상기 TDD 셀에 동시 접속을 미 지원하는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동시접속 미지원단말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율설정제어부는, 상기 측정한 무선자원 사용률에 따라 상기 TDD 셀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변경하고, 상기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상기 TDD 셀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상기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 후에 변경 직전 보다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 커지지 않으면, 상기 변경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상기 TDD 셀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율설정제어부는, 상기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상기 TDD 셀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상기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 후에 변경 직전 보다 상기 임계값 이상 커지면, 상기 변경 직전의 상/하향링크 비율을 상기 TDD 셀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FDD 셀 및 상기 TDD 셀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 또는 상기 TDD 셀에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는, 상기 동시접속 단말이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가 상기 FDD 셀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 보다 큰 경우, 상기 동시접속 단말 중에서, 상기 TDD 셀 중 특정 TDD 셀에 접속해 있는 특정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특정 TDD 셀에 할당하고, 나머지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에 할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TDD 셀은, 상기 TDD 셀 중에서, 상기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가장 낮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TDD 셀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셀제어장치는, FDD를 이용하는 FDD 셀 및 TDD를 이용하는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에서, 상기 FDD 셀 및 상기 TDD 셀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을 확인하는 단말확인부; 및 상기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 또는 상기 TDD 셀에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는, 상기 동시접속 단말이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가 상기 FDD 셀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 보다 큰 경우, 상기 동시접속 단말 중에서, 상기 TDD 셀 중 특정 TDD 셀에 접속해 있는 특정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특정 TDD 셀에 할당하고, 나머지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에 할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TDD 셀은, 상기 TDD 셀 중에서, 상기 TDD 셀에 대하여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가장 낮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TDD 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TDD 셀은, 상기 TDD 셀 중에서, 상기 동시접속 단말로부터 수집한 TDD 셀 환경정보에 따라 셀 환경이 가장 좋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TDD 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는, 상기 동시접속 단말이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가 상기 FDD 셀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동시접속 단말 모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에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공존망 셀 제어방법은, 셀제어장치가, FDD를 이용하는 FDD 셀 및 TDD를 이용하는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에서, 상기 TDD 셀에 대한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하는 무선자원측정단계; 상기 셀제어장치가, 상기 TDD 셀에 대한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측정하는 커버리지측정단계; 및 상기 셀제어장치가, 상기 측정한 무선자원 사용률 및 상기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TDD 셀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설정하여, 상기 TDD 셀에서 무선자원 기반의 용량 및 커버리지 기반의 품질이 균형 있게 개선되도록 하는 비율설정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율설정제어단계는, 상기 측정한 무선자원 사용률에 따라 상기 TDD 셀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변경하고, 상기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상기 TDD 셀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상기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 후에 변경 직전 보다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 커지지 않으면, 상기 변경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상기 TDD 셀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제어장치가, 상기 FDD 셀 및 상기 TDD 셀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 또는 상기 TDD 셀에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UL제어채널할당제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L제어채널할당제어단계는, 상기 동시접속 단말이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가 상기 FDD 셀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 보다 큰 경우, 상기 동시접속 단말 중에서, 상기 TDD 셀 중 특정 TDD 셀에 접속해 있는 특정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특정 TDD 셀에 할당하고, 나머지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에 할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TDD 셀은, 상기 TDD 셀 중에서, 상기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가장 낮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TDD 셀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공존망 셀 제어방법은, 셀제어장치가, FDD를 이용하는 FDD 셀 및 TDD를이용하는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에서, 상기 FDD 셀 및 상기 TDD 셀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을 확인하는 단말확인단계; 및 상기 셀제어장치가, 상기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 또는 상기 TDD 셀에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UL제어채널할당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L제어채널할당제어단계는, 상기 동시접속 단말이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가 상기 FDD 셀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 보다 큰 경우, 상기 동시접속 단말 중에서, 상기 TDD 셀 중 특정 TDD 셀에 접속해 있는 특정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특정 TDD 셀에 할당하고, 나머지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에 할당하며, 상기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가 상기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동시접속 단말 모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에 할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TDD 셀은, 상기 TDD 셀 중에서, 상기 TDD 셀에 대하여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가장 낮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TDD 셀이거나, 또는 상기 TDD 셀 중에서, 상기 동시접속 단말로부터 수집한 TDD 셀 환경정보에 따라 셀 환경이 가장 좋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TDD 셀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셀제어장치 및 공존망 셀 제어방법에 따르면,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의 특이한 환경적 요소를 고려하여, TDD 셀의 상/하향링크 비율을 최적으로 조절(설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FDD 셀 및 TDD 셀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최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셀제어장치 및 공존망 셀 제어방법에 따르면, TDD 셀의 상/하향링크 비율을 최적으로 조절(설정)하고 FDD 셀 및 TDD 셀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최적으로 할당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공존망의 시스템 성능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존망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셀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셀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존망 셀 제어방법의 제어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존망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존망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를 이용하는 FDD 셀 및 TDD(Time Division Duplex)를 이용하는 TDD 셀이 공존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때 도 1에서는, 매크로기지국(100)의 매크로셀(C100)이 FDD를 이용하고, 매크로셀(C100) 내에 위치하는 소형기지국(10,20,30,40,50)의 소형셀(C10,C20,C30,C40,C50)이 TDD를 이용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편의 상 도시한 일 실시예일 뿐이며, 매크로셀(C100)이 TDD를 이용하고, 소형셀(C10,C20,C30,C40,C50)이 FDD를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도 1의 공존망 환경을 언급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며, 필요에 따라서 설명 시 매크로셀(C100) 및 FDD 셀(C110)을 혼용하고 소형셀(C10,C20,C30,C40,C50) 및 TDD 셀(C10,C20,C30,C40,C50)을 혼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매크로기지국(100)이 FDD 셀(C110)을 형성하고 각 소형기지국(10,20,30,40,50)이 TDD 셀(C10,C20,C30,C40,C50)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하나의 단일 기지국(미도시)이 FDD 셀(C110) 및 각 TDD 셀(C10,C20,C30,C40,C50)을 모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TDD를 이용하는 소형셀(C10,C20,C30,C40) 즉 TDD 셀(C10,C20,C30,C40,C50)은, 순시적으로 하향링크(DL) 트래픽량이 증가하게 되면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DL 서브프레임의 수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만큼 상향링크(UL) 서브프레임을 줄이는 등과 같이, 상/하향링크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UL/DL 트래픽에 적응적으로 대응하는 Dynamic TDD 기능을 지원한다.
헌데, TDD 셀(C10,C20,C30,C40,C50)에서, 하향링크(DL) 트래픽량 만을 고려하여 상/하향링크 비율을 조절하게 되면, 무선자원 기반의 용량이 개선될지는 모르지만, 하향링크 대비 상향링크의 비율이 너무 낮아지는 경우 상/하향링크 커버리지 간 불일치가 심화되어, 커버리지 기반의 품질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의 특이한 환경적 요소를 고려하여, TDD 셀의 상/하향링크 비율을 최적으로 조절(설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편, 도 1과 같이 여러 개의 셀, 다시 말해 FDD 셀(C100) 및 TDD 셀(C10,C20,C30,C40,C50)이 공존하는 환경에서는, 주파수묶음(Carrier Aggregation) 기술, 이중접속(Dual Connectivity) 기술 등과 같은 복수 주파수 동시접속 기술을 기반으로 FDD 셀 및 TDD 셀에 동시에 접속하는 단말(이하, 동시접속 단말)이 존재하게 되는데, 동시접속 단말은 동시에 접속한 FDD 셀 및 TDD 셀 중 하나의 셀(예: PCell)을 통해서만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할당 받는다.
여기서, 동시접속 기술 중 대표적으로 CA 기술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CA 기술은, 다중 단위 주파수대역(Component Carrier, CC)의 통합을 통해 보다 넓은 주파수대역을 확보할 수 있고, 각 주파수대역(CC)은 LTE 단말에게 LTE 주파수대역으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이전 통신시스템과의 호환성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매크로기지국(100) 및 소형기지국(10,20,30,40)은 CA 기술을 지원하는 기지국인 것으로 가정하고, 도 1에 도시된 단말1,2,3,4,5는 CA 기술을 지원하는 (이하, CA 단말)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CA 단말은, 우선 다수의 주파수대역(CC) 중 기 설정된 기본 주파수대역의 기본셀(Primary Cell, PCell)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 이후 필요에 따라 보조 주파수대역의 보조셀(Secondary Cell, SCell)을 통해 기지국에 동시 접속하여, 여러 개의 주파수대역 셀 즉 기본셀(PCell) 및 보조셀(SCell)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동시접속 단말이란, 기본셀(PCell) 및 보조셀(SCell)에 동시에 접속한 상태 즉 CA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의 CA 단말을 의미한다.
이에, 도 1에서 단말1을 언급하여 FDD 셀(C100)이 기본셀(PCell)이고 TDD 셀(C10)이 보조셀(SCell)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면, 단말1은 먼저 기본셀(PCell) 즉 FDD 셀(C100)을 통해 매크로기지국(100)에 접속하고, 이후 필요에 따라 보조셀(SCell) 즉 TDD 셀(C10)을 통해 소형기지국(10)에 동시 접속하여, 여러 개의 주파수대역 셀 즉 FDD 셀(C100, PCell) 및 TDD 셀(C10, SCell)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1이 FDD 셀(C100, PCell) 및 TDD 셀(C10, SCell)에 동시에 접속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단말1은 FDD 셀(C100, PCell) 및 TDD 셀(C10, SCell) 중 기본셀(PCell)로 사용하는 하나의 셀을 통해서만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할당 받는다.
즉, 단말1이 FDD 셀(C100, PCell) 및 TDD 셀(C10, SCell)에 동시에 접속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하향링크 채널은 FDD 셀(C100, PCell) 및 TDD 셀(C10, SCell) 각각에서 할당 받지만, 하향링크 채널과 관련된 정보 예컨대 FDD 셀(C100, PCell) 및 TDD 셀(C10, SCell) 각각의 하향링크 채널에 대한 CQI, PMI, MIMO 관련 RI 등의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상향링크 제어채널은 FDD 셀(C100, PCell) 및 TDD 셀(C10, SCell) 중 하나의 셀을 통해서만 할당 받는다.
이때, 기존의 CA 기술과 같이, 동시접속 단말, 즉 FDD 셀(C100, PCell) 및 및 TDD 셀(C10,C20,C30,C40,C50 중 적어도 하나, SCell)에 동시에 접속한 상태인 CA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기본셀(PCell)로 사용하는 FDD 셀(C100)에 일괄적으로 할당하게 되면, FDD 셀(C100)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 부족으로 인해, 무선자원 효율의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렇다고, 동시접속 단말, 즉 FDD 셀(C100, PCell) 및 TDD 셀(C10,C20,C30,C40,C50 중 적어도 하나, SCell)에 동시에 접속한 상태인 CA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TDD 셀(C10,C20,C30,C40,C50 중 적어도 하나, SCell)에 할당하게 되면, TDD 셀(C10,C20,C30,C40,C50 중 적어도 하나, SCell)에서 하향링크 대비 상향링크의 비율이 너무 낮은 경우, 역시나 무선자원 효율의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의 특이한 환경적 요소를 고려하여, FDD 셀 및 TDD 셀에 동시에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최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전술의 방안을 실현하는 셀제어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셀제어장치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셀제어장치(200)는, FDD를 이용하는 FDD 셀 및 TDD를 이용하는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에서, 상기 TDD 셀에 대한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하는 무선자원측정부(210)와, 상기 TDD 셀에 대한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측정하는 커버리지측정부(220)와, 상기 측정한 무선자원 사용률 및 상기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TDD 셀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설정하여, 상기 TDD 셀에서 무선자원 기반의 용량 및 커버리지 기반의 품질이 균형 있게 개선되도록 하는 비율설정제어부(23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FDD 셀로서 도 1에 도시된 매크로셀(C100)를 언급하고, TDD 셀로서 도 1에 도시된 소형셀(C10,C20,C30,C40,C50)을 언급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셀제어장치(200)는, 소형기지국(10,20,30,40,50)과 연동이 가능한 매크로기지국(100)일 수도 있고, 매크로기지국(100)과 연동이 가능한 소형기지국(10,20,30,40,50) 각각일 수도 있고, 더 나아가 매크로기지국(100) 및 소형기지국(10,20,30,40,50)과 연동하는 별도의 장치(미도시)일 수도 있다.
무선자원측정부(210)는,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에서, TDD 셀에 대한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한다.
즉, 무선자원측정부(210)는, 도 1과 같은 공존망에서, TDD 셀(C10,C20,C30,C40,C50) 각각에 대한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자원측정부(210)는, 도 1과 같은 공존망에서, TDD 셀(C10,C20,C30,C40,C50) 각각에 대한 상향링크(UL) 및 하향링크(DL)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자원측정부(210)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커버리지측정부(220)는, TDD 셀(C10,C20,C30,C40,C50) 각각에 대한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측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버리지측정부(220)는, TDD 셀(C10,C20,C30,C40,C50) 각각에 대하여, FDD 셀 및 TDD 셀에 동시 접속을 지원하는 단말 즉 CA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동시접속 지원단말 커버리지 관련정보와, FDD 셀 및 TDD 셀에 동시 접속을 미 지원하는 단말 즉 CA 미지원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동시접속 미지원단말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측정한다.
여기서, 동시접속 지원단말 커버리지 관련정보는, CA 단말이 보조셀(SCell)로 지정된 TDD 셀을 삭제(Delete)하는 빈도(c)와, 동시접속 단말(CA 기능이 활성화된 CA 단말)의 개수(d)를 포함하며, 더 나아가 기 설정된 시간(Time Window) 동안의 평균 BLER(Block Error Rate)을 포함한다.
한편, 동시접속 미지원단말 커버리지 관련정보는, CA 미지원 단말이 TDD 셀에서 FDD 셀로 핸드오버 하는 빈도(a)와, 호 단절(Call Drop)이 발생한 비율인 Call Drop Rate(b)를 포함하며, 더 나아가 기 설정된 시간(Time Window) 동안의 평균 BLER을 포함한다.
비율설정제어부(230)는, 무선자원측정부(210)에서 측정한 무선자원 사용률 및 커버리지측정부(220)에서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기초로 TDD 셀(C10,C20,C30,C40,C50) 각각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설정한다.
이하에서는, TDD 셀(C10,C20,C30,C40,C50) 중 하나인 TDD 셀(C10)을 언급하여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겠다.
먼저, TDD 셀(C10)을 언급하여, 무선자원측정부(210)에 TDD 셀에 대한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DD 셀(C10)에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상/하향링크 비율이 있을 것이다.
예컨대, 아래의 표1은, TDD 셀의 상/하향링크 비율 즉 Configuration 별로 서브프레임 단위의 UL 및 DL를 할당 예를 보여주고 있다.
Figure 112015069303810-pat00001
이에, TDD 셀(C10)에는 현재 상/하향링크 비율로서, 하나의 프레임 즉 10개 서브프레임 중 6개 서브프레임이 DL에 할당되고 3개 서브프레임이 UL에 할당된 Config. 3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겠다.
그리고, 무선자원측정부(210)는,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UL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하는 모드로 동작할 것인지(이하, UL 우선모드), 또는 DL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하는 모드로 동작할 것인지(이하, DL 우선모드), 또는 UL 및 DL 무선자원 사용률을 모두 측정하는 모드로 동작할 것인지(이하, UL/DL 우선모드)가 기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각 우선모드 별로, 상/하향링크 비율 변경을 수행할 변경설정치(β)가 각기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DL 우선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무선자원측정부(210)는, TDD 셀(C10)에 대한 DL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한다.
즉, 무선자원측정부(210)는, TDD 셀(C10)에 대하여, 현재 설정되어 있는 상/하향링크 비율 즉 Config. 3을 기준으로, 하나의 프레임 내 DL에 할당된 6개 서브프레임 중 얼만큼을 단말에 할당했는지를 기 설정된 시간(Time Window) 동안 측정하고, 측정 결과의 평균을 DL 무선자원 사용률로서 측정(결정)할 수 있다.
물론, 전술의 DL 우선모드와 같은 방식으로, 무선자원측정부(210)는, UL 우선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TDD 셀(C10)에 대하여 현재 설정되어 있는 상/하향링크 비율 즉 Config. 3을 기준으로 UL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할 것이고, UL/DL 우선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TDD 셀(C10)에 대하여 현재 설정되어 있는 상/하향링크 비율 즉 Config. 3을 기준으로 UL/DL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할 것이다.
그리고, TDD 셀(C10)을 언급하여, 커버리지측정부(220)에 TDD 셀에 대한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측정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커버리지측정부(220)는, TDD 셀(C10)에 대하여, FDD 셀(C100) 및 TDD 셀(C10)에 동시 접속을 지원하는 CA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동시접속 지원단말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측정한다.
즉, 커버리지측정부(220)는, 기본셀(PCell)로서 FDD 셀(C100)에 접속하고 보조셀(SCell)로서 TDD 셀(C10)에 접속하거나 또는 보조셀(SCell)로서 TDD 셀(C10)이 지정된 CA 단말을 대상으로, 기 설정된 시간(Time Window) 동안, 해당 CA 단말이 보조셀(SCell)인 TDD 셀(C10)을 삭제(Delete)하는 빈도(c)와, 동시접속 단말(CA 기능이 활성화된 CA 단말)의 개수(d)와, 평균 BLER을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커버리지측정부(220)는, TDD 셀(C10)에 대하여, FDD 셀(C100) 및 TDD 셀(C10)에 동시 접속을 미 지원하는 CA 미지원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동시접속 미지원단말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측정한다.
즉, 커버리지측정부(220)는, TDD 셀(C10)에 접속한 CA 미지원 단말을 대상으로, 기 설정된 시간(Time Window) 동안, TDD 셀(C10)에서 FDD 셀(C100)로 핸드오버 하는 빈도(a)와, 호 단절(Call Drop)이 발생한 비율인 Call Drop Rate(b)와, 평균 BLER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TDD 셀(C10)을 언급하여, 비율설정제어부(230)에서 TDD 셀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설정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자원측정부(210)에서 DL 우선모드에 따라 TDD 셀(C10)에 대한 DL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한 예시를 언급하여 후술하겠다.
먼저, 비율설정제어부(230)는, 무선자원측정부(210)에서 측정한 무선자원 사용률에 따라 TDD 셀(C10)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전술과 같이 TDD 셀(C10)에 대한 DL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한 경우라면, 비율설정제어부(230)는, TDD 셀(C10)에 대해 측정한 DL 무선자원 사용률이 DL 우선모드에 설정된 변경설정치(β)를 초과하는 경우, 현재 TDD 셀(C10)에 설정되어 있는 상/하향링크 비율 즉 Config. 3 보다 DL 비율이 한 단계 높은 상/하향링크 비율 즉 Config. 4로 변경할 수 있다.
이후, 비율설정제어부(230)는, 커버리지측정부(220)에서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 후에 변경 직전 보다 기 설정된 임계값(λ) 이상 커지지 않으면, 금번 변경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TDD 셀(C10)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로 설정한다.
반면, 비율설정제어부(230)는, 커버리지측정부(220)에서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 후에 변경 직전 보다 임계값(λ) 이상 커지면, 금번 변경 직전의 상/하향링크 비율을 TDD 셀(C10)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로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율설정제어부(230)는, 커버리지측정부(220)에서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 즉 전술의 (a), (b), (c), (d) 및 평균 BLER에 따른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을 확인한다.
이때, 비율설정제어부(230)에서 확인하는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은, 핸드오버 빈도(a)가 커질수록, Call Drop Rate(b)가 커질수록, TDD 셀 Delete 빈도(c)가 커질수록, 동시접속 단말(CA 기능이 활성화된 CA 단말) 개수(d)가 적어질수록, 평균 BLER가 커질수록, 그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비율설정제어부(230)는,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Config. 3 → Config. 4) 전에 커버리지측정부(220)에서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전술의 (a), (b), (c), (d) 및 평균 BLER)에 따라 확인한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을 기준값 1로 보고,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Config. 3 → Config. 4) 후에 커버리지측정부(220)에서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전술의 (a), (b), (c), (d) 및 평균 BLER)에 따른 따른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율설정제어부(230)는,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Config. 3 → Config. 4) 후에 변경 직전 보다 임계값(λ, 예: 10%) 이상 커지지 않으면, 금번 변경한 상/하향링크 비율 즉 Config. 4를 TDD 셀(C10)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로 설정한다.
이는,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Config. 3 → Config. 4) 후에 변경 직전 보다 임계값(λ) 이상 커지지 않는다는 것은, 앞서 TDD 셀(C10)의 무선자원 사용률을 고려하여 상/하향링크 비율을 변경(Config. 3 → Config. 4)함에 따라 무선자원 기반의 용량이 개선되면서도, 상/하향링크 비율을 변경(Config. 3 → Config. 4)로 인해 품질 저하가 야기될 만큼 TDD 셀(C10)의 상/하향링크 커버리지 간 불일치가 심화되지 않았음에 기인한다.
반면, 비율설정제어부(230)는,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Config. 3 → Config. 4) 후에 변경 직전 보다 임계값(λ, 예: 10%) 이상 커지면, 금번 변경 직전의 상/하향링크 비율 즉 Config. 3을 TDD 셀(C10)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로 설정한다.
이는,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Config. 3 → Config. 4) 후에 변경 직전 보다 임계값(λ) 이상 커진다는 것은, 앞서 TDD 셀(C10)의 무선자원 사용률을 고려하여 상/하향링크 비율을 변경(Config. 3 → Config. 4)함에 따라 무선자원 기반의 용량이 개선되었지만, 상/하향링크 비율을 변경(Config. 3 → Config. 4)로 인해 품질 저하가 야기될 만큼 TDD 셀(C10)의 상/하향링크 커버리지 간 불일치가 심화되었음에 기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셀제어장치(200)는,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에서, 공존망의 특이한 환경적 요소 즉 무선자원 사용률 및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모두 고려하여, TDD 셀에서 무선자원 기반의 용량 및 커버리지 기반의 품질이 균형 있게 개선되도록, TDD 셀의 상/하향링크 비율을 최적으로 조절(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에서는 도 1에 도시된 TDD 셀(C10,C20,C30,C40,C50) 중 하나인 TDD 셀(C10)을 언급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TDD 셀(C10) 외의 다른 TDD 셀(C20,C30,C40,C50) 각각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더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셀제어장치(200)는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240)는, FDD 셀 및 TDD 셀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FDD 셀 또는 TDD 셀에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240)는, FDD 셀(C100) 및 TDD 셀(C10,C20,C30,C40,C50 중 적어도 하나)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CA 기능이 활성화된 CA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을, FDD 셀(C100) 또는 TDD 셀(C10,C20,C30,C40,C50 중 적어도 하나)에 적응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240)는, FDD 셀(C100) 및 TDD 셀(C10,C20,C30,C40,C50 중 적어도 하나)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CA 기능이 활성화된 CA 단말)이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가 FDD 셀(C100)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ε)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도시된 단말1,2,4가, FDD 셀(C100) 및 TDD 셀(C10,C20,C30,C40,C50 중 적어도 하나)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CA 기능이 활성화된 CA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이때, 단말1은 기본셀(PCell)로서 FDD 셀(C100)에 접속하고 보조셀(SCell)로서 TDD 셀(C10)에 접속한 상태, 단말2는 기본셀(PCell)로서 FDD 셀(C100)에 접속하고 보조셀(SCell)로서 TDD 셀(C20)에 접속한 상태, 단말4는 기본셀(PCell)로서 FDD 셀(C100)에 접속하고 보조셀(SCell)로서 TDD 셀(C40)에 접속한 상태로 가정하겠다.
이 경우,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240)는, 단말1,2,4가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예: 6개)가 FDD 셀(C100)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ε)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240)는, 단말1,2,4가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예: 6개)가 FDD 셀(C100)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ε) 보다 큰 경우, 단말1,2,4 중에서 TDD 셀(C10,C20,C30,C40,C50) 중 특정 TDD 셀에 접속해 있는 특정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특정 TDD 셀에 할당하고, 나머지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FDD 셀(C100)에 할당한다.
이때, 특정 TDD 셀은, 커버리지가 우수한 TDD 셀로서, 달리 말하면 상/하향링크 커버리지 간 불일치가 거의 없어서 커버리지 기반의 품질 저하가 염려되지 않는 TDD 셀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TDD 셀은, TDD 셀(C10,C20,C30,C40,C50) 중, 커버리지측정부(220)에서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 즉 전술의 (a), (b), (c), (d) 및 평균 BLER에 따라 확인되는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가장 낮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소정 개수(예: 2개)의 TDD 셀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특정 TDD 셀은, TDD 셀(C10,C20,C30,C40,C50) 중, 커버리지측정부(220)에서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 특히 TDD 셀 Delete 빈도(c), 동시접속 단말(CA 기능이 활성화된 CA 단말) 개수(d)에 따라 확인되는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가장 낮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소정 개수(예: 2개)의 TDD 셀일 수 있다.
또는, 특정 TDD 셀은, TDD 셀(C10,C20,C30,C40,C50) 중, 동시접속 단말 즉 단말1,2,4로부터 수집한 TDD 셀 환경정보(예: MCS 정보 등)에 따라 셀 환경이 가장 좋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소정 개수(예: 2개)의 TDD 셀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TDD 셀(C10,C20,C30,C40,C50) 중 TDD 셀(C10,C20)이, 특정 TDD 셀인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이 경우,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240)는, 단말1,2,4 중에서, TDD 셀(C10,C20,C30,C40,C50) 중 특정 TDD 셀(C10)에 접속해 있는 단말1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특정 TDD 셀(C10)에 할당하고, 특정 TDD 셀(C20)에 접속해 있는 단말2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특정 TDD 셀(C20)에 할당하며, 나머지 단말4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FDD 셀(C100)에 할당할 것이다.
반면,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240)는, 동시접속 단말 즉 단말1,2,4가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예: 6개)가 FDD 셀(C100)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ε) 이하인 경우, 단말1,2,4 모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FDD 셀(C100)에 할당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셀제어장치(200)는,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에서, 공존망의 특이한 환경적 요소 즉 FDD 셀의 상향링크 제어채널 총 개수 및 TDD 셀의 커버리지 우수 정도를 고려하여,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최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에서, TDD 셀의 상/하향링크 비율을 최적으로 조절(설정)하고 FDD 셀 및 TDD 셀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최적으로 할당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공존망의 시스템 성능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셀제어장치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셀제어장치(300)는, FDD를 이용하는 FDD 셀 및 TDD를 이용하는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에서, 상기 FDD 셀 및 상기 TDD 셀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을 확인하는 단말확인부(310)와, 상기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 또는 상기 TDD 셀에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32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FDD 셀로서 도 1에 도시된 매크로셀(C100)를 언급하고, TDD 셀로서 도 1에 도시된 소형셀(C10,C20,C30,C40,C50)을 언급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셀제어장치(300)는, 소형기지국(10,20,30,40,50)과 연동이 가능한 매크로기지국(100)일 수도 있고, 매크로기지국(100)과 연동이 가능한 소형기지국(10,20,30,40,50) 각각일 수도 있고, 더 나아가 매크로기지국(100) 및 소형기지국(10,20,30,40,50)과 연동하는 별도의 장치(미도시)일 수도 있다.
단말확인부(310)는, 도 1과 같은 공존망에서, FDD 셀(C100) 및 TDD 셀(C10,C20,C30,C40,C50 중 적어도 하나)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CA 기능이 활성화된 CA 단말)을 확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도시된 단말1,2,4가, FDD 셀(C100) 및 TDD 셀(C10,C20,C30,C40,C50 중 적어도 하나)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CA 기능이 활성화된 CA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이때, 단말1은 기본셀(PCell)로서 FDD 셀(C100)에 접속하고 보조셀(SCell)로서 TDD 셀(C10)에 접속한 상태, 단말2는 기본셀(PCell)로서 FDD 셀(C100)에 접속하고 보조셀(SCell)로서 TDD 셀(C20)에 접속한 상태, 단말4는 기본셀(PCell)로서 FDD 셀(C100)에 접속하고 보조셀(SCell)로서 TDD 셀(C40)에 접속한 상태로 가정하겠다.
즉, 단말확인부(310)는, 동시접속 단말(CA 기능이 활성화된 CA 단말)로서, 단말1,2,4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320)는, 동시접속 단말 즉 단말1,2,4의 상향링크 제어채널(UCI)을, FDD 셀 또는 TDD 셀에 적응적으로 할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320)는, 동시접속 단말 즉 단말1,2,4가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예: 6개)가 FDD 셀(C100)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ε)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320)는, 단말1,2,4가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예: 6개)가 FDD 셀(C100)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ε) 보다 큰 경우, 단말1,2,4 중에서 TDD 셀(C10,C20,C30,C40,C50) 중 특정 TDD 셀에 접속해 있는 특정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특정 TDD 셀에 할당하고, 나머지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FDD 셀(C100)에 할당한다.
이때, 특정 TDD 셀은, 커버리지가 우수한 TDD 셀로서, 달리 말하면 상/하향링크 커버리지 간 불일치가 거의 없어서 커버리지 기반의 품질 저하가 염려되지 않는 TDD 셀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TDD 셀은, TDD 셀(C10,C20,C30,C40,C50) 중, TDD 셀에 대하여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가장 낮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소정 개수(예: 2개)의 TDD 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셀제어장치(300)는, 전술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셀제어장치(200)에서 설명한 커버리지측정부(220)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특정 TDD 셀은, TDD 셀(C10,C20,C30,C40,C50) 중, 셀제어장치(300)에 구비된 커버리지측정부(220)의 기능에 의해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 즉 전술의 (a), (b), (c), (d) 및 평균 BLER에 따라 확인되는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가장 낮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소정 개수(예: 2개)의 TDD 셀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특정 TDD 셀은, TDD 셀(C10,C20,C30,C40,C50) 중,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 특히 TDD 셀 Delete 빈도(c), 동시접속 단말(CA 기능이 활성화된 CA 단말) 개수(d)에 따라 확인되는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가장 낮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소정 개수(예: 2개)의 TDD 셀일 수 있다.
또는, 특정 TDD 셀은, TDD 셀(C10,C20,C30,C40,C50) 중, 동시접속 단말 즉 단말1,2,4로부터 수집한 TDD 셀 환경정보(예: MCS 정보 등)에 따라 셀 환경이 가장 좋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소정 개수(예: 2개)의 TDD 셀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TDD 셀(C10,C20,C30,C40,C50) 중 TDD 셀(C10,C20)이, 특정 TDD 셀인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이 경우,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320)는, 단말1,2,4 중에서, TDD 셀(C10,C20,C30,C40,C50) 중 특정 TDD 셀(C10)에 접속해 있는 단말1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특정 TDD 셀(C10)에 할당하고, 특정 TDD 셀(C20)에 접속해 있는 단말2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특정 TDD 셀(C20)에 할당하며, 나머지 단말4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FDD 셀(C100)에 할당할 것이다.
반면,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320)는, 동시접속 단말 즉 단말1,2,4가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예: 6개)가 FDD 셀(C100)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ε) 이하인 경우, 단말1,2,4 모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FDD 셀(C100)에 할당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셀제어장치(300)는,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에서, 공존망의 특이한 환경적 요소 즉 FDD 셀의 상향링크 제어채널 총 개수 및 TDD 셀의 커버리지 우수 정도를 고려하여,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최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에서, FDD 셀 및 TDD 셀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최적으로 할당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공존망의 시스템 성능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존망 셀 제어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의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존망 셀 제어방법에서, TDD 셀의 상/하향링크 비율을 최적으로 조절(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이때, 설명의 편의 상, 셀제어장치(200)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존망 셀 제어방법에 의하면, 셀제어장치(200)는, 도 1과 같은 공존망에서, TDD 셀(C10,C20,C30,C40,C50) 각각에 대한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한다(S100).
이하에서는, TDD 셀(C10,C20,C30,C40,C50) 중 하나인 TDD 셀(C10)을 언급하여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겠다.
TDD 셀(C10)에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상/하향링크 비율이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전술의 표1은, TDD 셀의 상/하향링크 비율 즉 Configuration 별로 서브프레임 단위의 UL 및 DL를 할당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TDD 셀(C10)에는 현재 상/하향링크 비율로서, 하나의 프레임 즉 10개 서브프레임 중 6개 서브프레임이 DL에 할당되고 3개 서브프레임이 UL에 할당된 Config. 3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겠다.
그리고, 셀제어장치(200)는,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UL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하는 모드로 동작할 것인지(이하, UL 우선모드), 또는 DL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하는 모드로 동작할 것인지(이하, DL 우선모드), 또는 UL 및 DL 무선자원 사용률을 모두 측정하는 모드로 동작할 것인지(이하, UL/DL 우선모드)가 기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각 우선모드 별로, 상/하향링크 비율 변경을 수행할 변경설정치(β)가 각기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DL 우선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셀제어장치(200)는, TDD 셀(C10)에 대한 DL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한다.
즉, 셀제어장치(200)는, TDD 셀(C10)에 대하여, 현재 설정되어 있는 상/하향링크 비율 즉 Config. 3을 기준으로, 하나의 프레임 내 DL에 할당된 6개 서브프레임 중 얼만큼을 단말에 할당했는지를 기 설정된 시간(Time Window) 동안 측정하고, 측정 결과의 평균을 DL 무선자원 사용률로서 측정(결정)할 수 있다.
물론, 전술의 DL 우선모드와 같은 방식으로, 셀제어장치(200)는, UL 우선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TDD 셀(C10)에 대하여 현재 설정되어 있는 상/하향링크 비율 즉 Config. 3을 기준으로 UL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할 것이고, UL/DL 우선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TDD 셀(C10)에 대하여 현재 설정되어 있는 상/하향링크 비율 즉 Config. 3을 기준으로 UL/DL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할 것이다.
셀제어장치(200)는, TDD 셀(C10,C20,C30,C40,C50) 각각에 대한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측정한다(S110).
이하에서는, TDD 셀(C10,C20,C30,C40,C50) 중 하나인 TDD 셀(C10)을 언급하여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겠다.
셀제어장치(200)는, TDD 셀(C10)에 대하여, FDD 셀(C100) 및 TDD 셀(C10)에 동시 접속을 지원하는 CA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동시접속 지원단말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측정한다.
즉, 셀제어장치(200)는, 기본셀(PCell)로서 FDD 셀(C100)에 접속하고 보조셀(SCell)로서 TDD 셀(C10)에 접속하거나 또는 보조셀(SCell)로서 TDD 셀(C10)이 지정된 CA 단말을 대상으로, 기 설정된 시간(Time Window) 동안, 해당 CA 단말이 보조셀(SCell)인 TDD 셀(C10)을 삭제(Delete)하는 빈도(c)와, 동시접속 단말(CA 기능이 활성화된 CA 단말)의 개수(d)와, 평균 BLER을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셀제어장치(200)는, TDD 셀(C10)에 대하여, FDD 셀(C100) 및 TDD 셀(C10)에 동시 접속을 미 지원하는 CA 미지원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동시접속 미지원단말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측정한다.
즉, 셀제어장치(200)는, TDD 셀(C10)에 접속한 CA 미지원 단말을 대상으로, 기 설정된 시간(Time Window) 동안, TDD 셀(C10)에서 FDD 셀(C100)로 핸드오버 하는 빈도(a)와, 호 단절(Call Drop)이 발생한 비율인 Call Drop Rate(b)와, 평균 BLER을 측정하는 것이다.
셀제어장치(200)는, S100단계에서 측정한 무선자원 사용률 및 S110단계에서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기초로 TDD 셀(C10,C20,C30,C40,C50) 각각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설정한다.
이하에서는, TDD 셀(C10)을 언급하여, TDD 셀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설정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셀제어장치(200)에서 DL 우선모드에 따라 TDD 셀(C10)에 대한 DL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한 예시를 언급하여 후술하겠다.
먼저, 셀제어장치(200)는, S100단계에서 측정한 무선자원 사용률에 따라 TDD 셀(C10)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변경한다(S120,S130).
예를 들어, 전술과 같이 TDD 셀(C10)에 대한 DL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한 경우라면, 셀제어장치(200)는, TDD 셀(C10)에 대해 측정한 DL 무선자원 사용률이 DL 우선모드에 설정된 변경설정치(β)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120).
셀제어장치(200)는, TDD 셀(C10)에 대해 측정한 DL 무선자원 사용률이 DL 우선모드에 설정된 변경설정치(β)를 초과하는 경우, 현재 TDD 셀(C10)에 설정되어 있는 상/하향링크 비율 즉 Config. 3 보다 DL 비율이 한 단계 높은 상/하향링크 비율 즉 Config. 4로 변경할 수 있다(S130).
이후, 셀제어장치(200)는, S110단계에서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 후에 변경 직전 보다 기 설정된 임계값(λ) 이상 커지는지 판단한다(S1140).
셀제어장치(200)는,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 후에 변경 직전 보다 임계값(λ) 이상 커지지 않으면, 금번 변경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TDD 셀(C10)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로 설정한다(S160).
반면, 셀제어장치(200)는,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 후에 변경 직전 보다 임계값(λ) 이상 커지면, 금번 변경 직전의 상/하향링크 비율을 TDD 셀(C10)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로 설정한다(S15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셀제어장치(200)는, S110단계에서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 즉 전술의 (a), (b), (c), (d) 및 평균 BLER에 따른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을 확인한다.
이때, 확인하는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은, 핸드오버 빈도(a)가 커질수록, Call Drop Rate(b)가 커질수록, TDD 셀 Delete 빈도(c)가 커질수록, 동시접속 단말(CA 기능이 활성화된 CA 단말) 개수(d)가 적어질수록, 평균 BLER가 커질수록, 그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셀제어장치(200)는,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Config. 3 → Config. 4) 전에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전술의 (a), (b), (c), (d) 및 평균 BLER)에 따라 확인한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을 기준값 1로 보고,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Config. 3 → Config. 4) 후에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전술의 (a), (b), (c), (d) 및 평균 BLER)에 따른 따른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셀제어장치(200)는,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Config. 3 → Config. 4) 후에 변경 직전 보다 임계값(λ, 예: 10%) 이상 커지지 않으면, 금번 변경한 상/하향링크 비율 즉 Config. 4를 TDD 셀(C10)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로 설정한다.
이는,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Config. 3 → Config. 4) 후에 변경 직전 보다 임계값(λ) 이상 커지지 않는다는 것은, 앞서 TDD 셀(C10)의 무선자원 사용률을 고려하여 상/하향링크 비율을 변경(Config. 3 → Config. 4)함에 따라 무선자원 기반의 용량이 개선되면서도, 상/하향링크 비율을 변경(Config. 3 → Config. 4)로 인해 품질 저하가 야기될 만큼 TDD 셀(C10)의 상/하향링크 커버리지 간 불일치가 심화되지 않았음에 기인한다.
반면, 셀제어장치(200)는,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Config. 3 → Config. 4) 후에 변경 직전 보다 임계값(λ, 예: 10%) 이상 커지면, 금번 변경 직전의 상/하향링크 비율 즉 Config. 3을 TDD 셀(C10)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로 설정한다.
이는, TDD 셀(C10)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Config. 3 → Config. 4) 후에 변경 직전 보다 임계값(λ) 이상 커진다는 것은, 앞서 TDD 셀(C10)의 무선자원 사용률을 고려하여 상/하향링크 비율을 변경(Config. 3 → Config. 4)함에 따라 무선자원 기반의 용량이 개선되었지만, 상/하향링크 비율을 변경(Config. 3 → Config. 4)로 인해 품질 저하가 야기될 만큼 TDD 셀(C10)의 상/하향링크 커버리지 간 불일치가 심화되었음에 기인한다.
그리고, 셀제어장치(200)는, 공존망에서의 셀 제어 기능이 OFF되지 않는 한(S170 No), 전술의 S100단계 이후 동작을 반복해서 수행함으로써 지속적으로 TDD 셀의 상/하향링크 비율을 최적으로 조절(설정)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존망 셀 제어방법은,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에서, 공존망의 특이한 환경적 요소 즉 무선자원 사용률 및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모두 고려하여, TDD 셀에서 무선자원 기반의 용량 및 커버리지 기반의 품질이 균형 있게 개선되도록, TDD 셀의 상/하향링크 비율을 최적으로 조절(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존망 셀 제어방법에서, FDD 셀 및 TDD 셀에 동시에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최적으로 할당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이때, 설명의 편의 상, 셀제어장치(300)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존망 셀 제어방법에 의하면, 셀제어장치(300)는, 도 1과 같은 공존망에서, FDD 셀(C100) 및 TDD 셀(C10,C20,C30,C40,C50 중 적어도 하나)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CA 기능이 활성화된 CA 단말)을 확인한다(S20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도시된 단말1,2,4가, FDD 셀(C100) 및 TDD 셀(C10,C20,C30,C40,C50 중 적어도 하나)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CA 기능이 활성화된 CA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이때, 단말1은 기본셀(PCell)로서 FDD 셀(C100)에 접속하고 보조셀(SCell)로서 TDD 셀(C10)에 접속한 상태, 단말2는 기본셀(PCell)로서 FDD 셀(C100)에 접속하고 보조셀(SCell)로서 TDD 셀(C20)에 접속한 상태, 단말4는 기본셀(PCell)로서 FDD 셀(C100)에 접속하고 보조셀(SCell)로서 TDD 셀(C40)에 접속한 상태로 가정하겠다.
이에, 셀제어장치(300)는, 동시접속 단말 즉 단말1,2,4의 상향링크 제어채널(UCI)을, FDD 셀 또는 TDD 셀에 적응적으로 할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셀제어장치(300)는, 동시접속 단말 즉 단말1,2,4가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예: 6개)가 FDD 셀(C100)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ε)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이에, 셀제어장치(300)는, 단말1,2,4가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예: 6개)가 FDD 셀(C100)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ε) 보다 큰 경우, TDD 셀(C10,C20,C30,C40,C50) 중에서 특정 TDD 셀을 선택한다(S220).
이때, 특정 TDD 셀은, 커버리지가 우수한 TDD 셀로서, 달리 말하면 상/하향링크 커버리지 간 불일치가 거의 없어서 커버리지 기반의 품질 저하가 염려되지 않는 TDD 셀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셀 기반으로 특정 TDD 셀을 선택한다면, 셀제어장치(300)는, TDD 셀(C10,C20,C30,C40,C50) 중, TDD 셀에 대하여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가장 낮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소정 개수(예: 2개)의 TDD 셀을 특정 TDD 셀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제어장치(300)는, 전술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셀제어장치(200)에서 설명한 커버리지측정부(220)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셀제어장치(300)는, TDD 셀(C10,C20,C30,C40,C50) 중, 셀제어장치(300)에 구비된 커버리지측정부(220)의 기능에 의해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 즉 전술의 (a), (b), (c), (d) 및 평균 BLER에 따라 확인되는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가장 낮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소정 개수(예: 2개)의 TDD 셀을 특정 TDD 셀로 선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셀제어장치(300)는, TDD 셀(C10,C20,C30,C40,C50) 중,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 특히 TDD 셀 Delete 빈도(c), 동시접속 단말(CA 기능이 활성화된 CA 단말) 개수(d)에 따라 확인되는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가장 낮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소정 개수(예: 2개)의 TDD 셀을 특정 TDD 셀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단말 기반으로 TDD 셀을 선택한다면, 셀제어장치(300)는, TDD 셀(C10,C20,C30,C40,C50) 중, 동시접속 단말 즉 단말1,2,4로부터 수집한 TDD 셀 환경정보(예: MCS 정보 등)에 따라 셀 환경이 가장 좋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소정 개수(예: 2개)의 TDD 셀을 특정 TDD 셀로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TDD 셀(C10,C20,C30,C40,C50) 중 TDD 셀(C10,C20)이, 특정 TDD 셀인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셀제어장치(300)는, TDD 셀(C10,C20,C30,C40,C50) 중에서 특정 TDD 셀로서 TDD 셀(C10,C20)을 선택하면, 동시접속 단말 즉 단말1,2,4 중에서 특정 TDD 셀 즉 TDD 셀(C10,C20)에 접속해 있는 특정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TDD 셀(C10,C20)에 할당하고(S230), 나머지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FDD 셀(C100)에 할당한다(S240).
즉, 셀제어장치(300)는, 단말1,2,4 중에서, 특정 TDD 셀(C10)에 접속해 있는 단말1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특정 TDD 셀(C10)에 할당하고, 특정 TDD 셀(C20)에 접속해 있는 단말2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특정 TDD 셀(C20)에 할당한다(S230).
그리고, 셀제어장치(300)는, 단말1,2,4 중에서, 나머지 단말4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FDD 셀(C100)에 할당할 것이다(S240).
반면, 셀제어장치(300)는, 동시접속 단말 즉 단말1,2,4가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예: 6개)가 FDD 셀(C100)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ε) 이하인 경우(S210 No), 단말1,2,4 모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FDD 셀(C100)에 할당한다(S260).
그리고, 셀제어장치(200)는, 공존망에서의 셀 제어 기능이 OFF되지 않는 한(S250 No), 전술의 S200단계 이후 동작을 반복해서 수행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최적으로 할당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셀제어장치(300)는,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에서, 공존망의 특이한 환경적 요소 즉 FDD 셀의 상향링크 제어채널 총 개수 및 TDD 셀의 커버리지 우수 정도를 고려하여,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최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물론,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공존망 셀 제어방법에서 셀제어장치(200)는, TDD 셀의 상/하향링크 비율 최적 설정 동작(S100~S160) 후(①),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 최적 할당 동작(S200~S260)을 수행하는 것 역시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의 특이한 환경적 요소를 고려하여, TDD 셀의 상/하향링크 비율을 최적으로 조절(설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FDD 셀 및 TDD 셀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최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TDD 셀의 상/하향링크 비율을 최적으로 조절(설정)하고 FDD 셀 및 TDD 셀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최적으로 할당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공존망의 시스템 성능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존망 셀 제어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셀제어장치 및 공존망 셀 제어방법에 따르면, FDD 셀 및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의 특이한 환경적 요소를 고려하여, TDD 셀의 상/하향링크 비율을 최적으로 조절(설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FDD 셀 및 TDD 셀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최적으로 할당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2,3,4,5 : 단말 10,20,30,40,50 : 소형기지국
100 : 매크로기지국
200 : 셀제어장치
210 : 무선자원측정부 220 : 커버리지측정부
230 : 비율설정제어부 240 : UL채널할당제어부

Claims (20)

  1. FDD를 이용하는 FDD 셀 및 TDD를 이용하는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에서, 상기 TDD 셀에 대한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하는 무선자원측정부;
    상기 TDD 셀에 대한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측정하는 커버리지측정부; 및
    상기 측정한 무선자원 사용률 및 상기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TDD 셀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설정하는 비율설정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율설정제어부는,
    상기 측정한 무선자원 사용률에 따라 상기 TDD 셀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변경하고, 상기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변경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상기 TDD 셀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로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비율설정제어부는,
    상기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상기 TDD 셀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 후에 변경 직전 보다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 커지지 않으면, 상기 변경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상기 TDD 셀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로 설정하는, 셀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측정부는,
    상기 FDD 셀 및 상기 TDD 셀에 동시 접속을 지원하는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동시접속 지원단말 커버리지 관련정보와, 상기 FDD 셀 및 상기 TDD 셀에 동시 접속을 미 지원하는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동시접속 미지원단말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제어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설정제어부는,
    상기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상기 TDD 셀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상기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 후에 변경 직전 보다 상기 임계값 이상 커지면, 상기 변경 직전의 상/하향링크 비율을 상기 TDD 셀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DD 셀 및 상기 TDD 셀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 또는 상기 TDD 셀에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제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는,
    상기 동시접속 단말이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가 상기 FDD 셀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 보다 큰 경우,
    상기 동시접속 단말 중에서, 상기 TDD 셀 중 특정 TDD 셀에 접속해 있는 특정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특정 TDD 셀에 할당하고, 나머지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TDD 셀은,
    상기 TDD 셀 중에서, 상기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가장 낮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TDD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제어장치.
  8. FDD를 이용하는 FDD 셀 및 TDD를 이용하는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에서, 상기 FDD 셀 및 상기 TDD 셀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을 확인하는 단말확인부; 및
    상기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 또는 상기 TDD 셀에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는,
    상기 동시접속 단말이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가 상기 FDD 셀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 보다 큰 경우,
    상기 동시접속 단말 중에서, 특정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TDD 셀에 할당하고, 나머지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에 할당하는, 셀제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는,
    상기 동시접속 단말이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가 상기 FDD 셀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 보다 큰 경우,
    상기 동시접속 단말 중에서, 상기 TDD 셀 중 특정 TDD 셀에 접속해 있는 특정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특정 TDD 셀에 할당하고, 나머지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제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TDD 셀은,
    상기 TDD 셀 중에서, 상기 TDD 셀에 대하여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가장 낮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TDD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제어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TDD 셀은,
    상기 TDD 셀 중에서, 상기 동시접속 단말로부터 수집한 TDD 셀 환경정보에 따라 셀 환경이 가장 좋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TDD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제어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UL제어채널할당제어부는,
    상기 동시접속 단말이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가 상기 FDD 셀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동시접속 단말 모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제어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셀제어장치가, FDD를 이용하는 FDD 셀 및 TDD를 이용하는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에서, 상기 TDD 셀에 대한 무선자원 사용률을 측정하는 무선자원측정단계;
    상기 셀제어장치가, 상기 TDD 셀에 대한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측정하는 커버리지측정단계; 및
    상기 셀제어장치가, 상기 측정한 무선자원 사용률 및 상기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TDD 셀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설정하는 비율설정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율설정제어단계는,
    상기 측정한 무선자원 사용률에 따라 상기 TDD 셀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변경하고, 상기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변경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상기 TDD 셀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로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비율설정제어단계는,
    상기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상기 TDD 셀의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상/하향링크 비율의 변경 후에 변경 직전 보다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 커지지 않으면, 상기 변경한 상/하향링크 비율을 상기 TDD 셀에 대한 상/하향링크 비율로 설정하는, 공존망 셀 제어방법.
  14. 삭제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셀제어장치가, 상기 FDD 셀 및 상기 TDD 셀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 또는 상기 TDD 셀에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UL제어채널할당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존망 셀 제어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UL제어채널할당제어단계는,
    상기 동시접속 단말이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가 상기 FDD 셀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 보다 큰 경우,
    상기 동시접속 단말 중에서, 상기 TDD 셀 중 특정 TDD 셀에 접속해 있는 특정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특정 TDD 셀에 할당하고, 나머지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존망 셀 제어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TDD 셀은,
    상기 TDD 셀 중에서, 상기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가장 낮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TDD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존망 셀 제어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셀제어장치가, FDD를 이용하는 FDD 셀 및 TDD를이용하는 TDD 셀이 공존하는 공존망에서, 상기 FDD 셀 및 상기 TDD 셀에 동시 접속한 동시접속 단말을 확인하는 단말확인단계; 및
    상기 셀제어장치가, 상기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 또는 상기 TDD 셀에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UL제어채널할당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UL제어채널할당제어단계는,
    상기 동시접속 단말이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가 상기 FDD 셀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 보다 큰 경우, 상기 동시접속 단말 중에서, 특정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TDD 셀에 할당하고, 나머지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에 할당하는, 공존망 셀 제어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UL제어채널할당제어단계는,
    상기 동시접속 단말이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가 상기 FDD 셀에서 제공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 보다 큰 경우, 상기 동시접속 단말 중에서, 상기 TDD 셀 중 특정 TDD 셀에 접속해 있는 특정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특정 TDD 셀에 할당하고, 나머지 동시접속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에 할당하며,
    상기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요구 개수가 상기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총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동시접속 단말 모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상기 FDD 셀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존망 셀 제어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TDD 셀은,
    상기 TDD 셀 중에서, 상기 TDD 셀에 대하여 측정한 커버리지 관련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서비스 단절률(Outage)이 가장 낮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TDD 셀이거나, 또는
    상기 TDD 셀 중에서, 상기 동시접속 단말로부터 수집한 TDD 셀 환경정보에 따라 셀 환경이 가장 좋은 TDD 셀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TDD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존망 셀 제어방법.
KR1020150101521A 2015-07-17 2015-07-17 셀제어장치 및 공존망 셀 제어방법 KR102220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521A KR102220233B1 (ko) 2015-07-17 2015-07-17 셀제어장치 및 공존망 셀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521A KR102220233B1 (ko) 2015-07-17 2015-07-17 셀제어장치 및 공존망 셀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448A KR20170009448A (ko) 2017-01-25
KR102220233B1 true KR102220233B1 (ko) 2021-02-25

Family

ID=57991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521A KR102220233B1 (ko) 2015-07-17 2015-07-17 셀제어장치 및 공존망 셀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2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5800A (ja) 2013-03-07 2014-09-22 Ntt Docomo Inc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4148875A1 (en) * 2013-03-22 2014-09-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209049A1 (en) 2013-06-26 2014-12-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dd/tdd intra-node and inter-node carrier aggregation
WO2015020607A1 (en) 2013-08-09 2015-02-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First and second base stations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668A (ko) *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아이티엘 Tdd-fdd 반송파 집성을 위한 레이트 매칭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5800A (ja) 2013-03-07 2014-09-22 Ntt Docomo Inc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4148875A1 (en) * 2013-03-22 2014-09-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209049A1 (en) 2013-06-26 2014-12-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dd/tdd intra-node and inter-node carrier aggregation
WO2015020607A1 (en) 2013-08-09 2015-02-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First and second base stations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448A (ko)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56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 signal power control and discovery signal resource multiplex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496399B (zh) 移动通信中用于多上行链路载波数据传输的方法及其装置
KR10110121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기지국, 이동국, 기지국의 제어 방법, 이동국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CN107005885B (zh) 使用站点间载波聚合平衡流量负载的设备和方法
US9723613B2 (en) Carrier allocation apparatus, method and terminal
US9826409B2 (en) Adaptive semi-static interference avoidance in cellular networks
US9681401B2 (en) Enhanced power headroom repor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P2916574B1 (en) Method and base station for sharing frequency spectrum
US115402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552170A1 (en) Mobile st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integrated circuit, and mobile station apparatus control program
Zhu et al. QoS-based resource allocation scheme for device-to-device (D2D) radio underlaying cellular networks
KR20190073527A (ko) 리소스 할당 방법, 단말, 장치 및 시스템
US9713056B2 (en) Switching and aggregation of small cell wireless traffic
US9755794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handling a scheduling of a narrowband transmission in a cellular network
JP6859343B2 (ja)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におけるダウンリンク割当てインデックス(dai)管理のための技法
US10064166B1 (en) Management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rate in a communications system
KR20190058628A (ko) 업링크 전송 대역폭 제어 및 지원
KR20160094877A (ko)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셀룰러 시스템의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US9585149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duplex mode of second RF carrier based on performance on first RF carrier
EP2262336A1 (en) Method for improved link adaptation in cellular wireless networks
KR101492542B1 (ko) 반송파 집합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KR102220233B1 (ko) 셀제어장치 및 공존망 셀 제어방법
US20140016588A1 (en) Apparatus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Allocating a Component Carrier to a Cell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136486B1 (ko) 적응적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KR102208316B1 (ko) 기지국장치 및 업링크 스케줄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