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227B1 -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227B1
KR102220227B1 KR1020140180496A KR20140180496A KR102220227B1 KR 102220227 B1 KR102220227 B1 KR 102220227B1 KR 1020140180496 A KR1020140180496 A KR 1020140180496A KR 20140180496 A KR20140180496 A KR 20140180496A KR 102220227 B1 KR102220227 B1 KR 102220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formation
orientation
determined
orient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2616A (ko
Inventor
이용우
김종민
오세영
오훈석
조희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0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227B1/ko
Priority to US14/938,177 priority patent/US10089060B2/en
Priority to EP15199253.4A priority patent/EP3035701B1/en
Priority to CN201510927305.1A priority patent/CN105704617B/zh
Publication of KR20160072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2Remote control based on movements, attitude of remote control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3Connection circuits to selectively connect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음향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움직임에 따른 상기 디바이스의 미리 정해진 일 영역이 가리키는 방위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 및 상기 음향 기기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향 기기를 피제어 기기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CONTROLLING SOUND REPRODUCING SYSTEM}
본 개시는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따라, 음향 기기의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디바이스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디바이스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최근 디바이스의 제스처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현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 환경 및 동작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는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따라, 음향 기기의 음향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는, 상기 음향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움직임에 따른 상기 디바이스의 미리 정해진 일 영역이 가리키는 방위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 및 상기 음향 기기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향 기기를 피제어 기기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음향 기기로부터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 중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기기를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도가 소정 범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상기 음향 기기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가 대응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의 방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상기 음향 기기의 음향 볼륨 조절 또는 음향 출력 파일의 변경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도가 소정 범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와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상기 음향 기기의 제어를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음향 기기로부터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 중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음향 기기를 상기 피제어 기기로 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기기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음향 기기의 미리 정해진 일 영역이 가리키는 방위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게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음향 기기의 동작에 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기기의 동작에 관한 제어 신호는, 음향 출력, 음향 볼륨 조절 및 음향 파일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는, 상기 음향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디바이스의 미리 정해진 일 영역이 가리키는 방위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 및 복수의 음향 기기로부터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 각각의 배치 정보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음향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치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음향 기기가 배치된 방향이며, 좌측, 우측,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음향 기기로부터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의 미리 정해진 일 영역이 가리키는 방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향 기기를 피제어 기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음향 기기로부터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음향 기기를 피제어 기기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 중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음향 기기를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도가 소정 범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상기 음향 기기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가 대응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의 방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상기 음향 기기의 음향 볼륨 조절 또는 음향 파일의 변경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도가 소정 범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와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상기 음향 기기의 제어를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복수의 음향 기기로부터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 중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음향 기기를 상기 피제어 기기로 재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의 미리 정해진 일 영역이 가리키는 방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음향 기기로부터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 각각의 배치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 각각의 배치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음향 기기가 배치된 방향이며, 좌측, 우측,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와 음향 기기 간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음향 기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방향 정보에 따라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방향 정보에 따라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가 변경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가 변경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배치 정보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배치 정보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단말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와 음향 기기 간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음향 기기(200)가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00)와 음향 기기(200)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WLAN(와이파이)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정 거리 내에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 따르면, 디바이스(100)를 움직임에 따라, 음향 기기(200)가 배치된 방위 정보와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가 대응하게 되면, 디바이스(100)는 음향 기기(200)가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통신부(140)를 통해 음향 기기(200)에게 전송하게 된다.
예컨대,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음향을 출력시키고자 하는 음향 기기(200)를 가리키도록 움직이는 제스처 만으로, 음향 기기(200)에서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가 움직임에 따라, 음향의 볼륨 조절, 음향 출력 파일의 변경 등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디바이스(100)를 움직이는 간단한 제스처를 통해, 보다 편리하게 음악이나 비디오 등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음향 기기(200)는 스피커 시스템, 오디오 시스템 또는 비디오 시스템이거나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향 기기(200)는 소정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기기일 수 있다.
<도2, 3>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센싱부(140), 통신부(15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디바이스(100)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비디오 처리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30), 튜너부(135), 감지부(160), 입/출력부(170), 저장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비디오 처리부(110)는, 디바이스(1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11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는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UI(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모션 인식을 위한 사용자 모션 가이드를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2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2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스피커(126), 헤드폰 출력 단자(127)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1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스피커(126), 헤드폰 출력 단자(127) 및 S/PDIF 출력 단자(12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바이스(100) 내부의 구성 요소들(110 내지 190)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바이스(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110 내지 190)에게 공급할 수 있다.
튜너부(13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부(135)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 예컨대, 채널 번호 입력, 채널의 업다운(up-down) 입력 및 EPG 화면에서 채널 입력)에 따라 채널 번호(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506번)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35)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35)는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튜너부(135)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코딩(decoding,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튜너부(135)는 하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튜너부(135)는 디바이스(1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바이스(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set-top box, 도시되지 아니함), 입/출력부(170)에 연결되는 튜너부(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부(13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15)에 출력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디바이스(100)의 상태 또는 디바이스(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 온/습도 센서(143), 적외선 센서(144), 자이로스코프 센서(145),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 기압 센서(147), 근접 센서(14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센싱부(140)는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가속도 센서(142)를 포함하는 센싱부(140)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 정도가 소정 범위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지자기 센서(141)를 포함하는 센싱부(140)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미리 정해진 일 영역이 가리키는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가 대응하는 범위 내에서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의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신부(1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컨텐츠를 송/수신,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무선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15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50)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외부 음향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50)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WLAN(와이파이)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외부 음향 기기와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50)는 음향 기기(200)로부터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50)는 음향 기기(200)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음향 기기(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감지부(16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한다.
마이크(16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16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1)의 인식 범위는 마이크(161)에서부터 사용자 위치까지 4 m 이내를 권장하며, 마이크(161)의 인식 범위는 사용자 목소리의 크기와 주변 환경(예를 들어, 스피커 소리, 주변 소음)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마이크(16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161)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마이크(161)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부(162)는 렌즈(도시되지 아니함) 및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162)가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디바이스(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152)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디바이스(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카메라부(162)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광 수신부(163)는 외부의 제어 장치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부(115)의 베젤의 광창(도시되지 아니함)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163)는 외부의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바이스(100)의 외부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72), PC 포트(PC port, 173), 및 USB 포트(USB port, 17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171), 컴포넌트 잭(172), PC 포트(173), 및 USB 포트(17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의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180)는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바이스(100)의 내부 구성요소들(110 내지 190)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바이스(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81), 디바이스(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82) 및 프로세서(Processor, 18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3)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3)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18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16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랙션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5)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85-1 내지 18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램(181), 롬(182), 프로세서(183), 그래픽 처리부(18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85-1 내지 185-n)는 내부 버스(bus)(186)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라는 용어는 프로세서(183), 롬(182) 및 램(18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음향 기기(200)로부터 통신부(150)를 통해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음향 기기(200)를 피제어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복수의 음향 기기(200)로부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 중 디바이스(200)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기기를 피제어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디바이스(100)의 움직임 정도가 소정 범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음향 기기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통신부(150)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가 대응하는 범위 내에서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의 방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상기 음향 기기의 음향 볼륨 조절 또는 음향 출력 파일의 변경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디바이스(100)의 움직임 정도가 소정 범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와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상기 음향 기기의 제어를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복수의 음향 기기로부터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 중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음향 기기를 상기 피제어 기기로 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복수의 음향 기기로부터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하고,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 각각의 배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음향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의 구성 및 동작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저장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바이스(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비디오 처리부(110), 디스플레이부(115), 오디오 처리부(120),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30), 튜너부(140), 통신부(150), 감지부(160), 입/출력부(17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및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190), 제어부의 롬(182), 램(181) 또는 디바이스(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9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도시되지 아니한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디바이스(100)에서 방송 수신의 제어 기능, 채널 제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전원 제어 기능 또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를 가지는 디바이스(100)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 도시되지 아니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의 디바이스(10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110 내지 190)은 디바이스(100)의 성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위치(예를 들어, 110 내지 190)는 디바이스(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
도 4는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음향 기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음향 기기(200)는 제어부, 통신부 및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음향 기기(2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음향 기기(200)는 구현될 수 있다.
음향 기기(200)의 상기 제어부는 도 4에 도시한 메인 프로세서(206)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음향 기기(200)의 상기 통신부는 도 4에 도시한 Bluetooth 모듈(210), WiFi 모듈(2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향 기기(200)의 상기 센싱부는 도 4에 도시한 지자계센서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음향 기기(200)는, 외부 입력(201), A/D(202), 메모리(203), 지자계센선부(204), 키 입력부(205), 메인 프로세서(206), D/A(207), Amp(208), 스피커(209), Bluetooth 모듈(210), WiFi 모듈(211)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입력(201)은 메인 프로세서(206)의 제어에 의해 음향 기기(200)의 외부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A/D(202)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메모리(203)는 음향 기기의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지자계센선부(204)는 음향 기기의 방위각을 측정하여 메인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지자계센서부(204)를 포함하는 센싱부는,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키 입력부(205)는 사용자로부터 음향 기기의 조작과 관련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206)는 음향 기기(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음향 기기(200)의 내부 구성요소들(201 내지 211)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인 프로세서(206)는 디지털 입력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프로세서(206)를 포함하는 제어부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음향 기기(200)의 동작에 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Bluetooth 모듈(210), WiFi 모듈(211)을 포함하는 통신부는 외부 디바이스(100)에게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Bluetooth 모듈(210), WiFi 모듈(211)을 포함하는 통신부(140)는 외부 디바이스(100)로부터, 음향 기기(200)의 음향 출력에 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D/A 변환부(207)는 메인 프로세서(206)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할 수 있다. AMP부(208)는 D/A 변환부(207)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스피커(209)는 AMP부(208)에서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실제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도 5, 6>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단계 S101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통신부(150)를 통해 음향 기기(200)로부터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방위 정보는, 지표 위에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인 방위각(azimuth)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음향 기기(200)는 소정 방위각을 나타내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음향 기기(200)는 음향 기기(200)에 포함된 지자계 센서부(204)를 통해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음향 기기(200)는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디바이스(100)에게 Bluetooth 모듈(210), WiFi 모듈(211)을 통해, 음향 기기(200)가 배치된 방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을 참조하면, 음향 기기(200)는 (d2) 방향으로 배치되어 방위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방위 정보를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5의 단계 S102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에 따라 디바이스(100)의 미리 정해진 일 영역이 가리키는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가속도 센서(142)를 포함하는 센싱부(140)를 통해 디바이스(100)가 움직이는 방향, 속도, 각도 등을 포함하는 움직임 정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 정도가 소정 범위(미리 정해진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지자계 센서(141)를 통해 디바이스(100)가 가리키는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가 움직임에 따라 (d1) 방향을 가리키게 될 수 있고, 이에 따른 소정의 방위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도 5의 단계 S103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가 일치하거나,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의 단계 S104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음향 기기를 피제어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음향 기기(200)를 피제어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제어 기기는, 디바이스(10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피제어 기기는 하나의 음향 기기이거나, 복수 개의 음향 기기일 수 있다. 피제어 기기는 디바이스(100)의 제어에 따라 선택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6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음향 기기(200)와 방위 정보가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음향 기기(200)를 피제어 기기로 결정하고,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00)는 음향 기기(200)가 가장 최근에 재생했던 음악 파일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가 재차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가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음향 출력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의 동일한 제스처에 대해, 음향 기기(200)에 대해 음향 파일의 출력과 정지를 반복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7, 8, 9>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단계 S201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통신부(150)를 통해 복수의 음향 기기부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00)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WLAN(와이파이) 통신부를 통해 통신 가능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의 음향 기기(200)로부터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음향 기기(200-1, 200-2)와 통신할 수 있다.
도 7의 단계 S202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에 따라 디바이스(100)의 미리 정해진 일 영역이 가리키는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움직임에 따라 디바이스(100)의 상단 영역이 (d3) 방향을 가리키는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움직임에 따라 디바이스(100)의 상단 영역이 (d7) 방향을 가리키는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의 단계 S203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 중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기기를 피제어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와 제1 음향 기기(200-1)가 가리키는 방향(d4)의 방위 정보가 대응하므로, 제1 음향 기기(200-1)를 피제어 기기로 결정하고,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와 제2 음향 기기(200-2)가 가리키는 방향(d9)의 방위 정보가 대응하므로, 제2 음향 기기(200-2)를 피제어 기기로 결정하고,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음향 기기(200-4, 200-5, 200-6)가 각각 (d12), (d13), (d14) 방향을 가리키며 동일한 방위 정보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가 (d11) 방향을 가리키는 제스처를 획득한 경우, 음향 기기(200-4, 200-5, 200-6)의 방위 정보와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음향 기기(200-4, 200-5, 200-6)를 피제어 기기로 결정하고 음향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 11, 12>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방향 정보에 따라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방향 정보에 따라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단계 S301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피제어 기기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도 5 또는 도 7의 흐름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음향 기기를 피제어 기기로 결정하고,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음향 기기의 음향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의 단계 S302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가 대응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가 (d17) 방향을 가리키고, 음향 기기(200)가 (d18) 방향을 가리키도록 배치된 경우, 상호 대응하는 방위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가 대응하는 범위(a1) 내에서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이 감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가 (d19) 방향을 가리키고, 음향 기기(200)가 (d20) 방향을 가리키도록 배치된 경우, 상호 대응하는 방위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가 대응하는 범위(a2) 내에서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이 감지될 수 있다.
도 10의 단계 S303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의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가 대응하는 범위(a1) 내에서, 위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가 대응하는 범위(a1) 내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2의 (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가 대응하는 범위(a2) 내에서, 왼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가 대응하는 범위(a2) 내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의 단계 S304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음향 기기(200)의 음향 볼륨 조절 또는 음향 파일의 변경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위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음향 기기(200)의 볼륨을 높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아래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음향 기기(200)의 볼륨을 줄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2의 (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왼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음향 기기(200)가 출력 중인 파일의 이전 트랙(previous track)의 파일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오른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음향 기기(200)가 출력 중인 파일의 다음 트랙(next track)의 파일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가 음향 기기(200)와 대응하는 방위 정보를 갖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소정 방향(좌, 우, 위, 아래 등)으로 움직임에 따라, 음향 출력의 볼륨, 재생 파일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도 13, 14, 15>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가 변경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가 변경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의 단계 S401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음향 기기를 피제어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도 5 또는 도 7의 흐름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음향 기기를 피제어 기기로 결정하고,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음향 기기의 음향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제1 음향 기기(200-8)가 가리키는 방향(d22)에 따른 방위 정보와 디바이스(100)가 가리키는 방향(d21)에 따른 방위 정보가 대응하는 경우, 제1 음향 기기(200-8)를 피제어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5의 (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제1 음향 기기(200-10)가 가리키는 방향(d26)에 따른 방위 정보와 디바이스(100)가 가리키는 방향(d25)에 따른 방위 정보가 대응하는 경우, 제1 음향 기기(200-10)를 피제어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의 단계 S402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도가 소정 범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가속도 센서(142)를 포함하는 센싱부(140)를 통해 디바이스(100)가 움직이는 방향, 속도, 각도 등을 포함하는 움직임 정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 정도가 소정 범위(미리 정해진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지자계 센서(141)를 통해 디바이스(100)가 가리키는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d23) 방향을 가리키도록 움직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지자계 센서(141)를 통해 (d23) 방향에 따른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d28) 방향을 가리키도록 움직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지자계 센서(141)를 통해 (d28) 방향에 따른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3의 단계 S403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와 상기 피제어 기기의 방위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피제어 기기의 제어를 중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4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가 (d23)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어부(180)는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제1 음향 기기(200-8)의 방위 정보와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가 대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음향 기기(200-8)에 대한 제어를 중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가 (d28)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어부(180)는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제1 음향 기기(200-10)의 방위 정보와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가 대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음향 기기(200-10)에 대한 제어를 중단할 수 있다.
도 13의 단계 S404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통신부(150)를 통해 복수의 음향 기기로부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WLAN(와이파이) 통신부를 통해 통신 가능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의 음향 기기(200)로부터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음향 기기(200-9)로부터 음향 기기(200-9)의 방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음향 기기(200-11)로부터 음향 기기(200-11)의 방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단계 S404를 생략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00)는 단계 S401에서 특정 음향 기기를 피제어 기기로 결정할 때,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의 음향 기기로부터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4의 음향 기기(200-9)의 방위 정보와 도 15의 음향 기기(200-11)의 방위 정보를 이미 저장할 수 있다.
도 13의 단계 S405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복수의 음향 기기 중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음향 기기를 피제어 기기로 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가 가리키는 (d23) 방향에 따른 방위 정보와 제2 음향 기기(200-9)의 방위 정보가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음향 기기(200-9)를 피제어 기기로 재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5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의 특정 방위 정보에 대해서, 디바이스(100)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의 음향 기기(200-10, 200-11)를 모두 피제어 기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00)가 천장을 가리키는 (d28)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제1 음향 기기(200-10)와 제2 음향 기기(200-11)를 모두 피제어 기기로 결정하고,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 스피커 출력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6>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의 단계 S601에서, 음향 기기(200)의 제어부는 음향 기기(200)의 미리 정해진 일 영역이 가리키는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음향 기기(200)의 제어부는, 지자계센서부(204)를 포함하는 센싱부를 통해, 음향 기기(200)의 후방 일면이 가리키는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6의 단계 S602에서, 음향 기기(200)의 제어부는 외부 디바이스에게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음향 기기(200)는 Bluetooth 모듈(210), WiFi 모듈(211)을 포함하는 통신부를 통해,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디바이스(100)에게, 단계 S601에서 획득된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6의 단계 S603에서, 음향 기기(200)의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디바이스(100)로부터,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음향 기기(200)의 동작에 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와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가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음향 기기(200)의 동작에 관한 제어 신호를 음향 기기(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음향 기기(200)는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디바이스(100)로부터, 음향 출력, 음향 볼륨 조절 및 음향 파일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7, 18, 19, 20>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배치 정보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배치 정보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의 단계 S701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디바이스의 미리 정해진 일 영역이 가리키는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의 상단 영역이 가리키는 방향(d30)에 따른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는 북(N)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19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의 상단 영역이 가리키는 방향(d31)에 따른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는 서(W)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7의 단계 S702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통신부(150)를 통해 복수의 음향 기기로부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00)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WLAN(와이파이) 통신부를 통해 통신 가능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의 음향 기기(200)로부터 음향 기기(200)의 방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 도 19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음향 기기(200-13, 200-14, 200-15, 200-16, 200-17)로부터 각각의 방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7의 단계 S703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를 기준으로,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에 따라 복수의 음향 기기 각각의 배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북(N))을 기준으로, 제1 음향 기기(200-13)의 방위 정보(NW)에 따라 배치 정보를 좌측(L)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2 음향 기기(200-14)의 방위 정보(NE)에 따라 배치 정보를 우측(R)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3 음향 기기(200-15)의 방위 정보(SW)에 따라 배치 정보를 후방 좌측(RL)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4 음향 기기(200-16)의 방위 정보(SE)에 따라 배치 정보를 후방 우측(RR)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9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디바이스(100)의 방위 정보(서(W))를 기준으로, 제1 음향 기기(200-13)의 방위 정보(NW)에 따라 배치 정보를 우측(R)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2 음향 기기(200-14)의 방위 정보(NE)에 따라 배치 정보를 후방 우측(RR)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3 음향 기기(200-15)의 방위 정보(SW)에 따라 배치 정보를 좌측(L)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4 음향 기기(200-16)의 방위 정보(SE)에 따라 배치 정보를 후방 좌측(RL)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0을 참조하면, 허브 시스템(300)의 제어에 따라, 허브 시스템(300)의 후방 영역이 가리키는 방향(d32)에 따른 방위 정보(N)를 기준으로,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배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음향 기기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멀티스피커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각 음향 기기(200-13, 200-14, 200-15, 200-16)는, 공유기(AP)(미도시)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허브 시스템(300)을 통해, UPnP 방식으로 공유기(AP)(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허브 시스템(300)은 각종 가전 제품을 홈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인 UPnP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기(예컨대, 스피커, 오디오, PC, 지능형 가전 제품 등)를 인식할 수 있다.
허브 시스템(300)은 복수의 음향 기기의 TCP/IP 주소를 획득하고, 복수의 음향 기기로부터 식별 정보, 방위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페어링 과정을 통해, 허브 시스템(300)은 각 음향 기기의 고유 식별 정보와 방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허브 시스템(300)은 허브 시스템(300)의 방위 정보(북(N))를 기준으로, 제1 음향 기기(200-13)의 방위 정보(NW)에 따라 배치 정보를 좌측(L)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2 음향 기기(200-14)의 방위 정보(NE)에 따라 배치 정보를 우측(R)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3 음향 기기(200-15)의 방위 정보(SW)에 따라 배치 정보를 후방 좌측(RL)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4 음향 기기(200-16)의 방위 정보(SE)에 따라 배치 정보를 후방 우측(RR)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7의 단계 S704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음향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8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좌측에 배치된 제1 음향 기기(200-131)와 우측 후방에 배치된 제4 음향 기기(200-16)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가 자동으로 각각의 음향 기기의 배치 정보를 설정함에 따라, 각각의 음향 기기에 대해 사용자의 별도의 설정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복수의 음향 기기 중 원하는 기기로부터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5, 7, 10, 13, 16, 17의 흐름도에서 도시한 동작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 일부 단계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바이스
140 : 센싱부
150 : 통신부
200: 음향 기기

Claims (22)

  1.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음향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센싱부; 및
    상기 음향 기기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음향 기기에 의해 획득된 상기 음향 기기의 특정 영역이 가리키는 방향을 나타내는 방위에 관한 방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부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특정 영역이 가리키는 방향을 나타내는 방위에 관한 방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한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의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인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음향 기기를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피제어 기기로 결정하고,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음향 기기로, 상기 음향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음향 기기로부터 각각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 중,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의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기기를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하는, 디바이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도가 소정 범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의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인지 판단하는, 디바이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상기 음향 기기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어하는, 디바이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의 방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상기 음향 기기의 음향 볼륨 조절 또는 음향 출력 파일의 변경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도가 소정 범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가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의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 밖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상기 음향 기기의 제어를 중단하는,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음향 기기로부터 각각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 중,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의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음향 기기를 상기 피제어 기기로 재 결정하는, 디바이스.
  8.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기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음향 기기의 특정 영역이 가리키는 방향을 나타내는 방위에 관한 방위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게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특정 영역이 가리키는 방향을 나타내는 방위에 관한 방위 정보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의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인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음향 기기의 동작에 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향 기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기기의 동작에 관한 제어 신호는,
    음향 출력, 음향 볼륨 조절 및 음향 파일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제어 신호인, 음향 기기.
  10.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음향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디바이스의 특정 영역이 가리키는 방향을 나타내는 방위에 관한 방위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 및
    복수의 음향 기기로부터 각각 상기 음향 기기의 특정 영역이 가리키는 방향을 나타내는 방위에 관한 방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 각각의 배치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 각각의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로,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음향 기기가 배치된 방향이며, 좌측, 우측,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결정되는, 디바이스.
  13. 디바이스가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향 기기로부터 상기 음향 기기에 의해 획득된 상기 음향 기기의 특정 영역이 가리키는 방향을 나타내는 방위에 관한 방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의 특정 영역이 가리키는 방향을 나타내는 방위에 관한 방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의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인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음향 기기를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피제어 기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음향 기기로, 상기 음향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음향 기기로부터 각각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음향 기기를 피제어 기기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 중,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의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음향 기기를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하는,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도가 소정 범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의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상기 음향 기기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통신부를 통해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의 방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상기 음향 기기의 음향 볼륨 조절 또는 음향 파일의 변경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도가 소정 범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가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의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 밖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피제어 기기로 결정된 상기 음향 기기의 제어를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복수의 음향 기기로부터 각각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 중,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가 상기 음향 기기의 방위의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음향 기기를 상기 피제어 기기로 재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디바이스가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특정 영역이 가리키는 방향을 나타내는 방위에 관한 방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음향 기기로부터 각각 상기 음향 기기의 특정 영역이 가리키는 방향을 나타내는 방위에 관한 방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방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방위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 각각의 배치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 각각의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로,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의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향 기기 각각의 배치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음향 기기가 배치된 방향이며, 좌측, 우측,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결정되는, 방법.
KR1020140180496A 2014-12-15 2014-12-15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0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496A KR102220227B1 (ko) 2014-12-15 2014-12-15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4/938,177 US10089060B2 (en) 2014-12-15 2015-11-11 Device for controlling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evice
EP15199253.4A EP3035701B1 (en) 2014-12-15 2015-12-10 Device for controlling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evice
CN201510927305.1A CN105704617B (zh) 2014-12-15 2015-12-14 用于控制声音再现装置的设备和控制该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496A KR102220227B1 (ko) 2014-12-15 2014-12-15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616A KR20160072616A (ko) 2016-06-23
KR102220227B1 true KR102220227B1 (ko) 2021-02-25

Family

ID=55070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496A KR102220227B1 (ko) 2014-12-15 2014-12-15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89060B2 (ko)
EP (1) EP3035701B1 (ko)
KR (1) KR102220227B1 (ko)
CN (1) CN1057046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822B1 (ko) * 2018-03-14 2019-04-08 박재관 무선통신 모듈이 구비된 무선 스피커
WO2023284562A1 (zh) * 2021-07-14 2023-01-1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控制设备、家电设备以及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69482A1 (en) * 2011-01-05 2012-07-05 Ian Ch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Device for Remote Control Based on Determined Navigational State of a Remote Contro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5154A1 (en) 2001-11-19 2003-05-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a gesture-based user interface
US20040247138A1 (en) 2003-06-03 2004-12-09 Randall Wang Audio/video remote control with built-in earphone system
KR20100003512A (ko) * 2008-07-01 2010-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각도를 이용하여 작동모드를 설정하는 원격제어장치, 및이를 적용한 작동모드 설정방법 및 호스트 기기 결정방법
US9355557B2 (en) * 2008-07-16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niversal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24552A (ko) 2008-08-26 2010-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제스쳐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및 입력 제어방법
KR100983027B1 (ko) 2008-12-16 2010-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8232859B2 (en) 2009-08-11 2012-07-31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ulti-dimensional controlling device
RU2523708C2 (ru) * 2009-08-19 2014-07-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чашечная присоска, пригодная для такого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1562272B1 (ko) * 2009-10-14 2015-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출력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8150384B2 (en) 2010-06-16 2012-04-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sture based remote control
US20120110517A1 (en) 2010-10-29 2012-05-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sture recognition
KR20120048312A (ko) 2010-11-05 2012-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20321112A1 (en) 2011-06-16 2012-12-20 Apple Inc. Selecting a digital stream based on an audio sample
KR20140081445A (ko) * 2012-12-21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US9253592B1 (en) * 2014-06-19 2016-02-02 Amazon Technologies, Inc. Inter-device bearing estimation based on beamforming and motion data
KR20160024272A (ko) * 2014-08-25 2016-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69482A1 (en) * 2011-01-05 2012-07-05 Ian Ch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Device for Remote Control Based on Determined Navigational State of a Remote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35701B1 (en) 2017-11-29
US20160170708A1 (en) 2016-06-16
KR20160072616A (ko) 2016-06-23
CN105704617A (zh) 2016-06-22
CN105704617B (zh) 2019-07-12
US10089060B2 (en) 2018-10-02
EP3035701A1 (en)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8704B2 (e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US1001922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250090B1 (ko)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EP3640910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o external apparatus
KR10265928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040833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160191841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2102748B1 (ko)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KR102220227B1 (ko)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31070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for determining a candidate item to select
CN107667342B (zh) 电子装置和用于控制电子装置的声音的方法
US2017018524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EP312205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 program
US1056769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of electronic apparatus
KR20170101077A (ko) 서버,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