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365B1 -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365B1
KR102219365B1 KR1020140042948A KR20140042948A KR102219365B1 KR 102219365 B1 KR102219365 B1 KR 102219365B1 KR 1020140042948 A KR1020140042948 A KR 1020140042948A KR 20140042948 A KR20140042948 A KR 20140042948A KR 102219365 B1 KR102219365 B1 KR 102219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lectronic device
map
modu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7467A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2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365B1/ko
Priority to US14/681,732 priority patent/US10168190B2/en
Priority to EP15162976.3A priority patent/EP2938052B1/en
Priority to PCT/KR2015/003580 priority patent/WO2015156623A1/en
Publication of KR2015011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외부 환경을 측정하여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모듈,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제1 데이터와 외부 전자장치에서 수신된 제2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 환경정보를 출력하는 출력ㄴ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f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장치에서 측정된 외부 환경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전자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환경의 상태를 측정하여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자장치에 구비된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만을 사용자에서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전자장치에 실장된 측정센서에서 측정되는 외부의 환경정보는 전자장치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환경의 상태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므로 전자장치가 위치한 영역에 대한 전반적인 환경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장치에 실장된 측정센서는 전자장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 자기장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환경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장치에서 획득된 데이터와 전자장치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장치가 위치한 영역의 환경정보를 보다 상세하게 확인하기 위한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장치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의 이동에 따른 환경정보의 변화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장치에서 획득된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장치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의 환경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맵을 생성할 수 있는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제1 위치에 존재하는 전자장치가 제2 위치에 존재하는 외부 전자장치들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 위치에 해당하는 환경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는 외부 환경을 측정하여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모듈,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외부 전자장치에서 수신된 제2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 상기 환경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수행하는 환경정보 제공 방법은 외부 환경을 측정하여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장치로부터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환경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장치에서 획득된 데이터와 전자장치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전자장치가 위치한 영역의 환경정보를 보다 상세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은 전자장치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의 이동에 따른 환경정보의 변화 이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은 전자장치에서 획득된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장치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경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맵을 생성함으로써, 전자장치가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영역의 환경정보를 쉽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은 제1 위치에 존재하는 전자장치가 제2 위치에 존재하는 외부 전자장치들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전자장치가 제2 위치에 해당하는 환경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제1 및 제2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위치한 영역의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환경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맵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위치한 영역의 환경정보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이동에 따른 환경정보의 이력을 나타낼 수 있는 이력정보 맵의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위치한 특정 영역의 환경정보를 나타내는 그룹정보 맵의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설정한 위치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이동정보 맵의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과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과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 가운데 “제1”, “제2” 등의 표현들이 본 개시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장치와 제2 전자장치는 모두 사용자 전자장치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전자장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전자장치는 제2 전자장치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전자장치도 제1 전자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장치는 통신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read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카메라(camera),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제1 전자장치(100),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200) 및 제공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제1 전자장치(1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마스터 장치의 기능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제1 전자장치(100)는 슬레이브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장치(2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슬레이브 장치의 기능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제2 전자장치(200)는 마스터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전자장치 모두 마스터 또는 모두 슬레이브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장치(100)는 외부의 환경정보에 대한 제1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데이터는 위치, 고도, 조도, 가속도, 중력,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기압, 자외선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방사능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제1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제공서버(3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200)로 제2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제공서버(3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200)에서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는 위치, 고도, 조도, 가속도, 중력,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기압, 자외선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방사능 수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장치(100)는 제1 전자장치(100)가 위치한 영역의 환경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장치(100)가 위치한 영역은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임계 범위 이내를 나타낼 수 있고, 제1 전자장치(100)는 상기 임계 범위 이내에 위치한 제2 전자장치(200)에서 획득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상기에서와 같이 제1 전자장치(100)에서 획득된 제1 데이터와 제2 전자장치(200)에서 획득된 제2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전자장치(100) 및 제2 전자장치(2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제1 전자장치(100)와 제2 전자장치(200)의 상태 확인결과, 보정데이터를 생성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의 존재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자장치(100)는 제1 및 제2 데이터에 포함된 조도, 가속도, 중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부터 제1 전자장치(100) 또는 제2 전자장치(200)의 상태 예컨대,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 전자장치를 손에 들고 있는지 주머니 또는 가방에 있는지, 전자장치가 차량에 위치하는지 등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제1 전자장치(100) 또는 제2 전자장치(200)의 상태에 따라 제1 또는 제2 데이터에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장치(100)는 제1 및 제2 데이터의 확인을 통해 제1 전자장치(100) 및 제2 전자장치(2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지만, 제2 전자장치(200)에서 판별된 제2 전자장치(200)의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의 적용이 필요한 데이터에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보정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보정데이터를 이용하여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결과정보는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보정데이터로부터 산출된 평균데이터일 수 있다. 결과정보는 제2 데이터가 제1 데이터와 비교하여 오차범위 이내일 경우에 제1 전자장치(100)에서 측정된 제1 데이터일 수 있다. 결과정보는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의 범위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장치(100)는 제1 전자장치(100)가 위치한 영역의 환경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맵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환경정보를 나타내는 맵은 이력정보 맵, 그룹정보 맵, 이동정보 맵 등일 수 있다. 예컨대, 이력정보 맵은 제1 전자장치(100)가 이동하면서 제1 전자장치(100)에서 확인된 환경정보의 변화 이력을 출력하는 맵, 그룹정보 맵은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가 동일 및 유사하면 동일 및 유사한 데이터들을 그룹핑하여 제1 전자장치(100)가 위치한 특정 공간 내의 환경정보를 나타내는 맵, 이동정보 맵은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부터 제1 전자장치(100)에서 입력된 검색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이동경로를 표시할 수 있고, 검색어에 해당하는 위치의 환경정보를 나타내는 맵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전자장치(200)는 제1 전자장치(100) 또는 제공서버(300)로부터 제2 데이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 신호에 의거하여 제2 데이터를 제1 전자장치(100) 또는 제공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전자장치(200)는 제2 전자장치(200)의 상태 예컨대,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 전자장치를 손에 들고 있는지 주머니 또는 가방에 있는지, 전자장치가 차량에 위치하는지 등의 상태를 확인하여 이를 제1 전자장치(100) 또는 제공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공서버(300)는 제1 전자장치(100)로부터 제2 데이터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임계 반경 내에 위치하는 제2 전자장치(200)로 제2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제공서버(300)는 제2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2 데이터를 제1 전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공서버(300)는 제1 전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검색어에 해당하는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200)를 검색할 수 있다. 제공서버(300)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200)로 제2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제공서버(300)는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임계 범위 이내에 해당하는 지도데이터를 제1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공서버(300)는 제1 전자장치(100)에서 필요에 의해 제2 데이터를 선별해서 사용하도록 제2 전자장치(200)의 위치에 관계 없이 제2 전자장치(200)에서 획득된 제2 데이터를 제1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1 전자장치(100)와 제2 전자장치(200)의 역할이 각각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제1 전자장치(100)와 제2 전자장치(200)가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의 역할을 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설명에서 제1 전자장치(100)는 제공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제2 전자장치(200)로 제2 데이터의 요청 및 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전자장치(100)는 제2 전자장치(200)와 직접적인 통신을 통해 제2 데이터의 요청 및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개시의 설명에서는 제1 전자장치(100)에서 제1 및 제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전자장치(100)는 환경정보를 제공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장치(100)는 통신모듈(110), 센서모듈(120), 입력모듈(130), 출력모듈(140), 저장모듈(150) 및 제어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모듈(150)은 데이터(151) 및 지도정보(152)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모듈(160)은 데이터관리부(161) 및 지도관리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10)은 제1 전자장치(100)와 외부 장치(제2 전자장치(200) 또는 제공서버(300))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모듈(110)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등 일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cellular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모듈(110)은 제어모듈(16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장치로 데이터 요청을 수행할 수 있고, 외부 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모듈(120)은 제1 전자장치(100)의 외부 환경에 대한 환경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120)은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GPS센서(미도시), 고도를 확인하기 위한 고도센서(미도시) 등 조도, 가속도, 중력,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기압, 자외선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방사능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모듈(130)은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제1 전자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모듈(160)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모듈(130)은 제1 전자장치(100)가 현재의 환경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모듈(130)는 제1 전자장치(100)에서 확인된 제1 데이터와, 제2 전자장치(200)에서 확인된 제2 데이터를 이용한 결과정보 확인신호, 환경정보를 나타내는 맵의 확인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결과정보는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평균데이터, 제2 데이터가 제1 데이터와 비교하여 오차범위 이내일 경우의 제1 데이터,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의 범위에 대응되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환경정보를 나타내는 맵은 제1 전자장치(100)가 이동하면서 제1 전자장치(100)에서 확인된 환경정보의 변화 이력을 출력하는 이력정보 맵,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가 동일 및 유사하면 동일 및 유사한 데이터들을 그룹핑하여 제1 전자장치(100)가 위치한 특정 공간 내의 환경정보를 나타내는 그룹정보 맵,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부터 제1 전자장치(100)에서 입력된 검색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이동경로를 표시할 수 있고, 검색어에 해당하는 위치의 환경정보를 나타내는 이동정보 맵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입력모듈(130)은 키버튼, 키보드,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출력모듈(140)은 제어모듈(160)에 따라 동작되는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출력모듈(14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터치스크린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경우, 출력모듈(140)은 입력모듈(130)의 역할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출력모듈(140)이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경우, 출력모듈(140)은 입력모듈(130)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가상의 버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출력모듈(140)은 입력모듈(130)의 입력에 의해 제1 전자장치(100)에서 측정된 제1 데이터, 제1 전자장치(100) 및 제2 전자장치(200)에서 측정된 제1 및 제2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결과정보, 환경정보를 나타내는 맵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저장모듈(150)은 제1 전자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모듈(150)은 제1 전자장치(100)에서 획득된 제1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200)에서 수신된 제2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151)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모듈(150)은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표시하고, 환경정보를 나타내는 맵을 표시하기 위한 지도데이터를 지도정보(152)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모듈(160)은 센서모듈(120)에서 획득된 제1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200)에서 측정된 외부 환경에 대한 제2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관리부(161)는 입력모듈(130)에서 제1 전자장치(100)가 위치한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데이터관리부(161)는 센서모듈(120)을 통해 제1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데이터관리부(161)는 입력모듈(130)에서 제2 전자장치(200)가 위치한 외부 환경에 대한 제2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데이터관리부(161)는 통신모듈(110)을 통해 제2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는 각각 제1 전자장치(100) 및 제2 전자장치(200)에서 획득되는 외부의 환경정보일 수 있다. 이는 제1 전자장치(100) 및 제2 전자장치(200)의 위치, 고도, 조도, 가속도, 중력,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기압, 자외선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방사능 수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데이터관리부(161)는 획득된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데이터(151)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관리부(161)는 입력모듈(130)로부터 외부의 환경에 대한 결과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데이터관리부(161)는 데이터(151)에 저장된 제1 및 제2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2 데이터는 제1 전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임의의 반경 내에 위치한 제2 전자장치(200)에서 확인된 데이터일 수 있다. 데이터관리부(161)는 제1 및 제2 데이터로부터 제1 전자장치(100) 및 제2 전자장치(200)의 상태를 확인하여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 중에서 보정데이터를 생성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모듈(160)은 제1 및 제2 데이터에 포함된 조도, 가속도, 중력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제1 전자장치(100) 및 제2 전자장치(2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관리부(161)는 제1 및 제2 데이터 중에서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의 적용이 필요한 데이터가 존재하면 데이터관리부(161)는 상기 데이터에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보정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관리부(161)는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보정데이터를 이용하여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결과정보는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평균데이터, 제2 데이터가 제1 데이터와 비교하여 오차범위 이내일 경우의 제1 데이터,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의 범위에 대응되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지도관리부(162)는 지도정보(152)에 저장된 지도데이터를 추출하고, 지도데이터에 생성된 결과정보를 표시하여 출력모듈(140)에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데이터로부터 확인된 제1 전자장치(100) 및 제2 전자장치(200)의 상태로부터 제1 및 제2 데이터에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의 적용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관리부(161)는 제2 전자장치(200)로부터 제2 전자장치(200)의 상태를 알려주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제1 데이터 또는 제2 데이터에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의 적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제2 전자장치(200)의 상태가 제1 전자장치(100)와 다를 경우, 제2 전자장치(200)에서 획득된 제2 데이터는 제1 전자장치(100)에 비해 신뢰성이 다소 낮기 때문에 제1 데이터에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보정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관리부(161)는 입력모듈(130)로부터 외부의 환경정보를 나타내는 맵 확인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데이터관리부(161)는 데이터(151)에 저장된 제1 및 제2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2 데이터는 제1 전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임의의 반경 내에 위치한 제2 전자장치(200)에서 확인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환경정보를 나타내는 맵 확인을 위한 신호가 이력정보 맵을 확인하기 위한 신호이면, 지도관리부(162)는 제1 전자장치(100)에서 획득된 제1 데이터에서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관리부(161)는 데이터(151)에 저장된 제1 데이터의 변화 이력을 확인하여 지도데이터에 제1 전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지도관리부(162)는 데이터관리부(161)에서 확인된 제1 데이터의 변화 이력을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표시하여 제1 전자장치(100)의 이력정보 맵을 생성하여 출력모듈(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력정보 맵에는 이동경로에 따른 온도, 고도, 조도, 가속도,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기압, 자외선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방사능 수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환경정보를 나타내는 맵 확인을 위한 신호가 그룹정보 맵을 확인하기 위한 신호이면, 지도관리부(162)는 제1 전자장치(100)에서 획득된 제1 데이터에서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관리부(161)는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임의의 반경 내에 위치한 제2 전자장치(200)에서 획득된 제2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관리부(161)는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가 동일 및 유사한지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관리부(161)는 동일 및 유사한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그룹핑하여 그룹정보 맵을 생성하고, 그룹정보 맵을 출력모듈(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룹정보 맵에는 제1 전자장치(100)가 위치한 특정 공간 내의 고도, 조도,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기압, 자외선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방사능 수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장치(100)가 건물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데이터관리부(161)는 상기 건물 내에 위치하되, 제1 전자장치(100)와 동일한 고도를 갖고,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와 임계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제2 전자장치(200)의 제2 데이터를 확인하여 그룹정보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환경정보를 나타내는 맵 확인을 위한 신호가 이동정보 맵을 확인하기 위한 신호이면, 지도관리부(162)는 제1 전자장치(100)에서 획득된 제1 데이터에서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지도관리부(162)는 지도데이터에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위치에 제1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관리부(161)는 입력모듈(130)에서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지도관리부(162)는 검색된 위치를 지도데이터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검색어는 건물명, 지번주소, 상가이름 등으로 입력될 수 있다. 데이터관리부(161)는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 또는 유사한 위치에 존재하는 제2 전자장치(200)에서 획득된 제2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지도관리부(162)는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부터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까지의 경로를 지도데이터에 표시할 수 있고,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데이터를 표시하여 이동정보 맵을 생성하고, 이동정보 맵을 출력모듈(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정보 맵에는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와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의 고도, 조도,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기압, 자외선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방사능 수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관리부(161)는 환경정보에 대한 경고메시지를 메시지 팝업 창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자외선 지수가 임계치 이상이면 자외선을 피해 이동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고, 실내온도가 실외온도보다 임계치 이상 낮으면 실내온도를 높이도록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외부 환경을 측정하여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모듈(120),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110),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외부 전자장치에서 수신된 제2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160), 상기 환경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모듈(160)은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를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모듈(160)은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에서 각 전자장치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의 적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모듈(160)은 상기 제1 데이터가 측정된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위치에 따라 변화된 제1 데이터의 이력정보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모듈(160)은 특정 영역에서 임계값 이상 동일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그룹핑하여 그룹정보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모듈(160)은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존재하는 제2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데이터가 측정된 위치부터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까지의 이동경로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가 측정된 위치와,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기압, 자외선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방사능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제1 및 제2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11과정에서 제1 전자장치(100)의 제어모듈(160)은 입력모듈(130)에서 제1 전자장치(100)가 위치한 외부 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13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11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상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23과정을 수행하여 수행 중이던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외부 환경은 위치, 고도, 조도, 가속도, 중력,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기압, 자외선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방사능 수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13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센서모듈(120)을 활성화할 수 있다. 15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제1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는 제1 전자장치(100)의 외부 환경의 상태를 측정한 환경정보일 수 있다. 17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입력모듈(130)에서 제2 전자장치(200)에서 획득된 제2 데이터에 대한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19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모듈(160)은 상기 요청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21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21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획득된 제1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19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제2 전자장치(200)로부터 제2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모듈(160)은 제2 전자장치(200)와의 직접적인 통신을 통해 제2 데이터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요청신호에 따라 제2 전자장치(200)로부터 제2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모듈(160)은 제공서버(300)로 제2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가 제공서버(300)로 제2 데이터를 요청하면, 제공서버(300)는 제2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제2 데이터를 제1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21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획득된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를 저장모듈(15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위치한 영역의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31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입력모듈(130)로부터 외부의 환경에 대한 결과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모듈(160)은 33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31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상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43과정을 수행하여 수행 중이던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33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도 3의 21과정에서 저장모듈(150)에 저장된 제1 및 제2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2 데이터는 제1 전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임의의 반경 내에 위치한 제2 전자장치(200)에서 확인된 데이터일 수 있다. 35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확인된 제1 및 제2 데이터 중에서 보정데이터를 생성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모듈(160)은 제1 데이터에서 제1 전자장치(100)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2 데이터에서 제2 전자장치(2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35과정의 확인결과, 제어모듈(160)은 제1 및 제2 데이터 중에서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의 적용이 필요한 데이터가 존재하면 37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35과정의 확인결과,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의 적용이 필요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모듈(160)은 39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모듈(160)은 제1 및 제2 데이터에 포함된 조도, 가속도, 중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모듈(16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부터 제1 전자장치(100) 또는 제2 전자장치(200)의 상태 예컨대,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 전자장치를 손에 들고 있는지 주머니 또는 가방에 있는지, 전자장치가 차량에 위치하는지 등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데이터로부터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의 적용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전자장치(200)로부터 제2 전자장치(200)의 상태를 알려주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39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과정보를 생성하고, 41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37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의 적용이 필요한 데이터에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보정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39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보정데이터를 이용하여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41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산출된 결과정보를 출력모듈(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장치(100)와 제2 전자장치(200)가 A라는 동일한 공간에 존재하면 제1 전자장치(100)는 A공간 내의 특정 위치에서 외부 환경에 대한 제1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2 전자장치(200)는 A공간 내의 특정 위치(예컨대,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제2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모듈(160)은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의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결과정보를 산출하기 이전에 제2 전자장치(200)의 상태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제1 전자장치(100)의 상태와 다르면 제2 전자장치(200)에서 획득된 제2 데이터는 제1 전자장치(100)에 비해 신뢰성이 다소 낮기 때문에 제1 데이터에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보정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어모듈(160)은 A공간 내의 환경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환경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맵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51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입력모듈(130)로부터 맵 확인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53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51과정에서 맵 확인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모듈(160)은 61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61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수행 중이던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53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도 3의 21과정에서 저장모듈(150)에 저장된 제1 또는 제2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55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제1 데이터에서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53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이 제2 데이터를 확인한 경우, 55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제2 데이터에서 제2 전자장치(2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57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제1 데이터 또는 제2 데이터에 대한 맵을 생성하고, 59과정에서 제어모듈(160)은 생성된 맵을 출력모듈(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모듈(160)은 제1 전자장치(100)에서 획득된 제1 데이터에서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데이터를 제공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모듈(160)은 지도데이터에 제1 전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모듈(160)은 생성된 이동경로를 따라 제1 데이터를 표시하여 제1 전자장치(100)의 이력정보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력정보 맵에는 이동경로에 따른 온도, 고도, 조도, 가속도,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기압, 자외선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방사능 수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모듈(160)은 제1 전자장치(100)에서 획득된 제1 데이터에서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데이터를 제공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장치(100)가 건물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모듈(160)은 제1 데이터에서 고도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모듈(160)은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임의의 반경 내에 위치한 제2 전자장치(200)에서 획득된 제2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모듈(160)은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가 동일 및 유사한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모듈(160)은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가 동일 및 유사하면 제1 데이터에서 확인된 위치와 제2 데이터에서 확인된 위치를 그룹핑하여 그룹정보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룹정보 맵에는 제1 전자장치(100)가 위치한 특정 공간 내의 고도, 조도,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기압, 자외선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방사능 수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모듈(160)은 제1 전자장치(100)에서 획득된 제1 데이터에서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데이터를 제공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모듈(160)은 지도데이터에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위치에 제1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모듈(160)은 입력모듈(130)에서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를 지도데이터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검색어는 건물명, 지번주소, 상가이름 등으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모듈(160)은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 또는 유사한 위치에 존재하는 제2 전자장치(200)에서 획득된 제2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모듈(160)은 현재 위치에서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까지의 경로를 지도데이터에 표시할 수 있고,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데이터를 표시하여 이동정보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정보 맵에는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와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의 고도, 조도,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기압, 자외선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방사능 수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외부 환경을 측정하여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장치로부터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환경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로 보정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와 상기 보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정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로 각 전자장치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 적용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 적용이 필요한 데이터에 상기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보정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맵을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맵을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데이터가 측정된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위치에 따라 변화된 제1 데이터의 이력정보 맵을 생성하는 과정일 수 있따.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맵을 생성하는 과정은 특정 영역에서 임계값 이상 동일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그룹핑하여 그룹정보 맵을 생성하는 과정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맵을 생성하는 과정은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존재하는 제2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데이터가 측정된 위치부터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까지의 이동경로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위치한 영역의 환경정보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전자장치(100)에는 제1 전자장치(100)가 위치한 곳의 환경정보가 도 6(a)의 도면부호 601과 같이 대기화면(idle)에 위젯(widget)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601을 통해 오늘 날짜, 요일, 현재 온도, 제1 전자장치(100)가 실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601에 기재된 온도는 제1 데이터에서 확인된 온도와 제2 데이터에서 확인된 온도를 이용하여 산출된 평균온도일 수 있다.
사용자가 도 6(a)의 도면부호 601을 선택하면, 제1 전자장치(100)는 도 6(b)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도 6(b)의 도면부호 602에서와 같이 도면부호 601에 도시된 내용을 표시할 수 있고, 도면부호 603에서와 같이 환경정보에 대한 맵을 확인하기 위한 맵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력정보 맵은 제1 전자장치(100)가 이동하면서 제1 전자장치(100)에서 확인된 환경정보의 변화 이력을 확인하기 위한 메뉴, 그룹정보 맵은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가 동일 및 유사하면 동일 및 유사한 데이터들을 그룹핑하여 제1 전자장치(100)가 위치한 특정 공간 내의 환경정보를 나타내는 맵을 확인하기 위한 메뉴, 이동정보 맵은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부터 제1 전자장치(100)에서 입력된 검색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이동경로를 표시할 수 있고, 검색어에 해당하는 위치의 환경정보를 나타내는 맵을 확인하기 위한 메뉴일 수 있다. 도면부호 604는 제1 전자장치(100)에서 획득된 제1 데이터와,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임계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2 전자장치(200)에서 획득된 제2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결과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a)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제1 전자장치(100)가 실내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제1 전자장치(100)가 위치한 곳의 온도와 외부의 온도가 임계치 이상 차이가 나면 도 6(c)의 도면부호 605와 같이 메시지 팝업 창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이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메시지 팝업 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에너지 절약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이동에 따른 환경정보의 이력을 나타낼 수 있는 이력정보 맵의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전자장치(100)에는 제1 전자장치(100)가 위치한 곳의 환경정보가 도 7(a)의 도면부호 701과 같이 대기화면(idle)에 위젯(widget)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701을 통해 오늘 날짜, 요일, 현재 온도, 제1 전자장치(100)가 실외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701에 기재된 온도는 제1 데이터에서 확인된 온도와 제2 데이터에서 확인된 온도를 이용하여 산출된 평균온도일 수 있다.
사용자가 도 7(a)의 도면부호 701을 선택하면, 제1 전자장치(100)는 도 7(b)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도 7(b)의 도면부호 702에서와 같이 도면부호 701에 도시된 내용을 표시할 수 있고, 도면부호 703에서와 같이 환경정보에 대한 맵을 확인하기 위한 맵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맵 종류는 도 6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전자장치(100)는 도 7(b)의 도면부호 704에서와 같이 제1 전자장치(100)에서 획득된 제1 데이터와,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임계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2 전자장치(200)에서 획득된 제2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결과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장치(100)는 도 7(b)의 도면부호 703 중에서 이력정보 맵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도 7(c)의 도면부호 705와 같이 제1 전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표시하고, 특정 구간 마다 측정된 제1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자장치(100)는 제1 전자장치(100)에서 획득된 제1 데이터에서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데이터를 제공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지도데이터에 제1 전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생성된 이동경로를 따라 제1 데이터를 표시하여 제1 전자장치(100)의 이력정보 맵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력정보 맵에는 이동경로에 따른 온도, 고도, 조도, 가속도,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기압, 자외선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방사능 수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위치한 특정 영역의 환경정보를 나타내는 그룹정보 맵의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 도 2,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전자장치(100)에는 제1 전자장치(100)가 위치한 곳의 환경정보가 도 8(a)의 도면부호 801과 같이 대기화면(idle)에 위젯(widget)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 8(a) 및 도 8(b)와 관련된 설명은 도 6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장치(100)는 도 8(b)의 도면부호 803 중에서 그룹정보 맵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도 8(c)와 같이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임계 범위 내의 그룹정보 맵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자장치(100)는 제1 전자장치(100)에서 획득된 제1 데이터에서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데이터를 제공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도면부호 805와 같이 제1 전자장치(100)가 위치한 특정 영역 내에서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상기 특정 영역에서 유사 또는 동일한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들을 도면부호 806과 같이 그룹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도면부호 807a, 807b, 808a, 808b와 같이 제2 전자장치(200)의 위치를 확인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 중에서 동일 및 유사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동일 및 유사한 데이터를 그룹핑하여 그룹정보 맵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면부호 807a, 807b에 해당하는 제2 전자장치(200)에서 획득된 온도가 27.5도로 동일하면 제1 전자장치(100)는 807a, 807b에 해당하는 제2 전자장치(200)에서 확인된 제2 데이터를 도면부호 807과 같이 하나의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면부호 808a, 808b에 해당하는 제2 전자장치(200)에서 획득된 온도가 24도로 동일하면 제1 전자장치(100)는 808a, 808b에 해당하는 제2 전자장치(200)에서 확인된 제2 데이터를 도면부호 808과 같이 하나의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룹정보 맵에는 제1 전자장치(100)가 위치한 특정 공간 내의 고도, 조도,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기압, 자외선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방사능 수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가 건물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건물 내에 위치하되, 제1 전자장치(100)와 동일한 고도를 갖고,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와 임계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제2 전자장치(200)의 제2 데이터를 확인하여 그룹정보 맵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설정한 위치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이동정보 맵의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 도 2,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전자장치(100)에는 제1 전자장치(100)가 위치한 곳의 환경정보가 도 9(a)의 도면부호 901과 같이 대기화면(idle)에 위젯(widget)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 9(a) 및 도 9(b)와 관련된 설명은 도 7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장치(100)는 도 9(b)의 도면부호 903 중에서 이동정보 맵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도 9(c)와 같이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임계 범위 내의 이동정보 맵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자장치(100)는 제1 데이터에서 확인된 자외선 지수가 임계치 이상이면 도 9(c)의 도면부호 905와 같이 자외선 지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다른 장소로 이동함을 권하는 메시지 팝업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 팝업 창이 표시되는 자외선 지수의 임계치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메시지 팝업 창은 자외선에 한정되어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도면부호 9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먼지 농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 제1 데이터에 포함된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출력될 수 있다.
도 9(c)의 도면부호 905에서 확인이 선택되면 제1 전자장치(100)는 도 9(d)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d)의 도면부호 906에 사용자로부터 검색어가 입력되면, 제1 전자장치(100)는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장치(100)에서 획득된 제1 데이터에서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데이터를 제공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지도데이터에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위치에 도면부호 907과 같이 제1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를 지도데이터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검색어는 건물명, 지번주소, 상가이름 등으로 입력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 또는 유사한 위치에 존재하는 제2 전자장치(200)에서 획득된 제2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현재 위치에서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까지의 경로를 도면부호 909와 같이 지도데이터에 표시할 수 있고, 도면부호 908과 같이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데이터를 표시하여 이동정보 맵을 생성하요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정보 맵에는 제1 전자장치(100)의 위치와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의 고도, 조도,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기압, 자외선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방사능 수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장치(100)는 도 9(c)의 화면이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도 9(d)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전자장치(100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이미지 편집 전자장치(100)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0)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10, AP: application processor), 통신 모듈(1020),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1024), 메모리(1030), 센서 모듈(1040), 입력 장치(1050), 디스플레이(1060), 인터페이스(1070), 오디오 모듈(1080), 카메라 모듈(1091), 전력관리 모듈(1095), 배터리(1096), 인디케이터(1097) 및 모터(1098)를 포함할 수 있다.
AP(101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제어모듈(160)은 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AP(10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AP(10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AP(10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020)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통신모듈(110)은 전자장치(1000)(예: 전자장치 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전자장치들 간의 통신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020)은 셀룰러 모듈(1021), Wifi 모듈(1023), BT 모듈(1025), GPS 모듈(1027), NFC 모듈(10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1029)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1021)은 통신망(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셀룰러 모듈(1021)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10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021)은 AP(10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1021)은 멀티 미디어 제어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0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셀룰러 모듈(1021)은, 예를 들면, SoC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셀룰러 모듈(1021)(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메모리(1030) 또는 전력관리 모듈(1095) 등의 구성요소들이 AP(1010)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AP(1010)가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1021))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AP(1010) 또는 셀룰러 모듈(1021)(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은 각각에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AP(1010) 또는 셀룰러 모듈(1021)은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Wifi 모듈(1023), BT 모듈(1025), GPS 모듈(1027) 또는 NFC 모듈(10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셀룰러 모듈(1021), Wifi 모듈(1023), BT 모듈(1025), GPS 모듈(1027) 또는 NFC 모듈(1028)이 각각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021), Wifi 모듈(1023), BT 모듈(1025), GPS 모듈(1027) 또는 NFC 모듈(10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1021), Wifi 모듈(1023), BT 모듈(1025), GPS 모듈(1027) 또는 NFC 모듈(1028)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1021)에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및 Wifi 모듈(1023)에 대응하는 Wifi 프로세서)는 하나의 SoC로 구현될 수 있다.
RF 모듈(1029)는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RF 모듈(1029)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 모듈(1029)는 무선 통신에서 자유 공간상의 전자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품, 예를 들면, 도체 또는 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셀룰러 모듈(1021), Wifi 모듈(1023), BT 모듈(1025), GPS 모듈(1027) 및 NFC 모듈(1028)이 하나의 RF 모듈(1029)을 서로 공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021), Wifi 모듈(1023), BT 모듈(1025), GPS 모듈(1027) 또는 NFC 모듈(10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SIM 카드(1024)는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일 수 있으며, 전자장치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SIM 카드(1024)는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30)는 예를 들면, 도 2의 저장모듈(150)은 내장 메모리(1032) 또는 외장 메모리(10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10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내장 메모리(1032)는 Solid State Drive (SSD)일 수 있다. 외장 메모리(1034)는 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0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장치(1000)과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0)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 장치(또는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40) 예컨대, 도 2의 센서모듈(120)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장치(10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1040A), 자이로 센서(1040B), 기압 센서(1040C), 마그네틱 센서(1040D), 가속도 센서(1040E), 그립 센서(1040F), 근접 센서(1040G), color 센서(10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1040I), 온/습도 센서(1040J), 조도 센서(10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10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10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미도시),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미도시),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미도시),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미도시), IR(infra red) 센서(미도시), 홍채 센서(미도시) 또는 지문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050)는 예를 들면, 도 2의 입력모듈(130)은 터치 패널(touch panel)(10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1054), 키(key)(10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10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052)(예: 출력모듈(140))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0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하다. 터치 패널(10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 패널(1052)은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1054)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 또는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키(1056)(예: 입력모듈(130)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1058)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전자장치(1000)에서 마이크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무선 인식이 가능하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0)는 통신 모듈(1020)를 이용하여 이와 연결된 외부 장치(예: 컴퓨터 또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060)는 예를 들면, 도 2의 출력모듈(140)은 패널(1062), 홀로그램 장치(1064) 또는 프로젝터(1066)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1062)은, 예를 들면,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패널(10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1062)은 터치 패널(10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1064)은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10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060)은 패널(1062), 홀로그램 장치(1064), 또는 프로젝터(10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0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1072), USB(universal serial bus)(10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1076) 또는 D-sub(D-subminiature)(1078)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인터페이스(10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080)은 소리(sound)와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1080)은, 예를 들면, 스피커(1082), 리시버(1084), 이어폰(1086) 또는 마이크(10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91)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미도시), ISP(image signal processor, 미도시) 또는 플래쉬 (flash, 미도시)(예: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095)은 전자장치(1000)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력 관리 모듈(1095)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예를 들면, 집적회로 또는 SoC 반도체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충전 방식은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충전 IC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충전기로부터의 과전압 또는 과전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IC는 유선 충전 방식 또는 무선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충전 IC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이 있으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의 회로가 추가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10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1096)는 전기를 저장 또는 생성할 수 있고, 그 저장 또는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전자장치(10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0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097)는 전자장치(1000) 혹은 그 일부(예: AP(10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10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장치(1000)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우(media flow)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 따른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가 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 모듈 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개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개시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온습도 측정 시스템 100: 제1 전자장치
110: 통신모듈 120: 센서모듈
130: 입력모듈 140: 출력모듈
150: 저장모듈 151: 데이터
152: 지도정보 160: 제어모듈
161: 데이터관리부 162: 지도관리부
200: 제2 전자장치 300: 제공서버

Claims (14)

  1. 외부의 환경 인자(factor)를 측정하여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모듈;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장치가 획득한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수신된 제2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장치가 위치한 영역의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환경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및 상기 환경정보는 상기 전자장치가 위치한 영역에서의 동일한 환경 인자와 연관되고,
    상기 환경 인자는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기압, 자외선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및 방사능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를 적용하는 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에서 각 전자장치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의 적용여부를 확인하는 전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데이터가 측정된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위치에 따라 변화된 제1 데이터의 이력정보 맵을 생성하는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 영역에서 임계값 이상 동일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그룹핑하여 그룹정보 맵을 생성하는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존재하는 제2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데이터가 측정된 위치부터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까지의 이동경로 맵을 생성하는 전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가 측정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8. 전자장치가 수행하는 환경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외부 환경 인자(factor)를 측정하여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장치가 획득한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가 위치한 영역의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환경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및 상기 환경정보는 상기 전자장치가 위치한 영역에서의 동일한 환경 인자와 연관되고,
    상기 환경 인자는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기압, 자외선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및 방사능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정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로 보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와 상기 보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인 환경정보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로 각 전자장치의 상태를 확인하여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 적용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중에서 상기 가중치 또는 상기 우선순위의 적용이 필요한 데이터에 상기 가중치 또는 상기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보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인 환경정보 제공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이후에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맵을 생성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환경정보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맵을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데이터가 측정된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위치에 따라 변화된 제1 데이터의 이력정보 맵을 생성하는 동작인 환경정보 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맵을 생성하는 동작은
    특정 영역에서 임계값 이상 동일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그룹핑하여 그룹정보 맵을 생성하는 동작인 환경정보 제공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맵을 생성하는 동작은
    검색어를 수신하는 동작;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존재하는 제2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데이터가 측정된 위치부터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위치까지의 이동경로 맵을 생성하는 환경정보 제공 방법.
KR1020140042948A 2014-04-10 2014-04-10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KR102219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948A KR102219365B1 (ko) 2014-04-10 2014-04-10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US14/681,732 US10168190B2 (en) 2014-04-10 2015-04-08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EP15162976.3A EP2938052B1 (en) 2014-04-10 2015-04-09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nvironment information
PCT/KR2015/003580 WO2015156623A1 (en) 2014-04-10 2015-04-09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948A KR102219365B1 (ko) 2014-04-10 2014-04-10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467A KR20150117467A (ko) 2015-10-20
KR102219365B1 true KR102219365B1 (ko) 2021-02-23

Family

ID=53039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948A KR102219365B1 (ko) 2014-04-10 2014-04-10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68190B2 (ko)
EP (1) EP2938052B1 (ko)
KR (1) KR102219365B1 (ko)
WO (1) WO20151566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3474B2 (en) * 2015-12-23 2017-12-12 Intel Corporation Telemetry adaptation
US11493421B2 (en) 2017-12-29 2022-11-08 Lg Electronics Inc. Device for measuring fine dust and fine dust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comprising same
KR102023279B1 (ko) * 2018-03-27 2019-09-19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미세먼지센서의 데이터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2158932B1 (ko) * 2019-03-21 2020-09-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분석기의 농도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
KR20200118949A (ko) * 2019-04-09 2020-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공기질 측정 장치 및 그 공기질 관련 정보 표시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6116A1 (en) * 2008-09-02 2010-03-04 Samsung Electronics Co.Ltd.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information collected by portable terminals
WO2011047260A2 (en) * 2009-10-16 2011-04-21 Apple Inc. Triggering actions based on changes in a network connection
US20120290266A1 (en) * 2011-05-13 2012-11-15 Fujitsu Limited Data Aggregation Platfor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4339B2 (en) 1996-12-16 2014-05-27 Ip Holdings, Inc. Electronic skin patch for real time monitoring of cardiac activity and personal health management
US9016565B2 (en) 2011-07-18 2015-04-28 Dylan T X Zhou Wearable personal digital device for facilitating mobile device payments and personal use
US7184745B2 (en) 2003-02-03 2007-02-27 Motorola, Inc. Wireless receiver operation
US8316046B2 (en) 2010-04-07 2012-11-20 Apple Inc. Journaling on mobile devices
KR20110122241A (ko) 2010-05-04 2011-11-10 (주)세네카 온도측정 가능한 핸드폰
JP5639945B2 (ja) 2011-04-04 2014-12-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8823520B2 (en) 2011-06-16 2014-09-02 The Boeing Company Reconfigurable network enabled plug and play multifunctional processing and sensing node
TWI470970B (zh) 2011-08-26 2015-01-21 Liang Tse Lin 開放式監控系統及其操作方法
US9743357B2 (en) 2011-12-16 2017-08-22 Joseph Akwo Tabe Energy harvesting computer device in association with a communication device configured with apparatus for boosting signal recep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6116A1 (en) * 2008-09-02 2010-03-04 Samsung Electronics Co.Ltd.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information collected by portable terminals
WO2011047260A2 (en) * 2009-10-16 2011-04-21 Apple Inc. Triggering actions based on changes in a network connection
US20120290266A1 (en) * 2011-05-13 2012-11-15 Fujitsu Limited Data Aggregation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92920A1 (en) 2015-10-15
EP2938052B1 (en) 2021-03-17
EP2938052A1 (en) 2015-10-28
US10168190B2 (en) 2019-01-01
WO2015156623A1 (en) 2015-10-15
KR20150117467A (ko) 201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528B1 (ko) 색맹 교정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운영 방법
US9559548B2 (en) Cover membe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US9743226B2 (en) Method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99650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using touch screen
KR102326275B1 (ko)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180677B1 (ko) 전자 장치의 배터리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AU2015350713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riving fingerprint sensor
KR102266468B1 (ko) 초점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125472A (ko) 음성 명령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13190B1 (ko) 홈스크린 구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US2015019867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7036693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255351B1 (ko) 홍채 인식 방법 및 장치
KR20150123493A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927228B2 (en) Method of detecting ultraviolet r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219365B1 (ko)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US20160077621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11632A (ko) 지문 인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64354A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50365573A1 (en) Electronic device cas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50122476A (ko) 제스처 센서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50349852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le subscriber identity modules and method therefor
US10438525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241831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영 방법
KR102305117B1 (ko) 텍스트 입력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