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280B1 - 비-쿼티 키보드 - Google Patents

비-쿼티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280B1
KR102219280B1 KR1020190027662A KR20190027662A KR102219280B1 KR 102219280 B1 KR102219280 B1 KR 102219280B1 KR 1020190027662 A KR1020190027662 A KR 1020190027662A KR 20190027662 A KR20190027662 A KR 20190027662A KR 102219280 B1 KR102219280 B1 KR 102219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w
key
letter
keys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272A (ko
Inventor
놀란 존스
Original Assignee
놀란 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놀란 존스 filed Critical 놀란 존스
Publication of KR20190107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키보드(10)는 알파벳 문자를 컴퓨팅 장치(2)에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키보드(10)는 좌측 키보드 섹션(10L) 및 우측 키보드 섹션(10R)을 갖는다. 좌측 키보드 섹션(10L)은, 각각 하나의 문자 키만 가지는 좌측 상단 행(12L-T)과 좌측 하단 행(12L-B)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이한 좌측 행의 문자 키들로 형성된 문자 키의 좌측 클러스터(16-L)를 포함한다. 좌측 클러스터(16-L)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는 상기 알파벳에 따라 알파벳 순서로 주변 둘레에 배치된다. 유사하게, 우측 키보드 섹션(10R)은, 각각 하나의 문자 키만 가지는 우측 상단 행(12R-T) 및 우측 하단 행(12R-B)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이한 우측 행의 문자 키들로 형성된 문자 키의 우측 클러스터(16-R)를 포함한다. 우측 클러스터(16-R)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는 상기 알파벳에 따라 알파벳 순서로 주변 둘레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비-쿼티 키보드{NON-QWERTY KEYBOARD}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쿼티(non-QWERTY)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라틴어-스크립트 알파벳용 쿼티 키보드는 기계식 타자기의 일부로 1870 년대에 처음으로 구현되었다. 타입 바(type bars)가 인접하지 않도록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문자-쌍을 배치하여 쿼티 키보드는 타자기의 고장(jam)을 줄였다. 이러한 일반적인 쿼티 디자인은 기계식 타자기 고장이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은지 지 오래된 후 최소한의 변경만으로 현대 키보드에서 지속되었다. 사실, 쿼티 디자인은 모바일 장치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공하는 가상 키보드에서도 유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쿼티 키보드는 사용 방법을 배우는 것이 본질적으로 어렵다. 키보드에서 문자의 직관적이지 않은 배열은 키보드의 학습 곡선을 가파르게 할 뿐만 아니라 타이핑 속도를 늦춘다. 쿼티 키보드가 모바일 장치 및 쿼티 기보드의 가늘고 긴 풋프린트(footprint)가 설계된 10개의 손가락 대신 두 개의 엄지 손가락 또는 한 개의 엄지 손가락과 한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도록 지시하는 소형 폼 팩터(small form factor)가 구비된 다른 휴대용 장치에서 사용될 때 특히 그렇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키보드는 알파벳의 문자를 컴퓨팅 장치에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키보드에는 왼쪽 키보드 섹션과 오른쪽 키보드 섹션이 있다. 좌측 키보드 섹션은 각각 하나의 글자 키만을 갖는 좌측 상단 행 및 좌측 하단 행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이한 좌측 행에 글자 키들로 형성된 글자 키의 좌측 클러스터를 포함한다. 좌측 클러스터의 둘레를 형성하는 글자 키는 상기 알파벳에 따라 알파벳 순서로 주변 둘레에 배열된다. 유사하게, 우측 키보드 섹션은 각각 하나의 글자 키만을 갖는 우측 상단 행 및 우측 하단 행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이한 우측 행에 글자 키들로 형성된 글자 키의 우측 클러스터를 포함한다. 우측 클러스터의 둘레를 형성하는 글자 키는 상기 알파벳에 따라 알파벳 순서로 주변 둘레에 배열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부 및/또는 하부 행에 단일 글자(character) 키만을 포함시키는 것은 키보드를 이용 가능한 엄지의 썸프린트(thumbprint)를 유리하게 모방하도록 글자 키 풋프린트를 수직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예를 들어, 표준화된 순서에 대해 어린이의 인지 학습에 필적하게 하기 위해, 표기 체계의 표준화된 순서에 따라 글자 키를 배열하는 것은 키보드에 타이핑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프로세스를 촉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일부 실시 예는 클러스터의 둘레의 글자 키의 글자가 대략 타원형, 다이아몬드형 또는 다른 기본 모양으로 배열되게 하기 위해 문자 간 간격 또는 글자 키 간 거리 면에서 상이한 행의 글자 키를 구별한다. 정신적 인지 발달의 초기 단계에서도 누구나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키보드의 기본 모양을 근사하면 키보드 타이핑 방법 학습을 촉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는 알파벳의 문자를 컴퓨팅 장치에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를 포함한다. 왼쪽 키보드 섹션은 여러 개의 상이한 왼쪽 행을 포함한다. 왼쪽 행은 단일 글자 키만을 갖는 왼쪽 상단 행, 단일 글자 키만을 갖는 좌측 하단 행, 및 좌측 상단 행과 상기 좌측 하단 행 사이의 3개 이상의 좌측 중간 행을 포함하고, 좌측 상단 행 및 좌측 하단 행 각각의 단일 글자 키는 좌측 상단 행 및 좌측 하단 행 사이에 연장된 좌측 축을 중심으로 하고, 좌측 중간 행 각각은 적어도 좌측 축의 좌측으로 중심이 오프셋 된 좌측 글자 키 및 좌측 축의 우측으로 중심이 오프셋 된 우측 글자 키를 갖는다. 우측 키보드 섹션은 복수의 상이한 우측 행을 포함한다. 우측 행은 단일 글자 키만을 갖는 우측 상단 행, 단일 글자 키만을 갖는 우측 하단 행, 및 우측 상단 행과 우측 하단 행 사이에 3개 이상의 우측 중간 행을 포함하고, 우측 상단 행과 우측 하단 행 각각의 단일 글자 키는 좌측 상단 행 및 좌측 하단 행 사이에 연장된 우측 축을 중심으로 하고, 우측 중간 행 각각은 적어도 우측 축의 좌측으로 중심이 오프셋 된 좌측 글자 키 및 우측 중심 축의 우측으로 중심이 오프셋 된 우측 글자 키를 갖는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물리적 또는 가상 형태로 상기 실시 예로 기술된 키보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는 상기 키보드 실시 예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도 1은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2d는 키보드용 글자 키 클러스터 내의 상이한 글자 키 배열의 블록도이다.
도 3은 글자 키의 좌측 및 우측 클러스터의 글자 키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라틴 알파벳용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5a는 키보드의 상이한 행에서 상이한 문자 간 간격을 갖는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5b는 키보드의 상이한 행에서 상이한 키 간 거리를 갖는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일부 키에 대한 상이한 시각 특성을 갖는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7a 내지 7d는 각각의 도면에 도시된 기본 형상을 미러링하도록(to mirror) 배열된 키를 갖는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8a 및 8b는 영어 표기 체계를 위한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9a 및 9b는 프랑스어 표기 체계를 위한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10a 및 10b는 독일어 표기 체계를 위한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11a 및 11b는 스페인어 표기 체계를 위한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12a 및 12b는 터키어 표기 체계를 위한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베트남어 표기 체계를 위한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14a 및 14b는 현대 표준 아랍어 표기 체계를 위한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15a 및 15b는 러시아어 표기 체계를 위한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16a 및 16b는 현대 표준 힌디어(Hindi) 표기 체계를 위한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17a 내지 17c는 한국어 표기 체계를 위한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18a 내지 18c는 한유 병음(Hanyu Pinyin) 표기 체계를 위한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19a 내지 19c는 로마지(Romaji)(헵번식(Hepburn)) 표기 체계를 위한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20a는 세로 방향의(in portrait orientation) 컴퓨팅 장치용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20b는 가로 방향의(in landscape orientation) 컴퓨팅 장치용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20c는 태블릿용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21a는 알파벳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21b는 숫자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21c는 기호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21d는 이모지(emoji) 키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22는 컴퓨팅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3은 컴퓨팅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키보드(10)를 도시한다. 키보드(10)는 표기 체계의 글자(characters)를 컴퓨팅 장치(2)에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 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및 기타 경우에 키보드(10)는 컴퓨팅 장치(2)의 텍스트 입력 필드(4)에 표기 체계의 글자를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글자는 알파벳 표기 체계의 문자(letter), 음절 표기 체계의 음절, 및/또는 단어, 형태소(morphemes) 또는 표어문자 표기 체계(logographic writing system)의 의미 단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글자에는 혼자서는 문자, 음절, 단어, 형태소 또는 표기 체계의 의미 단위를 나타내지 않는 구두점(punctuation), 악센트, 숫자 또는 기타 기호는 포함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예에서, 키보드(10)를 통해 입력된 글자는 텍스트 입력 필드(4)에서 그 글자 또는 그 글자의 처리된 파생어(derivatives)의 표시 전 및/또는 후에 컴퓨팅 장치(2)에 의해 처리된다.
키보드(10)는 복수의 글자 키(12)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글자 키(12)는 컴퓨팅 장치에 표기 체계의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 구성된 키이다. 글자 키가 입력하도록 구성된 글자가 문자인 경우, 글자 키(character key) 문자 키(letter key)라고 지칭될 수 있다. 글자 키가 입력하도록 구성된 글자가 음절 또는 표어문자(logogram)인 경우, 글자 키는 각각 음절 키 또는 표어문자 키로 지칭될 수 있다. 글자 키(12)는 키보드(10)에 포함될 수 있는 기능 키(functional keys)와는 다르다. 이러한 기능 키는, 예를 들어 캐리지 리턴 키(carriage return key)(14-1), 숫자 입력을 위해 다른 키보드로 전환하기 위한 숫자 키(14-2(#)), 스페이스 키(14-3), 다른 표기 체계를 위한 하나 이상의 다른 키보드로 전환하기 위한 키보드 스위치 키(14-4), 대문자 또는 소문자의 입력을 위해 다른 키보드로 전환하기 위한 캡 잠금 키(14-5(^)), 이모지 심볼의 입력을 위해 다른 키보드로 전환하기 위한 이모지 키(14-6), 이미 입력된 글자를 삭제하기 위한 백스페이스 키(14-7), 키보드(10)를 숨기기 위한 하이드 키보드 키(14-8) 및 논리 심볼, 구두점 등을 위한 키보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포올(for-all) 키보드 키(14-9)를 포함한다.
키보드(10)는, 중심 축(10A)의 좌측에 좌측 키보드 섹션(10L)과 중심 축(10A)의 우측에 우측 키보드 섹션(10R)으로, 중심 축(10A)에 대해 기능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분할된다. 좌측 키보드 섹션(10L)은 좌측 행으로 지칭되는 복수의 상이한 행의 글자 키(12)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좌측 행은 글자 키(12)로부터 중심 축(10A)의 좌측으로 형성된다. 좌측 행은 키보드(10)의 상부(10T)에 근접한 좌측 상단 행(12L-T) 및 키보드의 하부(10B)에 근접한 좌측 하단 행(12L-B)을 포함한다. 키보드(10)의 상부(10T)는 컴퓨팅 장치(2)의 상부(2T)에 가장 가까운 키보드(10)의 측면일 수 있고, 반면 키보드의 하부는, 예를 들어 적어도 키보드(10)의 세로 방향으로, 컴퓨팅 장치(2)의 하부(2B)에 가장 가까운 키보드(10)의 측면일 수 있다. 이와 관계없이, 좌측 행은 또한 좌측 상단 행(12L-T)과 좌측 하단 행(12L-B) 사이에 하나 이상의 좌측 중간 행(12L-X)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우측 키보드 섹션(10R)은 우측 행으로 지칭되는 복수의 상이한 행의 글자 키(12)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우측 행은 글자 키(12)로부터 중심 축(10A)의 우측으로 형성된다. 우측 행은 키보드의 상부(10T)에 근접한 우측 상단 행(12R-T) 및 키보드의 하부(10B)에 근접한 우측 하단 행(12R-B)을 포함한다. 우측 행은 또한 우측 상단 행(12R-T)과 우측 하단 행(12R-B) 사이에 하나 이상의 우측 중간 행(12R-X)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 예에서, 좌측 키보드 섹션(10L) 및 우측 키보드 섹션(10R)은, 예를 들어, 각각의 행에서 동일한 수의 글자 키, 동일한 행 수의 글자 키 등과 같이, 이들 섹션(10L, 10R)에서의 글자 키가 배열되는 방식이 대칭적이다.
도 1은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 예에서, 좌측 상단 행(12L-T) 및 우측 상단 행(12R-T) 각각이 단일 글자 키만을 갖는 것을 도시한다. 즉, 좌측 상단 행(12L-T) 및 우측 상단 행(12R-T) 각각은 행에서 하나의 글자 키(12)만을 가지며, 그 행에 0개 이상의 다른 유형의 키(예를 들어, 기능 키)가 있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좌측 하단 행(12L-B) 및 우측 하단 행(12R-B) 각각은 단일 글자 키만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 예에서, 좌측 상단 행(12L-T)의 단일 글자 키 및/또는 좌측 하단 행(12L-B)의 단일 글자 키는 좌측 상단 행(12L-T)과 좌측 하단 행(12L-B) 사이에서 연장되는 좌측 축(10A-L)을 중심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우측 상단 행(12R-T)의 단일 글자 키 및/또는 우측 하단 행(12R-B)의 단일 글자 키는 우측 상단 행(12R-T) 및 우측 하단 행(12R-B) 사이에서 연장되는 우측 축(10A-R)을 중심으로 한다. 이와 관계없이, 일부 실시 예에서, 행 내의 이러한 단일 글자 키는 앵커 포인트(anchor point)로 지칭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일부 실시 예에서, 이들 상부 및/또는 하부 행의 단일 글자 키만을 포함하는 것은 중심 축(10A)에 평행한 수직 방향으로 글자 키 풋프린트를 효율적으로 연장시켜 키보드(10)를 이용 가능한 엄지의 썸프린트를 유리하게 모방할 수 있다.
도 1은 또한, 일부 실시 예에서 좌측 키보드 섹션(10L)이 복수의 좌측 중간 행(12L-X)을 갖는 것을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좌측 중간 행(12L-X)이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좌측 중간 행(12L-X) 각각은 적어도 중심이 좌측 축(10A-L)의 좌측으로 오프셋 된 좌측 글자 키 및 중심이 좌측 축(10A-L)의 우측으로 오프셋 된 우측 글자 키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좌측 중간 행(12L-X) 각각은 또한 좌측 축(10A-L)을 중심으로 하는, 예를 들어 좌측 상단 행(12L-T) 및/또는 좌측 하단 행(12L-B)의 단일 글자 키와 수평 정렬된 중심 글자 키를 포함한다. 도 1은 예를 들어 좌측 글자 키에 대해 좌측에 배치되고 우측 글자 키에 대해 우측에 배치되는 중심 글자 키를 각각 갖는 3개의 최상부 좌측 중간 행과, 좌측 글자 키와 우측 글자 키만 있고 중심 글자 키는 없는 하나의 최하부 좌측 중간 행을 도시한다. 물론, 도 1은 좌측 중간 행이 단지 2개 또는 3개의 글자 키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 예에서 좌측 중간 행은 3개보다 많은 글자 키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그 행에 하나 이상의 좌측 글자 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우측 글자 키가 있을 수 있다.
유사하게, 도 1은 일부 실시 예에서 우측 키보드 섹션(10R)이 복수의 우측 중간 행(12R-X)을 갖는 것을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우측 중간 행(12R-X)이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우측 중간 행(12R-X) 각각은 적어도 우측 축(10A-R)의 좌측으로 중심이 오프셋 된 좌측 글자 키 및 우측 축(10A-R)의 우측으로 중심이 오프셋 된 우측 글자 키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우측 중간 행(12R-X) 각각은 또한 우측 축(10A-R)을 중심으로 하는, 예를 들어 우측 상단 행(12R-T) 및/또는 우측 하단 행(12R-B)에서 단일 글자 키와 수평 정렬된, 중심 글자 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은 좌측 글자 키에 대해 좌측에 배치되고 우측 글자 키에 대해 우측에 배치되는 하나의 중심 글자 키를 각각 갖는 3개의 최상부 우측 중간 열과, 하나의 좌측 글자 키와 하나의 우측 글자 키만 있고 중심 글자 키는 없는 하나의 최하부 우측 중간 행을 도시한다. 물론, 도 1은 2개 또는 3개의 글자 키만을 갖는 우측 중간 행을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 예에서 우측 중간 행은 3개 이상의 글자 키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그 행에 하나 이상의 좌측 글자 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우측 글자 키가 있을 수 있다.
특정 수의 중간 행 또는 각 중간 행의 글자 키의 수에 상관없이, 일부 실시 예에서 글자 키(12)는 키보드(10)상의 하나 이상의 글자 키의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행의 글자 키(12)는 좌측 클러스터(16-L)를 형성하고 및/또는 우측 행의 글자 키(12)는 좌측 클러스터(16-L)와 구별되는 우측 클러스터(16-R)를 형성한다. 좌측 클러스터(16-L) 및 우측 클러스터(16-R)는 서로 겹치지 않고 및/또는 하나 이상의 비-글자 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 키(14-3, 14-4, 14-5, 및/또는 14-6)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임의의 주어진 클러스터(16-L 또는 16-R)에서 글자 키(12)는 글자 키(12)가 그 사이에 산재되어있는 다른 유형의 키 없이 연속적으로 함께 공간적으로 그룹화되는 점에서 클러스터링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 예에서, 클러스터의 글자 키(12)는 글자 키의 일부가 키보드의 비-키 부분에 의해 분리되더라도, 예를 들어 도 1의 하단 중간 행이 중심 글자 키가 아닌 "공백" 스페이스를 갖는 경우라도 여전히 클러스터링된 것으로 간주 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글자 키(12)의 클러스터(예를 들어, 클러스터(16-L 또는 16-R))는 둘레에 의해 한정된다. 이 경우, 일부 글자 키(12)(예를 들어, 클러스터의 가장 바깥쪽 부분에 있는 것들)는 클러스터의 둘레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반면, 다른 글자 키(12)는 클러스터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글자 키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클러스터의 내부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클러스터(16-L)의 둘레는 좌측 상단 행(12L-T)의 단일 글자 키, 좌측 하단 행(12L-B)의 단일 글자 키, 및 좌측 중간 행(12L-X)의 각 단부의 글자 키에 의해 형성된다. 대체로, 좌측 중간 행(12L-X)의 각 단부의 글자 키는 (i) 그 행의 모든 다른 글자 키 중에서 좌측 축(10A-L)으로부터 좌측으로 가장 멀리 오프셋 된 글자 키인 가장 바깥쪽 좌측 글자 키; 및 (ii) 그 행의 모든 다른 글자 키 중에서 좌측 축(10A-L)으로부터 우측으로 가장 몰리 오프셋 된 글자 키인 가장 바깥쪽 우측 글자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좌측 클러스터(16-L)의 둘레가, 예를 들어 그 형상의 경계 상에 배치된 클러스터의 둘레를 형성하는 글자 키를 갖는 타원의 형상에 근사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도 1은 우측 클러스터(16-R)의 둘레가 우측 상단 행(12R-T)의 단일 글자 키, 우측 하단 행(12R-B)의 단일 글자 키, 및 우측 중간 행(12R-X)의 각 단부의 글자 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다. 대체로, 우측 중간 행(12R-X)의 각 단부의 글자 키는 (i) 그 행의 모든 다른 글자 키 중에서 우측 축(10A-R)으로부터 좌측으로 가장 멀리 오프셋 된 글자 키인 가장 바깥쪽 좌측 글자 키; 및 (ii) 그 행의 다른 모든 글자 키 중에서 우측의 축(10A-R)으로부터 우측으로 가장 멀리 오프셋 된 글자 키인 가장 바깥쪽 우측 글자 키를 포함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우측 클러스터(16-R)의 둘레가, 예를 들어 그 형상의 경계 상에 배치된 클러스터의 둘레를 형성하는 글자 키를 갖는 타원의 형상을 근사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특히, 일부 실시 예에서, 클러스터의 둘레를 형성하는 글자 키는 표기 체계의 표준화된 순서로 둘레 주위에 배열된다. 표준화된 순서는 관리 또는 표준 설정기구에 의해, 예를 들면 조사 또는 학습 목적을 위해 표기 체계의 글자의 순서로 인식된다는 의미에서 표준화될 수 있다. 이러한 표준화된 순서에 따라 이런 방식으로 글자 키를 배열함으로써, 예를 들어 그 표준화된 순서의 어린이의 인지 학습과 유사하게 하는 것은, 키보드(10)에 타이핑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프로세스를 촉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2a는 설명을 위해 좌측 클러스터(16-L)의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클러스터(16-L)의 글자 키(12)는 클러스터의 둘레를 형성하는 글자 키가 표기 체계의 처음 10개 글자에 대한 키가 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배열되고, 그 표기 체계의 표준화된 순서에 따라 둘레 주위로 시계 방향(clockwise, CW)으로 정렬된다. 그 다음, 이 예에서 좌측 상단 행(12L-T)의 단일 글자 키(START)는 표준화된 순서의 첫 번째 글자의 키이고, 상단 행(12L-T) 바로 아래에 중간 행의 우측 단부에 글자 키는 표준화된 순서의 두 번째 글자의 키이고, 등등이다.
도 2a는 최상부 글자 키로 시작하는 표준화된 순서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둘레에 배열된 글자 키를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 예는 다른 방향 및/또는 시작 위치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는 좌측 클러스터(16-L)의 글자 키(12)가 클러스터의 둘레를 형성하는 글자 키가 표기 체계에서의 처음 10개 글자에 대한 키가 되도록 구성 및/또는 배열되고, 반 시계 방향(counterclockwise, CCW)으로 그 표기 체계의 표준화된 순서에 따라 둘레에 정렬된다. 이 예에서, 상단 행(12L-T) 바로 아래에 중간 행의 좌측 단부에 글자 키(START)는 표준화된 순서의 첫 번째 글자의 키이고, START 키 바로 아래에 글자 키는 표준화된 순서의 두 번째 글자의 키이고, 등등이다.
또한, 도 2a 및 2b는 클러스터의 둘레 주위로 모든 키가 표준화된 순서로 둘레 주위에 배열되는 것을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 예에서는 둘레를 형성하는 글자 키의 상당수만이 표준화된 순서로 둘레 주위에 배열된다. 도 2c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클러스터(16-L)의 글자 키(12)는 클러스터의 둘레를 형성하는 글자 키의 대부분이 표기 체계의 처음 9개 문자에 대한 키가 되도록 구성 및/또는 배열되고, 그 표기 체계의 표준화된 순서에 따라 둘레 주위로 시계 방향(CW)으로 정렬된다. 이 예에서, 상단 행(12L-T) 바로 아래에 중간 행의 우측 단부에 글자 키(START)는 표준화된 순서의 첫 번째 글자의 키이고, START 키 바로 아래에 있는 글자 키는 표준화된 순서의 두 번째 글자의 키이고, 등등이다. 그러나, 이 경우, 좌측 상단 행(12L-T)의 단일 글자 키는 글자 키가 클러스터 둘레에 있더라도 표준화된 순서로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클러스터의 내부에 있는 글자 키는 또한 표준화된 순서로(예를 들어, 한 줄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글자 키는 둘레의 글자 키와 관련하여 순서가 중단된 곳으로부터 표준화된 순서로 계속할 수 있으며, 즉, 둘레를 형성하는 글자 키는 클러스터의 내부에 있는 글자 키보다 먼저 표준화된 순서로 각각 정렬된다. 도 2d는 도 2a에서 둘레 글자 키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화된 순서를 계속하는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좌측 클러스터(16-L)의 내부의 글자 키는 11번째 글자로부터 표준화된 순서에 따라 글자 키가 하향 라인으로 정렬되도록 구성 및/또는 배열된다. 이 예에서, 상단 행(12L-T) 바로 아래에 중간 행의 중심 글자 키는 표준화된 순서에서 11번째 글자에 대한 키이고, 해당 키 바로 아래의 글자 키는 표준화된 순서에서 12번째 글자의 키이며, 그 키 바로 아래의 글자 키는 표준화된 순서에서 13번째 글자의 키이다.
비록 도 2a 내지 2d는 표준화된 순서의 시작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클러스터의 둘레를 형성하는 글자 키는 그 표준화된 순서의 임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하여 표준화된 순서로 정렬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실제로, 이것은 특히 둘레의 클러스터의 양쪽 글자 키가 표준화된 순서로 둘레 주위에 배열되는 실시 예에서 좌측 클러스터(16-L) 및 우측 클러스터(16-R)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경우일 수 있다. 도 3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클러스터(16-L)가 표준화된 순서의 처음 13 글자로 구성되고, 우측 클러스터(16-R)가 유사하지만 표준화된 순서의 다음 13 글자에 대하여 구성되는 이러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의 예를 도시하며, 글자 키(12)는 라틴 알파벳에 기초한 알파벳 표기 체계의 문자를 나타내는 글자 키다. 이 경우, 좌측 클러스터(16-L)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는 a부터 j(라틴 알파벳의 처음 10 글자) 알파벳 순서로 둘레 주위에 배열되고, 좌측 클러스터(16-L)의 내부의 문자 키는 k부터 m(라틴 알파벳의 다음 3 글자)의 알파벳 순서로 하향 라인으로 배열되고, 우측 클러스터(16-R)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는 n부터 w(라틴 알파벳의 다음 10 글자)의 알파벳 순서로 둘레 주위에 배열되고, 우측 클러스터(16-R)의 내부의 문자 키는 x에서 z(라틴 알파벳의 다음 3 글자)의 알파벳 순서로 하향 라인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 예에서, 우측 클러스터(16-R)의 글자 키는 라틴 알파벳의 처음 13 글자에 대한 것인 반면, 좌측 클러스터(16-L)의 글자 키는 라틴 알파벳의 다음 13 글자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라틴 알파벳의 문자(예를 들어, 분음 기호(diacritical marks))를 변형하는 알파벳 표기 체계의 경우, 변형된 문자는 글자 키가 그에 따라 정렬되는 표준화된 순서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예를 들어, 알파벳의 변형되지 않은 문자가 변형되지 않은 문자 자체에 대해서만 표준화된 순서로 배열되는 한, 문자 키는 표준화된 순서로 고려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이중 문자를 사용하는 표기 체계에서, 그 이중 문자는 글자 키가 그에 따라 배열되는 표준화된 순서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예를 들어, 알파벳의 단일 문자가 이중 문자가 아닌 단일 문자 자체에 대해서만 표준화된 순서로 배열되는 한, 문자 키는 표준화된 순서로 고려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일부 알파벳 표기 체계는 모음 및 자음에 대해 별도의 표준화된 순서를 갖는다. 이 경우, 모음에 대한 문자 키가 표준화된 순서로 고려될 수 있으며, 자음에 대한 문자 키는 해당 글자 키가 자음에 대한 표준화된 순서에 있는 경우 표준화된 순서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서, 글자 키가 각각의 열 내에 정확하게 정렬되고 및/또는 각각의 행 내에서 문자 간 간격이 동일하더라도, 이것은 다른 실시 예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도 5a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a에서, 좌측 행은 행(12L-0) 내지 행(12L-5)을 포함한다. 행(12L-2)은 문자 간 간격 면에서 좌측 행 중 가장 넓은 행이다. 구체적으로, 'i'와 'l' 사이의 간격과 'l'과 'c' 사이의 간격은 다른 좌측 행의 글자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되도록, 'i' 키의 'i'는 왼쪽 정렬되고, 'c' 키의 'c'는 오른쪽 정렬된다. 행(12L-1)과 행(12L-3)은 각각 문자 간 간격 면에서 행(12L-2)보다 좁다. 그리고, 행(12L-4)은 문자 간 간격 면에서 행(12L-1) 및 행(12L-3)보다 더 좁다. 구체적으로, 'g'와 'e' 사이의 간격이 행(12L-1) 및 행(12L-3)의 글자 키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되도록, 'g' 키의 'g'는 오른쪽 정렬되고, 'e' 키의 'e'는 왼쪽 정렬된다. 유사하게 우측 행은 행(12R-0) 내지 행(12R-5)을 포함하고, 행(12R-2)은 문자 간 간격 면에서 우측 행 중에서 가장 넓고, 행(12R-4)은 문자 간 간격의 면에서 우측 행 중에서 가장 좁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이한 행들은 행 내의 글자 키가 걸쳐진 거리 면에서 폭이 상이할 수 있다. 도 5b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b에서, 좌측 행은 행(12L-0) 내지 행(12L-5)을 포함한다. 행(12L-2)은 행의 글자 키가 걸쳐진 거리 면에서 좌측 행 중에서 가장 넓다. 구체적으로, 행(12L-2)의 글자 키를 가로지르는 수평 거리는 다른 행의 글자 키를 가로지르는 수평 거리보다 넓다. 행(12L-1) 및 행(12L-3)은 각각 글자 키에 걸쳐진 거리 면에서 행(12L-2)보다 좁다. 그리고, 행(12L-4)은 행(12L-1) 및 행(12L-3)보다 거리가 더 좁다. 우측 행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볼 수 있으며, 행(12R-2)는 글자 키에 걸쳐진 거리 면에서 우측 행 중에서 가장 넓고, 행(12R-4)은 글자 키에 걸쳐진 거리 면에서 우측 행 중에서 가장 좁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문자 간 간격 또는 글자 키가 걸쳐진 거리 면에서 상이한 행들의 글자 키를 구별하는 것은, 유리하게는 클러스터의 둘레의 글자 키의 글자들이 대략 타원형, 다이아몬드 형 또는 다른 기본 형상으로 배열되도록 만들 수 있다. 정신적 인지 발달의 초기 단계에서조차 누구나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키보드(10)상의 이러한 기본 형상을 근사화하는 것은 키보드(10)의 타이핑 방법을 신속하게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의 글자 키가 거기에 표시된 글자를 제외하고는 공통의 유사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다른 실시 예에서는 글자 키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그 위에 표시된 글자와 다른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하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예를 들어, 좌측 상단 행(12L-T), 좌측 하단 행(12L-B), 우측 상단 행(12R-T) 및 우측 하단 행(12R-B)의 단일 글자 키는 좌측 클러스터(16-L)의 내부의 글자 키 및 우측 클러스터(16-R)의 내부의 글자 키와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공통의 시각적 특성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좌측 클러스터(16-L) 및/또는 우측 클러스터(16-R)의 둘레를 형성하는 다른 글자 키 중 일부는 공통의 시각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좌측 클러스터 및 우측 클러스터의 둘레 상에 특정 글자 키가 윤곽을 나타내는 키 경계 및 하부-지향의 드롭 섀도우(drop shadow)의 형태로 공통의 시각적 특성을 갖는 일 예를 도시한다. 이것은 윤곽이 없는 키 경계와 드롭 섀도우가 없는 키보드의 다른 키로부터 이들 글자 키를 구별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글자 키를 시각적으로 구별하는 것은 글자 키의 상이한 그룹이 상이한 각각의 상이한 기본 형상으로 배열되도록 만들 수 있다. 도 7a 내지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형상은 타원형, 정사각형, 삼각형 및 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정신적 인지 발달의 초기 단계에서도 누구나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키보드(10) 상에서 이러한 기본 형상을 근사화하는 것은 키보드(10)의 타이핑 방법을 신속하게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수정 및 변형을 고려하여, 다양한 표기 체계 및 관련 언어에 대해 다양한 키보드가 설명될 것이다. 하나의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된 유사한 참조 번호는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도 8a 및 8b는 영어 표기 체계에 적용 가능한 키보드(10)의 상이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8a는 실질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좌측에 a부터 m의 글자 키 및 우측에 n부터 z의 글자 키를 구비한 키보드(10)에 해당한다. 도 8b는 우측에 a부터 m의 글자 키 및 좌측에 n부터 z의 글자 키가 있는 반전된 버전의 키보드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도 8a 및 8b의 키보드는 각각 도 8a 및 8b의 키보드 사이에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키보드를 전환하는 플립(flip) 키보드 키(19)를 갖는다. 도 8a 및 8b의 모든 키보드는 부가적으로 구두점(예를 들어, 마침표) 키(1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도 8a 및 8b의 키보드 각각은 또한 키를 오래 누른 후 표시된 언어/플래그(flages)를 선택함에 따라 컴퓨팅 장치를 구성하는 상이한 언어 키보드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언어 키(17)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도 8a 및 8b의 키보드는 각각 좌측 키보드 섹션을 우측 키보드 섹션과 시각적으로 분리하거나 구별하는 경계선(15)(예를 들어, 변색된 회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내지 9b는 프랑스어 표기 체계에 적용 가능한 키보드(10)의 상이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9a는 실질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좌측에 a부터 m의 글자 키 및 우측에 n부터 z의 글자 키를 구비한 키보드(10)에 해당한다. 도 9a의 키보드는 도 9a 및 9b의 키보드 사이에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키보드를 전환하기 위한 스왑(swap) 키보드 키(2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 9b의 키보드는 예를 들어, 변형된 문자, 분음 기호 등의 다른 글자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및 10b는 독일어 표기 체계에 적용 가능한 키보드(10)의 상이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0a는 실질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좌측에 a부터 m의 글자 키뿐만 아니라
Figure 112019040271121-pat00001
글자 키 및 우측에 n부터 z의 글자 키뿐만 아니라
Figure 112019040271121-pat00002
글자 키를 구비한 키보드(10)에 해당한다. 도 10b의 키보드는 예를 들어, 변형된 문자, 분음 기호 등의 다른 글자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및 11b는 스페인어 표기 체계에 적용 가능한 키보드(10)의 상이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1a는 실질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좌측에 a부터 m의 글자 키뿐만 아니라
Figure 112019040271121-pat00003
글자 키 및 우측에 n부터 z의 글자 키뿐만 아니라
Figure 112019040271121-pat00004
글자 키를 구비한 키보드(10)에 해당한다. 도 11b의 키보드는 예를 들어, 변형된 문자, 분음 기호 등의 다른 글자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12b는 터키어 표기 체계에 적용 가능한 키보드(10)의 상이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2a는 좌측에 a부터 m의 글자 키, 및 우측에 n부터 z의 글자 키뿐만 아니라
Figure 112019040271121-pat00005
글자 키를 포함한다. 도 12b의 키보드는 예를 들어, 변형된 문자, 분음 기호 등의 다른 글자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베트남어 표기 체계에 적용 가능한 키보드(1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좌측에 a부터 l의 글자 키와 다양한 악센트 표시 키를 포함하고, 우측에 n부터 y의 글자 키와 부가적인 악센트 표시 키를 포함한다.
도 14a 내지 14b는 현대 표준 아랍어 표기 체계에 적용 가능한 키보드(10)의 상이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현대 표준 아랍어는 단원 문자(unicameral letters), 즉, Haskh 스크립트라고 알려진 대문자와 소문자 사이에 정의가 없는 문자를 사용한다.
도 15a 내지 15b는 키릴(Cyrillic) 알파벳를 사용하는 러시아어 표기 체계에 적용 가능한 키보드(10)의 상이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6a 내지 16b는 데번가리(Devangari)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현대 표준 힌디어 표기 체계에 적용 가능한 키보드(10)의 상이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7a 내지 17b는 한글 스크립트로 작성된 한국어 표기 체계에 적용 가능한 키보드(10)의 상이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키보드(10)를 통해 입력된 글자는 적어도 2 또는 3 글자의 음절 또는 형태소 블록, 예를 들어 초성(initial)이라고 불리는 자음 또는 이중 자음, 중성(medial)이라고 불리는 모음 또는 이중모음, 및 선택적으로 종성(final)이라고 불리는 음절 끝의 자음 또는 자음 클러스터로 그룹화될 수 있다. 도 17a 및 17b의 키보드는 각각 입력 글자를 초성(도 17a에서) 또는 종성(도 17b에서)사이에서 전환하는 기능 키(22)와 함께 도시된다. 글자 키가 그에 따라 정렬되는 표준화된 알파벳 순서는 합자(double letters)에 관계 없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실제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키보드는 도 17c에 도시된 합자 키보드로 전환하기 위한 합자 키(24)를 더 포함한다.
도 18a 및 18b는 한유 병음(Hanyu Pinyin) 표기 체계에 적용 가능한 키보드(10)의 상이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한유 병음은 표준 중국어 또는 북경어(Mandarin)에 대한 공식 로마자표기법(Romanizations system)이다. 중국어의 로마자표기법은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여 중국어를 작성하는데, 글리프(glyphs)라고 불리는 음절표어(logsyllabic) 글자를 사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8a는 병음 표기 체계의 문자용 키를 구비한 키보드를 도시한다. 문자가 키보드에 입력될 때, 타이핑된 문자에 적용 가능한 한자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자 키 클러스터 주위에 채워져 클러스터의 둘레를 확장시킨다.
도 18a 내지 18b 중 하나의 병음 키보드를 통하거나 또는 그것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도 18c는 중국어 간체에 적용 가능한 키보드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예를 들어 도 18b의 키보드에 표시된 상이한 한자는 상이한 글자 세트와 관련된다. 도 18b의 키보드의 한자 중 하나가 길게 눌려지면, 컴퓨팅 장치(2)는 길게 눌려진 한자와 연관된 글자 세트로 채워진 도 18c의 키보드로 전환한다.
도 19a 내지 19b는 로마지(Romaji)(헵번식(Hepburn)) 표기 체계에 적용 가능한 키보드(10)의 상이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로마지 체계는 일본어를 라틴 알파벳으로 바꾸어 쓰는 방법이다. 키보드(10)에 의해 입력된 문자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간지(kanji), 히라가나 또는 카타카나로 변환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9a는 라틴 알파벳 문자뿐만 아니라 상이한 글자 그룹을 나타내는 일본어 글자를 도시한다. 일본어 글자를 길게 누르면 추가 선택을 위한, 도 19b의 오버랩 박스(27)가 표시될 것이다. 오버랩 박스(27) 내의 상이한 일본어 글자는 일본어 글자의 상이한 논리 세트와 관련된다. 오버랩 박스(27)의 일본어 글자가 눌려지면, 컴퓨팅 장치(2)는 눌려진 일본어 글자와 연관된 글자 세트로 채워진 도 19c의 키보드로 전환한다.
도 20a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2)상의 세로 방향의 도 8a의 키보드(10)를 도시한다. 글자 키의 좌측 및 우측 클러스터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두 엄지 손가락 타이핑에 사용되는 곳에 근접하여 도시된다. 대조적으로, 도 20b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2)상의 가로 방향의 도 8a의 키보드(10)를 도시한다. 글자 키의 좌측 및 우측 클러스터는 서로 및 키보드(10)의 중심 축으로부터 멀리 분리되어,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가로 방향으로 두 엄지 손가락 타이핑에 사용되는 곳에 근접한다. 도 20c는 태블릿과 같은 더 큰 컴퓨팅 장치에서 두 엄지 손가락 타이핑에 적합한 방식으로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는 키보드(10A)를 도시한다.
도 21a 내지 21d는, 총 54개의 셀의 열(c0 내지 c8) 및 행(r1 내지 r6)을 포함하는 9x6 2-차원 직각 좌표 그리드에 대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키보드(10)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1a는 영어에 따른 알파벳 키보드를 도시한다. 도 21b는 숫자 키보드를 도시한다. 도 21c는 기호 키보드를 도시한다. 도 21d는 이모지 키보드를 도시한다. 따라서, 이들 및 다른 실시 예는 영어 및 다른 언어 알파벳 시스템, 숫자, 구두점, 이모지 및 논리 기호, 및 키보드에 내장된 다른 기능을 식별할 때, 키보드(10)가 9x6 2-차원 직각 좌표 위치 기반 체계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키보드는 좌측-엄지, 우측-엄지 대칭, 기본적인 4개의 기하학적 형상(예를 들어, 타원형, 정사각형, 삼각형 및 선) 내의 키들의 알파벳순 배열을 포함하며, 출생부터 유아기 발달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인지 프로세스에 유사하다. 이들 실시 예는,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는 젊은 인구의 증가에 따라 아이들이 알파벳을 노래하고 다시 보고 4개의 기본적인 기하학적 형상을 시각적으로 식별하는 정신적 인지 발달을 갖는다는 사실을 이용할 수 있다. 실제로, 오늘날 많은 어린이들이 어린 나이에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2살짜리 아이는 순차적으로 알파벳을 부르고 암송하는 법을 배우지만, 큰 어려움 없이 쿼티 디자인 키보드를 알파벳 순서로 동일한 문자를 타이핑할 수는 없다. 쿼티 디자인에 타이핑하는 고유의 어려움은 키보드의 문자의 비대칭 및 비-알파벳 순서 정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인한다. 아이들은 쿼티 키보드를 타이핑하는 공식 또는 비공식적인 학습을 하기 수 년 전에 알파벳을 배울 것이다. 실물 크기의 쿼티 키보드에 10개의 손가락을 모두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한 어린이의 해부학적 손/손가락 공간 범위는 추후 육체적인 발달이 있을 때까지는 불가능하다. 아이가 알파벳을 배우기 전에도, 쿼티 디자인 레이아웃에 없는 4개의 기본적인 기하학적 형상(타원형, 정사각형, 삼각형, 선)을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정신적 인지 발달을 하게 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이들 및 다른 방식으로 쿼티 키보드와 대조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단, 하단, 좌측 및 우측이라는 용어는 컴퓨팅 장치(2)의 상단, 하단, 좌측 및 우측을 반영하거나 관련한 방향 일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상기 수정 및 변형의 관점에서,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키보드(10)는 물리적인 키보드의 형태,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배열되고 글자를 컴퓨팅 장치(2)에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물리적으로 눌려지도록 구성된 물리적 키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키보드(10)는 가상 키보드의 형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상에 상술한 바와 같이 배열되고 문자를 컴퓨팅 장치(2)에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가상적으로 눌려지도록 구성된 가상 키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경우 가상 키보드는 컴퓨팅 장치(2)의 터치 스크린 상에 제공될 수 있어, 가상 키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가상적으로 눌려질 수 있다.
키보드(10)가 물리적 키보드인지 또는 가상 키보드인지에 관계없이, 컴퓨팅 장치(2)는 키보드(10)가 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일부로서 기능하는 임의의 유형의 장치일 수 있다. 키보드(10)는 컴퓨팅 장치(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유선, 무선 또는 네트워크 통신 방식으로 컴퓨팅 장치(2)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가상 키보드의 경우) 컴퓨팅 장치(2)의 하나 이상의 처리 회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컴퓨팅 장치(2)는 모바일 장치로도 지칭되는 무선 장치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무선 장치(WD)는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다른 무선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고, 구성되고, 배열되고 및/또는 동작할 수 있는 장치를 지칭한다. 무선 장치(WD)의 예는 스마트 폰, 모바일 전화, 휴대 전화, 데스크톱 컴퓨터, 음악 저장 장치, 웨어러블 단말 장치, 태블릿, 차량 탑재 무선 단말 장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무선 장치(WD)는 이동형일 수 있고, 이 경우 또한 모바일 장치 또는 모바일 단말기로 지칭될 수 있다.
키보드(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기능적 수단, 모듈, 유닛 또는 회로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예를 들어 키보드(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행하도록 구성된 각각의 회로 또는 회로 소자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회로 또는 회로 소자는 메모리와 함께 특정 기능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전용 회로 및/또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특히 키보드(10)가 컴퓨팅 장치(2)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2)는 임의의 기능적 수단, 모듈, 유닛 또는 회로를 사용하여 키보드(10)를(예를 들어, 가상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행하도록 구성된 각각의 회로 또는 회로 소자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회로 또는 회로 소자는 메모리와 함께 특정 기능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전용 회로 및/또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뿐만 아니라,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특수-목적 디지털 로직 등을 포함하는 다른 디지털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회로는 하나 또는 여러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및/또는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뿐만 아니라, 여러 실시 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 된 하나 이상의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를 사용하는 실시 예에서,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2)가 본 명세서에 설명 된 바와 같이 키보드(10)를 제공하게 만드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다.
도 22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실시 예에 따라 구현된 컴퓨팅 장치(2)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2)는 처리 회로(110)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11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것에 의한 것과 같이, 상술한 키보드(10)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처리 회로(110)는 특정 기능적 수단, 유닛, 또는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2)는,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형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컴퓨팅 장치(2)는 또한 통신 회로(1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20)(예를 들어, 무선 회로)는, 예를 들어 임의의 통신 기술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로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로부터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통신은 컴퓨팅 장치(2)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통해 일어날 수 있다.
도 23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양태에 따른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2300) 형태의 컴퓨팅 장치(2)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2300)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공포된 하나 이상의 통신 표준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장치의 일 예이다.
도 23에서, UE(2300)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2305),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2309),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2311),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2317), 판독 전용 메모리(ROM)(2319), 및 저장 매체(2321) 등을 포함하는 메모리(2315), 통신 서브시스템(2331), 전원(2333), 및/또는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조합이 동작하도록 연결된 처리 회로(2301)을 포함한다. 저장 매체(2321)는 운영체제(2323), 응용 프로그램(2325) 및 데이터(2327)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저장 매체(2321)는 다른 유사한 유형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에서, 처리 회로(2301)는 컴퓨터 명령어 및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회로(2301)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구현 상태 머신(예를 들어, 이산 논리, FPGA, ASIC 등) 과 같이 메모리에 머신 판독가능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저장된 머신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동작하는 임의의 순차적 상태 머신; 적절한 펌웨어와 함께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하나 이상의 저장된 프로그램;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함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와 같은 범용 프로세서; 또는 상기의 임의의 조합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2301)는 2개의 중앙 처리 장치(CPU)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는 컴퓨터에 적합한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2305)는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또는 입력 및 출력 장치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2300)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2305)를 통해 출력 장치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 장치는 입력 장치와 동일한 유형의 인터페이스 포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포트는 UE(2300)에 입력 및 출력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출력 장치는 스피커, 사운드 카드, 비디오 카드, 디스플레이, 모니터, 프린터, 액추에이터, 이미터(emitter), 스마트 카드, 다른 출력 장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UE(2300)는 사용자가 정보를 UE(2300)로 캡처할 수 있게 하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2305)를 통해 입력 장치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터치-감지 또는 존재-감지 디스플레이, 카메라(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웹 카메라 등), 마이크로폰, 센서, 마우스, 트랙볼, 방향 패드, 트랙 패드, 스크롤 휠, 스마트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입력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키보드(10)를 포함한다. 존재-감지 디스플레이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는 용량성 또는 저항성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틸트 센서, 힘 센서, 자력계, 광학 센서, 근접 센서, 다른 유사한 센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가속도계, 자력계, 디지털 카메라, 마이크로폰, 및 광 센서일 수 있다.
도 23에서, RF 인터페이스(2309)는 송신기, 수신기, 및 안테나와 같은 RF 컴포넌트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2311)는 네트워크(2343a)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2343a)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2343a)는 Wi-Fi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2311)는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수신기 및 송신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2311)는 통신 네트워크 링크(예를 들어, 광학적, 전기적 등)에 적합한 수신기 및 송신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RAM(2317)은 버스(2302)를 통해 처리 회로(2301)에 접속하여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및 장치 드라이버와 같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실행 동안 데이터 또는 컴퓨터 명령의 저장 또는 캐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OM(2319)은 컴퓨터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 회로(2301)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OM(2319)은 기본 입력 및 출력(I/O), 스타트업,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키보드로부터 키 스트로크의 수신 등과 같은 기본 시스템 기능을 위한 불변의 저레벨 시스템 코드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매체(2321)는 RAM, 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저장 매체(2321)는 운영체제(2323),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2325), 위젯 또는 가젯 엔진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파일(2327)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매체(2321)는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플래시 메모리, 외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썸 드라이브(thumb drive), 내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다른 메모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등과 같은 다수의 물리적 드라이브 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매체(2321)는 UE(2300)가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인 메모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 응용 프로그램 등에 접근하여, 데이터의 부하를 줄이거나 데이터를 업로드하게 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제조 물품은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2321)에서 유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3에서, 처리 회로(2301)는 통신 서브시스템(2331)을 이용하여 네트워크(2343b)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2343a) 및 네트워크(2343b)는 동일한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통신 서브 시스템(2331)은 네트워크(2343b)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송수신기는 송신기 또는 수신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송신기(2333) 및/또는 수신기(233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서브시스템(2331)의 통신 기능은 데이터 통신 또는 음성 통신을 예로서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343b)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2313)은 UE(2300)의 컴포넌트에 교류(AC) 또는 직류(DC)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당업자는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2)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2)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라 컴퓨팅 장치(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키보드(10)를 제공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수단 또는 유닛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코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은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carrier)를 더 포함한다. 이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무선 신호 또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또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저장 또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팅 장치(2)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2)가 상술된 바와 같이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한다.
실시 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팅 장치(2)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의 실시 예 중 임의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부분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포함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Claims (18)

  1. 컴퓨팅 디바이스(2)에 알파벳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10)로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 축;
    상기 중심 축에 평행한 수직 방향으로 문자 키의 좌측 클러스터를 연장시키기 위하여 각각 단일 문자 키만을 갖는 좌측 상단 행(12L-T) 및 좌측 하단 행(12L-B)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이한 좌측 행의 문자 키로 형성된 문자 키의 좌측 클러스터(16-L)를 포함하는 상기 중심 축의 좌측에 있는 좌측 키보드 섹션(10L)으로서, 상기 좌측 클러스터(16-L)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를 갖는 상기 좌측 클러스터의 둘레는 타원 형상에 근사하고, 상기 문자 키는 상기 알파벳에 따라 알파벳 순서로 상기 타원 형상의 경계 상에 배치되는, 좌측 키보드 섹션(10L); 및
    상기 중심 축에 평행한 수직 방향으로 문자 키의 우측 클러스터를 연장시키기 위하여 각각 단일 문자 키만을 갖는 우측 상단 행(12R-T) 및 우측 하단 행(12R-B)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이한 우측 행의 문자 키로 형성된 문자 키의 우측 클러스터(16-R)를 포함하는 상기 중심 축의 우측에 있는 우측 키보드 섹션(10R)으로서, 상기 우측 클러스터(16-R)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를 갖는 우측 클러스터의 둘레는 타원 형상에 근사하고, 상기 문자 키는 상기 알파벳에 따라 알파벳 순서로 상기 타원 형상의 경계 상에 배치되는, 우측 키보드 섹션(10R)을 포함하는, 키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클러스터(16-L)는, 상기 좌측 클러스터(16-L)의 내부의 문자 키이고 상기 알파벳에 따라 알파벳 순서로 일렬로 배열된 좌측 내부의 알파벳 순서로 정렬된 문자 키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클러스터(16-R)는, 상기 우측 클러스터(16-R)의 내부의 문자 키이고 상기 알파벳에 따라 알파벳 순서로 일렬로 배열된 우측 내부의 알파벳 순서로 정렬된 문자 키를 포함하는, 키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클러스터(16-L)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는 각각 상기 좌측 내부의 알파벳 순서로 정렬된 문자 키 전의 알파벳으로 정렬되고, 상기 좌측 내부의 알파벳 순서로 정렬된 문자 키는 각각 상기 우측 클러스터(16-R)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 전의 알파벳으로 정렬되고, 상기 우측 클러스터(16-R)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는 각각 상기 우측 내부의 알파벳 순서로 정렬된 문자 키 전의 알파벳으로 정렬되거나; 또는
    상기 우측 클러스터(16-R)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는 각각 상기 우측 내부의 알파벳 순서로 정렬된 문자 키 전의 알파벳으로 정렬되고, 상기 우측 내부의 알파벳 순서로 정렬된 문자 키는 각각 상기 좌측 클러스터(16-L)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 전의 알파벳으로 정렬되고, 상기 좌측 클러스터(16-L)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는 각각 상기 좌측 내부의 알파벳 순서로 정렬된 문자 키 전의 알파벳으로 정렬되는, 키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행은,
    상기 좌측 상단 행(12L-T)과 상기 좌측 하단 행(12L-B) 사이에 있고, 2개 이상의 문자 키를 가지며, 좌측 행에서의 문자 키가 걸쳐진 거리 또는 문자 간 간격의 면에서 좌측 행 중에서 가장 넓은 가장 넓은 좌측 행;
    상기 가장 넓은 좌측 행과 상기 좌측 상단 행(12L-T) 사이에 있고, 2개 이상의 문자 키를 가지며, 좌측 행의 문자 키가 걸쳐진 거리 또는 문자 간 간격의 면에서 상기 가장 넓은 좌측 행보다 좁은 상부 중간 좌측 행; 및
    상기 가장 넓은 좌측 행과 상기 좌측 하단 행(12L-B) 사이에 있고, 2개 이상의 문자 키를 가지며, 좌측 행의 문자 키가 걸쳐진 거리 또는 문자 간 간격의 면에서 상기 가장 넓은 좌측 행보다 좁은 하부 중간 좌측 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 행은,
    상기 우측 상단 행(12R-T)과 상기 우측 하단 행(12R-B) 사이에 있고, 2개 이상의 문자 키를 가지며, 우측 행에서의 문자 키가 걸쳐진 거리 또는 문자 간 간격의 면에서 우측 행 중에서 가장 넓은 가장 넓은 우측 행;
    상기 가장 넓은 우측 행과 상기 우측 상단 행(12R-T) 사이에 있고, 2개 이상의 문자 키를 가지며, 우측 행에서의 문자 키가 걸쳐진 거리 또는 문자 간 간격의 면에서 상기 가장 넓은 우측 행보다 좁은 상부 중간 우측 행; 및
    상기 가장 넓은 우측 행과 상기 우측 하단 행(12R-B) 사이에 있고, 2개 이상의 문자 키를 가지며, 우측 행에서의 문자 키가 걸쳐진 거리 또는 문자 간 간격의 면에서 상기 가장 넓은 우측 행보다 좁은 하부 중간 우측 행;을 더 포함하는, 키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행은, 상기 하부 중간 좌측 행과 상기 좌측 하단 행(12L-B) 사이에 있고, 2개 이상의 문자 키를 가지며, 좌측 행에서의 문자 키가 걸쳐진 거리 또는 문자 간 간격의 면에서 상기 하부 중간 좌측 행보다 좁은 추가 하부 중간 좌측 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 행은, 상기 하부 중간 우측 행과 상기 우측 하단 행(12R-B) 사이에 있고, 2개 이상의 문자 키를 가지며, 우측 행에서의 문자 키가 걸쳐진 거리 또는 문자 간 간격의 면에서 상기 하부 중간 우측 행보다 좁은 추가 하부 중간 우측 행을 더 포함하는, 키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상단 행(12L-T)과 상기 좌측 하단 행(12L-B) 각각의 단일 문자 키는, 상기 좌측 상단 행(12L-T)과 상기 좌측 하단 행(12L-B) 사이에서 연장되는 좌측 축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우측 상단 행(12R-T)과 상기 우측 하단 행(12R-B) 각각의 단일 문자 키는, 상기 우측 상단 행(12R-T)과 상기 우측 하단 행(12R-B) 사이에서 연장되는 우측 축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좌측 상단 행(12L-T)과 상기 좌측 하단 행(12L-B) 사이의 좌측 중간 행 각각은 적어도 가장 바깥쪽 좌측 문자 키 및 가장 바깥쪽 우측 문자 키를 포함하고, 상기 가장 바깥쪽 좌측 문자 키는 상기 좌측 중간 행의 모든 문자 키 중에서 상기 좌측 축으로부터 좌측으로 가장 멀리 오프셋되고, 상기 가장 바깥쪽 우측 문자 키는 상기 좌측 중간 행의 모든 문자 키 중에서 상기 좌측 축으로부터 우측으로 가장 멀리 오프셋되고;
    상기 좌측 클러스터(16-L)의 둘레는 상기 좌측 상단 행(12L-T)의 단일 문자 키, 상기 좌측 하단 행(12L-B)의 단일 문자 키, 및 좌측 중간 행 각각의 가장 바깥쪽 좌측 문자 키 및 가장 바깥쪽 우측 문자 키로 형성되고;
    상기 우측 상단 행(12R-T)과 상기 우측 하단 행(12R-B) 사이의 우측 중간 행 각각은 적어도 가장 바깥쪽 좌측 문자 키 및 가장 바깥쪽 우측 문자 키를 포함하고, 상기 가장 바깥쪽 좌측 문자 키는 상기 우측 중간 행의 모든 문자 키 중에서 상기 우측 축으로부터 좌측으로 가장 멀리 오프셋되고, 상기 가장 바깥쪽 우측 문자 키는 상기 우측 중간 행의 모든 문자 키 중에서 상기 우측 축으로부터 우측으로 가장 멀리 오프셋되고;
    상기 우측 클러스터(16-R)의 둘레는 상기 우측 상단 행(12R-T)의 단일 문자 키, 상기 우측 하단 행(12R-B)의 단일 문자 키, 및 우측 중간 행 각각의 가장 바깥쪽 좌측 문자 키 및 가장 바깥쪽 우측 문자 키로 형성되는, 키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행은 상기 좌측 상단 행(12L-T), 상기 좌측 하단 행(12L-B), 및 상기 좌측 상단 행(12L-T) 및 상기 좌측 하단 행(12L-B) 사이에 4개의 좌측 중간 행을 포함하고,
    상기 4개의 좌측 중간 행 중 적어도 3개는 3개 이상의 문자 키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행은 상기 우측 상단 행(12R-T), 상기 우측 하단 행(12R-B), 및 상기 우측 상단 행(12R-T) 및 상기 우측 하단 행(12R-B) 사이에 4개의 우측 중간 행을 포함하고,
    상기 4개의 우측 중간 행 중 적어도 3개는 3개 이상의 문자 키를 포함하는, 키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상단 행(12L-T), 상기 좌측 하단 행(12L-B), 상기 우측 상단 행(12R-T), 및 상기 우측 하단 행(12R-B)의 단일 문자 키는, 상기 좌측 클러스터(16-L)의 내부의 문자 키와 상기 우측 클러스터(16-R)의 내부의 문자 키로부터 상기 단일 문자 키를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공통의 시각적 특성을 갖고,
    상기 좌측 클러스터(16-L)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공통의 시각적 특성을 가지며,
    상기 우측 클러스터(16-R)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공통의 시각적 특성을 가지는, 키보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상단 행(12L-T)의 단일 문자 키는 'a' 키이고;
    상기 좌측 행은,
    상기 좌측 상단 행(12L-T) 아래에 있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j' 키, 'k' 키 및 'b' 키를 포함하는 제2 좌측 행;
    상기 제2 좌측 행 아래에 있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i' 키, 'l' 키 및 'c' 키를 포함하는 제3 좌측 행;
    상기 제3 좌측 행 아래에 있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h' 키, 'm' 키 및 'd' 키를 포함하는 제4 좌측 행;
    상기 제4 좌측 행 아래에 있고, 상기 좌측 하단 행(12L-B)의 위쪽에 있으며, 좌측에서 우측으로 'g' 키와 'e' 키를 포함하는 제5 좌측 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하단 행(12L-B)의 단일 문자 키는 'f' 키이고;
    상기 우측 상단 행(12R-T)의 단일 문자 키는 'n' 키이고;
    상기 우측 행은,
    상기 우측 상단 행(12R-T) 아래에 있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w' 키, 'x' 키 및 'o' 키를 포함하는 제2 우측 행;
    상기 제2 우측 행 아래에 있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v' 키, 'y' 키 및 'p' 키를 포함하는 제3 우측 행;
    상기 제3 우측 행 아래에 있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u' 키, 'z' 키 및 'q' 키를 포함하는 제4 우측 행;
    상기 제4 우측 행 아래에 있고, 상기 우측 하단 행(12R-B)의 위쪽에 있으며, 좌측에서 우측으로 't' 키 및 'r' 키를 포함하는 제5 우측 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 하단 행(12R-B)의 단일 문자 키는 's' 키인, 키보드.
  10.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팅 장치(2)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장치(2)가 컴퓨팅 장치(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가상 키보드(10)를 제공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가상 키보드(10)의 좌측 키보드 섹션(10L)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로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 축;
    상기 중심 축의 좌측에 있는 상기 좌측 키보드 섹션(10L)은 상기 중심 축에 평행한 수직 방향으로 문자 키의 좌측 클러스터를 연장시키기 위하여 각각 단일 문자 키만을 갖는 좌측 상단 행(12L-T) 및 좌측 하단 행(12L-B)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이한 좌측 행의 문자 키로 형성된 문자 키의 좌측 클러스터(16-L)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클러스터(16-L)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를 갖는 좌측 클러스터의 둘레는 타원 형상에 근사하고, 상기 문자 키는 알파벳에 따라 알파벳 순서로 상기 타원 형상의 경계 상에 배치되는,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가상 키보드(10)의 우측 키보드 섹션(10R)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로서, 상기 중심 축의 우측에 있는 상기 우측 키보드 섹션(10R)은 상기 중심 축에 평행한 수직 방향으로 문자 키의 우측 클러스터를 연장시키기 위하여 각각 단일 문자 키만을 갖는 우측 상단 행(12R-T) 및 우측 하단 행(12R-B)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이한 우측 행의 문자 키로 형성된 문자 키의 우측 클러스터(16-R)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클러스터(16-R)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를 갖는 우측 클러스터의 둘레는 타원 형상에 근사하고, 상기 문자 키는 상기 알파벳에 따라 알파벳 순서로 상기 타원 형상의 경계 상에 배치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클러스터(16-L)는, 상기 좌측 클러스터(16-L)의 내부의 문자 키이고 상기 알파벳에 따라 알파벳 순서로 일렬로 배열된 좌측 내부의 알파벳 순서로 정렬된 문자 키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클러스터(16-R)는, 상기 우측 클러스터(16-R)의 내부의 문자 키이고 상기 알파벳에 따라 알파벳 순서로 일렬로 배열된 우측 내부의 알파벳 순서로 정렬된 문자 키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클러스터(16-L)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는 각각 상기 좌측 내부의 알파벳 순서로 정렬된 문자 키 전의 알파벳으로 정렬되고, 상기 좌측 내부의 알파벳 순서로 정렬된 문자 키는 각각 상기 우측 클러스터(16-R)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 전의 알파벳으로 정렬되고, 상기 우측 클러스터(16-R)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는 각각 상기 우측 내부의 알파벳 순서로 정렬된 문자 키 전의 알파벳으로 정렬되거나; 또는
    상기 우측 클러스터(16-R)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는 각각 상기 우측 내부의 알파벳 순서로 정렬된 문자 키 전의 알파벳으로 정렬되고, 상기 우측 내부의 알파벳 순서로 정렬된 문자 키는 각각 상기 좌측 클러스터(16-L)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 전의 알파벳으로 정렬되고, 상기 좌측 클러스터(16-L)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는 각각 상기 좌측 내부의 알파벳 순서로 정렬된 문자 키 전의 알파벳으로 정렬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행은,
    상기 좌측 상단 행(12L-T)과 상기 좌측 하단 행(12L-B) 사이에 있고, 2개 이상의 문자 키를 가지며, 좌측 행에서의 문자 키가 걸쳐진 거리 또는 문자 간 간격의 면에서 좌측 행 중에서 가장 넓은 가장 넓은 좌측 행;
    상기 가장 넓은 좌측 행과 상기 좌측 상단 행(12L-T) 사이에 있고, 2개 이상의 문자 키를 가지며, 좌측 행의 문자 키가 걸쳐진 거리 또는 문자 간 간격의 면에서 상기 가장 넓은 좌측 행보다 좁은 상부 중간 좌측 행; 및
    상기 가장 넓은 좌측 행과 상기 좌측 하단 행(12L-B) 사이에 있고, 2개 이상의 문자 키를 가지며, 좌측 행의 문자 키가 걸쳐진 거리 또는 문자 간 간격의 면에서 상기 가장 넓은 좌측 행보다 좁은 하부 중간 좌측 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 행은,
    상기 우측 상단 행(12R-T)과 상기 우측 하단 행(12R-B) 사이에 있고, 2개 이상의 문자 키를 가지며, 우측 행에서의 문자 키가 걸쳐진 거리 또는 문자 간 간격의 면에서 우측 행 중에서 가장 넓은 가장 넓은 우측 행;
    상기 가장 넓은 우측 행과 상기 우측 상단 행(12R-T) 사이에 있고, 2개 이상의 문자 키를 가지며, 우측 행에서의 문자 키가 걸쳐진 거리 또는 문자 간 간격의 면에서 상기 가장 넓은 우측 행보다 좁은 상부 중간 우측 행; 및
    상기 가장 넓은 우측 행과 상기 우측 하단 행(12R-B) 사이에 있고, 2개 이상의 문자 키를 가지며, 우측 행에서의 문자 키가 걸쳐진 거리 또는 문자 간 간격의 면에서 상기 가장 넓은 우측 행보다 좁은 하부 중간 우측 행;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행은, 상기 하부 중간 좌측 행과 상기 좌측 하단 행(12L-B) 사이에 있고, 2개 이상의 문자 키를 가지며, 좌측 행에서의 문자 키가 걸쳐진 거리 또는 문자 간 간격의 면에서 상기 하부 중간 좌측 행보다 좁은 추가 하부 중간 좌측 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 행은, 상기 하부 중간 우측 행과 상기 우측 하단 행(12R-B) 사이에 있고, 2개 이상의 문자 키를 가지며, 우측 행에서의 문자 키가 걸쳐진 거리 또는 문자 간 간격의 면에서 상기 하부 중간 우측 행보다 좁은 추가 하부 중간 우측 행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상단 행(12L-T)과 상기 좌측 하단 행(12L-B) 각각의 단일 문자 키는, 상기 좌측 상단 행(12L-T)과 상기 좌측 하단 행(12L-B) 사이에서 연장되는 좌측 축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우측 상단 행(12R-T)과 상기 우측 하단 행(12R-B) 각각의 단일 문자 키는, 상기 우측 상단 행(12R-T)과 상기 우측 하단 행(12R-B) 사이에서 연장되는 우측 축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좌측 상단 행(12L-T)과 상기 좌측 하단 행(12L-B) 사이의 좌측 중간 행 각각은 적어도 가장 바깥쪽 좌측 문자 키 및 가장 바깥쪽 우측 문자 키를 포함하고, 상기 가장 바깥쪽 좌측 문자 키는 상기 좌측 중간 행의 모든 문자 키 중에서 상기 좌측 축으로부터 좌측으로 가장 멀리 오프셋되고, 상기 가장 바깥쪽 우측 문자 키는 상기 좌측 중간 행의 모든 문자 키 중에서 상기 좌측 축으로부터 우측으로 가장 멀리 오프셋되고;
    상기 좌측 클러스터(16-L)의 둘레는 상기 좌측 상단 행(12L-T)의 단일 문자 키, 상기 좌측 하단 행(12L-B)의 단일 문자 키, 및 좌측 중간 행 각각의 가장 바깥쪽 좌측 문자 키 및 가장 바깥쪽 우측 문자 키로 형성되고;
    상기 우측 상단 행(12R-T)과 상기 우측 하단 행(12R-B) 사이의 우측 중간 행 각각은 적어도 가장 바깥쪽 좌측 문자 키 및 가장 바깥쪽 우측 문자 키를 포함하고, 상기 가장 바깥쪽 좌측 문자 키는 상기 우측 중간 행의 모든 문자 키 중에서 상기 우측 축으로부터 좌측으로 가장 멀리 오프셋되고, 상기 가장 바깥쪽 우측 문자 키는 상기 우측 중간 행의 모든 문자 키 중에서 상기 우측 축으로부터 우측으로 가장 멀리 오프셋되고;
    상기 우측 클러스터(16-R)의 둘레는 상기 우측 상단 행(12R-T)의 단일 문자 키, 상기 우측 하단 행(12R-B)의 단일 문자 키, 및 우측 중간 행 각각의 가장 바깥쪽 좌측 문자 키 및 가장 바깥쪽 우측 문자 키로 형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행은 상기 좌측 상단 행(12L-T), 상기 좌측 하단 행(12L-B), 및 상기 좌측 상단 행(12L-T) 및 상기 좌측 하단 행(12L-B) 사이에 4개의 좌측 중간 행을 포함하고,
    상기 4개의 좌측 중간 행 중 적어도 3개는 3개 이상의 문자 키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행은 상기 우측 상단 행(12R-T), 상기 우측 하단 행(12R-B), 및 상기 우측 상단 행(12R-T) 및 상기 우측 하단 행(12R-B) 사이에 4개의 우측 중간 행을 포함하고,
    상기 4개의 우측 중간 행 중 적어도 3개는 3개 이상의 문자 키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상단 행(12L-T), 상기 좌측 하단 행(12L-B), 상기 우측 상단 행(12R-T), 및 상기 우측 하단 행(12R-B)의 단일 문자 키는, 상기 좌측 클러스터(16-L)의 내부의 문자 키와 상기 우측 클러스터(16-R)의 내부의 문자 키로부터 상기 단일 문자 키를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공통의 시각적 특성을 갖고,
    상기 좌측 클러스터(16-L)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공통의 시각적 특성을 가지며,
    상기 우측 클러스터(16-R)의 둘레를 형성하는 문자 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공통의 시각적 특성을 가지는, 컴퓨터 프로그램.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상단 행(12L-T)의 단일 문자 키는 'a' 키이고;
    상기 좌측 행은,
    상기 좌측 상단 행(12L-T) 아래에 있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j' 키, 'k' 키 및 'b' 키를 포함하는 제2 좌측 행;
    상기 제2 좌측 행 아래에 있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i' 키, 'l' 키 및 'c' 키를 포함하는 제3 좌측 행;
    상기 제3 좌측 행 아래에 있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h' 키, 'm' 키 및 'd' 키를 포함하는 제4 좌측 행;
    상기 제4 좌측 행 아래에 있고, 상기 좌측 하단 행(12L-B)의 위쪽에 있으며, 좌측에서 우측으로 'g' 키와 'e' 키를 포함하는 제5 좌측 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하단 행(12L-B)의 단일 문자 키는 'f' 키이고;
    상기 우측 상단 행(12R-T)의 단일 문자 키는 'n' 키이고;
    상기 우측 행은,
    상기 우측 상단 행(12R-T) 아래에 있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w' 키, 'x' 키 및 'o' 키를 포함하는 제2 우측 행;
    상기 제2 우측 행 아래에 있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v' 키, 'y' 키 및 'p' 키를 포함하는 제3 우측 행;
    상기 제3 우측 행 아래에 있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u' 키, 'z' 키 및 'q' 키를 포함하는 제4 우측 행;
    상기 제4 우측 행 아래에 있고, 상기 우측 하단 행(12R-B)의 위쪽에 있으며, 좌측에서 우측으로 't' 키 및 'r' 키를 포함하는 제5 우측 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 하단 행(12R-B)의 단일 문자 키는 's' 키인,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27662A 2018-03-11 2019-03-11 비-쿼티 키보드 KR102219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41381P 2018-03-11 2018-03-11
US62/641,381 2018-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272A KR20190107272A (ko) 2019-09-19
KR102219280B1 true KR102219280B1 (ko) 2021-02-24

Family

ID=67843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662A KR102219280B1 (ko) 2018-03-11 2019-03-11 비-쿼티 키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76833B2 (ko)
KR (1) KR10221928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9216A (en) 1973-09-04 1975-12-30 Harvey Einbinder Input keyboards
US6657560B1 (en) 2001-10-19 2003-12-02 Richard Jung Rounded keypad
US8459885B2 (en) 2005-10-15 2013-06-11 Byung Kon Min Clock face keyboard
KR101387510B1 (ko) * 2007-10-02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319669B2 (en) * 2009-04-22 2012-11-27 Jeffrey C Weller Text entry device with radial keypad layout
KR20110129090A (ko) 2010-05-25 2011-12-01 장경호 휴대용 전자기기용 가상 키보드 제공 시스템
US8587547B2 (en) 2010-11-05 2013-11-1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soft keyboards
US20130057475A1 (en) 2011-09-01 2013-03-07 Microsoft Corporation Split keyboard for thumb typing
KR101433519B1 (ko) 2012-08-21 2014-09-23 김승연 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 및 방법
KR102090516B1 (ko) 2013-01-24 2020-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45908A (ko) * 2013-06-16 2014-12-24 박창섭 소형 전자 기기에서 오타 방지를 위한 글자판(키보드)
US11635890B2 (en) * 2017-12-19 2023-04-25 Gail Elizabeth Davis Keyboard having improved alphabet key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272A (ko) 2019-09-19
US10976833B2 (en) 2021-04-13
US20190278382A1 (en)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34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xt entry
US8560974B1 (en) Input method application for a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US9304683B2 (en) Arced or slanted soft input panels
US20160110101A1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US20120326988A1 (en) Multilingual key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302498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Keyboard
US9164592B2 (en) Keypad
JP2005535975A (ja) 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を利用した文字入力方法
KR20080071473A (ko) 단말기의 터치키보드를 통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N104808807A (zh) 用于汉字拼音输入的方法和装置
US20150193011A1 (en) Determining Input Associated With One-to-Many Key Mappings
WO2017181356A1 (en) Assigning textures to graphical keyboards based on thematic textures of applications
US20110063225A1 (en) User Interfac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9262075B1 (en) Thumb typing keyboard
KR102219280B1 (ko) 비-쿼티 키보드
KR101248752B1 (ko) 터치스크린의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KR20110082956A (ko) 터치스크린의 한글 입력 방법
US9563282B2 (en) Brahmi phonemics based keyboard for providing textual inputs in indian languages
US2016010355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2003705A (ja) 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装置
US20240061517A1 (en) Vision-impaired user typing mode for computing systems
US11526215B2 (en) Reducing keystrokes required for inputting characters of Indic languages
WO2022049422A1 (en) Keyboard for typing characters in brahmic script
US20200150779A1 (en) Keyboard
KR102098683B1 (ko) 터치 키패드 및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