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241B1 -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nhanced water permeability - Google Patents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nhanced water perme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241B1
KR102218241B1 KR1020190024304A KR20190024304A KR102218241B1 KR 102218241 B1 KR102218241 B1 KR 102218241B1 KR 1020190024304 A KR1020190024304 A KR 1020190024304A KR 20190024304 A KR20190024304 A KR 20190024304A KR 102218241 B1 KR102218241 B1 KR 102218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s
main body
groove portion
groove
block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3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05603A (en
Inventor
최현석
김천수
박주헌
Original Assignee
최현석
김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석, 김천수 filed Critical 최현석
Priority to KR1020190024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241B1/en
Publication of KR20200105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6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2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보도블록의 측면과 하면에 모래 등의 이물질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블록 구조물은 6면체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4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홈부, 상기 본체의 4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돌출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면 홈부와 연결되는 하부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홈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의 좌측 부분에 형성되는 제 1 측면 홈부 및 상기 본체의 측면의 우측 부분에 형성되는 제 2 측면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xcellent water permeability.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xcellent water permeability by forming a space that can be filled with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on the side and the bottom of the sidewalk block.
The floor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xahedral body, each formed on four sides of the body, a side groov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each formed on four sides of the body,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ide protrusion and a lower groov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connected to at least one side groove, and the side groove portion includes a first side groove formed at a left portion of a side surface of the body and a side surface of the body It may include a second side groove formed in the right portion.

Description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NHANCED WATER PERMEABILITY}Floor block structure with excellent water permeability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NHANCED WATER PERMEABILITY}

본 발명은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보도블록의 측면과 하면에 모래 등의 이물질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xcellent water permeability.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xcellent water permeability by forming a space in which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can be filled on the side and the bottom of the sidewalk block.

최근 들어, 도로 개발 및 이와 관련된 각종 조경 공사를 함에 있어서, 빗물을 자연으로 환원시켜 친환경적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투수성을 갖는 각종 도로 포장 재료가 등장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road development and various landscaping works related thereto, various road pavement materials having permeability have appeared as one method for preserving an eco-friendly ecosystem by reducing rainwater to nature.

그 중에서도 특히 자연 경관을 중시할 목적으로서, 주변 식생 환경까지 아름답게 조성할 수 있는 바닥 블록 구조물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Among them, the need for a floor block structure capable of beautifully creating the surrounding vegetation environment is emerging for the purpose of placing importance on the natural landscape.

종래의 보도, 자전거 도로 및 공원 산책로 등의 포장에 사용하는 바닥 구조물들은 빗물 등을 충분히 투과시키지 못하여, 빗물 등의 수자원을 충분히 활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floor structures used for pavements such as sidewalks, bicycle paths, and park trails do not sufficiently penetrate rainwater, and thus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utilize water resources such as rainwate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5754호[문헌 1]에서는 보차도용 블록(1)의 측면에 홈(2)을 형성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As a prior art for solving this problem,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45754 [Document 1] discloses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forming a groove 2 on the side of the block 1 for a sidewalk.

이러한 문헌 1에 따른 보차도용 블록(1)은 모래 등의 이물질에 의해 홈(2)이 막히고, 이로 인해 빗물 등을 충분히 투과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block 1 for pedestrian crossing according to the document 1 has a problem in that the groove 2 is clogged by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rainwater or the like cannot sufficiently penetrate.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1399호[문헌 2]에서는 투수용 보도블록(100)의 측면에 돌출면(120)과 간격유지대(130)를 형성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As another prior art,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1399 [Document 2] discloses a technical configuration of forming a protruding surface 120 and a spacing support 130 on the side of the permeable sidewalk block 100. .

이러한 문헌 2에서는 투수용 보도블록(100)들의 사이에 마련된 공간으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다.In this document 2, rainwater may flow into the space provided between the permeable sidewalk blocks 100.

그러나 문헌 2에서는 충분한 빗물의 투과를 위해서는 투수용 보도블록(100)들의 사이 간격이 과도하게 커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디자인의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으며, 안정성의 측면에서도 불리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Document 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water permeable sidewalk blocks 100 may be excessively large for sufficient penetration of rainwater, which may be disadvantageous in terms of design, and may be disadvantageous in terms of stability.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5754호[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45754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1399호[Document 2]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1399

본 발명은 본체의 측면 및 하면에 각각 모래 등의 이물질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xcellent water permeability in which a space in which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can be filled is provided on the sid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은 6면체 형태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4개의 측면(SP1, SP2, SP3, SP4)에 각각 형성되며,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측면 홈부(Side Hollow Part,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상기 본체(10)의 4개의 측면(SP1, SP2, SP3, SP4)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돌출부(Side Protruding Part, 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 및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면 홈부(100)와 연결되는 하부 홈부(Bottom Hollow Part, 200, 200a, 200b, 200c, 200d)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는 상기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좌측 부분에 형성되는 제 1 측면 홈부(First Side Hollow Part, 100a, 100c, 100e, 100g) 및 상기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우측 부분에 형성되는 제 2 측면 홈부(Second Side Hollow Part, 100b, 100d, 100f, 100h)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와 상기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좌측 끝단 사이의 간격(d1) 및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와 상기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우측 끝단 사이의 간격(d1)은 상기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와 상기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 사이의 간격(d3)보다 작은 것이 가능하다.The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xcellent water perme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a hexahedral body 10, four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of the body 10, respectively, and a vertic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 To the side grooves (Side Hollow Part,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on the four sides (SP1, SP2, SP3, SP4) of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Is formed, the side protruding part (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ormed under the body 10, at least one of the Includes a bottom hollow part (Bottom Hollow Part, 200, 200a, 200b, 200c, 200d) connected to the side groove 100, and the 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 Is a First Side Hollow Part (100a, 100c, 100e, 100g)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10 Including a second side groove (Second Side Hollow Part, 100b, 100d, 100f, 100h) formed in the right portion of the (SP1, SP2, SP3, SP4), the first side groove (100a, 100c, 100e, 100g) ) And the distance d1 between the left end of the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econd side grooves 100b, 100d, 100f, 100h) and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 The distance d1 between the right end of the SP1, SP2, SP3, SP4) is the first side groove 100a, 100c, 100e, 100g and the second side groove 100b, 100d, 100f, 10 It is possible to be smaller than the interval d3 between 0h).

또한,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의 최대 깊이(h1, h1a, h1b)는 상기 측면 돌출부(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의 최대 높이(h2)보다 클 수 있다.In addition, the maximum depth (h1, h1a, h1b) of the 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is the side protrusions 300, 300a, 300b, 300c, 300d, 300e, It may be larger than the maximum height h2 of 300f, 300g, 300h).

또한, 상기 본체(10)의 하면(BS) 측에서 상기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의 깊이(h1b)는 상기 본체(10)의 상면(US) 측에서 상기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의 깊이(h1a)보다 크고, 상기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와 상기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좌측 끝단 사이의 간격(d1) 및 상기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와 상기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우측 끝단 사이의 간격(d1)은 상기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의 폭(d2, d2a, d2b) 및 상기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의 폭(d2, d2a, d2b)보다 작고, 상기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와 상기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좌측 끝단 사이의 간격(d1) 및 상기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와 상기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우측 끝단 사이의 간격(d1)은 상기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의 깊이(h1, h1a, h1b) 및 상기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의 깊이(h1, h1a, h1b)보다 클 수 있다.In addition, the depth h1b of the 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from the lower surface BS side of the main body 10 i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US) is greater than the depth h1a of the 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and the first side grooves 100a, 100c, 100e, 100g and the The spacing d1 between the left ends of the side surfaces SP1, SP2, SP3, and SP4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econd side grooves 100b, 100d, 100f, 100h and the side surfaces SP1, The distance d1 between the right ends of the SP2, SP3, and SP4 is the width d2, d2a, d2b of the first side groove 100a, 100c, 100e, 100g, and the second side groove 100b, 100d, It is smaller than the widths d2, d2a, d2b) of 100f, 100h, and the left end of the first side grooves 100a, 100c, 100e, 100g and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of the body 10 The distance d1 between the second side grooves 100b, 100d, 100f, 100h and the right end of the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of the main body 10 (d1) is the first The depths h1, h1a, h1b of the first side grooves 100a, 100c, 100e, 100g and the depths h1, h1a, h1b of the second side grooves 100b, 100d, 100f, 100h may be greater.

또한, 상기 본체(10)는 상면(Upper Surface, US), 상기 상면(US)에 대응되는 하면(Bottom Surface, BS), 상기 상면(US)과 상기 하면(BS)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측면(First Side Surface, SP1), 상기 상면(US)과 상기 하면(BS)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측면(SP1)에 인접하는 제 2 측면(Second Side Surface, SP2), 상기 상면(US)과 상기 하면(BS)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측면(SP2)에 인접하는 제 3 측면(Third Side Surface, SP3) 및 상기 상면(US)과 상기 하면(BS)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측면(SP1) 및 상기 제 3 측면(SP3)에 인접하는 제 4 측면(Fourth Side Surface, SP4)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 및 상기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는 상기 제 1, 2, 3, 4 측면(SP1, SP2, SP3, SP4)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면(SP1)과 상기 제 4 측면(SP4) 사이의 경계부분과 상기 제 1 측면(SP1)에 형성된 상기 측면 돌출부(300a) 사이의 간격(d4)은 상기 제 3 측면(SP3)과 상기 제 4 측면(SP4) 사이의 경계부분과 상기 제 3 측면(SP3)에 형성된 상기 측면 돌출부(300f) 사이의 간격(d5)과 서로 다를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 has an upper surface (US), a bottom surface (B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US), a first loc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US) and the lower surface (BS). The first side surface (SP1), loc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US) and the lower surface (BS), the second side surface (Second Side Surface, SP2) adjacent to the first side surface (SP1), the upper surface (US) ) And the lower surface (BS), the third side surface (SP3) adjacent to the second side surface (SP2) and the upper surface (US) and the lower surface (BS), the A first side surface (SP1) and a fourth side surface (SP4) adjacent to the third side surface (SP3), the first side grooves (100a, 100c, 100e, 100g) and the second side The grooves 100b, 100d, 100f, and 100h are formed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ide surfaces (SP1, SP2, SP3, and SP4), respectively, and the first side surface (SP1) and the fourth side surface (SP4) The distance d4 between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boundary portion and the side protrusion portion 300a formed on the first side surface SP1 is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third side surface SP3 and the fourth side surface SP4 and the third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distance d5 between the side protrusions 300f formed on the side surface SP3.

또한, 상기 하부 홈부(200, 200a, 200b, 200c, 200d)는 상기 제 1 측면(SP1)과 상기 제 4 측면(SP4) 사이 경계부분에 대응되는 제 1 하부 홈부(First Bottom Hollow Part, 200a), 상기 제 2 측면(SP2)과 상기 제 1 측면(SP1) 사이 경계부분에 대응되는 제 2 하부 홈부(Second Bottom Hollow Part, 200b), 상기 제 3 측면(SP3)과 상기 제 2 측면(SP2) 사이 경계부분에 대응되는 제 3 하부 홈부(Third Bottom Hollow Part, 200c) 및 상기 제 4 측면(SP4)과 상기 제 3 측면(SP3) 사이 경계부분에 대응되는 제 4 하부 홈부(Fourth Bottom Hollow Part, 200d)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부 홈부(200a)는 상기 제 1 측면(SP1)에 형성되는 제 1 측면 홈부(100a)와 상기 제 4 측면(SP4)에 형성되는 제 2 측면 홈부(100h)와 공통 연결되고, 상기 제 2 하부 홈부(200b)는 상기 제 2 측면(SP2)에 형성되는 제 1 측면 홈부(100c)와 상기 제 1 측면(SP1)에 형성되는 제 2 측면 홈부(100b)와 공통 연결되고, 상기 제 3 하부 홈부(200c)는 상기 제 3 측면(SP3)에 형성되는 제 1 측면 홈부(100e)와 상기 제 2 측면(SP2)에 형성되는 제 2 측면 홈부(100d)와 공통 연결되고, 상기 제 4 하부 홈부(200d)는 상기 제 4 측면(SP4)에 형성되는 제 1 측면 홈부(100g)와 상기 제 3 측면(SP3)에 형성되는 제 2 측면 홈부(100f)와 공통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grooves 200, 200a, 200b, 200c, and 200d are first bottom hollow parts 200a corresponding to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side SP1 and the fourth side SP4. , A second bottom hollow part 200b corresponding to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second side surface SP2 and the first side surface SP1, the third side surface SP3 and the second side surface SP2 A third bottom hollow part 200c corresponding to a boundary portion between and a fourth bottom hollow part corresponding to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ourth side surface SP4 and the third side surface SP3, 200d), wherein the first lower groove portion 200a includes a first side groove portion 100a formed in the first side surface SP1 and a second side groove portion 100h formed in the fourth side surface SP4. And the second lower groove portion 200b includes a first side groove portion 100c form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SP2 and a second side groove portion 100b formed on the first side surface SP1 It is connected in common, and the third lower groove portion 200c is in common with the first side groove portion 100e formed in the third side surface SP3 and the second side groove portion 100d formed in the second side surface SP2. And the fourth lower groove portion 200d may be commonly connected to a first side groove portion 100g formed in the fourth side surface SP4 and a second side groove portion 100f formed in the third side surface SP3. I can.

또한, 상기 하면(BS)의 각 모서리(Corner)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 돌출부(Corner Protruding Part, 400, 400a, 400b, 400c, 400d) 및 상기 하면(BS)의 상기 제 1 하부 홈부(200a), 상기 제 2 하부 홈부(200b), 상기 제 3 하부 홈부(200c) 및 상기 제 4 하부 홈부(200d)의 경계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돌출부(Bottom Protruding Part, 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돌출부(500)에는 상기 수직방향으로 함몰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홈부(Central Hollow Part, 600)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홈부(600)의 최대 깊이(h6)는 상기 하부 홈부(200, 200a, 200b, 200c, 200d)의 최대 깊이(h3, h3a, h3b)보다 작고, 상기 모서리 돌출부(400, 400a, 400b, 400c, 400d)는 상기 제 1 하부 홈부(200a)에 둘러싸이는 제 1 모서리 돌출부(First Corner Protruding Part, 400a), 상기 제 2 하부 홈부(200b)에 둘러싸이는 제 2 모서리 돌출부(Second Corner Protruding Part, 400b), 상기 제 3 하부 홈부(200c)에 둘러싸이는 제 3 모서리 돌출부(Third Corner Protruding Part, 400c) 및 상기 제 4 하부 홈부(200d)에 둘러싸이는 제 4 모서리 돌출부(Fourth Corner Protruding Part, 400d)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돌출부(500)의 높이(h5)는 상기 모서리 돌출부(400, 400a, 400b, 400c, 400d)의 높이(h4)와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rner protruding part 400, 400a, 400b, 400c, 400d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lower surface BS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rst A bottom protruding portion formed at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lower groove portion 200a, the second lower groove portion 200b, the third lower groove portion 200c, and the fourth lower groove portion 200d,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Part 500) is further included, and at least one central hollow part 600 rec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lower protrusion 500, and the maximum depth h6 of the central groove 600 Is smaller than the maximum depth (h3, h3a, h3b) of the lower grooves 200, 200a, 200b, 200c, 200d, and the edge protrusions 400, 400a, 400b, 400c, 400d are the first lower grooves 200a ) Surrounded by a first corner protruding part (400a), a second corner protruding part (400b) surrounded by the second lower groove part (200b), and the third lower groove part (200c) A third corner protruding part 400c surrounded by a third corner protruding part 400c and a fourth corner protruding part 400d surrounded by the fourth lower groove 200d, and the height of the lower protruding part 500 (h5)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h4 of the corner protrusions 400, 400a, 400b, 400c, and 400d.

또한, 상기 하부 홈부(200, 200a, 200b, 200c, 200d)의 깊이(h3, h3a, h3b)는 상기 모서리 돌출부(400, 400a, 400b, 400c, 400d)로부터 상기 하면(BS)의 중심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홈부(200, 200a, 200b, 200c, 200d) 및/또는 상기 중앙 홈부(600)는 단면의 폭(W1, W1a, W1b, W2, W2a, W2b)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pth (h3, h3a, h3b) of the lower groove portion (200, 200a, 200b, 200c, 200d) is from the corner protrusions (400, 400a, 400b, 400c, 400d) toward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BS). Including a gradually decreasing portion, the lower groove portion (200, 200a, 200b, 200c, 200d) and/or the central groove portion 600 has a cross-sectional width (W1, W1a, W1b, W2, W2a, W2b) It may include a gradually decreasing portion.

또한, 상기 하부 홈부(200, 200a, 200b, 200c, 200d)의 깊이(h3, h3a, h3b)는 상기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의 깊이(h1, h1a, h1b)보다 클 수 있다.In addition, the depth (h3, h3a, h3b) of the lower groove (200, 200a, 200b, 200c, 200d) is the depth of the side groove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It may be greater than (h1, h1a, h1b).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은 본체의 측면과 하면에 충분한 크기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빗물 등의 투과 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xcellent water perme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a decrease in permeability of rainwater, etc. even if foreign matter accumulates by securing a space having a sufficient size on the side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은 본체의 측면과 하면에 충분한 크기의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디자인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xcellent water perme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distortion of the design while securing a space of sufficient size on the side and bottom of the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은 본체의 측면과 하면에 충분한 크기의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xcellent water perme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ecuring sufficient structural stability while securing a space of sufficient size on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main bod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측면 홈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체의 하부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하부 홈부와 중앙 홈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복수의 바닥 블록 구조물을 배치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블록 구조물의 다른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블록 구조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xcellent water perme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in detail side grooves.
6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lower structure of the main body.
11 to 14 are views for explaining a lower groove and a central groove.
15 to 17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loor block structures are arranged.
18 to 23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structure of the floor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4 to 26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oor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xcellent water perme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can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and/or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said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to or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Can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is document,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May not be.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docu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 및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과 교차(수직)하고, 제 2 방향(DR2)은 제 3 방향(DR3)과 교차(수직)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first direction (DR1) crosses (vertical) with the second direction (Second Direction, DR2) and the third direction (Third Direction, DR3),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is the third direction (DR3). ) And can be intersected (vertically).

여기서,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Here,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horizontal direction.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referred to as a vertical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xcellent water perme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1A)은 본체(10), 측면 홈부(Side Hollow Part,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측면 돌출부(Side Protruding Part, 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 및 하부 홈부(Bottom Hollow Part, 200, 200a, 200b, 200c, 200d)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floor block structure (1A) having excellent water perme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10, side grooves (Side Hollow Part,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 Side Protruding Part (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 and Bottom Hollow Part (200, 200a, 200b, 200c, 200d) may be included. .

본체(10)는 6면체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The main body 1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본체(10)는 바닥 블록 구조물(1A)의 전체적인 형태를 이루고, 다른 부분들, 예컨대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가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 forms the overall shape of the floor block structure 1A,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other parts, such as 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can be formed. Can provide.

본체(10)에 형성되는 다른 부분들, 예컨대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하부 홈부(200, 200a, 200b, 200c, 200d) 등에 의해 본체(10)의 형상은 이상적인(Ideal) 6면체 형태는 아닐 수 있지만, 본체(10)의 전체적인 형태가 6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Other parts formed in the body 10, such as 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lower grooves (200, 200a, 200b, 200c, 200d), etc. The shape of (10) may not be an ideal hexahedral shape, but the overall shape of the body 1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이러한 본체(10)는 상면(Upper Surface, US), 상면(US)에 대응되는 하면(Bottom Surface, BS), 상면(US)과 하면(BS)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측면(First Side Surface, SP1), 상면(US)과 하면(BS)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측면(SP1)에 인접하는 제 2 측면(Second Side Surface, SP2), 상면(US)과 하면(BS)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 2 측면(SP2)에 인접하는 제 3 측면(Third Side Surface, SP3) 및 상면(US)과 하면(BS)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측면(SP1) 및 제 3 측면(SP3)에 인접하는 제 4 측면(Fourth Side Surface, SP4)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 includes an upper surface (US), a bottom surface (B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US), and a first side surfac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surface (US) and the lower surface (BS). , SP1), loc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US) and the lower surface (BS), and located between the second side surface (SP2) adjacent to the first side surface (SP1), and between the upper surface (US) and the lower surface (BS) A third side surface (SP3) adjacent to the second side surface (SP2) and a third side surface (SP3) adjacent to the first side surface (SP1) and the third side surface (SP3) loc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US) and the lower surface (BS). It may include Fourth Side Surface (SP4).

여기서는, 본체(10)의 상면(US)이 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10)의 상면(US)은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upper surface US of the main body 10 has a square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US of the main body 1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는 본체(10)의 4개의 측면(SP1, SP2, SP3, SP4)에서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방식으로 각각 형성되며,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 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될 수 있다.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are each formed in a manner that is depr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four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of the body 10. , It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third direction DR3).

이러한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는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좌측 부분에 형성되는 제 1 측면 홈부(First Side Hollow Part, 100a, 100c, 100e, 100g) 및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우측 부분에 형성되는 제 2 측면 홈부(Second Side Hollow Part, 100b, 100d, 100f, 100h)를 포함할 수 있다.These 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are the first side groove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of the main body 10. Side Hollow Part, 100a, 100c, 100e, 100g) and a second side groov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side (SP1, SP2, SP3, SP4) of the body 10 (Second Side Hollow Part, 100b, 100d, 100f, 100h).

즉, 본체(10)의 4개의 측면(SP1, SP2, SP3, SP4)에 각각 2개씩의 측면 홈부(100)(제 1 측면 홈부와 제 2 측면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wo side grooves 100 (a first side groove and a second side groove) may be formed on the four side surfaces SP1, SP2, SP3, and SP4 of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측면 돌출부(Side Protruding Part, 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는 본체(10)의 4개의 측면(SP1, SP2, SP3, SP4)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각각 형성되며,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ide protruding parts (Side Protruding Part, 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 are protruding from the four sides (SP1, SP2, SP3, SP4) of the main body 10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y are respectively formed in a manner and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third direction DR3).

하부 홈부(Bottom Hollow Part, 200, 200a, 200b, 200c, 200d)는 본체(10)의 하부에서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와 연결될 수 있다.The bottom hollow part (200, 200a, 200b, 200c, 200d) is formed in a manner that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at least one side groove (100, 100a, 100b, 100c, 100d) , 100e, 100f, 100g, 100h).

이러한 바닥 블록 구조물(1A)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The floor block structure 1A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5는 측면 홈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2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in detail side grooves. Hereinafter, descriptions of the parts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도 2를 살펴보면, 본체(10)의 4개의 측면(SP1, SP2, SP3, SP4)에서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는 가장자리 부분에 치우쳐서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in the four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of the main body 10 are arranged to be biased to the edge. Can be.

이러한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는 모래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통로를 마련할 수 있다.These 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are introduc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블록 구조물(1A)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2 is a view as viewed from above of the floor block structure 1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제 1 영역(AR1)을 확대하면, 도 3의 (A)와 같이, 제 1 측면(SP1)에 형성된 제 1 측면 홈부(100a)와 제 1 측면(SP1)의 좌측 끝단 사이의 간격(d1)은 제 1 측면(SP1)에 형성된 제 1 측면 홈부(100a)의 폭(d2)보다 더 작을 수 있다.When the first area AR1 of FIG. 2 is enlarge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ide groove 100a formed on the first side SP1 and the left end of the first side SP1 as shown in FIG. 3A (d1)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d2 of the first side groove 100a formed on the first side SP1.

아울러, 제 4 측면(SP4)에 형성된 제 2 측면 홈부(100h)와 제 4 측면(SP4)의 우측 끝단 사이의 간격(d1)은 제 4 측면(SP4)에 형성된 제 2 측면 홈부(100h)의 폭(d2)보다 더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second side groove portion 100h formed on the fourth side surface SP4 and the right end of the fourth side surface SP4 is the second side groove portion 100h formed on the fourth side surface SP4. It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d2.

이러한 경우, 제 1 측면 홈부(200a)의 크기를 증대시켜 투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water permeation efficiency may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first side groove portion 200a.

여기서는, 제 1 측면(SP1)과 제 4 측면(SP4)의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위 내용은 제 1 측면(SP1), 제 2 측면(SP2), 제 3 측면(SP3) 및 제 4 측면(SP4)에서 각각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Here, the first side (SP1) and the fourth side (SP4) has been described as the center, but the above is the first side (SP1), the second side (SP2), the third side (SP3) and the fourth side (SP4). ), it may be possible to apply respectively.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와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좌측 끝단 사이의 간격(d1) 및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와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우측 끝단 사이의 간격(d1)은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의 폭(d2) 및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의 폭(d2)보다 작을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side grooves 100a, 100c, 100e, and 100g and the left end of the side surfaces SP1, SP2, SP3, and SP4 of the body 10 and the second side groove 100b, 100d, 100f, 100h) and the distance (d1) between the right end of the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of the body 10 is the width (d2) of the first side grooves (100a, 100c, 100e, 100g) And a width d2 of the second side groove portions 100b, 100d, 100f, and 100h.

측면 돌출부(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는 바닥 블록 구조물(1A)이 인접하는 다른 바닥 블록 구조물(1A)과 충돌하여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ide protrusions 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 may prevent the floor block structure 1A from colliding with another floor block structure 1A adjacent thereto and being damaged.

이러한 측면 돌출부(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의 높이(h2)는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의 최대 깊이(h1)보다 더 작을 수 있다.The height h2 of the side protrusions (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 is of the 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It may be smaller than the maximum depth h1.

아울러,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와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좌측 끝단 사이의 간격(d1) 및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와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우측 끝단 사이의 간격(d1)은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의 최대 깊이(h1) 및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의 최대 깊이(h1)보다 더 클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side grooves 100a, 100c, 100e, and 100g and the left end of the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econd side grooves 100b, 100d, 100f, 100h) and the distance (d1) between the right end of the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of the body 10 is the maximum depth (h1) of the first side grooves (100a, 100c, 100e, 100g) and It may be greater than the maximum depth h1 of the second side grooves 100b, 100d, 100f, and 100h.

도 3의 (B)를 살펴보면,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의 단면의 입구 측의 폭(d2-1)이 바닥 측의 폭(d2-2)보다 더 클 수 있다.Looking at (B) of Figure 3, the width (d2-1) of the inlet sid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is the width of the bottom side (d2- Can be larger than 2).

이러한 경우, 바닥 블록 구조물(1A)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floor block structure 1A can be improved.

도 4를 살펴보면,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와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좌측 끝단 사이의 간격(d1) 및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와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우측 끝단 사이의 간격(d1)은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와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 사이의 간격(d3)보다 더 작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side grooves 100a, 100c, 100e, and 100g and the left end of the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of the body 10 and the second side groove 100b , 100d, 100f, 100h) and the right end of the side surface (SP1, SP2, SP3, SP4) of the body 10 (d1) is the first side groove (100a, 100c, 100e, 100g) and the second side It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d3 between the grooves 100b, 100d, 100f, and 100h.

아울러,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의 폭(d2) 및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의 폭(d2)은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와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 사이의 간격(d3)보다 더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d2 of the first side grooves 100a, 100c, 100e, 100g and the width d2 of the second side grooves 100b, 100d, 100f, 100h are the first side grooves 100a, 100c, 100e , 100g) and the second side grooves 100b, 100d, 100f, and 100h may be smaller than the spacing d3 between them.

측면 돌출부(300)는 본체(10)의 제 1 측면(SP1)에 형성된 측면 돌출부(300a, 300b), 제 2 측면(SP2)에 형성된 측면 돌출부(300c, 300d), 제 3 측면(SP3)에 형성된 측면 돌출부(300e, 300f), 제 4 측면(SP4)에 형성된 측면 돌출부(300g, 300h)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protrusions 300 are formed on the side protrusions 300a and 300b formed on the first side SP1 of the main body 10, the side protrusions 300c and 300d formed on the second side SP2, and the third side SP3. The formed side protrusions 300e and 300f, and side protrusions 300g and 300h formed on the fourth side SP4 may be included.

여기서, 제 1 측면(SP1)과 제 4 측면(SP4) 사이의 경계부분과 제 1 측면(SP1)에 형성된 측면 돌출부(300a) 사이의 최단 간격(d4)은 제 3 측면(SP3)과 제 4 측면(SP4) 사이의 경계부분과 제 3 측면(SP3)에 형성된 측면 돌출부(300f) 사이의 최단 간격(d5)과 서로 다를 수 있다.Here, the shortest distance d4 between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rst side SP1 and the fourth side SP4 and the side protrusion 300a formed on the first side SP1 is the third side SP3 and the fourth side.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shortest distance d5 between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side surfaces SP4 and the side protrusion portion 300f formed on the third side surface SP3.

본체(10)의 4개의 측면(SP1, SP2, SP3, SP4)에 각각 2개씩의 측면 돌출부(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본체(10)의 각각의 측면(SP1, SP2, SP3, SP4)에서 측면 돌출부(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들 사이의 간격(d6)은 d4보다는 크고, d5보다는 작을 수 있다.When two side protrusions (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 are formed on the four sides (SP1, SP2, SP3, SP4) of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the main body (10) The distance d6 between the side protrusions 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 in each side (SP1, SP2, SP3, SP4) is greater than d4, May be less than d5.

이는, 본체의 제 2 측면(SP2) 및 제 4 측면(SP4)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side surface SP2 and the fourth side surface SP4 of the main body.

여기서는, 본체(10)의 4개의 측면(SP1, SP2, SP3, SP4)에 각각 2개씩의 측면 돌출부(300)가 형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10)의 4개의 측면(SP1, SP2, SP3, SP4)에 각각 1개씩의 측면 돌출부(30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Here, a case in which two side protrusions 300 are formed on each of the four side surfaces SP1, SP2, SP3, and SP4 of the main body 10 is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thereto. For example, one side protrusion 300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four side surfaces SP1, SP2, SP3, and SP4 of the main body 10.

예를 들면, 도 5의 경우와 같이, 본체(10)의 제 1 측면(SP1)에 제 1 측면 돌출부(310a)가 형성되고, 제 2 측면(SP2)에 제 2 측면 돌출부(310b)가 형성되고, 제 3 측면(SP3)에 제 3 측면 돌출부(310c)가 형성되고, 제 4 측면(SP4)에 제 4 측면 돌출부(310d)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5, a first side protrusion 310a is formed on the first side SP1 of the main body 10, and a second side protrusion 310b is formed on the second side SP2. In addition, a third side protrusion 310c may be formed on the third side surface SP3 and a fourth side protrusion 310d may be formed on the fourth side surface SP4.

이러한 경우, 제 1 측면(SP1)과 제 4 측면(SP4) 사이의 경계부분과 제 1 측면 돌출부(310a) 사이의 최단 간격(d8)은 제 3 측면(SP3)과 제 4 측면(SP4) 사이의 경계부분과 제 3 측면 돌출부(310c) 사이의 최단 간격(d9)과 서로 다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hortest distance d8 between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rst side surface SP1 and the fourth side surface SP4 and the first side protrusion 310a is between the third side surface SP3 and the fourth side surface SP4.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shortest distance d9 between the boundary portion of and the third side protrusion 310c.

아울러, 제 1 측면(SP1)과 제 4 측면(SP4) 사이의 경계부분과 제 1 측면 돌출부(310a) 사이의 최단 간격(d8)은 제 1 측면(SP1)과 제 2 측면(SP2) 사이의 경계부분과 제 1 측면 돌출부(310a) 사이의 최단 간격(d9)과 다를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rtest distance d8 between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rst side surface SP1 and the fourth side surface SP4 and the first side protrusion 310a is between the first side surface SP1 and the second side surface SP2.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shortest distance d9 between the boundary portion and the first side protrusion 310a.

도 6 내지 도 10은 본체의 하부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6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lower structure of the main body. Hereinafter, descriptions of the parts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도 6 및 도 7을 앞선 도 1과 비교하면, 측면 돌출부(300)의 위치가 반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측면 돌출부(300)의 위치를 반대로 도시한 것은 도면의 단순히 도면의 작성의 편의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When comparing FIGS. 6 and 7 with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 of the side protrusion 300 is opposite. In this way, the opposite illust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side protrusions 300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drawing and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thereto.

도 6 및 도 7을 살펴보면, 본체(10)의 하면(BS)에 형성되는 하면 홈부(200)는 제 1 하부 홈부(First Bottom Hollow Part, 200a), 제 2 하부 홈부(Second Bottom Hollow Part, 200b), 제 3 하부 홈부(Third Bottom Hollow Part, 200c) 및 제 4 하부 홈부(Fourth Bottom Hollow Part, 200d)를 포함할 수 있다.6 and 7, the bottom groove portion 20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BS of the main body 10 includes a first bottom hollow part 200a and a second bottom hollow part 200b. ), a Third Bottom Hollow Part 200c, and a Fourth Bottom Hollow Part 200d.

여기서, 제 1 하면 홈부(200a)는 본체(10)의 제 1 측면(SP1)과 제 4 측면(SP4) 사이 경계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하부 홈부(200a)는 제 1 측면(SP1)에 형성되는 제 1 측면 홈부(100a)와 제 4 측면(SP4)에 형성되는 제 2 측면 홈부(100h)와 공통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first lower surface groove portion 200a may correspond to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rst side surface SP1 and the fourth side surface SP4 of the body 10. In addition, the first lower groove portion 200a may be commonly connected to the first side groove portion 100a formed in the first side surface SP1 and the second side groove portion 100h formed in the fourth side surface SP4.

제 2 하면 홈부(200b)는 본체(10)의 제 2 측면(SP2)과 제 1 측면(SP1) 사이 경계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하부 홈부(200b)는 제 2 측면(SP2)에 형성되는 제 1 측면 홈부(100c)와 제 1 측면(SP1)에 형성되는 제 2 측면 홈부(100b)와 공통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lower surface groove portion 200b may correspond to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second side surface SP2 and the first side surface SP1 of the body 10. In addition, the second lower groove portion 200b may be commonly connected to the first side groove portion 100c formed in the second side surface SP2 and the second side groove portion 100b formed in the first side surface SP1.

제 3 하면 홈부(200c)는 본체(10)의 제 3 측면(SP3)과 제 2 측면(SP2) 사이 경계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제 3 하부 홈부(200c)는 제 3 측면(SP3)에 형성되는 제 1 측면 홈부(100e)와 제 2 측면(SP2)에 형성되는 제 2 측면 홈부(100d)와 공통 연결될 수 있다.The third lower surface groove portion 200c may correspond to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third side surface SP3 and the second side surface SP2 of the body 10. In addition, the third lower groove portion 200c may be commonly connected to the first side groove portion 100e formed on the third side surface SP3 and the second side groove portion 100d form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SP2.

제 4 하면 홈부(200d)는 본체(10)의 제 4 측면(SP4)과 제 3 측면(SP3) 사이 경계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제 4 하부 홈부(200d)는 제 4 측면(SP4)에 형성되는 제 1 측면 홈부(100g)와 제 3 측면(SP3)에 형성되는 제 2 측면 홈부(100f)와 공통 연결될 수 있다.The fourth lower surface groove portion 200d may correspond to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ourth side surface SP4 and the third side surface SP3 of the body 10. In addition, the fourth lower groove portion 200d may be commonly connected to the first side groove portion 100g formed in the fourth side surface SP4 and the second side groove portion 100f formed in the third side surface SP3.

이러한 하부 홈부(200, 200a, 200b, 200c, 200d)에는 측면 홈부(100)를 통해 유입된 모래 등의 이물질이 저장될 수 있다.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introduced through the side grooves 100 may be stored in the lower grooves 200, 200a, 200b, 200c, and 200d.

측면 홈부(100)를 통해 빗물 등이 유입되면, 유입된 빗물 등은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하부 홈부(200)를 통해 바닥(지면)으로 흡수될 수 있다.When rainwater or the like flows in through the side groove 100, the introduced rainwater may be absorbed into the floor (ground) through the lower groove 200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만약, 모래 등의 이물질이 측면 홈부(100)를 통해 하부 홈부(200)로 유입되어 쌓이더라도, 하부 홈부(200)의 면적이 충분히 넓기 때문에 유입된 빗물 등의 용이하게 지면으로 흡수될 수 있다.Even if foreign matter such as sand flows into the lower groove part 200 through the side groove part 100 and accumulates, since the area of the lower groove part 200 is sufficiently wide, the introduced rainwater may be easily absorbed into the ground.

아울러, 하나의 하부 홈부(200, 200a, 200b, 200c, 200d)는 인접하는 두 개의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를 통해 유입되는 모래 등의 이물질을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lower groove portion (200, 200a, 200b, 200c, 200d) includes two adjacent 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such as sand flowing through. Foreign matter can be stored.

한편, 본체(10)의 하면(BS)에는 모서리 돌출부(Corner Protruding Part, 400, 400a, 400b, 400c, 400d)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corner protruding part 400, 400a, 400b, 400c, 400d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BS of the main body 10.

모서리 돌출부(400, 400a, 400b, 400c, 400d)는 본체(10)의 하면(BS)의 각 모서리(Corner)에 형성되며,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corner protrusions 400, 400a, 400b, 400c, and 400d are formed in each corner of the lower surface BS of the main body 10 and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third direction DR3).

이러한 모서리 돌출부(400, 400a, 400b, 400c, 400d)는 제 1 모서리 돌출부(First Corner Protruding Part, 400a), 제 2 모서리 돌출부(Second Corner Protruding Part, 400b), 제 3 모서리 돌출부(Third Corner Protruding Part, 400c) 및 제 4 모서리 돌출부(Fourth Corner Protruding Part, 400d)를 포함할 수 있다.These corner protrusions 400, 400a, 400b, 400c, and 400d include a first corner protruding part 400a, a second corner protruding part 400b, and a third corner protruding part. , 400c) and a fourth corner protruding part 400d.

제 1 모서리 돌출부(400a)는 본체(10)의 하면(BS)에서 제 1 측면(SP1)과 제 4 측면(SP4)의 경계부분에 형성되며, 제 1 하부 홈부(200a)에 둘러싸일 수 있다.The first corner protrusion 400a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ide SP1 and the fourth side SP4 on the lower surface BS of the main body 10, and may be surrounded by the first lower groove 200a. .

제 2 모서리 돌출부(400b)는 본체(10)의 하면(BS)에서 제 2 측면(SP2)과 제 1 측면(SP1)의 경계부분에 형성되며, 제 2 하부 홈부(200b)에 둘러싸일 수 있다.The second corner protrusion 400b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econd side SP2 and the first side SP1 on the lower surface BS of the main body 10 and may be surrounded by the second lower groove 200b. .

제 3 모서리 돌출부(400c)는 본체(10)의 하면(BS)에서 제 3 측면(SP3)과 제 2 측면(SP2)의 경계부분에 형성되며, 제 3 하부 홈부(200c)에 둘러싸일 수 있다.The third corner protrusion 400c is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third side SP3 and the second side SP2 on the lower surface BS of the main body 10 and may be surrounded by the third lower groove 200c. .

제 4 모서리 돌출부(400d)는 본체(10)의 하면(BS)에서 제 4 측면(SP4)과 제 3 측면(SP3)의 경계부분에 형성되며, 제 4 하부 홈부(200d)에 둘러싸일 수 있다.The fourth corner protrusion 400d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ourth side SP4 and the third side SP3 on the lower surface BS of the main body 10 and may be surrounded by the fourth lower groove 200d. .

이러한 모서리 돌출부(400, 400a, 400b, 400c, 400d)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블록 구조물(1A)의 모서리 부분에서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se corner protrusions 400, 400a, 400b, 400c, and 400d may improve structural stability at the corners of the floor block structure 1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본체(10)의 하면(BS)에는 하부 돌출부(Bottom Protruding Part, 50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bottom protruding part 50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BS of the main body 10.

하부 돌출부(500)는 본체(10)의 하면(BS)의 제 1 하부 홈부(200a), 제 2 하부 홈부(200b), 제 3 하부 홈부(200c) 및 제 4 하부 홈부(200d)의 경계부분에 형성되며,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lower protrusion 500 is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lower groove 200a, the second lower groove 200b, the third lower groove 200c, and the fourth lower groove 200d of the lower surface BS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nd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third direction DR3).

이러한 하부 돌출부(500)는 하부 홈부(200, 200a, 200b, 200c, 200d)에 의해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또는 제 2 방향(DR2))으로의 단면이 십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lower protrusion 500 has a cross s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DR1 or the second direction DR2) by the lower grooves 200, 200a, 200b, 200c, 200d, and has a cross (+) shape. I can.

도 7의 제 2 영역(AR2)을 확대하면, 도 8과 같이, 제 4 하부 홈부(200d)는 제 3 측면(SP3)에 형성된 제 2 측면 홈부(100f)와 제 4 측면(SP4)에 형성된 제 1 측면 홈부(100g)와 공통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area AR2 of FIG. 7 is enlarged, as shown in FIG. 8, the fourth lower groove portion 200d is formed in the second side groove portion 100f and the fourth side surface SP4 formed on the third side surface SP3.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side groove portion 100g is commonly connected.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제 4 모서리 돌출부(400d)의 폭(d1)은 제 4 모서리 돌출부(400d)와 제 1 방향(DR1)으로 인접하며 제 4 측면(SP4)에 형성되는 제 1 측면 홈부(100g)의 폭(d2)보다 더 작을 수 있다.The width d1 of the fourth corner protrusion 400d in the first direction DR1 of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djacent to the fourth corner protrusion 400d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is formed on the fourth side SP4. 1 It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d2 of the side groove 100g.

아울러, 수평방향 중 제 2 방향(DR2)으로 제 4 모서리 돌출부(400d)의 폭(d1)은 제 4 모서리 돌출부(400d)와 제 2 방향(DR2)으로 인접하며 제 3 측면(SP3)에 형성되는 제 2 측면 홈부(100f)의 폭(d2)보다 더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d1 of the fourth corner protrusion 400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of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djacent to the fourth corner protrusion 400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is formed on the third side SP3. It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d2 of the second side groove 100f.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제 4 모서리 돌출부(400d)의 폭(d1)은 제 4 모서리 돌출부(400d)와 제 1 방향(DR1)으로 인접하며 제 4 측면(SP4)에 형성되는 제 1 측면 홈부(100g)의 깊이(h1)보다 더 클 수 있다.The width d1 of the fourth corner protrusion 400d in the first direction DR1 of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djacent to the fourth corner protrusion 400d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is formed on the fourth side SP4. 1 It may be greater than the depth h1 of the side groove 100g.

아울러, 수평방향 중 제 2 방향(DR2)으로 제 4 모서리 돌출부(400d)의 폭(d1)은 제 4 모서리 돌출부(400d)와 제 2 방향(DR2)으로 인접하며 제 3 측면(SP3)에 형성되는 제 1 측면 홈부(100g)의 깊이(h1)보다 더 클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d1 of the fourth corner protrusion 400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of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djacent to the fourth corner protrusion 400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is formed on the third side SP3. It may be greater than the depth h1 of the first side groove portion 100g.

이러한 내용은 제 1, 2, 3 모서리 돌출부(400a, 400b, 400c)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se contents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rner protrusions 400a, 400b, and 400c.

바닥 블록 구조물(1A)을 제 1 측면(SP1) 측에서 바라보면, 도 9와 같이, 하부 돌출부(500)의 높이(h5)는 제 1 모서리 돌출부(400a)의 높이(h4)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When the floor block structure 1A is viewed from the first side SP1 side, as shown in FIG. 9, the height h5 of the lower protrusion 500 may be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height h4 of the first corner protrusion 400a. I can.

아울러, 제 1 측면 홈부(100a)와 측면 돌출부(300)와의 최단 간격(d10), 즉 제 1 측면 홈부(100a)와 제 1 측면 돌출부(300a) 사이의 간격(d10)은 제 2 측면 홈부(100b)와 측면 돌출부(300)와의 최단 간격(d11), 즉 제 2 측면 홈부(100b)와 제 2 측면 돌출부(300b) 사이의 간격(d11)과 다를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rtest distance d10 between the first side groove 100a and the side protrusion 300, that is, the distance d10 between the first side groove 100a and the first side protrusion 300a, is a second side groove (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shortest distance d11 between 100b and the side protrusion 300, that is, the distance d11 between the second side groove 100b and the second side protrusion 300b.

이러한 내용은 본체(10)의 제 2 측면(SP2), 제 3 측면(SP3) 및 제 4 측면(SP4)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These contents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second side surface SP2, the third side surface SP3, and the fourth side surface SP4 of the main body 10.

한편, 측면 홈부(100)의 깊이는 본체(10)의 상면(US)에서 하면(BS)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pth of the side groove portion 100 may be increased from the upper surface US to the lower surface BS of the main body 10.

예를 들면, 도 10의 경우와 같이, 본체(10)의 하면(BS) 측에서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의 깊이(h1b)는 본체(10)의 상면(US) 측에서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의 깊이(h1a)보다 클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10, the depth h1b of the 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on the lower surface BS side of the main body 10 is It may be greater than the depth h1a of the 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on the upper surface US side of (10).

이러한 경우, 모래 등의 이물질에 의해 배수 통로가 막혀서 배수 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decrease in drainage capacity due to clogging of the drainage passage by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아울러, 바닥 블록 구조물(1A)의 상부에서 인접하는 다른 바닥 블록 구조물(1A)과의 사이 간격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자인의 측면에서 유지할 수 있으며, 하이힐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안정성의 측면에서도 유리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xcessive increase in the spacing between the floor block structure 1A and the adjacent floor block structure 1A. Accordingly, it may be maintained in terms of design, and it may be advantageous in terms of stability, such as preventing the high heels from falling out.

모래 등의 이물질의 저장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부 홈부(200, 200a, 200b, 200c, 200d, 200e, 200f, 200g, 200h)의 깊이(h3)는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의 최대 깊이(h1, h1a, h2b)보다 더 클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storage capacity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the depth h3 of the lower grooves 200, 200a, 200b, 200c, 200d, 200e, 200f, 200g, 200h is defined as the 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It may be greater than the maximum depth (h1, h1a, h2b) of 100d, 100e, 100f, 100g, 100h).

도 11 내지 도 14는 하부 홈부와 중앙 홈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11 to 14 are views for explaining a lower groove and a central groove. Hereinafter, descriptions of the parts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도 11을 살펴보면, 하부 돌출부(500)에는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함몰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홈부(Central Hollow Part, 600)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at least one central hollow part 600 that is depress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formed in the lower protrusion 500.

하부 홈부(200, 200a, 200b, 200c, 200d)의 함몰 방향과 중앙 홈부(600)의 함몰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The depression direction of the lower groove portions 200, 200a, 200b, 200c, and 200d and the depression direction of the central groove portion 600 may be the same.

중앙 홈부(600)에는 바닥 블록 구조물(1A)의 설치 과정에서 모래 등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 블록 구조물(1A)들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floor block structure 1A,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may flow into the central groove part 60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align the floor block structures 1A to maintain the horizontal.

아울러, 중앙 홈부(600)는 하부 홈부(200, 200a, 200b, 200c, 200d)로부터 일부 유입되는 모래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groove portion 600 may be stored by introduc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partially introduced from the lower groove portions 200, 200a, 200b, 200c, and 200d.

바다 블록 구조물(1A)을 A1-A2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12와 같이, 중앙 홈부(600)의 최대 깊이(h6)는 상기 하부 홈부(200, 200a, 200b, 200c, 200d)의 최대 깊이(h3)보다 작을 수 있다.Looking at the cross section of the sea block structure 1A along the line A1-A2, as shown in FIG. 12, the maximum depth h6 of the central groove part 600 is the lower groove part 200, 200a, 200b, 200c, 200d. May be less than the maximum depth of h3.

아울러,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또는 제 2 방향(DR2))으로 하부 홈부(200, 200a, 200b, 200c, 200d)의 최대 폭(W1)은 중앙 홈부(600)의 최대 폭(W2)보다 더 클 수 있다.In addition, the maximum width W1 of the lower groove portions 200, 200a, 200b, 200c, 200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DR1 or the second direction DR2) is the maximum width W2 of the central groove portion 600 Can be larger than ).

여기서,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또는 제 2 방향(DR2))으로 하부 홈부(200, 200a, 200b, 200c, 200d)의 최대 폭(W1)은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와 중첩하는 부분에서 하부 홈부(200, 200a, 200b, 200c, 200d)의 폭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maximum width W1 of the lower grooves 200, 200a, 200b, 200c, 200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or second direction DR2) is the 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 100d, 100e, 100f, 100g, 100h) may mean the width of the lower grooves 200, 200a, 200b, 200c, 200d.

예를 들면, 제 1 하부 홈부(200a)의 최대 폭(W1)은 제 4 측면(SP4)에 형성된 제 2 측면 홈부(100h)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제 2 방향(DR2)으로의 제 1 하부 홈부(200a)의 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제 2 하부 홈부(200b), 제 3 하부 홈부(200c) 및 제 4 하부 홈부(200d)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ximum width W1 of the first lower groove portion 200a is the first lower groove portion in the second direction DR2 in a region overlapping with the second side groove portion 100h formed on the fourth side surface SP4. It may mean the width of (200a). These contents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second lower groove portion 200b, the third lower groove portion 200c, and the fourth lower groove portion 200d.

한편,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또는 제 2 방향(DR2))으로 하부 홈부(200) 및/또는 중앙 홈부(600)의 폭은 입구 부분과 바닥 부분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Meanwhi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DR1 or the second direction DR2), the widths of the lower groove portion 200 and/or the central groove portion 60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the entrance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예를 들면, 도 13의 (A)와 같이,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또는 제 2 방향(DR2))으로 하부 홈부(200)의 입구 부분에서의 폭(W1a)은 바닥 부분에서의 폭(W1b)보다 더 클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A, the width W1a at the entrance portion of the lower groove 2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DR1 or the second direction DR2) is It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W1b.

여기서, 하부 홈부(200)의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또는 제 2 방향(DR2))으로의 단면의 양쪽 측면(SL1)은 소정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하부 홈부(200)의 양쪽 측면(SL1)을 제 1 경사면(SL1)이라고 할 수 있다.Here, both side surfaces SL1 of a cross section of the lower groove part 200 in a horizontal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or second direction DR2) may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Here, both side surfaces SL1 of the lower groove part 20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inclined surface SL1.

다르게 표현하면, 하부 홈부(200)는 단면의 폭(W1a, W1b)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lower groove portion 200 may include a portion in which the cross-sectional widths W1a and W1b gradually decrease.

아울러, 도 13의 (B)와 같이,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중앙 홈부(600)의 입구 부분에서의 폭(W2a)은 바닥 부분에서의 폭(W2b)보다 더 클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B, the width W2a at the entrance portion of the central groove 6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DR1 or the second direction DR2) is the width at the bottom portion ( W2b) can be larger.

여기서, 중앙 홈부(600)의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또는 제 2 방향(DR2))으로의 단면의 양쪽 측면(SL2)은 소정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중앙 홈부(600)의 양쪽 측면(SL2)을 제 2 경사면(SL2)이라고 할 수 있다.Here, both side surfaces SL2 of the cross-s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or second direction DR2) of the central groove part 600 may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Here, both side surfaces SL2 of the central groove part 60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inclined surface SL2.

다르게 표현하면, 중앙 홈부(600)는 단면의 폭(W2a, W2b)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entral groove part 600 may include a portion in which the widths W2a and W2b of the cross section gradually decrease.

도 13의 (A)와 (B)를 비교하면, 하부 홈부(200)의 제 1 경사면(SL1)의 기울기가 중앙 홈부(600)의 제 2 경사면(SL2)의 기울기보다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When comparing (A) and (B) of FIG. 13, it can be seen that the slop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SL1 of the lower groove part 200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SL2 of the central groove part 600. .

이러한 경우, 하부 홈부(200)의 저장 능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lower groove portion 200 may be further increased.

이와는 다르게, 도 14의 (A) 및 (B)와 같이, 하부 홈부(200)의 제 1 경사면(SL1)의 기울기가 중앙 홈부(600)의 제 2 경사면(SL2)의 기울기보다 더 완만할 수 있다.Unlike this, as shown in FIGS. 14A and 14B, the slop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SL1 of the lower groove part 200 may be more gentle than the slope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SL2 of the central groove part 600. have.

이러한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블록 구조물(1A)의 모서리 부분에서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mprove structural stability at the corners of the floor block structure 1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닥 블록 구조물(1A)들을 보도블록의 형태로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floor block structures 1A described above in the form of a sidewalk block. For this,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15 내지 도 17은 복수의 바닥 블록 구조물을 배치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15 to 17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loor block structures are arranged. Hereinafter, descriptions of the parts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도 15를 살펴보면, 제 1 바닥 블록 구조물(1Aa), 제 2 바닥 블록 구조물(1Ab), 제 3 바닥 블록 구조물(1Ac) 및 제 4 바닥 블록 구조물(1Ad)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a first floor block structure 1Aa, a second floor block structure 1Ab, a third floor block structure 1Ac, and a fourth floor block structure 1Ad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여기서, 인접하는 바닥 블록 구조물(1A)들의 측면 홈부(100)가 서로 마주보도록 대응될 수 있다.Here, side grooves 100 of adjacent floor block structures 1A may correspond to face each other.

도 15는 제 1 바닥 블록 구조물(1Aa), 제 2 바닥 블록 구조물(1Ab), 제 3 바닥 블록 구조물(1Ac) 및 제 4 바닥 블록 구조물(1Ad)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15 is a view of a first floor block structure 1Aa, a second floor block structure 1Ab, a third floor block structure 1Ac, and a fourth floor block structure 1Ad viewed from above.

도 16에는 제 1 바닥 블록 구조물(1Aa), 제 2 바닥 블록 구조물(1Ab), 제 3 바닥 블록 구조물(1Ac) 및 제 4 바닥 블록 구조물(1Ad)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 게시되어 있다.In FIG. 16, a view of the first floor block structure 1Aa, the second floor block structure 1Ab, the third floor block structure 1Ac, and the fourth floor block structure 1Ad viewed from below is posted.

도 16을 살펴보면, 측면 홈부(100) 뿐만 아니라, 하부 홈부(200)도 서로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바닥 블록 구조물(1Aa)의 제 1 하부 홈부(200a), 제 2 바닥 블록 구조물(1Ab)의 제 4 하부 홈부(200d), 제 3 바닥 블록 구조물(1Ac)의 제 3 홈부(200c) 및 제 4 바닥 블록 구조물(1Ad)의 제 2 하부 홈부(200b)가 제 1 바닥 블록 구조물(1Aa), 제 2 바닥 블록 구조물(1Ab), 제 3 바닥 블록 구조물(1Ac) 및 제 4 바닥 블록 구조물(1Ad)의 경계부분에서 서로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부 홈부(200)의 저장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not only the side groove portion 100 but also the lower groove portion 200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lower groove portion 200a of the first floor block structure 1Aa, the fourth lower groove portion 200d of the second floor block structure 1Ab, and the third groove portion of the third floor block structure 1Ac (200c) and the second lower groove portion 200b of the fourth floor block structure 1Ad are the first floor block structure 1Aa, the second floor block structure 1Ab, the third floor block structure 1Ac, and the fourth It may b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t the boundary of the floor block structure 1Ad. In this cas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lower groove portion 200 may be further improved.

제 1 바닥 블록 구조물(1Aa)과 제 2 바닥 블록 구조물(1Ab)을 A3-A4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17과 같이, 측면 홈부(100)들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접하는 2개의 측면 홈부(100)들이 모래 등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공통으로 형성하고, 이에 따라 빗물 등의 수분의 투과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looking at a cross section of the first floor block structure 1Aa and the second floor block structure 1Ab along the line A3-A4, it can be seen that the side grooves 100 ar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17. In this case, two adjacent side grooves 100 form a common passage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can enter, thereby improving the ability to transmit moisture such as rainwater.

아울러, 도 17을 살펴보면, 하부 홈부(200)의 최대 깊이(h3)는 측면 홈부(100)의 최대 깊이(h1b)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부 홈부(200)의 저장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바닥 블록 구조물(1A)의 투수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7, the maximum depth h3 of the lower groove portion 200 may be greater than the maximum depth h1b of the side groove portion 100. In this cas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lower groove portion 200 may be further improved, and the water permeability of the floor block structure 1A may be further improved.

도 18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블록 구조물의 다른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18 to 23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structure of the floor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of the parts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도 18을 살펴보면, 측면 홈부(100)의 폭은 본체(10)의 수직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width of the side groove portion 100 may vary depending o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in body 10.

자세하게는, 본체(10)의 상면(US) 측에서 측면 홈부(100)의 폭(d2a)은 본체(10)의 하면(BS) 측에서 측면 홈부(100)의 폭(d2b)보다 더 작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width (d2a) of the side groove portion 100 on the upper surface (US) side of the main body 10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d2b) of the side groove portion 100 on the lower surface (BS) side of the main body 10 have.

이러한 경우, 측면 홈부(100)의 모래 등의 이물질의 통과 능력을 유지하면서도, 바닥 블록 구조물(1A)의 상부에서 노출되는 측면 홈부(1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디자인의 측면에서 유지할 수 있으며 안정성의 측면에서도 유리할 수 있다.In this case, while maintaining the ability of the side groove 100 to pass through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the size of the side groove 100 exposed from the top of the floor block structure 1A can be reduced,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in terms of design and stability It can also be advantageous in terms of

이처럼, 측면 홈부(100)의 폭을 조절하면서도,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또는 제 2 방향(DR2))으로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끝단에서 측면 홈부(100) 사이의 간격(d1)은 본체(10)의 상면(US) 측 및 하면(BS) 측에서 동일할 수 있다.In this way, while adjusting the width of the side groove part 100, the side surface at the end of the side surface (SP1, SP2, SP3, SP4) of the main body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DR1) or the second direction (DR2)) The spacing d1 between the grooves 100 may be the same on the upper surface US side and the lower surface BS side of the main body 10.

이와는 다르게,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또는 제 2 방향(DR2))으로 본체(10)의 상면(US) 측에서 측면 홈부(100)와 측면 돌출부(300) 사이의 최단 사이의 간격(d10a, d11a)은 본체(10)의 하면(BS) 측에서 측면 홈부(100)와 측면 돌출부(300) 사이의 최단 사이의 간격(d10b, d11b)보다 더 클 수 있다.Unlike this, the distance betwee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side groove 100 and the side protrusion 300 on the upper surface US side of the main body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DR1 or the second direction DR2) ( d10a and d11a may be greater than the shortest intervals d10b and d11b between the side groove 100 and the side protrusion 300 on the lower surface BS side of the main body 10.

아울러,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또는 제 2 방향(DR2))으로 본체(10)의 상면(US) 측에서 측면 홈부(100)들 사이의 간격(d3a)은 본체(10)의 하면(BS) 측에서 측면 홈부(100)들 사이의 간격(d3b)보다 더 클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d3a between the side grooves 100 on the upper surface US side of the main body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or the second direction DR2) is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BS) side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d3b between the side grooves 100.

한편, 하부 홈부(200)의 깊이를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또는 제 2 방향(DR2))으로의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Meanwhile, the depth of the lower groove part 200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DR1 or the second direction DR2).

예를 들면, 도 19 및 도 20의 경우와 같이, 하부 홈부(200)의 깊이는 상기 모서리 돌출부(400)로부터 본체(10)의 하면(BS)의 중심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S. 19 and 20, the depth of the lower groove portion 200 may include a portion tha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orner protrusion 400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BS of the main body 10. I can.

제 1 하부 홈부(200a) 및 제 1 모서리 돌출부(400a)를 절단한 A5-A6라인을 따라 단면을 보면, 도 01의 경우와 같이, 제 1 모서리 돌출부(400a)에 인접하는 부분에서의 제 1 하부 홈부(200a)의 깊이(h3a)는 본체(10)의 하면(BS)의 중심부와 인접한 부분에서의 제 1 하부 홈부(200a)의 깊이(h3b)보다 더 클 수 있다.Looking at a cross section along the line A5-A6 cut from the first lower groove 200a and the first corner protrusion 400a, as in the case of FIG. 01, the first corner protrusion 400a is adjacent to the first corner protrusion 400a. The depth h3a of the lower groove 200a may be greater than the depth h3b of the first lower groove 200a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BS of the body 10.

이러한 경우, 바닥 블록 구조물(1A)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floor block structure 1A can be improved.

반면에, 도 21 및 도 22의 경우와 같이, 하부 홈부(200)의 깊이는 상기 모서리 돌출부(400)로부터 본체(10)의 하면(BS)의 중심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in the case of FIGS. 21 and 22, the depth of the lower groove 200 may include a portion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corner protrusion 400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BS of the main body 10. have.

제 1 하부 홈부(200a) 및 제 1 모서리 돌출부(400a)를 A7-A8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22의 경우와 같이, 제 1 모서리 돌출부(400a)에 인접하는 부분에서의 제 1 하부 홈부(200a)의 깊이(h3a)는 본체(10)의 하면(BS)의 중심부와 인접한 부분에서의 제 1 하부 홈부(200a)의 깊이(h3b)보다 더 작을 수 있다.Looking at a cross-section of the first lower groove portion 200a and the first corner protrusion 400a along the line A7-A8, as in the case of FIG. 22, the first lower groove portion 200a and the first corner protrusion 400a The depth h3a of the lower groove 200a may be smaller than the depth h3b of the first lower groove 200a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BS of the main body 10.

이러한 경우, 하부 홈부(200)의 저장 능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lower groove portion 200 may be further increas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블록 구조물(1A)은 상부에서의 입자의 입도와 하부에서의 입자의 입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Meanwhile, in the floor block structure 1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particles at the top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particles at the bottom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면, 도 23의 경우와 같이, 본체(10)의 상부(S1)에서의 입자의 입도는 본체(10)의 하부(S2)에서의 입자의 입도보다 더 작을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23, the particle size of the particles in the upper portion S1 of the body 10 may be smaller than the particle size of the particles in the lower portion S2 of the body 10.

이러한 경우, 본체(10)의 상부(S1)에는 염료 등을 혼합하여 소정의 색을 구현할 수 있다.In this case, a predetermined color may be implemented by mixing a dye or the like in the upper portion S1 of the main body 10.

모래 등의 이물질에 의해 측면 홈부(10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 홈부(100)의 폭(d2)은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본체(10)의 상부의 폭(S1)보다 더 클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side groove 100 from being blocked by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the width d2 of the side groove 100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hird direction DR3) and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S1 Can be larger than ).

도 2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블록 구조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24 to 26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oor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of the parts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도 24를 살펴보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블록 구조물(1A)을 제조하기 위한 틀을 준비(S100)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4, first, a frame for manufacturing the floor block structure 1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S100).

이후, 준비한 틀에 본체(10)의 상부(S1)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 즉 상부 재료를 투입(S110)할 수 있다.Thereafter, a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upper portion S1 of the main body 10, that is, an upper material may be added (S110) to the prepared frame.

예를 들면, 도 25의 경우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710)에 틀(700)을 설치하고, 설치한 틀(700)에 입자의 입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상부 재료를 투입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25, a frame 700 may be installed on a base plate 710, and an upper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small particle size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stalled frame 700.

이후, 틀(700)을 흔들어(S120) 상부 재료의 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Thereafter, the frame 700 may be shaken (S120) to further increase the density of the upper material.

이후, 틀(700)에 본체(10)의 하부(S2)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 즉 하부 재료를 투입(S130)할 수 있다.Thereafter, a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lower portion S2 of the main body 10, that is, a lower material may be introduced into the frame 700 (S130).

이후, 틀(700)을 흔들어(S140) 상부 재료 및 하부 재료의 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Thereafter, the frame 700 may be shaken (S140) to further increase the density of the upper material and the lower material.

이후, 도 26과 같이, 상부 재료와 하부 재료가 투입된 틀(700)의 상부에서 하부 홈부(200), 모서리 돌출부(400), 하부 돌출부(500) 및 중앙 홈부(600)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Mold, 720)를 이용하여 상부 재료 및 하부 재료를 포함하는 재료(800)를 압착(S150)시킬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26, a mold for forming the lower groove 200, the corner protrusion 400, the lower protrusion 500, and the central groove 600 at the top of the frame 700 into which the upper and lower materials are injected ( The material 800 including the upper material and the lower material may be compressed (S150) using the mold 720.

몰드(720)에는 하부 홈부(200), 모서리 돌출부(400), 하부 돌출부(500) 및 중앙 홈부(600)의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mold 720, the shapes of the lower groove 200, the corner protrusion 400, the lower protrusion 500, and the central groove 600 may be formed in an intaglio.

이에 따라, 재료(800)의 상부에는 하부 홈부(200), 모서리 돌출부(400), 하부 돌출부(500) 및 중앙 홈부(600)에 대응하는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groove part 200, the corner protrusion part 400, the lower protrusion part 500, and the central groove part 60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terial 800.

이후, 건조(S160) 공정을 거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블록 구조물(1A)이 완성될 수 있다.Thereafter, through the drying (S160) process, the floor block structure 1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leted.

도 24 내지 도 25에서 설명한 제조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블록 구조물(1A)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방법의 일례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in FIGS. 24 to 25 is an example of a manufacturing method for forming the floor block structure 1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described above,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6면체 형태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4개의 측면(SP1, SP2, SP3, SP4)에 각각 형성되며,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측면 홈부(Side Hollow Part,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상기 본체(10)의 4개의 측면(SP1, SP2, SP3, SP4)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돌출부(Side Protruding Part, 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 및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면 홈부(100)와 연결되는 하부 홈부(Bottom Hollow Part, 200, 200a, 200b, 200c, 200d);
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는
상기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좌측 부분에 형성되는 제 1 측면 홈부(First Side Hollow Part, 100a, 100c, 100e, 100g); 및
상기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우측 부분에 형성되는 제 2 측면 홈부(Second Side Hollow Part, 100b, 100d, 100f, 100h);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와 상기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좌측 끝단 사이의 간격(d1) 및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와 상기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우측 끝단 사이의 간격(d1)은 상기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와 상기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 사이의 간격(d3)보다 작은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면(Upper Surface, US);
상기 상면(US)에 대응되는 하면(Bottom Surface, BS);
상기 상면(US)과 상기 하면(BS)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측면(First Side Surface, SP1);
상기 상면(US)과 상기 하면(BS)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측면(SP1)에 인접하는 제 2 측면(Second Side Surface, SP2);
상기 상면(US)과 상기 하면(BS)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측면(SP2)에 인접하는 제 3 측면(Third Side Surface, SP3); 및
상기 상면(US)과 상기 하면(BS)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측면(SP1) 및 상기 제 3 측면(SP3)에 인접하는 제 4 측면(Fourth Side Surface, SP4);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 및 상기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는 상기 제 1, 2, 3, 4 측면(SP1, SP2, SP3, SP4)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면(SP1)과 상기 제 4 측면(SP4) 사이의 경계부분과 상기 제 1 측면(SP1)에 형성된 상기 측면 돌출부(300a) 사이의 간격(d4)은 상기 제 3 측면(SP3)과 상기 제 4 측면(SP4) 사이의 경계부분과 상기 제 3 측면(SP3)에 형성된 상기 측면 돌출부(300f) 사이의 간격(d5)과 서로 다르며,
상기 하부 홈부(200, 200a, 200b, 200c, 200d)는,
상기 제 1 측면(SP1)과 상기 제 4 측면(SP4) 사이 경계부분에 대응되는 제 1 하부 홈부(First Bottom Hollow Part, 200a);
상기 제 2 측면(SP2)과 상기 제 1 측면(SP1) 사이 경계부분에 대응되는 제 2 하부 홈부(Second Bottom Hollow Part, 200b);
상기 제 3 측면(SP3)과 상기 제 2 측면(SP2) 사이 경계부분에 대응되는 제 3 하부 홈부(Third Bottom Hollow Part, 200c); 및
상기 제 4 측면(SP4)과 상기 제 3 측면(SP3) 사이 경계부분에 대응되는 제 4 하부 홈부(Fourth Bottom Hollow Part, 200d);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부 홈부(200a)는 상기 제 1 측면(SP1)에 형성되는 제 1 측면 홈부(100a)와 상기 제 4 측면(SP4)에 형성되는 제 2 측면 홈부(100h)와 공통 연결되고,
상기 제 2 하부 홈부(200b)는 상기 제 2 측면(SP2)에 형성되는 제 1 측면 홈부(100c)와 상기 제 1 측면(SP1)에 형성되는 제 2 측면 홈부(100b)와 공통 연결되고,
상기 제 3 하부 홈부(200c)는 상기 제 3 측면(SP3)에 형성되는 제 1 측면 홈부(100e)와 상기 제 2 측면(SP2)에 형성되는 제 2 측면 홈부(100d)와 공통 연결되고,
상기 제 4 하부 홈부(200d)는 상기 제 4 측면(SP4)에 형성되는 제 1 측면 홈부(100g)와 상기 제 3 측면(SP3)에 형성되는 제 2 측면 홈부(100f)와 공통 연결되는 바닥 블록 구조물.
A hexahedral body 10;
Side Hollow Part (Side Hollow Part,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is formed on each of the four sides (SP1, SP2, SP3, SP4) of the main body 10 and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 100f, 100g, 100h);
Side protruding parts (Side Protruding Part, 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respectively formed on four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of the main body 10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300g, 300h); And
A bottom hollow part (Bottom Hollow Part, 200, 200a, 200b, 200c, 200d) formed under the main body 10 and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side grooves 100;
Including,
The 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First Side Hollow Part (100a, 100c, 100e, 100g)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of the main body 10; And
Second Side Hollow Part (100b, 100d, 100f, 100h) formed on the right side of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of the main body 10;
Including,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side grooves 100a, 100c, 100e, and 100g and the left end of the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of the body 10 and the second side grooves 100b, 100d, 100f, 100h) and the distance d1 between the right end of the side surfaces SP1, SP2, SP3, and SP4 of the main body 10 is the first side groove 100a, 100c, 100e, 100g and the second side In the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xcellent water permeability less than the spacing d3 between the grooves 100b, 100d, 100f, 100h
The main body 10 is
Upper Surface (US);
A bottom surface (BS) corresponding to the top surface US;
A first side surface (SP1)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surface US and the lower surface BS;
A second side surface (SP2) loc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US) and the lower surface (BS) and adjacent to the first side surface (SP1);
A third side surface (SP3) loc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US) and the lower surface (BS) and adjacent to the second side surface (SP2); And
A fourth side surface (SP4) loc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US) and the lower surface (BS) and adjacent to the first side surface (SP1) and the third side surface (SP3);
Including,
The first side grooves (100a, 100c, 100e, 100g) and the second side grooves (100b, 100d, 100f, 100h) are on the first, 2, 3, and 4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Each formed,
A distance d4 between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rst side surface SP1 and the fourth side surface SP4 and the side protrusion 300a formed on the first side surface SP1 is defined as the third side surface SP3 and It is different from the distance d5 between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ourth side surface SP4 and the side protrusion 300f formed on the third side surface SP3,
The lower grooves 200, 200a, 200b, 200c, 200d,
A first bottom hollow part 200a corresponding to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rst side surface SP1 and the fourth side surface SP4;
A second bottom hollow part 200b corresponding to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second side surface SP2 and the first side surface SP1;
A third bottom hollow part 200c corresponding to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third side surface SP3 and the second side surface SP2; And
A fourth bottom hollow part 200d corresponding to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ourth side surface SP4 and the third side surface SP3;
Including,
The first lower groove portion 200a is commonly connected to a first side groove portion 100a formed on the first side surface SP1 and a second side groove portion 100h formed on the fourth side surface SP4,
The second lower groove portion 200b is commonly connected to a first side groove portion 100c form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SP2 and a second side groove portion 100b formed on the first side surface SP1,
The third lower groove portion 200c is commonly connected to a first side groove portion 100e formed in the third side surface SP3 and a second side groove portion 100d formed in the second side surface SP2,
The fourth lower groove portion 200d is a bottom block commonly connected to a first side groove portion 100g formed in the fourth side surface SP4 and a second side groove portion 100f formed in the third side surface SP3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의 최대 깊이(h1, h1a, h1b)는 상기 측면 돌출부(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의 최대 높이(h2)보다 큰 바닥 블록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maximum depth (h1, h1a, h1b) of the 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is the side protrusions 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 300g, 300h) of a floor block structure larger than the maximum height (h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면(BS) 측에서 상기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의 깊이(h1b)는 상기 본체(10)의 상면(US) 측에서 상기 측면 홈부(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의 깊이(h1a)보다 크고,
상기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와 상기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좌측 끝단 사이의 간격(d1) 및 상기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와 상기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우측 끝단 사이의 간격(d1)은 상기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의 폭(d2, d2a, d2b) 및 상기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의 폭(d2, d2a, d2b)보다 작고,
상기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와 상기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좌측 끝단 사이의 간격(d1) 및 상기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와 상기 본체(10)의 측면(SP1, SP2, SP3, SP4)의 우측 끝단 사이의 간격(d1)은 상기 제 1 측면 홈부(100a, 100c, 100e, 100g)의 깊이(h1, h1a, h1b) 및 상기 제 2 측면 홈부(100b, 100d, 100f, 100h)의 깊이(h1, h1a, h1b)보다 큰 바닥 블록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depth (h1b) of the 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from the lower surface (BS) side of the main body 10 is the upper surface (US) of the main body 10 Is greater than the depth h1a of the side grooves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side grooves 100a, 100c, 100e, and 100g and the left end of the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econd side grooves 100b, 100d , 100f, 100h) and the distance d1 between the right end of the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of the main body 10 is the width d2 of the first side grooves 100a, 100c, 100e, 100g , d2a, d2b) and the widths d2, d2a, d2b of the second side grooves 100b, 100d, 100f, 100h,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side grooves 100a, 100c, 100e, and 100g and the left end of the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econd side grooves 100b, 100d , 100f, 100h) and the distance d1 between the right end of the side surfaces SP1, SP2, SP3, SP4 of the main body 10 is the depth h1 of the first side grooves 100a, 100c, 100e, 100g , h1a, h1b) and the second side groove (100b, 100d, 100f, 100h) of the floor block structure greater than the depth (h1, h1a, h1b).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BS)의 각 모서리(Corner)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 돌출부(Corner Protruding Part, 400, 400a, 400b, 400c, 400d); 및
상기 하면(BS)의 상기 제 1 하부 홈부(200a), 상기 제 2 하부 홈부(200b), 상기 제 3 하부 홈부(200c) 및 상기 제 4 하부 홈부(200d)의 경계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돌출부(Bottom Protruding Part, 5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돌출부(500)에는 상기 수직방향으로 함몰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홈부(Central Hollow Part, 600)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홈부(600)의 최대 깊이(h6)는 상기 하부 홈부(200, 200a, 200b, 200c, 200d)의 최대 깊이(h3, h3a, h3b)보다 작고,
상기 모서리 돌출부(400, 400a, 400b, 400c, 400d)는
상기 제 1 하부 홈부(200a)에 둘러싸이는 제 1 모서리 돌출부(First Corner Protruding Part, 400a);
상기 제 2 하부 홈부(200b)에 둘러싸이는 제 2 모서리 돌출부(Second Corner Protruding Part, 400b);
상기 제 3 하부 홈부(200c)에 둘러싸이는 제 3 모서리 돌출부(Third Corner Protruding Part, 400c); 및
상기 제 4 하부 홈부(200d)에 둘러싸이는 제 4 모서리 돌출부(Fourth Corner Protruding Part, 400d);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돌출부(500)의 높이(h5)는 상기 모서리 돌출부(400, 400a, 400b, 400c, 400d)의 높이(h4)와 동일한 바닥 블록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A corner protruding part 400, 400a, 400b, 400c, 400d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lower surface BS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t is formed at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rst lower groove portion 200a, the second lower groove portion 200b, the third lower groove portion 200c, and the fourth lower groove portion 200d of the lower surface BS, and the vertical A bottom protruding part 500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cluding more,
At least one central hollow part 600 rec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lower protrusion 500,
The maximum depth h6 of the central groove part 600 is smaller than the maximum depths h3, h3a, h3b of the lower groove parts 200, 200a, 200b, 200c, 200d,
The corner protrusions 400, 400a, 400b, 400c, 400d are
A first corner protruding part 400a surrounded by the first lower groove part 200a;
A second corner protruding part 400b surrounded by the second lower groove part 200b;
A third corner protruding part 400c surrounded by the third lower groove part 200c; And
A fourth corner protruding part 400d surrounded by the fourth lower groove part 200d;
Including,
The height h5 of the lower protrusion 500 is the same as the height h4 of the corner protrusions 400, 400a, 400b, 400c, and 400d.




KR1020190024304A 2019-02-28 2019-02-28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nhanced water permeability KR1022182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304A KR102218241B1 (en) 2019-02-28 2019-02-28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nhanced water perme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304A KR102218241B1 (en) 2019-02-28 2019-02-28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nhanced water perme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603A KR20200105603A (en) 2020-09-08
KR102218241B1 true KR102218241B1 (en) 2021-02-22

Family

ID=7245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304A KR102218241B1 (en) 2019-02-28 2019-02-28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nhanced water perme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24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521Y1 (en) * 2004-04-02 2004-06-30 김영우 footpath block
KR101865231B1 (en) * 2017-02-23 2018-07-13 정문비 no sinking block structure with rainwater storage and meathod of keeping be stored rainwa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754Y1 (en) 2001-03-09 2001-10-06 최준성 A pedestrian block with water-passing function
KR200381399Y1 (en) 2005-01-27 2005-04-11 주식회사 천보콘크리트 Sidewalk bolck for water permeability
KR20140144604A (en) * 2013-06-11 2014-12-19 주식회사 에코우진 Vegetation shore protection block
KR20150001962A (en) * 2013-06-28 2015-01-07 홍성식 Sidewalk block and sidewalk block structur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521Y1 (en) * 2004-04-02 2004-06-30 김영우 footpath block
KR101865231B1 (en) * 2017-02-23 2018-07-13 정문비 no sinking block structure with rainwater storage and meathod of keeping be stored rain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603A (en) 202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62712C (en) Paving unit
US5645369A (en) Plate-shaped paving stone, in particular made of concrete
CA2846949C (en) Twisted block for paving and edging
US20190352857A1 (en) Linkage brick assembly and assembly method thereof
US3557669A (en) Paving block and paving formed therewith
US4052131A (en) Paving stone
KR102218241B1 (en)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nhanced water permeability
KR102222602B1 (en)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nhanced water permeability
US3343468A (en) Paving block
CN1152179C (en) Blocks for wall surface of houses
KR102222590B1 (en) Floor block structure having enhanced water permeability and floor block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0699464B1 (en) Multilayer type water sink into a block
KR20150106105A (en) The eco-grass block
KR20120133802A (en) Auto-Joint Function with Block Structure
CN208415025U (en) A kind of regeneration concrete lawn brick
JP5108744B2 (en) Greening road surface forming block and greening road surface on which the block is laid
KR102252400B1 (en) Water retaining paver block
KR200340214Y1 (en) Permeable walking block
KR102468730B1 (en) Road surface grooving structure
CN208121496U (en) A kind of ventilative paving structure of ancient tree
JP2001064903A (en) Laying tile member and method for laying the same
KR101027320B1 (en) Retaining wall made of squared lumber
CN210712740U (en) Ecological wall of hydraulic engineering
CN213295941U (en) Grass planting brick
KR200283005Y1 (en) Synthetic plate concrete block structure preventing fall of road's sl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