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884B1 -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지원하는 터널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지원하는 터널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884B1
KR102216884B1 KR1020200073585A KR20200073585A KR102216884B1 KR 102216884 B1 KR102216884 B1 KR 102216884B1 KR 1020200073585 A KR1020200073585 A KR 1020200073585A KR 20200073585 A KR20200073585 A KR 20200073585A KR 102216884 B1 KR102216884 B1 KR 102216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l area
area network
tunnel
wireless local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협
권희웅
Original Assignee
넥스컨텔레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스컨텔레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스컨텔레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3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10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 H04L61/103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across network layers, e.g. resolution of network layer into physical layer addresses or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0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92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tunnelling or 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터널 서버의 동작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무선 단말에서의 비대칭 통신에 대한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제 1 경로 및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mobile cellular network) 기반의 제 2 경로를 포함하는 터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대칭 통신은 상기 무선 단말의 다운링크(downlink) 데이터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상기 제 1 경로를 이용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업링크(uplink) 데이터는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기반의 상기 제 2 경로를 이용하여 비대칭적으로 송수신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지원하는 터널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TUNNEL SERVER SUPPORT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BASED ASYMMETRIC COMMUNC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UNNEL SERVER}
본 발명은 무선 근거리 통신 동작을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의 커버리지(Coverage)를 높이기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의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무선 통신 단말 장치는 장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예를 들어,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및 5G NR(New Radio) 네트워크와 같은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mobile cellular network))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상에서 동시에 통신한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통신은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경우,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는 단말의 신호에 비해 멀리까지 전달된다. 액세스 포인트에서 단말이 멀어지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단말까지의 데이터를 전달이 가능한데, 단말로부터 액세스 포인트까지의 데이터는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전면적으로 끊고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를 이용하게 되는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 비해 별도의 통신료가 부과되는 장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의 특성상 단말의 사용자 입장에서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수신이 가능함에도 전면적으로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를 사용해야 하기에 통신 비용 부분에서 부담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보통의 경우, 단말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보다는 수신하는 양이 더 많기 때문에, 위와 같은 통신 방법의 전환은 사용자 입장에서는 비효율적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목적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위한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은 되어 있으나 데이터가 서로 전달되지 않는 상황에 LTE와 같은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비대칭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터널 서버의 동작 방법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무선 단말에서의 비대칭 통신에 대한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제 1 경로 및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mobile cellular network) 기반의 제 2 경로를 포함하는 터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대칭 통신은 상기 무선 단말의 다운링크(downlink) 데이터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상기 제 1 경로를 이용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업링크(uplink) 데이터는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기반의 상기 제 2 경로를 이용하여 비대칭적으로 송수신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터널에, 상기 무선 단말과 연관된 IP 주소가 아닌, 별도의 터널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P 주소 및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P 주소는 상기 별도의 터널 식별자와 매핑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IP 주소 및 상기 모바일 인터페이스 IP 주소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터널 식별자를 통해 상기 터널 및 그와 연관된 상기 무선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P 주소,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P 주소 및 상기 별도의 터널 식별자에 대한 매핑 관계에 현재 무선 단말의 통신 방식에 대한 정보를 함께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전면적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 전면적인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및 상기 비대칭 통신 중 하나로의 통신 방식 전환을 지시하는 지시 패킷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 무선 단말의 통신 방식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지시 패킷을 수신한 때, 상기 제 1 경로 상의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 2 경로 상의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핑 관계는 상기 제 1 경로와 연관된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 2 경로와 연관된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와 공유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임의의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로 향하는 패킷을 수신한 때, 원본 패킷의 목적지 IP(Destination IP)에 대해 SNAT(Source Network Address Translation)를 통한 역변환을 수행하여 무선 단말의 가상 인터페이스 IP를 복원하는 단계, 상기 매핑 관계를 참조하여 터널링 헤더를 부착함에 의해 상기 무선 단말로의 터널링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기 생성된 터널링 패킷을 내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널링 패킷의 터널링 헤더에는 터널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터널링 헤더의 목적지 IP(Destination IP)는 상기 무선 단말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IP 주소(mobile interface IP address)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 연관된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IP 주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임의의 서버로 향하는 패킷을 수신한 때, 상기 패킷의 터널링 헤더를 제거하고 원본 패킷으로 복원하는 단계, 상기 원본 패킷의 소스 IP(source IP)에 대해 SNAT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SNAT가 수행된 패킷을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비대칭 통신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 1 경로를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상기 무선 단말의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제어정보 및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관련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2 경로 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AP)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구간 또는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구간을 탐지하기 위한 탐지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탐지 패킷에 대한 응답을 상기 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응답을 기반으로 비대칭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에 구비된 가상 인터페이스 IP 주소(virtual interface IP address)와 동일한 IP 대역의 고정된 IP 주소를 갖는 가상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터널 서버 장치는, 무선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 단말에서의 비대칭 통신에 대한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제 1 경로 및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mobile cellular network) 기반의 제 2 경로를 포함하는 터널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터널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비대칭 통신은 상기 무선 단말의 다운링크(downlink) 데이터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상기 제 1 경로를 이용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업링크(uplink) 데이터는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기반의 상기 제 2 경로를 이용하여 비대칭적으로 송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에 따르면, LTE의 데이터를 최소로 사용하면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통신 거리를 더 늘릴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입장에서 통신료를 절감하고 무선 자원의 사용 효율을 제고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전달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통신 방법에 의해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커버리지가 확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통신 방법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단말로부터 서버로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통신 방법에 있어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 LTE 중 하나로 데이터 전송 및 송신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터널 서버에서 특정 단말과 연관된 터널을 식별하고 복수의 터널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통신 방법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단말로부터 서버로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터널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통신 방법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서버로부터 단말로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터널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통신 방법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서버로부터 단말로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통신 방식에서 데이터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터널 서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은 이동국(MS),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터미널, 고정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셀룰러 전화,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송수신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모바일국, 개인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폰, 랩톱, 넷북, 개인용 컴퓨터, 무선 센서, 소비자 전자기기(CE)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세스 포인트(AP)는 무선장비를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로, 무선 허브 역할을 하는 기기를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단말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중계기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서비스 포인트(service point)라고 불릴 수 있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는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소수의 장치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이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로 불릴 수 있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와이파이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는 내용에 와이파이 외의 다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한 것일 것이다.
모바일 셀룰라 네트워크는 장소를 가리지 않고 이동통신망 사업자가 설치한 기지국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연결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장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로, LTE(Long Term Evolution), LTE-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cation), 5G 네트워크(NR: New Radio), 3G 네트워크, 와이브로(Wibro)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LTE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는 내용에 LTE 외의 다른 모바일 셀룰라 네트워크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한 것일 것이다.
기지국은 모바일 셀룰라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을 말하며, 베이스 스테이션(BS: base station), 노드-B(Node-B), eNB(evolved-NodeB), gNB(Next Generation nodeB), en-gNB, ng-eNB, 어드밴스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HR-BS, 사이트 제어기, BTS(base transceiver system), 또는 무선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진 않는다.
도 1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전달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1)이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즉, 데이터 전송과 데이터 수신이 모두 가능하다. 반면, 사용자 단말(120-2)이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일정 거리보다 떨어져 위치한 경우, 사용자 단말(120-2)로부터의 송출 신호는 액세스 포인트(110)에 전달이 불가능하고, 액세스 포인트(110)에서의 송출 신호는 사용자 단말(120-2)에서 수신이 가능한 상황이 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10)의 송출신호는 단말(120-1, 120-2)에서의 송출신호보다 강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10)는 400m까지 신호를 전송하는데 비해, 단말(120-1, 120-2)은 50 내지 150m 까지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HTTP를 통한 데이터 전송, 멀티미디어 컨텐츠 스트리밍과 같은 상황에서,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의 트래픽(traffic)은 송신량보다는 수신량이 많기 때문에, 단말(120-2)에서의 송신이 불가능하지만,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의 수신이 가능한 상황에서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만이라도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의 무선 자원을 절약하는 방안이 적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통신 방법에 의해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커버리지가 확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220)은 액세스 포인트(210)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위치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210)로부터의 무선신호의 세기를 감지한다. 단말(220)은 무선신호의 세기가 일정 기준값 이상으로 양방향 통신에 문제가 없을 때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그러다가, 일정 기준값 이하의 무선신호 세기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단말(220)은 업링크 데이터는 모바일 셀룰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다운링크 데이터는 액세스 포인트(210)로부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220)은 단말의 전송 커버리지보다는 액세스 포인트(21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나, 액세스 포인트의 전송 커버리지보다는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통신 비율은 1 대 5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대 7 정도 되기에, 단말(220)에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은 불가하더라도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이라도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은 무선자원의 활용 효율성 측면에서 매우 이득일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채널을 사용해야 하기에, 터널링(tunnel)을 사용하여, 하나의 터널을 통해 두 개의 채널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채널의 제어는 터널 서버(tunnel server)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단말(220)이 액세스 포인트(21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전송 커버리지보다도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와이파이를 이용한 통신은 양방향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를 모두 LTE로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통신 방법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단말로부터 서버로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통신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터널 서버(310), 액세스 포인트(320), 기지국(330) 및 단말 장치(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340)은 통신 모듈, 프로세서(미도시) 및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인터페이스(342: WIFI Interface), 모바일 인터페이스(344: Mobile Interface) 및 가상 인터페이스(346: Virtual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인터페이스(342)는 와이파이 통신을 위한 모듈이고, 모바일 인터페이스(344)는 LTE와 같은 모바일 셀룰라 통신을 위한 모듈이다. 가상 인터페이스(346)는 가상 IP를 제어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348)을 실행한다. 애플리케이션(348)은 특정 서버(미도시)(서버와 연관된 URL)로 데이터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특정 서버를 목적지로 하여 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와이파이 인터페이스(342) 및 모바일 인터페이스(344)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때, 패킷의 IP 헤더의 소스 IP는 가상 인터페이스(346)의 가상 IP(VI_IP)를 사용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348)은 실제로 와이파이를 통해 패킷이 전달되든, LTE를 통해 패킷이 전달되든 영향을 받지 않는다. 원본 패킷은 IP 헤더와 TCP/UDP 헤더, 그리고 페이로드로 구성될 수 있다. IP 헤더의 소스 IP는 가상 IP(VI_IP)가 되고, 목적지 IP는 서버의 IP(NA_IP)가 될 수 있다. 원본 패킷은 가상 인터페이스(346)를 매개로 와이파이 인터페이스(342) 및 모바일 인터페이스(344)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단말(340) 외부로 전송된다. 동시에 두 개 인터페이스(344, 346)를 모두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는 비대칭 통신 방식을 지원하기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미도시)을 실행하여 와이파이와 LTE의 신호 세기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기반으로 업링크 통신과 다운링크 통신 각각에 대해 LTE와 와이파이 중 하나의 통신방식을 선택한다. 이때, 단말(340)은 우선적으로 와이파이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파이가 사용 가능하다면, 통신 자원의 이용 및 그에 따른 과금 측면에서 와이파이가 LTE보다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파이의 통신 상태(신호의 세기)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다만, 사용자 설정에 따라 LTE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은 와이파이 인터페이스(342)를 통해 수신되는 액세스 포인트(320)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의 세기 정보를 기반으로 그에 대응하는 통신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되면, 와이파이 인터페이스(342) 및 모바일 인터페이스(344)는 결정된 통신방식을 기반으로 제어된다. 결정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348)에서 생성된 원본 패킷은 터널링과 관련된 헤더를 붙여 액세스 포인트(320) 및/또는 기지국(330)으로 전달된다.
한편, 단말(340)은 터널을 사용하여 와이파이 인터페이스(342)와 모바일 인터페이스(344) 간의 전환시에 통신이 끊기지 않도록 한다. 상기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은 가상 인터페이스(346)의 가상 IP 주소를 통해 끊김 없는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가상 IP 주소는 단말 고유의 IP 주소일 수 있다. 이는, 터널 서버(310)와의 네고시에이션(negotiation)시 발급될 수 있다. 터널 서버(310)와 네고시에이션을 수행하고, 이 과정에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와 같은 방법, 또는 자체적인 IP 주소 관리 방법에 의해 발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급된 가상 IP는 단말로 제공되고, 가상 인터페이스(346)는 이를 관리한다. 이때, 단말의 가상 인터페이스와 연동하는 터널 서버의 가상 인터페이스의 가상 IP 주소도 동일한 IP 대역의 임의의 값을 갖는다.
와이파이 인터페이스(342)와 모바일 인터페이스(344)는 가상 인터페이스(346)를 매개로 애플리케이션(348)에서 생성된 원본패킷을 수신하여 터널링 헤더와 터널링을 위한 IP 헤더와 UDP 헤더를 추가한 후, 액세스 포인트(320) 및 기지국(330)으로 각각 전달한다. 와이파이 인터페이스(342)를 통해 전달되는 패킷에는 터널링을 위한 IP 헤더 정보의 목적지 IP는 터널 서버(340)의 IP(TS_IP)가 설정되고 소스 IP는 와이파이 IP(WI_IP)가 설정되도록 한다. 모바일 인터페이스(344)를 통해 전달되는 패킷에서는, 터널링을 위한 IP 헤더 정보의 목적지 IP는 동일하게 터널 서버(340)의 IP(TS_IP)가 설정되고, 소스 IP는 모바일 IP(MI_IP)가 설정되도록 한다. 터널링 헤더는 인증정보와 식별자 정보를 포함한다. 식별자는 특정 터널임을 나타내는 터널 식별자로, 단말(340) 및/또는 서버(310)가 생성할 수 있다. 이는, 단말의 MAC 주소나 단말기에 포함된 소정의 고유정보를 통해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서버(310)에서 UUID와 같은 고유식별자를 생성하는 방법을 통해 단말(340)에게 최초 통신 개시시에 생성하여 전달함으로써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단말(340)은 터널 식별자를 통해 WIFI_IP(WI_IP), LTE_IP(MI_IP)를 등록하고, 이를 이용하여 터널링과 관련된 헤더를 붙여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340)은 WIFI 또는 LTE의 사용(Downlink, uplink)에 대한 정보를 상태가 변경될 때 전송하여 터널서버(310)가 응답을 보낼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단말(340)에서 사용가능한 통신방식은 전면적인 와이파이 통신(Fully WIFI), 전면적인 LTE 통신(Fully LTE) 및 와이파이를 통한 다운링크 수신과 LTE를 통한 업링크 전송이 공존하는 비대칭 통신(Down WIFI/Up LTE)을 포함한다.
통신방식의 결정을 위해, 단말(340)은 와이파이 신호의 세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와이파이 접속이 원활하면, 와이파이 인터페이스(342)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와이파이 신호가 약해져서, 수신만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모바일 인터페이스(344)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고, 와이파이 인터페이스(342)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를 WIFI Sticky Problem 상태라고 부를 수 있다. 이때는, 비대칭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파이 신호가 완전히 잡히지 않는 경우, 모바일 인터페이스(344)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액세스 포인트(320)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단말(340)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을 수신하여 터널 서버(310)로 전송한다.
기지국(330)은 모바일 셀룰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단말(34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터널 서버(310)로 전송한다. 특히, 비대칭 통신 상태에서도, 기지국(330)은 단말(340)로부터 모바일 셀룰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
터널 서버(310)는 인터넷 상에 접속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다. 터널 서버(310)는 특정 단말(340)에 대해 하나의 터널을 생성할 수 있다. 터널은 2개의 플로우(flow)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플로우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IP 주소(Mobile Interface IP address)를 포함한 플로우 및 와이파이 인터페이스 IP 주소를 포함한 플로우(WIFI Interface IP address)를 포함한다.
터널 서버(310)는 백본(Backbone) 망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백본 망은 P-GW 또는 EPC(Evolved Packet Core)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320)와 기지국(330) 사이에 백홀 제어 커넥션 및/또는 무선 제어 커넥션을 공유한다. 터널 서버(310)는 이러한 접속 관계를 통해 와이파이 네트워크 및/또는 모바일 셀룰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수의 단말에 대한 통합적인 상태 관리가 가능하다. 터널 서버(310)는 네트워크에 등록된 단말의 모바일 IP 및 와이파이 IP를 통합 관리하며, 그들과 관련된 터널 및 그들의 통신 상태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패킷이 최초 전달될 때, 터널 서버(310)는 터널을 생성하기 때문에, 모든 패킷의 송수신은 터널 서버(310)를 통해 이루어진다. 터널 서버(310)는 터널을 생성할 때, IP 주소로 터널을 식별하는 것이 아니라, 앞서 설명한 별도의 터널 식별자를 통해 터널을 식별할 수 있다. 터널 서버(310)는 와이파이 인터페이스 IP 주소 또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IP 주소 중 어느 것을 포함하여 패킷을 수신하더라도 동일한 터널 식별자를 갖는 경우, 동일한 단말의 터널로 식별할 수 있다. 터널 생성 후, 모바일 인터페이스 IP 주소, 와이파이 IP 주소 및 터널 식별자와의 매핑 관계는 테이블을 통해 관리될 수 있고, 이러한 매핑 관계는 액세스 포인트(320), 기지국(330) 및 단말(340)과 공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통신 방법에 있어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 LTE 중 하나로 데이터 전송 및 송신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를 주기적으로 감지한다(S412). 단말은 감지된 무선신호의 세기를 제 1 기준값과 비교한다(S414). 제 1 기준값은 단말의 커버리지와 관련된 기준값일 수 있다. 제 1 기준값은 LTE 통신 준비를 위한 절차 및 시간을 고려하여 단말의 커버리지에 대응하는 값에 약간의 버퍼 구간을 고려한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단말로부터의 신호가 액세스 포인트에 도달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무선신호의 세기를 제 1 기준값과 비교한다. 제 1 기준값보다 무선신호의 세기가 크다면, 와이파이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고 계속하여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416).
만약, 제 1 기준값보다 낮은 세기가 감지됐다면, 단말로부터 액세스 포인트까지의 신호는 현재 또는 곧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단말은 LTE를 통한 통신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단말은 비대칭 통신 방식과 전면적인 LTE 통신 2가지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단말은 이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감지된 무선신호의 세기를 제 2 기준값과 비교한다(S418). 제 2 기준값은 액세스 포인트의 커버리지와 관련된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 2 기준값보다 높은 신호가 감지되면 비대칭 통신으로, 제 2 기준값보다 낮은 신호가 감지되면 전면적인 LTE 통신으로 통신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S424). 제 2 기준값보다 높은 신호 세기가 감지되면, 단말은 LTE를 통해 WIFI 구간을 탐지하는 패킷을 터널 서버로 전송한다(S420). 터널 서버로부터 응답 패킷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S422), 만약 응답패킷이 수신되지 않으면, 단말은 LTE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S424)(전면적인 LTE), 응답패킷이 수신되면, WIFI를 통한 데이터 수신 그리고 LTE를 통한 데이터 송신이 이루어지는 비대칭 통신 방식을 사용한다(S426). 단말은 통신 방식의 전환에 있어서, WIFI 구간 또는 LTE 구간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이를 탐지하는 패킷을 터널 서버로 전송하고, 터널 서버는 가용 구간을 확인 후 응답패킷을 전송함으로써 해당 통신 방식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
한편, 통신방식이 와이파이 통신에서 비대칭 통신으로 전환될 때, 액세스 포인트는 비대칭 통신의 개시를 단말의 지시 패킷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지시 패킷은 터널 서버를 매개로 수신할 수 있다. 지시 패킷 수신 이후에는 업링크 데이터의 수신이 LTE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고, 액세스 포인트는 ACK/NACK과 같은 제어정보 및 채널정보의 수신과 관련된 통신 프로토콜을 수정할 수 있다. 즉, 와이파이를 통해서는 단방향으로 단말로의 전송만이 이루어지고, 제어정보는 기지국을 매개로 터널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으로 전환한다. 결국,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정보의 수신처를 단말이 아닌 터널서버로 수정한다.
다른 예에서, 통신방식이 (i) 비대칭 통신에서 전면적인 LTE 통신으로 전환될 때, (ii) 전면적인 LTE에서 비대칭 통신으로 전환될 때 또는 (iii) 비대칭 통신에서 전면적인 와이파이 통신으로 전환될 때, 단말은 통신 방식의 전환 및 전환된 통신방식의 개시를 지시하는 패킷을 기지국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터널서버로 제공한다. 터널서버는 전환된 현재의 통신방식을 상태 정보로써 저장한다. 그리고는, 전환된 통신방식의 개시를 지시하는 패킷을 액세스 포인트와 기지국으로 제공함으로써 이를 공유한다. 액세스 포인트 및 기지국은 전환된 통신방식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의 전송 및/또는 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신 프로토콜을 적절히 수정할 수 있다.
도 5는 터널 서버에서 특정 단말과 연관된 터널을 식별하고 복수의 터널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터널 서버(510)는 내부 인터페이스(510), 터널 관리부(514) 및 외부 인터페이스(516)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터널 서버(510)는 단말들(520-1, 520-2)로부터 탐지 패킷을 수신한다. 탐지패킷은 모바일 구간 또는 와이파이 구간을 체크하는 요청이 포함되며, 터널서버(510)는 이에 대한 응답을 수행한다.
내부 인터페이스(512)는 단말측 통신망과 통신하는 통신 모듈이다. 내부 인터페이스는 터널 서버의 내부 IP(TS_IP)를 통해 패킷을 수신한다. 수신되는 패킷은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버로 전송하는 일반 데이터 패킷뿐만 아니라 LTE 및/또는 와이파이 구간을 탐지하는 탐지 패킷을 포함한다. 내부 인터페이스(512)는 수신된 탐지패킷에 대응하여 해당 단말에 적합한 와이파이 및/또는 LTE 구간이 존재하는지 파악하여 존재할 경우, 그에 대한 응답패킷을 전송한다.
터널 관리부(514)는 단말로부터 패킷이 최초 도착시 또는 단말과의 최초 네고시에이션시 해당 단말과 관련된 터널을 생성하고 단말의 와아파이 IP(WI_IP), LTE IP(MI_IP)를 등록하여 관리한다. 터널 관리부(514)는 단말의 와아파이 IP(WI_IP), LTE IP(MI_IP)를 터널 식별자(Tid)와 매칭시켜 관리한다. 이때, 가상 IP 및/또는 MAC 주소도 함께 매칭되어 관리할 수 있다. 이는 테이블 형태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와아파이 IP(WI_IP)와 LTE IP(MI_IP)는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IP들은 유동적이다. 핸드오버를 통해 다른 액세스 포인트 및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될 시, 새롭게 IP를 할당받을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터널 식별자(Tid)와 매칭되는 와아파이 IP(WI_IP)와 LTE IP(MI_IP)는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와아파이 IP(WI_IP)와 LTE IP(MI_IP)가 변경되는 상황에서도 터널 서버(510)는 고유식별자인 Tid를 통해 터널 및 그와 연관된 단말을 식별하기 때문에 핸드오버 상황에서도 무리없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통신 방식 전환과 관련된 지시 패킷을 수신하여 현재 해당 단말의 통신 상태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통신 방식의 전환이 있을 때, 관련된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으로 이를 알려주어 액세스포인트 또는 기지국에서 통신 프로토콜의 변화(다운링크 통신과 관련된 제어정보의 수신처의 변화)를 주도록 제어한다.
터널 관리부(514)는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패킷들을 수신하여 터널링 헤더를 제거하고 원본 패킷으로 복원한다.
외부 인터페이스(516)는 단말측(클라이언트 측)이 아닌, 서버측 통신망과 통신하는 통신모듈이다. 외부 인터페이스(516)는 고유의 IP(TSX_IP)를 통해 서버와 통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상 내부 인터페이스(512)와 외부 인터페이스(516)를 별도의 통신 모듈로 기술하였으나, 이는 동일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즉, TS_IP와 TSX_IP 역시 동일한 주소일 수 있고, 위 두 인터페이스(512, 516) 역시 하나의 동일한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단말에서의 가상 인터페이스와 같이, 터널 서버(510)에서도 TS_IP 외에 가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와 같은 통신 모듈이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명세서 상에서 내부 인터페이스(512)와 외부 인터페이스(516)가 별도로 표현되고 TS_IP와 TSX_IP로 그 IP 주소도 복수 개로 표현된다고 할지라도, 위 두 인터페이스는 같은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고 위 두 IP 주소 역시 동일한 IP 주소로 구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터널 서버의 동작과 관련하여서는, 도 6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통신 방법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단말로부터 서버로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터널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터널 서버의 내부 인터페이스(612)는 액세스 포인트(620) 및 기지국(63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터널링 헤더가 붙은 패킷을 수신한다. 내부 인터페이스(612)를 통해 수신된 패킷은 가상 인터페이스(613)로 전달된다. 가상 인터페이스(613)는 단말의 가상 인터페이스와 미리 터널링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가상 인터페이스는 터널 인터페이스라 부를 수 있다. 터널 서버와 단말이 통신하는 사설망의 경우 동일한 IP 대역을 사용해야 하기에, 가상 인터페이스(613)를 두어 사설망 내에서 동일 IP 대역의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과의 관계에서, 가상 인터페이스(613)는 게이트웨이(gateway)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가상 인터페이스(613)의 IP는 고정된 IP일 수 있다.
한편, 가상 인터페이스(613)는 내부 인터페이스(612)를 통해 수신된 패킷을 터널 관리부(614)로 제공한다. 터널 관리부(614)는 가상 인터페이스(613)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에서 터널링 헤더를 제거하고 원본 패킷을 복원한다. 그리고는, 소스 NAT(source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수행부(618)로 패킷을 제공한다. 소스 NAT 수행부(618)는 SNAT(Source NAT)를 수행한다. 이는, 사설망에 있는 네트워크 IP 주소를 공인망 IP로 변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원본 패킷의 목적지 IP는 서버의 IP(NA_IP)로 동일하나, 소스 IP는 터널 서버(610)의 외부 인터페이스(616) 고유의 IP인 TSX_IP로 변경된다. 따라서, IP 헤더는 소스 IP: TSX_IP 및 목적지 IP: NA_IP로 변경된다. SNAT가 수행된 패킷은 외부 인터페이스(616)를 통해 목적지인 서버(650)로 제공된다. 이로써, 단말로부터 와이파이 인터페이스 및/또는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통한 서버로의 패킷 전송이 완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통신 방법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서버로부터 단말로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터널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의 과정은 도 3 및 도 6의 단말로부터 서버로의 패킷 전달 과정의 역과정이다. 서버에서 단말로 패킷 전송시에도 와이파이나 LTE 중 어느 방향으로 패킷이 전달되더라도 동일 세션(session)의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750)는 원본 패킷을 터널 서버(710)로 제공한다. 이때, IP 헤더는 소스 IP: NA_IP, 그리고 목적지 IP: TSX_IP를 포함한다. 외부 인터페이스(716)는 이를 수신한다. 그리고는, SNAT를 위해 소스 NAT 수행부(718)로 수신한 패킷을 전달한다. 소스 NAT 수행부(718)는 SNAT를 통한 역변환을 통해, 공인망의 IP를 사설망의 IP로 변경한다. 이에 따라 목적지 IP가 TSX_IP에서 VI_IP, 즉, 가상 IP로 변경된다. 이렇게 목적지 IP가 변경된 패킷은 터널 관리부(714)로 제공된다. 터널 관리부(714)는 도 5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터널링 패킷을 생성한다. 이때, 원본 패킷에 터널링 헤더를 붙일 수 있다. 터널링을 위한 헤더의 IP 헤더의 소스 IP는 터널서버(710)의 내부 인터페이스(712)의 IP인 TS_IP로 설정된다. 이는 와이파이 통신과 LTE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목적지 IP는 와이파이로 전달되는 패킷에는 단말의 와이파이 IP(WI_IP)가 되며, LTE로 전달되는 패킷에는 단말의 LTE IP(MI_IP)가 되도록 설정된다. 와이파이 전달 패킷은 액세스 포인트(720)로 전달되고, LTE 전달 패킷은 기지국(730)으로 전달된다.
이때, 도 5의 테이블의 현재 통신 상태(status)를 참조하여, 단말의 통신 상태가 전면적인 LTE 통신 상태인지, 전면적인 와이파이 통신 상태인지, 아니면 다운링크 통신은 와이파이로 하고 업링크 통신은 LTE로 하는 비대칭 통신인지를 참조하여, 그에 맞는 패킷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터널 관리부(714)에서 터널링 헤더를 붙임에 의해 생성된 터널링 패킷은 가상 인터페이스(713)로 전달된다. 그리고는 내부 인터페이스(712)를 거쳐 액세스 포인트(720) 및/또는 기지국(730)으로 전달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통신 방법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서버로부터 단말로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터널서버(810)는 도 7에서 생성한 패킷들을 액세스 포인트(820) 및/또는 기지국(83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액세스 포인트(820) 및/또는 기지국(830)은 전달받은 패킷을 와이파이 인터페이스(842) 및/또는 모바일 인터페이스(844)로 각각 전달한다.
와이파이 인터페이스(842) 및/또는 모바일 인터페이스(844)는 각각 터널 헤더를 제거한 후, 원본 패킷만 떼어내어 가상 인터페이스(846)로 제공하고, 가상 인터페이스(846)는 이를 애플리케이션(848)으로 전달한다. 애플리케이션(848)은 패킷 송수신시, 와아파이를 통한 경로로 전달되다가 LTE로 전달되거나 그 반대로 전환되더라도 결과적으로 가상 인터페이스(846)의 가상 IP로 송수신되는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통신 방식에서 데이터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와이파이 인터페이스(910)와 모바일 인터페이스(920)는 데이터의 수신과 데이터 전송을 각각 수행한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은 가능하나,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과 관련된 제어정보의 액세스 포인트로의 제공이 와이파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절차가 정의될 필요가 있다. 와이파이 인터페이스(910)와 모바일 인터페이스(920)는 직간접적으로 서로 통신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정보는 물리 계층(physical layer)에서의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및 이에 대한 물리 계층 제어정보의 전달과 관련하여, 먼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는 와이파이 인터페이스(910)를 통해 수신된다. 데이터가 잘 수신됐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신된 데이터는 프로세서(930)의 통신 방법 결정을 위한 애플리케이션(미도시)으로 제공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가 적절하게 수신됐는지 확인한다. 그리고는, 그에 대한 ACK/NACK을 포함하여, 현재 와이파이 채널 상태에 대한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제어 패킷을 모바일 인터페이스(920)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달한다. 기지국으로 전달된 제어패킷은 터널서버를 거쳐 액세스포인트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터널서버로부터 액세스포인트까지 상기 제어 패킷의 전달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터널서버와 액세스포인트 사이에는 별도의 터널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 패킷에는, 특정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몇 번째 다운링크 패킷에 대한 제어 패킷임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즉, 와이파이 IP 및/또는 터널 식별자, 그리고 패킷 인덱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어 패킷을 수신하여, 기전달된 다운링크 데이터가 잘 전달되었는지 판단함으로써 재전송 알고리즘(HARQ)의 실행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를 수행하여 다음 전달할 다운링크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 등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비대칭 통신에서의 업링크 데이터 송수신에서는 기지국과 단말 간에 서로 데이터 전송뿐만 아니라 수신도 가능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하이브리드한 전달 방법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LTE의 기본적인 전달 방식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관련 패킷의 송수신도 비대칭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서, 비대칭 통신을 실행하는 중에, 액세스 포인트가 보유한 단말의 현재 MAC 주소의 유효기간이 만료된 경우, ARP 요청을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단말은 와이파이 인터페이스(910)를 통해 ARP 요청을 수신한다. 이에 대한 응답을 모바일 인터페이스(920)를 통해 전달한다. 단말은 모바일 인터페이스(920)를 통해 기지국을 거쳐 터널서버로 ARP 응답이 전송되도록 한다. 이때, 터널서버와 액세스 포인트 간에는 별도의 터널이 생성될 수 있다. 터널서버는 수신된 ARP 응답을 상기 별도의 터널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제공한다.
액세스 포인트가 단말이 비대칭 통신으로 데이터를 수신 중임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ARP 요청을 단말로 전달해야 할 때, 액세스 포인트는 ARP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터널(터널 서버와의 터널)을 미리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는, 단말이 상기 ARP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을 해당 터널을 통해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ARP 요청에 앞서 미리 제공될 수도 있고, ARP 요청과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단말이 상기 제어 신호와 ARP 요청을 수신하면, 단말은 기지국 및 터널서버를 거쳐 상기 기생성된 터널(터널 서버와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터널)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ARP 응답이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비대칭 통신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ARP의 갱신주기를 미리 설정된 기준 값보다 길게 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이 자신은 비대칭 통신을 사용 가능함을 알리는 지시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에 전달하고, 이를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는 비대칭 통신으로의 전환을 예비하여 ARP의 갱신 주기를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갱신 주기보다 길게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O/S 커널(O/S Kernel)과 사용자 레벨(User space)에서 전면적인 와이파이 통신, 전면적인 LTE 방식, 그리고 비대칭 통신 방식을 포함하는 통신방식을 지원한다. 먼저, 사용자 레벨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된다. 애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과 통신방식 지원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보이스 톡(voice talk) 등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에서 원본 패킷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원본 패킷은 O/S 커널 레벨로 보내진다. O/S 커널은 안드로이드(Android), Ios, 리눅스(Linux), 윈도우 및 OSX와 같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O/S 커널 레벨의 TCP/IP 스택에서 원본 패킷에 대한 TCP 헤더 및 IP 헤더 정보가 생성된다. 생성된 패킷은 터널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방식 지원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된다. 터널 인터페이스는 가상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터널 서버의 터널 인터페이스와 터널링되어 있을 수 있다. 터널링을 통해 네트워크가 구성된다. 이는 고정된 IP 주소이고, 와이파이 및 모바일 인터페이스이 IP 주소가 변경되어도 애플리케이션의 통신이 끊기지 않도록 한다.
한편, 통신방식 지원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BM 모듈, 인터페이스 모니터링 모듈, 소켓 및 트래픽 관리 모듈을 포함한다. BM 모듈은 위치기반(LBS: Location Based Service)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와이파이 및/또는 LTE의 신호 세기를 모니터링하여 리포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이 회원제로 지원될 때, 사용자 인증 서버로의 접속 및 과금 정보를 연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트래픽 모니터링 및 리포팅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 모니터링 모듈은 BM 모듈에서 모니터링된 와이파이 및/또는 모바일 인터페이스의 상태(접속 상태 및 신호세기 등)를 점검한다. 특히, 와이파이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최적의 통신방식을 결정한다. 와이파이 신호가 약할 때, 인터페이스 모니터링 모듈은 재접속을 시도하거나 타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또는, 비대칭 통신 방식 또는 모바일 통신 방식으로의 전환을 고려할 수 있다.
소켓은 앞서 생성된 원본 패킷을 터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인터페이스 모니터링 모듈의 통신방식 결정에 따라 그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로 제공한다. 소켓은 통신 상황에 맞게 와이파이 인터페이스 및 모바일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와이파이 인터페이스와 모바일 인터페이스는 소켓으로부터 전달받은 패킷에 터널링 헤더(IP 헤더 및 UDP 헤더 포함)를 부착하여 터널서버로 제공한다. 이때, 와이파이 인터페이스는 소스 IP를 와이파이 IP로 설정하고, 모바일 인터페이스는 소스 IP를 모바일 IP로 설정한다.
한편, 트래픽 관리 모듈은 네트워크 트래픽의 압축 및 가속을 수행하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터널 서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터널 서버 역시 O/S 커널(O/S Kernel)과 사용자 레벨(User space)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지원한다. 서버의 O/S 커널은 리눅스(Linux)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로부터의 패킷 수신 및 서버로의 패킷 전송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와이파이 인터페이스 및/또는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패킷들은 내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다. 그리고는, O/S 커널 레벨의 TCP/IP 스택은 수신된 패킷의 터널링 헤더를 제거하여 원본 패킷으로 복원하고 이를 소켓으로 제공한다. 소켓은 세션 테이블 관리 모듈에서 관리되는 단말의 IP 정보들 및 현재 통신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패킷에 포함된 모바일 또는 와이파이 IP로부터 단말의 가상 인터페이스를 확인한다. 그리고는, 단말의 터널 인터페이스(가상 인터페이스)와 터널링되어 있는 서버의 터널 인터페이스(가상 인터페이스)로 상기 수신된 패킷을 제공한다. O/S 커널 레벨의 터널 인터페이스는 해당 패킷을 소스 NAT 수행부로 제공한다. 소스 NAT 수행부는 상기 원본 패킷의 소스 IP를 단말 가상 인터페이스에서 서버의 외부 IP로 변환하는 SNAT를 수행한다. SNAT가 수행된 패킷은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로 전달된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의 트래픽 관리 모듈은 단말에서의 트래픽 관리 모듈과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트래픽의 압축 및 가속을 수행하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터널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무선 단말에서의 비대칭 통신에 대한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제 1 경로 및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mobile cellular network) 기반의 제 2 경로를 포함하는 터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대칭 통신은 상기 무선 단말의 다운링크(downlink) 데이터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상기 제 1 경로를 이용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업링크(uplink) 데이터는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기반의 상기 제 2 경로를 이용하여 비대칭적으로 송수신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구간 또는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구간을 탐지하기 위한 탐지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탐지 패킷에 대한 응답을 상기 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응답을 기반으로 비대칭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결정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터널 서버의 동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터널에, 상기 무선 단말과 연관된 IP 주소가 아닌, 별도의 터널 식별자를 부여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위한 터널 서버의 동작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P 주소 및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P 주소는 상기 별도의 터널 식별자와 매핑되어 관리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위한 터널 서버의 동작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P 주소 및 상기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P 주소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터널 식별자를 통해 상기 터널 및 그와 연관된 상기 무선 단말을 식별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위한 터널 서버의 동작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P 주소,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P 주소 및 상기 별도의 터널 식별자에 대한 매핑 관계에 현재 무선 단말의 통신 방식에 대한 정보를 함께 매핑하여 관리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위한 터널 서버의 동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전면적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 전면적인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및 상기 비대칭 통신 중 하나로의 통신 방식 전환을 지시하는 지시 패킷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 무선 단말의 통신 방식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위한 터널 서버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패킷을 수신한 때, 상기 제 1 경로 상의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 2 경로 상의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터널 서버의 동작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관계는 상기 제 1 경로와 연관된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 2 경로와 연관된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와 공유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위한 터널 서버의 동작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임의의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로 향하는 패킷을 수신한 때, 원본 패킷의 목적지 IP(Destination IP)에 대해 SNAT(Source Network Address Translation)를 통한 역변환을 수행하여 무선 단말의 가상 인터페이스 IP를 복원하는 단계;
    상기 매핑 관계를 참조하여 터널링 헤더를 부착함에 의해 상기 무선 단말로의 터널링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기 생성된 터널링 패킷을 내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위한 터널 서버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링 패킷의 터널링 헤더에는 터널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터널링 헤더의 목적지 IP(Destination IP)는 상기 무선 단말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IP 주소(mobile interface IP address)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 연관된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IP 주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터널 서버의 동작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임의의 서버로 향하는 패킷을 수신한 때, 상기 패킷의 터널링 헤더를 제거하고 원본 패킷으로 복원하는 단계;
    상기 원본 패킷의 소스 IP(source IP)에 대해 SNAT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SNAT가 수행된 패킷을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위한 터널 서버의 동작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통신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 1 경로를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상기 무선 단말의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제어정보 및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관련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2 경로 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 1 경로 상의 액세스 포인트(AP)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위한 터널 서버의 동작 방법.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에 구비된 가상 인터페이스 IP 주소(virtual interface IP address)와 동일한 IP 대역의 고정된 IP 주소를 갖는 가상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위한 터널 서버의 동작 방법.
  15.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터널 서버 장치에 있어서,
    무선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 단말에서의 비대칭 통신에 대한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제 1 경로 및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mobile cellular network) 기반의 제 2 경로를 포함하는 터널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터널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비대칭 통신은 상기 무선 단말의 다운링크(downlink) 데이터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상기 제 1 경로를 이용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업링크(uplink) 데이터는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기반의 상기 제 2 경로를 이용하여 비대칭적으로 송수신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구간 또는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구간을 탐지하기 위한 탐지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탐지 패킷에 대한 응답을 상기 무선 단말로 제공하되,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응답을 기반으로 비대칭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결정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터널 서버 장치.
KR1020200073585A 2020-06-17 2020-06-17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지원하는 터널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16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585A KR102216884B1 (ko) 2020-06-17 2020-06-17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지원하는 터널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585A KR102216884B1 (ko) 2020-06-17 2020-06-17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지원하는 터널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884B1 true KR102216884B1 (ko) 2021-02-18

Family

ID=74688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585A KR102216884B1 (ko) 2020-06-17 2020-06-17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지원하는 터널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8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5079A (ko) * 2013-05-15 2014-11-25 (주)엔텔스 LTE 네트워크와 WLAN 사이에 단말의 IPSec 이동성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단말의 IPSec 이동성을 제공하는 패킷전송방법
KR20160140695A (ko) * 2014-04-03 2016-12-0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Tdls와의 다중채널 링크 어그리게이션
JP2017200218A (ja) * 2012-09-14 2017-11-02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システムでWi−Fiオフローディングを行うためのモビリティ制御方法
KR20190003258A (ko) * 2017-06-30 2019-01-09 주식회사 아라드네트웍스 IP 터널링을 이용한IoT 디바이스제어 방법 및장치
JP2019083533A (ja) * 2013-08-09 2019-05-30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ディスジョイントベアラルーティン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0218A (ja) * 2012-09-14 2017-11-02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システムでWi−Fiオフローディングを行うためのモビリティ制御方法
KR20140135079A (ko) * 2013-05-15 2014-11-25 (주)엔텔스 LTE 네트워크와 WLAN 사이에 단말의 IPSec 이동성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단말의 IPSec 이동성을 제공하는 패킷전송방법
JP2019083533A (ja) * 2013-08-09 2019-05-30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ディスジョイントベアラルーティング
KR20160140695A (ko) * 2014-04-03 2016-12-0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Tdls와의 다중채널 링크 어그리게이션
KR20190003258A (ko) * 2017-06-30 2019-01-09 주식회사 아라드네트웍스 IP 터널링을 이용한IoT 디바이스제어 방법 및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69131B (zh) 下一代系统的rat间切换
US8995397B2 (en) Pseudo wires for mobility management
US11356294B2 (en) Packet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11729686B2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7035082B2 (ja) ユーザプレーンリンク確立方法、基地局、およびモビリティ管理デバイス
CA2932807C (en) Enhanced wireless coverage and reduced battery power consumption
CN107431917B (zh) 分离会话锚点与转发锚点的方法和系统
JP2022545972A (ja) データ送信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記憶媒体
US120635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utilizing side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665938B1 (en) Realising voice service
JP7013423B2 (ja) ハンドオーバーでのアップリンクベアラーバインディング
KR102216884B1 (ko)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을 지원하는 터널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16883B1 (ko) 무선 단말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기반의 비대칭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30117265A (ko) 다중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 장치 및 방법
KR101415138B1 (ko) 모바일 호스트와 상대 노드 사이의 통신을 초기화하기 위한 방법
CN116209090A (zh) 设备到设备通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