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729B1 -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 - Google Patents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729B1
KR102216729B1 KR1020140108529A KR20140108529A KR102216729B1 KR 102216729 B1 KR102216729 B1 KR 102216729B1 KR 1020140108529 A KR1020140108529 A KR 1020140108529A KR 20140108529 A KR20140108529 A KR 20140108529A KR 102216729 B1 KR102216729 B1 KR 102216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wm signal
electric vehicle
charging
current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3021A (en
Inventor
고홍기
강군화
유광택
Original Assignee
피에스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스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에스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8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729B1/en
Publication of KR20160023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0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7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8Overvoltag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2B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이동 수단의 충전 중 과전류로 인하여 충전이 중단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재충전을 할 수 있는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 및 전기 이동 수단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charging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capable of recharging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charging is stopped due to an overcurrent during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Description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 및 전기 이동 수단 충전 방법{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TECHNICAL FIELD The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TECHNICAL FIEL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 및 전기 이동 수단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 안전성과 충전 신뢰성이 향상된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 및 전기 이동 수단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charging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charging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with improved charging safety and charging reliability.

지속적인 유가 상승 및 화석 연료의 고갈에 대비하기 위하여, 종래의 화석 연료에 의존하는 자동차나 오토 바이크 대신 전기 에너지를 이용한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 자동차나 전기 이륜차 등의 전기 이동 수단에 대한 연구 및 상용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In order to prepare for the continuous increase in oil prices and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electric vehicles using electric energy instead of automobiles or auto bikes that depend on conventional fossil fuels, and electric vehicles such as electric vehicles or electric motorcycles driven by electric motors Research and commercialization are actively progressing.

전기 이동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화석 연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유지비와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에 따른 환경 문제의 개선 등의 많은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각국에서는 전기 자동차 시장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In the case of using an electric vehicle, there are many advantages such as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the relatively low maintenance cost and carbon dioxide reduction effect compared to fossil fuels. Accordingly, the electric vehicle market is gradually being activated in each country, and this trend is gradually expanding.

전기 이동 수단은 휴대용 충전기 또는 충전 스탠드와 같은 충전 장치에 연결되어 충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전 장치는 전기 제품의 특성상 전기 이동 수단에 전류를 공급하여 충전하는 동안에 과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과전류의 발생은 전기 이동 수단 또는 충전 장치의 오작동이나 고장으로 발생할 수 있다. 전기 이동 수단의 충전 중에 과전류가 발생한 경우 일반적으로 충전 장치는 전기 이동 수단으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 전기 이동 수단의 충전 상태를 중단시킨다. 과전류 발생에 의한 충전 상태의 중단은 전기 이동 수단 및 충전 장치의 파손 및 인명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지만, 전기 이동 수단이나 충전 장치의 일시적인 오작동에 의한 과전류가 발생한 경우까지 충전 상태를 중지하는 경우에는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의 충전 신뢰성을 저하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된다. The electric vehicle can be charged by being connected to a charging device such as a portable charger or a charging stand. Such a charging device may generate an overcurrent during charging by supplying current to an electric vehicl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n electric product. The occurrence of overcurrent can occur due to malfunction or failure of the electric vehicle or charging device. When an overcurrent occurs during charging of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the charging device generally cuts off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to stop the charging state of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Interruption of the charging state due to the occurrence of overcurrent is a measure to prevent damage to the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device and damage to humans.However, in the case of stopping the charging state until an overcurrent occurs due to a temporary malfun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or charging device. It may be a cause of lowering the charging reliability of the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Therefore, a solution to this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주된 목적은 과전류가 발생한 경우에도 충전 안전성과 충전 신뢰성이 향상된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 및 전기 이동 수단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main obj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with improved charging safety and charging reliability even when an overcurrent occu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이동 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전기 이동 수단을 충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연결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충전 연결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본체부; 및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제1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상기 제1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충전 본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과전류가 소정의 시간 동안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PWM 신호보다 펄스 폭이 작은 제2 PWM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PWM 신호를 송신한 후에도 상기 과전류가 소정 시간 동안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충전 본체부를 제어하고,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전류 공급을 차단한 후 상기 제1 PWM 신호보다 펄스 폭이 작은 제3 PWM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충전 본체부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charging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at least on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to charge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A charging bod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connection parts and supplying power to the charging connection part; And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 first PWM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to the electric transport means and controls the charging body to supply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WM signal to the electric transport means.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second PWM signal having a smaller pulse width than the first PWM signal when the overcurrent is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 second PWM signal is transmitted even after transmitting the second PWM signal. When an overcurrent is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charging main body is controlled to block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pulse width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PWM signal after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is blocked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harging main body to supply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by transmitting this small third PWM sig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이동 수단이 상기 충전 연결부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전기 이동 수단이 상기 충전 연결부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상기 제1 PWM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hecks whether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and when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the first PWM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electric transportation unit. hav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PWM 신호는 그 펄스 폭이 53.4% 또는 26.7%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WM signal may have a pulse width of 53.4% or 26.7%.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PWM 신호 또는 상기 제3 PWM 신호는 그 펄스 폭이 20%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WM signal or the third PWM signal may have a pulse width of 20%.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는 상기 제1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에 10%를 초과하는 것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current may exceed 10% of th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WM sig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가 1초 동안 계속하여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공급되는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제2 PWM 신호를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송신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the second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overcurrent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for 1 secon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PWM 신호가 송신된 후 4초 동안 계속하여 상기 과전류가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공급되는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전기 이동 수단으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충전 본체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overcurrent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for 4 seconds after the second PWM signal is transmitted, the charging main body is controlled to cut off the current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can d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이동 수단으로의 전류 공급을 60초 동안 차단한 후 상기 제3 PWM 신호를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송신하여 상기 제3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를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공급하도록 상기 충전 본체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uts off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for 60 seconds and then transmits the third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to transmit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third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harging body to supply t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전 본체부는, 외부로부터 연결되는 선로 또는 상기 충전 본체부의 내부 선로에서의 누전을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누전 차단기; 상기 선로에서 발생하는 과전압으로부터 상기 충전 본체부를 보호하는 서지 보호기; 상기 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선로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CT 센서;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선로의 접점을 개폐하는 전자 접촉기; 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main body unit includes: a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configured to cut off power by detecting a leakage current in a line connected from the outside or an internal line of the charging main unit; A surge protector for protecting the charging main body from overvoltage generated in the line; A CT sensor disposed on the line and measur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ne; And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that opens and closes a contact point of the lin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It may includ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PWM 신호를 송신하는 PWM 신호 송신부; 상기 CT 센서 측정된 전류가 과전류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과전류 검출부; 및 상기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를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공급하도록 하거나,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충전 본체부를 제어하는 조절부; 를 구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the PWM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An overcurrent detec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measured current of the CT sensor is an overcurren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charging main body to supply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PWM signal to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or to block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It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있어서, 충전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아웃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charging outl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동 수단 충전 방법은,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와 연결된 전기 이동 수단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전기 이동 수단을 충전시키는 전기 이동 수단 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에 상기 전기 이동 수단이 연결된 경우,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제1 PWM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를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과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PWM 신호보다 펄스 폭이 작은 제2 PWM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PWM 신호를 송신한 후에도 상기 과전류가 소정 시간 동안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및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전류 공급을 차단한 후 상기 제1 PWM 신호보다 펄스 폭이 작은 제3 PWM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를 구비할 수 있다. In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charging method for charging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by supplying current to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connected to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charging device,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Transmitting a first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device for use; Supplying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Transmitting a second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PWM signal when an overcurrent is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Blocking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when the overcurrent is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even after transmitting the second PWM signal; And supplying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by transmitting a third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PWM signal after cutting off current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for a predetermined time. It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PWM 신호는 그 펄스 폭이 53.4% 또는 26.7%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WM signal may have a pulse width of 53.4% or 26.7%.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PWM 신호 또는 상기 제3 PWM 신호는 그 펄스 폭이 20%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WM signal or the third PWM signal may have a pulse width of 20%.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는 상기 제1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에 10%를 초과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current may exceed 10% of th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WM sig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PWM 신호는 상기 과전류가 1초 동안 계속하여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공급되는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송신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WM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ic vehicl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overcurrent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for 1 secon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류 차단 단계는, 상기 제2 PWM 신호가 송신된 후 4초 동안 계속하여 상기 과전류가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공급되는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 blocking step may be performe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overcurrent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for 4 seconds after the second PWM signal is transmitt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 PWM 신호를 송신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 이동 수단으로의 전류 공급을 60초 동안 차단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supplying current by transmitting the third PWM signal may be performed after cutting off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for 60 second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이동 수단의 충전 중 과전류로 인하여 전류 공급이 차단된 경우, 전류 공급 차단을 일정 시간 동안 지속한 후 재충전을 실시함으로써 과전류 발생으로 인한 충전이 완료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rrent supply is cut off due to overcurrent during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is not completed due to the occurrence of overcurrent by continuing to cut off the current supply for a certain time and then performing recharging It can be sol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의 제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의 과전류가 발생한 경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동 수단 충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trol unit of the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shown in FIG. 1.
3 is a graph for explaining an operation when an overcurrent occurs in the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shown in FIG. 1.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may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일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In addition,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n identification symbol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on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specially As long as there is no opposite substrate,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의 제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trol unit of the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shown in FIG.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는 충전 본체부(110), 제어부(120), 및 충전 연결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1 and 2, the charging device 100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harging body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nd a charging connection unit 130.

충전 본체부(110)는 분전반(50)을 통해 외부 전원(60)과 연결되며, 외부 전원(60)으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을 전기 이동 수단(10)에 공급할 수 있다. 외부 전원(60)은 3상 전원 또는 단상 전원일 수 있다. 외부 전원(60)이 3상 전원인 경우에 충전 본체부(110)는 3상 전원을 단상 전원으로 분배하여 전기 이동 수단(10)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충전 본체부(110)는 누전 차단기(1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송 선로는 누전 차단기(111)에 연결되고, 외부 전원이 3상 전원인 경우 누전 차단기(111)에서 단상 전원으로 분배될 수 있다. The charging main body 11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60 through the distribution board 50, and may supply power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60 to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10. The external power supply 60 may be a three-phase power supply or a single-phase power supply. When the external power supply 60 is a three-phase power source, the charging body unit 110 may distribute the three-phase power as single-phase power and supply the three-phase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10. As an example, the charging main body 110 may include a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111, and a transmission line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111, and when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a three-phase power supply, th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111 ) Can be distributed as single-phase power.

일 실시예로서, 충전 본체부(110)는 누전 차단기(111), 서지 보호기(112), CT 센서(113), 및 전자 접촉기(114)를 구비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the charging main body 110 may include a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111, a surge protector 112, a CT sensor 113, and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114.

누전 차단기(111)는 일반적으로 외부 전원으로부터 연결되는 선로 또는 충전 본체부(110)의 내부 선로에서의 누전을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분전반(50)을 통해 외부 전원(60)과 연결되며, 외부 전원(60)이 3상 전원인 경우에는 3상 전원을 단상 전원으로 분배할 수 있다. Th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111 functions to cut off power by detecting a leakage current in a line connect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or an internal line of the charging main body 110 in general.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60 through the distribution board 50, and when the external power supply 60 is a 3-phase power supply, the 3-phase power supply may be distributed as a single-phase power supply.

서지 보호기(112)는 누전 차단기(111)에 분배된 단상 전원의 선로와 연결되며, 상기 선로에서 발생하는 과전압으로부터 충전 장치(100)를 보호할 수 있다. The surge protector 112 is connected to a line of single-phase power distributed to th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111 and can protect the charging device 100 from overvoltage generated in the line.

CT 센서(113)는 상기 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선로 상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CT 센서(113)에서 측정된 전류값은 제어부(120)로 전송되며, 제어부(120)는 상기 측정된 전류값을 통해 전기 이동 수단(10)으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전류값은 제어부(120)에서 과전류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The CT sensor 113 may be disposed on the line to measure the current flowing on the line. The current value measured by the CT sensor 113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control unit 120 may check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 through the measured current value. The measured current value may be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120 to be an overcurren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전자 접촉기(114)는 제어부(1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선로의 접점을 개폐할 수 있다. 전자 접촉기(114)는 제어부(120)와 충전 연결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1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부(120)와 충전 연결부(130) 사이의 선로를 연결하거나 개방하여 전기 이동 수단(10)으로의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The magnetic contactor 114 may open and close a contact point of the lin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120.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1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130, and connect or open a line between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13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20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10 can be supplied or cut off.

전자 접촉기(114)는 일 예로서 릴레이 또는 마그네틱 콘텍터일 수 있다. The magnetic contactor 114 may be a relay or a magnetic contactor, for example.

충전 연결부(130)는 그 일단이 전자 접촉기(114)에서 이어진 선로와 연결되고, 그 타단이 전기 이동 수단(10)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충전 연결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아웃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충전 아웃렛은 충전 본체부(11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충전 커넥터(미도시)는 충전 본체부(110)의 충전 아웃렛과 전기 이동 수단(10)의 인렛을 연결할 수 있다.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130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a line connected from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14, and the other end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10.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13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charging outlet. The charging outlet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harging main body 110. The charging connector (not shown) may connect the charging outlet of the charging main body 110 and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10.

제어부(120)는 전기 이동 수단(10)이 충전 연결부(130)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전기 이동 수단(10)이 충전 연결부(130)에 연결된 경우, 전기 이동 수단에 제1 PWM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제1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충전 본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가 전기 이동 수단(10)에 제1 PWM 신호를 전송하면, 전기 이동 수단(10)은 제1 PWM 신호를 분석하여 충전 장치(100)가 공급할 수 있는 전류량을 판별할 수 있으며, 전기 이동 수단(10)은 충전 장치(100)가 공급할 수 있는 전류량 범위 내에서 전류를 끌어옴으로써 충전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기 이동 수단(10)이 요구하는 전류가 전기 이동 수단(10)으로 흐르도록 전자 접촉기(114)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checks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1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130, and when the electric vehicle 1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130, the first PWM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 vehicle.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control the charging body to supply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WM signal. 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the first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10, the electric vehicle 10 analyzes the first PWM signal to determine the amount of current that the charging device 100 can supply. 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10 can be charged by drawing current within a range of the amount of current that the charging device 100 can supply.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14 so that the electric current required by the electric moving means 10 flows to the electric moving means 10.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이동 수단(10)은 수신되는 제1 PWM 신호의 펄스 폭에 0.6을 곱하여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의 공급 전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가 완속 충전기인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펄스 폭이 53.4%인 제1 PWM 신호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전송하며, 전기 이동 수단(10)은 제1 PWM 신호의 펄스 폭인 53.4%에 0.6을 곱하여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가 공급할 수 있는 공급 전류량을 산출한다. 즉, 53.4에 0.6을 곱한 결과인 대략 32A가 완속 충전기인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가 공급할 수 있는 전류이며, 전기 이동 수단(10)은 32A를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electric vehicle 10 may determine the supply current of the charging device 100 for the electric vehicle by multiplying the pulse width of the received first PWM signal by 0.6. For example, when the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100 shown in FIG. 1 is a slow charger,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a first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of 53.4% to the electric vehicle 10, , The electric vehicle 10 calculates the amount of supply current that can be supplied by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0 by multiplying the pulse width of 53.4% of the first PWM signal by 0.6. That is, approximately 32A, which is the result of multiplying 53.4 by 0.6, is the current that can be supplied by the charging device 100 for an electric vehicle, which is a slow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10 supplies 32A from the charging device 100 for an electric vehicle. Can be supplied.

도 1에 도시된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가 휴대용 충전기인 경우, 제어부(120)는 펄스 폭이 26.7%인 제1 PWM 신호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전송하는바, 전기 이동 수단(10)은 제1 PWM 신호의 펄스 폭인 26.7%에 0.6을 곱한 결과인 대략 16A를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When the charging device 100 for an electric vehicle shown in FIG. 1 is a portable charger, 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a first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of 26.7% to the electric vehicle 10, and the electric vehicle (10) may be supplied from the charging device 100 for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about 16A, which is a result of multiplying the pulse width of 26.7% of the first PWM signal by 0.6.

제어부(120)는 제1 PWM 신호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송신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PWM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가 전기 이동 수단(10)에 공급되도록 충전 본체부(1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전류가 공급되는 동안에 과전류가 흐르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the first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10, and as described above, the charging main body 110 so that th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WM signal is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 It can be controlled,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n overcurrent is flowing while the current is being supplied.

즉, 제어부(120)는 CT 센서(113)로부터 충전 본체부(110) 내의 선로에서 측정된 전류값을 전송받아 상기 선로 상에 흐르고 있는 전류가 과전류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20)는 제1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의 10%를 초과하는 전류가 일정 시간 동안 계속하여 흐르는 경우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120 may receive the current value measured on the line in the charging body unit 110 from the CT sensor 113 and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flowing on the line is an overcurrent. As an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determine that the overcurrent flows when a current exceeding 10% of th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WM signal continues to flow for a predetermined time.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s follows.

도 3은 완속 충전기인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에 과전류가 발생한 경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3의 (a)는 시간(s)에 따른 PWM 신호의 펄스 폭(%)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의 (b)는 시간(s)에 따른 PWM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A)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3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when an overcurrent occurs in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which is a slow charger, and specifically, FIG. 3A is a pulse width (%) of a PWM signal over time (s) 3B is a graph showing the current (A) corresponding to the PWM signal over time (s).

도 3을 참조하면,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가 완속 충전기인 경우, 제어부(120)는 펄스 폭이 53.4%인 제1 PWM 신호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송신하므로 상기 제1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는 32A가 되며, 전기 이동 수단(10)에는 32A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when the charging device 100 for an electric vehicle is a slow charger,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a first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of 53.4% to the electric vehicle 10, so that the first PWM Th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signal is 32A, and a current of 32A may be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

그러나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 또는 전기 이동 수단(10)의 고장 또는 오작동으로 인하여 32A를 초과하는 전류가 흐를 수 있으며, 특히 충전 본체부(110) 내의 선로에서 32A의 110%에 해당하는 35.2A를 초과하는 전류가 일정 시간 동안 계속하여 검출된 경우에 제어부(120)는 과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However, a current in excess of 32A may flow due to a failure or malfunction of the charging device 100 for the electric vehicle or the electric vehicle 10, and in particular, it corresponds to 110% of the 32A in the line in the charging main body 110. When a current exceeding 35.2A is continuously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20 may determine that the overcurrent flows.

또한,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가 휴대용 충전기인 경우, 제어부(120)는 펄스 폭이 26.7%인 제1 PWM 신호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송신하므로 상기 제1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는 16A가 된다. 충전 본체부(110) 내의 선로에서 16A의 110%에 해당하는 17.6A를 초과하는 전류가 일정 시간 동안 계속하여 검출된 경우에 제어부(120)는 과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100 is a portable charger, 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a first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of 26.7% to the electric vehicle 10, and thus corresponds to the first PWM signal. The current becomes 16A. When a current exceeding 17.6A corresponding to 110% of 16A in the line in the charging main body 110 is continuously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controller 120 may determine that the overcurrent flows.

제어부(120)는 전기 이동 수단(10)에 과전류가 소정의 시간 동안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PWM 신호보다 펄스 폭이 작은 제2 PWM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20 may transmit a second PWM signal having a smaller pulse width than the first PWM signal when the overcurrent is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 for a predetermined time.

도 3을 참조하면, 펄스 폭이 26.7%인 제1 PWM 신호가 전기 이동 수단(10)에 송신되는 중 t1 시간에 제1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인 32A가 아닌 전류(I1)가 흐르는 경우, 제어부(120)는 전류(I1)가 과전류인지 여부를 판별하며, 전류(I1)가 제1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에 10%를 초과하고 상기 초과하는 전류가 t2-t1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전류(I1)를 과전류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20)는 제1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의 10%를 초과하는 전류가 1초 동안 계속되는 경우 상기 초과 전류를 과전류로 결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when the first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of 26.7%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 vehicle 10, a current I1 other than 32A, which is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WM signal, flows at time t1,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I1 is an overcurrent, and when the current I1 exceeds 10% of th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WM signal and the excess current continues for t2-t1 time, the current (I1) can be determined as overcurrent. As an example, when the current exceeding 10% of th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WM signal continues for 1 second, the controller 120 may determine the excess current as the overcurrent.

과전류가 일정 시간 동안 계속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2 PWM 신호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PWM 신호는 펄스 폭이 제1 PWM 신호보다 작은 PWM 신호이다. 일 예로서, 제2 PWM 신호의 펄스 폭은 20%일 수 있다. When the overcurrent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20 may transmit a second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10. The second PWM signal is a PWM signal whose pulse width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PWM signal. As an example, the pulse width of the second PWM signal may be 20%.

제어부(120)는 펄스 폭이 20%인 제2 PWM 신호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송신한 후, 충전 본체부(110)의 선로에 흐르는 전류를 체크하며, 제2 PWM 신호를 송신함에 따라 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과전류 이하가 된 경우에는 충전 상태를 지속할 수 있다. 즉, 제2 PWM 신호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송신한 후, 충전 본체부(110)의 선로에 펄스 폭이 20%인 제2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인 12A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된다면 제어부(120)는 제2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가 전기 이동 수단(10)에 공급되는 충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a second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of 20% to the electric vehicle 10, and then check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ne of the charging body unit 110, and transmits the second PWM signal. I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ne becomes less than the overcurrent, the state of charge can be maintained. That is, after transmitting the second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10, if the current 12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of 20% on the line of the charging main body 110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ontroller 120 may maintain a state of charge in which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WM signal is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

그러나 제2 PWM 신호를 송신한 후에도 상기 과전류가 소정 시간 동안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전기 이동 수단(10)에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충전 본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overcurrent is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ven after transmitting the second PWM signal, the controller 120 may control the charging main body 110 to block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10.

즉, 도 3을 참조하면, 과전류(I1)가 t2-t1 시간 동안 지속되어 t2에서 제어부(120)가 펄스 폭이 20%인 제2 PWM 신호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t3-t2 시간 동안 송신하였음에도 t3-t2 시간 동안 계속하여 과전류(I1)가 흐르는 경우, 제어부(120)는 전기 이동 수단(10)에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전자 접촉기(114)에 회로 차단 신호를 보낼 수 있으며, 상기 회로 차단 신호에 따라 전자 접촉기(114)는 선로를 개방하여 전류가 전기 이동 수단(10)에 공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PWM 신호가 송신된 후 4초 동안 계속하여 상기 과전류가 전기 이동 수단(10)에 공급되는 경우에 전기 이동 수단(10)으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도록 충전 본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referring to FIG. 3, the overcurrent I1 is maintained for a period of t2-t1, and at t2,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a second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of 20% to the electric vehicle 10 for a period of t3-t2. If the overcurrent I1 continues to flow for a period of time t3-t2 even after transmission, the control unit 120 may send a circuit blocking signal to the electronic contactor 114 to block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10, According to the circuit blocking signal, the magnetic contactor 114 may open a line to prevent current from being supplied to the electric moving means 10. As an example, when the overcurrent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10 for 4 seconds after the second PWM signal is transmitted, the charging main body 110 to cut off the current supply to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10 Can be controlled.

제어부(120)는 소정의 시간 동안 전기 이동 수단(10)에 전류 공급을 차단한 후 상기 제1 PWM 신호보다 펄스 폭이 작은 제3 PWM 신호를 송신하여 전기 이동 수단(10)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충전 본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20)는 전기 이동 수단(10)으로의 전류 공급을 60초 동안 차단한 후 상기 제3 PWM 신호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송신하여 상기 제3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공급하도록 충전 본체부(1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3 PWM 신호는 그 펄스 폭이 20%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cuts off current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1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n transmits a third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PWM signal to supply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10. The charging main body 110 can be controlled. As an example, the controller 120 cuts off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10 for 60 seconds and then transmits the third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10 to generate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third PWM signal. The charging main body 110 may be controlled to supply the electric vehicle 10 to the electric vehicle 10, wherein the third PWM signal may have a pulse width of 20%.

도 3을 참조하면, 전기 이동 수단(10)으로의 전류 차단이 t4-t3 시간 동안 계속된 후에 제어부(120)는 펄스 폭이 20%인 제3 PWM 신호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전기 이동 수단(10)은 제3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를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fter the current interruption to the electric vehicle 10 continues for t4-t3 time,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a third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of 20% to the electric vehicle 10. 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10 may charge the battery by receiving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third PWM signal from the charging device 100 for the electric vehic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이동 수단(10)이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에 연결되어 충전되는 동안 제1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를 초과하는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과전류의 발생으로 바로 충전 상태를 중지하는 것이 아니라 제1 PWM 신호보다 펄스 폭이 작은 제2 PWM 신호를 송신하여 충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2 PWM 신호의 송신에도 불구하고 과전류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에 비로소 충전 상태를 중지시키고, 일정 시간 충전 상태를 중지시킨 후 다시 제1 PWM 신호보다 펄스 폭이 작은 제3 PWM 신호를 송신하여 충전 상태를 재개할 수 있다. 이로써, 과전류로부터 전기 이동 수단(10) 및 충전 장치(100)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일시적인 오작동으로 인한 과전류인 경우에는 과전류 상태가 지속 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과전류 상태가 해소된 경우에 충전 상태를 재개함으로써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의 충전 안전성 및 충전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vercurrent exceeding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WM signal occurs while the electric vehicle 1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device 100 for the electric vehicle and is charged. In this case, the charging state can be maintained by transmitting a second PWM signal whose pulse width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PWM signal, rather than immediately stopping the charging state due to the occurrence of an overcurrent. If it continues, the charging state is stopped, the charging state is stopp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a third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PWM signal is transmitted again to resume the charging state. Accordingly, not only protects the electric vehicle 10 and the charging device 100 from overcurrent, but also checks whether the overcurrent state persists in case of an overcurrent due to a temporary malfunction, and resumes the charging state when the overcurrent state is resolved. Charging safety and charging reliability of the charging device 100 for an electric vehicle can be improved.

제어부(120)는 일 예로서 PWM 신호 송신부(121), 과전류 검출부(122), 및 조절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for example, a PWM signal transmission unit 121, an overcurrent detection unit 122, and an adjustment unit 123.

PWM 신호 송신부(121)는 전기 이동 수단(10)에 PWM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PWM 신호 송신부(121)는 완속 충전기인 경우에는 펄스 폭이 53.4%인 PWM 신호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송신할 수 있으며, 휴대용 충전기인 경우에는 펄스 폭이 26.7%인 PWM 신호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송신할 수 있다. The PWM signal transmission unit 121 may transmit a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10. The PWM signal transmission unit 121 may transmit a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of 53.4% to the electric vehicle 10 in the case of a slow charger, and the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of 26.7% in the case of a portable charger. (10) can be sent.

또한, PWM 신호 송신부(121)는 전기 이동 수단(10)에 과전류가 소정의 시간 동안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PWM 신호보다 펄스 폭이 작은 제2 PWM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소정의 시간 동안 전기 이동 수단(10)에 전류 공급을 차단한 후 상기 제1 PWM 신호보다 펄스 폭이 작은 제3 PWM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WM signal transmission unit 121 may transmit a second PWM signal having a smaller pulse width than the first PWM signal when the overcurrent is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urrent supply to the moving means 10 is cut off, a third PWM signal having a smaller pulse width than the first PWM signal may be transmitted.

과전류 검출부(122)는 충전 본체부(110)의 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과전류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과전류 검출부(122)는 CT 센서(113)에서 측정된 전류를 체크하며, 상기 측정된 전류가 과전류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과전류 검출부(122)는 제1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보다 10% 초과하는 전류가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선로에 흐르는 경우를 과전류로 판별할 수 있다. The overcurrent detection unit 122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ne of the charging main body 110 is an overcurrent. That is, the overcurrent detection unit 122 may check the current measured by the CT sensor 113 and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d current is an overcurrent. The overcurrent detection unit 122 may determine as overcurrent when a current exceeding 10% of th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WM signal flows through the lin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조절부(123)는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공급하도록 하거나, 전기 이동 수단(10)에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충전 본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조절부(123)는 PWM 신호 송신부(121)는 전기 이동 수단(10)에 제1 PWM 신호를 송신한 후, 전기 이동 수단(10)이 제1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를 요청하는 경우에 전기 이동 수단(10)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자 접촉기(114)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PWM 신호 송신부(121)가 제2 PWM 신호를 송신하였음에도 과전류가 소정의 시간 동안 계속 검출되는 경우, 조절부(123)는 전기 이동 수단(10)에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전자 접촉기(114)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3 may control the charging body unit 110 to supply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10 or to block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10. 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123 requests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WM signal after the PWM signal transmission unit 121 transmits the first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10 A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contactor 114 so that current is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 In addition, when the overcurrent is continuously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ven though the PWM signal transmission unit 121 has transmitted the second PWM signal, the control unit 123 may block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10 by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 114) can be trans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동 수단 충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에 전기 이동 수단(10)이 연결된 경우, 전기 이동 수단(10)에 제1 PWM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가 완속 충전기인 경우에는 제1 PWM 신호는 그 펄스 폭이 53.4%이며, 휴대용 충전기인 경우에는 그 펄스 폭이 26.7%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first, when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1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device 100 for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a first PWM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10. As an example, when the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100 is a slow charger, the pulse width of the first PWM signal may be 53.4%, and in the case of a portable charger, the pulse width may be 26.7%.

다음으로, 상기 제1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공급할 수 있다. 전기 이동 수단(10)은 수신되는 제1 PWM 신호의 펄스 폭에 0.6을 곱하여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의 공급 전류를 결정할 수 있다. Next,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WM signal may be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 The electric vehicle 10 may determine the supply curren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0 by multiplying the pulse width of the received first PWM signal by 0.6.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가 완속 충전기인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펄스 폭이 53.4%인 제1 PWM 신호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전송하며, 전기 이동 수단(10)은 제1 PWM 신호의 펄스 폭인 53.4%에 0.6을 곱하여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가 공급할 수 있는 공급 전류량을 산출한다. 즉, 53.4에 0.6을 곱한 결과인 대략 32A가 완속 충전기인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가 공급할 수 있는 전류이며, 전기 이동 수단(10)은 32A를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100 shown in FIG. 1 is a slow charger,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a first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of 53.4% to the electric vehicle 10, , The electric vehicle 10 calculates the amount of supply current that can be supplied by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0 by multiplying the pulse width of 53.4% of the first PWM signal by 0.6. That is, approximately 32A, which is the result of multiplying 53.4 by 0.6, is the current that can be supplied by the charging device 100 for an electric vehicle, which is a slow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10 supplies 32A from the charging device 100 for an electric vehicle. Can be supplied.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가 휴대용 충전기인 경우, 제어부(120)는 펄스 폭이 26.7%인 제1 PWM 신호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전송하는바, 전기 이동 수단(10)은 제1 PWM 신호의 펄스 폭인 26.7%에 0.6을 곱한 결과인 대략 16A를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When the charging device 100 for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is a portable charger, 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a first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of 26.7% to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10, and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10 is Approximately 16A, which is a result of multiplying 26.7%, which is the pulse width of 1 PWM signal, by 0.6 may be supplied from the charging device 100 for electric vehicle.

이어서, 전기 이동 수단(10)에 과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제1 PWM 신호보다 펄스 폭이 작은 제2 PWM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an overcurrent is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 a second PWM signal having a smaller pulse width than the first PWM signal may be transmitted.

제어부(120)는 CT 센서(113)로부터 충전 본체부(110) 내의 선로에서 측정된 전류값을 전송받아 상기 선로 상에 흐르고 있는 전류가 과전류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20 may receive a current value measured on a line in the charging main body 110 from the CT sensor 113 and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flowing on the line is an overcurrent.

일 예로서, 제어부(120)는 제1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의 10%를 초과하는 전류가 일정 시간 동안 계속하여 흐르는 경우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결정할 수 있으며, 과전류가 일정 시간 동안 계속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2 PWM 신호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PWM 신호는 펄스 폭이 제1 PWM 신호보다 작은 PWM 신호이다. 일 예로서, 제2 PWM 신호의 펄스 폭은 20%일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determine that the overcurrent flows when a current exceeding 10% of th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WM signal continues to flow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when the overcurrent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20 120 may transmit the second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10. The second PWM signal is a PWM signal whose pulse width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PWM signal. As an example, the pulse width of the second PWM signal may be 20%.

제2 PWM 신호를 송신한 후에도 상기 과전류가 소정 시간 동안 검출되는 경우 전기 이동 수단(10)에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PWM 신호가 송신된 후 4초 동안 계속하여 상기 과전류가 전기 이동 수단(10)에 공급되는 경우에 전기 이동 수단(10)으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도록 충전 본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Even after transmitting the second PWM signal, when the overcurrent is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10 may be blocked. As an example, when the overcurrent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10 for 4 seconds after the second PWM signal is transmitted, the charging main body 110 to cut off the current supply to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10 Can be controlled.

다음으로, 소정의 시간 동안 전기 이동 수단(10)에 전류 공급을 차단한 후 제1 PWM 신호보다 펄스 폭이 작은 제3 PWM 신호를 송신하여 전기 이동 수단(1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20)는 전기 이동 수단(10)으로의 전류 공급을 60초 동안 차단한 후 상기 제3 PWM 신호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송신하여 상기 제3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를 전기 이동 수단(10)에 공급하도록 충전 본체부(1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3 PWM 신호는 그 펄스 폭이 20%일 수 있다. Next, after cutting off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1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 third PWM signal having a smaller pulse width than the first PWM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supply the electric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10. As an example, the controller 120 cuts off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10 for 60 seconds and then transmits the third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10 to generate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third PWM signal. The charging main body 110 may be controlled to supply the electric vehicle 10 to the electric vehicle 10, wherein the third PWM signal may have a pulse width of 2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전기 이동 수단
100: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
110: 충전 본체부
111: 누전 차단기
112: 서지 보호기
113: CT 센서
114: 전자 접촉기
120: 제어부
121: PWM 신호 송신부
122: 과전류 검출부
123: 조절부
130: 충전 연결부
10: electric vehicle
100: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110: charging main body
111: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112: surge protector
113: CT sensor
114: electromagnetic contactor
120: control unit
121: PWM signal transmitter
122: overcurrent detection unit
123: control unit
130: charging connection

Claims (18)

적어도 하나의 전기 이동 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전기 이동 수단을 충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연결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충전 연결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본체부; 및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제1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상기 제1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충전 본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과전류가 제1 소정 시간 동안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PWM 신호보다 펄스 폭이 작은 제2 PWM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PWM 신호를 송신한 후에도 상기 과전류가 상기 제1 소정 시간 후 연속되는 제2 소정 시간 동안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충전 본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소정 시간 후 연속되는 제3 소정시간 동안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전류 공급을 차단한 후 상기 제1 PWM 신호보다 펄스 폭이 작은 제3 PWM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충전 본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
At least one charging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at least one electric vehicle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A charging bod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connection parts and supplying power to the charging connection part; And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 first PWM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to the electric transport means and controls the charging body to supply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WM signal to the electric transport means;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second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PWM signal when the overcurrent is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and the overcurrent is maintained even after transmitting the second PWM signal. When detected for a second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a first predetermined time, the charging main body is controlled to block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electric movement for a third predetermined time consecutively after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ging main body is controlled to supply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by transmitting a third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PWM signal after cutting off current supply to the mean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이동 수단이 상기 충전 연결부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전기 이동 수단이 상기 충전 연결부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상기 제1 PWM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checks whether the electric transport means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and when the electric transport unit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the electric transport unit transmits the first PWM signal to the electric transport unit. Means charg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WM 신호는 그 펄스 폭이 53.4% 또는 26.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PWM signal has a pulse width of 53.4% or 26.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PWM 신호 또는 상기 제3 PWM 신호는 그 펄스 폭이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PWM signal or the third PWM signal has a pulse width of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는 상기 제1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에 10%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vercurrent is a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more than 10% of th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WM signal.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가 1초 동안 계속하여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공급되는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제2 PWM 신호를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second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overcurrent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for one secon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PWM 신호가 송신된 후 4초 동안 계속하여 상기 과전류가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공급되는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전기 이동 수단으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충전 본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harging main body to cut off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overcurrent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for 4 seconds after the second PWM signal is transmitted. A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이동 수단으로의 전류 공급을 60초 동안 차단한 후 상기 제3 PWM 신호를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송신하여 상기 제3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를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공급하도록 상기 충전 본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unit cuts off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for 60 seconds and then transmits the third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to supply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third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본체부는,
외부로부터 연결되는 선로 또는 상기 충전 본체부의 내부 선로에서의 누전을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누전 차단기;
상기 선로에서 발생하는 과전압으로부터 상기 충전 본체부를 보호하는 서지 보호기;
상기 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선로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CT 센서;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선로의 접점을 개폐하는 전자 접촉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rging body part,
A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configured to cut off power by sensing a leakage current in a line connected from the outside or an internal line of the charging main body;
A surge protector for protecting the charging main body from overvoltage generated in the line;
A CT sensor disposed on the line and measur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ne; And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for opening and closing a contact point of the lin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PWM 신호를 송신하는 PWM 신호 송신부;
상기 CT 센서에서 측정된 전류가 과전류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과전류 검출부; 및
상기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를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공급하도록 하거나,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충전 본체부를 제어하는 조절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A PWM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An overcurrent detec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measured by the CT sensor is an overcurren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charging main body to supply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PWM signal to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or to block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충전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아웃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ging connection is made of at least one charging outlet.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와 연결된 전기 이동 수단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전기 이동 수단을 충전시키는 전기 이동 수단 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에 상기 전기 이동 수단이 연결된 경우,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제1 PWM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를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과전류가 제1 소정 시간 동안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PWM 신호보다 펄스 폭이 작은 제2 PWM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PWM 신호를 송신한 후에도 상기 과전류가 상기 제1 소정 시간 후 연속되는 제2 소정 시간 동안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소정 시간 후 연속되는 제3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전류 공급을 차단한 후 상기 제1 PWM 신호보다 펄스 폭이 작은 제3 PWM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동 수단 충전 방법.
In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charging method for charging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by supplying current to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connected to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charging device,
When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transmitting a first PWM signal to the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Supplying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WM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Transmitting a second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PWM signal when an overcurrent is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Blocking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ic moving means when the overcurrent is detected for a second predetermined time consecutively after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even after transmitting the second PWM signal; And
After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after cutting off current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for a continuous third predetermined time, a third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PWM signal is transmitted to supply current to the electric vehicle. step;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WM 신호는 그 펄스 폭이 53.4% 또는 26.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동 수단 충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PWM signal has a pulse width of 53.4% or 26.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PWM 신호 또는 상기 제3 PWM 신호는 그 펄스 폭이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동 수단 충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second PWM signal or the third PWM signal has a pulse width of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는 상기 제1 PWM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에 10%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동 수단 충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overcurrent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more than 10% of th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WM signal.
제12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PWM 신호는 상기 과전류가 1초 동안 계속하여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공급되는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동 수단 충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or 15,
The second PWM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 vehicl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overcurrent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for 1 secon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차단 단계는, 상기 제2 PWM 신호가 송신된 후 4초 동안 계속하여 상기 과전류가 상기 전기 이동 수단에 공급되는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동 수단 충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The current blocking step is performe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overcurrent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for 4 seconds after the second PWM signal is transmitte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PWM 신호를 송신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 이동 수단으로의 전류 공급을 60초 동안 차단한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동 수단 충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The step of supplying current by transmitting the third PWM signal is performed after cutting off current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for 60 seconds.
KR1020140108529A 2014-08-20 2014-08-20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 KR1022167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529A KR102216729B1 (en) 2014-08-20 2014-08-20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529A KR102216729B1 (en) 2014-08-20 2014-08-20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021A KR20160023021A (en) 2016-03-03
KR102216729B1 true KR102216729B1 (en) 2021-02-18

Family

ID=5553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529A KR102216729B1 (en) 2014-08-20 2014-08-20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72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297Y1 (en) 2006-09-29 2006-12-19 여두연 System integrated multi-purpose power controller
JP2012051064A (en) 2010-08-31 2012-03-15 Hitachi Koki Co Ltd Power tool and battery pack for use in the power tool
JP2012060778A (en) 2010-09-09 2012-03-22 Toyota Industries Corp Automobile charg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7486A (en) * 2011-10-06 2013-04-16 삼성전기주식회사 Power supply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297Y1 (en) 2006-09-29 2006-12-19 여두연 System integrated multi-purpose power controller
JP2012051064A (en) 2010-08-31 2012-03-15 Hitachi Koki Co Ltd Power tool and battery pack for use in the power tool
JP2012060778A (en) 2010-09-09 2012-03-22 Toyota Industries Corp Automobile charg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021A (en)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8345B2 (en) Battery charg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charging current depending on battery temperature, a battery operated system and a method for state controlled charging
WO2019078616A3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KR101614202B1 (en) Current measurement relay apparatus
US9001483B2 (en) Relay-welding detection circuit and power supplying system
KR102485478B1 (en) Device for preventing a reverse current of the DC-DC converter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WO2014022874A3 (en) Charge connect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KR102129143B1 (en) Multi charging apparatus and multi charg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
US201500021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a load current as a function of an internal resistance
JP2017175717A (en) Power supply
CA2975594A1 (en) Charge demand controller device
EP2990256A1 (en) Vehicle charging device and method
US20150029631A1 (en) Protector for electricity supply circuit
JP2013198372A (en) Charging control device for electric automobile
JP2012060778A (en) Automobile charging device
JP2010124578A (en) Disconnection detection circuit of ground wire of vehicle charging system
JP5877370B2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KR20140114664A (en) Apparatus to charge battery voltage
RU2013123060A (en) DEVICE AND METHOD FOR ASSESSING THE TOUCH CURRENT AND PROTECTING AN ELECTRICAL INSTRUMENT AGAINST SUCH TOUCH CURRENTS
WO2011021880A3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excessive charging or excessive discharging of batteries
KR102216729B1 (en)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
US9472940B2 (en) Protection device for electricity supply circuit
EP3034350A1 (en) Safety method for use in charging electric vehicles
CN206135460U (en) Fill electric pile over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s
KR201400580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electric transportation vehicle
MX2018013903A (en) Coil position detection method for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recep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