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389B1 -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 - Google Patents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389B1
KR102216389B1 KR1020180084316A KR20180084316A KR102216389B1 KR 102216389 B1 KR102216389 B1 KR 102216389B1 KR 1020180084316 A KR1020180084316 A KR 1020180084316A KR 20180084316 A KR20180084316 A KR 20180084316A KR 102216389 B1 KR102216389 B1 KR 102216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co
humidifier
nonwoven fabric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665A (ko
Inventor
전병준
Original Assignee
제레스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레스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레스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4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389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기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화분의 배양토 역할을 하도록 배치하고, 화분의 하부에 물이 지속적으로 접촉되면서 순환시켜 주어 자연 기화식으로 습기를 공급해줄 수 있는 가습기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분 하부에 물고기를 기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수족관으로도 활용이 가능한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구획단턱으로 구획된 공간부의 하부에 노즐몸체를 배치하고, 구획단턱의 상부에 메쉬망과 부직포를 차례로 배치하며, 부직포의 상부에 배양토 역할을 하는 코코피트를 배치하고, 분사노즐로 물을 분사하여 메쉬망과 부직포를 통과시켜 코코피트에 지속적으로 공급해줌으로써, 코코피트에 흡수된 물을 식물에 공급함과 동시에, 코코피트에 전체 면적에 걸쳐서 흡수된 물을 자연 기화식으로 실내에 다량의 습기를 공급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 {Ornamental Flowerpot Combined with Humidifier}
본 발명은 관상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습기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화분의 배양토 역할을 하도록 배치하고, 화분의 하부에 물이 지속적으로 접촉되면서 순환시켜 주어 자연 기화식으로 습기를 공급해줄 수 있는 가습기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분 하부에 물고기를 기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수족관으로도 활용이 가능한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꽃을 심어 가꾸는 그릇으로, 주로 실내에서 식물을 기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화분은 크게 식물의 종류에 따라 관상용, 장식용, 공기정화용, 습도조절용으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화분의 용도 구분은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종류에 따라 나뉘게 된다.
그러나 습도조절용도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종류에 의존하여 습기 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습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2698호에는 개별적인 공간에 물을 저장하고, 심지관수 방식을 이용하여 화분에 일정량의 물을 일정하게 공급하여 식물을 재바할 수 있고,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실내 가습이 가능한 심지관수를 이용한 가습겸용 화분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물 저장 공간의 상부에 화분이 배치된 형상으로, 물이 증발하기 위한 면적이 작기 때문에 가습효과가 여전히 미미하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물 저장 공간에 물을 수작업으로 지속해서 공급해줘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KR 10-2018-0062698 A
본 발명의 목적은 화분의 배양토로 물을 흡수하고, 흡수된 물을 자연 기화시켜 습기로 공급해줄 수 있는 코코피트로 형성하고, 화분 하부에서 코코피트에 지속적으로 물을 순환 공급해줌으로써, 화분 전체 면적을 가습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가습량을 높일 수 있는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에서 물을 공급받아, 공간부 내부에 지속적으로 채워주어, 수작업으로 물을 채워줘야 하는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화분의 하부에 물고기를 기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관상용 수족관으로도 활용이 가능한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코코피트의 가루 또는 찌꺼기가 화분의 하부에 형성된 수족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분 상부에 위치한 조명으로 식물의 생장을 촉진해주는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코피트를 지지하는 배양몸체를 식물과 물고기에 영양분과 먹이를 공급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하여, 배양몸체가 물에 접촉되어 으깨짐에 따라 자동으로 식물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물고기에게는 먹이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간편한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배양몸체의 밑면을 친환경코팅재로 도포하여, 물과 지속적으로 접촉되더라도 서서히 으깨지면서, 장시간 식물과 물고기에게 영양분과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박스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부(110)가 형성되며, 내측 테두리에 상기 공간부(110)를 구획하는 구획단턱(120)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단턱(120)의 상부에 전체 면적에 걸쳐서 복수의 관통공(132)이 형성된 메쉬망(130)이 위치하며, 상기 메쉬망(130)의 상부에는 부직포(140)가 위치하는 수용몸체(100); 상기 공간부(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메쉬망(130)을 향하여 물(30)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210)이 수직으로 세워져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분사노즐(210)과 연통되는 물공급관(220)이 형성된 노즐몸체(200); 블럭 형상으로 상기 수용몸체(100)에 수용되도록 상기 부직포(14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물(30)을 흡수하고, 흡수한 상기 물(30)이 공기중에 습기(50)로 배출되고, 식물(10)이 심어져 자라는 배양토 역할을 하는 코코피트(300); 및 상기 수용몸체(100)의 양측면에 기둥(410)이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기둥(410)의 상단에서 횡방향으로 반사판(420)이 형성되며, 상기 반사판(4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식물(10)을 향하여 빛을 조사해주는 램프조립체(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부직포(140)에는 복수의 절개선(142)이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분사노즐(210)은 상기 공간부(110)의 내부에서 상기 구획단턱(120)에 의해 구획된 하부 공간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되, 상기 물공급관(220)에서 유입된 상기 물(30)이 상기 분사노즐(210)에 의해 분사되어 상기 메쉬망(130)과 상기 부직포(140)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코코피트(300)에 접촉되어, 상기 코코피트(300)에 상기 물(30)이 지속적으로 흡수되도록 공급해주고, 상기 코코피트(300)에 흡수된 상기 물(30)이 자연 기화식으로 증발하면서 공기중에 습기(50)를 배출해준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코코피트(300)와 상기 부직포(140) 사이에 위치하는 배양몸체(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양몸체(500)는 상부에 얇은 판으로 사각 띠 형상으로 형성된 테두리부(510)와, 상기 테두리부(510)의 하부에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둘레부(520)와, 상기 둘레부(520)의 하단에서 판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판(53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530)에는 복수의 물인입공(532)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둘레부(520)의 내부에 상기 코코피트(300)가 수용되며, 상기 분사노즐(210)에서 분사된 상기 물(30)이 상기 메쉬망(130)과 상기 부직포(140) 및 상기 물인입공(532)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코코피트(300)에 접촉되어, 상기 코코피트(300)가 상기 물(30)을 흡수하고, 상기 습기(50)를 배출해준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코코피트(300)와 상기 부직포(140) 사이에 위치하는 배양몸체(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양몸체(500)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복수의 물인입공(532)이 관통형성된 바닥판(5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배양몸체(500)는, 상기 테두리부(510)의 외측 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결합구(540)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구(540)는 상기 수용몸체(100)의 상단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배양몸체(500)는, 돈분 및 육묘용 미생물제제를 혼합하고 숙성시켜 제1 숙성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1); 옥수수대, 미루나무톱밥 및 코코피트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2); 상기 제1 숙성물 및 상기 혼합물을 혼합한 후 숙성시켜 제2 숙성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3); 상기 제2 숙성물에 감자전분 및 물을 혼합하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반죽물을 형틀에 넣고 성형한 후 건조하는 단계(단계 5); 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은 구획단턱(120)으로 구획된 공간부(110)의 하부에 노즐몸체(200)를 배치하고, 구획단턱(120)의 상부에 메쉬망(130)과 부직포(140)를 차례로 배치하며, 부직포(140)의 상부에 배양토 역할을 하는 코코피트(300)를 배치하고, 분사노즐(210)로 물(30)을 분사하여 메쉬망(130)과 부직포(140)를 통과시켜 코코피트(300)에 지속적으로 공급해줌으로써, 코코피트(300)에 흡수된 물(30)을 식물(10)에 공급함과 동시에, 코코피트(300)에 전체 면적에 걸쳐서 흡수된 물(30)을 자연 기화식으로 실내에 다량의 습기(50)를 공급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물(30)을 분사노즐(210)로 코코피트(300)를 향해 분사해주고, 코코피트(300)가 물(30)을 흡수함에 따라 노즐몸체(200)의 측면에 형성된 물공급관(220)을 통해 지속적으로 공급해줌에 따라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물(30)을 채워줘야 하는 불편을 최소화해주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수용몸체(100)를 투명 재질로 형성하고, 내부에 물고기(20)를 기를 수 있는 공간부(110)를 형성하여, 관상용 수족관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코피트(300)의 하부와 메쉬망(130)의 상부 사이에 부직포(140)를 배치하여, 코코피트(300)의 찌꺼기가 공간부(110)의 하부로 유입되는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수용몸체(100)의 양측면에 지지대(160)를 형성하고, 램프조립체(400)의 기둥(410)을 지지대(160)에 수직으로 고정하며, 지지대(160)의 상단에 반사판(420)을 설치하고, 반사판(420)의 내부에 램프(430)를 설치하여, 램프(430)의 빛(40)을 식물(10)로 조사함으로써, 식물(10)의 생장을 촉진해주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배양몸체(500)가 돈분, 옥수수대, 미루나무톱밥, 코코피트, 감자전분을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배양몸체(500) 자체를 식물(10)과 물고기(20)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하여, 배양몸체(500)가 물(30)과 접촉되어 으깨짐에 따라 자동으로 식물(10)과 물고기(20)에 영양분을 공급해주기 때문에 관리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배양몸체(500)의 바닥판(530)을 친환경코팅재로 도포하여, 바닥판(530)이 물(30)과 지속적으로 접촉되더라도 장시간 서시히 으깨지도록 하여, 오랜시간 동안 바닥판(530)의 형태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식물(10)과 물고기(20)에 영양분을 공급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노즐몸체(200)의 물공급관(220)을 통해 외부의 새로운 물(30)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주고, 이 물(30)을 분사노즐(210)을 통해 코코피트(300)를 향해 분사해줌에 따라 코코피트(300)에 산소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코코피트(300)가 새로운 물(30)을 흡수하여 자연 기화하여 습기(50)를 제공함에 따라 실내 공기의 오염을 최소화해주고, 나아가 실내 공기의 질을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에서 배양몸체(500)가 추가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에서 배양몸체(500)의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에서 배양몸체(500)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에서 다른 형태의 배양몸체(500)가 적용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의 정면도이다.
수용몸체(100)는 중공형으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부(110)가 형성된다. 수용몸체(10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공간부(110) 내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공간부(110)는 내측 둘레에 구획단턱(120)이 형성된다. 공간부(110)는 구획단턱(120)을 기준으로 하부 영역에는 물(30)이 수용되며, 상부 영역에는 후술할 코코피트(300)가 수용된다.
구획단턱(120)은 후술할 메쉬망(130)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구획단턱(120)은 수용몸체(100)의 전체 높이에서 절반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며, 내측을 향해 돌출된다. 이때 구획단턱(120)의 넓이는 1Cm 내외로 형성될 수 있다. 구획단턱(120)의 상부에는 메쉬망(130)이 거치된다.
메쉬망(130)은 후술할 부직포(140)와 코코피트(300)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메쉬망(130)은 테두리가 구획단턱(120)의 상부에 얹혀진다. 메쉬망(130)은 위에서 바라본 공간부(110)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메쉬망(130)은 장방형으로 공간부(110)에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헐거운 끼움 고정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차를 가진다.
메쉬망(130)은 복수의 관통공(132)이 형성된 망 형태로 강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만들어진다. 메쉬망(130)이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경우, 가볍고 부식이 방지되는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또는 경량 합금으로 형성된다. 관통공(132)은 메쉬망(130)의 전체 넓이에 걸쳐서 균등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관통공(132)은 원형, 삼각, 사각 또는 다각의 패턴으로 형성된다. 메쉬망(130)의 전체 면적에 걸쳐서 관통공(132)이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분사노즐(210)에서 분사되는 물(30)이 관통공(132)을 통과하여 코코피트(300)에 다다를 수 있다. 메쉬망(130)의 상부에는 부직포(140)가 덮혀진다.
부직포(140)는 섬유를 원료로 열접착 또는 화학 약품을 사용하여 접착시켜 엉키게 만든 직물이다. 부직포(140)는 얇은 종이 형태이다. 부직포(140)는 메쉬망(130)의 상부에 덮혀진다. 부직포(140)는 메쉬망(130)의 상부와 코코피트(300)의 하부 사이에 위치한다. 부직포(140)는 코코피트(300)의 가루나 찌꺼기 등이 공간부(110)의 하부를 향하여 낙하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부직포(140)는 코코피트(300)의 가루나 찌꺼기를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부직포(140)는 가루나 찌꺼기는 걸러주지만 미생물은 공간부(110)의 하부로 통과시켜줄 수 있다. 분사노즐(210)에서 분사되는 물(30)이 메쉬망(130)과 부직포(140)를 통과하여 코코피트(300)에 접촉하게 된다.
부직포(140)에는 전체 면적에 걸쳐서 균등한 간격으로 복수의 절개선(142)이 형성될 수 있다. 분사노즐(210)에서 분사되는 물(30)이 절개선(142)을 통과하여, 메쉬망(130)의 관통공(132)을 지나 코코피트(300)에 더욱 쉽게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수용몸체(100)의 하부에는 물배출구(150)가 관통형성된다. 물배출구(150)는 공간부(110)의 하부 측에 위치한 물(30)을 배출해주는 구멍역할을 한다. 물배출구(150)는 배출구마개(152)에 의해 막혀있다가, 필요시 배출구마개(152)를 개방하여 사용한다.
수용몸체(100)의 양옆에는 후술할 램프조립체(400)의 기둥(410)이 설치될 수 있는 지지대(160)가 형성된다. 지지대(160)는 수용몸체(100)의 양옆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지지대(160)는 수용몸체(100) 전체 높이에서 복수가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대(160)의 중앙에는 원형의 삽입공(162)이 관통형성된다. 삽입공(162)에 기둥(410)이 억지끼움 및 나사결합으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수용몸체(100)의 하부에는 복수의 받침돌기(170)가 하방으로 얇게 돌출 형성된다. 이때 받침돌기(170)는 수용몸체(100)의 하부에서 각 모서리 마다 형성된다. 받침돌기(170)에는 원판 형상의 받침대(180)가 끼워져 나사로 고정된다. 이때 받침대(180)의 상부에는 받침돌기(170)와 동일한 형상으로 받침홈(182)이 파여지고, 받침홈(182)에 받침돌기(170)가 삽입되어 나사로 고정된다. 이로써, 수용몸체(100)는 받침대(180)에 의해 지면 또는 고정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아울러 수용몸체(100)가 설치된 위치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해주는 역할도 한다.
한편, 수용몸체(100)의 하부 측면에는 후술할 노즐몸체(200)의 물공급관(220)이 인입될 수 있는 관인입공(190)이 관통형성된다. 관인입공(190)에는 후술할 물공급관(22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노즐몸체(200)는 공간부(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간부(110)의 상부에 설치된 메쉬망(130), 부직포(140) 및 코코피트(300)를 향해 물(30)을 분사해주는 역할을 한다. 노즐몸체(200)는 얇은 사각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간부(110)의 하부에 고정된다. 노즐몸체(200)의 상부에는 복수의 분사노즐(210)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설치된다.
분사노즐(210)은 복수열로 등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분사노즐(210)은 물(30)을 윗 방향으로 분사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분사노즐(210)은 물(30)이 넓게 퍼지도록 분사해준다. 분사노즐(210)에서 분사된 물(30)은 메쉬망(130)에 형성된 관통공(132)과, 부직포(140) 자체 또는 부직포(140)의 절개선(142)을 차례로 통과하여, 코코피트(300)에 물(30)을 공급해준다.
아울러 노즐몸체(200)의 측면에는 외부에서 물(30)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관(220)이 설치된다. 물공급관(2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몸체(100)의 측면에 형성된 관인입공(19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아울러 물공급관(220)에는 밸브가 설치되며, 분사노즐(210)로 물(30)이 분사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가 설치된다. 물공급관(220)은 물공급처와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새로운 물(30)을 공급받는다.
코코피트(300)는 사각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몸체(100)의 상부에 안착된다. 코코피트(300)는 공간부(110) 내에서 부직포(140)의 상부에 위치한다. 코코피트(300)의 하부는 메쉬망(130)에 의해 지지된다. 코코피트(300)는 구획단턱(120)에 의해 구획된 공간부(110)의 상부에 헐거운 끼움 고정된다. 코코피트(300)에는 복수의 관상용 식물(10)이 이격되도록 심어진다. 이때 코코피트(300)는 사각 블록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 대신, 가루 형태로 부직포(14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아울러 코코피트(300)는 100% 천연 야자 유기섬유질 용토로, 통기성, 보수력, 보비력이 좋아서 식물(10)의 뿌리 성장에 좋다는 이점이 있다. 코코피트(300)는 유기 양분을 다량으로 함유할 수 있는 무독, 무취의 소재로 원예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아울러 코코피트(300)는 무게에 비해 최대 20배까지 물을 흡수할 수 있어서, 식물(10)에 필요한 수분을 오랫동안 공급해줄 수 있다.
코코피트(300)는 메쉬망(130)과 부직포(140)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분사노즐(210)에 의해 분사되는 물(30)이 메쉬망(130)과 부직포(140)를 차례로 통과하여 코코피트(300)에 흡수된다. 코코피트(300)가 흡수한 물(30)은 식물(10)에 공급됨과 동시에, 공기중에서 증발하여 가습기의 용도로 사용되게 된다. 즉 코코피트(300)에 흡수된 물(30)이 공기중에 자연 기화하여 실내에 습기(50)를 공급하게 된다. 분사노즐(210)에 의해 계속적으로 코코피트(300)가 적셔지기 때문에 식물(10)에 수분을 공급함과 동시에, 실내에 습기(50)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줄 수 있다. 아울러 코코피트(300)의 상면 전체 면적에 걸쳐서 습기(50)가 발생하기 때문에 실내에 다량의 습기(50)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코코피트(300)의 하부에 부직포(140)가 위치하므로, 코코피트(300)의 가루나 조각들이 공간부(110) 하부에 위치한 물(30)로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램프조립체(400)는 코코피트(300)에 심어진 식물(10)의 생장을 촉진하기 위한 빛을 조사해주는 역할을 한다. 램프조립체(400)는 수용몸체(100)의 양옆에 형성된 지지대(160)의 삽입공(162)에 고정되는 기둥(410)과, 지지대(16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반사판(420)과, 반사판(420) 내부에 설치되는 램프(430)가 구비된다.
기둥(410)은 수용몸체(100)의 양옆에 형성된 지지대(160)의 삽입공(162)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삽입된다. 이때 기둥(410)은 나사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기둥(410)은 수용몸체(100)의 양옆에 하나 씩 한 쌍이 위치한다. 기둥(410)은 반사판(420)을 코코피트(300)로 부터 이격시킨 채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반사판(420)은 중공형의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수용몸체(100)의 양옆에 배치된 기둥(410)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거, 기둥(410)의 상단에 나사로 고정된다. 반사판(420)의 내부에 설치된 램프(430)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높여주고, 빛의 발산 범위를 넓혀주는 역할을 한다.
반사판(420)은 철판이나 알루미늄판 또는 합성수지판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반사판(420)의 하부는 빛을 반사하기 위한 재질로 만들어지거나, 반사하기 위한 재질로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들 들어 반사판(420)은 알루미늄 아노다이징을 통해 만들어지거나, 반사판(420)의 하부를 페인트나 분체도장을 하거나, 은을 증착한 코팅 필름을 점착하는 구조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램프(430)는 식물(10)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LED로써, 반사판(420)의 내부에 설치된다. 램프(430)에서 조사되는 빛은 코코피트(300)에 심어진 식물(10)을 향해 조사된다. 이때 램프(430)는 식물(10)의 광합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파장의 빛(40)을 조사한다. 예를 들어 램프(430)에서 조사되는 빛(40)의 파장은 400nm~500nm 파장의 청색 빛과 640nm~700nm파장의 적색 빛이 이용 될 수 있다. 한편, 램프조립체(400)는 램프(430)를 On/Off 할 수 있는 스위치 및 램프(4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과, 램프(4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의 사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의 정면도이다.
사용자는 최초 수용몸체(100)의 공간부(110)에 물(30)을 채워준 후 관상용 물고기(20)을 공간부(110)의 내부로 위치시킨다. 물고기(20)는 공간부(110) 내부에서 헤엄치면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수용몸체(100)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쉽게 물고기(20)를 관찰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수용몸체(100)의 구획단턱(120) 상부에 메쉬망(130)을 거치시킨다. 그리고 메쉬망(130)의 상부를 부직포(140)로 덮어준다. 부직포(140)의 상부에는 코코피트(300)를 위치시킨다. 코코피트(300)에는 관상용 식물(10)을 심거나, 식물(10)의 씨앗을 심어준다. 코코피트(300)에 식물(10)을 꺾꽂이하여 삽목할 수도 있다. 코코피트(300)의 상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10)을 기를 수 있다.
이후 펌프를 가동해준다. 그러면 물공급관(220)을 통해 유입된 물(30)이 분사노즐(210)을 통해 메쉬망(130)을 향하여 분사된다. 물(30)은 메쉬망(130)과 부직포를 차례로 통과하여 코코피트(300)에 접촉된다.
코코피트(300)는 물(30)을 흡수하게 된다. 코코피트(300)에 흡수된 물(30)은 식물(10)에 공급됨과 동시에 공기 중에 자연 기화되어 습기(50)를 실내에 공급해주게 된다.
아울러 분사노즐(210)에서 분사된 물(30)의 일부는 메쉬망(130)과 부직포(140)에 의해 튕겨져 나와 공간부(110)의 하부로 낙하된다. 낙하된 물(30)은 공간부(110)의 하부에 채워지게 된다. 이때 코코피트(300) 내부에 위치한 미생물 들이 물(30)과 함께 낙하할 수 있다. 미생물은 물고기(20)의 먹이가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램프조립체(400)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램프(430)를 On해준다. 그러면 램프(430)의 빛(40)이 식물(10)을 향해 조사되게 되고, 빛(40)의 파장에 의해 식물(10)의 생장을 촉진해준다.
이로써 본 발명의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는 관상용 식물(10)을 기르는 동시에, 관상용 물고기(20)를 기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램프(430)를 통해 식물(10)의 생장을 촉진해줄 수 있다.
나아가 물고기(20)에게 먹이를 줄 때는 코코피트(300), 부직포(140) 및 메쉬망(130)을 수용몸체(100)로부터 들어 올린 후, 공간부(110)에 위치한 물(30)에 먹이를 낙하시켜준다.
물고기(20)에 의해 공간부(110) 내의 물(30)이 혼탁해지는 경우, 공간부(110) 내부의 물(30)을 교체할 수 있다. 공간부(110) 내부의 물(30)을 배출하기 전에 물고기(20)를 다른 곳에 위치시킨 후 진행한다. 아울러 펌프의 작동을 중단시킨다.
수용몸체(100)의 하부에 넓은 용기 또는 통을 위치한 후, 배출구마개(152)를 빼준다. 그러면 물배출구(150)를 통해 공간부(110) 내부의 물(30)이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공간부(110) 내부의 물(30)이 모두 빠져나온 이후, 코코피트(300), 메쉬망(130) 및 부직포(140)를 분리한 상태에서 공간부(110) 내부를 청소해준다.
그리고 배출구마개(152)로 물배출구(150)를 막아준다. 물고기(20)를 다시 공간부(110)의 내부로 넣어준다. 이후, 공간부(110) 내부에 새로운 물(30)을 부어주거나, 새로운 물(30)의 공급없이 펌프를 작동시켜, 분사노즐(210)에 의해 낙하하는 물(30)로 공간부(110)의 내부로 채워줄 수 있다. 이때 분사노즐(210)로 물(30)을 낙하시키는 경우에는 코코피트(300), 메쉬망(130) 및 부직포(140)를 수용몸체(100)에 수용한 이후에 진행한다.
한편, 코코피트(30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코코피트(300)를 수용몸체(100)로부터 들어올린 이후, 새로운 코코피트(300)를 부직포(140) 상부에 안착시키고, 식물(10)의 분갈이를 해주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에서 배양몸체(500)가 추가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에서 배양몸체(500)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코코피트(300)를 배양몸체(500)에 수용한 상태로 수용몸체(100)의 공간부(110)에 안착할 수 있다. 코코피트(300)가 배양몸체(500) 내부로 수용된 상태로, 배양몸체(500)가 수용몸체(100)의 공간부(110) 상부에 수용된다. 즉 배양몸체(500)가 부직포(14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공간부(110)에 수용된다. 이때 배양몸체(500)의 하부는 부직포(140)와 메쉬망(130)이 지지해준다. 아울러 메쉬망(130)은 구획단턱(120)이 지지해준다.
배양몸체(500)는 꽃이나 허브 등의 식물(10)을 심을 수 있는 그릇으로 수용몸체(100)의 공간부(110)에 삽입된다. 배양몸체(500)에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10)을 심을 수 있다.
배양몸체(500)는 전체 형상이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배양몸체(500)는 상단에 사각 띠 형상의 테두리부(510)가 형성된다. 이때 테두리부(510)는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테두리부(510)의 넓이는 수용몸체(100)의 두께 만큼 형성된다. 테두리부(510)의 하부에는 사각 틀 모양의 둘레부(520)가 하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둘레부(520)의 하부는 얇은 판 형상의 바닥판(530)으로 마감된다. 배양몸체(500)는 테두리부(510), 둘레부(520) 및 바닥판(5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을 이룬다.
아울러 배양몸체(500)의 테두리부(510)의 외측단에는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결합구(540)가 형성된다. 결합구(540)는 배양몸체(500)가 수용몸체(100)의 공간부(110)에 삽입되면, 수용몸체(100)의 상부 외측을 감싸주어, 배양몸체(500)가 수용몸체(1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해준다.
바닥판(530)에는 복수의 물인입공(532)이 관통형성된다. 물인입공(532)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물인입공(532)은 코코피트(300)에서 물이 배수되도록 해주거나, 분사노즐(210)에서 분사된 물이 코코피트(300)에 원활히 다다르도록 해준다. 이때 필요에 따라 물인입공(532)은 생략될 수 있다.
테두리부(510)의 전후면 측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550)가 형성된다. 손잡이(550)는 배양몸체(500)를 운반할 때 파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배양몸체(500)는 돈분 및 육묘용 미생물제제를 혼합하고 숙성시켜 제1 숙성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1); 옥수수대, 미루나무톱밥 및 코코피트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2); 제1 숙성물 및 혼합물을 혼합한 후 숙성시켜 제2 숙성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3); 제2 숙성물에 감자전분 및 물을 혼합하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4); 및 반죽물을 형틀에 넣고 성형한 후 건조하는 단계(단계 5);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단계 5 이후, 배양몸체(500)에서 상기 바닥판(530)의 하부 전체 넓이에 걸쳐서 친환경코팅재로 도포하여 건조하는 단계;(단계 6)를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단계 1은 돈분 100중량부에 육묘용 미생물제제 3~7중량부를 혼합하고 50~60℃에서 7~8일 동안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돈분 100중량부에 육묘용 미생물제제를 3중량부 미만 혼합하면 생장촉진 효과가 미흡해지는 문제가 있고, 7중량부 초과 혼합하면 균이 너무 많아져서 먹이가 너무 많이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이때 돈분은 돈사에서 발생하는 돼지의 분뇨에서 수분을 제거한 고형물을 사용한다.
육묘용 미생물제제의 제조방법은,
물 100중량부에 질경이 8~10중량부, 황기 8~10중량부, 인삼 8~10중량부, 싸리나무 8~10중량부, 명아주 8~10중량부, 까마중 8~10중량부, 유근피 8~10중량부, 꾸지뽕나무 8~10중량부, 강아지풀 8~10중량부, 와송 8~10중량부, 환삼덩굴 8~10중량부 및 백토 8~10중량부를 혼합하고 0~5℃에서 720~74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제1 숙성액을 만드는 단계(S1);
물 100중량부에 오미자 15~17중량부, 다래 15~17중량부, 감 15~17중량부, 똘배 15~17중량부, 개복숭아 15~17중량부 및 백토 15~17중량부를 혼합하고 0~5℃에서 720~74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제2 숙성액을 만드는 단계(S2);
상기 제1 숙성액 및 제2 숙성액을 중량비 1:1로 혼합한 후 0~5℃에서 360~370일 동안 숙성시켜 제3 숙성액을 만드는 단계(S3); 및
상기 제3 숙성액을 톱밥에서 15~25℃에서 10~14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S4); 를 포함한다.
S1, S2, S3에서 0℃ 미만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발효가 되지 않으며, 5℃ 초과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부패할 우려가 있다.
S4에서 15℃ 미만의 온도에서 발효하면 균의 움직임이 늦어질 우려가 있고, 25℃ 초과의 온도에서 발효하면 균이 급성장하여 냉기에 약해질 우려가 있다.
단계 2는 옥수수대 40~60중량%, 미루나무톱밥 20~40중량% 및 코코피트 10~30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이다.
옥수수대는 2~4㎝의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며, 상기 미루나무톱밥은 1~3㎝의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며, 상기 코코피트는 2~6㎝의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옥수수대는 옥수수를 수확한 후에 생기는 부산물로서, 70% 정도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다.
미루나무(학명: populus deltoides)는 쌍떡잎 식물 버드나무목, 버드나무과 사시나무속의 낙엽식물로서 미국이 원산지이며 높이 30m, 지름 1m까지 성장하는 교목이다.
코코피트(Coco-peat)는 일반적으로 코피트(copeat), 코이어(coir) 또는 코이어더스트(coirdust)라고 불리며, 태평양, 인도양 군도, 필리핀 군도에 걸쳐 잘 발달한 코코넛(coconut)산업의 부산물이다. 코코넛은 코코넛 밀크, 야자유의 원료가 되는 코프라(copra), 탄화시 매우 안정한 탄소구조를 갖는 쉘(shell), 야자 섬유를 뽑아내는 섬유층(Husk)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코피트는 코코넛의 이러한 1차 산물을 만든 후에 얻어지는 부산물로서 진한 갈색의 분말이며, 함습능력 및 제습능력이 탁월하고 염분 함량이 적다. 구성 성분으로는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이 90%이상 차지하고, 입자가 다공망 구조를 갖고 있어 통기성 확보에 유리하다. 일반적인 코코피트는 수분을 10~20% 함유하고 있으며, 보수력이 뛰어나다.
단계 3은 상기 제1 숙성물 및 상기 혼합물을 중량비 1:1로 혼합한 후 25~35℃에서 9~10일 동안 숙성시켜 제2 숙성물을 만드는 단계이다.
단계 4는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감자전분 40~50중량부, 물 40~50중량부를 혼합하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만드는 단계이다.
감자전분은 다른 종류의 곡물 전분과는 다르게 직경 0.1mm 정도로 입자가 큰편에 속하며, 아밀로스 분자 길이도 길어 서로 간의 또는 다른 분자 사이에 얽혀서 다리역할을 하는 화학적 결합에 의해 상기 감자전분이 포함된 혼합물의 유체가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게 차단시킴으로써 쉽게 파괴되지 않는 강도를 가지게 된다.
단계 5는 반죽물을 형틀에 넣고 화분 형상으로 성형한 후 45~55℃에서 36~38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이다. 즉 배양몸체(500)에서 테두리부(410)와 둘레부(520) 및 바닥판(530)이 일체로 형성되며, 둘레부(520)의 외측에 결합구(540) 및 손잡이(550)가 형성되도록 형틀에 넣고 성형이 이루어진다. 성형이 이루어진 이후에 물인입공(532)이 천공된다. 필요에 따라 물인입공(532)은 생략될 수 있다.
이때 배양몸체(500)에서 테두리부(410), 둘레부(520), 결합구(540) 및 손잡이(550)를 생략하고 바닥판(530)만 형성하여, 물인입공(532)을 천공할 수도 있다.
단계 6은 배양몸체(500)에서 물(30)이 지속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에 친환경코팅재로 도포하여, 물(30)에 의한 으깨짐이 최소화되도록 한 것이다. 배양몸체(500)의 바닥판(530) 하부 전체 면적에 걸쳐서 친환경코팅재가 도포된다. 친환경코팅재가 도포된 이후 1 내지 2시간 동안 자연 건조 해준다. 이때 도포 방식을 스프레이로 뿌리거나, 붓으로 칠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건조는 인공적인 수단을 가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수분이 증발되로록 건조해준다.
친환경코팅재는 물(30)에 지속적으로 접촉되는 바닥판(530)의 으깨짐을 지연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액상으로 만든 녹말, 옥수수전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배양몸체(500)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물 100중량부에 질경이 8중량부, 황기 8중량부, 인삼 8중량부, 싸리나무 8중량부, 명아주 8중량부, 까마중 8중량부, 유근피 8중량부, 꾸지뽕나무 8중량부, 강아지풀 8중량부, 와송 8중량부, 환삼덩굴 8중량부 및 백토 8중량부를 혼합하고 3℃에서 72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제1 숙성액을 만들었다. 물 100중량부에 오미자 17중량부, 다래 17중량부, 감 17중량부, 똘배 17중량부, 개복숭아 17중량부 및 백토 17중량부를 혼합하고 3℃에서 72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제2 숙성액을 만들었다. 제1 숙성액 및 제2 숙성액을 중량비 1:1로 혼합한 후 3℃에서 360일 동안 숙성시켜 제3 숙성액을 만들었다. 제3 숙성액을 톱밥에서 25℃에서 14일 동안 발효시켜 육묘용 미생물제제를 제조하였다. 돈분 100중량부에 상기 육묘용 미생물제제 5중량부를 혼합하고 55℃에서 7일 동안 숙성시켜 제1 숙성물을 만들었다. 2~4㎝의 크기로 분쇄한 옥수수대 50중량%, 1~3㎝의 크기로 분쇄한 미루나무톱밥 30중량% 및 2~6㎝의 크기로 분쇄한 코코피트 20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었다. 제1 숙성물 및 상기 혼합물을 중량비 1:1로 혼합한 후 25℃에서 10일 동안 숙성시켜 제2 숙성물을 만들었다.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감자전분 45중량부, 물 45중량부를 혼합하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만들었다. 반죽물을 형틀에 넣고 화분 형상으로 성형한 후 50℃에서 36시간 동안 건조하여 배양몸체(500)를 제조하였다. 이후 배양몸체(500)의 바닥판(530)의 하부 전체 넓이에 걸쳐서 친환경코팅재를 도포하여 1시간 내지 2시간 자연 건조하여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배양몸체(500)를 제조하였다.
위와 같이 배양몸체(500)를 제조하여, 수용몸체(100)의 공간부(110)에 수용하게 되면 돈분, 옥수수대, 미루나무톱밥, 코코피트, 감자전분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바닥판(530)의 하부에 지속적으로 물(30)이 접촉되더라도 전체적으로 서서히 으깨짐으로써, 으깨진 조각 들이 물고기(20)의 먹이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배양몸체(500)에 포함된 미생물 들이 물(30)에 낙하되어 물고기(20)의 먹이로 활용된다.
아울러 둘레부(520)는 코코피트(300)의 수분에 의해 으깨지고, 으깨진 조각이 식물(10)이 생장하는데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해줄 수 있다.
나아가 바닥판(530)이 서서히 으깨지도록 함으로써, 오랜 시간 배양몸체(500)의 형태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식물(10)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함은 물론, 물고기(20)에게 먹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의 배양몸체(500)가 추가된 상태의 사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4의 정면도이다.
전술한 사용 설명과 달리, 부직포(140) 상부에 배양몸체(500)가 위치하고, 배양몸체(500)의 둘레부(520) 내부에는 코코피트(300)가 수용된 형태이다.
분사노즐(210)에서 물(30)을 분사하게 되면, 물(30)은 메쉬망(130)과 부직포(140)를 차례로 통과하고, 부직포(140)를 통과한 물(30)은 배양몸체(500)의 바닥판(530) 하부와 접촉하게 된다. 아울러 바닥판(530)에 관통형성된 복수의 물인입공(532)을 통해 물(30)이 코코피트(300)에 접촉되게 된다. 그에 따라 코코피트(300)는 분사노즐(210)을 통해 공급된 물(30)을 지속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코코피트(300)는 흡수한 물(30)을 식물(10)에 공급함과 동시에, 자연 기화를 통해 습기(50)를 공기중에 공급해준다. 이때 코코피트(300)의 전체 면적을 통해 다량의 습기(50)가 증발하기 때문에 가습 효과를 높여줄 수 있다.
아울러 코코피트(300)의 수분에 의해 배양몸체(500)의 둘레부(520)는 서서히 으깨지게 된다. 둘레부(520)에서 발생하는 으깨진 조각들은 식물(10)에게 영양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판(530)에서 발생하는 으깨진 조각들은 코코피트(300) 내부의 식물(10)에게 영양분을 제공하며, 공간부(110)의 하부로 낙하하는 으깨진 조각 및 미생물들은 물고기(20)의 먹이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바닥판(530)이 친환경코팅재로 도포된 경우, 바닥판(530)에 물(30)이 장시간 접촉되더라도 서서히 으깨지게 된다. 즉 물(30)이 바닥판(530)의 하부에 지속적으로 접촉되더라도 으깨짐을 지연시켜준다. 그래서 바닥판(530)의 형체를 오랫동안 그대로 유지시켜줄 수 있다. 그에 따라 바닥판(530)의 형태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식물(10)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함은 물론, 물고기(20)에게 먹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에서 배양몸체(500)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에서 다른 형태의 배양몸체(500)가 적용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
도 8과 같이 배양몸체(500)는 평평하고 얇은 판 형상의 바닥판(530)으로만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배양몸체(500)에서 테두리부(510, 도6 참조), 둘레부(520, 도 6 참조), 결합구(540, 도 6 참조), 및 손잡이(550, 도 6 참조)가 생략된 형태이다.
바닥판(530)에는 복수의 물인입공(532)이 등간격으로 관통 형성된다. 바닥판(530)은 코코피트(300)의 하부와 부직포(140)의 상부 사이에 위치한다.
바닥판(530)은 공간부(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바닥판(530)에는 복수의 물인입공(532)이 관통형성된다. 물인입공(532)을 통해 분사노즐(210)로 분사된 물(30)이 메쉬망(130)과 부직포(140)를 통과하여, 코코피트(300)에 접촉되도록 해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코피트(300)에 물(30)이 공급됨과 동시에, 물(30)에 의해 바닥판(530)이 서서히 으깨지게 된다. 바닥판(530)의 으깨진 조각 및 미생물은 식물(10)에 영양분을 공급함과 동시에, 물고기(20)에게 먹이가 될 수 있다.
10 : 식물 20 : 물고기 30 : 물 40 : 빛 50 : 습기
100 : 수용몸체
110 : 공간부 120 : 구획단턱
130 : 메쉬망 132 : 관통공
140 : 부직포 142 : 절개선
150 : 물배출구 152 : 배출구마개
160 : 지지대 162 : 삽입공
170 : 받침돌기 180 : 받침대 182 : 받침홈
190 : 관인입공
200 : 노즐몸체
210 : 분사노즐 220 : 물공급관
300 : 코코피트
400 : 램프조립체
410 : 기둥 420 : 반사판 430 : 램프
500 : 배양몸체
510 : 테두리부 520 : 둘레부
530 : 바닥판 532 : 물인입공
540 : 결합구 550 : 손잡이

Claims (7)

  1. 박스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부(110)가 형성되며, 내측 테두리에 상기 공간부(110)를 구획하는 구획단턱(120)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단턱(120)의 상부에 전체 면적에 걸쳐서 복수의 관통공(132)이 형성된 메쉬망(130)이 위치하며, 상기 메쉬망(130)의 상부에는 부직포(140)가 위치하는 수용몸체(100);
    상기 공간부(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메쉬망(130)을 향하여 물(30)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210)이 수직으로 세워져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분사노즐(210)과 연통되는 물공급관(220)이 형성된 노즐몸체(200);
    블럭 형상으로 상기 수용몸체(100)에 수용되도록 상기 부직포(14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물(30)을 흡수하고, 흡수한 상기 물(30)이 공기중에 습기(50)로 배출되고, 식물(10)이 심어져 자라는 배양토 역할을 하는 코코피트(300); 및
    상기 수용몸체(100)의 양측면에 기둥(410)이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기둥(410)의 상단에서 횡방향으로 반사판(420)이 형성되며, 상기 반사판(4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식물(10)을 향하여 빛을 조사해주는 램프조립체(400);를 포함하며,
    상기 코코피트(300)와 상기 부직포(140) 사이에 위치하는 배양몸체(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양몸체(500)는 상부에 얇은 판으로 사각 띠 형상으로 형성된 테두리부(510)와, 상기 테두리부(510)의 하부에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둘레부(520)와, 상기 둘레부(520)의 하단에서 판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판(53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530)에는 복수의 물인입공(532)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둘레부(520)의 내부에 상기 코코피트(300)가 수용되며, 상기 분사노즐(210)에서 분사된 상기 물(30)이 상기 메쉬망(130)과 상기 부직포(140) 및 상기 물인입공(532)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코코피트(300)에 접촉되어, 상기 코코피트(300)가 상기 물(30)을 흡수하고, 상기 습기(50)를 배출해주고;
    상기 배양몸체(500)는,
    돈분 및 육묘용 미생물제제를 혼합하고 숙성시켜 제1 숙성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1); 옥수수대, 미루나무톱밥 및 코코피트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2); 상기 제1 숙성물 및 상기 혼합물을 혼합한 후 숙성시켜 제2 숙성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3); 상기 제2 숙성물에 감자전분 및 물을 혼합하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반죽물을 형틀에 넣고 성형한 후 건조하는 단계(단계 5);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140)에는 복수의 절개선(142)이 형성되는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210)은 상기 공간부(110)의 내부에서 상기 구획단턱(120)에 의해 구획된 하부 공간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되,
    상기 물공급관(220)에서 유입된 상기 물(30)이 상기 분사노즐(210)에 의해 분사되어 상기 메쉬망(130)과 상기 부직포(140)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코코피트(300)에 접촉되어, 상기 코코피트(300)에 상기 물(30)이 지속적으로 흡수되도록 공급해주고, 상기 코코피트(300)에 흡수된 상기 물(30)이 자연 기화식으로 증발하면서 공기중에 습기(50)를 배출해주는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코피트(300)와 상기 부직포(140) 사이에 위치하는 배양몸체(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양몸체(500)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복수의 물인입공(532)이 관통형성된 바닥판(530)으로 이루어진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몸체(500)는,
    상기 테두리부(510)의 외측 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결합구(540)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구(540)는 상기 수용몸체(100)의 상단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
  7. 삭제
KR1020180084316A 2018-07-19 2018-07-19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 KR102216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316A KR102216389B1 (ko) 2018-07-19 2018-07-19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316A KR102216389B1 (ko) 2018-07-19 2018-07-19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665A KR20200009665A (ko) 2020-01-30
KR102216389B1 true KR102216389B1 (ko) 2021-02-17

Family

ID=6932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316A KR102216389B1 (ko) 2018-07-19 2018-07-19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3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852A (ko) 2020-10-23 2022-05-02 장웅 공기식물 재배기능과 가습 기능을 겸비하는 인테리어 조명 기구
KR20230115461A (ko) 2022-01-27 2023-08-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Wheel형 스마트 화분
KR102615730B1 (ko) * 2023-09-07 2023-12-19 이상택 농작물 성장 촉진을 위한 재배판 거치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395Y1 (ko) * 1998-04-09 2001-01-15 한상우 수경재배기형 덮개를 가진 수족관
KR101729395B1 (ko) * 2015-06-16 2017-04-2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정화식물과 광물필터를 이용한 친환경 공기정화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928A (ko) * 2013-12-31 2015-07-08 (사)시니어월드 복합 기능을 갖는 천연 가습기
KR101868233B1 (ko) 2016-12-01 2018-06-15 이훈재 심지관수를 이용한 가습겸용 화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395Y1 (ko) * 1998-04-09 2001-01-15 한상우 수경재배기형 덮개를 가진 수족관
KR101729395B1 (ko) * 2015-06-16 2017-04-2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정화식물과 광물필터를 이용한 친환경 공기정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665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394B1 (ko) 다층구조 기구를 이용한 딸기 및 소형 엽채류의 재배장치
CN110476730B (zh) 植物生长系统以及采用所述系统的方法
US11672215B2 (en) Aeroponic plant growing system
US10757875B2 (en) Device for hydroponic cultivation
US82614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liquid delivery and distribution to plants
US20070271841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growing plants
US20080282610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growing plants
US20050257424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growing plants
KR102216389B1 (ko) 가습기 겸용 관상용 화분
US6389751B1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using subirrigation
US20150173305A1 (en) Gardening system and container for supporting plant growth and related methods
US20180279561A1 (en) Gardening system and container for supporting plant growth and related methods
JP2005000176A (ja) 吸水ポリマー製人工培土による植物栽培方法、植物用保水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使用方法、根腐れ防止剤及び根腐れ防止方法、並びに保水剤及び保水方法
CN102349430B (zh) 一种葡萄容器育苗的方法
CN202565823U (zh) 组合式栽培箱
CN109041835A (zh) 一种用于茶叶的轻基质营养袋扦插方法
CN2788541Y (zh) 经济节水型花盆
KR101362925B1 (ko) 채소재배 및 새싹재배 겸용 가정용 다기능 식물재배기
KR101037162B1 (ko) 화분장치
Tüzel et al. Advances in liquid-and solid-medium soilless culture systems
CN2263436Y (zh) 芽菜培养器
CN211020163U (zh) 一种阳台楼顶有机仿大田栽培设备
CN210694917U (zh) 一种客土盆栽种植有机蔬菜的装置
JP2018074987A (ja) 水遣り要らずの鉢植え栽培。
KR200293601Y1 (ko) 수지를 이용한 플로랄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