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945B1 -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945B1
KR102215945B1 KR1020130167462A KR20130167462A KR102215945B1 KR 102215945 B1 KR102215945 B1 KR 102215945B1 KR 1020130167462 A KR1020130167462 A KR 1020130167462A KR 20130167462 A KR20130167462 A KR 20130167462A KR 102215945 B1 KR102215945 B1 KR 102215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annotation
selection information
cells
marking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8243A (ko
Inventor
천왕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167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945B1/ko
Publication of KR20150078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동영상에 주석을 설정하는 방법은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하는 단계,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 경우, 마킹 코드와 동영상의 주석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METHOD FOR MAKING ANNOTATION ON VIDEO, COMPUT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이 보급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음악 감상, 동영상 시청, 웹 서핑 등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스마트 폰 이용자들은 인터넷 접속을 통해 웹 서핑을 즐길 수도 있고, 본인이 관심있는 웹 페이지에 줄긋기 또는 주석달기와 같은 소정 마크를 표시할 수도 있다.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에 주석을 설정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10-0027685호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동영상 시청 중 주석을 설정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동영상 시청 중 태깅, 스크린샷 스크랩, SNS 전파, 관심장면 등록과 같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동영상 시청 중에 제공되는 기능은 동영상의 시청 몰입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이 복잡하다. 따라서, 동영상의 시청 몰입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누구나 쉽게 동영상에 주석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동영상 시청 중, 동영상에 대한 시청 몰입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형태의 주석을 설정할 수 있는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동영상의 재생 화면 상에 표시된 격자를 통해 마킹 코드를 등록하고, 설정된 마킹 코드를 통해 동영상의 주석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하는 단계,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 경우, 마킹 코드와 동영상의 주석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의 주석 설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서버로부터 동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하는 단계,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 정보와 동영상에 대한 주석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의 주석 설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메모리 및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프로세싱 유닛은 동영상을 재생하고,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하고,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지 판단하고,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 경우, 마킹 코드와 동영상의 주석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메모리 및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프로세싱 유닛은 서버로부터 동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고,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하고,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 정보와 동영상에 대한 주석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가, 동영상을 재생하고,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하고,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지 판단하고,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 경우, 마킹 코드와 동영상의 주석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가, 서버로부터 동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고,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하고,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 정보와 동영상에 대한 주석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동영상 시청 중, 동영상에 대한 시청 몰입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형태의 주석을 설정할 수 있는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동영상의 재생 화면 상에 표시된 격자를 통해 마킹 코드를 등록하고, 설정된 마킹 코드를 통해 동영상의 주석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주석 설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가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표시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의 셀이 선택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코드와 이와 연계되어 저장된 주석데이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코드와 주석 행위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주석 설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영상 주석 설정 시스템(1)은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은 동영상 주석 설정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동영상 주석 설정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서버(100)는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이 때, 서버(100)는 프로그램의 채널 또는 VOD(Video On Demands)과 같은 다양한 동영상을 스트리밍(streaming) 또는 다운로드(download)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셀 선택 정보와 동영상에 대한 주석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셀 선택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복수의 셀 중 셀 각각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드로잉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생성된 셀 선택 정보는 선택된 셀의 코드 값과 선택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주석데이터는 주석 기록 시각, 동영상의 ID, 동영상의 재생 시점, 동영상의 프레임 식별자, 태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로부터 동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0)은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해 동영상 코덱 및 음성 코덱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코덱은 MPEG-1, MPEG-2, MPEG-4, DivX, Xvid, AVI 및 WMV 등일 수 있으며, 음성 코덱은 MP3, WMA, AAC 및 AC-3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는 동영상의 시청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동영상의 재생 화면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는 화면의 크기에 따라 4개의 셀로 구성된 2x2 격자, 6개의 셀로 구성된 3x2 격자, 9개의 셀로 구성된 3x3 격자, 12개의 셀로 구성된 4x3 격자 중 어느 하나의 격자가 선택되어 동영상 재생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셀 각각에는 코드 값 또는 고유 식별자가 부여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x2 격자의 경우, 1행 1열의 셀은 '1', 1행 2열의 셀은 '2', 2행 1열의 셀은 '3', 2행 2열의 셀은 '4'와 같이 각각의 코드 값이 부여될 수 있다. 선택 정보는 복수의 셀 중 셀 각각에 대한 터치(touch) 입력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정보는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드로잉 입력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행 1열의 셀 및 2행 1열의 셀을 선택하려는 경우, 셀 선택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1행 1열의 셀 및 2행 1열의 셀에 대한 각각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셀 선택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1행 1열의 셀로부터 2행 1열의 셀로 이동하는 연속적인 드로잉 입력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셀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1행 1열의 셀 및 2행 2열의 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1행 1열의 셀에 대한 코드 값인 '1'과 2행 2열의 셀에 대한 코드 값인 '4'를 '1-4'와 같이 연속적인 순서의 마킹 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기등록된 마킹 코드는 주석 행위와 매칭되어 미리 등록된 것일 수 있으며, 주석 행위는, 예를 들어, 이어보기, 스크린 샷의 스크랩, 공유하기, 태깅 정보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 경우, 마킹 코드와 동영상의 주석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등록된 마킹 코드 '1-4'가 주석 행위 중 '이어보기'와 매칭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동영상의 재생 화면에 '이어보기'를 나타내는 마킹 코드 '1-4'와 주석데이터를 함께 기록할 수 있다. 이 때, 주석데이터는 주석 기록 시각, 동영상의 ID, 동영상의 재생 시점, 동영상의 프레임 식별자, 태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0)은 마킹 코드와 동영상의 주석데이터를 기록하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에서 마킹 코드와 동영상의 주석데이터를 자체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의 일 예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201)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의 일 예는 스마트 패드(smart pad), 타블랫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2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 단말(200) 내에 포함된 장치로서, 동영상에 주석을 설정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며, 동영상에 주석을 설정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컴퓨팅 장치를 사용자 단말(200)이라고 호칭하겠다.
사용자 단말(200)은 메모리(210) 및 메모리(210)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220)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220)은 서버(100)로부터 동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한다. 이 때, 동영상은 실시간 채널 또는 VOD(Video On Deman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가 표시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프로세싱 유닛(2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동영상 주석 설정을 요청받으면,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3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는 동영상의 시청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동영상의 재생 화면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는 화면의 크기에 따라, 예를 들어, 4개의 셀로 구성된 2x2 격자, 6개의 셀로 구성된 3x2 격자, 9개의 셀로 구성된 3x3 격자, 12개의 셀로 구성된 4x3 격자 중 어느 하나의 격자가 선택되어 동영상 재생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영상 시청 중 현재 재생 화면에 주석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프로세싱 유닛(220)은 현재 재생 시간인 23:35(310)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3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된 격자는 총 9개의 셀을 포함하는 3x3 격자일 수 있다.
도 3b는 복수의 셀 각각에 코드 값이 표시된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표시된 복수의 셀 각각에는 코드 값이 부여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3x3 격자(320)의 경우, 1행 1열의 셀은 '1', 1행 2열의 셀은 '2', 1행 3열의 셀은 '3', 2행 1열의 셀은 '4', 2행 2열의 셀은 '5', 2행 3열의 셀은 '6', 3행 1열의 셀은 '7', 3행 2열의 셀은 '8', 3행 3열의 셀은 '9'와 같이 각각의 코드 값이 부여될 수 있다. 코드 값은 1행 1열에 위치한 셀로부터 횡 또는 종방향으로 부여될 수 있다. 이 때, 부여된 코드 값이 셀에 표시되면 동영상 시청 몰입에 방해될 수 있으므로, 코드 값은 동영상의 재생 화면 상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의 셀이 선택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싱 유닛(220)은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셀 선택 정보는 선택된 셀의 코드 값과 선택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하나의 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프로세싱 유닛(2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하나의 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셀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터치(touch) 입력(410)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220)은 2행 1열에 위치한 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 경우, 프로세싱 유닛(220)은 2행 1열에 위치한 셀의 코드 값인 '4'를 마킹 코드 '4'로 변환하여 기억할 수 있다.
도 4b 내지 도 4d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복수의 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프로세싱 유닛(2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두 개의 의 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220)은 1행 2열에 위치한 셀 및 2행 2열에 위치한 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선택 정보는 선택된 셀의 코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행 2열에 위치한 셀의 코드 값은 '2'이고, 2행 2열에 위치한 셀의 코드 값은 '5'일 수 있다. 또한, 선택 정보는 선택된 복수의 셀에 대한 선택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싱 유닛(220)은 셀이 선택된 순서를 통해 선택된 셀의 코드 값의 순서를 기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1행 2열에 위치한 셀이 선택된 후, 2행 2열에 위치한 셀이 선택된 경우, 프로세싱 유닛(220)은 1행 2열 셀의 코드 값인 '2'와 2행 2열 셀의 코드 값인 '5'를 마킹 코드인 '2-5'로 변환하여 기억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프로세싱 유닛(2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다섯 개의 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20)은 1행 1열에 위치한 셀, 1행 2열에 위치한 셀, 2행 2열에 위치한 셀, 3행 2열에 위치한 셀 및 3행 3열에 위치한 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행 1열에 위치한 셀의 코드 값은 '1'이고, 1행 2열에 위치한 셀의 코드 값은 '2'이고, 2행 2열에 위치한 셀의 코드 값은 '5'이고, 3행 2열에 위치한 셀의 코드 값은 '8'이고, 3행 3열에 위치한 셀의 코드 값은 '9'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1행 1열, 1행 2열, 2행 2열, 3행 2열 및 3행 3열의 순으로 셀이 선택된 경우, 프로세싱 유닛(220)은 1행 1열 셀의 코드 값인 '1'과 1행 2열 셀의 코드 값인 '2'와 2행 2열 셀의 코드 값인 '5'와 3행 2열 셀의 코드 값인 '8'과 3행 3열 셀의 코드 값인 '9'를 마킹 코드인 '1-2-5-8-9'로 변환하여 기억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프로세싱 유닛(2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다섯 개의 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20)은 1행 3열에 위치한 셀, 2행 2열에 위치한 셀, 3행 1열에 위치한 셀, 3행 2열에 위치한 셀 및 3행 3열에 위치한 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행 3열에 위치한 셀의 코드 값은 '3'이고, 2행 2열에 위치한 셀의 코드 값은 '5'이고, 3행 1열에 위치한 셀의 코드 값은 '7'이고, 3행 2열에 위치한 셀의 코드 값은 '8'이고, 3행 3열에 위치한 셀의 코드 값은 '9'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1행 3열, 2행 2열, 3행 1열, 3행 2열 및 3행 3열의 순으로 셀이 선택된 경우, 프로세싱 유닛(220)은 1행 3열의 셀의 코드 값인 '3'과 2행 2열의 셀의 코드 값인 '5'와 3행 1열에 위치한 셀의 코드 값인 '7'과 3행 2열에 위치한 셀의 코드 값인 '8'과 3행 3열에 위치한 셀의 코드 값인 '9'를 마킹 코드인 '3-5-7-8-9'로 변환하여 기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셀에 대한 선택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각각의 셀에 대한 터치(touch) 입력(410)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셀에 대한 선택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드로잉 입력(41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코드와 이와 연계되어 저장된 주석데이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마킹 코드(510)와 연계되어 저장된 주석 행위(5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프로세싱 유닛(220)은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510)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기등록된 마킹 코드(510)에는 각각의 마킹 코드(510)에 대응하는 주석 행위(520)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주석 행위(520)는 이어보기, 스크린 샷의 스크랩, 공유하기, 태깅 정보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킹 코드(510) '4'의 경우, 설정된 주석 행위(520)는 '이어보기'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마킹 코드(510) '2-5'의 경우, 설정된 주석 행위(520)는 '태깅할 장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마킹 코드(510) '1-2-5-8-9'의 경우, 설정된 주석 행위(520)는 '교육용 스크린샷'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마킹 코드(510) '3-5-7-8-9'의 경우, 설정된 주석 행위(520)는 '공유용 스크린샷'일 수 있다.
도 5b는 동영상에 기록된 주석데이터의 구조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프로세싱 유닛(220)은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510)에 대응하는 경우, 마킹 코드(510)와 연계하여 동영상의 주석데이터(530)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석데이터(530)는 일련 번호(531), 주석 기록 시각(532), 동영상의 ID(533), 동영상 타입(534), 동영상의 프레임 식별자(535), 동영상의 재생 시점(536), 태그 정보(537), 개인용 주석(53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510)인 '4'에 대응하는 경우, 프로세싱 유닛(220)은 제 1 동영상의 '이어보기'에 대한 주석데이터(530)를 기록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싱 유닛(220)은 제 1 동영상에 대한 주석데이터(530)를 일련 번호(531)는 '1'이고, 주석 기록 시각(532)은 '2013-11-10 / 21:11:25'이고, 동영상의 ID(533)는 'M0109'이고, 동영상 타입(534)은 'VOD'이고, 동영상의 프레임 식별자(535)는 '82088'이고, 동영상의 재생 시점(536)은 '00:09:22'과 같이 기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510)인 '2-5'에 대응하는 경우, 프로세싱 유닛(220)은 제 2 동영상의 '태깅할 장면'에 대한 주석데이터(530)를 기록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싱 유닛(220)은 제 2 동영상에 대한 주석데이터(530)를 일련 번호(531)는 '1'이고, 주석 기록 시각(532)은 '2013-11-07 / 22:03:32'이고, 동영상의 ID(533)는 'M0123'이고, 동영상 타입(534)은 'VOD'이고, 동영상의 프레임 식별자(535)는 '50987'이고, 동영상의 재생 시점(536)은 '00:23:35'이고, 태그 정보(537)는 'castle'이고, 개인용 주석(538)은 'Tour package Info(http://abc.com)와 같이 기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510)인 '1-2-5-8-9'에 대응하는 경우, 프로세싱 유닛(220)은 제 3 동영상의 '교육용 스크린 샷'에 대한 주석데이터(530)를 기록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싱 유닛(220)은 제 3 동영상에 대한 주석데이터(530)를 일련 번호(531)는 '1'이고, 주석 기록 시각(532)은 '2013-10-22 / 09:25:01'이고, 동영상의 ID(533)는 'C7821'이고, 동영상 타입(534)은 'Live'이고, 동영상의 재생 시점(536)은 '00:29:13'이고, 개인용 주석(538)은 'Beautiful landscape'와 같이 기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510)인 '1-2-5-8-9'에 대응하는 경우, 프로세싱 유닛(220)은 제 4 동영상의 '교육용 스크린 샷'에 대한 주석데이터(530)를 일련 번호(531)는 '2'이고, 주석 기록 시각(532)은 '2013-10-29 / 16:11:09'이고, 동영상의 ID(533)는 'M4739'이고, 동영상 타입(534)은 'VOD'이고, 동영상의 프레임 식별자(535)는 '94003'이고, 동영상의 재생 시점(536)은 '00:14:29'이고, 개인용 주석(538)은 'Volcanic Eruption'과 같이 기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복수의 동영상 재생 화면에 대해 동일한 선택 정보, 즉, 동일한 마킹 코드(510)가 입력된 경우, 동일한 마킹 코드(510)가 기록된 재생 화면의 일련 번호(531)는 순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510)인 '3-5-7-8-9'에 대응하는 경우, 프로세싱 유닛(220)은 제 5 동영상의 '공유용 스크린 샷'에 대한 주석데이터(530)를 기록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싱 유닛(220)은 제 5 동영상에 대한 주석데이터(530)를 일련 번호(531)는 '1'이고, 주석 기록 시각(532)은 '2013-11-03 / 18:43:58'이고, 동영상의 ID(533)는 'M3301'이고, 동영상 타입(534)은 'VOD'이고, 동영상의 프레임 식별자(535)는 '27004'이고, 동영상의 재생 시점(536)은 '00:49:12'이고, 개인용 주석(538)은 'My Star - Maria'와 같이 기록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싱 유닛(2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동영상 시청 중 재생 화면에 셀 선택 정보만을 수신하고, 추후 동영상 시청이 중지되거나 종료된 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개인용 주석에 대한 세부 데이터를 더 수신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유닛(220)은 셀 선택 정보와 동영상에 대한 주석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가 동영상을 재생하고,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하고,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지 판단하고,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 경우, 마킹 코드와 동영상의 주석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동영상에 주석을 설정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가 서버(100)로부터 동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고,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하고,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 정보와 동영상에 대한 주석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는 동영상에 주석을 설정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코드와 주석 행위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주석 행위 리스트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프로세싱 유닛(2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등록된 주석 행위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등록된 주석 행위는 이어보기(610), 태깅 정보 입력(620), 스크린 샷의 스크랩(630), 공유하기(6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싱 유닛(2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선택 정보에 대한 새로운 주석 행위를 등록(650)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6b는 주석 등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프로세싱 유닛(2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셀 선택 정보(651)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선택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복수의 셀 각각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생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드로잉 입력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유닛(220)은 생성된 선택 정보를 마킹 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셀 선택 정보를 입력받으면, 셀 선택 정보에 대한 주석명(652)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2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셀 선택 정보에 대한 주석 행위(653)을 입력받을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등록하기'(654)를 입력받으면, 마킹 코드, 주석명(652) 및 주석 행위(653)을 등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1행 1열, 2행 2열 및 3행 3열의 선택 정보를 수신한 경우, 프로세싱 유닛(220)은 1행 1열의 코드 값인 '1', 2행 2열의 코드 값인 '5', 3행 3열의 코드 값인 '9'를 마킹 코드인 '1-5-9'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싱 유닛(2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변환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 주석명(652)으로 '스포츠 명장면' 또는 '페이스북 내 고교동창 커뮤니티 공유용 클립설정'과 같은 특정 주석명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주석 행위(653)로서 '스크린 샷의 스크랩'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수행되는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주석 설정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다른 동영상 주석 설정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수행되는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71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로부터 동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한다. 단계 S72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한다. 단계 S73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선택 정보는 선택된 셀의 코드 값과 선택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74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선택 정보와 동영상에 대한 주석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 때, 주석데이터는 주석 기록 시각, 동영상의 ID, 동영상의 재생 시점, 동영상의 프레임 식별자, 태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하는 단계,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선택 정보에 대한 주석 행위를 입력받는 단계, 선택 정보를 마킹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및 마킹 코드와 주석 행위를 서버(10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10 내지 S7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수행되는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주석 설정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주석 설정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수행되는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81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동영상을 재생한다. 단계 S82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한다. 이 때, 복수의 셀 각각에는 코드 값이 부여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 S83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선택 정보는 선택된 셀의 코드 값과 선택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 정보는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드로잉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단계 S84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지 판단한다. 단계 S85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 경우, 마킹 코드와 동영상의 주석데이터를 기록한다. 이 때, 주석데이터는 주석 기록 시각, 동영상의 ID, 동영상의 재생 시점, 동영상의 프레임 식별자, 태그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840에서 셀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도 6a에 도시된 주석 행위 등록 화면으로 유도할 수도 있고, 셀 선택을 다시 하라는 안내 문구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하는 단계,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선택 정보에 대한 주석 행위를 입력받는 단계, 선택 정보를 마킹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및 마킹 코드와 주석 행위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200)은 등록된 주석 행위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등록된 주석 행위는 이어보기, 스크린 샷의 스크랩, 공유하기, 태깅 정보 입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200)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선택 정보에 대한 주석 등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810 내지 S85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된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수행되는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서버
200: 사용자 단말
210: 메모리
220: 프로세싱 유닛

Claims (17)

  1. 동영상에 주석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마킹 코드와 상기 동영상의 주석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마킹 코드는 특정 주석 행위와 매칭되어 등록되고,
    상기 주석데이터는, 상기 동영상의 프레임 식별자 또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과 관련된 개인용 주석에 대한 세부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세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용 주석을 포함하도록 상기 주석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인, 동영상의 주석 설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 각각에는 코드 값이 부여되어 있는 것인, 동영상의 주석 설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정보는, 선택된 셀의 상기 코드 값과 선택 순서를 포함하는 것인, 동영상의 주석 설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정보에 대한 상기 주석 행위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 정보를 마킹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마킹 코드와 상기 주석 행위를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의 주석 설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주석 행위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의 주석 설정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주석 행위는, 이어보기, 스크린 샷의 스크랩, 공유하기, 태깅 정보 입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동영상의 주석 설정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데이터는, 주석 기록 시각, 상기 동영상의 ID, 태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동영상의 주석 설정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정보는, 상기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드로잉에 의해 생성되는 것인, 동영상의 주석 설정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선택 정보에 대한 주석 등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의 주석 설정 방법.
  10. 동영상에 주석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상기 동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정보와 상기 동영상에 대한 주석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기등록된 마킹 코드는 특정 주석 행위와 매칭되어 등록되고,
    상기 주석데이터는, 상기 동영상의 프레임 식별자 또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과 관련된 개인용 주석에 대한 세부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세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용 주석을 포함하도록 상기 주석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인, 동영상의 주석 설정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정보에 대한 상기 주석 행위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 정보를 마킹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마킹 코드와 상기 주석 행위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의 주석 설정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정보는, 선택된 셀의 코드 값과 선택 순서를 포함하는 것인, 동영상의 주석 설정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데이터는, 주석 기록 시각, 상기 동영상의 ID, 태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동영상의 주석 설정 방법.
  14. 동영상에 주석을 설정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마킹 코드와 상기 동영상의 주석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킹 코드는 특정 주석 행위와 매칭되어 등록되고,
    상기 주석데이터는, 상기 동영상의 프레임 식별자 또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과 관련된 개인용 주석에 대한 세부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세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용 주석을 포함하도록 상기 주석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인, 컴퓨팅 장치.
  15. 동영상에 주석을 설정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서버로부터 상기 동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고,
    상기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 정보와 상기 동영상에 대한 주석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기등록된 마킹 코드는 특정 주석 행위와 매칭되어 등록되고,
    상기 주석데이터는, 상기 동영상의 프레임 식별자 또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과 관련된 개인용 주석에 대한 세부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세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용 주석을 포함하도록 상기 주석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인, 컴퓨팅 장치.
  16. 동영상에 주석을 설정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선택 정보가 기등록된 마킹 코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마킹 코드와 상기 동영상의 주석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하고,
    상기 마킹 코드는 특정 주석 행위와 매칭되어 등록되고,
    상기 주석데이터는, 상기 동영상의 프레임 식별자 또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과 관련된 개인용 주석에 대한 세부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세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용 주석을 포함하도록 상기 주석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7. 동영상에 주석을 설정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장치가,
    서버로부터 상기 동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고,
    상기 동영상의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격자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 정보와 상기 동영상에 대한 주석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기등록된 마킹 코드는 특정 주석 행위와 매칭되어 등록되고,
    상기 주석데이터는, 상기 동영상의 프레임 식별자 또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과 관련된 개인용 주석에 대한 세부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세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용 주석을 포함하도록 상기 주석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30167462A 2013-12-30 2013-12-30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215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462A KR102215945B1 (ko) 2013-12-30 2013-12-30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462A KR102215945B1 (ko) 2013-12-30 2013-12-30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243A KR20150078243A (ko) 2015-07-08
KR102215945B1 true KR102215945B1 (ko) 2021-02-16

Family

ID=5379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462A KR102215945B1 (ko) 2013-12-30 2013-12-30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9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6723B (zh) * 2018-12-12 2024-02-20 西安万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439B1 (ko) * 2005-01-25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제어방법과 장치
KR101667575B1 (ko) * 2009-08-11 201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243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1654B2 (en) Recording and playing video using orientation of device
US109299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dvertisement content and personal content
US9253533B1 (en) Scene identification
US9077956B1 (en) Scene identification
US87378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rding content within digital video
CN105580013A (zh) 通过搜索多个用户评论并将其覆盖到内容中来浏览视频
US20160071491A1 (en) Multitasking and screen sharing on portable computing devices
KR20120108501A (ko) 식별 코드 운용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8984561B2 (en) Moving-image play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800464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a browsing session
CN109062930A (zh) 一种基于二维码标识视频的方法、装置及系统
KR101120737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소셜 동영상 서비스 방법
CN105453014A (zh) 可调节的视频播放器
CN104080009A (zh) 一种多终端断点续播的方法及系统
KR102038938B1 (ko) 숏클립 비디오를 제작 및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완구 sns
KR102299789B1 (ko) 소셜 서비스와 결합된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99776B1 (ko) 클립 동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미리보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버
KR102215945B1 (ko)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150066914A (ko) 디바이스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CN105340286A (zh) 用于向用户推荐内容的方法和系统
TW201330597A (zh) 使用共享視訊裝置及個人裝置之個人化視訊內容消費技術
JP6266827B1 (ja) 端末およびサーバ
US201403728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a series of videos in response to a selection of a picture
WO2015195390A1 (en) Multiple viewpoints of an event generated from mobile devices
KR20130032027A (ko) 식별 코드 기반 정보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및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