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458B1 - 이미지 수집 기기 - Google Patents

이미지 수집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458B1
KR102215458B1 KR1020197021269A KR20197021269A KR102215458B1 KR 102215458 B1 KR102215458 B1 KR 102215458B1 KR 1020197021269 A KR1020197021269 A KR 1020197021269A KR 20197021269 A KR20197021269 A KR 20197021269A KR 102215458 B1 KR102215458 B1 KR 102215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arget
collection device
image collection
concav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9577A (ko
Inventor
콩홍 종
수보 시앙
종후아 쉐
쿤 마
지안 리
Original Assignee
선전 센스타임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센스타임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센스타임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19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0044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1Analysis of document content
    • G06V30/418Document matching, e.g. of document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04N1/0032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 H04N1/0033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with an apparatus performing pattern recognition, e.g. of a face or a geographic fea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64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ergonomic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22Media holders, covers, supports, backgrounds; Arrangements to facilitate placing of the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mage Input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이미지 수집 기기를 개시하며, 상기 이미지 수집 기기는 이미지 수집 장치 및 적어도 2개의 수용 구조가 설치되는 본체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수용 구조는 제1 목표물을 안착시키는 제1 수용 구조 및 제2 목표물을 안착시키는 제2 수용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 구조는 상기 본체 구조의 제1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제1 수용 구조에 안착되는 상기 제1 목표물이 상기 이미지 수집 장치의 수집 가능 영역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수용 구조는 상기 본체 구조의 제2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2 수용 구조에 안착되는 상기 제2 목표물이 상기 이미지 수집 장치의 수집 가능 영역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이미지 수집 기기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개시는 출원번호가 201820512430.5이고 출원일자가 2018년 04월 10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반하여 제출하였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 발명에 인용된다.
본 개시는 정보 수집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미지 수집 기기에 관한 것이다.
신분 증명서 정보 수집 기기는 사용자 신분 증명서 위에 있는 정보를 수집 할 수 있는 기기이지만 현재의 신분 증명서 정보 수집 기기는 여러 가지 신분 증명서의 수집과 호환되지 않는다. 신분증을 수집해야 하는 경우 신분증 수집 기기(신분증 판독기라고도 함)를 사용하여 신분증을 수집해야 한다. 여권을 수집해야 하는 경우 여권 수집 기기(여권 판독기라고도 함)를 사용하여 여권을 수집해야 하며 상이한 신분 증명서는 상이한 신분 증명서 정보 수집 기기가 필요하므로 원가가 상대적으로 높고 사용 체험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1: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1/0261423호 (공개일: 2011.10.27.)
특허문헌2: 국제공개공보 WO2016/120379 (공개일: 2016.08.04.)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미지 수집 기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미지 수집 기기는 본체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구조에는 이미지 수집 장치 및 적어도 2개의 수용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수용 구조는 제1 목표물을 안착시키는 제1 수용 구조 및 제2 목표물을 안착시키는 제2 수용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 구조는 상기 본체 구조의 제1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제1 수용 구조에 안착되는 상기 제1 목표물이 상기 이미지 수집 장치의 수집 가능 영역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수용 구조는 상기 본체 구조의 제2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2 수용 구조에 안착되는 상기 제2 목표물이 상기 이미지 수집 장치의 수집 가능 영역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 구조는 오목홈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이미지 수집 장치는 상기 오목홈 구조의 홈바닥에 설치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 구조의 개구는 상기 본체 구조의 제1 측면을 향하고 상기 제1 측면에는 상기 제1 수용 구조가 설치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에는 상기 제1 수용 구조가 설치되는 것은,
상기 오목홈 구조의 개구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측면의 제1 위치에는 제1 중공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중공 구조의 주변에는 상기 제1 목표물을 고정시키는 걸림 홈이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오목홈 구조의 개구가 위치하는 평면 사이에는 상기 제2 수용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 구조의 개구의 주변에는 상기 제2 목표물을 고정시키는 재물대가 포함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 구조의 내부에는 필라이트(fill light) 장치가 설치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 구조의 표면에는 광 가이드 소재가 설치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 구조의 제2 측면에는 상기 본체 구조를 탑재면에 고정시키는 베이스가 설치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 구조에는 상기 이미지 수집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제어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 구조에는 상기 이미지 수집 기기와 외부 기기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가 더 설치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이미지 수집 기기는 본체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구조에는 이미지 수집 장치 및 적어도 2개의 수용 구조가 설치되며 상 상기 적어도 2개의 수용 구조는 제1 목표물을 안착시키는 제1 수용 구조 및 제2 목표물을 안착시키는 제2 수용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 구조는 상기 본체 구조의 제1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제1 수용 구조에 안착되는 상기 제1 목표물이 상기 이미지 수집 장치의 수집 가능 영역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수용 구조는 상기 본체 구조의 제2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2 수용 구조에 안착되는 상기 제2 목표물이 상기 이미지 수집 장치의 수집 가능 영역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을 사용하여 하나의 기기에 적어도 2개의 수용 구조를 설치하여 타입이 상이한 목표물(예를 들어 신분 증명서)을 각각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여러 가지 신분 증명서의 수집을 지원하는 기능을 실현하므로 신분 증명서 정보 수집 기기의 원가를 감소시키고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킨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세부적인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할 수 없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의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본 개시의 실시예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며, 명세서와 함께 본 개시의 실시예의 원리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기기의 구조 구성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기기의 입체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기기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기기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기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기기의 우측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특점 및 기술적 내용을 보다 더 이해할 수 있기 위해 이하 도면을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적인 설명을 실현하고 첨부되는 도면은 참조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개시의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기기의 구조 구성 개략도이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 수집 기기는 본체 구조(11)를 포함하고, 본체 구조(11)에는 이미지 수집 장치(12) 및 적어도 2개의 수용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수용 구조는 제1 목표물을 안착시키는 제1 수용 구조(13)및 제2 목표물을 안착시키는 제2 수용 구조(14)를 포함하고,
제1 수용 구조(13)는 본체 구조(11)의 제1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위치는 제1 수용 구조(13)에 안착되는 상기 제1 목표물이 이미지 수집 장치(12)의 수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하며,
제2 수용 구조(14)는 본체 구조(11)의 제2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제2 위치는 제2 수용 구조(14)에 안착되는 상기 제2 목표물이 이미지 수집 장치(12)의 수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 구조(11)의 외형은 제한을 받지 않고, 예를 들면 정육면체 구조 또는 불규칙한 다면체 구조 등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 구조(11)에는 이미지 수집 장치(12) 및 적어도 2개의 수용 구조가 설치되고, 예를 들면 2개의 수용 구조, 3개의 수용 구조 등이 설치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이한 수용 구조는 크기가 상이한 목표물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며, 예를 들면 제1 수용 구조(13)는 제1 목표물을 수용할 수 있고, 제2 수용 구조(14)는 제2 목표물을 수용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제1 목표물은 신분증이고 제2 목표물은 여권이다. 물론 제1 목표물과 제2 목표물의 타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운전면허증, 사회보장카드, 통합 카드 등 다른 타입의 신분 증명서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수용 구조(13)가 본체 구조(11)에서의 위치는 제1 수용 구조(13)에 안착되는 상기 제1 목표물이 이미지 수집 장치(12)의 수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해야 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1 목표물을 제1 수용 구조(13) 위에 안착시킨 후, 이미지 수집 장치(12)는 제1 목표물의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장치(12)는 얼굴 사진 수집 기능을 구비하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장치(12)를 이용하여 제1 목표물의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목표물의 이미지를 초보적으로 인식하여 얼굴 두상 영역을 잘라낼 수 있으며, 그 다음, 얼굴 두상 영역의 이미지(즉 얼굴 사진)를 다른 처리 기기(예를 들면 노트북, 데스크톱 등)에 송신하여 얼굴 정보를 인식하고 대조한다. 실시간 얼굴 대조의 응용 시나리오를 예로 들면 이미지 수집 기기는 신분 증명서에 있는 얼굴 사진을 수집하여 신분인증장치(SenseID라고 칭할 수 있음)에 송신하는 동시에 SenseID의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얼굴 이미지를 수집함으로써 신분 증명서에 있는 얼굴 사진과 실시간 얼굴 이미지를 대조하여 얼굴 인식 결과(즉, 현재 카메라로 찍는 사람과 신분 증명서 사진이 동일한 사람인지의 여부)를 얻는다. 마찬가지로 제2 수용 구조(14)가 본체 구조(11)에서의 위치는 제2 수용 구조(14)에 안착되는 상기 제2 목표물이 이미지 수집 장치(12)의 수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2 목표물을 제2 수용 구조(14) 위에 안착시킨 후, 이미지 수집 장치(12)는 제2 목표물의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장치(12)는 얼굴 사진 수집 기능을 구비하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장치(12)를 이용하여 제2 목표물의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목표물의 이미지를 초보적으로 인식하여 얼굴 두상 영역을 잘라낼 수 있으며, 그 다음, 얼굴 두상 영역의 이미지를 다른 처리 기기(예를 들면 노트북, 데스크톱 등)에 송신하여 얼굴 정보를 인식하고 대조한다.
이하 구체적인 예를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기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기기의 입체 구조 개략도이고,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미지 수집 기기는 본체 구조(11)를 포함하고, 본체 구조(11)에는 이미지 수집 장치(12)(가려져 도시되지 않음) 및 적어도 2개의 수용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수용 구조는 제1 목표물을 안착시키는 제1 수용 구조(13) 및 제2 목표물을 안착시키는 제2 수용 구조(14)를 포함하고, 제1 수용 구조(13)는 본체 구조(11)의 제1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위치는 제1 수용 구조(13)에 안착되는 상기 제1 목표물이 이미지 수집 장치(12)의 수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하며, 제2 수용 구조(14)는 본체 구조(11)의 제2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제2 위치는 제2 수용 구조(14)에 안착되는 상기 제2 목표물이 이미지 수집 장치(12)의 수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 예에 있어서, 제1 수용 구조(13)는 특히 카드형 신분 증명서, 예를 들면 신분증, 사회보장카드 등 크기가 일정한 신분 증명서에 적용된다. 제2 수용 구조(14)는 특히 다른 크기의 신분 증명서, 예를 들면 여권, 운전면허증, 학생증 등에 적용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기기는 여러 가지 신분 증명서 이미지 수집을 지원하는 기능을 구비하기에 크기가 상이하거나 형상이 상이한 신분 증명서에 대한 신분 증명서 이미지의 수집에 편리하다.
본 예에 있어서, 이미지 수집 기기의 본체 구조(11)는 정육면체에 가깝고 전반적으로 6개의 측면을 구비하며, 여기서 최상면을 제1 측면이라고 칭하고 최상면은 단면 구조를 구비하며 다른 측면은 평면에 가깝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기기의 상이한 시각에 따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기기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기기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기기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기기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기기의 좌측면도이며,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기기의 우측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체 구조(11)는 오목홈 구조가 구비하고 이미지 수집 장치(12)는 상기 오목홈 구조의 홈바닥에 설치된다. 상기 오목홈 구조의 개구는 본체 구조(11)의 제1 측면을 향하고 상기 제1 측면에는 제1 수용 구조(13)가 설치된다. 상기 오목홈 구조의 개구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측면의 제1 위치에는 제1 중공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중공 구조의 주변에는 상기 제1 목표물을 고정시키는 걸림 홈이 설치된다.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오목홈 구조의 개구가 위치하는 평면 사이에는 상기 제2 수용 구조(14)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 구조의 개구의 주변에는 상기 제2 목표물을 고정시키는 재물대가 포함된다. 본체 구조(11)의 제2 측면에는 본체 구조(11)를 탑재면에 고정시키는 베이스(15)가 설치된다. 본체 구조(11)에는 이미지 수집 장치(12)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6)가 더 설치된다. 본체 구조(11)에는 상기 이미지 수집 기기와 외부 기기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17)가 더 설치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 구조의 내부에는 필라이트(fill light) 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오목홈 구조의 표면에는 광 가이드 소재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촬영 환경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으로써 광선이 충분한 환경에서 고화질 이미지를 촬영한다.
일 예에 있어서, 베이스(15)는 이미지 수집 기기의 하부에 균일하게 각각 위치하는 복수 개의 고무 패드일 수 있고 이미지 수집 기기의 하부 마모를 방지하는 효능 및 이미지 수집 기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일 예에 있어서, 제어 장치(16)는 제어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이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6)는 2 개의 제어 버튼을 포함하는데, 한 제어 버튼은 이미지 수집 기기에 대해 전원을 켜거나 끄는데 사용되고, 다른 한 제어 버튼은 촬영 모드를 전환시키는데 사용되며, 예를 들면 제1 촬영 모드는 제1 목표물을 촬영하는 모드이고 제2 촬영 모드는 제2 목표물을 촬영하는 모드이며, 상이한 촬영 모드는 상이한 광학적 파라미터에 대응되고 예를 들면 상이한 초점 거리에 대응되므로 상이한 목표물에 대해 호환성 있게 뚜렷한 화면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17)는 적어도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는 수집된 신분 증명서 이미지를 USB 데이터 라인을 통해 다른 기기, 예를 들면 신분인증장치(SenseID라고 칭할 수 있음) 제품에 송신하여 SenseID가 신분 증명서 이미지 정보와 실시간 얼굴 정보를 대조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수용 구조(13) 및 제2 수용 구조(14)의 분포는 계층 구조로 형성되고, 제1 수용 구조(13)는 제2 수용 구조(14)의 상부 층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제1 목표물(예를 들면 신분증)을 안착시키는 경우, 제1 목표물을 제1 수용 구조(13) 위에 직접 안착시키면 되고, 사용자가 제2 목표물(예를 들면 여권)을 안착시키는 경우, 제2 목표물을 제1 측면과 상기 오목홈 구조의 개구가 위치하는 평면 사이로부터 제2 수용 구조(14)에 삽입시켜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집 기기에 있어서, 하나의 기기에는 타입이 상이한 목표물(예를 들면 신분 증명서)을 각각 수용하도록 적어도 2개의 수용 구조가 설치됨으로써 여러 가지 신분 증명서의 수집을 지원하는 기능을 실현하므로 신분 증명서 정보 수집 기기의 원가를 감소시키고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적 해결수단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일 뿐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개시가 개시되는 기술적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는 변화 또는 교체는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이미지 수집 기기는 본체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구조는 이미지 수집 장치 및 적어도 2개의 수용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수용 구조는 제1 목표물을 안착시키는 제1 수용 구조 및 제2 목표물을 안착시키는 제2 수용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 구조는 상기 본체 구조의 제1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제1 수용 구조에 안착되는 상기 제1 목표물이 상기 이미지 수집 장치의 수집 가능 영역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수용 구조는 상기 본체 구조의 제2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2 수용 구조에 안착되는 상기 제2 목표물이 상기 이미지 수집 장치의 수집 가능 영역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기기에는 타입이 상이한 목표물(예를 들면 신분 증명서)을 각각 수용하도록 적어도 2개의 수용 구조가 설치됨으로써 여러 가지 신분 증명서의 수집을 지원하는 기능을 실현하므로 신분 증명서 정보 수집 기기의 원가를 감소시키고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킨다.

Claims (10)

  1. 이미지 수집 기기로서,
    이미지 수집 장치 및 적어도 2개의 수용 구조가 설치되는 본체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수용 구조는 제1 목표물을 안착시키는 제1 수용 구조 및 제2 목표물을 안착시키는 제2 수용 구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목표물을 상기 제1 수용 구조의 표면 상에 안착하는 것을 통해 이미지 수집을 구현하며, 상기 이미지 수집 장치는 수집된 이미지를 초보적으로 인식하기 위해 초보적인 이미지 인식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용 구조는 상기 본체 구조의 제1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제1 수용 구조에 안착되는 상기 제1 목표물이 상기 이미지 수집 장치의 수집 가능 영역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수용 구조는 상기 본체 구조의 제2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2 수용 구조에 안착되는 상기 제2 목표물이 상기 이미지 수집 장치의 수집 가능 영역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이미지 수집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구조는 오목홈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이미지 수집 장치는 상기 오목홈 구조의 홈바닥에 설치되는 이미지 수집 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 구조의 개구는 상기 본체 구조의 제1 측면을 향하고 상기 제1 측면에는 상기 제1 수용 구조가 설치되는 이미지 수집 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에는 상기 제1 수용 구조가 설치되는 것은,
    상기 오목홈 구조의 개구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측면의 제1 위치에는 제1 중공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중공 구조의 주변에는 상기 제1 목표물을 고정시키는 걸림 홈이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이미지 수집 기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오목홈 구조의 개구가 위치하는 평면 사이에는 상기 제2 수용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 구조의 개구의 주변에는 상기 제2 목표물을 고정시키는 재물대가 포함되는 이미지 수집 기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 구조의 내부에는 필라이트(fill light) 장치가 설치되는 이미지 수집 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 구조의 표면에는 광 가이드 소재가 설치되는 이미지 수집 기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구조의 제2 측면에는 상기 본체 구조를 탑재면에 고정시키는 베이스가 설치되는 이미지 수집 기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구조에는 상기 이미지 수집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제어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인 이미지 수집 기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구조에는 상기 이미지 수집 기기와 외부 기기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가 더 설치되되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미지 수집 기기.
KR1020197021269A 2018-04-10 2018-10-25 이미지 수집 기기 KR102215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0512430.5 2018-04-10
CN201820512430.5U CN208337689U (zh) 2018-04-10 2018-04-10 一种图像采集设备
PCT/CN2018/111799 WO2019196384A1 (zh) 2018-04-10 2018-10-25 一种图像采集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577A KR20190119577A (ko) 2019-10-22
KR102215458B1 true KR102215458B1 (ko) 2021-02-16

Family

ID=64781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269A KR102215458B1 (ko) 2018-04-10 2018-10-25 이미지 수집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297542A1 (ko)
EP (1) EP3585043B1 (ko)
JP (1) JP2020521261A (ko)
KR (1) KR102215458B1 (ko)
CN (1) CN208337689U (ko)
TW (1) TWM577545U (ko)
WO (1) WO201919638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1423A1 (en) * 2010-04-22 2011-10-27 Cssn Inc. Cover device for an image scanner
WO2016120379A1 (en) * 2015-01-30 2016-08-04 Sicpa Holding Sa Simultaneous authentication of a security article and identification of the security article us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3739B2 (en) * 2002-05-15 2005-02-08 Bio Com, Llc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US8610966B2 (en) * 2004-10-06 2013-12-17 Iuval Hatzav System for template based extracting information from an identity card
US8493630B2 (en) * 2007-05-10 2013-07-23 L-I Indentity Solutions, Inc. Identification reader
CN103699892A (zh) * 2013-12-09 2014-04-02 北京文通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证件识别设备及其触发方法
CN204009931U (zh) * 2014-06-13 2014-12-10 广东光阵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多证件扫描仪
CN204168372U (zh) * 2014-10-09 2015-02-18 广东光阵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证件拍摄仪
CN205176884U (zh) * 2015-11-30 2016-04-20 威海北洋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证件图像采集装置
CN205486511U (zh) * 2015-12-24 2016-08-17 厦门腾星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助值机装置
CN206946512U (zh) * 2017-05-26 2018-01-30 深圳神州盾安全系统有限公司 智能办公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1423A1 (en) * 2010-04-22 2011-10-27 Cssn Inc. Cover device for an image scanner
WO2016120379A1 (en) * 2015-01-30 2016-08-04 Sicpa Holding Sa Simultaneous authentication of a security article and identification of the security article u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21261A (ja) 2020-07-16
US20210297542A1 (en) 2021-09-23
CN208337689U (zh) 2019-01-04
KR20190119577A (ko) 2019-10-22
WO2019196384A1 (zh) 2019-10-17
EP3585043B1 (en) 2022-05-25
TWM577545U (zh) 2019-05-01
EP3585043A4 (en) 2020-03-25
EP3585043A1 (en) 2019-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6801B1 (en) Face recogni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207352630U (zh) 光学指纹识别组件及电子装置
ES2968246T3 (es) Método de autenticación de documentos por medio de un terminal móvil de telecomunicaciones
KR102451393B1 (ko) 배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080018159A (ko) 사용자의 이차원 이미지를 포함하는 개인 식별 카드
CN105940414B (zh) 利用安装有摄像机的便携式终端的指纹输入装置及其指纹输入用外置光学设备
CN109040363A (zh) 显示屏、电子装置及三维特征识别方法
CN107392088A (zh) 三维静脉识别装置和方法、开关、移动终端
CN208240050U (zh) 一种门禁一体机
US10321027B2 (en) Imaging apparatus
KR102215458B1 (ko) 이미지 수집 기기
CN105830121A (zh) 摄像装置和认证装置
CN106264448B (zh) 皮肤分析装置及其影像撷取模块
CN108229339A (zh) 身份识别设备、证件身份识别方法和存储介质
CN104219514A (zh) 具有单个相机以及透反射设备的多视图成像系统
CN109409339B (zh) 用于人证核验的终端设备
CN208077190U (zh) 身份识别设备
CN101393600B (zh) 便携式名片输入装置
FR3042059A1 (fr) Dispositif d'identification d'un objet comportant une etiquette
RU130430U1 (ru) Переносное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е рабочее место контроля паспортно-визовых документов
CN107223255B (zh) 一种基于虹膜识别的图像预览方法及装置
CN108055433A (zh) 一种摄像模组
CN214846889U (zh) 桌面式智慧受理器
CN205986976U (zh) 一种红外光源前置手机
CN208654807U (zh) 显示屏及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