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371B1 - A Toilet system - Google Patents

A Toile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371B1
KR102215371B1 KR1020190100365A KR20190100365A KR102215371B1 KR 102215371 B1 KR102215371 B1 KR 102215371B1 KR 1020190100365 A KR1020190100365 A KR 1020190100365A KR 20190100365 A KR20190100365 A KR 20190100365A KR 102215371 B1 KR102215371 B1 KR 102215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toilet
valve
dirt
val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3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영 배 박
Original Assignee
박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배 filed Critical 박영배
Priority to KR1020190100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3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3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5/00Sanitation
    • B61D35/005Toilet facilities
    • B61D35/007Toilet facilities comprising toilet waste receiving, treatment, storage, disposal or remov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anitation devices
    • B60R15/04Toilet facil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ystem which includes: a toilet for a user to go to the toilet; a filth tank in which filth of the toilet is collected; a conduit connecting the toilet and the filth tank; a first valve part opening and closing a path of the toilet and the conduit; and a second valve part positioned on a predetermined path of the conduit. The toilet system allows bad smells to be introduced into the toilet from the filth tank only when both the first valve part and the second valve part are turned on so as to control timing when the first valve part and the second valve part are turned on at the same time, thereby minimizing the introduced bad smells.

Description

변기 시스템{A Toilet system}Toilet system {A Toilet system}

본 발명은 변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악취가 도관을 타고 화장실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odor from flowing into a toilet through a conduit.

대중교통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열차는 대량의 인력을 수용하면서도 그 수송시간이 일반 자가 차량에 비해 짧아 이용하는 사람들이 널리 선호하는 대중교통수단 중 하나이다. 열차는 내연기관을 통해 동력을 생성하는 기관차와 상기 기관차와 결합되어 이용객이 탑승하는 객차로 구분될 수 있다.Trains, which are widely used as a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 accommodate a large amount of manpower, but their transportation time is shorter than those of ordinary cars, making it one of the most popular public transportation means that people use. The train may be divided into a locomotive that generates power throug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 passenger car that is combined with the locomotive and boarded by a user.

상기 객차는 승객이 탑승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승객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시설이 구비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열차 화장실은 장시간 운행을 하는 열차의 특성상 필수적인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The carriage forms a space for passengers to board, and various facilities may be provided for passenger convenience. Among them, the train toilet is one of the essential component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train that runs for a long time.

종래의 열차에 구비되는 열차 화장실은 협소한 공간에 간단히 세면을 할 수 있는 세면대와, 사용자가 앉아 용변을 볼 수 있는 변기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변기의 하부에는 오물과 세척수가 통과하는 도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관의 종단에는 오물탱크가 위치하여 오물을 저장하는 형태를 적용하고 있다.In the train toilet provided in a conventional train, a wash basin for simply washing faces in a narrow space and a toilet for a user to sit and see toilets are located. In addition, a conduit through which dirt and washing water pass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toilet, and a dirt tank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conduit to store the dirt.

한편, 복수개의 객차에 구비되는 변기의 위치는 설계 구조상 변경되지 않고 객차마다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객차 하부에 배치되는 오물탱크는 차량에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윤측 장치와 충격을 방지하는 현가 장치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므로 그 위치가 일정하지 않다.On the other hand, the location of the toilets provided in a plurality of carriages is not changed due to the design structure and may b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for each carriage, but the dirt tank disposed under the carriages is a wheel-side device that is essential to the vehicle and a suspension device that prevents impact. 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so its location is not constant.

즉, 객차에 구비되는 변기의 위치와 객차 하부에 배치되는 오물탱크의 위치에 따라, 이들 변기와 오물탱크를 연결하는 도관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That i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toilet provided in the carriage and the position of the dirt tank disposed under the carriage, the length of the conduit connecting the toilet and the dirt tank is not constant.

이러한 도관의 길이 및 배치에 따라, 상기 오물탱크에 축적된 오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가 도관을 타고 화장실로 유입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ength and arrangement of the conduit, odors generated by dirt accumulated in the dirt tank may flow into the toilet through the conduit, causing discomfort to the user.

즉, 상기 도관의 길이가 충분히 긴 경우에는, 상기 오물탱크에 축적된 오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가 도관을 타고 화장실로 유입하는 정도가 심하지 않을 것이나, 상기 도관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상기 오물탱크에 축적된 오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가 도관을 타고 화장실로 유입하는 정도가 심하게 된다.That is, if the length of the conduit is sufficiently long, the degree of odor generated by the dirt accumulated in the dirt tank will not flow into the toilet through the conduit. However, if the length of the conduit is short, the dirt tank The degree to which the odor generated by the dirt accumulated in the water enters the toilet through the conduit becomes severe.

한국특허출원 제10-2015-0165422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16542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관의 길이 및 위치에 무관하게, 상기 오물탱크에 축적된 오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가 도관을 타고 화장실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odors generated by dirt accumulated in the dirt tank from entering the toilet through the conduit, regardless of the length and position of the conduit. hav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한 변기; 상기 변기의 오물이 수집되는 오물탱크; 상기 변기와 상기 오물탱크를 연결하는 도관; 및 상기 도관의 일정 경로에 위치하는 제2밸브부를 포함하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not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ilet for a user to stool; A filth tank for collecting the toilet filth; A conduit connecting the toilet and the waste tank; And it provides a toilet system including a second valve portion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path of the condui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기와 상기 도관의 경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밸브부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에 위치하여 제1관로를 형성하는 제1관체; 상기 밸브바디의 타측에 위치하여 제2관로를 형성하는 제2관체; 및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체가 이송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개폐볼을 포함하고, 상기 도관은, 상기 제1밸브부와 연결되는 제1도관 및 상기 오물탱크와 연결되는 제2도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관체의 단부 일정 영역은 상기 제1도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관체의 단부 일정 영역은 상기 제2도관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도관의 일정 경로에 상기 제2밸브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first valve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th of the toilet and the conduit, the second valve unit, the valve body; A first pip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alve body to form a first pipe; A second pipe body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valve body to form a second pipe; And an opening and closing ball located inside the valve body and includ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fluid is transferred, wherein the conduit includes a first conduit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part and a second conduit connected to the dirt tank Including,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end of the first pipe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conduit, and the predetermined region of the end of the second pipe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conduit, It provides a toile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valve units are loca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관체의 단부 일정 영역에는 제1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관체의 단부 일정 영역에는 제2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ilet system comprising a first screw threa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an end portion of the first pipe body, and a second screw threa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pipe bod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도관의 내부 상단에 위치하는 제1차단막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2도관의 내부 상단에 위치하는 제2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ilet system comprising a first blocking film position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first conduit,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locking film position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second condui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단막은 반 원형 또는 반 타원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ile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ing membrane is configured in a semi-circular or semi-elliptical shap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기와 상기 도관의 경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밸브부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에 위치하여 제1관로를 형성하는 제1관체; 상기 밸브바디의 타측에 위치하여 제2관로를 형성하는 제2관체; 및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체가 이송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개폐볼을 포함하고, 상기 도관은, 상기 제1밸브부와 연결되는 제1도관 및 상기 오물탱크와 연결되는 제2도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밸브부의 일측과 상기 제1도관를 연결하는 제1보조 도관 및 상기 제2밸브부의 타측과 상기 제2도관을 연결하는 제2보조 도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보조 도관의 내부 상단에 위치하는 제1차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2보조 도관의 내부 상단에 위치하는 제2차단막을 포함하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first valve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th of the toilet and the conduit, the second valve unit, the valve body; A first pip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alve body to form a first pipe; A second pipe body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valve body to form a second pipe; And an opening/closing ball located inside the valve body and includ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fluid is transferred, wherein the conduit includes a first conduit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part and a second conduit connected to the dirt tank. And a first auxiliary conduit connecting one side of the second valve part and the first conduit, and a second auxiliary conduit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valve part and the second conduit, wherein the inside of the first auxiliary conduit It provides a toilet system including a first barrier layer positioned on an upper end and a second barrier layer positioned on an inner upper end of the second auxiliary conduit.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밸브부와 상기 제2밸브부가 모두 ON된 상태에서만 오물탱크로부터 악취가 변기로 유입되므로, 상기 제1밸브부와 상기 제2밸브부가 동시에 ON 되어 있는 시점을 제어함으로써, 유입되는 악취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dor flows from the dirt tank to the toilet only when both the first valve part and the second valve part are ON, the first valve part and the second valve part are turned on at the same time. By controlling the viewpoin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flow of odor.

도 1은 일반적인 구조의 열차의 변기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에서의 제2밸브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의 다른 예에서의 차단막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oilet system of a train having a general structure.
2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oilet system of a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ond valve part in the toilet system of a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toilet system of a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locking film in another example of the toilet system of a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toilet system of the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i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elow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elem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defined specifically.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as shown in the figure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a component and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a component shown in a drawing is turn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will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I can.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irections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be oriented in other direc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반적인 구조의 열차의 변기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oilet system of a train having a general structure.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구조의 열차의 변기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한 변기(20); 상기 변기(20)의 오물이 수집되는 오물탱크(30); 및 상기 변기(20)와 상기 오물탱크(30)를 연결하는 도관(4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toilet system 10 of a train having a general structure includes a toilet 20 for a user to see the toilet; A dirt tank 30 in which dirt from the toilet 20 is collected; And a conduit 40 connecting the toilet 20 and the waste tank 30.

이때, 상기 도관(40)은 상기 변기(20)의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30)로 이동하기 위하여,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의 관형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타원의 관형체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관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conduit 40 may be composed of a circular tubular body with an empty inside in order to move the dirt from the toilet 20 to the dirt tank 30. Unlike this, the conduit 40 may be composed of an oval tubular body. As can b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shape of the conduit.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반적인 구조의 열차의 변기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용변을 본 후, 상기 변기에 위치하는 오물을 상기 오물탱크(30)로 전달하기 위한 변기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며, 즉, 사용자는 상기 변기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상기 변기에 위치하는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30)로 전달되어, 상기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30)에 수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oilet system 10 of a train having a general structure, after the user has seen the toilet in the toilet, a toilet switch for transferring the filth located in the toilet to the filth tank 30 ( Not shown), that is, by pressing the toilet switch by the user, the filth located in the toilet is transferred to the filth tank 30, so that the filth may be collected in the filth tank 30.

또한, 상기 변기 스위치(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변기(20)에 위치하는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30)로 전달되기 위하여, 상기 변기(20)와 상기 도관(40)의 사이에는 제1밸브부(50)를 포함하며, 즉, 상기 제1밸브부(50)의 개폐에 따라, 상기 변기(20)에 위치하는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30)로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oilet switch (not shown), in order to transfer the filth located in the toilet 20 to the filth tank 30, between the toilet 20 and the conduit 40 It includes one valve part 50, that is,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part 50, dirt located in the toilet 20 may be transferred to the dirt tank 30.

즉,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50)가 OFF 상태로 되어 있어, 오물은 상기 변기(20)에 수집이 되게 되고, 이후,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용변을 본 후, 사용자가 상기 변기 스위치(미도시)를 ON 시키게 되면, 상기 제1밸브부(50)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20)와 상기 도관(40)의 경로가 오픈됨으로써, 상기 변기(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50)를 통해 상기 도관(40)으로 유입되게 된다.That is, in the process of the user seeing the toilet in the toilet, the first valve part 50 is in the OFF state, so that the dirt is collected in the toilet 20, and then, the user toilets the toilet in the toilet. After viewing, when the user turns on the toilet switch (not shown), the first valve unit 50 is turned on, and the path between the toilet 20 and the conduit 40 is opened, so that the toilet The dirt of 20 is introduced into the conduit 40 through the first valve unit 50.

또한, 상기 도관(40)에 유입된 오물은 상기 도관(4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도관(40)을 따라 이동한 오물은 최종적으로 상기 오물탱크(30)에 수집되게 된다.In addition,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conduit 40 is moved along the conduit 40, and the dirt moved along the conduit 40 is finally collected in the dirt tank 30.

이후, 상기 변기(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50)를 통해 상기 도관(40)으로 모두 유입되면, 상기 제1밸브부(50)는 OFF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20)와 상기 도관(40)의 경로가 클로즈됨으로써, 상기 변기(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50)를 통해 상기 도관(40)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게 된다.Thereafter, when all the dirt from the toilet 20 flows into the conduit 40 through the first valve part 50, the first valve part 50 is turned off, and the toilet 20 and When the path of the conduit 40 is closed, the dirt of the toilet 20 is blocked from flowing into the conduit 40 through the first valve unit 50.

한편, 이러한 과정, 즉, 상기 제1밸브부(50)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20)와 상기 도관(40)의 경로가 오픈됨으로써, 상기 변기(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50)를 통해 상기 도관(40)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오물탱크(30)의 악취가 상기 도관(40)을 따라 상기 변기(20)로 유입되게 된다.Meanwhile, in this process, that is, when the first valve part 50 is turned on, the path between the toilet 20 and the conduit 40 is opened, so that the dirt in the toilet 20 is removed from the first valve. In the process of flowing into the conduit 40 through the part 50, the odor of the waste tank 30 is introduced into the toilet 20 along the conduit 40.

즉, 통상적인 상황인, 상기 제1밸브부(50)가 OFF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20)와 상기 도관(40)의 경로가 클로즈된 상태에서는, 상기 오물탱크(30)의 악취가 상기 도관(40)을 따라 상기 변기(2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으나, 상기 제1밸브부(50)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20)와 상기 도관(40)의 경로가 오픈됨으로써, 상기 변기(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50)를 통해 상기 도관(40)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오물탱크(30)의 악취가 상기 도관(40)을 따라 상기 변기(20)로 유입되게 된다.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valve unit 50, which is a normal situation, is in an OFF state, and the path between the toilet 20 and the conduit 40 is closed, the odor of the dirt tank 30 is Flowing into the toilet 20 along the conduit 40 may be blocked, but the first valve unit 50 is turned on, and the path between the toilet 20 and the conduit 40 is opened. ,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dirt from the toilet 20 into the conduit 40 through the first valve part 50, the odor of the dirt tank 30 flows into the toilet 20 along the conduit 40. ).

이때, 상기 도관의 길이가 충분히 긴 경우에는, 상기 오물탱크에 축적된 오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가 도관을 타고 변기를 통해 화장실로 유입하는 정도가 심하지 않을 것이나, 상기 도관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상기 오물탱크에 축적된 오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가 도관을 타고 변기를 통해 화장실로 유입하는 정도가 심하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length of the conduit is sufficiently long, the degree of odor generated by the dirt accumulated in the dirt tank will not flow into the toilet through the toilet through the conduit, but if the length of the conduit is short, The degree to which the odor generated by the dirt accumulated in the dirt tank enters the toilet through the toilet through the conduit is sever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관의 길이 및 위치에 무관하게, 상기 오물탱크에 축적된 오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가 도관을 타고 변기를 통해 화장실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rrespective of the length and position of the condui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nduit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odors generated by dirt accumulated in the filth tank from entering the toilet through the toilet.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에서의 제2밸브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2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oilet system of a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ond valve part in the toilet system of a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한 변기(120); 상기 변기(120)의 오물이 수집되는 오물탱크(130); 상기 변기(120)와 상기 오물탱크(130)를 연결하는 도관(140); 상기 변기(120)와 상기 도관(140)의 경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150); 및 상기 도관(140)의 일정 경로에 위치하는 제2밸브부(200)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ure 2a, the toilet system 100 of the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ilet 120 for the user to see the toilet; A filth tank 130 in which the filth of the toilet 120 is collected; A conduit 140 connecting the toilet 120 and the waste tank 130; A first valve unit 1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th between the toilet 120 and the conduit 140; And a second valve part 200 positioned in a predetermined path of the conduit 140.

이때, 상기 도관(140)은 상기 변기(120)의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130)로 이동하기 위하여,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의 관형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타원의 관형체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관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conduit 140 may be configured as a circular tubular body with an empty inside to move the dirt from the toilet 120 to the dirt tank 130, and unlike this, the conduit 140 may be composed of an oval tubular body. As can b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shape of the conduit.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반적인 구조의 열차의 변기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용변을 본 후, 상기 변기에 위치하는 오물을 상기 오물탱크(130)로 전달하기 위한 변기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며, 즉, 사용자는 상기 변기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상기 변기에 위치하는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130)로 전달되어, 상기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130)에 수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toilet system 100 of a train having a general structure, after a user sees a toilet in the toilet, a toilet switch for transferring the filth located in the toilet to the filth tank 130 ( Not shown), that is, by pressing the toilet switch by the user, the filth located in the toilet is transferred to the filth tank 130, so that the filth may be collected in the filth tank 130.

이때, 상기 변기 스위치(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변기(120)와 상기 도관(1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밸브부(150)의 개폐에 따라, 상기 변기(120)에 위치하는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130)로 전달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oilet switch (not shown),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unit 150 located between the toilet 120 and the conduit 140, located in the toilet 120 The dirt may be transferred to the dirt tank 130.

즉,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150)가 OFF 상태로 되어 있어, 오물은 상기 변기(120)에 수집이 되게 되고, 이후,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용변을 본 후, 사용자가 상기 변기 스위치(미도시)를 ON 시키게 되면, 상기 제1밸브부(150)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120)와 상기 도관(140)의 경로가 오픈됨으로써, 상기 변기(1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150)를 통해 상기 도관(140)으로 유입되게 된다.That is, in the process of the user viewing the toilet in the toilet, the first valve unit 150 is in the OFF state, so that the dirt is collected in the toilet 120, and then, the user toilets the toilet. After viewing, when the user turns on the toilet switch (not shown), the first valve unit 150 is turned on, and the path between the toilet 120 and the conduit 140 is opened, so that the toilet The dirt of 120 is introduced into the conduit 140 through the first valve unit 150.

또한, 상기 도관(140)에 유입된 오물은 상기 도관(14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도관(140)을 따라 이동한 오물은 최종적으로 상기 오물탱크(130)에 수집되게 된다.In addition,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conduit 140 is moved along the conduit 140, and the dirt moved along the conduit 140 is finally collected in the dirt tank 130.

이후, 상기 변기(1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150)를 통해 상기 도관(140)으로 모두 유입되면, 상기 제1밸브부(150)는 OFF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120)와 상기 도관(40)의 경로가 클로즈됨으로써, 상기 변기(1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50)를 통해 상기 도관(40)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게 된다.Thereafter, when all the dirt from the toilet 120 flows into the conduit 140 through the first valve unit 150, the first valve unit 150 is turned off, and the toilet unit 120 and As the path of the conduit 40 is closed, the dirt from the toilet 120 is blocked from flowing into the conduit 40 through the first valve unit 50.

한편, 이러한 과정, 즉, 상기 제1밸브부(150)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120)와 상기 도관(140)의 경로가 오픈됨으로써, 상기 변기(1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150)를 통해 상기 도관(140)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오물탱크(130)의 악취가 상기 도관(140)을 따라 상기 변기(120)로 유입되게 된다.Meanwhile, in this process, that is, when the first valve unit 150 is turned on, the path between the toilet 120 and the conduit 140 is opened, so that the dirt of the toilet 120 is During the process of flowing into the conduit 140 through the part 150, the odor of the waste tank 130 flows into the toilet 120 along the conduit 140.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상황인, 상기 제1밸브부(150)가 OFF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120)와 상기 도관(140)의 경로가 클로즈된 상태에서는, 상기 오물탱크(130)의 악취가 상기 도관(140)을 따라 상기 변기(12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으나, 상기 제1밸브부(150)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120)와 상기 도관(140)의 경로가 오픈됨으로써, 상기 변기(1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150)를 통해 상기 도관(140)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오물탱크(130)의 악취가 상기 도관(140)을 따라 상기 변기(120)로 유입되게 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valve unit 150 is in an OFF state, which is a normal situation, and the paths of the toilet 120 and the conduit 140 are closed, the dirt tank 130 ) May be blocked from flowing into the toilet 120 along the conduit 140, but the first valve unit 150 is turned on, so that the toilet 120 and the conduit 140 When the path of the toilet 120 is opened, the foul odor of the waste tank 130 flows into the conduit 140 through the first valve unit 150. Accordingly, it is introduced into the toilet 120.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물탱크에 축적된 오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가 도관을 타고 변기를 통해 화장실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관(140)의 일정 경로에 위치하는 제2밸브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odor generated by the dirt accumulated in the dirt tank from entering the toilet through the toilet through the conduit, the second valve part 200 located in a certain path of the conduit 140 )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보다 구체적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밸브부(200)는 밸브바디(210); 상기 밸브바디(210)의 일측에 위치하여 제1관로를 형성하는 제1관체(220); 상기 밸브바디(210)의 타측에 위치하여 제2관로를 형성하는 제2관체(230); 및 상기 밸브바디(2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체가 이송되는 관통공(241)을 포함하는 개폐볼(240)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B, the second valve par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lve body 210; A first pipe 220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valve body 210 to form a first pipe; A second pipe body 230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valve body 210 to form a second pipe passage; And an opening/closing ball 240 located inside the valve body 210 and including a through hole 241 through which fluid is transferred.

이때,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도관(140)은 상기 제1밸브부(150)와 연결되는 제1도관(140a) 및 상기 오물탱크(130)와 연결되는 제2도관(14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관체(220)의 단부 일정 영역은 상기 제1도관(140a)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관체(230)의 단부 일정 영역은 상기 제2도관(140b)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도관(140)의 일정 경로에 상기 제2밸브부(200)가 위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referring to FIGS. 2A and 2B, the conduit 140 includes a first conduit 140a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unit 150 and a second conduit 140b connected to the dirt tank 130. Including, a predetermined end region of the first pipe body 22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conduit 140a, and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end of the second pipe body 230 is inside the second conduit 140b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valve part 200 may be located in a predetermined path of the conduit 140.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1관체(220)의 단부 일정 영역이 상기 제1도관(140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관체(220)의 단부 일정 영역이 상기 제1도관(140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1고정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관체(230)의 단부 일정 영역이 상기 제2도관(140b)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관체(230)의 단부 일정 영역이 상기 제2도관(140b)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ile a certain end region of the first pipe body 2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duit 140a, a certain end region of the first pipe body 220 is A first fixing means (not shown) for maintaining a state inserted into the conduit 140a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a predetermined area at the end of the second conduit 230 is the second conduit 140b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a second fixing means (not shown) for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pipe body 2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duit 140b may be further included. have.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고정수단 및 상기 제2고정수단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types of the first fixing means and the second fixing means are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제1관체(220)의 단부 일정 영역에는 제1나사산(221)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관체(230)의 단부 일정 영역에는 제2나사산(231)을 포함함으로써, 관체와 도관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cluding a first screw thread 221 in a certain end region of the first pipe body 220 and a second screw thread 231 in a certain end region of the second pipe body 230, The bonding can be made more soli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toile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은 변기 스위치(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변기(120)와 상기 도관(1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밸브부(150)의 개폐에 따라, 상기 변기(120)에 위치하는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130)로 전달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oilet switch (not show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unit 150 positioned between the toilet 120 and the conduit 140, the toilet 120 The dirt located in may be transferred to the dirt tank 130.

즉,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150)가 OFF 상태로 되어 있어, 오물은 상기 변기(120)에 수집이 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밸브부(200)도 OFF 상태에 해당한다.That is, in the process of the user viewing the toilet in the toilet, the first valve unit 150 is in the OFF state, so that the dirt is collected in the toilet 120. At this time, the second valve part 200 also corresponds to the OFF state.

이후,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용변을 본 후, 사용자가 상기 변기 스위치(미도시)를 ON 시키게 되면, 상기 제1밸브부(150)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120)와 상기 도관(140)의 경로가 오픈됨으로써, 상기 변기(1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150)를 통해 상기 제1도관(140a)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2밸브부(200)는 OFF 상태에 해당한다.Thereafter, when the user turns on the toilet switch (not shown) after the user toilets the toilet, the first valve unit 150 is turned on, and the toilet 120 and the conduit 140 are turned on. ) Is opened, so that dirt from the toilet 120 flows into the first conduit 140a through the first valve unit 150. Even in this case, the second valve part 200 corresponds to the OFF state.

즉, 상기 제2밸브부(200)가 OFF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오물탱크로부터의 악취가 제1도관(140a)에는 유입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second valve part 200 is in the OFF stat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odor from the dirt tank does not flow into the first conduit 140a.

이후, 상기 제1밸브부(150)가 ON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약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제2밸브부(200)가 ON 상태로 변환된다.Thereafter, about 2 to 4 seconds after the first valve unit 150 is converted to the ON state, the second valve unit 200 is converted to the ON state.

즉, 상기 제2밸브부(200)가 ON 상태로 변환되면서, 상기 제1도관(140a)으로 유입된 오물이 상기 제2도관(140b)을 거쳐 상기 오물탱크로 유입될 수 있다.That is, while the second valve part 200 is converted to the ON state,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first conduit 140a may be introduced into the dirt tank through the second conduit 140b.

본 발명에서는, 이 시점, 즉, 상기 제1밸브부(150)가 ON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약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제2밸브부(200)가 ON 상태로 변환되면서, 상기 제1도관(140a)으로 유됩된 오물이 상기 제2도관(140b)을 거쳐 상기 오물탱크로 유입되는 이 시점이, 오물탱크로부터의 악취가 변기(120)로 유입되는 유일한 시점에 해당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at is, about 2 to 4 seconds from the time when the first valve unit 150 is converted to the ON state, the second valve unit 200 is converted to the ON state, and the first This point in time when the dirt from the conduit 140a flows into the waste tank through the second conduit 140b corresponds to the only point in time when the odor from the waste tank flows into the toilet 120.

즉, 종래의 경우, 상술한 제1밸브부(150)의 개폐여부에 의해서만 오물탱크로부터의 악취 유입여부가 결정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150)와 상기 제2밸브부(200)가 모두 ON된 상태에서만 오물탱크로부터 악취가 변기로 유입되므로,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150)와 상기 제2밸브부(200)의 개폐여부에 의해서 오물탱크로부터의 악취 유입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결국, 상기 제1밸브부(150)와 상기 제2밸브부(200)가 동시에 ON 되어 있는 시점을 제어함으로써, 유입되는 악취를 최소화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case, whether or not the odor is introduced from the waste tank is determined only by whether or not the first valve unit 150 is opened or 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valve unit 150 and the second valve unit 200 ) Only in the ON state, the odor from the filth tank flows into the toilet.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dor from the filth tank is opened or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part 150 and the second valve part 200. Whether or not to be introduced may be determined, and as a result, by controlling the point in time when the first valve unit 150 and the second valve unit 200 are simultaneously ON, the introduced odor may be minimized.

이후, 상기 제2밸브부(200)가 ON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약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제1밸브부(150)가 OFF 상태로 변환되며, 이 경우, 상기 제1밸브부(150)가 OFF 상태이므로, 상기 제1도관(140a)으로부터 상기 변기(120)에 더이상의 악취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Thereafter, about 2 to 4 seconds after the second valve unit 200 is converted to the ON state, the first valve unit 150 is converted to the OFF state. In this case, the first valve unit 150 ) Is in the OFF state, so that further odor inflow into the toilet 120 from the first conduit 140a may be blocked.

이후, 상기 제1밸브부(150)가 OFF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약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제2밸브부(200)가 OFF 상태로 변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스템은 작동을 종료할 수 있다.Thereafter, about 2 to 4 seconds after the first valve unit 150 is converted to the OFF state, the second valve unit 200 is converted to the OFF state, so that the toile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erminated. can do.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150)와 상기 제2밸브부(200)가 모두 ON된 상태에서만 오물탱크로부터 악취가 변기로 유입되므로,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150)와 상기 제2밸브부(200)가 동시에 ON 되어 있는 시점을 제어함으로써, 유입되는 악취를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oth the first valve unit 150 and the second valve unit 200 are turned on, odor flows from the dirt tank to the toilet.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valve unit By controlling the point in time when the unit 150 and the second valve unit 200 are simultaneously 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an introduced odor.

한편, 도 2b에서의 도면부호 250은 스템으로, 상기 스템(250)은 상기 개폐볼과 연결설치되어 상기 개폐볼을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제2밸브부(200)를 개폐할 수 있고, 도면부호 260은 상기 스템(25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260)으로써, 이들 스템과 구동수단은 밸브에 있어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reference numeral 250 in FIG. 2B is a stem, and the stem 250 is connected to the opening/closing ball and rotates the opening/closing ball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valve part 200, and the reference numeral 260 As the driving means 260 for driving the stem 250, these stems and the driving means are obvious matters in the valv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other example of the toilet system for a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의 다른 예는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도 2a 및 도 2b의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을 참조할 수 있다.Other examples of the toilet system of a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the toilet system of the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S. 2A and 2B described above, except as described later.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의 다른 예에서의 차단막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3A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toilet system of a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locking film in another example of the toilet system of a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술한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도관(140)은 상기 제1밸브부(150)와 연결되는 제1도관(140a) 및 상기 오물탱크(130)와 연결되는 제2도관(14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관체(220)의 단부 일정 영역은 상기 제1도관(140a)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관체(230)의 단부 일정 영역은 상기 제2도관(140b)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도관(140)의 일정 경로에 상기 제2밸브부(200)가 위치할 수 있다.First, as in FIGS. 2A and 2B described above, the conduit 140 includes a first conduit 140a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unit 150 and a second conduit connected to the dirt tank 130 ( 140b), wherein a predetermined end region of the first pipe body 2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duit 140a, and a predetermined end region of the second pipe body 230 is the second conduit 140b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nduit 140, the second valve part 200 may be located in a predetermined path of the conduit 14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의 다른 예는, 상기 제1도관(140a)의 내부 상단에 위치하는 제1차단막(141a)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2도관(140b)의 내부 상단에 위치하는 제2차단막(141b)을 포함한다.At this time, another example of the toilet system of the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locking film (141a) locat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first conduit (140a), and, in additi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second conduit (140b) It includes a second blocking layer (141b) positioned at.

다만, 도면에서는 차단막이 제1차단막 및 제2차단막으로 2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제1차단막만 배치되거나, 또는 제2차단막만 배치될 수 있다.However, in the drawings, it is shown that two blocking films are formed as a first blocking film and a second blocking film. Unlike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first blocking film or only the second blocking film may be disposed.

이때,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은 오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경사(θ)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물탱크로부터 상기 변기방향으로 이동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blocking film and the second blocking film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θ)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low of dirt, and through this, as shown in FIG. 3A, moving from the dirt tank to the toilet bowl It can block odors.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이 경사(θ)지게 배치된다 함은, 상기 변기에서 상기 오물탱크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둔각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기에서 상기 오물탱크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향의 도관 상부 내부면을 기준으로 105° 내지 145°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A, the fact that the first and second barriers are disposed to be inclined (θ) means that they are disposed to be inclined at an obtuse angle based on a direction traveling from the toilet to the dirt tank.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be disposed at 105° to 145° with respect to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conduit in a direction from the toilet to the dirt tank.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1차단막을 통해 설명하면, 상기 제1차단막은 일단은 상기 도관 상부 내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도관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도관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차단막의 타단의 최종점은, 상기 도관 상부 내부면을 기준점으로 상기 도관 전체 직경의 1/4 내지 1/2의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for example, when described through the first blocking film, one end of the first blocking film is fixed to an upper inner surface of the conduit,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inside the conduit, and the first blocking film is located inside the conduit. The final point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blocking film is preferably located at a point of 1/4 to 1/2 of the total diameter of the conduit with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conduit as a reference point.

상기 제1차단막의 타단의 최종점의 위치가 상기 도관 상부 내부면을 기준점으로 상기 도관 전체 직경의 1/4 미만의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차단막을 통해 악취를 차단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차단막의 타단의 최종점의 위치가 상기 도관 상부 내부면을 기준점으로 상기 도관 전체 직경의 1/2을 초과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차단막에 의하여, 상기 변기에서 상기 오물탱크 방향으로 오물이 이동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차단막의 타단의 최종점은, 상기 도관 상부 내부면을 기준점으로 상기 도관 전체 직경의 1/4 내지 1/2의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osition of the final point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blocking film is located at a point less than 1/4 of the total diameter of the conduit with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conduit as a reference point, it may be difficult to block odors through the first blocking film. In add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final point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barrier film is located at a point that exceeds 1/2 of the total diameter of the conduit with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conduit as a reference point, by the first barrier film,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al point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blocking film is 1/4 to 1 of the total diameter of the conduit as a reference point bas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conduit. It is preferable to be located at the point of /2.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막은 반 원형 또는 반 타원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B, the blocking film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or semi-elliptical shap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150)와 상기 제2밸브부(200)가 모두 ON된 상태에서만 오물탱크로부터 악취가 변기로 유입되므로,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150)와 상기 제2밸브부(200)가 동시에 ON 되어 있는 시점을 제어함으로써, 유입되는 악취를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oth the first valve unit 150 and the second valve unit 200 are turned on, odor flows from the dirt tank to the toilet.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valve unit By controlling the point in time when the unit 150 and the second valve unit 200 are simultaneously 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an introduced odor.

즉, 상기 제1밸브부(150)와 상기 제2밸브부(200)가 동시에 ON 되어 있는 시점에서는 오물탱크로부터 악취가 변기로 유입되게 된다.That is, when the first valve unit 150 and the second valve unit 200 are turned on at the same time, odors flow into the toilet from the waste tank.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차단막을 통해, 상기 오물탱크로부터 상기 변기방향으로 이동하는 악취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1밸브부(150)와 상기 제2밸브부(200)가 동시에 ON 되어 있는 시점에서 유입되는 악취를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valve unit 150 and the second valve unit 200 are simultaneously turned ON by blocking odors moving from the dirt tank to the toilet bowl through the blocking film. The resulting odor can be further minimiz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차단막은 상기 제1도관 및/또는 상기 제2도관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blocking film as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conduit and/or the second conduit.

하지만, 기존의 열차의 변기 시스템에서의 도관을 잘라내어,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막을 배치한다고 가정시, 이러한 차단막을 배치하는 과정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However, assuming that the conduit in the toilet system of the existing train is cut and the barrier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the process of disposing the barrier layer may be very difficult.

즉, 상기 차단막은 용접방식 등에 의하여, 상기 도관에 배치될 수 있는데, 새롭게 열차에 변기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는, 도관에 미리 차단막을 배치하여 새롭게 열차에 변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나, 기존의 열차의 변기 시스템에서의 도관을 잘라내어,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막을 배치한다고 가정시, 이러한 차단막을 용접 등에 의하여 배치하는 과정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That is, the blocking film may be disposed in the conduit by welding method, etc.. In the case of newly building a toilet system in a train, a toilet system may be newly constructed in the train by disposing a blocking film in advance in the conduit. Assuming that the conduit in the toilet system of the toilet is cut and the barrier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the process of disposing the barrier layer by welding or the like may be very difficult.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와 같은 보조 도관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problem is solved through the auxiliary conduit as shown in FIG. 4.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toilet system of the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의 변형 예는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도 2a 및 도 2b의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 도 3a 및 도 3b의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의 다른 예를 참조할 수 있다.Except as described below, a modified example of the toilet system of the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oilet system of the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S. 2A and 2B described above, except as described later, and the toilet system of the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S. You can refer to other examples.

상술한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도관(140)은 상기 제1밸브부(150)와 연결되는 제1도관(140a) 및 상기 오물탱크(130)와 연결되는 제2도관(14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관체(220)의 단부 일정 영역은 상기 제1도관(140a)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관체(230)의 단부 일정 영역은 상기 제2도관(140b)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도관(140)의 일정 경로에 상기 제2밸브부(200)가 위치할 수 있다.2A and 2B, the conduit 140 includes a first conduit 140a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unit 150 and a second conduit 140b connected to the dirt tank 130. Including, a predetermined end region of the first pipe body 22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conduit 140a, and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end of the second pipe body 230 is inside the second conduit 140b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valve part 200 may be located in a predetermined path of the conduit 14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의 변형 예는 상기 제2밸브부(200)의 일측과 상기 제1도관(140a)를 연결하는 제1보조 도관(300a) 및 상기 제2밸브부(200)의 타측과 상기 제2도관(140b)를 연결하는 제2보조 도관(300b)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보조 도관(300a)의 내부 상단에 위치하는 제1차단막(310a)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2보조 도관(300b)의 내부 상단에 위치하는 제2차단막(310b)을 포함한다.At this time, a modified example of the toilet system of the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auxiliary conduit 300a and the second valve part 200 connecting one side of the second valve part 200 and the first conduit 140a. ) And a second auxiliary conduit 300b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duit 140b, and including a first blocking film 310a position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first auxiliary conduit 300a, and , And a second blocking film 310b position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second auxiliary conduit 300b.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조 도관에 차단막을 위치시키고, 상기 보조 도관을 통해, 제2밸브부의 일측과 제1도관 또는 제2밸브부의 타측과 제2도관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차단막을 통해, 상기 오물탱크로부터 상기 변기방향으로 이동하는 악취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1밸브부(150)와 상기 제2밸브부(200)가 동시에 ON 되어 있는 시점에서 유입되는 악취를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ing film is positioned in the auxiliary conduit, and through the auxiliary conduit, one side of the second valve unit and the first conduit or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valve unit and the second conduit are connected, through the blocking film, the dirt By blocking the odor moving from the tank to the toilet bowl, it is possible to further minimize the odor introduced when the first valve unit 150 and the second valve unit 200 are simultaneously ON.

기존의 열차의 변기 시스템에서의 도관을 잘라내어,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막을 배치한다고 가정시, 이러한 차단막을 배치하는 과정이 매우 어려울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보조 도관에 차단막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 도관을 통해, 제2밸브부의 일측과 제1도관 또는 제2밸브부의 타측과 제2도관을 연결함으로써, 도관에 차단막을 설치해야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Assuming that the conduit in the toilet system of the existing train is cut and the barrier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the process of disposing the barrier layer may be very difficult.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rier layer is installed on the auxiliary conduit and the auxiliary By connecting one side of the second valve unit and the first conduit or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valve unit and the second conduit through the conduit, the process of installing a blocking film on the conduit can be omitted.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Claims (6)

변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변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한 변기;
상기 변기의 오물이 수집되는 오물탱크;
상기 변기와 상기 오물탱크를 연결하는 도관;
상기 변기와 상기 도관의 경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 및
상기 도관의 일정 경로에 위치하는 제2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관은, 상기 제1밸브부와 연결되는 제1도관 및 상기 오물탱크와 연결되는 제2도관을 포함하며,
상기 변기 시스템은,
상기 제1밸브부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와 상기 도관의 경로가 오픈되어, 상기 변기의 오물이 상기 도관으로 유입되면,
상기 제1밸브부가 ON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제2밸브부가 ON 상태로 변환되어, 상기 제1도관으로 유입된 오물이 상기 제2도관(140b)을 거쳐 상기 오물탱크로 유입되며,
상기 제2밸브부가 ON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제1밸브부가 OFF 상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스템
In the toilet system,
The toilet system,
A toilet for the user to toilet;
A filth tank for collecting the toilet filth;
A conduit connecting the toilet and the waste tank;
A first valve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a path between the toilet and the conduit, and
Including a second valve portion located in a predetermined path of the conduit,
The conduit includes a first conduit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part and a second conduit connected to the waste tank,
The toilet system,
When the first valve part is turned on, the path between the toilet and the conduit is opened, and dirt from the toilet is introduced into the conduit,
2 to 4 seconds from the time when the first valve part is converted to the ON state, the second valve part is converted to the ON state, and the dirt flowing into the first conduit passes through the second conduit 140b and the dirt tank Flows into,
A toile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2 to 4 seconds after the second valve unit is converted to the ON state, the first valve unit is converted to the OFF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부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에 위치하여 제1관로를 형성하는 제1관체; 상기 밸브바디의 타측에 위치하여 제2관로를 형성하는 제2관체; 및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체가 이송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개폐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관체의 단부 일정 영역은 상기 제1도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관체의 단부 일정 영역은 상기 제2도관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도관의 일정 경로에 상기 제2밸브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valve unit may include a valve body; A first pip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alve body to form a first pipe; A second pipe body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valve body to form a second pipe; And an opening and closing ball located inside the valve body and includ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fluid is transferred,
A certain end region of the first pipe body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duit, and a certain end region of the second pipe body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duit, whereby the second valve part is located in a certain path of the conduit. Toile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체의 단부 일정 영역에는 제1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관체의 단부 일정 영역에는 제2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A toilet system comprising: a first screw threa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pipe body, and a second screw threa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pipe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관의 내부 상단에 위치하는 제1차단막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2도관의 내부 상단에 위치하는 제2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A toilet system comprising: a first blocking film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conduit, and a second blocking film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condui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은 반 원형 또는 반 타원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toile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locking film and the second blocking film are configured in a shape of a half circle or a half ellip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부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에 위치하여 제1관로를 형성하는 제1관체; 상기 밸브바디의 타측에 위치하여 제2관로를 형성하는 제2관체; 및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체가 이송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개폐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밸브부의 일측과 상기 제1도관를 연결하는 제1보조 도관 및 상기 제2밸브부의 타측과 상기 제2도관을 연결하는 제2보조 도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보조 도관의 내부 상단에 위치하는 제1차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2보조 도관의 내부 상단에 위치하는 제2차단막을 포함하는 변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valve unit may include a valve body; A first pip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alve body to form a first pipe; A second pipe body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valve body to form a second pipe; And an opening and closing ball located inside the valve body and includ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fluid is transferred,
A first auxiliary conduit connecting one side of the second valve unit and the first conduit, and a second auxiliary conduit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valve unit and the second conduit,
A toilet system comprising a first blocking film position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first auxiliary conduit, and a second blocking film position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second auxiliary conduit.
KR1020190100365A 2019-08-16 2019-08-16 A Toilet system KR1022153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365A KR102215371B1 (en) 2019-08-16 2019-08-16 A Toile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365A KR102215371B1 (en) 2019-08-16 2019-08-16 A Toile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371B1 true KR102215371B1 (en) 2021-02-10

Family

ID=7456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365A KR102215371B1 (en) 2019-08-16 2019-08-16 A Toile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37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9197A (en) * 2021-08-25 2021-11-22 영 배 박 A Toilet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737A (en) * 2001-07-14 2003-01-23 임재희 Valve for agriculture
KR200460842Y1 (en) * 2010-04-28 2012-06-13 김원제 A drain pipe shielder and a drain pipe shielder assembly thereof
JP2015522729A (en) * 2012-05-17 2015-08-06 エムエージー エアロスペイス インダストリーズ, エルエルシィ Two-stage flushing and miscellaneous drainage flushing system and equip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737A (en) * 2001-07-14 2003-01-23 임재희 Valve for agriculture
KR200460842Y1 (en) * 2010-04-28 2012-06-13 김원제 A drain pipe shielder and a drain pipe shielder assembly thereof
JP2015522729A (en) * 2012-05-17 2015-08-06 エムエージー エアロスペイス インダストリーズ, エルエルシィ Two-stage flushing and miscellaneous drainage flushing system and equip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9197A (en) * 2021-08-25 2021-11-22 영 배 박 A Toilet system
KR102387040B1 (en) 2021-08-25 2022-04-14 박영배 A Toilet system
KR20230030508A (en) * 2021-08-25 2023-03-06 영 배 박 A Toilet system
KR102620659B1 (en) 2021-08-25 2024-01-03 박영배 A Toile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371B1 (en) A Toilet system
JP2000510925A (en) Pressurized flush toilet cleaning device
CN105074104B (en) Overflow hood for flushing valve
US154087A (en) Improvement in fire-plugs and hydrants
KR102318463B1 (en) A Toilet system
KR102387040B1 (en) A Toilet system
KR20220130880A (en) A Toilet system
JP5508653B2 (en) Device for preventing sewage from splashing into a urinal or hand-washer for a vehicle
JP2003213751A (en) Joint device for drain pipes
US7383593B2 (en) Quiet, low water volume toilet
JP7254269B2 (en) flush toilet device
KR20170060800A (en) Automatic pipe cleaning system
JPH08144347A (en) Stool cleaning switch valve
JP6348031B2 (en) Drainage mass and drainage system equipped with it
JP2003096887A (en) Flush toilet bowl
JP2020026681A (en) Water closet
JPH09256448A (en) Automatic flushing device for male urinal
US1134717A (en) Valve for down-spouts and the like.
US340255A (en) Sewer-gas and stench trap
JP3596625B2 (en) Water tap
JPH0712574U (en) Deodorizing device for flush toilet
DE102022206701A1 (en) Dry steam flush toilet
JPH0860732A (en) Flush toilet bowl
JPS594209Y2 (en) Vacuum breaking device for flush toilets
JP2021165487A (en) Drain pip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