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206B1 - 구성요소 연계 모듈 - Google Patents

구성요소 연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206B1
KR102215206B1 KR1020190088128A KR20190088128A KR102215206B1 KR 102215206 B1 KR102215206 B1 KR 102215206B1 KR 1020190088128 A KR1020190088128 A KR 1020190088128A KR 20190088128 A KR20190088128 A KR 20190088128A KR 102215206 B1 KR102215206 B1 KR 102215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unit
priority
control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1133A (ko
Inventor
간조릭 노로브삼부
Original Assignee
간조릭 노로브삼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간조릭 노로브삼부 filed Critical 간조릭 노로브삼부
Priority to KR1020190088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2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11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with electric means, e.g. electric switches, to control the motor or to control a clutch between the valve and the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8Circuit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for slow operation, for sequential energisation of windings, for high-speed energisation of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02Details of starting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 연계 모듈이 개시된다. 상기 구성요소 연계 모듈은 공학적 안전설비 기기 제어를 위한 제 1 시스템 및 상기 안전설비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 보조 설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 포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포트부에 입력된 신호들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조건에 따라 우선 순위의 제어신호를 결정하는 우선순위 논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우선순위 논리부를 통해 우선 순위가 결정된 상기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제어된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수신된 피드백 신호에 따라 최종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버퍼 논리부 및 상기 버퍼 논리부의 상기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상기 최종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출력 포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성요소 연계 모듈{COMPONENT INTERFACE MODULE}
본 개시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원자로 시설의 안전 시스템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지털 기술 기반의 원자력 발전소 설계 시 심층방호 및 다양성 체계(Diverse and Defence in Depth, D3)를 설계하도록 규제 기준을 수립하였고, 이 기준에 따라 공학적 안전설비 기기 제어계통(Engineered Safety Feature-Component Control System, ESF-CCS)의 구성요소 연계 모듈(CIM)이 설계되고, 설계된 구성요소 연계 모듈은 발전소의 안전성 관련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최종 제어신호 출력을 담당하게 된다.
현재 구성요소 연계 모듈은 Westinghouse Electric(WEC)에서 만든 제품이 표준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표준화된 CIM 한가지 유형은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기계 및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점퍼(Jumper)의 구성이 필수적이다. 한국 등록 특허 (10-0904577호)에도 제 1 및 제 2 소프트웨어 기반 시스템으로부터 제 1 및 제 2 세트의 구성요소 코맨드 신호를 받고 제어된 구성요소의 피드백 신호와 통합하여 최종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의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구성요소의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22개의 점퍼를 포함하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설계의 복잡성을 초래하고 있으며, 특히나 안전이 우선시되는 플랜트 환경에 부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쓰이는 점퍼 구성은 그 중 일부분이기 때문에 남은 점퍼 구성에 따른 에너지 손실이 존재한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발전소 구성요소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선행기술에서 제시한 점퍼 구성을 포함하는 복잡한 구성을 대신하여, 단순한 구성을 가진 구성요소 연계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구성요소 연계 모듈이 개시된다. 상기 구성요소 연계 모듈은 공학적 안전설비 기기 제어를 위한 제 1 시스템 및 상기 안전설비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 보조 설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 포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포트부에 입력된 신호들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조건에 따라 우선 순위의 제어신호를 결정하는 우선순위 논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우선순위 논리부를 통해 우선 순위가 결정된 상기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제어된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수신된 피드백 신호에 따라 최종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버퍼 논리부 및 상기 버퍼 논리부의 상기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상기 최종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출력 포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제어신호는 상기 제 1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상기 제 2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조건은 상기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만 받는 경우의 우선순위 제 1 조건; 상기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받는 경우, 닫힘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가 우선 순위로 결정되는 우선순위 제 2 조건; 상기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받는 경우, 열림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가 우선 순위로 결정되는 우선순위 제 3 조건; 및 상기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받는 경우,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가 우선 순위로 결정되는 우선순위 제 4 조건; 중 하나의 조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논리부는 하나 이상의 논리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논리 유닛은 제어된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 신호 및 토크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반된 피드백 신호로 전환하는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제어된 상기 구성요소의 제한 위치 및 제한 토크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를 차단하는 토크 제어 유닛; 상기 구성요소 중 차단기의 개방과 차단이 반복되는 펌핑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래치(Latch)를 설정하는 안티 펌핑 유닛; 상기 구성요소의 차단기 트립을 활성화시키거나 제어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피드백 인터로크 유닛; 상기 구성요소의 제어 작업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구성요소의 제어신호 출력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는 출력 전원 차단 유닛; 및 상기 구성요소가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구성요소의 상반된 제어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태를 유지하는 명령 래칭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부하차단기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토크 제어 유닛, 안티 펌핑 유닛 및 출력 전원 차단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토크 제어 유닛은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역전 모터 시동기의 모터 작동 밸브를 완전 열림 혹은 닫힘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토크 제어 유닛, 출력 전원 차단 유닛 및 명령 래칭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토크 제어 유닛은 상기 모터 작동 밸브의 위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솔레노이드 및 댐퍼 코일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및 명령 래칭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은 제어된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한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반된 피드백 신호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비역전 모터 시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토크 제어 유닛 및 명령 래칭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은 제어된 상기 비역전 모터 시동기의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한 상기 구성요소의 토크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반된 피드백 신호로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토크 제어 유닛은 상기 구성요소의 토크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방화 댐퍼 코일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토크 제어 유닛 및 명령 래칭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토크 제어 유닛은 상기 구성요소의 토크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역전 모터 시동기의 모터 작동 밸브를 스로틀링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토크 제어 유닛 및 출력 전원 차단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토크 제어 유닛은 상기 모터 작동 밸브의 위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2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솔레노이드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및 명령 래칭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은 제어된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한 상기 솔레노이드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반된 피드백 신호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2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역전 모터 시동기의 모터 작동 밸브를 완전 열림 혹은 닫힘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토크 제어 유닛, 출력 전원 차단 유닛 및 명령 래칭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토크 제어 유닛은 상기 모터 작동 밸브의 위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3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역전 모터 시동기의 모터 작동 밸브를 완전 열림 혹은 닫힘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토크 제어 유닛, 출력 전원 차단 유닛 및 명령 래칭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토크 제어 유닛은 상기 모터 작동 밸브의 위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3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부하차단기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토크 제어 유닛, 안티 펌핑 유닛 및 출력 전원 차단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토크 제어 유닛은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3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솔레노이드 및 댐퍼 코일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및 명령 래칭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은 제어된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한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반된 피드백 신호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또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4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역전 모터 시동기의 모터 작동 밸브를 스로틀링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토크 제어 유닛 및 출력 전원 차단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토크 제어 유닛은 상기 모터 작동 밸브의 위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선행기술이 제시하는 복잡한 하드웨어적 구성을 대체할 수 있는 논리 회로로 구성된 버퍼 논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 연계 모듈(1000)을 포함한 발전소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대한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우선순위 논리부(12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나타낸 우선순위 제 2 조건, 제 3 조건 및 제 4 조건에 대한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우선순위 논리부(12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버퍼 논리부(1300)를 구성하는 논리 유닛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활성화된 논리 유닛들을 포함하는 버퍼 논리부(130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활성화된 논리 유닛들을 포함하는 버퍼 논리부(130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7는 본 개시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활성화된 논리 유닛들을 포함하는 버퍼 논리부(130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활성화된 논리 유닛들을 포함하는 버퍼 논리부(130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활성화된 논리 유닛들을 포함하는 버퍼 논리부(130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는 본 개시의 제 6 실시예에 따라 활성화된 논리 유닛들을 포함하는 버퍼 논리부(130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개시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procedure),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 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들은 추가적으로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되어 설명된 다양한 예시 적 논리적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수단들, 로직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쪽 모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성을 명백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 적 컴포넌트들, 블록들, 구성들, 수단들, 로직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성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반적인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설계 제한들에 달려 있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영역을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개시내용의 청구범위에서의 동작들에 대한 권리범위는, 각 동작들에 기재된 기능 및 특징들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지, 각각의 동작에서 그 순서의 선후관계를 명시하지 않는 이상, 청구범위에서의 각 동작들의 기재 순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A동작 및 B동작를 포함하는 동작으로 기재된 청구범위에서, A동작이 B동작 보다 먼저 기재되었다고 하더라도, A동작이 B동작에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는 디지털 발전소 시스템에서 제어 시스템과 모터나 밸브, 회로 차단기 같은 구성요소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며,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구성요소 연계 모듈은 하나 이상의 시스템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제어신호들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입력 포트부(1600)를 통해 수신하여, 최종 구성요소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멈춤(Stop), 닫힘(Close), 시작(Start) 및 열림(Open)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플랜트에 사용되는 안전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요소 연계 모듈의 입력 포트부는 4개의 상이한 시스템으로부터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시스템은 2개의 호스트 시스템과 유선으로 연결된(hardwired) 2개의 수동 시스템이다. 상기 호스트 시스템 중 공학적 안전설비 기기 제어를 위한 제 1 시스템으로부터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1 포트, 상기 호스트 시스템 중 상기 안전설비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 보조 설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성 보호 시스템인 제 2 시스템으로부터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2 포트가 있다. 상기 수동 시스템은 메인 제어실(Main control room), 원격 셧다운실 (Remote Shutdown Room) 또는 로컬 제어 패널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성 수동 스위치에 포함된 수동 시스템은 수동으로 상기 구성요소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제 3 구성요소 제어신호 생성하여 상기 입력 포트부는 제 3 포트를 통해 상기 제 3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요소 연계 모듈은 상기 입력 포트부 외에 설치된 캐비닛 패널에 위치한 로컬 스위치를 통해 제 4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받을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제시한 상기 입력 포트부(16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입력 포트부(1600)의 여분으로 어느 한 시스템으로부터 신호를 받지 않거나 연결시키지 않은 입력 포트부(1600)를 한 개 이상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 연계 모듈(1000)을 포함한 발전소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 연계 모듈(1000)은 입력 포트부(1600), 우선순위 논리부(1200), 버퍼 논리부(1300) 및 출력 포트부(1400)로 구성된다. 제 1 시스템(10)은 제 1 포트부(100)를 통해 상기 구성요소 연계 모듈(1000)에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전달하며, 제 2 시스템(20)은 제 2 포트부(200)를 통해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제 3 시스템(30)은 제 3 포트부를 통해 제 3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구성요소 연계 모듈(1000)이 설치된 패널에 위치한 로컬 스위치(400)에 의해 입력 포트부(1600)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 포트부(1600)를 통해 전달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제어신호는 우선적으로 실행될 신호를 정할 수 있는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해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 전달된다. 상기 입력 포트부(1600)에 의해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우선순위 논리부(1200)는 우선순위의 신호를 결정할 수 있는 논리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시스템(30) 및 로컬 스위치(400)으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신호가 상기 제 1 시스템(10) 및 제 2 시스템(20)으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신호보다 우선순위로 선택되며, 제 3 시스템(30) 및 로컬 스위치(400) 중 로컬 스위치(400)로부터 수신된 제 4 구성요소 제어신호가 최우선 순위의 신호로 결정된다. 상기 제 1 시스템(10) 및 제 2 시스템(20)으로부터 수신된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 사이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우선순위 조건으로, 제 1 조건, 제 2 조건, 제 3 조건 및 제 4 조건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논리 회로는 제 1 조건, 제 2 조건, 제 3 조건 및 제 4 조건 중 하나의 조건에 대해 구성된다. 상기 우선순위 논리부(1200)를 통해 우선순위가 결정된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신호는 해당되는 포트부를 차단하는 피드백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우선순위 조건에 따른 우선순위 논리부(1200) 및 상기 포트부를 차단하는 피드백 신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이후에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우선순위의 구성요소 제어신호는 상기 버퍼 논리부(1300)로 전달되며 제어된 구성요소(1500)로부터 상기 퍼버 논리부(1300)로 전달된 구성요소 피드백 신호와 통합되어 최종 제어신호를 구성하고, 출력 포트부(1400)를 통해 구성요소(1500)로 출력된다. 상기 구성요소 연계 모듈을 이용해 특정 구성요소의 특정 기능을 제어하려면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가 요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터 작동 밸브는 상기 밸브 부재가 작동하는 동안 하나의 제어신호만 요구되지만, 컨택터는 연속적인 제어신호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퍼버 논리부(1300)는 모터 작동 밸브나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와 같이 상이한 유형의 구성요소(1500)가 수행할 수 있는 상이한 기능들에 대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논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설명은 이후에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대한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우선순위 논리부(12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논리부(1200)는 상기 제 2 구성요소 제어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경우의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대한 우선순위 논리 회로(1210)를 포함하고, 제 1 포트부(100) 및 제 3 포트부(300) 그리고 로컬 스위치(400)를 통해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 논리 회로(1210)를 통해 상위의 우선순위 신호 또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의 로컬 스위치로 수신된 신호에 의해 제 1 포트부(100) 및 제 3 포트부(300)가 모두 비활성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 포트부(300)가 제 3 구성요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 3 구성요소 신호는 우선순위의 신호로 선택되며, 제 1 포트부(100)에 수신된 신호는 제 1 포트부 차단 블록(110)으로 수신되어 제 1 포트부 비활성화 신호를 생성하여 제 1 포트부(10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포트부(100)에 입력된 신호는 모두 버퍼 논리부(1300)로 전달되지 않는다. 제 4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로컬 스위치(400)를 통해 수신할 경우, 제 1 포트부(100) 및 제 3 포트부(300)에 입력된 신호는 제 1 포트부 차단 블록(110) 및 제 3 포트부 차단 블록(310)으로 수신되어 제 1 포트부 비활성화 신호 및 제 3 포트부 비활성화 신호를 각각 생성한다. 상기 제 1 포트부 비활성화 신호는 제 1 포트부(100)로 전달되고, 상기 제 3 포트부 비활성화 신호는 제 3 포트부(300)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제 4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따라 구성요소 연계 모듈에 의해 수동 제어 중일 경우, 제 1 포트부(100) 및 제 3 포트부(300)에 입력된 신호들은 모두 버퍼 논리부(1300)로 전달되지 않는다.
도 3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나타낸 우선순위 제 2 조건, 제 3 조건 및 제 4 조건에 대한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우선순위 논리부(12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논리부(1200)는 우선순위 제 2 조건에 따라 구성된 우선순위 논리 회로(1210)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포트부(100)에 의해 수신된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제 2 포트부(200)에 의해 수신된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 중에서 닫힘 신호를 포함하는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우선순위로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닫힘 신호를 포함하는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는 열림 신호를 포함하는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보다 우선순위로 선택된다. 또한, 제 2 포트부(200)가 닫힘 신호를 포함한 신호에 의해 비활성화 되거나, 제 1 포트부(100)에 멈춤 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제 3 포트부(300) 및 로컬 스위치(400)에 의해 멈춤 신호를 포함하는 구성요소 제어신호가 각각 수신됐을 경우에,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는 제 2 포트부 차단 블록(210)으로 수신된다. 이에 따라, 제 2 포트부 비활성화 신호가 생성되고,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는 구성요소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위의 우선순위 신호가 수신되거나 제 3 포트부 및 로컬 스위치에서 시작 신호를 포함하는 제 3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열림 신호를 포함하는 제 4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각각 수신했을 경우에,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는 제 2 포트부 차단 블록(210)으로 수신된다. 이에 따라, 제 2 포트부 비활성화 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는 구성요소로 전달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제 3 조건에 따라 구성된 우선순위 논리 회로(1210)는 제 1 포트부(100)에 의해 수신된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제 2 포트부(200)에 의해 수신된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 중에서 열림 신호를 포함하는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우선순위의 제어신호로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가 닫힘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보다 우선순위로 선택되며, 닫힘 신호를 포함하는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가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보다 우선순위로 선택된다. 또한, 제 3 포트부(300)가 멈춤 신호를 포함하는 제 3 구성요소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구성요소 연계 모듈의 로컬 스위치(40)에서 멈춤 신호를 포함하는 제 4 구성요소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는 제 2 포트부 차단 블록(210)으로 수신된다. 이에 따라, 제 2 포트부 비활성화 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는 버퍼 논리부(1300)로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시작 신호를 포함한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제 1 포트부(100)가 수신하거나 제 3 포트부(300)가 시작 신호를 포함한 제 3 구성요소 신호를 수신한 경우 또는 상기 구성요소 연계 모듈의 로컬 스위치(400)에 의해 시작 신호를 포함한 제 4 구성요소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는 제 2 포트부 차단 블록(210)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 2 포트부 비활성화 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는 버퍼 논리부(1300)로 전달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제 4 조건에 대해 구성된 우선순위 논리 회로는 제 1 포트부(100)에 의해 수신된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제 2 포트부(200)에 의해 수신된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 중에서 우선순위로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우선순위의 제어신호로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제 1 포트부(100)나 제 3 포트부(300), 또는 로컬 스위치(400)에 의해 각각 구성요소 제어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에, 제 2 포트부 차단 블록(210)에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가 수신된다. 상기 제 2 포트부 차단 블록(210)에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 2 포트부 비활성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는 버퍼 논리부(1300)에 전달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개시의 버퍼 논리부(1300)를 구성하는 논리 유닛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 논리부(1300)는 논리 회로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논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논리 유닛은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 토크 제어 유닛(1320), 안티 펌핑(Anti-pumping) 유닛(1330), 피드백 인터로크 유닛(1340), 출력 전원 차단 유닛(1350) 및 명령 래칭 유닛(1360)으로 구성된다. 구성요소 피드백 신호는 제어된 구성요소에서 생성되고, 상기 구성요소 피드백 신호 중 제 1 피드백 신호는 구성요소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 신호이다. 또한, 제 2 피드백 신호는 구성요소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 신호이다. 상기 구성요소가 활성화된 상태는 예를 들어, 밸브가 열려 있거나 펌프가 작동 중이거나 스위치기어가 닫힌 상태를 말하며, 상기 구성요소가 비활성화된 상태는 예를 들어, 밸브가 닫혀 있거나 펌프가 멈춰 있거나 스위치기어가 열린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제 1 피드백 신호 및 제 2 피드백 신호가 각각 참(True)이고 논리 '1'을 제공할 경우, 상기 제 1 피드백 신호는 구성요소의 완전 열리지 않은 상태로 해석될 수 있고, 상기 제 2 피드백 신호는 구성요소의 완전 닫히지 않은 상태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피드백 신호 및 제 2 피드백 신호가 모두 논리 '1'을 제공할 경우, 구성요소는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넘어가는 상태, 즉, 밸브의 경우, 중간만 열린 상태를 표현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는 또한, 중간만 닫힌 상태로 해석될 수도 있다. 상기 버퍼 논리부(1300)의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은 제 1 피드백 신호 및 제 2 피드백 신호의 입력을 반전시켜, 제 1 피드백 신호를 완전 열린 상태의 신호 및 제 2 피드백 신호에 대해 완전 닫힌 상태의 신호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피드백 신호 및 제 2 피드백 신호는 모터의 토크를 제한하는 토크 제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제 3 피드백 신호 및 제 4 피드백 신호와 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 1 피드백 신호 및 제 2 피드백 신호는 위치 제한 스위치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3 피드백 신호는 열림 방향에 대해 토크 제한을 초과했을 경우, 로우 참 (Low True)으로 해석되며 열림 콘택트로서, 논리 '0'이 제공되고, 반대로 닫힘 콘택트인 논리 '1'이 제공될 경우에 구성요소의 이동을 허용하는 신호이다. 상기 제 4 피드백 신호는 닫힘 방향에 대해 토크 제한을 초과했을 경우, 로우 참 (Low True)으로 해석되며 열림 콘택트로서, 논리 '0'이 제공되고, 닫힘 콘택트인 논리 '1'이 제공될 경우에 구성요소의 이동을 허용하는 신호이다.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은 또한, 상기 제 3 피드백 신호 및 제 4 피드백 신호를 반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3 피드백 신호에 대해, 반대 방향의 토크 제한, 즉 닫힘 방향에 대해 토크 제한을 초과했을 경우 생성되도록 구성되거나, 제 4 피드백 신호는 열림 방향에 대해 토크 제한을 초과했을 경우 생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위치 제한 스위치 및 토크 제한 스위치가 설치된 모터 작동 밸브의 경우, 모터의 토크에 대한 피드백 신호인 상기 제 3,4 피드백 신호 및 상기 밸브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 신호인 제 1,2 피드백 신호는 조합된 외부 신호로서 수신되며 상기 조합된 신호는 높은 토크 또는 제한 위치에 도달했기 때문에 밸브가 정지되어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작동 밸브는 단단히 잠긴 상태가 되도록, 닫힘 방향의 토크에 대해서만 정지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밸브가 제한된 위치에서 벗어나 이동했음을 위치 제한 스위치가 지시할 때까지 토크 제한 스위치를 바이패스하여 토크를 계속 가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상기 토크 제어 유닛(1320)은 구성요소에 직접 설치된 위치 제한 스위치 및 토크 제한 스위치로부터 외부 신호를 받을 수 있거나, 또는 토크 입력 신호에 따라 구성요소의 토크를 제어하기 위해 열림 신호 및 닫힘 제어 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논리 회로를 포함하고, 위치 입력 신호에 따라 구성요소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열림 제어신호 닫힘 제어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논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전기 스위치기어 및 대형 모터의 경우, 일반적으로 차단기가 펌핑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안티 펌핑 유닛(1330)을 통해 차단기 열림에 대한 제어신호가 수신되고, 차단기가 열렸을 경우에 래치(Latch)가 활성화된다. 상기 래치는 닫힘 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허가를 부가하는데 사용되고, 이후에 차단기가 닫혔을 경우에 다음 열림 제어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래치는 비활성화된다.
상기 구성요소는 토크에 의한 열림 및 닫힘 콘택트에 대해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 인터로킹(interlocking) 피드백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토크에 의한 열림 및 닫힘 콘택트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제 3, 4피드백 신호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인터로킹 피드백 신호를 상기 피드백 인터로크 유닛(1340)이 활성화된 버퍼 논리부(1300)가 전달받았을 경우, 상기 열림 혹은 닫힘 콘택트에 대해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차단하거나 차단기 트립을 활성화시켜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버퍼 논리부(1300)의 출력 전원 차단 유닛(1350)은 상기 버퍼 논리부(130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대해 해당되는 구성요소의 작업이 완료됐을 경우, 상기 제어신호의 출력에 사용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경우에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가 비활성화되는 제어신호를 받는 것 대신에 상기 밸브를 활성화시키고 있는 제어신호를 차단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버퍼 논리부(1300)의 명령 래칭 유닛(1360)은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전달하지 않고 버퍼 논리부(1300)에 래치된다. 래치된 제어신호는 상기 제어신호와 상반되는 제어신호가 들어오거나 래치 상태를 리셋(reset)하는 리셋 신호에 의해 래치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림 신호가 래치된 상태일 경우, 닫힘 신호 또는 리셋 신호를 통해 상기 열림 신호에 대한 래치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 5 피드백 신호 및 제 6 피드백 신호에 의해 래치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버퍼 논리부(1300)는 제어되는 구성요소에 따라 활성화된 하나 이상의 논리 유닛들로 상이하게 구성되고, 상기 우선순위 논리부(1200)의 우선순위 조건에 따라 실시예가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는 부하 차단기의 스위치기어, 역전 모터 시동기(Reversing Motor Starter)의 모터 작동 밸브, 솔레노이드의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 방화 댐퍼 코일 및 비역전 모터 시동기(Non-reversing Motor Starter)의 구성요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활성화된 논리 유닛들을 포함하는 버퍼 논리부(130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우선순위 제 1 조건이 활성화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부하 차단기의 구성요소(1500)를 제어할 경우, 상기 버퍼 논리부(1300)는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 토크 제어 유닛(1320), 안티 펌핑 유닛(1330) 및 출력 전원 차단 유닛(1350)이 활성화된다.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의해 선택된 부하 차단기의 구성요소(15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 및 제어된 구성요소(1500)에서 생성된 피드백 신호는 버퍼 논리부(1300)로 전달된다. 상기 피드백 신호 중 위치에 대한 피드백 신호인 제 1 피드백 신호 및 제 2 피드백 신호, 그리고 토크에 대한 제 3 피드백 신호 및 제 4 피드백 신호는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에 의해 상반된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버퍼 논리부(1300)의 토크 제어 유닛(1320)은 상기 부하차단기의 구성요소(1500)의 위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티 펌핑 유닛(1330)에 의해 상기 부하 차단기의 펌핑 상태를 방지할 수 있고, 작업이 완료되면 출력 전원 차단 유닛(1350)을 통해 상기 부하 차단기의 구성요소(1500)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어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버퍼 논리부(1300)를 통해 생성된 최종 제어신호는 출력 포트부(1400)를 통해 상기 구성요소(1500)에 전달된다.
상기 우선순위 논리부(1200)는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우선순위 제 3 조건으로 구성된 논리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우선순위 제 3 조건이 활성화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부하 차단기의 구성요소(1500)를 제어할 경우에 버퍼 논리부(1300)는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 토크 제어 유닛(1320), 안티 펌핑 유닛(1330) 및 출력 전원 차단 유닛(1350)이 활성화된다. 따라서,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으로 구성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부하 차단기의 구성요소(1500)를 제어할 경우의 버퍼 논리부(130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활성화된 논리 유닛들을 포함하는 버퍼 논리부(130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이 활성화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역전 모터 시동기의 모터 작동 밸브를 완전 열림 또는 완전 닫힘 상태에 대해 제어할 경우, 상기 버퍼 논리부(1300)는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 토크 제어 유닛(1320), 출력 전원 차단 유닛(1350) 및 명령 래칭 유닛(1360)이 활성화 된다.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의해 선택된 상기 모터 작동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신호 및 제어된 구성요소(1500)에서 생성된 피드백 신호는 버퍼 논리부(1300)로 전달되어 통합되고, 상기 버퍼 논리부(1300)에서 생성된 최종 제어신호는 출력 포트부(1400)를 통해 구성요소(1500)로 전달된다. 이 경우에, 구성요소(1500)는 상기 모터 작동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신호 중 위치에 대한 피드백 신호인 제 1 피드백 신호 및 제 2 피드백 신호, 그리고 토크에 대한 제 3 피드백 신호 및 제 4 피드백 신호는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에 의해 상반된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버퍼 논리부(1300)의 토크 제어 유닛(1320)은 상기 모터 작동 밸브의 위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작업이 완료되면 출력 전원 차단 유닛(1350)을 통해 모터 작동 밸브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어신호를 차단할 수 있고, 상기 명령 래칭 유닛(1360)을 통해 구성요소 제어신호와 상반되는 신호를 받을 때까지 상기 제어신호를 래칭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 논리부(1200)는 상기 제 2 실시예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우선순위 제 2 조건으로 구성된 논리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우선순위 제 2 조건이 활성화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역전 모터 시동기의 모터 작동 밸브를 완전 열림 또는 완전 닫힘 상태에 대해 제어할 경우, 상기 버퍼 논리부(1300)는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 토크 제어 유닛(1320), 출력 전원 차단 유닛(1350) 및 명령 래칭 유닛(1360)이 활성화 된다. 따라서,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으로 구성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작동 밸브를 제어할 경우의 버퍼 논리부(130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 논리부(1200)는 상기 제 2 실시예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우선순위 제 3 조건으로 구성된 논리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우선순위 제 3 조건이 활성화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역전 모터 시동기의 모터 작동 밸브를 완전 열림 또는 완전 닫힘 상태에 대해 제어할 경우, 상기 버퍼 논리부(1300)는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 토크 제어 유닛(1320), 출력 전원 차단 유닛(1350) 및 명령 래칭 유닛(1360)이 활성화 된다. 또한,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으로 구성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작동 밸브를 제어할 경우의 버퍼 논리부(130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는 본 개시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활성화된 논리 유닛들을 포함하는 버퍼 논리부(130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이 활성화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 및 댐퍼 코일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경우, 상기 버퍼 논리부(1300)는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 토크 제어 유닛(1320) 및 명령 래칭 유닛(1360)이 활성화된다. 또한, 상기 버퍼 논리부(1300)는 토크 제어 유닛(1320)이 비활성화 되고,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 및 명령 래칭 유닛(1360)이 활성화되어, 본 개시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이 활성화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 및 댐퍼 코일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의해 선택된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신호 및 제어된 구성요소(1500)에서 생성된 피드백 신호는 버퍼 논리부(1300)로 전달되어 통합되고, 상기 버퍼 논리부(1300)에서 생성된 최종 제어신호는 출력 포트부(1400)를 통해 구성요소(1500)로 전달된다. 상기 피드백 신호 중 위치에 대한 피드백 신호인 제 1 피드백 신호 및 제 2 피드백 신호는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에 의해 상반된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 래칭 유닛(1360)을 통해 구성요소 제어신호와 상반되는 신호를 받을 때까지 상기 제어신호를 래칭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 논리부(1200)는 상기 제 3 실시예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우선순위 제 2 조건으로 구성된 논리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이 활성화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 및 댐퍼 코일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경우, 상기 버퍼 논리부(1300)는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 토크 제어 유닛(1320) 및 명령 래칭 유닛(1360)이 활성화된다. 또한, 상기 버퍼 논리부(1300)는 토크 제어 유닛(1320)이 비활성화 되고,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 및 명령 래칭 유닛(1360)이 활성화되어, 본 개시의 제 3 실시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 제 2 조건이 활성화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 및 댐퍼 코일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으로 구성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 및 댐퍼 코일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경우의 상기 버퍼 논리부(130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 논리부(1200)는 상기 제 3 실시예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우선순위 제 3 조건으로 구성된 논리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이 활성화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 및 댐퍼 코일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경우, 상기 버퍼 논리부(1300)는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 토크 제어 유닛(1320) 및 명령 래칭 유닛(1360)이 활성화된다. 또한, 상기 버퍼 논리부(1300)는 토크 제어 유닛(1320)이 비활성화 되고,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 및 명령 래칭 유닛(1360)이 활성화되어, 본 개시의 제 3 실시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 제 3 조건이 활성화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 및 댐퍼 코일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으로 구성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 및 댐퍼 코일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경우의 상기 버퍼 논리부(130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활성화된 논리 유닛들을 포함하는 버퍼 논리부(130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이 활성화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비역전 모터 시동기의 구성요소(1500)를 제어할 경우, 상기 버퍼 논리부(1300)는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 토크 제어 유닛(1320) 및 명령 래칭 유닛(1360)이 활성화된다.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의해 선택된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신호 및 제어된 구성요소(1500)에서 생성된 피드백 신호는 버퍼 논리부(1300)로 전달되어 통합되고, 상기 버퍼 논리부(1300)에서 생성된 최종 제어신호는 출력 포트부(1400)를 통해 구성요소(1500)로 전달된다. 상기 피드백 신호 중 토크에 대한 제 3 피드백 신호 및 제 4 피드백 신호는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에 의해 상반된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버퍼 논리부(1300)의 토크 제어 유닛(1320)은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에 대한 토크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명령 래칭 유닛(1360)을 통해 구성요소 제어신호와 상반되는 신호를 받을 때까지 상기 제어신호를 래칭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활성화된 논리 유닛들을 포함하는 버퍼 논리부(130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이 활성화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방화 댐퍼 코일의 구성요소(1500)를 제어할 경우, 상기 버퍼 논리부(1300)는 토크 제어 유닛(1320) 및 명령 래칭 유닛(1360)이 활성화된다.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의해 선택된 상기 구성요소(15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 및 제어된 상기 구성요소(1500)에서 생성된 피드백 신호는 버퍼 논리부(1300)로 전달되어 통합되고, 상기 버퍼 논리부(1300)에서 생성된 최종 제어신호는 출력 포트부(1400)를 통해 상기 구성요소(1500)로 전달된다. 상기 토크 제어 유닛(1320)은 상기 구성요소(1500)의 토크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상태를 제어하는 신호가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명령 래칭 유닛(1360)을 통해 상기 구성요소 제어신호와 상반되는 신호를 받을 때까지 상기 제어신호를 래칭할 수 있다.
도 10는 본 개시의 제 6 실시예에 따라 활성화된 논리 유닛들을 포함하는 버퍼 논리부(130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제 6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이 활성화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역전 모터 시동기의 모터 작동 밸브를 반쯤 열렸거나 닫힌 상태로 해석될 수 있는 스로틀링(Throttling)상태에 대해 제어할 경우, 상기 버퍼 논리부(1300)는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 토크 제어 유닛(1320) 및 출력 전원 차단 유닛(1350)이 활성화된다.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의해 선택된 상기 모터 작동 밸브를 포함하는 구성요소(15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 및 제어된 구성요소(1500)에서 생성된 피드백 신호는 버퍼 논리부(1300)로 전달되어 통합되고, 상기 버퍼 논리부(1300)에서 생성된 최종 제어신호는 출력 포트부(1400)를 통해 상기 구성요소(1500)로 전달된다. 상기 피드백 신호 중 위치에 대한 피드백 신호인 제 1 피드백 신호 및 제 2 피드백 신호, 그리고 토크에 대한 제 3 피드백 신호 및 제 4 피드백 신호는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에 의해 상반된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버퍼 논리부(1300)의 토크 제어 유닛(1320)은 상기 모터 작동 밸브의 위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작업이 완료되면 출력 전원 차단 유닛(1350)을 통해 상기 모터 작동 밸브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어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 논리부(1200)는 상기 제 6 실시예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우선순위 제 4 조건에 따라 구성된 논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이 활성화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역전 모터 시동기의 모터 작동 밸브를 반쯤 열렸거나 닫힌 상태로 해석될 수 있는 스로틀링(Throttling)상태에 대해 제어할 경우, 상기 버퍼 논리부(1300)는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1310), 토크 제어 유닛(1320) 및 출력 전원 차단 유닛(1350)이 활성화된다. 따라서, 상기 우선순위 제 1 조건으로 구성된 우선순위 논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역전 모터 시동기의 모터 작동 밸브를 반쯤 열렸거나 닫힌 상태로 해석될 수 있는 스로틀링(Throttling)상태에 대해 제어할 경우의 상기 버퍼 논리부(1300)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전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가 기타 프로그램 모듈들과 결합되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의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의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방법이 단일-프로세서 또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는 물론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가능 가전 제품, 기타 등등(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장치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음)을 비롯한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본 개시의 설명된 실시예들은 또한 어떤 태스크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원격 처리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 둘다에 위치할 수 있다.
컴퓨터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매체는 그 어떤 것이든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transitory) 및 비일시적(non-transitory)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 및 비-일시적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ideo disk)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통상적으로 반송파(carrier wave)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피변조 데이터 신호(modulated data signal)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등을 구현하고 모든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피변조 데이터 신호라는 용어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그 신호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설정 또는 변경시킨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배선 접속(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그리고 음향, RF, 적외선,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된 매체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도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컴퓨터(1102)를 포함하는 본 개시의 여러가지 측면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환경(1100)이 나타내어져 있으며, 컴퓨터(1102)는 처리 장치(1104), 시스템 메모리(1106) 및 시스템 버스(1108)를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1108)는 시스템 메모리(1106)(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비롯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처리 장치(1104)에 연결시킨다. 처리 장치(1104)는 다양한 상용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듀얼 프로세서 및 기타 멀티프로세서 아키텍처도 역시 처리 장치(1104)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108)는 메모리 버스, 주변장치 버스, 및 다양한 상용 버스 아키텍처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에 추가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몇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106)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1110)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12)를 포함한다.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은 ROM, EPROM,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1110)에 저장되며, 이 BIOS는 시동 중과 같은 때에 컴퓨터(1102)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일을 돕는 기본적인 루틴을 포함한다. RAM(1112)은 또한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정적 RAM 등의 고속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102)는 또한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1114)(예를 들어, EIDE, SATA)이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2114)는 또한 적당한 섀시(도시 생략) 내에서 외장형 용도로 구성될 수 있음), 자기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1116)(예를 들어, 이동식 디스켓(1118)으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예를 들어, CD-ROM 디스크(1122)를 판독하거나 DVD 등의 기타 고용량 광 매체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를 포함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1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6)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8)에 의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될 수 있다. 외장형 드라이브 구현을 위한 인터페이스(1124)는 USB(Universal Serial Bus)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 기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둘 다를 포함한다.
이들 드라이브 및 그와 연관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 데이터 구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기타 등등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컴퓨터(1102)의 경우, 드라이브 및 매체는 임의의 데이터를 적당한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에 대응한다. 상기에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대한 설명이 HDD, 이동식 자기 디스크, 및 CD 또는 DVD 등의 이동식 광 매체를 언급하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집 드라이브(zip drive),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카트리지, 기타 등등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다른 유형의 매체도 역시 예시적인 운영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 임의의 이러한 매체가 본 개시의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운영 체제(1130),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32), 기타 프로그램 모듈(1134) 및 프로그램 데이터(1136)를 비롯한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이 드라이브 및 RAM(1112)에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모듈 및/또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그 일부분이 또한 RAM(1112)에 캐싱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여러가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운영 체제 또는 운영 체제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유선/무선 입력 장치, 예를 들어, 키보드(2138) 및 마우스(1140) 등의 포인팅 장치를 통해 컴퓨터(1102)에 명령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도시 생략)로는 마이크, IR 리모콘, 조이스틱, 게임 패드, 스타일러스 펜, 터치 스크린, 기타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및 기타 입력 장치가 종종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장치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처리 장치(1104)에 연결되지만, 병렬 포트, IEEE 1394 직렬 포트, 게임 포트, USB 포트, IR 인터페이스, 기타 등등의 기타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모니터(1144)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역시 비디오 어댑터(1146)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모니터(1144)에 부가하여,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스피커, 프린터, 기타 등등의 기타 주변 출력 장치(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한 원격 컴퓨터(들)(1148) 등의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로의 논리적 연결을 사용하여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들)(1148)는 워크스테이션, 컴퓨팅 디바이스 컴퓨터, 라우터,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오락 기기, 피어 장치 또는 기타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컴퓨터(1102)에 대해 기술된 구성요소들 중 다수 또는 그 전부를 포함하지만, 간략함을 위해, 메모리 저장 장치(1150)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논리적 연결은 근거리 통신망(LAN)(1152) 및/또는 더 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원거리 통신망(WAN)(1154)에의 유선/무선 연결을 포함한다. 이러한 LAN 및 WAN 네트워킹 환경은 사무실 및 회사에서 일반적인 것이며, 인트라넷 등의 전사적 컴퓨터 네트워크(enterprise-wide computer network)를 용이하게 해주며, 이들 모두는 전세계 컴퓨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L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어댑터(1156)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1152)에 연결된다. 어댑터(1156)는 LAN(1152)에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으며, 이 LAN(1152)은 또한 무선 어댑터(1156)와 통신하기 위해 그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있다. W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모뎀(1158)을 포함할 수 있거나, WAN(1154) 상의 통신 컴퓨팅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또는 인터넷을 통하는 등, WAN(1154)을 통해 통신을 설정하는 기타 수단을 갖는다. 내장형 또는 외장형 및 유선 또는 무선 장치일 수 있는 모뎀(1158)은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컴퓨터(1102)에 대해 설명된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그의 일부분이 원격 메모리/저장 장치(1150)에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네트워크 연결이 예시적인 것이며 컴퓨터들 사이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기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컴퓨터(1102)는 무선 통신으로 배치되어 동작하는 임의의 무선 장치 또는 개체, 예를 들어, 프린터, 스캐너, 데스크톱 및/또는 휴대용 컴퓨터, PDA(portable data assistant), 통신 위성, 무선 검출가능 태그와 연관된 임의의 장비 또는 장소, 및 전화와 통신을 하는 동작을 한다. 이것은 적어도 Wi-Fi 및 블루투스 무선 기술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은 종래의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미리 정의된 구조이거나 단순하게 적어도 2개의 장치 사이의 애드혹 통신(ad hoc communication)일 수 있다.
Wi-Fi(Wireless Fidelity)는 유선 없이도 인터넷 등으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해준다. Wi-Fi는 이러한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가 실내에서 및 실외에서, 즉 기지국의 통화권 내의 아무 곳에서나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셀 전화와 같은 무선 기술이다. Wi-Fi 네트워크는 안전하고 신뢰성 있으며 고속인 무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IEEE 802.11(a,b,g, 기타)이라고 하는 무선 기술을 사용한다. 컴퓨터를 서로에, 인터넷에 및 유선 네트워크(IEEE 802.3 또는 이더넷을 사용함)에 연결시키기 위해 Wi-Fi가 사용될 수 있다. Wi-Fi 네트워크는 비인가 2.4 및 5 GHz 무선 대역에서, 예를 들어, 11Mbps(802.11a) 또는 54 Mbps(802.11b) 데이터 레이트로 동작하거나, 양 대역(듀얼 대역)을 포함하는 제품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 1 시스템
20: 제 2 시스템
30: 제 3 시스템
100: 제 1 포트부
110: 제 1 포트부 차단 블록
200: 제 2 포트부
210: 제 2 포트부 차단 블록
300: 제 3 포트부
310: 제 3 포트부 차단 블록
400: 로컬 스위치
1000: 구성요소 연계 모듈
1200: 우선순위 논리부
1210: 우선순위 논리 회로
1300: 버퍼 논리부
1310: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1320: 토크 제어 유닛
1330: 안티 펌핑 유닛
1340: 피드백 인터로크 유닛
1350: 출력 전원 차단 유닛
1360: 명령 래칭 유닛
1400: 출력 포트부
1500: 구성요소
1600: 입력 포트부

Claims (16)

  1. 공학적 안전설비 기기 제어를 위한 제 1 시스템 및 상기 안전설비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 보조 설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최종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 포트부;
    상기 입력 포트부에 입력된 신호들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조건에 따라 우선 순위의 제어신호를 결정하는 우선순위 논리부;
    상기 우선순위 논리부를 통해 우선 순위가 결정된 상기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제어된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수신된 피드백 신호에 따라 최종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버퍼 논리부; 및
    상기 버퍼 논리부의 상기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상기 최종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출력 포트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 논리부는,
    하나 이상의 논리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논리 유닛은,
    제어된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한 구성요소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 신호 및 토크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반된 피드백 신호로 전환하는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제어된 상기 구성요소의 제한 위치 및 제한 토크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를 차단하는 토크 제어 유닛;
    상기 구성요소 중 차단기의 개방과 차단이 반복되는 펌핑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래치(Latch)를 설정하는 안티 펌핑 유닛;
    상기 구성요소의 차단기 트립을 활성화시키거나 제어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피드백 인터로크 유닛;
    상기 구성요소의 제어 작업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구성요소의 제어신호 출력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는 출력 전원 차단 유닛; 및
    상기 구성요소가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구성요소의 상반된 제어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태를 유지하는 명령 래칭 유닛;
    을 포함하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제어신호는,
    상기 제 1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상기 제 2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
    를 포함하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조건은,
    상기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만 받는 경우의 우선순위 제 1 조건;
    상기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받는 경우, 닫힘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가 우선 순위로 결정되는 우선순위 제 2 조건;
    상기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받는 경우, 열림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가 우선 순위로 결정되는 우선순위 제 3 조건; 및
    상기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 및 제 2 구성요소 제어신호를 받는 경우, 제 1 구성요소 제어신호가 우선 순위로 결정되는 우선순위 제 4 조건;
    중 하나의 조건으로 구성되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부하차단기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토크 제어 유닛, 안티 펌핑 유닛 및 출력 전원 차단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토크 제어 유닛은,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역전 모터 시동기의 모터 작동 밸브를 완전 열림 혹은 닫힘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토크 제어 유닛, 출력 전원 차단 유닛 및 명령 래칭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토크 제어 유닛은,
    상기 모터 작동 밸브의 위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솔레노이드 및 댐퍼 코일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및 명령 래칭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은,
    제어된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한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반된 피드백 신호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비역전 모터 시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토크 제어 유닛 및 명령 래칭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은,
    제어된 상기 비역전 모터 시동기의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한 상기 구성요소의 토크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반된 피드백 신호로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토크 제어 유닛은,
    상기 구성요소의 토크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되도록 구성되고,
    구성요소 연계 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방화 댐퍼 코일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토크 제어 유닛 및 명령 래칭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토크 제어 유닛은,
    상기 구성요소의 토크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1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역전 모터 시동기의 모터 작동 밸브를 스로틀링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토크 제어 유닛 및 출력 전원 차단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토크 제어 유닛은,
    상기 모터 작동 밸브의 위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2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솔레노이드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및 명령 래칭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은,
    제어된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한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반된 피드백 신호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2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역전 모터 시동기의 모터 작동 밸브를 완전 열림 혹은 닫힘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토크 제어 유닛, 출력 전원 차단 유닛 및 명령 래칭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토크 제어 유닛은,
    상기 모터 작동 밸브의 위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3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역전 모터 시동기의 모터 작동 밸브를 완전 열림 혹은 닫힘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토크 제어 유닛, 출력 전원 차단 유닛 및 명령 래칭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토크 제어 유닛은,
    상기 모터 작동 밸브의 위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3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부하차단기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토크 제어 유닛, 안티 펌핑 유닛 및 출력 전원 차단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토크 제어 유닛은,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3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솔레노이드 및 댐퍼 코일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및 명령 래칭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은,
    제어된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한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반된 피드백 신호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논리부는,
    우선순위 제 4 조건에 의해 수신되는 역전 모터 시동기의 모터 작동 밸브를 스로틀링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 전도 유닛, 토크 제어 유닛 및 출력 전원 차단 유닛을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토크 제어 유닛은,
    상기 모터 작동 밸브의 위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열림 및 닫힘 제어신호가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구성요소 연계 모듈.
KR1020190088128A 2019-07-22 2019-07-22 구성요소 연계 모듈 KR102215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128A KR102215206B1 (ko) 2019-07-22 2019-07-22 구성요소 연계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128A KR102215206B1 (ko) 2019-07-22 2019-07-22 구성요소 연계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133A KR20210011133A (ko) 2021-02-01
KR102215206B1 true KR102215206B1 (ko) 2021-02-10

Family

ID=74560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128A KR102215206B1 (ko) 2019-07-22 2019-07-22 구성요소 연계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20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97050T3 (es) * 2001-09-24 2008-05-01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Modulo de interfaz para un componente controlado.
KR100926013B1 (ko) * 2007-08-31 2009-11-1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현장기기연계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133A (ko) 202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n Adaptive fault‐tolerant control for a class of output‐constrained nonlinear systems
Overman et al. High assurance smart grid: Smart grid control systems communications architecture
Eidietis et al. Implementing a finite-state off-normal and fault response system for disruption avoidance in tokamaks
US10054960B2 (en) Digital proportional wireless control
CN110704874B (zh) 一种基于数据溯源的隐私泄露防护方法
US20090077662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rusion protection in safety instrumented process control systems
US9424049B2 (en) Data protection for opaque data structures
US20170063877A1 (en) Hacking-resistant computer design
CN103117993A (zh) 用于提供过程控制系统的防火墙的方法、装置及制品
KR102215206B1 (ko) 구성요소 연계 모듈
Adiono et al. Intelligent and secured software application for IoT based smart home
CN105261092A (zh) 一种时效密码锁和实现方法
CN104347131A (zh) 核电站驱动指令执行方法和系统
Garcia et al. Covert channel communication through physical interdependencies in cyber-physical infrastructures
CN103955153A (zh) 一种运动控制系统及方法
CN103905535A (zh) 文件传输方法、装置及其终端
CN103235920A (zh) 一种可编程逻辑器件及其操作权限控制方法
CN108519891B (zh) 一种核电站设备结构优选装置及处理方法
US105856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isolating a system feature
EP3408716A1 (en) Smart auto reset for digital positioner connected to a local control panel or push button
US1011668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insulating a processor
CN112242990A (zh) 检测技术系统中的异常的系统和方法
US20240063939A1 (en) Communication isolator for cyber security and communication isolation method of the communication isolator
RU2695497C1 (ru) Программно-аппаратный комплекс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репликации данных (ПАКАРД)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US11412573B2 (en) Techniques for providing wireless access to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in an industri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