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712B1 -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 Google Patents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712B1
KR102214712B1 KR1020200103529A KR20200103529A KR102214712B1 KR 102214712 B1 KR102214712 B1 KR 102214712B1 KR 1020200103529 A KR1020200103529 A KR 1020200103529A KR 20200103529 A KR20200103529 A KR 20200103529A KR 102214712 B1 KR102214712 B1 KR 102214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unit
irradiation
body portio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대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텐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텐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텐핑
Priority to KR1020200103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71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7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46B17/065Sterilising brushes; products integral with the brush for sterilising, e.g. tablets, rinse,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device comprises: a main body portion forming a first space in which a part or all of a toothbrush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space in which a driving portion for sterilizing the toothbrush is provided; a side body portion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o be rotatable; a bottom portion forming a bottom surface at a lower part thereof and configured to have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ide body portion coupled at an upper part thereof; a tray portion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ide body portion, configured to accommodate moisture or residues falling off the toothbrush, and made of a porous material to perform a dehumidifying function; and the driving portion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when the toothbrush is mounted. The bottom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ble from the main body portion, or may be configured as a one piece, and the driving portion may be newly counted after resetting the previously counted time of UV irradiation and irradiation number when running in a driving mode.

Description

칫솔 살균 장치{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본 발명은 칫솔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칫솔을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칫솔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that enables a more hygienic management of the toothbrush while being portable.

의학계에서 발표한 자료를 인용하자면, 구강 내에는 약 28종의 20,000여 마리의 세균이나 박테리아가 있으며, 이들 세균은 사용한 칫솔모를 통하여 구강내로 옮겨져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Citing data published by the medical community, there are about 28 kinds of 20,000 bacteria or bacteria in the oral cavity, and these bacteria are known to cause various diseases by being transferred to the oral cavity through used bristles.

세균이나 박테리아 등의 유해성 미생물은 사용 후의 칫솔에 잔류된 수분 및 영양물질에 의해 번식하게 되며, 이러한 미생물에 의해 오염된 칫솔을 사용하게 되면 치주염과 같은 각종 구강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Harmful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and bacteria are multiplied by moisture and nutrients remaining in the toothbrush after use, and using a toothbrush contaminated by these microorganisms increases the risk of developing various oral diseases such as periodontitis.

특히, 건강한 사람보다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폐렴, 기관지염, 간염, 감기 등에 노출되기 쉬워 칫솔의 사용 후에는 세균이 번식하지 못하도록 청결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In particular, people with weaker immunity than healthy people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pneumonia, bronchitis, hepatitis, and colds, so after using a toothbrush, it is necessary to cleanly manage bacteria to prevent growth.

이러한 이유로 칫솔을 자연건조 시키는 것에서 벗어나 사용 후의 칫솔을 살균하도록 하는 장치들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For this reason, the development of devices to sterilize the toothbrush after use, rather than naturally drying the toothbrush, has been actively made.

그 중 칫솔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장치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장치들은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지 않거나, 휴대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그 구성에 의해 살균력이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Among them, devices that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 a toothbrush to sterilize are often used, and these devices are not easy to carry because they must be continuously supplied with power, or if the device is configured to be portable, the sterilization power may decrease due to the configuration. many.

또한, 기존의 제품들은 거치된 칫솔에 남아있던 수분과 잔여물이 떨어짐에 따라 이를 장치의 외부로 배출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만약, 이를 장치의 외부로 배출해주지 않으면 잔여물이 수분과 함께 고여 장치의 내부를 오염시킬 우려 또한 있다.In addition, existing products had the inconvenience of discharging the moisture and residues remaining on the installed toothbrush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If it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there is also a concern that the residue will collect with moisture and contaminate the interior of the device.

따라서,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칫솔을 보다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enables portable and more hygienic and efficient sterilization of toothbrush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간편한 구성으로 칫솔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칫솔 살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s to provide a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that enables easier management of the toothbrush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at enables portability.

또한, 본 발명은 규조토와 같은 다공성 재질로 구성된 트레이를 구비하여 칫솔모에 남아있던 수분과 잔여물을 수용하면서도 제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칫솔 살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that includes a tray made of a porous material such as diatomaceous earth to accommodate moisture and residues remaining on the bristles while performing a dehumidification function.

또한, 본 발명은 거치된 칫솔에 자외선을 일정 주기에 따라 조사하도록 하여 칫솔을 보다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칫솔 살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that allows the mounted toothbrush to be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at a certain period so that the toothbrush can be managed more hygienic and efficiently.

또한, 본 발명은 폐쇄형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어 오염물질이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칫솔 살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configured to have a closed structure so as to prevent contaminants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는, 내부에 칫솔의 일부 또는 전체가 수용되는 제1 공간 및 칫솔을 살균하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되는 제2 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바디부; 상기 메인 바디부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사이드 바디부; 하부에는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상기 메인 바디부 및 상기 사이드 바디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바텀부; 상기 사이드 바디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칫솔에서 탈락하는 수분 또는 잔여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되, 다공성 재질로 구성되어 제습 기능을 수행하는 트레이부; 및 칫솔 거치 시에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텀부는 상기 메인 바디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드로 동작할 시 이전에 카운트 된 자외선의 조사 시간 및 조사 횟수를 리셋(reset)한 후, 새로이 카운트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ain body part forming a first space in which a part or all of the toothbrush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space provided with a driving part for sterilizing the toothbrush; A side body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 bottom portion having a bottom surface formed at a lower portion and configured to couple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ide body portion at an upper portion; A tray portion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ide body portion and configured to receive moisture or residues removed from the toothbrush, and configured of a porous material to perform a dehumidification function; And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when the toothbrush is mounted, wherein the bottom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unit or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When operating in the driving mode, the driving unit may reset the irradiation time and the number of times of irradiation of the previously counted ultraviolet rays, and then perform a new count.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간편한 구성으로 칫솔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manage the toothbrush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at enables portabilit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규조토와 같은 다공성 재질로 구성된 트레이를 구비하여 칫솔모에 남아있던 수분과 잔여물을 수용하면서도 제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ay made of a porous material such as diatomaceous earth is provided to accommodate moisture and residues remaining on the bristles, while performing a dehumidification fun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거치된 칫솔에 자외선을 일정 주기에 따라 조사하도록 하여 칫솔을 보다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칫솔 살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provide a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that enables a more hygienic and efficient management of the toothbrush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mounted toothbrush at a certain perio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폐쇄형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어 오염물질이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gured to have a closed structure so as to prevent contaminants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에 거치되는 칫솔의 거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트레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트레이부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에서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toothbrush mounted on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tray of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tray portion of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ive unit in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echnical configuration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don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just become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한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일반적으로, 세균은 증식하기 좋은 환경에서는 한마리의 세균만 있어도 3~5시간 후에 백만마리로 번식을 하는 특성을 갖는다. 기존 칫솔 살균 장치들은 살균 이후에 무균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살균 이후 증식하는 세균에 대해서는 살균 능력이 없어 살균력이 떨어진다.In general, bacteria have the property of multiplying into one million after 3 to 5 hours even if there is only one bacteria in a good environment for proliferation. Since conventional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s do not have a sterile environment after sterilization, they do not have the ability to sterilize bacteria that proliferate after sterilization, so their sterilization power is poor.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살균력이 강한 칫솔 살균 장치에 대한 것으로, 사용 후의 칫솔에 잔류하는 수분과 유기물에 의해 세균이 증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기형성된 세균을 제거하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that is easy to carry and has a strong sterilizing power, and prevents the proliferation of bacteria by moisture and organic matter remaining in the toothbrush after use, as well as to remove deformed bacteria.

구체적으로, 칫솔을 거치할 시에 칫솔모 부분이 하부를 향하도록 구성하여 칫솔모에 남아있던 잔여물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자외선을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조사하도록 하여 세균 증식을 방지함으로써 칫솔을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칫솔이 거치된 상태에서 그 칫솔에 잔존하던 수분 및 이물질이 떨어져 수용될 수 있는 트레이를 다공성 재질로 구성하여 제습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다공성 재질은 규조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toothbrush is mounted, the brush head is configured to face the bottom so that the residue remaining on the bristles can be more easily discharged, and the toothbrush i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at a preset cycle to prevent bacterial growth. So that they can be managed more hygienic 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toothbrush is mounted, a tray in which moisture and foreign matter remaining on the toothbrush can be removed is made of a porous material, so that a dehumidifying effect can be achieved. In this case, the porous material may include diatomaceous earth.

이하에서는 도면을 기반으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에 거치되는 칫솔의 거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mounted on a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mounting form of the toothbrush.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100)는 메인 바디부(110), 사이드 바디부(130), 바텀부(150), 트레이부(170) 및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1, a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110, a side body portion 130, a bottom portion 150, a tray portion 170, and a driving portion (not shown). ).

메인 바디부(110)는 내부에 칫솔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공간 및 칫솔을 살균하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되는 제2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메인 바디부(110) 내에는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부재(190)와, 칫솔 살균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 기판(191)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body part 110 forms a first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toothbrush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space in which a driving part for sterilizing the toothbrush is provided. In this case, a separation member 190 for separating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nd a circuit board 191 for controlling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100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have.

사이드 바디부(130)는 메인 바디부(110)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 사이드 바디부(130)의 상단부 일부에는 칫솔대의 일부가 관통하는 관통부(131)가 형성되며, 그 내부의 벽면에는 칫솔대의 일부가 고정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부재(137)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칫솔은 칫솔모 부분(A)이 하부를 향하도록 거치되되, 칫솔모(10)가 제2 공간을 바라보도록 거치된다.The side body portion 13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so as to be rotatable. A penetrating portion 131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toothbrush holder penetrates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body portion 130, and a mounting member 137 that allows a portion of the toothbrush holder to be fixed and mounted on a wall surface thereof is provided. I can. At this time, the toothbrush is mounted so that the bristle portion (A) faces downward, and the bristles 10 are mounted so as to face the second space.

여기서, 관통부(131)의 내주연에는 밀폐 부재를 더 구비하여 칫솔 살균 장치(100)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칫솔 살균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오염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Here, a sealing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through portion 131 to block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10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nts from flowing into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100 from the outside.

한편, 사이드 바디부(130)의 하단에는 칫솔에서 떨어지는 수분 또는 잔여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트레이부(170)가 인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사이드 바디부(130)의 하단에는 트레이부(170)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트레이부(170)의 일 측면에 대응하는 일정 폭과 높이를 갖는 인입부(133)를 형성한다.Meanwhile, a tray 170 configured to receive moisture or residues falling from the toothbrush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body 130. In this case, a lead-in portion 133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tray portion 17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body portion 130 so that the tray portion 170 can be inserted therein.

그러나, 도 1은 칫솔 살균 장치(100)에서 사이드 바디부(130)의 하단에 트레이부(170)가 인입되어 결합되는 경우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이는 일 실시예 일 뿐, 사이드 바디부(130) 뿐만 아니라 메인 바디부(110)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그 배치 영역이 한정되지 않는다.However,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ray part 17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body part 130 in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100, which is only an embodiment, and the side body part 130 ) As well as the main body portion 110, and the arrangement area is not limited.

트레이부(170)는 칫솔의 칫솔모 부분(A)이 하부를 향하도록 거치된 상태에서 떨어지는 수분 또는 잔여물을 수용한다. 이 트레이부(170)는 사이드 바디부(130)의 인입부(133)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다. 이때, 트레이부(170)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서랍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tray part 170 accommodates moisture or residues falling off while the bristle portion A of the toothbrush is mounted downward. Since the tray part 17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inlet part 133 of the side body part 130, the user can separate and wash the tray part 170. In this case, the tray unit 17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drawer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or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late as shown in FIG. 2.

이 트레이부(170)가 사이드 바디부(130)에 인입되어 결합되면, 트레이부(170)의 일측면은 사이드 바디부(130)의 인입부(133)를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인입부(133) 즉, 사이드 바디부(130)의 개방된 부분을 트레이부(170)의 일측면으로 밀폐시켜주는 것이다.When the tray part 17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side body part 130, one side of the tray part 170 is configured to seal the inlet part 133 of the side body part 130. In other words, the inlet portion 133, that is, the open portion of the side body portion 130 is sealed to one side of the tray portion 170.

바텀부(150)는 하부에는 바닥면을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바닥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하는 미끄럼 방지부재 및/또는 쓰러짐 없이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The bottom portion 150 has a bottom surface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and at this time, a non-slip member for preventing slipping and/or a fixing member for fixing without falling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한편, 상부에는 메인 바디부(110) 및 사이드 바디부(13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이 바텀부(150)에는 분리부재(190) 및 트레이부(170)가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바닥부재(15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main body portion 110 and the side body portion 130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At this time, the bottom part 15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bottom member 151 that allows the separating member 190 and the tray part 170 to be more firmly coupled.

그리고,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메인 바디부(110)의 제2 공간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칫솔이 거치 시에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한다.Further,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through the drawings, the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second space of the main body unit 110 irradiates ultraviolet rays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when the toothbrush is mounted.

또한, 바텀부(15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바디부(110)와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지만, 메인 바디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구성에는 제한이 없다.In addition, the bottom part 150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part 110 as shown in FIG. 1, bu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part 110, and there is no limitation in its configur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내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메인 바디부(110)는 도시하지 않았다.4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110 is not shown in order to more clearly show the internal configura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100)의 내부는 분리부재(190)에 의해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이 분리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inside of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by a separating member 190.

한편, 사이드 바디부(130)에서 하단의 양측에는 대응하도록 돌기(135)를 형성한다. 이 돌기(135)는 메인 바디부(110)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사이드 바디부(130)가 메인 바디부(110)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Meanwhile, protrusions 135 are formed to correspond to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side body part 130. The protrusion 135 is inserted into a groove (not shown)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so that the side body portion 130 can be rotat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110.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사이드 바디부(130)를 회동시킨 후, 칫솔모 부분(A)이 칫솔 살균 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칫솔대의 일부를 거치부재(137)에 인입하고, 그 상태에서 사이드 바디부(130)를 메인 바디부(110) 쪽으로 다시 회동시킴에 따라 칫솔을 거치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after rotating the side body portion 130, the user inserts a portion of the toothbrush stand into the mounting member 137 so that the bristle portion (A) is located inside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100, and the state As the side body portion 130 is rotated toward the main body portion 110 again, the toothbrush can be mounted.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사이드 바디부(130)가 모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구동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side body 13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include a motor.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트레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트레이부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tray portion of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tray portion of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100)는 칫솔모 부분(A)이 하부를 향하도록 거치된 칫솔에서 떨어지는 수분 또는 잔여물을 받아내는(수용하는) 트레이부(170)가 인입 및 이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트레이부(190)의 일측면은 사이드 바디부(130)의 인입부(13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5,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y unit 170 for receiving (receiving) moisture or residues falling from the toothbrush mounted so that the bristle portion (A) faces downward. ) Is provided to be able to enter and depart. In this case, one side surface of the tray unit 19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133 of the side body unit 130.

이때, 트레이부(170)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칫솔에서 떨어지는 수분 또는 잔여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용공간은 일정 폭과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tray unit 170 may be configured in a plate shape as shown in FIGS. 5 and 6, o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moisture or residue falling from the toothbrush is accommodated, although not shown through the drawing. . In this case, the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o have a certain width and height.

한편, 트레이부(170)는 예를 들어, 규조토 30%, 질석 10% 미만, 펄라이트 10% 미만, 제오라이트 10% 미만, 기타 원료 20% 미만을 배합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tray part 17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in which 30% diatomaceous earth, less than 10% vermiculite, less than 10% perlite, less than 10% zeolite, and less than 20% other raw materials are mixed, for exampl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에서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ive unit in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구동부(200)는 스위치부(201), 조사부(203), 타이머부(205) 및 제어부(207)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driving unit 200 includes a switch unit 201, an irradiation unit 203, a timer unit 205, and a control unit 207.

스위치부(201)는 칫솔 살균 장치(100)의 외측에 구비되며, 이 스위치부(201)를 사용자가 누르거나 터치하여 동작모드에 대한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The switch unit 201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100, and the user presses or touches the switch unit 201 to input an instruction for the operation mode.

이때, 스위치부(201)는 구동모드 및 휴면모드를 지시하는 스위치를 각각 구비할 수도 있고, 하나의 스위치를 통해 구동모드 및 휴면모드를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위치를 한번 터치하여 구동모드로 동작하게 된 이후, 한번 더 스위치를 터치함에 따라 휴면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스위치를 누를 때마다 구동모드 및 휴면모드로 교번적으로 변경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온/오프 형태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스위치가 온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구동모드로 동작하고, 스위치가 오프로 설정된 경우에는 전원이 꺼짐에 따라 휴면모드로 진입하게 되는 것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witch unit 201 may be provided with a switch indicating a driving mode and a sleep mode, respectively, or may be configured to indicate a driving mode and a sleep mode through one switch. In the latter case, for example, after the user touches the switch once to operate in the driving mode, the user may touch the switch once more to operate in the dormant mode. That is, each time the switch is pressed, the driving mode and the sleep mode may be alternately changed. In addition, when the switch is set to be turned on, the switch may be provided in an on/off type, and when the switch is set to be turned off, the switch may be operated in a driving mode, and when the switch is set to be turned off, the power supply is turned off to enter the sleep mode.

조사부(203)는 자외선 램프를 통해 거치된 칫솔에 자외선을 조사한다.The irradiation unit 203 irradiates ultraviolet rays to the toothbrush mounted through the ultraviolet lamp.

타이머부(205)는 조사 시간 및 조사 횟수를 카운트한다.The timer unit 205 counts the irradiation time and the irradiation number.

제어부(207)는 스위치부(201)를 통해 동작 지시가 입력되면 구동모드 또는 휴면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도록 한다.When an operation instruction is input through the switch unit 201, the control unit 207 controls to operate in a driving mode or a dormant mode.

구체적으로, 제어부(207)는 구동모드에서는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휴면모드에서는 조사부(203) 및 타이머부(205)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07)는 스위치부(201)를 통한 동작 지시 입력에 따라 구동모드 또는 휴면모드로 동작한다.Specifically, in the driving mode, the controller 207 drives the timer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and in the dormant mode, controls the irradiation unit 203 and the timer unit 205 to stop driving. That is, the control unit 207 operates in a driving mode or a dormant mode according to an operation instruction input through the switch unit 201.

한편, 제어부(207)는 스위치부(201)를 통해 구동모드로의 동작 지시가 입력될 때 마다 조사 시간 및 조사 횟수를 리셋(reset)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조사 횟수를 새로이 카운트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07 controls to reset the irradiation time and the irradiation number each time an operation instruction to the driving mode is input through the switch unit 201, thereby newly counting the irradiation number.

이때, 조사 시간 및 최대 조사 횟수는 미리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구동모드에서 3시간 마다 1분 30초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부(207)는 그 설정값에 따라 조사부(203)가 3시간 마다 1분 30초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최대 조사 횟수가 24회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207)는 그 설정값에 따라 조사 횟수가 24회를 초과하면 구동모드를 종료하고 휴면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irradiation time and the maximum number of irradiation may be set in advance. For example, if it is set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for 1 minute and 30 seconds every 3 hours in the driving mode, the control unit 207 is ) Is controll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every 3 hours for 1 minute and 30 seconds.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ximum number of irradiations is set to 24, the control unit 207 terminates the driving mode and controls to operate in the dormant mode when the number of irradiations exceeds 24 according to the set value.

한편, 도 7은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일 뿐, 스위치부(201)를 통해 동작 지시를 입력 받지 않고도, 센서부를 구비하여 칫솔의 거치 또는 이탈을 자동으로 감지함으로써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FIG. 7 corresponds to an exemplary embodiment only, and without receiving an operation instruction through the switch unit 201, an operation mode may be determined by automatically detecting the mounting or detachment of the toothbrush with a sensor unit.

이렇게 자외선을 주기적으로 조사하는 것은 칫솔이 거치된 후에 일정 시간 동안 일회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 그 살균 후 남아있던 세균에 의해 세균이 증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칫솔이 거치된 후에 계속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 전원이 계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칫솔 살균 장치를 휴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미리 설정된 주기를 기반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하는 것이다.This periodic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is intended to prevent the proliferation of bacteria by the remaining bacteria after sterilization when the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on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toothbrush is mounted.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ultraviolet rays are continuously irradiated after the toothbrush is mounted, it is difficult to carry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because power must be continuously supplied, so that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based on a preset period.

한편,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원부에 대해 별도로 기재하거나 설명하지 않았을 뿐, 본 발명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는 전원부를 구비함으로써 충전하여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거치된 상태에서 전원을 연결하여 계속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unit is not separately described or described, and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charging by having a power unit, and by connecting the power source in a mounted state, It can also be powered.

또한, 도 1 내지 6에 도시된 칫솔 살균 장치(100)는 칫솔의 일부를 거치하도록 구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실시예에 해당할 뿐, 칫솔 전체가 완전히 수용되어 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이드 바디부(130)의 상단부 일부에는 칫솔대가 관통하는 부분인 관통부(131)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100 shown in FIGS. 1 to 6 shows a case configured to mount a part of a toothbrush, which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only,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ntire toothbrush is completely accommodated and mounted, In this case, a penetrating portion 131, which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toothbrush holder passes, may not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body portion 13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칫솔에 대한 위생적이도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easy portability and efficient hygienic management of the toothbrush.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isclosed,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se are merely used in a general meaning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I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삭제delete

삭제delete

Claims (11)

칫솔 살균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칫솔의 일부 또는 전체가 수용되는 제1 공간 및 칫솔을 살균하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되는 제2 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바디부;
상기 메인 바디부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사이드 바디부;
하부에는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상기 메인 바디부 및 상기 사이드 바디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바텀부;
상기 메인 바디부 및 상기 사이드 바디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칫솔에서 탈락하는 수분 또는 잔여물을 받아낼 수 있도록 판 형태 또는 서랍 형태로 구성되되, 별도로 배출구를 형성할 필요없이 규조토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공성 재질로 구성되어 제습 기능을 수행하는 트레이부; 및
칫솔 거치 시에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텀부는 상기 메인 바디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드로 동작할 시 이전에 카운트 된 자외선의 조사 시간 및 조사 횟수를 리셋(reset)한 후, 새로이 카운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장치.
In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A main body part defining a first space in which a part or all of the toothbrush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space provided with a driving part for sterilizing the toothbrush;
A side body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 bottom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and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ide body portion at an upper portion;
I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side body part and configured in a plate shape or a drawer shape to receive moisture or residues falling off from the toothbrush, but made of a porous material including diatomaceous earth without the need to separately form an outlet A tray configured to perform a dehumidifying function; And
It includes a driving unit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when the toothbrush is mounted,
The bottom part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part, or may be configured integrally;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unit resets the irradiation time and the number of times of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previously counted when operating in the driving mode, and then counts a new 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바디부는,
내부 벽면에 칫솔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부재가 형성되며,
칫솔 거치 시에 칫솔모 부분이 하부를 향하되, 칫솔모가 제2 공간을 바라보도록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 body portion,
A mounting member for mounting the toothbrush on the inner wall is formed,
A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oothbrush is mounted, the bristles face downward, and the bristles face the second space.
제2항에 있어서,
내부에 칫솔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구성된 경우,
상기 사이드 바디부는 상단부 일부에 칫솔대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부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n configured to accommodate part of the toothbrush inside,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body portion further forms a through portion through which the toothbrush holder can penetrate a portion of the upper en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내주연에 밀폐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through part,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comprising a sealing member in the inner peripher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는,
실리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sealing member,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licon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부는,
상기 바닥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하는 미끄럼 방지부재 및/또는 쓰러짐 없이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ottom part,
A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comprising a non-slip member to prevent slipping on the bottom surface and/or a fixing member to fix it without fall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동작 지시를 입력 받는 스위치부;
자외선 램프를 통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조사부;
자외선의 조사 시간 및 조사 횟수를 카운트하는 타이머부; 및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구동모드에 대한 동작 지시를 입력받으면 구동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휴면모드에 대한 동작 지시를 입력받으면 휴면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unit,
A switch unit having a switch and receiving an operation instruction;
An irradiation unit that irradiates ultraviolet rays through an ultraviolet lamp;
A timer unit that counts the irradiation time and the number of times of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in the driving mode when an operation instruction for the driving mode is input through the switch unit, 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in the sleep mode when an operation instruction for the sleep mode is in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칫솔의 거치 또는 이탈을 감지하는 센서부;
자외선 램프를 통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조사부;
자외선의 조사 시간 및 조사 횟수를 카운트하는 타이머부; 및
칫솔이 거치된 것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구동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칫솔이 이탈된 것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휴면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unit,
A sensor unit that detects mounting or detachment of the toothbrush;
An irradiation unit that irradiates ultraviolet rays through an ultraviolet lamp;
A timer unit that counts the irradiation time and the number of times of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And
A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trolling to operate in a driving mode when detecting that the toothbrush is mounted, and controlling to operate in a dormant mode when detecting that the toothbrush is detached.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구동모드에서는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휴면모드에서는 상기 조사부 및 상기 타이머부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and 8,
The control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by driving the timer in a driving mode, and controlling to stop driving the irradiation unit and the timer unit in a sleep mode.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최대 조사 횟수가 설정된 경우, 상기 타이머부에 의해 카운트된 조사 횟수가 설정된 최대 조사 횟수를 초과하면 휴면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and 8,
The control unit,
When the maximum number of irradiation times is set, the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is controlled to operate in a dormant mode when the number of irradiations counted by the timer unit exceeds the set maximum irradiation number.
삭제delete
KR1020200103529A 2020-08-18 2020-08-18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KR1022147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529A KR102214712B1 (en) 2020-08-18 2020-08-18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529A KR102214712B1 (en) 2020-08-18 2020-08-18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712B1 true KR102214712B1 (en) 2021-02-10

Family

ID=74560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529A KR102214712B1 (en) 2020-08-18 2020-08-18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71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568A (en) * 2021-07-09 2023-01-17 주식회사 브라스코퍼레이션 Apparatus for sterilizing toothbrush
KR102662374B1 (en) * 2023-07-05 2024-04-30 주식회사 브러쉬업 Method of operating a tooth brush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sterilization device and a user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336U (en) * 1994-03-24 1994-09-20 化成工業株式会社 Sterilizer for toothbrush
JP3195146U (en) * 2014-10-01 2015-01-08 有限会社城崎デザイン研究所 Water absorbent products
KR102146380B1 (en) * 2019-12-03 2020-08-20 주식회사 텐핑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336U (en) * 1994-03-24 1994-09-20 化成工業株式会社 Sterilizer for toothbrush
JP3195146U (en) * 2014-10-01 2015-01-08 有限会社城崎デザイン研究所 Water absorbent products
KR102146380B1 (en) * 2019-12-03 2020-08-20 주식회사 텐핑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568A (en) * 2021-07-09 2023-01-17 주식회사 브라스코퍼레이션 Apparatus for sterilizing toothbrush
KR102643668B1 (en) 2021-07-09 2024-03-05 주식회사 브라스코퍼레이션 Apparatus for sterilizing toothbrush
KR102662374B1 (en) * 2023-07-05 2024-04-30 주식회사 브러쉬업 Method of operating a tooth brush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sterilization device and a user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380B1 (en)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KR102214712B1 (en)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US5029252A (en) Apparatus for disinfection of lavatory or medical instruments
WO2007051276A1 (en) Uv sterilizing wand
KR20180136617A (en) A portable, drying, sterilizing equipment, and take over the control methods
KR20200144248A (en) Air purifying apparatus with sterilizing function
US20210345767A1 (en) Disinfecting toothbrush box
WO2022199119A1 (en) Base station
CN111772518A (en) Toothbrush disinfection self-cleaning aseptic cup
KR20090035091A (en) A portable multi-sterilizer with high brightness uv-led lamp, silver nanoparticle and photocatalyst
KR20170032011A (en) Sterilization device for mobile phone
CN103316368A (en) Portable toothbrush and dental tool sterilizer
KR20190020891A (en) House for Animal
KR20180133960A (en) Puff sanitizer of cosmetics kit using UV LED
CN110898249A (en) Disinfecting and deodorizing bag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18799B1 (en) Shoes deodorization device and charging system for shoes deodorization device
JPH07255827A (en) Footgear deodorizing-sterilizing box
KR102643668B1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toothbrush
KR20190080003A (en) Toothbrush sterilizer using microwave
KR102615175B1 (en) Control device for ondoor sterilization device
KR20150112079A (en) Cup disinfection Device
KR102066273B1 (en) Tissue sterilizer and method for sterilizing tissue using the same
KR20220132083A (en) Apparatus for removing ozone and Sauna Capsule including the same
KR20220118809A (en) IoT-applied shoe storage box
TWM530118U (en) Toothbrush disinf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