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661B1 - Sound systme using wireless erabuds and charging cradle - Google Patents

Sound systme using wireless erabuds and charging cra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661B1
KR102214661B1 KR1020190107916A KR20190107916A KR102214661B1 KR 102214661 B1 KR102214661 B1 KR 102214661B1 KR 1020190107916 A KR1020190107916 A KR 1020190107916A KR 20190107916 A KR20190107916 A KR 20190107916A KR 102214661 B1 KR102214661 B1 KR 102214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wireless
electrical contact
charging cradl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9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중학
임동욱
정창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190107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66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6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30Combinations of transducers with horns, e.g. with mechanical matching means, i.e. front-loaded ho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system using wireless ear buds and a charging cradle that discharge sound emitted from the wireless ear buds through a sounding space provided in a horn structure and formed in the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system using the wireless ear buds and the charging cradle includes: at least one wireless ear bud having a speaker; a case provided therein with an electrical contact part and a charging unit; and a charging cradl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and including a receiving space to receive the wireless ear bud as the wireless ear bud is inserted, and a discharge passage to make an opening, which is formed in another surface of the case,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space. The wireless ear bud adjusts a sound output of the speaker in an insertion mode, in which the wireless ear bud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space, to be higher than a sound output of the speaker in a discharge mode in which the wireless ear bud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space.

Description

무선 이어버드와 충전 크래들을 이용한 음향 시스템{SOUND SYSTME USING WIRELESS ERABUDS AND CHARGING CRADLE}Sound system using wireless earbuds and charging cradle {SOUND SYSTME USING WIRELESS ERABUDS AND CHARGING CRADLE}

본 발명은 음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이어버드에서 방출되는 음향을 충전 크래들에 형성되는 혼(HORN) 구조의 울림 공간을 통하여 방출하는 무선 이어버드와 충전 크래들을 이용한 음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system, and in particular, to a sound system using a wireless earbud and a charging cradle that emits sound emitted from a wireless earbud through a sounding space of a horn structure formed in a charging cradle.

휴대용 청취 디바이스는 휴대용 미디어 재생기, 스마트폰, 테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스테레오 시스템 및 다른 유형의 디바이스와 같은 광범위한 전자 디바이스에 이용될 수 있다. 종래의 휴대용 청취 디바이스들은 사용자의 귀 상부, 내부, 또는 근처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소형 스피커, 스피커를 위치에 유지시키는 구조적 컴포넌트들, 및 휴대용 청취 디바이스를 음원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했었다. 다른 휴대용 청취 디바이스는 케이블을 포함하지 않는 대신 무선 음원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Portable listening devices can be used in a wide variety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portable media players, smartphones, tablet computers, laptop computers, stereo systems, and other types of devices. Conventional portable listening devices have included one or more small speakers configured to be located above, inside, or near a user's ear, structural components that hold the speaker in position, and a cable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portable listening device to a sound source. Another portable listening device may be a wireless device that does not include a cable but instead wirelessly receives a stream of audio data from a wireless sound source.

무선 휴대용 청취 디바이스가 유선 디바이스들에 비해 많은 이점들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이들은 또한 일부 잠재적 결점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무선 휴대용 청취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회로 및 디바이스의 다른 컴포넌트들로 전력을 제공하는 재충전가능한 배터리와 같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전형적으로 요구한다. 단일 사용 배터리는 자신의 전하가 고갈되면 교환될 필요가 있는 반면, 재충전가능한 배터리는 주기적으로 재충전될 필요가 있다. 또한, 비교적 작은 이어버드로부터 고급 음향 성능을 달성한다는 것은 각각의 이어버드 내의 축소된 이용가능한 공간량으로 인해 제조자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Although wireless portable listening devices have many advantages over wired devices, they also have some potential drawbacks. For example, wireless portable listening devices typically require one or more batteries, such as rechargeable batteries, to provide power to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and other components of the device. Single-use batteries need to be replaced when their charge is depleted, while rechargeable batteries need to be recharged periodically. In addition, achieving advanced acoustic performance from relatively small earbuds can be burdensome to manufacturers due to the reduced amount of available space within each earbud.

본 발명은 무선 이어버드에서 방출되는 음향을 충전 크래들에 형성되는 토출 유로를 통하여 방출하는 무선 이어버드와 충전 크래들을 이용한 음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system using a wireless earbud and a charging cradle that emits sound emitted from the wireless earbud through a discharge passage formed in a charging cradle.

본 발명인 무선 이어버드와 충전 크래들을 이용한 음향 시스템은 스피커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이어버드와, 전기 접촉부와 충전부를 내장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무선 이어버드를 삽입 수용하는 수용 공간과, 케이스의 다른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와 수용 공간을 연통시키는 토출 유로를 구비하는 충전 크래들로 구성되며, 무선 이어버드는 음향 전기 신호에 대한 증폭 및 감쇄 처리를 수행하는 증폭부와, 증폭부에 의해 처리되는 음향 전기 신호를 음 방출시키는 스피커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음향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부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수용 공간으로부터 분리된 경우의 분리 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수신된 음향 전기 신호를 증폭부에 인가하고, 증폭부는 저출력 음향 방출을 위한 이득 데이터에 따라 인가된 음향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에 인가하고, 수용 공간에 무선 이어버드가 삽입된 경우, 제어부는 삽입 제어 모드 신호와 수신된 음향 전기 신호를 증폭부에 인가하고, 증폭부는 인가된 음향 전기 신호를 고출력 음향 방출을 위한 이득 데이터에 따라 처리하여 스피커에 인가하여, 수용 공간에 삽입된 경우의 삽입 모드에서의 스피커의 음향 출력을 스피커의 음향 출력보다 크도록 음향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음 방출시킨다.A sound system using a wireless earbud and a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wireless earbud having a speaker, a case having an electrical contact part and a charging part, and a cas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receiving the wireless earbud inserted therein. It is composed of a charging cradle having a space, an opening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and a discharge passage communicating the receiving space, and the wireless earbuds have an amplification unit that amplifies and attenuates the acoustic electrical signal, and an amplification unit. In the case of a separation mode when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space, the controller includes a speaker that emits sound and an acoustic electrical signal processed by the electronic device and applies the acoustic electrical signal to the amplification unit. When the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the amplification unit, the amplification unit processes the applied acoustic electric signal according to the gain data for low-power sound emission and applies it to the speaker, and when the wireless earbuds are inser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nsertion control mode signal And the received acoustic and electrical signals are applied to the amplifying unit, and the amplifying unit processes the applied acoustic electrical signals according to the gain data for high-power sound emission and applies them to the speaker. Acoustic electrical signals are processed so that the sound output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peaker, and sound is emitted through the speaker.

또한, 무선 이어버드는 삽입 모드의 확인을 위한 제 1 단자와, 충전 크래들로부터의 제 1 공급 전압 인가를 위한 제 2 단자와, 접지 단자를 포함하는 제 1 전기 접촉부를 구비하고, 충전 크래들의 전기 접촉부는 삽입 모드의 확인을 위한 제 1 단자와, 충전부로부터의 제 1 공급 전압의 인가를 위한 제 2 단자와, 접지 단자를 포함하는 제 1 전기 접촉부를 구비하며, 무선 이어버드가 수용 공간에 삽입된 경우 무선 이어버드의 제 1 전기 접촉부와 충전 크래들의 제 1 전기 접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ireless earbuds have a first terminal for confirming the insertion mode, a second terminal for applying a first supply voltage from the charging cradle, and a first electrical contact including a ground terminal, and the charging cradle is electrically The contact part includes a first terminal for confirming the insertion mode, a second terminal for application of a first supply voltage from the charging part, and a first electrical contact including a ground terminal, and a wireless earbud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If so,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of the wireless earbud and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of the charging cradle are electrically connected.

또한, 충전 크래들의 전기 접촉부는 제 1 전기 접촉부와 독립되어 충전부로부터의 제 2 공급 전압의 인가를 위한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 접촉부를 구비하고, 충전 크래들은 무선 이어버드가 삽입 모드로 동작할 때, 제 1 전기 접촉부 및 충전 접촉부를 통하여 충전부로부터의 제 1 및 제 2 공급 전압을 인가하고, 무선 이어버드는 충전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삽입 모드 동작 시에 제 2 공급 전압을 인가 받는 제 2 전기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lectrical contact portion of the charging cradle is independent from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portion and includes a charging contact portion including a terminal for applying a second supply voltage from the charging portion, and the charging cradle is operated in the insertion mode when the wireless earbuds are operated, A second electrical contact unit that applies first and second supply voltages from the charging unit through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unit and the charging contact unit, and the wireless earbud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contact unit and receive a second supply voltage when the insertion mode is operated. It is preferable to have.

또한, 토출 유로는 수용 공간과 접하는 부분부터 개구에 가까이 갈수록 그 수직 단면의 직경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increases as it approaches the opening from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본 발명은 무선 이어버드에서 방출되는 음향을 충전 크래들에 형성되는 토출 구조를 통하여 방출하여, 충전 크래들을 통하여 저주파수 대역이 보강된 음 방출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mitting sound emitted from a wireless earbud through a discharge structure formed in a charging cradle, so that sound emission with a reinforced low frequency band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charging crad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이어버드와 충전 크래들을 이용한 음향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향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 system using a wireless earbud and a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ound system of FIG. 1.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and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elements.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have", "may have", "include", or "may contain" are the presence of corresponding features (eg, elements such as numbers, functions, actions, or parts).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additional features.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at least one of A or/and B", or "one or more of A or/and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items listed together. . For example,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or “at least one of A or B” includes (1) at least one A, (2) at least one B, Or (3) it may refer to all cases including both at least one A and at least one B.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used in this document can modify various elements regardless of their order and/or importance, and It is used to distinguish it from the component, but does not limit the component. For example, a first user device and a second user device may represent different user device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named to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Some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or " When referred to as "connected t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ertain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r may be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the component and the It may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exists between the different components.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The expression "configured to" used in this document is, for example, "suitable for", "having the capacity to"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 "designed to", "adapted to", "made to", or "capable of". The term "configured to (or set) to" may not necessarily mean only "specifically designed to" in hardware. Instead, in some situations, the expression "a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can" along with other devices or parts. For example, the phrase “a processor configured (or configured) to perform A, B, and C” means a dedicated processor (eg, an embedded processor)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r executing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in a memory device. By doing so, it may mean a generic-purpose processor (eg, a CPU or an application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corresponding operations.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is documen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erms defined in a general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document, they may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is not interpreted.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버드와 충전 크래들을 이용한 음향 시스템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coustic system using an earbud and a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음향 시스템은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 테블릿 등)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음향 재생 기능과 전화 통화 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이어버드(10, 20) 및 무선 이어버드(10, 20) 각각에 대한 충전과, 무선 이어버드(10, 20)에서 방출되는 음향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 유로를 제공하는 충전 크래들(30)로 구성된다. The sound system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smartphone, a tablet, etc.), and at least one or more wireless earbuds 10 and 20 performing at least one of a sound reproduction function and a phone call function, and a wireless device. It consists of a charging cradle 30 that charges each of the earbuds 10 and 20 and provides at least one discharge passage for sound emitted from the wireless earbuds 10 and 20.

무선 이어버드(10, 20)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13), (23) 각각을 구비하여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전기 신호나 충전 크래들(30)로부터 인가되는 음향 전기 신호를 음 방출하며, 보다 상세한 구성은 도 2에서 기재된다. Each of the wireless earbuds 10 and 20 includes at least one speaker 13 and 23, respectively, to sound an acoustic electrical signal received from an electronic device or an acoustic electrical signal applied from the charging cradle 30, 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is described in FIG. 2.

충전 크래들(30)은 무선 이어버드(10, 20)와의 전기 접촉부와, 무선 이어버드(10, 20)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부를 내장하는 케이스(30a)와, 케이스(30a)의 일측면(예를 들면, 상측면)에는 무선 이어버드(10, 20) 각각을 수용하는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32, 34)과, 케이스(30a)의 다른 일측면(예를 들면, 전방측면)에 각각 제 1 및 제 2 개구(36a, 38a)와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32, 34)을 연통시키는 제 1 및 제 2 토출 유로(36, 38)를 구비한다. The charging cradle 30 includes a case 30a having an electrical contact part with the wireless earbuds 10 and 20, a charging part for charging the wireless earbuds 10 and 20, and one side of the case 30a. (For example, the upper side) has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spaces 32 and 34 accommodating each of the wireless earbuds 10 and 20, and the other side of the case 30a (eg, the front side )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ssages 36 and 38 for communicating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36a and 38a and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spaces 32 and 34, respectively.

전기 접촉부와 충전부는 도 2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The electrical contact and the charging part are described in detail in FIG. 2.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32, 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공간일 수도 있으며 하나의 수용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32, 24) 각각 내로 적어도 무선 이어버드(10, 20) 각각의 스피커(13, 23)의 음 방출 위치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스피커(13, 23) 각각의 음 방출 방향이나 위치는 제 1 수용 공간(32)과 제 1 토출 유로(36)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 및 제 2 수용 공간(34)과 제 2 토출 유로(38)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 각각을 향하거나 그 부분에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spaces 32 and 34 may be separate spaces or may be formed as one accommodation space.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spaces 32 and 24 are configured so that at least the sound emission positions of the speakers 13 and 23 of each of the wireless earbuds 10 and 20 can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speakers 13 and 23 respectively. The sound emission direction or location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32 and the first discharge passage 3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34 and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3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desirable to face or be adjacent to that part.

제 1 및 제 2 토출 유로(36, 38) 각각은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32, 34) 각각과 접하는 부분부터 제 1 및 제 2 개구(36a, 38a) 각각에 가까이 갈수록 그 수직 단면의 직경이 커지도록 구현되며, 예를 들면 혼 형상을 지닌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ssages 36 and 38 has its vertical cross section as it approache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36a and 38a from a portion in contact wit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spaces 32 and 34. It is implemented to increase the diameter, for example, has a horn shape.

무선 이어버드(10, 20) 각각의 스피커(13, 23)에서 방출된 음향은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32, 34)을 걸쳐 제 1 및 제 2 토출 유로(36, 38)를 통해 외부로 각각으로 음 방출됨으로써, 혼 구조를 통하여 토출되어 저대역 영역에서의 음압 확대가 가능하며, 음향 변환 효율이 높다.The sound emitted from the speakers 13 and 23 of each of the wireless earbuds 10 and 20 is externally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ssages 36 and 38 across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spaces 32 and 34. By emitting sound to each furnace,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horn structure, so that sound pressure in the low-band region can be expanded, and the sound conversion efficiency is high.

도 2는 도 1의 음향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2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ound system of FIG. 1.

무선 이어버드(10)는 전원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을 제어부(19) 및 부스트 IC(12)에 공급하는 배터리(11)와, 배터리(11)로부터의 전원을 승압하여 증폭부(15)에 인가하는 부스트 IC(Boost IC)(12)와, 음향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음 방출하는 스피커(13)와, 외부 장치(예를 들면, 충전 크래들(30), 전자 기기 등)와의 유선 통신을 수행하여 수신된 신호를 증폭부(15)나 제어부(19)에 인가하는 AUX부(14)와, 제어부(19)로부터의 음향 전기 신호나 AUX부(14)로부터의 음향 전기 신호에 대한 증폭 및 감쇄 처리를 수행하는 증폭부(15)와, 충전 크래들(30)의 제 1 전기 접촉부(51)와 연결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제 1 전기 접촉부(16)와, 삽입 모드 시의 충전을 위한 제 2 전기 접촉부(17)와, 전자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음향 전기 신호를 증폭부(15)에 인가하는 제어부(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마이크(미도시), 배터리(11), 부스트 IC(12), 스피커(13), AUX부(14)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The wireless earbuds 10 charge the power and supply the charged power to the control unit 19 and the boost IC 12, the battery 11, and boost the power from the battery 11 to the amplifying unit 15. Wired communication between an applied Boost IC 12, a speaker 13 that emits sound by receiving an acoustic electrical signal, and an external device (eg, charging cradle 30, electronic device, etc.) The AUX unit 14 that applies the received signal to the amplification unit 15 or the control unit 19, and amplification and attenuation of the acoustic electric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9 or the acoustic electric signal from the AUX unit 14 The amplification unit 15 performing processing, a first electrical contact unit 16 connected or separated from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unit 51 of the charging cradle 30, and a second electrical contact unit 16 for charging in the insertion mode It comprises an electrical contact part 17 and a control part 19 which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and applies the acoustic electric signal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amplification part 15. However, the microphone (not shown), the battery 11, the boost IC 12, the speaker 13, the AUX unit 14, etc. are merely technologies that are naturally recogniz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증폭부(15)는 무선 이어버드(10)가 제 1 수용 공간(32)으로부터 분리된 경우(전자 디바이스와 무선 이어버드(10)만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에 수행하는 분리 모드와, 무선 이어버드(10)가 제 1 수용 공간(32)에 삽입된 경우(전자 디바이스와 무선 이어버드(10) 간의 전기적 연결과, 무선 이어버드(10)와 충전 크래들(30) 간의 음향 표출을 위한 전기적 연결이 수행된 경우)에 수행하는 삽입 모드 중의 어느 하나를 수행하며, 다만 제어부(19)가 충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에 제어부(19)의 제어에 의해 증폭부(15)는 삽입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The amplification unit 15 is a separation mode performed when the wireless earbud 1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32 (when only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wireless earbud 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a wireless earbud When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32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wireless earbud 10,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for sound expression between the wireless earbud 10 and the charging cradle 30) If performed), the amplification unit 15 performs the insertion mode selectivel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 when the controller 19 performs the charging mode. May be.

분리 모드는 보통의 무선 이어버드(10)의 기능으로 예를 들면, 저출력(0.4W)으로의 음향 방출을 위한 이득 데이터에 따라 제어부(19)로부터 인가되는 음향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13)를 통하여 수행되도록 하는 모드로, 사용자가 청각 기관에 삽입하거나 착용하여 사용하는 경우이다. Separation mode is a function of an ordinary wireless earbud 10, for example, by processing an acoustic electrica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19 according to gain data for sound emission at low power (0.4W), and the speaker 13 This mode is to be performed through the user's hearing device.

삽입 모드는 충전 크래들(30)의 제 1 토출 유로(36)를 통한 음 방출이 되도록, 고출력(3W)으로의 음향 방출을 위한 이득 데이터에 따라 제어부(19)로부터 인가되는 음향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13)를 통하여 수행되도록 하는 모드이다. In the insertion mode, the acoustic electrica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19 is processed according to the gain data for sound emission to a high output (3W) so that sound is emitt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ssage 36 of the charging cradle 30. This mode is performed through the speaker 13.

제 1 전기 접촉부(16) 및 제 2 전기 접촉부(17) 각각은 예를 들면 POGO 핀 등으로 구현되어 무선 이어버드(10)를 제 1 수용 공간(32) 내로 삽입시킨 때, 제 1 수용 공간(32) 내에 장착된 제 1 전기 접촉부(51) 및 충전 접촉부(54) 각각과 전기적 및 물리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이다. 제 1 전기 접촉부(16)는 제 1 공급 전압(V_1) 단자, 제 1 삽입 신호(I_1) 단자 및 제 1 접지(G_1) 단자로 구성되며, 제 2 전기 접촉부(17)는 제 3 공급 전압(V_3)을 인가 받아 배터리(11)에 연결되는 충전 전압 단자로 구성된다.Each of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portion 16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tact portion 17 is implemented with, for example, a POGO pin, and when the wireless earbuds 1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32,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 32) is a structure that makes electrical and physical contact with each of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portion 51 and the charging contact portion 54 mounted in the inside.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16 is composed of a first supply voltage (V_1) terminal, a first insertion signal (I_1) terminal, and a first ground (G_1)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tact 17 is a third supply voltage ( It consists of a charging voltage terminal connected to the battery 11 by receiving V_3).

제어부(19)는 안테나(ANT)에 연결되어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통신 기능과, 증폭부(15)로의 음향 전기 신호의 인가 및 제어를 수행하는 음향 제어 기능과, 충전 크래들(30)과의 유선 통신 및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제 2 통신 기능 등을 수행하는 시스템 온 칩(SOC) 형태로 구현된다. 제 1 통신 기능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해당되어, 그 설명이 생략된다. The controller 19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function connected to an antenna ANT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an acoustic control function for applying and controlling an acoustic electric signal to the amplifying unit 15, and a charging cradle ( I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a chip (SOC) that performs wired communication with 30) and a second communication function that performs a charging operation. The first communication function corresponds to a technology that is naturally recognized by ordinary technicians familiar with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a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음향 제어 기능은 무선 이어버드(10)와 충전 크래들(30) 간의 분리 및 삽입에 대한 제 1 삽입 신호(I_1)에 따라서, 증폭부(15)를 분리 모드 또는 삽입 모드 또는 충전 모드로 제어하되, 제 1 통신 기능에 따른 음향 전기 신호와, 모드 제어 신호(분리 모드 신호, 삽입 모드 신호, 충전 모드 신호 중의 어느 하나의 모드 제어 신호)를 증폭부(15)에 인가하여 제어한다.The sound control function controls the amplification unit 15 in a separation mode, an insertion mode, or a charging mode according to the first insertion signal I_1 for separation and insertion between the wireless earbud 10 and the charging cradle 30, An acoustic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mode control signal (a mode control signal of any one of a separation mode signal, an insertion mode signal, and a charging mode signal) are applied to the amplifying unit 15 for control.

제 2 통신 기능은 제어부(19)와 제어부(59) 간의 통신에 의해 무선 이어버드(10)가 충전 크래들(30)에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삽입 판단의 경우, 제어부(19) 및/또는 제어부(59)가 제 1 전기 접촉부(16)와 제 1 전기 접촉부(51) 간의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 연결에 의해 확인하는 과정(제 1 삽입 신호(I_1)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어부(19)는 제어부(59)로부터의 제 1 삽입 신호(I_1)에 의해 삽입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제 1 삽입 신호(I_1)가 0V인 경우에는 분리 상태(또는 분리 모드)이고, 제 1 삽입 신호(I_1)가 5V인 경우에는 삽입 상태(또는 삽입 모드)이다. The second communication function determines whether the wireless earbuds 10 are inserted into the charging cradle 30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19 and the control unit 59. In the case of such insertion determination, the process of confirming by the control unit 19 and/or the control unit 59 by electrical and/or phys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unit 16 and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unit 51 (the first insertion signal (I_1)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The control unit 19 determines whether to be inserted based on the first insertion signal I_1 from the control unit 59. For example, when the first insertion signal I_1 is 0V, the separation state (or separation mode), and when the first insertion signal I_1 is 5V, the insertion state (or insertion mode).

또한, 제 2 통신 기능은 충전 크래들(30)로부터의 제 1 공급 전압(V_1)을 제 1 전기 접촉부(16)를 통하여 제어부(19)가 인가 받아 배터리(11)를 충전하는 내부 충전 모드를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function performs an internal charging mode in which the control unit 19 receives the first supply voltage V_1 from the charging cradle 30 through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unit 16 and charges the battery 11. do.

제어부(19)를 통하지 않거나 제어부(19)의 제어 없이 충전 크래들(30)로부터 제 3 공급 전압(V_3)이 제 2 전기 접촉부(17)를 통하여 배터리(11)에 직접적으로 인가되는 삽입 모드 시의 충전 동작이 수행된다. In the insertion mode in which the third supply voltage V_3 is directly applied to the battery 11 through the second electrical contact 17 through the charging cradle 3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ntrol unit 19 or without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9 The charging operation is performed.

무선 이어버드(20)는 무선 이어버드(10)와 동일한 구성이며, 무선 이어버드(10)와 무선 이어버드(20)는 마스터-슬레이브 디바이스 관계일 수 있다. 무선 이어버드(20)의 배터리(21), 부스트 IC(22), 스피커(23), AUX부(24), 증폭부(25), 제 1 전기 접촉부(26), 제 2 전기 접촉부(27) 및 제어부(29) 각각은 무선 이어버드(10)의 배터리(11), 부스트 IC(12), 스피커(13), AUX부(14), 증폭부(15), 제 1 전기 접촉부(16), 제 2 전기 접촉부(17) 및 제어부(19) 각각에 대응하며, 제 2 공급 전압(V_2)는 제 1 공급 전압(V_1)에, 제 2 삽입 신호(I_2)는 제 1 삽입 신호(I_1)에, 제 2 접지(G_2)는 제 1 접지(G_1)에 대응하고, 제 4 공급 전압(V-4)는 제 3 공급 전압(V_3)에 대응한다.The wireless earbud 2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wireless earbud 10, and the wireless earbud 10 and the wireless earbud 20 may have a master-slave device relationship. The battery 21 of the wireless earbud 20, the boost IC 22, the speaker 23, the AUX part 24, the amplifying part 25,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26, the second electrical contact 27 And each of the control unit 29 is a battery 11 of the wireless earbud 10, a boost IC 12, a speaker 13, an AUX unit 14, an amplifying unit 15, a first electrical contact unit 16,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cond electrical contact unit 17 and the control unit 19, the second supply voltage V_2 is the first supply voltage V_1, the second insertion signal I_2 is the first insertion signal I_1 , The second ground G_2 corresponds to the first ground G_1, and the fourth supply voltage V-4 corresponds to the third supply voltage V_3.

충전 크래들(30)은 무선 이어버드(10, 20)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부와 무선 이어버드(10, 20)와의 전기 접촉부를 구비한다. The charging cradle 30 includes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wireless earbuds 10 and 20 and an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wireless earbuds 10 and 20.

충전부는 외부 USB 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 받는 USB부(41)와, USB부(41)에 연결되어 과전압 보호(Overvoltage protection) 기능을 수행하여 USB부(41)로부터의 전원을 충전 IC부(43) 및 제 1 로드 스위치(46)에 인가하는 OVP부(42)와, OVP부(42)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배터리(44)를 충전시키고, OVP부(42)로부터의 전원 인가를 제어부(59)에 알리는 충전 IC(43)와, 충전 IC(43)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충전되고 부스트 IC(45) 및 제 2 로드 스위치(47) 및 제어부(59)로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4)와, 배터리(44)로부터의 전원을 승압시켜 제 1 로드 스위치(46)에 인가하는 부스트 IC(45)와, 제어부(59)의 제어에 의해 온 및 오프되어 부스트 IC(45)로부터의 승압된 전원을 제 1 전기 접촉부(51)에 공급 및 공급 차단하는 제 1 로드 스위치(46)와, 제어부(59)의 제어에 의해 온 및 오프되어 배터리(44)로부터의 전원을 충전 접촉부(54)에 공급 및 공급 차단하는 제 2 로드 스위치(47)와, 사용자로부터 충전 모드의 수행에 대한 선택 입력을 획득하여 제어부(59)에 인가하는 충전 스위치(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USB부(41)과, OVP부(42), 충전 IC부(43), 배터리(44), 부스트 IC(45), 제 1 및 제 2 로드 스위치부(46, 47)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설명이 생략된다.The charging uni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USB terminal to supply power to the USB unit 41 and the USB unit 41 to perform an overvoltage protection function to supply power from the USB unit 41 to the charging IC unit ( 43) and the OVP unit 42 applied to the first load switch 46, the OVP unit 42 receives power to charge the battery 44, and controls the application of power from the OVP unit 42 ( 59) and a battery that is charged by power from the charger IC 43 and supplies the power charged to the boost IC 45 and the second load switch 47 and the control unit 59 ( 44), a boost IC 45 that boosts the power from the battery 44 and applies it to the first load switch 46, and is turned on and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9, from the boost IC 45. A first load switch 46 that supplies and cuts off the supply of the boosted power to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51, and is turned on and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9 to supply power from the battery 44 to the charging contact 54 ), and a second load switch 47 that supplies and cuts off the supply to and a charging switch 48 that obtains a selection input for performing the charging mode from a user and applies it to the control unit 59. However, the USB unit 41, the OVP unit 42, the charger IC unit 43, the battery 44, the boost IC 45, the first and second load switch units 46, 47, etc. It is merely a technique that is clearly recogniz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it belongs, and its description is omitted.

충전 스위치(48)는 예를 들면, 텍트 스위치 등으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충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충전 선택 입력을 제어부(59)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charging switch 48 is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Tect switch, and allows the user to directly select a charging mode, and allows the controller 59 to check the charging selection input.

전기 접촉부는 무선 이어버드(10)의 제 1 전기 접촉부(16)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기 접촉부(51)와, 무선 이어버드(20)의 제 1 전기 접촉부(26)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기 접촉부(52)와, 외부 장치 및 AUX부(14), (24) 각각과의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AUX부(53), 제 1 및 제 2 전기 접촉부(51), (52)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제 2 전기 접촉부(17)와 제 2 전기 접촉부(27) 각각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접촉부(54)로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전기 접촉부(51), (52)는 예를 들면 POGO 핀 등으로 구현되어 물리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이다. 제 1 전기 접촉부(51)는 제 1 공급 전압(V_1) 단자, 제 1 삽입 신호(I_1) 단자 및 제 1 접지(G_1) 단자로 구성되며, 제 2 전기 접촉부(52)는 제 2 공급 전압(V_2) 단자, 제 2 삽입 신호(I_2) 단자 및 제 2 접지(G_2) 단자로 구성된다. 충전 접촉부(54)는 예를 들면 POGO 핀 등으로 구현되어 물리적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3 공급 전압(V_3) 단자와 제 4 공급 전압(V_4) 단자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전기 접촉부(51), (52) 및 충전 접촉부(54) 각각은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32, 34) 내부에 각각 형성되어야 하며, 제 1 및 제 2 전기 접촉부(16, 17) 및 (26, 27) 각각은 무선 이어버드(10, 20) 각각이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32, 34) 각각에 삽입된 때, 제 1 및 제 2 전기 접촉부(51), (52) 및 충전 접촉부(54) 각각에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 접촉을 위해 무선 이어버드(10, 20)의 케이스에 장착된다.The electrical contacts are electr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ical contacts 51 that are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ical contacts 16 of the wireless earbuds 10, and the first electrical contacts 26 of the wireless earbuds 20. A second electrical contact unit 52 that is physically connected, an AUX unit 53 for performing wired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external devices and the AUX units 14 and 24,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contact units 51, It is composed of a charging contact 54 that is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second electrical contact 17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tact 27 independently of 52.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contacts 51 and 52 are implemented with, for example, POGO pins, so that physical contact is made.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51 is composed of a first supply voltage (V_1) terminal, a first insertion signal (I_1) terminal, and a first ground (G_1)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tact 52 is a second supply voltage ( It is composed of a V_2) terminal, a second insertion signal (I_2) terminal, and a second ground (G_2) terminal. The charging contact portion 54 may be implemented with, for example, a POGO pin to make physical contact, and includes a third supply voltage (V_3) terminal and a fourth supply voltage (V_4) terminal.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contacts 51 and 52 and the charging contact 54 must be form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spaces 32 and 34,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contacts 16 , 17) and (26, 27), respectively, when each of the wireless earbuds 10 and 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spaces 32 and 34,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contacts 51, 52 and charging contacts 54 are mounted on the case of the wireless earbuds 10 and 20 for electrical and/or physical contact, respectively.

제어부(59)는 충전 스위치(48)의 입력에 따라 충전 모드(내부 충전 모드 또는 외부 충전 모드) 및 무선 이어버드(10), (20)에서의 삽입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로 구현된다.The controller 59 is a microcontroller unit that selectively performs a charging mode (internal charging mode or external charging mode) and an insertion mode in the wireless earbuds 10 and 20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charging switch 48 ( MCU).

먼저, 충전 모드의 경우, 제어부(59)는 충전 스위치(48)로부터의 충전 선택 입력을 획득하면, USB부(41)로부터의 전원 인가를 충전 IC(43)로부터의 알림에 의해 확인한다. 만약 USB부(41)로부터의 전원 인가가 되고 있으면, 제어부(59)는 USB부(41)로부터의 전원을 무선 이어버드(10), (20)에 인가되도록 하는 외부 충전 모드를 수행하고, 만약 USB부(41)로부터의 전원 인가가 되고 있지 않으면, 제어부(59)는 배터리(44)로부터의 전원을 무선 이어버드(10), (20)에 인가되도록 하는 내부 충전 모드를 수행한다. First, in the case of the charging mode, when the control unit 59 obtains a charging selection input from the charging switch 48, the power supply from the USB unit 41 is confirmed by a notification from the charging IC 43. If power is being applied from the USB unit 41, the control unit 59 performs an external charging mode in which power from the USB unit 41 is applied to the wireless earbuds 10 and 20, and if When power is not applied from the USB unit 41, the control unit 59 performs an internal charging mode in which power from the battery 44 is applied to the wireless earbuds 10 and 20.

외부 충전 모드의 수행을 위해, 제어부(59)는 부스트 IC(45)를 동작 중단시키고 제 1 로드 스위치(46)를 온 동작 시키고, 제 2 로드 스위치(47)를 오프 동작시킴으로써, OVP부(42)로부터의 전원이 제 1 및 제 2 전기 접촉부(51), (52) 각각의 제 1 및 제 2 공급 전압(V_1), (V_2) 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도록 한다. To perform the external charging mode, the control unit 59 stops the operation of the boost IC 45, turns the first load switch 46 on, and turns the second load switch 47 off, so that the OVP unit 42 Power from) is appli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upply voltages V_1 and V_2 terminal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contacts 51 and 52, respectively.

내부 충전 모드의 수행을 위해, 제어부(59)는 부스트 IC(45)를 동작시키고, 제 1 로드 스위치(46)를 온 동작 시키고, 제 2 로드 스위치(47)를 오프 동작시킴으로써, 배터리(44)로부터의 전원이 제 1 및 제 2 전기 접촉부(51), (52) 각각의 제 1 및 제 2 공급 전압(V_1), (V_2) 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도록 한다. In order to perform the internal charging mode, the control unit 59 operates the boost IC 45, turns the first load switch 46 on, and turns the second load switch 47 off, so that the battery 44 Power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contacts 51 and 52 is appli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upply voltages V_1 and V_2 terminals, respectively.

상술된 충전 모드 시에 제어부(59)는 제 1 및 제 2 삽입 신호(I_1, I_2) 각각을 이용해 무선 이어버드(10, 20) 각각의 삽입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harging mode, the controller 59 may check the insertion state of each of the wireless earbuds 10 and 20 using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signals I_1 and I_2, respectively.

무선 이어버드(10, 20)의 충전 크래들(30)로의 삽입 모드의 경우, 제어부(59)와 제어부(19) 간의 통신 및 제어부(59)와 제어부(29) 간의 통신에 의해 삽입 모드임이 제어부(59), 제어부(19) 및 제어부(29) 각각에서 확인된다. 본 설명에서는 무선 이어버드(10)만을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In the case of the insertion mode of the wireless earbuds 10 and 20 into the charging cradle 30, the controller 59 and the controller 19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controller 59 and the controller 29 communicate with each other. 59), the control unit 19 and the control unit 29 respectively. In the present description, only the wireless earbud 10 is exemplarily described.

제어부(19)는 삽입 모드의 수행을 위해,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전기 신호와 삽입 제어 모드 신호를 증폭부(15)에 인가하고, 증폭부(15)는 음향 전기 신호를 고출력 신호로 처리하여 스피커(13)에 인가한다. 또한, 제어부(59)는 제 2 로드 스위치(47)를 온 동작시켜 배터리(44)로부터의 전원이 충전 접촉부(54)를 통하여 제 2 전기 접촉부(17)에 제 3 공급 전압(V_3)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삽입 모드(고출력 모드)의 수행을 위해 전원을 배터리(11)에 추가적으로 인가한다. In order to perform the insertion mode, the control unit 19 applies an acoustic electrical signal and an insertion control mode signal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amplification unit 15, and the amplification unit 15 processes the acoustic electrical signal into a high-power signal. It is applied to the speaker 13. In addition, the controller 59 turns on the second load switch 47 so that the power from the battery 44 is applied to the second electrical contact 17 through the charging contact 54 and a third supply voltage V_3 By doing so, power is additionally applied to the battery 11 to perform the insertion mode (high power mode).

또한, AUX부(53)과 AUX(14) 간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AUX부(53)과 외부 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향 전기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제어부(19)는 전송된 음향 전기 신호를 증폭부(15)를 통하여 스피커(13)에 인가하여 삽입 모드에 따른 고출력 음 방출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UX unit 53 and the AUX 14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AUX unit 53 and an external devic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 acoustic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he control unit 19 is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high output sound emission according to the insertion mode by applying to the speaker 13 through the amplifying unit 15.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modifications can be made,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20: 제 1 및 제 2 무선 이어버드 30: 충전 크래들10, 20: first and second wireless earbuds 30: charging cradle

Claims (4)

스피커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이어버드와;
전기 접촉부와 충전부를 내장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무선 이어버드를 삽입 수용하는 수용 공간과, 케이스의 다른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와 수용 공간을 연통시키는 토출 유로를 구비하는 충전 크래들로 구성되며,
무선 이어버드는 음향 전기 신호에 대한 증폭 및 감쇄 처리를 수행하는 증폭부와, 증폭부에 의해 처리되는 음향 전기 신호를 음 방출시키는 스피커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음향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부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수용 공간으로부터 분리된 경우의 분리 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수신된 음향 전기 신호를 증폭부에 인가하고, 증폭부는 저출력 음향 방출을 위한 이득 데이터에 따라 인가된 음향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에 인가하고,
수용 공간에 무선 이어버드가 삽입된 경우, 제어부는 삽입 제어 모드 신호와 수신된 음향 전기 신호를 증폭부에 인가하고, 증폭부는 인가된 음향 전기 신호를 고출력 음향 방출을 위한 이득 데이터에 따라 처리하여 스피커에 인가하여,
수용 공간에 삽입된 경우의 삽입 모드에서의 스피커의 음향 출력을 스피커의 음향 출력보다 크도록 음향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음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버드와 충전 크래들을 이용한 음향 시스템.
At least one wireless earbud including a speaker;
A charging cradle having a case in which an electrical contact part and a charging part are built, a receiving spac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to insert and accommodate a wireless earbud, and a discharge passage communicating the opening and the receiving spac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Consists of
The wireless earbuds include an amplification unit that performs amplification and attenuation processing on an acoustic electrical signal, a speaker that emits sound electrical signals processed by the amplification unit, and an acoustic electrical signal received from an electronic device and applied to the amplification unit. Having a control unit,
In the case of the separation mode when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received acoustic electrical signal to the amplification unit, the amplification unit processes the applied acoustic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gain data for low-power sound emission and applies it to the speaker,
When the wireless earbuds ar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he controller applies the insertion control mode signal and the received acoustic electrical signal to the amplifying unit, and the amplifying unit processes the applied acoustic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gain data for high-power sound emission and By applying to,
A sound system using a wireless earbud and a charging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sou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is processed so that the sound output of the speaker in the insertion mode when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is greater than the sound output of the speaker.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이어버드는 삽입 모드의 확인을 위한 제 1 단자와, 충전 크래들로부터의 제 1 공급 전압 인가를 위한 제 2 단자와, 접지 단자를 포함하는 제 1 전기 접촉부를 구비하고,
충전 크래들의 전기 접촉부는 삽입 모드의 확인을 위한 제 1 단자와, 충전부로부터의 제 1 공급 전압의 인가를 위한 제 2 단자와, 접지 단자를 포함하는 제 1 전기 접촉부를 구비하며, 무선 이어버드가 수용 공간에 삽입된 경우 무선 이어버드의 제 1 전기 접촉부와 충전 크래들의 제 1 전기 접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버드와 충전 크래들을 이용한 음향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earbud includes a first terminal for confirming an insertion mode, a second terminal for applying a first supply voltage from the charging cradle, and a first electrical contact including a ground terminal,
The electrical contact portion of the charging cradle includes a first terminal for confirming the insertion mode, a second terminal for application of a first supply voltage from the charging portion, and a first electrical contact including a ground terminal, and the wireless earbuds A sound system using a wireless earbud and a charging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part of the wireless earbud and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part of the charging cradle are electrically connected when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제 2 항에 있어서,
충전 크래들의 전기 접촉부는 제 1 전기 접촉부와 독립되어 충전부로부터의 제 2 공급 전압의 인가를 위한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 접촉부를 구비하고,
충전 크래들은 무선 이어버드가 삽입 모드로 동작할 때, 제 1 전기 접촉부 및 충전 접촉부를 통하여 충전부로부터의 제 1 및 제 2 공급 전압을 인가하고,
무선 이어버드는 충전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삽입 모드 동작 시에 제 2 공급 전압을 인가 받는 제 2 전기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버드와 충전 크래들을 이용한 음향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ical contact portion of the charging cradle is independent from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portion and includes a charging contact portion including a terminal for applying a second supply voltage from the charging portion,
The charging cradle applies first and second supply voltages from the charging unit through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and the charging contact when the wireless earbud is operating in the insertion mode,
A sound system using a wireless earbud and a charging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earbu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contact and has a second electrical contact to which a second supply voltage is applied when the insertion mode is operated.
제 1 항에 있어서,
토출 유로는 수용 공간과 접하는 부분부터 개구에 가까이 갈수록 그 수직 단면의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버드와 충전 크래들을 이용한 음향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sound system using a wireless earbud and a charging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cross section increases as the discharge passage approaches the opening from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KR1020190107916A 2019-09-02 2019-09-02 Sound systme using wireless erabuds and charging cradle KR1022146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916A KR102214661B1 (en) 2019-09-02 2019-09-02 Sound systme using wireless erabuds and charging cra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916A KR102214661B1 (en) 2019-09-02 2019-09-02 Sound systme using wireless erabuds and charging cra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661B1 true KR102214661B1 (en) 2021-02-10

Family

ID=7456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916A KR102214661B1 (en) 2019-09-02 2019-09-02 Sound systme using wireless erabuds and charging cra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66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389B1 (en) * 2015-09-25 2017-09-06 (주)선진유통 Apparatus for amplifying the sound of smart phone
KR101808253B1 (en) * 2016-08-10 2017-12-22 아이디액트 주식회사 Wireless headphone and sound ampl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848669B1 (en) * 2016-12-26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sound equipment
KR101960680B1 (en) * 2018-11-27 2019-03-21 박태수 Earphone charging ca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389B1 (en) * 2015-09-25 2017-09-06 (주)선진유통 Apparatus for amplifying the sound of smart phone
KR101808253B1 (en) * 2016-08-10 2017-12-22 아이디액트 주식회사 Wireless headphone and sound ampl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848669B1 (en) * 2016-12-26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sound equipment
KR101960680B1 (en) * 2018-11-27 2019-03-21 박태수 Earphone charging c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5532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headset instant on capability during battery charging
US7548040B2 (en) Wireless battery charging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wireless headsets/headphones
US82291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ed battery charging and loading in a stereo headset
EP3188502A1 (en) Wireless earphone and controlling method of same
US20070121981A1 (en) Portable speaker of portable multimedia device
US20120300962A1 (en) Solar Powered Wireless Bluetooth Stereo Speaker With connectivity To MP3 Player
EP2395500A1 (en) Audio device
KR2014013266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active noise cancellation earphone using power supply of electronic device
US9741334B2 (en) Active noise cancellation in audio output device
RU2684512C2 (en) Peripheral device, host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EP3142382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upplying power to active noise cancelling earphone
US20180152778A1 (en) Composite earphone
US20200348902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volume level of audio signal on basis of states of multiple speakers
KR102214661B1 (en) Sound systme using wireless erabuds and charging cradle
KR102284371B1 (en) Portable sound equipment
CN212628411U (en) Bone conduction hearing aid
CN111247781B (en) Audio circuit and audio playing system based on intelligent terminal
CN112073885A (en) Bone conduction hearing aid
KR101609194B1 (en) Accessory Apparatus of four Pole Audio Plug-Jack Connector Type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hereof, and Host Apparatus
US11589155B2 (en) Earjack connection apparatus for earphone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CN109218914B (en) Audio playing device and audio transmission circuit
CN105049988A (en) Portable sound box with wireless charging device
AU2020104326A4 (en) Sound box
US2023028440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nnecting member
CN116506777B (en) Speaker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