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554B1 -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554B1
KR102214554B1 KR1020200032605A KR20200032605A KR102214554B1 KR 102214554 B1 KR102214554 B1 KR 102214554B1 KR 1020200032605 A KR1020200032605 A KR 1020200032605A KR 20200032605 A KR20200032605 A KR 20200032605A KR 102214554 B1 KR102214554 B1 KR 102214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functional
functional food
information service
food information
questionna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원
Original Assignee
이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원 filed Critical 이지원
Priority to KR102020003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5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9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alternative medicines, e.g. homeopathy or oriental medic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성별, 나이, 체중, 키, 증상, 유전력(Heritability), 병력 및 생활습관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설문조사인 문진표를 수신하고, 문진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에 응답에 대응하는 문진 데이터를 입력을 받아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문진 데이터를 수신하고, 문진 데이터에 포함된 응답을 질의(Query)로 입력하여 문진 데이터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섭취량 기준값을 도출하는 산출부, 섭취량 기준값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을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MEDICAL QUESTIONNAIRE BASED FUNCDTIONAL NUTRITIONAL SUPPLEMENT INFORMATION SERVICE}
본 발명은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을 섭취량 기준값에 기반하여 추천해줄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식생활의 서구화, 고령화 사회, 의료기술의 발달, 인터넷 정보가 많아짐과 동시에 국민의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있다. 또한 사회적으로 웰빙 열풍이 지속되면서 물질적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삶 못지않게 신체와 정신건강을 행복의 척도로 삼고 있다. 아무리 좋은 영양제도 잘 차려진 식사보다 우리 몸에 좋을 수는 없지만, 문제는 바쁜 현대인들이 잘 차려진 하루 세끼를 골고루 먹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체내에 부족한 영양소는 영양제를 통해 보충해서 인체에 쌓이는 유해산소를 제거하고 젊음과 건강을 지켜야 한다. 이처럼 영양제는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필수품이 되었으며 일반 식사나 가공식품 이외에 영양제를 통해 공급받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때, 사용자에 따른 맞춤형 영양제를 제공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9-0100520호(2019년08월29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14-0056676호(2014년05월12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3-0021763호(2013년03월06일 공개)에는, 고객의 고객건강 정보를 수신하고, 고객 건강 정보에 따라 고객 맞춤형 영양제 제품을 구성하고, 고객 맞춤형 영양제 제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 구성과,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를 생성하고,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 서로 다른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공급부 및 영양제 과립을 포장하는 포장부의 구성과, 개인별 특성에 따른 문진 데이터를 입력하고, 문진 데이터에 대응하여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를 생성하며,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를 수신받아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 영양제를 조제하는 조제부의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일반인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 및 인식도에 관해 조사한 선행연구 결과에 의하면 건강기능식품과 관련된 정보를 전문가의 지식을 활용하기보다는 주변사람이나 대중매체를 통해 얻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본인에 맞는 적당한 건강기능식품의 품목을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건강보조식품 제조 판매 회사의 과장된 광고나 홍보에 의해 남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체내 부족한 부분을 보충해 주어야 하는 영양제가 소비자들의 잘못된 인식과 판매과정에서 취급자들의 제품 효과의 과장에 의하여 식품이 약물로 오용되고 특정 작용을 위하여 남용되고 있으며 영양제의 소비패턴이 현대의 변화된 생활습관과 무분별한 정보수용에 의해 바뀌어가고 있다. 이에, 개인이 섭취해야 할 목표섭취량을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이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을 추천해주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문진표에 입력된 문진 데이터에 기반하여 섭취량 기준값을 도출하고, 섭취량 기준값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함으로써 과다복용으로 인한 안전상의 문제를 제거하고, 복용시기 및 복용법을 지키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건강기능식품을 동시에 다수 복용하는 섭취형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가 제공하는 목표섭취량을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와 함께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문진 데이터에 기초한 섭취량 기준값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고,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의 1회 제공량, 목표섭취량 및 섭취량 기준값을 상호비교해줌으로써 건강기능식품을 선택함에 있어서 도움을 줄 수 있고, 올바른 영양제 복용 문화가 구축되도록 영양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챗봇을 이용하여 빠른 상담을 제공할 수 있는,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성별, 나이, 체중, 키, 증상, 유전력(Heritability), 병력 및 생활습관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설문조사인 문진표를 수신하고, 문진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에 응답에 대응하는 문진 데이터를 입력을 받아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문진 데이터를 수신하고, 문진 데이터에 포함된 응답을 질의(Query)로 입력하여 문진 데이터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섭취량 기준값을 도출하는 산출부, 섭취량 기준값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을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문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문진 데이터에 포함된 응답을 질의로 입력하여 분석된 적어도 하나의 영양소의 목표섭취량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목표섭취량 및 적어도 하나의 영양소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문진표에 입력된 문진 데이터에 기반하여 섭취량 기준값을 도출하고, 섭취량 기준값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함으로써 과다복용으로 인한 안전상의 문제를 제거하고, 복용시기 및 복용법을 지키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건강기능식품을 동시에 다수 복용하는 섭취형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가 제공하는 목표섭취량을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와 함께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문진 데이터에 기초한 섭취량 기준값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고,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의 1회 제공량, 목표섭취량 및 섭취량 기준값을 상호비교해줌으로써 건강기능식품을 선택함에 있어서 도움을 줄 수 있고, 올바른 영양제 복용 문화가 구축되도록 영양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챗봇을 이용하여 빠른 상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서의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 등을 사용하여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이하에서 건강기능식품은, 제품, 상품 등의 명칭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급사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공급사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공급사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고객인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접속하여 문진표를 작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건강기능식품의 복용법 및 복용시기에 대응하는 알람을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400)로부터 사람의 나이, 성별, 생활습관, 증상, 키, 몸무게 등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의 목표섭취량 및 섭취량 기준값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사 서버(5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문진표는 자체적으로 개발하거나 의료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작성할 수 있고, 문진표를 이루는 질문에 매핑되어 있는 각각의 보기마다 섭취량 기준값을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문진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는 섭취량 기준값을 도출하고, 이를 최대로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정렬 및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건강기능식품 제품별 순위를 리스트업(Listup)하고, 제품별 영양소 성분별, 1회 제공량별 그래프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며, 각 제품별로 상세정보 및 리뷰와 평점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400)은,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의사 또는 약사의 단말일 수 있다. 물론, 의사나 약사가 아니더라도 건강기능식품의 정보를 신뢰도 높게 제공할 수 있는 정보제공자도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400)은, 섭취량 기준값 및 목표 섭취량을 성분별로 문진표 내의 질문에 매핑되어 있는 보기별로 설정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급사 서버(500)는,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공급사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공급사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급사 서버(5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화부(310), 산출부(320), 추출부(330), 전송부(340), 정보수집부(350), 순위집계부(360), 알람부(370), 성분분석부(380) 및 기준제공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급사 서버(500)로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급사 서버(500)는,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급사 서버(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공급사 서버(500)는,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의 종류, 성분 종류, 성분비, 함유량, 섭취권장량, 1회 제공량, 복용법,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여부, 제조사, 제조국 및 부작용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베이스화부(310)에서 웹크롤링을 통하여 건강기능식품의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고, 이를 위하여 웹 크롤러(Web Crawler)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웹 크롤러란 조직적, 자동화된 방법으로 월드 와이드 웹을 탐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웹 크롤러가 하는 작업을 웹크롤링(WebCrawling) 혹은 스파이더링(Spidering)이라 부르며 봇이나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의 한 형태이다. 웹 크롤러는 크게 일반 웹크롤러와 분산 웹 크롤러가 있다. 웹 크롤러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URL 프론티어(Frontier) 모듈에서 URL을 가져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 해당 URL의 웹 페이지를 가져오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패치(Fetch) 모듈에서 임시 저장소에 웹 페이지를 저장하고, 파서(Parser) 모듈에서 텍스트와 링크를 추출을 하고 텍스트는 인덱서(Indexer)에 보내진다. 링크의 경우는 URL 프론티어에 추가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Content Seen, URL Filter, Duplication URL Element 모듈들을 거치면서 판단하게 된다.이때, 웹 문서를 전부를 일반 웹 크롤러로 크롤링 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분산 웹 크롤러를 더 사용할 수 있다.
분산 웹 크롤러는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지는데 그 중 하나가 중앙 집중식(Centralized)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P2P(or Fully-Distributed) 방식이다. 중앙 집중식 분산 웹 크롤러는 URL 매니저가 서버와 같은 역을 수행하고, 크롤러가 클라이언트 역을 하는 구조이다. 크롤러에서 문서를 다운로드 받고 아웃링크(OutLink) URL을 추출하여 URL 매니저에게 넘겨주면 URL 매니저는 다운로드 받은 문서의 URL인지 검사하여 URL 중복을 제거를 한다. 즉 일반 웹 크롤러에서 URL 중복과 URL 관리를 하는 부분을 URL 매니저가 대신 해 주는 것이다. 한편, P2P 방식은 각 Crawler가 완전 독립적인 구조를 가진다. P2P 방식은 각각의 크롤러가 일반 웹 크롤러처럼 동작을 한다. 각각의 크롤러는 문서를 다운로드 받고 OutLink URL을추출하고 URL 중복제거까지 모두 각각의 크롤러가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크롤러에서 관리하는 다운로드 받은 URL 목록은 서로 배타적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서로 다른 크롤러에서 같은 문서를 다운로드 받는 현상이 발생할 것이다.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크롤러는 다운로드 받을 URL 도메인(Domain)을 서로 배타적으로 나눠서 관리할 수 있다. 즉, 자신이 다운로드 도메인에 속하는 것만 관리하고 나머지 URL은 다른 크롤러에게 넘기는 방법인데,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각각의 크롤러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 다음은 웹 콘텐츠를 추출해야 하는데, 웹 콘텐츠 추출 기술은 웹 문서로부터 정보 분석에 활용될 콘텐츠인 건강기능식품의 타이틀, 작성자, 게시일, 본문, 본문 내 성분표 등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웹 콘텐츠 추출 시스템은 콘텐츠를 추출하는 규칙을 자동 생산해 콘텐츠만을 추출하는 장치로 콘텐츠 추출 규칙을 자동 생성하는 규칙 생성기(Rule Generator), 주어진 웹 문서에서 내비게이션 콘텐츠를 제거하는 내비게이션 콘텐츠 제거기(Navigation Content Eliminator), 콘텐츠 추출 규칙 키워드 유사도 비교를 통해 콘텐츠를 추출하는 콘텐츠 추출기(Core Context Extractor)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베이스화부(310)에서 건강기능식품의 검색 결과인 각 URL을 모두 수집하고 이를 방문하여 다시 해당 URL에서 상술한 웹 콘텐츠 추출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헤드없는 브라우저(Headless Browser)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집과 검색결과에 포함된 URL을 수집하기 위해, 각 URL이 포함되어 있는 좌표와 상대적 위치를 함께 정의할 수도 있다.
산출부(3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문진 데이터를 수신하고, 문진 데이터에 포함된 응답을 질의(Query)로 입력하여 문진 데이터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섭취량 기준값을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성별, 나이, 체중, 키, 증상, 유전력(Heritability), 병력 및 생활습관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설문조사인 문진표를 수신하고, 문진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에 응답에 대응하는 문진 데이터를 입력을 받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증상은, 혈액순환, 소화장애, 피부, 눈, 두뇌활동, 피로감, 관절, 면역, 모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생활습관은, 운동 주기와 운동량, 야외활동 주기와 시간, 식습관, 기호식품 섭취습관, 학업이나 업무의 강도, 시간 및 주기를 포함할 수 있고, 유전력(가족력)은, 당뇨병, 간질환, 혈관질환, 관절질환, 고혈압, 심근경색 등 가족이 가지고 있었던 질병이나 질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성의 경우 임신 또는 수유중인지, 폐경 후인지, 생리전 증후군이 있는지, 생리는 규칙적인지 등에 대한 조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병력은 사용자 본인의 질환 또는 사고 히스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섭취량 기준값은 예를 들어, 나이에 따라, 성별이 다름에 따라 권장되는 각 영양소의 기준값을 의미한다. 이는 문진표 내 질문에 보기가 존재하는데, 각 보기에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20세라고 가정하면, 성인의 칼슘 섭취량 기준값은 700mg으로 이미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가 20세를 기재하거나 선택하면 산출부(320)는 칼슘 700mg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만약, 사용자 A가 30세 직장인이라고 보기를 선택한 경우에는, 30세 직장인에게는 산출부(320)는 철분 섭취량 기준값은 10 내지 16mg를 추출할 수 있다. 만약, 30세 직장인인데 임산부라고 체크된 경우, 산출부(320)는 철분 섭취량 기준값을 24mg으로 변경하고, 엽산 400mcg를 추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이에 따라, 성별에 따라, 임신 여부에 따라, 업무 강도에 따라 각각 섭취량 기준값이 달라지게 되므로, 산출부(320)는 문진표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파악하고, 이에 기준하여 섭취량 기준값을 도출할 수 있다.
추출부(330)는, 섭취량 기준값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부(330)는, 성인 남성 또는 성인 여성이라고 가정하면, 이하 표 1 또는 표 2와 같은 필요성분을 추출할 수 있고, 각 필요성분에 대한 섭취량 기준값 및 이에 대응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건강기능식품의 브랜드는 매우 다양하므로 상표명은 거론하지는 않는다.
성인남성
간 기능 약화 간 기능 저하는 간염 바이러스와 과량의 알코올 섭취가 가장 일반적인 원인이 되며 그밖에도 약물, 영양불량, 대사이상, 비만 등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간의 기능을 원활하게 해 주기 위한 방법으로는 고지방, 고열량, 알코올을 적게 섭취하고, 양질의 단백질식품, 식물성식품 및 채소류를 섭취하는 것이좋으며, 비타민 C와 비타민 B12, 엽산 등의 비타민
이 많이 든 식품을 즐겨 먹어야 한다.
원료: 밀크씨슬추출물, 브로콜리스 프라우트분말. 표고버섯균사체추출물, 표고버섯균 사체, 헛개나무 과병 추출물, 유산균발효다시마추출물, 복분자추출분말
유해한 활성산소 증가 잘못된 식습관으로 영양불균형을 초래하면 인체의 대사는 원활하지 못하게 되며 면역력이 떨어진다. 또한, 성인남성은 대기 및 환경오염에 노출되어 있으며, 술과 담배,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면역력 저하를 겪게 된다.
원료: 대나무잎추출물, 메론추출물, 복분자추출물, 프랑스해안송껍질추출물, 토마토추출물, 비즈왁스알코올, 코엔자임Q10, 포도종자추출물, 고농축녹차추출물, 클로렐라, 스피루리나, 프로폴리스 추출물, 비타민 C, 비타민 E, 엽록소함유 식물, 스쿠알렌
면역력 약화 게르마늄효모, 금사상황버섯, 당귀혼합추출물, 클로렐라, 표고버섯균사체, Enterococcus faecalis, 가열처리건조분말, L-글루타민, 다래추출물, 소엽추출물, 피카오프레토분말등 복합물, 구아바잎추출물등복합물, 인삼, 홍삼, 알콕시글리세롤 함유 상어간유, 알로에겔
고혈압 혈관의 출혈이나 심장의 부담이 문제가 될 수 있다. 혈압은 유전적인 요인, 성별, 나이에 의해 많이 좌우되기는 하지만, 식사및 생활 습관을 개선하여 정상적인 혈압 유지가 중요하다.
원료: 가쯔오부시올리고펩타이드, 연어펩타이드, 올리브잎추출물, 코엔자임Q10, 정어리펩타이드, 카제인가수분해물, 해태올리고펩티드, L-글루타민산 유래 GABA함유 분말
스트레스 증가 유단백가수분해물, L-테아닌
성인여성
뼈와 관절 약화 칼슘은 부족한 경우 건강기능식품으로 섭취할 수있으나 과량 섭취시 다른 무기질의 흡수를 저해할 수 있다. 뮤코다당 단백/글루코사민, N-아세틸글루 코사민 등을 함유한 건강기능식품은 관절 연골세포의 구성 성분이 되므로 연골 세포의 생성을 촉진하고, 관절의 윤활작용을 하는 윤활액 생성을 증가시키며, 초록입홍합추출오일복합물/황금추출물등복합물 등을 원료로 하는 건강기능식품은 관절에서 염증 유발 물질을 감소시켜, 관절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비타민 D, 비타민 K, 칼슘, 망간은 뼈의 형 성과 유지에 도움을 주는 영양소로 하루 섭취량이 1일 영양 섭취기준의 최소 30% 이상을 충족해야 하며, 상한섭취량 이상을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원료: 가시오갈피등복합추출물, 글루코사민, 로즈힙분말, 지방산복합물,호프추출물, 전칠삼추출물등복합물, 차조기등복합추출물, 초록입홍합추출오일, 황금추출물등복합물, N-아세틸글루코사민, Dimethylsulfone(MSM), 흑효모배양액분말, 대두이소플라본 고시형 원료-뮤코다당·단백, 비타민 D, 비타민 K, 망간, 칼슘
칼슘 흡수저하 칼슘은 인체 내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무기질로 골격과 치아를 구성하며, 칼슘의 흡수율이 저하되면 소장에서 흡수되는 칼슘량이 저하되어 뼈와 관절이 약해진다. 성인 여성의 하루 칼슘 권장섭취량은 700mg으로 우유 약 600ml정도에 해당한다. 비타민D는 소장에서 칼슘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며, 단백질은 칼슘과 결합하여 칼슘이 흡수되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또한 유당과 비타민C도 장내환경을 산성화시켜 칼슘의 용해성을 증가시킨다.
원료:액상프락토올리고당, 폴리감마글루탐산
눈 건강 저하 비타민 A가 부족한 경우 건강기능식품으로 섭취할 수 있으나 과량 섭취 시 간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1일 영양섭취기준의 최소 30%이상을 충족해야 하며, 과잉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비타민 A는 어두운 곳에서의 시각기능에 필수적일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시각 기능을 도와 눈의 점액 생성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구건조증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루테인복합물의 섭취는 황반색소의 밀도를 유지시킴으로서 황반변성 예방, 백내장 예방, 시력 개선 등에 도움을 준다. 베타카로틴은 산화제, 자유라디칼 제거와 활성산소 제거의 역할 등 항산화제 작용을 함으로써 눈의 노화를 예방한다.
원료: 빌베리추출물, 헤마토코쿠스 추출물, 지아잔틴추출물, 루테인복합물
고혈압 가쯔오부시올리고펩타이드, 연어펩타이드, 올리브잎추출물, 코엔자임Q10, 정어리펩타이드, 카제인가수분해물, 해태올리고펩티드, L-글루타민산 유래 GABA함유 분말
피부 노화 N-아세틸글루코사민, 히알우론산나트륨, 곤약감자 추출분말, 쌀겨추출물, 지초추출물은 피부 건조와 수분 보유량 등을 개선시킨다. 소나무껍질추출물 등 복합물과 홍삼, 사상자, 산수유 복합추출물은 햇볕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으로부터 피부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원료: 소나무껍질추출물등 복합물, 곤약감자추출물, N-아세틸글루코사민, 히알우론산 나트륨, 쌀겨추출물, AP 콜라겐 효소 분해 펩타이드, 지초추출분말, 홍삼·사상자·산수유복합추출물 고시형 원료-엽록소 함유 식물, 클로렐라, 스피루리나, 알로에 겔
비만 공액리놀레산은 남는 에너지를 지방으로 합성하는 과정을 방해하여,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준다. 히비스커스등복합추출물, 가르시니아캄보지아 등은 지방분해를 촉진하여 체지방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원료: 가르시니아캄보지아껍질추출물, 공액리놀레산(유리지방산), 녹차추출물, 공액리놀레산(트리글리세라이드),그린마떼추출물, 두배아추출물등복합물, 깻잎추출물, 레몬 밤 추출물, 혼합분말 중쇄지방산함유유지, 콜레우스포스콜리추출물, 히비스커스등복합추출물, L-카르니틴타르트레이트, 식물성유지 디글리세라이드
전송부(34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수집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400)로부터 성별, 나이, 체중, 키, 증상, 유전력(Heritability), 병력 및 생활습관에 따라 섭취해야 할 적어도 하나의 성분에 대한 목표섭취량을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순위집계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의 순위를 접속자수, 리뷰수, 온라인 노출정도, 영양소 그래프 및 성분비에 기반하여 정렬하여 노출시킬 수 있다. 이때, 순위집계부(360)는, 고객 상호간의 유사도를 이용한 협업 필터링과, 건강기능식품 설명서와 건강기능식품 인덱스의 내용에 대한 구조기반 검색을 통해 건강기능식품을 추천할 수도 있다. 이때, 색인어 추출은 상품설명서 등의 문서 뿐만 아니라 질의어에 대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상품설명서에 대한 색인어는 미리 추출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반면 질의어에 대한 색인어 추출은 고객의 질의가 있을 때마다 다시 수행될 수 있다. 각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구매이력정보는, 새로운 정보가 발생될 때마다 사용자 프로파일에 저장되며 협업 필터링을 통해 다른 고객들과의 유사도가 계산되어 저장될 수 있다.
모든 건강기능식품의 상품설명서와 건강기능식품 인덱스의 내용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동시에 어휘분석을 통해 중요 색인어가 추출되며 구조기반 검색시스템의 전처리 과정으로서 그 색인어의 위치에 따라 가중치가 계산되어 색인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정보, 즉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품을 추천하게 되는데 유사 고객군의 선호를 반영하는 협업 필터링과 함께 고객이 입력한 검진 데이터를 질의어로 처리하는 내용기반 필터링을 쓰게 된다(VSM). 이는 다시 협업 필터링에 의한 결과와 함께 계산된 순위(Rank) 값에 따라 추천하게 된다.
협업 필터링에 의한 추천은 사용자 프로파일의 구성과 고객들 간의 유사도(Similarity) 계산과 고객의 구매 예측치(Prediction)의 계산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성별, 나이, 예방 및 치료 관심분야, 관심 건강식품 등의 고객의 기본정보와 함께 각 제품에 대한 고객의 평균 구매액, 구매 횟수와 문진표의 응답 결과가 사용자 프로파일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에 저장된 특성(Feature)은, 모두 단위가 다르기 때문에 표준화(Standardization)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전체 고객 341명 중 값이 X인 남성이 124명이고 값이 Y인 여성이 217명이면 변환된 값은 남자가 1.32, 여자가 0.75가 될 수 있다. 또, 사용자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유사도 계산과 각 제품에 대한 구매 예측치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데, 고객들 간의 유사도는 피어슨 상관계수로 계산되어 행렬 형태로 저장될 수 있고, 같은 고객군(Neighbor)이 아닐 경우 값이 모두 0이 되는 희소행렬(Sparse Matrix)이므로 인덱스를 사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에서 상품구매특성이 아닌 다른 데이터, 예를 들어, 성별, 나이, 예방 및 치료 관심분야, 관심 건강식품 등을 제외하고 구매이력에 관한 데이터로 계산될 수 있다. 사용자의 개인정보, 입력정보, 그리고 구매이력은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프로파일과 유사도 행렬은 수시로 다시 계산되어 저장되며 구매 예측치는 특정 고객에 대해 상품을 추천할 때 계산될 수 있다.
그 다음, 내용기반 필터링 및 검색질의에 의한 추천이 이루어지는데, 문진표에 체질, 증상 등을 체크하였으므로, 고객의 상품 검색 질의를 처리하기 위해 건강기능식품인덱스의 내용으로부터 색인어를 추출할 수 있다. 색인어 추출은 한글분석모듈(Hangul Analysis Module: HAM)을 이용하여 접두사, 접미사, 어미 등을 제거하는 형태소 분석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형태소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색인어가 각 상품의 상품설명서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색인어 - 상품 행렬로 나타낼 수 있다. 상품설명서가 색인어를 포함하고 있으면 1, 포함하지 않으면 0으로 나타낸다. 추출된 색인어로 색인어-상품 행렬을 구성할 때 구조기반 검색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상품설명서와 건강기능식품 인덱스에서 색인어와 일치하는 단어의 위치 및 구조를 분석하여 위치에 따라 색인어의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할 수 있다. 각 제품의 상품설명서에는 상품상세 설명과 함께 효능 등의 키워드가 있다. 이러한 키워드는 원재료, 기능성분 등의 상세설명 보다는 높은 가중치를 가진다. 건강 기능식품 인덱스에는 기능물질명, 기능물질요약, 기능성 내용, 기능성 응용이 있다. 색인어가 기능성 내용 또는 기능성 응용에 관한 것이면 다른 색인어에 비해 높은 가중치를 가진다. 만약 상품설명서에 있는 색인어가 건강기능식품 인덱스에도 포함되어 있으면 그 위치에 따라 가중치가 계산되어 색인어-상품 행렬을 구성하게 된다. 그 다음은 순위에 의한 상품 추천인데, 순위는 벡터 스페이스 모델로 계산된 질의-상품 간의 유사도와 협업 필터링으로 계산된 상품에 대한 고객의 구매 예측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최종적으로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최종 상품을 추천하기 위한 순위의 값은, 상술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알람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의 복용시기를 복용법에 기반하여 설정하고, 아침, 점심 및 저녁과 식전 및 식후로 나누어 태그를 태깅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매 및 결제한 건강기능식품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기 설정된 복용시기에 대응하도록 복용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성분분석부(380)는, 섭취량 기준값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의 성분비, 함유량 및 1회 제공량을 각각 비교하고, 섭취량 기준값과 유사도가 높은순으로 정렬하여 가격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기준제공부(390)는, 문진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보기를 적어도 하나의 섭취량 기준값과 대응하여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기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된 경우, 선택된 보기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섭취량 기준값이 추출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의 음식사진을 수집하고 영양정보를 분석 및 관리해줄 수도 있다. 현대인은 칼로리는 과잉이나, 영양은 결핍인 상황에 놓여있고, 영양소는 먹는 것으로만 채울 수 있으니, 무엇을 먹는지를 잘 관리할 수 있다면 인간의 삶에 중요한 헬스케어 기술이 될 수 있다. 또한, 영양소는 일일 섭취기준이 정해져 있고 이 정보는 인간이 하루에 최소 섭취해야 할 기준적인 정보를 의미하는데, 매일 기준 수치보다 낮은 섭취를 이어가게 되면 생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자신이 무엇을 먹었는지, 어떠한 영양소가 부족한지를 알게 된다면, 자신의 상태를 보다 건강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촬영하는 식사사진을 이용하여 먹는 음식의 영양정보를 통해 과잉 또는 결핍된 영양소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매일매일 먹는 음식의 정보는 하루에 섭취하는 영양소의 전반을 파악할 수 있고, 과잉 또는 결핍된 영양소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추가혹은 줄여야 하는 음식 및 영양제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어 영양소 관점에서 보다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우선, 사용자 단말(100)에서 음식 사진을 수집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음식 사진이 수집되면 자동으로 식별 및 분류를 해야하는데, 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음식 이미지를 빅데이터로 수집하여 하나의 음식에 대하여 수백장씩 수집하여 모델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각 음식별로 폴더에 사진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형태인데, 이를 전처리를 수행해야 한다. 다양한 픽셀 크기로 구성된 다량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사이즈가 각기 다른 모든 이미지 데이터의 이미지 크기를 리사이징(Resizing) 할 수 있다. 제공받은 데이터는 컬러 이미지이기 때문에, 각 이미지는 픽셀을 RGB 3개의 채널을 가진 데이터이다. 따라서 기 설정된 픽셀의 컬러 사진 데이터의 형태는 [가로픽셀, 세로픽셀, 3(채널 수)]로 표현될 수 있다. 학습 시에 전체 데이터에서 라벨에 상관없이 무작위로 학습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로 구분하기 위해 어레이(Array) 형태의 각 이미지들을 하나의 어레이로 병합할 수 있다.
그 다음 과정은 인공지능 알고리즘 모델링 과정이다. 비신경망 모델로는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나이브 베이즈(Naive Bayes), 의사결정 트리(Decision Tree), 로지스틱 회귀(Logistic Regression), k근접 이웃(k-NN)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RGB 3개 채널을 가진 이미지 데이터셋(DataSet)을 상술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모델들에 적용하기 위해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를 1차원의 배열 형태로 변환하는데, 이로 인해 데이터들은 하나당 3*(가로픽셀)*(세로픽셀)로 변환되기 때문에 특징(Feature)의 개수가 일반적인 비신경망 모델에 적용되는 데이터셋의 것보다 많을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PCA를 통한 특징 선택(Feature Selection)을 적용하였을 때의 모델의 성능과, PCA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의 모델의 성능을 비교하여 더 나은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신경망 모델은, 인공신경망(ANN), 합성곱 신경망(CNN), AlexNet, LSTM 에 대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ANN은 1개의 히든 레이어(Hidden Layer)로 구성되며 과대적합을 방지하기 위해 입력 레이어(Input Layer)와 히든 레이어(Hidden Layer)의 출력에 배치 정규화(Batch Normalization)와 드롭아웃 레이어(Dropout Layer)를 추가할 수 있다. LSTM은 2개의 레이어로 구성된 멀티레이어(Multilayered) LSTM을 이용할 수 있다. 성능평가로 테스트 셋(Test Set)에 대한 정확도 및 손실값을 비교할 수 있다. ANN, CNN, AlexNet의 손실함수로는 카테고리 크로스 엔트로피(Categorical Cross Entropy)를, LSTM은 평균제곱오차(Mean Squared Error)를 이용할 수 있다. 모든 신경망 모델은 수 백번의 Epoch 동안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과대적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20 Epoch동안 검증 정확도(Validation Accuracy)의 개선이 없을 시 조기종료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때 검증셋(Validation Set)은 테스트 셋(Test Set)과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는 이미지의 공간 정보를 유지하며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머신러닝 모델이다. 수집한 데이터 셋은 이미지 데이터이기때문에, 우리는 CNN 모델이 해당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적합하다. 따라서 더 높은 정확도를 낼 수 있도록, 12개의 컨볼루션 레이어(Convolution Layer), 3개의 최대풀링 레이어(Max Pool Layer), 1개의 전연결 레이어(Fully Connected Layer)로 구성될 수 있다. 컨볼루션 레이어(Convolution Layer)의 활성함수(Activation Function)는 Relu를 사용할 수 있고, 과대적합을 방지하기 위해 각 컨볼루션 레이어의 끝에 배치 정규화와 드롭아웃 레이어를 추가할 수 있으며, Epoch 수에 따라 학습률(Learning Rate)를 줄일 수 있다. 옵티마이저(Optimizer)는, Adam을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증강(Data Augmentation)을 이용하여 좌우로 30도, 왼쪽, 오른쪽 0.2배 만큼 랜덤하게 이미지를 이동, 변형, 그리고 좌우 반전한 새로운 이미지에 대한 학습으로 성능을 증가시키고 훈련 셋(Training Set)에 대한 과대적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모델링이 완료되었으면, 각 음식 정보의 영양정보를 수집하여 각각의 음식 이미지에 매핑하여 저장한다. 이때,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안전나라 서비스에서 일괄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사용자 단말(100)에서 제공한 음식 사진에 대한 구분을 실시하고, 이에 따른 양을 측정해야 하는데, 이는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와 객체인 음식이 이루는 거리 측정에 따른 절대크기 측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최근 3D 증강현실 콘텐츠를 출력할 때 카메라 자세와 객체 간 거리추정하는 기술이 이미 개발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절대크기를 추정 및 예측하는 경우, 깊이 카메라(Depth Camera)가 없더라도 음식의 절대크기 및 양을 측정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식습관이 자연스럽게 기록될 수 있으며 부족한 영양소를 근거로 영양제 추천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a)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사 서버(400)로부터 성분비, 함유량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b)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400)로부터 목표섭취량 및 섭취량 기준값을 수집하여 각 문진표 내 보기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한다. 그리고, (c) 사용자 단말(100)에서 문진표를 작성하는 설문조사를 완료한 경우, 문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최적의 건강기능식품을 추출하여 (d)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구매 및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공급사 서버(500)로 전달하여 배송 프로세스가 시작되도록 한다.
도 3b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UI/UX나 사용자 시나리오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때, 도 3b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문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목표섭취량을 추천하고, 각 제품의 함량에 대한 목표섭취량 대비 일치도(매칭률)를 그래프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영양성분에 대한 지식이 없는 일반인이라고 할지라도 어느 영양소가 부족한지를 한 눈에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각 개인은 자신에게 필요한 성분만을 아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양이 필요한지를 알 수 있고, 목표섭취량을 채우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품이 필요한지 등을 데일리 또는 그 이외의 주기로 파악할 수 있다.
또, 국내 제품 뿐만 아니라 해외 제품까지 모든 영양제를 한 번에 검색할 수 있으며, 어떠한 성분이 어떠한 기능을 발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알약 크기부터 냄새, 가격에 대한 의견, 실제 복용 후기까지 실제 구매자의 리뷰를 확인할 수 있고, 판매자의 홍보성 리뷰, 광고성 리뷰 뿐 아니라 악의적인 구매자의 거짓리뷰 등도 함께 검증될 수 있다. 그리고, 영양제 선택시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를 다양한 전문가로부터 수집하고, 마음에 드는 전문가가 가이드해주는 최적섭취량을 직접 선택해서 그에 따라 제품을 자유롭게 비교해볼 수 있으며, 그래프로 상한량, 목표 섭취량 도달 확인할 수 있다. 또, 복용함에 제품을 여러 개 담으면 성분별로 함량이 그래프로 합산되어서 한 번에 나타나므로 목표섭취량에 어느 정도 도달했는지, 상한량을 넘어 과용하고 있지는 않는지 바로 확인이 가능하다. 또, 다른 소비자들이 선택한 영양제 인기 순위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별점, 리뷰 조회수를 반영하여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자 서버(500)로부터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수집하고(S4100), 전문가 단말(400)로부터 목표섭취량 정보 등을 수집하여(S4200) 데이터베이스화를 실시한다(S4300).
또한,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맞춤형 제품을 요청받으면(S4400) 문진표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S4500), 응답에 대응하는 문진 데이터를 수집하고(S4510), 섭취량 기준값을 추출한 후(S4600), 건강기능식품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장 높은 매칭률을 보이는 제품 리스트를 리스트업하여(S4610, S4630),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4700). 이때,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주문 및 결제를 하는 경우(S4710), 공급사 서버(500)로 전달하고(S4720) 공급사 서버(500)에서 배송이 시작되는 경우 트래킹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과 공유한다(S4710). 그리고,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피드백 데이터를 수집하고(S4900), 리뷰, 평점, 인기도 등을 업데이트하고(S4910), 공급사 단말(500)로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공유한다(S4920).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저장하고(S5100), 사용자 단말로부터 문진 데이터를 수신하고, 문진 데이터에 포함된 응답을 질의(Query)로 입력하여 문진 데이터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섭취량 기준값을 도출하며(S5200), 섭취량 기준값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을 추출한다(S5300).
이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5400).
이와 같은 도 5의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성별, 나이, 체중, 키, 증상, 유전력(Heritability), 병력 및 생활습관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설문조사인 문진표를 수신하고, 상기 문진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에 응답에 대응하는 문진 데이터를 입력을 받아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310),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문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문진 데이터에 포함된 응답을 질의(Query)로 입력하여 상기 문진 데이터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섭취량 기준값을 도출하는 산출부(320), 상기 섭취량 기준값을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을 추출하는 추출부(320),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을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전송부(340)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의 종류, 성분 종류, 성분비, 함유량, 섭취권장량, 1회 제공량, 복용법,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여부, 제조사, 제조국 및 부작용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사 서버(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400)로부터 상기 성별, 나이, 체중, 키, 증상, 유전력(Heritability), 병력 및 생활습관에 따라 섭취해야 할 적어도 하나의 성분에 대한 목표섭취량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정보수집부(3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의 순위를 접속자수, 리뷰수, 온라인 노출정도, 영양소 그래프 및 성분비에 기반하여 정렬하여 노출시키는 순위집계부(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순위집계부(360)는, 고객 상호간의 유사도를 이용한 협업 필터링을 추가로 이용하여 건강기능식품의 순위를 선정하여 노출시키며,
    상기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의 복용시기를 복용법에 기반하여 설정하고, 아침, 점심 및 저녁과 식전 및 식후로 나누어 태그를 태깅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매 및 결제한 건강기능식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기 설정된 복용시기에 대응하도록 복용알람을 전송하는 알람부(3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섭취량 기준값을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의 성분비, 함유량 및 1회 제공량을 각각 비교하고, 상기 섭취량 기준값과 유사도가 높은순으로 정렬하여 가격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성분분석부(38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문진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보기를 적어도 하나의 섭취량 기준값과 대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보기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섭취량 기준값이 추출되는 기준제공부(39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032605A 2020-03-17 2020-03-17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14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605A KR102214554B1 (ko) 2020-03-17 2020-03-17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605A KR102214554B1 (ko) 2020-03-17 2020-03-17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554B1 true KR102214554B1 (ko) 2021-02-09

Family

ID=7455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605A KR102214554B1 (ko) 2020-03-17 2020-03-17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55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674B1 (ko) * 2022-02-24 2022-06-08 주식회사 필라이즈 인공지능을 이용한 코호트 분석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30860B1 (ko) * 2022-06-08 2022-08-09 이성민 사용자 맞춤형 영양제 추천 시스템
WO2022176329A1 (ja) * 2021-02-16 2022-08-25 医療法人社団三輪会 個人栄養指導に関するデュアルコア判定システム
KR102444228B1 (ko) * 2021-08-03 2022-09-16 주식회사 팜듀에이아이 Blt요법에 근거한 인공지능 활용 개인맞춤형 영양제 추천 시스템
KR102455100B1 (ko) * 2022-04-27 2022-10-14 주식회사 엔라이즈 인공지능 기반 사용자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추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2231044A1 (ko) * 2021-04-30 2022-11-03 주식회사 와이즈셀렉션 건강기능식품과 영양성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48444A1 (ko) * 2021-09-27 2023-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30077843A (ko) *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마이필 건강기능식품 및 영양제 추천 시스템
KR102546789B1 (ko) 2022-11-08 2023-06-23 주식회사 메디푸드플랫폼 인공지능 기반의 성분 분석 및 의학적 근거를 활용하여 식품의 의학적 효능을 산출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4038964A1 (ko) * 2022-08-19 2024-02-22 주식회사 비티진 건강 관리 케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0143A (ko) * 2012-12-20 2014-06-30 (주)녹십자헬스케어 건강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60101413A (ko) * 2015-02-17 2016-08-25 주식회사 유비케어 고객 맞춤형 식품 및 영양제 추천 방법, 및 고객 맞춤형 식품 및 영양제 추천 시스템
KR101787030B1 (ko) * 2017-02-10 2017-10-18 허선정 건강상품 평가 및 건강상품 추천 온라인 시스템
KR20180097881A (ko) * 2017-02-24 2018-09-03 (주)에티모비타 개인별 맞춤 건강제 공급 단말기를 통한 건강관리방법
KR102005195B1 (ko) * 2018-09-28 2019-07-29 이민재 건강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0143A (ko) * 2012-12-20 2014-06-30 (주)녹십자헬스케어 건강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60101413A (ko) * 2015-02-17 2016-08-25 주식회사 유비케어 고객 맞춤형 식품 및 영양제 추천 방법, 및 고객 맞춤형 식품 및 영양제 추천 시스템
KR101787030B1 (ko) * 2017-02-10 2017-10-18 허선정 건강상품 평가 및 건강상품 추천 온라인 시스템
KR20180097881A (ko) * 2017-02-24 2018-09-03 (주)에티모비타 개인별 맞춤 건강제 공급 단말기를 통한 건강관리방법
KR102005195B1 (ko) * 2018-09-28 2019-07-29 이민재 건강관리 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6329A1 (ja) * 2021-02-16 2022-08-25 医療法人社団三輪会 個人栄養指導に関するデュアルコア判定システム
JP2022124636A (ja) * 2021-02-16 2022-08-26 医療法人社団三輪会 個人栄養指導に関するデュアルコア判定システム
JP7149007B2 (ja) 2021-02-16 2022-10-06 医療法人社団三輪会 個人栄養指導に関するデュアルコア判定システム
WO2022231044A1 (ko) * 2021-04-30 2022-11-03 주식회사 와이즈셀렉션 건강기능식품과 영양성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444228B1 (ko) * 2021-08-03 2022-09-16 주식회사 팜듀에이아이 Blt요법에 근거한 인공지능 활용 개인맞춤형 영양제 추천 시스템
WO2023048444A1 (ko) * 2021-09-27 2023-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30077843A (ko) *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마이필 건강기능식품 및 영양제 추천 시스템
KR102617327B1 (ko) * 2021-11-26 2023-12-27 주식회사 마이필 건강기능식품 및 영양제 추천 시스템
KR102405674B1 (ko) * 2022-02-24 2022-06-08 주식회사 필라이즈 인공지능을 이용한 코호트 분석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55100B1 (ko) * 2022-04-27 2022-10-14 주식회사 엔라이즈 인공지능 기반 사용자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추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30860B1 (ko) * 2022-06-08 2022-08-09 이성민 사용자 맞춤형 영양제 추천 시스템
WO2024038964A1 (ko) * 2022-08-19 2024-02-22 주식회사 비티진 건강 관리 케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KR102546789B1 (ko) 2022-11-08 2023-06-23 주식회사 메디푸드플랫폼 인공지능 기반의 성분 분석 및 의학적 근거를 활용하여 식품의 의학적 효능을 산출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40067783A (ko) 2022-11-08 2024-05-17 주식회사 메디푸드플랫폼 인공지능 기반의 성분 분석 및 의학적 근거를 활용하여 식품의 의학적 효능을 산출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554B1 (ko) 문진 데이터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nobloch-Westerwick et al. To your health: Self-regulation of health behavior through selective exposure to online health messages
Pingault et al. Nutrition and food systems. A report by the High Level Panel of Experts on Food Security and Nutrition of the Committee on World Food Security
US20180240359A1 (en) Biochmical and nutritional application platform
CN111883230B (zh) 饮食数据的生成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Chopra et al. Tobacco and obesity epidemics: not so different after all?
JP6112591B1 (ja) 創作物供給システム
Hafner et al. Evaluation of the ability of nutri-score to discriminate the nutritional quality of prepacked foods using a sale-weighting approach
Schneeman Evolution of dietary guidelines
Dibble et al. Evaluation of the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subjects, with a comparison between fall and spring.
Richardson Functional foods--shades of gray: an industry perspective
Katidi et al. Ultra-processed foods in the Mediterranean diet according to the NOVA classification system; a food level analysis of branded foods in Greece
Illario et al. NutriLive: An Integrated Nutritional Approach as a Sustainable Tool to Prevent Malnutrition in Older People and Promote Active and Healthy Ageing—The EIP‐AHA Nutrition Action Group
KR102360651B1 (ko) 의료분야 마이데이터를 이용한 목표질환 수치 개선용 개인 맞춤형 식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Mendoza-Velázquez et al. Affordable nutrient density in brazil: nutrient profiling in relation to food cost and NOVA category assignments
Bilal et al. On computing critical factors based healthy behavior index for behavior assessment
Rostami et al. World food atlas for food navigation
Hassan et al. Malaysian consumer knowledge and preferred information sources in selecting functional foods
KR102354400B1 (ko) 건강검진기기를 이용한 목표질환 수치 개선용 개인 맞춤형 식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Okello et al. Does information on food production technology affect consumers' acceptance of biofortified foods? Evidence from a field experiment in Kenya
Shand et al. Resources in women's social networks for food shopping are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better dietary quality than people: A cross-sectional study
Kim et al. Effect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on the intake of health functional foods: Implications for national health expenditure savings
Paulionis The changing face of food and nutrition i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older adults
Ruffin et al.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icture of Mild or Early Vitamin Deficiency and Laboratory Determinations of Vitamin Levels.
Arens-Volland et al. Semantic modeling for personalized dietary recommen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