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390B1 - 봉합사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포 - Google Patents

봉합사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390B1
KR102214390B1 KR1020190062615A KR20190062615A KR102214390B1 KR 102214390 B1 KR102214390 B1 KR 102214390B1 KR 1020190062615 A KR1020190062615 A KR 1020190062615A KR 20190062615 A KR20190062615 A KR 20190062615A KR 102214390 B1 KR102214390 B1 KR 102214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ical
fabric
cloth
stacked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708A (ko
Inventor
박종관
박준성
박준수
우선옥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북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북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390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20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 A61B46/23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with means to retain or hold surgical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40Drape material, e.g. laminates; Manufacture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합사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좌측과 우측의 절개된 각각의 조직에 연결된 봉합사 및 봉합사를 고정하는 수술도구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수술포를 구성하여, 수술 편의성을 높이고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봉합사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조직의 절개부위에 연결된 봉합사를 고정하기 위한 수술도구가 올려지는 수술포에 있어서, 상기 수술포는 직물재질로 이루어지고 적층되는 형태로 포개어지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적층되는 수술포의 마주보는 위치에는 구획수단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구획수단은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수술포의 적층과정에서 마주보는 구획수단을 서로 결합하여 적층된 수술포의 사이에 복수의 구획라인이 형성되어, 수술포에 올려진 수술도구가 구획라인 사이에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봉합사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포{Surgical Sterile Drape}
본 발명은 봉합사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좌측과 우측의 절개된 각각의 조직에 연결된 봉합사 및 봉합사를 고정하는 수술도구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수술포를 구성하여, 수술 편의성을 높이고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봉합사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포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절개가 이루어지는 모든 수술에는 수술용 실에 해당하는 봉합사가 사용된다. 이러한 봉합사는 절개부위가 닫힐 수 있도록 봉합하는 데에 사용되기도 하지만, 절개된 부분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여 수술공간을 확보하도록 절개된 조직 양측에 연결하고 끝 부분에는 겸자[鉗子]와 같은 수술용 가위(예: 모스퀴토)로 고정시켜 놓게 된다.
이와 같이 절개부위를 봉합사(또는 견인사)와 겸자를 이용하여 수술공간을 확보할 경우, 절개부위가 한 부분일 경우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절개부위가 좁은공간 내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되는 봉합사와 이의 끝을 고정하는 겸자의 수가 많아지면서 봉합사가 꼬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에 관한 비뇨의학과 수술의 예를 설명하자면, 음경 내 보형물을 삽입하는 수술의 경우, 좌,우 양쪽 음경의 백막을 세로로 길게 절개하여 봉합사를 절개된 백막의 양측 절개부위에 고정하여 각각 좌우로 당겨 음경해면체에 공간을 만들고 보형물을 삽입한 다음 양측해면체를 각각 봉합하는 형태로 수술이 이루어진다.
즉, 한쪽 음경 백막의 절개부위를 벌리기 위해 좌,우측으로 8개의 봉합사와 겸자가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양쪽의 음경백막을 절개할 경우 총 16개의 봉합사와 이를 고정하는 겸자가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절개부위가 좌측과 우측에 위치할 경우, 겸자를 올려놓는 수술포를 한쪽으로 이동시켜가면서 수술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겸자의 위치가 서로 흐트러지게 되고, 겸자가 서로 흐트러지면서 봉합사끼리 서로 꼬이거나 의도치않게 묶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봉합사가 꼬이거나 묶이게 될 경우, 해당부분을 일일이 풀어서 봉합을 해야되기 때문에, 수술시간이 늘어나 감염의 발생빈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수술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704534호(C-암 헤드 커버와 일체로 형성된 수술포)에는 C-암 헤드 커버와 일체로 형성된 수술포는 관통된 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구멍을 통해 술술하려는 수술 부위가 보이도록 환자의 신체를 덮으며, 고정 수단을 구비하여 환자의 신체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 1 커버 및 상기 제 1 커버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접이식 구조인 제 1 섹션 및 상기 제 1 섹션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하방으로 늘어뜨려진 형태를 갖는 제 2 섹션을 포함하, C-암 헤드가 C-암 테이블의 아래를 지나 위로 올라오는 경우 상기 제 1 섹션의 접이식 구조가 펴지면서 상기 제 1 섹션 또는 상기 제 1 섹션 및 상기 제 2 섹션이 상기 C-암 헤드를 덮는 제 2 커버를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수술포의 형상을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앞서 설명한 절개부위와 연결된 수술용 겸자가 서로 섞이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이 아니며, 이와 관련된 기술적 암시가 전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봉합사와 연결된 수술용 도구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구획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수술포를 다른 방향으로 옴겨서 포개어 놓더라도 봉합사가 꼬이거나 묶이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수술편의성을 높이고 수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봉합사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조직의 절개부위에 연결된 봉합사를 고정하기 위한 수술도구가 올려지는 수술포에 있어서, 상기 수술포는 직물재질로 이루어지고 적층되는 형태로 포개어지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적층되는 수술포의 마주보는 위치에는 구획수단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구획수단은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수술포의 적층과정에서 마주보는 구획수단을 서로 결합하여 적층된 수술포의 사이에 복수의 구획라인이 형성되어, 수술포에 올려진 수술도구가 구획라인 사이에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술포는; 좌측조직에 사용되는 수술도구를 거치할 수 있도록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적층부와, 우측조직에 사용되는 수술도구를 거치할 수 있도록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적층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측적층부는;좌측조직의 절개부 왼쪽에 연결되는 수술도구가 올려지는 좌방향 제1수술포와, 상기 좌방향 제1수술포의 상부에 적층되며, 좌측조직의 절개부 오른쪽에 연결되는 수술도구가 올려지는 좌방향 제2수술포와, 상기 좌방향 제2수술포에 올려진 수술도구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에 적층되는 좌방향 제3수술포;로 구성되고, 상기 우측적층부는; 우측조직의 절개부 오른쪽에 연결되는 수술도구가 올려지는 우방향 제1수술포와, 상기 우방향 제1수술포의 상부에 적층되며, 우측조직의 절개부 왼쪽에 연결되는 수술도구가 올려지는 우방향 제2수술포와, 상기 우방향 제2수술포에 올려진 수술도구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에 적층되는 우방향 제3수술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획수단은 암수 벨크로테이프의 결합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획수단은 일정구간만큼 가로방향으로 직선을 그리며 형성되되, 각각의 구획수단은 절개부위의 중심부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봉합사와 연결된 수술도구가 올려지는 수술포에서, 적층되는 수술포가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 구획수단을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수술도구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여, 봉합사의 꼬임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수술편의성 및 수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봉합사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좌측과 우측의 조직과 연결된 수술도구가 각각 올려지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수술용 포가 모두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좌방향과 우방향의 제1수술포에 연결단이 더 연장형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실시예에서 연결단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단이 결합된 실시예에서 당김수단이 더 형성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획수단 사이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더 형성하여 수술도구가 고정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구획수단의 형태를 달리한 또 다른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수술용 포에 거치대를 더 형성한 또 다른 실시예
도 10은 도 9실시예에서 거치대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수술포(10)는 조직의 절개부위에 연결된 봉합사를 고정하기 위해 겸자가위와 같은 수술도구(A)가 올려지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술포(10) 재질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직물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적층되는 형태로 포개어지도록 복수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봉합사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포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층되는 수술포(10)의 마주보는 위치에는 구획수단(20)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구획수단(20)은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수술포(10)의 적층과정에서 마주보는 구획수단(20)을 서로 결합하여 적층된 수술포(10)의 사이에 복수의 구획라인이 형성되어, 수술포(10)에 올려진 수술도구가 구획라인 사이에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한 좌측과 우측의 조직을 각각 별개의 수술부위로 절개한 상태로 이루어지는 수술에 적합한 기술로서, 좌측조직에 사용되는 수술도구를 거치할 수 있도록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적층부(100)와, 우측조직에 사용되는 수술도구를 거치할 수 있도록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적층부(2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좌측적층부(100)는;좌측조직의 절개부 왼쪽에 연결되는 수술도구가 올려지는 좌방향 제1수술포(110)와, 상기 좌방향 제1수술포(110)의 상부에 적층되며, 좌측조직의 절개부 오른쪽에 연결되는 수술도구가 올려지는 좌방향 제2수술포(120)와, 상기 좌방향 제2수술포(120)에 올려진 수술도구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에 적층되는 좌방향 제3수술포(130);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우측적층부(200)는; 좌측적층부(100)와 대칭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측조직의 절개부 오른쪽에 연결되는 수술도구가 올려지는 우방향 제1수술포(210)와, 상기 우방향 제1수술포(210)의 상부에 적층되며, 우측조직의 절개부 왼쪽에 연결되는 수술도구가 올려지는 우방향 제2수술포(220)와, 상기 우방향 제2수술포(220)에 올려진 수술도구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에 적층되는 우방향 제3수술포(230);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방향 제1수술포(110),(210)와 좌,우방향 제2수술포(120),(220) 사이에는 첫 번째 층에 해당하는 수술도구들이 배치되며, 좌,우방향 제2수술포(120),(220)와 좌,우방향 제3수술포(130),(230) 사이에는 두 번째 층에 해당하는 수술도구들이 배치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좌측적층부(100)와 우측적층부(200)는 좌,우측 조직의 방향에 맞게 배치한 것으로서, 수술과정에서 좌측조직 또는 우측조직을 벌리기 위해서 어느 한쪽의 수술포(10)가 반대편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좌측조직을 다시 벌리기 위해서 좌측적층부(100)의 좌방향 제1수술포(110)를 제외한 나머지에 해당하는 좌방향 제2수술포(120), 좌방향 제3수술포(130)를 우측적층부(200) 방향으로 넘길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획수단(20)은 적층된 수술포(10)의 마주보는 부분끼리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복수의 구획라인을 형성하고, 구획라인 사이마다 수술도구가 독립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구획수단(20)은 하나의 수술포(10)에 올려진 다수의 수술도구가 서로 흐트러지지 않고 정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하여 수술도구에 고정된 봉합사끼리 서로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획수단(20)은 하나의 수술포(10)에 5군데 형성되어 4개의 수술도구가 거치 되도록 도면상에 도시되었지만, 이는 조직의 절개부분에 연결된 봉합사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획수단(20)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암수 벨크로테이프의 결합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똑딱이 단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사용편의성 및 제조비용을 고려할 때 벨크로테이프로 적용되는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상기 구획수단(2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구간만큼 가로방향으로 직선을 그리며 형성되되, 각각의 구획수단(20)은 절개부위의 중심부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조직의 절개부분보다 수술포(10)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수술포(10)에 배치된 수술도구의 각도에 맞게 구획수단(20) 역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좌방향 제1수술포(110)와 우방향 제1수술포(2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단(300)이 형성되고, 연결단(300)의 끝부분에 각각 형성된 결합부(310)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단(300)에 의해 좌측적층부(100)와 우측적층부(200)가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수술 편의성을 높이고 수술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단(300)에 형성된 결합부(310)의 형태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수 벨크로 테이프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좀 더 강한 결합력을 위해 똑딱이 단추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단(300)은 모든 좌측과 우측에 배치된 모든 수술포(10)에 형성되어 각 층마다 연결되는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지만, 적층된 수술포(10)끼리는 서로 구획수단(20)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방향 제1수술포(110),(210)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연결단(300)에 의해 좌,우방향 제1수술포(110),(210)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외측에 결합된 당김수단(320)에 의해 바깥쪽으로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당김수단(320)을 더 포함함으로써, 좌,우방향 제1수술포(110),(210)가 중앙에 절개된 조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수술에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당김수단(320)은 J자 형태의 후크를 가진 고무줄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획수단(20) 사이에 별도의 고정수단(400) 더 형성하여 수술도구가 고정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고정수단(400)에 의해 수술도구가 절개된 조직방향으로 의도치않게 당겨져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400)은 직물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직물재질로 구성될 경우, 수술도구의 끝 부분만을 감쌀 수 있도록 한 밴드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체결가능한 형태로 구성하여 개방한 상태에서 수술도구를 위치한 다음 벨크로 테이프나 똑딱이 단추와 같은 구성으로 고정되는 형태가 좋다.
그리고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경우, 고정수단을 체결가능한 형태가 아닌 일체로 형성된 구조가 좋다. 이때 봉합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횡 방향으로 홈이 필수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고정수단의 전반적인 형상은 도면과 같이 조직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획수단(20) 간격을 수술도구의 크기에 맞게 조절하여 구획수단(20)만으로 수술도구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하나의 수술도구에 한 쌍의 구획수단(20)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구획수단(20)의 일측에 다수의 봉합사가 각각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홈(510)이 형성된 거치대(5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5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되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거치홈(510)의 형태는 " Y " 자 형태로 구성하여 봉합사를 간편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거치대(500)는 각각의 봉합사를 거치함으로써 봉합사의 꼬임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수술도구가 조직방향으로 당겨지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상기 거치대(500)는 수술포(10)는 서로 재질이 다르기 때문에, 거치대(500)가 수술포(10)에 형성되기 위해서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거치대(500)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수술도구 10 : 수술포
20 : 구획수단 100 : 좌측적층부
110 : 좌방향 제1수술포 120 : 좌방향 제2수술포
130 : 좌방향 제3수술포 200 : 우측적층부
210 : 우방향 제1수술포 220 : 우방향 제2수술포
230 : 우방향 제3수술포 300 : 연결단
310 : 결합부 320 : 당김수단
400 : 고정수단 500 : 거치대
510 : 거치홈

Claims (5)

  1. 조직의 절개부위에 연결된 봉합사를 고정하기 위한 수술도구(A)가 올려지는 수술포(10)에 있어서,
    상기 수술포(10)는 직물재질로 이루어지고 적층되는 형태로 포개어지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적층되는 수술포(10)의 마주보는 위치에는 구획수단(20)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구획수단(20)은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수술포(10)는, 좌측조직에 사용되는 수술도구를 거치할 수 있도록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적층부(100)와, 우측조직에 사용되는 수술도구를 거치할 수 있도록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적층부(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적층부(100)는;좌측조직의 절개부 왼쪽에 연결되는 수술도구가 올려지는 좌방향 제1수술포(110)와, 상기 좌방향 제1수술포(110)의 상부에 적층되며, 좌측조직의 절개부 오른쪽에 연결되는 수술도구가 올려지는 좌방향 제2수술포(120)와, 상기 좌방향 제2수술포(120)에 올려진 수술도구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에 적층되는 좌방향 제3수술포(130);로 구성되고, 상기 우측적층부(200)는; 우측조직의 절개부 오른쪽에 연결되는 수술도구가 올려지는 우방향 제1수술포(210)와, 상기 우방향 제1수술포(210)의 상부에 적층되며, 우측조직의 절개부 왼쪽에 연결되는 수술도구가 올려지는 우방향 제2수술포(220)와, 상기 우방향 제2수술포(220)에 올려진 수술도구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에 적층되는 우방향 제3수술포(230);로 구성되며,
    상기 수술포(10)의 적층과정에서 마주보는 구획수단(20)을 서로 결합하여 적층된 수술포(10)의 사이에 복수의 구획라인이 형성되어, 수술포(10)에 올려진 수술도구가 구획라인 사이에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수단(20)은 암수 벨크로테이프의 결합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수단(20)은 일정구간만큼 가로방향으로 직선을 그리며 형성되되, 각각의 구획수단(20)은 절개부위의 중심부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포



KR1020190062615A 2019-05-28 2019-05-28 봉합사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포 KR102214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615A KR102214390B1 (ko) 2019-05-28 2019-05-28 봉합사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615A KR102214390B1 (ko) 2019-05-28 2019-05-28 봉합사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708A KR20200136708A (ko) 2020-12-08
KR102214390B1 true KR102214390B1 (ko) 2021-02-08

Family

ID=73779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615A KR102214390B1 (ko) 2019-05-28 2019-05-28 봉합사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3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3233A1 (en) * 2002-07-25 2004-04-15 Jannot Paul R. Suture and clamp retainer and organizer
KR200488431Y1 (ko) 2018-08-10 2019-01-30 박재민 캐뉼라 시술용 피부 보호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4311A (en) * 1988-03-09 1990-07-31 Jodel Medical Products, Inc. Surgical instrument retainer
KR20130024443A (ko) * 2011-08-31 2013-03-08 주식회사 세만텍 환자용 위생보호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3233A1 (en) * 2002-07-25 2004-04-15 Jannot Paul R. Suture and clamp retainer and organizer
KR200488431Y1 (ko) 2018-08-10 2019-01-30 박재민 캐뉼라 시술용 피부 보호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708A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1060B1 (en) Prosthetic implant for obstructing an anatomical duct, and obstructing assembly comprising same
JP4425136B2 (ja) 埋め込み型プロテーゼ
JP6491684B2 (ja) 埋め込み型プロテーゼのための取り外し可能な展開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S2282484T3 (es) Protesis implantable.
US10524771B2 (en) Organ retraction device
EP1372525B1 (en) Pocketed hernia repair
US4033341A (en) Surgical drape having improved retaining means
US5769214A (en) Suture pack
US20230118607A1 (en) Y-shaped sacrocolpopexy support
US20110240039A1 (en) Surgical drape having tearable sheet
US9554886B2 (en) Medical assembly with tactile feedback
KR102214390B1 (ko) 봉합사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포
JPH0847526A (ja) 縫合補綴材
US11058589B2 (en) Surgical sponge
US11065158B2 (en) Surgical sponge
EP0807450A1 (en) Surgical devices
CN216985151U (zh) 腹腔镜手术孔巾
US20070044211A1 (en) Post surgical abnominal splint; non-latex
CN220801105U (zh) 一种多功能剖单
US20220338970A1 (en) Kits for surgical repair of soft tissue defects and components, packaging,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S6143458Y2 (ko)
WO2019226206A1 (en) Surgical sponge
JP2021513373A (ja) 外科用パッドおよびその入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