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361B1 - Wire fixing bracket for joint of wire driven robot and wire driven robot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ire fixing bracket for joint of wire driven robot and wire driven robot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361B1
KR102214361B1 KR1020190052804A KR20190052804A KR102214361B1 KR 102214361 B1 KR102214361 B1 KR 102214361B1 KR 1020190052804 A KR1020190052804 A KR 1020190052804A KR 20190052804 A KR20190052804 A KR 20190052804A KR 102214361 B1 KR102214361 B1 KR 102214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ing bracket
driven robot
robot joint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8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29209A (en
Inventor
조정산
김정영
박상신
김진탁
김진현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5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361B1/en
Publication of KR20200129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2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3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 B25J9/1045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comprising tensio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05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comprising adjusting means
    • B25J9/1015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comprising adjusting means using additional, e.g. microadjustment of the end eff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articulated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장력의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고, 미세한 위치 조정을 통해 와이어의 장력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은, 구동와이어에 의해 회동가능한 회전요소에 고정된 고정상태 또는 상기 구동와이어의 장력 방향을 따라 위치조절됨에 따라 상기 구동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상태로 전환 가능한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와이어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fixing bracket of a wire-driven robot joint capable of fixing a high-tensile wire and finel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wire through fine position adjustment, and a wire-driven robot joint having the same.
For this purpose, the wire fixing bracket of the wire-driven robot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tension of the driving wire in a fixed state fixed to a rotating element rotatable by a driving wire or as the position is adjusted along the tension direction of the driving wire. Mounting unit switchable to a variable state; And a locking part provided on the mounting part to catch and fix the driving wire.

Description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WIRE FIXING BRACKET FOR JOINT OF WIRE DRIVEN ROBOT AND WIRE DRIVEN ROBOT HAVING THE SAME}Wire fixing bracket of wire-driven robot joint and wire-driven robot joint equipped with the same {WIRE FIXING BRACKET FOR JOINT OF WIRE DRIVEN ROBOT AND WIRE DRIVEN ROBO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장력의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고, 미세한 위치 조정을 통해 와이어의 장력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fixing bracket of a wire-driven robot joint and a wire-driven robot joint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wire having a high tension can be fixed, and the tension of the wire can be finely adjusted through fine position adjust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fixing bracket of a wire-driven robot joint and a wire-driven robot joint having the same.

최근 인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인간형 로봇(안드로이드 및 휴머노이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Recently, research on humanoid robots (Android and humanoids) that can take over the role of humans is actively being conducted.

이러한 인간형 로봇이 사회의 일원으로 주어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연스러운 운동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로봇 관절이 필요하다. In order for such a humanoid robot to perform a given task as a member of society, a robot joint capable of implementing natural movement functions is required.

로봇 관절의 일예로 모터를 관절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이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동력 전달력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좋은 장점이 있지만,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As an example of a robot joint, there is a method of directly attaching a motor to a joint, and this method has advantages of excellent power transmission and good durability, but has a disadvantage of taking up a lot of space.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와이어를 이용하는 텐던(tendon) 방식의 로봇 관절이 개발되었다. In order 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a tendon type robot joint using a wire has been developed.

이러한 텐던 방식의 로봇 관절은 와이어를 이용함으로써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소형의 관절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s tendon-type robot joint has the advantage of implementing a small joint by using a wire to take up less space.

그러나, 텐던 방식의 로봇 관절은 반복적인 관절 구동에 따른 와이어의 장력이 느슨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tendon-type robot joint has a problem in that the tension of the wire is loosened due to repeated joint driving, a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tension of the wire.

공개특허 제2013-0051357호(공개일:2013. 5. 20.)Publication Patent No. 2013-0051357 (published date: 2013. 5. 20.)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장력의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고, 미세한 위치 조정을 통해 와이어의 장력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more specifically, of a wire-driven robot joint capable of fixing a high tension wire and finel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wire through fine positioning. To provide a wire fixing bracket and a wire-driven robot joint having the sam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은, 구동와이어에 의해 회동가능한 회전요소에 고정된 고정상태 또는 상기 구동와이어의 장력 방향을 따라 위치조절됨에 따라 상기 구동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상태로 전환 가능한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와이어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The wire fixing bracket of the wire-driven robot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fixed state fixed to a rotating element rotatable by a driving wire or the position of the driving wir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tension direction of the driving wire. A mounting unit that can be switched to a variable state capable of adjusting tension; And a locking part provided in the mounting part to catch and fix the driving wire.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부는, 상기 구동와이어의 장력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장공홀; 및 일측이 상기 장공홀의 일지점 상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장공홀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요소에 체결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mounting portion, at least one long hole formed to extend along the tension direction of the drive wire; And a fastener whose one side is located on one point of the long hole and the other side penetrates the long hole and is fastened to the rotating element.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구가 상기 장공홀의 일지점을 가압하도록 상기 회전요소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장착부가 고정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장공홀의 일지점에 대한 상기 체결구의 가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장착부가 가변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as the fastener is fastened to the rotating element to pressurize a point of the long hole, the mounting portion is switched to a fixed state, and the mounting portion is variable as the pressing force of the fastener against a point of the long hole is released. It can be configured to transition to a state.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요소에는 상기 체결구의 타측이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at least one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astener is fastened may be formed in the rotating element.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요소는 원통형 표면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회전요소의 원통형 표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rotating element is formed to include a cylindrical surface, and the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surface of the rotating element.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부는 상기 장착부의 일측 외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의 타측은 두께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lock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thickness becomes smaller.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요소의 원통형 표면과의 단차를 보상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an inclined surface for compensating for a step difference with the cylindrical surface of the rotating element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요소는 대직경 원주부; 및 상기 대직경 원주부의 양측에 단차를 두고 형성된 소직경 원주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회전요소의 대직경 원주부와 상기 소직경 원주부의 단차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소직경 원주부에 삽입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rotating element includes a large diameter circumferential portion; And a small-diameter circumferential portion formed with a step difference on both sides of the large-diameter circumferential portion,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has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 large-diameter circumferential portion and the small-diame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rotating element. It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inserted into the small diameter circumference.

바람직하게, 상기 장공홀은 복수개로 형성되되, 일부의 장공홀에는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여 체결되고, 나머지 장공홀에는 상기 장착부의 외표면과 높이차를 보상하는 스페이서가 구비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long hole is formed in a plurality, the fastener is fastened through some of the long hole, and the remaining long hole may be provided with a spacer for compensating the height differenc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장공홀은 이웃하는 체결공의 사이 간격 2배 내지 3배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long hole may be form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2 to 3 times the interval between adjacent fastening holes.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요소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일측 원주면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회전요소의 연장부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rotating element, the cylindrical portion; And an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from on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art, and the mounting part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part of the rotating element.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부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는 상기 구동와이어의 반대방향으로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lock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locking projection may be formed at an end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iving wire.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부는 한 쌍의 힌지편, 상기 한 쌍의 힌지편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된 힌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locking par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hinge pieces and a hinge pin provided to cross the pair of hinge piece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높은 장력의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고, 미세한 위치 조정을 통해 와이어의 장력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ix the wire of high tension and finel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wire through fine positioning.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wire-driven robot joint provided with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wire-driven robot joint equipped with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wire-driven robot joint provided with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wire-driven robot joint equipped with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wire-driven robot joint provided with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wire-driven robot joint equipped with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wire-driven robot joint provided with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wire-driven robot joint equipped with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wire-driven robot joint provided with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wire-driven robot joint equipped with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r main features thereof.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connected' or'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directly connected' or'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또는 ‘구비하다’,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include','include','have', etc.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or further other features, is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은, 장착부와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wire fixing bracket of the wire-driven robot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portion and a locking portion.

상기 장착부는, 구동와이어에 의해 회동가능한 회전요소에 고정된 고정상태 또는 상기 구동와이어의 장력 방향을 따라 위치조절됨에 따라 상기 구동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상태로 전환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to be switched to a fixed state fixed to a rotating element rotatable by a driving wire or a variable state capable of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driving wire as the position is adjusted along the tension direction of the driving wire.

상기 걸림부는,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와이어가 걸려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The lock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mounting portion and is formed so that the driving wire is caught and fix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의 정면도로서,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wire-driven robot joint equipped with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wire provided with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driving robot joint,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I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wire fixing bracket of the wire-driven robot joint according to.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을 구성하는 원통형 표면(210)을 갖는 풀리와 같은 회전요소(200)에 장착된다. Wire fixing bracket 100 of the wire-driven robot joi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and 2, a rotating element such as a pulley having a cylindrical surface 210 constituting the wire-driven robot joint ( 200).

상기 와이어 고정 브라켓(100)은 장착부(110)와 걸림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wire fixing bracket 100 includes a mounting portion 110 and a locking portion 120.

상기 장착부(110)는 고정상태와 가변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다. The mounting unit 110 can be switched to one of a fixed state and a variable state.

상기 고정상태는 구동와이어(WF, WR)에 의해 회동가능한 회전요소(200)에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가변상태는 상기 구동와이어(WF, WR)의 장력 방향을 따라 위치조절됨에 따라 상기 구동와이어(WF, WR)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상태이다. The fixed state is a state fixed to the rotating element 200 rotatable by the driving wires WF and WR, and the variable state is the driving wire as the position is adjusted along the tension direction of the driving wires WF and WR. The tension of (WF, WR) can be adjusted.

상기 걸림부(120)는 상기 장착부(110)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와이어(WF, WR)의 단부가 걸려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The locking part 120 is provided on the mounting part 110 and is formed such that ends of the driving wires WF and WR are caught and fixed.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부(110)는 상기 구동와이어(WF, WR)의 장력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예컨대, 상기 장착부(110)는 상기 회전요소(200)의 원통형 표면(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ounting portion 110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tension direction of the driving wire (WF, WR), for example, the mounting portion 110 i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surface 210 of the rotating element 200 It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extending along the line.

또한, 상기 구동와이어(WF, WR)의 장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상기 장착부(110)의 일측의 두께(d1)는 타측의 두께(d2)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일측에서 타측을 향할수록 점점 두께가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d1) of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10, where the tension of the driving wires (WF, WR) acts the greatest, is formed thicker than the thickness (d2) of the other side, and the thickness gradually increases from one side toward the other It can be formed to be small.

상기 구동와이어(WF, WR)는 정방향 구동와이어(WF)와 역방향 구동와이어(WR)로 구분될 수 있고, 정방향 구동와이어(WF)에 의해 상기 회전요소(200)가 정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역방향 구동와이어(WR)에 의해 상기 회전요소(200)가 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될 수 있다. The driving wires (WF, WR) may be divided into a forward driving wire (WF) and a reverse driving wire (WR), and the rotating element 200 is rotated in a forward direction by a forward driving wire (WF), and The rotating element 200 may be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driving wire WR.

한편, 상기 장착부(110)는 상기 구동와이어(WF, WR)의 장력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장공홀(111)과, 상기 장공홀(111)을 통해 상기 회전요소(200)에 체결되는 체결구(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Meanwhile, the mounting par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long hole 1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extend along the tension direction of the driving wires WF and WR, and the rotation element 200 through the long hole 11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astener 113 that is fastened to.

상기 장공홀(111)은 등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체결구(113)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ong hole 111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equal intervals, the fastener 113 may be composed of a bolt.

상기 체결구(113)의 일측 머리 부분이 상기 장공홀(111)의 일지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체결구(113)의 타측 나사산 부분이 상기 장공홀(111)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요소(200)에 체결된다. One head portion of the fastener 113 is located on a point of the long hole 111, and the other side threaded portion of the fastener 113 penetrates the long hole 111 so that the rotating element 200 Is fastened to.

이때, 상기 회전요소(200)에는 상기 체결구(113)의 타측 나사산 부분이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공(200h)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rotation element 2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00h through which the other threaded portion of the fastener 113 is fastened.

상기 장공홀(111)은 이웃하는 체결공(200h)의 사이 간격 2배 내지 3배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ong hole 111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wo to three times the interval between adjacent fastening holes 200h.

예를 들어, 이웃하는 체결공(200h)의 사이 간격 2배에 해당하는 길이로 상기 장공홀(111)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장공홀(111)의 일측이 하나의 체결공(200h)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장공홀(111)의 타측이 이웃하는 다른 체결공(200h)에 대응하여 위치함에 따라 최대 2개의 체결구(113)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long hole 111 is formed with a length equal to twice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fastening holes 200h, one side of the long hole 111 corresponds to one fastening hole 200h It is positioned so that, as the other side of the long hole 111 is positioned corresponding to another adjacent fastening hole 200h, a maximum of two fasteners 113 may be inserted and fastened.

한편, 구동와이어(WF, WR)의 장력 조절을 위해 와이어 고정 브라켓(100)의 위치가 조정된 경우에는 하나의 체결구(113)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sition of the wire fixing bracket 100 is adjust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driving wires WF and WR, one fastener 113 may be inserted and fastened.

또한, 이웃하는 체결공(200h)의 사이 간격 3배에 해당하는 길이로 상기 장공홀(111)이 형성된 경우에는, 구동와이어(WF, WR)의 장력 조절을 위해 와이어 고정 브라켓(100)의 위치가 조금 조정이 되더라도 2개의 체결구(113)를 그대로 삽입하여 체결이 유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ong hole 111 is form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ree times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fastening holes 200h, the position of the wire fixing bracket 100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driving wires (WF, WR) Even if is slightly adjusted, the fastening can be maintained by inserting the two fasteners 113 as they are.

상술한 바와 같은 장착부(110)는 상기 체결구(113)가 상기 장공홀(111)의 일지점을 가압하도록 상기 회전요소(200)에 체결됨에 따라 고정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장공홀(111)의 일지점에 대한 상기 체결구(113)의 가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가변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The mounting portion 110 as described above is converted to a fixed state as the fastener 113 is fastened to the rotating element 200 to press a point of the long hole 111, and the long hole 111 As the pressing force of the fastener 113 for one point of is released, it may be converted into a variable state.

즉, 체결구(113)를 조여서 장착부(110)가 회전요소(200)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체결구(113)를 풀어서 장착부(110)의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by tightening the fastener 113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110 is fixed to the rotating element 200, or by loosening the fastener 113,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10 can be adjusted.

상기 걸림부(120)는 상기 장착부(110)의 일측 외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구동와이어(WF, WR)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 부분이 걸려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The locking portion 120 is formed to protrude from an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10, and is formed to be fixed by hooking portions formed at ends of the driving wires WF and WR.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120)는 상기 장착부(110)의 일측 단부 외측 표면에서 방사 방향을 향하여 원통형의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locking part 120 is formed to protrude in a cylindrical shape from an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mounting part 110 in a radial direction.

한편, 상기 걸림부(120)의 단부에는 상기 구동와이어(WF, WR)가 연장된 반대방향으로 걸림턱(121)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locking protrusion 121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locking part 120 in a direction opposite to which the driving wires WF and WR extend.

그리고, 상기 걸림부(120)와 근접한 상기 장착부(110)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요소(200)의 원통형 표면(210)과의 단차를 보상하는 경사면(115)이 형성되며, 이러한 경사면(115)에 의해 상기 구동와이어(WF, WR)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inclined surface 115 for compensating for a step difference with the cylindrical surface 210 of the rotating element 2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10 adjacent to the locking portion 120, and on the inclined surface 115 Accordingly, damage to the driving wires WF and WR can be preven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wire-driven robot joint equipped with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wire provided with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driving robot joint. Hereinafter, a wire fixing bracket of a wire driving robot joi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1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20)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구성된다. The wire fixing bracket 100 of the wire-driven robot joi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S. 4 and 5,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part 120,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do.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100)을 구성하는 걸림부(120)는 한 쌍의 힌지편(123), 상기 한 쌍의 힌지편(123)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된 힌지핀(1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locking portion 120 constituting the wire fixing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hinge pieces 123 and a hinge pin 125 provided to cross the pair of hinge pieces 123 Consists of including.

즉, 제2실시예의 걸림부(120)는 장착부(110)의 일측 외표면 양측에 각각 힌지편(123)이 돌출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한 쌍의 힌지편(123)을 관통하여 힌지핀(125)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구동와이어(WF, WR)는 상기 힌지핀(125)에 걸려지도록 연결된다. That is, the locking portion 12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formed so that the hinge pieces 123 protrude on both sides of on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10, respectively, and penetrates the pair of hinge pieces 123 to pass through the hinge pins ( 125) is configured to be fixed, and the driving wires WF and WR are connected to be caught by the hinge pin 125.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wire-driven robot joint equipped with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wire provided with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driving robot joint. Hereinafter, a wire fixing bracket of a wire driving robot joi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제3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1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10)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구성된다. The wire fixing bracket 100 of the wire-driven robot joi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S. 6 and 7,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10,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Is composed.

제1실시예의 장착부(110)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었지만, 제3실시예의 장착부(1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mounting portion 110 of the first embodiment is formed in an arc shape, but the mounting portion 110 of the third embodiment is formed in a ring shape.

한편, 상기 회전요소(200)는 대직경 원주부(210A) 및 상기 대직경 원주부(210A)의 양측에 단차를 두고 형성된 소직경 원주부(210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element 200 is formed to include a large-diameter circumferential portion 210A and a small-diameter circumferential portion 210B formed with a step on both sides of the large-diameter circumferential portion 210A.

따라서, 링 형상의 장착부(110)가 상기 소직경 원주부(210B)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장착부(110)는 상기 회전요소(200)의 대직경 원주부(210A)와 상기 소직경 원주부(210B)의 단차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Therefore, the ring-shaped mounting portion 110 is coupled in the form of being inserted into the small-diameter circumferential portion 210B, and the mounting portion 110 is the large-diameter circumferential portion 210A and the small-diameter circumferential portion 210B of the rotating element 200 It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step difference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210B.

상기 장착부(110)에 형성되는 장공홀(111)은 등각도로 배열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며, 제3실시예에서는 90°각도로 총 4개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The long hole 111 formed in the mounting part 110 is arranged at an isometric angle to form a plurality, and in the third embodiment, a total of four holes are formed at a 90° angle.

한편, 상기 장공홀(111) 중에서 구동와이어(WF, WR)의 장력이 작용하여 밀착되는 부분은 스페이서(111S)가 삽입되어, 구동와이어(WF, WR)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 spacer 111S is inserted in a portion of the long hole 111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ving wires WF and WR,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driving wires WF and WR.

즉, 일부의 장공홀(111)에는 상기 체결구(113)가 관통하여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장공홀(111)에는 상기 장착부(110)의 외표면과 높이차를 보상하는 스페이서(111S)가 구비되어 구동와이어(WF, WR)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That is, some of the long hole 111 is fastened through the fastener 113 to maintain a fixed state, and the remaining long hole 111 is a spacer that compensates for the difference in heigh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10 (111S) is provided to prevent damage to the drive wires WF and WR.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wire-driven robot joint provided with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wire provided with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driving robot joint. Hereinafter, a wire fixing bracket of a wire driving robot join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제4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1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10)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3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구성된다. The wire fixing bracket 100 of the wire-driven robot join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8 and 9,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10,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third embodiment. Is composed.

제4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100)을 구성하는 장착부(110)는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장공홀(111)의 형성 갯수에 있어서 제3실시예와 상이하다. The mounting portion 110 constituting the wire fixing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formed in a ring shape as in the third embodiment, but differs from the third embodiment in the number of formations of the long hole 111.

구체적으로, 제3실시예의 장착부(110)는 90°각도로 총 4개의 장공홀(111)이 형성되는 반면, 제4실시예의 장착부(110)는 90°각도로 총 2개의 장공홀(111)이 이웃하여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mounting portion 110 of the third embodiment has a total of four long hole 111 at a 90° angle, whereas the mounting portion 110 of the fourth embodiment has a total of two long hole 111 at a 90° angle. Is formed by neighboring.

즉, 제3실시예의 스페이서(111S)가 장착되던 장공홀(111)이 막힌 형태로 형성되며, 구동와이어(WF, WR)의 손상을 방지하는 별도의 스페이서(111S)가 없게 된다. That is, the long hole 111 in which the spacer 111S of the third embodiment is mounted is formed in a closed form, and there is no separate spacer 111S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driving wires WF and WR.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wire-driven robot joint equipped with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wire provided with a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driving robot joint. Hereinafter, a wire fixing bracket of a wire driving robot join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제5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100)은,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부(221)와 연장부(223)를 포함하여 형성된 회전요소(200)의 연장부(223)에 장착된다. Wire fixing bracket 100 of the wire-driven robot join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0 and 11, of a rotating element 200 formed including a cylindrical portion 221 and an extension portion 223 It is mounted on the extension 223.

상기 회전요소(2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와이어(WF, WR)가 감기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원통부(221)와, 상기 원통부(221)에 감겨 연장된 구동와이어(WF, WR)가 고정되는 연장부(2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부(223)는 상기 원통부(221)의 일측 원주면에서 반지름 방향을 향하여 연장형성된다. As shown in FIG. 11, the rotating element 200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221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driving wires WF and WR are wound, and a driving wire wound around the cylindrical portion 221 and extending ( It consists of an extension part 223 to which the WF and WR are fixed, and the extension part 223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art 221 toward a radial direction.

상기 연장부(223)에는 체결구(113)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공(200h)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110)에는 장공홀(11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113)는 상기 장공홀(111)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200h)에 체결된다.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00h into which the fasteners 113 are fastened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extension part 223, and a long hole 111 is formed in the mounting part 110, and the fastener 113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200h through the long hole 111.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ous and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is descrip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cover these many variations.

WF:정방향 구동와이어 WR:역방향 구동와이어
100:와이어 고정 브라켓 110:장착부
111:장공홀 111S:스페이서
113:체결구 115:경사면
120:걸림부 121:걸림턱
123:힌지편 125:힌지핀
200:회전요소 200h:체결공
210:원통형 표면 210A:대직경 원주부
210B:소직경 원주부 221:원통부
223:연장부
WF: Forward drive wire WR: Reverse drive wire
100: Wire fixing bracket 110: Mounting part
111: long hole 111S: spacer
113: fastening port 115: slope
120: jamming part 121: jamming jaw
123: hinge piece 125: hinge pin
200: rotating element 200h: fastening
210: cylindrical surface 210A: large diameter cylindrical portion
210B: small diameter cylindrical part 221: cylindrical part
223: extension

Claims (15)

대직경 원주부 및 상기 대직경 원주부의 양측에 단차를 두고 형성된 소직경 원주부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텐던구동와이어에 의해 회동가능한 회전요소에 고정된 고정상태 또는 상기 텐던구동와이어의 장력 방향을 따라 위치조절됨에 따라 상기 텐던구동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상태로 전환 가능한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외측에 원통형의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단부에는 상기 텐던구동와이어의 반대방향으로 걸림턱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텐던구동와이어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착부는,
상기 회전요소의 대직경 원주부와 상기 소직경 원주부의 단차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직경 원주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대직경 원주부의 표면과 상기 장착부의 표면에 단차가 상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텐던구동와이어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
A fixed state fixed to a rotating element rotatable by a tendon drive wire or a tension direction of the tendon drive wire formed including a large diameter circumference part and a small diameter circumference part formed with a step on both sides of the large diameter circumference part A mounting unit that can be switched to a variable state capable of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tendon driving wire as the position is adjusted;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ck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outsid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tendon driving wire is hooked and fixed as a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at an end por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endon driving wire,
The mounting portion,
It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large-diameter circumferential portion and the small-diame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rotating element and is inserted into the small-diameter circumferential portion, so that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large-diameter circumferential portion and th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be offset, the wire fixing bracket of the wire-driven robot join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event damage to the tendon driving w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텐던구동와이어의 장력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장공홀; 및 일측이 상기 장공홀의 일지점 상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장공홀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요소에 체결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At least one long hole formed to extend along the tension direction of the tendon driving wire; And a fastener whose one side is positioned on one point of the long hole and the other side penetrates the long hole and is fastened to the rotating ele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가 상기 장공홀의 일지점을 가압하도록 상기 회전요소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장착부가 고정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장공홀의 일지점에 대한 상기 체결구의 가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장착부가 가변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2,
As the fastener is fastened to the rotating element to press a point of the long hole, the mounting portion is converted to a fixed state, and as the pressing force of the fastener against a point of the long hole is released, the mounting portion is switched to a variable state. Wire fixing bracket of the wire-driven robot join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요소에는 상기 체결구의 타측이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2,
The wire fixing bracket of the wire-driven robot joi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fastening hole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astener is fastened is formed in the rotating ele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홀은 복수개로 형성되되, 일부의 장공홀에는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여 체결되고, 나머지 장공홀에는 상기 장착부의 외표면과 높이차를 보상하는 스페이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2,
A wire-driven robot joint, characterized in that the elongated hole is formed in plural, and some of the long hole is fastened through the fastener, and the remaining long hole is provided with a spacer for compensating the height differenc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Wire fixing brack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홀은 이웃하는 체결공의 사이 간격 2배 내지 3배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의 와이어 고정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4,
The long hole hole is a wire fixing bracket for a wire-driven robot join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2 to 3 times the interval between adjacent fastening hol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10항,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와이어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와이어 구동 로봇관절. A wire-driven robot joint provided with the wir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3, 4, 10 and 11.
KR1020190052804A 2019-05-07 2019-05-07 Wire fixing bracket for joint of wire driven robot and wire driven robot having the same KR1022143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804A KR102214361B1 (en) 2019-05-07 2019-05-07 Wire fixing bracket for joint of wire driven robot and wire driven robot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804A KR102214361B1 (en) 2019-05-07 2019-05-07 Wire fixing bracket for joint of wire driven robot and wire driven robot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209A KR20200129209A (en) 2020-11-18
KR102214361B1 true KR102214361B1 (en) 2021-02-15

Family

ID=73697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804A KR102214361B1 (en) 2019-05-07 2019-05-07 Wire fixing bracket for joint of wire driven robot and wire driven robot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3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240B1 (en) * 2022-05-04 2024-04-09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Joint apparatus for robo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5229A (en) * 2005-04-02 2006-10-19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device
JP2011094441A (en) * 2009-11-02 2011-05-12 Yamau Co Ltd Existing waterway repairing panel and waterway repairing method
US20180079074A1 (en) * 2016-09-16 2018-03-22 Verb Surgical Inc. Belt termination and tensioning in a pulley arrangement for a robotic ar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667B2 (en) * 1991-07-29 2000-04-1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Transfer device
JP5177706B2 (en) * 2010-07-15 2013-04-10 村田機械株式会社 Double scalar arm
KR101280356B1 (en) 2011-11-09 2013-07-01 한국과학기술원 Apparatus of driving for robot joi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5229A (en) * 2005-04-02 2006-10-19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device
JP2011094441A (en) * 2009-11-02 2011-05-12 Yamau Co Ltd Existing waterway repairing panel and waterway repairing method
US20180079074A1 (en) * 2016-09-16 2018-03-22 Verb Surgical Inc. Belt termination and tensioning in a pulley arrangement for a robotic a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209A (en)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8701B1 (en) Wrench
KR100582463B1 (en) Fastener and fastening device provided with it
US7188552B1 (en) Holding socket for a threaded fastener
KR100498866B1 (en) Fastening device
JP3312777B2 (en) Cutting device for power chainsaw
US6007284A (en) Nut and connector
KR102214361B1 (en) Wire fixing bracket for joint of wire driven robot and wire driven robot having the same
WO2004104435A1 (en) Load spreader
JP5231760B2 (en) Clamp
US6704972B2 (en) Fastener assembly
KR20010078020A (en) Nut assembly with pivotable nut
EP3651938B1 (en) Socket and socket attachment
BR0209566B1 (en) tightening space nut.
KR102306838B1 (en) Profile clamp with screw with reduced diameter part
JP2005042925A5 (en)
CA2497932A1 (en) Threaded fastener assembly
JP4907457B2 (en) nut
US20050061115A1 (en) Wrench device
KR20090099018A (en) Clamping gap nut
KR20030073767A (en) conclusion member to be bolt and nut
JP6420300B2 (en) Mounting bracket and bird net fitting
KR20210080104A (en) Variable type socket
KR20040078783A (en) Locking apparatus having an anti-unlockng structure
JP6770770B1 (en) Door handle set
KR102163946B1 (en) a connector of handle for v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