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231B1 -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231B1
KR102214231B1 KR1020190058229A KR20190058229A KR102214231B1 KR 102214231 B1 KR102214231 B1 KR 102214231B1 KR 1020190058229 A KR1020190058229 A KR 1020190058229A KR 20190058229 A KR20190058229 A KR 20190058229A KR 102214231 B1 KR102214231 B1 KR 102214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offloading
cloud server
service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535A (ko
Inventor
나인호
레진 카바카스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58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231B1/ko
Publication of KR20200132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286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9Providing operational support to end devices by off-loading in the network or by emulation, e.g. when they are un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가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는 오프로딩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파일러;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 중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를 결정하는 서비스 검색 모듈;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및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 서비스 모듈; 및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와 관련하여, 모바일 장치 및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를 동기화하는 싱크로나이저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MOBILE DEVICE FOR PERFORMING OFFLOADING PROCESS AND METHOD THEREOF}
아래 실시예들은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프로딩(offloading)은 자원 집약적(resource intensive)인 계산 작업을 클러스터, 그리드, 및 클라우드 등의 외부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기술이다. 자원 집약적인 계산 작업은 검색, 바이러스 스캐닝, 이미지 처리, 및 인공 지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프로딩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장치 리소스(resource)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제한된 계산 능력, 저장 장치, 및 에너지 등 장치의 하드웨어가 가지는 제한을 극복할 수 있다.
모바일 기술의 지속적인 개선과 개발로 인하여, 높은 컴퓨팅 자원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들 중 모바일 장치에 대한 사람들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 장치의 컴퓨팅 능력은 높은 컴퓨팅 자원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는 계산 오프로딩에 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간을 줄이고, 장치 성능을 향상시키고, 리소스 소비를 줄이며, 에너지 소비를 줄여 장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로딩(offloading)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리소스(resource)의 사용 가능성(availability) 및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액세스 가능성(accessibility)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로딩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파일러;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 중 상기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를 결정하는 서비스 검색(service discovery) 모듈; 상기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 서비스(user service) 모듈; 및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와 관련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 및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를 동기화(synchronize)하는 싱크로나이저(synchronizer) 모듈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와 상호작용(interact)함으로써, 상기 오프로딩과 관련된 출력을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application service)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검색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가 작업 기반의 서비스(task-based service) 및 사용 가능한 서비스(availabl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는지 여부를 탐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탐색은 상기 사용자 서비스 모듈과 연계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검색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가 관리하는 서비스를 탐색한 결과 및 상기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오프로딩 요청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를 결정하고, 상기 요청을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장치는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스프링 부트 프레임워크(spring boot framework)에 기초하여 설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소스는 램(RAM), 중앙 처리 장치(CPU), 및 배터리 파워(battery power)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보 클라우드 서버는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candidate cloud service)를 가상 컴퓨터(virtual machine) 기반으로 관리하는 서비스 매니저 모듈(service manager module);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 중 적어도 일부에 작업을 할당하는 서비스 핸들러(service handler)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핸들러는 상기 할당된 작업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싱크로나이저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리소스의 사용 가능성 및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액세스 가능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로딩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 중 상기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와 관련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 및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에서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가 가상 컴퓨터 기반으로 관리되고, 상기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오프로딩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 중 적어도 일부에 작업이 할당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할당된 작업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데이터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가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모바일 장치(mobile device)(110) 및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10)는 휴대할 수 있는(portable) 크기의 컴퓨터 장치로서, 이동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모바일 장치(110)는 터치 화면을 통해 동작하는 장치 및 자판을 통하여 동작하는 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동작하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12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서버 및 하나 이상의 물리적 서버를 분할한 복수의 가상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10)는 모바일 장치(110)와 관련된 리소스의 사용 가능성(availability) 및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12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모바일 장치(110)의 액세스 가능성(accessibility)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오프로딩의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오프로딩을 수행하기로 결정하는 경우, 모바일 장치(110)는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120) 중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를 결정한다.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가 결정되면, 모바일 장치(110)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통신(communication)이 수행된다. 통신은 모바일 장치(110)가 클라우드 서버로 오프로딩을 요청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120)는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candidate cloud service)를 가상 컴퓨터(virtual machine) 기반으로 관리할 수 있다. 개별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120)는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 중 적어도 일부에 작업을 할당할 수 있다.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가 결정되는 경우, 오프로딩을 수행하기로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는 모바일 장치(110)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오프로딩 요청에 기초하여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 중 적어도 일부에 작업을 할당할 수 있다.
오프로딩을 수행하기로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가 관리하는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 중 적어도 일부에 할당된 작업에 기초하여,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오프로딩을 수행하기로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는 할당된 작업에 기초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모바일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생성된 데이터와 관련하여, 모바일 장치(110) 및 오프로딩을 수행하기로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가 동기화(synchronize)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110)는 계산 오프로딩(computational offloading)에 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간을 줄이고, 장치 성능을 향상시키고, 리소스 소비를 줄이며, 에너지 소비를 줄여 장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200)는 프로파일러(profiler)(240), 서비스 검색(service discovery) 모듈(230), 사용자 서비스(user service) 모듈(220), 및 싱크로나이저(synchronizer) 모듈(250)을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200)는 도 1의 모바일 장치(110)에 대응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장치(200)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application service) 모듈 및 OS(260)(operating system, 운영체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파일러(240)는 모바일 장치(200)와 관련된 리소스의 사용 가능성 및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모바일 장치(200)의 액세스 가능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평가한다. 모바일 장치(200)와 관련된 리소스의 사용 가능성 및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모바일 장치(200)의 액세스 가능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평가한 결과에 기초하여, 프로파일러(240)에서 오프로딩의 수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리소스는 램(RAM), 중앙 처리 장치(CPU), 및 배터리 파워(battery power)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검색 모듈(230)은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 중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검색 모듈(230)은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가 작업 기반의 서비스(task-based service) 및 사용 가능한 서비스(availabl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는지 여부를 탐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검색 모듈(230)은 사용자 서비스 모듈(220)과 연계함으로써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검색 모듈(230)은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가 관리하는 서비스를 탐색한 결과 및 모바일 장치(200)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오프로딩 요청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를 결정하고,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에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장치(200)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요청하고, 요청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필요한 입력 데이터(input data)를 전달하는 경우, 서비스 검색 모듈(230)은 모바일 장치(200)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요청과 일치하면서 사용 가능한(available) 클라우드 서비스의 목록을 출력할 수 있다. 서비스 검색 모듈(230)은 출력된 클라우드 서비스의 목록에 기초하여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를 결정하고,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의 서비스 매니저 모듈에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요청은 사용자 서비스 모듈(220)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송되는 요청은 클라우드 서버의 서비스 매니저 모듈에 의하여 수신될 수 있다. 서비스 매니저 모듈은 도 3의 서비스 매니저 모듈(310)에 대응될 수 있으며, 서비스 매니저 모듈과 관련된 상세한 사항은 도3을 통하여 후술한다.
사용자 서비스 모듈(220)은 모바일 장치(200)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오프로딩을 수행하기로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한다. 사용자 서비스 모듈(220)은 모바일 장치(200)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오프로딩을 수행하기로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의 복잡성을 숨길 수 있다(hides complications).
싱크로나이저 모듈(250)은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와 관련하여, 모바일 장치(200) 및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를 동기화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서비스 검색 모듈(230)로부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는 요청에 기초하여 생성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로딩을 수행하기로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가 관리하는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 중 적어도 일부에 할당된 작업에 기초하여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고, 오프로딩을 수행하기로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는 할당된 작업에 기초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모듈(210)은 모바일 장치(200)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장치(200)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와 상호작용(interact)함으로써, 오프로딩과 관련된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모듈(210)은 상대 입력(relative input)을 수집하고, 전체 오프로딩 과정과 관련된 출력을 반환할 수 있다.
OS(260)는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200)를 용이하게 다룰 수 있도록 보조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OS(260)는 모바일 장치(200)와 관련된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동작, 모바일 장치(200)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기반 환경을 제공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300) 각각은 서비스 매니저(service manager) 모듈(310), 서비스 핸들러(service handler) 모듈(320), 및 싱크로나이저(synchronizer) 모듈(3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후보 클라우드 서버(300)는 도 1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120)에 대응될 수 있다. 싱크로나이저 모듈(340)은 도 2의 싱크로나이저 모듈(250)과 연결(connected)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싱크로나이저 모듈(340)은 도 2의 싱크로나이저 모듈(250)에 대응될 수 있다.
서비스 매니저 모듈(310)은 후보 클라우드 서버(300)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candidate cloud service)를 가상 컴퓨터(virtual machine)를 기반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컴퓨터 기반으로 관리되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오프로딩 요청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가상 컴퓨터의 구체적인 동작은 서비스 핸들러 모듈(320)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다.
서비스 매니저 모듈(310)은 모바일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매니저 모듈(310) A를 포함하는 후보 클라우드 서버(300)가 오프로딩을 수행하기로 결정되는 경우, 서비스 매니저 모듈(310) A는 도 2의 사용자 서비스 모듈(220)을 통하여 서비스 검색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오프로딩 수행과 관련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핸들러 모듈(320)은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오프로딩 요청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 중 적어도 일부에 작업을 할당(330)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핸들러 모듈(320)은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기준에 기초하여, 사용 가능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평가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간의 순위를 매길 수 있다. 서비스 핸들러 모듈(320)은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 중 적어도 일부에 할당된 작업(330)과 관련된 대기열(queue)을 처리할 수 있고, 할당된 작업(330)에 기초하여 생성된 데이터(예를 들어, 작업이 처리된 결과)를 싱크로나이저 모듈(340)로 전송할 수 있다.
후보 클라우드 서버(300) 중 오프로딩을 수행하기로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는 작업이 처리된 결과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싱크로나이저 모듈(340)을 통하여 모바일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싱크로나이저 모듈(340)은 모바일 장치 및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를 동기화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는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리소스의 사용 가능성 및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모바일 장치의 액세스 가능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오프로딩의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410). 모바일 장치는 도 1의 모바일 장치(110)에 대응될 수 있고, 후보 클라우드 서버는 도 1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120)에 대응될 수 있다.
오프로딩을 수행하기로 결정되는 경우, 모바일 장치는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 중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를 결정한다(420).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를 결정하기 위하여, 모바일 장치는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가 작업 기반의 서비스 및 사용 가능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는지 여부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는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가 관리하는 서비스를 탐색한 결과 및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오프로딩 요청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를 결정하고,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오프로딩 요청을 오프로딩을 수행하기로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는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및 오프로딩을 수행하기로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한다(430).
오프로딩을 수행하기로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에서,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가 가상 컴퓨터 기반으로 관리되고,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오프로딩 요청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 중 적어도 일부에 작업이 할당될 수 있다.
오프로딩을 수행하기로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에서, 할당된 작업에 기초하여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데이터가 생성되고, 생성된 데이터가 모바일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는 오프로딩을 수행하기로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와 관련하여, 모바일 장치 및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를 동기화한다(440).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장치는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오프로딩과 관련된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450).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오프로딩(offloading)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리소스(resource)의 사용 가능성(availability) 및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액세스 가능성(accessibility)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로딩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파일러;
    상기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요청과 일치하면서 사용 가능한 클라우드 서비스 목록을 출력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목록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 중 상기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를 결정하는 서비스 검색(service discovery) 모듈;
    상기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로 상기 오프로딩의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서비스(user service) 모듈; 및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상기 데이터는 상기 오프로딩의 요청에 기초하여 할당된 작업의 처리와 관련됨-와 관련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 및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를 동기화(synchronize)하는 싱크로나이저(synchronizer) 모듈
    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및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candidate cloud service)를 가상 컴퓨터(virtual machine) 기반으로 관리하고, 상기 오프로딩의 요청을 수신하는 서비스 매니저 모듈;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를 평가하여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오프로딩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 중 적어도 일부에 작업을 할당하는 서비스 핸들러 모듈; 및
    상기 오프로딩의 요청에 대응하여 할당된 작업이 처리된 결과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싱크로나이저 모듈
    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
    포함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와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와 상호작용(interact)함으로써, 상기 오프로딩과 관련된 출력을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application service)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검색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가 작업 기반의 서비스(task-based service) 및 사용 가능한 서비스(availabl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은
    상기 사용자 서비스 모듈과 연계함으로써 수행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검색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가 관리하는 서비스를 탐색한 결과 및 상기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오프로딩 요청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를 결정하고,
    상기 요청을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는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스프링 부트 프레임워크(spring boot framework)에 기초하여 설계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는
    램(RAM), 중앙 처리 장치(CPU), 및 배터리 파워(battery power)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리소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핸들러 모듈은,
    상기 할당된 작업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 중 적어도 일부에서 생성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싱크로나이저 모듈로 전송하는,
    시스템.
  10.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장치에서 상기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리소스의 사용 가능성 및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액세스 가능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로딩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상기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요청과 일치하면서 사용 가능한 클라우드 서비스 목록을 출력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목록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 중 상기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상기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로 상기 오프로딩의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에서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candidate cloud service)를 가상 컴퓨터(virtual machine) 기반으로 관리하고, 상기 오프로딩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에서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를 평가하여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오프로딩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 중 적어도 일부에 작업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오프로딩의 요청에 대응하여 할당된 작업이 처리된 결과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와 관련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 및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를 동기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상기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상기 오프로딩과 관련된 출력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가 작업 기반의 서비스 및 사용 가능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클라우드 서버가 관리하는 서비스를 탐색한 결과 및 상기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오프로딩 요청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을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는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스프링 부트 프레임워크에 기초하여 설계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는
    램, 중앙 처리 장치, 및 배터리 파워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리소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
  17. 삭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할당된 작업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클라우드 서비스 중 적어도 일부에서 데이터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가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90058229A 2019-05-17 2019-05-17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14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229A KR102214231B1 (ko) 2019-05-17 2019-05-17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229A KR102214231B1 (ko) 2019-05-17 2019-05-17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535A KR20200132535A (ko) 2020-11-25
KR102214231B1 true KR102214231B1 (ko) 2021-02-09

Family

ID=7364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229A KR102214231B1 (ko) 2019-05-17 2019-05-17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2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81116A1 (en) * 2014-03-10 2016-12-29 Deutsche Telekom Ag Method and system to estimate user desired delay for resource allocation for mobile-cloud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11068B1 (en) * 2014-02-20 2017-08-30 Deutsche Telekom AG Tree-structure storage method for managing computation offloading data
KR101773593B1 (ko) * 2015-12-15 2017-08-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에이전트 기반 코드 오프로딩을 수행하는 모바일 포그 컴퓨팅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81116A1 (en) * 2014-03-10 2016-12-29 Deutsche Telekom Ag Method and system to estimate user desired delay for resource allocation for mobile-cloud application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민균 et al,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실용적인 오프로딩 기법 및 비용 모델", 한국인터넷정보학회 논문지 14권2호 73-85(13pages), 2013년4월*
박진철 et al,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예측 기반 동적 컴포넌트 오프로딩 프레임워크", 정보과학회논문지 45(2) 141-149(9 pages), 2018년2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535A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6391B2 (en) Vertical tuning of distributed analytics clusters
US11275622B2 (en) Utilizing accelerators to accelerate data analytic workloads in disaggregated systems
US8825863B2 (en) Virtual machine placement within a server farm
US9998399B2 (en) Cloud independent tuning service for autonomously managed workloads
US9396028B2 (en) Scheduling workloads and making provision decisions of computer resources in a computing environment
US202003564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poying a machine learning inference as a service at edge systems
US20190196875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computing task
US11311722B2 (en) Cross-platform workload processing
US111698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asks and task workload items between address spaces and logical partitions
JP7170768B2 (ja) 開発マシン操作タスクの処理方法、電子機器、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346188B1 (en) Booting virtual machine instances in a distributed data processing architecture
Sharma et al. An optimistic approach for task scheduling in cloud computing
Zhou et al. Mocha: Multinode cost optimization in heterogeneous clouds with accelerators
CN116414518A (zh) Kubernetes上的大数据的数据局部性
US10853137B2 (en)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for concurrent graph workloads
US20100269119A1 (en) Event-based dynamic resource provisioning
Luckow et al. Abstractions for loosely-coupled and ensemble-based simulations on Azure
KR102214231B1 (ko) 오프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626226B2 (en) Cross-platform workload processing
WO2015090195A1 (zh) 操作系统实例创建方法及装置
US11868805B2 (en) Scheduling workloads on partitioned resources of a host system in a container-orchestration system
Tesfatsion et al. Power and performance optimization in FPGA‐accelerated clouds
US11080079B2 (en) Autonomously reproducing and destructing virtual machines
US95013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core emulation based on dynamic context switching
Ghosh et al. PArtNNer: Platform-Agnostic Adaptive Edge-Cloud DNN Partitioning for Minimizing End-to-End Lat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