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715B1 - 진입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진입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715B1
KR102213715B1 KR1020140027136A KR20140027136A KR102213715B1 KR 102213715 B1 KR102213715 B1 KR 102213715B1 KR 1020140027136 A KR1020140027136 A KR 1020140027136A KR 20140027136 A KR20140027136 A KR 20140027136A KR 102213715 B1 KR102213715 B1 KR 102213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beac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verage
blue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5011A (ko
Inventor
신철용
허재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7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715B1/ko
Priority to US14/639,316 priority patent/US20150256967A1/en
Publication of KR20150105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입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장치에서 IP 기반의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여 사용자단말이 상기 블루투스가 아닌 상기 IP 기반으로 접속하도록 하고, 접속된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IP 기반으로 확인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의 상기 블루투스 지원 여부 및 IP 기반의 무선인터넷 접속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확인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전용커버리지로 진입한 것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입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블루투스(Bluetooth) 기반의 비콘장치에서 IP 기반의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여 사용자단말이 상기 블루투스가 아닌 상기 IP 기반으로 상기 전용커버리지에 접속하도록 하여 접속된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IP 기반으로 확인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자 내역을 파악하기 위한 방안으로서는, 결제 기반의 거래 데이터(Transaction Data)를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단말에서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비콘장치를 인식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단말에서 비콘장치를 인식하는 전술한 방식의 경우, 사용자단말이 매장 내 설치된 비콘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비콘신호를 인식하고, 이를 방문 정보로서 인터넷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단말에서 방문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단말에서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함이 전제되어야만 할 것이며,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할 경우, 정상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장치에서 IP 기반의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여 사용자단말이 상기 블루투스가 아닌 상기 IP 기반으로 접속하도록 하고, 접속된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IP 기반으로 확인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의 상기 블루투스 지원 여부 및 IP 기반의 무선인터넷 접속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확인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전용커버리지로 진입한 것을 확인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장치는, 사용자단말의 진입만을 확인하기 위한 IP 기반의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여 상기 전용커버리지를 인식한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블루투스가 아닌 상기 IP 기반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형성부; 및 상기 사용자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접속된 사용자단말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IP 기반으로 확인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의 상기 블루투스 지원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확인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전용커버리지로 진입한 것을 확인하도록 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형성부는, 상기 IP 기반의 장치식별자(SSID, Service Set Identifier)를 송출하여 상기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며,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비콘장치의 접속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며, 상기 형성부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장치식별자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비콘장치에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용커버리지에서는, 상기 IP 기반의 무선인터넷 접속 자체가 불가하거나, 또는 상기 비콘장치에 접속한 상기 사용자단말에 한해 상기 IP 기반의 무선인터넷 접속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진입 확인 방법은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장치가 사용자단말의 진입만을 확인하기 위한 IP 기반의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는 형성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블루투스가 아닌 상기 IP 기반으로 상기 전용커버리지를 인식하여 상기 비콘장치에 접속하는 접속단계; 상기 비콘장치가 상기 접속된 사용자단말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및 상기 비콘장치가 상기 획득된 고유식별정보를 확인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의 상기 블루투스 지원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확인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전용커버리지로 진입한 것을 확인하도록 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2블루투스 기반 비콘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단말의 진입만을 확인하기 위한 IP 기반의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여, 상기 전용커버리지를 인식한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블루투스가 아닌 상기 IP 기반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형성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접속된 사용자단말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및 상기 획득된 고유식별정보를 확인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의 상기 블루투스 지원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확인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전용커버리지로 진입한 것을 확인하도록 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형성단계는, 상기 IP 기반의 장치식별자(SSID, Service Set Identifier)를 송출하여 상기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며,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비콘장치의 접속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며, 상기 형성단계에서 송출되는 상기 장치식별자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비콘장치에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용커버리지에서는, 상기 IP 기반의 무선인터넷 접속 자체가 불가하거나, 또는 상기 비콘장치에 접속한 상기 사용자단말에 한해 상기 IP 기반의 무선인터넷 접속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진입 확인 시스템은,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장치에 고유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의 진입만을 확인하기 위해 형성된 IP 기반의 전용커버리지에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블루투스가 아닌 IP 기반으로 접속되면, 상기 접속된 사용자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확인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의 상기 블루투스 지원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확인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전용커버리지로 진입한 것을 확인하도록 하는 비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진입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장치에서 IP 기반의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여 사용자단말이 상기 블루투스가 아닌 상기 IP 기반으로 접속하도록 하고, 접속된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IP 기반으로 확인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의 상기 블루투스 지원 여부 및 IP 기반의 무선인터넷 접속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확인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전용커버리지로 진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 확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 확인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 확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 확인 시스템은, 사용자단말(100), 사용자단말의 진입을 확인하기 위한 IP 기반의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는 비콘장치(200), 사용자단말(100)가 상기 전용커버리지에 진입한 것을 확인하는 확인서버(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 확인 시스템은, 전술한 구성 이외에, IP 기반의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AP(300) 및 확인서버(300)로부터 사용자단말(100)과 관련된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POS(5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단말(100)은 상기 전용커버리지에 진입하는 경우에 비콘장치(200)에 접속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0)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및 PDA,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IP 기반의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하며, 추가적으로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단말(100)에는 진입 확인 서비스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상기 전용커버리지의 진입과 관련된 정보를 비콘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비콘장치(200)는 예컨대, 오프라인 매장 내 위치하여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사용자단말(100)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일컫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콘장치(200)의 경우 전술한 블루투스뿐만 아니라 IP 기반(예: WIFI)으로 사용자단말(100)과의 접속도 가능하다.
여기서, 비콘장치(200)가 채용하고 있는 블루투스 규격으로서는 예컨대 블루투스 v4.0에서 저에너지(Low Energy) 방식인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비콘장치(200)는 사용자단말(100)의 매장 내 진입을 확인하기 위해 매장 내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전용커버리지의 경우 상기 블루투스가 아닌 상기 IP 기반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전용커버리지로서는, WIFI 커버리지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전용커버리지에서는, IP 기반의 모든 무선인터넷 접속이 금지되거나, 비콘장치(200)에 접속한 사용자단말(100)에 한하여 무선인터넷 접속이 금지되며, 이는 무선인터넷 사용이 그 목적이 아닌 오로지 사용단말(100)의 매장 내 진입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운용하기 위함이다.
확인서버(300)는 사용자단말(100)이 상기 전용커버리지에 진입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100)과 관련하여 저장된 부가정보를 추출하여 매장 내 POS(500)로 전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일컫는다.
여기서, 부가정보로서는 예컨대, 구매이력, 관심사, 및 방문내역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상기 사용자단말(100)을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와 관련하여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단말(100)이 매장 내 진입하는 경우 이를 확인하여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진입 확인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진입 확인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단말(100)에서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비콘장치(200)를 인식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비콘장치(200)에서는 블루투스 기반으로 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송출하게 되며, 이를 수신한 사용자단말(100)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수신된 장치식별정보를 방문정보로서 확인서버(400)에 전송함으로써, 확인서버(400)로 하여금, 사용자단말(100)이 비콘장치(200)가 설치되어 있는 매장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경우 사용자단말(100)에서 방문정보를 확인서버(400)에 전송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단말(100)에서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는 것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
특히, 사용자단말(100)에서 블루투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비콘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비콘신호 자체를 수신할 수 없음은 물론이다.
이렇듯, 사용자단말(100)이 매장 내 진입하였음을 확인하는데 있어서, 무선인터넷 접속 및 블루투스 지원 여부가 서비스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바, 무선인터넷 미접속 및 블루투스 미지원 상태에서도 정상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단말(100)의 무선인터넷 미접속 및 블루투스 미지원 상태에서도 정상적인 진입 확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비콘장치(200)는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콘장치(200)는 장치식별자를 근거리에 송출하여 송출된 장치식별자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의 경계까지를 IP 기반의 전용커버리지로서 형성함으로써, 전용커버리지에 진입한 사용자단말(100)이 상기 장치식별자를 확인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비콘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장치식별자로서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단말(100)은 장치식별자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100)은 근거리무선네트워크 기능(예: WIFI)이 기능이 활성화(ON)된 상태에서 지속적인 스캐닝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비콘장치(200)가 형성한 전용커버리지에 진입하는 경우 비콘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장치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콘장치(200)는 사용자단말(100)과의 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콘장치(200)는 사용자단말(100)과의 일련의 IP 기반의 네트워킹을 수행함으로써, 전용커버리지에 진입한 사용자단말(100)이 자신에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IP 기반의 네트워킹의 경우, 통상의 WIFI 접속 과정과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단말(100)은 비콘장치(100)와의 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100)은 상기 전용커버리지의 진입에 따라 비콘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장치식별자가 확인되면, 위와 마찬가지로 비콘장치(200)와의 IP 기반의 네트워킹을 수행함으로써, 비콘장치(200)에 대한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비콘장치(200)는 사용자단말(100)의 고유식별자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콘장치(200)는 사용자단말(100)의 접속이 완료되면, 접속된 사용자단말(100)로부터 고유식별자를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단말(100)로부터 획득되는 고유식별자로서는, 예컨대, 이동가입자식별자(IMSI) 및 이동단말기 식별자(IMEI), 단말번호(MIN, MDN)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사용자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단말(100)은 고유식별자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100)은 비콘장치(200)와의 접속이 완료되면, 진입 확인 서비스와 관련하여 기 탑재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비콘장치(200)에 자신의 고유식별자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비콘장치(200)는 획득된 고유식별자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콘장치(2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고유식별정보가 획득되면, 획득된 공유식별정보를 IP 기반으로 확인서버(400)에 전송함으로써, 확인서버(400)로 하여금 전용커버리지에 해당하는 매장 내 사용자단말(100)이 진입하였음을 확인하여 사용자단말(100)과 관련하여 저장된 부가정보를 추출한 뒤 매장 내 POS(500)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비콘장치(2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획득한 공유식별정보를,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AP(300)로 전달함으로써, AP(300)로 하여금 전달된 고유식별정보를 무선인터넷을 통해서 확인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비콘장치(200)는 매장 내 진입한 사용자단말(100)과 IP 기반의 접속 이후, 공유식별정보를 전달받아 확인서버(400)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단말(100)의 무선인터넷 미접속 및 블루투스 미지원 상태에서도 정상적인 진입 확인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장치(200)는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여 사용자단말(100)이 접속하도록 하는 형성부(210), 및 접속된 사용자단말(100)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획득하여 확인서버(400)에 전송하는 처리부(2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전술한 형성부(210) 및 처리부(220)를 포함하는 비콘장치(2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 및 하드웨어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우선, 형성부(210)는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형성부(210)는 장치식별자를 근거리에 송출하여 송출된 장치식별자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의 경계까지를 IP 기반의 전용커버리지로서 형성함으로써, 전용커버리지에 진입한 사용자단말(100)이 상기 장치식별자를 확인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단말(100)은 근거리무선네트워크 기능(예: WIFI)이 기능이 활성화(ON)된 상태에서 지속적인 스캐닝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전용커버리지에 진입하는 경우 비콘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장치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형성부(210)는 사용자단말(100)과의 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형성부(210)는 사용자단말(100)과의 일련의 IP 기반의 네트워킹을 수행함으로써, 전용커버리지에 진입한 사용자단말(100)이 자신에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단말(100)은 상기 전용커버리지의 진입에 따라 비콘장치(100)의 장치식별자가 확인되면, 위와 마찬가지로 비콘장치(200)와의 IP 기반의 네트워킹을 수행함으로써, 비콘장치(200)에 대한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부(220)는 사용자단말(100)의 고유식별자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220)는 사용자단말(100)의 접속이 완료되면, 접속된 사용자단말(100)로부터 고유식별자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단말(100)은 비콘장치(200)와의 접속이 완료되면, 진입 확인 서비스와 관련하여 기 탑재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비콘장치(200)에 자신의 고유식별자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처리부(220)는 획득된 고유식별자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22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고유식별정보가 획득되면, 획득된 공유식별정보를 IP 기반으로 확인서버(400)에 전송함으로써, 확인서버(400)로 하여금 전용커버리지에 해당하는 매장 내 사용자단말(100)이 진입하였음을 확인하여 사용자단말(100)과 관련하여 저장된 부가정보를 추출한 뒤 매장 내 POS(500)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처리부(22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획득한 공유식별정보를,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AP(300)로 전달함으로써, AP(300)로 하여금 전달된 고유식별정보를 무선인터넷을 통해서 확인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 확인 시스템에 따르면,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장치(200)에서 IP 기반의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여 사용자단말(100)이 상기 블루투스가 아닌 상기 IP 기반으로 접속하도록 하고, 접속된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IP 기반으로 확인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단말(100)의 상기 블루투스 지원 여부 및 IP 기반의 무선인터넷 접속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확인서버(200)에서 사용자단말(100)이 상기 전용커버리지로 진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 확인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 확인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비콘장치(200)는 장치식별자를 근거리에 송출하여 송출된 장치식별자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의 경계까지를 IP 기반의 전용커버리지로서 형성함으로써, 전용커버리지에 진입한 사용자단말(100)이 상기 장치식별자를 확인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S110).
그리고 나서, 사용자단말(100)은 근거리무선네트워크 기능(예: WIFI)이 기능이 활성화(ON)된 상태에서 지속적인 스캐닝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비콘장치(200)가 형성한 전용커버리지에 진입하는 경우 비콘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장치식별자를 확인한다(S120).
그런 다음, 비콘장치(200)는 사용자단말(100)과의 일련의 IP 기반의 네트워킹을 수행함으로써, 전용커버리지에 진입한 사용자단말(100)이 자신에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S130).
다음으로, 사용자단말(100)은 비콘장치(200)와의 접속이 완료되면, 진입 확인 서비스와 관련하여 기 탑재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비콘장치(200)에 자신의 고유식별자를 전송한다(S140).
이후, 비콘장치(2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고유식별정보가 수신되면, 획득된 공유식별정보를 IP 기반으로 확인서버(400)에 전송함으로써, 확인서버(400)로 하여금 전용커버리지에 해당하는 매장 내 사용자단말(100)이 진입하였음을 확인하여 사용자단말(100)과 관련하여 저장된 부가정보를 추출한 뒤 매장 내 POS(500)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비콘장치(2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획득한 공유식별정보를,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AP(300)로 전달함으로써, AP(300)로 하여금 전달된 고유식별정보를 무선인터넷을 통해서 확인서버(400)에 전송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장치(2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형성부(210)는 장치식별자를 근거리에 송출하여 송출된 장치식별자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의 경계까지를 IP 기반의 전용커버리지로서 형성함으로써, 전용커버리지에 진입한 사용자단말(100)이 상기 장치식별자를 확인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S210).
이때, 사용자단말(100)은 근거리무선네트워크 기능(예: WIFI)이 기능이 활성화(ON)된 상태에서 지속적인 스캐닝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전용커버리지에 진입하는 경우 비콘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장치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형성부(210)는 사용자단말(100)과의 일련의 IP 기반의 네트워킹을 수행함으로써, 전용커버리지에 진입한 사용자단말(100)이 자신에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S220).
이때, 사용자단말(100)은 상기 전용커버리지의 진입에 따라 비콘장치(100)의 장치식별자가 확인되면, 위와 마찬가지로 비콘장치(200)와의 IP 기반의 네트워킹을 수행함으로써, 비콘장치(200)에 대한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처리부(220)는 사용자단말(100)의 접속이 완료되면, 접속된 사용자단말(100)로부터 고유식별자를 수신한다(S230).
이때, 사용자단말(100)은 비콘장치(200)와의 접속이 완료되면, 진입 확인 서비스와 관련하여 기 탑재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비콘장치(200)에 자신의 고유식별자를 전송하게 된다.
이후, 처리부(22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고유식별정보가 획득되면, 획득된 공유식별정보를 IP 기반으로 확인서버(400)에 전송함으로써, 확인서버(400)로 하여금 전용커버리지에 해당하는 매장 내 사용자단말(100)이 진입하였음을 확인하여 사용자단말(100)과 관련하여 저장된 부가정보를 추출한 뒤 매장 내 POS(500)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S240).
이때, 처리부(22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획득한 공유식별정보를,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AP(300)로 전달함으로써, AP(300)로 하여금 전달된 고유식별정보를 무선인터넷을 통해서 확인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 확인 방법에 따르면,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장치(200)에서 IP 기반의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여 사용자단말(100)이 상기 블루투스가 아닌 상기 IP 기반으로 접속하도록 하고, 접속된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IP 기반으로 확인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단말(100)의 상기 블루투스 지원 여부 및 IP 기반의 무선인터넷 접속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확인서버(200)에서 사용자단말(100)이 상기 전용커버리지로 진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입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블루투스(Bluetooth) 기반의 비콘장치에서 IP 기반의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여 사용자단말이 상기 블루투스가 아닌 상기 IP 기반으로 상기 전용커버리지에 접속하도록 하여 접속된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IP 기반으로 확인서버에 전송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사용자단말
200: 비콘장치
210: 형성부 220: 처리부
300: AP
400: 확인서버
500: POS

Claims (8)

  1. 블루투스 기반 비콘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단말의 진입 확인을 위해, 상기 블루투스와는 별도의 IP 기반의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전용커버리지를 인식하여 상기 IP 기반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형성부; 및
    상기 사용자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접속된 사용자단말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고유식별정보를 확인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확인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전용커버리지에 진입한 것을 확인하도록 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용커버리지는,
    상기 비콘장치에 접속된 상기 사용자단말에 대해서 상기 고유식별정보의 전송 이외에 상기 IP 기반의 무선인터넷 접속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부는,
    상기 IP 기반의 장치식별자(SSID, Service Set Identifier)를 송출하여 상기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며,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비콘장치의 접속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며, 상기 형성부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장치식별자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비콘장치에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장치.
  3. 삭제
  4.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장치가 사용자단말의 진입 확인을 위해, 상기 블루투스와는 별도의 IP 기반의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는 형성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전용커버리지를 인식하여 상기 IP 기반으로 상기 비콘장치에 접속하는 접속단계;
    상기 비콘장치가 상기 접속된 사용자단말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및
    상기 비콘장치가 상기 획득된 고유식별정보를 확인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확인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전용커버리지에 진입한 것을 확인하도록 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용커버리지는,
    상기 비콘장치에 접속된 상기 사용자단말에 대해서 상기 고유식별정보의 전송 이외에 상기 IP 기반의 무선인터넷 접속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확인 방법.
  5. 블루투스 기반 비콘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단말의 진입 확인을 위해, 상기 블루투스와는 별도의 IP 기반의 전용커버리지를 형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전용커버리지를 인식하여 상기 IP 기반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형성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접속된 사용자단말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및
    상기 획득된 고유식별정보를 확인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확인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전용커버리지에 진입한 것을 확인하도록 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용커버리지는,
    상기 비콘장치에 접속된 상기 사용자단말에 대해서 상기 고유식별정보의 전송 이외에 상기 IP 기반의 무선인터넷 접속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장치의 동작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027136A 2014-03-07 2014-03-07 진입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213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136A KR102213715B1 (ko) 2014-03-07 2014-03-07 진입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14/639,316 US20150256967A1 (en) 2014-03-07 2015-03-05 Entry checking system, method for the same,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136A KR102213715B1 (ko) 2014-03-07 2014-03-07 진입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011A KR20150105011A (ko) 2015-09-16
KR102213715B1 true KR102213715B1 (ko) 2021-02-05

Family

ID=54018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136A KR102213715B1 (ko) 2014-03-07 2014-03-07 진입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256967A1 (ko)
KR (1) KR1022137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7807B2 (en) * 2011-03-30 2017-09-19 Ack3 Bionetics Pte Limited Digital voice signature of transac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90424A1 (en) * 2008-02-04 2010-11-18 Robert Collingrige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onnection to a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0638B2 (en) * 2000-07-24 2007-08-21 Bluesocket, In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seamless roaming in a wireless network
FI20002822A (fi) * 2000-12-21 2002-06-22 Nokia Corp Osoitteen jakaminen
US7283822B2 (en) * 2003-10-17 2007-10-16 Kineto Wireless, Inc. Service access control interface for an unlicen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I289389B (en) * 2004-12-15 2007-11-01 Univ Tsinghua Roaming system and method fo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US20070197237A1 (en) * 2006-01-30 2007-08-23 Mark Powell Apparatus and Method to Provision Access Point Credentials into Mobile Stations
KR20150129972A (ko) * 2014-05-12 2015-11-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비콘 장치, 그리고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90424A1 (en) * 2008-02-04 2010-11-18 Robert Collingrige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onnection to a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011A (ko) 2015-09-16
US20150256967A1 (en) 2015-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7134B2 (en) Method and device for downloading profile of operator
EP2975870B1 (en) Loading sim profile
KR102072095B1 (ko) 신원 인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173242B1 (ko)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정보 자동 설정 방법, 장치
US20150156601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automatic self-provisioning
EP3337219A1 (en) Carrier configur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WO2017205715A1 (en) Transparently connecting mobile devices to multiple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KR20170110693A (ko) 목표 휴대 디바이스 위치 확정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 매체
US99427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membership-based service
CN106856585B (zh) 建立短距离无线通道的方法及装置
CN105120458A (zh) 无线连接方法、装置及系统
US20180176767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ctivating a Mobile Subscription
CN104580159A (zh) 一种事件通知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1066014A (zh) 用于远程地管理设备的装置、方法及其程序
KR102213715B1 (ko) 진입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03354927A (zh) 用于管理处理设备中的内容的方法和装置
KR101705580B1 (ko) Http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검색 및 등록 방법 및 네트워크 등록 서비스 장치
CN114585055B (zh) 车载WiFi接入方法、车辆控制器、云端服务器及移动终端
US8738078B2 (en) Certified 4G modem dock for M2M applications
CN101951585A (zh) 一种用户身份认证方法、系统及移动通讯终端
CN105099511A (zh) 基于移动网络实现近场服务的方法和装置
KR20150105554A (ko) 마일리지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41286B1 (ko) 연결 유형별 자동연결을 통한 정보안내 시스템과 그 구동방법
KR101636708B1 (ko) 2채널 인증을 이용한 웹 사이트 검증 장치 및 그 방법
CN105338049A (zh) 实现o2o互联网服务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