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004B1 - 연기 버블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연기 버블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004B1
KR102213004B1 KR1020180069130A KR20180069130A KR102213004B1 KR 102213004 B1 KR102213004 B1 KR 102213004B1 KR 1020180069130 A KR1020180069130 A KR 1020180069130A KR 20180069130 A KR20180069130 A KR 20180069130A KR 102213004 B1 KR102213004 B1 KR 102213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bubble
generator
nozzl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2070A (ko
Inventor
송석윤
Original Assignee
송석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석윤 filed Critical 송석윤
Priority to KR1020180069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004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8Soap-bubble toys; Smoke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기 버블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버블 용액을 묻혀 바람을 불어넣어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 발생장치에 전자식 연기 발생기를 결합시켜 바람과 함께 연기가 노즐로 공급되어 버블속에 연기가 채워진 연기 버블을 발생하도록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연기 버블 발생 장치{Smoke bubble 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은 연기 버블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기 발생기와 버블 발생기를 결합하여 버블 속에 연기가 차있는 연기 버블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 연기 버블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눗방울 놀이는 용기에 비눗물을 넣은 상태에서 빨대나 스프링을 링 형상으로 형성한 생성구를 담갔다가 들어올리는 동작이나 입바람을 불어서 비눗물이 크고 작은 다수의 비눗방울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아이들이 동심의 세계에서 예쁘게 놀 수 있도록 한 놀이 기구임은 이미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비눗방울 놀이구를 장남감으로 구성한 다양한 형태들의 장남감들이 있으며, 실용신안등록공보 20-0322984호(2003.08.01)의 비눗방울 총완구와 같이, 건전지를 이용해 송풍팬을 돌려 바람을 불어주고, 비눗물을 노즐로 자동공급하게 하여 방아쇠를 당기면 비눗방울이 연속해서 발사되는 비눗방울 총 완구들도 많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비눗방울 놀이구나 완구들은 단순히 비눗물을 이용한 비눗방울만을 발사하기 때문이 쉽게 흥미를 잃을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공보 20-0322984호(2003.08.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비눗방을 완구들이 비눗방울만 발생하던 단순함을 개선하여 비눗방울 속에 연기가 채워진 연기 버블을 발생시키는 연기 버블 발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기 버블 발생장치는,
입으로 바람을 불어넣을 수 있는 원통형 몸체부와,
몸체부에 결합되고, 몸체와와 연통된 다수의 공기통로 및 공기통로에 대응해서 표면에 버블발생부가 형성되며, 버블발생부에 묻혀진 버블 용액을 공기통로를 통해 불어진 바람으로 부풀려서 버블을 생성하는 버블생성 노즐과;
히팅패드를 이용한 포그 용액 가열에 의해 발생시킨 연기를 상기 원통형 몸체부 내부로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전자식 연기 발생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측면에 의하면, 상기 전자식 연기 발생기는 상기 원통형 몸체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수납되고, 원통형 몸체부와 전자식 연기 발생기 사이에 바람이 통과되는 틈이 형성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전자식 연기 발생기는, 상기 원통형 몸체부의 외측에 세워져 설치되고, 전자식 연기 발생기에서 발생된 연기가 몸체부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총 타입의 몸체부와,
몸체부 선단에 설치된 버블 발생 노즐과,
상기 몸체부 선단 하부에 설치되어 버블 용액을 상기 노즐로 공급하는 버블용액 통과;
히팅패드에 의해 버블용액을 가열하여 발생시키는 연기를 상기 몸체부 내에서 노즐 방향으로 공급하는 전자식 연기발생기와;
상기 몸체부 후단 내부에 설치되어 후방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노즐로 송풍하는 송풍장치 및
상기 몸체부에서 총의 방아쇠로 설치되고, 방아쇠를 당기는 것에 의해 회동레버가 회동되면서 공기 주입실린더를 작동시켜 상기 버블 용액통 속으로 공기를 주입하고 공기주입 압력에 의해 버블 용액 배출관을 통해 상기 노즐로 버블용액을 공급하도록 작동시키는 시건장치; 를
포함하여 연기 버블 발생장치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시건장치의 방아쇠를 당기는 것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송풍장치를 일정시간씩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시건장치의 방아쇠를 당기는 것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전자식 연기발생기를 일정시간씩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식 연기 발생장치를 버블 발생장치에 결합하여 연기를 버블속에 투입한 연기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 입으로 부는 수동식 장치와, 송풍기를 이용해 바람을 송풍시키고, 시건장치(방아쇠)를 작동시켜 버블 속에 연기가 채워진 상태의 연기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눗방울 발생기에 연기 발생기를 결합시켜 비눗방울 속에 연기가 채워진 연기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 비눗방울만 발생시키던 것에 비해 좀더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식 연기발생기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수동식으로 입으로 불어서 연기 버블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송풍팬을 설치한 건타입에 전자식 연기 발생기를 설치하여 방아쇠를 당기는 것에 의해 연기 버블을 연속 발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동식 연기 버블 발생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동식 연기 버블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 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 타입 연기 버블 발생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 타입 연기 버블 발생장치의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동식 연기 버블 발생장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몸체부(10)에 버블발생 노즐(20)이 결합되고, 버블발생 노즐(20)에 버블 용액통(40)의 버블용액을 묻혀두고, 입으로 불어서 버블을 발생하는 수동식 버블장치에, 수직형으로 전자식 연기발생기(30)를 결합 설치하여 연기버블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버블발생 노즐(2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와 연통되는 공기통로(21)가 형성되고, 각 공기통로(21)에 대응된 표면에는 이격되어 링타입 버블발생부(22)가 형성된다. 버블발생부(22)는 노즐 표면과는 이격되게 형성되어 그 사이에 버블용액이 묻어 막을 형성하고, 공기통로(21)를 통해 공기가 송풍되면 버블막이 부풀려지면서 구체 즉 버블을 형성한다. 이러한 비눗물을 묻혀 버블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된다.
전자식 연기발생기(30)는, 내부에 건전지와 전원회로 및 히트패드가 구비되고, 히트패드에 연기 용액(32)이 접촉되게 충전되고, 버튼(31)을 누르면 건전지 전원으로 히트패드가 가열되면서 적정 온도에서 포그용액(32)이 증발되어 연기를 발생시킨다. 이는 인체에 유해하지 않는 연기를 발생시키는 연기 용액을 히트패드로 가열하여 연기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통상 무대장치나 이벤트용도로 사용되는 일반 연기발생장치를 기반으로 초소형화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포그용액을 히트패드로 가열해서 연기를 발생하는 장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포그용액은 버블용액에 비하면 매우 적은량으로도 장시간 연기 발생에 사용할 수 있으며, 당연히 캡을 분해하여 재보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수동식 연기 버블 발생장치는, 버블발생 노즐(20)을 버블 용액통(40)에 담가 버블 용액을 묻히고, 전자식 연기발생기(30)의 버튼을 눌러서 연기를 발생시킨 상태에서 원통형 몸체부(10)에 입으로 바람을 불어넣으면, 바람과 함께 연기가 공기통로(21)를 통해서 버블발생부(22)로 송풍되면서 버블용액막을 부풀려서 버블을 만든다. 이때 버블속에는 연기가 채워진 상태가 되어 연기 버블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수동식 연기 버블 발생장치는, 도 1과 같은 수평형과, 도 2와 같은 수직형등 다양한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전자식 연기 발생기(30)는 상기 원통형 몸체부(1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수납되고, 원통형 몸체부(10)와 전자식 연기 발생기(30) 사이에 바람이 통과되는 틈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동식 연기 버블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 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식 연기 발생기(30)는, 상기 원통형 몸체부(10)의 외측에 세워져 설치되고, 전자식 연기 발생기(30)에서 발생된 연기가 몸체부(10)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원통형 몸체부(10)의 후방에서 입으로 바람을 불어넣었을 때 전자식 연기 발생기(30)에서 발생된 연기가 바람과 함께 노즐(20)의 공기통로(21)를 통해 노즐 앞면으로 공급되면서 버블용액막을 밀어서 버블속에 연기가 채워지게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입으로 바람을 불어넣지 않고, 송풍팬을 이용해 바람을 송풍시키는 자동식 연기 버블 발생장치로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원통형몸체부의 일단부와 상기 버블발생노즐 사이에 상기 전자식연기 발생기를 구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 타입 연기 버블 발생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 타입 연기 버블 발생장치의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타입의 몸체부(100)와, 몸체부(100) 선단에 설치된 버블 발생 노즐(110)과, 상기 몸체부(100) 선단 하부에 설치되어 버블 용액을 상기 노즐(110)로 공급하는 버블용액통(140)과, 히팅패드에 의해 버블용액을 가열하여 발생시키는 연기를 상기 몸체부(100) 내에서 노즐(110) 방향으로 공급하는 전자식 연기발생기(130)와, 상기 몸체부(100) 후단 내부에 설치되어 후방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노즐(110)로 송풍하는 송풍장치(150) 및 상기 몸체부(100)에서 총의 방아쇠로 설치되고, 방아쇠를 당기는 것에 의해 회동레버(121)가 회동되면서 공기 주입실린더(122)를 작동시켜 상기 버블 용액통(140) 속으로 공기를 주입하고 공기주입 압력에 의해 버블 용액 배출관(123)을 통해 상기 노즐(110)로 버블용액을 공급하도록 작동시키는 시건장치(120)를 포함하여 연기 버블 발생장치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배터리 전원부(151)는, 송풍장치를 구동시키는 전원과, 전자식 연기 발생기(130)를 구동시키는 전원을 함께 공급하도록 하나의 배터리 전원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의 전자식 연기 발생기(130)는 배터리 없이 구성되고, 배터리 전원부(151)의 전원을 스위치(152)를 통해서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건 타입 자동 연기 버블 발생장치는, 버블 발생 총 타입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전자식 연기 발생기(130)를 수납 설치하며, 그 후방에 송풍장치(150)를 설치하고, 시건장치(120)에 의해 버블 용액통(140)속의 버블 용액을 노즐(110)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송풍스위치(151)를 눌러 송풍장치(150)를 작동시키고, 연기스위치(131)를 눌러 전자식 연기 발생기(130)를 작동시키면, 연기가 송풍된 공기에 의해 노즐(110)의 공기통로를 통해 버블발생부로 송풍된다.
시건장치(120)의 방아쇠를 당겼다 놓았다를 반복하면, 주입실린더(122)가 작동되어 버블용액통(140) 내부 압력이 상승되고, 그 압력으로 인해 배출관(123)을 통해서 버블 용액이 노즐(110)로 공급되면서 버블 용액막을 형성하고, 버블 용액막은 송풍된 바람에 의해 버블이 발생되면서 버블속에 연기가 채워져 연기 버블을 발생시킨다. 물론 시건장치도 전자식 펌프를 이용해 용액을 펌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건장치(120)의 작동에 의해 송풍장치(150)가 연동되게 하거나, 전자식 연기 발생기(130)가 연동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송풍장치(150)가 작동시작하자마자 정지한다면 바람이 노즐(110) 송풍되지 못하므로, 시건장치(120)에 의해 한번 트리거되면 일정시간동안 송풍장치(150)가 작동을 유지하여 송풍공기에 의해 연기 버블이 적당량 발사되게 한다, 송풍장치가 종료되기 전에 다시 방아쇠를 당겨 트리거되면 계속해서 송풍장치의 작동상태가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자식 안개발생장치(130)도 방아쇠를 당겨 한번 트리거 되면 히트패드의 가열에 의해 포그 용액이 기화되어 연기가 발생되어야 하므로 트리거신호에 의해 일정한 시간동안 구동상태가 유지되게 함으로써, 연기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의해 연기를 채우지 않은 버블만 발생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온오프 버튼(131)을 더 포함시켜 구비할 수 있다. 버튼(131)을 눌러 온시켜두면 시건장치에 연동되게 할 수도 있고, 버튼(131)을 눌러 오프시켜두면 시건장치를 눌러도 연기가 발생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식 연기 발생장치를 버블 발생장치에 결합하여 연기를 버블속에 투입한 연기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 입으로 부는 수동식 장치와, 송풍기를 이용해 바람을 송풍시키고, 시건장치(방아쇠)를 작동시켜 버블 속에 연기가 채워진 상태의 연기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
10, 100 : 몸체부 20, 110 : 버블발생 노즐
21 : 공기통로 22 : 버블발생부
30, 130 : 전자식 연기 발생기 31 : 포그 용액
40, 140 : 버블 용액통 120 : 시건장치
150 : 송풍장치 151 : 배터리 전원장치

Claims (4)

  1. 연기 버블 발생장치에 있어서,
    총 타입의 몸체부와,
    몸체부 선단에 설치된 버블 발생 노즐과,
    상기 몸체부 선단 하부에 설치되어 버블 용액을 상기 노즐로 공급하는 버블용액통;
    히팅패드에 의해 버블용액을 가열하여 발생시키는 연기를 상기 몸체부 내에서 노즐 방향으로 공급하는 전자식 연기발생기와;
    상기 몸체부 후단 내부에 설치되어 후방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노즐로 송풍하는 송풍장치 및
    상기 몸체부에서 총의 방아쇠로 설치되고, 방아쇠를 당기는 것에 의해 회동레버가 회동되면서 공기 주입실린더를 작동시켜 상기 버블 용액통 속으로 공기를 주입하고 공기주입 압력에 의해 버블 용액 배출관을 통해 상기 노즐로 버블용액을 공급하도록 작동시키는 시건장치;
    상기 송풍장치 및 상기 전자식연기발생기를 구동시키는 전원인 배터리 전원부;
    상기 시건장치에 의하여 한번 트리거되면 일정시간동안 상기 송풍장치가 연동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송풍장치가 종료되기 전에 다시 상기 시건장치에 트리거되면 상기 송풍장치가 작동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자식연기발생기는 상기 시건장치에 의하여 한번 트리거 되면 히트패드의 가열과 연동되어 포그 용액이 기화되어 연기가 발생되어야 하므로 트리거신호에 의해 일정한 시간동안 구동상태가 유지되게 하여, 연기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버블 발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69130A 2018-06-15 2018-06-15 연기 버블 발생 장치 KR102213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130A KR102213004B1 (ko) 2018-06-15 2018-06-15 연기 버블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130A KR102213004B1 (ko) 2018-06-15 2018-06-15 연기 버블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070A KR20190142070A (ko) 2019-12-26
KR102213004B1 true KR102213004B1 (ko) 2021-02-08

Family

ID=69103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130A KR102213004B1 (ko) 2018-06-15 2018-06-15 연기 버블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0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4650A (ko) 2020-09-11 2022-03-18 (주)에듀케이션아이코퍼레이션 유출 방지를 위한 비눗방울 생성 장치
KR20220034649A (ko) 2020-09-11 2022-03-18 (주)에듀케이션아이코퍼레이션 역류 방지를 위한 비눗방울 놀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14840B (zh) * 2020-01-14 2021-11-23 深圳市龙侨华实业有限公司 泡泡机
KR102563385B1 (ko) 2020-06-01 2023-08-07 송석윤 기체충진수단을 구비한 건 타입의 비눗방울 발생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790Y1 (ko) * 2003-09-04 2004-01-03 김진수 비눗방울 놀이기구
US20040259458A1 (en) * 2003-04-09 2004-12-23 Fusco Michael T. Fog filled bubble blower
US20050148276A1 (en) * 2003-03-25 2005-07-07 Lafata John E. Toy for producing fog filled bubbl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984Y1 (ko) 2003-04-25 2003-08-14 이태수 비누방울 총완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48276A1 (en) * 2003-03-25 2005-07-07 Lafata John E. Toy for producing fog filled bubbles
US20040259458A1 (en) * 2003-04-09 2004-12-23 Fusco Michael T. Fog filled bubble blower
KR200336790Y1 (ko) * 2003-09-04 2004-01-03 김진수 비눗방울 놀이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4650A (ko) 2020-09-11 2022-03-18 (주)에듀케이션아이코퍼레이션 유출 방지를 위한 비눗방울 생성 장치
KR20220034649A (ko) 2020-09-11 2022-03-18 (주)에듀케이션아이코퍼레이션 역류 방지를 위한 비눗방울 놀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070A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3004B1 (ko) 연기 버블 발생 장치
US8422869B2 (en) Handheld low-voltage fog effects system
JP6245356B2 (ja) 浮動型加湿器
US20140141688A1 (en) Bubble Toy Device
US20120251296A1 (en) Aromatic nebulizing diffuser
US11918931B2 (en) Microbubble-producing device
US7086920B2 (en) Fog filled bubble blower
US20230277953A1 (en) Toy for producing bubbles, smoke, and smoke-filled bubbles
US20060116048A1 (en) Generator for encapsulating a fluid within a bubble
KR101687744B1 (ko) 비눗방울 완구총
KR20190142066A (ko) 연기 버블 발생기
JP3153859U (ja) 芳香拡散装置
KR200341188Y1 (ko) 교육용 분무소화기
JP3110211U (ja) 加湿器
US20170157526A1 (en) Illuminated artificial snowmak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575865B1 (ko) 무선 가습기 세트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06991B1 (ko) Tv 영상에 대응되는 향기가 분사되는 향기 분사 장치
CN209548712U (zh) 一种烟雾泡泡枪
US20240149226A1 (en) Interactive microbubble-producing device
KR102563385B1 (ko) 기체충진수단을 구비한 건 타입의 비눗방울 발생기
KR102017686B1 (ko) 용이하게 비눗방울 생성이 단속될 뿐만 아니라 비눗물 및 배터리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비눗방울 총.
KR200246143Y1 (ko) 발광 장난감 칼
KR200475272Y1 (ko) 소방교육용 소화기 장치
KR20180078397A (ko) 무선 가습기 세트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80034819A (ko) 비눗방울 완구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