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646B1 - Bypass device for separating jumper of overhead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Bypass device for separating jumper of overhead trans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646B1
KR102212646B1 KR1020180156117A KR20180156117A KR102212646B1 KR 102212646 B1 KR102212646 B1 KR 102212646B1 KR 1020180156117 A KR1020180156117 A KR 1020180156117A KR 20180156117 A KR20180156117 A KR 20180156117A KR 102212646 B1 KR102212646 B1 KR 102212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mper
transmission line
hook
hook member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1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9029A (en
Inventor
박종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156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646B1/en
Publication of KR20200069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0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6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선과 점퍼선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바이패스 연결용구로서, 휴대에 간편하고 송전선과 점퍼선에 대해 보다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가공송전선로의 점퍼선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바이패스 장치는 송전철탑(10)에 대해 압축인류 클램프(14)를 매개로 설치되는 송전선(16), 상기 압축인류 클램프(14)의 점퍼소켓(18)과 연결되는 점퍼선(20), 상기 송전선(16)과 상기 점퍼선(20)에 대해 양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도선체(120)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후크 조립체(110), 및 상기 송전선(16)과 상기 점퍼선(20)에 대해 상기 후크 조립체(110)의 체결상태를 조절하는 클램프 기구(130)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bypass device for separating jumper wires of an overhead transmission line, which is a bypass connection tool capable of connecting between a transmission line and a jumper line, which is simple to carry and can be more easily combined and separated from a transmission line and a jumper line.
The above-described bypass device includes a transmission line 16 installed with a compression human clamp 14 for the transmission tower 10, and a jumper line 20 connected to the jumper socket 18 of the compression human clamp 14 ,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wire 20, both ends are fixed to be detachabl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nductor 120 via a hook assembly 110, and the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wire ( A clamp mechanism 130 for adjusting the fastening state of the hook assembly 110 with respect to 20) is provided.

Description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BYPASS DEVICE FOR SEPARATING JUMPER OF OVERHEAD TRANSMISSION}Bypass device for separating jumpers in overhead transmission lines{BYPASS DEVICE FOR SEPARATING JUMPER OF OVERHEAD TRANSMISSION}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선로 작업시 활선선로로부터 휴전선로로 유입되는 이상전류 및 유도전류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ypass device for separating jumpers of an overhead transmission line, and more particularly, an overhead transmission line capable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of a worker due to an abnormal current and an induced current flowing from a live line to a cease-fire line when working on a transmission line. It relates to a bypass device for separating a jumper from a furnace.

일반적으로 송전철탑을 따라 배설되는 송전선로에 대한 작업은 전기의 공급을 차단시킨 휴전상태에서 이루어지는 데, 이와 같은 송전선로의 휴전(사선) 작업시에도 주변에 위치한 활선선로로부터 해당 작업선로에 유입되는 이상전류 및 유도전류에 의한 감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In general, work on the transmission lines disposed along the transmission tower is performed in a cease-fire state in which the supply of electricity is cut off, and even during the cease-fire (diagonal) work of such a transmission line, it flows into the work line from a live line located nearby. Electric shock accidents due to abnormal current and induced current are frequently occurring.

이에 따라 송전선로의 작업 과정에서 감전에 의한 작업자의 상해를 예방하고자 선로 작업용 각종 접지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송전철탑의 종류와 각도 등에 따라 활선선로에서 유도되는 전압이 높기 때문에 휴전선로의 점퍼선 분리 작업에는 반드시 규정된 점퍼선 바이패스 연결용구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grounding devices for line work are used to prevent injuries to workers due to electric shock in the process of working on the transmission line, but since the voltage induced from the live line is high depending on the type and angle of the transmission lin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jumper lines from the truce lin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jumper wire bypass connection tool.

종래, 점퍼선 분리작업은 송전선의 신설선로와 기설선로 사이의 연결부위, 또는 접속개소에 대한 열화상 진단을 선행한 다음 이루어지게 되는 데, 특히 항공 열화상 진단 및 지상 열화상 진단시에는 접촉 불량으로 발열이 발생한 대상 적출개소에 대하여 긴급 및 정밀한 점검이 시행되고 있으며, 정밀 점검시에도 압축인류 클램프의 소켓연결 부위에 대한 조임 상태 이상유무도 함께 확인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점퍼소켓 연결부위에 산화부식물의 존재가 확인되면, 점퍼소켓을 분리한 다음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작업이 수시로 이루어지고 있다. Conventionally, the separation of jumper wires is performed after thermal image diagnosis of a connection part or connection point between a new line of a transmission line and an existing line is preceded. As a result, urgent and precise inspections are carried out on the target extraction site where heat has occurred, and even during detailed inspection, the tightening condition of the socket connection part of the compression human clamp is also checked. In this process, when the presence of an oxidizing plant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jumper socket is confirmed,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jumper socket and then removing the oxide film is often performed.

그러나 이러한 작업에서도 규정된 바이패스 연결용구가 없기 때문에 송전선로 점퍼선의 연결과 분리시 종래에는 송전선과 점퍼선의 표면에 임의의 바이패스 바인드선을 감아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클램프에 접지선을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접지선을 절단하여 접지 클램프로 사용하고 있어, 유도전류에 의한 감전사고의 발생 문제와, 불안정한 접촉에 따른 점퍼선의 이탈 등에 따른 안전성이 결여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However, even in such a work, there is no specified bypass connection tool, so when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jumper wires in transmission lines, conventionally, a method of winding and fixing an arbitrary bypass bind wire on the surface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jumper wire is used, or by connecting a ground wire to the clamp. Since it is used as a grounding clamp by cutting the ground wire or cutting the ground wire,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problem of occurrence of an electric shock accident due to an induced current and a lack of safety due to the separation of jumper wires due to unstable contact.

특히, 종래 압축인류 클램프의 점퍼선 접속 분리 및 연결시에는 임의로 제작된 바이패스선을 사용하거나 동바인드의 사용에 의한 전선의 접촉불량 및 점퍼선의 이탈에 대한 위험성이 존재하게 되는 데, 무엇보다도 클램프의 사용없이 임의로 바이패스선을 가공송전선과 점퍼선에 결선하는 시공시에는 유도현상에 의한 전압유기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In particular, when disconnecting and connecting jumper wires of conventional compression human clamps, there is a risk of poor contact of wires and separation of jumper wires due to the use of arbitrarily manufactured bypass wires or copper binds. When the bypass line is arbitrarily connected to the overhead transmission line and the jumper line without the use of,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is further increased due to voltage induction due to induc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92819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49281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송전선과 점퍼선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바이패스 연결용구로서, 휴대에 간편하고 송전선과 점퍼선에 대해 보다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가공송전선로의 점퍼선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bypass connection tool that can connect a transmission line and a jumper line, which is easy to carry and a bypass for separating jumper wires of an overhead transmission line that can be more easily combined and separated for transmission lines and jumper lines. To provide a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송전선과 점퍼선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후크 조립체 사이를 플렉시블한 소재의 편조선으로 이루어진 도선체로 연결함으로써 승탑 및 고소 이동 작업시 보다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nnection between a pair of hook assemblies each coupled to a transmission line and a jumper line is connected with a conductor made of a braided wir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it can be carried more conveniently during embarkation and high place moving work. It is to provide a bypass device for separating jumpers of overhead transmission lin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송전선과 점퍼선에 대한 후크 조립체의 결합 및 분리를 원터치 방식의 체결과 해제가 가능한 구조의 클램프 기구로 구현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verhead transmission line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by implementing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hook assembly with the transmission line and the jumper line with a clamp mechanism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fastened and released in a one-touch manner. It is to provide a bypass device for removing the jumper of th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전철탑에 대해 압축인류 클램프를 매개로 설치되는 송전선, 상기 압축인류 클램프의 점퍼소켓과 연결되는 점퍼선, 상기 송전선과 상기 점퍼선에 대해 양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도선체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후크 조립체, 및 상기 송전선과 상기 점퍼선에 대해 상기 후크 조립체의 체결상태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클램프 기구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transmission line installed through a compression human clamp for a transmission tower, a jumper wire connected to a jumper socket of the compression human clamp, and both ends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the jumper wire are detachable. And a hook assembly that is securely fixed and interconnected via a conductor, and a clamp mechanism for variably adjusting a fastening state of the hook assembly with respect to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nd the jumper wir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도선체는 플렉시블한 편조선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이 절연재로 피복 처리되도록 구성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or body is made of a flexible braided wire, and the surface is configured to be coat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후크 조립체는 상기 송전선과 상기 점퍼선에 대해 결합 가능하게 절곡되는 제1후크부재, 상기 제1후크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송전선과 상기 점퍼선에 대해 결합 가능하게 절곡되는 제2후크부재, 및 상기 제1후크부재와 상기 제2후크부재 사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후크 조립체는 상기 도선체와의 결합을 위한 압착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 assembly is a first hook member that is bent to be coupled to the transmission line and the jumper wire, and can be coupled to the transmission line and the jumper line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hook member. A second hook member that is bent so as to be bent, and a support shaft that passes through between the first hook member and the second hook member, and the hook assembly further includes a crimp connection part for coupling with the conductor bod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축은 일단부에 상기 후크 조립체의 축방향 이탈을 억제하기 위한 돌출부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상기 클램프 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지지축은 상기 제1후크부재와 상기 제2후크부재에 대해 슬립이음 방식으로 축결합되어 상기 제1후크부재와 상기 제2후크부재는 상기 지지축에 대해 축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shaft has a protrusion at one end for suppressing the axial separation of the hook assembly, and the clamp mechanism at the other end. In addition, the support shaft is axially coupled to the first hook member and the second hook member in a slip joint manner so that the first hook member and the second hook member can move only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Install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축은 외주면에 세레이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후크부재와 상기 제2후크부재는 상기 세레이션부와의 결합을 위한 세레이션부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1후크부재와 상기 제2후크부재는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상대 회전의 억제를 위한 핀 구조물과 삽입구멍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핀 구조물은 상기 삽입구멍을 향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구멍의 내부에서 저면이 리턴스프링을 매개로 탄발 지지되도록 설치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shaft has a serration por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irst hook member and the second hook member have a through hol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rration portion for coupling with the serration portion. And the first hook member and the second hook member each have a pin structure and an insertion hole for suppressing relative rotation in portions facing each other, and the pin structure is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toward the insertion hole It is install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elastically supported through the return spring inside the ho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 기구의 이탈을 억제하는 구속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데, 상기 클램프 기구는 상기 지지축에 대해 회전만 가능하게 조립되는 중공형 구동캠부재, 상기 지지축에 대해 축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구동캠부재의 회전에 따라 축방향으로 변위하는 중공형 종동캠부재, 및 상기 구동캠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조작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레버는 표면이 절연재로 피복 처리되도록 구성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restraining structure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to suppress separation of the clamp mechanism, wherein the clamp mechanism is a hollow drive cam member that is assembled to be rotatable only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 A hollow driven cam member that is assembled so as to be movable only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and is displaced in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cam member, and an operation lever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ing cam member, , The operating lev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urface is coat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구동캠부재와 상기 종동캠부재는 돌출면의 높이가 연속적으로 변화되어 상기 후크 조립체의 축방향 상대변위를 유도하는 원추대 형상의 캠 프로파일을 구비하고, 상기 캠 프로파일은 돌출면의 높이가 가장 높은 최대 돌출부, 돌출면의 높이가 가장 낮은 최소 돌출부, 및 상기 최대 돌출부와 상기 최소 돌출부 사이에서 돌출면의 높이를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연결하는 굴곡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최대 돌출부와 상기 최소 돌출부 및 상기 굴곡 연결부는 상기 구동캠부재와 상기 종동캠부재의 전 둘레부위를 따라 동위상으로 연속적인 형태로 각각 형성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cam member and the driven cam member have a conical cam profile in which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surface is continuously changed to induce a relative displacemen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hook assembly, and the cam profile Is provided with a maximum protrusion having the highest height of the protruding surface, a minimum protrusion having the lowest height of the protruding surface, and a bent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by gradually changing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surface between the maximum protrusion and the minimum protrus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the minimum protruding portion, and the curved connecting portion are formed in a continuous form in phase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cam member and the driven cam member, respectively.

본 발명은 송전선과 점퍼선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바이패스 연결용구로서, 휴대가 간편하고 송전선과 점퍼선에 대해 보다 간편하게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바이패스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ypass connection tool capable of connecting between a transmission line and a jumper lin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ypass device that is easy to carry and can be more easily combined and separated for a transmission line and a jumper line.

이 경우, 바이패스 장치는 송전선과 점퍼선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후크 조립체와, 이들 후크 조립체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렉시블한 도선체, 및 송전선과 점퍼선에 대한 후크 조립체의 체결상태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클램프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승탑 및 고소 이동 작업시 보다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고, In this case, the bypass device can vary a pair of hook assemblies each connected to a transmission line and a jumper line, a flexible conduct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hook assemblies, and a fastening state of the hook assembly to the transmission line and the jumper line. By providing a clamp mechanism that adjusts to, it can be carried more conveniently during boarding and moving work at high places,

특히, 본 발명은 클램프 기구의 조작에 의해 송전선과 점퍼선에 대한 후크 조립체의 체결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송전선로의 작업 과정에서 활선선로로부터 휴전선로로 유입되는 이상전류 및 유도전류에 의한 작업자의 감전 사고를 보다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firmly maintain the fastening state of the hook assembly to the transmission line and the jumper line by the operation of the clamp mechanism, the abnormal current and the induced current flowing from the live line to the cease-fire line during the work of the transmission line It is possible to more completely prevent an electric shock accident by the worker.

또한, 본 발명은 송전선과 점퍼선에 대한 후크 조립체의 결합 및 분리를 원터치 방식의 체결과 해제가 가능한 구조의 클램프 기구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hook assembly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line and the jumper line can be implemented by a clamp mechanism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fastening and releasing in a one-touch method,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에 대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에 있어, 주요 구성부위에 해당하는 후크 조립체와 클램프 기구의 구성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클램프 기구에 있어, 구동캠부재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클램프 기구에 있어, 종동캠부재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bypass device for jumper separation of an overhead transmiss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bypass device for separating jumpers of an overhead transmiss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relationship between a hook assembly and a clamp mechanism corresponding to a main component in the bypass device for separating a jumper of an overhead transmiss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configuration of a driving cam member in the clamp mechanism shown in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configuration of a driven cam member in the clamp mechanism shown in FIG. 3.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에 대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bypass device for jumper separation of an overhead transmiss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로 하면, 송전철탑(10)은 절연체인 애자구조물(12)과 전도체인 압축인류 클램프(14)를 매개로 송전선(16; 가공송전선)과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transmission tower 10 is connected to a transmission line 16 (overhead transmission line) via an insulator structure 12 as an insulator and a compression human clamp 14 as a conductor.

즉, 상기 송전철탑(10)은 애자구조물(12)의 일단부과 연결되고, 상기 애자구조물(12)의 타단부는 압축인류 클램프(14)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압축인류 클램프(14)의 타단부는 송전선(16)의 일단부와 연결된다.That is, the transmission tower 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sulator structure 12, and the other end of the insulator structure 12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mpression human clamp 14, and the compression human clamp 14 The other end of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6.

또한, 상기 송전철탑(10)에 대해 애자구조물(12)과 압축인류 클램프(14)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송전선(16)의 연결 상태는 반대편 송전선(16)에도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transmission line 16 made of the insulator structure 12 and the compression human clamp 14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tower 10 is configured in the same form as the other transmission line 16.

이 경우, 상기 압축인류 클램프(14)의 점퍼소켓(18; 점퍼선 연결소켓)은 점퍼선(20)을 통해 상기 송전철탑(10)의 반대편에 위치한 다른 압축인류 클램프(14)의 점퍼소켓(18)과 연결되어 송전철탑(10)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송전선(16) 사이에 대한 전기적 연결상태를 구현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jumper socket 18 (jumper wire connection socket) of the compression human clamp 14 is a jumper socket of the other compression human clamp 14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ransmission tower 10 through the jumper wire 20 18) to implement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transmission lines 16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ransmission tower 10 as the cen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100)는 송전선(16)과 점퍼선(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용구로서, 상기 송전선(16)과 점퍼선(20)에 대해 양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The bypass device 100 for separating a jumper of an overhead transmiss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on tool capable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line 20, and the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line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can be detachably fixed with respect to (2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에 있어, 주요 구성부위에 해당하는 후크 조립체와 클램프 기구의 구성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jumper separation bypass device of an overhead transmiss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jumper separation bypass device of the overhead transmiss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 It is a view showing an enlarged configu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hook assembly and the clamp mechanism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part.

도 1과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면, 상기 바이패스 장치(100)는 송전선(16)과 점퍼선(20)에 대해 양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후크 조립체(110), 상기 한 쌍의 후크 조립체(11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도선체(120), 및 상기 후크 조립체(110)에 설치되어 송전선(16)과 점퍼선(20)에 대해 후크 조립체(110)의 체결상태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클램프 기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2, and 3, the bypass device 100 is a pair of hook assemblies 110 in which both ends are detachably fixed to the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line 20, the A conductor body 120 installed to electrically connect between a pair of hook assemblies 110, and a hook assembly 110 installed on the hook assembly 110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wire 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lamp mechanism 130 for variably adjusting the fastening state.

상기 후크 조립체(110)는 송전선(16)과 점퍼선(20)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제1후크부재(111)와 제2후크부재(112), 상기 제1후크부재(111)와 제2후크부재(112)를 축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113), 및 상기 도선체(12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압착 연결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ook assembly 110 includes a first hook member 111 and a second hook member 112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line 20, the first hook member 111 and the second 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shaft 113 for supporting the hook member 112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crimping connection 114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onductor body 120.

상기 제1후크부재(111)는 송전선(16)과 점퍼선(20)에 대해 각각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송전선(16)과 점퍼선(2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절곡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후크부재(111)는 송전선(16)과 점퍼선(20)의 외주면 중 대략 절반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만곡진 형태로 절곡된 형태로 구성된다.The first hook member 111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each of the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line 20, and is bent so as to wrap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line 20. Don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ok member 111 is formed in a curved shape so as to wrap approximately half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line 20.

상기 제2후크부재(112)는 제1후크부재(111)와 대향하는 부위에 위치하고, 상기 송전선(16)과 점퍼선(20)에 대해 각각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2후크부재(112)도 역시 송전선(16)과 점퍼선(2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절곡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후크부재(112)는 송전선(16)과 점퍼선(20)의 외주면 중 대략 절반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만곡진 형태로 절곡된 형태로 구성된다.The second hook member 112 is positioned at a portion facing the first hook member 111 and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line 20,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second hook member 112 is also bent so as to wrap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line 2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ook member 112 is formed in a curved shape so as to wrap approximately half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line 20.

상기 지지축(113)은 제1후크부재(111)와 제2후크부재(112) 사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후크부재(111)와 제2후크부재(112)에 대한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upport shaft 113 is installed to penetrate between the first hook member 111 and the second hook member 112, and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hook member 111 and the second hook member 112 It serves to guide the movement.

이 경우, 제1후크부재(111)와 제2후크부재(112)는 송전선(16)과 점퍼선(2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는 위치에서 지지축(113)에 대해 축방향으로 모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두 부재중 어느 하나만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1후크부재(111)와 제2후크부재(112) 모두가 지지축(113)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제1후크부재(111)만 이동 가능하거나, 또는 제2후크부재(112)만 이동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first hook member 111 and the second hook member 112 can both mov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113 at a position that can wrap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line 20 It may be installed so that only one of the two members is movable. That is, both the first hook member 111 and the second hook member 112 can b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113, only the first hook member 111 can be moved, or the second hook member It is said that it is safe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only move (112).

또한, 상기 지지축(113)은 일단부에 상기 후크 조립체(110)의 축방향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결합되는 돌출부(113a)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113a)와 대향하는 타단부에 상기 클램프 기구(130)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113a)는 지지축(113)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구조물로서 상기 후크 조립체(110)의 축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컨대, 상기 돌출부(113a)는 지지축(113)에 체결되는 너트를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축(113)은 도선체(120)의 배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shaft 113 has a protrusion 113a coupled to one end to suppress the axial separation of the hook assembly 110, and the clamp mechanism at the other end facing the protrusion 113a. It is configured to have (130). In this case, the protrusion 113a is a structure that is fixed to one end of the support shaft 113 and may be any one that prevents the hook assembly 110 from being separated in the axial direction. For example, the protrusion 113a may constitute a nut fastened to the support shaft 113. In addition, the support shaft 113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ductor body 120.

또한, 상기 지지축(113)은 상기 후크 조립체(110)에 대한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송전선(16)과 점퍼선(20)에 대한 후크 조립체(11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지지축(113)은 상기 제1후크부재(111)와 제2후크부재(112)에 대해 슬립이음 방식으로 축결합되어 상기 제1후크부재(111)와 제2후크부재(112)는 상기 지지축(113)에 대해 축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support shaft 113 is configured to induce a stable coupling of the hook assembly 110 to the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line 20 by preventing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hook assembly 110. More preferable. For example, the support shaft 113 is axially coupled to the first hook member 111 and the second hook member 112 in a slip joint manner, so that the first hook member 111 and the second hook member 112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only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113.

이 경우, 상기 지지축(113)은 외주면의 전 둘레부위에 걸쳐 외부를 향해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세레이션부(113b)를 구비하고, 상기 제1후크부재(111)와 상기 제2후크부재(112)는 상기 세레이션부와의 결합을 위한 세레이션부(111a,112a)가 내주면의 전 둘레부위에 걸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축(113)과 제1후크부재(111) 및 제2후크부재(112) 사이의 세레이션부를 이용한 슬립이음 방식의 축결합은 이들 사이의 상대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송전선(16)과 점퍼선(20)에 대한 상기 후크 조립체(110)의 결합시 보다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In this case, the support shaft 113 includes a serration portion 113b protruding axially outwar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irst hook member 111 and the second hook member ( 112) is configured to have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ver the entir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rration portions 111a and 112a for coupling with the serration portion. That is, the shaft coupling of the slip joint method using the serration part between the support shaft 113 and the first hook member 111 and the second hook member 112 restrains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m, and thus the transmission line 16 And when the hook assembly 110 is coupled to the jumper wire 20,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more stable coupling state.

상기 압착 연결부(114)는 후크 조립체(110)와 도선체(120) 사이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압착 연결부(114)는 후크 조립체(110)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도선체(120)의 일단부를 압착시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압착 연결부(114)는 제1후크부재(111)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한정하였으나, 제2후크부재(112)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The crimping connection portion 114 is to maintain a more robust coupling between the hook assembly 110 and the conductor 120, and the crimping connection portion 114 is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hook assembly 110 It is configured to fix one end of the conductor body 120 by pressing therei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ression connection portion 114 is limited to a structure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hook member 111, but may be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hook member 112.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축(113)에 대한 제1후크부재(111)와 제2후크부재(112)의 상대 회전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1후크부재(111)와 제2후크부재(112)는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핀 구조물(115)과 삽입구멍(116)을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핀 구조물(115)은 상기 삽입구멍(116)을 향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구멍(117)의 내부에서 저면이 리턴스프링(117a)을 매개로 탄발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핀 구조물(115)과 삽입구멍(116)을 이용한 결합은 상기 지지축(113)에 대한 제1후크부재(111)와 제2후크부재(112) 사이의 상대 회전을 구속할 수 있으므로, 상기 송전선(16)과 점퍼선(20)에 대한 상기 후크 조립체(110)의 결합시 보다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uppress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hook member 111 and the second hook member 112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113, the first hook member 111 and The second hook member 112 is configured to have a pin structure 115 and an insertion hole 116 at portions facing each other. In this case, the pin structure 115 is install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elastically supported through the return spring 117a in the interior of the installation hole 117 so as to protrude outward toward the insertion hole 116. Accordingly, coupling using the pin structure 115 and the insertion hole 116 can restrain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first hook member 111 and the second hook member 112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113. Therefore, when the hook assembly 110 is 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line 20, a more stable coupling state can be maintained.

상기 도선체(120)는 한 쌍의 후크 조립체(11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도선체(120)는 플렉시블하게 직조되는 편조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도선체(120)의 표면은 실리콘과 같은 유연 소재의 절연재로 피복 처리되어 감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바이패스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도선체(120)를 후크 조립체(110)와 함께 감아 그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승탑 및 고소작업을 위한 이동시 보다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The conductor body 120 is installed to electrically connect between a pair of hook assemblies 110,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or body 120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braided wire. In particular, the surface of the conductor 120 is coat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silicon, so that the occurrence of an electric shock accident can be prevented. Accordingly, when the operator does not use the bypass device 100, the conductor 120 is wound together with the hook assembly 110 to minimize its volume, so that it can be carried more conveniently when moving for boarding and high place work. .

상기 클램프 기구(130)는 송전선(16)과 점퍼선(20)에 대한 후크 조립체(110)의 결합과 분리를 각각 원터치 방식의 체결과 해제로 구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clamp mechanism 130 has a structure capable of implementing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hook assembly 110 to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line 20 by one-touch fastening and releasing, respectively.

이를 위해 클램프 기구(130)는 상기 지지축(113)에 대해 회전만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설치되는 중공형 구동캠부재(140), 상기 지지축(113)에 대해 축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구동캠부재(140)의 회전에 따라 축방향으로 변위하도록 설치되는 중공형 종동캠부재(150), 및 상기 구동캠부재(14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에 의한 선회조작을 위해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조작레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구동캠부재(140)는 지지축(113)의 외주면에 대해 특정 위치에서 회전만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종동캠부재(150)는 지지축(113)의 외주면에 대해 슬립이음 방식으로 축결합되어 축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된다.To this end, the clamp mechanism 130 is a hollow drive cam member 140 installed so as to be assembled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113, and assemble to be movable only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113 The hollow driven cam member 150 is installed to displace in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cam member 140, and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cam member 140 to prevent the user from rotatin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lever 160 protruding toward. For example, the driving cam member 140 is assembled to be rotated only at a specific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113, and the driven cam member 150 is a slip joint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113. It is assembled so that it can move only in the axial direction by being axially coupled.

이 경우, 상기 구동캠부재(140)와 종동캠부재(150)는 돌출면의 높이가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상기 후크 조립체(110)에 대한 축방향의 상대변위를 유도할 수 있는 원추대 형상의 캠 프로파일을 구비한다. 특히, 캠 프로파일은 상호 대응하여 접촉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는 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동캠부재(140)측 캠 프로파일은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종동캠부재(150)측 캠 프로파일은 내부를 향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In this case, the driving cam member 140 and the driven cam member 150 have a conical shape cam profile that can induce a relative displacement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ok assembly 110 by continuously changing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surface. It is equipped with. In particular, the cam profiles are formed in a contactable state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 profile on the side of the driving cam member 140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and the cam profile on the side of the driven cam member 150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toward the inside.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클램프 기구에 있어, 구동캠부재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클램프 기구에 있어, 종동캠부재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configuration of a driving cam member in the clamp mechanism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configuration of a driven cam member in the clamp mechanism shown in FIG. 3 to be.

도 4와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기 구동캠부재(140)와 종동캠부재(150)에 각각 구비되는 원추대 형상의 캠 프로파일은 돌출면의 높이가 가장 높은 최대 돌출부(A), 돌출면의 높이가 가장 낮은 최소 돌출부(B), 및 상기 최대 돌출부(A)와 최소 돌출부(B) 사이에서 돌출면의 높이를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연결하는 굴곡 연결부(C)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cam profiles having a conical shape provided on the driving cam member 140 and the driven cam member 150, respectively, have a maximum protrusion (A) having the highest height of the protruding surface, and It is configured to have a minimum protrusion (B) having the lowest height, and a bent connection (C) connecting by gradually changing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surface between the maximum protrusion (A) and the minimum protrusion (B).

무엇보다도, 상기 캠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최대 돌출부(A)와 최소 돌출부(B) 및 굴곡 연결부(C)는 구동캠부재(140)와 종동캠부재(150)의 전 둘레부위를 따라 동위상으로 연속적인 형태로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Above all, the maximum protrusion (A), the minimum protrusion (B), and the bent connection (C) constituting the cam profile are continuous in phase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cam member 140 and the driven cam member 150. Each is configured to be formed in a typical shape.

이에 따라, 상기 구동캠부재(140)의 최대 돌출부(A)가 종동캠부재(150)의 최대 돌출부(A)에 맞닿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종동캠부재(150)는 지지축(113)을 따라 축방향으로 변위하게 되므로, 제1후크부재(111)와 제2후크부재(112) 사이의 거리는 최소화되고, 이를 통해 후크 조립체(110)는 체결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maximum protrusion (A) of the driving cam member 140 reaches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maximum protrusion (A) of the driven cam member 150, the driven cam member 150 moves the support shaft 113 Accordingly, since it is displac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hook member 111 and the second hook member 112 is minimized, and through this, the hook assembly 110 is converted into a fastened state.

반대로, 상기 구동캠부재(140)의 최대 돌출부(A)가 종동캠부재(150)의 최소 돌출부(B)에 맞닿는 위치에 도달하면, 제1후크부재(111)와 제2후크부재(112) 사이의 거리는 최대화되므로, 후크 조립체(110)는 해제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상기 굴곡 연결부(C)는 상대편 최대 돌출부(A)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절도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Conversely, when the maximum protrusion (A) of the driving cam member 140 reaches a position where it abuts the minimum protrusion (B) of the driven cam member 150, the first hook member 111 and the second hook member 112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maximized, the hook assembly 110 is switched to the released state. In addition, the bent connection portion (C) plays a role of allowing the user to feel a sense of theft while the largest protrusion portion (A) on the other side rotate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후크 조립체(110)의 체결 및 해제를 조절하기 위한 클램프 기구(130)는 최대 돌출부(A)와 최소 돌출부(B) 및 굴곡 연결부(C)를 포함하는 원추대 형상의 캠 프로파일을 이용한 축방향 가압장치에 한정하였으나, 상기 지지축(113)의 축방향을 따라 제1후크부재(111)와 제2후크부재(112)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면 다른 어떤 형태의 구조물이라도 무방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 mechanism 130 for adjusting the fastening and releasing of the hook assembly 110 includes a maximum protrusion (A), a minimum protrusion (B), and a bent connection (C). Although limited to the axial pressing device using a conical cam profile, any other form if it can implement the movement of the first hook member 111 and the second hook member 112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shaft 113 It would be okay to have a structure of.

또한, 상기 조작레버(160)는 구동캠부재(140)의 외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한 클램프 기구(130)의 조작시 파지될 수 있는 것으로, 표면이 절연재로 피복 처리되어 있어 감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lever 160 is provided outside the driving cam member 140 and can be gripped when the clamping mechanism 130 is operated by the user, and the surface is coat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electric shock. It is structured to be preventab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장치(100)는 상기 지지축(113)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 기구(130)의 위치를 규제함과 동시에 이탈을 억제하는 구속 구조물(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구속 구조물(170)은 상기 지지축(113)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스냅 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bypass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straining structure 170 that is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113 to regulate the position of the clamping mechanism 130 and suppress separation. It is composed by For example, the constraining structure 170 may be formed of a snap ring inser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113.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는 송전선로 작업시 송전선(16)과 점퍼선(20)에 각각 후크 조립체(110)를 걸어 설치한 다음, 조작레버(160)를 매개로 클램프 기구(130)를 작동시켜 송전선(16)과 점퍼선(20)에 대한 후크 조립체(110)의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bypass device for separating the jumper of the overhead transmission l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by hooking the hook assembly 110 to each of the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line 20 when working on the transmission line. , By operating the clamp mechanism 130 via the operation lever 160, it is possible to firmly maintain the fastening state of the hook assembly 110 to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line 20.

즉, 후크 조립체(110)의 제1후크부재(111)와 제2후크부재(112)를 지지축(113)에 대해 상호 이격되는 위치로 옮긴 상태에서 이들을 송전선(16)과 점퍼선(20)의 외주면에 대해 감싸도록 설치하면 된다.That is, in the state that the first hook member 111 and the second hook member 112 of the hook assembly 110 are moved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113, the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line 20 Just install it so that it wrap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이어, 조작레버(160)를 일정각도로 회전하게 되면, 클램프 기구(130)의 구동캠부재(140)는 종동캠부재(150)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되고, 이들 사이에 형성된 캠 프로파일의 접촉에 의해 구동캠부재(140)는 지지축(113)의 축방향을 따라 종동캠부재(150)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Then, when the operation lever 160 is rotated at a certain angle, the driving cam member 140 of the clamping mechanism 130 rotates relative to the driven cam member 150, and the cam profile formed therebetween Accordingly, the driving cam member 140 can press the driven cam member 150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shaft 113.

이 결과, 후크 조립체(110)의 제1후크부재(111)와 제2후크부재(112) 사이의 거리는 최소의 상태로 전환되므로, 송전선(16)과 점퍼선(20)에 대한 후크 조립체(110)의 체결은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송전선로 작업 과정에서 활선선로로부터 휴전선로로 유입되는 이상전류 및 유도전류에 의한 작업자의 감전사고를 보다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hook member 111 and the second hook member 112 of the hook assembly 110 is converted to the minimum state, the hook assembly 110 for the transmission line 16 and the jumper line 20 ),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olid state,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ore completely prevent an electric shock accident of a worker due to an abnormal current and an induced current flowing from the live line to the ceasefire line during the work of the transmission lin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송전철탑 12-애자구조물
14-압축인류 클램프 16-송전선
18-점퍼소켓 20-점퍼선
100-바이패스 장치 110-후크 조립체
111-제1후크부재 112-제2후크부재
113-지지축 114-압착 연결부
115-핀구조물 116-삽입구멍
117-설치구멍 120-도선체
130-클램프 기구 140-구동캠부재
150-종동캠부재 160-조작레버
170-구속 구조물
10-transmission tower 12-insulator structure
14-compressed human clamp 16-transmission line
18-jumper socket 20-jumper wire
100-bypass unit 110-hook assembly
111-first hook member 112-second hook member
113-support shaft 114-crimp connection
115-pin structure 116-insertion hole
117-mounting hole 120-conductor
130-clamp mechanism 140-drive cam member
150-follower cam member 160-operation lever
170-Constrained Structure

Claims (13)

송전철탑에 대해 압축인류 클램프를 매개로 설치되는 송전선, 상기 압축인류 클램프의 점퍼소켓과 연결되는 점퍼선, 상기 송전선과 상기 점퍼선에 대해 양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도선체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후크 조립체, 및 상기 송전선과 상기 점퍼선에 대해 상기 후크 조립체의 체결상태를 조절하는 클램프 기구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크 조립체는 상기 송전선과 상기 점퍼선에 대해 결합 가능하게 절곡되는 제1후크부재, 상기 제1후크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송전선과 상기 점퍼선에 대해 결합 가능하게 절곡되는 제2후크부재, 및 상기 제1후크부재와 상기 제2후크부재 사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은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세레이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후크부재와 상기 제2후크부재는 상기 세레이션부와 슬립이음 방식의 축결합을 위해 관통구멍의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세레이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후크부재와 상기 제2후크부재는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상대 회전의 억제를 위한 핀 구조물과 삽입구멍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핀 구조물은 상기 삽입구멍을 향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구멍의 내부에서 저면이 리턴스프링을 매개로 탄발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 기구는 상기 지지축에 대해 회전만 가능하게 조립되는 중공형 구동캠부재, 상기 지지축에 대해 축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구동캠부재의 회전에 따라 축방향으로 변위하는 중공형 종동캠부재, 및 상기 구동캠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조작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캠부재와 상기 종동캠부재는 돌출면의 높이가 연속적으로 변화되어 상기 후크 조립체의 축방향 상대변위를 유도하는 원추대 형상의 캠 프로파일을 구비하되, 상기 캠 프로파일은 돌출면의 높이가 가장 높은 최대 돌출부, 돌출면의 높이가 가장 낮은 최소 돌출부, 및 상기 최대 돌출부와 상기 최소 돌출부 사이에서 돌출면의 높이를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연결하는 굴곡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최대 돌출부와 상기 최소 돌출부 및 상기 굴곡 연결부는 상기 구동캠부재와 상기 종동캠부재의 전 둘레부위를 따라 동위상으로 연속적인 형태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
A transmission line installed with a compression human clamp for a transmission tower, a jumper wire connected to the jumper socket of the compression human clamp, and both ends are detachably fixed to the transmission line and the jumper wire, and are interconnected via a conductor. In the bypass device for separating a jumper of an overhead transmission line comprising a hook assembly and a clamp mechanism for adjusting a fastening state of the hook assembly with respect to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nd the jumper line,
The hook assembly includes a first hook member that is bent to be 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nd the jumper wire, and a second hook member that is bent to be 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nd the jumper line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hook member, And a support shaft penetrating between the first hook member and the second hook member,
The support shaft has a serration part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irst hook member and the second hook member protrude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for axial coupling between the serration part and the slip joint method. Has a serration unit
The first hook member and the second hook member each have a pin structure and an insertion hole for suppressing relative rotation at a portion facing each other, and the pin structure is an inside of the installation hole so as to protrude outward toward the insertion hole. Is install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elastically supported through the return spring,
The clamp mechanism is a hollow driving cam member that is assembled to be rotatable only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and a hollow that is assembled to be movable only in an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and is displaced in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cam member. A type driven cam member, and an operation lever coupled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ing cam member,
The driving cam member and the driven cam member have a conical cam profile in which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surface is continuously changed to induce a relative displacemen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hook assembly, wherein the cam profile has the highest height of the protruding surface. A maximum protrusion, a minimum protrusion having the lowest height of the protrusion surface, and a bent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by gradually changing a height of the protrusion surface between the maximum protrusion and the minimum protrus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a bypass device for separating a jumper of an overhead transmission l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 a continuous shape in phase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cam member and the driven cam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선체는 플렉시블한 편조선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이 절연재로 피복 처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ctor body is made of a flexible braided wire, the bypass device for separating jumpers of an overhead transmission l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is configured to be coat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 조립체는 상기 도선체와의 결합을 위한 압착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ok assembly is a bypass device for separating a jumper of an overhead transmission li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rimp connection for coupling with the conduc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일단부에 상기 후크 조립체의 축방향 이탈을 억제하기 위한 돌출부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상기 클램프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shaft has a protrusion for suppressing the axial separation of the hook assembly at one end and the clamp mechanism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shaf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 기구의 이탈을 억제하는 구속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ypass device for separating jumpers of an overhead transmission line, further comprising a restraining structure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to suppress separation of the clamp mechanis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는 표면이 절연재로 피복 처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의 점퍼 분리용 바이패스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lever is a bypass device for separating a jumper of an overhead transmission l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is coat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KR1020180156117A 2018-12-06 2018-12-06 Bypass device for separating jumper of overhead transmission KR1022126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117A KR102212646B1 (en) 2018-12-06 2018-12-06 Bypass device for separating jumper of overhead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117A KR102212646B1 (en) 2018-12-06 2018-12-06 Bypass device for separating jumper of overhead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029A KR20200069029A (en) 2020-06-16
KR102212646B1 true KR102212646B1 (en) 2021-02-08

Family

ID=71141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117A KR102212646B1 (en) 2018-12-06 2018-12-06 Bypass device for separating jumper of overhead trans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64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916A (en) * 2001-01-19 2002-08-0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Braiding turning-over method of shield cab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712Y1 (en) * 1986-01-10 1989-04-07 홍윤화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KR20120000978U (en) * 2010-07-30 2012-02-09 한국전력공사 Jumper Lead Wire Equipment
KR101492819B1 (en) 2013-07-26 2015-02-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Apparatus of working tool for live transmisson l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916A (en) * 2001-01-19 2002-08-0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Braiding turning-over method of shield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029A (en)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09196A (en)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construction method utilizing electric wire moving mechanism in electric power pole
KR101850531B1 (en) By-pass cable terminal apparatus
NZ233207A (en) Sleeve for cable joint: dual layer of cross-linked polymeric material
KR102177388B1 (en) Cut-out swich replacement device
JP5714275B2 (en) Insulation protection cover for indirect hot-wire construction
KR20200068339A (en) Bypass cable connection clamp for live work with temporary mounting
KR102650799B1 (en) Auxiliary apparatus for hot line work of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hot line work of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using thereof
KR102212646B1 (en) Bypass device for separating jumper of overhead transmission
KR102342807B1 (en) Cable clamp for connecting high-voltage wires
KR20170003373U (en) Cover for insulating branch connector for overhead distribution line
US2871282A (en) Hot line guards
CN103283101A (en) Jointing assembly for electrical cables
JP5897927B2 (en) Electric wire cutting / connection auxiliary tool
KR100827000B1 (en) Electric wire clamp for electric supply line
CN105305331A (en) Grounding device for T-shaped cable head
US2114736A (en) Electrical connecter
KR101874563B1 (en) Support insulator for fixing overhead electric power line
KR102378111B1 (en) Insulating apparatus for power cable
KR102093601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protective cover
KR20130020389A (en) Hot line clamp for power line
JP4553692B2 (en) High pressure hot wire support jig
EP2656465B1 (en) Screen connector for electrical cables and jointing assembly comprising said screen connector
CN105048132A (en) High voltage grounding wire apparatus
CN203219158U (en) Motor coiling rotor heavy current leading-out device
JP6565659B2 (en) Compression sleeve for indirect hot wire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