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210B1 - 필기 정보를 공유 및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필기 정보를 공유 및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210B1
KR102212210B1 KR1020130147817A KR20130147817A KR102212210B1 KR 102212210 B1 KR102212210 B1 KR 102212210B1 KR 1020130147817 A KR1020130147817 A KR 1020130147817A KR 20130147817 A KR20130147817 A KR 20130147817A KR 102212210 B1 KR102212210 B1 KR 102212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handwriting
window
handwri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1547A (ko
Inventor
주유성
김성기
이재준
권대형
류성욱
임현우
정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480066734.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793836B/zh
Priority to PCT/KR2014/009346 priority patent/WO2015050408A1/en
Priority to EP14850405.3A priority patent/EP3039557A4/en
Priority to CN201911086224.8A priority patent/CN110851033A/zh
Priority to US14/507,159 priority patent/US20150100867A1/en
Publication of KR20150041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69Annotation, e.g. comment data or footno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필기 정보 공유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표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와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 정보 공유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필기 정보를 공유 및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nd Displaying Writ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필기 정보를 공유 및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를 저장하고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의 화면에 필기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컨텐츠와 관련된 필기 정보를 책, 공책에 필기하였으나,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 및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발달함에 따라 컨텐츠와 관련된 필기 정보들을 디바이스에 직접 입력하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디바이스에 입력한 필기 정보들은 컨텐츠와 함께 인코딩되므로, 필기 정보를 개별적 공유하거나, 필기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기 어렵다. 특히 저작권 관련 컨텐츠는 수정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저작권 관련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를 컨텐츠와 함께 저장할 수 없어 사용자는 필기 정보를 따로 저장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필기 정보를 따로 저장하더라도, 필기 정보가 어떤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인지 식별하기 어렵고, 사용자가 필기 정보를 입력한 디바이스외의 다른 디바이스에서 필기 정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컨텐츠와 필기 정보를 직접 저장하고,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에서 필기 정보를 표시할 때,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하더라도, 입력한 필기 정보의 표시는 컨텐츠에 따라 변경되지 않았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필기 정보를 삭제 또는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른 디바이스와 필기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필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필기 정보 공유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표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필기 정보,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와 상기 필기정보를 동기화 하는데 필요한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정보와 상기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정보 및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페이지 정보,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 상기 컨텐츠의 페이지 내의 필기 정보의 위치,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 내의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정보는, 필기 시작 이벤트, 필기 종료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정보 및 텍스트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정보와 상기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필기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문서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정보와 상기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문서 컨텐츠의 각 페이지 대응하는 필기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정보,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접속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정보,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필기 정보 공유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상기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상기 필기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서 상기 필기 정보와 상기 컨텐츠를 동기화하는데 이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상기 필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필기 정보와 상기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필기 시작 이벤트 및 필기 종료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필기 시작 이벤트 및 필기 종료 이벤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컨텐츠 정보 및 상기 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접속 주소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 상기 컨텐츠의 페이지 정보, 상기 필기 정보가 표시되는 상기 페이지 내의 좌표 정보, 상기 필기 정보가 표시되는 상기 프레임 내의 좌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필기 정보 공유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표시 요청을 수신하는 표시 요청 수신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필기 정보, 상기 컨텐츠,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정보와 상기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필기 정보, 상기 컨텐츠, 상기 컨텐츠 동기화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컨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컨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정보 및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페이지 정보,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 상기 컨텐츠의 페이지 내의 필기 정보의 위치,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 내의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정보는, 필기 시작 이벤트, 필기 종료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정보 및 텍스트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필기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문서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문서 컨텐츠의 각 페이지 대응하는 필기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필기 정보,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주소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획득한 접속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정보,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필기 정보 공유 디바이스에 있어서,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획득하는 필기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상기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상기 필기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서 상기 필기 정보와 상기 컨텐츠를 동기화하는데 이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상기 필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저장된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필기 정보와 상기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정보 획득부는, 필기 시작 이벤트 및 필기 종료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필기 시작 이벤트 및 필기 종료 이벤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정보를 생성하는 필기 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는, 상기 컨텐츠,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상기 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를 생성하는 접속 주소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는, 상기 생성된 접속 주소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 상기 컨텐츠의 페이지 정보, 상기 필기 정보가 표시되는 상기 페이지 내의 좌표 정보, 상기 필기 정보가 표시되는 상기 프레임 내의 좌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공유하는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공유하는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세부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서, 서버, 컨텐츠 제공 서버 간의 필기 정보를 공유하는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표시하는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와 윈도우를 맵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이동에 따른 필기 정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크기 변경에 따른 필기 정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표시에 따른 필기 정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비활성화에 따른 따른 필기 정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표시에 따른 필기 정보의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공유 및 표시하는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필기 정보라 함은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컨텐츠 또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면 필기 정보는 주석 정보(Annotation Information)일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필기 정보’라고 언급하고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필기 정보’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와 같은 다른 형태의 정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101)는 제 2 디바이스(103)와, 필기 정보,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즉, 제 1 디바이스(101)와 제 2 디바이스(103)는 필기 정보, 컨텐츠 동기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01)와 제 2 디바이스(103)는 컨텐츠를 공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101 및 103)는 스마트폰,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101 및 103)는, 전자 칠판, 터치 테이블 등과 같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01) 및 제 2 디바이스(103) 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특히 제 1 디바이스(101) 및 제 2 디바이스(103)의 화면은 전자 칠판의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칠판의 화면을 포함하는 장치는 LCD 패널(Panel),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폰, 랩탑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01) 및 제 2 디바이스(103)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패드, 트랙볼, 전자펜, 터치 스크린 등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필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01) 또는 제 2 디바이스(103) 윈도우 내에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01) 및 제 2 디바이스(103)는 필기 정보를 윈도우와 맵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윈도우라 함은 어플리케이션, 디바이스에서 처리한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는 도 11 내지 도 22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01)는 컨텐츠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 1 디바이스(101)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으로부터 필기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01)는 컨텐츠와 필기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도 2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는(101)는 필기 정보와 컨텐츠를 동기화 하는데 이용하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의 동기화란 필기 정보와 컨텐츠의 동기화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디바이스는 획득한 제 1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를 제 1 컨텐츠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진 제 2 컨텐츠와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특히 디바이스는 제 1 컨텐츠의 필기 정보가 입력된 위치에 대응되는 제 2 컨텐츠의 위치에 필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의 동기화란, 제 1 디바이스(101)가 제 1 문서 컨텐츠의 3 페이지에 대한 필기 정보를 획득한 경우, 제 1 디바이스(101) 또는 제 2 디바이스(103)가 제 1 문서 컨텐츠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제 2 문서 컨텐츠의 3 페이지에 획득한 필기 정보와 동일한 형태의 필기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컨텐츠의 식별 정보 및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컨텐츠의 식별 정보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써, 컨텐츠의 파일 정보, 컨텐츠의 크기, 컨텐츠의 페이지의 수, 프레임의 수들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는, 필기 정보의 컨텐츠 내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서, 컨텐츠의 페이지 정보,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 컨텐츠의 페이지 내의 필기 정보의 위치, 컨텐츠의 프레임 내의 필기 정보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컨텐츠 내에서 필기 정보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는 필기 정보와 컨텐츠를 동기화할 때, 필기 정보가 컨텐츠의 어느 부분에 표시되어야 하는지를 의미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01)는 필기 정보, 컨텐츠 동기화 정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제 2 디바이스(103)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1)는 필기 정보, 컨텐츠 동기화 정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접속 주소 정보를 제 2 디바이스(103)에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01) 및 제 2 디바이스(103)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01) 및 제 2 디바이스(103)는 컨텐츠 서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디바이스(103)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표시 요청을 수신하고, 표시 요청을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 2 디바이스(103)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표시하고, 제 2 디바이스(103)의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 후,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와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디바이스(103)는 컨텐츠의 동기화 정보, 컨텐츠, 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동기화 정보, 컨텐츠, 필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도 3 내지 도 6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디바이스(103)는 제 1 디바이스(101) 또는 서버로부터 획득한 접속 주소 정보에 따라 컨텐츠, 필기 정보, 동기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 및 문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01) 및 제 2 디바이스(103)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필기 정보를 추출 및 생성 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디바이스(101) 및 제 2 디바이스(103)는 필기 시작 이벤트와 필기 종료 이벤트를 감지함으로써, 필기 정보를 생성 및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1) 및 제 2 디바이스(103)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필기를 화면에 표시한 후, 화면에 표시된 필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필기 정보를 추출 및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라 함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디바이스 내의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이벤트 정보(803)는 필기 시작 이벤트, 필기 종료 이벤트, 필기 이동 이벤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 또는 정보의 획득이란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서 수신함으로써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고, 디바이스 내의 저장된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획득하는 것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2는 도 1의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의 화면에 필기정보를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필기 정보 레이어(20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컨텐츠 레이어(203)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 레이어(201)와 컨텐츠 레이어(203)를 오버랩함으로써, 컨텐츠와 필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컨텐츠 레이어(203)에 표시되고, 필기 정보는 필기 정보 레이어(201) 표시되며, 디바이스는 각 레이어를 오버랩함으로써, 필기정보와 컨텐츠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물론,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을 한번에 렌더링하여 표시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즉, 디바이스가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와 필기 정보는 각 레이어에 각각 표시되고, 디바이스는 각 레이어를 오버랩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 만을 따로 저장할 수도 있고, 필기 정보 레이어와 컨텐츠 레이어가 오버랩된 화면을 저장함으로써, 필기 정보를 컨텐츠와 함께 저장할 수 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디바이스든,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와 컨텐츠를 각각의 레이어에 표시하고, 각각의 레이어를 오버랩함으로써, 필기 정보와 컨텐츠를 동기화한 결과를 표시한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 컨텐츠는 각각의 프레임별로 컨텐츠와 필기 정보를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문서 컨텐츠는, 각각의 페이지별로 컨텐츠와 필기 정보를 동기화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301에서,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표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한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컨텐츠 표시 요청 이전에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 및 동기화 정보를 표시하는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 S303에서 디바이스는 컨텐츠, 필기 정보,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필기 정보,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획득한다는 의미는 서버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에서 수신함으로써 획득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내의 저장 장치, 메모리로부터 컨텐츠, 필기 정보,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는 의미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서버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가 존재하지만, 사용자가 사용하는 디바이스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컨텐츠 서버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때, 컨텐츠와 관련된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서버 또는 서버는 컨텐츠와 관련된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컨텐츠와 관련된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와 관련된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필기 정보의 메타 데이터, 컨텐츠 동기화 정보의 메타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메타 데이터는 컨텐츠와 관련된 필기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 필기 정보,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접속가능한 접속 주소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메타 데이터 파일의 형태로 저장 및 생성될 수 있으며,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하나의 메타 데이터 파일 또는 각각의 메타 데이터 파일로 저장 및 생성 될 수 있다.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가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고 있으면,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 컨텐츠 동기화 정보,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 컨텐츠 및 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만을 획득하면, 다른 정보들 또는 컨텐츠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정보들 또는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컨텐츠 동기화 정보, 컨텐츠 필기 정보 및 컨텐츠가 모두 디바이스에 저장된 경우, 디바이스는 각각의 정보들 및 컨텐츠를 디바이스의 저장부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접속 정보 주소에 기초하여,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주소 정보는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내에는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주소 정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주소 정보는 URL(Unifomr Resource Locator) 형식일 수 있다. 또한 접속 주소 정보는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의 메타데이터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접속 주소 정보를 서버, 다른 디바이스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의 저장부로부터 획득 할 수 있다.
단계 S305에서, 디바이스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동기화 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동기화 하여 표시한다는 의미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 내에 포함된 필기 정보의 위치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컨텐츠의 소정의 부분에 표시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도 1에서 설명한 내용과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컨텐츠의 식별 정보 및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의 식별 정보는 컨텐츠의 파일 정보, 컨텐츠의 크기, 컨텐츠의 페이지의 수, 프레임의 수들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는 컨텐츠의 페이지 정보,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 컨텐츠의 페이지 내의 필기 정보의 위치, 컨텐츠의 프레임 내의 필기 정보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필기 정보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는 필기 정보와 컨텐츠를 동기화할 때, 필기 정보가 컨텐츠의 어느 부분에 표시되어야 하는지를 의미하는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는 필기 시작 이벤트, 필기 종료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정보 및 텍스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를 입력할 때, 디바이스는 필기 시작 이벤트 및 필기 종료 이벤트를 감지함으로써, 필기 정보가 수신되는 위치, 필기 정보의 타입, 필기 정보의 넓이, 높이 등의 크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사용자로부터 전자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필기를 입력 받는 경우, 마우스의 클릭, 전자펜의 누름이 필기 시작 이벤트일 수 있고, 마우스의 버튼을 떼거나, 전자펜을 들어 올리는 동작이 필기 종료 이벤트일 수 있다. 또한 마우스의 클릭, 전자펜의 누름 이후, 마우스의 버튼을 떼거나, 전자펜을 들어올리기 전까지는 필기 이동 이벤트일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이벤트를 감지하여, 필기 정보의 형태, 모양 등을 감지하고, 필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텍스트 정보는 비트맵의 형태로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 및 문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로부터 동영상 컨텐츠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필기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함으로써, 필기 정보와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문서 컨텐츠는 다양한 문서를 포함하는 컨텐츠 뿐만 아니라, 정지 영상으로 표시되는 컨텐츠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문서 컨텐츠는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로부터 문서 컨텐츠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필기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함으로써 필기 정보와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400)는 요청 수신부(401), 정보 확인부(403), 표시부(405), 정보 획득부(407)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청 수신부(401)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표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400)는 요청 수신부(401)를 통해 사용자의 컨텐츠 표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요청 수신부(401)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의 선택 요청 또한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청 수신부(401)는 컨텐츠 표시 요청 이외에 필기 정보 또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확인부(403)는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요청 수신부(401)를 통해 선택된 컨텐츠에 관한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내에는 컨텐츠와 관련된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바이스가 사용자로부터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 선택된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405)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와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부(405)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 내의 컨텐츠 식별 정보와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와 필기 정보를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획득부(407)는 필기 정보,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확인부(403)가 확인한 결과, 컨텐츠와 관련된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정보 획득부(407)는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컨텐츠 동기화 정보 또는 필기 정보를 선택한 경우, 정보 확인부(403)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정보 획득부(407)는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또는 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와 관련된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가 디바이스(400) 내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정보 획득부(407)는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로부터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내에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정보 획득부(407)는 컨텐츠 서버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획득부(407)는 컨텐츠, 필기 정보, 컨텐츠 동기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 또는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 필기 정보, 컨텐츠 동기화 정보 중 획득하지 못한 나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획득부(407)는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필기 정보 중 먼저 획득한 정보 또는 컨텐츠 내에 포함된 접속 주소 정보 또는 식별 정보등에 기초하여, 나머지 정보 또는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획득부(407)는 필기 정보,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주소 정보 획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소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접속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획득부(407)는 필기 정보,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 및 문서 컨텐츠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405)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서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필기 정보를 추출하여 컨텐츠와 필기 정보를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부(405)는 각 페이지에 대응하는 필기 정보를 컨텐츠 동기화 정보로부터 추출하여 컨텐츠와 필기 정보를 동기화 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동영상 컨텐츠 재생하는 도중 또는 일시 정지시 사용자로부터 필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영상 컨텐츠 관련 필기 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은, 동영상 컨텐츠를 따로 분리하여 자막과 같은 형태로 저장하는 방법 및 MVC/SVC 등의 기법과 같이 동영상 프레임 중간에 필기 정보를 포함시켜, 별도의 레이어로 관리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는 동영상 컨텐츠의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는 동영상 컨텐츠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가 표시되어야 할 시간을 결정하고, 해당 시간에 표시되는 동영상 컨텐츠의 프레임에 필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 컨텐츠는 DMB 또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수신하는 동영상 컨텐츠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는 컨텐츠의 페이지 정보,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 컨텐츠의 페이지 내의 필기 정보의 위치, 컨텐츠의 프레임 내의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400)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400)는 제어부(4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9)는 디바이스(400)가 포함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중앙 제어 장치와 같은 연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다른 구성요소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의 디바이스(400)은 도 1의 제 1 디바이스(101)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501에서, 디바이스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는 컨텐츠의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는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모든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는 화면 내의 윈도우 내에 표시될 수도 있다.
단계 S503에서, 디바이스는 표시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컨텐츠를 표시하고 있는 화면에 마우스 또는 전자펜으로 선을 그리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는 입력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생성하고, 필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키보드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필기 시작 이벤트 및 필기 종료 이벤트를 감지하고, 감지된 필기 시작 이벤트 및 필기 종료 이벤트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시작되는 시점과 종료되는 시점, 시작되는 시점 및 종료되는 시점 사이의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필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는 컨텐츠 또는 윈도우 내에만 표시되는 아니며 디바이스의 화면 내의 어느 곳이든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에 입력된 필기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와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와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필기 정보, 컨텐츠 동기화 정보 또는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내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각각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접속 주소 정보라 함은, 필기 정보,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주소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 컨텐츠 동기화 정보 또는 컨텐츠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는, 필기 정보,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내에 각각 저장될 수 있다. 물론 필기 정보,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중 하나에 필기 정보,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모두의 접속 주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주소 정보는 URL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컨텐츠의 식별 정보 및 필기 정보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는 컨텐츠의 페이지 정보,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 컨텐츠의 페이지 내의 필기 정보의 위치, 컨텐츠의 프레임 내의 필기 정보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05에서, 디바이스는 컨텐츠에 대한 식별정보 및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를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디바이스가 서버로서 동작할 수도 잇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컨텐츠, 컨텐츠 정보 및 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접속 주소를 생성하고, 접속 주소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요청에 기초하여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는 서버 일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는 도 3의 디바이스 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가 서버로서 동작할 수 도 있다.
예를 들면, 외부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동기화 정보와 필기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서 표시된 제 1 컨텐츠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제 2 컨텐츠에, 디바이스에서 표시되었던 필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물론 디바이스가 서버로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전송한 경우, 외부 디바이스는 서버로부터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저장된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된 필기 정보와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3 및 도 5의 방법은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필기 정보와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600)는 표시부(601), 필기 정보 획득부(603), 전송부(605) 및 접속 주소 생성부(61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601)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601)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디바이스(6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 획득부(603)는 표시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 획득부(603)는 이벤트 감지부(607) 및 필기 정보 생성부(60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 감지부(607)는 필기 시작 이벤트 및 필기 종료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필기 시작 이벤트 및 필기 종료 이벤트란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 입력의 시작 및 종료를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시작되는 시점 및 종료되는 시점 사이의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는 도 5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 생성부(609)는 이벤트 감지부(607)에서 감지한 필기 시작 이벤트 및 필기 종료 이벤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접속 주소 생성부(61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주소 생성부(611)는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접속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접속 주소 생성부(611)는 생성한 접속 주소를 전송부(605)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도 있고,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시킬 수 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주소 정보는 URL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부(605)는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컨텐츠의 식별 정보 및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는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 컨텐츠의 페이지 정보, 필기 정보가 표시되는 페이지 내의 좌표 정보, 필기 정보가 표시되는 프레임 내의 좌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600)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601)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와 저장된 필기 정보를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600)는 제어부(6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13)는 디바이스(600)가 포함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중앙 제어 장치와 같은 연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다른 구성요소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의 디바이스는 도 1의 제 2 디바이스(103)일 수 있으며, 도 4의 디바이스(400)과 동일한 디바이스 일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세부 순서도이다.
단계 S701에서 디바이스는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외부로부터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거나,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컨텐츠를 먼저 획득한 경우, 컨텐츠와 관련된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가 필기 정보 또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획득한 경우에는 필기 정보 또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를 식별하여, 외부 디바이스 또는 저장부로부터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디바이스는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필기 정보를 모두 획득하였는지 확인한다.
단계 S705에서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필기 정보를 모두 획득하지 못한 경우,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접속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필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가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면, 컨텐츠 또는 획득한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는 자동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물론, 일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디바이스에 저장된 정보 또는 컨텐츠 외의 다른 정보를 수신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창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수신하는 컨텐츠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의 경우,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수신한 컨텐츠의 프레임 각각에 필기 정보를 동기화 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표시할 때 필기정보를 함께 표시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는 컨텐츠와 필기정보의 동기화를 온/오프 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단계 S707에서, 디바이스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와 컨텐츠를 동기화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가 화면에 컨텐츠를 표시할 때,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포함된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 시간 정보에 따라 필기 정보를 컨텐츠와 함께 표시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해당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를 이전에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가 표시되었던 것과 동일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가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필기 정보를 수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필기 정보와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수정하여 저장함으로써,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의 수정 사항을 반영할 수 있다. 즉, 컨텐츠와 동기화된 필기 정보의 수정 및 저장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컨텐츠가 재생되는 해상도 및 크기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의 해상도 및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컨텐츠와 필기 정보의 상대적인 크기, 해상도에 대한 정보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 내에 있는 크기 및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와 필기 정보를 동기화 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801)는 필기 이벤트 정보(803) 및 텍스트 정보(80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라 함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디바이스 내의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이벤트 정보(803)는 필기 시작 이벤트, 필기 종료 이벤트, 필기 이동 이벤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의 입력이 시작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필기 시작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추적(Tracking)함으로써, 필기 이동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며, 사용자의 입력의 종료를 감지하여 필기 종료에 대한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이벤트 정보(803)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입력한 필기 입력 정보의 좌표, 크기, 타입, 두께, 투명도 등 필기 정보를 렌더링 하기 위한 정보(807)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기 정보는 텍스트 정보(80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해 텍스트를 입력한 경우,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으로부터 텍스트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필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텍스트 정보(805)는 굵기, 타입, 텍스트의 방향 등 텍스트를 렌더링하기 위한 정보(80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정보(805)는 텍스트의 비트맵 정보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기 정보는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정보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 내의 정보들은 각각의 필드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는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로 저장될 수도 있으며, 필기 정보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동기화 정보(90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컨텐츠 식별 정보(903) 및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90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입력한 필기 정보가 어떤 컨텐츠와 관련된 필기 정보인지를 식별하기 위해 현재 필기 정보가 입력된 컨텐츠를 확인하고, 해당 컨텐츠에 대한 식별자와 같은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컨텐츠 동기화 정보(901)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식별 정보(903)는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파일 이름과 같은 식별자, 컨텐츠의 길이, 컨텐츠의 사이즈,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 컨텐츠의 페이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컨텐츠 식별 정보(903)는 컨텐츠의 접속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905)는 컨텐츠에 표시된 필기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문서 컨텐츠인 경우, 몇 페이지의 어느 좌표에 필기 정보가 표시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컨텐츠에 표시되었던 필기 정보를,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 컨텐츠의 동일한 위치에 표시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동기화 정보 내의 정보들은 각각의 필드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로 저장될 수도 있고, 필기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서, 서버, 컨텐츠 제공 서버 간의 필기 정보를 공유하는 플로우챠트의 일 예를 도시한다.
단계 S1001에서, 제 2 디바이스는 서버에게 컨텐츠 동기화 데이터 및 필기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0에서의 컨텐츠 동기화 데이터는 필기 정보와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동기화 데이터는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로 저장될 수도 있고, 필기 정보의 메타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디바이스는 컨텐츠 동기화 데이터 및 필기 정보를 제 1 디바이스에게 직접 요청할 수도 있다.
단계 S1003에서, 서버는 제 2 디바이스에게 컨텐츠 동기화 데이터 및 필기 정보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컨텐츠 동기화 데이터 및 필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컨텐츠 동기화 데이터 및 필기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서버는 제 2 디바이스에게 직접 컨텐츠 동기화 데이터 및 필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주소 정보는 URL일 수 있다.
단계 S1005에서, 제 2 디바이스는 접속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에게 컨텐츠 동기화 데이터 및 필기 정보를 요청 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서버가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를 제 1 디바이스에게 제공한 경우, 단계 S1005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 S1007에서,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에게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에게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 이외에도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단계 S1009에서, 제2 디바이스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서버에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제 1 디바이스에게 제공받거나, 컨텐츠가 제 2 디바이스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2 디바이스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 컨텐츠를 요청할 필요가 없다.
단계 S1011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는 제 2 디바이스가 요청한 컨텐츠를 제 2 디바이스에게 송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와 컨텐츠 제공 서버는 동일한 서버일 수 있다. 즉, 하나의 서버에서 컨텐츠, 컨텐츠 동기화 정보 및 필기 정보를 모두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플로우챠트는 본 발명의 필기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할 뿐이며,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를 먼저 수신하고, 컨텐츠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응하는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에 컨텐츠, 필기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 2 디바이스는 저장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제 1 디바이스 또는 서버에 요청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표시하는 디바이스의 화면(1101)에는 윈도우(1103) 및 필기 정보(1105)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도 1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등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의 화면(1101)은 전자 칠판의 화면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필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1105)를 화면(1101)에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도 1 에서 설명한 바와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도 11에서의 디바이스는 도 1 의 제 1 디바이스 또는 제 2 디바이스 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의 화면(1101)에는 필기정보(1105)와 윈도우(103)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1103)는 화면 내에서 컨텐츠를 표시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윈도우(1103)는 웹브라우저, 워드패드, 파워포인트 등과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결과를 표시하거나 디바이스가 처리한 결과와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실행창 일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윈도우(1103) 내에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들이 포함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오브젝트는 이미지, 텍스트, 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는 컨텐츠 전체를 나타내는 객체, 또는 컨텐츠 내의 각각의 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윈도우(1103) 내에 포함되는 서브 윈도우 또한 객체이므로, 오브젝트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브 윈도우는 화면 내에서 컨텐츠를 표시하는 영역으로서, 윈도우 내에 표시되는 윈도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윈도우(1103)를 다양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윈도우(1103)의 상태에 따라 윈도우 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 및/또는 컨텐츠의 표시 상태 또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1103)의 활성화된 상태라 함은, 사용자가 선택한 윈도우로써, 현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윈도우를 의미할 수 있다. 윈도우(1103)의 비활성화된 상태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윈도우로써,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의 윈도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활성화된/비활성화된 윈도우 상태는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윈도우 OS 또는 애플 사의 MAC OS에서의 활성화된/비활성화된 윈도우 상태와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1103)의 활성화/비활성화에 따라 화면의 표시 여부가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활성화된 윈도우도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화면에 표시되는 윈도우(1103)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1103)의 크기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고, 사용자의 크기 정보의 입력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도 있다. 물론 윈도우(103)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화면에 표시되는 윈도우(110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윈도우(1103)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화면(1101) 에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1103)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이동될 수 있고, 사용자의 좌표 정보의 입력에 기초하여 이동될 수도 있다. 물론 윈도우(103)의 이동 방법은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1103)의 최대화란 디바이스의 화면(1101) 전체 크기로 윈도우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1103)의 최대화는 최소화된 윈도우를 다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1103)의 최소화란 윈도우가 디바이스의 화면(1101)에 표시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윈도우(1103)가 최소화된 상태는, 윈도우를 표시하기 위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윈도우(1103)의 최소화/최대화는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윈도우 OS 또는 애플 사의 MAC OS의 윈도우의 최소화/최대화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최소화된 윈도우(1103)의 상태는 상태표시줄에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1103)의 종료란 윈도우를 표시하기 위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화면(1101) 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줄을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1105)를 화면(1101) 내의 모든 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1105)는 윈도우(1103) 내부 뿐만 아니라, 화면(1101) 내의 어느 부분에나 표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1105)를 필기 정보 레이어에 표시하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컨텐츠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물론, 디바이스는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을 한번에 렌더링하여 표시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즉, 디바이스의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이는 도 2 에서 설명한 내용과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1105)를 윈도우(1103)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1105)와 윈도우 내에 표시되는 컨텐츠 및/또는 오브젝트와 동기화 하는데 이용하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필기 정보와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와 공유 할 수 있다. 이는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내용과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단계 S1201에서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수신한다. 즉, 디바이스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패드, 터치 스크린, 전자펜 등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필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신한 필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 S1203에서 디바이스는 화면 내에 표시된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화면 내에 표시된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윈도우의 활성화/비활성화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화면 내에 표시된 윈도우 중 활성화된 윈도우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단계 S1205에서, 디바이스는 단계 S1201에서 수신된 필기 정보와 단계 S1203에서 선택된 윈도우를 맵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맵핑이라 함은 수신된 필기 정보와 선택된 윈도우를 연관 짓는 것(Associating)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의 맵핑 동작은 디바이스가 단계 S1201에서 수신된 필기 정보와 단계 S1203 선택된 윈도우를 함께 제어할 수 있도록, 특정 필기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윈도우와 관련된 정보임을 디바이스가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규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필기 정보와 윈도우에 각각 식별자를 할당하고, 할당한 식별자를 맵핑함으로써, 특정 필기 정보가 특정 윈도우와 함께 제어되어야 함을 표시할 수 있으며, 구현 방식은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수신된 필기 정보와 선택된 윈도우를 맵핑한 결과를 윈도우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에 맵핑된 필기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윈도우에 맵핑된 필기 정보가 존재한다는 표시자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윈도우에 대한 정보를 함께 필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윈도우에 대한 정보는 저장된 필기 정보의 메타 데이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에 대한 정보는 윈도우를 표시하기 위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컨텐츠에 관한 정보, 윈도우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와 필기 정보의 맵핑에 대한 정보는 윈도우에 대한 데이터 및 필기 정보에 대한 데이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1207에서, 디바이스는 윈도우의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변경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변경 정보라 함은 윈도우의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의 상태가 변경된다는 것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가 윈도우의 상태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상태의 변경은 도 1에서 설명한 윈도우 크기의 확대, 축소, 윈도우의 이동, 윈도우의 활성화, 비활성화, 윈도우의 최대화, 최소화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1209에서 디바이스는 상태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변경 정보는 윈도우가 화면에 표시되었는지에 대한 윈도우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윈도우 표시 정보는 윈도우가 현재 표시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 윈도우의 최대화, 최소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윈도우 표시 정보는 윈도우가 최소화되어 화면에 표시되지 않거나, 최소화 되어 있던 윈도우가 최대화 되어 다시 화면에 표시되는 등의 윈도우의 상태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윈도우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선택적으로 필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윈도우를 화면에 표시할 때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 또한 화면에 표시하고, 윈도우를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 때에는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 또한 화면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변경 정보는 윈도우가 이동된 위치에 대한 정보인 윈도우 이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윈도우 이동 정보는 윈도우의 이전 위치에 대한 정보, 윈도우의 변경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윈도우가 이동되어 표시되면, 상태 변경 정보는 윈도우의 이동된 거리, 이동된 좌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윈도우의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입력에 기초하여 윈도우가 이동되면, 디바이스는 이동된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 또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변경 정보는 윈도우가 활성화 되었는지에 대한 정보인 윈도우 활성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윈도우 활성화 정보는 윈도우의 활성화 상태의 변경 여부, 현재 윈도우의 활성화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윈도우 활성화 정보에 기초하여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를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선택적으로 필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윈도우가 활성화되면,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윈도우가 활성화 되면, 비활성화된 다른 윈도우들에 가려지지 않고 전부 표시되므로, 디바이스는 활성화된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 또한 다른 윈도우나 다른 필기 정보에 겹쳐져서 가려지지 않도록 필기 정보의 전부가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통해 윈도우 및 필기정보가 표시는 경우, 디바이스는 가장 상위에 위치한 레이어에 활성화된 윈도우 및 활성화된 윈도우에 맵핑된 필기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윈도우가 비활성화되면,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화면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윈도우가 비활성화되면, 디바이스는 활성화된 윈도우와 겹친 부분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비활성화된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 또한 다른 윈도우나 다른 필기 정보와 겹친 부분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디바이스는 비활성화된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본원발명의 표시되지 않는다는 의미는, 다른 윈도우 또는 다른 필기정보에 가려져 사용자가 식별할 수 없도록 화면에 표시되는 것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변경 정보는 윈도우의 크기에 대한 정보인 윈도우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변경 정보는 변경되기 전의 윈도우의 크기 정보, 변경 후의 윈도우의 크기에 대한 정보, 확대 또는 축소된 비율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윈도우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의 크기가 확대 또는 축소된 경우, 윈도우의 확대 또는 축소된 비율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를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와 맵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변경 정보는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가 화면에 표시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 표시 정보는,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가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지, 이전에는 표시되었는지, 오브젝트의 좌표, 오브젝트의 종류 등, 오브젝트 및 오브젝트의 표시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의 크기는 제한적이므로, 윈도우 내에 포함된 모든 오브젝트는 한번에 표시될 수 없을 수 있다. 즉, 표시할 수 있는 정보량이 디바이스의 화면의 표시 가능량보다 많을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윈도우 내의 포함된 많은 숫자의 오브젝트들을 표시하기 위해 윈도우 내에 서브 윈도우와 같이 작은 형태의 윈도우를 표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에 스크롤바 형태를 배치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윈도우 내에서 표시되는 오브젝트가 이동하여, 오브젝트의 일부가 표시되지 않고, 새로운 정보가 포함된 부분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오브젝트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 맵핑된 필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선택적으로 필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가 전부 표시되면, 오브젝트와 맵핑된 필기 정보를 전부 화면에 표시하고,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표시되지 않으면 맵핑된 필기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필기정보와 맵핑된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한 스크롤 동작에 의해 일부 또는 전부가 표시되지 않으면, 맵핑된 필기 정보 또한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의 일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의 비율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 또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를 윈도우 내의 특정 좌표에 맵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필기정보는 맵핑된 윈도우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는 도 11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필기 정보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와 맵핑된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맵핑된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의 종류, 윈도우 내의 좌표 등의 속성에 관한 정보, 윈도우를 표시하기 위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브젝트는 서브 윈도우와 같은 윈도우, 이미지, 텍스트, 테이블,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와 함께 맵핑된 윈도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맵핑된 윈도우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윈도우가 화면에 표시되면, 상기 저장된 필기 정보를 함께 표시할 지 여부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웹브라우저를 종료하고, 다시 웹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윕브라우저 윈도우를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 웹브라우저 윈도우와 맵핑되었던 필기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선택적으로 필기 정보와 윈도우를 함께 표시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가 필기 정보, 컨텐츠 동기화 정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경우, 획득한 정보 또는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다른 정보 또는 컨텐츠를 획득하고, 필기 정보, 컨텐츠, 동기화 정보, 컨텐츠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표시하는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300)는 필기 정보 수신부(1301), 윈도우 선택부(1303), 맵핑부(1305), 상태 변경 정보 획득부(1307) 및 표시부(130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 수신부(1301)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 수신부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필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부 수신부(1301)가 수신한 필기 정보는 표시부(1309)에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선택부(1303)는 화면에 표시된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선택부(1303)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화면 내에 표시된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윈도우 선택부(1303)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윈도우의 활성화/비활성화 여부와 관계없이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선택부(1303)는 화면 내에 표시된 윈도우 중 활성화된 윈도우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맵핑부(1305)는 윈도우 선택부(1303)가 선택한 윈도우와 필기 정보를 맵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맵핑부(1305)는 윈도우와 필기정보를 맵핑하고, 맵핑된 윈도우, 맵핑된 필기정보가 존재한다는 표시자를 필기 정보 또는 윈도우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변경 정보 획득부(1307)는 윈도우의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변경 정보를 획득한다. 상태 변경 정보는 윈도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변경 정보라 함은 윈도우의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의 변경된 상태라 함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윈도우의 상태가 변경되어 표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1에서 설명한 윈도우의 확대, 축소, 이동, 활성화, 비활성화, 최대화, 최소화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309)는 상태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변경 정보는 윈도우가 화면에 표시되었는지에 대한 윈도우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윈도우 표시 정보는 윈도우가 현재 표시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 윈도우의 최대화, 최소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309)는 윈도우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표시 결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9)는 표시 결정부의 결정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선택적으로 필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309)는 윈도우가 화면에 표시되면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 또한 화면에 표시하고, 윈도우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으면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 또한 화면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변경 정보는 윈도우가 이동된 위치에 대한 정보인 윈도우 이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윈도우 이동 정보는 윈도우의 이전 위치에 대한 정보, 윈도우의 변경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309)는 윈도우의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가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입력에 기초하여 윈도우가 이동되면, 이동된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 또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변경 정보는 윈도우가 활성화 되었는지에 대한 정보인 윈도우 활성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윈도우 활성화 정보는 윈도우의 활성화 상태의 변경 여부, 현재 윈도우의 활성화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309)는 윈도우 활성화 정보에 기초하여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를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표시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9)는 표시 결정부의 결정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필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309)는 윈도우가 활성화되면,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윈도우가 활성화 되면, 비활성화된 다른 윈도우들에 가려지지 않고 전부 표시되므로, 활성화된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 또한 다른 윈도우나 다른 필기 정보에 겹쳐져서 가려지지 않도록 필기 정보의 전부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통해 윈도우 및 필기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필기정보는 가장 상위에 위치한 레이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9)는 윈도우가 비활성화되면,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화면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윈도우가 비활성화되면, 디바이스는 활성화된 윈도우와 겹친 부분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비활성화된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의 다른 윈도우나 다른 필기 정보와 겹친 부분 또한 화면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화면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본 명세서의 “표시되지 않는다”라는 의미는, 가려져서 사용자가 식별할 수 없도록 표시되는 것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변경 정보는 윈도우의 변경된 크기에 대한 정보인 윈도우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309)는 윈도우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의 크기가 확대 또는 축소된 경우, 윈도우의 확대 또는 축소된 비율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맵핑부(1305)는 필기 정보를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와 맵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변경 정보는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가 화면에 표시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309)는 오브젝트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 맵핑된 필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표시 결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9)는 표시 결정부의 결정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필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309)는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가 전부 표시되면, 오브젝트와 맵핑된 필기 정보를 전부 화면에 표시하고,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표시되지 않으면 맵핑된 필기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맵핑부(1305)는 필기 정보 수신부(1301)가 수신한 필기 정보를 윈도우 내의 특정 좌표에 맵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300)는 필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미도시)는 필기정보와 맵핑된 윈도우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는 도 1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미도시)는 필기 정보와 맵핑된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된 필기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전송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300)는 제어부(13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11)는 디바이스(1300)가 포함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중앙 제어 장치와 같은 연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311)는 다른 구성요소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와 윈도우를 맵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1401)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1403 및 1405)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1407)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필기 정보를 화면(1401)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1407)과 윈도우(1405)를 맵핑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는 수신한 필기 정보(1407)를 윈도우(1403 또는 1405)에 관한 필기 정보와 함께 제어하기 위해 맵핑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비활성화 상태의 윈도우(1405)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비활성화된 윈도우(1405)와 필기 정보(1407)를 맵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1407)를 활성화된 윈도우(1403 또는 1405)에 맵핑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가 사용자로부터 윈도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지 않으면, 디바이스는 현재 활성화 상태인 윈도우(1403)와 필기 정보(1407)가 맵핑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확인창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을 유도할 수도 있다. 즉, 필기 정보는 활성화된 윈도우, 비활성화된 윈도우 모두와 맵핑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윈도우(1403 또는 1405)에 맵핑된 필기 정보가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필기 정보의 속성 정보 또는 메타 데이터 정보로서, 어떤 윈도우와 맵핑되어 있는지 표시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컨텐츠와 필기 정보간의 동기화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디바이스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가 표시되는 윈도우와 필기 정보를 맵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1403 또는 1405)와 맵핑된 필기 정보는 맵핑된 윈도우(1403 또는 1405)와 함께 제어될 수 있다. 이는 도 15 내지 도 21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이동에 따른 필기 정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화면(1501) 내의 윈도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입력 또는 화면의 해상도의 변화 등에 따라 화면 내의 윈도우의 위치가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 1 윈도우(1503)는 제 1 필기 정보(1505)와 맵핑되어 있다. 제 1 윈도우(1503)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 2 윈도우(1505)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제 1 윈도우(1503)이 이동되면, 제 1 윈도우(1503)와 함께 필기 정보(1505) 또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도 5의 역 또한 가능하다.
즉, 도 15에서, 제 1 윈도우(1503) 및 제 1 필기 정보(1505)는 이동 전의 윈도우 및 필기 정보를 도시하며, 제 2 윈도우(1507) 및 제 2 필기 정보(1509)는 의해 이동 후의 윈도우 및 필기 정보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상태 변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태 변경 정보에 대한 내용은 상기 도 11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다. 또한 상태 변경 정보는 윈도우 이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이동 정보는 이동 전의 좌표 정보, 이동 후의 좌표 정보, 이동된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윈도우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 또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윈도우가 이동되면 필기 정보 또한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더라도, 윈도우의 이동과 동일한 정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맵핑된 필기 정보의 이동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크기 변경에 따른 필기 정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1601) 내의 윈도우의 크기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 1 윈도우(1603)는 제 1 필기 정보(1605)와 맵핑되어 있다. 제 1 윈도우(1603)의 크기를 확대하면 제 2 윈도우(1605)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제 1 윈도우(1603)의 크기가 확대되면, 제 1 윈도우(1603)과 함께 필기 정보(1605) 또한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윈도우의 축소에 따라 필기 정보의 축소 또한 가능하다.
즉, 도 16에서, 제 1 윈도우(1603) 및 제 1 필기 정보(1605)는 크기 변경 전의 윈도우 및 필기 정보를 도시하며, 제 2 윈도우(1607) 및 제 2 필기 정보(1609)는 의해 크기 변경 후의 윈도우 및 필기 정보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상태 변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태 변경 정보는 윈도우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크기 정보는 윈도우의 크기를 변경하기 전의 크기 정보, 윈도우의 크기를 변경한 후의 크기 정보, 윈도우의 좌표 정보, 변경된 비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윈도우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의 크기 또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윈도우의 크기가 변경되면 필기 정보 또한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더라도, 윈도우의 크기와 변경된 비율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맵핑된 필기 정보의 크기 변경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표시에 따른 필기 정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는 화면(1701)에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윈도우가 종료된 상태는 아니지만, 윈도우가 최소화된 상태인 경우 윈도우는 화면(1701)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 1 윈도우(1707)는 제 1 필기 정보(1709)와 맵핑되어 있다. 제 1 윈도우(1707)의 크기를 최소화하면 제 2 윈도우(1703)와 같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윈도우(1707)의 크기가 최소화 되어 화면에 표시되지 않으면, 제 1 윈도우(1707)에 맵핑된 제 1 필기 정보(1709) 또한 화면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17에서, 제 1 윈도우(1707) 및 제 1 필기 정보(1709)는 최소화 이전의 윈도우 및 필기 정보를 도시하며, 점선으로 표시된 제 2 윈도우(1703) 및 제 2 필기 정보(1705)는 최소화되어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윈도우 및 필기 정보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상태 변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태 변경 정보는 윈도우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표시 정보는 윈도우가 화면(1701)에 표시되는지에 대한 정보, 윈도우의 최소화/최대화에 대한 정보, 윈도우의 크기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윈도우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의 표시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디바이스는 윈도우가 화면에 표시되면 맵핑된 필기 정보 또한 화면에 표시하고, 윈도우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으면 맵핑된 필기 정보 또한 화면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르면, 디바이스는 윈도우가 최대화 되면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윈도우가 최소화되면,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최소화된 윈도우를 화면에 다시 표시할 때, 맵핑된 필기 정보 또한 화면에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 내에는 상태표시줄(1711)이 표시될 수도 있다. 즉, 윈도우가 최소화 되는 경우, 상태 표시줄에만 표시되고 화면(1701)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표시줄(1711)에는 윈도우의 정보 및 윈도우의 상태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되는 정보에는 제한이 없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비활성화에 따른 따른 필기 정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1801) 내의 윈도우는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윈도우(1809)는 제 1 필기 정보(1807)와 맵핑되어 있고, 제 2 윈도우(1803)는 제 2 필기 정보(1805)와 맵핑되어 있다. 제 1 윈도우(1807)는 활성화된 윈도우이고, 제 2 윈도우(1803)는 비활성화된 윈도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된 윈도우는 다른 윈도우 또는 오브젝트, 필기정보에 가려지지 않은 상태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즉, 활성화된 윈도우는 화면 내에 전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비활성화된 윈도우는 활성화된 윈도우 또는 다른 비활성화된 윈도우 또는 오브젝트, 필기정보에 의해 가려진 상태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즉, 비활성화된 윈도우는 일부 또는 전부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1803 및 1807)가 화면(1801)에 표시될 때, 비활성화된 윈도우인 제 2 윈도우(1803)는 일부 또는 전부가 활성화된 윈도우인 제 1 윈도우(1807)에 가려져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제 2 윈도우(1803)의 일부 또는 전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제 2 윈도우(1803)와 맵핑된 필기 정보(1805) 또한 비활성화된 윈도우와 같이 제 1 윈도우(1807) 또는 제 1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1805)에 가려져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의 역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상태 변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태 변경 정보는 윈도우 활성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활성화 정보는 윈도우의 활성화 여부, 윈도우가 다른 윈도우와 겹쳐진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 겹쳐진 부분의 크기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윈도우 활성화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의 크기 또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는 윈도우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필기 정보를 전부 화면에 표시하고, 윈도우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필기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화면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필기 정보가 활성화된 윈도우 또는 활성화된 윈도우와 맵핑된 필기 정보와 겹치는 경우, 겹쳐진 부분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바이스는 도 15 내지 도 18에서 설명한 내용을 윈도우 및 필기정보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즉, 윈도우의 크기와 위치가 함께 변경되면 디바이스는 도 15 내지 도 18에서 설명하였던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윈도우 및 필기 정보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단계 S1901에서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수신한 필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1903에서, 디바이스는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단계 S1905에서 디바이스는 선택된 오브젝트와 필기정보를 맵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윈도우의 정보 또는 윈도우 내에 포함된 컨텐츠 또는 정보를 파싱하여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의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윈도우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컨텐츠의 정보에 기초하여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들을 판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브젝트의 정보는 오브젝트 각각의 위치,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의 종류, 오브젝트의 좌표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맵핑할 수도 있고, 윈도우 내의 서브 윈도우 필기 정보를 맵핑할 수도 있다. 물론 오브젝트의 정보는 컨텐츠의 정보를 포함하며,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의 정보가 컨텐츠 동기화 정보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1905에서 디바이스는 오브젝트 표시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브젝트 표시 정보는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가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지, 이전에는 표시되었는지,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의 좌표, 오브젝트의 종류 등, 오브젝트 및 오브젝트의 표시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 표시 정보는 오브젝트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1907에서, 디바이스는 오브젝트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가 표시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에 맵핑된 필기 정보를 표시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윈도우의 크기는 제한적이어서, 윈도우 내에 포함된 모든 오브젝트는 한번에 표시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오브젝트와 맵핑된 필기 정보를 필기정보와 맵핑된 오브젝트가 화면 내의 윈도우 내에서 표시될 때만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윈도우의 상태 정보에 따라 오브젝트와 맵핑된 정보의 표시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가 전부 표시되면, 오브젝트와 맵핑된 필기 정보를 전부 화면에 표시하고,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표시되지 않으면 맵핑된 필기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도 21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필기 정보와 맵핑된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맵핑된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의 종류, 윈도우 내의 좌표 등의 속성에 관한 정보, 윈도우를 표시하기 위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화면(2001) 내에 윈도우(2003)가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2003) 내에는 서브 윈도우(2005)들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윈도우(2005)들은 오브젝트들의 일 예일 수 있으며, 윈도우(2003) 내에 이미지, 텍스트, 테이블, 프레임 등 다양한 오브젝트들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오브젝트는 윈도우(2003) 내에 포함된 모든 객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객체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윈도우(2005) 내에 서브 윈도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표시에 따른 필기 정보의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의 화면(2101)에는 윈도우(2103)이 표시된다. 표시된 윈도우(2103) 내에는 오브젝트(2105)가 표시된다.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 정보(2107)는 윈도우(2103) 내의 오브젝트(2105)와 맵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윈도우 상태 변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윈도우 상태 변경 정보는 오브젝트가 화면에 표시되었는지에 대한 정보인 오브젝트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브젝트 표시 정보는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의 타입에 대한 정보,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의 좌표에 대한 정보,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의 표시 정보, 윈도우의 스크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의 스크롤의 위치에 따라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의 표시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 1 위치(2113)에 윈도우의 스크롤이 위치하면, 윈도우 내의 제 1 오브젝트는 화면(2101) 내의 윈도우(2103)에 표시될 수 있다. 윈도우(2103) 내에 제 1 오브젝트(2105)는 제 1 필기 정보(2107)과 맵핑되어 있다. 윈도우의 스크롤이 제 1 위치(2113)에서 제 2 위치(2115)로 이동하면, 제 1 오브젝트(2105)는 제 2 오브젝트 (2109)와 같이 윈도우 내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윈도우 내에 제 1 오브젝트(2105)가 표시되지 않으면, 제 1 오브젝트(2105)와 맵핑된 제 1 필기 정보(2107) 또한 제 2 필기 정보(2111)과 같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21에서 제 1 오브젝트(2105) 및 제 1 필기 정보(2107)는 윈도우의 스크롤이 제 1 위치(2113)일 때의 오브젝트 및 필기 정보를 도시하며, 점선으로 표시된 제 2 오브젝트(2109) 및 제 2 필기정보(2111)는 윈도우의 스크롤이 제 2 위치(2115)일 때의 오브젝트 및 필기 정보를 도시하며, 실제 화면에 표시되지 않음을 표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컨텐츠 및/또는 오브젝트가 화면의 윈도우 내에 표시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윈도우가 아닌 다른 형태로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에도 필기 정보와의 맵핑, 필기 정보와의 동기화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정보 공유 및 표시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2200)는 요청 수신부(2201), 정보 확인부(2203), 윈도우 선택부(2205), 맵핑부(2207), 표시부(2209), 상태변경 정보 획득부(2211), 저장부(2213) 및 통신부(22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청 수신부(2201)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표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요청 수신부(2201)의 컨텐츠 표시 요청에 따라 윈도우 내에 컨텐츠 또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2의 정보 요청 수신부(2203)는 도 4의 요청 수신부(401)와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확인부(2203)는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 및 컨텐츠 동기화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2의 정보 확인부(2203)은 도 4의 정보 확인부(403)와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추가적으로, 정보 확인부(2203)는 정보 획득부(2204)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획득부(2204)는 컨텐츠에 대한 필기 정보, 컨텐츠 동기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서버 및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필기 정보,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획득할 수 도 있다.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보 획득부(2204)는 필기 시작 이벤트 및 필기 종료 이벤트 등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필기 정보를 추출, 생성할 수 있다. 이는 도 16의 필기 정보 획득부의 동작과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선택부(2205)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컨텐츠 및/또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윈도우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맵핑부(2207)는 윈도우 선택부(2205)가 선택한 윈도우와 필기 정보를 맵핑할 수 있다. 윈도우와 맵핑되는 필기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필기 정보 일 수도 있고, 정보 확인부(2203)를 통해 획득한 필기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맵핑부(2207)는 정보 확인부(2203)에서 획득한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와 윈도우를 맵핑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2200)는 필기 정보와 윈도우, 필기 정보와 컨텐츠 또는 필기 정보와 오브젝트를 맵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2209)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컨텐츠, 오브젝트,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209)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필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컨텐츠와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도 4 및 도 6에서 설명한 내용과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변경 정보 획득부(2211)는 윈도우의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변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상태 변경 정보 획득부(2211)는 윈도우 및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의 표시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2209)가 필기 정보의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는 도 13에서 설명한 내용과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2213)는 컨텐츠 저장부(2214), 필기정보 저장부(2215), 컨텐츠 동기화 정보(221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저장부(2214)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필기 정보 저장부(2215)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필기 정보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필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컨텐츠 동기화 정보(2216)는 필기 정보와 컨텐츠와의 동기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통신부(2217)는 송신부(2218) 및 수신부(2219)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2218) 및 수신부(2219)는 컨텐츠, 필기 정보, 컨텐츠 동기화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2200)는 제어부(22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21)는 디바이스(2200)가 포함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중앙 제어 장치와 같은 연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다른 구성요소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2200)는 접속 주소 생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도 6에서 설명한 내용과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33)

  1. 필기 정보 공유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표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필기 정보, 상기 컨텐츠와 상기 필기 정보를 동기화 하는데 사용되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메타데이터 내의 포함된 접속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정보 및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정보와 상기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필기 정보 및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필기 정보 및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상기 컨텐츠와는 별도로 저장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페이지 정보,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 상기 컨텐츠의 페이지 내의 필기 정보의 위치,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 내의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정보는,
    필기 시작 이벤트, 필기 종료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정보 및 텍스트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정보와 상기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필기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문서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정보와 상기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문서 컨텐츠의 각 페이지 대응하는 필기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필기 정보 공유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표시 요청을 수신하는 표시 요청 수신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필기 정보,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와 상기 필기 정보를 동기화하는데 사용되는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정보와 상기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획득한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정보,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 내의 포함된 접속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정보 및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필기 정보 및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필기 정보 및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상기 컨텐츠와는 별도로 저장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동기화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페이지 정보,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 상기 컨텐츠의 페이지 내의 필기 정보의 위치,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 내의 필기 정보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정보는,
    필기 시작 이벤트, 필기 종료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정보 및 텍스트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필기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문서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문서 컨텐츠의 각 페이지 대응하는 필기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제 1 항,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30147817A 2013-10-04 2013-11-29 필기 정보를 공유 및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12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66734.8A CN105793836B (zh) 2013-10-04 2014-10-02 用于共享并且显示书写信息的方法和装置
PCT/KR2014/009346 WO2015050408A1 (en) 2013-10-04 2014-10-02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nd displaying writing information
EP14850405.3A EP3039557A4 (en) 2013-10-04 2014-10-02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nd displaying writing information
CN201911086224.8A CN110851033A (zh) 2013-10-04 2014-10-02 用于共享并且显示书写信息的方法和装置
US14/507,159 US20150100867A1 (en) 2013-10-04 2014-10-06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nd displaying writing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730 2013-10-04
KR20130118730 2013-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547A KR20150041547A (ko) 2015-04-16
KR102212210B1 true KR102212210B1 (ko) 2021-02-05

Family

ID=5303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817A KR102212210B1 (ko) 2013-10-04 2013-11-29 필기 정보를 공유 및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039557A4 (ko)
KR (1) KR102212210B1 (ko)
CN (2) CN1108510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3158B (zh) * 2017-02-27 2021-03-09 苏州谦问万答吧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在线答疑内容的播放方法及装置
CN108874351A (zh) * 2018-06-25 2018-11-23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交互平板中书写内容的存储与还原的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与智能交互平板
CN110221715A (zh) * 2019-06-19 2019-09-10 南京孜博汇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运动轨迹信息的多界面显示方法及系统
WO2021056780A1 (zh) * 2019-09-25 2021-04-01 掌阅科技股份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阅读器、计算机存储介质、墨水屏阅读设备以及投屏显示系统
KR20220004924A (ko) * 2020-07-05 2022-01-12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필기 및 컨텐츠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CN112069333B (zh) * 2020-11-16 2021-05-25 南京孜博汇信息科技有限公司 笔迹书写内容的共享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8534A1 (en) * 2006-01-24 2007-08-23 Henry Hon System and method to create a collaborative web-based multimedia layered platform
US20100169906A1 (en) * 2008-12-30 2010-07-01 Microsoft Corporation User-Annotated Video Markup
US20130173531A1 (en) * 2010-05-24 2013-07-04 Intersect Pt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storytelling in a virtual spa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6700A (en) * 1993-02-17 1997-0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annotating software windows
JP2002507027A (ja) * 1998-03-13 2002-03-05 シーメンス コーポレイト リサーチ 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協調的ダイナミックビデオコメント作成装置および作成方法
WO2001004804A2 (en) * 1999-07-11 2001-01-18 Expression, Inc. Internet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JP3753244B2 (ja) * 2002-11-27 2006-03-08 日本電気株式会社 リアルタイムウェブ共有システム
US7551187B2 (en) * 2004-02-10 2009-06-2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that utilize a dynamic digital zooming interface in connection with digital inking
JP4692312B2 (ja) * 2006-02-09 2011-06-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会議システム、電子会議支援プログラム及び方法、会議参加者端末装置
US8769006B2 (en) * 2006-11-28 2014-07-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ole-based display of document renditions for web conferencing
US8438214B2 (en) * 2007-02-23 2013-05-07 Nokia Corpora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system and apparatus for sharing a media object
KR101475736B1 (ko) * 2007-06-29 2014-12-24 삼성전자 주식회사 필기 가능한 전자 책
US8832319B2 (en) * 2008-11-18 2014-09-09 Amazon Technologies, Inc. Synchronization of digital content
KR101718027B1 (ko) * 2010-09-09 201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메모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8534A1 (en) * 2006-01-24 2007-08-23 Henry Hon System and method to create a collaborative web-based multimedia layered platform
US20100169906A1 (en) * 2008-12-30 2010-07-01 Microsoft Corporation User-Annotated Video Markup
US20130173531A1 (en) * 2010-05-24 2013-07-04 Intersect Pt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storytelling in a virtual sp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93836A (zh) 2016-07-20
CN110851033A (zh) 2020-02-28
CN105793836B (zh) 2019-11-19
EP3039557A1 (en) 2016-07-06
KR20150041547A (ko) 2015-04-16
EP3039557A4 (en)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812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sing captured image in electronic device
KR102212210B1 (ko) 필기 정보를 공유 및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70208B1 (ko) 클램핑을 사용한 스크롤링의 변경
CN106415446B (zh) 通过触觉交互对内容属性的可访问性检测
US20130339830A1 (en) Optimized document views for mobile device interfaces
US20160092406A1 (en) Inferring Layout Intent
TW201606631A (zh) 利用關聯指示器及浮動選單列的關聯選單
US20140245221A1 (en) Intelligent Scrolling In Digital Publications
KR20150095664A (ko) 콘텐츠에 주석을 첨부하는 기법
KR20130050606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독서 실행 방법 및 장치
KR20170098830A (ko) 지속적인 뷰포트 제공 기법
US20090313574A1 (en) Mobile document viewer
US9575941B1 (en) Dynamic adjustment to content for a display device
US20120235933A1 (en)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US10417310B2 (en) Content inker
US20170205980A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multitasking view
JP2015510172A (ja) 携帯装置のページ表示方法及び装置
TW201426361A (zh) 電子閱讀器之平面書籍至豐富書籍轉換
WO2019083620A1 (en) COORDINATION OF COMPOUND SCENARIO CONTENT IN MULTIPLE PRODUCTIVITY APPLICATIONS
US10965743B2 (en) Synchronized annotations in fixed digital documents
US2013001610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60084629A (ko) 콘텐트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US20160011770A1 (en) Document autograph system and method
US201501008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nd displaying writing information
US9229912B2 (en) Previewing prominent features of remote doc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